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9940A - 폐광산 복원 방법 - Google Patents

폐광산 복원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9940A
KR20080089940A KR1020070032756A KR20070032756A KR20080089940A KR 20080089940 A KR20080089940 A KR 20080089940A KR 1020070032756 A KR1020070032756 A KR 1020070032756A KR 20070032756 A KR20070032756 A KR 20070032756A KR 20080089940 A KR20080089940 A KR 200800899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ler
shell
waste
fly ash
fi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2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주형
Original Assignee
손주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주형 filed Critical 손주형
Priority to KR1020070032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89940A/ko
Publication of KR20080089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994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8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chemically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7/0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 C09K17/02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compounds only
    • C09K17/06Calcium compounds, e.g. lim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패각을 이용하여 폐광산의 오염물질의 누출을 차단함으로써 폐광산을 복원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폐패각에 풍부한 석회성분을 이용하여 중금속의 이동을 억제함으로써 폐광산의 오염물질의 누출을 차단하고 폐수발생을 저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폐자재에 해당하는 폐패각질을 이용할 수 있어 환경오염의 방지에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는 폐광산 복원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폐패각, 폐광산

Description

폐광산 복원 방법{METHOD FOR REMEDYING ABANDONED MINING AREA USING USELESS SHELLFISH}
[산업상 이용분야]
본 발명은 폐패각을 이용하는 폐광산 복원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많은 광산들이 폐쇄됨에 따라 채굴적으로 인한 지표침하발생, 산성의 광산배수(Acid Mine Drainage, AMD)로 인한 지하수 오염, 강우로 인한 폐석 유실 등 환경적인 면에서 많은 문제점이 노출되고 있다. 폐광산의 폐갱도 및 채굴적 그리고 침하지역 등에 많은 갱내수가 집적되어 있다가 이 지역에서 터널 등 토목구조물 공사시 단층면, 균열, 절리, 불연속면 등을 통하여 유입됨으로 대량 출수로 인한 재해를 가져올 수 있으며 폐갱도내 가스 역시 큰 재해를 가져올 수 있다. 게다가 복잡한 지질구조를 가진 우리나라에서의 주된 채탄방식은 위경사 붕락식 채탄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고, 석탄광의 경우 외국에 비해 암층이 강도가 낮기 때문에 지반침하 등의 유발 소지도 매우 크다.
폐광산의 경우, 일반지역과 달리 상당한 양의 중금속의 유출 등이 문제가 되 고 있음으로, 단순히 지반의 공동을 매우는 지반보강 뿐만 아니라 중금속의 유출 억제를 모두 고려한 복원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종래에는 폐광산의 복원방법은 크게 고형화 및 안정화 공법으로 시멘트를 이용하는 기술이 주를 이루었으며, 석회를 포함하는 고화재 등의 조성물을 이용하거나, 약품을 이용하여 고형화를 촉진시키거나 폐광산 인근 지역의 오염된 토양에 대하여 깨끗한 토양을 이용한 토양전체를 개선하여, 폐광산에서 배출된 중금속의 토양내 농도를 저감시킴으로써 토양을 정화하는 기술 등이 제시되었으나, 이들은 상기와 같은 고화재 또는 약품의 제조에 있어서 장기간의 시간이 소요되고, 이들을 사용함으로써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폐광산에서 발생하는 폐수와 관련하여, 폐광산의 복원 방법은 복원과정에서 최대한 폐수의 발생을 억제하고, 방출된 폐수는 일정한 집수조등을 만들어 폐수처리기술로 복원하는 방법을 이용하였으나, 이는 폐수처리장치 및 이의 유지를 위한 지속적인 관리 비용이 든다는 단점이 있으며, 하는 경우 다.
한편, 우리나라는 3면이 바다에 접하고 있는 지형적 특성이 있다. 상기한 지형적 특성에 의해 우리나라의 남해 및 서해의 어민들은 주변 연안에서 굴양식 등을 하고 있으며, 이러한 굴양식은 남해 및 서해 어민의 주요 소득원이 되고 있다. 이러한 굴양식은 우리나라 굴 수요의 원활한 공급원이 되고 있다.
그러나 양식된 굴의 출하에 있어서 대부분의 경우 굴의 껍질을 제거한 후에 내용물만을 판매하고 있으며, 굴 집하장 등의 주변에는 막대한 굴 패각이 폐기물로서 남게 된다. 상기 굴 패각은 내용물이 제거된 상태에서 특별한 용도로 활용되지 못하고 전량 폐기처분되고 있는 실정이며, 매년 25만 내지 30만톤이 배출되어 새로 운 해양오염원으로 등장하고 있다.
