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3646A - 맨홀뚜껑 - Google Patents

맨홀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3646A
KR20080093646A KR1020070037615A KR20070037615A KR20080093646A KR 20080093646 A KR20080093646 A KR 20080093646A KR 1020070037615 A KR1020070037615 A KR 1020070037615A KR 20070037615 A KR20070037615 A KR 20070037615A KR 20080093646 A KR20080093646 A KR 20080093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manhole
head portion
lid body
manhol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7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기욱
박성화
Original Assignee
송기욱
박성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기욱, 박성화 filed Critical 송기욱
Priority to KR1020070037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93646A/ko
Publication of KR20080093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36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02D29/1436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with overflow or explosion control means, e.g. check or relief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5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n odour sea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맨홀뚜껑에 관한 것이다. 이는 내부공간을 갖는 맨홀을 커버하며 맨홀 내부의 압력 상승시 동작하여 맨홀 내 압력을 조절하는 것으로서, 상기 맨홀을 커버하며 다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뚜껑본체와; 상기 뚜껑본체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되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상기 관통구멍을 밀폐하고 맨홀 내부의 압력 상승시 상부로 밀려 올라가 상기 관통구멍을 개방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하부에 고정되며 관통구멍을 관통하여 맨홀 내측으로 하향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뚜껑본체의 하부에서, 연장부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헤드부 및 연장부의 상향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맨홀뚜껑은, 흙이나 모레 또는 각종 오물에 의한 막힘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계절에 관계없이 또한 어떠한 경우에도 정상적인 동작을 하므로 신뢰성이 높고 특히 그 구성이 간단하여 고장이 발생할 염려가 없으며 제작 단가가 매우 저렴하다.

Description

맨홀뚜껑{Manhole cover}
도 1은 밸브장치를 수용하는 종래의 맨홀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맨홀에 적용될 수 있는 맨홀뚜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맨홀뚜껑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뚜껑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도 4의 Ⅴ-Ⅴ선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상기 도 4에 도시한 승강마개의 다양한 예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뚜껑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맨홀 11:맨홀벽
12:내부공간 14:상수도관
16:밸브장치 18:받침틀
20:맨홀뚜껑 22:뚜껑본체
22a:설치공 22b:관통구멍
24:밸브 24a:케이싱
24b:구멍 24c:지지링
24d:중량볼 30:맨홀뚜껑
32:뚜껑본체 32a:안착홈
32b:관통구멍 34:승강마개
34a:헤드부 34b:수직연장부
34c:끼움구멍 34d:핀
34e:지지면
본 발명은 맨홀뚜껑에 관한 것이다.
지하에 매설되는 상수도관의 소정 구간마다 또는 필요한 위치에 설치되는 밸브장치(제수밸브, 에어밸브)는, 상수도관의 유지관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특히 에어밸브는 이를테면 단수(斷水)나 통수(通水)시 상수도관 내부의 압력이 변화할 때 공기를 통과시켜 상수도관 내부의 압력을 적절히 유지시키는 것이다.
즉, (공지의 사실과 같이) 제수밸브의 상류(upstream)측 상수도관의 내부압력이, 단수시에는 높아지고 통수시에는 감소하는데, 압력이 낮아질 경우 외부의 공기를 상수도관 내부로 유도하고 압력이 증가할 때 상수도관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 출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밸브장치를 조작하거나 유지 보수하기 위하여, 밸브장치는 맨홀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맨홀은 작업자가 그 내부에 들어가 작업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도 1에 도시한 기본 구성을 갖는다.
도 1은 밸브장치를 수용하는 종래의 맨홀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종래의 맨홀(10)은, 작업자가 들어갈 수 있는 정도의 내부공간(12)을 제공하고 지상으로 개방된 맨홀벽(11)과, 상기 맨홀벽(11)의 상부에 설치되는 받침틀(18)과, 상기 받침틀(18)에 씌워져 내부공간(12)을 밀폐하는 맨홀뚜껑(20)으로 구성된다.
상기 맨홀벽(11)은 예컨대 콘크리트로 성형 제작되며 토양(S) 내부의 단단한 지반에 지지된다. 참고로 상기 맨홀벽(11)은 토양 내부의 지하수 등이 내부공간(12)으로 흘러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수 처리되며 또한 토압(土壓)에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된다.
