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4070A - 적어도 하나의 드로우 후크를 갖는 일회용 주사기 - Google Patents

적어도 하나의 드로우 후크를 갖는 일회용 주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4070A
KR20090104070A KR1020097015597A KR20097015597A KR20090104070A KR 20090104070 A KR20090104070 A KR 20090104070A KR 1020097015597 A KR1020097015597 A KR 1020097015597A KR 20097015597 A KR20097015597 A KR 20097015597A KR 20090104070 A KR20090104070 A KR 200901040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housing
disposable syringe
tension
trig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5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보도 아스무쎈
한스-라이너 호프만
루돌프 마투쉬
우베 보르트만
Original Assignee
에르테에스 로만 테라피-시스테메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르테에스 로만 테라피-시스테메 아게 filed Critical 에르테에스 로만 테라피-시스테메 아게
Publication of KR20090104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40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0Syringes for injection by jet action, without needle, e.g. for use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61M2005/2073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preventing premature release, e.g. by making use of a safety lo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4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 A61M2005/2485Ampoule holder connected to rest of syringe
    • A61M2005/2488Ampoule holder connected to rest of syringe via rotation, e.g. threads or bayo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4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 A61M2005/2485Ampoule holder connected to rest of syringe
    • A61M2005/2492Ampoule holder connected to rest of syringe via snap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2005/3117Means preventing contamination of the medicament compartment of a syringe
    • A61M2005/3118Means preventing contamination of the medicament compartment of a syringe via the distal end of a syringe, i.e. syringe end for mounting a needle cannula
    • A61M2005/312Means preventing contamination of the medicament compartment of a syringe via the distal end of a syringe, i.e. syringe end for mounting a needle cannula comprising sealing means, e.g. severable caps, to be removed prior to injection by, e.g. tearing or twis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61M5/2033Spring-loaded one-shot injectors with or without automatic needle inse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4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0Syringes for injection by jet action, without needle, e.g. for use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 A61M5/3007Syringes for injection by jet action, without needle, e.g. for use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with specially designed jet passages at the injector's distal e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11Piston or piston-rod constructions, e.g. connection of piston with piston-rod
    • A61M5/31515Connection of piston with piston ro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Actu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기계적 탄성 에너지 저장부(50)가 배열되는 하우징(10), 적어도 소정의 시간 동안 유효하게 충전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피스톤-실린더 유닛(100), 적어도 하나의 피스톤-작동식 스템(60) 및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유닛(80)을 포함하는 일회용 주사기에 관한 것이다. 탄성 에너지 저장부는 적어도 하나의 예비-압축식 스프링 요소를 포함한다. 스프링 장전식 피스톤-작동 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드로우 로드를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드로우 로드는 적어도 소정이 영역에서 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또한 지지부에 의해 하우징의 적어도 하나의 안착면 상에 가압된 탄성 에너지 저장부를 지지한다. 작동이 실시되는 경우, 트리거 요소는 지지부를 해제하여 상기 지지부가 안착면으로부터 멀리 이동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적어도 하나의 드로우 후크를 갖는 일회용 주사기{SINGLE-USE INJECTOR WITH AT LEAST ONE DRAW HOOK}
본 발명은 하우징을 갖는 일회용 주사기로서, 상기 하우징 내 또는 상기 하우징 상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기계적 탄성 에너지 저장부와, 적어도 일시적으로 활성 물질로 충전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피스톤 유닛과, 적어도 하나의 피스톤-작동 램과,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유닛이 배열되며, 상기 탄성 에너지 저장부는 미리 탄성력이 부여된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작동 램의 적어도 일부는 탄성 에너지 저장부와 실린더/피스톤 유닛의 피스톤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일회용 주사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이러한 유형의 주사기는 유럽 특허 제 0 710 130 B1으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주사기는 개별적인 구조적 그룹, 즉 탄성 에너지 저장부, 실린더/피스톤 유닛 및 트리거 유닛이 서로 분리되거나 개별적으로 조작될 수 없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트리거 유닛은, 주사기의 중심선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동되는 활주부가 노치 또는 나사 가공 그루브를 통해 피스톤-작동 램을 차단 또는 해제하는 캐치 기구를 구비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제기되는 문제는 전체 크기가 소형이며 적은 수의 구조적 부품만을 구비하는 반면 작동이 용이하고 안전한 저장 및 신뢰할 수 있는 작동을 보장하는 모듈형 디자인의 일회용 주사기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는 독립항의 특징에 의해 해결된다. 따라서, 스프링-장전식 피스톤-작동 램은 적어도 하나의 텐션 바아를 구비하고, 상기 텐션 바아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지지부에 의해, 탄성력이 부여된 탄성 에너지 저장부를 하우징의 적어도 하나의 지지면 상에 지지한다. 트리거 유닛은 작동 시, 상기 지지부를 상기 지지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또는 멀어질 수 있도록 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요소이거나, 또는 상기 트리거 요소를 구비한다.
