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5162A - 팽창식 에어백 - Google Patents

팽창식 에어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5162A
KR20080085162A KR1020087016795A KR20087016795A KR20080085162A KR 20080085162 A KR20080085162 A KR 20080085162A KR 1020087016795 A KR1020087016795 A KR 1020087016795A KR 20087016795 A KR20087016795 A KR 20087016795A KR 20080085162 A KR20080085162 A KR 200800851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vent
tube
fabric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6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2718B1 (ko
Inventor
클라우디아 사거
Original Assignee
오토리브 디벨로프먼트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토리브 디벨로프먼트 에이비 filed Critical 오토리브 디벨로프먼트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080085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5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2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2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9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팽창식 에어백으로서, 상기 에어백에는 에어백의 직물에 형성된 제어가능한 벤트가 제공된다. 상기 벤트는 에어백의 직물에 형성된 홀(hole)과 상기 에어백 내에 배치된 자유 단부까지 이어진 상기 홀로부터 에어백의 내측으로 연장된 가요성의 벤트 튜브를 구비한다. 상기 벤트 튜브의 자유 단부는 페쇄된 조건하에서 벤트를 유지하기 위하여 에어백 내에서 구속되지만 벤트를 개방하기 위하여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해제될 수 있다. 상기 벤트 튜브는 상기 홀 주위의 에어백 직물의 내측 표면에 고정되며 상기 튜브의 고정 단부보다는 튜브의 자유 단부에서 더 작은 테이퍼진 단면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벤트 튜브는 상기 홀의 주변부 주위에서 연장되며 상기 벤트 튜브 내에 배치된 스트치에 의해 벤트 홀 주위의 에어백 직물의 내측 표면에 고정된다.
에어백

Description

팽창식 에어백{Inflatable air-bag}
본 발명은 팽창식 에어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 차량의 승객을 보호하도록 팽창되는 에어백에 관한 것이다.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 차량의 승객의 전방 또는 인접한 곳에 보호 쿠션을 제공하도록 팽창되는 팽창식 에어백은 널리 알려져 있다. 최대시간 동안 에어백이 팽창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보장하는 목적으로 실질적으로 기밀한 에어백이 바람직하지만, 에어백에 적어도 하나의 에어 벤트(vent)가 있는 것이 실제로는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벤트가 없을 경우 승객은 에어백에 충격될 때 에어백으로 튕겨나가기 때문이다. 벤트 홀을 가진 에어백은, 결국 후속되는 초기 전개에서 급속하게 바람이 빠져나감에도 불구하고, 보다 적절한 쿠션 효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에어백에 보호되어질 좌석의 승객이 에어백으로 이동하여 접촉할 때 에어백이 팽창되는 그 시간에 적절한 센서에 의해 에어백은 전개된다.
에어백에 의해 제공되는 내부압력 또는 "쿠션 효과"는, 예를 들어, 좌석 승객의 크기, 좌석 승객의 위치에 따라서, 그리고 좌석 승객이 안전벨트를 하고 있는지와 같은 요인에 따라 조절되어야 한다. 안전벨트를 매고 있지 않은 좌석 승객은 안전벨트를 매고 있는 승객보다 다소 더 "단단한" 에어백을 필요로 한다. 유사하 게, 큰 몸집의 승객은 작은 몸집의 승객보다 더 단단한 에어백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에어백에 가깝게 앉아 있는 승객에게는 가능한 한 부드러운 에어백이 제공되어야 한다.
관련 파라미터를 감지하고, 가스 발생기에 의해 에어백에 분사되는 가스의 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을 제공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는 다소 복잡하고 고가이다. 따라서, 관련 파라미터에 따라서 에어백의 통기를 허용하도록 제어될 수 있는 벤트를 가진 향상된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이전에 제안되었다.
WO2003/006276A3 공보는 에어백 직물로 형성된 제어가능한 벤트를 구비한 일반적 에어백 타입의 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벤트는 클램프에 의해 유지된 직물 요소에 의해 폐쇄된 위치에서 유지되며, 상기 클램프는 충돌 센서와 같은 센서로부터 신호에 응답하여 해제될 수 있다. 이러한 공보에 개시된 하나의 실시예는 벤트홀로부터 에어백으로 연장되는 오목한 튜브를 구비하는데, 그 튜브의 자유 단부는 제어가능한 벤트를 형성한다. 상기 튜브의 자유 단부는 상기 클램프에 의해 고정되며 충돌 센서로부터의 적절한 신호를 수신하면 해제된다.
