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4495A -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4495A
KR20080084495A KR1020070026326A KR20070026326A KR20080084495A KR 20080084495 A KR20080084495 A KR 20080084495A KR 1020070026326 A KR1020070026326 A KR 1020070026326A KR 20070026326 A KR20070026326 A KR 20070026326A KR 20080084495 A KR20080084495 A KR 200800844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over
light
filter unit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6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5423B1 (ko
Inventor
주원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6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5423B1/ko
Priority to US11/955,227 priority patent/US9203942B2/en
Priority to TW097101068A priority patent/TWI454126B/zh
Priority to CN2008100031610A priority patent/CN101267620B/zh
Priority to EP08003465.5A priority patent/EP1971112B1/en
Publication of KR20080084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4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5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54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04M1/0283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for providing a decorative aspect, e.g. customization of casings, exchangeable facepl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9/00Layers
    • H01H2209/068Properties of the membrane
    • H01H2209/082Properties of the membrane transparent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키 영역을 갖는 단말기 커버; 상기 단말기 커버의 내부에 위치되어 모드에 따라 다른 색광을 발광시키는 발광부; 및 상기 단말기 커버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각 모드에 따라 다른 패턴으로 형성되며, 상기 단말기 커버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각 모드에 대응되는 적어도 2개의 패턴을 가지며 상기 색광에 대응되는 패턴만을 상기 키 영역에 보이도록 하는 필터부를 포함한다. 각 모드에 따라 다른 패턴으로 형성되는 필터부는 색광에 따라 다른 패턴으로 사용자에게 인식되어 그 색상이나 변화 가능한 패턴에 의하여 쉽게 모드를 알 수 있게 해줄 뿐 아니라 휴대 단말기의 외관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핸드폰, 휴대폰, 단말기, 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모드에 따라 다른 색으로 커버에 키가 표시된 것을 보인 작동 상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모드에 따라 다른 색으로 커버에 키가 표시된 것을 보인 작동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이한 층에 위치되는 필터부를 갖는 단말기 커버 내부의 일부분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내부에 반사판이 구비된 단말기 커버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필터층이 베이스 커버의 상부에 배치된 단말기 커버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대기 모드에 있는 경우의 휴대 단말기의 외부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9는 도 8의 휴대 단말기가 동작 모드에 있는 경우의 휴대 단말기의 외부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휴대 단말기 102: 키패드
102a: 키 영역 120: 베이스 커버
121: 가림층 122: 인쇄층
123: 투광성 보호층 124: 터치감지층
125: 필터층 126: 도광층
127: 반사층 131: 제1필터부
132: 제2필터부 140: 발광부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키 영역 등에서 표시되는 색상을 복수로 갖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전화기 또는 피디에이(PDA) 등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이동중에 이를 이용하여 무선 송수신이나 정보를 열람 또는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기능을 갖춘 휴대용 전자기기이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작고 제한된 장치 내에서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는 것이 편리하도록 충분한 기구적인 뒷받침과 함께 그러한 기능을 사용함에 있어 사용 자로 하여금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interface) 환경을 요한다.
