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5869A - 위생 세정 장치 - Google Patents

위생 세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5869A
KR20080095869A KR1020087018968A KR20087018968A KR20080095869A KR 20080095869 A KR20080095869 A KR 20080095869A KR 1020087018968 A KR1020087018968 A KR 1020087018968A KR 20087018968 A KR20087018968 A KR 20087018968A KR 20080095869 A KR20080095869 A KR 200800958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cleaning
toilet seat
cover
wash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8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4428B1 (ko
Inventor
도루 우에노
료우이치 고가
도모코 이시다
야스히로 구니키
가오리 하야시
가즈야 곤도
유지 야마모토
히로유키 센다
히데키 야마카와
신지 후지이
미츠히로 후쿠다
도미오 아리카와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6125525A external-priority patent/JP498462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125526A external-priority patent/JP533802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125527A external-priority patent/JP494074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21687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8038535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216874A external-priority patent/JP494081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21688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8038536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240996A external-priority patent/JP510383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24521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8063894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26404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8082044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264046A external-priority patent/JP4940862B2/ja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80095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5869A/ko
Publication of KR101104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44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30Seats having provisions for heating, deodorising or the like, e.g. ventilating, noise-damping or cleaning devices
    • A47K13/305Seats with he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50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 B05B15/55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using cleaning fluids
    • B05B15/555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using cleaning fluids discharged by cleaning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70Arrangements for moving spray heads automatically to or from the working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위생 세정 장치는 세정수를 분출하는 노즐 장치를 구비한다. 노즐 장치의 노즐 본체는, 둔부 세정 유로, 비데 세정 유로, 노즐 세정 유로, 둔수 세정 분출구, 비데 세정 분출구 및 노즐 세정 분출구를 갖는다. 노즐 본체를 덮도록 통형상의 노즐 커버에 마련된다. 노즐 커버는 노즐 본체의 둔부 세정 분출구에 대응하는 둔부 세정 개구 및 노즐 세정 분출구에 대응하는 노즐 세정 개구를 갖는다. 노즐 본체의 둔부 세정 분출구로부터 분출하는 세정수가 노즐 커버의 둔부 세정 개구를 통해서 분출되도록, 노즐 본체와 노즐 커버가 서로 미끄럼 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Description

위생 세정 장치{SANITARY WASHING DEVICE}
본 발명은 인체의 국부를 세정하는 노즐 장치를 구비한 위생 세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인체의 국부에 세정수를 분출하는 노즐 장치를 구비한 위생 세정 장치가 개발되어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1 참조).
도 50은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종래의 노즐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0에서, 노즐 장치는 제 1 노즐(1) 및 제 2 노즐(4)을 구비한다. 제 1 노즐(1)은 선단부에 제 1 분출구(2)를 갖고, 근원부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제 1 세정수 공급구(3)를 갖는다. 제 1 분출구(2) 및 제 1 세정수 공급구(3)는 제 1 유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연통되어 있다. 제 2 노즐(4)은 선단부에 제 2 분출구(5)를 갖고, 근원부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제 2 세정수 공급구(6)를 갖는다. 제 2 분출구(5)와 제 2 세정수 공급구(6)는 제 2 유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연통된다.
제 2 노즐(4)은 제 1 노즐(1)을 수납하도록 마련되고, 제 1 노즐(1)과 제 2 노즐(4)이 대기 위치와 개별적인 세정 위치 사이에서 진퇴 가능하게 마련된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0-8454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노즐 장치에서는, 제 1 노즐(1) 및 제 2 노즐(4)은 각각 제 1 및 제 2 분출구(2, 5)를 개별적으로 갖고, 제 1 및 제 2 세정수 공급구(3, 6)를 개별적으로 갖는다. 그 때문에, 제 1 및 제 2 노즐(1, 4)의 구조가 복잡함과 아울러, 세정수를 공급하기 위해서 제 1 및 제 2 세정수 공급구(3, 6)에 접속되는 호스 처리 등도 복잡하게 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노즐(1, 4)의 가공성이 나쁘다. 또한, 노즐 장치 전체의 구조가 복잡하게 되고, 조립성이 나빠서 비용이 높아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성으로 복수의 세정 기능이 실현됨과 아울러, 소형화 및 저비용화가 가능한 위생적인 노즐 장치를 구비한 위생 세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1) 본 발명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는 세정수를 분출하는 노즐 장치를 구비하고, 노즐 장치는 세정수를 분출하는 복수의 분출구 및 복수의 분출구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유로를 갖는 노즐 본체와, 노즐 본체의 적어도 1개의 분출구에 대응하는 분출 개구를 갖고, 노즐 본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통형상의 노즐 커버를 포함하며, 노즐 본체의 적어도 1개의 분출구로부터 분출하는 세정수가 노즐 커버의 분출 개구를 통해서 분출되도록, 노즐 본체와 노즐 커버가 서로 미끄럼 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다.
그 위생 세정 장치에 있어서는, 복수의 분출구 및 유로는 노즐 본체에 집약해서 마련되고, 노즐 커버에는 분출 개구가 마련된다. 그에 따라, 노즐 커버가 간단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노즐 장치의 전체가 소형이고 간단한 구성을 갖는다.
또한, 노즐 본체와 노즐 커버가 서로 미끄럼 운동함으로써, 노즐 본체의 적어도 1개의 분출구와 노즐 커버의 분출 개구가 위치 맞춰지고, 그 분출구로부터 분출하는 세정수가 노즐 커버의 분출 개구를 통해서 사용자의 국부에 분출된다. 이때, 노즐 본체의 분출구의 근방은 노즐 커버로 덮여져 있기 때문에, 더러운 세정수로 노즐 본체가 오염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노즐 본체가 위생적으로 유지된다.
이들 결과, 간단한 구성으로 복수의 세정 기능이 실현됨과 아울러, 소형화 및 저비용화가 가능한 위생적인 노즐 장치를 구비한 위생 세정 장치가 제공된다.
(2) 노즐 본체 및 노즐 커버는 수납 위치 및 복수의 세정 위치의 사이를 진퇴 가능하게 구성되고, 노즐 본체는 적어도 하나의 세정 위치에 있어서 노즐 커버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를 가져도 좋다.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세정 위치에 있어서 노즐 본체의 돌출부가 노즐 커버로부터 돌출한다. 그에 따라, 노즐 커버의 영향을 받지 않고 노즐 본체로부터 직접 세정수를 사용자의 국부에 분출할 수 있다. 따라서, 노즐 본체를 복잡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함과 아울러, 특수한 분출 형태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3) 노즐 본체의 돌출부는 노즐 본체의 다른 부분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져도 좋다.
이 경우, 작은 단면적을 갖는 돌출부가 노즐 커버로부터 돌출하고, 다른 부분은 노즐 커버에 의해 덮여진다. 그에 따라, 노즐 커버의 외부에 노출하는 노즐 본체의 부분이 작기 때문에, 노즐 본체의 오염을 저감할 수 있다.
(4) 복수의 분출구는 둔부를 세정하는 세정수를 분출하는 둔부 세정 분출구와, 여성의 국부를 세정하는 세정수를 분출하는 비데 세정 분출구와, 노즐 본체 및 노즐 커버를 세정하는 세정수를 분출하는 노즐 세정 분출구를 포함해도 좋다.
이 경우, 둔부 세정, 비데 세정 및 노즐 세정을 공통적인 노즐 본체의 상이한 분출구로부터 분출되는 세정수로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위생적으로 청결감을 줄 수 있다.
(5) 노즐 본체의 돌출부는 비데 세정 분출구를 가져도 좋다.
이 경우, 노즐 커버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에 비데 세정 분출구가 마련되기 때문에, 비데 세정 분출구를 세정 대상에 가깝게 하여 세정수를 분출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섬세한 분출 형태가 요구되는 비데 세정에 있어서의 세정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비데 세정 분출구가 노즐 커버로부터 돌출한 상태에서 세정수를 분출하기 때문에, 최적의 분출 형태를 실현할 수 있다.
(6) 노즐 커버의 분출 개구는 둔부 세정 분출구에 대응하는 둔부 세정 개구와, 노즐 세정 분출구에 대응하는 노즐 세정 개구를 포함해도 좋다.
이 경우, 노즐 커버에 둔부 세정 개구 및 노즐 세정 개구가 개별적으로 마련되기 때문에, 둔부 세정 개구 및 노즐 세정 개구를 임의의 위치 및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노즐 본체의 둔부 세정 분출구 및 노즐 세정 분출구의 위치, 형상 및 분출 형상을 각각 최적으로 설계할 수 있다. 따라서, 둔부 세정 분출구 및 노즐 세정 분출구의 설계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어, 높은 세정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7) 노즐 커버는 내식성의 금속 재료로 형성되어도 좋다.
이 경우, 노즐 커버에 오염물이 부착하기 어렵게 됨과 아울러, 노즐 커버에 부착한 오염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노즐 커버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8) 노즐 장치는 노즐 본체의 돌출부의 적어도 일부의 외면을 덮는 내식성의 금속 재료로 형성되는 커버 부재를 더 포함해도 좋다.
이 경우,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커버 부재로 덮여진 돌출부에는 오염물이 부착하기 어렵게 됨과 아울러, 커버 부재에 부착한 오염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노즐 본체의 돌출부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9) 위생 세정 장치는 노즐 장치의 유로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수 공급계와, 노즐 장치 및 세정수 공급계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와, 변기의 상면에 탑재되는 변좌를 더 구비해도 좋다.
이 경우, 제어 장치에 의해 노즐 장치 및 세정수 공급계가 제어되고, 세정수 공급계에 의해 노즐 장치의 노즐 본체의 유로에 세정수가 공급된다. 그에 따라, 변좌에 착좌한 사용자의 국부에 노즐 장치의 노즐 본체로부터 세정수가 분출된다.
노즐 장치의 노즐 본체는 노즐 커버로 덮여지기 때문에, 국부의 세정에 의해 더러워진 세정수로 노즐 본체가 오염되는 것이 방지된다. 게다가, 노즐 장치가 소형이고 간단한 구성을 갖기 때문에, 위생 세정 장치가 소형이고 간단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위생적으로 사용 상황이 좋은 위생 세정 장치가 제공된다.
(10) 노즐 장치는, 노즐 본체와 노즐 커버를 연결하는 연결 기구와, 노즐 본체, 노즐 커버 및 연결 기구를 수납하는 노즐 가이드와, 노즐 본체를 진퇴시키는 구동 기구를 더 포함하고, 노즐 본체는, 노즐 가이드에 미끄럼 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노즐 본체의 대략 전체가 노즐 가이드 내에 수납되는 수납 위치와 노즐 본체의 일부가 노즐 가이드로부터 돌출하는 복수의 세정 위치 사이를 구동 기구에 의해 이동되고, 노즐 커버는, 수납 위치와 적어도 하나의 세정 위치 사이를 연결 기구를 거쳐서 노즐 본체에 연동해도 좋다.
이 경우, 노즐 본체가 구동 기구에 의해 노즐 가이드에 대하여 미끄럼 운동함으로써, 수납 위치와 적어도 하나의 세정 위치 사이를 노즐 커버가 연결 기구를 거쳐서 노즐 본체에 연동한다. 또한, 수납 위치와 적어도 하나의 세정 위치 사이의 범위 밖에서는, 노즐 본체가 단독으로 노즐 가이드에 대하여 미끄럼 운동한다. 그에 따라, 공통적인 구동 기구로 노즐 본체 및 노즐 커버가 각각의 최적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노즐 장치의 소형화 및 저비용화가 가능해진다.
(11) 연결 기구는, 노즐 본체 및 노즐 커버의 한쪽에 마련되는 연결 부재와, 노즐 본체 및 노즐 커버의 다른쪽에 마련되어, 연결 부재가 연결 가능한 제 1 및 제 2 연결 부재를 갖는 연결 수부와, 제 1 연결 위치와 제 2 연결 위치의 범위 밖으로의 연결 부재의 이동을 규제하는 이동 규제 기구를 포함해도 좋다.
이 경우, 제 1 및 제 2 연결 위치에서 연결 부재가 연결 수부와 연결 가능하게 되어, 노즐 커버가 노즐 본체와 연동할 수 있다. 또한, 제 1 연결 위치와 제 2 연결 위치의 범위 밖으로의 연결 부재의 이동이 이동 규제 기구에 의해 규제된다. 그에 따라, 연결 기구의 신뢰성 및 내구성이 확보됨과 아울러, 노즐 장치의 소형화 및 저비용화가 가능하게 된다.
(12) 노즐 본체의 복수의 분출구는, 적어도 인체의 국부를 세정하는 세정수를 분출하는 국부 세정 분출구와, 노즐 본체의 외면 및 노즐 커버의 외면을 세정하는 세정수를 분출하는 노즐 세정 분출구를 포함해도 좋다.
이 경우, 국부 세정에 있어서 오수 또는 오물로 오염된 노즐 본체의 외면 및 노즐 커버의 외면이, 노즐 본체의 노즐 세정 분출구로부터 분출되는 세정수로 세정된다. 그에 따라, 셀프 클리닝 기구를 소형이고 간단한 구성으로 실현될 수 있다. 그 결과, 위생적인 노즐 장치가 제공된다.
(13) 노즐 장치는, 노즐 본체 및 노즐 커버를 수납하는 노즐 가이드와, 노즐 커버의 외면을 세정하는 세정수를 분출하는 커버 세정 분출구 및 커버 세정 분출구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커버 세정 유로를 갖는 커버 세정 부재를 더 포함하고, 노즐 본체의 복수의 분출구는, 적어도 인체의 국부를 세정하는 세정수를 분출하는 국부 세정 분출구와, 노즐 본체의 외면을 세정하는 세정수를 분출하는 노즐 세정 분출구를 포함해도 좋다.
이 경우, 커버 세정 부재의 커버 세정 유로를 통해서 세정수가 공급되어, 커버 세정 분출구로부터 분출된다. 그에 따라, 노즐 커버의 외면 및 노즐 가이드의 내면이 세정된다. 또한, 노즐 본체의 노즐 세정 분출구로부터 세정수가 분출된다. 그에 따라, 노즐 본체의 외면 및 노즐 가이드의 내면이 세정된다.
이렇게 해서, 국부 세정에 있어서 오수 또는 오물로 오염된 노즐 커버의 외면, 노즐 본체의 외면 및 노즐 가이드의 내면이, 커버 세정 분출구 및 노즐 세정 분출구로부터 분출되는 세정수로 세정된다. 그에 따라, 셀프 클리닝 기구를 소형이고 간단한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그 결과, 위생적인 노즐 장치가 제공된다.
(14) 노즐 장치는, 노즐 본체 및 노즐 커버를 수납하는 노즐 가이드와, 노즐 가이드 내에 노즐 본체 및 노즐 가이드가 수납되는 수납 위치와 노즐 가이드로부터 노즐 본체 및 노즐 커버가 돌출하는 복수의 세정 위치와의 사이를 노즐 본체 및 노즐 커버를 진퇴시키는 구동 기구를 더 포함하고, 노즐 본체의 복수의 분출구는, 적어도 인체의 국부를 세정하는 세정수를 분출하는 국부 세정 분출구와, 노즐 본체 및 노즐 커버를 세정하는 세정수를 분출하는 노즐 세정 분출구를 포함하며, 수납 위치에서 노즐 세정 분출구로부터 세정수가 분출되어, 복수의 세정 위치에서 국부 세정 분출구로부터 세정수가 분출되고, 노즐 청소시에 복수의 세정 위치에서 국부 세정 분출구로부터 세정수가 분출됨과 아울러 노즐 세정 분출구로부터 세정수가 분출되어도 좋다.
이 경우, 국부의 세정시에는, 복수의 세정 위치에서 국부 세정 분출구로부터 각각의 세정에 최적의 상태에서 세정수가 분출되어, 사용자의 국부가 쾌적하게 세정된다. 또한, 노즐 세정시에는, 노즐 본체 및 노즐 커버가 수납 위치에 수납된 상태에서, 노즐 세정 분출구로부터 세정수가 분출된다. 그에 따라, 국부의 세정시에 노즐 본체 및 노즐 커버에 부착한 통상의 오염이 세정된다.
한편, 노즐 장치의 장기간 사용 후의 노즐 청소시에는, 노즐 본체 및 노즐 커버가 노즐 가이드로부터 돌출한 상태에서, 국부 세정 분출구 및 노즐 세정 분출구로부터 세정수가 분출된다. 이때, 사용자는 블러쉬 등의 청소 도구를 사용하여 노즐 본체의 외면 및 노즐 커버의 외면을 청소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세정수를 흘리면서 노즐 본체 및 노즐 커버를 청소함으로써, 박리된 오염물을 적접 변기에 흘릴 수 있음과 아울러, 박리된 오염물이 분출구 또는 노즐 본체와 노즐 커버 사이의 간극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노즐 본체 및 노즐 커버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15) 노즐 본체의 복수의 분출구는, 적어도 인체의 국부를 세정하는 세정수를 분출하는 국부 세정 분출구를 포함하고, 국부 세정 분출구는, 제 1 개구 면적을 갖는 상류 측의 대공부(大孔部)와, 제 1 개구 면적보다 작은 제 2 개구 면적을 갖는 하류 측의 소공부(小孔部)로 이루어져도 좋다.
이 경우, 국부 세정 분출구의 대공부와 소공부 사이에 모서리 부분이 형성된다. 그에 따라, 세정수가 국부 세정 분출구의 대공부 및 소공부를 통과할 때에, 세정수 흐름의 박리가 일어나기 쉬워져, 세정수가 단속류로 된다. 이렇게 해서, 세정수가 단속적으로 국부에 쏘여짐으로써, 세정력이 높아짐과 아룰러, 인체에 강한 세정감이 생긴다. 그 결과, 사용자에게 만족감을 줄 수 있다.
(16) 노즐 본체의 복수의 분출구 중 적어도 하나는, 노즐 본체의 대략 중심축 상에 배치되고, 노즐 본체의 유로는 노즐 본체의 중심축보다 편심한 위치에 배치되며, 유로는 적어도 하나의 분출구의 근방에서 만곡하는 만곡부를 거쳐서 적어도 하나의 분출구에 연통하여, 만곡부에 그 만곡부와 동심의 정류벽이 배치되어도 좋다.
이 경우, 세정수가 노즐 본체의 중심축보다 편심한 위치에 배치된 유로 및 만곡부를 통해서 적어도 하나의 분출구에 공급된다. 그에 따라, 세정수가 노즐 본체의 대략 중심축의 위쪽을 향해서 분출된다. 따라서, 노즐 본체의 대략 중심축의 위쪽에 있는 사용자의 국부에 확실히 세정수를 쏘이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높은 세정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17) 위생 세정 장치는, 노즐 장치의 유로에 공급되는 세정수를 저류하는 탱크 본체를 갖는 세정수 탱크를 더 구비하고, 탱크 본체는, 개구 가장자리부 및 면구성부로 이루어지는 상부 부재와, 개구 가장자리부 및 면구성부로 이루어지는 하부 부재를 포함하며, 상부 부재의 개구 가장자리부와 하부 부재의 개구 가장자리부가 서로 접합되어,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의 접합부는, 탱크 본체의 바닥면에 대하여 경사하는 접합면을 형성하고, 상부 부재 및 하부 부재의 개구 가장자리부의 적어도 일부에 면구성부보다 큰 두께를 갖는 보강 가장자리부가 마련되어도 좋다.
이 경우, 탱크 본체를 구성하는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의 접합부의 길이가 길어진다. 그에 따라, 접합부에 보강 가장자리부가 긴 범위에 걸쳐서 마련된다. 그에 따라, 탱크 본체의 강도가 향상한다.
(18) 위생 세정 장치는, 변기의 상면에 탑재되는 변기와, 변좌로의 사용자의 착좌를 검지하는 착좌 검지 스위치를 더 구비하고, 변좌는 회동축을 갖고, 착좌 검지 스위치는, 변좌의 회동축이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지지 구멍을 갖는 가동 부재와, 가동 부재를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와, 가동 부재의 위쪽으로 지지대에 마련된 스위치와, 가동 부재를 위쪽으로 가압(付勢)하는 가압 부재를 포함하고, 가동 부재는, 변좌의 회동축의 상하 이동으로 연동하여 상하 이동함으로써 스위치를 개폐하도록 마련되어도 좋다.
이 경우, 사용자가 변좌에 착좌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가동 부재가 가압 부재에 의해 위쪽으로 가압된다. 그에 따라, 가동 부재에 의해 스위치가 일정한 힘으로 눌려져, 스위치가 열린다. 사용자가 변좌에 착좌한 상태에서는, 가동 부재가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그에 따라, 가동 부재가 스위치로부터 이격하여, 스위치가 닫힌다.
여기서, 스위치에 가해지는 가압력은 가압 부재에 의한 항상 일정한 가압력이기 때문에, 이상한 가압력에 의해 스위치가 파손하는 일이 없다. 또한, 변좌로의 착좌시에는, 가동 부재가 스위치로부터 이간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자체를 움직임으로써 가동 부재가 다소 상하로 이동하더라도, 스위치의 개폐 상태에 영향을 줄 수 없다. 따라서, 스위치의 오조작이 방지된다.
(19) 위생 세정 장치는, 변기의 상면에 탑재되는 변좌와, 변좌를 가열하는 변좌 히터와, 세정수를 가열하는 온수 히터와, 변좌 히터 및 온수 히터를 포함하는 전기 부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와, 상용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전기 부하에 공급하는 전력 공급계와, 전기 부하의 누전을 검지하는 누전 검지기와, 누전 검지기에 의해 누전이 검지된 경우에, 전력 공급계에 의한 적어도 변좌 히터 및 온수 히터로의 전력의 공급을 차단하는 차단기와, 누전 검지기에 의해 누전이 검지된 경우에, 누전의 검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구비해도 좋다.
위생 세정 장치의 전기 부하에 누전이 발생한 경우, 누전 검지기에 의해 누전이 검지된다. 그 경우, 전력 공급계에 의한 적어도 변좌 히터 및 온수 히터로의 전력의 공급이 차단기에 의해 차단됨과 아울러, 누전의 검지가 표시부에 의해 표시된다. 그에 따라, 누전시의 안전성이 확보되고, 또한 위생 세정 장치에 누전이 발생하고 있는 취지가 사용자에게 보지된다. 이렇게 해서,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누전의 발생을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위험성 배제의 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20) 위생 세정 장치는, 변기의 상면에 탑재되는 변좌와, 변좌를 가열하는 변좌 히터와, 변좌 히터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와, 사용자의 존재를 검지하는 인체 검지기를 더 구비하고, 제어 장치는, 인체 검지기에 의해 사용자의 존재가 검지된 경우에, 변좌가 설정 온도로 가열되도록 변좌 히터를 가열해도 좋다.
