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4924A - 내생 알록사진과 아세테이트를 이용한 혈액과 혈액 제품의처리 및 저장 방법 - Google Patents

내생 알록사진과 아세테이트를 이용한 혈액과 혈액 제품의처리 및 저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4924A
KR20080084924A KR1020087011902A KR20087011902A KR20080084924A KR 20080084924 A KR20080084924 A KR 20080084924A KR 1020087011902 A KR1020087011902 A KR 1020087011902A KR 20087011902 A KR20087011902 A KR 20087011902A KR 20080084924 A KR20080084924 A KR 200800849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lets
acetate
fluid
blood
riboflav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1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레이몬드 피. 굿리치
준찌 리
Original Assignee
내비간트 바이오테크날러지,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내비간트 바이오테크날러지, 엘엘씨 filed Critical 내비간트 바이오테크날러지,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080084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49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2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1/00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arts thereof
    • A01N1/02Preservation of living parts
    • A01N1/0205Chemical aspects
    • A01N1/021Preservation or perfusion media, liquids, solids or gases used in the preservation of cells, tissue, organs or bodily fluids
    • A01N1/0215Disinfecting agents, e.g. antimicrobials for preserving liv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1/00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arts thereof
    • A01N1/02Preservation of liv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1/00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arts thereof
    • A01N1/02Preservation of living parts
    • A01N1/0278Physical preservation processes
    • A01N1/0294Electromagnetic, i.e.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or electromagnetic fiel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8Plasma substitutes; Perfusion solutions; Dialytics or haemodialytics; Drugs for electrolytic or acid-base disorders, e.g. hypovolemic sho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Diabet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적어도 내생 알록사진과 아세테이트를 이용한 혈액과 혈액 제품의 처리 및 저장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적어도 내생 알록사진과 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혈액 성분 첨가 용액을 적어도 하나의 수집된 혈액 성분을 포함하는 유체에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내생 알록사진과 아세테이트를 이용한 혈액과 혈액 제품의 처리 및 저장 방법{METHOD FOR TREATMENT AND STORAGE OF BLOOD AND BLOOD PRODUCTS USING ENDOGENOUS ALLOXAZINES AND ACETATE}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미국출원 제10/377,524호(2003.2.28 출원)의 CIP 출원이며, 이는미국출원 제09/586,147호(2000.6.2 출원, 현재 포기됨)의 CIP 출원이고, 이는 미국출원 제09/357,188호(현재 미국특허 제6,277,337호, 1999.7.20 출원)의 CIP 출원이며, 이는 미국출원 제09/119,666호(현재 미국특허 제6,258,577호, 1998.7.21 출원)의 CIP 출원이다. 본 출원은 또한 미국가출원 제60/597,506호(2005.12.6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혈소판의 병원체 감소와 관련하여 사용되는 합성 배지를 비롯하여, 일반적으로 생체내 용도를 위한 혈소판의 수집 및/또는 저장에 사용하기 위한 합성 배지에 관한 것이다.
수혈을 받을 사람을 위해 자발적인 공여자로부터 수집된 전혈은 다양한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전형적으로 이의 성분들인 적혈구 세포, 백혈구 세포, 혈소판 및 혈장으로 분리된다. 각각의 이들 분획은 개별적으로 각각의 혈액 성분에 특이적인 조건하에서 저장되며, 다양한 특정 질병 및 질환 상태의 치료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적혈구 세포 성분은 빈혈증 치료에 사용되며, 농축된 혈소판 성분은 출혈을 조절하는데 사용되고, 혈장 성분은 응고 인자와 같은 혈액 단백질원으로 종종 사용된다.
혈액 은행 분야에서, HIV, 간염 및 기타 바이러스 및 세균과 같은 감염성 미생물로 혈액 공급원이 오염되는 경우, 전혈을 수혈받거나 다양한 혈액 성분을 투여받는 환자에게 심각한 건강상 위험이 존재하게 된다. 혈액 스크리닝 과정에서 오염물을 놓칠 수 있으며, 세포내 혈액 성분에 손상을 주지 않으나 감염성 바이러스 및 기타 미생물 모두를 효과적으로 불활성화하는 살균 과정은 아직까지는 존재하지 않는다.
혈액 은행에서 또다른 주요한 문제는 저장 동안 혈액 성분의 기능이 소실되는 것이다. 특히 혈소판은 저장 동안 혈소판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또는 적어도 이러한 혈소판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다른 혈액 성분들로부터 분리된 후 적절한 저장 용액 또는 혈장 중에 재현탁할 필요가 있다.
혈소판을 혈장 중에 저장하는 경우, 혈소판은 전형적으로 대략 900-2100×103/μL의 농도로 저장된다. 혈장과 함께 수혈된 혈소판의 부작용은 수혈을 받는 사람이 공여자 혈장 내 성분들에 알레르기 반응을 나타내거나 및/또는 TRALI(수혈 관련 급성 폐손상)을 겪는 것이다. 또다른 고려사항은 비용이다. 혈장 단백질을 응고 인자 등으로 분류하기 위해, 혈장 자체도 사용 또는 판매될 수 있다.
