KR20080101264A - 표면이 친수성 개질된 에어로겔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표면이 친수성 개질된 에어로겔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1264A
KR20080101264A KR1020070047789A KR20070047789A KR20080101264A KR 20080101264 A KR20080101264 A KR 20080101264A KR 1020070047789 A KR1020070047789 A KR 1020070047789A KR 20070047789 A KR20070047789 A KR 20070047789A KR 20080101264 A KR20080101264 A KR 200801012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gel
aerogel
surfactant
isopropoxide
hydrophi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7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수
전현애
최현철
김영정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047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101264A/ko
Publication of KR20080101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12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3/00Silicon; Compounds thereof
    • C01B33/113Silicon oxides; Hydrates thereof
    • C01B33/12Silica; Hydrates thereof, e.g. lepidoic silicic acid
    • C01B33/14Colloidal silica, e.g. dispersions, gels, sols
    • C01B33/157After-treatment of gels
    • C01B33/158Purification; Drying; Dehydrating
    • C01B33/1585Dehydration into aerog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3/00Colloid chemistry, e.g. the production of colloidal materials or their solu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king microcapsules or microballoons
    • B01J13/0091Preparation of aerogels, e.g. xerogel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22Rheological behaviour as dispersion, e.g. viscosity, sedimentation stabilit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ilicon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수성기와 친유성기를 갖는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표면이 친수성으로 개질된 에어로겔을 제조하는 방법, 이에 따라 제조된 표면이 친수성으로 개질된 에어로겔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수성 에어로겔 표면을 계면활성제로 친수성으로 개질하는 단계; 및 상기 표면이 친수성으로 개질된 에어로겔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표면이 친수성으로 개질된 에어로겔 제조방법, 이에 따라 제조된 표면이 친수성으로 개질된 에어로겔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에어로겔은 표면이 친수성화된 것으로 표면에 형성된 친수성 계면활성제막에 의해 유기물질과 혼합시, 유기물질이 에어로겔 공극내로 침투되는 것이 방지되어 에어로겔의 고비표면적 및 다공성이 유지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표면이 친수성화된 에어로겔은 표면만이 친수화된 것으로 유기물질과 균일하게 혼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이러한 에어로겔 함유 배합물로 제조된 물품은 우수한 에어로겔 고유의 특성을 나타낸다.
소수성 에어로겔, 표면 친수성화, 계면활성제, 다공성, 고비표면적, 단열재, 방음재, 완충재

Description

표면이 친수성 개질된 에어로겔 제조방법, 이에 따라 제조된 에어로겔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Method for Preparing Hydrophile Surface Treated Aerogel, Aerogel Prepared Thereby and Aerogel Article Prepared By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표면 친수성화처리된 에어로겔이 유기바인더등과 고르게 혼합되어 필름을 형성하는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표면이 친수성 개질된 에어로겔 제조방법, 이에 따라 제조된 표면이 친수성으로 개질된 에어로겔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친수성기와 친유성기를 갖는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표면이 친수성으로 개질된 에어로겔을 제조하는 방법, 이에 따라 제조된 표면이 친수성으로 개질된 에어로겔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에 관한 것이다.
에어로겔은 기공율이 90% 이상이고, 비표면적이 수백 내지 1500 m2/g 정도인 투명한 극저밀도의 첨단소재이다. 이러한 다공성 에어로겔은 극저유전체, 촉매, 전극소재, 방음재, 단열재, 완충재등의 분야에 응용이 가능하며, 특히 실리카 에어로겔은 높은 투광성과 낮은 열전도도 특성을 갖기 때문에 투명 단열재로의 높은 잠재력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냉장고, 자동차, 항공기 등에 사용될 수 있는 매우 효율적인 초단열재이다.
