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5157A - 전륜조향장치 - Google Patents

전륜조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5157A
KR20080095157A KR1020070053478A KR20070053478A KR20080095157A KR 20080095157 A KR20080095157 A KR 20080095157A KR 1020070053478 A KR1020070053478 A KR 1020070053478A KR 20070053478 A KR20070053478 A KR 20070053478A KR 20080095157 A KR20080095157 A KR 200800951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shaft
outer ring
inner ring
horizontal frame
fix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3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호성
Original Assignee
최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호성 filed Critical 최호성
Priority to PCT/KR2008/00113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8130098A1/en
Publication of KR20080095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51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06Bearings specially adapted for steering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18Connections between forks and handlebars or handlebar stems
    • B62K21/22Connections between forks and handlebars or handlebar stems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들의 조작에 따라 회전 및 기울어짐이 가능한 전륜조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운전자의 조작을 위한 핸들과, 일단이 이 핸들의 중앙부 하단에 결합되어 하방으로 연장된 조향 축과, 내측에 조향 축이 결합되고 이 조향 축이 축회전하거나 다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지지하는 베어링 부재와, 일단이 베어링 부재와 결합되어 조향 축과 소정의 각을 형성하는 수평프레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륜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부드러운 코너링 및 승차감을 제공할 뿐 아니라 간단한 방법으로 운전자의 운행목적에 적합한 구조로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륜, 조향

Description

전륜조향장치{Front wheel steer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륜조향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낸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륜조향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측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나타낸 A의 분해확대도,
도 6은 도 4에 나타낸 전륜조향장치의 조향 축과 수평프레임의 각이 변경되도록 고정 핀이 결합된 측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륜조향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측 단면도,
도 8은 도 7에 나타낸 B의 분해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전륜조향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측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20, 30, 40 : 전륜조향장치
100 : 핸들 110, 410 : 조향 축
120, 220, 320, 420 : 베어링 부재 121, 221, 321, 421 : 내륜
123, 223, 323, 423 : 외륜 125, 225, 425 : 외부베어링
130 : 수평프레임 221a : 내륜고정홀
223a, 323a : 외륜고정홀 227 : 고정 핀
321b : 고정돌기 411 : 걸림 턱
429 : 판스프링 440 : 탄성부재
본 발명은 전륜조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전거, 오토바이 등 하나의 전륜을 구비한 차를 운전하는 경우 핸들의 조작에 따라 전륜을 조향하도록 한 전륜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 오토바이 등 하나의 전륜을 구비한 차의 종래 전륜조향장치의 경우 핸들의 조작에 따라 좌우로 회전만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주행방향을 정하는 기능만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륜조향장치를 구비한 자전거 등은 선회 시 운전자가 차체중심이 이동되는 것에 따라 몸을 기울이지 않으면 원활한 코너링이 어렵고, 장애물이 갑자기 나타난 경우에도 회전반경이 길기 때문에 피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물론,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00-0002228호에서 공개된 “선회가 용이한 삼륜차”의 경우 선회가 용이하도록 좌우회전뿐만 아니라 좌우로 기울어짐도 가능하며 좌우로 기울어진 경우 원위치로 복원하는 기능을 갖는 조향장치를 구비한 삼륜차에 대해서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에 의하면, 회전중심과 기울어짐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아서 회전 및 기울어짐이 동시에 일어나는 경우 회전중심과 기울어짐의 중심이 일치된 경우에 비하여 부드러운 연결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자전거 등은 운행 시 안정성을 위해 수평프레임이 일체형으로 되어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에 의한 삼륜차의 경우 프레임이 분절되어 조향장치가 회전 시 수평프레임에서 비틀림 작용이 일어나 운전자가 상대적으로 불안정하며, 비틀림 작용부분이 사용자와 가까워 윤활제등의 오물이 묻기 쉽고,운전자의 무게중심이 가까워 분절부분의 고장이 잦아질 수 있으며, 디자인 면에서도 상품성이 떨어진다.