상기 내용물이 제거되어 불요하게 되는 폐패각은 폐기처분할 때에는 분쇄하여 처리하거나 화학적인 약품의 처리 없이, 일반 폐기물로 분류되어 양식어민이 처리하여야 하나, 매립지의 확보, 패각의 수거와 운반비 등의 과다로 효과적인 처리가 불가능한 실정이다. 따라서, 상당수의 양식 어민들이 상기 폐패각을 처리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으며, 약 20% 가량만 굴 종패용과 비료 등으로 활용될 뿐, 나머지는 육상, 공유수면 등에 매립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상기 폐패각류는 쉽게 분해되어 2차 오염을 발생시키지 않은 일반음식물과 같은 통상의 쓰레기와 달리, 매립된 후에도 분해 되지 않음으로서 2차 오염 등의 문제점들을 유발시키고 있다.
뿐만 아니라, 육상 매립의 경우, 주변의 지하수가 센물로 바뀌게 되고, 공유수면의 매립의 경우에는 연안의 어장이 축소되어 어민의 소득을 감소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해안가에 방치할 경우 패각에 붙어 있는 유기물의 부식으로 위생상 큰 공해를 일으키고 있어 폐패각의 재활용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폐패각류를 이용하는 폐광산을 복원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폐패각을 포함하는 충전재를 이용하는 폐광산 복원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폐패각(廢貝殼)이란 어촌이나 해산물가공소 등에서 대량으로 발생하는 조개류 등의 껍질 즉, 패각을 의미한다. 상기 폐패각은 바람직하게는 굴의 폐패각일 수 있다. 상기 패각은 연체동물 중 일부가 가지고 있는 것으로, 탄산칼슘(CaCO3)이 주성분이고, 인산칼슘이나 탄산마그네슘 등이 적은 양 들어 있다. 상세하게는, 탄산칼슘 89 내지 99 중량% 및 인산칼슘이 1 내지 2 중량%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폐패각은 어촌의 해안가나 해산물가공소 등에서 수거하고, 부패에 의한 악취 및 폐수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패각에 붙어 있는 흙 및 유기물과 염분을 제거한 후에, 건조과정을 통해 수분을 제거한 것일 수 있다. 상기 흙 및 유기물의 제거는 유수를 통하여 세척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염분의 제거는 증류수가 담긴 수조에 침적시킨 후에 수조에서 꺼내 열풍건조 또는 건조기를 이용한 고온 건조를 통하여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수조에 침전시키는 시간은 12시간 내지 48시간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0시간 내지 36시간일 수 있다.
상기 폐패각은 복원되는 지반 보강 공법의 종류, 폐광산의 종류 및 폐갱도의 크기 등에 따라 적절하게 가공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쇠절구를 이용하여 분쇄하거나 상기 분쇄된 분쇄물을 플레네터리 밀(planetary mill)등을 이용하여 미분쇄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는 폐수의 발생이 많지 않은 지역에 사용되는 폐패각은 세척 및 건조과정을 거친 폐패각을 그 대로 사용하거나, 단순 분쇄과정을 수행하여 폐패각의 평균 입경이 1 cm 내지 5 cm 크기인 것일 수 있으며, 폐수의 발생이 많은 폐광산 지역에서 유체의 흐름을 막기 위해 그라우팅 공법에 사용되는 충전재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폐패각은 플레네터리 밀 등의 미세분말화 과정을 수행하여 폐패각의 평균 입경이 0.1 mm 내지 3 mm, 바람직하게는 0.5 mm 내지 2 mm 크기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충전재는 충전공법 및 국부 보강 공법의 종류에 따라 추가로 골재, 자갈, 모래, 토사, 석고, 슬래그, 시멘트 및 벤토나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시멘트밀크 또는 시멘트몰탈에 폐패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충전재에 포함되는 폐패각의 함량은 전체 충전재를 기준으로 10 내지 9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5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함량은 현장에서 현장시험(pilot test)을 실시하여 공내 하중, 내구성 등의 평가 결과를 기초로 경제성 및 안정성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충전제는 광석이나 석탄을 캔 공간이 무너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즉, 지반보강을 위하여 사용되는 재료로 사용되는 것을 의미하며, 채움재, 복토제 또는 차단제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폐패각을 포함하는 충전재는 공동충전공법 또는 국부보강공법을 이용하여 충전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공동충전공법을 이용하여 충전할 수 있다.