그러나, 사고가 일어나는 경우에 보다 빨리 통기가 되고 제조하기에 용이한 행상된 에어백 벤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고려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향상된 팽창식 에어백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특징은 팽창식 에어백을 제공하는 것인데, 상기 에어백에는 에어백의 직물에 형성된 제어가능한 벤트가 구비되며, 상기 벤트는 에어백의 직물에 형성된 구멍과, 상기 구멍으로부터 에어백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에어백 내에 배치된 개방 자유 단부까지 연장된 가요성의 벤트 튜브를 구비하며, 상기 벤트 튜브의 자유 단부는 에어백 내에 제한되어서, 폐쇄된 조건에서 벤트를 유지하지만 벤트를 개방하는 경우에는 센서로부터 신호에 응답하여 해제되며, 상기 벤트 튜브는 상기 구멍 주위의 에어백 직물의 내측 표면에 고정되어, 상기 튜브의 고정 단부보다는 튜브의 자유 단부에서 보다 더 작은 테이퍼진 단면을 가지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 단부와 자유 단부 사이에서 상기 튜브의 적어도 일부분은 실질적으로 원뿔대 형상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튜브는 직물의 스트립으로 형성되며 그 실질적인 중앙부는 상기 구멍 주위에서 상기 에어백의 내측 표면에 고정되며, 상기 에어백 직물로부터 접혀져서 실질적으로 중첩된 직물의 2개의 레이어를 형성하며, 이러한 중첩된 레이어는 벤트홀을 형성하도록 서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팽창식 에어백이 제공되는데, 상기 에어백에는 에어백의 직물에 형성된 제어가능한 벤트가 제공되며, 상기 벤트는 에어백의 직물에 형성된 구멍과, 상기 에어백 내에 배치된 자유 단부에서 끝나게 되는 상기 구멍으로부터 상기 에어백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가요성의 벤트 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벤트 튜브의 자유 단부는 상기 에어백 내에 구속되어져서, 폐쇄된 조건에서 벤트를 유지하게 되지만, 벤트를 개방하기 위하여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해제될 수 있으며, 상기 벤트 튜브는 구멍 주변부 주위에서 나아가며 상기 튜브 내에 배치되는 스티치에 의해 상기 구멍 주위에서 에어백 직물의 내측 표면에 고정된다.
상기 튜브는 직물 스트립으로 형성되며, 그 실질적인 중앙부는 상기 구멍 주위의 스티치 라인에 의해 상기 에어백의 내측 표면에 고정되며, 실질적으로 중첩된 직물의 2개의 레이어를 형성하도록 상기 에어백으로부터 접혀져서, 상기 중첩된 레이어는 상기 벤트 튜브를 형성하도록 정렬된 모서리를 따라 서로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첩된 레이어는 벤트 튜브를 형성하도록 서로 재봉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구멍은 실질적으로 타원형이다.
상기 직물의 스트립은 타원 구멍의 주축에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가상의 접힘선에 대하여 접혀지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트립을 접음으로써 형성된 각각의 레이어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사다리꼴 형상이며 그 다리부(leg)를 따라 서로 연결된다.
상기 레이어 각각은 등변사다리꼴의 형상을 가진다.
상기 스트립을 접음으로써 형성된 각각의 레이어는 나란한 측면을 가지지 않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사변형(quadrilateral)이며, 각각의 레이어는 상대적으로 긴 하나의 모서리와 상대적으로 짧은 하나의 모서리를 가지며, 2개의 긴 모서리는 서로 정렬되어 연결되며, 2개의 짧은 모서리들은 서로 정렬되고 연결되어 벤트 홀에 대하여 예리한 각으로 놓인 개방된 자유 단부를 벤트 튜브에 제공하게 된다.
상기 에어백에는 에어백의 내부로 가스를 직접 팽창시키는 팽창기가 제공되어, 상기 벤트 튜브는 상기 팽창기에 대하여 배향되어, 짧은 모서리들은 긴 모서리들보다 팽창기에 인접하게 된다.
상기 에어백에는 에어백의 내부로 가스를 직접 팽창시키는 팽창기가 추가적으로 제공되어, 상기 벤트 튜브는 상기 팽창기에 대하여 배향되어, 긴 모서리들은 짧은 모서리들보다 팽창기에 인접하게 된다.
상기 벤트 튜브는 스트랩에 의해 초기에 구속되어, 벤트 홀을 가로질러 벤트 튜브가 접히는 위치를 채용하게 되며, 상기 스트랩은 상기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해제되어, 벤트 튜브는 상기 구멍을 통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힘이 펴지게(unfold) 된다.
본 발명은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며, 추가적인 구성도 고려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팽창식 에어백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된 직물의 시트의 내측 표면을 도시하는 개략도로서, 상기 직물의 시트는 벤트 튜브를 형성하도록 된 직물의 작은 스트립에 고정된다.
