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1221A - 연속 장전식 스프링 에너지 저장부를 구비한 일회용 주입기 - Google Patents

연속 장전식 스프링 에너지 저장부를 구비한 일회용 주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1221A
KR20080081221A KR1020077030187A KR20077030187A KR20080081221A KR 20080081221 A KR20080081221 A KR 20080081221A KR 1020077030187 A KR1020077030187 A KR 1020077030187A KR 20077030187 A KR20077030187 A KR 20077030187A KR 20080081221 A KR20080081221 A KR 200800812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able injector
spring
piston
spring element
traction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30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2773B1 (ko
Inventor
한스-라이네르 호프만
Original Assignee
에르테에스 로만 테라피-시스테메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르테에스 로만 테라피-시스테메 아게 filed Critical 에르테에스 로만 테라피-시스테메 아게
Publication of KR20080081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12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2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27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11Piston or piston-rod constructions, e.g. connection of piston with piston-r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61M5/2033Spring-loaded one-shot injectors with or without automatic needle inse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0Syringes for injection by jet action, without needle, e.g. for use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61M2005/2073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preventing premature release, e.g. by making use of a safety lo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기계적 스프링 에너지 저장부, 적어도 일시적으로 활성 물질로 충진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피스톤 유닛, 적어도 하나의 피스톤 작동 로드, 및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유닛을 수납하는 하우징을 구비한 일회용 주입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스프링 에너지 저장부는 프리텐션된 스프링 요소를 포함한다. 스프링 요소는 적어도 스프링의 일부 영역을 둘러싸는 인장 수단에 의해 프리텐션된 상태로 유지된다. 트리거 유닛은, 스프링 에너지 저장부의 에너지를 방출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개소에서 인장 수단을 절단하거나 인장 수단을 약화시켜 인장 수단의 즉시 찢겨짐을 유발하는 절단 공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해, 일회용 주입기는 단지 적은 수의 구조적 부품을 포함하여 전체적인 크기가 작고, 신뢰성 있는 장착과 단순 조작에 의한 기능을 보장하도록 개선된다.

Description

연속 장전식 스프링 에너지 저장부를 구비한 일회용 주입기{ONE-WAY INJECTOR WITH CONTINUOUSLY CHARGED SPRING ENERGY STORE}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기계적 스프링 에너지 저장부(reservoir), 적어도 일시적으로 활성 물질로 충진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피스톤 유닛, 적어도 하나의 피스톤 작동 로드, 및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유닛(trigger unit)을 수납하는 하우징을 구비한 일회용 주입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주입기는 EP 0 595 508 B1에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주입기에서는, 개개의 구조상의 그룹들(즉, 스프링 에너지 저장부, 실린더/피스톤 유닛, 및 트리거 유닛)이 서로 분리되거나 독립적으로 취급될 수 없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게다가 트리거 유닛은 복잡한 다중 부품 시스템이다.
이와 비견되는 약물 주입용 장치가 DE 695 06 521 T2에도 공지되어 있으며, 여기서 장전식 스프링 에너지 저장부는 파괴 가능한 핀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수작업에 의해 파괴 가능한 핀이 파괴될 때, 주사기 피스톤을 구동하는 스프링이 해제된다.