인체 검지부에 의해 사용자의 존재가 검지된 경우에, 변좌가 설정 온도로 가열되도록 변좌 히터가 구동된다. 그에 따라, 변좌가 쾌적한 온도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가열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변좌에 쾌적하게 착좌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복수의 세정 기능이 실현됨과 아울러, 소형화 및 저비용화가 가능한 위생적인 노즐 장치를 구비한 위생 세정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를 변기에 설치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위생 세정 장치의 제어계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노즐 장치의 전체적인 외관 사시도,
도 4는 노즐 장치의 위쪽 케이스를 뺀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노즐 장치의 둔부 세정 위치에서의 사시도,
도 6은 노즐 장치의 비데 세정 위치에서의 사시도,
도 7은 노즐 유닛의 선단부의 상세 단면도,
도 8은 도 7의 A-A 단면도,
도 9는 도 7의 B-B 단면도,
도 10은 노즐 본체의 외관 사시도,
도 11은 노즐 본체의 노즐 덮개를 분리한 상태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노즐 커버의 사시도,
도 13은 노즐 커버의 분해 사시도,
도 14는 노즐 장치의 구동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15는 노즐 장치의 구동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16은 노즐 장치의 구동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17은 노즐 본체에 의해 노즐 커버를 견인 이동시키는 연결 기구의 상세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18은 노즐 본체에 의해 노즐 커버를 견인 이동시키는 연결 기구의 상세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19는 노즐 본체에 의해 노즐 커버를 견인 이동시키는 연결 기구의 상세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20은 노즐 본체에 의해 노즐 커버를 견인 이동시키는 연결 기구의 상세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21은 노즐 본체에 의해 노즐 커버를 견인 이동시키는 연결 기구의 상세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22는 노즐 본체에 의해 노즐 커버를 견인 이동시키는 연결 기구의 상세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23은 노즐 본체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4는 노즐 장치의 다른 예에 있어서의 커버 세정 유로 및 커버 세정 분출구의 주요부의 단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5는 노즐 장치의 다른 예에 있어서의 노즐 세정 유로 및 노즐 세정 분출구의 주요부의 단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6은 위생 세정 장치의 본체의 위쪽 케이스를 뺀 상태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7은 세정수 탱크의 외관 사시도,
도 28은 세정수 탱크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9는 세정수 탱크의 단면도,
도 30은 도 28에서의 C-C 단면도,
도 31은 정류 부재가 분리된 상태에서의 세정수 탱크(116)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2는 정류 부재를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
도 33은 탱크 본체의 접합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
도 34는 위생 세정 장치를 기립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5는 탱크 본체의 접합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
도 36은 세정수 탱크 및 관련 부분을 포함하는 탱크 유닛의 사시도,
도 37은 위생 세정 장치의 본체 내부의 조립 도중 상태의 사시도,
도 38은 착좌 검지 스위치의 단면도,
도 39는 도 1의 조작부의 상세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0은 위생 세정 장치의 회로 구성의 제 1 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41은 위생 세정 장치의 회로 구성의 제 2 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42는 리모콘의 정면도,
도 43은 위생 세정 장치의 회로 구성의 제 3 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44는 변좌의 분해 사시도,
도 45는 상부 변좌 케이싱을 아래쪽에서 본 도면,
도 46은 하부 변좌 케이싱을 위쪽에서 본 도면,
도 47은 도 44의 U-U선에서의 상부 변좌 케이싱의 확대 단면도,
도 48은 변좌 히터의 구동예 및 착좌부의 표면 온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
도 49는 전열선을 이용한 착좌부의 가열 유닛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50은 종래의 노즐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위생 세정 장치
(1-1) 위생 세정 장치(10)의 외관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를 변기에 설치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은 위생 세정 장치(10)는 변기(도시하지 않음) 상에 장착되어 사용된다. 위생 세정 장치(10)는 뒷부분에 본체(12)를 갖고, 본체(12)가 변기에 고정된다. 본체(12)에는 변좌(13) 및 변기 덮개(14)가 회동 자유롭게 부착된다. 본체(12)의 아래부분에는, 세정수를 분출하여 인체의 국부를 세정하는 노즐 장치(15)가 마련된다. 화장실의 벽면 등에는, 본체(12)와 통신을 행하는 리모콘(40)이 장착된다.
본체(12)의 내부에는, 노즐 장치(15)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수 공급계, 세정 후의 국부를 건조하는 건조 장치, 변좌(13) 및 변기 덮개(14)를 개폐하는 변좌 변기 덮개 개폐 장치, 탈취 장치, 및 위생 세정 장치(10)의 전체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700) 등의 기능 요소가 마련된다. 세정수 공급계는 세정수를 저류하는 세정수 탱크, 및 세정수의 공급 및 정지 등을 행하는 개폐 밸브를 포함한다.
본체(12) 내의 기능 요소는 아래쪽 케이스(도시하지 않음) 상에 배치되고, 위쪽 케이스(12a)에 의해 위쪽부터 덮여져 있다. 또한, 본체(12)의 옆쪽에는 조작부(11)가 일체적으로 마련된다.
(1-2) 위생 세정 장치(10)의 제어계
도 2는 도 1의 위생 세정 장치(11)의 제어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 장치(700)에는, 입실 센서(600), 착좌 검지 스위치(200), 조작부(11) 및 누전 차단기(300)가 접속된다. 또한, 제어 장치(700)는 리모콘(40)과 적외선 통신을 행한다. 제어 장치(700)는 노즐 장치(15), 세정수 탱크(116), 건조 장치(120), 탈취 장치(162), 변좌 변기 덮개 개폐 장치(163) 및 변좌(13)를 제어한다. 제어 장치(700)는 예를 들어 기억부를 내장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로 이루어진다.
착좌 검지 스위치(2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체(12) 내에 장착된다. 또한, 누전 차단기(300), 제어 장치(700), 세정수 탱크(116), 건조 장치(120), 탈취 장치(162) 및 변좌 변기 덮개 개폐 장치(163)는 본체(12) 내에 마련된다.
또한, 조작부(11) 및 리모콘(40)은 동일한 기능을 가져도 좋고, 조작부(11) 및 리모콘(40)이 상이한 기능을 가져도 좋다. 또한, 조작부(11) 및 리모콘(40) 중 어느 한쪽만이 마련되어도 좋다.
(1-3) 위생 세정 장치(10)의 개략 동작
변좌(13)는 미리 대기 온도(예를 들면, 약 18℃)로 보온되어 있다. 또한, 세정수가 미리 세정에 최적의 온도로 가열되어 세정수 탱크(116)에 저류되어 있다.
사용자가 화장실에 입실하면, 입실 센서(600)가 사용자의 입실을 검지한다. 그에 따라, 사용자의 입실을 나타내는 신호가 제어 장치(700)에 송신된다.
제어 장치(700)는 입실 센서(600)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사용자의 화장실로의 입실을 검지한다. 그래서, 제어 장치(700)는 변좌(13)의 측정 온도값, 및 기억부에 기억된 히터 제어 패턴에 근거하여 변좌(13)의 변좌 히터를 구동한다. 그에 따라, 변좌(13)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로 순간적으로 상승된다. 제어 장치(700)가 변좌 히터를 구동하고 있을 때에는, 세정수 탱크(116)의 온수 히터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 또는 억제하고, 위생 세정 장치(11)의 전체의 통전 용량을 전원 회로의 용량(예를 들면, 15A) 이하로 억제한다. 또한, 변좌 변기 덮개 개폐 장치(163)에 의해 변기 덮개(14)가 위쪽으로 열린다.
사용자가 변좌(13)에 착좌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착좌 검지 스위치(200)는 사용자가 착좌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제어 장치(700)에 송신하지 않는다. 이 경우, 제어 장치(700)는 노즐 장치(15), 건조 장치(120), 탈취 장치(162) 및 변좌(13)를 동작시키지 않는다.
사용자가 변좌(13)에 착좌한 경우에는, 착좌 검지 스위치(200)는 사용자가 착좌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제어 장치(700)에 송신한다. 이 경우, 제어 장치(700)는 탈취 장치(162)를 동작시킴과 아울러, 노즐 장치(15) 및 건조 장치(120)를 동작 가능 상태로 한다.
사용자가 조작부(11) 또는 리모콘(40)을 이용하여 국부 세정의 조작을 행하면, 노즐 장치(15)가 세정수를 분출한다. 노즐 장치(15)의 상세한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그에 따라, 국부의 세정이 행해진다. 사용자가 세정 종료의 조작을 행하면, 노즐 장치(15)에 의한 세정 동작이 종료한다.
사용자가 조작부(11) 또는 리모콘(40)을 이용하여 건조의 조작을 행하면, 제어 장치(700)는 건조 장치(120)를 동작시킨다. 그에 따라, 온풍이 건조 장치(120)의 온풍 송풍구로부터 사용자의 국부를 향해서 송풍된다. 사용자가 건조 종료의 조작을 행하면, 건조 장치(120)가 정지한다.
누전 차단기(300)는 누전을 검출한 경우에, 제어 장치(700), 노즐 장치(15), 세정수 탱크(116), 건조 장치(120), 탈취 장치(162), 변좌 변기 덮개 개폐 장치(163) 및 변좌(13)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한다.
(2) 노즐 장치
(2-1) 노즐 장치(15)의 전체적인 구성
도 3은 노즐 장치의 전체적인 외관 사시도, 도 4는 노즐 장치의 위쪽 케이스를 뺀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노즐 장치의 둔부 세정 위치에서의 사시도, 도 6은 노즐 장치의 비데 세정 위치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즐 장치(15)는 수지 재료로 성형한 케이싱(16)을 갖는다. 케이싱(16)은 상하로 분리 가능한 위쪽 케이스(17)와 아래쪽 케이스(18)로 구성된다. 도 4에는, 위쪽 케이스(17)가 분리된 상태가 도시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아래쪽 케이스(18)의 중앙부에 대략 원통형의 노즐 가이드(19)가 형성된다. 노즐 가이드(19)의 한쪽 단에는 선단 개구(20)가 마련된다. 노즐 가이드(19) 내에는 원통형의 노즐 유닛(21)이 미끄럼 운동할 수 있게 마련된다.
노즐 유닛(21)은 대략 원통형의 노즐 본체(22)와, 노즐 본체(22)를 수용하는 대략 원통 형상의 노즐 커버(23)와, 노즐 본체(22)로 노즐 커버(23)를 견인하기 위한 연결 기구(24)를 구비한다.
노즐 유닛(21)은 노즐 가이드(19) 내에 수용된 수납 위치(도 3 및 도 4의 위치)와, 선단 개구(20)로부터 돌출한 세정 위치(도 5의 둔부 세정 위치 및 도 6의 비데 세정 위치) 사이를 진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노즐 가이드(19)의 선단 개구(20)의 근방에는, 큰 내경을 갖는 세정 확대부(40a)가 형성된다. 세정 확대부(40a)는 노즐 유닛(21)의 수납 형태로 둔부 세정 분출구(31) 및 노즐 세정 분출구(33)(후술하는 도 9)를 충분히 커버하는 깊이를 가진다. 세정 확대부(40a)의 내경은 노즐 커버(23)의 외면과의 사이에 대략 전체 둘레에 걸쳐서 근소한 간극을 형성하는 치수로 설정된다. 그에 따라, 간극에 노즐 세정용 세정수가 유통 가능하게 된다. 또한, 세정 확대부(40a)의 하부에는 세정수를 배출하는 배수구(41)가 형성된다.
케이싱(16)의 노즐 가이드(19)는 노즐 본체(22), 노즐 커버(23) 및 연결 기구(24)로 이루어지는 노즐 유닛(21)을 수용한다. 노즐 가이드(19)의 뒷부분에는 노즐 커버(23)의 외경보다 약간 큰 내경을 가진다. 즉, 노즐 커버(23)와 노즐 가이드(19)는 서로 원활하게 미끄럼 운동 가능한 치수 관계를 가진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즐 가이드(19)의 선단 개구(20)의 상부에, 상하로 회동 자유로운 노즐 셔터(42)가 장착된다. 노즐 유닛(21)이 노즐 가이드(19)에 수납된 도 3의 상태에서, 노즐 셔터(42)는 선단 개구(20)를 폐색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즐 유닛(21)이 세정 위치로 전진하면, 노즐 셔터(42)는 노즐 유닛(21)의 선단에 의해 눌림으로써 위쪽으로 열린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즐 유닛(21)이 노즐 가이드(19)에 수납되면, 노즐 셔터(42)는 자체 하중으로 아래쪽으로 회동하여 닫힌다.
(2-2) 노즐 유닛(21)의 구성
도 7은 노즐 유닛(21)의 선단부의 상세 단면도, 도 8은 도 7의 A-A 단면도, 도 9는 도 7의 B-B 단면도, 도 10은 노즐 본체(22)의 외관 사시도, 도 11은 노즐 본체(22)의 노즐 덮개를 분리한 상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즐 본체(22)의 내부에는, 둔부 세정 유로(28), 비데 세정 유로(29) 및 노즐 세정 유로(30)가 형성된다. 노즐 본체(22) 내에 3개의 유로를 형성하기 위해서, 둔부 세정 유로(28) 및 노즐 세정 유로(30)는 노즐 본체(22)의 중심면에 관하여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고, 비데 세정 유로(29)는 노즐 본체(22)의 중심축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된다. 노즐 본체(22)의 하면에는,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서 톱니 형상의 랙(34)이 형성된다(후술하는 도 14 내지 도 16 참조).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즐 본체(22)의 베이스부는 대경부(大徑部)(25)로 이루어지고, 선단부는 비데 노즐부(26)로 이루어진다(도 10 참조). 대경부(25)는 비데 노즐부(26)보다 큰 외형을 가진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경부(25)의 중심 위치와 비데 노즐부(26)의 중심 위치는 상이하여, 비데 노즐부(26)는 대경부(25)의 하부에 배치된다.
대경부(25)는 노즐 커버(23)의 내경보다 약간 작은 외경을 가진다. 대경부(25)의 외경은 도 5 및 도 6의 노즐 본체(22)와 노즐 커버(23)가 서로 원활하게 미끄럼 운동 가능한 치수로 설정된다. 노즐 본체(22)는 수지 재료로 성형된다. 비데 노즐부(26)의 전체가 스테인리스제의 커버(27)로 덮여진다.
둔부 세정 유로(28)는 노즐 본체(22)의 베이스부로부터 대경부(25)의 선단부 근방까지 연장해 있다. 둔부 세정 유로(28)의 선단은 대경부(25)의 상면의 둔부 세정 분출구(31)에 연통해 있다. 비데 세정 유로(29)는 노즐 본체(22)의 베이스부로부터 대경부(25)의 비데 노즐부(26)의 대략 선단부까지 연장해 있다. 비데 세정 유로(29)의 선단은 비데 노즐부(26)의 상면의 복수의 비데 세정 분출구(32)에 연통해 있다.
도 8 및 도 9의 노즐 세정 유로(30)는 노즐 본체(22)의 베이스부로부터 대경부(25)의 대략 선단부까지 연장해 있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경부(25)에는 아래쪽으로 개구하는 내부 세정 분출구(33a)가 형성되고, 노즐 덮개(22b)에는 측면 위쪽으로 개구하는 외부 세정 분출구(33b)가 형성된다. 내부 세정 분출구(33a) 및 외부 세정 분출구(33b)가 노즐 세정 분출구(33)를 구성한다. 내부 세정 분출구(33a) 및 외부 세정 분출구(33b)로부터의 세정수의 분출 방향은 노즐 본체(22)의 직경 방향에 대해 오프셋되어 있다. 노즐 세정 유로(30)의 선단은 노즐 세정 분출구(33)에 연통해 있다.
둔부 세정 분출구(31)는 큰 개구 면적의 안쪽의 대공부(31a)와 작은 개구 면적의 바깥쪽의 소공부(31b)로 이루어지는 이단 형상을 갖는다. 대공부(31a)의 개 구 면적은 소공부(31b)의 개구 면적의 약 2배로 되어 있다.
대공부(31a)와 소공부(31b) 사이의 부분은 직각의 에지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에지 형상에 의해, 세정수 흐름의 박리가 일어나기 쉬워진다. 그에 따라, 세정수 흐름이 단속적으로 되어, 세정수가 단속적으로 국부에 쏘여진다. 그에 따라, 세정력이 높아짐과 아울러, 인체에 강한 세정감이 생긴다. 그 결과, 사용자는 실제로 국부에 이러한 하중보다 강한 하중을 느껴서, 높은 만족감을 얻을 수 있다.
소공부(31b)의 두께가 작을수록 흐름의 박리가 일어나기 쉬워 흐름이 단속적으로 되기 쉽지만, 분류(噴流)의 진행 방향의 규제가 약해지기 때문에, 분류가 확산하기 쉬워진다. 반대로, 소공부(31b)의 두께가 클수록 분류의 확산은 억제되지만, 단속감은 작아진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분류의 확산과 단속감이 균형을 이루는 최적값으로 하여 소공부(31b)의 두께가 0.5mm로 된다.
둔부 세정 유로(28), 비데 세정 유로(29) 및 노즐 세정 유로(30)의 상류단의 부분에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정수를 공급하기 위한 세정수 공급구(28a, 29a, 30a)가 마련된다. 세정수 공급구(28a, 29a, 30a)는 도 3의 호스를 거쳐서 도 6의 유량 조정 밸브(61)와 접속된다. 유량 조정 밸브(61)는 둔부 세정 유로(28), 비데 세정 유로(29) 및 노즐 세정 유로(30)에 개별적으로 세정수의 공급, 그 정치 및 유량의 조정을 행하는 기능을 갖고, 세정수 공급계(도시하지 않음)와 호스(도시하지 않음)를 거쳐서 접속된다. 유량 조정 밸브(61)는 제어 장치(700)에 의해 제어되는 구동용 모터를 가진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즐 본체(22)는 노즐 본체 기재(22a) 및 노즐 덮개(22b)에 의해 구성된다. 대경부(25)의 외주면 상에 노즐 덮개(22b)가 장착된다. 노즐 덮개(22b)에는 상기한 둔부 세정 분출구(31)가 형성된다. 비데 노즐부(26)의 상면에는 상기한 복수의 비데 세정 분출구(32)가 형성된다.
둔부 세정 분출구(31)는 노즐 본체(22)의 중심면에 배치된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둔부 세정 유로(28) 및 둔부 세정 분출구(31)의 근방에서 원호 형상으로 만곡한 만곡부(28b)를 거쳐서 둔부 세정 분출구(31)에 연통한다.
만곡부(28b) 내의 유로의 중심축보다 만곡한 원호의 중심 쪽에 만곡한 원호와 동심인 정류벽(28c)이 형성된다. 정류벽(28c)은 두께 0.5mm를 갖고, 상류 측의 단부 및 하류 측의 단부가 얇고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정류벽(28c)은 만곡부(28b) 내의 유로의 바닥으로부터 노즐 덮개(22b)까지 수직으로 마련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노즐 본체 기재(22a)와 노즐 덮개(22b)는 다른 부재에 의해 형성된다. 노즐 본체 기재(22a)에는 둔부 세정 유로(28) 및 정류벽(28c)이일체 성형된다. 노즐 덮개(22b)는 둔부 세정 유로(28)의 개방 부분을 덮도록 노즐 본체 기재(22a)에 접착된다.
도 12는 노즐 커버(23)의 사시도, 도 13은 노즐 커버(23)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즐 커버(23)는 스테인리스의 박판에 의해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노즐 커버 본체(23a)와, 수지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커버 후단 부재(23b)로 구성된다. 노즐 커버 본체(23a)에는 고정 구멍(23e)이 마련된다. 커버 후단 부재(23b)는 하부가 개방된 대략 반원통 형상을 갖고, 양측 부에 수평 방향으로 돌출한 연결 돌기(48) 및 위치 결정 돌기(51)를 갖는다. 커버 후단 부재(23b)의 양측의 개방단 근방에 고정 돌기(23d)가 마련된다.
노즐 커버 본체(23a)와 커버 후단 부재(23b)의 접합은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노즐 커버 본체(23a)와 커버 후단 부재(23b)의 중합부(23c)를 중합하고, 커버 후단 부재(23b)의 고정 돌기(23d)를 노즐 커버 본체(23a)의 고정 구멍(23e)에 감합시킴으로써, 노즐 커버 본체(23a)를 커버 후단 부재(23b)에 고정한다. 고정 구멍(3e)의 내경 치수는 고정 돌기(23d)의 외형 치수보다 다소 크게 설정된다. 그에 따라, 노즐 커버 본체(23a) 또는 커버 후단 부재(23b)의 치수에 다소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조립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커버 후단 부재(23b)의 중합부(23c)는 다른 부분보다 작고 또한 노즐 커버 본체(23a)의 내면과 대략 같은 치수로 성형된다. 그에 따라, 커버 후단 부재(23b)와 노즐 커버 본체(23a)는 밀접하게 중합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 후단 부재(23b)의 상면 중앙에는 전방으로 돌출한 돌기(23f)가 마련되고, 노즐 커버 본체(23a)의 후단부에 오목부(23g)가 마련된다. 커버 후단 부재(23b)의 돌기(23f)가 노즐 커버 본체(23a)의 오목부(23g)와 계합함으로써, 노즐 커버 본체(23a)의 좌우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 돌기(23f)와 오목부(23g)는 대략 동일한 치수로 형성된다. 그에 따라, 노즐 커버 본체(23a) 또는 커버 후단 부재(23b)의 치수에 다소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노즐 커버 본체(23a)와 커버 후단 부재(23b)가 적절히 위치 결정된 상태에서 접착제 또는 접합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확실하게 접합된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즐 커버 본체(23a)와 커버 후단 부재(23b)의 접합에 의해 구성되는 노즐 커버(23)의 후단면은 개구해 있다. 그에 따라, 노즐 커버(23)의 후단면으로부터 노즐 본체(22)를 삽입할 수 있다. 노즐 커버(23)의 선단면은 폐색되고, 비데 노즐부(26)가 관통 가능한 비데 노즐 출입구(35)가 마련된다. 그에 따라, 노즐 본체(22)의 비데 노즐부(26)만이 비데 노즐 출입구(35)보다 돌출 가능해진다. 노즐 본체(22)의 비데 노즐부(26)는 노즐 커버(23)의 비데 노즐 출입구(35)로부터 대략 전체가 돌출한 상태(도 6)와 수용된 상태(도 5)로 이행 가능하게 되어 있다.
노즐 커버(23)의 하면 뒷부분에서 노즐 본체(22)의 랙(34)에 대응하는 위치에 슬릿 형상의 랙 개구(38)가 마련되고, 하면 앞부분에는 노즐 커버(23) 내의 세정수를 배출하는 배수구(39)가 마련된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즐 본체(22)를 노즐 커버(23)에 수용한 상태에서, 노즐 본체(22)의 둔부 세정 분출구(31) 및 노즐 세정 분출구(33)에 대응하는 노즐 커버(23)의 상면의 위치에, 각각 둔부 세정 개구(36) 및 노즐 세정 개구(37)가 마련된다. 둔부 세정 분출구(31) 및 노즐 세정 분출구(33)로부터 분출한 세정수는, 노즐 커버(23)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둔부 세정 개구(36) 및 노즐 세정 개구(37)를 통과해서 분출된다.
(2-3) 노즐 장치(15)의 구동 기구
도 14, 도 15 및 도 16은 노즐 장치(15)의 구동의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로서, 도 14는 수납 상태를 도시하고, 도 15는 둔부 세정 상태를 도시하고, 도 16 은 비데 세정 상태를 도시한다.
