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3218A - 스프링클러 헤드용 높이 조정관부재 - Google Patents

스프링클러 헤드용 높이 조정관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3218A
KR20080093218A KR1020070036852A KR20070036852A KR20080093218A KR 20080093218 A KR20080093218 A KR 20080093218A KR 1020070036852 A KR1020070036852 A KR 1020070036852A KR 20070036852 A KR20070036852 A KR 20070036852A KR 20080093218 A KR20080093218 A KR 20080093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prinkler head
head
height adjustment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6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9060B1 (ko
Inventor
신상훈
박화자
신원균
박정복
신상현
Original Assignee
신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상훈 filed Critical 신상훈
Priority to KR1020070036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9060B1/ko
Publication of KR20080093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3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9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9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09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telescopic or adjust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프링클러 헤드용 높이 조정관부재 및 높이 조정용 조인트에 관한 것으로서, 스프링클러 설비와 천정 마감재 시공 후, 스프링클러 헤드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소방 배관에서 분기 형성된 가지배관에 연결 설치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하단에 형성된 패킹 자리면에 삽입되는 러버패킹과; 상기 연결관의 하단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와; 상기 너트를 통과해 연결관의 하부로 삽입되어 설치되는 조정관과; 상기 조정관의 하부에 설치되어 소화수가 분사되는 스프링클러 헤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스프링클러 헤드, 천정 마감재, 너트, 러버패킹, 조정관, 연결관,

Description

스프링클러 헤드용 높이 조정관부재 및 높이 조정용 조인트{HEIGHT ADJUSTING PIPE MEMBER AND JOINT FOR SPRINKLER HEAD}
도 1은, 종래 천정마감 후 스프링클러 헤드 높이 조정에 따른 2차 조립시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용 높이 조정관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서 연결 직선관의 다른 실시예로 맞대기 용접부가 형성된 도면.
도 4는, 도 2에서 연결 직선관의 또 다른 실시예로 삽입 용접면이 형성된 도면.
도 5는, 도 2에서 연결 직선관의 또 다른 실시예로 엘보형 연결 직선관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에서 엘보형 연결 직선관의 다른 실시예로 맞대기 용접부가 형성된 도면.
도 7은, 도 5에서 엘보형 연결 직선관의 또 다른 실시예로 삽입 용접면이 형성된 도면.
도 8은, 도 2에서 연결 직선관의 다른 실시예로 연결 확관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에서 연결 확관의 다른 실시예로 맞대기 용접부가 형성된 도면.
도 10은, 도 8에서 연결 확관의 또 다른 실시예로 삽입 용접면이 형성된 도면.
도 11은, 도 8에서 연결 확관의 또 다른 실시예로 엘보형 연결 확관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도 11에서 엘보형 연결 확관이 다른 실시예로 맞대기 용접부가 형성된 도면.
도 13은, 도 11에서 엘보형 연결 확관의 또 다른 실시예로 삽입 용접면이 형성된 도면.
도 14는, 도 2에서 조정관과 원형 헤드인 스프링클러 헤드가 일체로 형성된 도면.
도 15는, 도 2에서 조정관과 플러쉬형 헤드인 스프링클러 헤드가 일체로 형성된 도면.
도 16은, 도 2에서 스프링클러 헤드의 다른 실시예인 원형 헤드가 형성된 도면.
