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5254A - 스케이트보드 - Google Patents

스케이트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5254A
KR20080085254A KR1020070026435A KR20070026435A KR20080085254A KR 20080085254 A KR20080085254 A KR 20080085254A KR 1020070026435 A KR1020070026435 A KR 1020070026435A KR 20070026435 A KR20070026435 A KR 20070026435A KR 20080085254 A KR20080085254 A KR 20080085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steering
skateboard
wheel assembly
rotat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6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6155B1 (ko
Inventor
김용원
Original Assignee
김용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원 filed Critical 김용원
Priority to KR1020070026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6155B1/ko
Publication of KR20080085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5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6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6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12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driv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2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in two pai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14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brakes, e.g. toe stoppers, freewheel roller clutches
    • A63C17/1409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brakes, e.g. toe stoppers, freewheel roller clutches contacting one or more of the wheels
    • A63C17/1418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brakes, e.g. toe stoppers, freewheel roller clutches contacting one or more of the wheels with radial movement against the roll surface of the whee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42Details of chassis of ice or roller skates, of decks of skateboards

Landscapes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상의 발판부재와, 상기 발판부재의 전방에 마련되고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결합되는 조향휠 어셈블리와, 발판부재의 후방에 마련되어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 구동력이 발생되는 구동휠 어셈블리와, 자동 권취기에서 권출되는 구동로프를 이용하여 상기 구동휠 어셈블리에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수단으로 구성되어, 초보자들도 손쉽게 배우거나 즐길 수 있도록 손으로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고, 원활한 방향전환이 가능하며, 보다 안전한 주행을 즐길 수 있는 스케이트보드를 제공한다.
스케이트보드, 조향휠 어셈블리, 스러스트베어링, 구동휠 어셈블리, 원웨이클러치 베어링

Description

스케이트보드{Skateboard}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스케이트보드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A-A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B-B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C-C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스케이트보드의 조향수단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스케이트보드의 제동수단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스케이트보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종래의 스케이트보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스케이트보드 110 : 발판부재
120 : 조향휠 어셈블리 130 : 조향수단
140 : 구동휠 어셈블리 150 : 원웨이 클러치 베어링
160 : 구동수단 170 : 제동수단
본 발명은 스케이트보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구동로프를 당겨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회전 구동력을 이용하여 추진력을 얻는 스케이트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케이트보드는 가늘고 긴 널빤지의 저면 전후에 4개의 휠을 달아 달릴 수 있도록 한 놀이기구로, 한 발은 널빤지에 올려놓고 다른 발로 땅을 차거나 두 발을 널빤지에 올려놓고 그 중 한 발을 지그재그로 움직여 추진력을 얻거나, 추진력을 얻어 달리는 놀이기구이다.
첨부된 도 9는 종래의 스케이트보드를 도시한 사시도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스케이트보드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스케이트보드(10)는 상면에 사용자가 두 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되 양단이 상향으로 절곡된 판상의 발판부재(12)와, 상기 발판부재(120)의 저면 전후에 각각 마련되는 고정부재(14)와, 중앙부가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는 샤프트(16)와, 상기 샤프트(16)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휠(18f, 18r)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스케이트보드(10)는, 사용자가 발판부재(12)의 상면에 한 발을 올려놓고 다른 발로 지면을 차서 추진력을 얻은 후, 어느 정도 속도가 붙으면 두 발을 모두 발판부재(12)에 올려놓고 주행을 하게 된다.
