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8566Y1 - 화물결속구 - Google Patents
화물결속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98566Y1 KR200398566Y1 KR20-2005-0016793U KR20050016793U KR200398566Y1 KR 200398566 Y1 KR200398566 Y1 KR 200398566Y1 KR 20050016793 U KR20050016793 U KR 20050016793U KR 200398566 Y1 KR200398566 Y1 KR 20039856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rap
- cargo
- pad
- fixing groove
- coupled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135—Securing or supporting by load brac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12—Connections or attachments, e.g. turnbuckles, adapted for straining of cables, ropes, or wi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3/00—Belt fastenings, e.g. for conveyor belts
- F16G3/003—Apparatus or tools for joining 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물결속구에 관한 것으로서, 비신축성재질의 결박띠와 상기 결박띠의 일단에 결합된 차체고정부를 가지고, 상기 결박띠를 통해 화물차의 개방형 짐칸에 탑재된 화물을 고정하는 데 사용하는 화물결속구에 있어서, 신축성재질로 제작되고, 상기 결박띠에 의해 상기 화물이 고정될 때 상기 결박띠의 길이방향을 따라 신장될 수 있도록 일단은 상기 결박띠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결박띠와 상기 차체고정부중 어느 일방에 결합되는 보강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결박띠의 긴장상태 감소량을 보강패드의 수축동작에 의해 감소시킴으로써 비신축성 재질의 결박띠를 가지고 화물의 초기결박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화물결속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물차량의 개방형 짐칸에 탑재된 화물을 차체에 고정하는 데 사용하는 결속구에 관한 것이다.
화물차량에 탑재하여 화물을 운반할 때 차체의 요동 등에 의해 탑재화물이 차체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화물결속구를 사용하여 탑재화물을 차체에 고정시키고 있다.
도10은 종래의 화물결속구의 사시도이다.
종래의 화물결속구는,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상의 결박띠(111)와, 결박띠(111)의 일단에 결합된 차체고정부(112)를 갖고 있다.
결박띠(111)는 유연성을 갖는 재질(고무, 나일론 등)을 사용하여 벨트(Belt) 또는 로프(Rope)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차체고정부(112)는 대략 "C"자형의 전단부를 갖는 걸림쇠(112a)와, 걸림쇠(112a)가 차체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스토퍼(112b)를 갖고 있다.
이탈방지스토퍼(112b)는 중앙영역에 스토퍼공(112c)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차체고정부(112)는 결박띠(111)가 탑재화물에 가압 접촉된 상태에서 결박띠(111)의 긴장정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긴장조절부(도시되지 않음)를 걸림쇠(112a)의 인접영역에 추가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긴장조절부는 1998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804호(고안의 명칭 : 화물차용 화물고정용 벨트 텐셔너) 등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래치타입으로 구현하거나 2003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40227호(고안의 명칭 : 수동권취 자동바) 등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버클타입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화물결속구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화물차량의 측면에 형성된 걸림부(도시되지 않음)에 걸림쇠(112a)와 이탈방지스토퍼(112b)를 고정시킨다. 여기서 이탈방지스토퍼(112b)는 걸림쇠(112a)의 외측에서 걸림부(도시되지 않음)에 고정된다.
다음에 결박띠(111)가 짐칸에 탑재된 화물을 상부로부터 가압 접촉되도록 잡아당긴 다음 차체의 반대 측면에 형성된 걸림부(도시되지 않음)에 결박띠(111)의 자유단부를 단단히 묶는다.
다음에 긴장조절부가 있는 경우 긴장조절부를 조작하여 결박띠(111)의 긴장정도를 증가시킨다.