또한, DE 102 40 165 A1은 액체 활성 물질의 1회분 토출을 위한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장치에서는 활성 물질이 주사기 통 내에 배치된다. 주사기 피스톤은 스프링 부하를 받아 활성 물질 측으로 가압된다. 주사기 피스톤의 전진 이동은 밴드에 의해 주기적으로 제동된다. 제동 기구는 기계적 계시기(timepiece)의 시계 발생기(clock generator)에 대응한다. 밴드는 탈진 바퀴(escape wheel)의 축 주위에 권취된다. 탈진 바퀴의 회전은 발진 회전자를 통해 소정 회전각으로 주기적으로 개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중점을 두는 문제는, 취급이 용이하면서도 단지 적은 수의 구조적 부품을 포함하여 전체적인 크기가 작고, 신뢰성 있는 저장과 작동을 보장하는 모듈식 설계의 일회용 주입기를 개선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는 독립 청구항의 특징적 구성에 의해 해결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스프링 에너지 저장부는 프리텐션된 스프링 요소를 포함한다. 스프링 요소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스프링 요소를 둘러싸는 견인 수단(pulling means)에 의해 프리텐션된 상태로 유지된다. 트리거 유닛은, 스프링 에너지 저장부의 에너지를 방출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개소에서 견인 수단을 절단하거나, 견인 수단을 약화시켜 견인 수단의 즉시 찢겨짐을 유발하는 절단 공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해, 일회용 주입기는 프리텐션된 압축 스프링 요소를 구비한 스프링 에너지 저장부를 유효한 특징적인 구성으로 하도록 제조되며, 스프링 에너지는 인장된 견인 수단 또는 인장 밴드 또는 인장 케이블을 통해 저장된다. 스프링 에너지는 견인 수단의 비가역적인 기계적 파괴에 의해서만 방출될 수 있다. 단순한 절단 공구가 견인 수단의 파괴에 필요하다. 스프링 에너지의 방출은, 고정밀 다품의 기계적 체결 시스템에 의해 실시 가능하다. 또한, 견인 수단의 파괴는, 주입기가 예컨대 위험한 장난감 새총과 같이 부적절한 방법으로 재사용될 수 없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상세한 내용은 종속항 및 도면에 개략적으로 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기재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장전식 스프링 에너지 저장부는 구비하고 실린더/피스톤 유닛은 없는 일회용 주입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측면도(6방향 투영),
도 3은 트리거 버튼이 없는 도 1의 확대 평면도,
도 4는 도 2의 확대 평면도,
도 5는 대향 절삭 에지를 구비한 도 1의 확대 부분도,
도 6은 실린더/피스톤 유닛을 구비하고 트리고 버튼이 하향 가압된 도 2와 유사한 단면도,
도 7은 스프링 에너지 저장부가 배출된 도 6과 유사한 단면도,
도 8은 도 6의 확대 부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증류수, 약물
5 : 장치(및 나선형 압축 스프링)의 중심선
9 : 인장 밴드의 중심선이 놓이는 평면
10 : 일체형 하우징
11 : 상측 단부면
12 : 하측 단부면
21 : 트리거 영역
22 : 비틀림을 보호하는 웨브, 돌기
23 : 횡방향 보어
24 : 함몰부
31 : 재킷 영역
32 : 중간 플랜지
33 : 플랜지 리세스
34 : 원주부
41 : 실린더/피스톤 유닛용 장착 영역
42 : 탄성 후크
43 : 후크 팁
44 : 경사면
50 : 구동 유닛, 스프링 에너지 저장부
51 : 앤빌
52 : 기부
53 : 상측 단부면
54 : 대향 절단 에지, 전단기
56: 체결용 홈
57 : 평면 영역
61 : 칼 안내용 슬릿, 리세스
62 : 로드 안내용 보어
63 : 밴드 안내용 홈
66 : 앤빌의 하측 단부면
71 : 피스톤 작동 로드
72 : 스프링 안내용 바아
73 : 로드 플레이트
74 : 장방형 홈, 플레이트 홈
75 : 공기 유입 홈
76 : 피스톤 슬라이드
77 : 스프링 요소, 나선형 압축 스프링
78 : 견인 수단, 인장 밴드
79 : 용접 구역
80 : 트리거 유닛
81 : 트리거 버튼, 가압 버튼
82 : 기부
83 : 원통형 외벽
85 : 홈, 반원형 홈(비틀림 보호)
86 :스커트
87 : 바닥 에지
88 : 캠
89 : 나이프 리세스, 슬릿
90: 절단 공구, 절단 칼
91 : 단일 절단 에지를 갖는 칼날
92 : 절단 에지
93 : 블레이드 이면, 에지
94 : 리세스
97 : 트리거 블록
98 : 오메가 형상 스프링
99 : 차단용 핀
100 : 실린더/피스톤 유닛
101 : 실린더
102 : 외측 체결 리브
103 : 단부면
105 : 보어
106 : 보어, 노즐
107 : (단부면의) 리세스
111 : 피스톤
112: 환형 홈
113 : 웨브
114 : 피스톤 시일, 밀봉 수단
도 1 및 도 2는 영구 장전식 스프링 에너지 저장부(50)를 구비한 일회용 주입기를 도시한다. 스프링 에너지 저장부(50)는 인장 밴드(78)에 의해 프리텐션되는 나선형 압축 스프링(77)을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스프링 에너지 저장부(50)는 트리거 유닛(80)과 함께 하우징(10) 내에 수용된다. 하우징(10)은 적절한 경우, 실린더/피스톤 유닛(100)도 수용하며, 실린더/피스톤 유닛(100)은 공급하고자 하는 약물(1)을 수용한다.
