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5699A - 밸브 - Google Patents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5699A
KR20080085699A KR1020080021842A KR20080021842A KR20080085699A KR 20080085699 A KR20080085699 A KR 20080085699A KR 1020080021842 A KR1020080021842 A KR 1020080021842A KR 20080021842 A KR20080021842 A KR 20080021842A KR 20080085699 A KR20080085699 A KR 200800856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ing member
plug
seat ring
flow path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1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마사 홈마
Original Assignee
야마타케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타케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야마타케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80085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56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6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with plugs having spherical surfaces; Packing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6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taps or cocks
    • F16K27/067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taps or cocks with spherical plu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8Details
    • F16K5/14Special arrangements for separating the sealing faces or for pressing them together
    • F16K5/20Special arrangements for separating the sealing faces or for pressing them together for plugs with spherical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 Lift Valve (AREA)
  • Taps Or Cocks (AREA)

Abstract

유체차압의 변동에 의한 시트 링의 플러그로의 압력 증대를 경감할 수 있고, 조작 토크를 작게 하여, 시트 링의 마모를 감소시키고, 내구성능이 뛰어난 밸브를 제공한다. 밸브 본체(33)의 유로중심축선(34)으로부터 플러그(35)와 시트 링(50)의 접촉부 A까지의 거리 a로 하면, 유로중심축선(34)으로부터 제1의 유지 부재(51)의 두께가 얇은 부 51A의 외주면까지의 거리 b1을 거리 a와 대략 같게 한다. 여기에서, 유체차압 P에 의해 시트 링(50)이 플러그(35)로 밀렸을 때의 수압 면적 S1은, (b1 2-a1 2)×π로 나타내지만, b1과 a는 대략 같기 때문에, S1은 대략 0이 된다. 따라서, 유로중심축선(34)으로부터 제1의 유지 부재(51)와 0링(54)의 접촉부 B까지의 거리 b1이 거리 a보다 큰 종래의 밸브에 비하여, 유체차압의 변동에 의해 시트 링(50)이 플러그(35)에 대하여 누를 수 있는 힘 F을 작게 할 수 있어, 조작 토크가 작은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유로중심축선, 플러그, 시트 링, 유체차압, 시트링, 조작 토크

Description

밸브{VALVE}
본 발명은, 밸브 본체 내를 흐르는 유체의 유량을 제어하는 밸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둥근 모양의 플러그를 구비한 트러니언형의 밸브에 관한 것이다.
각종 유체의 제어, 예를 들면 공조용의 냉온매체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밸브로서는, 2방 볼 밸브가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 이런 종류의 2방 볼 밸브는, 볼 플러그의 지지 방식으로 크게 나누면, 상류측과 하류측에 배치된 한 쌍의 시트 링에 의해 볼 플러그를 회전이동이 자유롭도록 지지한 플로팅 타입과, 밸브축에 의해 볼 플러그를 회전이동이 자유롭도록 지지한 트러니언 타입의 2종류가 있다. 플로팅 타입은, 전체 폐쇄시에 볼 플러그가 1차측 유체압에 의해 2차측 시트 링에 밀리는 것으로, 주로 볼 플러그와 2차측 시트 링의 접촉에 의해 씰을 도모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참조). 한편, 트러니언 타입은, 밸브축의 양단을 밸브 본체에 설치한 베어링 구멍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도록 피벗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전체 폐쇄시에 볼 플러그가 1차측 유체압에 의해 2차측 시트 링으로 강하게 밀리지 않으며, 이 때문에 통상 볼 플러그와 1차측 시트 링의 접촉에 의해서만 씰하고, 2 차측의 시트 링을 생략한 구조를 취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참조). 이 중, 특히 본 발명은 후자의 트러니언 타입의 볼 밸브에 관한 것이다.
도 5에 종래의 트러니언형 볼 밸브의 씰 구조를 나타낸다.