도 2는 에어백 질물의 주요부에 고정된 직물의 스트립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3은 에어백 직물의 평면을 따라 볼 경우, 테이퍼진 벤트 튜브를 형성하도록 후속하는 제조 단계동안에 직물의 추가적인 스트립이 접혀지는 것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의 a)는 제 1 위치에서의 본 발명의 벤트 튜브의 측면도이며, b)는 벤트 홀 위에 놓인 초기의 접혀진 구조를 채용한 벤트 튜브에 대한 도면이며, c)는 에어백의 팽창시에 초기 전개 단계 동안의 벤트 튜브에 대한 도면이며, d)는 최종 전개 단계에서의 벤트 튜브에 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도 1의 그것과는 다른 구조를 가진 직물 스트립으로 벤트 튜브가 형성된 선택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벤트 튜브 구조를 도시하지만 도 3의 구조에 대응되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벤트 튜브 직물에 대한 선택적인 구조를 추가적으로 도시하는 도 5의 그것에 대응되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벤트 튜브 구조를 나타내지만 도 3의 그것에 대응하는 측면도이다.
도 1의 상세한 사항을 참조하면, 제조시의 초기 단계에서 팽창식 에어백의 일부분이 도시된다. 상기 에어백(1)은, 도면에서 명확히 드러나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각형 형상이지만 다소 코너는 라운드지게 된 사각형을 된 직물 재료(2)의 하부 시트를 포함한다. 상기 직물 재료(2)의 상부(내측) 시트는 에어백을 팽창시키는데 사용되는 팽창 가스의 뜨겁고 강제적인 유동으로부터 직물 재료의 직조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보호층으로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어백 직물(2)의 레이어 내에서 실질적으로 중앙에는, 그 자체로 공지의 가스 발생기와 같은 팽창기(4)의 일부상에서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크기가 정해진 가 스 유입구(3)가 형성된다. 상기 가스 발생기는 가스 유입구(3) 주위의 에어백 직물(2)의 보강 영역이 고정된 외측으로 향하는 주변 장착 플랜지(5)를 구비하게 된다. 가스 유입구(3)를 통하여 돌출되는 팽창기(4)의 부분은 팽창가스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향하는 유동이 팽창기(4)의 작동에 따라 배향되는 그 주변부에서 다수의 가스 유출구(도 1에 미도시, 도 6 및 9에서는 4a로 도시)를 형성한다.
중앙에 배치된 팽창기(4)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대칭축(7)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대칭적인 직물의 긴 스트립(6)에 제공되며, 대칭축(7)으로부터의 거리는 증가하면서 폭은 좁게 되도록 하기 위하여, 각각의 스트립(6)의 절반부는 테이퍼져 있다. 에어백 직물(2)의 하나의 코너와 상기 가스 유입구(3)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과 그 횡방향 대칭축(7)이 실질적으로 일치하게 되는 위치를 채용하도록, 상기 에어백 직물(2)의 최내측 표면상에 상기 직물의 스트립(6)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직물의 스트립(6)은 실질적으로 타원형인 스티치 라인(8)에 의해, 도 1에 도시된 방향으로, 에어백 직물(2)의 내측 표면에 고정되며, 타원형의 주축은 직물 스트립(6)의 횡방향 대칭축(7)과 일치하게 된다. 상기 직물 스트립(6)이 에어백 직물 레이어(2)의 내측 표면에 이러한 방식으로 고정될 때, 실질적으로 타원형의 벤트 홀(9)은 직물 스트립(6) 및 레이어(2) 양자를 통하여 절개되며, 타원형의 벤트 홀(9)은 타원형의 스티치 라인(8) 내에 놓여서, 타원형의 스티치 라인(8)은 벤트 홀(9)의 주변부 주위에서 연장된다. 그러나, 에어백의 선택적인 제조방법으로서, 실질적으로 타원형에 동일한 벤트 홀은 직물 레 이어(2) 및 직물 스트립(6)을 통하여 분리되어 절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직물 스트립(6)은 상기 레이어(2)에 대하여 배치되어, 2개의 타원형 홀이 정렬되며, 직물의 2개의 레이어는 스티치(8)의 주변 라인을 통하여 서로 재봉된다.
선택적인 실시예로서, 타원형의 벤트 홀(9)의 종횡비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화할 수 있으며, 스티치의 관련된 주변 라인과 벤트 홀은 원형으로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방식으로 에어백 직물(2)의 메인 레이어와 직물 스트립(6)을 서로 재봉한 다음에, 직물 스트립(6)은 스트립의 실질적으로 중앙의 영역에서 에어백 직물의 내측 표면에 고정되어 종료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각각의 플랩(10)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성이며, 실질적으로 등변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며, 사다리꼴의 긴 베이스는 벤트 홀(9)을 가로질러 놓이며, 사다리꼴의 짧은 베이스는 그로부터 이격된다.