도 14,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싱(16)의 하부에는 노즐 구동 장치(43)가 마련된다. 노즐 구동 장치(43)는 구동 모터(44), 웜 기어(도시하지 않음), 변속 기어(45) 및 피니언 기어(46)를 포함한다. 피니언 기어(46)는 노즐 커버(23)의 랙 개구(38)(도 12 및 도13)를 거쳐서 노즐 본체(22)의 하면의 랙(34)과 맞물리는 위치에 마련된다.
구동 모터(44)의 회전력은 웜 기어 및 변속 기어(45)를 거쳐서 회전수를 저하시키면서 피니언 기어(46)에 전달된다. 피니언 기어(46)가 회전함으로써, 랙(34)을 갖는 노즐 본체(22)가 미끄럼 운동된다. 구동 모터(44)는 제어 장치(700)(도 2)에 접속된다. 제어 장치(700)에 의해 구동 모터(44)의 운전이 제어된다. 또한, 구동 모터(44)의 뒷부분에는 구동 모터(44)의 회전수를 검지하는 회전 검지 센서(47)가 마련된다.
(2-4) 연결 기구(24)의 상세
도 17 내지 도 20은 노즐 본체(22)에 의해 노즐 커버(23)를 견인 이동시키는 연결 기구의 상세를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 도 21 및 도 22는 노즐 본체(22)에 의해 노즐 커버(23)를 견인 이동시키는 연결 기구의 상세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21 및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즐 본체(22) 및 노즐 커버(23)에는, 노즐 본체(22)의 이동에 의해 노즐 커버(23)를 견인 이동시키는 연결 기구(24)가 마련된다. 연결 기구(24)는 커버 후단 부재(23b)의 한쪽 측면에 형성된 연결 수부(48)와, 노즐 본체(22)의 후단부에 형성된 연결 부재(49)로 구성된다.
연결 수부(48)는 수지 재료의 성형에 의해 커버 후단 부재(23b)의 한쪽 측면에 노즐 커버(23)와 평행하게 형성된다. 연결 수부(48)의 하면에는, 앞뒤로 간극을 두고서 2개소에 앞쪽 요함부(48a) 및 뒤쪽 요함부(48b)가 마련된다. 앞쪽 요함부(48a)와 뒤쪽 요함부(48b)의 간극은 노즐 본체(22)의 비데 노즐부(26)의 길이와 대략 같다.
연결 부재(49)는 노즐 본체(22)의 후단부의 측면에 마련된다. 노즐 본체(22)에는 연결 부재 본체(49a)가 일체로 성형된다. 연결 부재 본체(49a)에는 연결 수부(48)에 대향하는 연결편(50)이 마련된다. 연결편(50)은 탄성을 갖는 금속 재료로 형성된다. 연결편(50)은 그 한쪽 단이 연결 부재(49)에 고정된 외팔보 구조를 갖고, 선단에 연결 돌기(50a)를 갖는다. 연결 돌기(50a)는 연결 수부(48) 앞쪽 요함부(48a) 및 뒤쪽 요함부(48b)에 감입 가능한 형상을 갖는다. 연결 돌기(50a)가 앞쪽 요함부(48a) 또는 뒤쪽 요함부(48b)에 감입함으로써, 연결 부재(49)와 연결 수부(48)가 연결되어, 노즐 본체(22)와 노즐 커버(23)가 연동 가능해진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 수부(48)와 반대의 커버 후단 부재(23b)의 측면에는, 위치 결정 돌기(51)가 마련된다. 도 17 내지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싱(16)의 노즐 가이드(19)의 측부에는 앞쪽 스토퍼(52) 및 뒤쪽 스토퍼(53)가 마련된다. 커버 후단 부재(23b)의 위치 결정 돌기(51)는 케이싱(16)의 앞쪽 스토퍼(52) 및 뒤쪽 스토퍼(53)에 접촉함으로써 노즐 커버(23)의 미 끄럼 운동 범위를 규제한다.
또한, 위치 결정 돌기(51)의 중앙부에는 앞뒤 방향으로 긴 미끄럼 운동 규제 홈(51a)이 형성된다. 미끄럼 운동 규제 홈(51a)에는, 도 17 내지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 부재 본체(49a)(도 21 및 도 22)에 마련된 미끄럼 운동 규제 돌기(49b)가 감합된다. 미끄럼 운동 규제 홈(51a) 내를 이동하는 미끄럼 운동 규제 돌기(49b)는 연결 부재(49)와 연결 수부(48)의 상호적인 미끄럼 운동 범위를 규제하는 이동 규제 기구(24a)를 구성한다.
또한, 미끄럼 운동 규제 돌기(49b)의 이동 범위는 앞쪽 요함부(48a)와 뒤쪽 요함부(48b) 사이의 거리보다 약간 길게 설정된다. 그에 따라, 노즐 본체(22)에 강한 힘이 가해졌을 때에 앞쪽 요함부(48a) 또는 뒤쪽 요함부(48b)로부터 역방향으로 연결 돌기(50a)가 돌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2-5) 노즐 장치(15)의 동작
이상과 같이 구성된 노즐 장치(15)의 동작 및 작용을 설명한다.
노즐 장치(15)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노즐 본체(22)는 수납 상태로 된다. 이 경우,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즐 본체(22)는 노즐 가이드(19) 내의 가장 뒷부분에 위치하고, 노즐 커버(23)도 미끄럼 운동 범위의 가장 뒷부분에 위치해 있다.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즐 커버(23)의 위치 결정 돌기(51)는 노즐 가이드(19)의 측부의 뒤쪽 스토퍼(53)에 접촉한 상태에 있고, 노즐 본체(22) 및 노즐 커버(23) 모두 가장 후퇴한 위치에 있다. 이때,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편(50)의 연결 돌기(50a)는 연결 수부(48)의 뒤쪽 요함부(48b)에 감입한 상태에 있고,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끄럼 운동 규제 돌기(49b)는 미끄럼 운동 규제 홈(51a)의 후단부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세정을 개시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조작부(11)를 조작하면, 제어 장치(700)가 제어 동작을 개시하여, 도 14의 구동 모터(44)를 한쪽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구동 모터(44)의 회전력이 피니언 기어(46)에 전달됨으로써, 그 피니언 기어(46)와 맞물린 랙(34)을 갖는 노즐 본체(22)가 후방으로 이동하려고 하지만, 노즐 본체(22)는 더 이상 후방으로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노즐 본체(22)의 전후 방향의 위치는 변화되지 않는다. 이 위치를 원점으로 하여 이후의 노즐 본체(22)의 위치가 제어된다. 구체적으로는, 구동 모터(44)의 회전수가 회전수 검지 센서(47)로 검지되고, 검지된 회전수로부터 노즐 본체(22)의 이동량이 추정된다. 추정된 이동량에 근거해서 노즐 본체(22)의 위치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제어 장치(700)가 구동 모터(44)를 역회전시킴으로써 노즐 본체(22)를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편(50)의 연결 돌기(50a)가 연결 수부(48)의 뒤쪽 요함부(48b)에 감입한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노즐 커버(23)는 노즐 본체(22)로 견인되어서 노즐 커버(23)와 일체화한 상태에서 전방으로 이동한다.
사용자가 둔부 세정을 선택했을 경우에는, 도 5, 도 15 및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즐 본체(22) 및 노즐 커버(23)가 전방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미리 설정된 제어 시퀸스에 따라, 원점 상태로부터 구동 모터(44)의 회전수가 설정값에 도달하면, 노즐 본체(22) 및 노즐 커버(23)가 정지한다. 이때,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즐 커버(23)의 위치 결정 돌기(51)는 노즐 가이드(19)의 측부의 앞쪽 스토퍼(52)의 바로 앞에서 정지한 상태로 된다. 노즐 본체(22) 및 노즐 커버(23)의 이러한 위치가 둔부 세정의 표준 위치로 된다.
세정수의 공급 유로의 전환 및 세정수의 유량의 조정은 유량 조정 밸브(61)에 의해 행해진다. 상기한 상태에서, 제어 장치(700)는 둔부 세정 유로(28)에 세정수가 공급되도록 도 5의 유량 조정 밸브(61)를 제어한다. 그에 따라, 둔부 세정이 개시된다. 둔부 세정 유로(28)에 유입한 세정수는, 직선부로부터 도 11의 만곡부(28b)를 통과해서 둔부 세정 분출구(31)로부터 분출된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 세정수가 만곡부(28b)를 통과할 때에는, 만곡부(28b)에 있어서 세정수의 외주 측의 유속이 높아지고, 내주 측의 유속이 낮아진다. 그에 따라, 둔부 세정 유로(28)의 내측의 벽에서 흐름이 막힘으로써 난류가 발생한다. 즉, 세정수는 만곡부(28b)에서 흐트러져서, 속도 구배를 발생시킨다. 그 결과, 둔부 세정 분출구(31)로부터의 세정수의 분출 방향이 불안정해져, 국부를 향해서 적절히 분출할 수 없다.
이러한 현상을 회피하기 위해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만곡부(28b)에 정류벽(28c)이 마련된다. 그에 따라, 세정수의 외주 측의 흐름과 내주 측의 흐름이 분리되어, 정류 효과가 발생한다. 이렇게 해서, 난류를 저감할 수 있다. 정류벽(28c)의 적절한 위치를 실험에 의해 검증한 결과, 정류벽(28c)이 만곡부(28b)의 유로 중앙으로부터 약간 안쪽에 마련됨으로써 정류 효과가 최대로 되는 것이 판명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정류벽(28c)이 만곡부(28b)의 유로 중앙 으로부터 약간 안쪽에 마련된다.
만곡부(28b)를 통과한 세정수는 둔부 세정 분출구(31)로부터 착좌한 사용자의 국부를 향해서 분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7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둔부 세정 분출구(31)가 대공부(31a) 및 소공부(31b)로 이루어지는 2단 형상을 갖는다. 이와 같이, 둔부 세정 분출구(31)의 개구 면적이 단계적으로 변화함으로써, 세정수의 유속이 단계적으로 변화되어, 난류가 발생한다. 그에 따라, 세정수가 단속류로 되어 분출하고, 국부에 쏘여진다. 그 결과, 사용자는 실제로 국부에 가해지는 하중보다 강한 하중을 느낀다고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둔부 세정 분출구(31) 및 비데 세정 분출구(32)의 상부는 노즐 커버(23)에 의해 덮어져 있다. 따라서, 둔부 세정에 의해 발생한 오수가 둔부 세정 분출구(31) 및 비데 세정 분출구(32)에 직접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둔부 세정 분출구(31) 및 비데 세정 분출구(32)는 청결히 유지된다.
또한, 유량 조절 밸브(61)(도 3)의 밀봉성이 불충분한 경우, 둔부 세정 유로(28)와 비데 세정 유로(29)의 전환이 완전히 행해지지 않아, 둔부 세정중에도 비데 세정 분출구(32)로부터 미소량의 세정수가 분출해버린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비데 세정 분출구(32)의 상부가 노즐 커버(23)로 덮여져 있기 때문에, 비데 세정 분출구(32)로부터 외부로 세정수가 분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둔부 세정을 실행하고 있을 때에, 구동 모터(44)가 정회전 및 역회전을 교대로 반복함으로써, 노즐 본체(22) 및 노즐 커버(23)는 표준 위치에 대하여 앞뒤로 왕복 운동한다. 그에 따라, 세정수는 인체 국부의 보다 넓은 범위를 동시에 세정 할 수 있다.
사용자가 둔부 세정의 정지의 조작을 실행하면, 구동 모터(44)가 역회전하여, 노즐 본체(22) 및 노즐 커버(23)가 뒤쪽으로 이동해서 원래의 수납 상태로 되돌아간다.
다음에, 사용자가 비데 세정을 선택한 경우에는, 둔부 세정시와 마찬가지로, 노즐 본체(22)의 원점 위치가 확인된 후, 노즐 본체(22) 및 노즐 커버(23)가 앞쪽으로 이동하도록 구동 모터(44)가 회전한다. 비데 세정의 경우에는, 노즐 본체(22)가 둔부 세정 위치를 넘어서 더욱 앞쪽으로 이동한다.
이때,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즐 커버(23)의 위치 결정 돌기(51)는 노즐 가이드(19)의 측부의 앞쪽 스토퍼(52)에 접촉하여, 노즐 커버(23)는 그 이상 앞으로 이동할 수 없다. 또한, 노즐 본체(22)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도 21의 연결편(50)의 연결 돌기(50a)가 뒤쪽 요함부(48b)로부터 빠진다. 이러한 동작이 가능해지기 위해서는, 연결 돌기(50a)를 빼기 위해서 필요한 하중치보다 노즐 본체(22)를 앞뒤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모터(44)의 구동 토크가 큰 것이 조건으로 된다.
연결 돌기(50a)가 뒤쪽 요함부(48b)로부터 빠지면, 노즐 본체(22)와 노즐 커버(23)가 분리된 상태로 된다. 이 경우, 앞쪽 스토퍼(52)에 의해 노즐 커버(23)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으므로, 노즐 본체(22)만이 전방으로 이동하고, 노즐 본체(22)의 비데 노즐부(26)가 노즐 커버(23)의 선단면의 비데 노즐 출입구(35)로부터 진출하기 시작한다.
또한, 노즐 본체(22)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연결 돌기(50a)가 앞쪽 요함부(48a)를 향해서 이동한다.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 돌기(50a)가 앞쪽 요함부(48a)에 완전히 감입하면, 도 6, 도 16 및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즐 본체(22)의 비데 노즐부(26)가 비데 노즐 출입구(35)로부터 완전히 돌출한다.
이 시점에서 노즐 본체(22)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종료하도록, 미리 설정된 제어 시퀸스를 따라서 구동 모터(44)의 회전수에 의한 위치 제어가 행해진다. 오작동에 의해 구동 모터(44)가 노즐 본체(22)를 더욱 전방으로 이동시키려고 했을 경우에는, 이동 규제 기구(24a)의 미끄럼 운동 규제 돌기(49b)가 미끄럼 운동 규제 홈(51a)의 전단에 접촉함으로써 그 이상 전방으로의 노즐 본체(22)의 이동이 규제된다. 따라서, 연결 돌기(50a)가 앞쪽 요함부(48a)로부터 전방으로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연결 돌기(50a)가 앞쪽 요함부(48a)에 감입한 상태에서 구동 모터(44)를 겨우 역회전시킴으로써 노즐 본체(22)를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노즐 본체(22)가 도 20에 도시하는 비데 세정의 표준 위치까지 이동한 시점에서 구동 모터(44)를 정지시킨다.
상기 비데 세정의 표준 위치에 노즐 본체(22)가 도달한 시점에서, 제어 장치(700)는 비데 세정 유로(29)에 세정수가 공급되도록 유량 조정 밸브(61)를 제어한다. 그에 따라, 비데 세정이 개시된다.
이때, 둔부 세정 분출구(31)의 상부는 노즐 커버(23)에 의해 덮여져 있다. 그에 따라, 비데 세정에 의해 생긴 오수가 둔부 세정 분출구(31)에 직접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둔부 세정 분출구(31)는 청결하게 유지된다.
또한, 유량 조절 밸브(61)(도 3)의 밀봉성이 불충분한 경우에는, 둔부 세정 유로(28)와 비데 세정 유로(29)의 전환이 완전히 행해지지 않아, 비데 세정중에도 둔부 세정 분출구(31)로부터 미소량의 세정수가 분출해버린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둔부 세정 분출구(31)의 상부가 노즐 커버(23)로 덮여져 있기 때문에, 둔부 세정 분출구(31)로부터 외부로 세정수가 분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비데 세정을 행하고 있을 때에, 구동 모터(44)가 정회전 및 역회전을 교대로 반복함으로써, 노즐 본체(22) 및 노즐 커버(23)는 표준 위치에 대하여 앞뒤로 왕복 운동한다. 그에 따라, 세정수는 인체 국부의 보다 넓은 범위를 동시에 세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비데 세정의 정지 조작을 실행하면, 구동 모터(44)가 역회전하여, 노즐 본체(22) 및 노즐 커버(23)가 후방으로의 이동을 개시한다. 노즐 본체(22) 및 노즐 커버(23)의 수납을 위해서 후방으로 이동하는 도중 과정에 있어서, 노즐 커버(23)의 위치 결정 돌기(51)가 노즐 가이드(19)의 측부의 뒤쪽 스토퍼(53)에 접촉하여, 노즐 커버(23)는 더 이상 뒤로 이동할 수 없다. 또한, 노즐 본체(22)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도 22의 연결편(50)의 연결 돌기(50a)가 앞쪽 요함부(48a)로부터 빠진다. 이러한 동작이 가능해지기 위해서는, 연결 돌기(50a)를 빼기 위해 필요한 하중치보다 노즐 본체(22)를 앞뒤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44)의 구동 토크가 큰 것이 조건으로 된다.
연결 돌기(50a)가 앞쪽 요함부(48a)로부터 빠지면, 노즐 본체(22)와 노즐 커 버(23)가 분리된 상태로 된다. 이 경우, 뒤쪽 스토퍼(53)에 의해 노즐 커버(23)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기 때문에, 노즐 본체(22)만이 후방으로 이동하여, 노즐 본체(22)의 비데 노즐부(26)가 노즐 커버(23)의 선단면의 비데 노즐 출입구(35)의 내부에 수납되기 시작한다.
또한, 노즐 본체(22)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연결 돌기(50a)가 뒤쪽 요함부(48b)를 향해서 이동한다.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 돌기(50a)가 뒤쪽 요함부(48b)에 완전히 감입하면, 도 3, 도 14 및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즐 본체(22)의 비데 노즐부(26)이 비데 노즐 출입구(35)로부터 내부로 완전히 수납된다.
이 시점에서 노즐 본체(22)는 노즐 가이드(19)의 후단에 접촉하여, 더 이상 후방으로 이동할 수 없다. 미리 설정된 제어 시퀸스를 따라서 구동 모터(44)의 회전수에 근거하는 위치 제어에 의해 구동 모터(44)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둔부 세정 및 비데 세정이 종료하고, 노즐 본체(22)가 수납 위치에 정지한 시점에서, 제어 장치(700)는 노즐 세정의 제어를 개시한다. 이 경우, 제어 장치(700)는 노즐 세정 유로(30)에 세정수가 공급되도록 유량 조정 밸브(61)를 전환한다. 그에 따라, 노즐 세정이 개시된다. 세정수의 유량의 조정은 유량 조정 밸브(61)에 의해 행해진다.
노즐 세정 유로(30)에 세정수가 공급되면, 도 9의 노즐 본체(22)의 대경부(25)의 전단부에 마련된 2개의 노즐 세정 분출구(33)(내부 세정 분출구(33a) 및 외부 세정 분출구(33b))로부터 세정수가 분출한다. 외측면에 마련된 외부 세정 분 출구(33b)로부터 분출한 세정수는, 노즐 커버(23)의 노즐 세정 개구(37)를 거쳐서 노즐 커버(23)의 바깥쪽으로 분출하여, 노즐 커버(23)를 덮는 노즐 가이드(19)의 세정 확대부(40a)(도 4 참조)의 내벽에 부딪힌다. 튀어 오르는 세정수가 노즐 커버(23)의 외주벽 및 둔부 세정 분출구(31)를 세정한다. 또한, 하방을 향해서 마련된 내부 세정 분출구(33a)로부터 분출한 세정수는, 노즐 본체(22)의 비데 노즐부(26)의 측부로 흘러, 비데 노즐부(26)의 표면 및 비데 세정 분출구(32)를 세정한다.
이때,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부 세정 분출구(33a), 외부 세정 분출구(33b) 및 노즐 세정 개구(37)가 노즐 본체(22)의 직경 방향으로부터 오프셋한 방향을 향하기 때문에, 분출한 세정수는 노즐 가이드(19) 및 노즐 커버(23)의 원주 방향으로 선회 및 순환하는 선회류로 된다. 그에 따라, 노즐 본체(22) 및 노즐 커버(23)의 오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세정 후의 세정수는 노즐 커버(23) 및 노즐 가이드(19)의 하부에 각각 마련된 배수구(39)(도 7, 도 12 및 도 13) 및 배수구(41)(도 4)로부터 배출한다.
이렇게 해서, 수납 위치에서의 노즐 본체(22) 및 노즐 커버(23)의 세정은, 사용자의 국부 세정이 종료하여 노즐 본체(22) 및 노즐 커버(23)가 수납 위치로 되돌아온 후에 자동적으로 실시된다.
또한, 노즐 본체(22) 및 노즐 커버(23)에 부착된 오염을 블러쉬 등을 사용해서 보다 확실하기 청소하기 위해서 조작부(11)는 청소 모드의 스위치를 갖는다.
노즐 본체(22) 및 노즐 커버(23)가 수납 위치에 수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부(11)의 청소 모드의 스위치를 1회 누르면, 노즐 유닛(21)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둔부 세정 위치로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 유량 조정 밸브(61)는 노즐 본체(22) 내의 둔부 세정 유로(28) 및 노즐 세정 유로(30)의 양쪽에 세정수를 공급한다. 이 경우, 둔부 세정 유로(28)에 흐르는 세정수의 유량이 상기한 둔부 세정시의 유량보다 적어지도록 유량 조정 밸브(61)가 제어된다. 이에 따라, 둔부 세정 분출구(31)로부터 분출하는 세정수가 변기의 밖으로 튀어 나가버리거나, 사용자에게 튀는 일이 없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블러쉬 등으로 노즐 커버(23)를 청소함으로써, 노즐 커버(23)에 부착된 오염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게다가, 사용자는 세정수를 흘리면서 노즐 커버(23)를 청소할 수 있기 때문에, 미리 청소를 위한 물을 준비하거나, 일부러 블러쉬 등을 물로 적시거나 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세정수를 흘리면서 청소함으로써 노즐 커버(23)로부터 제거된 오염 물질이 직접 변기에 흘려진다. 그 때문에, 둔부 세정 분출구(31), 또는 노즐 본체(22)와 노즐 커버(23) 사이의 간극에 오염 물질이 들어가서, 재부착하는 일이 없다.
다음에, 청소 모드의 스위치를 또 1회 누르면, 노즐 유닛(21)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비데 세정 위치로 이동한다. 통상, 노즐 장치(15)의 사용시에 있어서의 둔부 세정 위치로부터 비데 세정 위치로의 전환에서는, 노즐 본체(22) 및 노즐 커버(23)가 둔부 세정 위치로부터 일단 노즐 가이드(19) 내부에 수납되고, 노즐 커버(23)의 세정 후에, 다시 노즐 본체(22) 및 노즐 커버(23)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비데 세정 위치로 이동한다. 한편, 청소 모드는 노즐 본체(22) 및 노즐 커 버(23)의 청소를 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청소 모드시에는, 노즐 본체(22) 및 노즐 커버(23)가 그러한 동작을 실행할 필요는 없다. 그 때문에, 노즐 본체(22)가 둔부 세정 위치로부터 그대로 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노즐 유닛(21)을 보다 신속하게 비데 세정 위치로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노즐 유닛(21)의 이동을 기다림으로써 번거로워지는 일이 없다.
