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7562A - 낚시찌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낚시찌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7562A
KR20080097562A KR1020070042580A KR20070042580A KR20080097562A KR 20080097562 A KR20080097562 A KR 20080097562A KR 1020070042580 A KR1020070042580 A KR 1020070042580A KR 20070042580 A KR20070042580 A KR 20070042580A KR 20080097562 A KR20080097562 A KR 200800975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ishing
wave
guide line
det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2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복
Original Assignee
이경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복 filed Critical 이경복
Priority to KR1020070042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97562A/ko
Publication of KR20080097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75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01K93/02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with signa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4Connecting devices for connecting lines to hooks or l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낚시찌 감지장치(10)는 수면에 떠 수면 위에 일정 영역을 한정하기 위한 본체(11)와, 본체(11)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추(57)와, 고정추(57)와 연결되며 본체(11)의 진로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줄(53)과, 본체(11)와 연결되며 본체(11)를 고정추(57)쪽으로 견인하기 견인줄(33)을 포함한다.
낚시, 찌, 감지, 튜브

Description

낚시찌 감지장치{MONITORING APPARATUS FOR A FLOAT}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낚시찌 감지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사용상태도; 및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찌 감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 : 낚시찌 감지장치 11 : 본체
13a,13b,13c : 튜브 17 : 연결고리
21 : 물결침입방지부 33 : 견인줄
41 : 전환관 53 : 안내줄
57 : 고정추 35,55 : 릴
본 발명은 낚시찌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고기의 입질에 따른 낚시찌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는 낚시찌 감지장치에 관한 것 이다.
일반적으로 낚시용 기본 용구는 낚싯대와 낚싯줄, 찌 및 바늘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낚시용 기본 용구 중 낚시찌는 수면에 부상하여 낚시 중에 고기가 물리는 것을 확인하는 것으로서 항상 주시하게 된다.
즉, 낚시찌는 물고기의 입질 행동을 낚시인에게 전달해주는 입질 파악의 지표로서, 낚시인은 오로지 찌를 통해서만 물고기의 입질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찌는 낚시용 기본 용구의 핵심 요소이다.
한편, 주간에는 육안으로 낚싯대나 찌를 식별하여 물고기의 입질을 확인하게 되고, 야간에는 찌에 야광테이프를 감거나 낚싯대의 끝 부분에 방울을 달아 물고기의 입질을 확인하게 된다.
근래에는 야간에 물고기의 입질을 확인하기 위해서 야광 찌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바람이 불거나 수면에 물결이 발생하면 이러한 낚시찌는 요동하게 되고, 이에 시력이 저하되어 멀리 떨어져 있는 찌의 움직임의 식별이 어려운 낚시인에게는 물고기의 입질 타이밍에 맞추어 정확하게 챔 질을 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일정 영역의 수면에 바람 등에 의한 물결의 발생을 막아 낚시찌가 요동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물고기의 입질에 따른 낚시찌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고 물고기의 입질 타이밍을 놓치지 않도록 도모하는 낚시찌 감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면에 떠 수면 위에 일정 영역을 한정하기 위한 본체와, 본체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추와, 고정추와 연결되며 본체의 진로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줄과, 본체와 연결되며 본체를 고정추쪽으로 견인하기 견인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찌 감지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감지장치는 본체의 하부에 요동하는 물결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물결침입방지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물결침입방지부는 본체의 하부의 일부가 열압착에 의해 압착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물결침입방지부는 수면에 일어나는 물결침의 높이 보다 다소 길게 형성되는 것을 또한 특징으로 한다.
또한, 물결침입방지부는 그 안에 상기 물결에 의해 본체가 요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중량체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감지장치는 또한 본체의 1면이 열리고 3면이 막힌 "ㄷ"자형 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체는 안내줄과 견인줄을 걸기 위한 다수의 고리를 갖는 것을 특징 으로 하고, 고정추 근방의 안내줄에는 견인줄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전환관이 마련되고, 견인줄은 전환관을 관통하는 것을 또한 특징으로 한다.
또한, "ㄷ"자형 튜브는 1면씩 각각 분리 가능하고, 각 1면의 튜브는 공기를 넣고 빼기 위한 구멍이 별도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감지장치는 또한 고정추에 그 위치를 알려주기 위한 수면에 뜨는 표시장치가 줄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낚시찌 감지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찌 감지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낚시찌 감지장치(10)는 본체(11), 안내줄(53), 고정추(57) 및 견인줄(33)을 포함한다.