도 17은, 도 2에서 러버패킹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엘보형 연결관이 부착되는 고정 브라켓을 도시한 도면.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용 높이 조정관부재의 높이를 조정하는 조인트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0:높이 조정 연결관부재 70:연결관
71a,71b:결합 나사부 72:패킹 자리면
80:러버패킹(Rubber Packing) 81:경사 단면부
82:수직 단면부 90:너트(Nut)
91:조임나사부 93:플랜지(Flange)
100:조정관 102:헤드 결합 나사부
103:쿼드링(Quad Ring) 110:스프링클러 헤드(Sprinkler Head)
112:헤드축 나사부 120:고정 브라켓(Bracket)
130:조인트(Joint) 133:스크류바(Screw Bar)
138:너트렌치(Nut Wrench)
본 발명은 스프링클러 헤드용 높이 조정관부재 및 높이 조정용 조인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프링클러 설비와 천정 마감재 시공 후, 스프링클러 헤드의 높이 조정이 용이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높이 조정도구로 용이하게 조정되는 스프링클러 헤드용 높이 조정관부재 및 높이 조정용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스프링클러 헤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공법에 의해 현재 주로 시공되는데, 주철제 티관(30)에 니플(32:32a,32b,32c)과 주철제 엘보 우(34:34a,34b)로 연결되고, 마지막으로 연결되는 니플(32c)에 가단주철제 관이음쇠인 레듀샤(36)에 의하여 스프링클러 헤드(12)가 설치된다.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12)가 설치 완료되면, 이어서 천정 마감재(14)가 천정 슬라브에 시공된다. 천정 마감재(14)의 시공으로 헤드 구멍(18)을 통해 길게 노출 설치된 스프링클러 헤드(12)는 헤드 구멍(18)에 밀착되도록 높이 조정 후 다시 조립 시공된다.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12)의 높이 조정은 천정마감재(14)의 헤드 구멍(18)을 통해 노출된 니플(32c)에 높이 조정할 위치를 마킹(38)한다. 마킹이 된 니플(32c)을 조립 역순으로 분해한 후 마킹(38) 표시부분을 절단한다.
그리고 절단이 된 니플(32c)에 다시 나사 가공을 한 후 다시 조립하고, 여기에 스프링클러 헤드(12)를 재조립함으로써, 높이 조정에 따른 2차 조립시공이 완료되지만, 높이 조정작업이 불편하고 번거롭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도 1에 도시된 스프링클러 헤드는, 주철제 엘보(Elbow), 여기에 니플(Nipple), 주철제 레듀샤(Reducer)를 이용하여 연결 설치되는 엘보 및 레듀샤는 용접 연결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연결구조를 다양화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2차 시공을 통해 헤드 높이의 조정 시공비가 약 2,500원에서 3,500원 정도가 추가 지급되어야 하는 공법으로 시공비용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조정관의 절단과 재조립을 통한 조정작업은, 공정 수 증가를 초래하여 조정 작업시간을 증대시키고, 공사기간을 맞추기 위해서는 작업 인원이 더 소요 되어, 조정 보수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천정 마감재가 시공된 후에 스프링클러 헤드의 높이 조정이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 헤드 높이 조정관부재 및 높이 조정용 조인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프링클러 헤드의 높이 조정이 연결관에 결합된 너트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클러 헤드 높이 조정관부재 및 높이 조정용 조인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너트의 결합으로 압착되는 러버패킹의 변형에 의하여 높이 조정된 조정관이 고정되는 스프링클러 헤드 높이 조정관부재 및 높이 조정용 조인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너트를 풀은 후 연결관에 삽입 설치된 조정관을 밀어 넣거나 당겨서 조정되는 스프링클러 헤드 높이 조정관부재 및 높이 조정용 조인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정관에 삽입된 쿼드링과, 너트로 가압되어 변형되는 러버패킹에 의해 형성되는 밀폐구조가 2중으로 되는 스프링클러 헤드 높이 조정관부재 및 높이 조정용 조인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너트의 결합력 조정과, 스플링클러 헤드의 높이 조정에 대한 2가지 기능이 조인트 하나로 되는 스프링클러 헤드 높이 조정관부재 및 높이 조정용 조인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방 배관에서 분기 형성된 가지배관에 