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5128A - 휴대용 단말기 및 휴대용 단말기 세트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 및 휴대용 단말기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5128A
KR20080095128A KR1020070039517A KR20070039517A KR20080095128A KR 20080095128 A KR20080095128 A KR 20080095128A KR 1020070039517 A KR1020070039517 A KR 1020070039517A KR 20070039517 A KR20070039517 A KR 20070039517A KR 20080095128 A KR20080095128 A KR 200800951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ortable terminal
holder
input
com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9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호
Original Assignee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filed Critical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Priority to KR1020070039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95128A/ko
Publication of KR20080095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51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 및 휴대용 단말기 세트(set)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기 거치대에서 자동적으로 분리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및 휴대용 단말기 세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기 거치대 및 단말기 거치대에 거치된 상태에서 무선으로 연결된 이동통신망으로부터 통신신호가 수신되면 단말기 거치대로 단말기분리명령을 전송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되, 단말기 거치대는 단말기분리명령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세트(set)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기 거치대에 거치된 휴대용 단말기가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사용자에게 자동으로 이동해올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세트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휴대용 단말기, 단말기 거치대, 단말기 충전기, 지향성 마이크로폰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 및 휴대용 단말기 세트{Potable terminal se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음성신호를 주파수와 진폭에 따라 나타낸 도면.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균음성데이터를 나타낸 도면.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에 휴대용 단말기가 거치되어 있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에서 휴대용 단말기가 분리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분리 방법의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메인 제어부
120 : 통신부
130 : 음성신호처리부
135 : 마이크부
140 : 키입력부
150 : 저장부
160 : 카메라부
170 : 영상신호처리부
180 : 디스플레이부
190 : 외부신호 입출력 단자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 및 휴대용 단말기 세트(set)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기 거치대에서 자동적으로 분리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및 휴대용 단말기 세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용 단말기(예를 들어,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노트북(Notebook) 등)가 널리 보급됨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각종 응용 기술(application, 예를 들어, MP3 음원을 출력하는 기능, TV 수신 기능 등)들 또한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각종 멀티미디어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하나 만을 휴대하여 전화 통화, 음악 감상 등의 다양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런데, 휴대용 단말기는 충전 등의 이유로 거치대에 놓여 있으면 사용자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떨어져 있게 된다. 이때, 거치대에 거치된 휴대용 단말기에 문자 메시지(Short Message Service, SMS)가 수신되거나 전화가 걸려오면, 사용자는 거치된 휴대용 단말기로 직접 이동하여 수신된 문자 메시지를 확인하거나 전화 통화를 할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예를 들어, 장애인 등)는 거치대에 거치된 휴대용 단말기에 문자 메시지(Short Message Service, SMS)가 수신되거나 전화가 걸려오더라도 문자 메시지를 확인할 수 없거나 걸려온 전화를 받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단거리 무선 통신 기술이 적용된 휴대용 단 말기는 단말기가 거치대에 놓여있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단말기로의 이동 없이 문자 메시지 확인이나 전화 통화가 가능하지만, 이러한 경우에도 사용자가 직접 휴대용 단말기를 파지(把持)할 수는 없는 문제점이 남아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거치대에 거치된 휴대용 단말기가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사용자에게 자동으로 이동해올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및 휴대용 단말기 세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거치대에 거치된 휴대용 단말기에 문자 메시지(Short Message Service, SMS)가 수신되거나 전화가 걸려오더라도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가 직접 휴대용 단말기가 위치한 곳으로 이동하지 않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및 휴대용 단말기 세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제시하는 이외의 기술적 과제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 거치대; 및 상기 단말기 거치대에 거치된 상태에서 무선으로 연결된 이동통신망으로부터 통신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단말기 거치대로 단말기분리명령을 전송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단말기 거치대는 상기 단말기분리명령에 따라 상기 휴대 용 단말기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세트(set)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이용하여 평균음성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평균음성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단말기분리명령을 상기 단말기 거치대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 거치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통신신호가 입력되면 회전명령을 상기 단말기 거치대로 출력하여 상기 단말기 거치대가 회전동작을 수행하면 상기 평균음성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균음성데이터는 상기 음성신호 중 미리 설정된 대역 내의 음성신호의 평균 진폭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외부신호 입출력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 거치대는 단말기 연결단자를 더 포함하되, 상기 외부신호 입출력 단자 및 상기 단말기 연결단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단말기 거치대에 거치되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 거치대 상호간의 데이터 전송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원통형상이되, 