이와 같이 에어로겔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전세계적으로 첨단 소재 에어로겔에 대한 관심이 늘어가고 있다. 그러나 에어로겔은 수분을 흡수하면 겔 구조 특성 및 물성이 저하되므로 에어로겔은 제조도중 일반적으로 소수성이 되도록 표면개질된다. 또한, 소수화 처리하지 않는 경우에는 습윤겔을 상압건조하여 에어로겔 제조하는 공정에서 습윤겔 말단의 결합, 건조도중 물의 배출등으로 인하여 압력이 증가하고 따라서, 다공성 에어로겔이 얻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한편, 이러한 소수성 에어로겔을 이용하여 에어로겔 코팅제, 필름, 몰딩제품등으로 제조하기 위해서, 소수성 에어로겔은 광경화제, 열경화제, 유기 바인더 또는 유기 고분자등의 유기물질과 배합된다. 그러나, 배합시 소수성 에어로겔의 공극에 유기물질이 침투되어 에어로겔의 공극이 막히게 되어 에어로겔 고유의 특성인 고비표면적 및 다공성이 손상된다.
또한, 소수성 에어로겔은 탄화수소 및 극성 작용기로 이루어져 있는 상기 유기물질과는 잘 혼합되지만, 물이나 친수성 물질과는 전혀 혼합되지 않고, 에어로겔을 친수성 바인더와 함께 사용하는 경우에, 습기에 노출되면 친수성 바인더에 의해 에어로겔 제품의 물성이 저하된다.
종래 미국 특허 공개 제2003-0215640는 수성 바인더를 이용하여 에어로겔 코팅제를 제조하는 바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으나, 통상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유기바인더에는 적용할 수 없다는 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통상의 유기물질과 혼합시, 에어로겔의 고비표면적 및 다공성이 유지되는 에어로겔이 요구된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에어로겔의 고비표면적 및 다공성을 유지하면서 표면을 친수성으로 개질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비표면적 및 다공성이며 표면이 친수성으로 개질된 에어로겔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본 발명의 표면이 친수성으로 개질된 에어로겔을 포함하는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일 견지에 의하면,
소수성 에어로겔 표면을 계면활성제로 친수성으로 개질하는 단계; 및
표면이 친수성으로 개질된 에어로겔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표면이 친수성으로 개질된 에어로겔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의하면,
상기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표면이 친수성으로 개질된 에어로겔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견지에 의하면,
상기 표면이 친수성으로 개질된 에어로겔을 포함하는 물품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친유성기와 친수성기를 갖는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소수성 에어 로겔의 표면을 친수성으로 개질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친유성기와 친수성기를 동시에 갖는 계면활성제는 친유성기 부분이 소수성 에어로겔 표면에 상호인력에 의해 부착되며, 따라서, 계면활성제와 반응된 에어로겔 표면은 친수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의한 방법에서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소수성 에어로겔 표면을 친수성으로 개질하는 단계는 용매중에서 소수성 에어로겔과 계면활성제가 서로 접촉되도록 하므로써 행하여진다.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되는 소수성 에어로겔은 특히,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이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어떠한 소수성 에어로겔이 사용될 수 있다.
소수성 에어로겔은 일반적으로 습윤겔 제조시 에어로겔 전구체와 소수화제를 반응시키거나 혹은 별도의 습윤겔을 제조한 후 이를 소수화제와 반응시키므로써 제조된다. 상기 습윤겔 또한,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기술분야에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졸-겔 공정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습윤겔이라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졸-겔화공정은 이 기술분야에 알려진 어떠한 적합한 졸-겔기술[R.K.Colloid Chemistry of Silica and Silicates 1954, Chapter 6; C.J. Brinker, G.W. Scherer, Sol-Gel Science, 1990, Chapters 2 and 3을 참고바람]을 기초로 하여 행할 수 있다.
습윤겔은 이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졸-겔화 공정에 의해 에어로 겔 전구체로부터 얻어지며, 에어로겔 전구체로는 금속알콕사이드 또는 물유리가 사용될 수 있다. 금속알콕사이드로는 알킬기가 1 내지 6개인 탄소원자,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것이 적합하다. 이로써 특히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금속알콕사이드로는 테트라알콕시실란(예를들어, 테트라에톡시실란(TEOS), 테트라메톡시실란(TMOS), 테트라-n-프로폭시실란), 알루미늄 이소프로폭사이드, 알루미늄-sec-부톡사이드, 세륨 이소프로폭사이드, 하프늄 tert-부톡사이드, 마그네슘 알루미늄 이소프로폭사이드, 이트륨 이소프로폭사이드, 티타늄 이소프로폭사이드 및 지르코늄 이소프로폭사이드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최소 일종이 단독으로 혹은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중에서, 테트라알콕시실란이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테트라에톡시실란(TEOS) 및/또는 테트라메톡시실란(TMOS)이 사용된다.