아울러 상기 받침틀(18)은 맨홀벽(11)의 상단부에 위치하되 토양에 묻힌 상태로 맨홀뚜껑(20)을 견고히 지지한다. 상기 받침틀(18)은 주물 제작되며 맨홀뚜껑(20)을 통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하향 가압력에 견딜 수 있도록 충분한 내구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맨홀뚜껑(20)은 받침틀(18)에 안착되어 상기 내부공간(12)을 밀폐하는 역할을 하며, 특히 도로면으로부터 돌출되거나 함몰되지 않도록 시공되어 예컨대 도로를 통과하는 자동차의 주행을 방해하지 않아야 한다.
상기 구성을 갖는 맨홀(10)의 내부공간(12)에 밸브장치(16)가 설치되어 있 다. (본 설명에서의 밸브장치(16)는 제수밸브와 에어밸브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상기 밸브장치(16)는 상호 인접하는 상수도관(14)의 인접단부에 설치되며 상기한 압력조절의 기능을 담당한다. 이를테면 상수도관(14)의 내부압력이 증가할 경우 상수도관 내부의 공기를 내부공간(12)으로 배출하거나, 반대로 상수도관(14)내의 압력이 떨어질 경우 내부공간(12)의 공기를 상수도관(14) 내부로 유도한다.
이에 따라 맨홀 내부의 압력이 과도히 상승할 것에 대비하여 외부와 통하는 압력배출구가 설치되기도 한다.
상기한 바와같은 밸브장치(16)의 동작에 의해 내부공간(12)의 압력은 증가와 감소를 반복한다. 상기한 압력의 증감에 따라 맨홀뚜껑(20)은 내부공간(12)의 압력이 감소할 때에 하부로 당겨지고 압력이 증가할 때에 위쪽으로 가압된다. 맨홀뚜껑이 상향 가압력에 의해 도로위로 쉽게 튀어나가지 않도록 맨홀뚜껑(20)은 매우 무겁게 (예컨대 60kg 내지 70kg 정도로) 제작된다.
그런데 상기 내부공간(12)의 용적에 대비하여 상수도관(14)의 직경이 크거나 또는 기타 이유로 내부공간(12)의 압력이 매우 높게 올라갈 경우, 별도로 마련된 에어배출구에서 압력을 조절하여야 하나, 아스콘 덧씌우기나 기타 이물질에 의해 그 기능이 상실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이 때 맨홀뚜껑이 내부공간(12)의 압력을 이기지 못하고 도로위로 몇 미터 이상의 높이 까지 튕겨 날아갈 수 있는 것이다.
도로 위로 튕겨 나간 맨홀뚜껑은 주행 중의 자동차를 덮쳐 사람을 크게 다치게 하거나 차량에 손상을 가한다. (이러한 맨홀관련 사고 소식은 신문 등의 매스컴을 통해 종종 접하게 된다.) 따라서 맨홀뚜껑에도 보조장치로서의 압력배출구를 설 치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맨홀(10)에 적용될 수 있는 공기배출 밸브(24)가 구비된 맨홀뚜껑(20)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맨홀뚜껑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종래의 맨홀뚜껑(20)은, 디스크의 형태를 취하며 복수의 설치공(22a)과 관통구멍(22b)이 마련되어 있는 뚜껑본체(22)와, 상기 설치공(22a)에 삽입 설치되는 밸브(24)를 갖는다. 상기 설치공(22a)과 관통구멍(22b)은 상호 연통하며 뚜껑본체(22)를 두께방향으로 관통한다.
상기 밸브(24)는, 속이 빈 컵의 형태를 취하고 상기 설치공(22a)에 삽입되며 그 상단부에 다수의 구멍(24b)을 갖는 케이싱(24a)과, 상기 케이싱(24a)의 하단부에 끼워지는 지지링(24c)과, 상기 지지링(24c)에 지지되며 관통구멍(22b)을 막는 중량볼(24d)을 갖는다. 상기 중량볼(24d)은 금속으로 제작된 구형 부재로서 지지링(24c)에 의해 밸브(24)의 중심축부에 위치한다.
