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5066A - 워터가스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워터가스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5066A
KR20080095066A KR1020070039398A KR20070039398A KR20080095066A KR 20080095066 A KR20080095066 A KR 20080095066A KR 1020070039398 A KR1020070039398 A KR 1020070039398A KR 20070039398 A KR20070039398 A KR 20070039398A KR 20080095066 A KR20080095066 A KR 20080095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water
water gas
electrolytic
gas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9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종현
Original Assignee
허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종현 filed Critical 허종현
Priority to KR1020070039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95066A/ko
Publication of KR20080095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50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02Hydrogen or oxygen
    • C25B1/04Hydrogen or oxygen by electrolysis of water
    • C25B1/044Hydrogen or oxygen by electrolysis of water producing mixed hydrogen and oxygen gas, e.g. Brown's gas [HHO]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1/00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25B11/02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5/00Operating or servicing cells
    • C25B15/08Supplying or removing reactants or electrolytes; Regeneration of electrolyt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25B9/17Cells comprising dimensionally-stable non-movable electrode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3/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flows in a continuous film, or trickles freely, over the conduits
    • F28D3/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flows in a continuous film, or trickles freely, over the conduits with tubular condu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6Hydrogen production from non-carbon containing sources, e.g. by water electrolys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tallur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Abstract

워터가스 발생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워터가스 발생장치는, 내부 공간에서 물에 대한 전기 분해가 진행되는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되 상호간 소정 거리 이격되어 물과 접촉되는 면적을 증대시키는 다수의 전해판; 전해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해판으로 전기를 인가하는 전극; 하우징의 일측에 연결되며 물의 전기 분해 시 발생된 워터가스 중에서 산소가 저장되는 산소탱크; 및 하우징의 타측에 연결되며 물의 전기 분해 시 발생된 워터가스 중에서 수소가 저장되는 수소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다 단순하고 간편한 방식으로 제작할 수 있으면서도 균열이나 파열이 발생되지 않고 내구성이 증대될 수 있다.

Description

워터가스 발생장치{Apparatus for generation of water ga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워터가스 발생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우징 영역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하우징 영역의 내부 투영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워터가스 발생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하우징 영역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하우징 영역의 내부 투영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워터가스 발생장치에서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워터가스 발생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210,310 : 하우징 112 : 단부캡
114 : 격판 120,220 : 전해판
130a,130b : 전극 140 : 산소탱크
150 : 수소탱크 225 : 이격개스킷
본 발명은, 워터가스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다 단순하고 간편한 방식으로 제작할 수 있으면서도 균열이나 파열이 발생되지 않고 내구성이 증대될 수 있는 워터가스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워터가스는 물의 전기 분해에 의해 발생된 산소와 수소의 혼합 가스를 가리킨다. 산수소 혼성 가스, 아쿠아 가스, 물 가스 등으로 불리기도 하며, 물의 전기 분해 방식으로 얻은 산소와 수소를 분리하지 않고 화학당량비 2 : 1로 섞어둔 혼합 기체이다.
워터가스는 무한자원인 물을 원료로 하고 완전 연소 후에 수증기만 발생하므로 근본적으로 환경오염이 없는 청정한 에너지원으로 인식되고 있다. 또한 연소 시 불꽃을 모으는 응폭 현상(implosion)을 유발하여 초고온을 발생하므로 에너지 효율이 우수한 장점을 지니고 있다. 이에 워터가스를 발생시키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워터가스가 위와 같은 장점을 갖는다 할지라도 워터가스 발생장치를 제작하는데 상당히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경우, 그 활용도는 낮아질 수밖에 없다.
특히, 물의 전기 분해 시 워터가스 발생장치에는 고온과 고압이 형성될 뿐만 아니라 높은 전기가 인가되기 때문에 만약, 워터가스 발생장치의 내구성이 약하여 워터가스 발생장치에 부분적으로 균열이나 파열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상당한 위험도 수반될 수밖에 없다.