본 발명으로, 무침 일회용 주사기가 사용 가능하고, 일회용 주사기의 작동 시, 상기 주사기의 피스톤-작동 램은 종방향에 대해 횡방향 및/또는 일회용 주사기의 중심선에 대해 횡방향으로 지향되는 이동을 실행한다. 탄성 에너지 저장부에 미리 탄성력을 부여하고 이를 유지하기 위해, 피스톤-작동 램의 하나 이상의 부분이 하우징 또는 상기 하우징 상에 배열된 구조부 상의 적어도 하나의 폐쇄체 또는 후크로 지지된다. 만약 적합하다면, 피스톤-작동 램의 소정의 부분 또는 영역만이 일회용 주사기의 하우징에 대해 이동 가능하도록 설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일회용 주사기를 작동하기 위해, 페쇄체 또는 후크가 하우징 상의 지지면 아래로 가압되어, 탄성 에너지 저장부의 효과하에서, 피스톤-작동 램은 일회용 주사기의 중심선에 적어도 대략적으로 평행하게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다 상세한 설명은 종속항 및 도면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다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텐션 바아를 갖는 일회용 주사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과 동일한 일회용 주사기로서, 해제되어 작동된 일회용 주사기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도 2와 동일한 일회용 주사기로서, 약물이 배출된 후의 일회용 주사기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다수의 텐션 바아를 갖는 일회용 주사기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도 4와 동일한 일회용 주사기로서, 해제되어 작동된 일회용 주사기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도 5와 동일한 일회용 주사기로서, 약물이 배출된 후의 일회용 주사기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도 4에 따른 일회용 주사기의 베이스로서, 단계식 트리거 슬리브가 없는 일회용 주사기의 베이스에 대한 평면도,
도 8은 내향 텐션 후크를 구비한 다수의 텐션 바아를 갖는 일회용 주사기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도 8과 동일한 일회용 주사기로서, 해제되어 작동된 일회용 주사기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도 9와 동일한 일회용 주사기로서, 약물이 배출된 후의 일회용 주사기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도 8에 따른 일회용 주사기로서, 트리거 요소가 없는 일회용 주사기의 고정 요소에 대한 평면도,
도 12는 다수의 외측 방향 탄성 텐션 바아를 구비한 일회용 주사기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도 12와 동일한 일회용 주사기로서, 해제되어 작동된 일회용 주사기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도 13과 동일한 일회용 주사기로서, 약물이 배출된 이후의 일회용 주사기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도 12에 따른 일회용 주사기로서, 사용 이전의 일회용 주사기에 대한 측면도,
도 16은 도 12에 따른 일회용 주사기로서, 실린더/피스톤 유닛 및 지지 슬리브를 구비하지 않은 일회용 주사기에 대한 측면도,
도 17은 다수의 내향 탄성 텐션 바아를 구비한 일회용 주사기를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도 17과 동일한 일회용 주사기로서, 해제되어 작동된 일회용 주사기를 도시하는 도면,
도 19는 도 18과 동일한 일회용 주사기로서, 약물이 배출된 이후의 일회용 주사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0은 도 17에 따른 일회용 주사기로서, 사용 이전의 일회용 주사기에 대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주사 용액; 약물 5: 일회용 주사기의 중심선
10: 일 부재의 하우징 11: 하우징 내부
12: 하우징 단부면, 바닥부 21: 트리거 영역
22: 비드 31: 자킷 영역
32: 베이스, 중앙 베이스 33: 외측면, 단부면, 상부
34: 개구, 보어, 요홈부 35: 웨브, 하우징 웨브
36: 하우징 에지 37: 지지면
39: 천공 디스크 41: 실린더/피스톤 유닛용 고정 영역
42: 탄성 후크 43: 후크 팁
44: 경사부 46: 사다리꼴 나사산부
49: 지지 슬리브
50: 스프링 요소, 헬리컬 압축 스프링, 탄성 에너지 저장부
60: 피스톤-작동 램 61: 텐션 바아
62: 텐션 후크 63: 포위면, 바닥부
64: 헬리컬 압축 스프링 65: 지지부
66: 외측 형상부, 웨지-형상; 웨지 표면; 웨지 형상부; 포위면, 상부
67: 텐션 후크 사이의 중공 공간
68: 중공 공간의 포위면 69: 텐션 후크 사이의 슬릿
71: 환형 그루브 73: 램 플레이트
74: 그루브 76: 피스톤 활주부
80: 트리거 유닛 81: 트리거 하우징, 가압 버튼
82: 트리거 요소 83: 에지
84: 고정 요소용 요홈부 85: 슬리브
86: 직사각형 튜브 87: 트리거 튜브
88: 웨지 표면, 영역, 경사부; 웨지 형상부
89: 신장 로드 91: 신장 디스크
92: 트리거 디스크 93: "95"의 외측 갈고리부
94: "95"의 중앙 갈고리부 95: 고정 요소, 캡, 포크
96: 플레이트 97: 로킹 핀
98: 지지 영역 99: 로킹 영역
100: 실린더/피스톤 유닛 101: 실린더
102: 로킹 리브, 외측 103: 단부면
104: 사다리꼴 나사산부 106: 보어, 노즐
107: 단부면 내의 요홈부 111: 피스톤
112: 환형 그루브 114: 밀봉 링, 밀봉 수단
116: 금속 플레이트 120: 보호 필름, 접착 밀봉부
도 1 내지 도 3은 영구적으로 장전된 탄성 에너지 저장부를 갖는 일회용 주 사기에 대한 간단한 원리를 도시한다. 일회용 주사기는 하우징(10), 예를 들어 충전된 실린더/피스톤 유닛(100), 텐션 후크(62)를 갖는 피스톤-작동 램(60), 및 탄성 저장부로서의 헬리컬 압축 스프링(50)을 포함한다. 또한, 트리거 요소(82) 및 고정 요소(95)가 배치되는 트리거 유닛(80)이 하우징(10) 상에 안착된다.
하우징은 바닥부가 개방된 냄비 형상의 중공체이며, 상단부에는 베이스(32)가 위치된다. 베이스(32)는 예를 들어, 편심 개구(34)를 구비하며, 도 1에 따라, 상기 편심 개구를 통해 텐션 후크(62)가 결합된다. 텐션 후크(62)는 지지부(65)로 하우징(10)의 지지면(37) 상에 놓여 있다.
피스톤-작동 램(60)은 세 영역으로 분류된다. 하부 영역은 피스톤 활주부(76)이다. 그 직경은 실린더/피스톤 유닛(100)의 실린더(101)의 내경보다 약간 작다. 피스톤 활주부(76)의 하부 단부면이 피스톤(111)에 직접 작용한다.
중간 영역은 램 플레이트(73)이다. 램 플레이트(73)는, 편평하고,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그 외경이 자킷 영역(31) 내의 하우징(1)의 내경보다 수십 밀리미터 작은 원통형 디스크이다. 상부 영역은 텐션 후크(62)이다.
실린더/피스톤 유닛(100)이 하우징(10)의 하단부에 고정된다. 여기서, 실린더/피스톤 유닛(100)은, 주입액(1)으로 충전되고 피스톤이 후방 위치에 놓인 실린더(101)로 구성된다. 피스톤(111) 상에, 피스톤-작동 램(60)이, 예를 들어 피스톤과 접촉하지는 않지만, 실린더(101)의 상부 영역에서 그 하단부로 측면 방향으로 안내되도록 하우징(10) 내에 배열된다.