습윤겔은 에어로겔 전구체와 물의 반응에 의한 가수분해, 축합반응 및 숙성을 거친 후, 반응용매속에 잠겨있는 건조직전의 상태를 말한다. 즉, 알코올 용매중에서 에어로겔 전구체와 물에 촉매를 첨가하므로써 가수분해가 진행되며, 가수분해물의 축합반응이 진행되어 "졸"상태의 화합물이 형성된다. 이때, 축합반응은 염기 또는 산 촉매 존재하에 행할 수 있으나, 금속 알콕사이드를 사용하는 경우 염기 촉매를 사용하는 것이 좀 더 바람직하다. 졸 상태의 용액이 겔화된 후 충분한 시간동안 숙성시켜 습윤겔로 제조된다.
소수성 에어로겔은 이로써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출원인이 출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2006-19596 및 2006-33754의 아크릴레이트로 소수화된 에어로겔, 특허출원 2006-48280의 에폭시로 소수화된 에어로겔, 특허출원 2007-3528의 티올기로 소수화된 에어로겔, 특허출원 2006-87884 또는 통상의 실릴화제등으로 소수화된 에어로겔등이 사용될 수 있다. 소수성 에어로겔은 금속알콕사이드 또는 물유리 에어로겔 전구체로부터 제조된 것일 수 있으며, 특히, 물유리를 전구체로 하여 상압건조로 제조된 에어로겔이 본 발명의 방법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친유성기와 친수성기를 갖는 계면활성제로는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양이온계 계면활성제,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로써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로는 카르복시레이트염(caoboxylate soaps), 술포네이트(sulphonates), 술페이트(sulphates), 포스페이트(phosphates) 타입이 사용될 수 있다. 이로써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양이온계 계면활성제로는 4급 암모늄염(구체적으로, 세틸트리메틸암모늄 할라이드(cetyltrimethylammonium halide), 벤질 트리메틸 할라이드(benzyl trimethyl halide)), 아민염, 이미다졸린염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로써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로는 알코올 에톡시레이트, 모노 알카놀아미드 에톡시레이트, 지방산 아민 에톡시레이트, 지방산 에톡시레이트, POE/POP 공중합체(친수성 폴리옥시에틸렌(POE)과 소수성 폴리옥시프로필렌(POP)의 블록 공중합체), 알킬 페놀 에톡시레이트, 글루코사이드, 글리 세라이드, 글리콜 에스테르, 글리세롤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롤 에스테르, 폴리글루코사이트, 소르비탄 에스테르, 소르비탄 에스테르 에톡시레이트, 수크로스 에스테르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표면이 친수성화된 에어로겔을 제조하는 방법에서 소수성 에어로겔 표면을 계면활성제로 친수성으로 개질하는 단계는 용매(분산매) 중에서 소수성 에어로겔과 계면활성제가 접촉되도록 하므로써 행하여진다. 용매(분산매)로는 물, 알코올 또는 물/알코올 혼합용액이 사용될 수 있다. 알코올은 이 기술분야에서 용매로 사용되는 알코올, 이로써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구체적으로는 C1 -6 알코올이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소수성 에어로겔 및 사용되는 계면활성제의 물성 및 반응성등을 고려하여 적합하게 선택하여 사용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를 첨가하기 전에 용액에 부유하는 에어로겔은 계면활성제가 첨가되어 계면활성제가 에어로겔의 표면을 감싸게 되면, 용액이 우유빛으로 변하면서 에어로겔이 용액에 분산된다. 이때, 계면활성제는 에어로겔의 양을 기준으로 0.5 wt% ~ 20 wt%로 첨가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의 양이 0.5 wt% 미만이면 에어로겔의 표면친수화기의 양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으며, 20wt%를 초과하면 계면활성제가 에어로겔의 공극을 막아서 에어로겔의 물성이 감소될 수 있다.