상기 단말기 거치대에서 분리되면 회전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마이크부 및 음성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마이크부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을 전기적 신호인 전기음성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음성신호 처리부는 상기 마이크부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음성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평균음성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부는 지향성(指向性) 마이크로폰일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 거치대에 거치되며, 상기 단말기 거치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무선으로 연결된 이동통신망으로부터 통신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단말기 거치대로 단말기분리명령을 전송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을 전기적 신호인 전기음성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부; 및 상기 마이크부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음성신호를 분석하여 평균음성데이터를 생성하는 음성신호처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평균음성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단말기분리명령을 상기 단말기 거치대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통신신호가 입력되면 회전명령을 상기 단말기 거치대로 출력한 후 상기 평균음성데이터와 상기 임계값을 비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균음성데이터는 상기 음성신호 중 미리 설정된 대역 내의 음성신호의 평균 진폭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부는 지향성(指向性) 마이크로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원통형상이고, 상기 단말기 거치대에서 분리되면 회전 이동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가 거치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단말기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단말기분리명령이 입력되면 동작개시명령을 출력하는 거치대 제어부; 및 상기 동작개시명령을 수신하면 동작을 개시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상기 단말기 거치대에서 분리시키는 단말기 분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거치대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 거치대는 회전개시명령을 수신하면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을 개시하는 회전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거치대 제어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회전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회전개시명령을 상기 회전부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거치되는 단말기 거치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세트(set)에서의 휴대용 단말기 분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무선으로 연결된 이동통신망으로부터 통신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신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단말기 거치대로 단말기분리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 거치대는 상기 단말기분리명령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분리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분리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이용하여 평균음성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평균음성데이터와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평균음성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단말기분리명령을 상기 단말기 거치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균음성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통신신호가 입력되면 회전명령을 상기 단말기 거치대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 거치대가 회전동작을 수행하면 상기 평균음성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균음성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을 전기음성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전기음성신호 중 미리 설정된 대역 내의 전기음성신호의 평균 진폭값인 산출하여 평균음성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 거치대에서 분리되면 회전 이동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원통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 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는 메인 제어부(110), 통신부(120), 음성신호처리부(130), 마이크부(135), 키입력부(140), 저장부(150), 카메라부(160), 영상신호처리부(170), 디스플레이부(180) 및 외부신호 입출력 단자(19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는 이동통신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 휴대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기기 중 하나일 수 있으나, 여기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는 스피커부(미도시), 음원 데이터 처리부(예를 들어, MP3 데이터 처리부 등)(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는 단말기 거치대(미도시)에 거치되어 있는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단말기 거치대(미도시)는 휴대용 단말기(100)와 외부신호 입출력 단자(190)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휴대용 단말기(100)와 각종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메인 제어부(110)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메인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키입력부(140) 조작 등에 따른 각종 신호가 입력되면 이에 상응하는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하여 휴대용 단말기(100)의 필요한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휴대용 단말기(100)와 연결되어 있는 이동통신망으로부터 문자메시지(Short Message Service, SMS)가 입력되거나 전화가 걸려온 경우(즉, 통신신호가 입력된 경우) 회전 명령을 생성하여 외부신호 입출력 단자(190)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회전 명령은 휴대용 단말기(100)의 단말기 거치대(미도시)를 회전시키기 위한 명령으로서, 단말기 거치대(미도시)는 휴대용 단말기(100)와 외부신호 입출력 단자(190)를 통해 연결될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으며, 외부신호 입출력 단자(190)를 통하여 회전 신호가 입력되면 회전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단말기 거치대(미도시)의 동작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또한, 메인 제어부(110)는 단말기 거치대(미도시)로부터 회전개시신호가 입력되면 음성신호 처리부(130) 및 마이크부(135)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때, 회전 개시신호는 단말기 거치대(미도시)가 회전 동작을 개시하였음을 메인 제어부(110)로 알리는 신호로서, 외부신호 입출력 단자(190)를 통하여 메인 제어부(110)로 입력될 수 있다. 이때, 회전개시신호는 ACK 신호일 수 있다.