하우징(10)은 대부분이 원통형 튜브로 구성되며, 예컨대 3개의 기능적인 영역(21, 31, 41)으로 분할된다. 도 1 및 도 2에 따르면, 상부 영역은 트리거 영역(21)이다. 이 트리거 영역(21)은 재킷 영역(31)과 접한다. 트리거 영역과 재킷 영역 사이에는 내향 돌출식 중간 플랜지(32)가 배열된다. 중간 플랜지(32)는 원주부(34)에 의해 원형의 단면에서 기하학적으로 일탈하는 중앙 플랜지 리세스(33)를 구비한다. 원주부(34)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조립체를 비틀림으로부터 보호하는데 이용된다. 플랜지 리세스(33)는 재킷 영역(31)의 방향으로부터 적어도 일부 개소에서 경사진다.
하우징(10)의 트리거 영역(21)에서, 도 2에 도시된 상측 단부면(11)과 중간 플랜지(32) 사이에 횡방향 보어(23)가 위치된다. 횡방향 보어(23)는 트리거 블록(97)을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보어(23)에 대향한 하우징(10)의 내벽에는 비틀림에 대한 보호를 제공하는 웨브(22)가 구비된다. 도 3 및 도 4의 평면도에 도시된 비틀림에 대한 보호를 제공하는 웨브(22)는 트리거 유닛(80)의 트리거 버튼(81)이 비틀림에 대한 보호를 받으면서 장착되는 것을 허용한다. 단부면(11)의 외측 에지는 인체공학적인 이유로 경사진다. 트리거 버튼(81)을 체결하기 위하여, 예컨대 구형 컵의 형상(도 1 참조)인 2개의 함몰부(24)가 각각 90도로 오프셋되어 보어(23)의 상부에 배치된다.
삽입 가능한 실린더/피스톤 유닛(100)을 수용하기 위한 장착 영역(41)은 하우징(10) 내에서 재킷 영역(31)의 아래에 배치된다(또한 도 6 및 도 7 참조). 장착 영역(41)은 예컨대, 내향의 후크 팁(43)에서 각각 종료되는 6개의 탄성 후크(42)를 포함한다. 하우징의 하측 단부면(12)을 향한 방향으로 후크 팁(43)은 후크의 전체 두께에 걸쳐 경사면(44)을 구비한다. 탄성 후크(42)의 길이 및 스프링 레이트(spring rate)는 일회용 주입기의 기능에 필요한 삽입물(50, 100)이 탄성 후크(42)의 소성 변형 없이 삽입될 수 있도록, 그 수치가 결정된다.
이들 삽입물 중의 하나가 실린더/피스톤 유닛(100)이다(도 6 참조). 이 실 린더/피스톤 유닛(100)은 실린더(101)와 피스톤(111)으로 구성된다. 실린더(101)는, 예를 들어 5개의 주연 체결 리브(102)를 구비한 선택적으로 원통형인 외벽을 갖는 후벽 용기(thick-walled pot)이다. 체결 리브(102) 전체의 단면은 예컨대, 톱니 프로파일을 제공하며, 톱니형 체결 리브(102)들은 등거리로 분할된다. 체결 리브(102)의 최대 직경은 장착 영역(41)에서의 하우징(10)의 내경보다 약간 작다. 인접한 체결 리브(102)들 사이에 놓이는 영역의 직경은 후크 팁(43)의 영역에서의 하우징(10)의 최소 직경에 대응된다.
로드리스(rodless) 피스톤(111)은, 예컨대 실린더(101)의 원통형 보어(105) 내에 안착된다(도 8 참조). 적어도 대략적으로 원추 형상을 갖는 피스톤(111)의 전방 단부면에서, 피스톤(111)은 밀봉 링(114) 또는 영구 탄성 밀봉 합성물을 수용하기 위한 축방향 환형 홈(112)을 구비한다. 환형 홈(112)의 외벽과 무부하 상태의 피스톤(111)의 원통형 외벽 사이에는 예컨대, 단지 0.2 mm 두께의 벽을 갖는 환형 웨브(113)가 배치된다. 웨브의 높이는 웨브의 벽두께의 배수이다.
짧은 원통형의 노즐형 보어(106)가 실린더(101)의 보어(105) 중심에 위치되며, 실린더의 기부는 피스톤의 전방 단부면의 외형에 적합하다. 이러한 보어(106)는 그 직경의 2배 내지 3배의 길이를 갖는다. 보어(106)는 실린더(101)의 바닥에서 외측 단부면(103)의 원통형 리세스(107)로 개방된다.