이에, 본 출원인은 보다 단순하고 간편한 방식으로 제작할 수 있으면서도 균열이나 파열이 발생되지 않고 내구성이 증대될 수 있는 워터가스 발생장치를 제안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단순하고 간편한 방식으로 제작할 수 있으면서도 균열이나 파열이 발생되지 않고 내구성이 증대될 수 있는 워터가스 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내부 공간에서 물에 대한 전기 분해가 진행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되 상호간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물과 접촉되는 면적을 증대시키는 다수의 전해판; 상기 전해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해판으로 전기를 인가하는 전극;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물의 전기 분해 시 발생된 워터가스 중에서 산소가 저장되는 산소탱크; 및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연결되며 상기 물의 전기 분해 시 발생된 워터가스 중에서 수소가 저장되는 수소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가스 발생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은 상호 분할된 상부 및 하부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및 하부 하우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부에는 상기 다수의 전해판을 상호간 이격 가능하게 지지하는 다수의 격판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해판의 일측에는 상기 물이 경유하는 제1 노치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상기 워터가스가 경유하는 제2 노치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노치는 원반 형상을 갖는 상기 전해판의 외주면에서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해 절취된 절취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노치는 상기 전해판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상기 전해판이 마련되는 경우, 상호 조립된 상기 상부 및 하부 하우징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인발 가공에 의해 관상체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이 상기 인발 가공에 의해 제작되는 경우, 상기 다수의 전해판들 사이사이에는 상기 다수의 전해판들이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다수의 전해판들을 상호간 이격시키는 이격개스킷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이격개스킷은 상기 전해판의 면적보다 작게 제작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전해판들 사이에는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전해판들이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는 키블록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냉각시키는 냉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부는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 형성되어 냉각유체가 순환되는 냉각라인일 수 있다.
상기 냉각유체는 액체 또는 기체일 수 있다.
상기 전기 분해 시 발생 가능한 카본을 수거하는 카본수거부; 상기 하우징과 상기 카본수거부를 연결하는 연결라인; 및 상기 연결라인의 내부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양측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단부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워터가스 발생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우징 영역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하우징 영역의 내부 투영 평면도이다.
도면 대비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될 워터가스 발생장치란, 소위 전해조라 불리기도 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워터가스 발생장치라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터가스 발생장치는, 내부 공간에서 물에 대한 전기 분해가 진행되는 하우징(110)과,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 하우징(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되 상호간 소정 거리 이격되어 물과 접촉되는 면적을 증대시키는 다수의 전해판(120)과, 하우징(110) 및 전해판(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를 인가하는 전극(130a,130b)과, 하우징(110)의 일측에 연결되며 물의 전기 분해 시 발생된 워터가스 중에서 산소가 저장되는 산소탱크(140)와, 하우징(110)의 타측에 연결되며 물의 전기 분해 시 발생된 워터가스 중에서 수소가 저장되는 수소탱크(15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워터가스 발생장치의 중심 몸체를 형성하는 부분이며, 실질적으로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서 물에 대한 전기 분해가 진행된다. 따라서 하우징(110)은 절연 재질, 예컨대 폴리프로필렌(PP) 등의 플라스틱과 같은 절연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은 전기 분해 대상의 물로 충전된다.
종래기술의 경우, 하우징(110)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워터가스 발생장치가 개시된 바 있으나, 이처럼 하우징(110)이 구비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전해판(120)들이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를 가져야만 하고, 따라서 그 조립이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전해판(120)들의 접촉 부위에서 균열이나 파열이 발생될 우려가 높았다.
하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전기가 통전되는 하우징(110)을 구비하고, 이 하우징(110) 내에 다수의 전해판(120)을 마련하는 경우,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에 충분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하우징(110)은 내부가 빈 관상체의 형태를 취한다. 다만, 하우징(110) 내에 다수의 전해판(120)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우징(110)은 상호 분할된 상부 및 하부 하우징(110a,110b)으로 나뉜다.