설치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하단에 삽입되는 러버패킹과; 상기 연결관의 하단에 결합되는 너트와; 상기 너트를 통과해 연결관의 하부로 삽입되어 설치되는 조정관과; 상기 조정관의 하부에 설치되어 소화수가 분사되는 스프링클러 헤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관은, 직선관으로 형성되고, 그 외주면 상하에 형성된 결합 나사부와, 상기 결합 나사부의 하부 내주면 가장자리에 일정 각도로 형성된 패킹 자리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러버패킹은, 링형으로 형성되고, 연결관의 패킹 자리면에 외주면이 접촉되도록 형성된 경사 단면부와, 이 삼각 단면부의 내주면은 조정관과 밀착되도록 형성된 수직 단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너트는 연결관의 하부 결합 나사부에 결합되도록 형성된 조임나사부와, 이 조임나사부의 내측으로 와셔가 얹혀지도록 형성된 플랜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정관은, 링홈이 상부에 형성된 일정 길이의 관과, 이 관의 하단 내주면에 형성된 헤드 결합 나사부와, 상기 링홈에 기밀 유지용으로 삽입된 쿼드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는, 플러쉬 헤드와, 이 플러쉬 헤드에 조정관의 헤드 결합 나사부와 결합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헤드축 나사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용 높이 조정 연결관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스프링클러 헤드용 높이 조정관부재(60)는, 소방 배관에서 분기 형성된 가지배관에 설치되는 연결관(70)과; 상기 연결관(70)의 하단에 삽입되는 러버패킹(80)과; 상기 연결관(70)의 하단에 결합되는 너트(90)와; 상기 너트(90)를 통과해 연결관(70)의 하부로 삽입되어 설치되는 조정관(100)과; 상기 조정관(1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소화수가 분사되는 스프링클러 헤드(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관(70)은 직선관으로서, 그 외주면 상하에 형성된 결합 나사부(71a,b)와, 상기 결합 나사부(71b)의 하부 내주면 가장자리에 일정 각도로 형성된 패킹 자리면(7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연결관(70)은 다른 파이프나 스프링클러 헤드와의 결합과 분리가 단순구조의 의해 신속히 이루어진다.
상기 러버패킹(80)은, 링형으로 형성되고, 연결관(70)의 패킹 자리면(72)에 외주면이 접촉되도록 형성된 경사 단면부(81)와, 이 경사 단면부의 내주면은 조정관(100)과 밀착되도록 형성된 수직 단면부(8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러버패킹(80)은 압력으로 변형되어 연결관(70)에 삽입된 관을 고정한다.
상기 너트(90)는, 연결관(70)의 하부 결합 나사부(71a)에 결합되도록 형성된 조임나사부(91)와, 이 조임나사부(91)의 내측으로 와셔가 얹혀지도록 형성된 플랜지(93)로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너트(90)는 도구에 의해 풀리거나 조여져, 러버패킹(80)을 변형시킨다.
상기 조정관(100)은, 링홈(101)이 상단에 형성되고, 하단 내주면에 형성된 헤드 결합 나사부(102)와, 상기 링홈(101)에 삽입된 쿼드링(10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조정관(100)은 연결관(70) 내부를 이동하여 길이 조정된다.
스프링클러 헤드(110)는, 플러쉬 헤드(111)와, 이 플러쉬 헤드(111)에 조정관(100)의 헤드 결합 나사부(102)와, 이 헤드 결합 나사부(102)와 결합되도록 일정 높이의 헤드축 나사부(112)로 형성된다. 이 스프링클러 헤드(110)는 조정관(100)에 결합되어 소화수를 분사한다.
도 3은, 도 2에서 연결 직선관의 다른 실시 예로 맞대기 용접부가 형성된 도면이다. 상기 연결관(70-1)은, 직선관으로서, 하부에 형성된 결합 나사부(71b)의 내주면에 형성된 패킹 자리면(72)과, 상단에 다른 연결파이프와 연결되도록 형성된 맞대기 용접부(7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맞대기 용접부(73)는, 직경이 같은 연결파이프와의 용접연결시 이용된다.
도 4는, 도 2에서 연결 직선관의 다른 실시 예로 삽입 용접면이 형성된 도면이다. 상기 연결관(70-2)은, 직선관으로서, 하부에 형성된 결합 나사부(71b)의 내주면에 형성된 패킹 자리면(72)과, 상단에 다른 연결파이프와 삽입 연결되도록 형성된 삽입 용접면(7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삽입 용접면(74)은 용접으로 연결될 연결파이프가 삽입되며, 신속한 연결작업이 되도록 한다.
도 5는, 도 2에서 연결 직선관의 다른 실시 예로 엘보형 연결 직선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연결관(70-3)은, 하부 내·외주면에 패킹 자리면(72)과 결합 나사부(71b)가 형성되고, 반대측 상부 외주면에 결합 나사부(71a)가 형성된 엘보형 관이다. 이 엘보형 관은 직선 연결이 곤란한 경우에 사용된다.
