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4112A - 멀티미디어 기기용 무선 헤드셋 및 이를 이용한 멀티미디어기기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기기용 무선 헤드셋 및 이를 이용한 멀티미디어기기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4112A
KR20080084112A KR1020070025320A KR20070025320A KR20080084112A KR 20080084112 A KR20080084112 A KR 20080084112A KR 1020070025320 A KR1020070025320 A KR 1020070025320A KR 20070025320 A KR20070025320 A KR 20070025320A KR 20080084112 A KR20080084112 A KR 200800841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timedia device
wireless
multimedia
wireless headset
communica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5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신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엘오디오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엘오디오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엘오디오랩
Priority to KR1020070025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84112A/ko
Publication of KR20080084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41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91Detai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R1/1008 - H04R1/108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tudio Devi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화상 촬영 모듈이 탑재된 멀티미디어 기기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전송받아 멀티미디어 기기를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는 무선 헤드셋 및 이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기기 제어 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무선 헤드셋은 멀티미디어 기기와 무선 통신하기 위한 무선 근거리 통신 모듈, 멀티미디어 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멀티미디어 기기의 화상 촬영 모듈로 입력되는 화상 신호를 무선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출력부를 포함하여, 무선 헤드셋에 구비된 영상 출력부를 통해 멀티미디어 기기의 카메라로 입력된 화상 신호를 확인하면서 화상 또는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무선 헤드셋, 동영상

Description

멀티미디어 기기용 무선 헤드셋 및 이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기기 제어 방법{Wireless Headset for Multimedia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Multimedia Device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무선 헤드셋과 멀티미디어 기기와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무선 헤드셋의 상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멀티미디어 기기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무선 헤드셋 110 : 제어부
120 : 무선 근거리 통신 모듈 130 : 사용자 인터페이스
140 : 출력부 150 : 입력부
본 발명은 무선 헤드셋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화상 촬영 모듈이 탑재된 멀티미디어 기기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전송받아 멀티미디어 기기를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는 무선 헤드셋 및 이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기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MP3 플레이어,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수신기, 캠코더, 디지털 카메라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기기는 그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아울러, 사용자 제작 콘텐츠(User Created Contents; UCC)가 활성화되면서 멀티미디어 기기에 카메라를 탑재하여 제작함으로써, 사용자가 화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멀티미디어 기기에 탑재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자신의 모습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 멀티미디어 기기를 사용자가 직접 들고 촬영하여야 하는 데에 따른 불편함이 있다. 아울러, 카메라에 잡힌 자신의 모습을 확인하기 어려워 촬영한 영상이나 동영상의 품질을 보장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멀티미디어 기기를 특정 위치에 설치하고, 멀티미디어 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 가능한 원격 제어기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기기로 제어 명령을 전송하여 자신의 모습을 촬영할 수 있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멀티미디어 기기에 탑재된 뷰 파인더(View finder)를 통해 카메라에 비추어지는 자신의 모습을 확인한 후 촬영할 수는 있지만, 촬영자가 멀티미디어 기기로부터 멀어지는 경우, 시력의 한계로 인해 뷰 파인 더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멀티미디어 기기와 무선 근거리 통신 가능한 헤드셋에 화상 출력부를 구성하여, 카메라에 비추어진 자신의 모습을 원격에서 확인하면서 촬영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기기용 무선 헤드셋 및 이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기기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무선 헤드셋에 설치된 화상 출력부를 통해 카메라에 비추어진 자신의 모습을 확인하고, 무선 헤드셋에 구비된 키 패드를 이용하여 촬영 화면의 원근감을 조절함은 물론, 기 촬영한 화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선 헤드셋은 화상 촬영 모듈을 구비한 멀티미디어 기기와 무선 근거리 통신 가능한 무선 헤드셋으로서,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와 무선 통신하기 위한 무선 근거리 통신 모듈;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의 화상 촬영 모듈로 입력되는 화상 신호를 상기 무선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 촬영 모듈을 구비한 멀티미디어 기기와 무선 근거리 통신 가능한 무선 헤드셋을 이용한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무선 헤드셋이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와 무선 통신 경로를 설정하는 제 1 단계; 상기 무선 헤드셋으로 제어 명령이 입력되는지 확인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의 확인 결과 제어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제어 명령을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로 전송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로부터 전송되는 화상 신호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 2 단계로 복귀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무선 헤드셋과 멀티미디어 기기와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멀티미디어 기기(20)는 MP3 플레이어,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수신기, 캠코더, 디지털 카메라 등이 될 수 있으며, 이들 멀티미디어 기기에는 카메라와 같은 영상 촬영 모듈 및 무선 근거리 통신 모듈이 탑재된다.