상기 지지링(24c)은 관통구멍(22b)과 같은 직경의 통로를 제공하는 링형부재로서 그 중앙에 중량볼(23d)을 위치시켜 관통구멍(22b)을 통해 상향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차단한다. 상기 중량볼(23d)은 맨홀 내부공간(12)의 압력이 어느 이상으로 증가할 때 상부로 밀려 올라가 내부공간(12) 내의 공기가 대기로 배출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맨홀뚜껑(20)은, 상기 케이싱(24a)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24b)이 대기중으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쉽게 막힘은 물론 케이싱(24a) 내부 에 각종 흙이나 모래 또는 오물 등 들어갈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 구멍이 막히거나 케이싱(24a)내에 흙이나 모래 등이 쌓인다면 맨홀 내부의 압력이 비정상적으로 상승하더라도 중량볼(24d)이 작동하지 못하여 밸브(24)의 기능이 어려워진다.
특히 동절기에 상기 케이싱(24a) 내부에 스며든 물이 결빙된 경우에는 밸브(24) 자체의 기능이 완전히 정지되어 맨홀 내부의 압력을 배출하기 위한 통로가 없어지므로 상기한 사고가 발생할 확률이 매우 높아진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흙이나 모레 또는 각종 오물에 의한 막힘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계절에 관계없이 또한 어떠한 경우에도 정상적인 동작을 하므로 신뢰성이 높고 특히 그 구성이 간단하여 고장이 발생할 염려가 없으며 제작 단가가 매우 저렴한 맨홀뚜껑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공간을 갖는 맨홀을 커버하며 맨홀 내부의 압력 상승시 동작하여 맨홀 내 압력을 조절하는 것으로서, 상기 맨홀을 커버하며 다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뚜껑본체와; 상기 뚜껑본체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되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상기 관통구멍을 밀폐하고 맨홀 내부의 압력 상승시 상부로 밀려 올라가 상기 관통구멍을 개방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하부에 고정되며 관통구멍을 관통하여 맨홀 내측으로 하향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뚜껑본체의 하부에서, 연장부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헤드부 및 연장부의 상향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뚜껑본체의 상면에는 하강한 상태의 헤드부를 수용하되 수용된 헤드부의 상면이 뚜껑본체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거나 함몰되지 않도록 수용하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관통구멍의 내주면에 부분적으로 접하여 관통구멍에 의해 승강운동이 가이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통구멍은 일정직경을 갖는 원형구멍으로서 뚜껑본체를 두께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홈은 상기 관통구멍의 상부에 위치하고 관통구멍과 동일한 중심축을 갖는 원형 홈이며, 상기 관통구멍의 내주면과 연장부의 사이에는 맨홀 내부의 압력이 헤드부에 미칠 수 있도록 공간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연장부는, 상기 헤드부의 저면에 고정된 상태로 연직 하부로 연장되고, 길이방향으로 동일한 단면형상을 가지며, 상기 관통구멍의 내주면에 접하여 지지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면을 가지고, 상기 관통구멍의 내주면과 연장부의 사이에는 맨홀 내부의 압력이 헤드부에 미칠 수 있도록 공간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는, 상기 헤드부 및 연장부가 상향 이동할 때 뚜껑본체의 저면에 걸려 헤드부 및 연장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핑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장부의 하단에는 하나 이상의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핑부재는, 상기 구멍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길이가 상기 관통구멍의 직경보다 길게 연장된 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뚜껑의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맨홀뚜껑(30)은, 원판의 형태를 취하며 안착홈(32a) 및 관통구멍(도 5의 32b)을 통해 두께 방향으로 관통되는 뚜껑본체(32)와, 상기 관통구멍(32b)에 장착되는 승강마개(34)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뚜껑본체(32)는 주물 제작되는 것으로서 그 형상은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아울러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안착홈(32a) 및 관통구멍(32b)은 동축상에 위치하며 뚜껑본체(32)를 두께방향으로 관통시킨다.