스프링 에너지 저장부(50) 또는 일회용 주입기의 구동 유닛은 피스톤(111)과 중간 플랜지(32) 사이에 배열된다(도 6 참조). 스프링 에너지 저장부(50)는 나선형 압축 스프링(77), 피스톤 작동 로드(71), 앤빌(anvil; 51), 및 인장 밴드(78)를 포함한다. 인장 밴드(78)는 에너지 저장 상태 동안에 상기 부품들을 서로에 대해 유지시킨다.
피스톤 작동 로드(71)는 예컨대, 대략 원통형인 3개의 영역으로 분할된다. 하측 영역은 피스톤 슬라이드(piston slide; 76)이다. 피스톤 슬라이드(76)의 직경은 실린더/피스톤 유닛(100)의 실린더(101)의 내경보다 약간 작다. 피스톤 슬라이드(76)의 하측 단부면은 피스톤(111) 상에 직접 작용한다.
중앙 영역은 로드 플레이트(rod plate; 73)이다. 로드 플레이트(73)는 편평하며,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는 재킷 영역(31)에서의 하우징(10)의 내경보다 몇 십분의 일 밀리미터 작은 외경을 갖는 원통형 디스크이다. 로드 플레이트(73)의 외경은 탄성 후크(42)의 후크 팁(43)에 의해 형성된 개구의 직경보다 수 밀리미터 크다.
도 1에 따르면, 로드 플레이트(73)는 견인 수단(78)을 수용하기 위한 서로 대향하여 놓이는 2개의 장방형 홈(74)을 구비한다(도 1 참조). 로드 플레이트(73)는 예컨대, 홈(74)들 사이에 배치되는 2개의 공기 유입 홈(75)을 구비한다.
로드 플레이트(73)에 접하는 상부 영역은 예컨대, 원통형 스프링 안내용 바아(72)이다. 스프링 안내용 바아(72)의 상단부는 앤빌(51)의 중앙 로드 안내 보어(62) 내로 이동하도록 돌출한다.
앤빌(51)(도 1, 도 2 및 도 5 참조)은 용기 형상의 구조부이며, 그 기부(52)는 예컨대, 칼 안내용 슬릿(61)으로서 작용하는 장방형의 좁은 리세스를 구비한다. 기부(52)의 방사상 외측 형상은 주연부 주위로 연장하는 체결용 홈(56)을 구비한 다. 도 2, 도 3, 도 6 및 도 7에 따르면, 체결용 홈(56)의 영역에서의 기부(52)는 중간 플랜지(32)의 원주부(34)에 대응하는 측면 평면 영역(57)을 구비한다.
체결용 홈(56)의 아래에서, 앤빌(51)은 상기 영역에서의 하우징(10)의 내경보다 약간 작은 직경을 갖는다. 2개의 밴드 안내용 홈(63)은, 나선형 압축 스프링(77)이 안착되는 앤빌의 하측 단부면(66)과 상측 단부면(53) 사이에서 연장한다. 이들 홈(63)의 각각의 바닥은 중심선(5)과 예컨대, 8도의 각도를 이룬다. 각각의 홈(63)의 깊이는 앤빌(51)의 상측 단부면(53)의 방향으로 증가한다.
구동 유닛(50)은 이하와 같이 미리 조립될 수 있다. 나선형 압축 스프링(77)이 스프링 안내용 바아(72) 상에 끼워져 로드 플레이트(73) 상에서 지지된다. 앤빌(51)이 피스톤 작동 로드(71)의 상단부에 놓여진다. 나선형 압축 스프링(77)이 예컨대, 특별한 장치(도시 안함) 내에서 로드 플레이트(73)와 앤빌(51) 사이에서 소정 길이로 압축된다. 인장 밴드(78)가 앤빌(51)과 나선형 압축 스프링(77) 위에 놓여진다. 밴드 안내용 홈(63) 내에 끼워진 인장 밴드(78)는 로드 플레이트(73)의 플레이트 홈(74)의 영역에서 종료된다. 인장 밴드(78)의 양 단부는 예컨대, 접착 또는 용접(79)에 의해 플레이트 홈(74)에서 해제 불가능하게 고정된다. 구동 유닛(50)이 특정 인장 장치로부터 제거된 후에, 상기 구동 유닛(50)은 독립적으로 저장될 수 있거나, 그 후에 일회용 주입기의 하우징(10) 내로 직접 삽입된다.