아울러, 무선 헤드셋(10)은 멀티미디어 기기(20)와 통신 가능한 무선 근거리 통신 모듈이 탑재되고, 사용자로부터 멀티미디어 기기(2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키패드가 설치된다. 이러한 무선 헤드셋(10)은 무선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멀티미디어 기기(20)와 통신 경로를 설정하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어 명령을 기 설정된 통신 경로를 통해 멀티미디어 기기(20)로 전송함으로써, 멀티미디어 기기를 조작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멀티미디어 기기(20)를 제어하는 무선 헤드셋(10)은 멀티미디어 기기에서 재생되는 멀티미디어를 청취하는 기능을 가지며, 본 발명의 무선 헤드셋(10)은 이에 더하여 화상 출력부를 구비하여, 멀티미디어 기기(20)의 카메라를 통해 멀티미디어 기기(20)에 입력된 화상 신호를 기 설정된 통신 경로를 통해 수신하여 화상 출력부에 표시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멀티미디어 기기(20)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에도, 무선 헤드셋(10)에 구비된 화상 출력부를 통해 카메라로 입력된 화상 신호를 직접 확인하면서 화상이나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무선 헤드셋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시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무선 헤드셋(10)은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10), 무선 근거리 통신 모듈(120), 사용자 인터페이스(130), 출력부(140) 및 입력부(15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무선 근거리 통신 모듈(120)은 예를 들어, 블루투스 모듈이 될 수 있고, 이 경우 VDP(Video Distribution Profile)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기기(20)로부터 화상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30)는 멀티미디어 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키패드이며, 출력부(140)는 무선 근거리 통신 모듈(120)을 통해 멀티미디어 기기(20)로부터 전송되는 화상 신호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30)를 통해 멀티미디어 기기(20)를 온/오프, 멀티미디어를 재생하는 것에 더하여, 멀티미디어 기기(20)의 카메라로 입력되는 화상 신호의 원근감, 노출, 조명, 색감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130)는 원근감 조절키, 노출 조절키, 플래쉬 온/오프 키, 색감 변경 키 등을 구비한다.
한편, 입력부(150)는 마이크가 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출력부(140)를 통해 멀티미디어 기기(20)의 카메라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확인하면서, 입력부(150)를 통해 음성 신호를 입력할 수 있고, 입력된 음성 신호는 무선 근거리 통신 모듈(120)을 통해 멀티미디어 기기(20)로 전송되어, 영상 신호와 함께 녹음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멀티미디어 기기(20)에 음성 녹음 모듈이 구비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이때, 음성 신호는 블루투스 통신의 프로파일 중 음성 신호 전송을 위한 프로파일인 A2DP(Advanced Audio Distribution Profile)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위치로부터 멀티미디어 기기(20)를 원거리에 설치한 경우에도, 자신의 모습을 확인하면서 1인 화상 또는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동영상 촬영시 입력부(150)를 통해 음성 신호를 입력하여, 음성 신호가 포함된 동영상을 촬영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무선 헤드셋(10)에서 촬영한 화상 또는 동영상은 무선 근거리 통신 모듈(120)을 통해, 프린터, 개인용 컴퓨터와 같은 외부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프린터, 개인용 컴퓨터와 같은 외부 장치는 무선 근거리 통신 모듈을 탑재해야 함은 물론이다.