그러므로, 합성 저장 용액 중에 혈소판을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혈소판을 합성 저장 용액 중에 저장하는 경우에도 전형적으로 대략 900-2100×103/μL의 농도로 저장한다. 여러 시판중인 용액에는, PASIII(MacoPharma에서 시판), PASII(Baxter에서 시판) 및 CompoSol(Fresenius에서 시판)이 포함된다. 시판중인 혈소판 저장 용액들은, 저장 동안 혈소판 대사작용을 증강시킨다고 생각되는, 포스페이트, 글루코즈, 나트륨, 칼륨, 시트레이트, 마그네슘, 설페이트 및 아세테이트와 같은 첨가제를 함유한다.
생존율을 유지하기 위해, 혈소판은 에너지 요구에 부합하는 충분한 아데노신 트리포스페이트(ATP)를 연속적으로 생성해야만 한다. ATP를 생성하는 2가지 경로가 통상 존재하는데, 그 중 하나가 당분해 경로이고 다른 하나는 산화적 인산화 경로이다. 당분해에서, 글루코즈 한 분자가 2 분자의 젖산으로 전환되고 2 분자의 ATP를 생성한다. 산화적 인산화에서는, 글루코즈, 지방산 또는 아미노산이 구연산 사이클로 들어가, CO2와 물로 전환된다. 이 경로는 글루코즈의 분해에 의해 생산되는 양자를 수용하기 위해 적절한 산소 공급의 존재를 요구한다. 산화적 인산화가 당분해보다 더욱 효율적이다. 기질이 CO2와 물로 산화적 대사되면 36 분자의 ATP를 낸다.
생존가능한 조건에서 장기간 저장되는 경우와 필수적으로 일치하지 않는 방식으로 혈소판이 에너지 요구에 부합할 것이라는 점은 인식되어 왔다. 적절한 산소 가 주어지는 경우, 혈소판은 그들의 ATP 대부분을 산화를 통해 생산하지만, 대사된 글루코즈 모두를 산화적 경로를 통해 전환시키는 대신 젖산 생산을 계속한다. 혈소판을 혈장 중에 저장하는 동안, 젖산 농도는 하루 당 대략 2.5 mM씩 상승한다. 문헌[Murphy 등; "Platelet Storage at 22℃, Blood, 46(2):209-218 (1975)]; 문헌[Murphy, "Platelet Storage for Transfusion", Seminars in Hematology, 22(3): 165-177 (1985)]을 참고하길 바란다. 이는 pH의 점진적인 강하를 초래한다. Murphy의 논문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젖산이 약 20 mM에 도달하는 경우, 7.2에서 시작된 pH는 6.0에 도달할 수 있다. 혈소판 생존율은 pH가 6.1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비가역적으로 소실되므로, 혈소판 저장에 있어 주요한 한계 변수는 pH가 된다.
따라서, pH의 조절은 장기간의 혈소판 저장시 주요한 인자이다. 실제로 혈소판의 모든 유닛에서 거의 7.0의 초기값으로부터 pH가 감소하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감소는 주로 혈소판 당분해에 의한 젖산의 생산 때문이며, 산화적 인산화에 의해 CO2가 누적되는 것도 적은 부분 그 원인이 된다. pH가 낮아짐에 따라, 혈소판은 디스크형에서 구형으로 그 형태가 변화한다. pH가 6.0 근처로 낮아지는 경우, 혈소판 형상 및 물리적 성질에 비가역적인 변화가 일어나 수혈후 생존이 불가능해게 된다. 따라서, 혈소판 보존에 있어서 중요한 목표는 pH 감소를 저해하는 것이다.
pH가 감소하는 경우, 혈소판 당 생산된 ATP의 총량의 감소가 관찰되어 왔다. ATP는 혈소판 응착 및 혈소판 응집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므로, 대사적으로 이용가 능한 ATP의 고갈은 혈소판 기능에 영향을 준다. 총 ATP를 정상 수치에 까깝게 유지하도록 해주는 혈소판의 능력이 저장 동안의 혈소판 생존율과 연관됨이 밝혀졌다.
혈소판 저장 배지 고안시, 상기 문제를 해결하는 한가지 방법은, 산화적 인산화를 위한 기질로 작용하는 동시에 저장 동안 혈소판이 생산하는 젖산의 산성화 효과에 반작용하는 완충액으로 작용하는 첨가제를 포함시키는 것이다. 아세테이트가 적합한 기질로 알려져 왔다. 또한, 이의 산화는 비카보네이트를 생산한다:
CH3COOO + 2O2 = CO2 + HCO3 + H2O
따라서, 아세테이트의 사용은, 산화적 인산화를 위한 기질로서, 그리고 완충제로서의 2가지 목적을 제공한다. 이러한 혈소판 저장 용액에 대해서는 미국특허 제5,344,752호 및 제5,376,524호에 공개되어 있다.
혈액 및 혈액 성분의 저장시 유용한 기질인 또다른 첨가제에는, 미토콘드리아 활성을 자극하는 화합물이 포함된다. 이러한 적절한 화합물 중 하나가 내생 7,8-디메틸-10-리비틸 이소알록사진(리보플라빈), 이의 대사물 및 전구체이다. 이러한 미토콘드리아 자극 화합물은, 저급(1-5) 알킬 또는 할로겐 치환체를 포함하거나 결여한, 그리고 이의 기능 및 실질적인 비독성을 보존하고 있는, 리보플라빈의 합성적으로 유도된 유사체 및 상동체인, 내생계 유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미국특허출원 제10/430,896호에 공개되어 있다.