도 6은, 도 5에서 엘보형 연결 직선관의 다른 실시예로 맞대기 용접부가 형성된 도면이다. 상기 연결관(70-4)은, 하부 내·외주면에 패킹 자리면(72)과 결합 나사부(71b)가 형성되고, 반대측 단에 맞대기 용접부(73)가 형성된 엘보형 관이다. 엘보형 관에 맞대기 용접부(73)의 형성으로 용접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도 7은, 도 5에서 엘보형 연결 직선관의 다른 실시예로 삽입 용접면이 형성된 도면이다. 상기 연결관(70-5)은, 패킹 자리면(72)과 결합 나사부(71b)가 하부 내·외주면에 형성되고, 반대측 상부 내주면에 삽입 용접면(74)이 형성된 엘보형 관이다. 엘보형 관에 삽입 용접면(74)의 형성으로 안정된 결합 상태에 있기 때문에 용접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도 8은, 도 2에서 연결 직선관의 다른 실시예로 연결 확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연결관(70-6)은, 상부 외주면에 형성된 결합 나사부(71a)와, 반대측 하부에 내·외주면의 패킹 자리면(72)과, 결합 나사부(71b)의 외경이 확관된 확관부(75)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 확관부(75)는 외경이 작은 연결파이프가 설치될 때 사용된다.
도 9는, 도 8에서 연결 확관의 다른 실시예로 맞대기 용접부가 형성된 도면이다. 상기 연결관(70-7)은, 하부 내·외주면에 패킹자리면(72)과, 결합 나사 부(71b)가 형성된 확관부(75)와, 이 확관부(75)의 반대측 상단에 맞대기 용접부(73)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 확관부(75)와 맞대기 용접부(73)가 형성되어 있어 외경이 다른 연결파이프와 용접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0은, 도 8에서 연결 확관의 다른 실시예로 삽입 용접면이 형성된 도면이다. 상기 연결관(70-8)은, 하부 내·외주면에 패킹자리면(72)과 결합 나사부(71b)가 형성된 확관부(75)와, 이 확관부(75)의 반대측 상단 내주면에 삽입 용접면(74)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 확관부(75)와 삽입 용접면(74)의 형성으로, 안정된 결합 상태에서 외경이 다른 연결 파이프와 용접 연결되도록 한다.
도 11은, 도 8에서 연결 확관의 다른 실시예로 엘보형 연결 확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연결관(70-9)은, 하부 내·외주면에 패킹자리면(72)과 결합 나사부(71b)가 형성된 확관부(75)와, 이 확관부(75)의 반대측 외주면에 결합 나사부(71a)가 형성된 엘보형 관이다. 이 확관부(75)와 결합나사부(71a)의 형성으로 나사 결합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도 12는, 도 11에서 엘보형 연결 확관이 다른 실시예로 맞대기 용접부가 형성된 도면이다. 상기 연결관(70-10)은, 하부 내·외주면에 패킹 자리면(72)과 결합 나사부(71b)가 형성된 확관부(75)와, 이 확관부(75)의 반대측 단부에 맞대기 용접부(73)가 형성된 엘보형 관이다. 이 엘보형 관에 확관부(75)와 맞대기 용접부(73)의 형성은, 난해한 배관 설치 상황에 용접 연결을 통해 대처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3은, 도 11에서 엘보형 연결 확관의 다른 실시 예로 삽입 용접면이 형성된 도면이다. 상기 연결관(70-11)은, 하부 내·외주면에 패킹 자리면(72)과 결합 나사부(71b)가 형성된 확관부(75)와, 이 확관부(75)의 반대측 내주면 삽입용접면(74)이 형성된 엘보형 관이다. 이 엘보형 관에 확관부(75)와 삽입용접면(74)의 형성은 연결파이프가 안정되게 삽입된 상태에서 용접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도 14는, 도 2에서 조정관과 원형 헤드인 스프링클러 헤드가 일체로 형성된 도면이다. 상기 조정관(100-1)은, 링홈(101)에 형성된 관의 하단에 원형 스프링클러 헤드(113)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15는, 도 2에서 조정관과 플러쉬형 헤드인 스프링클러 헤드가 일체로 형성된 도면이다. 상기 조정관(100-2)은, 링홈(101)이 형성된 관의 하단에 플러쉬형 스프링클러 헤드(111)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한 스프링클러 헤드는 원형, 플러쉬형으로 형성되어 상황에 따라 설치되도록 한다.