헬리컬 압축 스프링(50)이 하우징(10)의 상부에 놓여 있는 베이스(32)와 램 플레이트(73) 사이에 미리 압축되어 안착된다.
트리거 유닛(80)이 하우징(10) 상에 고정된다. 대부분의 폐쇄형 단부벽 내에, 트리거 유닛은 핀형 고정 요소(95)가 고정되는 슬리브(85)를 구비한다. 고정 요소(95)는 상기 고정 요소가 지지면(37)에 인접한 개구(34)의 에지(36) 상에 텐션 후크(62)를 유지하도록 하우징(10)과 결합되어 위치된다. 삽입 상태에서, 고정 요소(95)는 피스톤-작동 램(60)의 종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텐션 후크(62)의 예기치 못한 변위를 방지한다.
트리거 유닛(80)에 있어서, 트리거 요소(82)는 예를 들어, 하우징(10)의 중심선을 가로질러 종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일회용 주사기를 작동하기 위해, 고정 요소(95)가 도 2에서처럼 인출되고, 일회용 주사기가 환자에 대한 위치로 이동되며, 그 후 트리거 요소(82)가 예를 들어, 일회용 주사기를 지지하고 있는 손의 손가락에 의해 가압된다. 트리거 요소(82)는 지지면(37)으로부터 지지부(65)를 밀어내어, 전체 피스톤-작동 램(60)에 약간의 경사를 준다. 활주 운동은 일회용 주사기의 종방향 축선 또는 중심선(5)에 대해 횡방향으로 발생한다. 따라서, 헬리컬 압축 스프링(50)의 작동 하에서, 지지부(65)는 개구(34)를 통해 하우징(10)의 내부(11)로 미끄러져 들어간다. 이렇게 하여, 실린더/피스톤 유닛(100)이 비워진다(도 3 참조).
이러한 원리에 있어서, 피스톤 활주부(76)는 별개의 구조부로서 설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피스톤 활주부는 하우징(10)의 내측벽 상에서 안내된다. 또한, 피스톤(111) 상에 일체형 피스톤 로드로서 피스톤 활주부(76)를 형성하여 피스톤에 의해 및/또는 예를 들어 실린더(101)의 내측벽 상의 일부 영역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서만 피스톤을 안내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물론, 피스톤 활주부(76) 및 피스톤 로드는 소정의 바람직한 방식으로 램 플레이트(73)와 피스톤(111) 사이의 공간을 공유할 수 있다.
트리거 작동은 본원에 개시된 변형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횡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트리거 요소(82)를 대신하여, 예를 들어 편심 기어, 나사 기어 또는 레버 기어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원리에 대한 상세를 도시한다. 피스톤-작동 램(60)은 예를 들어, 램 플레이트(73) 상의 구조적으로 동일한 2개의 텐션 후크(62)를 포함한다. 텐션 후크(62) 양자는 거울 대칭으로 서로 대향하여 놓여 있다. 이들은 예를 들어, 탄력 있는 탄성재로 제조된다. 텐션 후크(62) 양자는 등을 맞대어 놓여 있으며, 이들 후크가 예를 들어, 미리 탄성력이 부가(pretensioning)되어 개구(34)의 에지(36) 상에 지지되도록 판 스프링 방식으로 서로로부터 이격되게 하는 힘을 발생시킨다. 이들의 탄성 방향은 대안예로서, 이들 사이에 횡방향으로 놓여 있는 헬리컬 압축 스프링(64)에 의해 표시된다.
물론, 이러한 헬리컬 압축 스프링(64)은 예를 들어 만약, 텐션 후크(62)가 피봇 힌지에 의해 램 플레이트(73) 상에 유기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경우, 실제로 사용될 수 있다. 이들 피봇 힌지의 선회축은 하우징의 중심선(5)에 횡방향으로 그리고 도 4 내지 도 6에 따른 도면의 평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놓인다.
이러한 변형예에서, 텐션 후크(62)가 예를 들어, 베이스(32)의 외측 평 면(33) 상에 지지되는 지지부(65)는 웨지 형상 또는 절두 원추형 외측 형상부(66)를 갖는다. 여기서, 지지부(65)의 단면은 중심선(5)을 따라 상방으로 좁아진다. 도 4 내지 도 6에 있어서, 외측 형상부(66)는 중심선(5) 상에서 베이스(32) 위에 놓여 있는 이론적 피라미드 선단부를 갖는 피라미드 표면의 일부이다(도 4, 도 5 및 도 7 참조).
핀 형상의 고정 요소(95)가 텐션 후크(62)의 단부 사이에 고정된다(도 7 참조). 여기서, 상기 고정 요소는 예를 들어,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는다. 예를 들어, 트리거 유닛(80)의 하우징(81) 내에 장착되는 고정 요소(95)는 텐션 후크(62)를 기계적으로 차단하여 로킹 위치에 유지한다.
트리거 하우징(81)은 냄비 형상을 가지며, 하우징(10)의 후방부에 종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안착된다. 직사각형 튜브(86)는 예를 들어, 트리거 하우징(81)의 베이스 상에 장착되고, 동시에 고정 요소(95)를 안내한다. 베이스로부터 직사각형 튜브(86)로의 이동에 있어서, 직사각형 튜브는 경사 영역(88)을 갖는다. 경사 영역(88)은 트리거 하우징 측면 상에 웨지 표면을 형성한다.
고정 요소(95)의 제거 후에, 가압 버튼처럼 트리거 하우징(81)이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트리거 하우징 측면 상의 웨지 표면(88)이 텐션 후크(62) 상에 지지되고 상징적으로 표시된 압축 스프링(64)의 작용에 반해 이들을 함께 가압하여, 지지부(65)가 개구(34)를 통과한다. 트리거 하우징 측면 상의 웨지 표면(88) 및 지지부(65)가 스플라인 기어를 형성한다. 적절하다면, 웨지 표면(88) 및/또는 지지부(65)의 웨지형 외측 형상부(66)의 표면은 예를 들어 원통형 또는 원형으로 하나 이상의 축선으로 만곡되어, 만곡면이 평면 또는 다른 곡률의 표면을 따라 활주할 수 있다.