이들 작용제는 저장 동안 미토콘드리아 활성을 자극함으로써 혈소판 생존율을 유지한다고 여겨진다. 리보플라빈의 대사작용으로 생산된 FMN 및 FAD는 전자 수 송 활성에 있어 필수적인 요소이다. 이러한 활성은 미토콘드리아 호흡에 중요하게 관여한다. 세포에 리보플라빈의 상승된 수치를 제공함으로써, 미토콘드리아 호흡을 증강시키며, 이로써 당분해를 통한 ATP 생산보다 산화적 인산화를 통해 ATP 생산을 촉진하게 된다.
그러나, 현재까지 미토콘드리아 활성을 자극하는 기질과 함께, 산화적 인산화를 위한 기질로 작용하고 완충제로 작용하는 기질을 사용하여, 저장 동안이나 병원체 감소 처리 동안 혈소판의 생존율을 유지할 수 있는 저장 또는 첨가 용액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 점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하는 것이다.
개요
본 발명은 혈소판의 수집, 처리 및/또는 저장에 사용될 수 있는, 적어도 광감작제 유사 첨가제 및 아세테이트를 함유하는 혈액 성분 저장 또는 첨가 용액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내생 광감작제 또는 내생계 유도체 광감작제 및 아세테이트의 혼합물의 유효 비독성량을, 병원체를 감소시킬 혈액 또는 혈액 성분에 첨가하는 단계; 및 혼합된 유체를 광감작제를 활성화하기에 충분한 광방사에 노출시켜 병원체의 적어도 일부를 불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혈액 또는 수집된 혈액 성분의 병원체를 감소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생체내 사용을 위해 혈액 성분과 사용하기 위한 저장 및 처리 용액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아세테이트와 리보플라빈을 함유하는 혈소판 저장 용액은 장기간의 저장 동안 혈소판 생존율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용액의 pH는 약 5.0 내지 7.4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용액은 저장 동안 세포 품질과 대사작용을 유지시켜 주고, 저장된 혈소판 내 혈장의 양을 감소시켜 주며, 저장 수명을 연장시켜 주는, 혈소판 농축물을 위한 담체로 유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액은 또한 75-100 mL/1011개의 세포 근처의 표준 수치와 비교하여, 혈소판 농축물 중 잔여 혈장을 20-60 mL/1011개의 세포 근처로 감소시켜준다.
장기간 저장 이외에도 혈소판이 당분해로 들어가 젖산을 축적하도록 해주는 다른 인자들도 존재한다. 혈소판이 락테이트를 축적하도록 해주는 외부 처리법의 한 예로, 수혈자에게 수혈되어질 세포 내부를 또는 이러한 세포 주위를 오염시킬 수 있는 임의의 병원체를 불활성화 또는 감소시키는 과정을 들 수 있다. 혈액 성분 중에 존재할 수 있는 병원체 오염원을 감소시키는데 통상 사용되는 방법들은, 처리될 세포의 미토콘드리아에 손상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외선은 미토콘드리아에 손상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토콘드리아가 손상을 받는 경우, 세포는 당분해 경로를 통해서만 ATP를 생산하므로, 저장 동안 세포 내 젖산을 축적시키며 이후 pH 강하를 초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전혈 또는 수집된 혈액 성분 내에 함유될 수 있는 임의의 병원체를 감소시키는 과정에 사용될 수 있는 용액을 포함한다. 본 구체예에서, 빛에 노출되는 경우 광감작제로 작용하는 첨가제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병원체 오염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 병원체 감소 용액은 또한 산화적 인산화에 대한 기질로 작용하는 아세테이트와 같은 첨가제를 함유하여, 병원체 감소 과정 동안 및/또는 이 과정 이후 세포의 세포 생존율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혈액 및/또는 혈액 성분의 병원체 감소가 필요한 경우, 빛에 노출시 광감작제로 작용하는 첨가제가 본 발명에 유용하다. 이러한 첨가제에는 내생 광감작제가 포함된다. 이러한 내생 광감작제의 예로, 알록사진, 예를 들어, 7,8-디메틸-1O-리비틸 이소알록사진(리보플라빈), 7,8,10-트리메틸이소알록사진(루미플라빈), 7,8-디메틸알록사진(루미크롬), 이소알록사진-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플라빈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FAD]), 알록사진 모노뉴클레오티드(플라빈 모노뉴클레오티드[FMN] 및 리보플라빈-5-포스페이트로도 알려짐), 이들의 대사물 및 전구체를 들 수 있다. 내생 광감작제를 사용하는 경우, 특히 이러한 광감작제거 원래 독성을 갖지 않거나 광방사 후 독성 광생성물을 내지 않는 경우, 오염물질 제거 이후 제거 또는 정제 단계가 요구되지 않으며, 처리된 생성물은 직접 환자의 신체로 되돌리거나 이의 치료 효과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 투여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병원체가 감소된 유체는 광감작제 유사 첨가제의 광생성물을 함유할 것이다.
병원체가 감소되어야 하거나 저장되어야 하는 혈액 또는 혈액 성분에는, 전혈, 또는 전혈로부터 성분들로 분리되어진 적혈구 세포, 혈소판 및/또는 혈장이 포함된다.