이 상태에서 유량 조정 밸브(61)는 노즐 본체(22) 내의 비데 세정 유로(29) 및 노즐 세정 유로(30)의 양쪽에 세정수를 공급한다. 이때, 둔부 세정 위치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비데 세정 유로(29)에 흐르는 세정수의 유량은 비데 세정시의 유량보다 적어지도록 유량 조정 밸브(61)가 제어된다. 이에 따라, 비데 세정 분출구(32)로부터 분출하는 세정수가 변기의 밖으로 튀어나가거나, 사용자에게 튀는 일이 없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블러쉬 등을 사용해서 노즐 본체(22)의 비데 노즐부(26)를 청소할 수 있다.
비데 세정 위치에서의 청소 작업의 종료 후, 사용자가 다시 청소 모드의 스위치를 누르면, 세정수의 공급이 정지된다. 그리고, 노즐 본체(22) 및 노즐 커버(23)는 노즐 가이드(19) 내에 수납되어, 둔부 세정 또는 비데 세정의 종료시와 마찬가지로 노즐 세정이 개시된다. 이 경우에는, 노즐 세정 유로(30)에만 세정수가 공급됨으로써, 노즐 본체(22) 및 노즐 커버(23)의 바깥쪽 및 안쪽의 전체를 세정할 수 있다. 따라서, 청소시에 사용자가 세제 등을 사용하고 있었을 경우에서도, 노즐 본체(22) 및 노즐 커버(23)의 표면에 부착된 세제 성분이 모두 씻겨 버려진다.
(2-6) 노즐 장치(15)의 효과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노즐 본체(22)가 세정수를 분출하는 둔부 세정 분출구(31), 비데 세정 분출구(32) 및 노즐 세정 분출구(33)를 가짐과 아울러 둔부 세정 유로(28), 비데 세정 유로(29) 및 노즐 세정 유로(30)를 갖는다. 또한, 노즐 본체(22)를 덮는 통형상의 노즐 커버(23)가 마련되고, 노즐 커버(23)가 둔부 세정 분출구(31)에 대향하는 둔부 세정 개구(36)를 갖는다. 또한, 노즐 본체(22)와 노즐 커버(23)를 연결하는 연결 기구(24), 노즐 본체(22) 및 노즐 커버(23)를 수납하는 노즐 가이드(19), 및 노즐 본체(22)를 진퇴시키는 노즐 구동 장치(43)가 마련된다. 이와 같이, 둔부 세정 분출구(31), 비데 세정 분출구(32) 및 노즐 세정 분출구(33) 및 둔부 세정 유로(28), 비데 세정 유로(29) 및 노즐 세정 유로(30)가 노즐 본체(22)에 집약적으로 마련되어, 노즐 커버(23)는 간단한 구성을 갖는다. 그에 따라, 노즐 장치(15)는 전체적으로 소형이고 간단한 구성을 갖는다.
게다가, 노즐 본체(22) 및 노즐 커버(23)가 상호 미끄럼 운동함으로써, 둔부 세정 분출구(31)와 둔부 세정 개구(36)가 위치 맞춰지고, 둔부 세정 분출구(31)로부터의 세정수는 둔부 세정 개구(36)를 통해서 분출된다. 따라서, 세정수의 분출시에는, 노즐 본체(22)의 비데 세정 분출구(32), 및 둔부 세정 분출구(31)의 근방은 노즐 커버(23)로 덮여져 있어, 더러워진 세정수에 의해 노즐 본체(22)가 오염되지 않아 위생적이다.
또한, 노즐 커버(23)는 스테인리스로 형성된 노즐 커버 본체(23a)와 수지 성형에 의한 커버 후단 부재(23b)가 고정 돌기(23d)와 고정 구멍(23e)의 감합에 의해 고정된다. 그에 따라, 접착제 또는 접합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구성으로 노즐 커버 본체(23a)와 수지 성형에 의한 커버 후단 부재(23b)가 확실히 접합된다. 게다가, 노즐 커버 본체(23a)는 스테인리스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오염이 부착되기 어렵다. 또한, 노즐 커버 본체(23a)에 오염이 부착되더라도, 그 오염을 세정에 의해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비데 세정시에는, 비데 노즐부(26)가 노즐 커버(23)의 선단면으로부터 돌출한 상태에서 세정수를 분출하기 때문에, 세정 대상에 근접시켜서 세정수를 분출할 수 있다. 게다가, 섬세한 분출 형태가 요구되는 비데 세정시에, 비데 세정 분출구(32)로부터 세정수의 분출을 직접 실행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최적의 분출 형태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노즐 커버(23)는 수납 위치와 둔부 세정 위치 사이를 연결 기구(24) 를 거쳐서 노즐 본체(24)와 연동한다. 그에 따라, 노즐 본체(22)만이 노즐 구동 장치(43)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노즐 본체(22) 및 노즐 커버(23)의 양쪽이 연동함과 아울러, 비데 세정 위치로는 노즐 본체(22)만이 단독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1개의 노즐 구동 장치(43)로 2개의 구동 대상이 각각의 최적 위치까지 구동되기 대문에, 노즐 장치(15)의 소형화 및 저비용화가 실현된다.
또한, 노즐 본체(22)에 마련된 노즐 세정 분출구(33)의 외부 세정 분출구(33b)로부터 분출된 세정수는, 노즐 세정 개구(37)를 거쳐서 노즐 가이드(19)의 세정 확대부(40a)에 부딪히고, 노즐 가이드(19)에서 반사해서 노즐 커버(23)의 외면과 노즐 가이드(19)의 내면을 세정한다. 또한, 노즐 세정 분출구(33)의 내부 세 정 분출구(33a)로부터 분출한 세정수는, 노즐 커버(23)에서 반사해서 주로 비데 노즐부(26)의 외면 및 노즐 커버(23)의 내면을 세정한다. 따라서, 둔부 세정 및 비데 세정시에 오수 또는 오물에 의해 오염되는 노즐 본체(22) 및 노즐 커버(23)의 셀프 클리닝 기구가 소형 또한 간단한 구성으로 실현된다. 그에 따라, 위생적인 노즐 장치(15)가 제공된다.
또한, 사용자는 청소 모드를 사용해서 자신의 의사에 따라 세정수를 흘리면서 블러쉬 등을 사용해서 노즐 본체(22) 및 노즐 커버(23)를 청소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위생면에 있어서의 높은 만족도를 사용자에게 줄 수 있다.
또한, 둔부 세정 유로(28)의 만곡부(28b)에 정류벽(28c)이 마련됨으로써, 둔부 세정 유로(28) 내의 난류가 억제된다. 그에 따라, 둔부 세정 분출구(31)로부터의 세정수의 분출 방향을 안정시킬 수 있어, 국부를 향해서 적절하게 세정수를 분출할 수 있다. 게다가, 정류벽(28c)의 상류측의 단부 및 하류측의 단부가 얇고 뾰족한 형상을 가짐으로써, 세정수의 흐름이 원활하게 분류하고 다시 합류할 수 있다. 특히, 정류벽(28c)의 하류 측의 단부가 얇고 뾰족한 형상을 가짐으로써, 분류한 세정수가 원활하게 합류하기 때문에 정류 효과가 증가한다. 반대로, 정류벽(28c)의 하류 측의 단부에 에지가 남아 있는 경우는, 분류한 세정수가 합류할 때에 충돌함으로써 소용돌이가 발생함과 아울러, 에지에서의 흐름의 박리가 일어나기 쉬워진다. 그 결과, 세정수의 흐름이 난류로 된다.
또한, 둔부 세정 분출구(31)가 대공부(31a) 및 소공부(31b)의 이단 형상을 가짐으로써, 세정수가 단속류로 되어서 국부에 분출된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실 제로 국부에 가해지는 하중보다 강한 하중을 느끼기 때문에 높은 세정감을 얻을 수 있다.
(2-7) 변형예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노즐 구동 장치(43)가 기어를 이용한 전달 기구(웜 기어, 변속 기어(45) 및 피니언 기어(46))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벨트 또는 체인 등의 전달 기구를 사용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노즐 커버(23), 및 비데 노즐부(26)의 커버(27)가 스테인리스로 형성되지만, 이들 재료는 스테인리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내식성을 구비한 금속 재료, 세라믹 등의 무기 재료 또는 수지 재료이더라도 좋고, 특히, 이들 재료에 항균 성능, 살균 성능 또는 발수 성능 등이 부가된 것을 사용함으로써, 보다 청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노즐 본체(22)에 둔부 세정 분출구(31), 비데 세정 분출구(32) 및 노즐 세정 분출구(33), 및 그것들에 연통하는 둔부 세정 유로(28), 비데 세정 유로(29) 및 노즐 세정 유로(30)가 모두 마련되지만, 이들 세정 분출구(31, 32, 33) 및 세정 유로(28, 29, 30)의 배치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노즐 커버(23)의 두께가 크게 형성되고, 그것들의 세정 분출구(31, 32, 33) 및 세정 유로(28, 29, 30) 중 일부(예를 들면, 둔부 세정 분출구(31) 및 둔부 세정 유로(28))가 노즐 커버(23)에 마련되어도 좋다. 즉, 세정수의 분출부가 노즐 본체(22)와 노즐 커버(23)로 나누어서 마련되어도 좋다. 이 경우, 노즐 커버(23)의 구조가 복잡해지는 반면, 노즐 본체(22)의 구조가 단순해지기 때문에, 본 실시형태 와 근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결 기구(24)의 연결편(50)은 탄성을 갖는 금속 재료로 형성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탄성을 갖는 수지 재료를 사용해도 좋다. 수지 재료를 사용한 경우, 연결 기구(24)의 연결 부재(49)를 일체적으로 성형하는 것이 가능해져, 연결 기구(24)를 염가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정류벽(28c)의 두께가 0.5mm로 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정류벽(28c)을 노즐 본체 기재(22a)와 일체적으로 수지 성형으로 제작하기 위해서는 0.5 내지 1.0mm 정도의 두께가 필요하다. 한편, 유로의 압력 손실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정류벽(28c)은 가능한 한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범위의 최소 두께 0.5mm가 채용된다. 정류벽(28c)을 보다 얇게 성형하는 방법으로서는, 정류벽(28c)을 금속 등으로 다른 부재로서 형성하여 둔부 세정 유로(28)의 만곡부(28b)에 장착하는 방법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소공부(31b)의 두께가 0.5mm로 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소공부(31b)의 두께를 0.5 내지 1.5mm의 범위로 함으로써 세정수의 단속류가 얻어지는 것을 확인하고 있어, 두께를 선택함으로써 소망하는 단속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대공부(31a)의 개구 면적이 소공부(31b)의 개구 면적의 약 2배로 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대공부(31a)의 개구 면적을 소공부(31b)의 개구 면적의 1.5 내지 2.5배의 범위로 함으로써 단속류가 얻어지는 것을 확인하고 있어, 개구 면적을 바꿈으로써 최적의 단속류를 얻을 수 있다.
(2-8) 노즐 본체(22)의 다른 예
도 23은 노즐 본체(22)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3의 노즐 본체(22)가 도 11의 노즐 본체(22)와 상이한 것은 이하의 점이다.
도 11의 노즐 본체(22)에서는, 둔부 세정 유로(28)의 만곡부(28b)에 정류벽(28c)이 노즐 본체 기재(22a)와 일체적으로 성형된다. 이에 대하여, 도 23의 노즐 본체(22)에서는, 둔부 세정 유로(28)만이 노즐 본체 기재(54a)와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정류벽(28c)이 노즐 커버(22b)와 일체적으로 성형된다.
또한, 정류벽(28c)의 위치 정밀도의 향상을 위해서 노즐 본체 기재(22a)에 2개의 위치 결정 구멍(54c)이 형성되고, 노즐 덮개(22b)에 2개의 위치 결정 보스(54d)가 형성된다. 2개의 위치 결정 구멍(54c)과 2개의 위치 결정 보스(54d)가 서로 감합된다.
또한, 도 23에서, 도 11과 동일 부호가 부여된 부분은 동일 구조를 갖고, 반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본 예의 노즐 본체(22)에 있어서는, 정류벽(28c)이 작은 부품인 노즐 커버(22b)과 일체로 성형된다. 그에 따라, 정류벽(28c)의 치수 정밀도의 향상이 가능하게 됨과 아울러, 큰 부품인 노즐 본체 기재(22a)의 성형이 용이해진다. 그 결과, 양쪽 부품의 생산성이 향상한다.
(2-9) 노즐 장치(15)의 다른 예
도 24는 노즐 장치(15)의 다른 예에 있어서의 커버 세정 유로 및 커버 세정 분출구의 주요부의 단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5는 노즐 장치(15)의 다른 예에 있어서의 노즐 세정 유로 및 노즐 세정 분출구의 주요부의 단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4 및 도 25의 노즐 장치(15)가 도 3 내지 도 22의 노즐 장치(15)와 상이한 것은 다음의 점이다.
도 3 내지 도 22의 노즐 장치(15)에서는, 세정수가 노즐 본체(22)의 노즐 세정 유로(30)에 연통하는 노즐 세정 분출구(33)의 외부 세정 분출구(33b)로부터 분출하고, 노즐 커버(23)의 노즐 세정 개구(37)를 통해서 노즐 커버(23)의 바깥쪽으로 분출된다. 분출된 세정수는 노즐 커버(23)를 덮는 노즐 가이드(19)의 세정 확대부(40a)의 내벽에 부딪히고, 튀어 오르는 세정수에 의해 노즐 커버(23)의 외주벽 및 둔부 세정 분출구(31)를 세정한다. 또한, 세정수가 내부 세정 분출구(33a)로부터 분출하고, 노즐 본체(22)의 비데 노즐부(26)의 측부로 흘러, 비데 노즐부(26)의 표면 및 비데 세정 분출구(32)를 세정한다.
이에 대하여, 본 예의 노즐 장치(15)에서는,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싱(16)의 커버 세정 유로(57) 위쪽 케이스(17)의 상부에 커버 세정 유로(57) 및 커버 세정 분출구(58)가 마련된다. 커버 세정 분출구(58)는 노즐 가이드(19)의 세정 확대부(40a)를 향해서 개구한다. 또한, 커버 세정 분출구(58)는 노즐 가이드(19)의 중심축의 대략 위쪽의 위치에 마련된다. 커버 세정 유로(57) 및 커버 세정 분출구(58)는 노즐 커버(23)의 외면을 세정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한편,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즐 본체(22)의 노즐 세정 유로(30)는 하방을 향해서 개구한 노즐 세정 분출구(60)에 연통해 있다. 또한, 노즐 세정 분 출구(60)로부터의 세정수의 분출 방향은, 노즐 본체(22)의 직경 방향에 대하여 오프셋하도록 설정된다. 노즐 세정 유로(30) 및 노즐 세정 분출구(60)는 노즐 커버(23)의 내면 및 비데 노즐(26)을 세정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이하, 도 24 및 도 25의 노즐 장치(15)의 동작 및 작용을 설명한다. 본 예의 노즐 장치(15)에서도, 세정수가 공급되는 유로의 전환 및 유량의 조정은 도 3의 유량 조정 밸브(61)에 의해 행해진다.
노즐 본체(22)가 수납 위치에 정지한 상태에서, 노즐 세정 유로(30) 및 커버 세정 유로(57)에 세정수가 공급되도록 제어 장치(700)가 유량 조정 밸브(61)를 제어한다. 그에 따라, 노즐 세정이 개시된다.
노즐 세정 유로(30)에 공급된 세정수는 노즐 본체(22)의 전단부의 노즐 세정 분출구(60)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분출하고, 노즐 본체(22)의 비데 노즐부(26)의 측부로 흐른다. 그에 따라, 비데 노즐부(26)의 표면, 비데 세정 분출구(32) 및 노즐 커버(23)의 내면이 세정된다.
한편, 커버 세정 유로(57)에 공급된 세정수는 커버 세정 분출구(58)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분출하고, 노즐 커버(23)의 외주면에 부딪쳐, 노즐 커버(23)의 외주면과 노즐 가이드(19)의 세정 확대부(40a)의 내주면과의 간극을 흐르면서 노즐 커버(23)의 외주면, 노즐 가이드(19)의 내주면 및 둔부 세정 분출구(31)를 세정한다.
세정에 사용된 세정수는 노즐 커버(23)의 하부의 배수구(39)(도 12 및 도 13) 및 노즐 가이드(19)의 하부의 배수구(41)(도 4)로부터 배출된다.
상기한 수납 위치에서의 노즐 본체(22) 및 노즐 커버(23)의 세정은, 국부의 세정의 종료 후, 노즐 본체(22) 및 노즐 커버(23)가 수납 위치로 되돌아온 후, 자동적으로 실시된다. 노즐 본체(22) 및 노즐 커버(23)에 부착된 오염을 블러쉬 등을 사용하여, 보다 확실히 청소하기 위해서 조작부(11)는 청소 모드의 조작을 실행하기 위한 청소 모드의 스위치를 갖는다.
노즐 본체(22) 및 노즐 커버(23)가 수납 위치에 수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부(11)의 청소 모드의 스위치를 1회 누르면, 노즐 유닛(21)은 도 5에 도시하는 둔부 세정 위치로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 유량 조정 밸브(61)는 노즐 본체(22) 내의 둔부 세정 유로(28), 노즐 세정 유로(30) 및 위쪽 케이스(17)의 상부의 커버 세정 유로(57)에 세정수를 공급한다. 특히, 둔부 세정 유로(28)에 흐르는 세정수의 유량은, 둔부 세정시의 유량보다 적어지도록 제어된다. 이에 의해, 둔부 세정 분출구(31)로부터 분출하는 세정수가 변기의 바깥으로 튀어나가거나, 사용자에게 튀는 일이 없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블러쉬 등으로 노즐 커버(23)를 청소함으로써, 노즐 커버(23)에 부착된 오염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게다가, 세정수를 흘리면서 청소할 수 있기 때문에, 미리 청소를 위한 물을 준비하거나, 블러쉬 등을 물에서 적시거나 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세정수를 흘리면서 청소함으로써 노즐 커버(23)로부터 제거된 오염 물질은 직접 변기에 흘려지기 때문에, 둔부 세정 분출구(31), 또는 노즐 본체(22)와 노즐 커버(23) 사이의 간극에 오염 물질이 들어가서 재부착하는 일이 없다.
다음에, 사용자가 조작부(11)의 청소 모드의 스위치를 1회 누르면, 노즐 유 닛(21)은 도 6에 도시하는 비데 세정 위치로 이동한다. 노즐 장치(15)의 통상의 사용시에는, 둔부 세정 위치로부터 비데 세정 위치로의 전환은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둔부 세정 위치로부터 일단 노즐 본체(22) 및 노즐 커버(23)가 노즐 가이드(19)의 내부에 수납된 후에 노즐 본체(22) 및 노즐 커버(23)의 세정이 행해지고, 다시 노즐 본체(22) 및 노즐 커버(23)가 전방의 비데 세정 위치로 이동한다. 한편, 청소 모드시에는, 노즐 본체(22) 및 노즐 커버(23)의 청소가 목적이기 때문에, 통상의 사용시와 같은 동작은 필요 없다. 따라서, 노즐 본체(22)가 둔부 세정 위치로부터 그대로 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노즐 본체(22)가 보다 빨리 비데 세정 위치로 전환된다. 그 때문에, 사용자가 노즐 본체(22)의 이동을 기다림으로써 번거로워지는 일이 없다.
이 상태에서 유량 조정 밸브(61)는 노즐 본체(22) 내의 비데 세정 유로(29), 노즐 세정 유로(30) 및 커버 세정 유로(57)에 세정수를 공급한다. 이때, 둔부 세정 위치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비데 세정 유로(29)에 흐르는 세정수의 유량은 비데 세정시의 유량보다 적어지도록 유량 조정 밸브(61)가 제어된다. 이에 의해, 비데 세정 분출구(32)로부터 분출하는 세정수가 변기의 바깥으로 튀어나가거나, 사용자에게 튀는 일이 없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블러쉬 등을 사용해서 노즐 본체(22)의 비데 노즐부(26)를 청소할 수 있다.
비데 세정 위치에서의 청소 작업의 종료 후, 재차 조작부(11)의 청소 모드의 스위치를 누르면, 세정수의 공급이 정지된다. 그리고, 노즐 본체(22) 및 노즐 커버(23)가 노즐 가이드(19) 내에 수납되고, 둔부 세정 또는 비데 세정의 종료시와 마찬가지로 노즐 세정이 개시된다. 이때에는, 노즐 세정 유로(30) 및 커버 세정 유로(57)에만 세정수가 공급됨으로써, 노즐 본체(22) 및 노즐 커버(23)의 바깥쪽 및 안쪽의 전역을 충분히 세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청소시에 사용자가 세제 등을 사용한 경우에도, 노즐 본체(22) 및 노즐 커버(23)의 표면에 부착된 세제 성분을 모두 씻어 버릴 수 있다.
본 예에서는, 노즐 세정 유로(30) 및 노즐 세정 분출구(60)이 각각 노즐 커버(23)의 내부 및 외부에 독립적으로 마련된다. 그에 따라, 노즐 커버(23)의 외주면 및 노즐 커버(23)의 내부의 비데 노즐부(26)를 각각 최적의 세정 방법으로 효과적으로 세정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사용자는 노즐 장치(15)를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청소 모드를 사용해서 자기 의사에 따라 세정수를 흘리면서 블러쉬 등으로 노즐 본체(22) 및 노즐 커버(23)를 청소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에게 위생면에 있어서의 높은 만족도가 주어진다.
또한, 본 예에서는, 노즐 세정 유로(30) 및 커버 세정 유로(57)에 동시에 세정수가 공급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노즐 세정 유로(30) 및 커버 세정 유로(57)에 개별적으로 세정수가 공급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둔부 세정이 종료한 후에는, 커버 세정 유로(57)에만 세정수가 공급됨으로써 노즐 커버(23)의 외주면 및 둔부 세정 분출구(31)이 세정되고, 비데 세정이 종료한 후에는, 노즐 세정 유로(30)에만 세정수가 공급됨으로써 비데 노즐부(26)과 노즐 가이드(19)의 내주벽이 세정되어도 좋다. 그에 따라, 세정수의 불필요한 사용이 억제된다.
(3) 세정수 탱크의 일례
(3-1) 세정수 탱크(116)의 구성
도 26은 위생 세정 장치(10)의 본체(12) 위쪽 케이스(12a)를 뺀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다.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12)의 내부에 있어서, 세정수를 저류하는 세정수 탱크(116), 세정수 탱크(116)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급수 접속부(117), 세정수의 공급 및 정지를 실행하는 개폐 밸브(118), 및 세정수를 분출해서 사용자의 국부를 세정하는 노즐 장치(15), 세정 후의 국부를 건조하는 건조 장치(120), 탈취 장치(162), 변좌 변기 덮개 개폐 장치(163) 등이 아래쪽 케이스(12b)에 나사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노즐 장치(15)는 도 3 내지 도 25의 구조를 갖고, 구동 기구에 의해 수납 위치와 세정 위치로 진퇴 가능하다.
또한, 건조 장치(120)는 송풍 장치 및 가열 장치로서의 히터를 포함하고, 온풍을 온풍 송풍구로부터 변좌(13)에 착좌한 사용자의 국부를 향해서 송풍한다.