동 도면에 있어서, 트러니언형 볼 밸브(1)(이하, 간단히 밸브(1)라고 칭한다)는, 제1의 유지 부재(3)를 1차측으로부터 용수철 등의 탄성 부재(4)에 의한 가압력으로 누르고, 이에 따라 시트 링(5)을 플러그(2)의 외주면의 착좌부에 누르는 것으로, 플러그(2)와 시트 링(5)의 간극(7)으로부터의 유체(8)의 누설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플러그(2)와 시트 링(5)이 접촉하고 있는 부분 A(이하, 간단히 접촉부 A라고 한다)의 위치와, 제1의 유지 부재(3)의 0링(씰 부재)(12)이 접촉하는 외주면의 부분 B(이하, 간단히 접촉부 B라고 한다)의 위치는, 밸브 본체(6)안의 유로(9)의 지름방향에 있어서 다르고, 접촉부 B가 유로 중심축선(10)으로부터 접촉부 A보다도 멀리 위치하고 있다. 즉, 유로(9)의 중심축선(10)으로부터 접촉부 A까지의 길이를 a로 하고, 유로 중심축선(10)으로부터 접촉부 B까지의 길이를 b로 하면, a<b로서, 1차측과 2차측의 유체 차압 P(=P1-P2)이 발생했을 경우, 시트 링(5)은 전술의 탄성 부재(4)의 가압력에 더하여, 수압 면적 S(= (b2-a2)×π)에 P를 곱한 힘 F(= (b2-a2)×πP)의 분만 플러그(2)에 밀 수 있게 된다. 또한, 11은 제1의 유지 부재(3)를 축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제2의 유지 부재로, 이 제2의 유지 부재(11)는, 외주면에 형성된 숫나사(14)가 밸브 본체(6)의 내벽면에 형성된 암나사(15)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밸브 본체(6)의 내벽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2의 유지 부재(11)는 밸브 본체(6)와 일체 구조로 해도 된다. 13은 플러그(2)를 회전 이동시키는 밸브축이다.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1-148565호
[특허문헌 2]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4-204946호
그러나,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종래의 밸브(1) 구조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 부재에 의한 가압력에 더하여, 수압면적차 S와 유체차압 P의 곱(S X P)에 의한 시트 링(5)의 플러그(2)에 대한 압력 F가 생기므로, 유체차압 P의 영향을 받아 압력 F도 커지고, 밸브의 조작 토크가 증대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플러그와 시트 링 간의 면압이 증대하면 시트 링의 마모량이 증가하기 쉬워지므로 시트 리크 성능이 저하한다는 문제도 있었다.
이 때문에, 밸브가 개방되고 있는 상태는 유체차압 P가 작아, 작은 조작 토크로 충분함에도 불구하고, 밸브가 전 폐쇄에서 최대 차압 상태가 된 경우에는, 큰 조작 토크가 필요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유체차압의 변동에 의한 플러그로의 압력 증대를 막는 것으로, 최대조작 토크가 작아, 시트 링의 마모량을 저감시키고, 시트 리크 성능을 향상시킨 밸브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밸브 본체의 유로 내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배치되어 상기 유로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플러그와, 상기 플러그의 착좌부가 접촉하는 시트 링과, 상기 시트 링을 유지하는 제1의 유지 부재와, 상기 밸브 본체의 내벽에 부착되어 상기 제1의 유지 부재를 축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제2의 유지 부재와, 상기 제1의 유지 부재와 상기 제2의 유지 부재 사이에 축선방향으로 압축된 상태에서 끼워져서 상기 제1의 유지 부재를 통해 상기 시트 링을 상기 플러그에 미는 탄성 부재와, 상기 제1의 유지 부재와 상기 제2의 유지 부재 사이에 지름방향으로 압축된 상태에서 끼워져서, 상기 제1의 유지 부재와 제2의 유지 부재의 간극을 씰 하는 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 본체의 유로중심축선으로부터 상기 플러그와 상기 시트 링의 접촉부까지의 거리와, 상기 유로중심축선으로부터 상기 제1의 유지 부재와 상기 씰 부재의 접촉부까지의 거리를 같게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밸브 본체의 유로 내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배치되어 상기 유로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플러그와, 상기 플러그의 착좌부가 접촉하는 시트 링과, 상기 시트 링을 유지하는 제1의 유지 부재와, 상기 밸브 본체의 내벽에 부착되어 상기 제1의 유지 부재를 축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제2의 유지 부재와, 상기 제1의 유지 부재와 상기 제2의 유지 부재 사이에 축선방향으로 압축된 상태에서 끼워져 상기 제1의 유지 부재를 통해 상기 시트 링을 상기 플러그에 미는 탄성 부재와, 상기 제1의 유지 