혈액 제품 중에서 미생물을 감소시키기 위해 광감작제로 리보플라빈 및 리보플라빈 유도체를 사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미국특허 제6,277,337호, 제6,258,577호, 제6,268,120호 및 제6,828,323호를 비롯한 여러 미국 특허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용액을 사용하여 감소 또는 불활성화시킬 수 있는 병원체에는, 외부원 또는 내부원에서 기원한지에 관계없이, 혈액 또는 혈액 성분 중에 존재하는 원치않는 임의의 물질이 포함된다. 이러한 물질에는 바이러스(세포외 및 세포내 모두), 세균, 박테리오파지, 진균, 혈액으로 전파되는 기생충, 프리온 및 원생동물이 포함되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병원체는 또한, 예를 들어, 공여자의 백혈구 세포가 존재할 수 있는 적혈구, 혈소판 또는 혈장의 수혈을 포함하는 과정에서, 면역 또는 자가면역 반응의 억제가 바람직한 경우의 백혈구 세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을 사용하여 처리 및/또는 저장될 수 있는 물질에는, 혈소판과 같은 미토콘드리아를 갖는 전혈 또는 분리된 혈액 성분이 포함된다.
전혈 또는 분리된 혈액 성분을 저장하는 본 발명의 방법은, 리보플라빈 첨가제와 아세테이트를 저장할 혈액 성분과 혼합하는 것을 요구한다. 혼합은 단순히 건조 또는 수성 형태의 리보플라빈과 아세테이트를 전혈 또는 혈액 성분에 단순히 첨가하거나, 또는 적어도 리보플라빈과 아세테이트를 함유하는 용액을 저장할 전혈 또는 혈액 성분에 첨가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리보플라빈과 아세테이트는 함께 첨가되거나 각각 분리되어 첨가될 수 있다.
리보플라빈 첨가제는 용액 35±5 mL 당 약 500 μM의 농도로 사용할 수 있다. 아세테이트의 농도는 더 넓은 범위도 가능하지만, 용액 35±5 mL 당 약 140±50 mM일 수 있다. 또한, 대략 0.9%의 염화나트륨을 함유하는 염수를 첨가할 수 있다.
병원체를 감소 또는 불활성화하기 위한 처리가 필요한 경우, 적어도 광감작제와 아마도 아세테이트를 함유하는 전혈 또는 수집된 혈액 성분을, 전술한 바와 같이 광감작제를 활성화하기에 충분하나, 제거되어야할 혈액 성분에 비특이적으로 현저하게 손상을 주거나 존재하는 다른 단백질의 생물학적 활성을 실질적으로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광방사 양을 사용하여, 적절한 파장의 광방사에 노출하여, 광감작제를 활성화시킨다.
혈소판에서 병원체를 감소시키는 것이 필요한 경우, 광감작제 유사 첨가제를 활성화하는데 사용되는 광원은 약 320 nm의 빛을 제공하는 넓은 스펙트럼을 갖는 UV 광원인 것이 바람직하다.
빛에 노출되는 경우, 리보플라빈은 병원체의 복제를 간섭하거나, 병원체를 직접 사멸시킴으로써, 존재할 수 있는 병원체를 불활성화할 수 있다. 광감작제의 작용은 싱글렛 산소 형성 및 광감작제의 병원체의 핵산으로의 근접에 의해 일어날 수 있으며, 이는 광감작제가 병원체 핵산에 결합되어 초래될 수도 있다. "핵산"에는 리보핵산(RNA) 및 데옥시리보핵산(DNA)이 포함된다. 7,8-디메틸-1O-리비틸 이소알록사진과 핵산 사이에 발생한다고 여겨지는 화학반응은 싱글렛 산소 의존적 과정을 통해 단독으로 진행되는 것은 아니며(즉, 유형 II 메카니즘), 오히려 감작제-기질 상호작용에 의한 것이다(유형 I 메카니즘). Cadet 등[J. Chem., 23:420-429 (1983)]은, 7,8-디메틸-1O-리비틸 이소알록사진의 영향이 구아노신 잔기의 비-싱글렛 산소 산화에 기인한 것임을 명확히 밝혔다. 또한, 아데노신 염기는 7,8-디메틸-1O-리비틸 이소알록사진 + UV 빛의 영향에 민감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아데노신 잔기가 싱글렛 산소 의존적 과정에 상대적으로 민감하지 않기 때문에 중요한 것이다. 7,8-디메틸-1O-리비틸 이소알록사진은 UV 빛에 노출시 많은 양의 싱글렛 산소를 생산하지 않는 대신, 여기된 상태의 감작제 종과의 전자 이동 반응을 통한 기질(예, 핵산)과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세포 및 단백질에 대한 무차별적인 손상은 주로 싱글렛 산소원에 기인하기 때문에, 7,8-디메틸-1O-리비틸 이소알록사진의 작용에 대한 이러한 기계적인 경로는, 주로 유형 II 화학을 갖는 프소랄렌과 같은 다른 광감작제 화합물의 경우보다, 이러한 작용에 있어 더 큰 민감도를 보이게 된다.
광감작제 유사 첨가제 및 아세테이트는, 혈액 성분을 용기에 첨가하기 이전에 조사 또는 저장 용기에 첨가하거나 이쪽으로 흘러보낼 수 있으며, 또는 이미 용기 내에 존재하는 혈액 성분에 첨가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광감작제 유사 첨가제 및 아세테이트는 또한 병원체 감소 과정 이후에 저장 용액으로 혈액 성분에 첨가될 수도 있다.