그런데 종래의 화물결속구에 따르면, 결박띠(111)가 나일론 등 비신축성 재질로 제작된 경우 차체의 요동에 의해 걸림쇠가 없는 자유단부의 묶음상태가 느슨해지는 등의 원인으로 긴장상태가 감소되기 때문에 화물의 초기결박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결박띠(111)가 고무 등 신축성 재질로 제작된 경우 화물의 초기결박에 많은 힘이 들고 결박띠(111)에 의한 화물에 변형(찌그러짐 등)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종단에 걸림쇠나 긴장조절부를 결합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비신축성 재질의 결박띠를 가지고 화물의 초기결박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화물결속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비신축성재질의 결박띠와 상기 결박띠의 일단에 결합된 차체고정부를 가지고, 상기 결박띠를 통해 화물차의 개방형 짐칸에 탑재된 화물을 고정하는 데 사용하는 화물결속구에 있어서, 신축성재질로 제작되고, 상기 결박띠에 의해 상기 화물이 고정될 때 상기 결박띠의 길이방향을 따라 신장될 수 있도록 일단은 상기 결박띠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결박띠와 상기 차체고정부중 어느 일방에 결합되는 보강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결속구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보강패드를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보강패드의 일단을 상기 결박띠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고 타단을 상기 결박띠와 상기 차체고정부중 어느 일방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한 쌍의 패드결합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보강패드의 분리결합동작이 용이하도록, 상기 한 쌍의 패드결합부중 적어도 어느 일방은 상기 결박띠에 결합된 연결링과, 상기 보강패드의 일단에 결합되고 개구영역을 탄성적으로 폐쇄하는 개폐편을 구비하는 걸고리를 포함하도록 구성하거나, 또한 상기 한 쌍의 패드결합부중 하나는 상기 차체고정부에 형성된 연결링부와, 상기 보강패드의 타단에 결합되고 개구영역을 탄성적으로 폐쇄하는 개폐편을 구비하는 걸고리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보강패드의 결합영역을 임의로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패드결합부중 적어도 어느 일방은 상기 보강패드의 길이방향에 가로로 형성되는 내측인입개구를 갖는 내측 고정홈과 상기 내측인입개구와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외측 인입개구를 갖는 외측 고정홈이 상기 보강패드의 길이방향에 가로로 형성되어 있는 패드결합편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결박띠의 폭방향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내측 인입개구의 인접영역과 상기 외측 인입개구의 인접영역 중 적어도 어느 일방에는 상기 결박띠의 폭방향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걸림턱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결박띠의 폭방향이탈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걸림턱은 상기 내측 고정홈과 상기 외측 고정홈에 삽입된 상기 결박띠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하거나, 나아가 각각 경사면이 상호 마주보는 삼각형상단면을 갖도록 한 쌍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결박띠의 삽입동작이 방해받지 않도록, 상기 걸림턱은 상기 내측 고정홈과 상기 외측 고정홈에 삽입된 상기 결박띠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결박띠의 길이방향미끄럼이동을 저지할 수 있도록, 내측 고정홈의 내연부와 상기 외측 고정홈의 내연부중 적어도 어느 일방에는 상기 결박띠의 길이방향미끄럼이동을 저지할 수 있도록 스토퍼톱니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결박띠의 길이방향미끄럼이동을 효율적으로 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스토퍼톱니는 상기 내측 고정홈과 상기 외측 고정홈에 대한 상기 결박띠의 진입각도와 인출각도가 증가되도록 외표면에 대하여 돌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패드결합편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패드결합편은 "ㅌ"자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결박띠의 절곡영역에서의 초기결박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보강패드는 상기 결박띠에 의해 상기 화물이 고정될 때 상기 결박띠의 절곡영역에 포개지도록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결속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패드결합편의 상세도면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결속구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박띠(11)와, 결박띠(11)의 일단에 결합된 차체고정부(12)와, 결박띠(11)의 일 영역에 결합된 보강패드(13)와, 보강패드(13)를 결박띠(11)에 결합시키는 한 쌍의 대략 "ㄹ"자형상 패드결합편(20)을 갖고 있다.
결박띠(11)는 유연성을 갖는 비신축성 재질(나일론 등)을 사용하여 벨트(Belt) 또는 로프(Rope) 형태로 제작된다.
차체고정부(12)는 종래의 화물결속구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걸림쇠(12a), 이탈방지스토퍼(12b) 및 긴장조절부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보강패드(13)는 고무 등의 신축성 재질로 제작되고, 결박띠(11)를 사용하여 화물을 고정시킬 때 결박띠(11)의 절곡영역에 포개지도록 결박띠(11)에 결합되어 있다.
