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9684A -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9684A
KR20080099684A KR1020070045554A KR20070045554A KR20080099684A KR 20080099684 A KR20080099684 A KR 20080099684A KR 1020070045554 A KR1020070045554 A KR 1020070045554A KR 20070045554 A KR20070045554 A KR 20070045554A KR 20080099684 A KR20080099684 A KR 200800996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display device
emitting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5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73080B1 (ko
Inventor
김형권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5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3080B1/ko
Priority to US12/117,647 priority patent/US7936121B2/en
Publication of KR20080099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9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3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3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05B33/04Sealing arrangements, e.g. against humid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resistive elements, e.g. a single continuous surface or two parallel surfaces put in contac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26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arrangement of the conductive material used as an electrod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유기 전계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기판, 상기 유기 전계 발광소자를 밀봉하는 봉지박막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 상에 형성되어, 외부에서 인가되는 터치 동작을 통해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는 외부입력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외부입력장치는 상기 표시패널 상에 형성된 제3 전극, 상기 제3 전극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4 전극을 갖는 상부기판, 및 상기 제3 전극 및 제4 전극 사이에 소정 이격 공간을 형성하는 이격부재를 포함한다.
봉지박막, 터치패널, 경도, 보호필름

Description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Ι-Ι' 부분을 절취한 결합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a 내지 4e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Ⅱ-Ⅱ' 부분을 절취한 결합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의 Ⅲ-Ⅲ' 부분을 절취한 결합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Ⅳ-Ⅳ' 부분을 절취한 결합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201,301,401 : 기판
130,230,330,430 : 봉지박막
140,240,340,440 : 표시패널
150,250,350,450 : 터치패널
154,254,354,454 : 보호필름
본 발명은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기술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패널 기능을 갖는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는 가장 광범위하게 응용되며, 상대적으로 간단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는 외부입력장치를 이용하여 텍스트 및 그래픽 처리 등을 수행한다.
통상적인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는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발광층을 포함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기막층이 개재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1 전극은 기판 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정공을 주입하는 양극(Anode)의 기능을 하고, 상기 제1 전극 상에는 유기막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기막 상에는 전자를 주입하기 위 한 음극(Cathode) 기능을 하는 제2 전극이 상기 제1 전극과 대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유기 전계 발광소자는 수분 및 산소로 노출되면 발광층이 손상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이에 따라, 유기 전계 발광소자를 보호하기 위해 기판 상에 봉지기판을 구비한다. 봉지기판은 캐비티(Cavity) 형태 또는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유리 또는 금속으로 형성된다.
또한, 최근에는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에 터치패널을 붙여 디스플레이에 여러가지 화면 동작 기능(UI:User Interface)을 수행할 수 있게 제작된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발광표시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터치패널은 상부전극을 갖는 상부기판, 하부전극을 갖는 하부기판 및 상기기판과 하부전극을 소정간격 이격시키는 이격부재로 구성된다.
이러한, 터치패널의 동작원리를 살펴보면, 터치패널은 상부기판에 펜 또는 손가락과 같은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상부기판을 가압함으로써 상부기판과 하부기판에 각각 형성된 상부전극과 하부전극이 상호 통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접촉된 위치의 저항값에 의해, 전기적 신호를 검출하여 검출된 전기적 신호의 크기를 이용하여 터치패널의 역할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제작된 터치패널을 표시패널에 합착할 경우, 점착제 등을 이용하여 표시패널과 터치패널을 부착해야하는 공정단계가 추가된다.
