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3879A - 히팅부가 별도 마련된 온수순환보일러를 구비한 온수매트 - Google Patents

히팅부가 별도 마련된 온수순환보일러를 구비한 온수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3879A
KR20080083879A KR1020070024668A KR20070024668A KR20080083879A KR 20080083879 A KR20080083879 A KR 20080083879A KR 1020070024668 A KR1020070024668 A KR 1020070024668A KR 20070024668 A KR20070024668 A KR 20070024668A KR 20080083879 A KR20080083879 A KR 200800838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mat
heating
circula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4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1425B1 (ko
Inventor
성이제
Original Assignee
(주)씨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에스이 filed Critical (주)씨에스이
Priority to KR1020070024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1425B1/ko
Publication of KR20080083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3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1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1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0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 F24H1/101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24H1/102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with resist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08Packaged or self-contained boilers, i.e. water heaters with control devices and pump in a single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18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means
    • F24H9/1827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PTC] resist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50/00Electrical heat generating means
    • F24H2250/04Positive or 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s, e.g. PTC, N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수순환보일러를 구성하고 있는 부분 중 온수탱크부와 히팅부를 서로 별도의 공간으로 구성하여 온수탱크부에 수용된 많은 양의 물을 일시에 가열시키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공간인 히팅부로 일정량의 물을 이동시킨 후 이를 빠른 시간 내에 히팅시킬 수 있도록 하여 에너지 손실을 제거함과 동시에, 안정성과 향상시킨 매트용 온수순환보일러 및 상기 온수순환보일러를 구비한 온수매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온수순환보일러는 온수매트에서 순환된 물이 유입되는 온수탱크부와, 상기 온수탱크부와 분리 구획된 공간으로 형성되며 상기 온수탱크부로부터 공급된 물을 가열시키는 히팅부와, 상기 온수탱크부의 물을 순환시키는 순환펌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며, 본 발명에 의한 온수매트는 본 발명에 의한 온수순환보일러에 장착되면서, 지그재그로 배열된 순환파이프와, 상기 순환파이프가 포개어 접혀지도록 하기 위한 접이수단과,상기 순환파이프 수용을 위한 수용부를 제공하는 시트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사용 상태에 따라 포개어 접혀지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온수매트, 순환보일러, 분리, PTC, 팽창밸브, 순환파이프,

Description

히팅부를 별도 구비한 매트용 온수순환보일러 및 상기 온수순환보일러를 구비한 온수매트{BOILER FRO MAT AND THE HOT WATER CIRCULATION MAT WITH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온수순환보일러의 작동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온수순환보일러의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온수매트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온수매트와 온수순환보일러의 결합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온수매트 "A"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온수매트와 온수순환보일러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온수순환보일러 110; 온수탱크부 120; 히팅부
121: 가열수단 122: 단열부재 130: 순환펌프부
200: 매트부 210: 순환파이프 220: 시트지
230: 외피 240: 충진부재
본 발명은 온수매트로 온수를 강제 순환시키게 하는 온수순환보일러 및 이를 구비한 온수매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온수순환보일러를 구성하고 있는 부분 중 온수탱크부와 히팅부를 서로 별도의 공간으로 구성하여 온수탱크부에 수용된 많은 양의 물을 일시에 가열시키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공간인 히팅부로 일정량의 물을 이동시킨 후 이를 빠른 시간 내에 히팅시킬 수 있도록 하여 에너지 손실을 제거함과 동시에, 안전성과 향상시킨 매트용 온수순환보일러 및 상기 온수순환보일러를 구비한 온수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수매트는 순환파이프가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되어 있는 매트부와, 상기 순환파이프에 온수가 공급되면서 순환하도록 하는 온수순환보일러가 매트부에 장착되어 통상적인 온수매트가 구성된다.
온수순환보일러는 물통, 온수순환펌프 및 히터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물통에 물이 공급되고, 히터의 작동에 의하여 물통에 저장된 물은 이후 매트부의 순환파이프를 통과하면서 열을 전달하게 되는 온수가 된다. 즉, 상기 물통에서 가열된 온수는 온수순환펌프에 의하여 온수매트의 순환파이프로 공급 순환하게 된다.