이때, 활성화된 마이크부(135)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을 전기적 신호인 전기음성신호로 변환할 수 있고, 음성신호 처리부(130)는 마이크부(135)로부터 입력된 전기음성신호를 미리 설정된 방식의 디지털 신호로 인코딩(encoding)한 평균음성데이터를 생성하여 메인 제어부(110)로 출력할 수 있다. 이하,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평균음성데이터가 생성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음성신호를 주파수와 진폭에 따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균음성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에서, 평균음성데이터는 음성신호 처리부(130)에서 생성될 수도 있고, 메인 제어부(110)에서 생성될 수도 있으나, 이해와 설명의 편의상 음성신호 처리부(130)에서 생성되는 것을 가정하고 설명한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음성신호가 주파수와 진폭에 따라 도시되어 있다. 즉, 도 2a에는 모든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전기음성신호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가청 대역이 16kHz 내지 20kHz인 경우로 미리 설정되어 있으면, 음성신호 처리부(130)는 가청 대역 내의 전기음성신호 만을 추출할 수 있고, 이는 도 2b에 도시되어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음성신호 처리부(130)에 의하여 추출된 가청 대역 내의 전기음성신호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음성신호 처리부(130)는 추출된 가청 대역 내의 전기음성신호의 진폭값의 평균을 산출하여 평균음성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즉, 평균음성데이터는 샘플링된 전기음성신호의 하나 이상의 진폭값의 총합을 샘플링된 간격의 개수로 나눈 값일 수 있다. 이때, 샘플링된 전기음성신호란 가청 대역 내의 전기음성신호가 주파수축을 기준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샘플링(Sampling)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청 대역이 16kHz 내지 20kHz인 경우로 미리 설정되어 있고, 전기음성신호는 1kHz 간격으로 샘플링되도록 미리 설정된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음성신호 처리부(130)는 16 kHz~17 kHz, 17 kHz~18 kHz, 18 kHz~19 kHz 및 19 kHz~20kHz 각각에 상응하는 4개의 진폭값이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산출된 4개의 진폭값을 a, b, c 및 d(이때, a, b, c, d는 실수임)라 가정하면 평균음성데이터는 '(a+b+c+d)/4'일 수 있다.
여기서는 가청 대역이 16kHz 내지 20kHz인 경우로 미리 설정되어 있고, 전기음성신호는 1kHz 간격으로 샘플링되도록 미리 설정된 경우를 가정하고 설명하였으나, 이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가정에 불과할 뿐이며, 가청 대역의 범위 및/또는 샘플링되는 간격이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여기에서는 전기음성신호가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샘플링되어 평균음성데이터가 생성되는 경우를 예시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평균음성데이터가 생성되기 위한 예시 방법에 불과할 뿐이며, 평균음성데이터는 전기음성신호를 가청 대역을 범위로 하여 적분한 값을 가청 대역의 범위로 나눈 값일 수 있음은 자명하다. 따라서, 평균음성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메인 제어부(110)는 음성신호 처리부(130)로부터 평균음성데이터가 입력되면, 평균음성데이터를 미리 저장된 임계값과 비교할 수 있다. 이는 휴대용 단말기(100)가 사용자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함이다. 즉, 음성신호 처리부(130)는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음성을 분석하여 평균음성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고, 메인 제어부(110)는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평균음성데이터와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할 수 있다.
이때, 휴대용 단말기(100)는 단말기 거치대(미도시)와 함께 회전하고 있을 수 있다. 즉, 메인 제어부(110)로 회전개시신호가 입력되면 단말기 거치대(미도시)가 회전하고 있다는 의미일 수 있으며, 단말기 거치대(미도시)에 거치되어 있는 휴대용 단말기(100)도 단말기 거치대(미도시)와 함께 회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미리 설정된 임계값은 저장부(15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임계값은 휴대용 단말기(100)의 제조 당시에 저장부(150)에 입력된 값일 수 있다.
