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6893A - 차량용 손잡이 - Google Patents

차량용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6893A
KR20080096893A KR1020070041752A KR20070041752A KR20080096893A KR 20080096893 A KR20080096893 A KR 20080096893A KR 1020070041752 A KR1020070041752 A KR 1020070041752A KR 20070041752 A KR20070041752 A KR 20070041752A KR 20080096893 A KR20080096893 A KR 200800968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band
vehicle
buckle
integrally form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1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판규
Original Assignee
강판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판규 filed Critical 강판규
Priority to KR1020070041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96893A/ko
Publication of KR20080096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68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차량용 손잡이가 개시된다. 그러한 차량의 설치대에 구비되는 차량용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손잡이는 상기 설치대를 감싸는 밴드와, 상기 밴드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손잡이와, 그리고 상기 설치대를 감싼 밴드의 양단을 봉합하는 버클을 포함한다. 이러한 차량용 손잡이는 밴드와 고리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제조비용을 감소시키고 제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차량, 손잡이, 강도, 일체, 성형, 밴드

Description

차량용 손잡이{HANDLE OF VEHICLE}
도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손잡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2 는 도1 에 도시된 차량용 손잡이를 펼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3 은 도1 에 도시된 차량용 손잡이의 측면도이다.
도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손잡이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5 는 도4 의 측면도이다.
도6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손잡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7 은 도6 에 도시된 차량용 손잡이를 펼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8 은 도6 에 도시된 버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9 는 도6 의 "A-A"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10 은 도8 에 도시된 버클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1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손잡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차량용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손잡이와 밴드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차량용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나 지하철 등 대중교통수단에는 입석으로 승차하는 승객들을 위하여 손잡이가 장착된다. 승객들은 이 손잡이를 잡음으로써 버스나 지하철 등의 운행 중 발생하는 외부충격에 대하여 쓰러지지 않고 안전하게 승차할 수 있다.
이러한 차량용 손잡이는 통상적으로 차량의 천정에 장착되는 손잡이 설치대에 유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밴드(Band)와, 상기 밴드의 단부에 구비되어 승객이 잡을 수 있는 고리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승객은 이러한 손잡이를 적절하게 파지함으로써 차량 운행 중 안전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를 갖는 차량용 손잡이는 밴드와 고리를 각각 제조하여 서로 조립하게 되므로 제조비용이 증가하고 제조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밴드와 고리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제조비용을 감소시키고 제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차량용 손잡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설치대에 구비되는 차량용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손잡이는 상기 설치대를 감싸는 밴드; 상기 밴드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손잡이; 그리고 상기 설치대를 감싼 밴드의 양단을 봉합하는 버클을 포함하는 차량용 손잡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의 설치대에 구비되는 차량용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손잡이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1 밴드; 상기 손잡이의 타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2 밴드; 그리고 상기 설치대를 감싼 상기 제1 및 제2 밴드의 양단을 봉합하는 버클을 포함하는 차량용 손잡이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손잡이의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손잡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2 는 도1 에 도시된 차량용 손잡이를 펼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며, 도3 은 도1 에 도시된 차량용 손잡이의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차량용 손잡이(1)는 차량의 천정에 장착되는 설치대(S)에 장착된다.
상기 차량용 손잡이(1)는 소정의 유연성을 갖는 밴드(3)와, 상기 밴드(3)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손잡이(5,7)와, 그리고, 상기 설치대(S)를 감싼 밴드(3)를 봉합하는 버클(15)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차량용 손잡이(1)는 운행 중 발생하는 충격에 의하여 상기 설치대(S)를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고정쇠(10)에 의하여 소정위치에 고정하게 된다.
상기 차량용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밴드(3)는 유연성을 갖는 재질, 즉 섬유 혹은 합성재질로 형성되며, 불연성 재질도 포함됨으로써 화재시 유독성 가스 등으로 인한 위험요소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밴드(3)의 양측에는 제1 및 제2 관통홀(11,13)이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 관통홀(11,13)은 상기 밴드(3)를 설치대(S)에 감싼 후 서로 일치시킨다.