휴대 단말기는 탑재된 기능의 작동이나 입력을 위하여 조작 가능한 키패드 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어두운 곳에서도 사용하거나 조작되어질 키의 표지(標識)가 명확히 드러나도록 발광 다이오드(LED) 등과 같은 조명장치를 사용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키패드 장치를 구성하는 각 키버튼을 눌러줌으로써 해당되는 스위치를 동작시켜 입력을 하고, 발광 다이오드 등에서 발생되는 빛이 키버튼을 조명시켜 주면 각 키버튼의 위치와 표지를 인식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키패드 장치에서는 키버튼을 조명시키는 발광 다이오드는 오로지 키버튼의 백라이팅(back lighting)을 위한 것으로 별다른 식별 정보를 주지 못하는 것이어서, 그 활용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키 영역에 적용되는 조명과 그에 의하여 인식되는 표지(標識) 정보를 다양하게 하여 활용성 높고 인터페이스가 편리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키 영역을 갖는 단말기 커버; 상기 단말기 커버의 내부에 위치되어 모드에 따라 다른 색광을 발광시키는 발광부; 및 상기 단말기 커버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각 모드에 따라 다른 패턴으로 형성 되며, 상기 단말기 커버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각 모드에 대응되는 적어도 2개의 패턴을 가지며 상기 색광에 대응되는 패턴만을 상기 키 영역에 보이도록 하는 필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 단말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현 형태로서, 상기 단말기 커버는 반투명 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현 형태로서, 상기 단말기 커버는, 투광성의 베이스 커버; 및 상기 베이스 커버의 외부에 위치되어 상기 필터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려주는 가림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현 형태로서, 상기 가림층은, 상기 베이스 커버의 외부에 부분 투광성 형태로 형성되는 인쇄층; 및 상기 인쇄층의 외부에 위치되고, 상기 인쇄층을 보호하는 투광성 보호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현 형태로서, 상기 투광성 보호층은 상기 인쇄층이 인쇄된 수지 필름이 인몰드(in-mold)되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구현 형태로서, 상기 투광성 보호층은 상기 인쇄층이 상기 베이스 커버에 전사(轉寫)된 후 투명 도료가 입혀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구현 형태로서, 상기 베이스 커버의 외부 또는 내부에는 상기 단말기 커버에 가해지는 터치를 감지하여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터치감지층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현 형태로서, 상기 터치감지층은 상기 터치에 의하여 발생 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는 정전용량 타입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현 형태로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터치감지층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현 형태로서, 상기 필터부의 내부에는 상기 발광부의 빛을 수평으로 안내하는 도광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현 형태로서, 상기 도광층의 내부에는 상기 도광층의 빛을 외부로 반사시키는 반사층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현 형태로서, 상기 각 모드에 대응되는 상기 필터부들의 패턴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현 형태로서, 상기 각 모드에 대응되는 상기 필터부들의 패턴은 서로 겹쳐지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현 형태로서, 상기 각 모드에 대응되는 상기 필터부들의 패턴은 동일(同一)층에 형성되거나, 서로 다른 층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구현 형태로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발광부에서 발광되는 색광 중 선택되는 색광을 제외한 색광들의 파장을 간섭에 의하여 거를 수 있는 두께를 갖는 박막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현 형태로서, 상기 필터부의 패턴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패턴은 장식적 기호 또는 문양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현 형태로서, 상기 모드들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모드는 대기 모드이고,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장식적 기호 또는 문양을 갖는 필 터부가 동작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단말기 커버; 상기 단말기 커버의 내부에 위치되어 모드에 따라 다른 색광을 발광시키는 발광부; 및 상기 단말기 커버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모드에 따라 다른 패턴으로 형성되며, 상기 색광들 중 상기 모드에 의하여 선택되는 색광에 대응되는 패턴만을 상기 단말기 커버에 보이도록 하는 필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 단말기를 개시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 1에 의하면, 휴대 단말기(100)는 전방커버(111)과 후방커버(112)에 의하여 외관을 형성하고 있으며, 전방커버(111)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디스플레이(101)와 입력을 위한 키패드(102)가 배치되어 있다.