또한, 메인 제어부(110)는 평균음성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이면 단말기분리명령을 생성하여 단말기 거치대(미도시)로 출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통신신호가 휴대용 단말기(100)로 입력되었음을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출력되는 진동 및/또는 벨소리를 통하여 인지하면, 휴대용 단말기(100)를 향하여 임의의 소리(예를 들어, 목소리 등)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휴대용 단말기(100)의 마 이크부(135)가 사용자가 위치한 장소와 정면으로 마주보는 경우에는 높은 평균음성데이터가 산출될 것이다. 따라서, 메인 제어부(110)는 평균음성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이면 단말기 거치대(미도시)의 회전을 멈추게 하기 위한 단말기분리명령을 단말기 거치대(미도시)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분리명령은 외부신호 입출력 단자(190)를 통하여 메인 제어부(110)로부터 단말기 거치대(미도시)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거치대(미도시)는 단말기분리명령을 수신하면 회전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제어부(110)는 단말기분리명령을 출력하면 마이크부(135) 및 음성신호 처리부(130)의 구동을 종료시킬 수 있다. 이는 사용자 위치 감지가 종료되었기 때문이다.
통신부(120)는 휴대용 단말기(100)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모드로 동작할 때 무선으로 연결된 이동통신망과 음성, 영상 등 각종 데이터(특히, 문자메시지, 착신호 등의 통신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한다. 통신부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증폭하는 송신기 및 수신되는 신호를 증폭하고 주파수를 조절하는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되는 신호를 변복조하는 모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음성신호 처리부(130)는 메인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하여 동작 활성화되거나 구동 종료될 수 있으며, 마이크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전기음성신호를 분석하여 평균음성데이터를 생성한 후 메인 제어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음성신호 처리부(130)에서 평균음성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은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 여기에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마이크부(135)는 메인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하여 동작 활성화되거나 구동 종료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을 전기적 신호인 전기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음성신호 처리부(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마이크부(135)는 지향성(指向性) 마이크로폰일 수 있다. 즉, 마이크부(135)는 음성의 발신원이 위치하는 방향에서 발생되는 음성에 대하여 큰 감도(感度)를 나타내는 지향성 마이크로폰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마이크부(135)는 발신원으로부터 제공되는 음원만을 효율적으로 전기음성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는 지향성 마이크로폰은 발신원에서 발생하는 음성에 대하여 큰 감도를 나타내고, 발신원의 방향축을 벗어날수록 그 감도가 작아지는 특성이 있기 때문이다. 지향성 마이크로폰의 동작 및 특성은 당업자에 있어서 자명하므로 여기에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키입력부(140)는 사용자의 조작에 상응하는 각종 신호들을 생성하여 메인 제어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키입력부(140)는 키패드 또는 터치패드 기타 다양한 신호입력장치일 수 있다.
저장부(150)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또는 카메라부(160) 또는 외부입력장치(예를 들어, 24핀 데이터 입출력 단자 등)를 통하여 입력되는 영상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일 수 있다. 특히, 저장부(150)는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저장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메인 제어부(110)는 평균음성데이터를 수신하면 저장부(150)에서 임계값을 독출하여 평균음성데이터와 비교할 수 있다.
카메라부(160)는 입력되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영상신호처리부(170)로 전 송한다. 이때, 카메라부는 CCD 센서일 수 있다.
영상신호처리부(170)는 카메라부(160)를 통하여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부(180)로 전송하고, 사용자의 키입력부(140) 조작에 상응하는 '저장명령(즉, 영상신호를 영상데이터로 변조하여 저장부(150)에 저장하기 위한 명령)'이 입력되면 영상 디지털 신호를 변조하여 영상 데이터(예를 들어, JPG, MPG 등)를 생성하여 저장부(150)에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메인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각종 프로그램(또는 모드)가 실행되는 도중에 발생하는 각종 메시지들을 표시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80)는 처리된 이미지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80)는 LCD 또는 PDP(Plasma Display Panel)일 수 있고, 터치스크린 기능을 구비할 수도 있다.
