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5884A - 타이어 팽창압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타이어 팽창압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5884A
KR20080085884A KR1020087017643A KR20087017643A KR20080085884A KR 20080085884 A KR20080085884 A KR 20080085884A KR 1020087017643 A KR1020087017643 A KR 1020087017643A KR 20087017643 A KR20087017643 A KR 20087017643A KR 20080085884 A KR20080085884 A KR 200800858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le hub
passage
wheel assembly
vehicle wheel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7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1088B1 (ko
Inventor
히로시 이소노
Original Assignee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85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5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1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1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10Arrangement of tyre-inflating pumps mounted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01Devices for manually or automatically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whilst the vehicle is moving
    • B60C23/003Devices for manually or automatically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whilst the vehicle is moving comprising rotational joints between vehicle-mounted pressure sources and the tyres
    • B60C23/00309Devices for manually or automatically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whilst the vehicle is moving comprising rotational joints between vehicle-mounted pressure sources and the ty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components, e.g. valves, sealings, conduits or sensors
    • B60C23/00318Devices for manually or automatically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whilst the vehicle is moving comprising rotational joints between vehicle-mounted pressure sources and the ty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components, e.g. valves, sealings, conduits or sensors on the wheels or the hu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01Devices for manually or automatically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whilst the vehicle is moving
    • B60C23/003Devices for manually or automatically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whilst the vehicle is moving comprising rotational joints between vehicle-mounted pressure sources and the tyres
    • B60C23/00345Details of the rotationa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10Arrangement of tyre-inflating pumps mounted on vehicles
    • B60C23/12Arrangement of tyre-inflating pumps mounted on vehicles operated by a running wheel
    • B60C23/137Arrangement of tyre-inflating pumps mounted on vehicles operated by a running wheel comprising cam driven pist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타이어 팽창압 제어 장치 (At) 는, 공급 통로 (21e) 의 출구측 단부 (21e1) 가 차축 허브 (20) 의 디스크형 플랜지부 (21B) 의 차량의 외부 단면 (S1) 에서 개방되고, 또한 도입 통로 (11a) 의 입구측 단부 (11a1) 는 차량 바퀴 조립체 (10) 의 바퀴 (11) 의 차량의 내부 단면 (S2) 에서 개방되고, 차량 바퀴 조립체 (10) 의 바퀴 (11) 를 차축 허브 (20) 의 디스크형 플랜지부 (21B) 에 장착함으로써 (또는 장착할 때), 공급 통로 (21e) 의 출구측 단부 (21e1) 와 도입 통로 (11a) 의 입구측 단부 (11a1) 가 서로 기밀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차량 바퀴 조립체 (10) 를 차축 허브 (20) 의 플랜지부에 대해 장착할 때의 용이성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타이어 팽창압 제어 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TIRE INFLATION PRESSURE}
본 발명은 타이어 팽창압 제어 장치 (타이어 팽창압 도입 장치), 특히, 압력 생성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가압 공기가 차축 허브의 플랜지부에 제거가능하게 장착된 차량 바퀴 조립체의 바퀴에 제공된 차축 허브 및 도입 통로의 적어도 하나의 공급 통로를 통해 차량 바퀴 조립체의 타이어 공기실 안으로 도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타이어 팽창압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타이어 팽창압 제어 장치가,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 11-139118호 (이하에서 특허 문헌 1 로 칭함) 에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타이어 팽창압 제어 장치에서, 압력 생성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가압 공기가 차량 바퀴 조립체의 타이어 공기실에 도입될 수 있기 때문에, 공기실의 팽창압이 확보될 수 있다.