나아가 회전 및 기울어짐이 있는 경우 복원력을 갖도록 하는 구성에 있어서도 상기 종래기술에 의한 삼륜차는 외부에 인장스프링이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외관을 복잡하게 하고, 상기 인장스프링이 다리에 걸려 넘어질 수 있어 안전하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간단한 구조로 회전뿐만 아니라 기울어짐이 가능하도록 하여 코너링 및 승차감이 향상된 전륜조향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조향 축과 수평프레임 사이의 각을 바꾸어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운행목적에 따라 편안한 구조로 손쉽게 변경하여 운전가능한 전륜조향장치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더욱이, 탄성 부재를 구비하여 조향 축이 회전하거나 기울어지는 경우 탄성작용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하여 운전자의 편의를 도모한 전륜조향장치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운전자의 조작을 위한 핸들과; 일단이 상기 핸들의 중앙부 하단에 결합되어 하방으로 연장된 조향 축과; 내측에 상기 조향 축이 결합되고, 상기 조향 축이 축회전하거나 다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지지하는 베어링 부재; 및 일단이 상기 베어링 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조향 축과 소정의 각을 형성하는 수평프레임을 구비하는 전륜조향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베어링 부재는, 내측에 상기 조향 축이 일체로 결합된 구형상의 내륜과, 내측이 상기 내륜의 외측 일부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접촉지지하는 외륜과, 상기 외륜를 지지하고 상기 수평프레임의 일단과 결합하는 외부베어링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베어링은 그 내측이 상기 외륜의 외측 일부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접촉지지하고, 상기 외륜에는 상기 외부베어링과 접촉되지 않고 노출된 부분에 상기 수평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외륜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내륜에는 상기 외륜고정홀에 대응할 수 있도록 상기 조향 축의 축방향을 따라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내륜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베어링 부재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조향 축과 수평프레임 사이의 각을 바꾸어 고정할 수 있도록 선택된 상기 내륜고정홀과 상기 외륜고정홀에 착탈가능하게 동시 삽입되는 고정 핀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외륜에는 상기 외부베어링과 접촉되지 않고 노출된 부분에 상기 수평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외륜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내륜은 상기 외륜고정홀에 삽입되어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외륜고정홀에 대항하여 돌출된 고정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향 축은, 상기 내륜과 일체로 다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상기 외륜의 상단부에 걸려 상기 내륜의 슬라이딩 범위를 제한하는 걸림 턱을 구비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외륜과 걸림턱 사이에 개재하여 상기 조향 축이 다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탄성에 의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베어링 부재는, 상기 외륜과 외부베어링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조향 축이 축회전하는 경우 탄성력에 의하여 복원될 수 있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판스프링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륜조향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륜조향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나타낸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륜조향장치(10)는 핸들(100), 조향 축(110), 베어링 부재(120) 및 수평프레임(130)을 구비한다.
상기 핸들(100)은 운전자가 조향을 하기 위해 구비된 것으로 운전자는 상기 핸들(100)을 조작하여 조향을 한다. 이러한 핸들(100)의 형태는 도 1에 나타낸 형태에 한정된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에 따라 어떠한 형태로도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조향 축(110)은 일단이 상기 핸들(100)의 중앙부 하단에 결합되어 하방 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조향 축(110)의 형태도 도 1에 나타낸 형태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에 따라 어떠한 형태로도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베어링 부재(120)는 내측에 상기 조향 축(110)이 결합되고, 상기 조향 축(110)이 축회전하거나 다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지지한다.
상기 수평프레임(130)은 일단이 상기 베어링 부재(120)와 결합되어 상기 조향 축(110)과 소정의 각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베어링 부재(1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상기 조향 축(110)이 일체로 결합된 구형상의 내륜(121)과, 내측이 상기 내륜(121)의 외측 일부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접촉지지하는 외륜(123)과, 상기 외륜(123)을 지지하고 상기 수평프레임(130)의 일단과 연결되는 외부베어링(125)을 구비한다.
상기 내륜(121)은 구형상이며, 상기 외륜(123)의 내측은 상기 내륜(121)의 외측 일부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접촉지지하고 있으므로 상기 구형상의 내륜(121)은 상기 외륜(123)의 내측에서 다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되며, 상기 조향 축(110)은 상기 내륜(121)과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내륜(121)과 함께 상기 조향 축(110)을 축회전하거나 다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운전자는 핸들의 조작에 의해 상기 조향 축(110)을 축회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하여 선회 시 부드러운 코너링 및 승차감을 얻을 수 있다.