도 16은, 도 2에서 스프링클러 헤드의 다른 실시 예인 원형 헤드가 형성된 도면이다. 스프링클러 헤드(110)는 원형 헤드(113)와, 이 원형 헤드(113)에 일체로 형성되어 헤드 결합 나사부(102)에 결합되도록 하는 헤드축 나사부(1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헤드축 나사부(112)의 형성으로 조정관에 대한 결합과 분리가 용이하게 된다.
도 17은, 도 2에서 러버패킹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러버패킹(80-1)은, 링형으로 확관부(75)의 패킹 자리면(72)에 접촉되도록 일정 높이로 2단 단면부(83)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 2단 단면부(83)는 밀착 접촉면의 확대를 가져온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엘보형 연결관에 부착되는 고정 브라켓을 도시한 도면이다. 고정 브라켓(120)은, 엘보형 관에 부착되는 부착면(121)과, 이 부착면(121)의 양측이 상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지지대(122)와, 이 지지대(122)의 상단이 외향으로 절곡 형성된 장착면(1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고정 브라켓(120)은 엘보형 관의 설치를 안정적으로 한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관의 너트 결합을 위한 조인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조인트(130)는, 지지판(131)과 손잡이(132)가 양측에 설치된 스크류바(133)와, 이 스크류바(133)에 나사 결합되는 축관(134)과, 이 축관(134)에 회전손잡이(135)가 설치되는 그 상부에 지지판(131)이 안내되도록 확장 형성된 대관부(136) 상단에 너트렌치(138)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대관부(136)에는 스클링클러 헤드(110)의 위치 확인을 위한 감지구멍(140)이 뚫려 있다. 상기 조인트(130)는 천정마감재가 설치된 상태에서 너트를 풀거나 조이는 것을 쉽게 하고, 이때 스프링클러 헤드를 안정적으로 받친 상태에서 높이 조정 작업이 되도록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설치 예와 작용을 설명한다.
스프링클러 설비의 가지배관에 결합 나사부(71)로 연결관(70)을 설치한다. 이 연결관(70)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 나사부(71b)에 와셔, 러버패킹(80) 순으로 올려놓고 너트(90)를 결합한다.
그리고 링홈(101)에 쿼드링(103)이 삽입된 조정관(100)과, 이 조정관(100) 하부의 헤드 결합 나사부(71b)에 원형 또는 플러쉬형 스프링클러 헤드(110)를 헤드 축 나사부(112)를 이용하여 결합시킨다.
상기한 조정관(100)과 스프링클러 헤드(110)로 조립체가 완성되면, 조정관(100)을 너트(90)의 플랜지(93)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적당히 밀어 넣고, 너트(90)를 조이게 되면 플랜지(93), 와셔(92) 순으로 전달된 압력에 의해 러버패킹(80)이 변형된다.
상기 러버패킹(80)의 변형으로 조정관(100)은, 러버패킹(80)과 밀착되어 연결관(70)에 위치 조정된 상태로 고정된다. 조정관(100)에 스프링클러 헤드(110)가 설치되면, 이어서 천정을 덮는 천정 마감재 공사가 이루어진다.
천정 마감재가 공사가 완료되면, 천정 마감재를 통해 과하게 노출된 스프링클러 헤드(110)가 천정 마감재와 동일 높이에 있도록 조정 작업을 한다.
상기한 스프링클러 헤드의 높이 조정 작업은, 조인트(130)를 사용해 조정한다. 즉, 조인트(130)의 대관부(136) 내에 위치되는 지지판(131)을 충분히 후퇴시킨 상태에서 손잡이(132)를 잡고 너트(90)와 너트렌치(138)를 합체하여 높이 조정을 준비한다.