상기 공동충전공법은 충전재를 이송하는 방법에 따라서 수압식 충전법과 공압식 충접법이 있으며, 더욱 상세하게는 수압식 충전법, 공압식 충전법, 그라우트 충전법, SAPS(Successive Alkalinity Producing System)조를 이용한 처리법 등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수압식 충전법 또는 SAPS조를 이용한 처리법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수압식 충전법일 수 있다. 상기 국부보강법은 그라우트재나 강관, 기둥 등으로 공동을 보강하는 그라우트 기둥공법일 수 있다.
상기 수압식 충전법은 물을 이용하여 입자형 재료를 슬러리(slurry)형태로 이송시켜 공동을 충전하는 방법이고, 골재, 모래, 광산폐기물 등을 재료로 하며, 많은 양의 재료를 단기간에 충전가능하고 펌프압송이므로 작업공 주변에 중기계류 접근이 불필요하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공압식 충전법은 공기압에 의해 충전물을 이송시켜 공동을 충전하는 방법이고, 골재, 모래, 광산폐기물 등을 재료로 하며, 충전효과가 우서하고 공기압에 의해 충전물을 이송시키므로 배수처리의 문제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그라우트 충전법은 시멘트를 혼합한 충전재를 슬러리형태로 이송시켜 공동 및 암석층의 절리를 충전하는 방법이고, 시멘트, 모래, 골재 또는 벤토나이트 등을 재료로 하며, 충전재의 강성 및 충전효과가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SAPS조를 이용한 처리법은 광산배수의 산도가 높고, 중금속 이온의 농도가 높아, 통상의 방법으로 수질정화가 어려운 경우에 사용되는 공법이고, SAPS조의 기본구조는 바닥으로부터 일정 두께, 바람직하게는 0.3 m 내지 1.5 m,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m 내지 1 m 높이까지 석회를 채우고(석회층), 상기 석회층 위에 유기물을 일정 두께, 바람직하게는 0.3 m 내지 0.7 m, 더욱 바람직하게는 0.4 m 내지 0.6 m 높이로 채우며(유기물층), 상기 유기물층 위로 산성 광산배수를 일정 두께, 바람직하게는 0.5 m 내지 3 m, 더욱 바람직하게는 1 m 내지 2 m 채워 혐기적 상태 로 이동시키는 구조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석회층 아래에 유공관을 설치하여 산성 광산배수가 하향식으로 유동하도록 설계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그라우트 기둥공법은 시추공을 통하여 골재투입 후 그라우트재를 주입하여 공동 내에 기둥을 형성하는 공법으로 시멘트, 모래, 자갈 등을 재료로 하며, 지상에서 시공할 수 있어 시공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폐패각을 포함하는 충전제를 공동충전공법 또는 국부보강공법을 이용하여 충전함으로써, 폐광산의 지반을 보강하는 경우, 지하수의 흐름방향을 폐광산이 있지 않은 방향 즉, 중금속으로 오염되지 않은 방향으로 유도하거나, 강우 등 유수의 폐광산으로의 유입을 차단하여 폐수의 발생을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전재에 포함되어 있는 폐패각 내의 탄산칼슘(CaCO3)에 의하여 산성으로 오염되어 있는 폐수 및 토양을 중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폐패각 내의 탄산칼슘은 폐광산 또는 폐수의 중금속과 접촉하는 경우, 응집제로 작용하여 "응집/침전과정"("sweep floc" process)을 수행함으로써 폐광산 또는 폐수의 중금속을 화학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폐패각의 석회성분이 폐광산의 폐수의 수소이온과 하기 반응식 1과 같이 반응하여, 폐수의 H+이온을 소모시켜 산성으로 오염되어 있는 폐수 및 토양 산성도를 낮추어 중성화시킬 뿐만 아니라, 폐수의 용해도도 감소시켜 광산 폐수 속에 들어 있는 광물이 침전되어 중금속의 이동을 억제하여 폐광산 주변의 토양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반응식 1]
CaCO3 + H+ → Ca2 + + HCO3 -
상기 폐패각을 이용하는 경우, 특별한 추가 가공공정이 요구되지 아니므로, 그 제작에 상당한 기간 및 비용이 소요되는 석회를 이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상기 폐패각을 직접 이용하는 것이 공정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제적이므로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폐패각을 포함하는 충전재는 추가로 플라이애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전재에 포함되는 폐패각과 플라이애쉬의 함량은 10:90 내지 90:10 중량비(폐패각:플라이애쉬), 바람직하게는 30:70 내지 70:30 중량비일 수 있으며, 플라이애쉬의 사용이 작업자의 호흡 등 작업자의 안전과 관련이 있을 수 있으므로, 플라이애쉬의 중량 및 작업장 환경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플라이애쉬는 미분탄을 연소하는 보일러의 연도 가스로부터 집진기로 채취한 회분(석탄재)를 의미하며, 상세하게는 석탄화력발전소의 보일러에서 나오는 개수주에 포함된 재의 미분입자일 수 있고, 구상인 입자의 크기는 시멘트와 비슷하며, 주성분은 알루미나(Al2O3)와 실리카(SiO2)이고, 주 용도는 콘크리트의 혼화재이다.