각 패드결합편(20)에는 대략 디귿자 형상의 내측 고정홈(21)과 외측 고정홈(22)이 보강패드(13)의 길이방향에 가로로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고, 내측 고정홈(21)의 내측 인접영역에는 연결공(23)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내측이란 연결공(23)에 인접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외측이란 연결공(23)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내측 고정홈(21)에는 내측인입개구(21a)가 결박띠(11)의 길이방향에 가로로 형성되어 있고, 내측인입개구(21a)에는 한 쌍의 내측 걸림턱(21b)이 내측 고정홈(21)과 외측 고정홈(22)에 삽입된 결박띠(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내측 걸림턱(21b)은 경사면이 상호 마주보는 삼각형상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내측 걸림턱(21b)의 걸림작용에 의해 내측 고정홈(21)에 삽입되는 결박띠(11)의 폭방향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내측 고정홈(21)은 내연부에 각각 결박띠(11)의 길이방향미끄럼이동을 저지할 수 있도록 내측 근접스토퍼톱니(21c) 및 내측 이격스토퍼톱니(21d)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근접이란 연결공(23)에 인접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격이란 연결공(23)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내측 근접스토퍼톱니(21c) 및 내측 이격스토퍼톱니(21d)의 침투작용에 의해 내측 고정홈(21)에 삽입되는 결박띠(11)의 길이방향미끄럼이동을 저지할 수 있게 된다.
내측 근접스토퍼톱니(21c)는 후면(패드결합편의 결박띠에 대향하는 면)에 대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내측 이격스토퍼톱니(21d)는 전면에 대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내측 고정홈(21)에 대한 결박띠(11)의 진입각도와 인출각도가 증가되어 침투작용이 용이해지므로 내측 고정홈(21)에 삽입되는 결박띠(11)의 길이방향미끄럼이동을 더욱 효율적으로 저지할 수 있게 된다.
외측 고정홈(22)에는 외측인입개구(22a)가 내측인입개구(21a)와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외측인입개구(22a)에는 한 쌍의 외측 걸림턱(22b)이 내측 고정홈(21)과 외측 고정홈(22)에 삽입된 결박띠(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외측 고정홈(22)은 내연부에 각각 결박띠(11)의 길이방향미끄럼이동을 저지할 수 있도록 외측 근접스토퍼톱니(22c) 및 외측 이격스토퍼톱니(22d)가 형성되어 있다.
외측 근접스토퍼톱니(22c)는 전면에 대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외측 이격스토퍼톱니(22d)는 배면에 대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외측 고정홈(22)에 대한 결박띠(11)의 진입각도와 인출각도가 증가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패드결합편(20)을 사용하여 보강패드(13)를 결박띠(11)에 결합하는 방법을 도3a 및 도3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각 패드결합편(20)의 연결공(23)에 결박띠(11)의 양단을 각각 연결한다.
다음에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결박띠(11)의 두 지점에 각 패드결합편(20)을 결합시킨다.
먼저 결박띠(11)를 "U"자 형태로 절곡하여 한 쌍의 삽입절곡부(41)를 형성한다.
다음에 한 쌍의 삽입절곡부(41)중 내측에 있는 삽입절곡부를 내측인입개구(21a)를 통해 내측 고정홈(21)에 삽입한다(도3a 참조).
다음에 한 쌍의 삽입절곡부(41)중 외측에 있는 삽입절곡부를 외측인입개구(22a)를 통해 외측 고정홈(22)에 삽입한다(도3b 참조).
다음에 결박띠(11)를 길이방향으로 잡아당겨 삽입절곡부(41)를 소멸시킨다.
