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1193Y1 - 낚시 대 - Google Patents

낚시 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1193Y1
KR200321193Y1 KR20-2003-0014108U KR20030014108U KR200321193Y1 KR 200321193 Y1 KR200321193 Y1 KR 200321193Y1 KR 20030014108 U KR20030014108 U KR 20030014108U KR 200321193 Y1 KR200321193 Y1 KR 2003211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fishing line
handle
bar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41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재
Original Assignee
김희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희재 filed Critical 김희재
Priority to KR20-2003-00141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11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11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11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02Fishing rods with the line passing through the hollow rod
    • A01K87/005Fishing rods with the line passing through the hollow rod comprising internal line guid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2Connecting devices for parts of the rods
    • A01K87/025Connecting devices for parts of the rods telescopic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손잡이대와 중간대 및 줄연결대로 대낚시를 구성하되 낚시 줄이 이들 줄연결대와 중간대 및 손잡이대를 관통하여 낚시 하는 사람 쪽으로 인출되어 잡아당길 수 있는 고리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손잡이대를 들어 올리면서 고리를 잡아당기면 손잡이대만 들어올릴 때 보다 물고기를 신속하게 낚아챌 수 있으며 릴낚시처럼 낚시 줄을 느슨하게 하거나 또는 팽팽하게 잡아당기면서 물고기를 제압할 수 있으므로 낚시하는 재미를 한층 높일 수 있는 낚시 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손잡이대와 중간대 및 줄연결대로 구성되고 이들 대가 조립식으로 결합되어 펼쳐지도록 한 낚시 대에 있어서, 줄연결대의 선단에는 낚시 바늘이 연결된 낚시 줄이 줄연결대의 내부로 들어가도록 줄관통구가 구비되고, 중간대의 내부에는 낚시 줄이 중간대의 내주면과 닿지 않고 통과되도록 안내하는 줄안내링이 구비되며, 손잡이대의 끝단에는 낚시 줄이 낚시 하는 사람 쪽으로 인출되도록 안내하는 캡이 구비되어 손잡이대의 끝단으로 돌출된 낚시 줄을 잡아당기면 낚시 줄이 이들 대를 관통하여 당겨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낚시 대{A fishing rod}
본 고안은 낚시 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손잡이대와 중간대 및 줄연결대로 대낚시를 구성하되 낚시 줄이 이들 줄연결대와 중간대 및 손잡이대를 관통하여 낚시 하는 사람 쪽으로 인출되어 잡아당길 수 있는 고리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손잡이대를 들어 올리면서 고리를 잡아당기면 손잡이대만 들어올릴 때 보다 물고기를 신속하게 낚아챌 수 있는 낚시 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낚시는 전개되면 2m 이상 길기 때문에 보관하기 편리하도록 손잡이대와 중간대 및 줄연결대로 분리 구성된다. 이들 대가 안테나 식으로 접어지거나 또는 완전 분리된 상태로 보관되는 것이 주류를 이룬다.
대낚시하는 방법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손잡이대와 중간대 및 줄연결대를 서로 연결하여 하나의 긴 막대가 되도록 한 뒤 제일 끝부분인 줄연결대에 낚시 줄을 묶어 낚시 바늘과 찌가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물고기가 낚시 바늘에 걸리면 찌가 움직이게 되는데 이때 순간적으로 손잡이대를 낚아채 물고기가 낚시 바늘에 걸리도록 해야 된다. 손잡이대를 늦게 낚아채거나 또는 너무 빠르게 낚아채도 물고기가 낚시 바늘에 걸리지 않는다. 이는 오랜 경험과 순간적인 판단이 중요한 것이다.