상기 온수순환보일러의 주요 구성을 이루는 물통과 히터를 살펴보면, 통상적으로 물이 저장된 물통 내부에 히터가 삽입되어 전원이 공급된 히터가 가열되면서 상기 히터가 물통의 물을 직접적으로 가열시키는 구성을 이루게 되는데, 이와 같은 종래의 온수순환보일러는 물통과 히터를 하나의 공간에 형성함으로써 상기 히터는 한꺼번에 많은 양의 물을 가열하게 되어 에너지 사용량이 많았으며, 가열시간이 길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히터의 구성 또한 단순한 도전성 매체로 이루어져 전원을 공급하면 바로 상기 매체가 가열되어 그 열이 물통에 저장된 물에 직접적으로 공급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관리소홀로 누전이 발생할 수 있으며, 별도의 센서 등이 구비되어 있지 않다면 히터 과열에 의한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온수순환보일러를 구성하는 물통, 히터, 그리고 순환펌프를 각각 별도의 공간에 장착한 구성의 종래 기술들이 소개되고 있는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120844호(2005년 12월 26일자 공개) 『온수가열수단을 가지는 온수순환펌프 및 상기 온수순환펌프를 이용한 온수매트의 구조』,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12342호(2006년 3월 20일자 등록) 『매트용 온수순환보일러』등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120844호에서는 온수순환펌프와 온수가열수단을 분리 구성하고, 상기 온수가열수단에서는 물을 저장하는 하우징 외부에 안전성을 높이기 위하여 PTC소자를 이루어진 발열체를 장착하여 물통 내부에 히터를 장착하는 구성이 아닌 물통, 히터, 그리고 순환펌프 모두를 분리 구비한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120844호에서도 물통 외부에 장착 되어 있는 히터가 결국 물통에 저장된 물을 한꺼번에 가열시키도록 되어 있는 구성이어서 역시 에너지 소모가 많고, 가열시간 또한 길다는 문제점은 여전히 해소하지 못하였다.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12342호에서는 온수가 온수순환보일러의 허터물통으로부터 온수튜브로 순환하도록 함에 있어서 온수 튜브에 온수를 가열할 수 있는 히터를 장착하여 온수가 히터를 통과하면서 가열되도록 함으로 온수순환보일러의 가열효율을 높이고자 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12342호에 개시된 히터물통에는 별도의 히터가 장착되어 근본적으로 물통과 히터를 별도로 분리하여 구성하고자 하는 기술은 아니며, 특히 물통과 히터를 별도 분리하여 에너지 소모를 줄이면서 가열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나아가 안전성까지 확보할 수 있는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실질적은 구성을 제시한 것은 아니었다.
나아가 매트부에 있어서도 이를 손쉽게 말아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체의 베김현상을 줄일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 대한 편의성과 실용성, 및 안락성을 최대한 높일 수 있는 온수매트가 많이 소개되고 있는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400923호 『유체온열매트』(2005.11.03), 등록실용신안 제423979호 『온수매트』(2006.08.08), 등록실용신안 제434086호 『물순환침구』(2006.12.11) 등이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400923호 『유체온열매트』는 쿠션기능을 함께할 수 있는 단열재를 상부 및 하부에 구비하고 그 내부에는 별도의 유로관이 형성된 합성수지 시트를 구비한 것으로 특정 온수관과 접촉하는 신체 부위에 대한 베김 현상을 최대한 줄이려고 한 것이고, 또한 등록실용신안 제423979호 『온수매트』는 "지퍼를 통해 개폐되는 외피와, 상기 외피내의 수용부에 내설되며 쿠션성을 가지는 베드와, 상기 베드 상면 전체에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는 삽입구멍과, 상기 삽입구멍에 끼워지며 온수순환펌프에서 공급된 온수를 순환시키는 온수관으로 구성한 온수매트에 있어서, 상기 베드 하면에는 쿠션재가 더 구비되며, 상기 쿠션재는 절개선을 통해 다수개로 나뉘어 진 상태로 베드 하면에 구비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여 신체 부위에 대한 베김현상을 해결하고 사용시 쉽게 말고 펴고 할 수 있는 온수매트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등록실용신안 제400923호 『유체온열매트』및 등록실용신안 제423979호 『온수매트』는 신체 부위에 대한 베김 현상을 줄이기 위하여 순환파이프가 배열되는 시트면 상부 또는 하부에 별도로 형성하는 것이어서, 쿠션재를 구비한다 하더라도 순환파이프와 쿠션재가 위치한 부분의 높이 차이로 인하여 여전히 사용자에 대한 베김현상이 