물론, 상부 및 하부 하우징(110a,110b)을 분해한 후 그 내부에 다수의 전해 판(120)을 설치한 후에는 상부 및 하부 하우징(110a,110b)이 상호 조립되고, 상호 접촉 부위가 나사(b) 결합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 하우징(110a,110b)의 단부 영역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상부 및 하부 플랜지부(111a,111b)를 형성한 후, 상부 및 하부 플랜지부(111a,111b)에 상호 연통하는 연통공(h3,h4)들을 형성하고, 연통공(h3,h4)들로 나사(b)를 체결하여 상부 및 하부 하우징(110a,110b)이 상호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나사(b) 결합 전에, 상부 및 하부 플랜지부(111a,111b) 사이에는 밀봉 유지를 위한 개스킷이나 오링(O-Ring) 등이 더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하우징(110)은 내부가 빈 관상체로 형성되므로, 그 양측 단부는 개방된다. 따라서 개방된 하우징(110)의 양측 단부를 차폐하기 위해, 하우징(110)의 양측 단부에는 단부캡(112)이 각각 결합된다. 도면을 보면, 단부캡(112)의 직경이 하우징(110)의 직경보다 크게 되어 있으나, 단부캡(112)의 직경과 하우징(110)의 직경은 동일해도 무방하다.
또한 단부캡(112)들을 하우징(110)의 양측 단부에 결합시키는 방법은, 본딩에 의한 방법이 적용될 수도 있고, 혹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캡(112)들과 하우징(110)의 양측 단부에 상호 연통하는 연통공(h1,h2)들을 형성한 후, 연통공(h1,h2)들로 도시 않은 스크루를 체결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단부캡(112)들 역시 하우징(110)과 마찬가지로 절연 재질로 제작된다.
한편, 상부 및 하부 하우징(110a,110b)으로 분할된 하우징(110) 내에 다수의 전해판(120)을 설치하기 위해, 하우징(110) 내에는 다수의 격판(114)이 더 구비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하우징(110b) 내에 격판(114)이 구비되어 있으나, 격판(114)은 상부 하우징(110a) 내에 구비되어도 좋다. 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 하우징(110b)의 내벽에 협소한 크기로 격판(114)이 마련되어 있으나, 격판(114)의 크기는 반원 형태로 크게 제작되어도 무방하다. 어떠한 위치와 어떠한 형상을 갖더라도 격판(114)은, 하우징(110) 내에서 다수의 전해판(120)들이 상호 접촉하지 않고 상호간 이격되도록 하는 기능을 담당하면 그것으로 족하다.
이처럼 격판(114)에 의해 전해판(120)들이 상호간 접촉되지 않고 이격 배치되는 경우, 하우징(110) 내에 충전된 물과의 접촉면적이 그만큼 증가하기 때문에 단위 시간당 전기 분해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격판(114)들 역시 절연 재질로 제작된다. 따라서 하우징(110)의 제작 시 격판(114)들이 일체로 성형되도록 하는 편이 공정상 유리할 수 있다.
다수의 전해판(120)들 각각을 살펴보면 모두가 동일한 형상을 갖는데, 이러한 전해판(120)의 일측에는 제1 노치(120a)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제2 노치(120b)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노치(120a)는 물이 통과하거나 경유하는 통로로 사용되고, 제2 노치(120b)는 전기 분해되어 생성된 워터가스가 통과하거나 경유하는 통로로 사용된다.
제1 및 제2 노치(120a,120b) 모두는 원반 형상을 갖는 전해판(120)의 외주면 에서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해 절취된 절취부(120a,120b)에 의해 형성되며, 전해판(120)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마련된다.
전극(130a,130b)은 하우징(110)에 전기를 인가하는 수단이다. 따라서 전극(130a,130b)은 하우징(110)의 양측에 마련되면서 하나는 양극(+)을, 다른 하나는 음극(-)을 띄게 된다.