상기 플라이애쉬는 수화반응성이 없지만, 상기 폐패각 및 플라이애쉬를 포함하는 충전재로 폐광산의 지반을 보강하는 경우, 하기 반응식 2와 같이 폐수에 의해 유리된 폐패각의 수산화칼슘과 플라이애쉬의 구성성분인 가용성의 실리카(SiO2)가 반응하여 안정한 규산칼슘수화물 등을 생성하고, 작업성(Workability)과 펌프성(Pumpability)을 개선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반응식 2]
Ca(OH)2 → Ca2 + + 2(OH)-
Ca2 + + 2(OH)- + SiO2(Soil silica) → CaO·SiO2·H2O
Ca2 + + 2(OH)- + Al2O3(Soil alumina) → CaO·Al2O3·H2O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재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 폐패각의 납 제거 실험
대한민국 경상남도 마산의 남해안에서 버려진 굴 껍질을 수거하여, 유수에서 30분간 세척하여 흙 및 유기물 등을 제거하였다. 상기 유기물 등을 제거한 굴 껍질은 염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증류수가 담긴 수조에서 24시간 침적시킨 후에, 수조에서 꺼내 건조기를 이용하여 110℃에서 30분간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하였다. 상기 염분을 제거한 굴 껍질은 쇠절구에서 분쇄한 후에, 20 mesh 체를 통과시켜 분말을 수집하였다.
중금속 표준용액((주)아나펙스, 대한민국)을 이용하여, 비소(As)를 각각 2.0 mg/L로 적정된 인공 오염수를 제조하였다. 오염수 1L를 삼각플라스크에 담은 후에 상기 분말형태로 제조한 굴 껍질을 1.0, 2.0 및 5.0 중량%씩 각각 첨가하고 자석교반기를 이용하여 10분간 급속교반을 시킨 후에 침전이 일어나게 하였다. 침전 후, 0.5시간, 1시간 및 2시간을 방치한 후, 각각 상부 1.5cm 위치에서 유리피펫을 이용하여 상등액을 20mL씩 채수하였다.
상기 채수한 용액은 AAnalyst 200(PerkinElmer, USA)을 이용하여 중금속 농도를 분석하였고, 815PDC(Isteck, USA)를 이용하여 pH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상기 인공 오염수의 초기 pH는 3.96이었다.
[표 1]
굴껍질함량(중량%) 반응시간(hr) 납(Pb) pH
함량(mg/L) 제거율(%)
1.0 0.5 0.25 87.5% pH7.99
1.0 0.12 94% pH7.84
2.0 0.00 100% pH7.94
2.0 0.5 0.12 94% pH7.94
1.0 0.00 100% pH8.00
2.0 0.00 100% pH8.07
5.0 0.5 0.12 94% pH7.71
1.0 0.06 97% pH7.77
2.0 0.00 100% pH8.27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굴 껍질을 첨가한 경우 납(Pb)의 제거율이 매우 높게 나타나 굴 껍질을 1 중량%만 첨가한 경우에도 거의 100%의 제거율을 나타내어 매우 우순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산성 오염수의 중화여부와 관련하여, 굴 껍질을 첨가한 경우 오염수의 pH가 pH 7.7 내지 pH 8.0의 약산성으로 중화되어 중금속이 포함되어 있는 산성 오염수의 오염도를 낮추는데 매우 큰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 : 폐패각의 카드뮴 제거 실험
중금속 표준용액((주)아나펙스, 대한믹국)을 이용하여, 카드뮴(Cd)을 0.1 mg/L로 적정된 인공 오염수를 제조하였다. 오염수 1L를 삼각플라스크에 담은 후에 상기 분말형태로 제조한 상기 실시예 1의 굴 껍질을 1.0, 2.0 및 5.0 중량%씩 각각 첨가하고 자석교반기를 이용하여 10분간 급속교반을 시킨 후에 침전이 일어나게 하였다. 침전 후, 0.5시간, 1시간 및 2시간을 방치한 후, 각각 상부 1.5cm 위치에서 유리피펫을 이용하여 상등액을 20mL씩 채수하였다.