용매중에서 소수성 에어로겔과 계면활성제가 접촉함에 따라,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면활성제의 친유성기와 에어로겔 표면의 소수성 반응기의 상호인력에 의하여 계면활성제의 친유성기가 에어로겔의 소수성 표면에 부착되며, 따라서, 에어로겔의 외부 표면은 친수성으로 개질된다.
[반응식 1]
Figure 112007036160423-PAT00001
계면활성제에 의해 표면이 친수성 개질된 에어로겔을 필터링하여 회수한 후, 이를 건조하여 계면활성제에 의해 표면이 친수성으로 개질된 에어로겔이 얻어진다.
필터링하여 회수한 표면이 친수성 개질된 에어로겔은 상압 오븐에서 건조한다. 건조조건은 사용된 계면활성제의 물성 및 분산용매의 종류에 영향을 받지만, 통상적으로 건조는 50℃~120℃에서 1시간~24시간동안 건조한다. 건조온도가 50℃미만이면 분산용매가 충분히 건조되지 않을 수 있으며, 120℃를 초과하면 에어로겔 표면에서 계면활성제의 분포 및 농도가 달라져 에어로겔의 특성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 범위의 온도에서 1시간-24시간 동안 건조하므로써 충분히 건조된다.
이와 같이 표면이 친수성으로 개질된 에어로겔을 건조시키므로써 에어로겔의 특성인 고비표면적 및 다공성을 가지며, 표면만이 친수화된 에어로겔이 얻어진다. 이때, 계면활성제는 친유성기 뿐만 아니라, 친수성기를 가지므로 계면활성제가 소수성 에어로겔의 내부 공극까지 침투하지 않으며, 따라서, 에어로겔의 다공성이 유지된다.
상기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에어로겔은 고비표면적 및 다공성등 에어로겔 고유의 특성을 갖는다. 또한, 광경화제, 열경화제, 유기 바인더 또는 유기고분자등과 같은 유기물질과 혼합시, 형성된 친수성 계면활성제막에 의해 유기물질이 에어로겔 공극내로 침투되어 공극이 막히는 것이 방지되므로 에어로겔의 고비표면적 및 다공성이 유지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표면이 친수화된 에어로겔은 표면만이 친수화된 것으로 일반적인 유기 바인더등과 균일하게 혼합된다.
본 발명의 표면이 친수화된 에어로겔은 첨부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기 바인더등과 고르게 혼합되며, 에어로겔 고유의 고비표면적 및 다공성이 유지되므로, 이러한 에어로겔 함유 배합물로 제조된 물품(필름 혹은 몰딩제품등), 구체적으로 단열재, 방음재, 반사필름, 광학필름, 담지체, 완충재등은 에어로겔 고유의 우수한 물성을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 계면활성제에 의한 소수성 에어로겔의 친수성 표면개질
60℃에서 1N 염산용액 1ℓ에 물유리용액(35%의 규산나트륨용액을 물로 3배 희석한 용액)을 pH 4가 될 때까지 조금씩 교반하면서 첨가하였다. 이 때 반응기는 60℃이며, pH 4인 산성조건에서 2시간 정도 더 교반하면서 반응시켜 습윤 실리카 겔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습윤겔은 증류수로 여러번 수세한 후에 충분히 물기를 제거하였다. 그 후, 메탄올(MeOH) 90중량%와 헥사메틸-디-실란(HMDS) 10중량%로 혼합하여 희석된 실란용액 500ml에 상기 실리카 습윤겔 400g을 담근 후에 120~150℃에서 4시간 동안 환류(reflux)시켜 에어로겔을 소수성으로 표면개질하였다. 그 후, 표면개질된 실리카 겔 400g을 n-부탄올 500ml에 담그고 120~150℃에서 4시간 동안 다시 한번 환류시켜 용매치환하여 겔 내부의 물을 제거하고 120℃에서 2시간 동안 건조시켜 소수성 표면개질된 에어로겔을 얻었다.
상기 영구적 소수성을 갖는 에어로겔 10g을 메탄올과 물이 50:50중량비로 혼합된 혼합용액 100cc에 첨가하고 분산시켰다. 이 혼합용액에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알드리치 상품명 Brij-56)를 첨가하여 혼합하였으며, 이때 계면활성제는 0.5g(에어로겔양의 5중량%)로 첨가하였다.