그런데, 특허 문헌 1 에 기재되어 있는 타이어 팽창압 제어 장치는 차축 허브에 제공된 공급 통로가 공기 관을 통해 차량 바퀴 조립체의 바퀴에 제공된 도입 통로에 연통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차축 허브의 플랜지부에 차량 바퀴 조립체가 장착되어야 할 때, 차축 허브에 제공된 공급 통로의 위치를 차 량 바퀴 조립체의 바퀴에 제공된 도입 통로의 위치로 상대적으로 조정하고, 공기 관을 통해 차축 허브에 제공된 공급 통로를 차량 바퀴 조립체의 바퀴에 제공된 도입 통로에 연통 접속할 필요가 있고, 장착시의 어려움으로 인한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압력 생성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가압 공기가 차축 허브에 제공된 공급 통로 및 차축 허브의 플랜지부에 제거가능하게 장착된 차량 바퀴 조립체의 바퀴에 제공된 도입 통로를 통해 차량 바퀴 조립체의 타이어 공기실로 도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타이어 팽창압 제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상기에 기재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축 허브의 플랜지부의 차량의 외부 단면에서 상기 공급 통로의 출구측 단부가 개구되고, 또한 차량 바퀴의 조립체의 바퀴의 차량의 내부 단면에서 상기 도입 통로의 입구측 단부가 개구되고, 상기 차량 바퀴 조립체의 바퀴를 상기 차축 허브의 플랜지부에 장착함으로써 (또는 장착할 때), 상기 공급 통로의 출구측 단부와 상기 도입 통로의 입구측 단부가 기밀하게 연통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타이어 팽창압 제어 장치에서, 공급 통로의 출구측 단부가 차축 허브의 플랜지부의 차량의 외부 단면에서 개구되고, 또한 도입 통로의 입구측 단부가 차량 바퀴 조립체의 바퀴의 차량의 내부 단면에서 개구되고, 차량 바퀴 조립체의 바퀴를 차축 허브의 플랜지부에 장착함으로써, 공급 통로의 출구측 단부와 도입 통로의 입구측 단부가 서로 기밀하게 연통 접속된다. 이에 따라, 차량 바퀴 조립체가 차축 허브의 플랜지부에 장착될 때, 공기 관을 통해 공급 통로가 도입 통로와 연통 접속되어야만 하는 종래의 장치와 비교하여, 차축 허브의 플랜지부에 차량 바퀴 조립체를 장착할시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공급 통로의 복수의 출구측 단부와 상기 도입 통로의 복수의 입구측 단부가 제공되고 상기 차축 허브에 대한 차량 바퀴 조립체의 장착 위상 (즉, 차축 허브의 플랜지부에 장착되는 허브 볼트의 원주 방향으로 간격에 의해 통상 결정되는, 차량 바퀴 조립체와 차축 허브 사이의 상대 각 위치) 과 매치되도록 (또는 장착 위상에 따르도록) 출구측 단부와 입구측 단부가 등각 간격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차축 허브의 플랜지부에 차량 바퀴 조립체가 장착될 때, 공급 통로의 출구측 단부와 도입 통로의 입구측 단부사이에서 상대 조정이 자동으로 실행되기 때문에, 차축 허브의 플랜지부에 차량 바퀴 조립체를 장착 (조립) 시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차축 허브의 플랜지부의 차량 외부 단면과 차량 바퀴 조립체의 바퀴의 차량 내부 단면 사이의 연결부에 공급 통로의 출구측 단부와 도입 통로의 입구측 단부를 연통하는 환형 연통로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공급 통로의 출구측 단부의 수가 하나이고 도입 통로의 입구측 단부의 수가 하나이더라도, 공급 통로의 출구측 단부의 위치를 도입 통로의 입구측 단부의 위치에 상대적으로 조정할 필요가 없다. 왜냐하면 공급 통로의 출구측 단부의 위치와 도입 통로의 입구측 단부의 위치가 차축 허브의 플랜지부에 차량 바퀴 조립체를 장착할 때 상대적으로 조정되지 않더라도, 공급 통로의 출구측 단부가 환형 연통로를 통해 도입 통로의 입구측 단부와 연통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차량 바퀴 조립체를 차축 허브의 플랜지부에 장착할 때의 용이성을 바람직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공급 통로의 복수의 출구측 단부와 도입 통로의 복수의 입구측 단부가 제공될 때, 상기에 서술된 바와 유사하게 공급 통로의 출구측 단부와 도입 통로의 입구측 단부 사이의 상대 위치를 조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유사한 효과가 기대될 수 있다. 동시에, 공급 통로의 출구측 단부의 수와 도입 통로의 입구측 단부의 수에 관계없이 (즉, 각각의 수가 4 개이고 환형 연통로가 제공되지 않으면, 총 4 개의 시일링 부재가 필요하다), 오직 2 개의 시일링 부재가 필요하다 (즉, 환형 연통로의 외주를 따라 제공된 오직 한 개의 고리형 (또는 환형) 시일링 부재와 환형 연통로의 내주를 따라 제공된 오직 한 개의 고리형 (또는 환형) 시일링 부재를 가질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장치는 간단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도입 통로의 입구측 단부에는 시일링 수단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시일링 수단은 차축 허브에 차량 바퀴 조립체를 장착함으로써 (또는 장착할 때) 도입 통로를 개방하고 차축 허브로부터 차량 바퀴 조립체를 제거함으로써 (또는 제거할 때) 도입 통로를 폐쇄한다. 이 경우에, 상기 시일링 수단은 볼 밸브를 포함하는 체크 밸브일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차량 바퀴 조립체가 차축 허브로부터 제거되더라도, 타이어 공기실의 팽창압이 유지되는데, 왜냐하면 시일링 수단이 차량 바퀴 조립체의 바퀴에 제공된 도입 통로를 기밀하게 폐쇄하기 때문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팽창압 제어 장치의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파단 정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도시된 타이어 압력 제어 장치 및 압력 생성 장치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3 은 도 1 및 2 에 도시된 차축 허브의 외부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4A 및 4B 는 차량 바퀴 조립체의 바퀴에 장착된 체크 밸브의 작동 (기능) 을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가 도면을 기초하여 다음에 설명된다. 도 1 및 2 는 차축 허브 (20) 의 회전으로 가압 공기를 생성할 수 있는 압력 생성 장치 (Ap) 와 이 압력 생성 장치 (Ap) 로부터 공급되는 가압 공기를 차량 바퀴 조립체 (10) 의 바퀴 (11) 및 타이어 (12) 에 의해 형성되는 타이어 공기실 (Ra) 안으로 도입하는 타이어 팽창압 제어 장치 (At) (타이어 팽창압 도입 장치) 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차량 바퀴 조립체 (10) 는 바퀴 (11) 에서 차축 허브 (20) 의 플랜지부 (21B) 에 제거가능하게 장착된다. 타이어 팽창압 제어 장치 (At) 는, 압력 생성 장치 (Ap) 로부터 공급되는 가압 공기가 차축 허브 (20) 에 제공된 공급 통로 (21e) 및 차량 바퀴 조립체 (10) 의 바퀴 (11) 에 제공된 도입 통로 (11a) 를 통해 차량 바퀴 조립체 (10) 의 타이어 공기실 (Ra) 안으로 도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압력 생성 장치 (Ap) 는, 지지 부재로서 너클의 일부인 원통 지지부 (51), 회전 부재로서 차축 허브 (20) 및 펌프 작동 부재로서 주상 피스톤 (30) 을 포함하고, 또한 원통형 지지부 (51) 에 대한 차축 허브 (20) 의 회전 운동을 피스톤 (30) 의 왕복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운동 변환 기구로서 캠 부재 (41) 및 캠 종동자 (42) 와, 캠 종동자 (42) 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로드 (43) 를 포함한다.