달리, 인장 밴드(78)도 형상 일치 결합(form-fit engagement)에 의해 로드 플레이트(73)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예컨대 각각의 단부에, 로드 플레이 트(73)의 각각의 대응 리세스 내에 안착되는 확장 영역을 구비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견인 수단(78)은 장방형의 중실 단면을 구비한다. 또한, 타원형, 계란형 또는 원형일 수도 있다. 적절한 재료로는 예컨대, PVC계 플라스틱이 있다. 견인 수단(78)은 또한 케이블이나 실로 제조된 코드일 수도 있다.
절단 공구(90)를 지지하는 트리거 버튼(81)은 하우징(10)의 트리거 영역(21)에 종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방식으로 안착된다. 트리거 버튼(81)은 주로, 기부(82)와 스커트(86)로 이루어진 부싱의 형태를 갖는다. 예컨대, 단일의 절단 에지를 갖춘 절단 공구(90)는 기부(82)로부터 내향 돌출한다.
트리거 버튼(81)은, 도 2에 따르면 칼의 평면에서 반원형 홈(85)을 갖는 원통형 외벽(83)을 구비한다. 하우징(10)에 속하고 비틀림에 대한 보호를 제공하는 웨브(22)는 반원형 홈(85) 내로 돌출한다. 또한, 외벽(83)은 칼의 평면에 대해 거울 대칭인 2개의 방사상 돌출 캠(88)을 하부 영역에 구비한다. 캠(88)은 트리거 버튼(81)이 조립되어 제 위치에 고정될 때(도 1 참조) 트리거 영역(21)의 함몰부(24)에 결합된다.
트리거 버튼(81)의 기부(82)에 배열된 칼날(91)은 예컨대, 측면이 사다리꼴인 형상을 갖는다(도 2, 도 6 및 도 7 참조). 사다리꼴의 3개의 인접 변은 2개의 직각을 이루며, 블레이드의 이면을 나타내는 기다란 에지(93)는 절단 에지(92)와 예컨대 20도의 각도를 이룬다. 블레이드 이면(93)은 장치의 중심선(5)에 평행하게 배향된다. 칼날(91)은 평탄한 표면을 갖는다. 도 1에 따르면, 절단 에지(92)에는 양 측면에 대칭적으로 날이 세워진다. 도 2에 따른 조립 상태에서, 블레이드의 평 평한 이면(93)은 나이프 리세스(knife recess; 89)의 대응 벽에 활주 가능하게 지지되어 구비된다. 리세스(89)의 폭은 예컨대, 강철로 이루어진 칼날(91)의 벽두께보다 약간만 더 크다.
절단 공구(90)는 트리거 버튼(81) 내에서 예컨대, 완전히 둘러싸이면서 중심에 안착된다. 이를 위해, 절단 공구(90)는 기부(82)의 둘러싸인 영역에서 가압 끼움 또는 형상 끼움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보어 형상 리세스(94)를 구비한다.
물론, 절단 공구는 다른 형태 및 절단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절단 에지는 트리거 버튼의 행정이 증가할수록 절단 각도가 증가하는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만곡될 수도 있다. 또한, 이중 절단 에지를 구비한 절단 공구를 장착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2개의 절단 에지가 서로 대향으로 놓인다. 이러한 공구에서는, 견인 수단(78)이 양 측면에서, 즉 평면(9)에 횡으로 동시에 절단된다.
예를 들어 케이블이 견인 수단(78)으로 사용되는 경우, 절단 공구는 서로에 대해 멀리 배향된 2개의 절단 에지를 구비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양 측면에서 절단하는 칼날은 케이블의 중앙을 절단한다.
스커트(86)는 하부를 구비하며, 예컨대 트리거 버튼(81)의 작동 시에 하우징(10)의 중간 플랜지(32)에 대한 접촉부의 역할을 하는 평면 에지(87)를 구비한다. 비작동 및 고정 상태에서는, 에지(87)가 트리거 블록(97)의 차단용 핀(99) 상에 지지된다.
트리거 블록(97)은 차단용 핀(99)과 개방 및 탄성 링으로 구성되며, 개방 및 탄성 링은 차단용 핀(99)을 지지하며 오메가 형상 스프링(98)의 형태를 갖는다(도 4 참조). 오메가 형상 스프링(98)은 고정된 주입기의 하우징(10)의 외벽에 안착된다. 오메가 형상 스프링(98)은 240도 각도로 외벽을 둘러싼다. 차단용 핀(99)은 보어(23)에 결합된다. 차단용 핀(99)은 하우징의 내부로 수 밀리미터 돌출한다(도 2 참조). 적절한 경우, 오메가 형상 스프링(98)의 자유 단부들 중 적어도 하나는 종이 또는 포일 포장지로 밀봉된다.