여기서 패드결합편(20)이 결합되는 결박띠(11)의 두 지점은 결박띠(11)를 사용하여 화물을 고정시킬 때 보강패드(13)가 신장될 수 있도록 선택한다. 즉, 패드결합편(20)이 결합되는 두 지점의 이격거리는 보강패드(13)의 길이보다 짧게 선택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결속구는 종래의 화물결속구와 동일한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화물을 고정시킬 때 신축성재질의 보강패드가 신장될 수 있도록 결박띠에 결합함으로써, 결박띠(11)의 긴장상태 감소량을 보강패드(13)의 수축동작에 의해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화물의 초기결박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내측 고정홈(21)과 외측 고정홈(22)을 갖는 패드결합편(20)을 통해 삽입방식으로 보강패드(13)를 결박띠(11)에 결합시킴으로써, 화물결속구를 사용하지 않거나 교체할 때 보강패드(13)를 분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강패드(13)의 결합영역을 임의로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패드결합편(20)의 내측 고정홈(21)과 외측 고정홈(22)에 걸림턱(21b, 22b)을 형성함으로써, 결박띠(11)의 폭방향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한 쌍의 걸림턱(21b, 22b)을 경사면이 상호 마주보는 삼각형상단면을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결박띠(11)의 폭방향이탈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패드결합편(20)의 내측 고정홈(21)의 내연부와 외측 고정홈(22)의 내연부에 스토퍼톱니(21c, 21d, 22c, 22d)를 형성함으로써, 결박띠(11)의 길이방향미끄럼이동을 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보강패드(13)를 결박띠(11)의 절곡영역에 포개지도록 결박띠(11)에 결합시킴으로써, 결박띠(11)의 절곡영역에서의 초기결박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걸림턱(21b, 22b)과 스토퍼톱니(21c, 21d, 22c, 22d)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생략하여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보강패드(13)가 삽입동작에 의해 결박띠(11)에 결합되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걸림 및 잠금동작에 의해 결박띠(11)에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물결속구의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5는 차체에 설치된 상태(즉, 보강패드가 신장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물결속구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패드결합부(30)를 제외하고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물결속구와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하는 결박띠(11), 차체고정부(12) 및 보강패드(13)를 갖고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사용하기로 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물결속구의 각 패드결합부(30)는 결박띠(11)에 결합된 연결링(31)과, 보강패드(13)의 일단에 결합된 걸고리(32)를 갖고 있다.
연결링(31)의 결합지점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결속구의 패드결합편(20)을 결합하는 지점과 동일한 방법으로 선택할 수 있다.
걸고리(32)는 개구영역을 탄성적으로 폐쇄하는 개폐편(32a)을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패드결합부(30)를 사용하여 보강패드(13)를 결박띠(11)에 결합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개폐편(32a)을 조작하여 개구영역을 개방한 후 각 걸고리(32)를 대응하는 연결링(31)에 삽입한다.
다음에 개폐편(32a)을 조작하여 개구영역을 폐쇄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패드결합부(30)에 따르면 화물결속구를 사용하지 않거나 교체할 때 보강패드(13)를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강패드(13)의 분리결합동작이 용이해진다.
또한 패드결합편(20)의 내측 고정홈(21)의 내연부와 외측 고정홈(22)의 내연부에 스토퍼톱니(21c, 21d, 22c, 22d)를 형성함으로써, 결박띠(11)의 길이방향미끄럼이동을 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와는 달리 보강패드(13)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드결합편(20)과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드결합부(30)를 하나씩 사용하여 결박띠에 결합시킬 수 있다.
도6에는 패드결합부(30)를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결속구의 경우와 동일한 번호를 사용하여 도시되어 있고, 패드결합부(30)에 대해서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물결속구의 경우와 동일한 번호를 사용하여 도시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와는 달리 보강패드(13)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드결합편(20)을 사용하여 결박띠(11)에 결합하는 한편 타단은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갖는 패드결합부(40)를 사용하여 결박띠(11)에 결합시킬 수 있다.
즉, 패드결합부(40)는 걸림쇠(12a)에 형성된 연결링부(41)와, 개구영역을 탄성적으로 폐쇄하는 개폐편(42a)을 구비하는 걸고리(42)를 갖고 있다.
도7에는 패드결합부(40)를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결속구의 경우와 동일한 번호를 사용하여 도시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결속구의 경우 패드결합편을 대략 "ㄹ"자 형상을 갖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도8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ㅌ"자 형상을 갖도록 구성하여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다.
도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물결속구의 사시도이고, 도9는 도8의 패드결합편의 상세도면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물결속구는 결박띠(11')와, 결박띠(11')의 일단에 결합된 차체고정부(12')와, 결박띠(11')의 일 영역에 결합된 보강패드(13')와, 보강패드(13')를 결박띠(11')에 결합시키는 한 쌍의 대략 "ㅌ"자형상 패드결합편(20')을 갖고 있다.
결박띠(11'), 차체고정부(12') 및 보강패드(13')는 각각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다른 화물결속구의 경우와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갖고 있다.
