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5361A - 냉장고용 곡물보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용 곡물보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5361A
KR20080095361A KR1020070039700A KR20070039700A KR20080095361A KR 20080095361 A KR20080095361 A KR 20080095361A KR 1020070039700 A KR1020070039700 A KR 1020070039700A KR 20070039700 A KR20070039700 A KR 20070039700A KR 20080095361 A KR20080095361 A KR 200800953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refrigerator
see
grain storage
storag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9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문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9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95361A/ko
Priority to PCT/KR2008/002320 priority patent/WO2008130199A2/en
Priority to JP2009523732A priority patent/JP4896223B2/ja
Publication of KR20080095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53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23B9/10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5/00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Hanging-up harvested fruit
    • A01F25/14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5/00Charging, supporting or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5/021Shelves with several possible configu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2Bas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Storage Of Harvested Produ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용 곡물보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곡물을 편리하게 냉장보관하며, 또한 보관된 곡물의 상태를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냉장고 내부에 마련되어 곡물을 보관하는 곡물보관함과, 상기 곡물보관함에 결합되어 상기 곡물보관함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내부가 투시되는 투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곡물보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고 있다.

Description

냉장고용 곡물보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A grain keeping appartus for a refrigerator and a refrigerator comprising the same}
도1은 본 발명의 곡물보관장치를 장착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곡물보관장치의 전면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곡물보관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곡물보관장치의 평단면도이다. ]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곡물보관장치 30: 곡물보관함
38: 투시부재 450: 고정리브
452: 커버리브 454: 절곡부
본 발명은 냉장고용 곡물보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쌀이나 콩 또는 팥 등과 같은 곡물의 보관법은 그 곡물류를 포장하는 포장용기를 외부와 차단시켜 상온에 보관하거나 또는 쌀통 등과 같이 전용보관장치를 이용하여 보관하는 방법들이 주류를 이루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장치 및 그러한 장치를 이용한 보관방법은 곡물을 상온상태에서 보관하게 된다는 한계가 있으며, 곡물을 상온상태로 보관하는 것은 냉장상태로 보관하는 것보다 곡물의 신선도를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소비자들은 곡물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곡물을 비닐봉투나 일반적인 보관통에 넣어서 냉장고에 보관하였으나, 이러한 보관방법은 소비자로 하여금 불편함을 느끼게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냉장고 내부에 곡물을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고, 보관된 곡물을 편리하게 인출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곡물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보관된 곡물의 상태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만족도를 제고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냉장고 내부에 마련되어 곡물을 보관하는 곡물보관함과, 상기 곡물보관함에 결합되어 상기 곡물보관함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내부가 투시되는 투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곡물보관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곡물보관함의 전면에 형성되며 상기 투시부재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전면개방부와, 상기 투시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투시부재와 상기 전면개방부의 결합부분에 형성된 결합틈새에 곡물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결합틈새를 덮는 커버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리브는 상기 투시부재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1커버리브와, 상기 제1커버리브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일정길이만큼 연장되어 상기 투시부재와 상기 곡물보관함 결합시 상기 결합틈새를 덮도록 마련되는 제2커버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면개방부에 형성되어 상기 투시부재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홈과, 상기 투시부재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고정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리브에 마련되며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마련되는 복수개의 고정돌기와, 상기 삽입홈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고정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면개방부의 내부양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투시부재의 삽입을 안내하는 안내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곡물보관함과 상기 투시부재의 결합부분에 마련되어 외부 습기의 침투를 방지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냉장고 내부에 결착되며 곡물을 보관하는 곡물보관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곡물보관장치는 곡물이 투입되어 보관되는 곡물보관함과, 상기 곡물보관함에 마련되어 곡물보관함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내부가 투시되는 투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곡물보관함의 전면에 형성되며 상기 투시부재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전면개방부와, 상기 투시부재와 상기 전면개방부의 결합부분에 형성된 결합틈새에 곡물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투시부재의 후방에 형성되고 그 단부가 하방으로 일정길이만큼 연장되어 상기 결합틈새를 덮는 커버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면개방부에 형성되어 상기 투시부재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홈과, 상기 투시부재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고정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하겠다.