일회용 주입기를 조립하기 위하여, 예컨대 미리 제작된 구동 유닛(50)이 비어있는 하우징(10) 내로 끼워진다. 구동 유닛(50)은 중간 플랜지(32)에 해제 불가능하게 체결되고 플랜지 리세스(33)를 통해 비틀림에 대해 보호된다. 두 번째 단계에서, 실린더/피스톤 유닛(100)이 장착 영역(41) 내로 끼워진다. 이와 별도로, 트리거 블록(97)이 인가되며, 적절한 경우에는 밀봉된다. 마지막으로, 절단 공구(90)를 장착한 트리거 버튼(81)이 비틀림에 대해 보호되는 방식으로 하우징(10) 내로 삽입된다. 삽입된 트리거 버튼(81)의 하부 에지는 차단용 핀(99)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트리거 버튼(81)은 캠(88)을 통해 트리거 영역(21)의 함몰부(24) 내에 고정된다.
트리거 버튼(81)과 앤빌(51) 사이의 거리는, 칼날(91)의 끝이 나이프 리세스(89) 내로 안전하게 돌출하면서 견인 수단(78)과 접촉하도록 선택된다(도 2 참조).
실린더/피스톤 유닛의 삽입은, 적절한 경우, 사용자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 다.
실린더/피스톤 유닛에 수납된 약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존재하는 모든 밀봉을 파괴한 후에 트리거 블록(97)이 측면을 잡아당김으로써 먼저 제거된다. 준비된 일회용 주입기가 사용 장소에 통상적으로 놓여지고, 트리거 버튼(81)이 엄지손가락의 힘에 의해 하향 가압된다. 인장 밴드(78)는 하향 가압되는 트리거 버튼(81)에 의해 절단된다(도 6 참조). 이러한 공정에서, 하향 이동하는 칼날(91)은 인장 밴드(78)를 리세스(89) 내로 밀어 넣는다. 앤빌(51)에 놓인 인장 밴드(78)는 밴드 안내용 홈(63)의 벽에 의해 측면에서 지지되고 있기 때문에, 절단 이동에서 벗어날 수 없다.
도 5는 칼날(91)과 앤빌(51)의 다른 조합을 도시한다. 칼날(91)은 비대칭 절단 에지를 구비한다. 즉, 칼날의 일 측면에만 날이 세워진다. 예컨대 금속 또는 세라믹의 대향 절단 에지(54)는 앤빌(51) 내로 추가적으로 공고히 끼워진다(또한 도 3 참조). 칼날(91)과 대향 절단 에지(54)의 상호 대면하는 절단 에지는 전단 법칙을 따르는 전단기를 형성한다. 이 경우, 인장 밴드(78)는 보다 작은 힘을 가함으로써 절단된다.
인장 밴드(78)를 위해 선택된 재료에 따라, 인장 밴드(78)의 전체 단면을 통해 인장 밴드(78)를 절단하는 것이 필요 없게 된다. 인장 밴드(78)가 즉시 찢겨지도록 인장 밴드(78)에 흠을 내는 것만으로도 족할 수 있다. 이 경우, 트리거 버튼에 요구되는 행정은 짧을 수 있다.
인장 밴드(78)가 절단된 직후, 제품(1)을 토출하기 위하여 스프링 요소(77) 는 전방으로 이동하는 피스톤 작동 로드(71)에 의해 실린더(101) 내로 피스톤(111)을 가압한다(도 7 참조). 피스톤(111)이 실린더(101)의 기부에 도달할 때 토출 공정이 완료된다.
기계적인 힘증대 기어가 수동 조작식 트리거 버튼(81)과 절단 공구(90) 사이에서 트리거 유닛(80) 내에 배치될 수도 있다.