각 패드결합편(20')에는 대략 디귿자 형상의 내측 고정홈(21')과 외측 고정홈(22')이 보강패드(13')의 길이방향에 가로로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고, 내측 고정홈(21')의 내측 인접영역에는 연결공(23')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내측이란 연결공(23')에 인접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외측이란 연결공(23')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내측 고정홈(21')에는 내측인입개구(21'a)가 결박띠(11')의 길이방향에 가로로 형성되어 있고, 내측인입개구(21'a)에는 한 쌍의 내측 걸림턱(21'b)이 내측 고정홈(21')과 외측 고정홈(22')에 삽입된 결박띠(11')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내측 걸림턱(21'b)의 걸림작용에 의해 내측 고정홈(21')에 삽입되는 결박띠(11')의 폭방향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내측 걸림턱(21'b)을 내측 고정홈(21')과 외측 고정홈(22')에 삽입된 결박띠(11')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형성함으로써, 결박띠(11')의 폭방향이탈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내측 고정홈(2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갖고 있는 내측 근접스토퍼톱니(21'c) 및 내측 이격스토퍼톱니(21'd)가 형성되어 있다.
외측 고정홈(22')에는 외측인입개구(22'a)가 내측인입개구(21'a)와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외측인입개구(22'a)에는 한 쌍의 외측 걸림턱(22'b)이 내측 고정홈(21')과 외측 고정홈(22')에 삽입된 결박띠(11')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외측 고정홈(22')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갖고 있는 내측 근접스토퍼톱니(22'c) 및 내측 이격스토퍼톱니(22'd)가 형성되어 있다.
도8 및 도9에 도시된 화물결속구와 같이 패드결합편(20')을 "ㅌ"자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화물을 고정하고 있는 결박띠(11')에 의해 패드결합편(20')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보강패드(13)를 결박띠(11)에 착탈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보강패드를 결박띠에 박음질 등의 방법으로 일체로 결합하여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복수개의 보강패드(13)를 결박띠(11)에 결합하여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결박띠의 긴장상태 감소량을 보강패드의 수축동작에 의해 감소시킴으로써, 비신축성 재질의 결박띠를 가지고 화물의 초기결박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결속구의 분해사시도,
도2는 도1의 패드결합편의 상세도면,
도3a 및 도3b는 각각 도1의 보강패드의 결합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결속구의 사용상태도,
도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물결속구의 사시도,
도6, 도7 및 도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물결속구의 사시도,
도9는 도8의 패드결합편의 상세도면,
도10은 종래의 화물결속구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111 : 결박띠 12, 112 : 차체고정부
12a, 112a :걸림쇠 12b, 112b : 이탈방지스토퍼
13 : 보강패드 20 : 패드결합편
21, 22 : 고정홈 30 : 패드결합부
31 : 연결링 32 : 걸고리
Claims (14)
- 비신축성재질의 결박띠와 상기 결박띠의 일단에 결합된 차체고정부를 가지고, 상기 결박띠를 통해 화물차의 개방형 짐칸에 탑재된 화물을 고정하는 데 사용하는 화물결속구에 있어서,신축성재질로 제작되고, 상기 결박띠에 의해 상기 화물이 고정될 때 상기 결박띠의 길이방향을 따라 신장될 수 있도록 일단은 상기 결박띠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결박띠와 상기 차체고정부중 어느 일방에 결합되는 보강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결속구.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보강패드의 일단을 상기 결박띠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고 타단을 상기 결박띠와 상기 차체고정부중 어느 일방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한 쌍의 패드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결속구.
- 제2항에 있어서,상기 한 쌍의 패드결합부중 적어도 어느 일방은 상기 결박띠에 결합된 연결링과, 상기 보강패드의 일단에 결합되고 개구영역을 탄성적으로 폐쇄하는 개폐편을 구비하는 걸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결속구.
- 제2항에 있어서,상기 한 쌍의 패드결합부중 적어도 어느 일방은 상기 보강패드의 길이방향에 가로로 형성되는 내측인입개구를 갖는 내측 고정홈과 상기 내측인입개구와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외측 인입개구를 갖는 외측 고정홈이 상기 보강패드의 길이방향에 가로로 형성되어 있는 패드결합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결속구.
- 제4항에 있어서,상기 내측 인입개구의 인접영역과 상기 외측 인입개구의 인접영역 중 적어도 어느 일방에는 상기 결박띠의 폭방향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결속구.