한편, 주행 중인 스케이트보드(10)의 방향을 제어하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체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여 주행방향을 제어하되, 급격한 회전이 요구될 때에는 발판부재(12) 뒤쪽을 살짝 눌러 뒤쪽 휠(18r)을 중심으로 스케이트보드를 약간 들어 올려 회전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스케이트보드(10)는 추진력을 얻기 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한 발로 땅을 차거나 한 발을 지그재그로 움직여야 하므로 동작이 매우 어렵고 힘이 많이 들며, 중심을 잡기도 용이하지 못하다. 특히, 초보자의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여 스케이트보드(10)를 손쉽게 즐길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스케이트보드(10)는 방향 제어를 위해 상체를 기울이거나 스케이트보드의 앞쪽을 들어 올려야 하는데, 이 동작 또한 쉽지 아니하며 중심을 잡기 힘들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스케이트보드(10)는 별도의 제동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아니하므로 다른 놀이기구, 예를 들어 자전거 또는 킥보드 등에 비하여 안전성이 매우 낮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동로프를 당겨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회전 구동력을 이용하여 추진력을 얻는 스케이트보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활한 방향전환이 가능하도록 조향수단을 구비하는 스케이트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후륜에 제동수단을 마련하여 보다 안전한 주행을 즐길 수 있는 스케이트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스케이트보드는, 판상의 발판부재와, 상기 발판부재의 전방에 마련되고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결합되는 조향휠 어셈블리와, 발판부재의 후방에 마련되어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 구동력이 발생되는 구동휠 어셈블리와, 자동 권취기에서 권출되는 구동로프를 이용하여 상기 구동휠 어셈블리에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구동휠 어셈블리는, 내부가 중공인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을 관통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 각각 마련되는 구동휠과, 회전축의 중단에 결합되고 외주면에 구동로프가 권취되는 로프드럼과, 상기 로프드럼과 회전축 사이에 구비되는 원웨이 클러치 베어링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조향휠 어셈블리는, ∩자형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의 수평부재와 발판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스러스트베어링과, 브래킷의 수직부재를 관통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 각각 마련되는 조향휠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 중 공지된 구성 및 그 구성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스케이트보드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 고, 도 3 내지 도 5는 도 1에 도시된 A-A, B-B, C-C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스케이트보드의 조향수단과 제동수단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스케이트보드(100)의 일실시예는, 발판부재(110)와, 상기 발판부재(110)의 저면 전방에 마련되는 조향휠 어셈블리(120)와, 상기 조향휠 어셈블리(120)와 연결되어 주행방향을 변경시키는 조향수단(130)과, 발판부재(110)의 저면 후방에 마련되는 구동휠 어셈블리(140)와, 상기 구동휠 어셈블리(140)에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수단(160)으로 구성된다.
이 중에서 상기 발판부재(110)는 사용자가 발을 올려놓기 위한 부분으로 소정의 두께, 폭 및 길이를 갖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형태의 상기 발판부재(110)는 일반적인 스케이트보드의 발판부재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스케이트보드(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조향휠 어셈블리(120)는 스케이트보드(100)의 주행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조향수단(130)과 연결된다. 그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조향휠 어셈블리(12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재의 양단부를 직각으로 절곡하여 하나의 수평부재(121)와 한 쌍의 수직부재(122)를 갖는 ∩자형 브래킷(123)과, 상기 브래킷(123)이 가상의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수평부재(121)와 발 판부재 사이(110)에 구비되는 스러스트베어링(124)과, 브래킷(123)의 수직부재(122)를 관통하는 회전축(125)과, 상기 회전축(125)의 양단에 각각 마련되는 조향휠(126)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브래킷(123)의 수직부재(122)는 하단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휘어지는 호(弧)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조향휠(126)의 그 회전 중심(상기 회전축(125)의 중심)은 상기 브래킷(123)의 회전 중심(가상의 수직축)보다 후방에 위치하게 되므로, 그들(조향휠(126)의 회전 중심 및 브래킷(123)의 회전 중심)이 동일선 상에 위치될 때보다 주행방향을 더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브래킷(123)이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발판부재(110)와 브래킷(123) 사이에 구비되는 스러스트베어링(124)은 내부에 마련된 다수의 볼에 의해 회전되는 일반적인 구조의 스러스트베어링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조향휠 어셈블리(120)와 연결되어 스케이트보드(100)의 주행방향을 변경시키는 상기 조향수단(13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판부재(도 3의 110)를 관통하여 상기 브래킷(도 3의 123)의 수평부재(도 3의 121)에 연결되는 조향축(131)과, 상기 조향축(131)의 상단에 마련되는 핸들(132)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조향축(131)은, 하단이 상기 브래킷(123)의 수평부재(121)에 연결되는 제 1 단위 조향축(133)과, 하단이 상기 제 1 단위 조향축(133)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고 상단에 상기 핸들(132)이 마련되는 제 2 단위 조향축(134)과, 상기 제 1 및 제 2 단위 조향축(133, 134)의 연결부위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덮개(135)로 구성된 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조향축(131)은 그를 구성하는 한 쌍의 단위 조향축(133, 134)이 힌지 결합되어 필요에 따라 접고 펴는 것이 가능하므로 스케이트보드(100)의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다. 이때, 상기 덮개(135)는 상기 제 1 및 제 2 단위 조향축(133, 134)의 연결부위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바, 먼저 덮개(135)를 이동시켜 제 1 및 제 2 단위 조향축(133, 134)의 연결부위가 노출되도록 한 후 접어야만 한다.