상기 승강마개(34)는, 후술하는 바와같이, 디스크 형태의 헤드부(34a)와, 상기 헤드부(34a)의 하부에 고정되고 관통구멍(32b)을 하향 통과하는 수직연장부(34b)와, 상기 수직연장부(34b)의 하단부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핀(34d)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헤드부(34a)는 (승강마개(34)가 자중에 의해 하강한 상태에서) 안착홈(32a)의 내부에 완전히 수용된다.
특히, 상기 안착홈(32a)의 내부에 수용된 헤드부(34a)의 상면과 뚜껑본체(32)의 상면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고, 또한 안착홈(32a)의 내주면은 헤드부(34a)의 외주면에 긴밀히 접하여 그 사이로 이물질이 끼어들지 않는다.
상기 헤드부(34a)는 맨홀의 내부 압력이 증가하여 승강마개(34)가 도 9a의 화살표 P방향으로 밀려 이동할 때 안착홈(32a)으로부터 이탈되어 상부로 돌출되고 상기 관통구멍(32b)을 개방한다.
도 5는 상기 도 4의 Ⅴ-Ⅴ선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뚜껑본체(32)의 양측에 관통구멍(32b)과 안착홈(32a)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관통구멍(32b)은 일정직경을 갖는 관통구멍으로서 뚜껑본체(32)를 두께방향으로 관통한다. 또한 상기 안착홈(32a)은 관통구멍(32b)과 동일한 중심축을 갖는 원형 홈으로서 상기 승강마개(34)의 헤드부(34a)를 수용한다. 상기 관통구멍(32b)과 안착홈(32a)의 개수는 경우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승강마개(34)는, 관통구멍(32b)을 관통하는 수직연장부(34b)와, 상기 수직연장부(34b)의 상단부에 일체로 고정되는 디스크 형태의 헤드부(34a)와, 상기 수직연장부(34b)의 하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핀(34d)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핀(34d)을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연장부(34b)의 하단부에는 끼움구멍(34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승강마개(34)는 맨홀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지 않을 때 자중에 의해 하강한 상태를 유지하여, 헤드부(34a)는 안착홈(32a)에 수용되고 핀(34d)은 뚜껑본체(32)의 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상기한 대기상태에서 화살표 F방향의 힘이 가해지면 즉, 맨홀의 내부 압력이 증가하면 승강마개(34)가 상승하여 헤드부(34a)가 안착홈(32a)으로부터 이탈되고 관통구멍(32b)이 개방된다. 상기 헤드부(34a)의 상승 거리는 핀(34d)에 의해 제한된다. 즉 상기 승강마개(34)가 어느 정도 상승했을 때 핀(34d)이 뚜껑본체(32)의 저면에 걸려 그 이상 올라가지 않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도 9a 및 도 9b를 통해 다시 한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내지 도 8은 상기 도 4에 도시한 승강마개의 다양한 예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기본적으로 본 실시예의 승강마개(34)에서의 헤드부(34a)는 상기 안착홈(32a)에 안착되며 안착홈(32a)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틈을 발생하지 않는 한, 또한 수직연장부(34b)는 상기 관통구멍(32b)의 내주면에 부분적으로 접하며 승강운동이 가이드 되고 그 하단에 핀(34d)을 유지할 수 있는 한 형상을 얼마든지 변경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승강마개(34)는, 일정직경을 갖는 디스크형 헤드부(34a)와, 상기 헤드부(34a)의 저면에 고정되고 하부로 연장되며 연장단부에 끼움구멍(34c)을 갖는 직사각판 형태의 수직연장부(34b)와, 상기 끼움구멍(34c)에 장착되는 핀(34d)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직연장부(34b)는 연장방향으로 일정단면 형상을 가지며 특히 양측에 지지면(34e)을 갖는다. 상기 지지면(34e)은 관통구멍(32b)의 내주면에 면접하는 면으로서 승강운동시 내주면으로부터 지지력을 제공받는다.
또한 상기 핀(34d)은 그 중앙부가 굴곡된 형태를 취하는 환봉으로서 상기 끼움구멍(34c)에 삽입되어 수직연장부(34b)를 가로지른다. 상기 핀(34d)의 굴곡된 중앙부가 끼움구멍(34c)에 걸쳐짐은 물론이다. 이와같이 핀(34d) 중앙에 굴곡부를 형성함으로서 핀(34d)이 끼움구멍(34c)에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핀(34d)의 연장길이는 상기 관통구멍(32d)의 직경보다 길어야 한 다.