도 27은 세정수 탱크(116)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8은 세정수 탱크(116)의 내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정수 탱크(116)의 탱크 본체(122)는 수지 재료로 성형된 상부 부재(123) 및 하부 부재(124)를 서로 용착함으로써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탱크 본체(122)를 측면에서 본 경우의 기본 형상은 사변형이다. 특히, 탱크 본체(122)의 전면부는 전단보다 후퇴한 후퇴부(125)와, 그 후퇴부(125)의 하단으로부터 전방 경사 하방으로 경사하는 경사면(126)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탱크 본체(122)의 전면부는, 도 1에 도시하는 변좌(13)에 사용자가 착좌할 때에 장해로 되는 부분이 절제된 형상을 갖는다. 경사면(126)의 위쪽에는 변좌(13)의 일부가 배치된다. 그에 따라, 위생 세정 장치(10)가 컴팩트하게 구성된다.
탱크 본체(122)의 한쪽 측면의 하부 전방에는 세정수가 유입하는 입수구(127)가 마련되고, 탱크 본체(122)의 다른쪽 측면의 상부 후방에는 세정수를 유출하는 출수구(128)가 마련된다. 또한, 탱크 본체(122)의 상면에는 탱크 본체(122) 내가 부압(負壓)으로 된 경우에 외부로부터 공기를 도입하는 진공 브레이커(129)가 부착된다.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정수 탱크(116) 내의 하부의 바닥면(130)에 가까운 위치에는 세정수를 가열하는 가열 장치로서 U자형 형상의 시즈 히터로 이루어지는 온수 히터(131)가 배치된다. 온수 히터(131)의 근처에는 탕온(湯溫)을 검지하는 온도 검지 장치로서 써미스터(132)가 배치된다. 또한, 온수 히터(131)와 써미스터(132) 사이에는 온수 히터(131)의 열을 써미스터(132)에 전달하는 방열 부재(133)가 배치된다.
또한, 탱크 본체(122)의 바닥면(130)의 가장 낮은 위치에는, 탱크 본체(122) 내의 세정수를 모두 배출하는 것이 가능한 배수 밸브(134)가 탱크 본체(122)의 전단부로부터 비스듬히 아래쪽을 향해서 마련된다. 이 배수 밸브(134)는 한냉지에 있어서의 동결 방지를 위해서, 또는 장기간의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의 더럽 고 손상된 물의 배출을 위해서 사용된다.
탱크 본체(122)의 입수구(127)의 안쪽에는 유입한 세정수의 흐름을 균일하게 하는 정류 기구(135)가 마련된다. 정류 기구(135)는 탱크 본체(122)의 바닥면(130)에 형성된 리브와, 하면에 리브가 형성된 정류 부재(136)를 조합함으로써 구성되어, 유로의 단면적 및 흐름의 방향을 바꾼다.
도 29는 세정수 탱크(116)의 단면도, 도 30은 도 29에서의 C-C 단면도이다. 도 31은 정류 부재(136)가 분리된 상태에서의 세정수 탱크(116)의 내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2는 정류 부재(136)을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입수구(127)의 내부에는 정류 부재(136)의 리브로 이루어지는 제 1 구획판(137)이 형성된다. 제 1 구획판(137)에 의해 세정수의 흐름을 하향으로 바꾸는 편향부(138)가 구성된다. 제 1 구획판(137)의 하단과 탱크 본체(122)의 바닥면(130) 사이의 간극이 세정수의 유로로 된다.
제 1 구획판(137)의 배면측에는, 탱크 본체(122)의 바닥면(130)으로부터 기립한 리브로 이루어지는 제 2 구획판(139)이 제 1 구획판(137)에 대하여 간극을 두고서 형성된다. 제 1 구획판(137)과 제 2 구획판(139) 사이의 공간이 조정부(140)로 된다. 조정부(140)의 용적은 편향부(138)의 용적의 약 4배로 되어 있다. 제 2 구획판(139)의 상단과 정류 부재(136)의 하면 사이의 간극은 세정수의 유로로 된다.
제 2 구획판(139)의 배면과 정류 부재(136)의 외주 리브(141) 사이에 유로가 형성되고, 이 유로가 유출부(142)로 된다. 유출부(142)는 제 2 구획판(139)의 상 단으로부터 탱크 본체(122)의 바닥면(130)을 향하는 강하부(143)과, 바닥면(130)에 평행한 수평부(144)로 이루어진다. 수평부(144)의 선단은 탱크 본체(122)의 안쪽을 향해서 개방되어 있다.
도 31 및 도 3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구획판(137), 제 2 구획판(139) 및 외주 리브(141)는, 각각 평면에서 보아서 L자형을 갖는다. 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구획판(137)의 하단과 탱크 본체(122)의 바닥면(130) 사이의 간극, 제 2 구획판(139)의 상단과 정류 부재(136)의 하면 사이의 간극, 및 유출부(142)의 수평부(144)의 개구는, 모두 높이에 비해서 수평 방향으로 긴 슬릿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28 및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탱크 본체(122) 하부 부재(124)의 뒷부분 내면에는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보강 리브(145)가 마련된다. 보강 리브(145)는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사한 개구 가장자리부(149)를 향해서 돌출해 있어, 바닥면(130)에 대하여 경사하도록 형성된다. 보강 리브(145)가 이 방향으로 돌출함으로써 수지 재료에 의한 성형이 용이해진다. 또한, 하부 부재(124)의 바닥면(130)의 바깥쪽에도 복수의 보강 리브(146)가 마련된다. 이들 보강 리브(145, 146)에 의해 탱크 본체(122)의 내압 강도가 향상한다.
또한, 탱크 본체(122)에 보강 리브(145, 146)를 마련함으로써 탱크 본체(122)의 표면적이 증가하여, 저류되는 세정수의 열이 방산하기 쉬워지는 것이 걱정된다. 그러나, 상기 구성에서는, 탱크 본체(122) 하부 부재(124)의 뒷부분에 마련되는 보강 리브(145)는 탱크 본체(122)의 내면에 존재하기 때문에, 방열에 대해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바닥면(130)의 바깥쪽에 마련되는 보강 리브(146)는 방열에 다소 영향을 주지만, 세정수 탱크(116)의 바닥부에 저류되는 세정수는 저온이기 때문에 영향이 최소한으로 억제될 수 있다.
탱크 본체(122) 상부 부재(123)와 하부 부재(124)의 접합면(147)은, 도 27 및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탱크 본체(122)의 뒤쪽 상부와 앞쪽 하부를 연결하는 대략 대각선을 형성한다. 또한, 접합부인 상부 부재(123)의 개구 가장자리부(148) 및 하부 부재(124)의 개구 가장자리부(149)의 외주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바깥쪽으로 돌출한 보강 가장자리부(150, 151)가 마련된다. 보강 가장자리부(150, 151)는 탱크 본체(122)의 측면, 배면, 전면 및 상면 등의 면구성부보다 큰 두께를 갖는다.
도 33은 탱크 본체(122)의 접합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3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부재(124)의 개구 가장자리부(149)에는 내주 홈(152a) 및 외주 홈(152b)이 마련된다. 내측의 내주 홈(152a)은 개구 가장자리부(149)의 내주 가장자리(149a)를 따라 전체 둘레에 걸쳐서 형성된다. 바깥쪽의 외주 홈(152b)은 개구 가장자리부(149)의 거의 중앙에 전체 둘레에 걸쳐서 형성된다. 내주 홈(152a) 내 및 외주 홈(152b) 내에는 금속선(153)이 각각 매설된다. 상부 부재(123)와 하부 부재(124)를 서로 접촉시킨 상태에서 금속선(153)에 통전한다. 그에 따라, 금속선(153)의 발열에 의해 내주 홈(152a) 및 외주 홈(152b)의 근방의 개구 가장자리부(148, 149)의 수지 재료가 용융하여, 상부 부재(123)와 하부 부재(124)가 용착된다. 이렇게 해서, 탱크 본체(122)가 형성된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부 부재(124)의 내주 가장자리(149a)를 따라 내주 홈(152a)이 마련됨으로써, 상부 부재(123)의 내주 가장자리(148a), 하부 부재(124)의 내주 가장자리(149a) 및 그 근방이 전체 둘레에 걸쳐서 확실에 용착된다.
또한, 탱크 본체(122)의 접합면(147)의 내압 강도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서,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부재(123)와 하부 부재(125)가 3개의 나사(170)로써 체결된다.
상부 부재(123) 및 하부 부재(124)의 개구 가장자리부(148, 149)에 마련된 보강 가장자리부(150, 151)는, 탱크 본체(122)의 측면의 내압 강도의 보강에 기여하고 있다. 특히, 접합면(147)을 대각선 위에 형성함으로써, 보강 가장자리부(150, 151)의 길이를 최대로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보강 가장자리부(150, 151)가 내압 강도의 보강에 크게 기여한다.
(3-2) 위생 세정 장치(10)의 동작 및 작용
다음에, 위생 세정 장치(10)의 세정수 탱크(116), 노즐 장치(15) 및 건조 장치(120)의 동작 및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도 26의 급수 접속부(117)에 수도관이 접속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부(11)에 의해 국부 세정의 조작을 실행하면, 개폐 밸브(118)가 열린다. 그에 따라, 수돗물은, 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정수 탱크(116)의 입수구(127)로부터 높은 유속으로 정류 기구(135)의 편향부(138)에 유입되어, 아래쪽 방향으로 방향을 바꾸고, 제 1 구획판(137)의 아래쪽의 간극을 통과해서 조정부(140)에 유입 된다. 세정수는 좁은 간극으로부터 넓은 공간을 갖는 조정부(140)에 유입됨으로써, 그 유속이 저하함과 아울러 균일화되어, 혼란이 없는 정류로 된다.
다음에, 세정수는 제 2 구획판(139)의 위쪽의 간극을 통과해서 조정부(140)로부터 유출부(142)로 흐른다. 이 상태에서 세정수는 정류화되어 있고, 유속도 낮게 되어 있다. 그에 따라, 세정수는 조정부(140)로부터 넘쳐나가도록 흘러나온다. 유출부(142)에 흘러나온 세정수는 강하부(143)를 통과해서 세정수 탱크(116)의 바닥면(130)까지 유하하고, 수평부(144)를 통과해서 바닥면(130)을 따라 세정수 탱크(116)의 안쪽으로 유출한다.
세정수 탱크(116) 내에 유출한 세정수는, 바닥면(130)을 따라 도 28의 온수 히터(131)의 아래쪽으로 흐른다. 온수 히터(131)의 가열에 의해 승온한 세정수는 서서히 세정수 탱크(116) 내의 상부로 상승한다. 그에 따라, 세정수 탱크(116) 내의 상부로 승온한 세정수가 저류된다.
세정수 탱크(116) 내에서는 대류가 일어나서, 세정수 탱크(116) 내의 중앙부에서는 승온한 세정수가 상승하고, 주변부에서는 저온의 세정수가 하강하는 움직임이 행해진다. 이때, 탱크 본체(122) 내의 뒷부분의 복수 단의 보강 리브(145)가 이 대류를 억제하도록 작용한다. 그에 따라, 세정수 탱크(116) 내에서의 과도한 대류가 억제되어, 항상 세정수 탱크(116) 내의 상부에 승온한 세정수가 저류된다.
국부 세정의 조작이 행해진 시점에서 노즐 장치(15)의 노즐 유닛(21)은 수납 위치로부터 세정 위치로 진출하고 있다. 승온한 세정수 탱크(116) 내의 세정수는 탱크 본체(122)의 상부 뒤쪽에 마련된 출수구(128)로부터 유출하고, 송수관을 거쳐 서 노즐 장치(15)에 공급된다. 노즐 장치(15)에 공급된 세정수는 유량 조정 밸브(161)를 통과하여, 도 7의 노즐 본체(22)의 둔부 세정 유로(28) 또는 비데 세정 유로(29)를 통해서 둔부 세정 분출구(31) 또는 비데 세정 분출구(32)로부터 국부를 향해서 분출한다. 그에 따라, 국부가 세정된다.
이때, 세정수 탱크(116) 내의 상부에 저류된 온도 이 높은 세정수로부터 순차적으로 유출하여, 저온의 세정수가 노즐 장치(15)에 공급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사용자는 쾌적한 국부 세정을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국부 세정의 종료의 조작을 실행하면, 도 26의 개폐 밸브(118)가 닫히고, 수돗물의 공급이 정지한다. 노즐 장치(15)로부터의 세정수의 분출이 정지함과 아울러, 노즐 유닛(21)은 수납 위치로 후퇴한다.
다음에, 사용자가 건조의 조작을 실행하면, 건조 장치(120)의 송풍 장치 및 히터에 통전이 개시된다. 그에 따라, 온풍 송풍구로부터 사용자의 국부를 향해서 온풍이 송풍된다. 국부 건조 후에, 사용자가 건조 종료의 조작을 실행하면, 건조 장치(120)가 정지한다.
도 34는 위생 세정 장치(10)를 기립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배수 밸브(134)의 사용시에는, 도 3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위생 세정 장치(10) 전체를 변기 위로 기립시켜서, 배수 밸브(134)의 개폐 조작을 실행한다. 이때, 배수 밸브(134)는 본체(12)의 높은 위치에서 비스듬하게 위쪽을 향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조작성 및 시인성이 매우 좋다.
(3-3) 세정수 탱크(116)의 효과
상기한 세정수 탱크(116)에 있어서는, 탱크 본체(122)의 상부 부재(123)와 하부 부재(124)의 접합면(147)이 대각선 위에 형성된다. 이 경우, 보강 가장자리부(150, 151)에 의해 세정수 탱크(116)의 내압 강도를 최대한으로 높일 수 있다. 또한, 상부 부재(123) 및 하부 부재(124)의 개구 면적이 최대로 되기 때문에, 상부 부재(123) 및 하부 부재(124)의 성형이 용이해진다. 특히, 하부 부재(124)의 내면에 보강 리브(145)를 용이하게 일체로 성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정류 기구(135)의 정류 부재(136) 등의 부재를 큰 개구로부터 탱크 본체(122) 내에 부착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탱크 본체(122)의 배면의 안쪽에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 리브(145)가 마련된다. 그에 따라, 탱크 본체(122)의 내압 강도가 향상한다. 또한, 저류되는 세정수가 필요 이상으로 대류하는 것이 억제된다. 그 결과, 세정수 탱크(116) 내의 상부에 항상 승온된 세정수가 저류된다. 게다가, 보강 리브(145)가 탱크 본체(122)의 내부에 마련되므로, 탱크 본체(122)의 외형 크기를 거의 크게 하지 않고 필요한 용량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공간 절약의 세정수 탱크(116)가 실현된다.
또한, 탱크 본체(122) 상부 부재(123)와 하부 부재(124)가 용착에 의해 접합되므로, 접합부가 필요 이상으로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일이 없다. 그에 따라, 세정수 탱크(116)의 새로운 공간 절약화가 실현된다.
개구 가장자리부(148, 149)의 내주 가장자리(148a, 149a)에는, 세정수 탱크(116)의 내압에 의해 상부 부재(123)와 하부 부재(124)의 접합부를 박리하려고 하는 응력이 가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개구 가장자리부(148, 149)의 내주 가장자리(148a, 149a)는 전체 둘레에 걸쳐서 용착된다. 그에 따라, 개구 가장자리부(148, 149)의 내주 가장자리(148a, 149a)의 접합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탱크 본체(122)의 내압 강도가 향상한다.
또한, 상부 부재(123)와 하부 부재(124)가 나사(170)로 체결되므로, 탱크 본체(122)의 내압 강도가 더욱 향상한다.
또한, 탱크 본체(122)의 입수구(127)에 연속해서 정류 기구(135)가 마련된다. 그에 따라, 세정수 탱크(116) 내에 유입하는 세정수의 유속이 저하한다. 또한, 세정수 탱크(116) 내에 유입하는 세정수가 바닥면(130)을 따라 방류되므로, 세정수 탱크(116) 내의 난류의 발생이 억제된다. 따라서, 세정수 탱크(116) 내의 상부에 온수가 저류되고, 하부에 냉수가 저류되어, 온수와 냉수의 혼합이 억제된다. 그 결과, 최적 온도의 세정수로 국부를 세정할 수 있음과 아울러, 세정수의 가열에 필요한 전기 에너지를 억제할 수 있다.
(3-4) 세정수 탱크(116)의 변형예
또한, 상기의 세정수 탱크(116)에서는, 탱크 본체(122) 상부 부재(123)와 하부 부재(124)의 접합을 위해서 개구 가장자리부(149, 150)의 내주 홈(152a) 및 외주 홈(152b)에 매설된 금속선(153)의 발열에 의한 용착 및 나사(170)에 의한 체결이 병용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초음파의 사용 등에 의한 다른 용착 방법이 사용되어도 좋고, 접착제를 사용한 접착이 사용되어도 좋고, 혹은 나사를 사용한 기계적인 접합 방법이 사용되어도 좋고, 또는 이것들이 병용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의 세정수 탱크(116)에서는, 상부 부재(123) 및 하부 부재(124)의 개구 가장자리부(149, 150)의 전체 둘레에 보강 가장자리부(150, 151)가 마련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보강 가장자리부(150, 151)의 일부가 제거되어도 좋다. 특히, 상기한 세정수 탱크(116)에서는, 전면 또는 배면에서의 보강 가장자리부(150, 151)의 부분이 제거되더라도, 세정수 탱크(116)의 내압 강도에 주는 영향은 적다. 또한, 세정수 탱크(116)의 측면에서의 보강 가장자리부(150, 151)의 일부가 제거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보강 가장자리부(150, 151)의 일부와 다른 부재의 간섭이 발생할 경우에는, 보강 가장자리부(150, 151)의 최소 한도의 부분이 제거되어도 좋다. 이 경우, 보강 가장자리부(150, 151)의 제거된 부분을 다른 방법으로 보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세정수 탱크(116)에서는, 성형성을 고려해서 보강 가장자리부(150, 151)는 바깥쪽으로 돌출한 구성을 갖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보강 가장자리부가 탱크 본체(122)의 안쪽으로 돌출해도 좋고, 보강 가장자리부가 탱크 본체(122)의 안쪽 및 바깥쪽의 양쪽에 돌출해도 좋고, 또는 보강 가장자리부가 탱크 본체(122)의 측면 또는 배면 등의 면구성부보다 큰 두께를 갖는 부분에 의해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한 세정수 탱크(116)에서는, 하부 부재(124)의 뒷부분 내면에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 리브(145)만이 형성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 리브(145)에 부가해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 리브가 마련되어도 좋다. 그에 따라, 내압 강도가 보다 향상된다. 또한, 필 요에 따라서 하부 부재(124)의 바닥면(130)의 안쪽에 보강 리브가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상부 부재(123)의 내압 강도의 보강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부 부재(123)의 내면에 마찬가지의 보강 리브가 마련되어도 좋다.
(3-5) 탱크 본체(122)의 접합부의 다른 예
도 35는 탱크 본체(122)의 접합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본 예가 도 33의 예와 상이한 것은, 도 3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구 가장자리부(148, 149)의 내주 가장자리(171a, 172a)가 탱크 본체(122)의 내부로 돌출하도록 형성되는 점이다.
내주 가장자리(172a)의 근방에 내주 홈(152a)이 개구 가장자리부(149)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마련되고, 개구 가장자리부(149)의 중앙부에 외주 홈(152b)이 전체 둘레에 걸쳐 마련된다. 내주 홈(152a) 및 외주 홈(152b)에 금속선(153)이 매설된다.
개구 가장자리부(148, 149)의 바깥쪽에 마련되는 보강 가장자리부(150, 151)는 금속제의 대략 コ자 형상의 보강 부재(176)에 의해 끼워져서 고정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탱크 본체(122)의 내부에 세정수에 의한 압력이 가해진 경우에, 상부 부재(123)와 하부 부재(124)를 박리시키는 응력의 이외에, 수압에 의해 개구 가장자리부(148, 149)의 내주 가장자리(171a, 172a)를 밀착시키는 방향으로도 힘이 작용한다. 그에 따라, 상부 부재(123)와 하부 부재(124)를 박리시키는 응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보강 가장자리부(150, 151)를 끼우도록 보강 부재(176)를 마련함으로 써, 상부 부재(123)와 하부 부재(124)의 접합부를 기계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부 부재(123) 및 하부 부재(124)의 박리에 대한 강도가 더욱 향상한다. 그 결과, 신뢰성 및 내구성이 향상한다.
또한, 본 예에서는, 개구 가장자리부(148, 149)의 내주 가장자리(171a, 172a)가 탱크 본체(122)의 내부로 돌출하는 구성과, 보강 부재(176)가 마련되는 구성이 병용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이들 구성 중 한쪽을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이들 구성 중 한쪽을 도 33의 구성과 병용한 경우에도, 유효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3-6) 세정수 탱크(116)의 유닛화
도 36은 세정수 탱크(116) 및 관련 부분을 포함하는 탱크 유닛의 사시도, 도 37은 위생 세정 장치(10)의 본체(12) 내부의 조립 도중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탱크 본체(122)의 보강 가장자리부(150)의 일부를 돌출시킴으로써 장착편(156)이 형성된다. 나사(157)를 이용하여 장착편(156)에 노즐 장치(15)를 장착함으로써 노즐 장치(15)가 탱크 본체(122)에 일체화된다. 탱크 본체(122)의 접합면(147)의 경사 방향은, 노즐 장치(15)의 노즐 유닛(21)의 진퇴 방향(화살표 B의 방향)과 동일하다. 개폐 밸브(118) 및 급수 접속부(117)가 탱크 본체(122)에 장착된다. 이렇게 해서, 세정수 탱크(116), 급수 접속부(117), 개폐 밸브(118) 및 노즐 장치(15)로 이루어지는 탱크 유닛(160)이 구성된다.
도 3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12) 아래쪽 케이스(12b)에 탱크 유닛(160), 건조 장치(120), 탈취 장치(162), 변좌 변기 덮개 개폐 장치(163) 및 지 지 부재(165)가 개별적으로 나사 등으로 고정된다.
탱크 유닛(160)은 위생 세정 장치(10)의 세정수의 경로로 되는 모든 위생 부재를 포함한다. 그 때문에, 탱크 유닛(160)의 조립 단계에서 누수 검사 및 각 기능의 검사가 가능해진다. 따라서, 검사시에 큰 치수의 위생 세정 장치(10)의 전체를 취급할 필요가 없다. 이와 같이, 검사시의 취급성이 향상된다. 또한, 탱크 유닛(160)의 조립 단계에서 이상을 발견할 수 있으므로, 보수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한, 탱크 본체(122)의 접합면(147)과 화살표 B로 표시되는 노즐 유닛(21)의 진퇴 방향이 동일하므로, 노즐 장치(15)의 긴 범위를 탱크 본체(122)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4) 착좌 검지 스위치
(4-1) 착좌 검지 스위치(200)의 구성
도 38은 착좌 검지 스위치(200)의 단면도로서, (a)는 변좌(13)에 사용자가 착좌하고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b)는 변좌(13)에 사용자가 착좌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8(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좌(13)의 후단 측부에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원통 형상의 회동축(218)이 안쪽으로 돌출하도록 마련된다. 위생 세정 장치(10)의 본체(12)의 측면은 수지 재료로 성형된다. 본체(12)의 측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219)이 형성된다. 긴 구멍(219)에는 변좌(13)의 회동축(218)이 관통해 있다. 본체(12)의 내부에서, 수지 재료로 성형된 스위치 대(220)가 긴 구멍(219)에 대향하도록 고정된다.