아울러, 무선 헤드셋(10)에서 촬영한 화상을 프린터로 전송하는 경우, 무선 근거리 통신 모듈(120)에 기 정의되어 있는 화상 프린팅 관련 프로파일(블루투스의 경우 Basic Printing Profile(BPP))을 이용하여 프틴터로 전송된 화상 데이터에 대한 출력 명령을 함께 전송하여, 무선 헤드셋(10)에서 촬영한 화상이 바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멀티미디어 기기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본 발명에 의해 화상 데이터를 촬영하는 경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다.
먼저, 무선 헤드셋(10)은 무선 근거리 통신 모듈(120)을 통해 멀티미디어 기기(20)와 통신 경로를 설정한다(S101).
이후, 사용자 인터페이스(130)로 제어 명령이 입력되는지 확인하여(S103), 제어 명령이 입력된 경우 이를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20)을 통해 멀티미디어 기기(20)로 전송한다(S105). 여기에서, 제어 명령은 카메라 구동 명령 또는 기 촬영 영상 확인 명령 등이 될 수 있다.
다음, 단계 S105에서 멀티미디어 기기(20)로 전송된 제어 명령에 따라, 멀티미디어 기기의 카메라로 화상 신호가 입력되면, 무선 헤드셋(10)의 무선 근거리 통신 모듈(120)은 멀티미디어 기기(20)로부터 화상 신호를 수신한다(S107). 출력부(140)는 수신된 화상 신호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S109), 단계 S103으로 복귀하여 사용자로부터 제어 명령이 입력되는지 확인한다.
이후,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30)에 구비된 키를 조작하여 촬영, 원근 감 조절, 노출 조절, 색감 조절, 조명 온/오프 등의 명령, 기 촬영 영상 확인 명령 중 어느 하나를 멀티미디어 기기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촬영되거나 변경된 화상 신호는 다시 무선 헤드셋(10)으로 전송되어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단계 S103의 확인 결과 제어 명령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대기 모드로 전환한다(S111).
아울러, 제어 명령은 음성 신호 녹음 명령이 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는 출력부(140)를 통해 화상 신호를 확인하면서 멀티미디어 기기로 음성 신호를 전송, 화상 촬영과 동시에 음성 신호를 녹음하여 1인 동영상 촬영을 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촬영된 화상 및 동영상 데이터는 무선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프린터, 개인용 컴퓨터와 같은 무선 근거리 통신 모듈이 탑재된 외부 장치로 전송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프린터로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기 정의된 프로파일에 따라 해당 화상이 바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 헤드셋에 구비된 영상 출력부를 통해 멀티미디어 기기의 카메라로 입력된 화상 신호를 확인하면서 화상 또는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멀티미디어 기기와 원거리에 위치한 경우에도 멀티미디어 기기로 입력되는 화상 신호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무선 헤드셋에 구비된 키패드를 통해 촬영 화면의 원근감, 색감, 조명 등을 조절할 수 있고, 무선 헤드셋에 구비된 입력부를 통해 음성 신호를 입력하여, 음성 신호가 녹음된 동영상을 촬영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11)

  1. 화상 촬영 모듈을 구비한 멀티미디어 기기와 무선 근거리 통신 가능한 무선 헤드셋으로서,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와 무선 통신하기 위한 무선 근거리 통신 모듈;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의 화상 촬영 모듈로 입력되는 화상 신호를 상기 무선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기기용 무선 헤드셋.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는 음성 녹음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헤드셋은 음성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상기 무선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음성 신호를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로 전송하여 녹음하도록 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기기용 무선 헤드셋.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화상 촬영 키, 원근감 조절키, 노출 조절키, 플래쉬 온/오프 키, 색감 변경 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기기용 무선 헤드셋.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근거리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모듈이며, 상기 화상 신호는 VDP(Video Distribution Profile)를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로부터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기기용 무선 헤드셋.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근거리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모듈이며, 상기 화상 신호는 BPP(Basic Printing Profile)를 통해 무선 근거리 통신 모듈이 탑재된 프린터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기기용 무선 헤드셋.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신호는 무선 근거리 통신 모듈이 탑재된 외부 장치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기기용 무선 헤드셋.