상기 채수한 용액은 AAnalyst 200(PerkinElmer, USA)을 이용하여 중금속 농도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굴껍질함량(중량%) 반응시간(hr) 카드뮴(Cd) pH
함량(mg/L) 제거율(%)
1.0 0.5 0.09 10% pH7.99
1.0 0.08 20% pH7.84
2.0 0.08 20% pH7.94
2.0 0.5 0.03 70% pH7.94
1.0 0.02 80% pH8.00
2.0 0.02 80% pH8.07
5.0 0.5 0.02 80% pH7.71
1.0 0.01 90% pH7.77
2.0 0.01 90% pH8.27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굴 껍질을 첨가한 경우 카드뮴(Cd)의 제거율은 굴껍질 함량 및 반응시간에 비례하여 높아졌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굴 껍질을 2.0 중량% 첨가한 경우에 80% 이상의 제거율을 나타내었으며, 5.0 중량 %를 첨가한 경우에는 90%의 카드뮴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3 : 폐패각의 비소 제거 실험
중금속 표준용액((주)아나펙스, 대한믹국)을 이용하여, 비소(As)을 0.4 mg/L로 적정된 인공 오염수를 제조하였다. 오염수 1L를 삼각플라스크에 담은 후에 상기 분말형태로 제조한 상기 실시예 1의 굴 껍질을 1.0, 2.0 및 5.0 중량%씩 각각 첨가하고 자석교반기를 이용하여 10분간 급속교반을 시킨 후에 침전이 일어나게 하였다. 침전 후, 0.5시간, 1시간 및 2시간을 방치한 후, 각각 상부 1.5cm 위치에서 유리피펫을 이용하여 상등액을 20mL씩 채수하였다.
상기 채수한 용액은 AAnalyst 200(PerkinElmer, USA)을 이용하여 중금속 농도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굴껍질함량(중량%) 반응시간(hr) 비소(As) pH
함량(mg/L) 제거율(%)
1.0 0.5 0.31 22.5% pH7.99
1.0 0.30 25% pH7.84
2.0 0.29 27.55% pH7.94
2.0 0.5 0.30 25% pH7.94
1.0 0.31 22.5% pH8.00
2.0 0.29 27.55% pH8.07
5.0 0.5 0.31 22.5% pH7.71
1.0 0.29 27.55% pH7.77
2.0 0.26 35% pH8.27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굴 껍질을 첨가한 경우 비소(As)의 제거율은 그리 높지 않게 나타났다. 보다 상세하게는, 굴껍질함량 및 반응시간에 따라 제거율이 증가하기는 하였으나, 그 증가폭이 매우 적었으며 굴 껍질을 5.0 중량%를 첨가한 경우에도 20 내지 40%의 낮은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굴 껍질의 함량을 5.0 중량%로 하여 24시간 반응시킨 경우에도 비소의 제거율이 50%를 넘지 못하여 비소와 관련해서는 그리 높지 않은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폐광산 복원방법에 의하면, 어촌에서 무단 폐기되어 위생 및 환경 상 큰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 폐패각 특히, 굴의 폐패각을 재활용할 수 있으므로 모래, 시멘트 또는 석회 등을 사용하였던 기존의 복원방법에 비하여 환경적인 측면 및 경제적인 측면에서 매우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폐패각의 석회성분이 중금속의 이동을 억제하며 나아가 플라이애쉬를 추가로 포함하는 충전재를 사용하는 경우 폐패각의 수산화칼슘과 플라이애쉬의 실리카가 반응하여 작업성과 펌프성을 개선함으로써 시멘트 또는 차단재를 이용한 기존의 폐광산 복원방법에 비하여 친환경적이고 중금속 차단 효과도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어 산업적으로 그 활용가치가 매우 크다 할 것이다.