상기 에어로겔 분산액과 계면활성제 용액을 혼합하고 용액의 색이 우유빛으로 변할때까지 충분히 교반한 후에 필터링하여 표면이 친수화된 에어로겔을 얻었다. 얻어진 표면이 친수화된 에어로겔을 100℃ 질소분위기하의 오븐에서 5시간동안 건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친수성 에어로겔을 물위에 띄우면 시간이 흐름에 따라 에어로겔이 물속에 가라앉았으며, 이로부터 에어로겔의 표면이 친수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계면활성제에 의한 소수성 에어로겔의 친수성 표면개질
테트라에톡시실란(TEOS) 224g, 물 108g을 혼합하여 실리카 에어로겔 전구체를 제조하였다. TEOS/H2O 혼합물의 초기 산도는 혼합 직후 (즉, 가수분해 및 축합반응 이전)에 pH 5~6 였다. 여기에 염산을 첨가하여 pH 2인 조건에서 교반하여 가수분해 반응을 수행하였다. 그 후 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를 첨가하여 pH 8로 조절하여 겔화반응을 진행시켜 습윤겔을 제조하고 50℃에서 24시간 동안 숙성하였다. 숙성 후, 파쇄하고 발생한 에탄올 및 미반응된 기타 용매를 제거하기 위하여 충분한 양의 증류수로 여러번 수세한 후에 물을 충분히 제거하여 습윤겔 분말을 제조하였다. 부탄올 95wt%와 ETMS(ethoxytrimethysiloxane) 5wt%으로 혼합하여 제조한 용액 250㎖에 염산(HCl)을 사용하여 pH 2로 조절한 뒤 상기 실리카 습윤겔 200g을 담근후에 130~140℃에서 약 10~11시간 동안 환류(reflux)시켰다. 환류시키는 동안 밖으로 배출되는 물을 모두 제거하고 반응이 끝난 후 나머지 용매를 모두 제거한 습윤 겔을 120℃에서 2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상기 영구적 소수성을 갖는 에어로겔 10g을 메탄올과 물이 50:50중량비로 혼합된 혼합용액 100cc에 첨가하고 분산시켰다. 이 혼합용액에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알드리치 상품명 Brij-56)를 첨가하여 혼합하였으며, 이때 계면활성제는 0.5g(에어로겔양의 5중량%)로 첨가하였다.
상기 에어로겔 분산액과 계면활성제 용액을 혼합하고 용액의 색이 우유빛으로 변할 때 까지 충분히 교반한 후에 필터링하여 표면이 친수성으로 개질된 에어로겔을 얻었다. 얻어진 표면이 친수성으로 개질된 에어로겔을 100℃ 질소분위기하의 오븐에서 5시간동안 건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친수성 에어로겔을 물위에 띄우면 시간이 흐름에 따라 에어로겔이 물속에 가라앉았으며, 이로부터 에어로겔의 표면이 친수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표면이 친수성 개질된 에어로겔과 유기바인더의 혼합 및 도막화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에어로겔 10g, 트리에틸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모노머 25.8g,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60.2g 및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1-프로판온 4g와 충분히 교반하여 에어로겔-아크릴레이트 코팅용액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혼합 코팅액을 바-코팅법으로 PET판 위에 20um두께로 코팅하였다. 코팅한 PET판을 주파장 325nm의 UV경화장치 내에서 20초간 경화시켜 에어로겔-아크릴레 이트 투명 단열재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에어로겔은 표면이 친수화된 것으로 표면에 형성된 친수성 계면활성제막에 의해 유기물질과 혼합시, 유기물질이 에어로겔 공극내로 침투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에어로겔의 고비표면적 및 다공성이 유지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표면이 친수성으로 개질된 에어로겔은 표면만이 친수화된 것으로 유기물질과 균일하게 혼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이러한 에어로겔 함유 배합물로 제조된 물품은 우수한 에어로겔 고유의 특성인 고비표면적, 다공성 및 단열성을 나타낸다.