한편, 상기 제 1 및 제 2 단위 조향축(133, 134)의 연결부위로부터 상하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는 제 1 및 제 2 걸림턱(136, 137)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걸림턱(136, 137) 사이에는 상기 덮개(135)가 위치되며, 상기 제 2 걸림턱(137)과 덮개(134) 사이에는 상기 덮개를 하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138)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덮개(135)는 사용자가 힘을 가할 경우에만 이동하여 제 1 및 제 2 단위 조향축(133, 134)의 연결부위가 노출되도록 한다. 즉,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상기 덮개(135)는 제 1 및 제 2 단위 조향축(133, 134)의 연결부위를 감싸게 된다.
상기 구동휠 어셈블리(140)는 상기 구동수단(150)과 연결되어 스케이트보드(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부분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판부재(110)의 저면 후방에 마련된다. 그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구동휠 어셈블리(140)는, 하우징(141)과, 상기 하우징(141)의 양측면을 관통하는 회전축(142)과, 상기 회전축(142)의 양단에 각각 마련되는 구동휠(143)과, 회전축(142)의 중단에 결합되고 외주면에 후술할 구동로프(162)가 권취되는 로프드럼(144)과, 상기 로프드럼(144)과 회전축(142) 사이에 구비되는 원웨이 클러치 베어링(150)으로 구성된다.
이 중에서 상기 하우징(141)은 내부가 중공인 직육면체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상기 로프드럼(144)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41)의 전면과 후면에는 상기 구동로프(162)가 하우징(141)의 외부에서 인입되어 상기 로프드럼(144)에 권취된 후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인입공(도 5의 146)과 인출공(도 5의 147)이 각각 마련된다.
이때, 상기 로프드럼(144)과 회전축(142) 사이에 마련되는 원웨이 클러치 베어링(150)은 일방향으로만 회전력을 전달하고 그 역방향으로는 회전력을 전달하지 않는 베어링은 말한다. 즉, 상기 원웨이 클러치 베어링(150)은 구동로프(162)를 당겨 상기 로프드럼(144)이 도면의 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할 경우에만 상기 회전축(142)을 회전시키고, 그 역방향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회전축(142)을 회전시키지 않는다.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한 원웨이 클러치 베어링(150)의 구조를 살펴보면, 외주면에는 6개의 지지홈(151)이 형성되는 내륜(152)과, 상기 지지홈(151)의 외측에 선택적으로 위치되는 6개의 롤러(153)와, 상기 내륜(152)과 동일한 회전 중심을 갖되 직경이 큰 외륜(154)과, 상기 내륜(152) 및 외륜(154) 사이에 마련되는 6개의 지지판(155)과, 상기 지지판(155)에 고정되는 스프링(156)으로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원웨이 클러치 베어링(150)은 상기 로프드럼(144)과 접촉되는 외륜(154)이 도면의 화살표 방향(a1)으로 회전하며, 그 내부에 마련된 롤러(153)가 지지홈(151) 을 벗어나 외륜(154)과 내륜(152) 사이에 끼여 내륜(152)과 접촉하는 회전축(142)을 회전시킨다. 반대로, 상기 외륜(154)이 화살표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롤러(153)가 지지홈(151)에 안착되어 내륜(152)이 회전되지 아니한다.