일어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현상을 줄이기 위해서는 순환파이프가 배열된 베드(합성수지 시트)를 순환파이프 직경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구성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등록실용신안 제434086호 『물순환침구』에서는 "가요성을 갖도록 연 질의 재료로 형성된 상측 시트와 하측 시트가 서로 접착되어 구성되되, 상측 시트와 상기 하측 시트는 냉, 난방용 냉, 온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냉, 온수 순환통로와 공기를 압축 충진하기 위한 공기 충진부가 수평방향으로 교번적으로 배치되는 구조로 서로 접착되게 구성할 수 있으며"라고 개시되어 쿠션재 기능을 하는 충진부가 순환통로와 교번적으로 배열되도록 구성하여 몸의 베김 현상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것이나, 상측 시트와 하측 시트가 서로 접착되어 구성되는 방식이나, 순환통로를 형성하는 방식들을 구체적으로 개시하고 있지는 않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온수탱크와 히팅부를 별도 구성하여 사용상의 안전성을 높이며, 나아가 히팅부의 가열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여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고 빠른 시간에 온수를 가열하도록 하여 온수매트의 사용이 가능토록 하는 온수순환보일러 및 이를 구비한 온수매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안전성 측면에서 가열수단으로 PTC소자를 사용하여 히팅부에 별도의 추가적인 센서를 부착하지 않더라도 히팅부가 과도하게 과열되어 손상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온수순환보일러 및 이를 구비한 온수매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온수매트를 용이하게 마는 등의 형태로 포개어 접을 수 있고, 온수매트를 접어 장기간 보관하더라도 순환파이프에 대한 변형이 발생되지 않 는 온수매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순환파이프를 삽입하고 고정시키기 위한 수용부를 제공하여 제조상의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여 제조 코스트를 낮추어 최종 소비자에게 품질과 비용에서 만족스러운 제품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온수매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품 자체의 부피를 줄이면서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대한 베김 현상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충진부재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편의성과 사용시 안락성을 함께 도모할 수 있는 온수매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온수순환보일러는 온수매트에서 순환된 물이 유입되는 온수탱크부와, 상기 온수탱크부와 분리 구획된 공간으로 형성되며 상기 온수탱크부로부터 공급된 물을 가열시키는 히팅부와, 상기 온수탱크부의 물을 순환시키는 순환펌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온수매트는 본 발명에 의한 온수순환보일러에 장착되면서, 지그재그로 배열된 순환파이프와, 상기 순환파이프가 포개어 접혀지도록 하기 위한 접이수단과,상기 순환파이프 수용을 위한 수용부를 제공하는 시트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사용 상태에 따라 포개어 접혀지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온수순환보일러 및 이를 구비 한 온수매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 온수매트로 명명되는 것은 온수순환보일러가 장착되지 않은 매트를 일컫는 것으로 온수순환보일러가 온수매트에 연결된 상태에서는 온수순환보일러가 장착된 매트가 명명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종래 구성과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고자 하며,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구성 및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온수순환보일러(100)는 온수매트(200)에서 순환된 물이 유입되는 온수탱크부(110)와, 상기 온수탱크부와 분리 구획된 공간으로 형성되며, 상기 온수탱크부로부터 공급된 물을 가열시키는 히팅부(120)와, 상기 온수탱크부의 물을 순환시키는 순환펌프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온수탱크부와, 히팅부와, 그리고 순환펌프부는 파이프(11, 12, 13, 14, 15)로 연통되어 있다.