Claims (8)

  1. 폐패각을 포함하는 충전재를 이용하는 폐광산 복원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방법은 공동충전공법 또는 국부보강공법에 의해 폐패각을 포함하는 충전재를 충전하는 것인 폐광산 복원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충전공법은 수압식 충전법, SAPS(Successive Alkalinity Producing System)조를 이용한 처리법, 공압식 충전법 및 그라우트 충전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폐광산 복원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패각은 굴껍질인 폐광산 복원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는 폐패각의 함량이 전체 충전재를 기준으로 10 내지 90 중량부인 폐광산 복원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는 추가로 플라이애쉬(fly ash)를 포함하는 것인 폐광산 복원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에 포함되는 폐패각과 플라이애쉬의 함량은 10:90 내지 90:10 중량비(폐패각:플라이애쉬)인 폐광산 복원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는 골재, 자갈, 모래, 토사, 석고, 슬래그, 시멘트 및 벤토나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이상을 더욱 포함하는 것인 폐광산 복원방법.
KR1020070032756A 2007-04-03 2007-04-03 폐광산 복원 방법 KR200800899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2756A KR20080089940A (ko) 2007-04-03 2007-04-03 폐광산 복원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2756A KR20080089940A (ko) 2007-04-03 2007-04-03 폐광산 복원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9940A true KR20080089940A (ko) 2008-10-08

Family

ID=40151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2756A KR20080089940A (ko) 2007-04-03 2007-04-03 폐광산 복원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8994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43787A (zh) * 2019-06-19 2019-08-20 山东黄金矿业科技有限公司充填工程实验室分公司 一种低成本废石胶结充填材料组分与配比设计方法
CN110835258A (zh) * 2019-10-31 2020-02-25 中铁二局集团有限公司 一种盾构接收钢套管回填材料及其制备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43787A (zh) * 2019-06-19 2019-08-20 山东黄金矿业科技有限公司充填工程实验室分公司 一种低成本废石胶结充填材料组分与配比设计方法
CN110835258A (zh) * 2019-10-31 2020-02-25 中铁二局集团有限公司 一种盾构接收钢套管回填材料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omes et al. Alkaline residues and the environment: a review of impacts, management practices and opportunities
US20080179253A1 (en) Porous Particulate Material For Fluid Treatment, Cementitious Composition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KR100464666B1 (ko) 굴패각을 이용한 지반개량형 고화재 제조방법
KR100919620B1 (ko)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채석 종료지 적지복구용 인공토양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8218317A (zh) 一种高含水率淤泥固化方法
KR100981358B1 (ko) 준설토와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공유수면 매립토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57447B1 (ko) 폐자원의 고화에 의한 인공토양의 제조방법
KR100956593B1 (ko) 유·무기성 슬러지를 고화시켜 얻어진 인공토 제조방법
CA2616707A1 (en) Method for solidifying high moisture sludge, solidified sludge therefrom
CN112546530B (zh) 一种氨碱法制纯碱的碱渣无害化治理及其资源化利用方法
KR101470417B1 (ko) 안정화된 폐석고를 이용하여 성토재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성토재 조성물
US11174185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multi-stage encapsulation of wastes and production thereof into aggregate products
KR20140147307A (ko) 순환자원을 활용한 친환경 공유수면 매립토 조성물
JPH02500500A (ja) 特に堆積処分場造成のための水密土層形成方法
JP3455952B2 (ja) 有害物の固定方法
KR20080089940A (ko) 폐광산 복원 방법
KR101332201B1 (ko) 현지토 고화 촉진 조성물
KR100550340B1 (ko) 슬러지를 탈수화 · 무해화 · 고형화 하여 고형화슬러지로 만드는 반응성 고화제를 포함한 고화제 및 그 방법과, 그 반응성고화제의 제조방법과, 반응성 고화제로 처리된 고형화슬러지의 재활용하는 방법
KR101257448B1 (ko) 폐자원의 고화에 의한 인공토양의 제조방법
Sloss et al. Pulverised Coal Ash: Requirements for Utilisation
Scheetz et al. Giga-scale disposal: a real frontier for ceramic research
KR100497422B1 (ko) 해양수산폐기물과 산업폐기물을 이용한 함수연약토의지반개량형 고화재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19778B1 (ko) 순환자원을 활용한 친환경 공유수면 매립방법
KR101285369B1 (ko) 폐자원의 고화에 의한 인공토양의 제조방법
Pando et al. Possible applications for circulating fluidized bed coal combustion by-products from the Guayama AES Power Pl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