한편, 내부에 폴(Pawl)을 구비하는 래칫휠(Ratchet Wheel)과 같은 일반적인 원웨이 전동(傳動)수단을 사용할 경우에도 상기 원웨이 클러치 베어링(150)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수단(160)은, 상기 발판부재(110)의 저면 중앙에 마련되는 자동 권취기(161)와, 상기 자동 권취기(161)에서 권출되어 상기 로프드럼(144)에 권취된 후 상기 발판부재(110)의 상부로 돌출되는 구동로프(162)와, 발판부재(110)의 후방에 마련되어 상기 구동로프(162)의 이동을 안내하는 아이들 롤러(163)와, 상기 구동로프의 일단에 마련되는 손잡이(164)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자동 권취기(161)는 내부에 나선형 스프링이 마련된 일반적인 형태의 권취기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상기 자동 권취기(161)에서 인출된 구동로프(162)는 자동 권취기(161)에 되감기는 방향으로 항상 힘을 받는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스케이트보드(100)에는 제동수단(170)이 마련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스케이트보드(100)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그 중단이 상기 발판부재(110)에 힌지 결합되는 레버(171)와, 상기 레버(171)의 타단에 마련되고 그 회전 시 구동휠(143)과 접촉되는 브레이크 패드(172)로 구성되는 상기 제동수단(170)은 기 출원된 스케이트보드 및 킥보드에 마련된 제동수단과 동 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스케이트보드(100)의 회전 구동력 발생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 우선, 사용자가 스케이트보드(100)의 발판부재(110)에 올라 선 상태에서 손잡이(164)를 당기면 상기 손잡이(164)와 연결된 구동로프(162)가 도면의 화살표 방향(a2)으로 당겨지게 된다. 이렇게 손잡이(164)에 의해 당겨진 상기 구동로프(162)는 그가 권취된 로프드럼(144)을 도면의 화살표 방향(a1)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로프드럼(144)과 접촉되는 원웨이 클러치 베어링(150)은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은 이유로 구동휠 어셈블리(140)의 회전축(142)을 회전시키며, 이에 따라 구동휠(143)이 회전하여 스케이트보드(100)를 움직이게 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잡이(164)를 밀면 상기 구동로프(162)는 이완되고, 상기 로프드럼(144)은 화살표 방향(a1)의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상기 원웨이 클러치(150)는 회전축(142)과 별도로 공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휠(143)은 화살표 방향(a1)으로 계속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스케이트보드(100)는 주행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손잡이(164)를 반복하여 당길 경우 스케이트보드(100)는 더 빠른 속도로 주행하되, 스케이트보드를 감속 또는 제동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제동수단(170)의 레버(171)를 밟아 브레이크 패드(172)가 구동휠(143)과 접촉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스케이트보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스케이트보드(200)의 다른 실시예 는 발판부재(210)와, 상기 발판부재(210)의 저면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마련되는 제 1 및 제 2 구동휠 어셈블리(220, 230)와, 상기 제 1 및 제 2 구동휠 어셈블리(220, 230)에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 1 및 제 2 구동수단(240, 250)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스케이트보드(200)의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이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이때, 각 구성요소는 상기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제 1 구동수단(240)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구동휠 어셈블리(220)에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면 스케이트보드(200)는 후방으로 주행하고, 상기 제 2 구동수단(250)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구동휠 어셈블리(230)에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면 스케이트보드(200)는 전방으로 주행한다. 다시 말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구동수단(240, 250)을 조작하면 스케이트보드(200)를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보드의 구성 및 회전 구동력 발생과정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스케이트보드는, 구동로프, 원웨이 클러치 베어링 및 자동 권취기를 사용하여 손으로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초보자들도 손쉽게 배우거나 즐길 수 있다. 또한, 조향수단이 별도로 마련되어 초보자들도 원활한 방향전환이 가능하며, 후륜에 제동수단을 마련하여 보다 안전한 주행을 즐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판상의 발판부재와;
    상기 발판부재의 전방에 마련되고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결합되는 조향휠 어셈블리와;