원통형 지지부 (51) 는 중심이 축선 (Lo) 을 따르고 축선 (Lo) 주위를 회전할 수 없는 원통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원통형 지지부 (51) 내부에서는, 차축 허브 (20) 는 한 쌍의 베어링 (52, 53) 및 한 쌍의 고리형 (또는 환형) 시일링 부재 (54, 55) 를 통해 축선 (Lo) 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액밀하게 지지된다. 한 쌍의 베어링 (52, 53) 은, 원통형 지지부 (51), 즉, 너클을 중심으로 차축 허브 (20) 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축방향으로 캠 부재 (41) 를 개재하는 방식으로 원통형 지지부 (51) 와 차축 허브 (20) 사이에 삽입되고 축방향 (축선 (Lo) 을 따르는 방향) 으로 소정 거리로 배열되어 있다. 한 쌍의 고리형 시일링 부재 (54, 55) 는, 원통형 지지부 (51) 와 차축 허브 (20) 사이에 액밀한 시일을 제공하도록 축방향으로 캠 부재 (41) 및 베어링 (52, 53) 모두를 개재하는 방식으로 축방향으로 소정 거리로 배열되고 원통형 지지부 (51) 와 차축 허브 (20) 사이에 삽입된다.
차축 허브 (20) 는 허브 본체 (21) 및 차량의 내측 단부에서 허브 본체 (21) 의 외주에서 액밀하게 나사결합된 슬리브 (22) 를 포함한다. 허브 본체 (21) 는, 회전 축부 (21A) 와 디스크형 플랜지부 (21B) 를 포함한다. 회전 축부 (21A) 에는 한 쌍의 축방향 긴 구멍 (21a) (즉, 축방향을 따라 신장된 구멍 (21a)) 과 실린더 보어 (21b) 가 형성된다. 디스크형 플랜지부 (21B) 에는 차량 바퀴 조립체 (10) 를 장착하는 장착 구멍부 (21c) 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 축부 (21A) 와 디스크형 플랜지부 (21B) 에는 흡입 통로 (21d) 와 공급 통로 (21e) 가 형성되어 있다.
축방향 긴 구멍 (21a) 은, 피스톤 (30), 캠 종동자 (42) 및 로드 (43) 가 차축 허브 (20) 와 함께 회전하여 축방향으로 왕복운동하도록 하는 안내 수단을 형성한다. 차축 허브 (20) 의 회전 축부 (21A) 의 둘레 방향을 따라 180 °의 간격에서 (으로) 배열되도록 축방향 긴 구멍 (21a) 이 형성된다. 실린더 보어 (21b) 는 피스톤 (30) 을 수용하고 피스톤 (30) 과 함께 회전 축부 (21A) 에서 펌프실 (Ro) 을 형성한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구멍부 (21c) 는, 둘레 방향을 따라 90 °의 간격에서 (등각 간격으로) 4 개의 위치에서 배열되도록 형성된다. 장착 구멍부 (21c) 를 관통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고정되는 장착 구멍부 (21c) 안으로 허브 볼트 (61) 가 끼워맞춤 (또는 삽입) 된다 (도 2 와 도 3 참조). 차량 바퀴 조립체 (10) 는 4 개의 허브 볼트 (61) 및 각 허브 볼트 (61) 에 나사결합되는 허브 너트 (62) (도 2 참조) 를 통해 차축 허브 (20) 에 체결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흡입 통로 (21d) 는 펌프실 (Ro) 안으로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것이다. 흡입 통로 (21d) 에는 흡입 체크 밸브 (Vi) 가 삽입된다. 공급 통로 (21e) 는, 펌프실 (Ro) 로부터 배출되는 가압 공기를 차량 바퀴 조립체 (10) 의 바퀴 (11) 에 제공된 도입 통로 (11a) 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공급 통로 (21e) 의 각각에는 제어 밸브 (Vo) 가 삽입된다.