도 1의 키패드(102)는 하나의 바디로 구성되는 이른바 '바(bar)'타입의 휴대 단말기(100)에 적용된 예로 들고 있으나, 어느 한 바디가 다른 바디에 대하여 회전되어 개폐되는 폴더(folder) 타입, 또는 어느 한 바디가 다른 바디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되어 개폐되는 슬라이드(slide) 타입 등과 같은 다른 타입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을 참조하면, 키패드(102)는 여러 가지 문자나 숫자 또는 기호를 입력할 수 있게 복수 개의 키 영역(102a)을 포함하고 있다. 각 키 영역(102a)에서 보여질 수 있는 문자나 숫자 또는 기호는 내부의 조명의 도움을 받아 선택적으로 식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동통화를 할 수 있도록 휴대 단말기(100)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리시버(reciever) 및 스피커 장치(103)나 마이크(104)가 설치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는 2 이상의 모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화를 위하여 대기하는 경우, 외부에 전화를 걸기 위하여 다이얼링을 하는 경우, 통화를 하는 경우, 또는 메시지 전송이나 저장을 위해 편집을 하는 경우 등과 같이 전화와 관련되는 모드, 또는 부가 기능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 등이다. 각 모드에 따라 키패드(102)도 설정이 변경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키패드(102)는, 위에서 설명한 키 영역(102a)을 갖는 전방커버(111)와 전방커버(111)의 내부에 위치되어 모드에 따라 다른 색광을 발광시키는 발광부(140)를 구비한다. 전방커버(111)의 내부에는 각 모드에 대응되는 적어도 2개의 패턴을 가지며 각 색광에 대응되는 패턴만을 키 영역(102a)에 보이도록 하는 필터부(131)(132)가 장착된다.
전방커버(111)는 베이스 커버(120)와, 베이스 커버(120)의 외부에 위치되어 필터부(131)(132)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려 주는 가림층(121)을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 커버(120)는 합성수지 계열의 투광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뒤에서 설명하는 것과 같이, 키패드(102)가 터치 타입인 경우, 반복적인 터치를 지지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강성(rigidity)을 보유할 수 있는 두께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림층(121)은 베이스 커버(120)의 외부에 부분 투광성 형태로 형성되는 인쇄층(122)과 인쇄층(122)의 외부에 위치되고, 인쇄층(122)을 보호하는 투광성 보호층(123)으로 되어 있다. 인쇄층(122)은 발광부(140)에서 빛이 발생되지 않을 때 내부의 필터부(131)(132) 또는 발광부(140)를 가려주기 위하여 임의의 색을 갖는 잉크를 인쇄하여 구현할 수 있다.
가능한 실시 방법으로서, 투광성 보호층(123)은 투명한 수지 필름이 인몰드(in-mold)된 형태로 될 수 있다. 즉, 인쇄층(122)이 투광성 수지 필름에 인쇄되고 나면, 그 인쇄된 투광성 수지필름을 베이스 커버(120)에 일체로 몰딩하는 방법이다. 이에 따라, 그 수지 필름이 투광성 보호층(123)이 되는 것이다.
다른 실시 방법으로서, 인쇄층(122)을 필름에 인쇄시킨 상태에서, 베이스 커버(120)에 대고 인쇄층(122)을 전사(轉寫)시킨 후 필름을 제거하고 인쇄층(122)이 형성된 베이스 커버(120)의 외부에 투명 도료를 입히는 것도 가능하다. 투명 도료는 증착 등의 방법에 의하여 할 수 있다. 이 경우, 투명 도료가 투광성 보호층(123)이 된다.
위의 베이스 커버(120)와 가림층(121)을 사용하는 경우와 달리, 전방커버(111)는 반투명 수지재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전방커버(111)는 투명 수지재에 안료가 혼입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에 의하면, 베이스 커버(120)의 내부에는 전방커버(111)에 가해지는 터 치를 감지하여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터치감지층(124)이 구비되어 있다. 터치감지층(124)은 ITO(indum-tin-oxide)와 같은 전도성 물질이 구비된 필름이 베이스 커버(120)의 내면에 입혀진 형태로 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감지층(124)은 전방커버(111)의 키 영역에 가해지는 터치에 따라 그 부위의 정전용량(Capacitance)의 변화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시켜 줌으로서 입력 작용을 할 수 있는 정전용량 타입으로 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에 의하면, 터치감지층(124)의 하부에는 필터부(131)(132)가 형성된 필터층(125)이 배치되고 있으며, 필터층(125)의 하부에는 발광부(140)의 빛을 외부로 안내하는 도광층(126)이 위치되고 있다.