부재와 상기 제2의 유지 부재 사이에 지름방향으로 압축된 상태에서 끼워져서, 상기 제1의 유지 부재와 제2의 유지 부재의 간극을 씰 하는 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 본체의 유로중심축선으로부터 상기 플러그와 상기 시트 링의 접촉부까지의 거리와, 상기 유로중심축선으로부터 상기 제2의 유지 부재와 상기 씰 부재의 접촉부까지의 거리를 같게 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유로중심축선으로부터 플러그와 시트 링의 접촉부까지의 거리와, 유로중심축선으로부터 제1의 유지 부재와 시트 부재의 접촉부까지의 거리를 같게 했기 때문에, 제1의 유지 부재로 1차측 유체압이 가해지는 수압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유체차압이 커져도, 시트 링의 플러그에 대한 압력이 증대하지 않는다. 그 결과, 조작 토크도 증대하지 않아, 시트 링의 마모도 적고, 밸브의 시트 리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유로중심축선으로부터 플러그와 시트 링의 접촉부까지의 거리와, 유로중심축선으로부터 제2의 유지 부재와 씰 부재의 접촉부까지의 거리를 대략 같게 하며, 마찬가지로 제1의 유지 부재의 1차측 유체압이 가해지는 수압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유체차압이 커져도, 시트 링의 플러그에 대한 압력이 증대하지 않는다. 그 결과, 조작 토크도 증대하지 않아, 시트 링의 마모도 적고, 밸브의 시트 리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나타내는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밸브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전체 폐쇄시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이들의 도면에 있어서, 전체를 참조 부호 30으로 나타내는 트러니언형의 밸브는, 내부가 유체(31)의 유로(32)를 형성하는 밸브 본체(33)와, 이 밸브 본체(33)의 내부중앙에 밸브 본체(33)의 축선(유로중심축선)(34)과 직교하는 면내에 있어서 회전이동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유로(32)를 개폐하는 볼 모양의 플러그(35)와, 이 플러그(35)를 밸브 본체(33)의 외부로부터 회 전 조작하는 밸브축(36)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밸브 본체(33)는, 양단부에 배관과의 접속부를 구성하는 플랜지부(37a, 37b)가 일체로 돌설되고, 윗면 중앙에는 상기 밸브축(36)이 관통하는 관통공(38)이 형성되어 있다. 밸브 본체(33)안의 유로(32)는, 상기 플러그(35)에 의해 1차측 유로 32A와 2차측 유로 32B로 구획되고 있다.
상기 플러그(35)는, 대략 둥근 모양의 중공체로 이루어지고, 내부가 관통 유로(40)를 형성하고, 유입공측 개구부(41)와 유출구측 개구부(도시 생략)를 가지고 있다. 관통 유로(40)의 유입공측 개구부(41)와 유출구측 개구부는, 플러그(35)의 주벽에 회전 방향으로 180°이간하여 설치된다. 플러그(35)의 외주면은, 구면형의 착좌부(44)를 형성하고 있으며, 윗면 중앙에는 상기 밸브축(36)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오목하게 들어간 부(45)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플러그(35)의 밑면 중앙에는, 축부재(46)가 축선을 밸브축(36)의 축선과 일치하도록 삽입되는 오목하게 들어간 부(4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축부재(46)는, 밸브 본체(33)의 밑면중앙에 설치한 베어링 부재(47)에 압입되고 있다.
상기 밸브 본체(33)의 관통공(38)에는, 통 모양의 덮개 부재(48)가 끼워지고 있다. 상기 밸브축(36)은, 상기 덮개 부재(48)에 씰 부재(49)를 통해 회전이 자유롭도록 관통되고, 밸브 본체(33)의 윗쪽으로 돌출하는 바깥 단부가 도시를 생략한 액추에이터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상기 플러그(35)를 화살표θ방향으로 대략 90°의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밸브 본체(33)의 내부에서 1차측 유로 32A에는, 상기 플러그(35)의 착 좌부(44)에 밀접하는 시트 링(50)과, 이 시트 링(50)을 유지하는 제1의 유지 부재(51)와, 이 제1의 유지 부재(51)를 축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제2의 유지 부재(52)와, 제1의 유지 부재(51)를 하류측으로 가압하여 시트 링(50)을 플러그(35)로 미는 탄성 부재로서의 용수철(53)과, 제1, 제2의 유지 부재(51, 52)사이를 씰 하는 0링(씰 부재)(54)이 설치되고 있으며, 이것들에 의해 시트 링부의 씰 구조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시트 링(50)은, 상기 플러그(35)의 유입공측 개구부(41)의 높이 치수보다 큰 내경(혹은 대략 같은 내경)을 가지고, 제1의 유지 부재(51)의 하류측 단면에 밀접되어 있다.