Claims (9)

  1. 소수성 에어로겔 표면을 계면활성제로 친수성으로 개질하는 단계; 및
    표면이 친수성으로 개질된 에어로겔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친수성으로 개질된 에어로겔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에어로겔은 물유리, 테트라알콕시실란, 알루미늄 이소프로폭사이드, 알루미늄-sec-부톡사이드, 세륨 이소프로폭사이드, 하프늄 tert-부톡사이드, 마그네슘 알루미늄 이소프로폭사이드, 이트륨 이소프로폭사이드, 티타늄 이소프로폭사이드 및 지르코늄 이소프로폭사이드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에어로겔 전구체로부터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친수성으로 개질된 에어로겔 제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테트라알콕시실란은 테트라에톡시실란(TEOS), 테트라메톡시실란(TMOS) 및 테트라-n-프로폭시실란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친수성으로 개질된 에어로겔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카르복시레이트염(carboxylate soaps), 술포네이트(sulphonates), 술페이트(sulphates), 포스페이트(phosphates) 타입등의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4급 암모늄염, 벤질 트리메틸 할라이드 (benzyl trimethyl halide), 아민염, 이미다졸린염등의 양이온계 계면활성제, 알코올 에톡시레이트, 모노 알카놀아미드 에톡시레이트, 지방산 아민 에톡시레이트, 지방산 에톡시레이트, POE/POP 공중합체, 알킬 페놀 에톡시레이트, 글루코사이드, 글리세라이드, 글리콜 에스테르, 글리세롤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롤 에스테르, 폴리글루코사이트, 소르비탄 에스테르, 소르비탄 에스테르 에톡시레이트, 수크로스 에스테르등의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최소 일종임을 특징으로 하는 친수성으로 개질된 에어로겔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소수성 에어로겔의 양을 기준으로 0.5 wt% ~ 20 wt%로 첨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친수성으로 개질된 에어로겔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는 50℃~120℃에서 1시간~24시간동안 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친수성으로 개질된 에어로겔 제조방법.
  7. 청구항 1항 내지 6항중 어느 한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표면이 친수성으로 개질된 에어로겔.
  8. 청구항 7항의 표면이 친수성으로 개질된 에어로겔을 포함하는 물품.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은 필름, 몰딩제품, 단열재, 방음재, 반사필름, 광학필름, 담지체 또는 완충재임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KR1020070047789A 2007-05-16 2007-05-16 표면이 친수성 개질된 에어로겔 제조방법 KR200801012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7789A KR20080101264A (ko) 2007-05-16 2007-05-16 표면이 친수성 개질된 에어로겔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7789A KR20080101264A (ko) 2007-05-16 2007-05-16 표면이 친수성 개질된 에어로겔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1264A true KR20080101264A (ko) 2008-11-21

Family

ID=40287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7789A KR20080101264A (ko) 2007-05-16 2007-05-16 표면이 친수성 개질된 에어로겔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101264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6560A (ko) * 2014-12-23 2016-07-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수분산 에어로젤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120202A (ko) * 2015-04-07 2016-10-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에어로겔 함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단열 블랑켓
WO2018056652A1 (ko) * 2016-09-23 2018-03-29 에이스틴 주식회사 유기 자외선 차단제가 담지된 실리카 에어로겔 복합체
US10005942B2 (en) 2015-07-30 2018-06-26 Hyundai Motor Company Thermal insulation coating composition and thermal insulation coating layer
KR20180108270A (ko) * 2017-03-24 2018-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나노셀룰로오스 제조방법 및 나노셀룰로오스 함유 실리카 에어로겔 복합소재
KR20220168745A (ko) 2021-06-17 2022-12-26 주식회사 투피엘 광촉매를 기반으로 한 초친수성 코팅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32627A (ko) * 2021-08-31 2023-03-0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에어로겔 입자의 표면 친수화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표면 친수화된 에어로겔 입자
KR20230155674A (ko) * 2022-05-04 2023-11-13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코어-쉘 구조 에어로겔 함유 초단열성 도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7361550A (zh) * 2023-11-23 2024-01-09 浙江阿斯克建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硅酸钙纳米化及纳米片剥离的方法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44048B2 (en) 2014-12-23 2020-01-28 Lg Chem, Ltd. Waterborne aerogel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20160076560A (ko) * 2014-12-23 2016-07-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수분산 에어로젤 및 그 제조 방법