필터부(131)(132)는 발광부(140)에서 발광되는 색광 중 선택되는 색광을 제외한 색광들의 파장을 간섭에 의하여 거를 수 있는 두께를 갖는 박막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필터부(131)(132)는 그러한 박막의 경계면에서 발생되는 반사광의 간섭 현상을 이용함으로써 빛을 선택적으로 투광시키고 나머지는 걸러낸다. 이러한 박막 형태 외에 필터부(131)(132)는 색광에 따라 선택적인 투과가 가능하도록 표면에 각도가 다른 미세하고도 규칙적인 삼각 프리즘 형태의 조면(粗面)을 만들어 줌으로써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에서는 발광부(140)에서 나오는 빛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필터부(131)(132)는 두 종류로 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즉, 필터부(131)(132)는 발광부(140)에서 방출되는 제1색광만을 투과시키는 제1필터부(131) 및 제2색광만을 투과시키는 제2필터부(132)로 되어 있다.
제1색광 및 제2색광은, 예를 들어 각각 청색광 및 적색광으로 설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제1필터부(131)는 청색광만을 투과시키고 적색광은 반사시키거나 차단시킬 수 있는 두께로 형성되거나 조면 처리가 되고, 제2필터부(132)는 적색광만을 투과시키고 청색광은 투과시킬 수 있는 두께로 형성되거나 조면 처리가 된다.
발광부(140)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전력소모가 적은 형태가 가능하며, 모드에 따라 다른 빛을 구현할 수 있도록 다색을 구현할 수 있는 형태 또는 단색을 구현하는 형태를 색깔별로 모아놓은 형태도 가능하다.
도광층(126)의 내부에는 도광층(126)의 빛을 외부로 반사시키는 반사층(127)이 형성되고 있다. 반사층(127)은 접착면이 거울면으로 된 테입을 부착하거나 도광층(126)에 금속을 도금하는 등의 방법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도 3a 및 도 3b에서 보는 것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가 특정 모드 즉, 제1모드에 있을 때 발광부(140)에서 제1색광이 나오면, 제1색광은 도광층(126) 내부에서 전반사되어 수평으로 진행된다. 제1색광이 제2필터부(132)에 입사되면 제2필터부(132)에서는 제1색광을 차단하게 되어 소멸되거나 반사되어 계속 진행하게 된다. 그리고, 제1색광이 제1필터부(131)에 입사되면 제1필터부(131)에서는 투과되고, 사용자는 제1필터부(131)의 패턴의 빛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모드에 맞게 세팅되는 키들을 터치 방식으로 입력할 수 있게 된다(도 3a).
휴대 단말기가 제1모드와 다른 제2모드에 있는 경우이고 발광부(140)에서 제 2색광이 나오면, 제2색광은 제1필터부(131)에서는 소멸 또는 반사되지만 제2필터부(132)를 통과하게 되어, 사용자는 제2필터부(132)의 패턴의 빛을 인식하게 된다(도 3b).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모드에 따라 다른 색으로 커버에 키가 표시된 것을 보인 작동 상태도이다.