본체(11)는 수면에 떠 있는 상태로 수면에 일정 영역을 한정하기 위한 것으로, 서로 간에 끝부분이 끼워져 결합되는 3개의 개별 튜브(13a,13b,13c)로 이루어진다. 각 튜브(13a,13b,13c)에는 공기를 넣고 빼기 위한 공기주입구(15)가 마련되어 있다.
본체(11)의 각 튜브(13a,13b,13c)는 연결고리(17)에 의해 상호 연결되며, 전체적으로 1면이 열리고 3면이 막혀 있는 대략 "ㄷ"자 모양의 구조를 갖는다. 1면이 열린 구조로 인해, 사용자가 낚시질을 할 때 낚싯줄(3)이 본체(11)와 걸리는 문제 가 방지되고, 낚시찌(5)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낚시찌(5)를 둘러싸며 물 위에 떠 있게 된다.
또한, 본체(11)는 각 튜브(13a,13b,13c)의 하단부에 튜브(13a,13b,13c)의 일부를 열압착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물결침입방지부(21)가 마련된다. 물결침입방지부(21)는 수면에서 일어나는 물결침의 높이 보다 다소 길게 형성되어 본체(11)가 수면에 떠 있을 때 본체(11)에 의해 조성된 안쪽의 일정 영역, 즉 낚시찌(5)를 둘러 싸는 영역이 바깥쪽에서 일어나는 물결침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
물결침입방지부(21)에는 다수의 관통공들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들에는 다수의 연결링(23,25)들이 걸려 있다. 또한, 물결침입방지부(21)에는 물결침에 의해 본체(11)가 요동하는 것을 최소화하거나 없애기 위하여 소정 중량을 갖는 중량체(미도시)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11)가 3개의 개별 튜브(13a,13b,13c)들을 갖고 이들이 각각 조립 및 해체되게 만들었지만, 이와 달리 본체(11)를 "ㄷ"자 모양을 갖는 하나의 튜브로 만들 수도 있다.
안내줄(53)은 본체(11)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진로를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11), 구체적으로 튜브(13b)가 안내줄(53)를 따라 이동되도록 튜브(13b)에 마련된 다수의 고리(25) 안에 끼워진다. 안내줄(53)은 한쪽 끝이 고정추(57)와 연결되고 다른쪽 끝은 릴(55)에 감겨진다. 이때, 안내줄(53)과 고정추(57)간에는 축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한 꼬임방지체(미도시)를 게재함으로써 안내줄(53)이 고정추(57)에 대해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 추(57)는 릴(55)을 감아 안내줄(53)을 당김으로써 사용자의 위치로 당겨질 수 있다.
고정추(57)는 낚시질을 하는 동안 본체(11)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고정추(57)는 납과 같은 중량밀도가 높은 재료로 만들어지며, 앞서 설명한 것처럼, 안내줄(53)의 한쪽 끝과 연결된다. 고정추(57)에는 또한 사용자가 고정추(57)의 위치를 물 밖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수면에 뜰 수 있는 예를 들어 풍선(61)과 같은 표시체가 가는 줄, 바람직하게는 낚시줄(63)에 의해 연결된다.
견인줄(33)은 본체(11)를 고정추(57)쪽으로 견인하기 위한 것으로, 한쪽 끝은 튜브(13c)의 앞쪽에 연결된 3발의 연결끈(33a)에 연결되고, 다른쪽은 끝은 릴(35)에 감겨진다. 이때, 연결끈(33a)와 견인줄(33)간에는 각각 연결을 쉽게 하기 위하여 고리를 설치할 수 있다. 견인줄(33)은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힘, 구체적으로 릴(35)을 감길 때 가해지는 힘의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하여 안내줄(53)에 고정되게 연결된 전환관(41)을 관통하고, 이동시 본체(11)의 흔들림 또는 방향 전환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본체(11), 구체적으로 튜브(13a)에 마련된 다수의 고리(23)에 끼워진다.