그러나 낚시를 처음 하는 사람은 이런 순간적인 판단이 어렵기 때문에 물고기를 잡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그리고 대낚시의 경우 큰 물고기가 걸렸을 때 대가 휘어 물고기를 제압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릴 낚시의 경우 낚시 줄을 감고 푸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물고기를 놓아 주었다 당겼다 할 수 있으므로 물고기를 제압하여 잡을 수 있으나 대낚시는 그렇게 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손잡이대와 중간대 및 줄연결대로 대낚시를 구성하되 낚시 줄이 이들 줄연결대와 중간대 및 손잡이대를 관통하여 낚시 하는 사람 쪽으로 인출되어 잡아당길 수 있는 고리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손잡이대를 들어 올리면서 고리를 잡아당기면 손잡이대만 들어올릴 때 보다 물고기를 신속하게 낚아챌 수 있으며 릴낚시처럼 낚시 줄을 느슨하게 하거나 또는 팽팽하게 잡아당기면서 물고기를 제압할 수 있으므로 낚시하는 재미를 한층 높일 수 있는 낚시 대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 낚시 대의 펼친 상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 낚시 대의 접은 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다른 실시예의 낚시 대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손잡이대 2 : 중간대
3 : 줄연결대 4 : 낚시 줄
5 : 줄관통구 6 : 줄안내링
7 : 캡 8 : 구멍
9 : 고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손잡이대와 중간대 및 줄연결대로 구성되고 이들 대가 조립식으로 결합되어 펼쳐지도록 한 낚시 대에 있어서, 줄연결대의 선단에는 낚시 바늘이 연결된 낚시 줄이 줄연결대의 내부로 들어가도록 줄관통구가 구비되고, 중간대의 내부에는 낚시 줄이 중간대의 내주면과 닿지 않고 통과되도록 안내하는 줄안내링이 구비되며, 손잡이대의 끝단에는 낚시 줄이 낚시 하는 사람 쪽으로 인출되도록 안내하는 캡이 구비되어 손잡이대의 끝단으로 돌출된 낚시 줄을 잡아당기면 낚시 줄이 이들 대를 관통하여 당겨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낚시 대의 펼친 상태 단면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 낚시 대의 접은 상태 단면도 이다. 본 고안의 낚시 대는 손잡이대(1)와 중간대(2) 및 줄연결대(3)로 구성된다. 이들은 안테나 식으로 뽑히거나 접어지는 식으로 사용되며 중간대(2)는 낚시 대의 길이에 따라 여러개 구비된다.
줄연결대(3)의 선단에는 낚시 줄(4)이 관통될 수 있는 줄관통구(5)가 구비되고 손잡이대(1)의 끝단에는 낚시 줄(4)이 관통되는 구멍(8)을 갖는 캡(7)이 구비된다. 그리고 낚시 줄(4)에는 캡(7)에 걸려 손잡이대(1) 내부로 들어가지 않는 고리(9)가 형성된다. 이 고리(9)는 낚시할 때 낚시 줄(4)을 잡아당기기 위한 것이다.
중간대(2) 내부에는 낚시 줄(4)이 통과하는 줄안내링(6)이 다수개 구비된다. 이들 줄안내링(6)은 물에 젖은 낚시 줄(4)이 중간대(2)를 관통할 때 중간대(2)의 내주면에 달라붙지 않고 떨어져 잘 당겨지도록 안내해 주는 역할을 한다. 미설명부호 10, 11은 낚시 줄(4)에 묶이는 낚시 바늘과 찌를 나타낸다.
이처럼 구성된 본 고안은 낚시 줄(4)이 줄연결대(3)와 중간대(2) 및 손잡이대(1)를 관통하여 낚시 하는 사람 쪽으로 인출되므로 물고기가 낚시 바늘(10)에 걸렸을 때 낚시 대를 들어 올리면서 낚시 줄(4)을 동시에 잡아 당겨 물고리를 제압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낚시 대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낚시 대가 펼쳐지면 낚시 줄(4)이 낚시 대 내부로 들어가 낚시 하는 사람 쪽으로 인출되므로 릴 낚시와 같은 기능을 갖는다. 줄연결대(3)의 줄관통구(5)로 인출된 낚시 줄(4)의 끝단에 낚시 바늘(10)과 찌(11)를 묶어 달아 맨 뒤 낚시를 하면 된다.
낚시 바늘(10)에 물고기가 걸리면 찌(11)가 수면에서 요동치는데 이때 손잡이대(1)를 들어 올리면서 고리(9)를 잡아당기면 된다. 고리(9)를 잡아당기면 낚시 줄(4)이 낚시하는 사람 쪽으로 끌리기 때문에 결국 물고기를 당기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다.
대어를 낚을 때 낚시 대 만으로는 물고기를 제압하는데 한계가 있다. 릴 낚시의 경우 낚시 줄을 감거나 풀면서 물고기를 제압할 수 있으나 종래의 대낚시는 줄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낚시 대를 당기거나 느슨하게 하는 정도밖에 할 수가 없었다.
그러나 본 고안의 낚시 대는 릴 낚시와 같이 낚시 줄(4)을 당기거나 풀어주면서 물고기를 제압할 수 있으므로 대어도 놓치지 않고 쉽게 잡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는 낚시 대를 접어 보관할 때를 나타낸 것으로서 낚시 대 내부에 들어가 있던 낚시 줄(4)을 잡아 당겨 별도로 감아 보관하면 된다.
도 3은 손잡이대(1)와 중간대(2) 및 줄연결대(3)가 완전 분리되는 방식을 나타낸 것이다. 이것 역시 조립할 때 낚시 줄(4)이 이들 낚시 대 안으로 들어가도록 주의하면서 낚시 대를 조립하면 본 고안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낚시 대 내부로 낚시 줄이 관통되어 낚시 하는 사람 쪽으로 인출되도록 구성 하였다. 따라서 물고기가 낚시 바늘에 걸렸을 때 낚시 대를 들어 올리면서 줄을 잡아당기면 물고기를 보다 신속하게 낚아 챌 수 있으며 대어가 걸리더라도 낚시 줄을 풀거나 잡아당기면서 제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보트를 타고 물 위에서 낚시를 할 때 효과적이다. 물위에서 낚시할 때에는 낚시 대를 잡고 해야 되는데 물고기가 걸리면 먼저 줄을 잡아 당겨 순간적으로 물고기를 낚아 챌 수 있으므로 많은 물고기를 잡는데 효과적이다.