즉, 제1필터부(131) 및 제2필터부(132)가 이격되어 배치되는 도 3a 및 도 3b의 예와 달리, 본 실시예에서는 제1필터부(231) 및 제2필터부(232)는 상호 겹쳐져 있게 배치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 경우, 제1필터부(231)와 제2필터부(232)를 이격하여 놓는 경우보다 키패드를 소형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이한 층에 위치되는 필터부를 갖는 단말기 커버 내부의 일부분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5에 의하면, 제1필터부(331)와 제2필터부(332)는 각각 상이한 두 필터층(325a)(325b)에 위치되고 있다. 이 경우, 제1필터부(331)와 제2필터부(332)는 상이한 층에 위치되므로 가공의 용이함을 기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내부에 반사판이 구비된 단말기 커버의 단면도이다. 도 6에서 보는 것과 같이, 터치감지층(424)은 베이스 커버(420)의 외부에 위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터치감지층(424)은 베이스 커버(420)의 외부에 위치되고 있으며, 터치감지층(424)의 외부에 인쇄층(422) 및 투광성 보호층(423)이 각각 구비되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필터층이 베이스 커버의 상부에 배치 된 단말기 커버의 단면도이다. 도 7에 의하면, 필터층(525)은 베이스커버(511)의 상부에 배치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가능한 예로서, 필터부(531)(532)는 베이스 커버(511)의 상부에 적층되는 필름에 인쇄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필터부(531)(532)의 상부에는 수지 필름(520)이 적층됨으로써 외부의 충격이나 긁힘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도광층(526) 및 발광부(540)은 베이스 커버(511)의 하부에 위치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대기 모드에 있는 경우의 휴대 단말기의 외부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휴대 단말기가 동작 모드에 있는 경우의 휴대 단말기의 외부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에 의하면, 휴대 단말기(600)는 특별한 모서리(edge)나 경계 형상을 가짐이 없는 전방커버(611)와 후방커버(612)에 의하여 단순한 외양을 형성하고 있다. 전방커버(610)는 전면과 전면에 인접되는 측면을 구획하는 모서리가 없는 일체 형태인 단순 폐곡선(simple curve) 형태로 형성되고 있다.
전방커버(611)의 내부에는 디스플레이(60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전방커버(611)의 하단에는 그 패턴이 장식적인 기호 또는 문양을 갖는 제1필터부(631)와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키를 의미하는 기호를 갖는 제2필터부(632)를 구비하고 있다.
이외에도 필터부(631)(632)는 단말기 커버(611)(612)를 장식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카메라가 장착되는 경우 카메라 렌즈 주변 부위 또는 디스플레이 주변 부위 또는 스피커 주변 부위 등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8에서 보는 것과 같이, 휴대 단말기(600)가 대기 모드인 경우 제1색광은 제1필터부(631)를 통과하여 제1필터부(631)가 갖는 장식적 패턴을 전방커버(611)에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물리적인 형상을 둠이 없이 단순한 외면과 조명에 의하여 구현하므로 외관을 개선할 수 있다.
도 9에서 보는 것과 같이, 휴대 단말기(600)가 동작 모드에 있는 경우, 제2색광은 제2필터부(632)를 통과하여 제2필터부(632)가 갖는 키 패턴을 전방커버(511)에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유사하게 내부에 터치감지층이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제2필터부(632)의 각 패턴에 해당되는 위치를 터치함으로써 포인터나 커서의 방향을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에 의하면, 각 모드에 따라 다른 패턴으로 형성되는 필터부는 색광에 따라 다른 패턴으로 사용자에게 인식되어 그 색상이나 변화 가능한 패턴에 의하여 쉽게 모드를 알 수 있게 해주어 인터페이스 환경이 개선될 뿐 아니라 휴대 단말기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19)

  1. 키 영역을 갖는 단말기 커버;
    상기 단말기 커버의 내부에 위치되어 모드에 따라 다른 색광을 발광시키는 발광부; 및
    상기 단말기 커버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각 모드에 대응되는 적어도 2개의 패턴을 가지며 상기 색광에 대응되는 패턴만을 상기 키 영역에 보이도록 하는 필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커버는 반투명 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커버는,
    베이스 커버; 및
    상기 베이스 커버의 외부에 위치되어 상기 필터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려주는 가림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층은,
    상기 베이스 커버의 외부에 부분 투광성 형태로 형성되는 인쇄층; 및
    상기 인쇄층의 외부에 위치되고, 상기 인쇄층을 보호하는 투광성 보호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성 보호층은 상기 인쇄층이 인쇄된 수지 필름이 인몰드(in-mold)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성 보호층은 상기 인쇄층이 상기 베이스 커버에 전사(轉寫)된 후 투명 도료가 입혀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커버의 외부 또는 내부에는 상기 단말기 커버에 가해지는 터치를 감지하여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터치감지층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감지층은 상기 터치에 의하여 발생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는 정전용량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터치감지층의 하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의 내부에는 상기 발광부의 빛을 수평으로 안내하는 도광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층의 내부에는 상기 도광층의 빛을 외부로 반사시키는 반사층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 모드에 대응되는 상기 필터부들의 패턴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 모드에 대응되는 상기 필터부들의 패턴은 서로 겹쳐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 모드에 대응되는 상기 필터부들의 패턴은 동일(同一)층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 모드에 대응되는 상기 필터부들의 패턴은 서로 다른 층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6.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발광부에서 발광되는 색광 중 선택되는 색광을 제외한 색광들의 파장을 간섭에 의하여 거를 수 있는 두께를 갖는 박막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7.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의 패턴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패턴은 장식적 기호 또는 문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들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모드는 대기 모드이고,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장식적 기호 또는 문양을 갖는 필터부가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9. 단말기 커버;
    상기 단말기 커버의 내부에 위치되어 모드에 따라 다른 색광을 발광시키는 발광부; 및
    상기 단말기 커버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모드에 대응되는 적어도 2개의 패턴을 가지며 상기 색광에 대응되는 패턴을 상기 단말기 커버에 보이도록 하는 필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 단말기.