수지로 성형된 가동자(222)가 스위치대(220)의 미끄럼 운동 수부(221)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미끄럼 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가동자(222)는 수평 방향의 베어링 구멍(223)을 갖는다. 가동자(222)의 베어링 구멍(223)에 변좌(13)의 회동축(218)이 삽입된다. 그에 따라, 변좌(13)는 회동축(218) 및 베어링 구멍(223)에 의해 본체(12)에 대하여 회동 자유롭게 된다.
가동자(222)의 하단부(222a)와 미끄럼 운동 수부(221)의 바닥부(221a) 사이에는, 금속제의 코일 스프링(224)이 장착된다. 코일 스프링(224)은 가동자(222) 및 변좌(13)의 중량에 저항해서 가동자(222)를 위쪽 방향으로 가압한다. 또한, 스위치대(220)의 상부에는 마이크로 스위치(225)가 장착된다. 코일 스프링(224)으로 가압된 가동자(222)의 상단부가 마이크로 스위치(225)의 가동편(226)을 누른다. 마이크로 스위치(225)는 가동편(226)이 눌린 상태에서 접점이 열리고, 가동편(226)이 눌리지 않은 상태에서 접점이 닫히는 상폐(常閉) 타입의 접점 구조를 갖는다.
변좌(13)에 사용자가 착좌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3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자(222)는 코일 스프링(224)에 의해 위쪽으로 가압되어, 가동자(222)의 상단부가 마이크로 스위치(225)의 가동편(226)을 누른다. 이 상태에서는, 마이크로 스위치(225)의 접점은 열린다.
회동축(218)의 관통 구멍 내에는 변좌(13) 내의 변좌 히터 및 써미스터에 접속된 리드선(217)이 삽통된다. 리드선(217)은 제어 장치(700)에 접속된다.
변좌(13)에 사용자가 착좌한 상태에서는, 사용자의 체중이 변좌(13)에 가해진다. 그에 따라, 도 3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동축(218) 및 가동자(222)가 아래쪽으로 눌려져, 가동자(222)의 상단부가 마이크로 스위치(225)의 가동편(226)로부터 이반한다. 이 상태에서는, 마이크로 스위치(225)의 접점은 닫힌다. 이 상태에서, 가동자(222)의 상단부와 마이크로 스위치(225)의 가동편(226) 사이에는 4mm 이상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4-2) 착좌 검지 스위치(200)의 동작 및 작용
다음에, 착좌 검지 스위치(200)의 동작 및 작용을 설명한다.
대기 상태의 위생 세정 장치(10)에서는, 제어 장치(700)에 의해 변좌(13)의 변좌 히터에 전류가 통전되어, 변좌(13)의 착좌면이 쾌적한 온도로 유지되어 있다. 또한, 국부의 세정시에 노즐 장치(15)로부터 분출되는 세정수는, 미리 세정에 알맞은 온도로 가열되어서 세정수 탱크(116)에 저류되어 있다.
남자 소변 사용시에는, 변좌(13) 및 변기 덮개(14)가 위쪽으로 열린다. 이 경우, 착좌 검지 스위치(200)는 도 38(a)의 상태에 있고, 마이크로 스위치(225)는 열린 상태로 되어 있다. 그에 따라, 마이크로 스위치(225)로부터 제어 장치(700)에 착좌를 검지하고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비검지 신호가 보내어진다. 즉, 마이크로 스위치(225)로부터 제어 장치(700)에 착좌의 검지를 나타내는 검지 신호는 보내지지 않는다. 제어 장치(700)는 마이크로 스위치(225)로부터의 비검지 신호에 의해 변좌(13)에 사용자가 착좌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 이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조작부(11) 또는 리모콘(40)을 잘못 조작하더라도, 제어 장치(700)는 노즐 장치(15)의 동작 지령을 출력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국부 세정의 조작을 행하더라도, 노즐 장치(15)로부터 세정수가 분출하는 일은 없다. 또한, 사용자가 건조의 조작을 행하더라도, 건조 장치(120)는 노즐 장치(15)와 마찬가지로 동작을 개시하지 않는다.
다음에, 대변 사용시 또는 여자 소변 사용시에는, 사용자는 변좌(13)를 변기의 상면에 도치하여, 변좌(13)의 착좌면에 착좌한다. 이때, 변좌(13)의 착좌면은 미리 쾌적한 온도로 보온되어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추운 시기에도 쾌적하게 변좌(13)에 착좌할 수 있다.
사용자가 변좌(13)에 착좌하면, 변좌(13)에 사용자의 체중이 가해진다. 그에 따라, 변좌(13)의 회동축(218)에 아래 방향의 힘이 가해지고, 코일 스프링(224)의 가압력에 저항해서 가동자(222)가 눌려진다. 따라서, 도 3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자(222)의 상단부는 마이크로 스위치(225)의 가동편(226)으로부터 떨어지고, 가동자(222)의 상단부와 마이크로 스위치(225)의 가동편(226)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다. 이때, 마이크로 스위치(225)의 접점은 닫힌 상태로 되어, 제어 장치(700)에는 착좌의 검지를 나타내는 검지 신호가 보내어진다.
착좌가 검지되고 있지 있은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국부 세정의 조작을 행하면, 노즐 장치(15)의 노즐 유닛(21)이 세정 위치에 진출하여, 선단의 둔부 세정 분출구(31) 또는 비데 세정 분출구(32)로부터 세정수를 분출한다. 그에 따라, 국부의 세정이 행해진다. 또한, 사용자가 세정 종료의 조작을 실행하면, 노즐 유닛(21)이 원래의 수납 위치로 후퇴하여, 세정 동작이 종료한다.
계속해서, 사용자가 건조의 조작을 실행하면, 제어 장치(700)는 건조 장치(120)의 송풍 장치 및 히터에 통전을 실행한다. 그에 따라, 온풍이 온풍 송풍구 로부터 사용자의 국부를 향해서 송풍되어, 세정에 의해 적셔진 국부가 건조된다. 사용자가 건조 종료의 조작을 실행하면, 건조 장치(120)가 정지하고, 건조 동작이 종료한다.
국부 세정 또는 건조의 동작중에 사용자가 일어선 경우, 변좌(13)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체중이 해방되기 때문에, 회동축(218) 및 가동자(222)는 코일 스프링(224)의 가압력에 의해 위쪽으로 이동하여, 마이크로 스위치(225)의 가동편(226)을 누른다. 그에 따라, 마이크로 스위치(225)의 접점은 닫힌 상태로 되어, 마이크로 스위치(225)로부터 제어 장치(700)에 사용자가 착좌하고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비검지 신호가 보내어진다. 이 경우, 제어 장치(700)는 즉시 국부 세정 또는 건조의 동작을 정지한다. 따라서, 세정수가 변기의 주위로 분출해서 사용자의 의복 또는 화장실 내의 마루 및 벽을 적시는 것, 및 온풍이 불필요하게 송풍되는 것이 방지된다.
사용자는 변좌(13)에 착좌하고 있는 상태에서 종종 신체를 움직이거나 이동시킨다. 본 예의 착좌 검지 스위치(200)에서는, 착좌 상태에서 가동자(222)의 상단부와 마이크로 스위치(225)의 가동편(226) 사이에 4mm 이상의 간극이 마련된다. 그 때문에, 사용자가 착좌한 상태에서 신체를 움직이거나 이동시킴으로써 변좌(13)의 회동축(218)이 다소 움직이더라도, 가동자(222)의 상단부에 의해 마이크로 스위치(225)의 가동편(226)이 눌릴 일은 없다. 따라서, 국부 세정 및 건조의 동작이 사용자의 의사에 반하여 정지하는 것이 방지된다.
(4-3) 착좌 검지 스위치(200)의 효과
이상과 같이, 본 예의 착좌 검지 스위치(200)에서는, 마이크로 스위치(225)가 변좌(13)의 회동축(218)의 상부에 배치되고, 코일 스프링(224)의 가압력으로 가동편(226)이 가동자(222)의 상단부에 의해 눌린다. 그에 따라, 마이크로 스위치(225)에 사용자의 체중이 직접 가해지는 일이 없다. 또한, 마이크로 스위치(225)에는 코일 스프링(224)의 가압력 이상의 힘이 가해지지 않는다. 그 결과, 마이크로 스위치(225)의 파손 및 내구성이 저하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착좌 상태에서 가동자(222)의 상단부와 마이크로 스위치(225)의 가동편(226) 사이에 4mm 이상의 간극이 마련된다. 그에 따라, 착좌중에 사용자가 다소 신체를 움직이거나 이동시키더라도 위생 세정 장치(10)의 동작이 사용자의 의사에 반하여 정지한다고 하는 오동작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변좌(13)에 착좌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마이크로 스위치(225)는 열린 상태로 되어 있어, 회로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고 있다. 따라서, 전력 절약화가 가능해진다.
(4-4) 착좌 검지 스위치(200)의 변형예
또한, 상기한 착좌 검지 스위치(200)에서는, 가동자(222)를 위쪽으로 가압하는 탄성체로서 금속제의 코일 스프링(224)이 사용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판스프링 등의 형상이 상이한 금속제의 스프링, 또는 고무 혹은 탄성을 갖는 수지 등의 금속 이외의 탄성체가 사용되어도 좋다. 특히, 위생 세정 장치(10)에서는 물이 사용되므로, 탄성체로서 내식성을 갖는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착좌 검지 스위치(200)에서는, 착좌 상태에서 가동자(222)의 상단부와 마이크로 스위치(225)의 가동편(226)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이 확실성을 고려해서 4mm 이상으로 설정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4mm보다 작은 최소의 간극이 마련됨으로써 상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5) 누전 차단기
(5-1) 조작부(11)
도 39는 도 1의 조작부(11)의 상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부(11)의 상면에는, 위생 세정 장치(10)의 각종 기능의 조작 또는 각종 기능의 설정을 실행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복수의 스위치(306) 및 복수의 표시 램프(307)가 마련된다.
또한, 조작부(11)의 상면에는, 누전 표시부인 누전 표시 LED(발광 다이오드)(322), 및 누전 차단기(300)의 테스트를 위해서 이용되는 테스트용 스위치(323)가 마련된다. 테스트용 스위치(323)는 푸쉬 스위치로 이루어진다.
테스트용 스위치(323)는 조작부(11)의 후단부에 배치되고, 또한 테스트용 스위치(323)의 가압 면적은 작게 형성된다. 그에 따라, 테스트용 스위치(323)를 사용자가 잘못 조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테스트용 스위치(323)의 조작에 필요한 가압력은, 다른 스위치(306)의 조작에 필요한 가압력의 3 내지 5배로 설정된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조작부(11)의 청소 등 때문에 테스트용 스위치(323)에 닿았을 경우에도, 용이하게 오조작이 발생하지 않는다.
(5-2) 위생 세정 장치(10)의 회로 구성의 제 1 예
도 40은 위생 세정 장치(10)의 회로 구성의 제 1 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전원 콘센트(308)에 전원 플러그(309)가 접속된다. 전원 플러그(309)에는 1대의 전원 라인(310)이 접속된다. 전원 라인(310)은 왕복 전류차를 검지하는 ZCT(영상(零相) 변류기)(311)를 통해서 전원 회로(312)에 접속된다. 전원 회로(312)는 직류 전원 전압을 발생하고, 그 직류 전원 전압을 제어 장치(700), 탈취 장치(162) 및 변좌 변기 덮개 개폐 장치(163) 등에 인가한다.
제어 장치(700)는 위생 세정 장치(10)의 전체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장치(700)는 탈취 장치(162) 및 변좌 변기 덮개 개폐 장치(163)를 제어함과 아울러, 온수 히터(131) 및 변좌 히터(580)를 온 및 오프하는 트라이액(318, 319)도 제어한다. 또한, 제어 장치(700)는 노즐 장치(15)의 구동 모터(44)(도 14 내지 도 16), 유량 조정 밸브(61)(도 3 내지 도 5) 및 건조 장치(120)(도 26)를 구동한다.
ZCT(311)의 출력 전압은 누전 검지 회로(320)에 인가된다. 누전 검지 회로(320)는 3접점(321a, 321b, 321c)을 갖는 누전 차단용의 릴레이(321)를 제어한다. 한쪽의 전원 라인(310)은 접점(321a)에 접속되고, 다른쪽의 전원 라인(310)은 접점(321b)에 접속된다. 전원 회로(312)의 출력 단자는 접점(321c)에 접속된다.
접점(321a, 321b, 321c)은, 통상, 단자(321e, 321f, 321g)에 각각 접속된다. 단자(321e)는 온수 히터(131) 및 변좌 히터(580)에 접속된다. 단자(321f)는 제어 장치(700)의 한쪽의 전원 단자 및 트라이액(318, 319)에 접속된다. 단자(321g)는 제어 장치(700)의 다른쪽의 전원 단자에 접속된다.
ZCT(311)에는 테스트 전류 라인(324)이 통과되고 있다. 단자(321d)와 테스 트 전류 라인(324) 사이에는, 누전 표시 LED(322) 및 테스트용 스위치(323)가 접속된다.
ZCT(311), 누전 검지 회로(320), 릴레이(321), 누전 표시 LED(322), 테스트용 스위치(323) 및 테스트 전류 라인(324)이 누전 차단기(300)를 구성한다.
(5-3) 위생 세정 장치(10)의 동작 및 작용
도 40의 위생 세정 장치(10)의 동작 및 작용을 설명한다.
위생 세정 장치(10)에서 누전이 발생하면, 전원 라인(310)의 왕복 전류에 차가 발생함으로써 ZCT(311)에 출력 전압이 발생한다. 그에 따라, 누전 검지 회로(320)는 누전 차단용의 릴레이(321)를 제어하고, 접점(321b, 321c)을 연다. 그 결과, 전원 라인(310) 및 전원 회로(312)로부터 온수 히터(131), 변좌 히터(580) 및 제어 장치(700)가 차단된다. 또한, 누전 검지 회로(320)는 릴레이(321)의 접점(321a)을 단자(321d)로 전환한다. 그에 따라, 한쪽의 전원 라인(310)으로부터 누전 표시 LED(322)를 통해서 다른쪽의 전원 라인(310)에 전류가 흘러, 누전 표시 LED(322)가 점등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위생 세정 장치(10)가 누전하고 있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한편, 누전 표시 LED(322)가 점등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테스트용 스위치(323)를 누르면, ZCT(311)에 통과된 테스트 전류 라인(324)으로 전류가 흐른다. 그에 따라, 전원 라인(310)의 왕복 전류에 차가 발생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ZCT(311)에 출력 전압이 발생하고, 누전 발생시와 마찬가지로 릴레이(321)가 작동한다. 이 경우에도, 누전 표시 LED(322)가 점등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누전 차단기(300)가 정상으로 작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예를 들면 ZCT(311)가 파손되어 있을 경우, 또는 누전 검지 회로(320)가 단선되어 있을 경우에는, 누전 표시 LED(322)는 점등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사용자는 누전 차단기(300)에 이상이 있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5-4) 위생 세정 장치(10)의 회로 구성의 제 2 예
도 41은 위생 세정 장치(10)의 회로 구성의 제 2 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41의 회로 구성에 있어서 도 40과 동일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위생 세정 장치(10)의 제 2 예가 제 1 예와 상이한 것은, 전원 회로(312) 대신에 절연 트랜스를 포함하는 전원 회로(332)가 이용되고, 릴레이(321) 대신에 2접점(333a, 333b)을 갖는 릴레이(333)가 이용되는 점이다.
한쪽의 전원 라인(310)은 접점(333a)에 접속되고, 다른쪽의 전원 라인(310)은 접점(333b)에 접속된다. 접점(333a, 333b)은, 통상, 단자(333d, 333e)에 각각 접속된다.
단자(333d)는 온수 히터(131) 및 변좌 히터(580)에 접속된다. 단자(333e)는 제어 장치(700)의 한쪽의 전원 단자 및 트라이액(318, 319)에 접속된다. 단자(333c)와 다른쪽의 전원 라인(310) 사이에는 누전 표시 LED(322)가 접속되고, 전원 회로(332)의 한쪽의 출력 단자와 테스트 전류 라인(324) 사이에는 테스트용 스위치(323)가 접속된다. 전원 회로(332)의 다른쪽의 출력 단자는 제어 장치(700)의 다른쪽의 전원 단자에 접속된다.
ZCT(311), 누전 검지 회로(320), 릴레이(333), 누전 표시 LED(322), 테스트용 스위치(323) 및 테스트 전류 라인(324)이 누전 차단기(300)를 구성한다.
위생 세정 장치(10)에 있어서 누전이 발생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릴레이(333)에 의해 전원 라인(310) 및 전원 회로(332)로부터 온수 히터(131), 변좌 히터(580) 및 제어 장치(700)에 전력이 공급된다.
위생 세정 장치(10)에서 누전이 발생한 경우에는, 제 1 예와 마찬가지로, ZCT(311)에 출력 전압이 발생한다. 그에 따라, 누전 검지 회로(320)가 릴레이(333)를 제어하여, 접점(333b)을 연다. 그 결과, 전원 라인(310) 및 전원 회로(332)로부터 온수 히터(131) 및 변좌 히터(580)가 차단된다. 이때, 제어 장치(700)에는, 절연 트랜스로 이루어지는 전원 회로(332)에 의해 전원 라인(310)으로부터 절연된 상태로 전력이 공급된다. 그 때문에, 온수 히터(131) 및 변좌 히터(580)는 정지하지만, 제어 장치(700)에 의해 구동되는 탈취 장치(162) 및 변좌 변기 덮개 개폐 장치(163)는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누전이 발생한 경우에도, 용변에 최저 필요한 변좌(13) 및 변기 커버(14)의 개폐는 가능하여, 사용자는 최저한의 화장실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 1 예와 마찬가지로, 누전 검지 회로(320)는 릴레이(333)의 접점(333a)을 단자(333c)로 전환한다. 그에 따라, 한쪽의 전원 라인(310)으로부터 누전 표시 LED(322)를 통해서 다른쪽의 전원 라인(310)에 전류가 흘러, 누전 표시 LED(322)가 점등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위생 세정 장치(10)가 누전하고 있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제 1 예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테스트용 스위치(323)를 누름으로써, 누전 차단기(300)가 정상으로 작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5-5) 위생 세정 장치(10)의 회로 구성의 제 3 예
도 42는 리모콘의 정면도이다. 도 43은 위생 세정 장치(10)의 회로 구성의 제 3 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43의 회로 구성에 있어서 도 41과 동일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42의 리모콘(40)은, 본체(12)와 일체적으로 마련되는 조작부(11)와는 별도로, 화장실의 벽면 등에 설치해서 사용된다. 리모콘(40)과 위생 세정 장치(10)의 본체(12) 사이에서 적외선을 이용한 쌍방향 통신이 행해진다.
리모콘(40)의 전면에는, 조작부(11)와 마찬가지로, 위생 세정 장치(10)의 각 기능의 조작 또는 각 기능의 설정을 실행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복수의 스위치(403) 및 복수의 표시부(404)가 마련된다. 리모콘(40)의 전면의 하단부에는, 누전 표시부(405), 및 누전 차단기(300)의 테스트를 위해서 이용되는 테스트용 스위치(406)가 마련된다.
테스트용 스위치(406)의 가압 면적은 작게 형성된다. 또한, 테스트용 스위치(406)의 조작에 필요한 가압력은, 다른 스위치(403)의 조작에 필요한 가압력의 3 내지 5배로 설정된다. 그에 따라, 테스트용 스위치(406)의 오조작이 방지된다.
도 4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모콘(40)은 리모콘 제어부(402), 리모콘 전원부(407) 및 리모콘 통신부(408)를 포함한다. 리모콘 전원부(407)는 전지로 이루어진다. 리모콘 제어부(402) 및 리모콘 통신부(408)가 리모콘 전원부(407)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으로 작동한다.
위생 세정 장치(10)의 제 3 예가 제 2 예와 상이한 것은, 통신부(409), 단락 회로(410) 및 제로 크로스 검지 회로(411)를 더 구비하는 점이다.
통신부(409)는 리모콘(40)과 적외선에 의한 쌍방향 통신을 실행한다. 단락 회로(410)는 리모콘(40)으로부터의 테스트용 신호에 의해 누전 상태를 발생시킨다. 제로 크로스 검지 회로(411)는 릴레이(333)가 작동해서 전원 라인(310)으로부터 온수 히터(131) 및 변좌 히터(580)가 차단된 것을 검지한다.
위생 세정 장치(10)에서 누전이 발생한 경우에는, 제 2 예와 마찬가지로, ZCT(311)에 출력 전압이 발생한다. 그에 따라, 누전 검지 회로(320)가 릴레이(333)를 제어하여, 접점(333b)을 연다. 그 결과, 전원 라인(310) 및 전원 회로(332)로부터 온수 히터(131) 및 변좌 히터(580)가 차단된다. 이때, 제어 장치(700)에는, 절연 트랜스로 이루어지는 전원 회로(332)에 의해 전원 라인(310)으로부터 절연된 상태에서 전력이 공급된다. 그 때문에, 온수 히터(131) 및 변좌 히터(580)는 정지하지만, 제어 장치(700)에 의해 구동되는 탈취 장치(162) 및 변좌 변기 덮개 개폐 장치(163)는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제 2 예와 마찬가지로, 누전 검지 회로(320)는 릴레이(333)의 접점(333a)을 단자(333c)로 전환한다. 그에 따라, 한쪽의 전원 라인(310)으로부터 누전 표시 LED(322)를 통해서 다른쪽의 전원 라인(310)으로 전류가 흘러, 누전 표시 LED(322)가 점등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위생 세정 장치(10)가 누전하고 있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제로 크로스 검지 회로(411)는 전원 라인(310)으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차단된 것을 검지하면, 검지 신호를 제어 장치(700)에 인가한다. 제어 장치(700)는 리모콘(40)의 누전 표시부(405)를 점등시키기 위한 점등 신호를 통신부(409)에 인가한다. 그에 따라, 통신부(409)는 점등 신호를 적외선에 의해 리모콘 통신부(408)에 송신한다. 리모콘(40)의 리모콘 통신부(408)는 수신한 점등 신호를 리모콘 제어부(402)에 인가한다. 그에 따라, 리모콘 제어부(402)는 누전 표시부(405)를 점등시킨다.
한편, 사용자가 리모콘(40)의 테스트용 스위치(406)를 누르면, 리모콘 제어부(402)는 테스트 신호를 리모콘 통신부(408)에 인가한다. 리모콘 통신부(408)는 테스트 신호를 본체(12)의 통신부(409)에 송신한다. 통신부(409)는 수신한 테스트 신호를 제어 장치(700)에 인가한다. 그에 따라, 제어 장치(700)는 단락 회로(410)를 접속 상태로 한다. 그 결과, 누전 상태가 발생하여, 누전 차단기(300)의 테스트가 행해진다.