Claims (2)

  1. 손잡이대(1)와 중간대(2) 및 줄연결대(3)로 구성되고 이들 대(1)(2)(3)가 조립식으로 결합되어 펼쳐지도록 한 낚시 대에 있어서,
    줄연결대(3)의 선단에는 낚시 바늘(10)이 연결된 낚시 줄(4)이 줄연결대(3)의 내부로 들어가도록 줄관통구(5)가 구비되고,
    중간대(2)의 내부에는 낚시 줄(4)이 중간대(2)의 내주면과 닿지 않고 통과되도록 안내하는 줄안내링(6)이 구비되며,
    손잡이대(1)의 끝단에는 낚시 줄(4)이 낚시 하는 사람 쪽으로 인출되도록 안내하는 캡(7)이 구비되어 손잡이대(1)의 끝단으로 돌출된 낚시 줄(4)을 잡아당기면 낚시 줄(4)이 이들 대(1)(2)(3)를 관통하여 당겨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캡(7)에는 낚시 줄(4)이 통과되는 구멍(8)이 형성되고,
    구멍(8)을 통과한 낚시 줄(4)의 끝단에는 캡(7)에 걸리는 고리(9)가 형성되어 고리(9)를 잡아당기면 낚시 줄이 당겨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대.
KR20-2003-0014108U 2003-05-07 2003-05-07 낚시 대 KR2003211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4108U KR200321193Y1 (ko) 2003-05-07 2003-05-07 낚시 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4108U KR200321193Y1 (ko) 2003-05-07 2003-05-07 낚시 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1193Y1 true KR200321193Y1 (ko) 2003-07-25

Family

ID=49411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4108U KR200321193Y1 (ko) 2003-05-07 2003-05-07 낚시 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119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32470A (en) Fish hook
US8109034B1 (en) Shoreline outrigger rod system
CA2840824A1 (en) Fishing lure connector
US7363743B2 (en) Safety bobber
KR200321193Y1 (ko) 낚시 대
KR20180000103U (ko) 갈치 낚시용 낚시채비
KR20200000362U (ko) 오징어 낚시용 루어
US6389737B1 (en) Float for fishing rod
US2659544A (en) Attachable reel for fishing rods
CN211746352U (zh) 一种带有防挂底铅坠的渔具
CN209218971U (zh) 一种钓鱼网兜
KR20190067061A (ko) 호래기 낚시바늘
CN211793860U (zh) 一种可视的陷阱式捕鱼网
US4738048A (en) Fish hooking needle
KR200260424Y1 (ko) 낚시바늘 장애물 분리용 링
JP7212980B1 (ja) 根掛しにくい釣り仕掛け、及び根掛しにくい釣り仕掛けの胴付き仕掛け及びサビキ仕掛けの製造方法。
CN108513958A (zh) 鱼线子线绑鱼钩的方法以及鱼线主线绑鱼竿处线圈的方法
KR20160048478A (ko) 가이드 링이 구비된 갈치전용 낚시대
KR200253337Y1 (ko) 낚시용 뜰채
JP3230258U (ja) ルアー
CN213214974U (zh) 一种新型活扣式螃蟹自动垂钓工具
KR100310161B1 (ko) 게 잡이용 낚시바늘
JP2018174886A (ja) 大型魚の釣り方法とその仕掛けと道糸連結具。
CN215123484U (zh) 一种改进型钓具
CN211581266U (zh) 一种渔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