외부신호 입출력 단자(190)는 연결된 외부기기와 휴대용 단말기(100)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이터 전송 경로일 수 있다. 특히, 외부신호 입출력 단자(190)는 휴대용 단말기(100)와 단말기 거치대(미도시)를 연결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 제어부(100)는 외부신호 입출력 단자(190)를 통하여 회전명령 및/또는 단말기분리명령을 단말기 거치대(미도시)로 출력할 수 있으며, 단말기 거치대(미도시)는 외부신호 입출력 단자(190)를 통하여 회전개시신호를 휴대용 단말기(특히, 메인 제어부(110))로 출력할 수 있다. 외부신호 입출력 단자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외관을 개 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는 원통형상일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100)의 일면에는 디스플레이부(180)가 위치될 수 있으며, 이때, 디스플레이부(180)는 LCD 또는 PDP일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의 외주면에는 마이크부(135)가 위치될 수 있다. 이때, 마이크부(135)는 지향성 마이크로폰일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80)가 위치한 일면에 대한 정면도가 도시된다. 이때, 휴대용 단말기(100)는 슬라이드형(slide type) 단말기일 수 있으며, 스윙형(swing type) 단말기일 수도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100)의 바디(body) 중 디스플레이부(180)를 포함하는 바디를 제1 단말기 바디, 키입력부(140)를 포함하는 바디를 제2 단말기 바디라고 하면, 제1 단말기 바디에서는 스피커부(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제2 단말기 바디에는 휴대용 단말기(100)가 전화 통화를 위한 통화호연결시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적 신호로 전환해주는 부가마이크부(32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의 측면도가 도시된다. 이때, 휴대용 단말기(100)의 측면(외주면)에는 마이크부(135)가 위치될 수 있으며, 마이크부(135)는 활성화 상태에서 사용자(110)의 음성을 감지할 수 있는 지향성 마이크로폰일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도 3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저면도가 도시된다. 이때, 휴대용 단말기(100)의 저면에는 단말기 거치대(미도시)와 연결되는 외부신호 입출력 단자(190)가 위치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100)는 외부신호 입출력 단자(190)를 통하여 단말기 거치대(미도시)와 각종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400)는 거치대 제어부(410), 단말기 연결단자(420), 회전부(430) 및 단말기 분리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거치대(400)는 휴대용 단말기(100)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로서 휴대용 단말기(100) 배터리(미도시)의 충전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만, 배터리 충전 기능은 본 발명과는 관련성이 약하므로 여기에서는 배터리(미도시) 충전 기능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거치대 제어부(410)는 단말기 거치대(4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회전명령이 입력되면 회전부(430)를 활성화하여 회전부(430)의 회전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치대 제어부(410)는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회전명령이 입력되면 회전개시명령을 회전부(43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거치대 제어부(410)는 회전부(430)가 회전동작을 개시하면 휴대용 단말기(100)로 회전부(430)의 회전동작 개시를 알리기 위한 회전개시신호를 휴대용 단말기(100)(특히 메인 제어부(110))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부(430)는 회전동작을 개시하면 거치대 제어부(410)로 긍정 신호(예를 들어, ACK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긍정 신호를 수신한 거치대 제어부(410)는 회전부(430)의 회전동작이 개시되었음을 인식하여 휴대용 단말기(100)로 회전부(430)의 회전동작 개시를 알리기 위한 회전개시신호를 휴대용 단말기(100)(특히 메인 제어부(110))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거치대 제어부(410)는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단말기분리명령이 입력되면 회전부(430)의 회전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치대 제어부(410)는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단말기분리명령이 입력되면 회전부(430)로 종료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거치대 제어부(410)는 회전부(430)의 회전동작이 종료되면 단말기 분리부(440)를 활성화하여 단말기 분리부(440)의 동작을 개시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치대 제어부(410)는 회전부(430)의 회전동작이 종료되면 단말기 분리부(440)로 동작개시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단말기연결 단자(420)는 단말기연결 단자(420)와 연결된 외부기기와 각종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자일 수 있다. 특히, 단말기연결 단자(4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의 외부신호 입출력 단자(190)와 연결될 수 있고, 휴대용 단말기(100)와 단말기 거치대(400)의 각종 신호의 송수신 경로로써 동작할 수 있다.
특히, 회전개시신호는 단말기 연결단자(420)와 연결된 휴대용 단말기(100)의 외부입출력단자(190)를 통하여 거치대 제어부(410)로부터 휴대용 단말기(100)의 메인 제어부(110)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분리명령은 휴대용 단말기(100)의 외부신호 입출력 단자(190)와 연결된 단말기 연결단자(420)를 통하여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거치대 제어부(410)로 전송될 수 있다.
회전부(430)는 거치대 제어부(410)의 제어에 의하여 회전동작이 개시되거나 종료될 수 있다. 이때, 회전부(430)는 일반 모터(motor) 및/또는 스테핑 모터(stepping motor)일 수 있다. 즉, 회전부(430)는 거치대 제어부(410)로부터 회전개시명령을 수신하면 회전을 개시할 수 있다. 또한, 회전부(430)는 거치대 제어부(410)로부터 종료명령을 수신하면 회전을 종료할 수 있다.