또한,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는 유기 전계 발광소자를 밀봉하기 위해 형성되는 봉지기판 및 터치패널에 의해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패널 상에 터치패널을 직접 형성함으로써, 터치패널과 표시패널을 일체형으로 제작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유기 전계 발광소자를 밀봉하는 봉지기판을 봉지박막으로 형성하여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의 두께를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터치패널의 최상부층을 보호필름으로 형성함으로써 봉지박막의 기구적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유기 전계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기판, 상기 유기 전계 발광소자를 밀봉하는 봉지박막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 상에 형성되어, 외부에서 인가되는 터치 동작을 통해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는 외부입력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외부입력장치는 상기 표시패널 상에 형성된 제3 전극, 상기 제3 전극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4 전극을 갖는 상부기판, 및 상기 제3 전극 및 제4 전극 사이에 소정 이격 공간을 형성하는 이격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기판은 투명 필름일 수 있으며, 상기 필름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IZTO(Indium Zinc Tin Oxide), ICO(Indium Cesium Oxide), 및 IWO(Indium Tungsten Oxide)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3 및 4 전극은 상기 표시패널 상에 도트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제3 및 4 전극은 상기 표시패널 상에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전극 및 4 전극은 복수개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제3 전극 및 4 전극은 각각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전극과 제4 전극 사이에 상기 제3 전극과 제4 전극을 합착시키기 위한 가압도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가압도전부재는 상기 제3 전극 전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압도전부재는 외부의 압력에 따라 탄성 변형될 수 있으며, 상기 가압도전부재는 실리콘 고무 속에 특수한 도전성 금속의 미립자를 분산시킨 복합 재료일 수 있다. 상기 봉지박막는 적어도 하나의 유기막과 무기막이 교대로 적층될 수 있으며, 상기 유기막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및 우레탄아크릴레이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일 수있으며, 상기 무기막은 AlXOy 및 SiXOy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유기 전계 발광소자가 형성된 기판과 봉지박막 사이에 보호막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보호막은 무기막일 수 있다. 상기 이격부재는 상기 표시패널 및 터치패널 사이의 둘레에 개재될 수 있으며, 상기 이격부재는 프릿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Ι-Ι' 부분을 절취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유기 전계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기판(101), 상기 유기 전계 발광소자를 밀봉하는 봉지박막(130)을 포함하는 표시패널(140); 상기 표시패널(140) 상에 형성되어, 외부에서 인가되는 터치 동작을 통해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는 외부입력장치(150)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입력장치(150)는 상기 표시패널(140) 상에 형성된 제3 전극(151), 상기 제3 전극(151)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4 전극(153)을 갖는 보호필름(154), 및 상기 표시패널(140)과 보호필름(154) 사이의 둘레에 개재되어 제3 전극(151)과 제4 전극(153)을 소정간격 이격 공간을 형성하는 이격부재(152)를 포함한다.
표시패널(140)은 기판(101) 상에 적어도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박막 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유기 전계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화소영역과 구동회로부(122)와 패드부(121)를 포함하는 비화소영역으로 이루어진다.
화소 영역에는 주사 라인 및 데이터 라인과, 주사 라인과 데이터 라인 사이에 매트릭스 방식으로 연결되어 화소를 구성하는 유기 전계 발광소자가 형성된다. 비화소 영역에는 화소 영역의 주사 라인과 데이터 라인으로부터 연장된 주사 라인 및 데이터 라인, 유기 전계 발광소자의 동작을 위한 전원전압 공급라인, 패드부(121)를 통해 외부로부터 제공된 신호를 처리하여 주사 라인 및 데이터 라인으로 공급하는 구동회로부(122) 즉, 주사 구동부 및 데이터 구동부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동회로부(122)는 패드부(121)를 통해 단위 표시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성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에 실장되거나, 혹은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 IC) 칩의 형태로 표시패널에 실장될 수 있다.
기판(101)에 형성된 다수의 박막 트랜지스터 및 유기 전계발광소자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기판(101) 상에는 산화막으로 이루어진 버퍼층이 형성되며, 버퍼층 상에 폴리 실리콘막을 형성한 후, 패터닝하여 반도체층(102)을 형성한다. 반도체층(102)이 형성된 버퍼층 상에 게이트 절연막이 형성되고, 게이트 절연막 상에 게이트 전극(103)이 형성된다. 게이트 전극(103) 상에 층간 절연막이 형성되고, 층간 절연막 상에 반도체층(102)의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과 각각 연결된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104)이 형성된다. 소스 및 드레인 전극(104)이 형성된 층간 절연막 상에 평탄화층(105)이 형성된다. 평탄화층(105) 상에는 통상 제1 전극(106), 발광층(107) 및 제2 전극(108)을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소자가 박막 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형성된다. 또한, 기판(101)의 비화소영역에는 패드부(121) 및 구동회로부(122)가 형성될 수 있으며, 패드부(121)는 화소영역에 형성된 유기 전계발광소자에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데이터선 및 전원선 등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기판(101)과 대향되는 위치에 제2 전극(108)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유기 전계 발광소자를 보호하는 봉지박막(130)이 형성된다. 봉지박막(130)은 유기 전계 발광소자에 수분 및 산소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적어도 한층의 유기막과 무기막 교대로 적층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봉지박막(130)의 두께는 1 내지 10μm로 형성되어, 일반적으로 200μm 이상의 두께를 갖는 봉지기판보다 대략 1/30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기판(108)과 봉지박막(130) 사이에 보호막(109)이 형성된다. 보호막(109)은 유기 전계 발광소자가 형성된 기판(101)의 전면을 덮도록 형성되며, 무기물로 형성될 수 있다. 보호막(109)은 제2 전극(108)이 형성된 기판(101)과 봉지박막(130) 사이의 접촉면을 평탄화시키며, 기판(101)과 봉지박막(130)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 봉지박막(130)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보호층(109) 상에 제1 유기막(131), 제1 무기막(132), 제2 유기막(133) 및 제2 무기막(134)이 교대로 적층되어 적어도 4회 이상 반복되어 외부로부터 침투될 수 있는 산소와 수분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시킨다. 또한, 봉지박막(130)의 제1 및 제2 유기막(131,133)은 제1 및 제2 무기막(132,134)에 형성된 나노크랙 및 마이크로 크랙의 결함(defect)이 계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수분과 산소의 침투 경로를 연장시켜 투습율을 낮추고, 제1 및 제2 무기막(132,134)에 남아있는 스트레스(stress)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1 및 제2 유기막(131,133)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및 우레탄아크릴레이트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무 기막(132,134)은 AlXOy 및 SiXOy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의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표시패널(140) 상에는 손가락이나 펜에 따른 입력 위치를 디저털적으로 검출하고 이를 X,Y 좌표화하여 출력하는 외부입력장치(150)가 마련된다. 외부입력장치(150)는 크게 정전용량방식, 저항막 방식 등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세부적으로는 터치패널, 태블릿, 디지타이저(digitizer)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저항막 방식의 외부입력장치인 터치패널(150)을 도시하도록 한다.