즉, 구형상의 내륜(121)이 상기 조향 축(110)과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외륜(123)의 내측에서 슬라이딩 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고, 상기 내륜(121)이 슬라이 딩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조향 축(110)은 축회전하거나 다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베어링(125)은 상기 외륜(123)의 외측 일부를 지지하는데, 상기 외부베어링(125)의 원통형의 구멍에 상기 외륜(123)의 외측 일부가 삽입되어 접촉지지된 것으로 상기 외륜(123)이 슬라이딩 되지 않도록 고정하여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조향 축(110)을 축회전하는 경우 상기 조향 축(110)과 일체로 결합된 상기 내륜(121)이 상기 외륜(123)의 내측에서 슬라이딩 되므로 상기 외륜(123)은 상기 외부베어링(125)의 내측에서 슬라이딩 될 필요가 없고, 오히려 상기 핸들(100)의 조작에 따라 안정적으로 조향하기 위해서는 상기 조향 축(110)과 일체로 결합된 상기 내륜(121)만이 축회전 및 다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외륜(123)은 상기 외부베어링(125)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상기 조향 축(110)은 축회전 및 다 방향으로 기울어짐이 가능하여 운전자는 상기 핸들(100)을 조작함에 따라 상기 베어링 부재(120)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다양한 조향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특히 선회 시에 부드러운 코너링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륜조향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륜조향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측 단면 도이고, 도 5는 도 4에 나타낸 A의 분해확대도이고, 도 6은 도 4에 나타낸 전륜조향장치의 조향 축과 수평프레임의 각이 변경되도록 고정 핀이 결합된 측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륜조향장치(20)는 핸들(100), 조향 축(110), 베어링 부재(220) 및 수평프레임(130)을 구비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외부베어링(225)은 그 내측이 상기 외륜(223)의 외측 일부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접촉지지하고, 상기 외륜(223)에는 상기 외부베어링(225)과 접촉되지 않고 노출된 부분에 상기 수평프레임(130)의 길이방향으로 외륜고정홀(223a)이 형성되고, 상기 내륜(221)에는 상기 외륜고정홀(223a)에 대응할 수 있도록 상기 조향 축(110)의 축방향을 따라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내륜고정홀(221a)이 형성되며, 상기 베어링 부재(220)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조향 축(110)과 수평프레임(130) 사이의 각을 바꾸어 고정할 수 있도록 선택된 상기 내륜고정홀(221a)과 상기 외륜고정홀(223a)에 착탈가능하게 동시 삽입되는 고정 핀(227)을 더 구비한다.
상기 고정 핀(227)은 상기 외륜고정홀(223a) 및 상기 내륜고정홀(221a)을 관통하여 결합되어 상기 조향 축(110)과 상기 수평프레임(130) 사이의 각을 고정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륜조향장치(20)에서는 상기 외부베어링(225)은 상기 외륜(223)의 외측 일부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지지하고 있는데, 상기 고정 핀(227)에 의해 상기 외륜(223)과 상기 내륜(221)이 연결되어 상기 내 륜(221)이 상기 외륜(223)의 내측에서 슬라이딩 되어 상기 조향 축(110)을 축회전하지 못하므로, 상기 내륜(221)과 상기 외륜(223)이 일체로 상기 조향 축(110)을 축회전하도록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즉, 상기 외륜(223)은 상기 고정 핀(227)에 의해 상기 내륜(221)과 결합되고, 상기 외부베어링(225)은 내측에 상기 외륜(223)의 외측 일부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접촉지지하여 상기 외륜(223)이 상기 내륜(221)과 일체로 상기 조향 축(110)을 축회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외륜고정홀(223a)이 상기 외륜(223)과 상기 외부베어링(225)이 접촉되는 면에 형성된 경우 외부에서 결합되는 상기 고정 핀(227)을 착탈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외륜(223)이 상기 조향 축(110)을 축회전하는 것을 제한하지 않으면서 상기 고정 핀(227)이 자유롭게 착탈될 수 있도록 상기 외륜고정홀(223a)은 상기 외부베어링(225)과 접촉되지 않은 면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향 축(110)의 축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륜고정홀(221a)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외륜고정홀(223a)에 상기 고정 핀(227)을 삽입하여 결합함으로써, 상기 조향 축(110)과 상기 수평프레임(130) 사이의 각을 원하는 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조향 축(110)과 상기 수평프레임(130) 사이의 각을 고정함으로써 운전자는 원하는 자세로 안정적으로 운행할 수 있으며, 상기 조향 축(110)과 상기 수평프레임(130) 사이의 각을 변화시킴으로써 장거리 운행 또는 단거리 운행에 적합하도록 구조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운행목적에 따라 단지 상기 고정 핀(227)을 상기 다수개의 내륜고정홀(221a)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외륜고정홀(223a)에 삽입하여 연결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편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륜조향장치(20)의 핸들, 조향 축, 수평프레임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륜조향장치(10)의 핸들(100), 조향 축(110) 및 수평프레임(130)과 동일부재이므로, 도면부호를 제1실시예와 같이 사용하고,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륜조향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륜조향장치의 측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나타낸 B의 분해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륜조향장치(30)는 핸들(100), 조향 축(110), 베어링부재(320) 및 수평프레임(130)을 구비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륜조향장치(30)는 상기 외륜(323)에는 상기 외부베어링(225)과 접촉되지 않고 노출된 부분에 상기 수평프레임(130)의 길이방향으로 외륜고정홀(323a)이 형성되고, 상기 내륜(321)은 상기 외륜고정홀(323a)에 삽입되어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외륜고정홀(323a)에 대항하여 돌출된 고정돌기(321b)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돌기(321b)는 상기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륜조향장치(20)의 고정 핀(227)이 갖는 기능과 유사한 기능을 갖는다.