종래의 온수순환보일러와 같이 온수탱크부 내부에 히팅부를 함께 수용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누전위험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히팅부가 온수탱크부에 저장된 물 전체를 가열하는 것이 아니고 온수탱크부에서 히팅부로 공급된 일정 량의 물을 가열하도록 하는 구성이기에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좀 더 구제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온수순환보일러(100)는 베이스 케이스(100a) 내에 온수탱크부(110)와, 히팅부(120)와, 순환펌프부(130)가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 케이스 위에는 커버 케이스(미도시)가 분리 결합된다. 또한 상기 온수탱크부(110)에 저장된 물이 순환펌프부(130)와 히팅부(120)를 거치면서 이동할 수 있는 유로를 제공하는 파이프(11, 12, 13, 14, 15)가 온수탱크부, 순환펌프부, 그리고 히팅부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온수탱크부(110)에 저장된 물은 제 1 파이프(11)를 통해 순환펌프부(130)로 이동하고, 상기 순환펌프부(130)를 거친 물은 제 2 파이프(12)를 통해 히팅부(120)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히팅부(120)로 제 2 파이프(12)를 통해 유입된 물은 히팅부의 가열수단(121)에 의해 가열이 되고 가열된 온수는 제 3 파이프(13)를 통해 이동하여 최종적으로 온수매트(200)의 순환파이프와 연결되어 있는 배수구(20b)를 거쳐 온수매트(200)로 공급된다. 물론, 상기 온수매트를 순환한 물은 다시 급수구(20a) 및 제 5 파이프(15)를 거쳐 상기 온수탱크부(110)에 저장된다.
특히, 도 2를 참조하여 히팅부(120)를 살펴보면, 히팅부의 가열수단에는 "U"자 형상의 제 4 파이프(14)가 접해 있고 상기 제 4 파이프(14)는 제 2 파이프(12)와 제 3 파이프(13)와 연결된다. 즉, 제 2 파이프(12)로부터 공급된 물은 제 4 파이프(14)를 거치면서 히팅부(120)의 가열수단(121)에 의해 가열이 되고 제 4 파이프(14)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온수는 제 3 파이프(13)를 거치면서 최종적으로 배수구(20b)를 거치도록 되어 있기에 본 발명의 온수순환보일러는 온수탱크부(110)로부 터 제 2 파이프(12)를 통해 공급된 일정 량의 물만을 가열하게 되고, 나아가 물을 직접적으로 가열하는 것이 아니라 제 4 파이프(14)를 가열함으로써 제 4 파이프를 관통하는 물을 간접적으로 가열하도록 하여 안전성을 보장하고 있다.
또한 상기 히팅부의 가열수단(121)은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Resister, 피티씨)소자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특정 온도 이상에서는 저항이 급격히 증가하여 발열이 멈추게 되어 특정 온도 이상으로의 상승이 이루어지지 않는 PTC소자의 특성을 살려, 히터부의 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종국적으로 안전성이 보장된 온수순환보일러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가열수단은 PTC소자를 사용하여 온도가 정해진 곳까지 올라가면 저항이 증가해서 전원을 차단해주는 역할을 하도록 하여 안전성을 보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4 파이프(14)가 "U"자 형으로 결합 또는 삽설되어 있는 가열수단의 외주에는 단열부재(122)가 결합된다. 즉, 이는 열손실을 방지하여 종국적으로는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단열부재는 스티로폼이 통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안전성 보장을 위하여 본 발명의 온수순환보일러에서는 팽창밸브(미도시)를 더 구비하여 히팅부의 가열시 발생될 수 있는 압력 증가를 자동으로 조절하도록 한다. 상기 팽창밸브는 온수탱크부 다음에 위치시킬 수 있으나 팽창밸브의 위치는 꼭 이에 한정되는 것은아니다.
다음으로 상기 온수순환보일러(100)와 결합되어 있는 온수매트(200)의 구성을 도 3 내지 도 6을 통해 살펴보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온수매트는 사용상태에 따라 포개어 접을 수 있는 매트인 것으로,
상기 온수매트는, 지그재그로 배열된 순환파이프(210)와, 상기 순환파이프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220a)를 제공하는 상부 시트(222)와 하부 시트(224)로 구성된 시트지(220)와, 상기 시트를 감싸고 외부에 노출되는 외피(230)와, 상기 순환파이프 사이에 위치하며 순환파이프와 교번되어 배열되는 충진부재(2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순환파이프의 흡입구(210a)와 토출구(210b)는 온수순환보일러에 구비된 급수구(20a)와 배수구(20b)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 채용되는 상부시트(222)와 하부시트(224)는 일반적으로 두께가 없는 천 또는 합성수지 시트가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가요성을 지닌 연질의 소재라면 가능하고,
상기 상부시트(222)와 하부시트(224) 사이로 순환파이프(210)가 놓이는데, 상부시트와 하부시트에는 순환파이프가 놓일 공간의 외곽을 따라 박음질을 하여 순환파이프가 삽입될 수용부(220a)를 마련한다.