이 상태에서 축관(134)에 설치된 회전 손잡이(135)로 너트렌치(138)를 회전시켜 너트(90)를 약간 풀어 조정관(100)의 상하 이동을 자유롭게 한다. 그리고 나서 회전손잡이(135)는 그대로 두고 스프링클러 헤드(110)가 지지판(131)에 의해 천정 마감재 선상에 일치하도록, 손잡이(132)를 돌려 밀어 넣거나 하강시켜 높이를 조정한다.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110)의가 높이 조정이 완료되면, 손잡이(132)를 고정 한 상태에서 너트렌치(138)를 회전손잡이(135)로 회전시킨다. 너트(90)는 너트렌치(138)에 의하여 결합 나사부(71b)에 결합되어 러버패킹(80)를 변형시킨다. 이 러버패킹(80)의 변형으로 조정관(100)은 견고하게 연결관에 고정된다.
상기 러버패킹(80)에 의한 조정관(100)과 연결관(90), 러버패킹(80)의 밀착과, 쿼드링(103)에 의한 조정관(100)과 연결관(70)의 기밀이 2중으로 이루어져 밀폐성이 향상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용 높이 조정 연결관부재에 의하면, 천정 마감재 시공 후에 천정 마감재를 뜯어내지 않고서도 용이하게 스프링클러 헤드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스프링클러 헤드의 높이 조정이 연결관에 결합된 너트를 풀거나 조이는 것으로 간단히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높이 조정된 조정관이 너트의 결합 압력에 의해 변형된 러버패킹에 의하여 증대된 접촉 압력으로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너트를 풀은 상태에서 연결관에 삽입 설치된 조정 관을 밀어 넣거나 당기는 방법으로 쉽게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조정관에 삽입된 쿼드링과, 너트로 가압 변형되는 러버패킹에 의하여 2중으로 밀폐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5)

  1. 소방 배관에서 분기 형성된 가지배관에 연결 설치되는 연결관(70)과;
    상기 연결관(70)의 하단에 형성된 패킹 자리면(72)에 삽입되는 러버패킹(80)과;
    상기 연결관(70)의 하단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90)와;
    상기 너트(90)를 통과해 연결관(70)의 하부로 삽입되어 설치되는 조정관(100)과;
    상기 조정관(1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소화수가 분사되는 스프링클러 헤드(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헤드용 높이 조정 관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70)은, 직선관으로 형성되고, 그 외주면 상하에 형성된 결합 나사부(71a)(71b)와, 상기 결합 나사부(71b)의 하부 내주면 가장자리에 일정 각도로 형성된 패킹 자리면(7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헤드용 높이 조정관부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러버패킹(80)은, 링형으로 형성되고, 연결관(70)의 패킹 자리면(72)에 외주면이 접촉되도록 형성된 경사 단면부(81)와, 이 경사 단면부(81)의 내주면은 조정관(100)과 밀착되도록 형성된 수직 단면부(8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헤드용 높이 조정관부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90)는, 연결관(70)의 하부 결합 나사부(71b)에 결합되도록 형성된 조임나사부(91)와, 이 조임나사부(91)의 내측으로 와셔(92)가 얹혀지도록 플랜지(93)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헤드용 높이 조정 관부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관(100)은, 링홈(101)이 상단에 형성되고, 하단 내주면에 형성된 헤드 결합 나사부(102)와, 상기 링홈(101)에 삽입된 쿼드링(10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헤드용 높이 조정관부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110)는, 플러쉬 헤드(111)와, 이 플러쉬 헤드(111)에 조정관(100)의 헤드 결합 나사부(102)와, 이 헤드 결합 나사부(102)와 결합되도록 형성된 일정 높이의 헤드축 나사부(1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헤드용 높이 조정관부재.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70-1)은, 직선관으로서, 하부에 형성된 결합 나사부(71b)의 내주면에 형성된 패킹 자리면(72)과, 상단에 다른 연결파이프와 연결되도록 형성된 맞대기 용접부(7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헤드용 높이 조정관부재.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70-2)은, 패킹 자리면(72)과 결합 나사부(71b)가 하부 내·외주면에 형성되는 직선관의 상단 내주면에 삽입 용접면(74)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헤드용 높이 조정관부재.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70-3)은, 패킹 자리면(72)과 결합 나사부(71b)가 하부 내·외주면에 형성되고, 반대측 상부 외주면에 결합나사부(71a)이 형성된 엘보형 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헤드용 높이 조정관부재.