여기서, 전환관(41)은 예를 들어, 빨대와 같은 것을 원호형으로 휘어서 사용할 수 있고, 끈 등을 사용하여 묶는 식으로 안내줄(53)에 고정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전환관(41)이 연결되는 위치는 본 실시예서와 같이 고정추(57)와 가깝게 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풍선(61)의 위치와 가깝게 할 수도 있다. 그러나, 견인줄(33)을 당길 때 함께 당겨지는 거리를 줄이기 위하여 전환관(41)은 가급적 고정 추(57)와 가깝게 연결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낚시찌 감지장치(10)의 사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릴(55)에 감겨진 안내줄(53)의 한쪽 끝을 고정추(57)에 연결하고, 전환관(41)을 고정추(57)와 가까운 부근의 안내줄(53)에 연결하며, 릴(35)에 감겨진 견인줄(33)의 한쪽 끝을 전환관(41)을 관통시킨 상태에서 안내줄(53)과 견인줄(33)을 충분히 길게, 바람직하게는 낚시질을 하고자 하는 위치의 거리만큼 길게 릴(55)과 릴(35)로부터 풀어 놓거나, 릴(55,35)을 회전 가능한 상태로 만들어 논다.
다음, 고정추(57)를 잡고 낚시하고 싶은 위치의 수면 위로 멀리 던진다. 이때, 고정추(57)에 연결된 안내줄(53)과 견인줄(33)이 고정추(57)와 함께 멀리 던져지고, 견인줄(33)의 한쪽 끝은 사용자쪽에 위치하게 된다.
다음, 튜브(13b)에 있는 고리(25)들과 튜브(13a)에 있는 고리(23)들을 각각 안내줄(53)과 견인줄(33)에 끼워 걸고, 견인줄(33)의 한쪽 끝을 튜브(13c)에 연결된 3발의 연결끈(33a)에 묶어 연결한다.
마지막으로, 릴(35)을 감아 견인줄(33)을 사용자쪽으로 당기면서 본체(11)를 고정추(57)쪽으로 이동시킨다.
이렇게 하여 본체(11)를 사용자가 낚시질을 하고자 하는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사용자는 원하는 위치에 본체(11)에 의해 고요한 상태로 만들어진 영역에 낚시대(1)에 연결된 낚시바늘(7)과 낚시찌(5)를 던지고 고요한 수면 상태에서 낚시를 즐길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를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고정추(57)에는 또한 풍선(61)이 줄(63)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 사용자가 고정추(57)의 위치를 수면 위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낚시질을 마친 후에는 낚시줄을 거둬낸 후 릴(55)을 감아 안내줄(53)을 당기면 고정추(57)와 함께 전환관(41)이 따라 오면서 본체(11)가 사용자쪽으로 끌려오게 된다.
다음, 도 3을 참조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찌 감지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앞선 실시예에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동일한 구성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앞선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감지장치(10')는 앞선 실시예의 감지장치(10)와는 달리 튜브(13a,13b)에 각각 안내줄(53)과 견인줄(33)이 고리(25,23)에 끼워진 상태로 연결되어 있고, 각 안내줄(53)과 견인줄(33)은 릴(55)와 릴(35)에 각각 감겨져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낚시찌 감지장치(10')의 사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각 릴(55)에 감겨진 각 안내줄(53)의 한쪽 끝을 각 고정추(57)에 연결하고, 각 전환관(41)을 각 고정추(57)와 가까운 부근의 각 안내줄(53)에 연결하며, 각 릴(35)에 감겨진 각 견인줄(33)의 한쪽 끝을 전환관(41)을 관통시킨 상태에서 각 안내줄(53)과 각 견인줄(33)을 충분히 길게, 바람직하게는 낚시질을 하고자 하는 위치의 거리만큼 길게 각 릴(55)과 릴(35)로부터 풀어 놓거나, 각 릴(55,35)을 회전 가능한 상태로 만들어 논다.
다음, 2개의 각 고정추(57)를 잡고 낚시하고 싶은 위치의 수면 위로 멀리 던진다. 이때, 각 고정추(57)에 연결된 각 안내줄(53)과 견인줄(33)이 각 고정추(57)와 함께 멀리 던져지고, 각 견인줄(33)의 한쪽 끝은 사용자쪽에 위치하게 된다.
다음, 튜브(13b)에 있는 고리(25)들과 튜브(13a)에 있는 고리(23)들을 각각 안내줄(53)과 견인줄(33)에 모두에 끼워 걸고, 각 견인줄(33)의 한쪽 끝을 튜브(13c)에 묶어 연결한다(미도시).
마지막으로, 각 릴(35)을 감아 각 견인줄(33)을 사용자쪽으로 당기면서 본체(11)를 고정추(57)쪽으로 이동시킨다.
이렇게 하여 본체(11)를 사용자가 낚시질을 하고자 하는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사용자는 원하는 위치에 본체(11)에 의해 고요한 상태로 만들어진 영역에 낚시 바늘(7)과 낚시찌(5)를 던지고 고요한 수면 상태에서 낚시를 즐길 수 있게 된다.