제어 밸브 (Vo) 는 공급 통로 (21e) 내의 압력에 따라 작동하는 전환 밸브이다. 각각의 공급 통로 (21e) 내의 압력이 소정의 설정값 미만일 때는, 제어 밸브 (Vo) 는 펌프실 (Ro) 이 흡입 통로 (21d) 와 차단되도록 하면서 펌프실 (Ro) 이 공급 통로 (21e) 와 연통하도록 한다. 각각의 공급 통로 (21e) 내의 압력이 소정의 설정값 이상일 때는, 제어 밸브 (Vo) 는 펌프실 (Ro) 이 공급 통로 (21e) 와 차단되도록 하면서 펌프실 (Ro) 이 공급 통로 (21e) 와 연통하도록 한다.
피스톤 (30) 은 한 쌍의 환형 시일링 부재 (31, 32) 를 통해 차축 허브 (20) 에서의 회전 축부 (21A) 의 실린더 보어 (21b) 에 삽입되고, 차축 허브 (20) 의 회전 축부 (21A) 와 함께 동심으로 회전가능하고 차축 허브 (20) 의 회전 축부 (21A) 의 축방향으로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구성 (또는 장착) 된다. 또한, 피스톤 (30) 에는 환형 홈 (30a) 과 피스톤 (30) 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관통 구멍 (30b) 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환형 시일링 부재 (31, 32) 는 축방향으로 소정 거리에 배치되고 피스톤 (30) 의 축방향 단부에서 피스톤 (30) 과 회전 축부 (21A)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한 쌍의 환형 시일링 부재 (31, 32) 는 피스톤 (30) 과 회전 축부 (21A) 사이의 기밀하고 액밀한 시일링을 제공한다.
환형 홈 (30a) 은 한 쌍의 환형 시일링 부재 (31, 32) 사이의 피스톤 (30) 의 외주에 형성되고 피스톤 (30) 과 회전 축부 (21A) 사이에 환형 공간 (R1) 을 형성한다. 이 환형 공간 (R1) 은 회전 축부 (21A) 에 형성된 각 축방향 긴 구멍 (21a) 을 통해 한 쌍의 환형 시일링 부재 (54, 55) 사이에 형성된 환형 공간 (R2) 과 연통된다. 피스톤 (30) 이 축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더라도 각 환형 공간 (R1, R2) 의 용적은 변화하지 않는다. 환형 공간 (R1, R2) 은 4 개의 시일링 부재 (54, 55, 31, 32) 에 의해 밀봉된다. 또한, 환형 공간 (R1, R2) 등은 소정량의 윤활유를 수용하는 오일실을 형성한다. 이 오일실은 베어링 (52, 53), 캠 부재 (41), 캠 종동자 (42) 등을 수용한다.
캠 부재 (41) 는 원통형 지지부 (51) 에 일체적으로 (축방향으로 이동 불능 또한 회전 불능) 제공된 원통형 캠이다. 캠 부재 (41) 는 축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한 쌍의 캠 슬리브 (41A, 41B) 를 포함하고 회전 축부 (21A) 에 대해 동축으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캠 부재 (41) 는 트랙이 축방향으로 변동하는 캠 홈을 형성하는 환형 캠부 (41a) 를 갖는다. 캠 종동자 (42) 는 캠 홈과 끼워맞춤된다. 캠부 (41a) 는 캠 종동자 (42) 로부터 축방향의 하중 (즉, 도 2 의 수평 방향의 하중) 과 반경 방향의 하중 (즉, 도 2 의 수직 방향의 하중) 을 수용하는 캠면을 갖는다. 이 캠면의 단면 형상은 V 형이다. 캠면은 회전 축부 (21A) 의 둘레 방향에서 짝수 주기 (예컨대, 2 주기) 로 변동하도록 구성된다.
캠 종동자 (42) 는 로드 (43) 의 피스톤의 반경 방향의 외단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볼이다. 캠 종동자 (42) 는 축선 (Lo) 에 직교하는 피스톤의 반경 방향 단부에서 캠부 (41a) (즉, 캠 홈) 와 결합하고 캠 부재 (41) 에 대해 회전함으로써 로드 (43) 와 함께 축방향 (도 2 에서 수평 방향) 으로 이동 가능하다. 로드 (43) 는 피스톤 (30) 의 반경 방향 (관통 구멍 (30b) 의 축방향) 으로 관통 구멍 (30b) 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하중 전달자이다. 로드 (43) 는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회전 방향으로 이동 불가하도록 축방향 긴 구멍 (21a) 을 관통한다.
그런데, 도 1 및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타이어 팽창압 제어 장치 (At) 는, 공급 통로 (21e) 의 출구측 단부 (21e1) 가 차축 허브 (20) 의 디스크형 플랜지부 (21B) 의 차량의 외부 단면 (S1) 에서 개방되고, 또한 도입 통로 (11a) 의 입구측 단부 (11a1) 는 차량 바퀴 조립체 (10) 의 바퀴 (11) 의 차량의 내부 단면 (S2) 에서 개방되고, 차량 바퀴 조립체 (10) 의 바퀴 (11) 를 차축 허브 (20) 의 디스크형 플랜지부 (21B) 에 장착함으로써 (또는 장착할 때), 공급 통로 (21e) 의 출구측 단부 (21e1) 와 도입 통로 (11a) 의 입구측 단부 (11a1) 가 서로 기밀하게 결합 (연통 접속) 된다.