병원체 감소 과정의 경우, 병원체가 감소될 혈액 성분 및 적어도 리보플라빈을 함유하는 첨가 용액을, 광투과성이거나 또는 광감작제를 활성화하도록 백(bag)의 내용물을 도달시키기에 충분할 정도로 적어도 광투과성을 갖는 백 내에 위치시킨다. 용어 "광투과성"은 용기의 재료가 광감작제 유사 첨가제를 활성화하기 위한 적절한 파장의 광방사에 적절히 투과성인 것을 의미한다. 적어도 리보플라빈을 함유하는 첨가 용액 중에서, 리보플라빈은 적어도 약 500 μM의 농도로 첨가된다.
혈액 성분과 리보플라빈을 함유하는 백은, 실질적으로 모든 유체가 방사에 노출되도록, 조사될 혈액 성분의 흡광도에 따라, 약 6 내지 약 10분의 기간 동안, 바람직하게 약 1 내지 약 120 J/cm2에서 조사된다.
아세테이트는 리보플라빈이 첨가되기 이전에 조사될 혈액 제품에 첨가될 수 있으며, 리보플라빈과 함께 첨가될 수 있으며, 또는 조사 과정 이후에 첨가될 수도 있다. 아세테이트는 용액 35 mL 당 적어도 약 106 mM의 농도로 첨가된다. 첨가제 용액은 또한 대략 0.9%의 염화나트륨을 함유하는 생리 염수를 함유할 수 있다.
도 11은 병원체가 감소될 혈액 성분이 혈액 백(280) 내에서 초기에 수집되는 본 발명의 구체예를 묘사한다. 그 후, 혈액 성분은 수집 백(280)으로부터 주입 포트(282)가 장착된 광투과성 조사 백(284)으로 이동하며, 주입 포트(282)는 리보플라빈 및/또는 아세테이트가 주입 라인(288)을 통해 백(286)으로부터 첨가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아세테이트는 조사 과정 이후 병원체가 감소된 혈액 제품에 첨가될 수 있으며, 병원체가 감소된 제품은 즉각적으로 수혈되거나 추후 사용을 위해 저장될 수 있다. 백(284)은 또한 광감작제와 아세테이트를 함유하도록 미리포장될 수 있으며, 백(280)으로부터의 유체를 추후 이 백에 첨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저장 용액은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첨가제 리보플라빈 및 아세테이트를 사용한다.
도 1은 5일 및 7일 동안 저장된 처리 및 비처리된 혈소판의 글루코즈 소비 속도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2는 5일 및 7일 동안 저장된 처리 및 비처리된 혈소판의 락테이트 생산 속도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3은 5일 및 7일 동안 저장된 처리 및 비처리된 혈소판의 pH 변화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4는 7일의 기간에 걸쳐 저장된 처리 및 비처리된 혈소판에 의한 O2 소비 속도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5는 7일의 기간에 걸쳐 저장된 처리 및 비처리된 혈소판에 의한 CO2 생산 속도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6은 7일의 기간에 걸쳐 저장된 처리 및 비처리된 혈소판에 의한 비카보네이트 중화 속도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7은 7일의 기간에 걸쳐 저장된 처리 및 비처리된 혈소판에서 혈소판 형태 변화 정도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8은 12일에 걸쳐 리보플라빈과 아세테이트를 함유하는 용액 중에서 저장된 혈소판에 의한 글루코즈 소비 속도를 염수 중에 저장된 혈소판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9는 12일에 걸쳐 리보플라빈과 아세테이트를 함유하는 용액 중에서 저장 된 혈소판에 의한 락테이트 생산 속도를 염수 중에 저장된 혈소판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10은 12일에 걸쳐 리보플라빈과 아세테이트를 함유하는 용액 중에서 저장된 혈소판의 세포 계수를 염수 중에 저장된 혈소판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11은 광감작제 및 첨가제를 병원체를 감소시킬 혈액 성분에 흘려보내기 위한, 일련의 백을 사용한 본 발명의 구체예를 보여준다.
도 12는 광원 유래의 광방사에 유체를 노출하면서 병원체를 감소시킬 유체를 함유하는 혈액 백을 사용한 본 발명의 구체예를 보여준다.
실시예 1
병원체 감소 과정을 거친 혈소판에 대한 아세테이트 첨가 영향을 측정하기 위해, 혈소판을 리보플라빈을 단독으로 함유하는 용액, 또는 리보플라빈과 아세테이트를 함유하는 용액에 현탁하고, 빛에 노출하였다.
이러한 실험은 2가지 대조군, 즉, 혈소판을 고농도로 함유하는 대조군 샘플(1×1011개의 세포당 혈장 40 ml 및 3-4×1011개의 혈소판을 함유하는 150 mL)(도면에서 고 (혈소판) 농도 저장으로 언급됨), 및 표준 저장 대조군(3-4×1011개의 혈소판 당 62-83 ml의 혈장 및 3-4×1011개의 혈소판을 함유하는 250 mL)(도면에서 표준 저장 대조군 (또는 비처리군)으로 언급됨)을 포함한다.