이어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수직연장부(34b)가 세 개의 직사각판을 120도 각도로 결합한 형태를 취함을 알 수 있다. 상기 수직연장부(34b)의 단면 형상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하며 하단부에 세 개의 끼움구멍(34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핀(34d)은 끼움구멍(34c) 중 원하는 하나 이상의 끼움구멍(34c)에 장착된다.
아울러 상기 수직연장부(34b)의 외측부에 세 개의 지지면(34e)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지지면(34e)은 관통구멍(32b)의 내주면에 면접하여 승강마개(34)의 승강 운동시 관통구멍(32b)으로부터 지지력을 얻는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승강마개(34)의 수직연장부(34b)는 열십자의 단면형태를 가지며 그 하단부에 다수의 끼움구멍(34c)을 구비한다. 상기 핀(34d)은 선택된 하나의 이상의 끼움구멍(34c)에 장착한다.
또한 상기 수직연장부(34b)의 외측부에는 지지면(34e)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면(34e)은 상기 관통구멍(32b)의 내주면에 면접 지지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수직연장부(34b)는 지지면(34e)을 통해 관통구멍(32b)의 내주면에 부분적으로 접하기 때문에, 수직연장부(34b)와 내주면과의 사이에 공간이 마련된다. 따라서 도 9a에 도시한 바와같이 헤드부(34a)의 저면에 화살표 P방향의 압력이 가해질 수 있는 것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뚜껑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상기 승강마개(34)의 헤드부(34a)가 안착홈(32a)에 안착 된 상태로 상기 관통구멍(32b)을 밀폐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때 상기 핀(34d)과 뚜껑본체(32)의 저면과는 이격되어 있다. 상기 핀(34d)과 뚜껑본체(32)와의 이격거리는 여러 조건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계된다.
상기와 같이 승강마개(34)가 관통구멍(32b)을 막고 있는 상태로 대기하다가 맨홀 내부공간의 압력이 증가하여 화살표 P방향으로 압력을 받으면 도 9b에 도시한 것처럼 헤드부(34a)가 상부로 튀어 올라 관통구멍(32b)을 개방하고 맨홀 내부의 공기가 대기로 방출되도록 한다. 상기 헤드부(34a)는 핀(34d)이 뚜껑본체(32)의 저면에 걸릴 때 까지 상승한다.
상기 헤드부(34a)가 상승함에 따라 맨홀 내부의 공기가 관통구멍(32b)을 통해 대기로 배출되어 맨홀 내 압력이 대기압 정도로 낮아지면 승강마개(34)는 자중에 의해 다시 하부로 이동하고 헤드부(34a)가 다시 관통구멍(32b)을 막는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맨홀뚜껑은, 흙이나 모레 또는 각종 오물에 의한 막힘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계절에 관계없이 또한 어떠한 경우에도 정상적인 동작을 하므로 신뢰성이 높고 특히 그 구성이 간단하여 고장이 발생할 염려가 없으며 제작 단가가 매우 저렴하다.