2개의 플랩(10)의 재료는 대칭축(7)에 의해 형성된 가상의 접힘선에 대하여 직물(2)의 메인 레이어의 내측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상측으로 접혀져서, 서로 중첩되어, 각각의 사다리꼴 형상의 다리부는 정렬된다. 이러한 구조는 도 3에 도시된 구조이다.
두개의 플랩(10)이 이러한 방식으로 중첩될 때, 사다리꼴 형상의 "다리부"(leg)에 의해 형성된 하나의 플랩의 2개의 모서리들은 다른 플랩의 각각의 정렬된 모서리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스티치(11)의 각각의 라인들에 의해, 연결된다. 그러나, 각각의 사다리꼴 형상의 짧은 "베이스"에 의해 형성된 바와 같이, 각 플 랩(10)의 단부는 연결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방식으로, 재봉된 플랩들은 벤트 홀(9)로부터 떨어진 위치의 개방 단부(12)까지 연장되도록, 상기 벤트 홀(9) 주위에서, 메인 직물 레이어(2)의 내측 표면으로부터 멀어지게 상기 에어백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벤트 튜브를 형성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물 스트립(6)에 의해 형성된 각 플랩(10)의 일반적인 사다리꼴 형상으로 인하여, 그 결과로서 내측으로 배향된 벤트 튜브는, 실질적으로 원뿔대 형상이며, 그 자유 단부와 상기 직물 레이어(2)에 고정된 단부에서 보다 작게 테이퍼진 단면을 가지는 2개의 단부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가지게 된다.
도 3으로부터 인식되는 다른 중요한 구성은, 전술한 방식으로 벤트 튜브를 형성하는 스트립이 스트립(6)의 2개의 플랩(10)이 서로 접혀서 재봉되기 전에 스티치(8)의 라인에 의해 직물 레이어(2)에 고정되기 때문에, 스티치(8)의 라인에 의해 형성된 주변 시임부(seam)는 결과적으로 벤트 튜브 내에 배치된다. 이러한 사항은 중요한 사항인데, 그 이유는 뜨겁고 강제적인 가스 유동에 약하기 쉬운 스티치 라인이, 튜브의 직물에 의해, 팽창시에 팽창기(4)에 의해 발생되는 가스 유동으로부터 보호되는 것이 보장되기 때문이다.
도 4a는 도 3에 수직하며,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2개의 플랩(10)이 서로 연결된 후에 타원형의 벤트 홀(9)의 보조축을 따라서 본 다른 측면도이다. 도 4a는 일반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원래 상태의 벤트 튜브를 도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에어백의 후속 제조 단계 동안에, 벤트 튜브가 벤트 홀(9)을 가로질러 접히는, 도 4b에 도시된 구조를 채용하도록, 도 4a에 도시된 "원래" 조건으로부터 상기 벤트 튜브가 접혀지게 된다. 상기 벤트 튜브는 벤트 튜브의 일측에 대한 단부에서 고정되며 상기 에어백 모듈의 부품으로서 제공된 해제 액튜에이터에 의해 타단부(미도시)에 해제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해제 스트랩(13)에 의해, 접힌 구조로 초기에 유지된다. 상기 벤트 튜브로부터 이격된 스트랩의 단부는 상기 센서(예를 들어 착석한 승객의 무게 또는 위치를 측정하도록 된 구조)로부터의 적절한 신호를 수신하면 해제된다.
벤트 튜브를 형성하는 직물과 스트립(13)간의 바람직한 부착 형태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스트랩(13)은 2개의 플랩(10)의 측면 모서리들을 연결하는 스티치(11)의 메인 라인에 실질적으로 인접하게 놓인 스티치(14)의 라인에 의해 플랩(10)을 형성하는 직물에 고정된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스트랩(13)의 일단부는 그들이 접혀서 중첩되듯이 직물(10)의 2개의 플랩들 사이에 삽입됨으로서 벤트 튜브에 고정되어, 스티치(11)의 단일 라인은 플랩들(10)과 스트랩(13) 사이에서 이들을 서로 연결하게 된다.
물론, 전술한 벤트 튜브의 후속 제조가 이러한 방식으로 행해지고, 상기 에어백(1)은 직물(2)의 하부 레이어상에 상부 레이어를 중첩하고 그 주변부에 2개의 레이어를 서로 연결하여 벤트 홀(9) 주위에 설치되고 그 벤트 홀을 가로질러 접혀진 된 벤트 튜브를 구비한 최종 에어백을 형성하여 에어백의 포장 내부에 높이게 되어 완료된다.