공급 통로 (21e) 의 출구측 단부 (21e1) 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4 개의 위치에서 형성되고 차축 허브 (20) 에 대한 차량 바퀴 조립체 (10) 의 장착 위상과 매칭되도록 등각 간격 (즉, 둘레 방향으로 45°의 위상차를 갖는 90°의 간격) 으로 배열된다. 도입 통로 (11a) 의 입구측 단부 (11a1) 는, 도 1 및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 통로 (21e) 의 출구측 단부 (21e1) 와 각각 마주하도록 (또는 각각 대향하도록) 공급 통로 (21e) 의 출구측 단부 (21e1) 와 유사한 방식으로 둘레 방향으로 90°의 간격으로 4 개의 위치에서 형성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 차축 허브 (20) 의 디스크형 플랜지부 (21B) 의 차량의 외부 단면 (S1) 과 차량 바퀴 조립체 (10) 의 바퀴 (11) 의 차량의 내부 단면 (S2) 사이의 연결부에는, 공급 통로 (21e) 의 출구측 단부 (21e1) 와 도입 통로 (11a) 의 입구측 단부 (11a1) 를 연통시키는 환형 (또는 고리형) 연통 홈 (21f) (연통 접속 통로) 이 형성된다. 또한, 환형 연통 접속 통로 (21f) 를 기밀하게 시일링하기 위한 시일링 부재 (23, 24) 가 디스크형 플랜지부 (21B) 에 장착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 도입 통로 (11a) 의 각각의 입구측 단부 (11a1) 에서 체크 밸브 (Vr) 가 제공된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체크 밸브 (Vr) 는 차량 바퀴 조립체 (10) 를 차축 허브 (20) 에 장착함으로써 (또는 장착할 때) 도입 통로 (11a) 를 개방 (또는 해제) 하고 차량 바퀴 조립체 (10) 를 차축 허브 (20) 로부터 제거함으로써 (또는 제거할 때) 도입 통로 (11a) 를 시일링 (또는 기밀하게 폐쇄) 하는 시일링 수단을 형성한다. 도입 통로 (11a) 의 개방 (또는 해제) 은, 도 4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 밸브 (13) 가 환형 연통 접속 홈 (21f) 의 바닥면과 결합함으로써 스프링 (14) 에 대항해 이동하도록 가압될 때 볼 밸브 (13) 가 도입 통로 (11a) 에 형성된 밸브 시트 (11b) 로부터 멀어지도록 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도입 통로 (11a) 의 밀봉 (또는 폐쇄) 은 도 4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 밸브 (13) 가 환형 연통 접속 홈 (21f) 의 바닥면으로부터 멀어질 때 스프링 (14) 에 의해 가압되고 이동되어 도입 통로 (11a) 에 형성된 밸브 시트 (11c) 에 착석됨으로써 유발된다.
상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구성된 이 실시형태에서, 차축 허브 (20) 가 원통형 지지부 (51) 에 대해 회전할 때, 피스톤 (30), 로드 (43) 및 캠 종동자 (42) 가 차축 허브 (20) 와 일체적으로 회전하여 캠 부재 (41) 에 대해 상대 회전하여서,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차축 허브 (20) 의 회전 운동이 피스톤 (30) 의 왕복 운동 (이동) 으로 변환될 수 있고, 이는 펌프실 (Ro) 의 용적을 증가/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흡입 체크 밸브 (Vi) 를 삽입한 흡입 통로 (21d) 를 통해 공기가 펌프실 (Ro) 로 흡입되고 펌프실 (Ro) 로부터 제어 밸브 (Vo) 를 삽입한 공급 통로 (21e) 를 통해 공기가 배출될 수 있다. 배출된 공기 (가압 공기) 는 차축 허브 (20) 에 장착된 차량 바퀴 조립체 (10) 의 타이어 공기실 (Ra) 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이 실시형태에 따른 타이어 팽창압 제어 장치 (At) 에 있어서, 공급 통로 (21e) 의 출구측 단부 (21e1) 가 차축 허브 (20) 의 디스크형 플랜지부 (21B) 의 차량의 외부 단면 (S1) 에서 개방되고, 또한 도입 통로 (11a) 의 입구측 단부 (11a1) 가 차량 바퀴 조립체 (10) 의 바퀴 (11) 의 차량의 내부 단면 (S2) 에서 개방되며, 차량 바퀴 조립체 (10) 의 바퀴 (11) 를 차축 허브 (20) 의 디스크형 플랜지부 (21B) 에 장착함으로써 (또는 장착할 때), 공급 통로 (21e) 의 출구측 단부 (21e1) 와 도입 통로 (11a) 의 입구측 단부 (11a1) 가 서로 기밀하게 연통 접속된다. 