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고용 곡물보관함과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보면, 그 내부에 냉장실(12)과 냉동실(미도시)이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냉장실(12)과 냉동실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10)전면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된 도어(14,15)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12)을 개폐하는 도어(14)의 내면에는 곡물을 냉장보관할 수 있는 곡물보관장치(20)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곡물보관장치(20)는 상기 도어(14)의 내면의 하부에 마련되는데, 이는 곡물의 투입과 인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위치를 고려한 것이며, 상기 곡물보관장치(20)는 곡물이 투입되어 보관되는 곡물보관함(30)과, 상기 곡물보관함(30)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곡물보관함(30)의 곡물을 하부로 배출시키는 곡물취출부(60)와, 상기 곡물취출부(60)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곡물취출부(60)에 의하여 배출되는 곡물을 외부에서 인출가능한 상태로 수용하는 곡물인출부(30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곡물보관함(30)의 상부에는 수납선반(33)이 착탈가능하게 마련되어 있고, 상기 수납선반(33)의 전방에는 상기 곡물보관함(30)의 투입구(미도시)를 개폐하는 개폐부재(31)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곡물보관함(30)의 전방에는 상기 곡물보관함의 내부에 수용되는 곡물의 양이나 종류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창 형태의 투시부재(38)가 마련되는데, 여기서 상기 투시부재(38)는 투명한 재질이나 반투명재질로 마련되는게 바람직하다.
도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한편, 상기 곡물보관함(30)의 내부는 복수 종류의 곡물을 투입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격벽(37)에 의하여 구획되어 있는데, 본 도면에서는 상기 곡물보관함(30)의 내부가 2개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지만, 더 많은 수로 구획될 수 도 있다.
상기 곡물보관함(30)에서 토출된 곡물은 상기 곡물취출부(60)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곡물인출부(300)로 떨어져서 보관되는데, 상기 곡물취출부(60)는 상기 곡물보관함(30)의 전면판(40)에 설치되어 있는 조작버튼부(62)의 상하작동에 의하여 곡물의 이동을 단속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곡물취출부(60)의 하부에는 상기 곡물인출부(300)가 결합되는데, 상기 곡물인출부(300)는 상기 곡물이 낙하하여 수용되는 곡물인출 함(310)과, 상기 곡물인출함(310)이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하우징(320)를 포함하고 있다.
한편, 상기 도어(14) 내부의 측벽(15)에는 돌기 형태의 제1결착부(16)가 마련되고, 상기 수납선반(33)과,상기 곡물보관함(30)과, 상기 곡물취출부(60), 그리고 상기 곡물인출부(300)의 양 측면에는 각각 상기 제1결착부(16)가 삽입되어 결착되는 홈 형태의 제2결착부(30a,33a,60a,300a)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곡물보관함(30)과 상기 투시부재(38)의 결합관계에 대해서 알아보면, 상기 곡물보관함(30)의 전면 상부에는 상기 투시부재(38)가 결합되는 위치인 전면개방부(400)가 마련되고, 상기 전면개방부(400)의 하부에는 상기 투시부재(38)의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홈(402)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곡물보관함(30)의 내측벽 전방에는 상기 곡물보관함(30)의 양측면이 삽입되는 것을 안내하고, 그 부분을 지지하는 안내레일(404)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투시부재(38)의 하부에는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삽입홈(402)에 삽입되는 고정리브(450)와, 상기 고정리브(450)의 후방에 일정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마련되며 상기 투시부재(38)와 상기 전면개방부(400)의 결합부분에 형성되는 결합틈새를 막는 커버리브(452)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리브(450)에는 상기 전면개방부(400)와 상기 투시부재(38) 사이의 결합부분으로 외부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한 실링부재(460)가 끼워진다.
한편, 상기 투시부재(38)의 양측면은 상기 안내레일(404)에 끼어지도록 후면을 향하여 절곡된 절곡부(454)가 있으며, 또한, 상기 전면개방부(404)의 양측테두리부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단차(456)가 형성되어 있다.
도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투시부재(38)의 고정리브(450)는 하방으로 일정길이만큼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리브(450)의 후방에는 고정돌기(450a)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리브(452)는 상기 투시부재(38)의 하단후방으로 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커버리브(453)와 상기 제1커버리브(453)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2커버리브(454)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실링부재(460)는 상기 전면개방부(400)의 테두리부분과 상기 투시부재(38)의 하면 사이에 마련된다.
상기 삽입홈(402) 내부에는 상기 고정돌기(450a)가 삽입되어 걸리게 되는 고정홈(402a)가 마련된다.
따라서, 상기 투시부재(38)를 상기 곡물보관함(30)에 결합하는 경우에 우선 상기 실링부재(460)를 상기 고정리브(450)에 삽입시킨 후, 상기 고정리브(450)를 상기 삽입홈(402) 내부에 삽입시키면, 상기 고정리브(450)가 상기 삽입홈(402)내부로 들어가게 되고, 그때, 상기 고정돌기(450a)가 상기 고정홈(402a) 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조립공정에 의하여 상기 커버리브(452)는 자동적으로 상기 투시부재(38)와 상기 곡물보관함(30)의 결합부분에 형성된 틈새 중 상기 곡물보관 함(30) 내부에 형성되는 틈새를 가리게 되며, 이와 같이 상기 커버리브(452)의 가림작용에 의하여 좁쌀과 같이 직경이 작은 곡물이 그 틈새로 들어가서 끼이게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투시부재(38)의 양측면에 마련된 절곡부(454)는 상기 안내레일(404)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투시부재(38)의 절곡부(454) 옆에는 상기 단차(456)가 형성되어 상기 전면개방부(400)의 양측에 맞물리게 되어 상기 곡물보관함(30)의 전면과 상기 투시부재(38)의 전면이 수평상태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투시부재(38)의 양측면을 잡아주는 안내레일(404)에 의하여 상기 투시부재(38)가 앞뒤로 유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여 곡물을 곡물보관함 내부에 넣어서 보관하는 경우 곡물보관함을 개방하여 곡물의 상태를 확인할 필요없이 곡물보관함 외부에서 투시부재를 통하여 육안으로 곡물의 양이나 종류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부수적으로 제품의 외관의 고급화를 꾀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Claims (10)