에어백의 일반적인 팽창시에, 상기 에어백이 일반적인 경직도를 가지는 것을 상정한 경우, 상기 스트랩(13)은 액튜에이터에 의해 해제되지 않는다. 상기 에어 백은 일반적인 방식으로 팽창되어, 상기 직물 레이어(2: 도 1)를 통하여 제공된 실질적으로 개방된 벤트 홀(15)은 에어백의 내부로부터 가스가 배출되는 경로를 제공하게 된다. 좌석에 앉은 승객이 에어백과 접촉하게 되면, 상기 에어백 내부의 가스 압력은 초기에 상승하게 되지만, 상기 가스는 이어서 승객이 에어백에 충격함에 따라 벤트 홀(15) 밖으로 배출되어, 에어백은 원하는 "쿠션"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에어백의 "일반적인" 팽창시에, 가스 압력은 접혀진 벤트 튜브상에 가해지게 되어, 벤트 튜브의 부분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트 홀(9)을 통하여 강제된다. 그러나, 상기 스트랩(13)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액튜에이터에 의해 일정 위치에 고정되어, 상기 벤트 튜브는 구멍(9)을 통하여 완전히 관통하는 것이 방지되게 되고 벤트 홀(9)은 가스 유동에 대하여 폐쇄된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그러나, "부드러운" 에어백이 요구되는 것으로 센서가 결정하면, 에어백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팽창되면, 상기 액튜에이터는 해제되어, 스트랩(13)을 자유롭게 한다. 상기 에어백 내부의 가스 압력은 내측으로 배향된 벤트 튜브를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트 홀(9)을 통하여 에어백 밖으로 연장되게 강제하게 된다. 접혀진 상기 벤트 튜브는 초기에 홀(9)을 통하여 부분적으로 강제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밀봉 구조를 유지하지만,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트 홀(9)을 통하여 벤트 튜브를 완전히 부는 것은 스트랩(13)의 급속한 해제를 일으키게 된다.
상기 벤트 홀(9)을 통하여 벤트 튜브의 접힘을 완전히 펴줌으로써, 상기 벤 트 튜브의 개방된 자유 단부(12)는 튜브가 벤트 홀(9)을 가로질러 접혀진 초기 위치에서 유지되는 경우보다는 에어백으로부터 상당량의 가스를 배출을 가능하게 하는 추가적으로 개방된 벤트 홀을 이루게 된다.
전술한 벤트 튜브 구조의 테이퍼진 구조는 전개 속도면에서 상당한 장점을 제공하는데, 그 이유는 그로 인하여 벤트 튜브의 접힘을 펴는 것이 용이하게 되고 벤트 튜브는 벤트 홀(9)을 통하여 보다 쉽게 통과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직물 스트립(6)의 선택적인 형태는 전술한 것과 약간 다른 형상을 가진 벤트 튜브를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어서, 다양한 배출 특성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장치에서, 직물 스트립(6)은 대칭 라인(7)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다시 대칭적이고, 도 1 및 2에 대하여 전술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직물 레이어(2)에 고정된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에서 직물 스트립(6)의 형태는, 대칭축(7)의 양측상에 형성된 2개의 플랩(10)이 도 1 및 2에 도시된 것으로부터 약간 생략된 형상을 각각 가지게 되는 것으로 된다. 완전한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는 대신에, 2개의 플랩(10)은 나란하지 않은 측면을 가지는 실질적으로 사변형의 형태를 각각 가진다. 도 2와 5를 비교하면, 도 5의 선택적인 구성은 각 플랩(10)의 단부 영역을 절개함으로써 얻어지게 되어 2개의 측면 모서리 중 하나는 짧게 된다. 따라서, 각 플랩(10)은 상대적으로 긴 하나의 측면 모서리(16)와 상대적으로 짧은 하나의 측면 모서리(17)를 가지게 된다.
다른 관점에서, 도 5 및 6에 도시된 실시예의 벤트 튜브는 도 1 내지 3에 대한 전술한 바와 정확히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2개의 플랩(10)은 대칭축(7)에 의해 형성된 가상의 접힘선에 대하여 서로 접혀지게 되며 직물 레이어(2)로부터 이격되어, 중첩되게 되며 또한 2개의 짧은 모서리(17)들은 서로 정렬되고, 2개의 긴 모서리들(16)들은 서로 정렬되게 된다. 2개의 긴 모서리(16)들은 스티치(18) 라인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2개의 짧은 모서리들(17)은 스티치(19)의 라인에 의해 서로 고정된다.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장치는 개방 단부(12)가 팽창기(4)로부터 각이 지게 되는 벤트 튜브를 제공하게 된다. 서로 연결된 긴 모서리들(16)이 짧은 모서리(17)보다 팽창기에 더 가깝게 배치되도록 팽창기에 대하여 벤트 튜브가 배향되는 방식으로 벤트 튜브를 극단적으로 형성하는 직물(6)의 스트립을 부착함으로써 이러한 것이 달성된다.