  1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70-4)은, 하부 내·외주면에 패킹 자리면(72)과 결합 나사부(71b)가 형성되고, 반대측 단에 맞대기 용접부(73)가 형성된 엘보형 관으로 이루 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헤드용 높이 조정관부재.
  11.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70-5)은, 패킹 자리면(72)과 결합 나사부(71b)가 하부 내·외주면에 형성되고, 반대측 상부 내주면에 삽입 용접면(74)이 형성된 엘보형 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헤드용 높이 조정관부재.
  12.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70-6)은, 상부 외주면에 형성된 결합 나사부(71a)와, 반대측 하부에 내·외주면의 패킹 자리면(72)과, 결합 나사부(71b)의 외경이 확관된 확관부(75)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헤드용 높이 조정관부재.
  1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70-7)은, 하부 내·외주면에 패킹자리면(72)과, 결합 나사부(71b)가 형성된 확관부(75)와, 이 확관부(75)의 반대측 상단에 맞대기 용접부(73)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헤드용 높이 조정 연결관부재.
  1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70-8)은, 하부 내·외주면에 패킹자리면(72)과 결합 나사부(71b)가 형성된 확관부(75)와, 이 확관부(75)의 반대측 상단 내주면에 삽입 용접면(74)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헤드용 높이 조정 관부재.
  1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70-9)은, 하부 내·외주면에 패킹자리면(72)과 결합 나사부(71b)가 형성된 확관부(75)와, 이 확관부(75)의 반대측 외주면에 결합 나사부(71a)가 형성된 엘보형 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헤드용 높이 조정관부재.
  1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70-10)은, 하부 내·외주면에 패킹 자리면(72)과 결합 나사부(71b)가 형성된 확관부(75)와, 이 확관부(75)의 반대측 단부에 맞대기 용접부(73)가 형성된 엘보형 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헤드용 높이 조정관부재.
  1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70-11)은, 하부 내·외주면에 패킹 자리면(72)과 결합 나사부(71b)가 형성된 확관부(75)와, 이 확관부(75)의 반대측 내주면 삽입용접면(74)이 형성된 엘보형 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헤드용 높이 조정 관부재.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관(100-1)은, 링홈(101)에 형성된 관의 하단에 원형 스프링클러 헤드(113)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헤드용 높이 조정관부재.
  1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관(100-2)은, 링홈(101이 형성된 관의 하단에 플러쉬형 스프링클러 헤드(111)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헤드용 높이 조정관부재.
  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110)는 원형 헤드(113)와, 이 원형 헤드(113)에 조정관(100)의 헤드 결합 나사부(102)와 결합되도록 일정 높이의 헤드축 나사부(112)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헤드용 높이 조정 연결관부재.
  2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러버패킹(80-1)은, 링형으로 확관부(75)의 패킹 자리면(72)에 접촉되도록 일정 높이로 2단 단면부(83)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헤드용 높이 조정관부재.
  22.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엘보형 관은, 상부에 고정 브라켓(120)이 부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헤드용 높이 조정관부재.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120)은, 엘보형 관에 부착되는 부착면(121)과, 이 부착면(121)의 양측이 상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지지대(122)와, 이 지지대(122)의 상단이 외향으로 절곡 형성된 장착면(1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헤드용 높이 조정관부재.
  24. 천정 마감재의 구멍을 통해 노출된 스프링클러 헤드의 높이 조정과 너트의 결합력을 조정하는 스프링클러 높이 조정용 조인트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130)는, 지지판(131)과 손잡이(132)가 양측에 설치된 스크류바(133)와, 이 스크류바(133)에 나사 결합되는 축관(134)과, 이 축관(134)에 회전손잡이(135)가 설치되는 그 상부에 지지판(131)이 안내되도록 확장된 대관부(136) 상단에 형성된 너트렌치(13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 러 헤드용 높이 조정관부재의 높이 조정용 조인트.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대관부(136)에는 스클링클러 헤드(110)의 위치 확인을 위한 감지구멍(14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헤드용 높이 조정관부재의 높이 조정용 조인트.