  7. 화상 촬영 모듈을 구비한 멀티미디어 기기와 무선 근거리 통신 가능한 무선 헤드셋을 이용한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무선 헤드셋이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와 무선 통신 경로를 설정하는 제 1 단계;
    상기 무선 헤드셋으로 제어 명령이 입력되는지 확인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의 확인 결과 제어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제어 명령을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로 전송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로부터 전송되는 화상 신호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 2 단계로 복귀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헤드셋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기기 제어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은,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의 화상 촬영 모듈 구동 명령, 원근감 조절 명령, 노출 조절 명령, 색감 조절 명령, 조명 온/오프 명령, 기 촬영 영상 확인 명령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헤드셋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기기 제어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은 음성 신호 녹음 명령이며, 상기 제 4 단계 이후, 상기 무선 헤드셋으로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로 전송하여 상기 화상 신호와 함께 녹음하도록 하는 제 5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헤드셋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기기 제어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로부터 전송되는 화상 신호를 무선 근거리 통신 모듈이 탑재된 외부 장치로 전송한 후, 상기 제 2 단계로 복귀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헤드셋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기기 제어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는 프린터이며, 상기 화상 신호는 BPP(Basic Printing Profile)를 통해 상기 프린터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헤드셋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기기 제어 방법.
KR1020070025320A 2007-03-15 2007-03-15 멀티미디어 기기용 무선 헤드셋 및 이를 이용한 멀티미디어기기 제어 방법 KR200800841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5320A KR20080084112A (ko) 2007-03-15 2007-03-15 멀티미디어 기기용 무선 헤드셋 및 이를 이용한 멀티미디어기기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5320A KR20080084112A (ko) 2007-03-15 2007-03-15 멀티미디어 기기용 무선 헤드셋 및 이를 이용한 멀티미디어기기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4112A true KR20080084112A (ko) 2008-09-19

Family

ID=40024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5320A KR20080084112A (ko) 2007-03-15 2007-03-15 멀티미디어 기기용 무선 헤드셋 및 이를 이용한 멀티미디어기기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8411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55900B2 (en) 2013-06-20 2015-10-13 Cochlear Limited Medical device battery charging system and method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55900B2 (en) 2013-06-20 2015-10-13 Cochlear Limited Medical device battery charging system and method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56954A1 (zh) 视频直播的方法及装置
US20060061663A1 (en) Digital camera with touch screen display panel usable as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digital camera
US7986299B2 (en) Remote control apparatus, remote control system and device-specific information display method
JP4745737B2 (ja) 撮像装置、通信システム、伝送方法、撮像装置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481225B2 (ja) 情報端末装置、情報支援方法及び情報支援プログラム
US8797412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KR20150132802A (ko) 촬영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JP2007081537A (ja) 撮像装置
US10191708B2 (en) Method, apparatr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displaying image data
JP4150295B2 (ja) 投射型画像表示装置
US20080100719A1 (en) Electronic device
US20090153686A1 (en) Interactiv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amera with a mobile phone
CN106331459A (zh) 拍摄系统及移动终端
JP2006042271A (ja) ビデオカメラ装置及び記録方法
KR20080084112A (ko) 멀티미디어 기기용 무선 헤드셋 및 이를 이용한 멀티미디어기기 제어 방법
JP2009027626A (ja) マイクロフォン装置、撮影装置、及びリモート撮影システム
JP2004194148A (ja) 遠隔操作システム
WO2020006664A1 (zh) 拍摄装置的控制方法、拍摄装置、拍摄系统和存储介质
JP3174613U (ja) リアルタイム画像音声通信装置
JP6758927B2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60006304A (ko) 파노라마 영상 촬영 기능을 가지는 마스터/슬래이브용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US20050122404A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JP2013251617A (ja) カメラ
KR101649635B1 (ko) 휴대 단말기
KR101387490B1 (ko)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영상 촬영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