도 5 및 6에 도시된 유형의 장치는, 상기 스트랩의 해제시에 즉시 팽창기(4)로부터 가스 유동이 벤트 튜브의 개방 단부로 유입되는 것이 없거나 적어도 극히 작은 것을 보장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랩(13)이 해제되는 순간과 벤트 튜브가 벤트 홀(9)을 통과하기 전에, 벤트 튜브의 개방 단부(12)는 팽창기(4)로부터 이격되도록 각을 이루어, 그것이 밴트 홀(9)을 통과하거나 그 반대의 경우까지 팽창기로부터 튜브의 자유 단부로 가스 유동이 실질적으로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약간 다른 형상을 가진 벤트 튜브를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직물 스트립(6)의 다른 형태가 도시된다. 이러한 장치에서, 상기 직물 스트립(6)은 도 5 및 6의 장치의 그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지만, 이 장치에서 직물 스트립은 도 5에 도시된 것에 비하여 180도 회전된 위치의 에어백 직물(2)의 레이어에 부착 된다. 그 결과, 벤트 튜브는, 도 5 및 6의 장치의 경우에서의 팽창기(4)로부터 이격되는 것과 달리 팽창기(4)를 향하여 각일 이루는 자유 단부(12)를 가지게 된다. 상기 벤트 튜브(12)의 이러한 자유 단부의 각은 도 8에 명확히 도시된다. 이러한 장치에서, 직물(6)의 스트립은 서로 연결된 짧은 모서리들(17)이 긴 모서리들(16)보다 팽창기에 더 가깝게 배치되도록 팽창기에 대하여 벤트 튜브가 배향되는 방식으로 에어백 직물(2)에 고정된다.
도 7 및 8에 대하여 설명된 장치는, 벤트 홀(9)을 통하여 통과하기 위하여 튜브가 완전히 역방향으로 되기 이전에 스트랩(13)이 해제되자 마자 벤트 홀(9)을 통하여 초기 방출되는 정도가 요구되는 장점이 있다. 도 8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벤트 튜브는 그 자유 단부(12)가 팽창기(4)를 통하여 각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의 효과는, 팽창기에 의해 발생되는 팽창 가스중 일부가 벤트 홀(9)을 통하여 튜브가 실질적으로 역방향으로 되기 이전에 스트랩(13)의 해제시에 즉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다(comprises, comprising) 라는 용어와 그 변형례들은 특정 특징, 단계 또는 정수가 포함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용어들은 다른 특징, 단계, 또는 구성요소의 존재를 배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전술한 설명의 특징 또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또는 도면에서 특정 형상으로 표현되거나 설명된 기능을 행하는 수단, 또는 설명된 결과를 얻기 위한 방법이나 과정은 본 발명의 변형된 형태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4)

  1. 팽창식 에어백으로서, 상기 에어백에는 에어백의 직물에 형성된 제어가능한 벤트가 제공되며, 상기 벤트는 에어백의 직물에 형성된 홀(hole)과 상기 에어백 내에 배치된 자유 단부까지 이어진 상기 홀로부터 에어백의 내측으로 연장된 가요성의 벤트 튜브를 구비하며, 상기 벤트 튜브의 자유 단부는 페쇄된 조건하에서 벤트를 유지하기 위하여 에어백 내에서 구속되지만 벤트를 개방하기 위하여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해제될 수 있으며, 상기 벤트 튜브는 상기 홀 주위의 에어백 직물의 내측 표면에 고정되며 상기 튜브의 고정 단부보다는 튜브의 자유 단부에서 더 작은 테이퍼진 단면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식 에어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단부와 자유 단부 사이의 튜브의 적어도 일부는 실질적으로 원뿔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식 에어백.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직물의 스트립으로 형성되며, 그 실질적 중앙부는 상기 홀 주위에서 상기 에어백의 내측 표면에 고정되고 상기 에어백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접혀져서 실질적으로 중첩된 직물의 2개의 레이어를 형성하며, 중첩된 상기 레이어들은 벤트 튜브를 형성하도록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식 에어백.
  4. 팽창식 에어백으로서, 상기 에어백에는 에어백의 직물에 형성되는 제어가능한 벤트가 제공되며, 상기 벤트는 에어백의 직물에 형성된 홀(hole)과, 상기 에어백 내에 배치된 자유 단부까지 연장되는 상기 홀로부터 에어백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가요성의 벤트 튜브를 구비하며, 상기 벤트 튜브의 자유 단부는 폐쇄된 조건에서 벤트를 유지하도록 에어백 내에서 일반적으로는 구속되지만 벤트를 개방하도록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해제될 수 있으며, 상기 벤트 튜브는 상기 홀의 주변부 주위에서 연장되며 상기 튜브 내에 배치되는 스티치에 의해 상기 홀 주위에서 상기 에어백 직물의 내측 표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식 에어백.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직물 스트립으로 형성되며, 그 실질적 중앙부는 상기 홀 주위의 스티치의 라인에 의해 상기 에어백의 내측 표면에 고정되고 실질적으로 중첩된 직물의 2개의 레이어들을 형성하도록 상기 에어백 직물로부터 이격되어 접혀지며, 중첩된 상기 레이어들은 상기 벤트 튜브를 형성하기 위하여 정렬된 모서리들을 따라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식 에어백.