또한, 제 1 및 제 2 예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조작부(11)의 테스트용 스위치(323)를 누름으로써, 누전 차단기(300)가 정상으로 작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한 리모콘(40) 및 조작부(12)에 의한 누전 차단기(300)의 테스트 중 어느 쪽의 경우에도, 조작부(11)의 누전 표시 LED(322) 및 리모콘(40)의 누전 표시부(405)의 양쪽이 점등한다.
제 3 예에서는, 보통 사용자가 조작하기 쉬운 위치에 설치되는 리모콘(40)에 누전 표시부(405) 및 테스트용 스위치(406)가 마련된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위생 세정 장치(10)의 이상을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음과 아울러, 위생 세정 장치(10)의 사용 상황이 향상된다.
또힌, 본 예에서는, 본체(12)와 리모콘(40) 사이에서 적외선을 이용한 통신이 행해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쌍방향의 통신 방법으로서, 전파에 의한 무선 통신, 또는 유선으로 접속된 전기적 신호를 이용해도 좋다.
또한, 본 예에서는, 리모콘(40)에 누전 표시부(405) 및 테스트용 스위치(406)가 마련되고, 조작부(11)에 누전 표시 LED(322) 및 테스트용 스위치(323)가 마련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리모콘(40)에만 누전 표시부(405) 및 테스트용 스위치(406)가 마련되고, 조작부(11)에 누전 표시 LED(322) 및 테스트용 스위치(323)가 마련되지 않아도 좋다.
(6) 변좌
(6-1) 변좌(13)의 구성
도 44는 변좌(13)의 분해 사시도, 도 45는 상부 변좌 케이싱을 아래쪽에서 본 도면, 도 46은 하부 변좌 케이싱을 위쪽에서 본 도면, 도 47은 도 44의 U-U선에서의 상부 변좌 케이싱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좌(13)는 대략 원환 형상을 갖고, 알루미늄에 의해 형성된 상부 변좌 케이싱(510)과,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된 하부 변좌 케이싱(520)을 구비한다.
일점 쇄선으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변좌 케이싱(510)의 상면의 일부가 사용자의 착좌부(510T)로 된다.
도 44 및 도 4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변좌 케이싱(510)의 하면 측에는, 착좌부(510T)의 영역에 2개의 써미스터(511)가 장착된다. 또한, 그 밖의 영역에 2개의 써미스터(512)가 장착된다.
또한, 착좌부(510T)의 영역에 마련되는 써미스터(511)는 1개이어도 좋다. 또한, 그 밖의 영역에 마련되는 써미스터(512)도 1개이어도 좋다.
도 44 및 도 4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변좌 케이싱(520)의 상면 측에는, 하부 변좌 케이싱(520)의 형상을 따르도록 형성된 폭사 반사판(530)이 장착된다. 폭사 반사판(530)은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판재의 표면을 경면 처리함으로써 제작된다.
또한, 폭사 반사판(530)의 상면에는 변좌 히터(580)가 마련된다. 변좌 히터(580)는 U자형으로 형성된 후방 램프 히터(581) 및 전방 램프 히터(582)를 직렬로 접속함으로써 제작된다.
또한, 폭사 반사판(530)의 상면에는 전방 램프 히터(582)의 소정의 개소(2개소)에 근접하도록 2개의 써모스탯(541)이 장착되고, 후방 램프 히터(581)의 소정의 개소(2개소)에 근접하도록 2개의 써모스탯(542)이 장착된다. 이들 복수의 서모스탯(541, 542)은 모두 변좌 히터(580)에 직렬로 접속된다.
도 45의 상부 변좌 케이싱(510)과 도 46의 하부 변좌 케이싱(520)을 도시하지 않은 밀봉재를 사이에 두고 접합함으로써 변좌(13)가 완성된다. 이에 따라, 상부 변좌 케이싱(510) 및 하부 변좌 케이싱(520) 내의 공간이 밀폐된다. 밀봉재에 의해, 상부 변좌 케이싱(510) 및 하부 변좌 케이싱(520) 내로의 물의 침입이 방지된다. 이 상태에서, 상부 변좌 케이싱(510)에 장착된 써미스터(511)는 전방 램프 히터(582)에 대향한다.
후방 램프 히터(581) 및 전방 램프 히터(582)는 할로겐 램프 히터이다. 할로겐 램프 히터에서는, 유리관의 내부에 필라멘트가 마련됨과 아울러, 아르곤 가스 및 할로겐 가스가 봉입되어 있다.
도 4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변좌 케이싱(510)은 열전도성이 뛰어난 알루미늄층(510b)의 상면 및 하면에 여러 가지의 층을 형성함으로써 제작된다. 또한, 알루미늄의 열전도율은 약 237W/mㆍK이다.
알루미늄층(510b)의 하면에 탄소 등을 포함하는 흑색의 도료가 도포된다. 이에 따라, 알루미늄층(510b)의 하면에는 폭사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흑색의 폭사 흡수층(510a)이 형성된다.
알루미늄층(510b)의 상면에는 알루마이트층(510c) 및 표면 화장층(510d)이 순차로 형성된다. 알루마이트층(510c)이 형성됨으로써, 알루미늄층(510b)의 상면의 내식성이 향상된다. 표면 화장층(510d)은 소정의 도료 등에 의해 형성된다.
알루미늄층(510b)의 하면에는 폭사 흡수층(510a)을 사이에 두고 써미스터(511)가 장착되어 있다. 써미스터(511)는 폭사 흡수층(510a)을 거쳐서 알루미늄층(510b)의 온도를 검출한다.
변좌 히터(580), 써미스터(511, 512) 및 써모스탯(541, 542)은 제어 장치(700)에 접속된다.
(6-2) 변좌 히터(580)의 구성
본 예의 후방 램프 히터(581) 및 전방 램프 히터(582)의 정격 전력은 각각 500W 및 700W로 설정된다. 이 경우, 변좌 히터(580)의 정격 전력은 1200W이다.
여기서, 후방 램프 히터(581)의 길이를 460mm로 하고, 전방 램프 히터(582)의 길이를 600mm로 한다. 이 경우, 후방 램프 히터(581)의 단위 길이당의 정격 전력이 약 1087W/m이 되고, 전방 램프 히터(582)의 단위 길이당의 정격 전력이 약 1167W/m로 된다.
이와 같이, 전방 램프 히터(582)의 단위 길이당의 정격 전력은, 후방 램프 히터(581)의 단위 길이당의 정격 전력보다 커지도록 설정한다. 이에 따라, 전방 램프 히터(582)로부터 발생되는 폭사 에너지의 단위 길이당의 크기를, 후방 램프 히터(581)로부터 발생되는 폭사 에너지의 단위 길이당의 크기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예의 변좌 히터(580)의 구동시에는, 상부 변좌 케이싱(510)의 전방에 위치하는 착좌부(510T)가, 상부 변좌 케이싱(510)의 후방 부분보다 큰 폭사 에너지를 받아서 가열되고, 착좌부(510T)의 온도를 다른 부분에 비해서 급속히 상승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착좌부(510T)가 우선적으로 가열되므로, 사용자가 착좌부(510T)에 착좌할 때에 차갑다고 느끼는 것이 방지된다.
본 예에서는, 변좌 히터(580)에 정격 전력이 상이한 후방 램프 히터(581) 및 전방 램프 히터(582)를 사용하는 취지를 설명했지만, 변좌 히터(580)는 정격 전력이 서로 상이한 3개 이상의 램프 히터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이 경우, 상부 변좌 케이싱(510)에 대한 복수의 램프 히터의 배치를 조정함으로써, 상부 변좌 케이싱(510)의 각 부에 인가하는 폭사 에너지의 크기를 보다 상세히 조정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착좌부(510T)에 착좌할 때에 차갑다고 느끼는 것이 충분히 방지된다.
(6-3) 상부 변좌 케이싱(510)의 형상
도 4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예의 상부 변좌 케이싱(510)은 전방 부분 FA와 후방 부분 BA에서 크기(면적)가 상이하다. 본 예에서는, 전방 부분 FA의 상부 변좌 케이싱(510)의 폭 FW가 약 50mm인 것에 대해, 후방 부분의 폭 BW는 약 100mm이다.
이 경우, 변좌 히터(580)에 의해 발생되는 폭사 에너지의 모두가 상부 변좌 케이싱(510)에 인가된다고 하면, 상부 변좌 케이싱(510)의 단위 길이당(원환 형상을 따르는 길이)에 인가되는 폭사 에너지의 크기는 상부 변좌 케이싱(510)의 부분마다 상이하다.
본 예에서는, 상부 변좌 케이싱(510)의 전방 부분 FA에서 단위 길이당에 인가되는 폭사 에너지의 단위 시간당의 크기는, 후방 부분 BA에서 단위 길이당에 주어지는 폭사 에너지의 단위 시간당의 크기의 약 2배로 된다.
그에 따라, 변좌 히터(580)의 구동 개시와 함께, 상부 변좌 케이싱(510)의 온도를 다른 부분에 비해서 급속히 상승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착좌부(510T)가 우선적으로 가열되므로, 사용자가 착좌부(510T)에 착좌할 때에 차갑다고 느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 변좌 케이싱(510)의 형상을 조정함으로써, 변좌 히터(580)의 구동시에 있어서의 온도 상승의 정도(승온 속도)를 상부 변좌 케이싱(510)의 부분마다 조정할 수 있다.
(6-4) 변좌 히터(580)와 상부 변좌 케이싱(510)의 관계
이것들로부터, 변좌 히터(580)의 구성 및 상부 변좌 케이싱(510)의 형상을 조합하여 조정함으로써, 변좌 히터(580)의 구동시에 있어서의 상부 변좌 케이싱(510)의 승온 속도를 상부 변좌 케이싱(510)의 부분마다 상세히 조정할 수 있다.
본 예와 같이, 상부 변좌 케이싱(510)의 전방에 단위 길이당에 발생되는 폭사 에너지가 큰 전방 램프 히터(582)를 배치함과 아울러, 상부 변좌 케이싱(510)의 전방 부분 FA의 크기를 작게 설계함으로써, 착좌부(510T)의 승온 속도를 충분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부 변좌 케이싱(510)의 내부에서의 변좌 히터(580)의 배치 위치를 조정하더라도, 승온시에 있어서의 상부 변좌 케이싱(510)에 소망하는 온도 분포를 형성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부 변좌 케이싱(510)의 전방 부분 FA에서는, 변좌 히터(580)를 상부 변좌 케이싱(510)의 내표면에 근접시키고, 후방 부분 BA에서는 변좌 히터(580)를 상부 변좌 케이싱(510)의 내표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극으로 이격시킨다. 이 경우에도, 상부 변좌 케이싱(510)의 전방 부분 FA의 승온 속도를 후방 부분 BA의 승온 속도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또는, 상부 변좌 케이싱(510)의 각 부분에서, 재료의 두께를 변화시켜도 좋 다. 예를 들면, 상부 변좌 케이싱(510)의 전방 부분 FA의 두께를 얇게 설정하고, 후방 부분 BA의 두께를 두껍게 설정한다. 이 경우에도, 상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부 변좌 케이싱(510)의 각 부분에서, 재질을 변화시켜도 좋다. 예를 들면, 상부 변좌 케이싱(510)의 전방 부분 FA에 열전도율이 높은 재료를 이용하고, 후방 부분 BA에 열전도율의 낮은 재료를 이용한다. 이 경우에도, 상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6-5) 변좌 히터(580)의 구동
상술한 바와 같이 후방 램프 히터(581) 및 전방 램프 히터(582)는, 도 40, 도 41 또는 도 43의 트라이액(319)을 거쳐서 제어 장치(700)에 접속되어 있다. 트라이액(319)에 의해 후방 램프 히터(581) 및 전방 램프 히터(582)에 전류가 흘려지면, 각 램프 히터로부터 주위로 적외선이 폭사된다.
그리고, 후방 램프 히터(581) 및 전방 램프 히터(582)로부터 폭사된 적외선, 즉 폭사 에너지가 직접적으로 또는 폭사 반사판(530)을 거쳐서 간접적으로 상부 변좌 케이싱(510)의 하면 측에 입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흑색의 폭사 흡수층(510a)(도 47)은 폭사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후방 램프 히터(581) 및 전방 램프 히터(582)로부터의 폭사 에너지가 효율적으로 알루미늄층(510b)(도 47)에 전달된다. 그에 따라, 알루미늄층(510b)이 발열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알루미늄은 높은 열전도율을 갖기 때문에, 폭사 에너지에 의해 발생된 열은 상부 변좌 케이싱(510)의 전체에 단시간으로 전달된다.
이에 의해, 변좌 히터(580)의 구동에 의해 상부 변좌 케이싱(510)의 온도가 상승할 때에, 상부 변좌 케이싱(510)에 온도 얼룩이 생길 경우에도, 단시간에 상부 변좌 케이싱(510)의 온도가 균일화된다.
(6-6) 변좌 히터(580)의 구동예
변좌 히터(580)의 구동의 제어는 변좌 히터(580)를 구동하는 전력을 크게 3개로 변화시킴으로써 실행한다.
예를 들면, 변좌(13)를 제 1 온도 구배로 승온시키는 경우, 제어 장치(700)는 약 1200W의 전력으로 변좌 히터(580)를 구동한다(1200W 구동). 또한, 변좌(13)를 제 1 온도 구배보다 다소 완만한 제 2 온도 구배로 승온시키는 경우, 제어 장치(700)는 약 600W의 전력으로 변좌 히터(580)를 구동한다(600W 구동). 또한, 변좌(13)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경우, 제어 장치(700)는 약 50W의 전력으로 변좌 히터(580)를 구동한다(저전력 구동). 또한, 저전력 구동이란, 1200W 구동 및 600W 구동에 비해서 충분히 낮은 전력(예를 들면, 0W 내지 50W의 범위 내의 전력)에 의해 변좌 히터(580)를 구동하는 것을 말한다.
1200W 구동, 600W 구동 및 저전력 구동의 전환은, 제어 장치(700)가 트라이액(319)(도 40, 도 41 및 도 43)에 의한 통전율을 제어함으로써 행해진다.
도 48은 변좌 히터(580)의 구동예 및 착좌부(510T)(도 44 및 도 45)의 표면온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8에서는, 착좌부(510T)의 표면 온도와 시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와, 변좌 히터(580)를 구동할 때의 통전율과 시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가 표시되어 있다. 이들 2개의 그래프의 가로축은 공통인 시간축이다.
본 예에서는, 사용자가 미리 변좌 설정 온도를 높게(38℃) 설정한 경우를 상정한다.
동계 등 실온이 대기 온도인 18℃보다 낮은 경우, 제어 장치(700)(도 2)는 변좌(13)의 온도를 18℃로 되도록 온도 조절한다. 이와 같이, 제어 장치(700)는, 입실 센서(600)에 의해 사용자의 입실이 검지되기까지의 대기 기간 D1의 동안, 착좌부(510T)의 표면 온도가 18℃에서 일정해지도록, 변좌 히터(580)의 저전력 구동을 실행한다.
제어 장치(700)는 시각 t1에서 입실 센서(600)에 의해 사용자의 입실이 검지된 경우, 돌입 전류 저감 기간 D2의 동안, 변좌 히터(580)의 600W 구동을 실행한다. 또한, 이 600W 구동은 돌입 전류를 충분히 저감하기 위해서 실행한다. 이 경우, 착좌부(510T)의 표면 온도는 다소 완만한 제 2 온도 구배로 상승된다.
그 후, 제어 장치(700)는, 돌입 전류 저감 기간 D2의 경과 후의 시각 t2에서, 변좌 히터(580)의 1200W 구동을 개시하고, 제 1 승온 기간(D3)의 동안 변좌 히터(580)의 1200W 구동을 계속한다. 이 경우, 착좌부(510T)의 표면 온도는 상술한 제 1 온도 구배로 상승된다.
여기서, 착좌부(510T)의 표면 온도는 급격하게 상승된다. 변좌 히터(580)의 1200W 구동은 착좌부(510T)의 표면 온도가 한계 온도에 도달하기까지 행해진다. 한계 온도란, 사용자가 차갑다고 느끼지 않는 착좌부(510T)의 최저 온도이다.
도 48의 착좌부(510T)의 표면 온도를 표시하는 그래프에서는, 한계 온도가 29℃로서 일점 쇄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변좌 히터(580)의 1200W 구동시에, 착좌부(510T)의 표면 온도가 한계 온도로 될 때에 상정되는 측정 온도치가 전환 온도로 된다.
착좌부(510T)의 표면 온도가 한계 온도에 도달하는 시각 t3은, 히터 제어 테이블에 의해 정해진 1200W 구동의 시간, 및 측정 온도치가 미리 정해진 전환 온도에 도달하기까지의 시간 중 짧은 시간이다.
이와 같이, 제 1 승온 기간 D3에서는, 착좌부(510T)의 표면 온도가 1200W 구동에 의해 신속하게 한계 온도까지 상승된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착좌부(510T)를 차갑다고 느끼지 않고 변좌(13)에 착좌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착좌부(510T)의 표면 온도를 급격하게 상승시키면, 그 온도 변화에 오버슛이 생긴다. 그러나, 본 예에서는, 착좌부(510T)의 표면 온도가 한계 온도에 도달했을 때에 변좌 히터(580)의 1200W 구동을 600W 구동으로 전환한다. 따라서, 착좌부(510T)의 표면 온도의 변화가 오버슛한 경우에도, 그 표면 온도는 변좌 설정 온도를 초과하지 않는다. 그 결과, 사용자가 착좌시에 착좌부(510T)를 뜨겁다고 느끼는 것이 방지된다.
계속해서, 제어 장치(700)는, 제 1 승온 기간 D3의 경과 후의 시각 t3에서, 변좌 히터(580)의 600W 구동을 개시하고, 제 2 승온 기간 D4의 동안 변좌 히터(580)의 600W 구동을 계속한다. 이 경우, 착좌부(510T)의 표면 온도는 상술한 제 2 온도 구배로 상승된다.
변좌 히터(580)의 600W 구동은 착좌부(510T)의 표면 온도가 변좌 설정 온도보다 다소 높은 온도(40℃)에 도달하기까지 행해진다. 여기서, 변좌 히터(580)의 600W 구동시에, 착좌부(510T)의 표면 온도가 변좌 설정 온도보다 다소 높은 온도로 될 때에 상정되는 측정 온도치가 미리 정해진 목표 온도로 된다.
착좌부(510T)의 표면 온도가 변좌 설정 온도보다 다소 높은 온도에 도달하는 시각 t4는, 미리 정해진 600W 구동의 시간, 및 측정 온도치가 미리 정해진 목표 온도에 도달하기까지의 시간 중 짧은 시간이다.
제 2 온도 구배는 제 1 온도 구배보다 완만하다. 이에 의해, 착좌부(510T)의 표면 온도의 변화에 큰 오버슛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제어 장치(700)는 제 2 승온 기간 D4의 경과 후의 시각 t4에서, 변좌 히터(580)의 저전력 구동을 개시하고, 제 1 유지 기간 D5의 동안 변좌 히터(580)의 저전력 구동을 계속한다. 그에 따라, 착좌부(510T)의 표면 온도가 변좌 설정 온도보다 다소 높은 온도로 일정하게 된다.
본 예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변좌 설정 온도보다 다소 높은 온도까지 착좌부(510T)의 표면 온도가 상승되고, 그 온도는 사용자의 착좌시까지 유지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착좌시에 자기의 설정한 변좌 설정 온도와 거의 동일한 체감 온도를 얻을 수 있다.
제어 장치(700)는, 시각 t5에서 착좌 검지 스위치(200)에 의해 사용자의 변좌(13)로의 착좌가 검지된 경우, 저전력 구동의 통전율을 저하시켜, 제 1 착좌 기간 D6의 동안 착좌부(510T)의 표면 온도가 변좌 설정 온도로 저하하도록 변좌 히 터(580)의 저전력 구동을 계속한다. 본 예에서는, 제 1 착좌 기간 D6은 약 2분으로 설정된다.
또한, 제어 장치(700)는, 제 1 착좌 기간 D6의 경과 후의 시각 t6에서, 저전력 구동의 통전율을 더욱 저하시키고, 제 2 착좌 기간 D7의 동안 착좌부(510T)의 표면 온도가 변좌 설정 온도보다 다소 낮은 온도(36℃)로 저하하도록 변좌 히터(580)의 저전력 구동을 계속한다. 본 예에서는, 제 2 착좌 기간 D7은 약 2분으로 설정된다.
제어 장치(700)는, 제 2 착좌 기간 D7의 경과 후의 시각 t7에서, 저전력 구동의 통전율을 더욱 저하시키고, 제 2 유지 기간 D8의 동안 착좌부(510T)의 표면 온도가 변좌 설정 온도보다 다소 낮은 온도(36℃)로 일정하게 되도록 변좌 히터(580)의 저전력 구동을 계속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 2 유지 기간 D8에서 일정하게 유지되는 기간 착좌부(510T)의 표면 온도, 즉 변좌 설정 온도보다 다소 낮은 온도를 유지 온도라고 칭한다.
이와 같이, 본 예에서는, 사용자가 변좌(13)에 착좌한 후, 제어 장치(700)가 서서히 착좌부(510T)의 표면 온도를 저하시킨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저온 화상을 입는 것이 방지된다.
제어 장치(700)는, 시각 t8에서 착좌 센서(290)에 의해 사용자가 변좌(13)로부터 떨어진 것을 검지하면, 정지 기간 D9의 동안 변좌 히터(580)의 구동을 정지한다. 그에 따라, 착좌부(510T)의 표면 온도가 저하한다.
제어 장치(700)는 착좌부(510T)의 표면 온도가 18℃에 도달한 시각 t9에서, 다시 변좌 히터(580)의 저전력 구동을 개시하여, 착좌부(510T)의 표면 온도가 18℃로 일정하게 되도록 대기 기간 D10의 동안 변좌 히터(580)의 저전력 구동을 유지한다.
상기한 제 2 승온 기간 D4에서, 제어 장치(700)는 변좌 히터(580)의 600W 구동을 실행하고 있지만, 제어 장치(700)는 변좌 히터(580)를 구동하는 전력을 포물선을 그리도록 서서히 저하시켜도 좋다(통전율의 그래프 중 굵은 점선부 참조).
이 경우, 착좌부(510T)의 표면 온도를 표시하는 그래프 중 굵은 점선부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착좌부(510T)의 표면 온도가 변좌 설정 온도보다 다소 높은 온도에 가까이 감에 따라서, 그 온도 구배가 서서히 완만해진다.
이와 같이 온도 구배가 서서히 완만해지는 경우, 착좌부(510T)의 온도 변화에 의해 생기는 오버슛을 충분히 작게 할 수 있다.
본 예에서는, 사용자의 변좌(13)로의 착좌 후, 변좌 히터(580)의 구동에 사용하는 전력을 조정함으로써 착좌부(510T)의 표면 온도를 서서히 저하시키고 있지만, 변좌 히터(580)의 구동은 사용자의 변좌(13)로의 착좌시에 정지해도 좋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사용자가 저온 화상을 입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본 예에서는, 착좌부(510T)의 표면 온도를 변좌 설정 온도보다 다소 높은 온도까지 상승시키고 있지만, 착좌부(510T)의 표면 온도의 상승은 변좌 설정 온도까지로 되도록 행해도 좋다.