KR1020070026326A 2007-03-06 2007-03-16 휴대 단말기 KR1013354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6326A KR101335423B1 (ko) 2007-03-16 2007-03-16 휴대 단말기
US11/955,227 US9203942B2 (en) 2007-03-06 2007-12-12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W097101068A TWI454126B (zh) 2007-03-16 2008-01-10 行動式通信裝置
CN2008100031610A CN101267620B (zh) 2007-03-16 2008-01-11 移动通信设备
EP08003465.5A EP1971112B1 (en) 2007-03-16 2008-02-26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6326A KR101335423B1 (ko) 2007-03-16 2007-03-16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4495A true KR20080084495A (ko) 2008-09-19
KR101335423B1 KR101335423B1 (ko) 2013-11-29

Family

ID=39989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6326A KR101335423B1 (ko) 2007-03-06 2007-03-16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35423B1 (ko)
CN (1) CN10126762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53445A (zh) * 2015-11-02 2017-05-10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多色发光键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88345C (fi) * 1991-01-29 1993-04-26 Nokia Mobile Phones Ltd Belyst tastatur
KR100754687B1 (ko) * 2003-12-12 2007-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멀티입력부 및 그의 제어방법
JP4071726B2 (ja) * 2004-02-25 2008-04-02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型情報機器、携帯型情報機器における文字の表示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実現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
JP4419872B2 (ja) * 2005-03-08 2010-02-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表示モジュ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5423B1 (ko) 2013-11-29
CN101267620A (zh) 2008-09-17
CN101267620B (zh) 2012-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54126B (zh) 行動式通信裝置
US7896511B2 (en) Input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JP4716956B2 (ja) タッチキーアセンブリ及びこれを備えた移動通信端末機
KR101832954B1 (ko) 이동 단말기
KR20080024012A (ko) 키패드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US20100026632A1 (en) Display device
US20120014130A1 (en) Light filtered key top bezel
EP1956804B1 (en) Manufacturing of back lighting structure for mobile terminal
KR101335423B1 (ko) 휴대 단말기
KR101345664B1 (ko) 휴대 단말기
KR100858737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버튼 모듈
JP2000231849A (ja) 押釦スイッチ用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785307B1 (ko)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
KR101042919B1 (ko) 휴대폰용 키패드 조립체
KR101303155B1 (ko) 휴대 단말기
JP2010010023A (ja) 表示用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押釦スイッチ用部材
KR101231042B1 (ko) 키조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CA2792806C (en) Touch tracking optical input device
KR10092872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101004799B1 (ko) 멀티라이팅 발광장치
KR101042920B1 (ko) 휴대폰용 키패드 조립체 및 그 제작방법
JP2005235671A (ja) キーボタン及び該キーボタンを備える携帯無線機
CN101540793B (zh) 输入设备以及具有该输入设备的移动通信终端
KR100591854B1 (ko) 휴대단말기용 초슬림형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101119474B1 (ko) 키패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