  6. 제 3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중첩된 상기 레이어들은 상기 벤트 튜브를 형성하도록 서로 재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식 에어백.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은 실질적으로 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식 에어백.
  8. 제 3 항, 제 5 항, 또는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을 인용하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스트립은 타원형의 홀의 주축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가상의 접힘 라인에 대하여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식 에어백.
  9. 제 3항, 제 5 항, 또는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을 접어서 형성된 각각의 레이어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사다리꼴 형상이며 그 다리부(leg)를 따라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식 에어백.
  10. 제 9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레이어들은 등변 사다리꼴의 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식 에어백.
  11. 제 3 항, 제 5 항, 또는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을 접어서 형성된 각각의 상기 레이어들은 나란한 측면을 가지지 않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사변형이며, 각각의 레이어는 상대적으로 긴 하나의 모서리와 상대적으로 짧은 하나의 모서리를 구비하며, 상기 벤트 홀에 대하여 날카로운 각으로 놓인 개방된 자유 단부를 벤트 튜브에 제공하기 위하여, 2개의 긴 모서리들은 서로 정렬되어 연결되며, 2개의 짧은 모서리들은 서로 정렬되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식 에어백.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의 내부에 가스를 직접 팽창시키는 팽창기가 추가로 구비되며, 상기 벤트 튜브는 상기 팽창기에 대하여 배향되어, 짧은 모서리들은 긴 모서리들보다 팽창기에 더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식 에어백.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의 내부에 가스를 직접 팽창시키는 팽창기가 추가로 구비되며, 상기 벤트 튜브는 상기 팽창기에 대하여 배향되어, 긴 모서리들은 짧은 모서리들보다 팽창기에 더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식 에어백.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 튜브가 상기 벤트 홀을 가로질러 접히는 위치를 채용하기 위하여 상기 벤트 튜브는 스트랩에 의해 초기에 구속되며, 상기 스트랩은 상기 밴트 튜브가 상기 홀을 통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접혀짐이 펴지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센 서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식 에어백.
KR1020087016795A 2006-01-17 2006-01-17 팽창식 에어백 KR1013327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SE2006/000060 WO2007084029A1 (en) 2006-01-17 2006-01-17 Inflatable air-ba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5162A true KR20080085162A (ko) 2008-09-23
KR101332718B1 KR101332718B1 (ko) 2013-11-25

Family

ID=38287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6795A KR101332718B1 (ko) 2006-01-17 2006-01-17 팽창식 에어백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635148B2 (ko)
EP (2) EP1973768B1 (ko)
JP (1) JP5118062B2 (ko)
KR (1) KR101332718B1 (ko)
CN (1) CN101360635B (ko)
WO (1) WO200708402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8131A (ko) * 2012-06-18 2015-01-21 오토리브 에이에스피, 인크. 능동 벤트를 구비한 에어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24472A1 (de) * 2004-09-01 2006-03-09 Autoliv Development Ab Gassack und kraftfahrzeug
DE102007036534A1 (de) * 2007-08-02 2009-02-05 Autoliv Development Ab Seitengassack und Fahrzeugsitz
ITBO20070595A1 (it) * 2007-08-29 2009-02-28 Ferrari Spa Airbag frontale per un veicolo stradale
JP5169203B2 (ja) * 2007-12-20 2013-03-27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4678416B2 (ja) * 2008-03-21 2011-04-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DE102008018857B3 (de) * 2008-04-15 2009-07-16 Autoliv Development Ab Gassack
US20090289444A1 (en) * 2008-05-20 2009-11-26 Ramesh Keshavaraj Airbag, system and method for deploying an airbag
US8007004B2 (en) * 2009-07-24 2011-08-30 Toyoda Gosei Co. Ltd. Exterior airbag panel
US8186714B2 (en) * 2009-10-29 2012-05-29 Autoliv Asp, Inc. Inflatable airbag assembly with an airbag housing vent panel
US8590927B2 (en) 2010-04-19 2013-11-26 Tk Holdings Inc. Airbag module
US8491004B2 (en) 2010-04-19 2013-07-23 Tk Holdings Inc. Airbag module
US8191926B2 (en) * 2010-07-26 2012-06-05 Autoliv Asp, Inc. Inflatable airbag assembly with an airbag housing vent panel
KR101261465B1 (ko) 2011-02-14 2013-05-10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능동형 조수석 에어백