즉, 기존의 온수매트에서는 본 발명에서와 같이 얇은 상부시트와 하부시트를 순환파이프가 삽입될 수용부를 마련하면서 결합시키는 것이 아니라 일정 두께를 가 지는 한 층의 베드를 사용하여 순환파이프가 삽입될 공간을 베드의 두께를 충분히 두어 음각으로 새기는 방식을 통상적으로 채용하거나, 또는 일정 형상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해당 부분을 음각으로 새긴 상부시트와 하부시트를 결합하여 순환파이프가 수용될 수용부를 마련하는 방식을 채용하여 왔다.
그러나 상기 방식들 모두 순환파이프를 삽입시키기 위하여 베드 또는 상·하부로 이루어진 시트는 일정 두께를 가져야만 하기에,
전체적으로 제품 자체의 부피가 커지게 되고, 또한 별도 마련된 구성이 아니라면 베드 또는 상·하부로 이루어진 시트를 쉽게 말거나 포갤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두께감이 없이 얇게 이루어진 상부시트와 하부시트를 순환파이프가 삽입될 수용부 형성을 위하여 순환파이프(210) 형상의 외곽을 따라 박음질하고, 그 수용부에 순환파이프를 삽입하여 순환파이프를 시트(220)에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지그재그로 배열된 순환파이프 사이사이에는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공간에 대한 별도의 처리 없이 외피로 마감하게 된다면, 순환파이프가 삽입되어 돌출된 부분과 순환파이프가 삽입되지 않아 아래로 파인 부분이 생기게 되어 사용자가 매트에 눕게 되면 베김현상이 일어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지그재그로 배열된 순환파이프 사이사이에 충진부재(240)를 마련한다.
즉, 순환파이프가 위치하지 않는 시트지 내부에는 충진부재(240)를 삽입하여 시트면이 전체적으로 평평하게 될 수 있도록 메우게 되고 상기 충진부재의 높이는 순환파이프의 직경과 동일한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충진부재(240)는 사용자의 매트 사용시 신체 부분이 베기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쿠션력을 가지는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 충진부재를 순환파이프가 배열된 층 상부 또는 하부에 하나의 층으로 마련하는 것이 아니라 순환파이프 사이사이에 삽입하는 것이기에, 매트를 쉽게 말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충진부재에 별도의 절개선을 넣는 공정과 같은 별도의 추가적인 공정이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충진부재(240)가 순환파이프(210) 사이사이에 마련됨으로 인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매트를 쉽게 말아서 보관할 수 있게 되고, 매트가 말아진다 하더라도 충진부재의 쿠션력이 순환파이프를 보호해주기에 순환파이프가 쉽게 꺽이지 않게 되고, 종국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온수매트의 내구성이 좋아지게 된다.
또한 순환파이프에 의해 전체적으로 골고루 데워진 열이 하부로 향하지 않도록 하여 난방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시트지의 하부에는 단열시트(미도시)를 별도로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온수매트의 테두리에는 다수 개의 벨크로테이프(미도시)(일명 "찍직이")를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 벨크로테이프는 매트부를 침대 등에 깔 때 침대 등 에 고정시키기 고정수단의 한 예이다.
또한 순환파이프가 삽입될 공간을 마련하는 시트부의 구성 및 순환파이프와 충진부재의 배열 방식만이 아니라
매트를 쉽게 말아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순환파이프에 별도의 접이수단을 마련하게 되고, 상기 접이수단은 순환파이프와 함께 온수가 흐르는 수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순환파이프 곳곳의 연결 부위에 주름관을 형성하여 구현할 수 있으나 더욱 간편하게는 상기 순환파이프의 재질을 연질(軟質)로 함으로서 쉽게 구현된다.