(6-7) 변좌 히터(580)의 효과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변좌 장치(100)에 있어서는, 변좌(13)의 온도를 항상 변좌 설정 온도로 유지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사용자가 화장실에 입실하지 않는 대기 기간 D1, D10(도 48)에서는, 변좌 히터(580)를 구동하기 위한 전류를 충분히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변좌 히터(580)를 온하고 있는 경우에도, 소비 전력이 충분히 저감된다. 그 결과, 에너지 절약화가 실현된다.
또한, 변좌 장치(100)의 제어 장치(700)는 변좌 히터(580)의 1200W 구동을 실행함으로써 착좌부(510T)의 표면 온도를 한계 온도까지 단시간에 상승시킨다. 그 후, 제어 장치(700)는 변좌 히터(580)의 600W 구동을 실행하여, 1200W 구동시보다 완만한 온도 구배로 착좌부(510T)의 표면 온도를 상승시킨다.
이에 따라, 착좌부(510T)의 온도 변화에 발생하는 오버슛이 충분히 저감된다. 그 결과, 착좌부(510T)의 표면 온도가 단시간에 정확하게 상승됨과 아울러, 변좌 설정 온도로 안정화된다.
(6-8) 변좌 히터의 다른 예
본 실시형태에서는, 착좌부(510T)의 표면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해서 후방 램프 히터(581) 및 전방 램프 히터(582)로 이루어지는 변좌 히터(580)를 이용하고 있지만, 착좌부(510T)의 표면 온도를 순간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는 것이면, 변좌 히터(580) 대신에, 전열선을 구비하는 히터를 이용해도 좋고, 띠형상의 저항체를 구비하는 히터를 이용해도 좋고, 면형상의 히터를 이용해도 좋다.
도 49는 전열선을 이용한 착좌부(510T)의 가열 유닛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9(a)에 가열 유닛(680U)의 평면도가 표시되고, 도 49(b)에 도 49(a)에 서의 Q1-Q1선 단면도가 표시되어 있다.
도 49(a) 및 도 4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열 유닛(680U)은 선상 히터(683) 및 2장의 알루미늄 박막(684a, 684b)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선상 히터(683)를 균등한 간극으로 상부 변좌 케이싱(410)의 하면 전체에 걸쳐서 사행하도록 배치하고, 배치한 선상 히터(683)를 상부 변좌 케이싱(410)과는 거의 동일한 형상을 갖는 2장의 알루미늄 박막(684a, 684b)으로 끼우고, 그것들을 높은 내열성을 갖는 접착제(고온 접착제)로 서로 접합함으로써, 가열 유닛(680U)이 제작된다.
선상 히터(683)는 심선(683a), 발열선(683b) 및 피복 튜브(683c)를 포함한다. 선상 히터(683)에 있어서는, 심선(683a)에 발열선(683b)이 권회되어 있다. 또한, 발열선(683b)이 권회된 심선(683a)이 피복 튜브(683c)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여기서, 피복 튜브(683c)는 내열성이 높은 불소 수지 등에 의해 형성된다. 이에 의해, 발열선(683b) 및 심선(683a)과 알루미늄 박막(684a, 684b) 사이의 전기적 절연이 확보된다.
피복 튜브(683c)는 불소 수지 대신에 실리콘 고무에 의해 형성되어도 좋다. 이 경우에서도, 발열선(683b) 및 심선(683a)이 내열성이 높은 실리콘 고무에 의해 피복됨으로써, 발열선(683b) 및 심선(683a)과 알루미늄 박막(684a, 684b) 사이의 전기적 절연이 확보된다.
피복 튜브(683c)는 발열선(683b) 및 심선(683a)과 알루미늄 박막(684a) 사이 의 전기적 절연을 확보할 수 있음과 아울러, 높은 내열성을 갖는 것이면, 불소 수지 및 실리콘 고무 이외의 재료에 의해 형성해도 좋다.
단, 피복 튜브(683c)를 구성하는 재료에는, 예를 들면 가열 유닛(680U)을 1000W 내지 1200W로 급격하게 구동할 때에, 발열체(683b)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의 충격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내열성이 요구된다.
(7) 청구항의 각 구성요소와 실시형태의 각 요소의 대응
이하, 청구항의 각 구성요소와 실시형태의 각 요소의 대응의 예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의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노즐 장치(15)가 노즐 장치의 예이고, 노즐 본체(22)가 노즐 본체의 예이고, 노즐 커버(23)가 노즐 커버의 예이고, 둔부 세정 유로(28), 비데 세정 유로(29) 및 노즐 세정 유로(30)가 유로의 예이고, 둔부 세정 분출구(31), 비데 세정 분출구(32) 및 노즐 세정 분출구(33)가 분출구의 일례이다.
둔부 세정 분출구(31)가 둔부 세정 분출구의 예이고, 비데 세정 분출구(32)가 비데 세정 분출구의 예이고, 노즐 세정 분출구(33)가 비데 세정 분출구의 예이고, 둔부 세정 분출구(31) 및 비데 세정 분출구(32)가 국부 세정 분출구의 예이고, 비데 노즐부(26)가 돌출부의 예이고, 커버(27)가 커버 부재의 예이고, 둔부 세정 개구(36)가 둔부 세정 개구의 예이고, 노즐 세정 개구(37)가 노즐 세정 개구의 예이다.
노즐 구동 장치(43)가 구동 기구의 예이고, 연결 기구(24)이 연결 기구의 예이고, 연결 수부(48)가 연결 수부의 예이고, 연결 부재(49)가 연결 부재의 예이고, 앞쪽 요함부(48a)가 제 1 연결 위치의 일례이고, 뒤쪽 요함부(48b)가 제 2 연결 위치의 일례이고, 대공부(31a)가 대공부의 예이고, 소공부(31b)가 소공부의 예이고, 만곡부(28b)가 만곡부의 예이고, 정류벽(28c)이 정류벽의 예이다.
커버 세정 분출구(58)가 커버 세정 분출구의 예이고, 커버 세정 유로(57)가 커버 세정 유로의 예이고, 위쪽 케이스(17)가 커버 세정 부재의 예이다.
세정수 탱크(116)가 세정수 공급계의 예이고, 탱크 본체(122)가 탱크 본체의 예이고, 상부 부재(123)가 상부 부재의 예이고, 하부 부재(124)가 하부 부재의 예이고, 개구 가장자리부(148, 149)가 개구 가장자리부의 예이고, 접합면(147)이 접합부 또는 접합면의 예이고, 보강 가장자리부(150, 151)가 보강 가장자리부의 예이다.
변좌(13)가 변좌의 예이고, 착좌 검지 스위치(200)가 착좌 검지 스위치의 예이고, 회동축(218)이 회동축의 예이고, 베어링 구멍(223)이 지지 구멍의 예이고, 가동자(222)가 가동 부재의 예이고, 스위치대(220)가 지지대의 예이고, 코일 스프링(224)이 가압 부재의 예이고, 마이크로 스위치(225)가 스위치의 예이다.
제어 장치(700)가 제어 장치의 예이며, 전원 회로(312, 322)가 전력 공급계의 예이고, 누전 검지 회로(320)가 누전 검지기의 예이고, 릴레이(321, 333)가 차단기의 예이고, 누전 표시 LED(322) 또는 누전 표시부(405)가 표시부의 예이고, 변좌 히터(580)가 변좌 히터의 예이고, 온수 히터(131)가 온수 히터의 예이고, 입실 센서(600)가 인체 검지기의 예이다.
청구항의 각 구성요소로서, 청구항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 또는 기능을 갖는 것 이외의 다양한 요소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인체의 국부를 세정하는 위생 세정 장치 등에 이용할 수 있다.

Claims (20)

  1. 세정수를 분출하는 노즐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노즐 장치는,
    세정수를 분출하는 복수의 분출구 및 상기 복수의 분출구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유로를 갖는 노즐 본체와,
    상기 노즐 본체의 적어도 1개의 분출구에 대응하는 분출 개구를 갖고, 상기 노즐 본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통형상의 노즐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 본체의 상기 적어도 1개의 분출구로부터 분출하는 세정수가 상기 노즐 커버의 상기 분출 개구를 통해서 분출되도록, 상기 노즐 본체와 상기 노즐 커버가 서로 미끄럼 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위생 세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본체 및 상기 노즐 커버는 수납 위치 및 복수의 세정 위치 사이를 진퇴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노즐 본체는 적어도 하나의 세정 위치에 있어서 상기 노즐 커버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를 갖는
    위생 세정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본체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노즐 본체의 다른 부분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는
    위생 세정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출구는, 둔부를 세정하는 세정수를 분출하는 둔부 세정 분출구와, 여성의 국부를 세정하는 세정수를 분출하는 비데 세정 분출구와, 상기 노즐 본체 및 상기 노즐 커버를 세정하는 세정수를 분출하는 노즐 세정 분출구를 포함하는
    위생 세정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본체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비데 세정 분출구를 갖는
    위생 세정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커버의 상기 분출 개구는, 상기 둔부 세정 분출구에 대응하는 둔부 세정 개구와, 상기 노즐 세정 분출구에 대응하는 노즐 세정 개구를 포함하는
    위생 세정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커버는 내식성의 금속 재료로 형성되는
    위생 세정 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본체의 상기 돌출부의 적어도 일부의 외면을 덮는 내식성의 금속 재료로 형성되는 커버 부재를 더 포함하는
    위생 세정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장치의 상기 유로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수 공급계와,
    상기 노즐 장치 및 상기 세정수 공급계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와,
    변기의 상면에 탑재되는 변좌를 더 구비하는
    위생 세정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장치는,
    상기 노즐 본체와 상기 노즐 커버를 연결하는 연결 기구와,
    상기 노즐 본체, 상기 노즐 커버 및 상기 연결 기구를 수납하는 노즐 가이드 와,
    상기 노즐 본체를 진퇴시키는 구동 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노즐 본체는, 상기 노즐 가이드에 미끄럼 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노즐 본체의 대략 전체가 상기 노즐 가이드 내에 수납되는 수납 위치와 상기 노즐 본체의 일부가 상기 노즐 가이드로부터 돌출하는 복수의 세정 위치 사이를 상기 구동 기구에 의해 이동되고,
    상기 노즐 커버는, 상기 수납 위치와 적어도 하나의 세정 위치 사이를 상기연결 기구를 거쳐서 상기 노즐 본체에 연동하는
    위생 세정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노즐 본체 및 상기 노즐 커버의 한쪽에 마련되는 연결 부재와,
    상기 노즐 본체 및 상기 노즐 커버의 다른쪽에 마련되고, 상기 연결 부재가 연결 가능한 제 1 및 제 2 연결 위치를 갖는 연결 수부와,
    상기 제 1 연결 위치와 상기 제 2 연결 위치의 범위 밖으로의 상기 연결 부재의 이동을 규제하는 이동 규제 기구를 포함하는
    위생 세정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본체의 상기 복수의 분출구는,
    적어도 인체의 국부를 세정하는 세정수를 분출하는 국부 세정 분출구와,
    상기 노즐 본체의 외면 및 상기 노즐 커버의 외면을 세정하는 세정수를 분출하는 노즐 세정 분출구를 포함하는
    위생 세정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장치는,
    상기 노즐 본체 및 상기 노즐 커버를 수납하는 노즐 가이드와,
    상기 노즐 커버의 외면을 세정하는 세정수를 분출하는 커버 세정 분출구 및 상기 커버 세정 분출구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커버 세정 유로를 갖는 커버 세정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노즐 본체의 상기 복수의 분출구는,
    적어도 인체의 국부를 세정하는 세정수를 분출하는 국부 세정 분출구와,
    상기 노즐 본체의 외면을 세정하는 세정수를 분출하는 노즐 세정 분출구를 포함하는
    위생 세정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장치는,
    상기 노즐 본체 및 상기 노즐 커버를 수납하는 노즐 가이드와,
    상기 노즐 가이드 내에 상기 노즐 본체 및 상기 노즐 커버가 수납되는 수납 위치와 상기 노즐 가이드로부터 상기 노즐 본체 및 상기 노즐 커버가 돌출하는 복수의 세정 위치 사이를 상기 노즐 본체 및 상기 노즐 커버를 진퇴시키는 구동 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노즐 본체의 상기 복수의 분출구는,
    적어도 인체의 국부를 세정하는 세정수를 분출하는 국부 세정 분출구와,
    상기 노즐 본체 및 상기 노즐 커버를 세정하는 세정수를 분출하는 노즐 세정 분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 위치에서 상기 노즐 세정 분출구로부터 세정수가 분출되고, 상기복수의 세정 위치에서 상기 국부 세정 분출구로부터 세정수가 분출되며,
    노즐 청소시에 상기 복수의 세정 위치에서 상기 국부 세정 분출구로부터 세정수가 분출되는 동시에 상기 노즐 세정 분출구로부터 세정수가 분출되는
    위생 세정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본체의 상기 복수의 분출구는,
    적어도 인체의 국부를 세정하는 세정수를 분출하는 국부 세정 분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국부 세정 분출구는, 제 1 개구 면적을 갖는 상류 측의 대공부(大孔部) 와, 상기 제 1 개구 면적보다 작은 제 2 개구 면적을 갖는 하류 측의 소공부(小孔部)로 이루어지는
    위생 세정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본체의 상기 복수의 분출구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노즐 본체의 대략 중심축 상에 배치되고,
    상기 노즐 본체의 상기 유로는 상기 노즐 본체의 중심축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유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출구의 근방에서 만곡하는 만곡부를 거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출구에 연통하고,
    상기 만곡부에 그 만곡부와 동심의 정류벽이 배치되는
    위생 세정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장치의 상기 유로에 공급되는 세정수를 저류하는 탱크 본체를 갖는 세정수 탱크를 더 구비하고,
    상기 탱크 본체는,
    개구 가장자리부 및 면구성부로 이루어지는 상부 부재와,
    개구 가장자리부 및 면구성부로 이루어지는 하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부재의 개구 가장자리부와 상기 하부 부재의 개구 가장자리부가 서로 접합되고, 상기 상부 부재와 상기 하부 부재의 접합부는 상기 탱크 본체의 바닥면에 대하여 경사지는 접합면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 부재 및 상기 하부 부재의 개구 가장자리부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면구성부보다 큰 두께를 갖는 보강 가장자리부가 마련되는
    위생 세정 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변기의 상면에 탑재되는 변좌와,
    상기 변좌로의 사용자의 착좌를 검지하는 착좌 검지 스위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변좌는 회동축을 갖고,
    상기 착좌 검지 스위치는,
    상기 변좌의 상기 회동축이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지지 구멍을 갖는 가동 부재와,
    상기 가동 부재를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가동 부재의 위쪽에서 상기 지지대에 마련된 스위치와,
    상기 가동 부재를 위쪽으로 가압(付勢)하는 가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변좌의 상기 회동축의 상하 이동에 연동해서 상하 이동함으로써 상기 스위치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위생 세정 장치.
  19. 제 1 항에 있어서,
    변기의 상면에 탑재되는 변좌와,
    상기 변좌를 가열하는 변좌 히터와,
    상기 세정수를 가열하는 온수 히터와,
    상기 변좌 히터 및 온수 히터를 포함하는 전기 부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와,
    상용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상기 전기 부하에 공급하는 전력 공급계와,
    상기 전기 부하의 누전을 검지하는 누전 검지기와,
    상기 누전 검지기에 의해 누전이 검지된 경우에, 상기 전력 공급계에 의한 적어도 상기 변좌 히터 및 온수 히터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차단기와,
    상기 누전 검지기에 의해 누전이 검지된 경우에, 누전의 검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구비하는
    위생 세정 장치.
  20. 제 1 항에 있어서,
    변기의 상면에 탑재되는 변좌와,
    상기 변좌를 가열하는 변좌 히터와,
    상기 변좌 히터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와,
    사용자의 존재를 검지하는 인체 검지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인체 검지기에 의해 사용자의 존재가 검지된 경우에, 상기 변좌가 설정 온도로 가열되도록 상기 변좌 히터를 구동하는
    위생 세정 장치.
KR1020087018968A 2006-04-28 2007-01-31 위생 세정 장치 KR1011044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25525A JP4984629B2 (ja) 2006-04-28 2006-04-28 ノズル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衛生洗浄装置
JPJP-P-2006-00125525 2006-04-28
JPJP-P-2006-00125527 2006-04-28
JP2006125527A JP4940748B2 (ja) 2006-04-28 2006-04-28 ノズル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衛生洗浄装置
JP2006125526A JP5338020B2 (ja) 2006-04-28 2006-04-28 ノズル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衛生洗浄装置
JPJP-P-2006-00125526 2006-04-28
JPJP-P-2006-00216874 2006-08-09
JP2006216874A JP4940819B2 (ja) 2006-08-09 2006-08-09 ノズル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衛生洗浄装置
JPJP-P-2006-00216875 2006-08-09
JPJP-P-2006-00216881 2006-08-09
JP2006216881A JP2008038536A (ja) 2006-08-09 2006-08-09 ノズル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衛生洗浄装置
JP2006216875A JP2008038535A (ja) 2006-08-09 2006-08-09 ノズル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衛生洗浄装置
JP2006240996A JP5103834B2 (ja) 2006-09-06 2006-09-06 ノズル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衛生洗浄装置
JPJP-P-2006-00240996 2006-09-06
JPJP-P-2006-00245211 2006-09-11
JP2006245211A JP2008063894A (ja) 2006-09-11 2006-09-11 洗浄水タンクとそれを使用した衛生洗浄装置
JPJP-P-2006-00264046 2006-09-28
JPJP-P-2006-00264047 2006-09-28
JP2006264047A JP2008082044A (ja) 2006-09-28 2006-09-28 衛生洗浄装置
JP2006264046A JP4940862B2 (ja) 2006-09-28 2006-09-28 ノズル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衛生洗浄装置
PCT/JP2007/051625 WO2007125662A1 (ja) 2006-04-28 2007-01-31 衛生洗浄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5869A true KR20080095869A (ko) 2008-10-29
KR101104428B1 KR101104428B1 (ko) 2012-01-12

Family

ID=38655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8968A KR101104428B1 (ko) 2006-04-28 2007-01-31 위생 세정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104428B1 (ko)
CN (1) CN103215999B (ko)
WO (1) WO2007125662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218B1 (ko) * 2009-04-01 2011-03-31 주식회사 노비타 비데의 세척 부재 제어방법
KR20160105647A (ko) * 2015-02-27 2016-09-07 코웨이 주식회사 변좌 세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장치
KR20190069707A (ko) 2017-12-12 2019-06-20 이인규 비데 노즐 세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장치
KR20200036175A (ko) * 2018-09-28 2020-04-07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온수세정기의 노즐 어셈블리
CN113250287A (zh) * 2020-01-27 2021-08-13 骊住株式会社 卫生冲洗装置用的喷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49041B2 (ja) * 2010-07-02 2015-01-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KR102222069B1 (ko) * 2013-11-01 2021-03-04 코웨이 주식회사 비데 및 비데의 안전제어방법
JP2015222003A (ja) * 2014-04-28 2015-12-1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CN105971085A (zh) * 2016-07-04 2016-09-28 乳源南岭智能家用机械有限公司 一种清洗器以及设有该清洗器的智能座便器
CN106149837B (zh) * 2016-07-04 2019-04-09 乳源南岭智能家用机械有限公司 一种清洗器以及设有该清洗器的智能座便器
CN105971084A (zh) * 2016-07-04 2016-09-28 乳源南岭智能家用机械有限公司 一种清洗喷头及设有该清洗喷头的智能座便器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60442A (ja) * 1982-03-15 1983-09-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の洗浄水噴出装置
US4704748A (en) * 1985-03-29 1987-11-10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Washing device for parts of human body
JPH0336625Y2 (ko) * 1985-12-23 1991-08-02
JPS647052A (en) * 1987-06-30 1989-01-11 Toshiba Corp Image forming device
JP3518636B2 (ja) * 1995-05-11 2004-04-12 株式会社日立ハウステック 局部洗浄装置
JP2000170231A (ja) * 1998-12-07 2000-06-20 Aisin Seiki Co Ltd 人体局部洗浄装置
WO2000043602A1 (fr) * 1999-01-25 2000-07-27 Toto Ltd. Dispositif de lavage du corps humain
JP2001132055A (ja) * 1999-11-01 2001-05-15 Toto Ltd 人体局部洗浄装置
JP2003076417A (ja) * 2001-08-31 2003-03-14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ラント監視画面表示システム
JP2003278248A (ja) * 2002-03-22 2003-10-02 Toto Ltd 人体局部洗浄装置
JP2004324169A (ja) * 2003-04-23 2004-11-18 Inax Corp 温水洗浄装置
JP4581344B2 (ja) * 2003-06-25 2010-11-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局部洗浄装置
JP4295048B2 (ja) * 2003-09-03 2009-07-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ノズル装置および衛生洗浄装置
JP4635438B2 (ja) * 2004-01-09 2011-02-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暖房便座
JP3856021B2 (ja) * 2004-09-10 2006-12-1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218B1 (ko) * 2009-04-01 2011-03-31 주식회사 노비타 비데의 세척 부재 제어방법
KR20160105647A (ko) * 2015-02-27 2016-09-07 코웨이 주식회사 변좌 세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장치
KR20190069707A (ko) 2017-12-12 2019-06-20 이인규 비데 노즐 세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장치
KR20200036175A (ko) * 2018-09-28 2020-04-07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온수세정기의 노즐 어셈블리
CN113250287A (zh) * 2020-01-27 2021-08-13 骊住株式会社 卫生冲洗装置用的喷嘴
CN113250287B (zh) * 2020-01-27 2023-12-26 骊住株式会社 卫生冲洗装置用的喷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4428B1 (ko) 2012-01-12
CN103215999B (zh) 2015-05-20
WO2007125662A1 (ja) 2007-11-08
CN103215999A (zh) 2013-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4428B1 (ko) 위생 세정 장치
JP3451046B2 (ja) エアータオル付き水栓
US11445869B2 (en) Toilet seat assembly
JP2010222964A (ja) 乾燥機構を備えた衛生洗浄装置
KR100804354B1 (ko) 난방 장치와 그 제조 방법, 난방 장치를 탑재한 화장실장치
CN101400862B (zh) 卫生清洗装置
EP0167098B1 (en) Sanitary cleaning apparatus
JP4507881B2 (ja) 人体を検知するトイレ装置と人体検出方法
JP4882858B2 (ja) 衛生洗浄装置
KR101504642B1 (ko) 순간 온수 기능이 포함된 비데 및 이의 제어방법
CN107007234A (zh) 一种有敞开面的快速洗碗机
JPH0813296B2 (ja) 足洗装置付洗面台
JP5286688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JPH03172421A (ja) 温水供給装置
JP2006274710A (ja) 洗浄装置
US20230349141A1 (en) Toilet seat assembly
CN217000025U (zh) 一种马桶垫自动清洁装置及智能马桶
JP4595278B2 (ja) 衛生洗浄装置
JP2000096679A (ja) 人体局部洗浄装置
WO2017138834A1 (ru) Экспресс-биде
JP4172227B2 (ja) 衛生洗浄装置
JPS649005B2 (ko)
JP2024022263A (ja) トイレ装置
JPS648142B2 (ko)
JPS61158535A (ja) 局部洗浄装置付便器の誤操作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