단말기 분리부(440)는 거치대 제어부(410)의 제어에 의하여 동작이 개시될 수 있다. 즉, 단말기 분리부(440)는 거치대 제어부(410)로부터 동작개시명령을 수신하면 동작을 개시하여 단말기 거치대(400)에 거치된 휴대용 단말기(100)를 분리시킬 수 있다. 이하,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단말기 거치대(400)에 거치된 휴대용 단말기(100)가 단말기 거치대(400)에서 분리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에 휴대용 단말기가 거치되어 있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에서 휴대용 단말기가 분리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세 트(set)(500)가 도시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세트는 단말기 거치대(400) 및 휴대용 단말기(100)를 포함할 수 있고, 단말기 거치대(400)에 휴대용 단말기(100)가 거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말기 거치대(400)는 회전부(430)를 포함하는 제1 거치대 바디(510) 및 휴대용 단말기(100)를 거치할 수 있고, 회전부(430)에 의하여 제1 거치대 바디(510)와 연결되어 있는 제2 거치대 바디(5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거치대 바디(520)는 회전부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고, 회전부(430)의 회전동작이 개시되면 미리 설정된 방향(예를 들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제2 거치대 바디(520)는 단말기 분리부(440) 및 단말기 연결단자(420)을 포함할 수 있고, 단말기 연결단자(420)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저면에 위치한 외부 입출력 단자(19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단말기 분리부(는
예를 들어, 단말기 분리부(440)는 스프링(530) 및 돌출막대(540)를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100)는 단말기 거치대(400)에 거치되어 있는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휴대용 단말기(100)의 외부신호 입출력 단자(190)는 단말기 거치대(400)의 단말기 연결단자(420)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단말기 분리부(44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압축되어 있을 수 있다. 즉, 단말기 분리부(440)는 탄성압축되어 돌출막대(540)는 단말기 거치대(400)의 제2 거치대 바디(520) 내부에서 돌출되지 아니한 채로 있을 수 있다. 이때, 돌출막대(540)는 휴대용 단말기(400)와 밀착되어 있을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단말기 분리부(440)는 거치대 제어부(410)로부터 동작개시명령을 수신하면 동작이 개시되어 휴대용 단말기(400)를 거치대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이때, 단말기 분리부(440)는 탄성압축이 해제되어 돌출막대(540)는 단말기 거치대(400)의 제2 거치대 바디(520)에서 돌출될 수 있다. 즉, 돌출막대(540)가 제2 거치대 바디(520)에서 돌출되면서 휴대용 단말기(100)를 밀어낼 수 있고, 이 힘에 의하여 휴대용 단말기(100)는 단말기 거치대(400)에서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원통 형상인 휴대용 단말기(100)는 일정 거리 이상 회전하여 이동할 수 있고, 사용자는 큰 이동 없이 휴대용 단말기(100)를 파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는 단말기 분리부(440)가 동작을 개시하여 휴대용 단말기(100)에 외력을 가하는 방법에 의하여 휴대용 단말기(100)를 단말기 거치대(400)에서 분리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지는 못한다. 즉, 단말기 분리부(440)가 휴대용 단말기(100)를 분리시킬 수 있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분리부(440)는 전자석일 수 있고, 휴대용 단말기(100)는 단말기 분리부(440)와 접촉하는 외주면에 자성체가 위치하고 있는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단말기 분리부(440)인 전자석은 활성화되어 자성체 및 자성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100)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분리부(440)는 거치대 제어부(410)의 동작개시명령을 수신하면 단말기 분리부(440)인 전자석은 자성을 상실할 수 있고, 이때, 휴대용 단말기(100)는 단말기 거치대(400)에서 분리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휴대용 단말기(100)는 위치에너지(포텐셜에너지)를 이용하여 일정 거리 이상 회전하여 이동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기 분리부(440)가 휴대용 단말기(100)를 분리시킬 수 있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고, 이러한 방법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지 아니함은 자명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분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가 단말기 거치대(400)에서 분리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될 각 단계는 휴대용 단말기(100) 및 단말기 거치대(400)의 각 구성부분에서 수행되는 동작이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휴대용 단말기(100) 및 단말기 거치대(400)에서 수행되는 동작인 것으로 통칭하여 설명한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100)는 단말기 거치대(400)에 거치되어 있는 경우를 가정하고 설명한다.