즉, 접이수단으로의 주름관은 전방향으로 굴곡이 되고 굴곡 후 초기 상태로 복귀되더라도 변형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접이수단으로 바람직할 수 있으나, 이를 위해서는 순환파이프 곳곳에 별도의 주름관을 형성하는 작업이 소요되기에 작업 공정이 복잡하다. 따라서 폴리프로필렌(PP) 또는 에틸렌-프로필렌고무(EPDM) 등의 연질 소재로 순환파이프 자체를 형성하게 됨으로 별도의 추가적인 구성없이 쉽게 매트를 포개어 접을 수 있게 된다.
상기 폴리프로필렌(PP) 또는 에틸렌-프로필렌고무(EPDM)은 다른 합성수지에 비하여 가요성(可撓性)이 우수하며, 특히 폴리프로필렌(PP)은 친환경성 소재로 소개되고 있는바, 본 발명의 순환파이프는 상기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온수순환보일러 및 상기 온수순환보일러를 구비한 온수매트에 대해 설명 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온수탱크와 히팅부를 별도 구성하고 온수탱크부의 일정 량의 물을 히팅부를 거치게 하여 가열시킴으로서 누전의 위험을 제거함과 동시에, 히팅부의 가열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여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온수탱크와 히팅부를 별도 구성할 뿐만 아니라 PTC소자의 사용 및 팽창밸브를 구비함으로서 사용자에 대한 안전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온수매트는 박음질을 이용하여 순환파이프가 삽입 고정될 공간을 마련하여, 삽입된 순환파이프의 사이사이에는 별도의 충진부재를 삽입하여 매트를 자유롭게 말아서 사용할 수 있는 구조와 함께 매트에 눕는 경우 사용자의 신체 부분이 베기는 불편함이 없도록 하여 보다 사용시 편의성과 안락성을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으며,
뿐만 아니라 순환파이프 자체의 재질을 용이하게 휘어질 수 있는 연질로 구성하여 장기간 사용하고 보관하더라도 순환파이프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종국적으로는 최종 소비자에게 품질과 비용, 그리고 편리성에서 만족스런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온수매트로 온수를 강제 순환시키게 하는 온수순환보일러에 있어서,
    온수매트에서 순환된 물이 유입되는 온수탱크부;
    상기 온수탱크부와 분리 구획된 공간으로 형성되며, 상기 온수탱크부로부터 공급된 물을 가열시키는 히팅부; 및
    상기 온수탱크부의 물을 순환시키는 순환펌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팅부를 별도 구비한 매트용 온수순환보일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부에는 상기 온수탱크부로부터 공급된 물을 수용하기 위한 파이프가 구비되어, 상기 파이프를 가열수단으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팅부를 별도 구비한 매트용 온수순환보일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은 PTC가열 소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팅부를 별도 구비한 매트용 온수순환보일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부의 외주는 단열부재로 마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팅부를 별 도 구비한 매트용 온수순환보일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순환보일러에는 가열시 발생되는 급작스런 압력 상승의 자동 조절을 위한 팽창밸브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팅부를 별도 구비한 매트용 온수순환보일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순환보일러에 연결되는 온수매트는.
    지그재그로 배열된 순환파이프와,
    상기 순환파이프가 포개어 접혀지도록 하기 위한 접이수단과,
    상기 순환파이프 수용을 위한 수용부를 제공하는 시트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사용 상태에 따라 포개어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지는 순환파이프 수용을 위한 상부시트와 하부시트로 이루어져.