상기 제1의 유지 부재(51)는, 구멍지름이 전 길이에 걸쳐 대략 동일 지름으로 이루어지는 양단 개방의 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전반부가 두께가 얇은 부 51A를 형성하고, 후반부가 두께가 두꺼운 부 51B를 형성하고 있다. 두께가 얇은 부 51A의 외경은, 상기 시트 링(50)과 상기 플러그(35)의 접촉 지름과 대략 같게 설정되어 있다. 두께가 두꺼운 부 51B의 상류측 단면에는, 고리 형상의 홈으로 이루어져 상기 용수철(53)을 수납하는 제1의 수납부(5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두께가 두꺼운 부 51B의 외주면에는, 하류측으로 연장하여 상기 시트 링(50)의 외주를 덮는 얇은 두께의 원통체(56)가 부착되어 있다. 이 원통체(56)의 하류측 단부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부(56A)가 일체로 설치된다. 이 때문에, 원통체(56)와 두께가 두꺼운 부 51B의 하류측 단면 사이에는, 시트 링(50)을 수납하는 고리 형상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시트 링(50)의 지름방향 및 축선방향의 이동을 규제하고 있다.
상기 제2의 유지 부재(52)는, 통 모양체로 형성되어 중앙부가 두께가 두꺼운 부 52A를 형성하고, 그 외주면에는 밸브 본체(33)의 내벽에 형성된 암나사(60)에 나사 결합하는 숫나사(61)가 형성되어 있다. 제2의 유지 부재(52)의 두께가 두꺼운 부 52A의 전반부 내주면에는, 제1의 유지 부재(51)의 두께가 얇은 부 51A의 상류측 단면 51a에 대향하는 돌기부 52B가 일체로 돌설되어 있다. 또한 두께가 두꺼운 부 52A는, 상기 제1의 유지 부재(51)의 두께가 얇은 부 51A의 외경과 대략 같은 내경을 가지고, 그 내주면에 상기 0링(54)을 지름방향으로 압축시킨 상태에서 수납하는 고리 형상의 홈으로 이루어지는 제2의 수납부(6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두께가 두꺼운 부 52A의 외주면에는, 하류측으로 연장하는 얇은 두께의 고리 모양부 52C가 일체로 돌설되고 있으며, 이 고리 모양부 52C에 상기 제1의 유지 부재(51)의 두께가 두꺼운 부 51B가 미끄럼 이동이 자유롭도록 끼워져 삽입되고 있다. 그리고 두께가 두꺼운 부 52A의 하류측 단면은, 상기 용수철(53)을 축선방향으로 누르는 가압면(64)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유지 부재(52)는 밸브 본체(33)와 일체 구조로 해도 된다.
상기 0링(54)은, 상기 제2의 수납부(63)안에 제1, 제2의 유지 부재(51, 52)에 의해 지름방향으로 압축된 상태에서 수납됨으로써, 상기 제1의 유지 부재(51)의 두께가 얇은 부 51A의 외주면으로 눌리고 있으며, 이로써 제1의 유지 부재(51)의 두께가 얇은 부 51A의 외주면과 제2의 유지 부재(52)의 두께가 두꺼운 부 52A의 내주면 사이의 간극을 씰 하고 있다. 두께가 얇은 부 51A는, 0링(54)의 유로중심축선(34)에 대하여 직각 안쪽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고 있다. 제2의 수납부(63)는, 0 링(54)의 유로중심축선(34)에 대하여 직각 바깥쪽 방향의 이동 및 유로중심축선(34)과 평행한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밸브(30)에 있어서, 도 1은 밸브(30)의 전 폐쇄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로부터 밸브축(36)에 의해 플러그(35)를 도 1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서서히 회전운동시키면, 유입측 개구부(41)가 1차측 유로 32A에 서서히 연속해서 통하고, 유출측 개구부가 2차측 유로 32B에 서서히 연속해서 통해가므로, 유체(31)가 1차측 유로 32A로부터 플러그(35)의 관통 유로(40)를 거쳐 2차측 유로 32B로 흐르기 시작한다. 