단계 600에서, 휴대용 단말기(100)에 통신신호(예를 들어, 문자 메시지 또는 전화통화 등)가 입력되면 휴대용 단말기(100)는 회전명령을 생성하여 단말기 거치대(400)로 출력한다(단계 610).
단계 620에서, 단말기 거치대(400)는 회전명령이 입력되면 회전부(430)의 회전이 개시된다. 이때, 회전부(430)의 회전 개시와 함께, 단말기 거치대(400)에 거치되어 있는 휴대용 단말기(100)도 같이 회전 개시될 것이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기 거치대(400)는 회전부(430)를 포함하는 제1 거치대 바디(510) 및 휴대용 단말기(100)를 거치할 수 있고, 회전부(430)에 의하여 제1 거치대 바디(510)와 연 결되어 있는 제2 거치대 바디(52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부(430)의 회전 동작이 개시되면 제2 거치대 바디(520)가 회전될 것이고, 이에 따라 제2 거치대 바디(520)에 거치되어 있는 휴대용 단말기(100)도 같이 회전할 것이다.
단계 630에서, 회전부(430)의 회전이 개시되면, 단말기 거치대(400)는 회전개시신호를 생성하여 휴대용 단말기(100)로 출력할 수 있다.
단계 640에서, 휴대용 단말기(400)는 회전개시신호가 입력되면 마이크부(135) 및 음성신호처리부(130)를 활성화시켜 평균음성데이터를 생성한다. 평균음성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은 상술한 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계 650에서, 휴대용 단말기(400)는 평균음성데이터와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한다.
단계 650에서의 비교결과, 평균음성데이터가 임계값 이상이면 마이크부(135)가 사용자가 위치한 방향을 향하고 있음을 의미하므로, 휴대용 단말기(100)는 단말기 거치대(400)의 회전부(430)의 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한 단말기분리명령을 생성하여 단말기 거치대(400)로 출력한다(단계 660).
단계 670에서, 휴대용 단말기(100)는 단말기분리명령을 생성하여 단말기 거치대(400)로 출력한 후, 마이크부(135) 및 음성신호처리부(130)의 구동을 종료한다.
단계 680에서, 단말기 거치대(400)는 단말기분리명령이 입력되면 회전부(430)의 회전을 종료하고, 휴대용 단말기(100)를 단말기 거치대(400)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단말기 분리부(440)의 동작을 개시한다(단계 690).
이때, 단말기 거치대(400)로부터 분리된 휴대용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위치한 곳으로 회전하여 이동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거치대에 거치된 휴대용 단말기가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사용자에게 자동으로 이동해올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및 휴대용 단말기 세트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거치대에 거치된 휴대용 단말기에 문자 메시지(Short Message Service, SMS)가 수신되거나 전화가 걸려오더라도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가 직접 휴대용 단말기가 위치한 곳으로 이동하지 않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및 휴대용 단말기 세트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21)

  1. 단말기 거치대; 및
    상기 단말기 거치대에 거치된 상태에서 무선으로 연결된 이동통신망으로부터 통신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단말기 거치대로 단말기분리명령을 전송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단말기 거치대는 상기 단말기분리명령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세트(set).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이용하여 평균음성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평균음성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단말기분리명령을 상기 단말기 거치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세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 거치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통신신호가 입력되면 회전명령을 상기 단말기 거치대로 출력하여 상기 단말기 거치대가 회전동작을 수행하면 상기 평균음성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세트.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평균음성데이터는 상기 음성신호 중 미리 설정된 대역 내의 음성신호의 평균 진폭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세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외부신호 입출력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 거치대는 단말기 연결단자를 더 포함하되,
    상기 외부신호 입출력 단자 및 상기 단말기 연결단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단말기 거치대에 거치되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 거치대 상호간의 데이터 전송 경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세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원통형상이되,
    상기 단말기 거치대에서 분리되면 회전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세트.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마이크부 및 음성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마이크부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을 전기적 신호인 전기음성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음성신호 처리부는 상기 마이크부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음성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평균음성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세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부는 지향성(指向性) 마이크로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세트.