즉, 상기 외륜고정홀(323a)에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상기 외륜(323)과 상기 내륜(321)을 연결하고, 상기 조향 축(310)과 상기 수평프레임(330) 사이의 각을 고정한다.
다만, 상기 돌기(321b)는 상기 고정 핀(227)과 같이 착탈가능한 것이 아니어서, 상기 조향 축(110)과 상기 수평프레임(130) 사이의 각을 변경하여 고정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륜조향장치(30)의 핸들(100), 조향 축(110), 외부베어링(225) 및 수평프레임(13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륜조향장치(20)의 핸들(100), 조향 축(110), 외부베어링(225) 및 수평프레임(130)과 동일부재이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전륜조향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전륜조향장치 요부를 나타낸 측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전륜조향장치(40)는 핸들(100), 조향 축(410), 베어링부재(420), 수평프레임(130) 및 탄성부재(440)를 구비한다.
상기 조향 축(410)은 상기 내륜(421)과 일체로 다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상기 외륜(423)의 상단부에 걸려 상기 내륜(421)의 슬라이딩 되는 범위를 제한하는 걸림 턱(411)을 구비한다.
상기 걸림 턱(411)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조향 축(410)이 상기 내륜(421)과 일체로 기울어지는 경우 상기 외륜(423)의 상단부에 상기 걸림 턱(411)이 걸려 상기 내륜(421)이 슬라이딩 되는 범위가 제한되고, 한정된 범위에서만 기울어진다.
따라서, 과도한 기울어짐으로 인해 균형을 잃고 넘어지게 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륜(423)과 걸림 턱(411) 사이에 개재하여 상기 조향 축(410)이 다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상기 외륜(423)과 상기 걸림 턱(411) 사이에서 탄성에 의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440)를 더 구비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440)는 상기 외륜(423)의 상단과 상기 걸림 턱(411)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조향 축(410)이 기울어지는 경우 압축이 되었다가 탄성력에 의하여 팽창이 되면서, 상기 조향 축(410)을 원위치로 복원시키게 된다.
이로써, 기울어진 조향 축(410)을 지면에 대하여 수직이 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게 되어 직진성을 유지하려는 운전자의 힘을 덜어주는 효과를 가져 온다.
상기 탄성 부재(440)로는 고무 또는 압축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기타 본 발명의 목적에 맞도록 탄성력에 의해 복원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다른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어링 부재(420)는 상기 외륜(423)이 상기 내륜(421)과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조향 축(410)을 축회전하는 경우 탄성력에 의하여 복원되도록 상기 외륜(423)의 외측과 상기 외부베어링(425)의 내측을 연결하는 판스프링(429)을 더 구비한다.
상기 판스프링(429)은 상기 외륜(423)과 상기 외부베어링(425)의 사이에 개재하므로, 상기 조향 축(410)이 기울어지는 경우에는 관여하지 않고, 상기 내륜(421)과 상기 외륜(423)이 고정 핀(227)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조향 축(410)을 축회전하는 경우에만 탄성에 의한 복원력을 갖도록 한다.