그리고, 플러그(35)를 최대 각도(대략 90°)회전 이동시키면, 밸브(30)는 전체 개방상태가 된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시트 링(50)을 용수철(53)에 의해 플러그(35)로 누르고, 0링(54)을 제2의 수납부(63)안에 압축 상태로 수납하고 있기 때문에, 밸브 전체 폐쇄시에 있어서의 유체(31)의 2차측 유로 32B측으로의 누설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밸브 본체(33)의 유로중심축선(34)으로부터 플러그(35)와 시트 링(50)의 접촉부 A까지의 거리 a와, 상기 유로중심축선(34)으로부터 제1의 유지 부재(51)와 0링(54)의 접촉부 B까지의 거리, 바꿔 말하면 유로중심축선(34)으로부터 제1의 유지 부재(51)의 두께가 얇은 부 51A의 외주면까지의 거리 b1을 대략 같게 하고 있으므로 (a=b1), 유체차압 P(=P2-P1)에 의한 시트 링(50)의 플러그(35)에 대한 압력 F를 작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밸브(30)는, 밸브 본체(33)의 유로중심축선(34)으로부터 플러그(35)와 시트 링(50)의 접촉부 A까지의 거리 a를 바꾸지 않고 종래와 같은 값으로 하는 한편, 유로중심축선(34)으로부터 제1의 유지 부재(51)의 두께가 얇은 부 51A의 외주면까지의 거리 b1을 상기 거리 a와 대략 같게 했기 때문에, 원통체(56)에 의해 일체가 된 제1의 유지 부재(51) 및 시트 링(50)의 1차측 유체압 P1이 가해지는 수압 면적 S1은, (b1 2-a1 2)×π가 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b1과 a는 대략 같게 하고 있기 때문에, 이 수압 면적 S1은 대략 0이 되어, 유체(31)의 1차측과 2차측의 유체차압 P(=P1-P2)의 변동에 의해 조작 토크가 증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 토크가 작은 액추에이터를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구경이 큰 밸브나 차압 사양이 큰 밸브가 되면 될수록 그 효과는 현저하다.
또한 시트 링(50)의 플러그(35)에 대한 압력 F는, 유체(31)의 1차측과 2차측의 유체차압 P(=P1-P2)의 변동에 의해 증대하지 않기 때문에, 플러그(35)의 착좌부(44)나 시트 링(50)의 마모가 적어, 밸브(3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의한 밸브(30)와 도 5에 나타낸 종래의 밸브(1)에 의한 조작 토크의 실험 데이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가로축은 유체의 1차측과 2차측의 차압(MPa)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조작 토크(Nm)를 나타낸다. 도면 중, 실선 I는 본 실시예에 의한 밸브(30)의 조작 토크, 점선 II는 종래 밸브(1)의 조작 토크이다. 이 도면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밸브(30)에 의하면, 종래 의 밸브(1)에 비하여 조작 토크를 최대로 5%정도 삭감할 수 있다. 이것은 곧, 밸브 본체(33)의 유로중심축선(34)으로부터 플러그(35)와 시트 링(50)의 접촉부 A까지의 거리 a와, 상기 유로중심축선(34)으로부터 제1의 유지 부재(51)와 0링(54)의 접촉부 B까지의 거리 b1를 대략 같게 하여, 유체차압 P에 의해 시트 링(50)이 플러그로 밀렸을 때의 수압 면적 S1을 작게 한 것에 의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밸브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1 및 도 2와 동일 구성부재의 것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가지고 나타내고, 그 설명을 적절히 생략한다. 이 실시예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밸브를 나타내는 것이며, 제1의 유지 부재(51)의 두께가 얇은 부 51A의 외주면과 제2의 유지 부재(52)의 두께가 두꺼운 부 52A의 내주면에 오목부(71, 72)를 각각 형성하여 이들 오목부에 의해 0링(54)을 수납하는 고리 형상의 제2의 수납부(70)를 형성한 점과, 밸브 본체(33)의 유로중심축선(34)으로부터 플러그(35)와 시트 링(50)의 접촉부까지의 거리 a와, 유로중심축선(34)으로부터 제2의 유지 부재(52)와 0링(54)의 접촉부 B까지의 거리 b2를 같게(a=b2) 한 점이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밸브(30)와 다르다.