  9. 단말기 거치대에 거치되며, 상기 단말기 거치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무선으로 연결된 이동통신망으로부터 통신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단말기 거치대로 단말기분리명령을 전송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을 전기적 신호인 전기음성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부; 및
    상기 마이크부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음성신호를 분석하여 평균음성데이터를 생성하는 음성신호처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평균음성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단말기분리명령을 상기 단말기 거치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통신신호가 입력되면 회전명령을 상기 단말기 거치대로 출력한 후 상기 평균음성데이터와 상기 임계값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2. 제10항 및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평균음성데이터는 상기 음성신호 중 미리 설정된 대역 내의 음성신호의 평균 진폭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부는 지향성(指向性) 마이크로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원통형상이되,
    상기 단말기 거치대에서 분리되면 회전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5. 휴대용 단말기가 거치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단말기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단말기분리명령이 입력되면 동작개시명령을 출력 하는 거치대 제어부; 및
    상기 동작개시명령을 수신하면 동작을 개시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상기 단말기 거치대에서 분리시키는 단말기 분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거치대.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거치대는,
    회전개시명령을 수신하면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을 개시하는 회전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거치대 제어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회전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회전개시명령을 상기 회전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거치대.
  17. 휴대용 단말기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거치되는 단말기 거치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세트(set)에서의 휴대용 단말기 분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무선으로 연결된 이동통신망으로부터 통신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신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단말기 거치대로 단말기분리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 거치대는 상기 단말기분리명령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분리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분리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이용하여 평균음성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평균음성데이터와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평균음성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단말기분리명령을 상기 단말기 거치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분리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평균음성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통신신호가 입력되면 회전명령을 상기 단말기 거치대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 거치대가 회전동작을 수행하면 상기 평균 음성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분리 방법.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평균음성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을 전기음성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전기음성신호 중 미리 설정된 대역 내의 전기음성신호의 평균 진폭값인 산출하여 평균음성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분리 방법.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 거치대에서 분리되면 회전 이동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원통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분리 방법.
KR1020070039517A 2007-04-23 2007-04-23 휴대용 단말기 및 휴대용 단말기 세트 KR200800951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9517A KR20080095128A (ko) 2007-04-23 2007-04-23 휴대용 단말기 및 휴대용 단말기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9517A KR20080095128A (ko) 2007-04-23 2007-04-23 휴대용 단말기 및 휴대용 단말기 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5128A true KR20080095128A (ko) 2008-10-28

Family

ID=40154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9517A KR20080095128A (ko) 2007-04-23 2007-04-23 휴대용 단말기 및 휴대용 단말기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9512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30649B2 (ja) ハンズフリー・プレス・トーク方式の機能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EP2215811B1 (en) Wireless and dockable audio interposer device
US10957319B2 (en) Speech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US20090017881A1 (en) Storage and activation of mobile phone components
US9167086B1 (en) Bluetooth headset with audio recording capabilities
CN107094201B (zh) 信息处理设备
EP2215812A1 (en) Wireless and dockable audio interposer device
WO2008116394A1 (fr) Combine d&#39;un casque d&#39;écoute blue-tooth et d&#39;une base de mégaphone
KR200460949Y1 (ko) 스피커를 갖는 아이폰 케이스
US20130072237A1 (en) Voice controlled cell phone
WO2008082939A1 (en) Method of operating a wireless headset
US20080220820A1 (en) Battery saving selective screen control
JP2003125069A (ja) 携帯電話のイヤホーンジャックに連結可能なスピーカモジュール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3229840A (ja) 着脱式受話器を有するタブレット型携帯情報端末
KR100727292B1 (ko) 외장스피커를 스피커폰으로 활용할 수 있는 무선 헤드셋
WO2008137968A1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carrying case with at least one integrated detachable audio headset for a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KR20080095128A (ko) 휴대용 단말기 및 휴대용 단말기 세트
US9699567B2 (en) Wearable communication device
CN205105275U (zh) 一种多功能智能指环及移动终端
KR101023308B1 (ko)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블루투스 헤드셋 장치 및그 제어 방법
KR20090028352A (ko) 단말기 거치대에서 자동으로 분리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JP2002247173A (ja) 携帯電話機の充電用置台
JP2006174290A (ja) 携帯電話機、携帯電話機の制御方法、携帯電話機の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KR100684519B1 (ko) 카오디오용 음성 인식 핸즈프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카오디오
JP3134824U (ja) ハンドフリーの無線アイフォー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