터치패널(150)은 표시패널(140) 상에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다수 개의 제3 전극(151)을 소정 간격 이격시켜 일 방향으로 형성하고, 제3 전극(151)과 교차(수직)되는 방향으로 다수 개의 제4 전극(153)이 형성된 보호필름(154), 및 제3 전극(151)과 제4 전극(153)을 소정거리 이상 이격시키기 위한 이격부재(152)를 포함한다. 제3 전극(151)이 형성된 표시패널(140)의 일 방향은 표시패널(140)의 4개의 변 중 하나와 수직 또는 수평되는 방향을 의미하며, 제4 전극(153)은 제3 전극(151)이 90도(수직) 회전된 방향을 의미한다.
이격부재(152)는 표시패널(140)과 터치패널(150) 사이에 둘레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점착성이 있는 물질 예를 들어 프릿(frit) 또는 점착테이프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격부재(152)는 제3 전극(151)이 형성된 표시패널(140)과 제4 전극(153)이 형성된 보호필름(154) 사이를 소정거리 이격시켜 합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패널(150)은 제3 전극(151)을 형성하기 위한 하부기판을 형성하지 않고 표시패널(140) 상에 제3 전극(151)을 형성함에 따라, 표시패널(140)과 터치패널(150)을 일체형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공정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널(150)은 하부기판을 생략함에 따라, 터치패널(150)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유기 전계 발광소자로부터 방출되는 빛의 투과 경로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터치패널(150)의 최상부층에 형성된 상부기판은 보호필름(154)으로 형성되어 터치패널(150)의 두께를 보다 얇게 형성할 수 있다.
즉, 보호필름(154)은 기존의 플라스틱 또는 유리로 형성된 상부기판보다 1/10 내지 1/2로 두께를 감소시켜 터치패널(150)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100)의 전체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보호필름(154)은 경도가 높은 투명 필름으로 형성되어, 봉지박막(130)의 경도를 보강할 수 있다. 즉, 터치패널(150)의 최상부층을 경도가 높은 물질로 형성하여 외부에 압력에 따른 봉지박막(13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보호필름(154)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IZTO(Indium Zinc Tin Oxide), ICO(Indium Cesium Oxide), 및 IWO(Indium Tungsten Oxide)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로 형성되어, 봉지박막(130)의 경도를 보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필름(154)은 봉지박막(130)보다 10,000 내지 1,000,000배 이상 높은 경도를 갖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호필름(154)을 봉지박막(130)보다 큰 경도를 갖는 물질로 형성함에 따라, 외부로부터의 충격 또는 압력에 의해 봉지박막(13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터치패널(150)이 형성된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100)의 작동 방법을 살펴보면, 터치패널(150)은 보호필름(154)에 펜(160) 또는 손가락(미도시) 등과 같은 입력 수단을 통해 보호필름(154)을 가압하여 제4 전극(153)이 형성된 보호필름(154)을 제3 전극(151)에 접촉시킨다. 이와 같이, 터치동작에 의해 보호필름(154)이 가압되면, 제4 전극(153)과 제 3 전극(151)이 접촉되어 상호 통전된다. 이에 따라, 접촉된 위치의 저항값에 의해 전기적 신호를 검출하여 커넥터(Connector)를 통해 내부 또는 외부의 집적회로(IC)로 전송하는 방식으로 터치패널을 구현할 수 있다.
도 4a 내지 4e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기판(101) 상에 버퍼층이 형성된다. 버퍼층 상에 박막 트랜지스터를 형성한다. 박막 트랜지스터는 반도체층(102), 게이트 전극(103) 및 소스/드레인 전극(104)을 포함한다.