  1. 냉장고 내부에 마련되어 곡물을 보관하는 곡물보관함과,
    상기 곡물보관함에 결합되어 상기 곡물보관함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내부가 투시되는 투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곡물보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보관함의 전면에 형성되며 상기 투시부재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전면개방부와,
    상기 투시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투시부재와 상기 전면개방부의 결합부분에 형성된 결합틈새에 곡물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결합틈새를 덮는 커버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곡물보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리브는 상기 투시부재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1커버리브와, 상기 제1커버리브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일정길이만큼 연장되어 상기 투시부재와 상기 곡물보관함 결합시 상기 결합틈새를 덮도록 마련되는 제2커버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곡물보관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개방부에 형성되어 상기 투시부재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홈과,
    상기 투시부재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고정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곡물보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리브에 마련되며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마련되는 복수개의 고정돌기와,
    상기 삽입홈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고정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곡물보관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개방부의 내부양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투시부재의 삽입을 안내하는 안내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곡물보관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보관함과 상기 투시부재의 결합부분에 마련되어 외부 습기의 침투를 방지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곡물보관장치.
  8. 냉장고 내부에 결착되며 곡물을 보관하는 곡물보관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곡물보관장치는 곡물이 투입되어 보관되는 곡물보관함과,
    상기 곡물보관함에 마련되어 곡물보관함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내부가 투시되는 투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보관함의 전면에 형성되며 상기 투시부재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전면개방부와,
    상기 투시부재와 상기 전면개방부의 결합부분에 형성된 결합틈새에 곡물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투시부재의 후방에 형성되고 그 단부가 하방으로 일정길이만큼 연장되어 상기 결합틈새를 덮는 커버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개방부에 형성되어 상기 투시부재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홈과,
    상기 투시부재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고정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070039700A 2007-04-24 2007-04-24 냉장고용 곡물보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080095361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9700A KR20080095361A (ko) 2007-04-24 2007-04-24 냉장고용 곡물보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PCT/KR2008/002320 WO2008130199A2 (en) 2007-04-24 2008-04-24 A grain keeper for a refrigerator
JP2009523732A JP4896223B2 (ja) 2007-04-24 2008-04-24 冷蔵庫用穀物保管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9700A KR20080095361A (ko) 2007-04-24 2007-04-24 냉장고용 곡물보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5361A true KR20080095361A (ko) 2008-10-29

Family

ID=40155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9700A KR20080095361A (ko) 2007-04-24 2007-04-24 냉장고용 곡물보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9536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37902A2 (en) Refrigerator
KR101621578B1 (ko) 냉장고
KR101176458B1 (ko) 디스펜서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KR20110112377A (ko) 냉장고
US10151525B2 (en) Harvest bin assembly
CN102116554A (zh) 电冰箱
KR20160047145A (ko) 냉장고
EP2369271A2 (en) Insulation front of ice storage compartment
JP4896224B2 (ja) 冷蔵庫用穀物保管装置
KR102096404B1 (ko) 냉장고
KR20080095361A (ko) 냉장고용 곡물보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180105929A (ko) 냉장고
CN110793263A (zh) 冰箱
KR20080064052A (ko) 냉장고
JP4896223B2 (ja) 冷蔵庫用穀物保管装置
EP3620733B1 (en) Refrigerator
JP2010500529A (ja) 穀物保管装置を備える冷蔵庫
KR101455863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용 홈바
JP6917221B2 (ja) 氷ディスペンサ
JP6871689B2 (ja) 冷蔵庫
US20140077680A1 (en) Refrigerator with stepped liner to hide seam between liner and false wall
KR100852671B1 (ko) 냉장고용 곡물보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080095362A (ko) 냉장고용 곡물보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0679649B1 (ko) 냉장고의 반찬수납장치
US20220381502A1 (en) Household appliance with a crisp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