JP5883325B2 (ja) 2012-03-28 2016-03-15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エアバッグ装置及びベントホール開閉制御方法
CN103083125B (zh) * 2013-01-21 2015-04-01 中国科学院深圳先进技术研究院 可充放气体的安全防护气囊系统
US9126563B2 (en) * 2013-03-15 2015-09-08 Tk Holdings Inc Airbag module
CN106132785B (zh) 2014-01-30 2019-09-17 Trw汽车股份有限公司 气囊和用于运行乘客保护系统的方法
JP7127444B2 (ja) * 2018-09-11 2022-08-30 Joyson Safety Systems Japan株式会社 エアバッグ
WO2020116024A1 (ja) * 2018-12-04 2020-06-11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エアバッ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7692A (ja) * 1995-01-31 1996-08-13 Nippon Plast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JP3626529B2 (ja) * 1995-03-31 2005-03-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の製造方法
DE19522765A1 (de) * 1995-06-27 1997-01-02 Pars Passive Rueckhaltesysteme Airbagmodul
JP2000052916A (ja) * 1998-08-03 2000-02-22 Takata Kk エアバッグ
DE10059956C2 (de) * 2000-12-02 2002-10-31 Autoliv Dev Gassack mit einer in ihrem Öffnungsquerschnitt geregelten Abströmöffnung
DE10111566B4 (de) * 2001-03-10 2005-11-17 Daimlerchrysler Ag Sicherheits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US6648371B2 (en) * 2001-07-12 2003-11-18 Delphi Technologies, Inc. Variable venting air bag assembly
JP2003327071A (ja) * 2002-05-10 2003-11-19 Takata Corp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DE10236859A1 (de) * 2002-08-07 2004-02-19 Takata Corp. Gassack für ein Airbagmodul
GB2394919B (en) * 2002-11-06 2006-01-25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n air-bag arrangement
JP2005186891A (ja) * 2003-12-26 2005-07-14 Fuji Heavy Ind Ltd 車両の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DE102004034563A1 (de) * 2004-07-17 2006-02-09 Daimlerchrysler Ag Sicherheits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US7328915B2 (en) 2004-10-06 2008-02-12 Autoliv Asp, Inc. Airbag cushion with tether deactivated venting for reduced out-of-position effec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8131A (ko) * 2012-06-18 2015-01-21 오토리브 에이에스피, 인크. 능동 벤트를 구비한 에어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75672B1 (en) 2020-04-01
WO2007084029A1 (en) 2007-07-26
US7635148B2 (en) 2009-12-22
JP5118062B2 (ja) 2013-01-16
CN101360635B (zh) 2012-07-04
KR101332718B1 (ko) 2013-11-25
EP1973768B1 (en) 2018-12-26
JP2009523638A (ja) 2009-06-25
US20090033080A1 (en) 2009-02-05
EP3375672A3 (en) 2018-12-12
EP1973768A1 (en) 2008-10-01
CN101360635A (zh) 2009-02-04
EP3375672A2 (en) 2018-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2718B1 (ko) 팽창식 에어백
US7597355B2 (en) Airbag cushions with optional venting for out-of-position conditions
US7614653B2 (en) Pre-folded airbag cushion with optional venting for out-of-position conditions
US7556290B2 (en) Airbag cushion with a laced vent to optionally vent gas for out-of-position conditions
US7946613B2 (en) Dual chamber airbag cushion
US8152199B2 (en) Passive airbag venting
US7475906B2 (en) Airbag apparatus
US7938445B2 (en) Dual chamber airbag cushions with a safety vent in the front chamber
US7748738B2 (en) Airbag cushion with adaptive diffuser for out-of-position conditions
US7722080B2 (en) Airbag cushion with a flap vent to optionally vent gas for out-of-position conditions
US7731233B2 (en) Airbag cushion with vent tube
US20130320656A1 (en) Airbag for a front passenger's seat
US7984924B2 (en) Airbag apparatus for a front passenger's seat
WO2006041552A2 (en) Airbag cushion with cinch tube for reduced out-of-position effects
EP2686208A1 (en) Airbag vent assembly
JPH1029496A (ja) 通常の乗員着席位置から外れた乗り物の乗客を保護する保護方法、および乗員用エアバッグクッション
KR101299514B1 (ko) 에어백
US10427639B2 (en) Airbag systems with passive venting control
JP3987732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3038479U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H08301037A (ja) 車両用エアバッグ
WO2006127653A2 (en) Divided airbag system
JP2003341460A (ja) 車両用シートの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