피스톤-작동 램(60)의 일부로서, 예를 들어 탄성 변형식 텐션 후크(62)가 하우징(10)의 내측(11)에 도달하자마자, 이들 후크는 탄성 복귀력에 의해 서로에 대해 멀어지게 된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텐션 후크(62)가 서로에 대해 예를 들어, 한 쌍으로 대면하여 놓여 있는, 즉 지지부(65)가 서로를 지향하는 변형예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의 텐션 후크(62)는 서로 폐쇄되도록 탄성을 받는다.
도 8에 따라, 이러한 변형예의 하우징(10)의 베이스(32)는 하우징 웨브(35)에 의해 분리되는 2개의 예를 들어 직사각형 요홈부(34)를 구비한다. 텐션 후크(62)의 지지부(65)가 일회용 주사기의 로킹 위치에 지지되는 하우징 웨브(35)는 하우징 베이스(32)의 일부이다. 텐션 후크(62)를 하우징 웨브(35) 상에 고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이들 후크는 부분적으로 하우징 베이스(32) 상에 에워 쌓인다. 이를 위해, 고정 요소(95)가 사용된다(도 11 참조). 이러한 고정 요소(95)는 본질적으로, 트리거 하우징(81) 내에서 안내되는 3개의 갈고리부 및 그립부를 갖춘 포크 형상의 구조부이다. 지지부(65)의 후방면은 각각 외측 갈고리부(93) 상에 지지된다. 포크의 중앙 갈고리부(94)는 서로 대면하는 지지부(65) 사이에 위치된다.
가압-버튼의 형태인 트리거 요소(82)는 또한 트리거 하우징(81) 내에서 종방향으로 안내된다. 신장 로드(89)가 트리거 요소의 예를 들어, 중앙에 일체로 형성된다. 도 8에 따라, 신장 로드는 고정 요소(95)의 중앙 갈고리부(94) 상에 지지된 다. 따라서, 트리거 요소(82)는 고정 요소(95)의 제거시까지 차단된다.
일회용 주사기를 작동시키기 위해, 고정 요소(95)가 먼저 측면으로 당겨져 트리거 하우징(81)을 완전히 벗어난다. 그 후, 가압-버튼(82)은 상기 가압 버튼이 하우징 웨브(35) 상에 지지될 때까지, 가압된다(도 9 참조). 신장 로드(89) 및 웨지 표면(66)은 본 공정에서 스플라인 기어로서 상호 작용한다. 텐션 후크(62)는 서로 이격되도록 벌어져, 피스톤-작동 램(60)의 일부로서 피스톤(111) 상에서 작동하도록, 요홈부(34)를 통해 하우징 내부(11)로 방해 받지 않고 활주할 수 있다(도 10 참조).
도 12 내지 도 16은 도 4 내지 도 7에 개시된 원리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여기서, 지지 구조부는 하우징(10)이다. 이는 실질적으로 관형 형상을 가지며, 3개의 기능적 영역(21, 31, 41)으로 분리된다. 도 12에 따라, 상부 영역이 트리거 영역(21)이다. 이는 자킷 영역(31)에 의해 인접된다. 중앙 베이스(32)가 두 영역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반경 방향으로 자킷 영역(31)을 지나 약간 돌출한다. 중앙 영역(32)은 중앙 요홈부(34)를 구비하며, 상기 요홈부의 직경은 예를 들어, 바닥부를 향해 약간 넓어진다.
하우징(10)의 트리거 영역(21)에 있어서, 치수적으로 강성인, 예를 들어 금속의 천공 디스크(39)가 중앙 베이스(32) 상에 위치된다. 이는 접착식으로 결합되거나 사출 성형된다. 천공 디스크(39) 대신, 세라믹 보강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천공 디스크(39) 또는 보강재는 압력 및/또는 다른 변형으로부터 중앙 베이스(32)를 보호한다. 또한, 이는 구조부(32, 66)가 들러붙는 것을 방지하는데, 그 렇지 않으면 구조부(32, 66)는 접촉하게 된다.
삽입 가능한 실린더/피스톤 유닛(100)을 수용하기 위한 고정 영역(41)이 자킷 영역(31) 아래에 배치된다. 고정 영역(41)은 예를 들어, 3개의 종방향 슬릿을 구비한다(도 16 참조). 이러한 영역의 내측벽은 예를 들어, 사다리꼴 나사산부(46)를 지지한다. 도 12 및 도 15에 따라, 고정 영역(41)은 하우징(10) 상에 로킹되는 지지 슬리브(49)에 의해 둘러싸인다.
실린더/피스톤 유닛(100)은 사다리꼴 나사산부(46) 내로 나사 결합된다. 상기 유닛은 실린더(101) 및 피스톤(111)으로 구성된다. 실린더(101)는 예를 들어, 두꺼운 벽의 냄비 형상이며,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상기 냄비 형상의 원통형 외측벽은 사다리꼴 나사산부(104)도 지지한다.
로드리스 피스톤(111)이 예를 들어, 실린더(101)의 원통형 보어 내에 안착된다. 적어도 대략적으로 원뿔 구성의 전방 단부면에서, 피스톤(111)은 밀봉링(114) 또는 영구 탄성 밀봉 복합물을 수용하기 위한 축방향 환형 그루브(112)를 구비한다. 원통형 금속 플레이트(116)가 예를 들어, 피스톤(111)의 후방 단부면 내로 삽입된다.
짧은 원통형 노즐식 보어(106)가 실린더(101)의 보어의 중앙에 위치되며, 실린더 베이스는 피스톤의 전방 단부면의 형상부에 적어도 대략적으로 부합된다. 보어(106)의 직경은 대략 0.1 내지 0.5 밀리미터이다. 이러한 보어(106)는 그 직경에 1 내지 5배 길다. 보어(106)는 실린더(101)의 바닥부에서 외측 단부면(103)의 원통형 요홈부(107) 내로 개방된다.