- 제5항에 있어서,상기 걸림턱은 상기 내측 고정홈과 상기 외측 고정홈에 삽입된 상기 결박띠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결속구.
- 제6항에 있어서,상기 걸림턱은 각각 경사면이 상호 마주보는 삼각형상단면을 갖도록 한 쌍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결속구.
- 제4항에 있어서,상기 걸림턱은 상기 걸림턱은 상기 내측 고정홈과 상기 외측 고정홈에 삽입된 상기 결박띠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결속구.
- 제4항에 있어서,상기 내측 고정홈의 내연부와 상기 외측 고정홈의 내연부중 적어도 어느 일방에는 상기 결박띠의 길이방향미끄럼이동을 저지할 수 있도록 스토퍼톱니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결속구.
- 제9항에 있어서,상기 스토퍼톱니는 상기 내측 고정홈과 상기 외측 고정홈에 대한 상기 결박띠의 진입각도와 인출각도가 증가되도록 외표면에 대하여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결속구.
- 제4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패드결합편은 "ㅌ"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결속구.
- 제11항에 있어서,상기 보강패드는 상기 결박띠에 의해 상기 화물이 고정될 때 상기 결박띠의 절곡영역에 포개지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결속구.
- 제2항에 있어서,상기 한 쌍의 패드결합부중 하나는 상기 차체고정부에 형성된 연결링부와, 상기 보강패드의 타단에 결합되고 개구영역을 탄성적으로 폐쇄하는 개폐편을 구비하는 걸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결속구.
- 제1항 내지 제10항 또는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보강패드는 상기 결박띠에 의해 상기 화물이 고정될 때 상기 결박띠의 절곡영역에 포개지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결속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16793U KR200398566Y1 (ko) | 2005-06-13 | 2005-06-13 | 화물결속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16793U KR200398566Y1 (ko) | 2005-06-13 | 2005-06-13 | 화물결속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98566Y1 true KR200398566Y1 (ko) | 2005-10-13 |
Family
ID=43699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16793U KR200398566Y1 (ko) | 2005-06-13 | 2005-06-13 | 화물결속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98566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36401B1 (ko) * | 2011-12-23 | 2013-12-04 | 조익철 | 화물 결속장치의 보조구 |
CN109980584A (zh) * | 2019-04-24 | 2019-07-05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线扎固定器及设有其的捆扎结构 |
-
2005
- 2005-06-13 KR KR20-2005-0016793U patent/KR200398566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36401B1 (ko) * | 2011-12-23 | 2013-12-04 | 조익철 | 화물 결속장치의 보조구 |
CN109980584A (zh) * | 2019-04-24 | 2019-07-05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线扎固定器及设有其的捆扎结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423644A (en) | Cargo tie-down having mechanical advantage | |
US8141212B2 (en) | Tie down tensioning device | |
US5325568A (en) | Tie-down device combining a looped strap and a snubbing clinch | |
US8776323B2 (en) | Cargo strap | |
US8695176B2 (en) | Adjustable tarp strap | |
US4796336A (en) | Two part buckle | |
US8286945B2 (en) | Ratchet mechanism | |
US7458238B2 (en) | Load binder locking device | |
US6648381B2 (en) | Trunk tie-down | |
US9254778B2 (en) | Adjustable cam buckle | |
US10882674B2 (en) | Tie-wrap assembly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 |
US20140373313A1 (en) | Device for anchoring a belt lock | |
KR200398566Y1 (ko) | 화물결속구 | |
US4867623A (en) | Ring fitting for dunnage track | |
US9009925B2 (en) | Load-strap tensioning device | |
EP2978635B1 (en) | Device for fastening a load strap | |
US4315350A (en) | Overcenter buckle | |
US20180187703A1 (en) | Tie-wrap assembly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 |
US20110167600A1 (en) | Load binder | |
US9914385B1 (en) | Lead strap and pulley tie down assembly | |
US20140150222A1 (en) | Strap for securing cargo on a vehicle | |
US20230112038A1 (en) | Tie down strap assembly including a plurality of anchor points | |
AU2015100070A4 (en) | A cargo buckle | |
TWI618872B (zh) | Knot | |
WO2007045314A1 (de) | Schlos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930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