반도체층(102)은 버퍼층 상에 소정 패턴으로 형성된다. 반도체층(102)은 실리콘 또는 유기 물질 중에서 선택된 물질을 CVD(Chemical Vapor Deposition)에 의해 대략 300 내지 2000Å 정도의 두께로 도포한 뒤, 이를 소정 형상으로 패터닝한다. 반도체층(102)의 전면에 게이트 절연층이 형성된다. 게이트 절연층 상에는 반도체층(102)의 채널 영역과 대응되는 상부에 게이트 전극(103)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게이트 절연층 상에 도전성 금속 예컨대 알루미늄(Al), MoW, 몰리브덴(Mo), 구리(Cu), 은(Ag), 알루미늄 합금, 은 합금 중 하나를 스퍼터링에 의해 대략 2000 내지 3000Å 정도의 두께로 증착한 뒤, 이를 소정형상으로 패터닝한다. 게이트 절연층 상에는 층간 절연층이 형성되며, 층간 절연층은 게이트 절연층과 동일한 방법으로 형성된다.
소스/드레인 전극(104)은 층간 절연층 상에 형성되며, 게이트 절연층과 층간 절연층에 형성된 콘택 홀을 통하여 반도체층(102)의 소스 및 드레인 영역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소스/드레인 전극(104) 상에는 평탄화층(105)이 형성된다. 평탄화층(105)은 아크릴, 폴리이미드, BCB(benzocyclobutene)로 구정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평탄화층(105) 상에는 제1 전극(106), 발광층(107) 및 제2 전극(108)을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소자가 형성된다.
도 4b를 참조하면, 제2 전극(108) 상에 보호층(109)이 형성된다. 보호층(109)은 무기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전극(108)이 형성된 기판(101)을 평탄 화시킨다. 보호층(109) 상에는 봉지박막(130)이 형성된다. 봉지박막(130)은 적어도 하나의 유기막과 무기막이 교대로 순차적으로 적층된 것으로, 제1 유기막(131), 제1 무기막(132), 제2 유기막(133), 제2 무기막(134)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봉지박막(130)은 이온빔스퍼터링(Ion beam assisted sputtering), 전자빔 증착(E-beam deposition), PECVD(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RF 스퍼터링(RF Sputtering) 및 원자층 증착법(Atomic layer deposition) 중 하나의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봉지박막(130) 상에 제3 전극(151)을 형성한다. 제3 전극(151)은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봉지박막(130) 상에 일 방향으로 다수의 전극들을 소정간격 이격시켜 형성한다.
이러한, 제3 전극(151)은 투명한 전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IZTO(Indium Zinc Tin Oxide), ICO(Indium Cesium Oxide), 및 IWO(Indium Tungsten Oxide)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d를 참조하면, 보호필름(154) 상에 제4 전극(153)을 형성한다. 제4 전극(153)은 제3 전극(151)이 형성된 방향과 교차되는 타 방향으로 다수 개의 전극들로 형성되며, 제3 전극(151)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e를 참조하면, 보호필름(154)의 둘레 또는 봉지박막(130)의 둘레에 이격부재 즉, 밀봉재(152)를 도포하여 제3 전극(151)이 형성된 봉지박막(130) 상에 제4 전극(153)이 형성된 보호필름(154)을 합착시킨다.
이에 따라, 터치패널(150)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Ⅱ-Ⅱ' 부분을 절취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유기 전계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기판(201), 상기 유기 전계 발광소자를 밀봉하는 봉지박막(130)을 포함하는 표시패널(240); 상기 표시패널(240) 상에 형성되어, 외부에서 인가되는 터치 동작을 통해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는 외부입력장치(250)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입력장치(250)는 상기 표시패널(240) 상에 형성된 제3 전극(251), 상기 제3 전극(251)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4 전극(253)을 갖는 보호필름(254), 및 상기 표시패널(240)과 보호필름(254) 사이의 둘레에 개재되어 제3 전극(251)과 제4 전극(253)을 소정간격 이격 공간을 형성하는 이격부재(252)를 포함한다.
봉지박막(230)은 제1 유기막(231), 제1 무기막(232), 제2 유기막(233) 및 제2 무기막(234)이 교대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와 전체적으로 동일하되, 제3 전극(251)과 제4 전극(253) 사이에 가압도전부재(255)를 더 포함한다.