일회용 주사기의 탄성 에너지 저장부(50) 또는 구동 유닛이 피스톤(111)과 트리거 영역(21) 사이에 배치된다. 탄성 에너지 저장부(50)는 4개의 텐션 후크(62)를 갖는 피스톤-작동 램(60) 상에 배열되는 헬리컬 압축 스프링이다. 텐션 후크(62)의 지지부(65)에 의해, 헬리컬 압축 스프링(50)이 하우징(10) 내에 가압된 상태로 안착된다. 상기 압축 스프링(50)은 중앙 베이스(32)의 내측면과 피스톤-작동 램(60)의 상단면 사이에 지지된다.
피스톤-작동 램(60)은 3개의 영역으로 분리된다. 하부 영역은 피스톤 활주부(76)이며, 중앙 영역은 스프링 요소(50)를 지지하는 램 플레이트(73)이며, 상부 영역은 예를 들어, 4개의 텐션 후크(62)의 다발이다(역시 도 1 내지 도 3의 개시 내용 참조).
하우징(10)의 자킷 영역(31)에서, 텐션 후크(62)는 적어도 대략적으로 원통형인 포위면(63)을 갖는다. 즉, 이들의 외측벽은 실린더 자킷 영역의 곡률을 갖는다. 지지부(65)는 포위면으로서 절두 원추형 자킷을 구비한다. 포위면은 또한 웨지 형상부(66)로서 설계된다.
텐션 후크(62)의 내측벽은 절두 원추형 자킷 형상을 갖는 포위면(68)의 일부이다. 이러한 포위면(68)은 텐션 후크 사이에 위치되는 절두 원추형 자킷 형상 중공 공간(67)을 둘러싼다. 중공 공간(67)의 단면적은 램 플레이트(73)로부터 멀어질수록 증가한다. 인접한 텐션 후크(62) 사이에 놓여 있는 반경 방향 슬릿(69)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을 향해 크기가 증가하는데, 대략 그 폭이 2배로 증가한다.
도 1과 달리, 도 12에 따른 램 플레이트(73)는 서로 대향하여 놓여 있는 예를 들어 2개의 그루브(74)를 구비한다.
텐션 후크(62)는 지지부(65)에 의해 트리거 영역(21) 내에 위치된다. 지지부(65)는 천공 디스크(39) 상에 고정되어 놓인다.
트리거 영역(21)에 있어서, 트리거 유닛(80)은 그 상부 위치에서 일 부재의 트리거 요소(82)로서 안착된다. 트리거 요소(82)는 그 내부에 트리거 튜브(87)가 일체로 형성되는 냄비 형상체이다. 외측 형상부의 하부 단부에서, 트리거 요소(82)는 원주 방향으로 약간 돌출한 에지(83)를 구비한다. 돌출 에지는 트리거부(21)의 내측벽 상에 존재하는 둘레 비드(22) 뒤에 결합한다.
트리거 요소(82)의 베이스는 고정 요소(95)가 삽입되는 원형 요홈부(84)를 구비한다. 트리거 튜브(87)는 내측벽의 영역 내의 하부 단부에 절두 원추형 웨지 형상부(88)를 구비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그 원뿔각은 20 내지 45도이다. 일회용 주사기가 미작동 및 고정 상태에 있을 때, 웨지 형상부(88)는 텐션 후크(62)의 웨지 형상부(66)의 상부 영역에 지지된다.
고정 요소(95)는 트리거 요소(82)처럼, 회전식으로 대칭인 구조부이다. 이는 플레이트(96) 및 로킹 핀(97)으로 구성된다. 로킹 핀(97)은 로킹 영역(99) 및 지지 영역(98)을 구비한다. 2개의 영역(98, 99)은 절두 원추형이다. 이들은 모두 예를 들어, 동일한 원뿔각을 갖는다. 로킹 영역(99)의 적어도 원뿔각은 중공 공간(67)의 원뿔각에 대응한다. 지지 영역(98)은 텐션 후크(62)의 상단부면 상에서 환형 단부면으로 지지된다.
도 13은 고정 요소(95)가 제거되고, 트리거 요소(82)가 작동 중인, 즉 가압된 상태의 일회용 주사기를 도시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고정 요소(95)의 수직 방향으로의 후퇴 이후에, 트리거 요소(82)의 가압은 트리거 튜브(87)의 웨지 형상부(88)가 텐션 후크(62)의 웨지 형상부(66)를 따라 활주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텐션 후크(62)는 중심선(5)을 향해 반경 방향으로 탄성 및/또는 소성적으로 굽혀진다. 개별적인 텐션 후크(62) 사이의 간극 공간은 실질적으로 적어도 지지부(65)의 영역 내에서는 소멸된다. 이제, 지지부(65)의 최대 외경은 천공 디스크(39)의 보어의 직경보다 작다. 텐션 후크(62)는 스프링 요소(50)의 효과하에서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또한 피스톤 활주부(76)에 의해 피스톤(111)을 변위시킬 수 있다(도 14 참조).
도 15는 구매 가능한 형태로서 미작동 중인 일회용 주사기를 도시한다. 고정 요소(95)가 삽입되고, 실린더/피스톤 유닛(100)의 하단부면이 뜯을 수 있는 접착 밀봉부(tear-off adhesive seal; 120)에 의해 살균 밀봉된다.
도 17 내지 도 20은 텐션 후크(62)가 일회용 주사기의 중심선(5)을 향해 탄성적으로 가압되는 일회용 주사기 변형예를 도시한다. 하우징(10)은 본질적으로 상단부에 위치되는 편평한 베이스(32)를 갖는 평탄한 튜브이다. 피스톤-작동 램(60)의 통과를 위한 중앙 보어(34)가 베이스(32)에 형성된다.
삽입 가능한 실린더/피스톤 유닛(100)을 수용하기 위한 고정 영역(41)이 하우징(10)의 하부 영역에 위치된다. 고정 영역(41)은 예를 들어 6개의 탄성 후크(42)를 포함하며, 이들 탄성 후크는 내측을 향하는 후크 팁(43)으로 종결된다. 하우징의 하부 단부면(12)을 향해, 후크 팁(43)은 후크의 전체 두께에 걸쳐 연장되는 경사부(44)를 갖는다. 탄성 후크(42)의 길이 및 탄성율은 일회용 주사기의 기능을 위해 요구되는 삽입부(50, 100)가 탄성 후크(42)의 소성 변형 없이 설치될 수 있도록 치수화된다.