    상기 수용부는 수용될 순환파이프 크기에 맞추어 상부시트와 하부시트를 박음질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
  8. 제 6 항에 있어서,
    지그재그로 배열된 순환파이프 사이에는 충진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수단은 상기 순환파이프의 재질을 연질(軟質)로 하여 원하는 부분에 순환파이프가 포개어 접혀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
KR1020070024668A 2007-03-13 2007-03-13 히팅부가 별도 마련된 온수순환보일러를 구비한 온수매트 KR100861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4668A KR100861425B1 (ko) 2007-03-13 2007-03-13 히팅부가 별도 마련된 온수순환보일러를 구비한 온수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4668A KR100861425B1 (ko) 2007-03-13 2007-03-13 히팅부가 별도 마련된 온수순환보일러를 구비한 온수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3879A true KR20080083879A (ko) 2008-09-19
KR100861425B1 KR100861425B1 (ko) 2008-10-07

Family

ID=40024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4668A KR100861425B1 (ko) 2007-03-13 2007-03-13 히팅부가 별도 마련된 온수순환보일러를 구비한 온수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142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5601B1 (ko) * 2009-04-27 2010-03-04 김경수 냉난방 겸용 매트장치
WO2012067352A2 (ko) * 2010-11-16 2012-05-24 주식회사 제이앤씨트레이딩 온수 매트용 온수 보일러
CN104643725A (zh) * 2015-01-20 2015-05-27 糜家寿 一种蒸汽推动式水暖床垫系统
KR102259057B1 (ko) * 2020-02-28 2021-06-01 조행훈 메탈히터 보일러가 구비된 노면의 제빙 및 제설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0916B1 (ko) 2018-09-14 2020-05-14 최금복 냉수 및 온수 겸용 매트
KR200489446Y1 (ko) * 2018-10-30 2019-06-18 이현정 온수매트용 온수 공급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9112B1 (ko) * 1998-06-19 2001-05-02 김기호 황토를 이용한 온수 매트
KR100306369B1 (ko) * 1999-01-28 2001-09-13 만 호 이 소형 난방용 보일러의 순환시스템
JP2001104105A (ja) * 1999-10-12 2001-04-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暖房寝具
KR100522567B1 (ko) * 2003-08-07 2005-10-18 계훈중 급탕관의 예비 가열 시스템
KR200424415Y1 (ko) * 2006-05-17 2006-08-30 이중섭 온열 매트의 난방수 공급구조
KR100686594B1 (ko) * 2006-08-18 2007-02-26 주식회사 토원 밀폐식 소형 전기보일러를 이용한 온수매트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5601B1 (ko) * 2009-04-27 2010-03-04 김경수 냉난방 겸용 매트장치
WO2012067352A2 (ko) * 2010-11-16 2012-05-24 주식회사 제이앤씨트레이딩 온수 매트용 온수 보일러
WO2012067352A3 (ko) * 2010-11-16 2012-07-12 주식회사 제이앤씨트레이딩 온수 매트용 온수 보일러
CN104643725A (zh) * 2015-01-20 2015-05-27 糜家寿 一种蒸汽推动式水暖床垫系统
KR102259057B1 (ko) * 2020-02-28 2021-06-01 조행훈 메탈히터 보일러가 구비된 노면의 제빙 및 제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1425B1 (ko) 200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1425B1 (ko) 히팅부가 별도 마련된 온수순환보일러를 구비한 온수매트
JP2006010308A (ja) 温水加熱手段を有する温水循環ポンプ及び温水循環ポンプを用いる温水マット構造
KR101176385B1 (ko) 난방용 에어 매트 및 이를 갖는 에어 매트 히팅시스템
KR100834094B1 (ko) 침대용 온수매트
KR100519786B1 (ko) 냉,난방 기능을 갖는 건강보조용 매트
KR200400923Y1 (ko) 유체 온열매트
KR101161642B1 (ko) 침대 매트리스 및 이를 갖는 침대 매트리스 히팅 시스템
KR100883034B1 (ko) 축열물질과 전열선을 내장한 온열매트
KR101454695B1 (ko) 사계절 냉온수 침대
KR100936135B1 (ko) 황토소파
KR200422188Y1 (ko) 난방용 매트
KR20090021858A (ko) 전기 가열식 온수 공급 장치
JP6566321B2 (ja) 給湯機
KR102074904B1 (ko) 다용도 냉,온수 쿠션
KR20050037526A (ko) 열매체 순환식 발열시트
JP2008173483A (ja) 温水布団
JP2017000311A (ja) 暖房マット
WO2008123640A1 (en) Mattress for beds
KR102647298B1 (ko) 난방 기능이 구비된 에어 매트리스
KR20200122598A (ko) 온열 매트리스
KR20200143186A (ko) 압축스프링에 냉온수파이프를 조립한 침대용매트리스
KR20130142365A (ko) 온열매트
KR101647436B1 (ko) 온열덮개를 구비한 온수매트
KR102069992B1 (ko) 온수관 일체형 차량 탑재용 보온침구
KR102491156B1 (ko) 차량용 온수매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