    발판부재의 후방에 마련되어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 구동력이 발생되는 구동휠 어셈블리와;
    자동 권취기에서 권출되는 구동로프를 이용하여 상기 구동휠 어셈블리에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수단;
    을 포함하되, 상기 구동휠 어셈블리는, 내부가 중공인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을 관통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 각각 마련되는 구동휠과, 회전축의 중단에 결합되고 외주면에 구동로프가 권취되는 로프드럼과, 상기 로프드럼과 회전축 사이에 구비되는 원웨이 클러치 베어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보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향휠 어셈블리는, ∩자형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의 수평부재와 발판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스러스트베어링과, 브래킷의 수직부재를 관통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 각각 마련되는 조향휠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보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브래킷의 수평부재에 연결되는 조향축과, 상기 조향축의 상단에 마련되는 핸들로 구성되는 조향수단을 더 포함하는 스케이트보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조향축은, 상기 브래킷의 수평부재에 연결되는 제 1 단위 조향축과, 하단이 상기 제 1 단위 조향축에 힌지 결합되고 상단에 핸들이 마련되는 제 2 단위 조향축과, 상기 제 1 및 제 2 단위 조향축의 연결부위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덮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보드.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부로 돌출되도록 그 중단이 상기 발판부재에 힌지 결합되는 레버와, 상기 레버의 타단에 마련되고 레버 회전 시 구동휠과 접촉되는 브레이크 패드로 구성되는 제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스케이트보드.
KR1020070026435A 2007-03-19 2007-03-19 스케이트보드 KR100886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6435A KR100886155B1 (ko) 2007-03-19 2007-03-19 스케이트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6435A KR100886155B1 (ko) 2007-03-19 2007-03-19 스케이트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5254A true KR20080085254A (ko) 2008-09-24
KR100886155B1 KR100886155B1 (ko) 2009-02-27

Family

ID=40025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6435A KR100886155B1 (ko) 2007-03-19 2007-03-19 스케이트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61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545Y1 (ko) * 2009-09-11 2012-02-27 김범진 스케이트보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7543B1 (ko) 2018-05-11 2018-10-12 강신대 자가 구동형 유희 운동기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26877U (ko) 1979-03-06 1980-09-08
KR20060115984A (ko) * 2006-10-23 2006-11-13 주진중 스케이트보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545Y1 (ko) * 2009-09-11 2012-02-27 김범진 스케이트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6155B1 (ko) 2009-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36288B2 (en) Street board
US7441633B2 (en) Apparatus for automatic brake of walking support machine
KR100886155B1 (ko) 스케이트보드
US5016726A (en) Self-propulsion device for skateboards or the like
KR100893678B1 (ko) 인라인 보드식 롤키
US4515362A (en) Exercise tricycle
KR200387393Y1 (ko) 스케이트보드
KR101243264B1 (ko) 유희용 운동기구
KR101907543B1 (ko) 자가 구동형 유희 운동기구
KR102475678B1 (ko) 체험 관람용 라이더를 위한 드라이브 장치
KR200261770Y1 (ko) 킥보드
KR101182210B1 (ko) 발판 구동 주행용 보드
KR200225665Y1 (ko) 절첩식 소형 자전거
KR101008390B1 (ko) 탑승용 기구
KR101008391B1 (ko) 탑승용 기구
KR20190140395A (ko) 삼륜탑승기구
KR200240030Y1 (ko) 킥보드의 동력전달구조
KR20080000213U (ko) 페달 스쿠터
KR200387428Y1 (ko) 밀어서 나아가는 구름판
KR101532475B1 (ko) 트라이크
KR20240014115A (ko) 어린이 자전거
WO2021000838A1 (zh) 一种带拉线推进器的滑板
KR20120017168A (ko) 자가구동식 스케이트보드
KR100553134B1 (ko) 자기동력발생장치를 구비한 킥보드
JP6461185B2 (ja) ノンフォール型走行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