따라서, 차량 바퀴 조립체 (10) 가 차축 허브 (20) 의 디스크형 플랜지부 (21B) 에 장착될 때, 공급 통로가 공기관을 통해 도입 통로와 연통 접속되어야만 하는 종래의 장치에 비해, 디스크형 플랜지부 (21B) 에 차량 바퀴 조립체 (10) 를 장착할 때의 용이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공급 통로 (21e) 의 출구측 단부 (21e1) 와 도입 통로 (11a) 의 입구측 단부 (11a1) 가 각각 4 개의 위치에서 제공되고 차축 허브 (20) 에 대해 차량 바퀴 조립체 (10) 의 장착 위상이 매칭되도록 (또는 일치하 도록) 등각 간격으로 배열된다. 이 때문에, 차량 바퀴 조립체 (10) 가 차축 허브 (20) 의 디스크형 플랜지부 (21B) 에 장착될 때, 공급 통로 (21e) 의 출구측 단부 (21e1) 의 위치와 도입 통로 (11a) 의 입구측 단부 (11a1) 의 위치 사이에서 상대 조정이 자동으로 실행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 차축 허브 (20) 의 디스크형 플랜지부 (21B) 의 차량의 외부 단면 (S1) 과 차량 바퀴 조립체 (10) 의 바퀴 (11) 의 차량의 내부 단면 (S2) 사이의 연결부에서, 공급 통로 (21e) 의 출구측 단부 (21e1) 와 도입 통로 (11a) 의 입구측 단부 (11a1) 를 연통시키는 환형 연통 접속 홈 (21f) 및 환형 연통 접속 홈 (21f) 을 기밀하게 시일링하기 위한 고리형 시일링 부재 (23, 24) 가 제공된다. 따라서, 차량 바퀴 조립체 (10) 가 차축 허브 (20) 의 디스크형 플랜지부 (21B) 에 장착될 때, 공급 통로 (21e) 의 출구측 단부 (21e1) 의 위치를 도입 통로 (11a) 의 입구측 단부 (11a1) 의 위치에 대해 상대 조정할 필요가 없다. 왜냐하면 공급 통로 (21e) 의 출구측 단부 (21e1) 의 위치와 도입 통로 (11a) 의 입구측 단부 (11a1) 의 위치가 상대 조정되지 않더라도, 환형 연통로 (21f) 를 통해 공급 통로 (21e) 의 출구측 단부 (21e1) 가 도입 통로 (11a) 의 입구측 단부 (11a1) 와 연통 접속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오직 2 개의 시일링 부재가 필요하고 (즉, 환형 연통로 (21f) 의 외주를 따라 제공된 오직 한 개의 고리형 (고리형) 시일링 부재 (23) 및 환형 연통로 (21f) 의 내주를 따라 제공된 오직 한 개의 고리형 (또는 환형) 시일링 부재 (24) 를 가질 필요가 있다), 그렇지 않으면 공급 통로 (21e) 의 출구측 단부 (21e1) 와 도입 통로 (11a) 의 입구측 단부 (11a1) 가 각각 4 개라면, 각 연통부를 기밀하게 시일링하기 위해서 4 개의 시일링 부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 (At) 는 간단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 체크 밸브 (Vr) 가 도입 통로 (11a) 의 입구측 단부 (11a1) 에 제공된다. 각각의 체크 밸브 (Vr) 는 차량 바퀴 조립체 (10) 를 차축 허브 (20) 에 장착함으로써 (또는 장착할 때) 도입 통로 (11a) 를 개방하고 차량 바퀴 조립체 (10) 를 차축 허브 (20) 로부터 제거함으로써 도입 통로 (11a) 를 기밀하게 폐쇄한다. 따라서, 차량 바퀴 조립체 (10) 가 차축 허브 (20) 로부터 제거될 때라도, 타이어 공기실 (Ra) 의 공기압이 유지되는데, 왜냐하면 체크 밸브 (Vr) 가 차량 바퀴 조립체 (10) 의 바퀴 (11) 에 제공된 도입 통로 (11a) 를 기밀하게 폐쇄하기 때문이다.
상기에 설명된 실시형태에서, 공급 통로 (21e) 의 4 개의 출구측 단부 (21e1) 와 도입 통로 (11a) 의 4 개의 입구측 단부 (11a1) 가 제공된다. 그러나, 출구측 단부 (21e1) 및 입구측 단부 (11a1) 의 수는 4 개로 한정되지 않고, 단일 출구측 단부 (21e1) 및 단일 입구측 단부 (11a1) 가 제공될 수도 있다.