산소탱크(140)와 수소탱크(150) 모두는 물의 전기 분해 시 발생된 워터가스 중에서 산소 및 수소를 저장하는 장소로 이용된다. 산소와 수소가 각각 산소탱크(140)와 수소탱크(150)로 향하기 위해, 산소탱크(140)와 수소탱크(150)는 하우징(110)과 가스라인(L1,L2)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산소탱크(140)와 수소탱크(150) 내에도 평상 시 물이 충전될 수 있는 충전된 물은 워터라인(W1,W2)을 통해 다시 하우징(110) 내로 공급된다.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산소탱크(140)와 수소탱크(150) 내에는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워터가스 발생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하우징(110) 내로 전기 분해 대상의 물이 공급된다. 이 때의 물은 별도의 배관을 통해 하우징(110) 내로 공급되어도 좋고, 혹은 워터라인(W1,W2)을 통해 산소탱크(140)와 수소탱크(150)로부터 하우징(110) 내로 공급되어도 좋다.
하우징(110) 내로 공급된 물은 다수의 전해판(120)들에 형성된 제1 노치(120a)를 따라 이동하면서 하우징(110)의 내부로 차오른다. 그러면서 다수의 전해판(120)들과 접촉된다.
원하는 만큼의 물이 하우징(110) 내로 공급되고 나면, 전극(130a,130b)을 통해 전기를 인가한다. 즉, 하우징(110)의 양측에서 각각 양극(+)과 음극(-)을 걸어준다.
그러면, 전기가 하우징(110) 내에 충전된 물을 통해 전해판(120)들로 흐르게 된 후에 물을 전기 분해하기 시작한다. 전기 분해가 시작되어 물로부터 발생한 워터가스는 전해판(120)들에 형성된 제2 노치(120b)를 따라 이동하게 되고, 즉 하우징(110) 내의 상부 영역에 위치하게 된 후, 산소와 수소로 나뉘어 각각 가스라인(L1,L2)을 통해 산소탱크(140)와 수소탱크(150)로 향하여 저장될 수 있게 된다. 산소탱크(140)와 수소탱크(150)에 저장된 산소와 수소는 추후 공정에 따라 원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워터가스 발생장치를 제작함에 있어 보다 단순하고 간편한 방식으로 제작할 수 있으면서도 워터가스 발생장치에 균열이나 파열이 발생되지 않아 내구성이 증대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워터가스 발생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하우징 영역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하우징 영역의 내부 투영 평면도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10)이 상부 및 하부 하우징(110a,110b)으로 분할되었으며, 조립 후 상부 및 하부 하우징(110a,110b)은 상호 나사(b, 도 2 참조) 결합되었다.
하지만,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10)은 인발 가 공(drawing)에 의해 관상체로 일체로 제작되어도 좋다. 물론, 인발 가공 시 재질은 절연 재질의 플라스틱이 사용될 수 있다.
참고로, 인발 가공에 대해 부연한다. 봉, 선, 관 등의 반제품은 압연, 압출 가공 등에 의하여 제조되나, 단면적이 극히 작고, 치수 공차가 작고, 정확한 것을 제조하기 곤란 하므로, 인발 가공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이 보통이다. 인발 가공은 다이(die)의 출구 측에 인발기로서 축방향의 인장력을 작용 시켜서 단면치수를 감축하고, 다이 구멍과 같은 치수의 단면을 가지는 제품을 뽑아내는 가공을 말한다.
한편,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하우징(210)을 인발 가공에 의해 관상체로 제작하는 경우, 그 내부에 전해판(220)들을 설치하기가 용이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하우징(210) 내에 단순하게 전해판(220)들을 넣게 되면, 전해판(220)들이 상호간 접촉되기 때문에 원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다.
이를 저지하기 위해, 하우징(210)이 인발 가공에 의해 제작되는 경우에는, 전해판(220)들 사이사이에는 다수의 전해판(220)들이 상호간 접촉되지 않도록 다수의 전해판(220)들을 상호간 이격시키는 이격개스킷(225)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격개스킷(225) 역시 절연 재질로 제작된다.