가압도전부재(255)는 제3 전극(251)과 제4 전극(253) 사이 즉, 제3 전극(251)의 전면에 형성되어, 제3 전극(251)이 형성된 봉지기판(230)과 제4 전 극(253)을 포함하는 보호필름(254)을 보다 균일하게 합착시킬 수 있다. 또한, 가압도전부재(255)는 제3 전극(251)과 제4 전극(253)의 둘레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보호필름(254)이 제3 전극(251) 방향으로 쳐져 제3 전극(251)과 제4 전극(253)이 접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수의 제3 전극(251) 또는 다수의 제4 전극(253) 사이에 투명한 절연물질을 형성하여 제3 전극(251)과 제4 전극(253)을 이격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가압도전부재(255)는 제3 전극(251)과 제4 전극(253) 사이에 개재되어, 터치패널(250)의 기구적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가압도전부재(255)는 터치패널(250) 상부에서 충격이나 힘이 가해지며 변형되고, 가한힘을 제거하면 원상태로 돌아가는 탄성을 가질수 있다. 이러한, 가압도전부재(255)는 투명성과 점착성을 갖을 수 있다. 가압도전부재(255)는 실리콘 고무 속에 특수한 도전성 금속의 미립자를 분산시킨 복합 재료를 박막코팅하거나 필름의 형태로 제작되어 보호필름(254)에 펜 또는 손가락 등과 같은 입력 수단을 통해 가압도전부재(255)에 힘이 가해져 제3 전극(251)과 제4 전극(253)을 상호 통전시킨다. 이에 따라, 접촉된 위치의 저항값에 의해 전기적 신호를 검출하여 커넥터(Connector)를 통해 집적회로(IC)로 전송된다. 커넥터는 검출된 전압을 연산처리하여 좌표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제3 전극(251)과 제4 전극(253) 사이에 가압도전부재(255)를 더 형성함에 따라, 제3 전극(251)이 형성된 표시패널(240)과 제4 전극(253)이 형성된 보호필름(254)을 보다 균일하게 접합시킬 수 있으며, 제3 전극(251)과 제4 전극(253) 사이의 이격 공간을 일정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가압도전부재(255) 는 제3 전극(251)과 제4 전극(253) 사이에 개재되어, 제3 전극(251)과 제4 전극(253)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공기층 형성을 방지함에 따라, 표시패널(240)로부터 방출되는 화상의 화질저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Ⅲ-Ⅲ' 부분을 절취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300)는 적어도 하나의 유기 전계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기판(301), 상기 유기 전계 발광소자를 밀봉하는 봉지박막(330)을 포함하는 표시패널(340); 상기 표시패널(340) 상에 형성되어, 외부에서 인가되는 터치 동작을 통해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는 외부입력장치(350)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입력장치(350)는 상기 표시패널(340) 상에 형성된 제3 전극(351), 상기 제3 전극(351)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4 전극(353)을 갖는 보호필름(354), 및 상기 표시패널(340)과 보호필름(354) 사이의 둘레에 개재되어 제3 전극(351)과 제4 전극(353)을 소정간격 이격 공간을 형성하는 이격부재(352)를 포함한다.
봉지박막(330)은 제1 유기막(331), 제1 무기막(332), 제2 유기막(333) 및 제2 무기막(334)이 교대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와 전체적으로 동일하되, 봉지박막(330) 상에 보다 많은 제3 전극(351) 및 보호필름(341) 상에 보다 많은 제4 전극(353)이 형성된다. 즉, 봉지박막(330) 상에 형성된 다수의 제3 전극(351)은 각각의 이격 간격을 좁혀 보다 많은 수의 제3 전극(351)을 형성하고, 제3 전극(351)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4 전극(353) 또한 각각의 이격 간격을 좁혀 보다 많은 수의 제4 전극(353)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서는 제3 전극(351) 및 제4 전극(353)을 보다 촘촘하게 형성하여 터치패널(350)의 동작 해상도 및 작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Ⅳ-Ⅳ' 부분을 절취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400)는 적어도 하나의 유기 전계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기판(401), 상기 유기 전계 발광소자를 밀봉하는 봉지박막(430)을 포함하는 표시패널(440); 상기 표시패널(440) 상에 형성되어, 외부에서 인가되는 터치 동작을 통해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는 외부입력장치(450)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입력장치(450)는 상기 표시패널(440) 상에 형성된 제3 전극(451), 상기 제3 전극(451)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4 전극(453)을 갖는 보호필름(454), 및 상기 표시패널(440)과 보호필름(454) 사이의 둘레에 개재되어 제3 전극(451)과 제4 전극(453)을 소정간격 이격 공간을 형성하는 이격부재(452)를 포함한다.