상기 오목부 71은, 제1의 유지 부재(51)의 두께가 얇은 부 51A의 외주면에 형성된 상류측 및 밸브 본체(33)의 지름방향 외측의 2방향으로 개방하는 고리 형상 오목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오목부 71은, 제2의 유지 부재(52)의 두께가 두꺼운 부 52A의 내주면에 형성된 하류측 및 밸브 본체(33)의 지름방향 내측의 2방향으로 개방하는 고리 형상 오목부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오목부 71, 72로 구성된 제2의 수납부(70)는, 유로중심축선(34)과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 대항하는 앞벽 70a와 뒷벽 70b로 0링(54)의 유로중심축선(34)에 평행한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고, 제2의 수납부(70)의 유로중심축선(34)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윗벽 70c와 아래벽 70d로 0링(54)의 유로중심축선(34)과 직교하는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도, 밸브 본체(33)의 유로중심축선(34)으로부터 플러그(35)와 시트 링(50)의 접촉부 A까지의 거리 a와, 유로중심축선(34)으로부터 제1의 유지 부재(51)와 0링(54)의 접촉부 B까지의 거리 b2를 대략 같게 설정하여 1차측 유체압 P1을 받는 제1의 유지 부재(51)의 수압 면적을 작게 했기 때문에,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밸브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전체 폐쇄시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조작 토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밸브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종래의 밸브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2방 볼 밸브 2 : 플러그
3 : 제1의 유지 부재 4 : 용수철
5 : 시트 링 6 : 밸브 본체
9 : 유로 10 : 유로중심축선
11 : 제2의 유지 부재 12 : O링
13 : 밸브축 30 : 밸브
33 : 밸브 본체 34 : 유로중심축선
35 : 플러그 36 : 밸브축
50 : 시트 링 51 : 제1의 유지 부재
52 : 제2의 유지 부재 53 : 용수철
54 : 0링 55 : 제1의 수납부
63, 70 : 제2의 수납부

Claims (2)

  1. 밸브 본체의 유로 내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설치되어 상기 유로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플러그와,
    상기 플러그의 착좌부가 접촉하는 시트 링과,
    상기 시트 링을 유지하는 제1의 유지 부재와,
    상기 밸브 본체의 내벽에 부착되어 상기 제1의 유지 부재를 축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제2의 유지 부재와,
    상기 제1의 유지 부재와 상기 제2의 유지 부재 사이에 축선방향으로 압축된 상태에서 끼워져 상기 제1의 유지 부재를 통해 상기 시트 링을 상기 플러그에 미는 탄성 부재와,
    상기 제1의 유지 부재와 상기 제2의 유지부재 사이에 지름방향으로 압축된 상태에서 끼워져, 상기 제1의 유지 부재와 제2의 유지 부재의 간극을 씰 하는 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 본체의 유로중심축선으로부터 상기 플러그와 상기 시트 링의 접촉부까지의 거리와, 상기 유로중심축선으로부터 상기 제1의 유지 부재와 상기 씰 부재의 접촉부까지의 거리를 같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2. 밸브 본체의 유로 내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설치되어 상기 유로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플러그와,
    상기 플러그의 착좌부가 접촉하는 시트 링과,
    상기 시트 링을 유지하는 제1의 유지 부재와,
    상기 밸브 본체의 내벽에 부착되어 상기 제1의 유지 부재를 축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유지하는 제2의 유지 부재와,
    상기 제1의 유지 부재와 상기 제2의 유지 부재 사이에 축선방향으로 압축된 상태에서 끼워져 상기 제1의 유지 부재를 통해 상기 시트 링을 상기 플러그에 미는 탄성 부재와,
    상기 제1의 유지 부재와 상기 제2의 유지 부재 사이에 지름방향으로 압축된 상태에서 끼워져, 상기 제1의 유지 부재와 제2의 유지 부재의 간극을 씰 하는 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 본체의 유로중심축선으로부터 상기 플러그와 상기 시트 링의 접촉부까지의 거리와, 상기 유로중심축선으로부터 상기 제2의 유지 부재와 상기 씰 부재의 접촉부까지의 거리를 같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KR1020080021842A 2007-03-20 2008-03-10 밸브 KR200800856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072537 2007-03-20
JP2007072537A JP2008232260A (ja) 2007-03-20 2007-03-20 バルブ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5699A true KR20080085699A (ko) 2008-09-24

Family

ID=39905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1842A KR20080085699A (ko) 2007-03-20 2008-03-10 밸브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8232260A (ko)
KR (1) KR20080085699A (ko)
CN (1) CN101270822B (ko)