Claims (5)

  1. 압력 생성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가압 공기가 차축 허브에 제공된 공급 통로 및 상기 차축 허브의 플랜지부에 제거가능하게 장착된 차량 바퀴 조립체의 바퀴에 제공된 도입 통로를 통해 차량 바퀴 조립체의 타이어 공기실에 도입되도록 구성되는 타이어 팽창압 제어 장치로서,
    상기 공급 통로의 출구측 단부가 차축 허브의 플랜지부의 차량의 외부 단면에서 개방되고, 상기 도입 통로의 입구측 단부가 차량 바퀴 조립체의 바퀴의 차량의 내부 단면에서 개방되고, 상기 차량 바퀴 조립체의 바퀴를 상기 차축 허브의 플랜지부에 장착함으로써, 상기 공급 통로의 출구측 단부와 상기 도입 통로의 입구측 단부가 서로 기밀하게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팽창압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측 단부와 상기 입구측 단부가 차축 허브에 대한 차량 바퀴 조립체의 장착 위상과 매칭되도록 등각 간격으로 배열되도록 상기 공급 통로의 복수의 출구측 단부와 상기 도입 통로의 복수의 입구측 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팽창압 제어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축 허브의 플랜지부의 차량의 외부 단면과 상기 차량 바퀴 조립체의 바퀴의 내부 단면 사이의 연결부에는, 상기 공급 통로의 출구측 단부를 상기 도입 통로의 입구측 단부와 연통 접속시키는 환형 연통 접속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팽창압 제어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일링 수단이 상기 도입 통로의 입구측 단부에 제공되고, 이 시일링 수단은 상기 차량 바퀴 조립체를 상기 차축 허브에 장착함으로써 상기 도입 통로를 개방하고 상기 차량 바퀴 조립체를 상기 차축 허브로부터 제거함으로써 상기 도입 통로를 기밀하게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팽창압 제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링 수단은 볼 밸브를 포함하는 체크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팽창압 제어 장치.
KR1020087017643A 2006-01-19 2006-12-26 타이어 팽창압 제어 장치 KR1011410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11374 2006-01-19
JP2006011374A JP4296436B2 (ja) 2006-01-19 2006-01-19 タイヤ空気圧導入装置
PCT/JP2006/326347 WO2007083514A1 (en) 2006-01-19 2006-12-26 Apparatus for controlling tire inflation press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5884A true KR20080085884A (ko) 2008-09-24
KR101141088B1 KR101141088B1 (ko) 2012-05-03

Family

ID=37810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7643A KR101141088B1 (ko) 2006-01-19 2006-12-26 타이어 팽창압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042585B2 (ko)
EP (1) EP1973755B1 (ko)
JP (1) JP4296436B2 (ko)
KR (1) KR101141088B1 (ko)
CN (1) CN101360622B (ko)
AU (1) AU2006335803B2 (ko)
CA (1) CA2636161C (ko)
DE (1) DE602006006351D1 (ko)
WO (1) WO20070835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69890B2 (en) * 2008-04-25 2011-12-06 Hutchinson S.A. Hub bore mounted central tire inflation valve system
CN102019820B (zh) * 2009-09-22 2014-04-09 中国北方车辆研究所 一种中央充放气系统的气路结构
US8931534B2 (en) * 2010-03-10 2015-01-13 Accuride Corporation Vehicle wheel assemblies and valves for use with a central tire inflation system
GB201118156D0 (en) * 2011-10-21 2011-11-30 Agco Int Gmbh Rotatable shaft comprising fluid duct
US9481214B2 (en) 2012-02-21 2016-11-01 The Yokohama Rubber Co., Ltd. Vehicle hub unit and air pressure adjusting device
JP5948945B2 (ja) * 2012-02-21 2016-07-06 横浜ゴム株式会社 インホイールモータユニットおよび空気圧調整装置
CN107031275B (zh) 2012-02-21 2020-09-22 横滨橡胶株式会社 车轮和空气压力调整装置
US9446637B2 (en) 2012-04-09 2016-09-20 Dana Heavy Vehicle Systems Group, Llc Tire inflation system
US10059156B2 (en) 2012-04-09 2018-08-28 Dana Heavy Vehicle Systems Group, Llc Hub assembly for a tire inflation system
US9315077B2 (en) * 2013-09-04 2016-04-19 Arvinmeritor Technology, Llc Tire inflation system having a passage for routing pressurized gas through a hub
WO2015052558A1 (en) 2013-10-09 2015-04-16 Indian Oil Corporation Limited Compressor oil, and compressor oil additive composition
US9566832B2 (en) * 2013-12-17 2017-02-14 Hutchinson Sa Hub adapter and central tire inflation system including same
ES2596657B1 (es) * 2015-06-09 2017-10-27 Justiniano García García Dispositivo estabilizador de presión de aire de neumáticos de un vehículo
US11199186B2 (en) 2017-08-31 2021-12-14 Dana Heavy Vehicle Systems Group, Llc Pressurized fluid supply apparatus and method of supplying pressurized fluid
DE102018130307A1 (de) * 2018-01-26 2019-08-01 Illinois Tool Works Inc. Drehübertragungsvorrichtung zum Übertragen von Steuer- und/oder Arbeitsdrücken zu einer Radnabe oder einer von der Radnabe aufgenommenen Fahrzeugfelge
RU200314U9 (ru) * 2020-06-16 2020-12-01 Публичн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КАМАЗ" Ступичный узел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111735644B (zh) * 2020-06-23 2022-02-08 中国北方车辆研究所 轮胎中央充放气系统调试控制系统