봉지박막(430)은 제1 유기막(431), 제1 무기막(432), 제2 유기막(433) 및 제2 무기막(434)이 교대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와 전체적으로 동일하되, 제3 전극(451) 및 제4 전극(453)은 도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3 전극(451) 및 제4 전극(453)은 도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터치패널(450)의 동작 해상도 및 작동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유기 발광소자(OLED) 실시 예에 따라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은 봉지박막이 및 터치패널이 적용된 LCD(Liquid Crystal Display), FED(Field Emission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및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에도 응용되어 적용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양지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많은 변형할 수 있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패널의 최상부층을 보호필름으로 형성하고, 상기 보호필름을 터치패널의 상부기판으로 이용하며, 경도가 큰 필름으로 형성하여 봉지박막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터치패널의 상부기판을 필름으로 형성함에 따라 터치패널의 두께를 감소시켜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전체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 다.
터치패널의 하부기판 없이 봉지박막 상에 제3 전극을 직접 형성함에 따라, 일체형의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으며, 기존의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에 비해 박형화를 이룰 수 있으며, 부품수를 줄이고 공정수를 줄일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봉지수단을 봉지박막으로 형성하여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17)

  1. 적어도 하나의 유기 전계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기판, 상기 유기 전계 발광소자를 밀봉하는 봉지박막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 상에 형성되어, 외부에서 인가되는 터치 동작을 통해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는 외부입력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외부입력장치는 상기 표시패널 상에 형성된 제3 전극, 상기 제3 전극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4 전극을 갖는 상부기판, 및 상기 제3 전극 및 제4 전극 사이에 소정 이격 공간을 형성하는 이격부재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기판은 투명 필름인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IZTO(Indium Zinc Tin Oxide), ICO(Indium Cesium Oxide), 및 IWO(Indium Tungsten Oxide)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인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전극은 도트 또는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전극은 도트 또는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전극 및 4 전극은 복수개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제3 전극 및 4 전극은 각각 이격되어 형성되는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전극과 제4 전극 사이에 가압도전부재를 더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도전부재는 상기 제3 전극 전면에 형성되는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도전부재는 외부의 압력에 따라 탄성 변형되는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도전부재는 실리콘 고무 속에 특수한 도전성 금속의 미립자를 분산시킨 복합 재료인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박막는 적어도 하나의 유기막과 무기막이 교대로 적층되는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막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및 우레탄아크릴레이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인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막은 AlXOy 및 SiXOy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인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전계 발광소자가 형성된 기판과 봉지박막 사이에 보호막을 더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막은 무기막인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재는 상기 표시패널 및 터치패널 사이의 둘레에 개재되는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재는 프릿인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KR1020070045554A 2007-05-10 2007-05-10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KR100873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5554A KR100873080B1 (ko) 2007-05-10 2007-05-10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US12/117,647 US7936121B2 (en) 2007-05-10 2008-05-08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5554A KR100873080B1 (ko) 2007-05-10 2007-05-10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9684A true KR20080099684A (ko) 2008-11-13
KR100873080B1 KR100873080B1 (ko) 2008-12-09

Family

ID=39968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5554A KR100873080B1 (ko) 2007-05-10 2007-05-10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936121B2 (ko)
KR (1) KR100873080B1 (ko)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1121A (ko) * 2008-11-28 2010-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촉 감지 기능이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10026817A (ko) * 2009-09-08 2011-03-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1035358B1 (ko) * 2010-01-07 2011-05-20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터치 센서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10059304A (ko) * 2009-11-27 2011-06-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소자
KR20140007691A (ko) * 2012-07-10 2014-01-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평판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40078268A (ko) * 2012-12-17 2014-06-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18955A (ko) * 2014-08-26 2014-10-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60096788A (ko) * 2015-02-05 2016-08-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9437840B2 (en) 2014-10-10 2016-09-06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20180036432A (ko) * 2016-09-30 2018-04-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플레인 기판 및 이를 이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KR20180076364A (ko) * 2018-06-27 2018-07-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촉 감지 기능이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874035B1 (ko) * 2017-07-25 2018-07-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촉 감지 기능이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90065502A (ko) * 2017-12-01 2019-06-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51883A (ko) * 2018-11-05 2020-05-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CN111587411A (zh) * 2018-01-15 2020-08-25 凸版印刷株式会社 电子设备
KR20200133194A (ko) * 2020-11-13 2020-11-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촉 감지 기능이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200143664A (ko) * 2017-09-25 2020-12-24 주식회사 엘지화학 보강 필름