그리고, 버클(15)로 이 밴드(3)를 감싼 후, 체결부재(17)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 관통홀(11,13)을 관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밴드(3)는 설치대(S)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손잡이(5,7)는 밴드(3)의 일측에 일체로 구비되며, 복수개,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손잡이(5,7)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1 및 제2 손잡이(5,7)는 상기 밴드(3)의 성형시 같이 성형함으로써 밴드(3)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손잡이(5,7)는 일정 거리 떨어짐으로써 그 사이에 밴드(9)가 연결된다.
또한, 이러한 제1 및 제2 손잡이(5,7)는 외부면에 요철이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손잡이(1)를 잡았을 때 마찰력에 의하여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손잡이(5,7)는 서로 일정 거리 떨어져 배치됨으로써 여러명의 사용자가 동시에 손잡이(1)를 잡을 수 있다.
상기에서는 제1 및 제2 손잡이(5,7)의 2개 손잡이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나의 손잡이만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밴드(3)상에 손잡이(5,7)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손 잡이(5,7)를 별도로 제조한 후 조립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음으로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고 제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가 도4 및 도5 에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20)는 밴드(21)의 양단에 제1 및 제2 손잡이(23,25)가 구비되는 차이점이 있다.
즉, 밴드(21)의 일단에 제1 손잡이(23)가 일체로 형성되고, 타단에 제2 손잡이(25)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밴드(21)에는 제1 및 제2 관통홀(27,29)이 서로 일정거리 떨어져 배치된다.
그리고, 이 밴드(21)에 의하여 설치대(S)를 감싼후 제1 및 제2 관통홀(27,29)을 서로 일치시킨다. 따라서, 버클(33)을 이용하여 상기 밴드(21)를 감싼 후 볼트 혹은 리벳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손잡이(25)에는 길이 방향으로 삽입홈(3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밴드(21)가 설치대(S)를 감싼 후, 밴드(21)의 일측이 삽입홈(31)에 삽입됨으로써 제1 및 제2 손잡이(23,25)를 일체로 고정할 수 있어서 각각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6 및 도7 에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손잡이(51)가 밴드(41,43)의 중간에 일체로 배치되는 차이점이 있다.
즉, 손잡이(51)를 중심으로 일측에는 제1 밴드(41)가 일체로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2 밴드(43)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밴드(41,43)와 손잡이(51)는 동일한 성형공정에 의하여 제조되므로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밴드(41)에는 제1 및 제2 관통홀(45,46)이 형성되며, 제2 밴드(43)에도 제3 관통홀(47)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밴드(41)를 설치대(S)에 감싼 후, 제1 내지 제3 관통홀(45,46,47)을 서로 일치시키고 버클부(53)의 체결나사(73)에 의하여 관통함으로써 밴드(41,43)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손잡이(51)를 제1 및 제2 밴드(41,43)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제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버클부(53)는 도8 및 도9 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버클부(53)는 제1 버클(55)과, 이에 결합되는 제2 버클(57)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 버클(55)은 양 가장자리에 제1 돌출턱(59)이 각각 형성되며, 제1 돌출턱(59)들의 하부에 제1 연결턱(61)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 버클(55)의 내측면에는 제1 걸림턱(74)이 형성되고, 그 중심에는 제1 나사홀(67)이 형성된다.
또한, 제2 버클(57)은 반대로 상부에 제2 연결턱(65)이 형성되며, 양 가장자리에 제2 돌출턱(63)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제2 버클(57)의 내측면에는 제2 걸림턱(75)이 형성되고, 그 중심에는 제2 나사홀(7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버클(55,57)을 서로 마주하고 그 사이에 제1 및 제2 밴드(41,43)를 위치시킨 후, 볼트(73)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 나사홀(67,71)을 관통한 후 너트(69)에 체결함으로써 밴드(41,43)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걸림턱(74)과 제2 걸림턱(75)이 제1 및 제2 밴드(41,43)의 양측을 가압하게 된다.
한편, 도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버클(55)에 광고기능을 적용할 수도 있다. 즉, 제1 버클(55)의 외측면에 홈(56)을 형성하고, 이 홈(56)에 광고매체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광고매체로는 광고지, 광고물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 홈(56)에 적절한 광고매체를 구비함으로써 광고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한 버클부는 어느 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한 모든 실시예에 적용가능하다.
도11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86)의 내부에 보강재(88)를 추가로 인서트 할 수도 있다. 즉, 상기한 실시예와 같이 손잡이(86)와 제1 및 제2 밴드(82,84)를 일체로 성형한 경우, 인장강도가 저하될 수도 있음으로, 이를 막기 위하여 손잡이(86)의 내부에 보강재(88)를 배치할 수 있다.
이때, 보강재(88)로는 와이어, 섬유재, 합성수지 등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보강재(88)의 일측은 제1 밴드(82)에 연결하고, 보강재(88)의 타측은 제2 밴드(84)에 연결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이 보강재(88)가 손잡이(86) 및 제1 및 제2 밴드(82,84)를 일체로 연결하는 경우,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인장강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손잡이는 밴드와 고리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제조비용을 감소시키고 제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손잡이의 교환 및 수리가 간편한 장점이 있다.
손잡이에 광고기능을 적용할 수 있음으로 사용분야를 다양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다양하게 변경실시 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Claims (8)