이 실험은 또한 2가지 병원체 감소된 혈소판 샘플(도면에서 처리군 (또는 비 처리군)으로 언급됨)을 포함한다. 하나의 처리된 샘플은 1×1011개의 세포 당 40 ml의 혈장 및 50 μM 리보플라빈을 함유하는 150 mL의 병원체 감소/저장 용액 내에 현탁된 3-4×1011개의 혈소판을 포함하며(도면에서 처리군, 리보플라빈으로 언급됨), 1×1011개의 세포 당 40 ml의 혈장 및 50 μM 리보플라빈과 20 mM 아세테이트를 함유하는 150 mL의 병원체 감소/저장 용액 내에 현탁된 3-4×1011개의 혈소판을 포함한다(도면에서 처리군, 리보플라빈 + 아세테이트로 언급됨). 처리된 샘플 양쪽을 6.24 J/mL의 빛에 노출하고, 표준 혈소판 저장 조건하에서 7일 동안 저장하였다.
이하 도 1-7은 처리 및 비처리된 혈소판의 대사작용에 대한 직접적 및 간접적 측정치를 보여준다.
도 1은 5일 및 7일 동안 저장된 처리 및 비처리된 혈소판의 글루코즈 소비를 비교하고 있다. 도면에서 관찰되는 바와 같이, 특히 저장 7일 이후에, 리보플라빈과 아세테이트로 처리된 병원체가 감소된 혈소판이 리보플라빈 단독으로 처리된 혈소판에 비해 글루코즈를 덜 소비하였다.
도 2는 5일 및 7일 동안 저장된 처리 및 비처리된 혈소판의 락테이트 생산을 비교하고 있다. 특히 저장 7일 이후에, 리보플라빈과 아세테이트로 처리된 병원체가 감소된 혈소판이 리보플라빈 단독으로 처리된 혈소판에 비해 젖산을 덜 생산하였다.
도 3은 7일간의 저장 기간에 걸쳐 병원체 감소/저장 용액의 pH 변화를 비교 하고 있다. 7일간의 저장 기간에 걸쳐 리보플라빈과 아세테이트로 처리된 병원체가 감소된 혈소판의 경우가 병원체 감소/저장 용액의 pH가 더 느리게 변화 (또는 강하)하였다. 7일째 평균 pH는 7.0보다 컸다. 아세테이트를 함유하지 않은 병원체 감소/저장 용액 중 혈소판의 경우, pH가 6.8보다 낮았다.
도 4는 7일간의 저장 기간에 걸쳐 병원체가 감소된 혈소판의 산소 소비를 비교하고 있다. 리보플라빈과 아세테이트로 처리된 병원체가 감소된 혈소판은 물론 리보플라빈 단독으로 처리된 혈소판의 경우에도, 7일간의 저장 기간 동안 산소 소비는 대조군 혈소판 양쪽 셋트에 비해 연속적으로 증가하였다. 산소 소비는 미토콘드리아 호흡의 지표이다. 낮은 값의 pO2는 높은 산소 소비와 뛰어난 미토콘드리아 활성을 반영해준다.
도 5는 저장 7일에 걸쳐 혈소판에 의한 이산화탄소 생산을 비교한다. 이산화탄소 생산은 미토콘드리아 호흡(호흡하는 혈소판이 산소를 소비하고 이산화탄소를 생산함)으로 측정한다. 리보플라빈과 아세테이트로 처리된 병원체가 감소된 혈소판이 대조군인 비처리된 혈소판에 비해 더 많은 이산화탄소를 생산한다.
도 6은 저장 7일에 걸쳐 병원체 감소/저장 용액 중 40 mL 혈장 캐리오버 중에 혈소판에 의한 비카보네이트 중화를 비교한다. 혈소판은 비카보네이트를 대사하여 일정한 pH를 유지하게 해준다. pH가 젖산의 생산으로 강하되는 경우, 더 많은 비카보네이트가 중화될 것이다. 리보플라빈과 아세테이트로 처리된 병원체가 감소된 혈소판이 대조군인 비처리된 혈소판보다 비카보네이트를 덜 중화한다.
도 7은 저장 5~7일 사이의 혈소판의 연장된 형태 변화%를 비교한다. 다시 한번 언급하건대, 리보플라빈과 아세테이트로 처리된 혈소판이 아세테이트 없이 처리된 혈소판보다 저장 7일 이후 형태가 덜 변화되었다.
도 1 내지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아세테이트의 첨가는 혈소판 회복 및 시험관내 생존에 있어 가장 예측성있는 지시자들인, 글루코즈 소비, 젖산 생산 및 pH에 있어 현저한 개선점을 보였다. 이러한 효과는 리보플라빈과 함께 사용된 아세테이트가 미토콘드리아 호흡을 촉진한다는 점과 일치하는 것이다.
이러한 데이터는 또한 리보플라빈과 아세테이트를 함유하는 첨가 용액이 혈장 농도를 감소시키면서 고농도의 혈소판에 대해 저장 및/또는 병원체 감소를 가능하게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혈액 분리 과정에서 더 많은 혈장을 수집할 수 있게 해주며 수혈을 받을 사람에게 혈장에 노출되는 수치를 감소시켜 준다.
실시예 2
12일 동안 저장된 혈소판에 대한 아세테이트의 영향을 관찰하기 위해 비교 연구를 수행하였다. 혈소판은 빛에 노출하지 않았다.