Claims (6)

  1. 내부공간(12)을 갖는 맨홀(10)을 커버하며 맨홀 내부의 압력 상승시 동작하여 맨홀 내 압력을 조절하는 것으로서,
    상기 맨홀(10)을 커버하며 다수의 관통구멍(32b)이 형성되어 있는 뚜껑본체(32)와;
    상기 뚜껑본체(32)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되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상기 관통구멍(32b)을 밀폐하고 맨홀 내부의 압력 상승시 상부로 밀려 올라가 상기 관통구멍(32b)을 개방하는 헤드부(34a)와;
    상기 헤드부(34a)의 하부에 고정되며 관통구멍(32b)을 관통하여 맨홀 내측으로 하향 연장되는 연장부(34b)와;
    상기 뚜껑본체(32)의 하부에서, 연장부(34b)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헤드부(34a) 및 연장부(34b)의 상향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뚜껑.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본체(32)의 상면에는 하강한 상태의 헤드부(34a)를 수용하되 수용된 헤드부(34a)의 상면이 뚜껑본체(32)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거나 함몰되지 않도록 수용하는 홈(32a)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34b)는 상기 관통구멍(32b)의 내주면에 부분적으로 접하여 관통 구멍에 의해 승강운동이 가이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뚜껑.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32b)은 일정직경을 갖는 원형구멍으로서 뚜껑본체(32)를 두께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홈(32a)은 상기 관통구멍(32b)의 상부에 위치하고 관통구멍과 동일한 중심축을 갖는 원형 홈이며,
    상기 관통구멍(32b)의 내주면과 연장부(34b)의 사이에는 맨홀 내부의 압력이 헤드부(34a)에 미칠 수 있도록 공간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뚜껑.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34b)는,
    상기 헤드부(34a)의 저면에 고정된 상태로 연직 하부로 연장되고, 길이방향으로 동일한 단면형상을 가지며, 상기 관통구멍(32b)의 내주면에 접하여 지지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면(34e)을 가지고,
    상기 관통구멍(32b)의 내주면과 연장부(34b)의 사이에는 맨홀 내부의 압력이 헤드부에 미칠 수 있도록 공간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뚜껑.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헤드부(34a) 및 연장부(34b)가 상향 이동할 때 뚜껑본체(32)의 저면에 걸려 헤드부 및 연장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핑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뚜껑.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34b)의 하단에는 하나 이상의 구멍(34c)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핑부재는,
    상기 구멍(34c)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길이가 상기 관통구멍(32b)의 직경보다 길게 연장된 핀(34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뚜껑.
KR1020070037615A 2007-04-17 2007-04-17 맨홀뚜껑 KR200800936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7615A KR20080093646A (ko) 2007-04-17 2007-04-17 맨홀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7615A KR20080093646A (ko) 2007-04-17 2007-04-17 맨홀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3646A true KR20080093646A (ko) 2008-10-22

Family

ID=40154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7615A KR20080093646A (ko) 2007-04-17 2007-04-17 맨홀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9364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04452B (en) * 2012-05-30 2017-09-06 Spencer Price Paul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manhole covers
KR102614092B1 (ko) * 2023-09-14 2023-12-13 배성규 내부압력 조절이 가능한 맨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04452B (en) * 2012-05-30 2017-09-06 Spencer Price Paul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manhole covers
KR102614092B1 (ko) * 2023-09-14 2023-12-13 배성규 내부압력 조절이 가능한 맨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56119B2 (en) Hydrant knock-off combination flow stop and backflow check valve
US8356616B2 (en) Fuel tank valve
US8851791B1 (en) Manhole cover venting and precipitation guarding devices
JP5337007B2 (ja) マンホール蓋
KR20080093646A (ko) 맨홀뚜껑
KR101156757B1 (ko) 승강구조를 가지는 이중맨홀뚜껑
US8272524B2 (en) Floating roof emergency draining system sealing valve
KR200401077Y1 (ko) 상수도 에어밸브실의 에어벤트장치
KR101737406B1 (ko) 배기밸브가 장착된 밸브실용 맨홀뚜껑의 높이 조절과 배수장치
US2580197A (en) Nonfreezing hydrant
KR102295088B1 (ko) 밸브실 유입물 배출 장치
US20100162477A1 (en) Flush valve structure for a toilet tank
JPH0756358Y2 (ja) 地下施設の蓋装置
KR102614092B1 (ko) 내부압력 조절이 가능한 맨홀
JP5279688B2 (ja) マンホール蓋
AU740241B2 (en) Discharge valve apparatus
CN107300040B (zh) 一种直埋排气阀
JP3734007B2 (ja) 空気弁付き消火栓
KR20170001078U (ko) 부력체가 내장된 맨홀뚜껑
CN217053604U (zh) 一种伸缩式消防栓
JP2507736Y2 (ja) 空気弁付消火栓
KR102306697B1 (ko) 진공탱크용 이물질유입방지 안전밸브
JP2599340B2 (ja) 出没式消火栓
KR100517130B1 (ko) 캡 상승식 제수밸브
KR200322119Y1 (ko) 캡 상승식 제수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