CN106458613A (zh) * 2014-12-23 2017-02-22 株式会社Lg化学 水性气凝胶及其生产方法
JP2017517470A (ja) * 2014-12-23 2017-06-29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水分散エアロゲ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3239102A4 (en) * 2014-12-23 2017-12-06 LG Chem, Ltd. Waterborne aerogel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10640629B2 (en) 2015-04-07 2020-05-05 Lg Chem, Ltd. Aerogel-containing composition and insulation blanket prepared using the same
KR20160120202A (ko) * 2015-04-07 2016-10-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에어로겔 함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단열 블랑켓
US10858501B2 (en) 2015-04-07 2020-12-08 Lg Chem, Ltd. Aerogel-containing composition and insulation blanket prepared using the same
US10005942B2 (en) 2015-07-30 2018-06-26 Hyundai Motor Company Thermal insulation coating composition and thermal insulation coating layer
WO2018056652A1 (ko) * 2016-09-23 2018-03-29 에이스틴 주식회사 유기 자외선 차단제가 담지된 실리카 에어로겔 복합체
KR20180108270A (ko) * 2017-03-24 2018-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나노셀룰로오스 제조방법 및 나노셀룰로오스 함유 실리카 에어로겔 복합소재
KR20220168745A (ko) 2021-06-17 2022-12-26 주식회사 투피엘 광촉매를 기반으로 한 초친수성 코팅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32627A (ko) * 2021-08-31 2023-03-0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에어로겔 입자의 표면 친수화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표면 친수화된 에어로겔 입자
KR20230155674A (ko) * 2022-05-04 2023-11-13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코어-쉘 구조 에어로겔 함유 초단열성 도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7361550A (zh) * 2023-11-23 2024-01-09 浙江阿斯克建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硅酸钙纳米化及纳米片剥离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101264A (ko) 표면이 친수성 개질된 에어로겔 제조방법
JP4994360B2 (ja) アルコキシシラン基で修飾したシリカ/ラテックスハイブリッドからなるモノリシックキセロゲル及びエーロゲルの臨界未満の条件下における製造方法。
EP3305726B1 (en) Method for preparing metal oxide-silica composite aerogel
KR101748527B1 (ko) 실리카 에어로겔 포함 블랑켓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실리카 에어로겔 포함 블랑켓
KR101955314B1 (ko) 구형 실리카 에어로겔 과립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구형 실리카 에어로겔 과립
US20110240907A1 (en) Hydropohobic aerogels
US20090247655A1 (en) Method for preparing permanently hydrophobic aerogel and permanently hydrophobic aerogel prepared by using the method
KR100867466B1 (ko) 입경 및 밀도가 증대되고 영구적 소수성을 갖는 에어로겔분말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에어로겔 분말
KR100785521B1 (ko) 표면개질된 에어로겔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표면개질된 에어로겔
JP2008208019A (ja) 多孔質材及びその調製方法
CN105293507B (zh) 干凝胶的制造方法
KR100796253B1 (ko) 초소수성 실리카계 분말의 제조방법
CA2747205A1 (en) Methods of preparing hybrid aerogels
JPH10508569A (ja) エーロゲルの製造方法
CN101817980A (zh) 一种氧化硅超疏水薄膜的溶胶凝胶制备方法
US20230348285A1 (en) Silica aerogel with increased alkaline stability
KR100705587B1 (ko) 규산나트륨을 이용한 에어로젤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의하여 제조된 에어로젤 타일
JP2000264620A (ja) 疎水性エアロゲルの製造方法
Gao et al. Nanoscale silicon dioxide prepared by sol-gel process
KR101227065B1 (ko) 에어로겔과 그의 제조 방법
KR100840603B1 (ko) 영구적 소수성을 갖는 에어로겔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제조된 에어로겔
KR100896790B1 (ko) 실리카 에어로젤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하여 제조된 실리카에어로젤
KR20170107739A (ko) 에어로겔 전구체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에어로겔
KR100629110B1 (ko) 초친수성 코팅제 제조방법
JPH021089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