900-2100×103/μL의 농도로 250 mL의 혈소판을 함유하는 하나의 샘플을, 염수를 1.85 M 아세트산나트륨 및 500 μM 리보플라빈과 함께 함유하는 저장 용액 35 mL에 현탁하였다.
900-2100×103/μL의 농도로 250 mL의 혈소판을 함유하는 다른 샘플을, 염수만을 함유하는 저장 용액 35 mL에 현탁하였다.
도 8은 리보플라빈과 아세테이트를 함유하는 용액 중에 저장된 혈소판에 의한 글루코즈 소비 속도를 리보플라빈과 아세테이트를 함유하지 않은 용액 중에 저장된 혈소판과 비교한다. 저장 12일 후, 리보플라빈과 아세테이트를 함유하는 용액 중의 혈소판은 리보플라빈과 아세테이트를 함유하지 않은 용액 중에 저장된 혈소판보다 글루코즈를 덜 소비하였다.
도 9는 저장 12일 후 혈소판에 의한 락테이트 생산 속도를 비교한다. 저장 12일 후, 리보플라빈과 아세테이트를 함유한 용액 중의 혈소판은 리보플라빈과 아세테이트를 함유하지 않는 용액 중에 저장된 혈소판보다 젖산을 덜 생산하였다.
도 10은 리보플라빈과 아세테이트를 함유하는 저장 용액 중에 저장된 혈소판의 세포 계수를 리보플라빈과 아세테이트를 함유하지 않은 용액 중에 저장된 혈소판의 세포 계수와 비교한다. 저장 12일에 걸쳐, 리보플라빈과 아세테이트를 함유하는 용액 중에 저장된 혈소판과 리보플라빈과 아세테이트를 함유하지 않은 용액 중에 저장된 혈소판의 세포 계수에는 측정가능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보여진다.
이러한 결과는 리보플라빈과 아세테이트를 함유하는 저장 용액을 사용한 경우의 이점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8-10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리보플라빈과 아세테이트 모두를 함유하는 용액이, 리보플라빈과 아세테이트를 함유하지 않는 용액에 비해, 적어도 12일 동안 혈소판을 더 잘 저장할 수 있다.

Claims (32)

  1. 적어도 하나의 수집된 혈액 성분; 및 내생 알록사진과 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혈액 성분 첨가 용액을 포함하는 유체.
  2. 제1항에 있어서, 내생 알록사진이 리보플라빈인 것인 유체.
  3.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수집된 혈액 성분이 혈소판을 포함하는 것인 유체.
  4. 제1항에 있어서, 혈액 성분 첨가 용액이 생리 염수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인 유체.
  5. 제4항에 있어서, 생리 염수가 0.9% 염화나트륨인 것인 유체.
  6. 제3항에 있어서, 혈장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인 유체.
  7. 제6항에 있어서, 혈장의 부피가 1011개의 수집된 혈소판 당 20-80 mL인 것인 유체.
  8. 제6항에 있어서, 혈장의 부피가 1011개의 수집된 혈소판 당 30-60 mL인 것인 유체.
  9.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수집된 혈액 성분이 병원체가 감소된 것인 유체.
  10. 내생 알록사진과 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저장 또는 첨가 용액.
  11. 제10항에 있어서, 내생 알록사진이 리보플라빈인 것인 저장 또는 첨가 용액.
  12. 제10항에 있어서, 생리 염수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인 저장 또는 첨가 용액.
  13. 제12항에 있어서, 생리 염수가 0.9% 염화나트륨인 것인 저장 또는 첨가 용액.
  14. 내생 알록사진과 아세테이트로 필수적으로 구성되는 저장 또는 첨가 용액.
  15. 제14항에 있어서, 내생 알록사진이 리보플라빈인 것인 저장 또는 첨가 용액.
  16. 제15항에 있어서, 리보플라빈이 용액 35±5 mL 당 약 500 μM의 농도로 존재하는 것인 저장 또는 첨가 용액.
  17. 제14항에 있어서, 아세테이트가 용액 35±5 mL 당 대략 140±50 mM의 농도로 존재하는 것인 저장 또는 첨가 용액.
  18. 리보플라빈, 아세테이트 및 염수로 구성되는 저장 또는 첨가 용액.
  19. 수집된 혈액 또는 혈액 성분; 및 광감작제 유사 첨가제의 광생성물, 아세테이트 및 염수로 필수적으로 구성되는 병원체 감소 용액으로 필수적으로 구성되는 병원체가 감소된 유체.
  20. 제19항에 있어서, 수집된 혈액 또는 혈액 성분이 추가적으로 혈소판과 혈장으로 필수적으로 구성되는 것인 유체.
  21. 제20항에 있어서, 혈장이 1011개의 수집된 혈소판 당 20-80 mL인 것인 유체.
  22. 제20항에 있어서, 혈장이 1011개의 수집된 혈소판 당 30-60 mL인 것인 유체.
  23. 제19항에 있어서, 광감작제 유사 첨가제의 광생성물이 내생 광감작제의 광생성물인 것인 유체.
  24. 내생 알록사진과 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병원체 감소 용액.
  25. 제24항에 있어서, 염수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인 병원체 감소 용액.