KR20210050508A (ko) * 2020-11-13 2021-05-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촉 감지 기능이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210131280A (ko) * 2021-04-29 2021-11-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촉 감지 기능이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220141272A (ko) * 2016-03-25 2022-10-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US11809663B2 (en) 2010-09-14 2023-11-07 Samsung Display Co., Ltd. Flat panel display with integrated touch screen pane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1391B1 (ko) * 2015-04-16 2022-03-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8928597B2 (en) 2008-07-11 2015-01-06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8629842B2 (en) * 2008-07-11 2014-01-14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9342176B2 (en) 2008-07-21 2016-05-17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1323434B1 (ko) * 2009-06-08 2013-10-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20110037337A (ko) * 2009-10-06 2011-04-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US20110163663A1 (en) * 2010-01-07 2011-07-07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0110279398A1 (en) * 2010-05-12 2011-11-17 Harald Philipp Touch screen electrode enhancements
EP2466426A1 (en) * 2010-12-16 2012-06-20 Innovation & Infinity Global Corp. Diffusion barrier structure, transparent conductive structur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8780579B2 (en) * 2011-01-05 2014-07-15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US8922523B2 (en) 2011-11-29 2014-12-30 Apple Inc. Embedded force measurement
US8946985B2 (en) 2012-05-07 2015-02-03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touch screen panel and flexible display device with the same
KR101970361B1 (ko) * 2012-08-20 2019-04-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41030B1 (ko) 2012-08-29 2013-12-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48926B1 (ko) * 2012-11-19 2019-11-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453880B1 (ko) 2012-11-29 2014-10-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40128789A (ko) * 2013-04-29 2014-11-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40235B1 (ko) * 2013-05-31 2020-08-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CN103926724B (zh) 2013-06-24 2018-03-30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tft驱动的显示装置
US9356256B2 (en) * 2013-07-31 2016-05-31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113175B1 (ko) * 2013-08-19 2020-05-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6253923B2 (ja) 2013-08-30 2017-12-2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タッチセンサ内蔵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
US9224790B2 (en) * 2013-11-13 2015-12-29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Illumination device
KR102136790B1 (ko) * 2013-11-15 2020-07-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제조 방법
US20150138452A1 (en) * 2013-11-19 2015-05-21 Uni-Pixel Displays, Inc. Touch screen with conductive mesh under polarizer
JP6113633B2 (ja) * 2013-11-27 2017-04-1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有機el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N203689474U (zh) 2013-12-09 2014-07-02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一种有源矩阵有机发光显示屏的触控结构
CN104252276B (zh) 2014-06-30 2018-04-27 上海天马有机发光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触控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KR20160005860A (ko) * 2014-07-07 2016-01-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417266B1 (ko) * 2015-01-27 2022-07-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접촉 감지 방법
KR102339300B1 (ko) 2015-04-06 2021-12-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및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표시장치
KR102362189B1 (ko) * 2015-04-16 2022-02-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882559B1 (ko) 2015-06-19 2018-08-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KR101893245B1 (ko) 2015-06-19 2018-08-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KR102460509B1 (ko) * 2015-10-06 2022-10-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534273B1 (ko) 2016-03-25 2023-05-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JP6807178B2 (ja) * 2016-07-07 2021-01-0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2007435B1 (ko) 2016-08-02 2019-08-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614333B1 (ko) 2016-09-08 2023-12-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373566B1 (ko) 2016-09-23 2022-03-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68386B1 (ko) * 2016-09-30 2023-08-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992915B1 (ko) * 2016-09-30 2019-06-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를 가지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649729B1 (ko) 2016-11-02 2024-03-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10474295B2 (en) 2016-11-10 2019-11-1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sensor and auxiliary sensor parts
CN108091670B (zh) * 2016-11-22 2022-04-15 天马微电子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KR20180076006A (ko) 2016-12-27 2018-07-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WO2018142490A1 (ja) * 2017-01-31 2018-08-09 堺ディスプレイプロダクト株式会社 有機el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147846B1 (ko) * 2019-07-10 2020-08-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10389685A (zh) * 2019-07-23 2019-10-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控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和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02262B2 (ja) 1996-06-10 2002-07-15 ティーディーケイ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218684Y1 (ko) * 1999-03-15 2001-04-02 김순택 입력장치 일체형 유기 전계 발광소자
WO2001004963A1 (en) * 1999-07-09 2001-01-18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 Co. Ohg Encapsulation of a device
US6768258B2 (en) * 2000-08-11 2004-07-27 Seiko Epson Corpora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organic EL device, organic E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0395890B1 (ko) 2001-07-09 2003-08-27 안태진 악력기
JP2003150316A (ja) 2001-08-30 2003-05-23 Nissha Printing Co Ltd 再剥離可能な透明タッチパネルの実装構造とこれに用いる実装用シート
KR100479904B1 (ko) 2002-06-29 2005-03-30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부품 검사 장치