TW (1) TW20090511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2174A (ko) * 2015-11-04 2017-05-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홀딩 시트를 갖는 볼 밸브
KR20170054669A (ko) * 2015-11-10 2017-05-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홀딩 시트를 갖는 볼 밸브
KR102182337B1 (ko) * 2020-07-03 2020-11-24 주식회사 대한시브이디 트루니언 타입의 볼 밸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97072B2 (ja) * 2010-05-20 2015-04-08 ペンテア フロー サーヴィシーズ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ボールバルブ
JP5806871B2 (ja) * 2011-07-27 2015-11-10 株式会社ケーヒン 弁装置
CN103234059A (zh) * 2013-05-15 2013-08-07 岳阳东方自控工程设备有限公司 弹性膜片式硬密封阀座球阀
CN104019247A (zh) * 2014-06-05 2014-09-03 张家港富瑞特种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球阀的过流阀瓣
JP6432433B2 (ja) 2014-07-07 2018-12-05 株式会社デンソー バルブ装置
JP6380073B2 (ja) * 2014-12-12 2018-08-29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冷媒制御バルブ装置
JP2017133616A (ja) 2016-01-28 2017-08-03 株式会社デンソー 弁装置
JP6460012B2 (ja) 2016-03-03 2019-01-30 株式会社デンソー バルブ装置
CN105909818B (zh) * 2016-06-16 2018-05-11 五洲阀门股份有限公司 一种耐腐蚀球阀及其制作方法
KR101872683B1 (ko) * 2017-12-05 2018-06-29 (주)비티엑스 자동 맞춤 기능을 갖는 볼밸브
US10544868B2 (en) * 2018-02-14 2020-01-28 Fisher Controls International Llc Ball valve having an adjustable trim arrangement
JP7172749B2 (ja) * 2019-03-06 2022-11-16 株式会社デンソー バル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15579B1 (ko) * 1970-12-25 1974-04-16
JPS5853230B2 (ja) * 1978-05-25 1983-11-28 株式会社日阪製作所 バルブにおけるシ−ル部スプリングの保護構造
JPH04136567A (ja) * 1990-09-25 1992-05-11 Yamatake Honeywell Co Ltd 回転型弁
IT1277580B1 (it) * 1995-09-14 1997-11-11 Nuovo Pignone Spa Dispositivo perfezionato di movimentazione delle sedi di una valvola a sfera
CN2388432Y (zh) * 1999-09-03 2000-07-19 营口流体设备制造(集团)有限公司 固定式半球阀
CN2391062Y (zh) * 1999-11-11 2000-08-09 朱国民 一种固定式球阀
CN2758568Y (zh) * 2004-11-03 2006-02-15 江苏神通阀门有限公司 一种固定式球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2174A (ko) * 2015-11-04 2017-05-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홀딩 시트를 갖는 볼 밸브
KR20170054669A (ko) * 2015-11-10 2017-05-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홀딩 시트를 갖는 볼 밸브
KR102182337B1 (ko) * 2020-07-03 2020-11-24 주식회사 대한시브이디 트루니언 타입의 볼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36380B (ko) 2011-01-21
JP2008232260A (ja) 2008-10-02
CN101270822B (zh) 2010-04-14
TW200905111A (en) 2009-02-01
CN101270822A (zh) 2008-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85699A (ko) 밸브
EP1853837B1 (en) Fluid flow control valve with high temperature bi-directional shutoff
US3778029A (en) Ball valve
CA1192177A (en) Valve assembly and seat
US8113484B2 (en) High temperature ball valve seal
AU2016277653B2 (en) Hemi-wedge verifiable shutoff valve
US7506858B2 (en) Tube-end butterfly metering and shutoff valve
WO2003081098A1 (en) Fluid flow control valve with bi-directional shutoff
US20050012065A1 (en) Balanced plug valve
RU2618634C1 (ru) Шаровой кран
EP2580504B1 (en) Face sealing annular valve for a fluid-working machine
JP2005069463A (ja) 高温用ケージ弁
CN211288787U (zh) 控制阀、流体阀控制元件、阀组件和阀
JP2005114116A (ja) 二方ボール弁
JP6367078B2 (ja) バタフライ弁の止水構造
WO2019140855A1 (zh) 一种固定球阀
CS209184B1 (en) Butterfly valve
JP2022170191A (ja) ボールバルブ
JP2002323165A (ja) 流体開閉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1126

Effective date: 20110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