  26. 제24항에 있어서, 내생 알록사진이 리보플라빈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인 병원체 감소 용액.
  27. 리보플라빈, 아세테이트 및 염수로 구성되는 병원체 감소 용액.
  28. (a) 내생 광감작제와 아세테이트로 필수적으로 구성되는 혼합물의 유효 비독성량을 혈액 또는 수집된 혈액 성분과 혼합하여 혼합된 유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b) 혼합된 유체를 광감작제를 활성화하기에 충분한 광방사에 노출시켜 병원체의 적어도 일부를 감소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병원체를 함유할 수 있는 혈액 또는 수집된 혈액 성분의 병원 체 감소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수집된 혈액 성분이 혈소판을 포함하는 것인 혈액 또는 수집된 혈액 성분의 병원체 감소 방법.
  30. 제28항에 있어서, 생리 염수를 혼합된 유체에 첨가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인 혈액 또는 수집된 혈액 성분의 병원체 감소 방법.
  31. 제29항에 있어서, 혼합된 유체가 1011개의 수집된 혈소판 당 20-80 mL의 양으로 혈장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인 혈액 또는 수집된 혈액 성분의 병원체 감소 방법.
  32. 제29항에 있어서, 혼합된 유체가 1011개의 수집된 혈소판 당 30-60 mL의 양으로 혈장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인 혈액 또는 수집된 혈액 성분의 병원체 감소 방법.
KR1020087011902A 2005-12-06 2006-12-01 내생 알록사진과 아세테이트를 이용한 혈액과 혈액 제품의처리 및 저장 방법 KR200800849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9750605P 2005-12-06 2005-12-06
US60/597,506 2005-12-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4924A true KR20080084924A (ko) 2008-09-22

Family

ID=38007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1902A KR20080084924A (ko) 2005-12-06 2006-12-01 내생 알록사진과 아세테이트를 이용한 혈액과 혈액 제품의처리 및 저장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1956897A2 (ko)
JP (1) JP2009518403A (ko)
KR (1) KR20080084924A (ko)
CN (1) CN101505591A (ko)
AU (1) AU2006322038A1 (ko)
BR (1) BRPI0618815A2 (ko)
CA (1) CA2629340A1 (ko)
WO (1) WO200706748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35104B2 (en) 2007-12-20 2014-09-16 Fenwal, Inc. Medium and methods for the storage of platelets
WO2012139017A1 (en) 2011-04-07 2012-10-11 Fenwal, Inc. Automated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platelet concentrates with reduced residual plasma volumes and storage media for such platelet concentrate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6524A (en) * 1991-04-01 1994-12-27 Thomas Jefferson University Platelet storage medium containing acetate and phosphate
US5344752A (en) * 1991-10-30 1994-09-06 Thomas Jefferson University Plasma-based platelet concentrate preparations
US5234808A (en) * 1991-10-30 1993-08-10 Thomas Jefferson University Acetate addition to platelets stored in plasma
US7094378B1 (en) * 2000-06-15 2006-08-22 Gambr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activation of biological contaminants using photosensitizers
TW590780B (en) * 2000-06-02 2004-06-11 Gambro Inc Additive solutions containing riboflavin
US6548241B1 (en) * 2000-11-28 2003-04-15 Gambro, Inc. Storage solution containing photosensitizer for inactivation of biological contaminants
JP2005524714A (ja) * 2002-05-06 2005-08-18 ガンブロ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ミトコンドリアのエンハンサーを使用する、細胞性の血液成分に対するダメージを防止し、または若返らせ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67482A2 (en) 2007-06-14
AU2006322038A1 (en) 2007-06-14
CN101505591A (zh) 2009-08-12
BRPI0618815A2 (pt) 2011-09-13
JP2009518403A (ja) 2009-05-07
EP1956897A2 (en) 2008-08-20
CA2629340A1 (en) 2007-06-14
WO2007067482A3 (en) 2009-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99170A1 (en) Method for treatment and storage of blood and blood products using endogenous alloxazines and acetate
KR920005684B1 (ko) 혈장을 함유하지 않는 수혈가능한 혈소판 저장 합성매질
EP1345491B1 (en) Storage solution containing photosensitizer for inactivation of biological contaminants
JP7148499B2 (ja) 嫌気性血液貯蔵および病原体不活性化方法
EP0313808A2 (en) Synthetic, plasma-free, transfusible storage medium for red blood cells
JP2001523225A (ja) 血液製剤の改良された貯蔵および保存法
EP128699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activation of biological contaminants using photosensitizers
US6790603B2 (en) Compositions for the storage of platelets
US2003021578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activation of biological contaminants using photosensitizers
US7220747B2 (en) Method for preventing damage to or rejuvenating a cellular blood component using mitochondrial enhancer
EP1404379A2 (en) Viral inactivation process using antioxidant
KR20080084924A (ko) 내생 알록사진과 아세테이트를 이용한 혈액과 혈액 제품의처리 및 저장 방법
US20230015525A1 (en) Anaerobic Blood Storage and Pathogen Inactivation Method
CA2631162C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he production of high concentration alloxazine solutions
JP2005524714A (ja) ミトコンドリアのエンハンサーを使用する、細胞性の血液成分に対するダメージを防止し、または若返らせる方法。
AU2012233033B2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he production of high concentration alloxazine solu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