US7936338B2 (en) * 2002-10-01 2011-05-03 Sony Corporation Display uni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4010008B2 (ja) 2002-10-01 2007-11-21 ソニー株式会社 有機発光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637131B1 (ko) * 2003-05-20 2006-10-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644523B1 (ko) 2004-07-30 2006-11-10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암신호를 감소시킬 수 있는 이미지센서의 제조 방법
KR100681133B1 (ko) 2004-12-31 2007-02-08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703541B1 (ko) * 2005-05-02 2007-04-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터치패널이 포함된 발광표시장치

Cited B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82902B2 (en) 2008-11-28 2022-03-22 Samsung Display Co., Ltd. Touch sensibl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US9711570B1 (en) 2008-11-28 2017-07-18 Samsung Display Co., Ltd. Touch sensibl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US11522022B2 (en) 2008-11-28 2022-12-06 Samsung Display Co., Ltd. Touch sensibl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US10103209B2 (en) 2008-11-28 2018-10-16 Samsung Display Co., Ltd. Touch sensibl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US11737339B2 (en) 2008-11-28 2023-08-22 Samsung Display Co., Ltd. Touch sensibl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KR20100061121A (ko) * 2008-11-28 2010-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촉 감지 기능이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9690423B2 (en) 2008-11-28 2017-06-27 Samsung Display Co., Ltd. Touch sensibl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US10211267B2 (en) 2008-11-28 2019-02-19 Samsung Display Co., Ltd. Touch sensibl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US9292118B2 (en) 2008-11-28 2016-03-22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touch sensor disposed thereon
KR20110026817A (ko) * 2009-09-08 2011-03-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20110059304A (ko) * 2009-11-27 2011-06-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소자
US9086752B2 (en) 2010-01-07 2015-07-21 Samsung Display Co., Ltd. Touch sensor
US9436343B2 (en) 2010-01-07 2016-09-06 Samsung Display Co., Ltd. Touch sensor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KR101035358B1 (ko) * 2010-01-07 2011-05-20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터치 센서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1809663B2 (en) 2010-09-14 2023-11-07 Samsung Display Co., Ltd. Flat panel display with integrated touch screen panel
KR20140007691A (ko) * 2012-07-10 2014-01-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평판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40078268A (ko) * 2012-12-17 2014-06-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960744B1 (ko) * 2012-12-17 2019-03-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18955A (ko) * 2014-08-26 2014-10-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9437840B2 (en) 2014-10-10 2016-09-06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20160096788A (ko) * 2015-02-05 2016-08-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20141272A (ko) * 2016-03-25 2022-10-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US11744132B2 (en) 2016-03-25 2023-08-29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KR20180036432A (ko) * 2016-09-30 2018-04-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플레인 기판 및 이를 이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KR101874035B1 (ko) * 2017-07-25 2018-07-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촉 감지 기능이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200143664A (ko) * 2017-09-25 2020-12-24 주식회사 엘지화학 보강 필름
KR20190065502A (ko) * 2017-12-01 2019-06-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11587411A (zh) * 2018-01-15 2020-08-25 凸版印刷株式会社 电子设备
CN111587411B (zh) * 2018-01-15 2024-01-30 凸版印刷株式会社 电子设备
KR20180076364A (ko) * 2018-06-27 2018-07-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촉 감지 기능이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200051883A (ko) * 2018-11-05 2020-05-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50508A (ko) * 2020-11-13 2021-05-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촉 감지 기능이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200133194A (ko) * 2020-11-13 2020-11-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촉 감지 기능이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220056163A (ko) * 2021-04-29 2022-05-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촉 감지 기능이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210131280A (ko) * 2021-04-29 2021-11-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촉 감지 기능이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230046287A (ko) * 2021-04-29 2023-04-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촉 감지 기능이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936121B2 (en) 2011-05-03
US20080278070A1 (en) 2008-11-13
KR100873080B1 (ko) 2008-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3080B1 (ko)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US11669213B2 (en) Semiconductor device
US10998391B2 (en) Display apparatus with a crack detection line
US6885157B1 (en) Integrated touch screen and OLED flat-panel display
US10032847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3972260B (zh) 集成有触摸屏面板的有机发光显示器
CN104345964B (zh) 触摸屏面板、平板显示设备及其制造方法
KR10247037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11328B1 (ko) 표시 장치
KR102504073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091035B1 (ko) 터치 스크린을 가지는 표시장치
US10181504B2 (en) Flexible display panel with redundant bent signal lines
KR102654664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200032808A (ko) 터치스크린 및 그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US20110163980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20062178A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KR20130069220A (ko) 터치윈도우
KR101150158B1 (ko)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 장치
TW201814484A (zh) 顯示裝置
KR101480672B1 (ko) 터치윈도우
KR20200042069A (ko) 터치스크린 및 그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KR102172898B1 (ko)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7086610B2 (ja) 表示装置
KR20240070048A (ko) 발광 표시 장치
CN116806100A (zh) 显示面板以及包括该显示面板的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