이들 삽입부 중 하나는 실린더/피스톤 유닛(100)이다(도 6 참조). 이는 실린더(101) 및 피스톤(111)으로 구성된다(도 12 참조). 실린더(101)는 예를 들어 두꺼운 벽의 냄비 형상이며, 이의 선택적인 원통형 외측벽은 예를 들어, 5개의 둘레 로킹 리브(102)를 갖는다. 로킹 리브(102) 전부는 단면에 있어서, 예를 들어 치형 로킹 리브(102) 사이의 구획이 등거리인 치형 형상부를 갖는다. 로킹 리브(102)의 최대 직경은 고정 영역(41) 내의 하우징(10)의 내경보다 약간 작다. 인접한 로킹 리브(102) 사이에 놓여 있는 영역의 직경은 후크 팁(43)의 영역 내에서 하우징(10)의 최소 직경에 대응한다.
피스톤-작동 램(60)은 하우징(10) 내에서 베이스(32)와 실린더/피스톤 유닛(100) 사이에 안착된다. 피스톤 작동식 램(60)의 2개의 하부 단부 영역(73, 76)은 도 12를 통해 알 수 있다. 상부 영역은 예를 들어 4개의 텐션 후크(62)에 의해 형성되며, 이들은 예를 들어 램 플레이트(73)까지 도달하지 않는다. 램 플레이트(73) 및 텐션 후크(62) 사이에는, 도 16에 따라 다른 요소 사이에서 작동하여 탄성 요소(50)를 안내하는 원통부가 있다. 이를 위해, 탄성 요소(50)의 바닥 권취부를 고정하는 예를 들어 4개의 짧은 반경 방향 돌출 리브를 구비한다.
각각의 텐션 후크(62)는 지지부(65)를 갖는다. 작동된 일회용 주사기의 경 우에 있어서, 텐션 후크 다발은 원통형 포위면(63)을 갖는다(도 18 및 도 19 참조). 또한, 포위면(66)은 지지부(65)의 영역에서 원통형일 수 있다.
텐션 후크(62)의 상부 영역에서, 각각의 텐션 후크(62)는 중심선이 일회용 주사기의 중심선(5)과 합동하는 환형 그루브(71)의 일부를 포함한다. 도 18 및 도 19에 따라, 예를 들어 트리거 요소(82)의 원통형 신장 디스크(91)가 환형 그루브(71)에 안착된다. 각각의 환형 그루브의 바닥부는 신장 디스크(91)의 반경 방향 외측 형상부 상에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언로딩 상태에서, 텐션 후크(62)는 중심선(5)의 방향으로 탄성 가압된다. 예를 들어, 트리거 요소(82)의 해제 시에, 텐션 후크는 상단부에서 접촉할 것이다.
도 17에 도시된 트리거 요소(82)는 회전 방향으로 대칭적인 구조부로서 버섯 형상을 갖는다. 신장 디스크(91) 상에 배열되는 좁은 웨브는 트리거 디스크(92) 상에 일체로 형성되는 상단부를 구비한다.
트리거 요소(82)를 보호하기 위해, 캡의 형태인 고정 요소(95)가 하우징(10)의 베이스(32) 상에 고정된다.
도 20은 캡(95)의 일측면이 단면으로 도시된, 일회용 주사기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실린더/피스톤 유닛(100)은 테어-오프(tear-off) 보호 필름(120)으로 폐쇄되어 있다. 도 16에 따라, 트리거 요소(82)는 일회용 주사기가 로킹되는 경우, 상부 위치에 있게 된다. 신장 디스크(91)는 환형 그루브(71) 위에 안착된다. 텐션 후크(62)가 신장-개방 위치를 채택하며, 지지부(65)는 베이스(32)의 상단(33) 상에 지지된다.
만약, 캡(95)의 제거 및 보호 필름(120)의 철수 후에, 트리거 요소(82)가 피스톤-작동 램(60) 내로 가압된다면, 트리거 요소(82)의 신장 디스크(91)는 환형 그루브(71)에 로킹된다. 텐션 후크(62)는 지지부(65)의 포위면(66)의 최대 외경이 보어(34)의 직경보다 작도록 (도 18 참조) 탄성 가압된다. 이제, 스프링 요소(50)가 피스톤-작동 램(60)을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도 19 참조). 실린더/피스톤 유닛(100)을 통한 약물의 전달로, 주입 공정은 종결된다.
스프링 요소(50, 64)를 제외하면, 일회용 주사기의 모든 부분은 플라스틱으로 제조되거나, 플라스틱 또는 고무와 유사한 재료로 제조된다.

Claims (7)

  1. 하우징(10)을 갖는 일회용 주사기로서, 상기 하우징(10) 내 또는 상기 하우징(10) 상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기계적 탄성 에너지 저장부와, 적어도 일시적으로 활성 물질로 충전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피스톤 유닛(100)과, 적어도 하나의 피스톤-작동 램(60)과,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유닛(80)이 배열되며, 상기 탄성 에너지 저장부(50)는 적어도 하나의 프리텐션 스프링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작동 램(6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탄성 에너지 저장부(50)와 상기 실린더/피스톤 유닛(100)의 피스톤(111)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일회용 주사기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장전식 피스톤-작동 램(60)은 적어도 하나의 텐션 바아(61)를 구비하며, 상기 텐션 바아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지지부(65)에 의해, 텐션이 가해진 탄성 에너지 저장부(50)를 상기 하우징(10)의 적어도 하나의 지지면(37) 상에 지지하며,
    상기 트리거 유닛(80)은, 작동 시, 상기 지지부(65)를 상기 지지면(37)으로부터 멀리 이동시키거나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요소(82)이거나,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요소(8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주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 바아(61)는, 상기 지지부(65)와 함께, 로킹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 에지(36) 상에 결합되는 텐션 후크(62)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주사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 후크 또는 텐션 후크들을 로킹 위치에서 고정하는 고정 요소(95)가 상기 하우징(10) 또는 상기 트리거 유닛(80) 상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주사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유닛(80)은 스플라인 기어(66, 68)를 통해 상기 피스톤-작동 램(60)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주사기.