Claims (10)

  1. 적어도 하나의 기계적 스프링 에너지 저장부(50), 활성 물질로 적어도 일시적으로 충진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피스톤 유닛(100), 적어도 하나의 피스톤 작동 로드(71) 및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유닛(80)을 수납하는 하우징(10)을 구비한 일회용 주입기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에너지 저장부(50)는 프리텐션 스프링 요소(77)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요소(77)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스프링 요소(77)를 둘러싸는 견인 수단(78)에 의해 프리텐션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트리거 유닛(80)은, 스프링 에너지 저장부(50)의 에너지를 방출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개소에서 견인 수단(78)을 절단하거나, 견인 수단(78)을 약화시켜 견인 수단(78)의 즉각적인 인열을 발생시키는 절단 공구(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주입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은 일체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주입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요소(77)를 전체적으로 또는 일부 영역에서 둘러싸는 견인 수단(78)은 인장 밴드이며, 상기 인장 밴드의 단면 중심의 대부분은 나선형 압축 스프링(77)의 중심선(5)이 또한 놓여지는 평면(9) 내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주입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공구(90)는 손으로 조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주입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공구(90)는 단일 절단 에지를 구비한 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주입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절단될 견인 수단(78)의 개소는 절단 공구(90)를 안내하기 위한 슬릿(61)을 포함하는 앤빌(51) 상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주입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앤빌(51)의 일 에지는 대향 절단 에지(54)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일회용 주입기.
  8.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 수단(78), 앤빌(51), 스프링 요소(77) 및 상기 스프링 요소(77)를 안내하는 피스톤 작동 로드(71)는 미리 조립될 수 있는 에너지 저장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주입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피스톤 유닛(100)은 공급하고자 하는 제품의 적어도 하나의 성분(1)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주입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1)은 증류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주입기.
KR1020077030187A 2005-12-24 2006-12-07 연속 장전식 스프링 에너지 저장부를 구비한 일회용 주입기 KR1013027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62206A DE102005062206B3 (de) 2005-12-24 2005-12-24 Einweginjektor mit dauergeladenem Federenergiespeicher
DE102005062206.2 2005-12-24
PCT/EP2006/011747 WO2007073839A1 (de) 2005-12-24 2006-12-07 Einweginjektor mit dauergeladenem federenergiespeich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1221A true KR20080081221A (ko) 2008-09-09
KR101302773B1 KR101302773B1 (ko) 2013-09-02

Family

ID=37440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30187A KR101302773B1 (ko) 2005-12-24 2006-12-07 연속 장전식 스프링 에너지 저장부를 구비한 일회용 주입기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1) US7749192B2 (ko)
EP (1) EP1962929B1 (ko)
JP (1) JP4897826B2 (ko)
KR (1) KR101302773B1 (ko)
CN (1) CN101203255B (ko)
AR (1) AR058613A1 (ko)
AT (1) ATE523219T1 (ko)
AU (1) AU2006331121B2 (ko)
BR (1) BRPI0612538A2 (ko)
CA (1) CA2609115C (ko)
DE (1) DE102005062206B3 (ko)
ES (1) ES2369936T3 (ko)
HK (1) HK1122517A1 (ko)
IL (1) IL187582A0 (ko)
MX (1) MX2007015335A (ko)
NZ (1) NZ563870A (ko)
RU (1) RU2428213C2 (ko)
TW (1) TWI366472B (ko)
WO (1) WO2007073839A1 (ko)
ZA (1) ZA20071005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31630B3 (de) * 2007-07-06 2008-12-24 Lts Lohmann Therapie-Systeme Ag Einweginjektor mit mindestens einem Stützstab
DE102007031714A1 (de) * 2007-07-06 2009-01-08 Lts Lohmann Therapie-Systeme Ag Einweginjektor mit mindestens einem Druckstab und einer Verschlusskappe
DE102007032463A1 (de) * 2007-07-10 2009-01-15 Lts Lohmann Therapie-Systeme Ag Einweginjektor mit mindestens einem zwangsentkoppelbaren Zughaken
DE102007032464A1 (de) * 2007-07-10 2009-01-15 Lts Lohmann Therapie-Systeme Ag Einweginjektor mit mindestens einem Zughaken
DE102008048595A1 (de) * 2008-09-23 2010-04-01 Lts Lohmann Therapie-Systeme Ag Einweginjektor mit hoher Injektionssicherheit
DE102009023334A1 (de) 2009-05-29 2010-12-02 Lts Lohmann Therapie-Systeme Ag Zur Lagerung von Injektionslösungen geeignete Zylinder-Kolben-Einheit für einen nadelfreien Injektor und Verfahren zum blasenfreien automatischen oder manuellen Befüllen der Zylinder-Kolben-Einheit, auch bei Atmosphärendruck
DE102009023335A1 (de) 2009-05-29 2010-12-02 Lts Lohmann Therapie-Systeme Ag Zweikammer Zylinder-Kolben-Einheit zur Lyophilisation, Lagerung, Rekonstitution und Applikation von Injektionslösungen für einen Injektor und Verfahren zum Befüllen der Zylinder-Kolben-Einheit
KR20160086360A (ko) 2013-11-13 2016-07-19 제넨테크, 인크. 보조식 수동 주사기 기기 및 방법
MX2016006670A (es) * 2013-11-22 2016-09-06 Sanofi Aventis Deutschland Dispositivo de administracion de farmacos asistido por resorte.