KR1020070036852A 2007-04-16 2007-04-16 스프링클러 헤드용 높이 조정관부재 KR100889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6852A KR100889060B1 (ko) 2007-04-16 2007-04-16 스프링클러 헤드용 높이 조정관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6852A KR100889060B1 (ko) 2007-04-16 2007-04-16 스프링클러 헤드용 높이 조정관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3218A true KR20080093218A (ko) 2008-10-21
KR100889060B1 KR100889060B1 (ko) 2009-03-17

Family

ID=40153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6852A KR100889060B1 (ko) 2007-04-16 2007-04-16 스프링클러 헤드용 높이 조정관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906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81757A1 (ko) * 2010-12-14 2012-06-21 (주)화이로 상하 길이 조절용 스프링클러 헤드 조립체
CN110124344A (zh) * 2019-05-14 2019-08-16 济宁市金泰利华化工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反应精馏塔
KR20200045807A (ko) 2018-10-23 2020-05-06 정운택 소방 레듀서 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0729B1 (ko) 2010-02-11 2012-03-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KR101096400B1 (ko) 2011-01-19 2011-12-21 송준영 길이조절형 스프링클러 헤드
KR101875129B1 (ko) 2015-12-11 2018-08-02 장선우 스프링클러 헤드 장치
KR101877842B1 (ko) 2015-12-11 2018-08-09 (주)다산테크 높이조절이 가능한 스프링클러 헤드 장치
KR102307555B1 (ko) 2021-04-20 2021-09-30 (주)엠에스제이텍 건축물의 소방 배관 설치 구조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11458A (en) * 1981-04-28 1983-10-25 Strunk Norman E Stem securing means for conduits
US5160174A (en) 1989-11-29 1992-11-03 William Thompson Telescoping pipes and application for such telescoping pipes in fire sprinkler systems
JPH04329969A (ja) * 1991-05-01 1992-11-18 Toyo Fuitsutengu Kk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用継手
KR100705046B1 (ko) * 2005-08-05 2007-04-10 넥스트론시스템즈(주) 스프링클러 연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81757A1 (ko) * 2010-12-14 2012-06-21 (주)화이로 상하 길이 조절용 스프링클러 헤드 조립체
KR20200045807A (ko) 2018-10-23 2020-05-06 정운택 소방 레듀서 구조물
CN110124344A (zh) * 2019-05-14 2019-08-16 济宁市金泰利华化工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反应精馏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9060B1 (ko) 2009-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9060B1 (ko) 스프링클러 헤드용 높이 조정관부재
US4603888A (en) End fitting
US5409066A (en) Adjustable sprinkler head positioning assembly
WO2015019623A1 (ja) 高圧パイプ用継手および継手構造
JPS5810636B2 (ja) 主導管に分岐管を取付けるための継手
KR101791816B1 (ko) 수전금구 조립용 고정샤워기의 연결관
KR100555145B1 (ko) 상수도관 연결구조
US6227234B1 (en) Tapping sleeve with a mechanical joint adaptor
US9464746B2 (en) Tapped no-hub coupling
US6019398A (en) Tapping sleeve with a gland
KR20100096613A (ko) 관연결구조
KR200342277Y1 (ko) 맨홀의 관 접합장치
US6360771B2 (en) Tapping sleeve with a mechanical joint adaptor
JP2007247170A (ja) 消火設備の配管接続装置
KR20120133501A (ko) 클립훅 체결 구조를 가진 관 이음용 플랜지 조립체
KR100886651B1 (ko) 스프링클러 헤드의 높이 조정부재
CN218094827U (zh) 一种软管接头
JP4395724B2 (ja) 配管装置
KR200315555Y1 (ko) 배관 연결용 밴드구조
JP3084197U (ja) 給湯用配管ユニット
JPH07332552A (ja) 管継手の接続方法
CN219013653U (zh) 一种消防喷淋头的快连结构
KR200263537Y1 (ko) 링형 죔쇠용 볼 밸브
JP3156347U (ja) 水撃防止器付フレキシブル継手
KR100385348B1 (ko) 스프링클러헤드용 배관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