CN113429412B (zh) * 2021-07-09 2022-04-15 广东嘉博制药有限公司 一种镇痛药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88699A (en) * 1929-05-15 1931-01-13 Matthew G Zinsitz Tire inflation
US2017158A (en) * 1934-01-12 1935-10-15 Alvie C Mosser Tire inflating arrangement
GB576040A (en) * 1944-01-10 1946-03-15 Westinghouse Brake & Signal Improvements relating to apparatus for effecting and controlling the inflation of pneumatic tyres for vehicle wheels
US2634784A (en) * 1950-10-30 1953-04-14 Bendix Westinghouse Automotive Tire inflation control system
US2976906A (en) * 1958-09-10 1961-03-28 Wunibald I E Kamm Tire pressure control device
JPS61169304A (ja) 1985-01-21 1986-07-31 Nissan Motor Co Ltd タイヤ空気圧調整装置のシ−ル機構
JPS624617A (ja) * 1985-06-29 1987-01-10 Nissan Motor Co Ltd タイヤ空気圧自動調整装置
GB2178705B (en) * 1985-08-08 1989-05-10 Reynolds Boughton Ltd Tyre inflate/deflate system
US4705090A (en) * 1986-01-17 1987-11-10 Tire Inflation Systems Corp. 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pressure in vehicle tires
US4892128A (en) * 1987-08-28 1990-01-09 Tire Inflation Systems Corp. Vehicle wheel seal assembly
US5221381A (en) * 1989-06-28 1993-06-22 General Motors Corporation Vehicle tire pressure management system with easily removed wheel and tire
US5203391A (en) 1991-03-15 1993-04-20 The Timken Company Wheel mounting for tire pressure adjustment system
EP0869876B1 (en) 1995-07-10 2001-10-31 Cycloid Company Tire pressurizing and regulating apparatus
FR2750082A1 (fr) * 1996-06-25 1997-12-26 Michelin & Cie Ensemble moyeu et porte-moyeu pour vehicule equipe d'un systeme de gonflage centralise
US5868881A (en) * 1996-09-04 1999-02-09 Equalaire Systems, Inc. Rotary air coupling for tire inflation system
JPH11139118A (ja) 1997-11-07 1999-05-25 Sumitomo Electric Ind Ltd タイヤ空気圧調整装置
US6105645A (en) 1998-05-14 2000-08-22 Ingram; Anthony L. Rotary union assembly for use in air pressure inflation systems for tractor trailer tires
AT3054U1 (de) * 1998-09-11 1999-09-27 Steyr Daimler Puch Ag Radeinheit für ein kraftfahrzeug mit reifenfüllanlage
DE19961020A1 (de) 1999-12-17 2000-06-21 Post Dieter Automatische Reifenluftdruckregulierung mit intregierter Reifenpannenbehebung für alle Kraftfahrzeuge
FR2837747B1 (fr) * 2002-03-29 2004-07-09 Syegon Dispositif auto-obturant du pneumatique d'une roue de vehicule
JP4239891B2 (ja) 2004-04-28 2009-03-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タイヤ空気圧調整装置
US20090205764A1 (en) * 2008-02-15 2009-08-20 Am General Llc Tire infl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73755A1 (en) 2008-10-01
EP1973755B1 (en) 2009-04-15
CN101360622B (zh) 2010-05-19
US20090000716A1 (en) 2009-01-01
AU2006335803B2 (en) 2009-12-03
DE602006006351D1 (de) 2009-05-28
CA2636161A1 (en) 2007-07-26
CA2636161C (en) 2011-04-19
WO2007083514A1 (en) 2007-07-26
JP4296436B2 (ja) 2009-07-15
KR101141088B1 (ko) 2012-05-03
CN101360622A (zh) 2009-02-04
AU2006335803A1 (en) 2007-07-26
US8042585B2 (en) 2011-10-25
JP2007191056A (ja) 2007-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1088B1 (ko) 타이어 팽창압 제어 장치
KR100972326B1 (ko) 공기 공급 장치
US5221381A (en) Vehicle tire pressure management system with easily removed wheel and tire
KR101025136B1 (ko) 타이어 팽창압 제어 장치
JP4126012B2 (ja) 自動車のタイヤを膨らませる装置
US5697286A (en) Fluid pressure unit with brake means
CN103244224A (zh) 凸轮轴调节器
JP4243866B2 (ja) 圧力生成装置
CA2947305A1 (en) Connecting rod for an air compressor
US5401144A (en) Swash plate type refrigerant compressor
JP2594645B2 (ja) ラジアルピストンポンプの弁/ピストンカートリッジ及び回転ピストンポンプ
AU2008294404B2 (en) Reciprocating piston cylinder head cover having an integrated fluid exchange rotary disc valve
JP4510998B2 (ja) 油圧装置
US20220341422A1 (en) Center camshaft scroll pump
US5046931A (en) Radial gear driven piston pump
WO2022130628A1 (ja) 空気供給システム
EP4166785A2 (en) Integrated air supply unit
US6368086B1 (en) Universal pump bracket
WO2023077527A1 (zh) 用于凸轮轴的相位调节器
JPH07133760A (ja) マルチステージ真空ポンプ
WO2024028665A1 (en) Rotary feedthrough arrangement
JP4529815B2 (ja) 圧力生成装置
JPS5914636B2 (ja) 回転ポンプ
WO2016104461A1 (ja) ピストン型圧縮機
JP2006161772A (ja) プランジャ型ポン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