  5. 제 2 항에 있어서,
    2개 이상의 텐션 후크(62)의 적어도 하나의 다발이 상기 피스톤-작동 램(60) 상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주사기.
  6. 제 2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텐션 후크(62)는 상기 피스톤-작동 램(60)의 길이의 절반보다 큰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주사기.
  7.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텐션 후크(62)를 갖는 피스톤-작동 램(60)에서, 상기 텐션 후크(62)의 지지부(65)의 무게 중심은 상기 일회용 주사기 내에 끼워져서 작동되지 않은 피스톤-작동 램(60)의 경우에서보다 상기 텐션 후크가 비-변형 상태에서의 서로로부터 보다 멀리 이격되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주사기.
KR1020097015597A 2007-01-27 2008-01-09 적어도 하나의 드로우 후크를 갖는 일회용 주사기 KR200901040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7004211.8 2007-01-27
DE102007004211A DE102007004211A1 (de) 2007-01-27 2007-01-27 Einweginjektor mit mindestens einem Zughaken
PCT/EP2008/000102 WO2008089886A1 (de) 2007-01-27 2008-01-09 Einweginjektor mit mindestens einem zughak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4070A true KR20090104070A (ko) 2009-10-05

Family

ID=39185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5597A KR20090104070A (ko) 2007-01-27 2008-01-09 적어도 하나의 드로우 후크를 갖는 일회용 주사기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8262604B2 (ko)
EP (1) EP2121082B1 (ko)
JP (2) JP5566112B2 (ko)
KR (1) KR20090104070A (ko)
CN (1) CN101631580B (ko)
AR (1) AR065029A1 (ko)
AU (1) AU2008209125B2 (ko)
BR (1) BRPI0806613A2 (ko)
CA (1) CA2668846A1 (ko)
DE (1) DE102007004211A1 (ko)
ES (1) ES2755051T3 (ko)
HK (1) HK1135622A1 (ko)
IL (1) IL199731A (ko)
MX (1) MX2009007988A (ko)
NZ (1) NZ576623A (ko)
RU (1) RU2493882C2 (ko)
TW (1) TW200848102A (ko)
WO (1) WO2008089886A1 (ko)
ZA (1) ZA20090258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2347A (ko) * 2008-12-18 2011-09-16 에르테에스 로만 테라피-시스테메 아게 굴곡-탄성 금속 하우징을 갖는 일회용 인젝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68290A2 (en) 2002-02-11 2003-08-21 Antares Pharma, Inc. Intradermal injector
WO2006079064A1 (en) 2005-01-24 2006-07-27 Antares Pharma, Inc. Prefilled needle assisted jet injector
US8251947B2 (en) 2006-05-03 2012-08-28 Antares Pharma, Inc. Two-stage reconstituting injector
DE102007018868A1 (de) 2007-04-19 2008-10-23 Lts Lohmann Therapie-Systeme Ag Einweginjektor mit mindestens einem Zughaken und einem Schiebekeilgetriebe zum entsichernden Lösen eines Sperrelements
ES2548447T3 (es) 2008-03-10 2015-10-16 Antares Pharma, Inc. Dispositivo de seguridad para inyector
AU2009279719B2 (en) 2008-08-05 2015-07-23 Antares Pharma, Inc. Multiple dosage injector
AU2010226442A1 (en) 2009-03-20 2011-10-13 Antares Pharma, Inc. Hazardous agent injection system
MX2011011541A (es) * 2009-04-29 2012-02-28 Abbott Biotech Ltd Dispositivo de inyeccion automatico.
DE102009053729A1 (de) 2009-11-18 2011-05-19 Lts Lohmann Therapie-Systeme Ag Zweikammer-Zylinder-Kolben-Einheit zur Lyophilisation, Lagerung, Rekonstitution und Applikation von Injektionslösungen für einen Injektor und Verfahren zum Befüllen der Zylinder-Kolben-Einheit
DE102009023334A1 (de) 2009-05-29 2010-12-02 Lts Lohmann Therapie-Systeme Ag Zur Lagerung von Injektionslösungen geeignete Zylinder-Kolben-Einheit für einen nadelfreien Injektor und Verfahren zum blasenfreien automatischen oder manuellen Befüllen der Zylinder-Kolben-Einheit, auch bei Atmosphärendruck
DE102009023335A1 (de) 2009-05-29 2010-12-02 Lts Lohmann Therapie-Systeme Ag Zweikammer Zylinder-Kolben-Einheit zur Lyophilisation, Lagerung, Rekonstitution und Applikation von Injektionslösungen für einen Injektor und Verfahren zum Befüllen der Zylinder-Kolben-Einheit
DK2470241T4 (da) 2009-08-27 2023-11-20 Sanofi Aventis Deutschland Huskomponent til en lægemiddelfremføringsanordning
DE102010018529A1 (de) * 2010-04-27 2011-10-27 Lts Lohmann Therapie-Systeme Ag Einmalinjektor mit biegeelastischem Kolbenbetätigungsstempel
GB201021777D0 (en) * 2010-12-22 2011-02-02 Owen Mumford Ltd Autoinjectors
CN102614564B (zh) * 2011-01-31 2014-07-16 中国人民解放军军事医学科学院毒物药物研究所 自动式急救注射器
US9220660B2 (en) 2011-07-15 2015-12-29 Antares Pharma, Inc. Liquid-transfer adapter beveled spike
US8496619B2 (en) 2011-07-15 2013-07-30 Antares Pharma, Inc. Injection device with cammed ram assembly
DE102011113565A1 (de) * 2011-09-19 2013-03-21 Lts Lohmann Therapie-Systeme Ag Einweginjektor mit Elementen zur Erhöhung der Auslösesicherheit
RU2621118C2 (ru) * 2011-10-21 2017-05-31 Санофи Автоинъектор
EP2583706A1 (en) * 2011-10-21 2013-04-24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Auto-injector
EP2833944A4 (en) 2012-04-06 2016-05-25 Antares Pharma Inc ADMINISTRATION OF TESTOSTERONE COMPOSITIONS BY NEEDLE-SUPPORTED NOZZLE INJECTION