  1. 차량의 설치대에 구비되는 차량용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손잡이는 상기 설치대를 감싸는 밴드; 그리고
    상기 밴드의 일측 혹은 양측에 일체로 형성된 손잡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손잡이.
  2. 차량의 설치대에 구비되는 차량용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손잡이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1 밴드; 그리고
    상기 손잡이의 타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2 밴드를 포함하는 차량용 손잡이.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밴드의 일측에 형성되는 하나의 손잡이 혹은 제1 및 제2 손잡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손잡이.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밴드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1 손잡이와, 상기 밴드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2 손잡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손잡이.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손잡이에는 길이방향으로 삽입홈이 형성되는 차량용 손잡이.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내측에는 보강재가 추가로 구비되며, 상기 보강재의 일측은 상기 제1 밴드에 연결되고, 보강재의 타측은 상기 제2 밴드에 연결되는 차량용 손잡이.
  7. 제1 항 혹은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의 양단에는 상기 설치대를 감싼 밴드의 양단을 봉합하는 버클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버클은 제1 버클과, 상기 제1 버클에 결합되는 제2 버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버클은 양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1 돌출턱과, 상부에 돌출되는 제1 연결턱과,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1 걸림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버클은 양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2 돌출턱과, 하부에 돌출되는 제2 연결턱과,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2 걸림턱으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손잡이.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클 혹은 제2 버클의 외측면에는 홈이 형성되어 광고부재가 구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손잡이.
KR1020070041752A 2007-04-30 2007-04-30 차량용 손잡이 KR200800968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1752A KR20080096893A (ko) 2007-04-30 2007-04-30 차량용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1752A KR20080096893A (ko) 2007-04-30 2007-04-30 차량용 손잡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6893A true KR20080096893A (ko) 2008-11-04

Family

ID=40284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1752A KR20080096893A (ko) 2007-04-30 2007-04-30 차량용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9689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72746A2 (en) * 2007-12-03 2009-06-11 Pusan National University Industrial-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Manufacturing method of single crystal terminal for electric connector and the single crystal terminal
CN108099728A (zh) * 2017-12-15 2018-06-01 广东五月花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公交车高舒适性便捷扶手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72746A2 (en) * 2007-12-03 2009-06-11 Pusan National University Industrial-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Manufacturing method of single crystal terminal for electric connector and the single crystal terminal
WO2009072746A3 (en) * 2007-12-03 2009-07-23 Pusan Nat University Ind Unive Manufacturing method of single crystal terminal for electric connector and the single crystal terminal
CN108099728A (zh) * 2017-12-15 2018-06-01 广东五月花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公交车高舒适性便捷扶手
CN108099728B (zh) * 2017-12-15 2020-02-21 广东五月花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公交车高舒适性便捷扶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0849B1 (ko) 차량용 시트 쿠션 프레임
CN106457994A (zh) 机组支承装置
KR20140051414A (ko) 화물 캐리어 푸트 그리고 화물 캐리어 푸트를 포함하는 차량을 위한 화물 적재 루프 래크
JP6142827B2 (ja) 乗物用シート
US20040056514A1 (en) Pillar trim structure
US20130127134A1 (en) Rocker molding attachment system for automated runnng boards
JP2011046376A (ja) ボウにより相互連結されたコンバーティブルトップカバー及びヘッドライナ
KR20080096893A (ko) 차량용 손잡이
CN109952408A (zh) 用于商用交通工具的分隔壁
JP5771019B2 (ja) 車両用シートバックフレーム構造
EP3218229B1 (en) A fastening device for securing elongated vehicle components
US20170313227A1 (en) Vehicle seat
CN106004779B (zh) 铰链式座椅安全带连接件
EP1182110A2 (en) Gangway cloth for railway vehicle and connecting gangway
EP1241081A3 (en) Rear body structure for vehicle
US20050184502A1 (en) Detachment prevention device of seat rail for vehicle
EP1659009A2 (en) Integrated stabilizer bar bushing and strap
JP4376854B2 (ja) ルーフレールの取り付け構造及びルーフレールの取り付け方法
JP2012500749A (ja) 乗客及び/又は品物を収容するためのキャビン
JP5771020B2 (ja) 車両用シートバックフレーム構造
KR200398566Y1 (ko) 화물결속구
EP4043293A1 (en) Barrier net
US20050134067A1 (en) Overhead console locking mechanism
KR101085965B1 (ko) 차량용 안전벨트 가이드 앵커
JPH09175280A (ja) 合成樹脂製車両用ルーフレール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