즉, 상기 내륜(421)과 상기 고정 핀(227)에 의하여 결합된 상기 외륜(423)이 상기 외부베어링(425)의 내측에서 슬라이딩 되어 상기 판스프링(429)에 굽힘 현상이 일어나는 경우 상기 판스프링(429)이 가지고 있는 탄성력으로 인해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외륜(423)과 상기 외부베어링(425) 사이에 개재되어 탄성력에 의해 복원될 수 있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부재는 상기 판스프링(429)을 사용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기타 본 발명의 목적에 맞도록 탄성력에 의하여 복원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다른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전륜조향장치(40)의 핸들(100), 수평프레임(130) 및 고정 핀(22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륜조향장치(20)의 핸들(100), 수평프레임(130) 및 고정 핀(227)과 동일부재이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전륜조향장치는,
첫째, 간단한 구조로 형성된 베어링부재 하나에 조향 축의 길이방향을 축으로 회전하는 것과 함께 상기 조향 축이 기울어지는 효과도 함께 구비되어 있어서 선회 시에 부드러운 코너링 및 승차감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조향 축과 수평프레임간의 각을 변경하여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여 운행목적에 맞게 적합한 구조로 형성된 전륜조향장치가 구비된 차를 운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셋째, 조향 축이 상기 조향 축의 길이방향을 축으로 회전하거나 수평프레임의 길이방향을 축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도록 형성되어 운전자의 편의 및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7)

  1. 운전자의 조작을 위한 핸들과;
    일단이 상기 핸들의 중앙부 하단에 결합되어 하방으로 연장된 조향 축과;
    내측에 상기 조향 축이 결합되고, 상기 조향 축이 축회전하거나 다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지지하는 베어링 부재; 및
    일단이 상기 베어링 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조향 축과 소정의 각을 형성하는 수평프레임을 구비하는 전륜조향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부재는,
    내측에 상기 조향 축이 일체로 결합된 구형상의 내륜과;
    내측이 상기 내륜의 외측 일부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접촉지지하는 외륜과;
    상기 외륜를 지지하고 상기 수평프레임의 일단과 결합하는 외부베어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륜조향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베어링은 그 내측이 상기 외륜의 외측 일부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접촉지지하고,
    상기 외륜에는 상기 외부베어링과 접촉되지 않고 노출된 부분에 상기 수평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외륜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내륜에는 상기 외륜고정홀에 대응할 수 있도록 상기 조향 축의 축방향을 따라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내륜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베어링 부재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조향 축과 수평프레임 사이의 각을 바꾸어 고정할 수 있도록 선택된 상기 내륜고정홀과 상기 외륜고정홀에 착탈가능하게 동시 삽입되는 고정 핀을 더 구비하는 전륜조향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륜에는 상기 외부베어링과 접촉되지 않고 노출된 부분에 상기 수평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외륜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내륜은 상기 외륜고정홀에 삽입되어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외륜고정홀에 대항하여 돌출된 고정돌기를 구비하는 전륜조향장치.
  5.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 축은, 상기 내륜과 일체로 다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상기 외륜의 상단부에 걸려 상기 내륜의 슬라이딩 범위를 제한하는 걸림 턱을 구비하는 전륜조향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외륜과 걸림턱 사이에 개재하여 상기 조향 축이 다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탄성에 의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전륜조향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부재는, 상기 외륜과 외부베어링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조향 축이 회전하는 경우 탄성력에 의하여 복원될 수 있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판스프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륜조향장치.
KR1020070053478A 2007-04-23 2007-05-31 전륜조향장치 KR200800951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8/001137 WO2008130098A1 (en) 2007-04-23 2008-02-27 Front wheel steer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39348 2007-04-23
KR1020070039348 2007-04-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5157A true KR20080095157A (ko) 2008-10-28

Family

ID=40154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3478A KR20080095157A (ko) 2007-04-23 2007-05-31 전륜조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9515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80528B2 (en) * 2020-05-21 2023-10-10 Specialized Bicycle Components, Inc. Adjustable head angle bicycl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80528B2 (en) * 2020-05-21 2023-10-10 Specialized Bicycle Components, Inc. Adjustable head angle bicycl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69946B (zh) 平衡自行车
US10035557B2 (en) Self-balancing vehicle frame
CN101646594B (zh) 多轮车辆
CN107207065B (zh) 带手柄的电动独轮车
EP2977302B1 (en) Apparatus for adjusting bicycle saddle angle in seated position while driving
US20110233885A1 (en) Lean-steering stabilization device for a vehicle having a leaning part and a non-leaning part
US10881945B2 (en) Skateboard
US20030067151A1 (en) Frame for an electric scooter
KR101943296B1 (ko) 방향전환시 전복방지기능이 구비된 휠체어 연결마운트
KR100576306B1 (ko) 스케이트 보드
KR20080095157A (ko) 전륜조향장치
US6290242B1 (en) Double-action inline skate with wheel surface shaped for maneuverability
TWM464218U (zh) 遙控車前拉桿固定座構造改良
TWM522142U (zh) 具可調整三輪車傾角限位角度的耦合器
CN210822589U (zh) 电动车车架及电动车
WO2008130098A1 (en) Front wheel steering apparatus
TWI586577B (zh) 具可調整三輪車傾角限位角度的耦合器
CN104203738A (zh) 车把安排
JPH0382689A (ja) 前二輪式三輪車
CN207389403U (zh) 滑板车
JP2017105330A (ja) 前二輪自転車旋回時の車体傾斜装置
JP2016174679A (ja) 倒立二輪車
KR101207915B1 (ko) 조향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
JP2021531050A (ja) 1対のスキー板又はサーフボードを運転するための装置
CN209757377U (zh) 骑行组件及组合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