US9364611B2 (en) 2012-05-07 2016-06-14 Antares Pharma, Inc. Needle assisted jet injection device having reduced trigger force
ES2763633T3 (es) 2013-02-11 2020-05-29 Antares Pharma Inc Dispositivo de inyección por chorro asistido por aguja que tiene fuerza de disparo reducida
CA2905031C (en) 2013-03-11 2018-01-23 Hans PFLAUMER Dosage injector with pinion system
US20160220757A1 (en) 2013-09-09 2016-08-04 Lts Lohmann Therapie-Systeme Ag Needle-free subcutaneous application of proteins
EP2959931A1 (de) 2014-06-24 2015-12-30 LTS LOHMANN Therapie-Systeme AG Nadellose Injektionsvorrichtung
EP2979714A1 (de) 2014-08-02 2016-02-03 LTS LOHMANN Therapie-Systeme AG Nadellose Injektionsvorrichtung aufweisend eine Membran
EP3011988A1 (de) 2014-10-22 2016-04-27 LTS LOHMANN Therapie-Systeme AG Nadellose Injektionsvorrichtung aufweisend ein Gel und eine Membran
US10500338B2 (en) 2015-04-17 2019-12-10 Merck Sharp & Dohme Corp. Prefilled disposable injection device
CN107257695A (zh) * 2015-05-04 2017-10-17 Lts勒曼治疗系统股份公司 具有用于简化组装的释放安装单元的一次性注射器
CN111110958B (zh) * 2020-02-06 2021-08-17 唐文珍 一种医疗领域使用的注射器
DE102022000980A1 (de) * 2022-03-22 2023-09-28 Frank Matanic Dosier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48393A (en) 1925-03-31 Delacuvellerie Ernest Mean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cast glass
US4316463A (en) * 1981-01-26 1982-02-23 Vac-O-Cast, Inc. Corrosive protected hypodermic module
DE3367854D1 (en) * 1982-10-27 1987-01-15 Duphar Int Res Automatic injection device
FR2539302B1 (fr) 1983-01-17 1986-03-14 Brunet Jean Louis Seringue a usage medical
DE3644984A1 (de) * 1986-07-01 1988-07-07 Eberhardt Schlueter Patrone oder ampulle fuer eine injektionsvorrichtung sowie selbsttaetige injektionsvorrichtung
IL107038A (en) * 1992-10-05 1997-04-15 Senetek Plc Medicament injectors and methods for injection using same
US5334144A (en) * 1992-10-30 1994-08-02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Single use disposable needleless injector
SE9301494D0 (sv) * 1993-04-30 1993-04-30 Kabi Pharmacia Ab A device for dosing liquid preparation
US5540664A (en) * 1993-05-27 1996-07-30 Washington Biotech Corporation Reloadable automatic or manual emergency injection system
ES2212040T3 (es) 1993-07-31 2004-07-16 Aradigm Corporation Inyector sin aguja.
DE29818721U1 (de) * 1998-10-21 2000-03-02 Medico Dev Investment Co Injektionsgerät
CN100444908C (zh) * 2002-05-02 2008-12-24 Pa咨询服务有限公司 注射装置
DE10342058B4 (de) * 2003-09-11 2007-10-25 Tecpharma Licensing Ag Verabreichungsvorrichtung für ein injizierbares Produkt mit einer Auslösesicherung
CH696421A5 (de) 2003-12-18 2007-06-15 Tecpharma Licensing Ag Autoinjektor mit Arretierung des Wirkstoffbehälters.
EP1904131A2 (en) 2005-06-21 2008-04-02 Eli Lilly And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injecting a pharmaceutica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2347A (ko) * 2008-12-18 2011-09-16 에르테에스 로만 테라피-시스테메 아게 굴곡-탄성 금속 하우징을 갖는 일회용 인젝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21082A1 (de) 2009-11-25
JP2010516357A (ja) 2010-05-20
CA2668846A1 (en) 2008-07-31
HK1135622A1 (en) 2010-06-11
NZ576623A (en) 2012-08-31
JP2014050738A (ja) 2014-03-20
CN101631580A (zh) 2010-01-20
US8262604B2 (en) 2012-09-11
JP5566112B2 (ja) 2014-08-06
BRPI0806613A2 (pt) 2011-09-20
US20090254036A1 (en) 2009-10-08
CN101631580B (zh) 2012-12-12
ES2755051T3 (es) 2020-04-21
ZA200902580B (en) 2010-01-27
WO2008089886A1 (de) 2008-07-31
IL199731A0 (en) 2010-04-15
AU2008209125A1 (en) 2008-07-31
AR065029A1 (es) 2009-05-13
JP5785598B2 (ja) 2015-09-30
IL199731A (en) 2012-12-31
RU2009132110A (ru) 2011-03-10
RU2493882C2 (ru) 2013-09-27
MX2009007988A (es) 2009-08-07
TW200848102A (en) 2008-12-16
AU2008209125B2 (en) 2013-05-16
DE102007004211A1 (de) 2008-07-31
EP2121082B1 (de) 2019-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04070A (ko) 적어도 하나의 드로우 후크를 갖는 일회용 주사기
US8167840B2 (en) Disposable injector comprising at least one draw hook and a sliding wedge-type gear for unlocking a locking element
JP5331711B2 (ja) 少なくとも1つの中央牽引ロッドを有する使い捨て注射器
US8092419B2 (en) Disposable injector with at least one support rod
JP5520303B2 (ja) 高い注射安全性を備えた針無し使い捨て注射器
AU2008274626B2 (en) Disposable injector with at least one compression bar and a closure cap
KR101302773B1 (ko) 연속 장전식 스프링 에너지 저장부를 구비한 일회용 주입기
JP6652976B2 (ja) 組み立てを簡単にするための解放組み立てユニットを有する使い捨ての注射器
JP2020036915A (ja) 組み立てを簡単にするための解放組み立てユニットを有する使い捨ての注射器
CN107206179B (zh) 具有提高的触发安全性的一次性注射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