이 때, 이격개스킷(225)이 전해판(220)의 면적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크기로 제작된다면, 이격개스킷(225)으로 인해 전해판(220)에서 물과 접촉되는 부분이 작아질 수 있다. 따라서 이격개스킷(225)은 적어도 전해판(220)의 면적보다는 작게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전해판(220)들에는 제1 및 제2 노치(220a,220b)가 형 성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전해판(120, 도 1 내지 도 3 참조)들에 형성된 제1 및 제2 노치(120a,120b)는 대략 "V"자 형상으로 가공된 반면, 본 실시예에서 전해판(220)들에 형성된 제1 및 제2 노치(220a,220b)는 전해판(220)들의 하부 및 상부 영역을 수평 방향으로 자른 형태로 제작된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 전해판(220)들에 형성된 제1 및 제2 노치(220a,220b)는 전술한 실시예의 제1 및 제2 노치(120a,120b)들과 형상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 그 역할은 동일하다. 즉, 제1 노치(120a)는 물의 흐름을 형성하고, 제2 노치(120b)는 워터가스의 흐름을 형성한다.
다만, 제1 및 제2 노치(120a,120b)가 원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하우징(210) 내에 마련된 다수의 전해판(220)들이 하우징(210) 내에서 임의로 회전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제1 및 제2 노치(220a,220b)는 각기 하우징(210) 내의 하부 및 상부 영역 쪽에 위치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블록(227)을 사용하면 된다. 즉, 하우징(210)의 내벽과 전해판(220)들 간에 공통의 키홈(미도시)을 형성하고 이 키홈에 키블록(227)을 끼워 넣음으로써 전해판(220)들의 임의 회전을 저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워터가스 발생장치에서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할 때, 워터가스 발생장치는 하우징(310)의 내부 공간을 냉각시켜 물의 온도를 하강시키는 냉각부(31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때의 냉각부(316)는 하우징(310)의 측벽에 형성되어 냉각유체가 순환되는 냉각라인(316)일 수 있으며, 냉각라인(316)의 내부로는 냉각유체로서의 액체 또는 기체가 순환될 수 있다.
물론, 도 7과는 달리, 도 1의 워터라인(W1,W2) 쪽에 별도의 오일 냉각기를 설치하여, 하우징(310) 쪽으로 공급되는 물의 온도를 강제로 하강시켜도 무방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워터가스 발생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실시예의 도면 부호를 그대로 인용하도록 한다.
한편, 하우징(110) 내에서 전기 분해 작용이 진행되는 경우, 전기 분해에 따른 카본 이물질이 하우징(110) 내에 쌓일 수 있다. 만약, 많은 양의 카본 이물질이 하우징(110) 내에 쌓이면 다시 하우징(110)으로부터 전해판(120)을 분리한 후에, 전해판(120)을 세척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를 저지하기 위해,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전기 분해 시 발생 가능한 카본을 수거하는 카본수거부(160)와, 하우징(110)과 카본수거부(160)를 연결하는 연결라인(161)과, 연결라인(161)의 내부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밸브(162)를 더 마련하고 있다.
이에, 평상 시 개폐밸브(162)를 개방해 두면 하우징(110) 내에 충전된 물은 연결라인(161)을 통해 카본수거부(160) 내에도 함께 충전되는데, 상대적으로 무게가 무거운 카본 이물질은 자중에 의해 카본수거부(160) 내에 쌓이게 된다. 어느 정도의 카본 이물질이 카본수거부(160) 내에 쌓이면, 개폐밸브(162)를 닫고 카본수거부(160)로부터 카본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간편하게 카본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 게 된다.
이 때에 카본수거부(160), 연결라인(161) 및 개폐밸브(162)는 도시된 바와 같이, 2 세트가 마련되어도 좋고, 혹은 1 세트, 아니면 3 세트 이상 마련되어도 좋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보다 단순하고 간편한 방식으로 제작할 수 있으면서도 균열이나 파열이 발생되지 않고 내구성이 증대될 수 있다.