각 고정추(57)에는 또한 풍선(61)이 줄(63)에 의해 각각 연결되어 있어 사용자가 고정추(57)의 위치를 수면 위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낚시질을 마친 후에는 낚시줄을 거둬낸 후 각 릴(55)을 감아 안내줄(53)을 당기면 고정추(57)와 함께 전환관(41)이 따라 오면서 본체(11)가 사용자쪽으로 끌려오게 된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낚시찌 감지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수정 또는 변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본 발명의 낚시찌 감지장치에 따르면, 본체에 의해 원하는 위치의 수면상에 바람 등의 영향에 의한 물결침이 없는 일정 영역이 형성되기 때문에 낚시찌를 고요한 상태의 수면에 위치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물고기의 입질에 따른 낚시찌의 움직임을 매우 쉽게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또한 물고기의 입질 타이밍을 놓치지 않을 수 있다.

Claims (12)

  1. 수면에 떠 상기 수면 위에 일정 영역을 한정하기 위한 본체;
    상기 본체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추;
    상기 고정추와 연결되며 상기 본체의 진로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줄; 및
    상기 본체와 연결되며 상기 본체를 상기 고정추쪽으로 견인하기 견인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찌 감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그 하부에 요동하는 물결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물결침입방지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찌 감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결침입방지부는 상기 본체의 하부의 일부가 열압착에 의해 압착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찌 감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물결침입방지부는 수면에 일어나는 물결침의 높이 보다 다소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찌 감지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결침입방지부는 그 안에 상기 물결에 의해 상기 본체가 요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중량체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찌 감지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1면이 열리고 3면이 막힌 "ㄷ"자형 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찌 감지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안내줄과 상기 견인줄을 걸기 위한 다수의 고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찌 감지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추 근방의 상기 안내줄에는 상기 견인줄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전환관이 마련되고, 상기 견인줄은 상기 전환관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찌 감지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ㄷ"자형 튜브는 1면씩 각각 분리 가능하고, 각 1면의 튜브는 공기를 넣고 빼기 위한 주입구가 별도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찌 감지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추에는 그 위치를 알려주기 위한 수면에 뜨는 표시체가 줄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찌 감지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줄의 꼬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안내줄과 상기 고정추간에는 꼬임방지체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찌 감지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꼬임방지체는 축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찌 감지장치.
KR1020070042580A 2007-05-02 2007-05-02 낚시찌 감지장치 KR200800975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2580A KR20080097562A (ko) 2007-05-02 2007-05-02 낚시찌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2580A KR20080097562A (ko) 2007-05-02 2007-05-02 낚시찌 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7562A true KR20080097562A (ko) 2008-11-06

Family

ID=40285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2580A KR20080097562A (ko) 2007-05-02 2007-05-02 낚시찌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9756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216Y1 (ko) * 2009-04-30 2011-06-21 김희철 주낚시의 채비왕복이송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216Y1 (ko) * 2009-04-30 2011-06-21 김희철 주낚시의 채비왕복이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96076B1 (en) Float supported fishing apparatus with automatic hook set
US7946076B2 (en) Electric fishing device
US7963065B1 (en) Fishing strike indicator
JP2013176352A (ja) 枝ハリスの着脱自在具
US3426468A (en) Swivel hanger for fishing lure
JPS5915602B2 (ja) 餌付け方法および餌付け装置
US5758451A (en) Fishing bobber of two part construction
US5042190A (en) Fly-fishing strike indicator
US7363743B2 (en) Safety bobber
KR20080097562A (ko) 낚시찌 감지장치
CN203872838U (zh) 一种海鲜诱捕笼
JP3450266B2 (ja) 釣り用仕掛け
US20050198889A1 (en) Parachute assisted fishing device
JP7218075B2 (ja) 魚釣り用中通し遠投テンビン
US11582962B1 (en) Fishing rod with interior line
CN213848312U (zh) 一种可视电子控制拉钩钓鱼装置
CN212877266U (zh) 一种新型海竿钓鱼报警器
JPH0686478U (ja) まき餌カゴ付き浮き
KR102446238B1 (ko) 봉돌 걸림 탈출용 2중 채비
US11344018B1 (en) Fish retrieval system
KR101277203B1 (ko) 유동성을 가지는 가짓줄 연결용 낚시채비
TW201900020A (zh) 具輔助線之釣竿
JP2023037129A (ja) 棚取り用釣具
KR200321193Y1 (ko) 낚시 대
JP3111281U (ja) 釣り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