US11318256B2 (en) 2016-04-16 2022-05-03 Shl Medical Ag Injection device
CN111407977B (zh) * 2020-04-08 2022-10-21 北京航宇阳光机电技术研究所 一种自动注射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624958A (en) * 1947-07-17 1949-06-20 Emanuel Mano Wender Improvements in syringes
FR1174719A (fr) * 1957-04-19 1959-03-16 Appareil pour l'administration d'injections intra-musculaires
US3797488A (en) * 1972-07-10 1974-03-19 Ampoules Inc Ampoule applicator with one-way clutch
JPS52128675A (en) * 1976-04-22 1977-10-28 Seiko Instr & Electronics Medical capsule
US4874367A (en) * 1988-02-05 1989-10-17 Marpam International, Inc. Hypodermic jet injector and cartridge therefor
US5334144A (en) * 1992-10-30 1994-08-02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Single use disposable needleless injector
US5540664A (en) * 1993-05-27 1996-07-30 Washington Biotech Corporation Reloadable automatic or manual emergency injection system
FR2715071B1 (fr) * 1994-01-17 1996-03-01 Aguettant Lab Injecteur automatique de médicament.
AU1994295A (en) * 1994-05-16 1995-12-05 Washington Biotech Corporation Modular automatic or manual emergency medicine injection system
US6599268B1 (en) * 2000-06-27 2003-07-29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Hypodermic syringe with a selectively retractable needle
US6585690B1 (en) * 2000-06-29 2003-07-01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Hypodermic syringe with selectivity retractable needle
DE10240165A1 (de) * 2002-08-30 2004-03-18 Disetronic Licensing Ag Vorrichtung zum dosierten Ausstoßen eines flüssigen Wirkstoffes und Infusionspumpe
US20060258984A1 (en) * 2005-05-13 2006-11-16 Kiehne Bruce L Single use syringe with improved needle retraction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187582A0 (en) 2008-03-20
CN101203255B (zh) 2011-08-10
ATE523219T1 (de) 2011-09-15
JP4897826B2 (ja) 2012-03-14
TW200744699A (en) 2007-12-16
MX2007015335A (es) 2008-02-15
EP1962929A1 (de) 2008-09-03
RU2428213C2 (ru) 2011-09-10
ZA200710050B (en) 2008-10-29
KR101302773B1 (ko) 2013-09-02
AU2006331121B2 (en) 2011-12-01
AR058613A1 (es) 2008-02-13
CN101203255A (zh) 2008-06-18
JP2009521251A (ja) 2009-06-04
US7749192B2 (en) 2010-07-06
EP1962929B1 (de) 2011-09-07
US20080146997A1 (en) 2008-06-19
CA2609115C (en) 2014-02-11
NZ563870A (en) 2011-03-31
HK1122517A1 (en) 2009-05-22
RU2007146119A (ru) 2009-08-10
ES2369936T3 (es) 2011-12-09
DE102005062206B3 (de) 2006-12-14
CA2609115A1 (en) 2007-07-05
TWI366472B (en) 2012-06-21
WO2007073839A1 (de) 2007-07-05
AU2006331121A1 (en) 2007-07-05
BRPI0612538A2 (pt) 2010-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2773B1 (ko) 연속 장전식 스프링 에너지 저장부를 구비한 일회용 주입기
US8092419B2 (en) Disposable injector with at least one support rod
KR20090104070A (ko) 적어도 하나의 드로우 후크를 갖는 일회용 주사기
AU2008274626B2 (en) Disposable injector with at least one compression bar and a closure cap
US8641668B2 (en) Disposable injector with at least one tension hook
KR20090109561A (ko) 적어도 하나의 중앙 트랙션 로드를 갖는 일회용 주사기
KR20110102348A (ko) 굴곡-탄성 하우징을 갖는 일회용 인젝터
KR101630893B1 (ko) 굴곡-탄성 금속 하우징을 갖는 일회용 인젝터
JP5793181B2 (ja) 曲げ弾性があるピストン−作動ラムを備えた使い捨て注射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