Claims (15)

  1. 내부 공간에서 물에 대한 전기 분해가 진행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되 상호간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물과 접촉되는 면적을 증대시키는 다수의 전해판;
    상기 전해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해판으로 전기를 인가하는 전극;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물의 전기 분해 시 발생된 워터가스 중에서 산소가 저장되는 산소탱크; 및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연결되며 상기 물의 전기 분해 시 발생된 워터가스 중에서 수소가 저장되는 수소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가스 발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호 분할된 상부 및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가스 발생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하우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부에는 상기 다수의 전해판을 상호간 이격 가능하게 지지하는 다수의 격판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가스 발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판의 일측에는 상기 물이 경유하는 제1 노치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상기 워터가스가 경유하는 제2 노치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가스 발생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노치는 원반 형상을 갖는 상기 전해판의 외주면에서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해 절취된 절취부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노치는 상기 전해판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가스 발생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상기 전해판이 마련되는 경우, 상호 조립된 상기 상부 및 하부 하우징은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가스 발생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인발 가공에 의해 관상체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가스 발생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상기 인발 가공에 의해 제작되는 경우, 상기 다수의 전해판들 사이사이에는 상기 다수의 전해판들이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다수의 전해판들을 상호간 이격시키는 이격개스킷이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가스 발생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개스킷은 상기 전해판의 면적보다 작게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가스 발생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전해판들 사이에는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전해판들이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는 키블록이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가스 발생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냉각시키는 냉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가스 발생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 형성되어 냉각유체가 순환되는 냉각라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가스 발생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유체는 액체 또는 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가스 발생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분해 시 발생 가능한 카본을 수거하는 카본수거부;
    상기 하우징과 상기 카본수거부를 연결하는 연결라인; 및
    상기 연결라인의 내부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가스 발생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양측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단부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가스 발생장치.
KR1020070039398A 2007-04-23 2007-04-23 워터가스 발생장치 KR200800950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9398A KR20080095066A (ko) 2007-04-23 2007-04-23 워터가스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9398A KR20080095066A (ko) 2007-04-23 2007-04-23 워터가스 발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5066A true KR20080095066A (ko) 2008-10-28

Family

ID=40154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9398A KR20080095066A (ko) 2007-04-23 2007-04-23 워터가스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9506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1278A (ko) 2019-02-27 2021-07-21 니토 보세키 가부시기가이샤 유리 섬유 강화 수지 성형품
KR102422295B1 (ko) * 2021-06-30 2022-07-18 주식회사 한빛에너지 친환경 저녹스 버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1278A (ko) 2019-02-27 2021-07-21 니토 보세키 가부시기가이샤 유리 섬유 강화 수지 성형품
KR102422295B1 (ko) * 2021-06-30 2022-07-18 주식회사 한빛에너지 친환경 저녹스 버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74322B2 (ja) 電気分解を利用した燃焼ガス発生装置及び車載用燃焼ガス発生装置
CA2589979C (en) Electrolyser and process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a gas-liquid mixture generated therein
US7824527B2 (en) Frame for electrolyser module and electrolyser module and electrolyser incorporating same
WO1995024519A1 (en) Electrolytic apparatus
KR20080095066A (ko) 워터가스 발생장치
CN204447476U (zh) 新型硬脂酸精密过滤器
CN201962369U (zh) 管式电解槽组
JP2006503985A5 (ko)
JP2016091733A (ja) 燃料電池の気液分離器
CN204051453U (zh) 一种管式膜密封结构
WO2008035957A1 (en) Brown gas generation system
US20190207282A1 (en) Metal Air Fuel Cell and Its System
JP4929404B2 (ja) 電気分解を利用した電解装置
CN203389486U (zh) 一种高效汽液分离器
AU2022249449A1 (en) Method for treating process fluids, and filter device for carrying out the method
CN102980921B (zh) 一种用于界面电化学反应的检测池系统
KR101686138B1 (ko) 전해모듈
CN203790597U (zh) 一种石墨圆块蒸发器
JP2011168872A (ja) 有隔膜電解槽の電解槽構造
JP3209430U (ja) 水素発生装置
US1963959A (en) Electrolytic gas producing device
CN201183830Y (zh) 金属电解回收装置
CN213909808U (zh) 一种饮水机水箱
CN214552265U (zh) 气液流体分离装置和燃料电池发动机系统
CN218901149U (zh) 一种分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