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1011A - 시멘트-함유 제제를 위한 분쇄제로서의 빗형 중합체의 용도 - Google Patents

시멘트-함유 제제를 위한 분쇄제로서의 빗형 중합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1011A
KR20080081011A KR1020087016028A KR20087016028A KR20080081011A KR 20080081011 A KR20080081011 A KR 20080081011A KR 1020087016028 A KR1020087016028 A KR 1020087016028A KR 20087016028 A KR20087016028 A KR 20087016028A KR 20080081011 A KR20080081011 A KR 200800810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alk
nitrogen
acid
m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6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아힘 파쿠쉬
스테판 벡커
토마스 괴츠
라이너 딜릭-브렌칭거
롤프 굴덴
Original Assignee
바스프 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801655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80081011(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바스프 에스이 filed Critical 바스프 에스이
Publication of KR20080081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1011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63Block or graft 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on to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6Selection or use of additives to aid disintegr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2605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polyether side cha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2641Polyacrylates; Polymethacrylates
    • C04B24/2647Polyacrylates; Polymethacrylates containing polyether side cha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266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ethylenically unsaturated dicarboxylic acid polymers, e.g. maleic anhydride copolymers
    • C04B24/26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ethylenically unsaturated dicarboxylic acid polymers, e.g. maleic anhydride copolymers containing polyether side cha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0045Polymers chosen for their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 C04B2103/0059Graft (co-)polymers
    • C04B2103/006Comb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52Grinding aids; Additives added during grin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10Production of cement, e.g. improving or optimising the production methods; Cement grind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 Other Resins Obtained By Reactions Not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REA)
  • Polyet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A의 폴리에테르기를 포함하는 탄소 주쇄를 포함하는 빗형 중합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12 초과의 pH에서 음이온기 형태로 존재하는 관능기 B, 및 시멘트-함유 제제에서의 그의 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A>
*-U-(C(O))k-X-(Alk-O)n-W
식 중,
*는 빗형 중합체의 탄소 주쇄에 대한 결합점을 나타내고,
U는 화학 결합, 또는 1개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렌기이며,
X는 산소 또는 NR기를 의미하고,
k는 0 또는 1이며,
n은 빗형 중합체를 기준으로 평균값이 5 내지 300의 범위 내에 있는 정수이
고,
Alk는 C2-C4-알킬렌이며, (Alk-O)n기 내의 Alk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W는 수소, C1 -C6 알킬 또는 아릴 라디칼을 의미하거나, Y-Z기를 의미하고,
Y는 2개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갖고, 페닐 고리를 지지할 수 있는 선형 또 는 가교 알킬렌기이고,
Z는 질소를 통해 결합되고, 질소 원자 및 탄소 원자 이외에, 산소, 질소 및 황 중에서 선택된 1개, 2개 또는 3개의 추가의 헤테로원자를 고리원으로서 가질 수 있으며, 질소 고리원은 R'기를 포함할 수 있고, 1개 또는 2개의 탄소 고리원은 카르보닐기로서 존재할 수 있는, 5원 내지 10원 질소 헤테로사이클이며,
R은 수소, C1-C4-알킬 또는 벤질이고,
R'는 수소, C1-C4-알킬 또는 벤질이다.
빗형 중합체, 분쇄 조제, 시멘트-함유 제제, 폴리에테르기

Description

시멘트-함유 제제를 위한 분쇄제로서의 빗형 중합체의 용도{USE OF COMB POLYMERS AS A GRINDING AGENT FOR PREPARATIONS CONTAINING CEMENT}
본 발명은 시멘트-함유 제제용 분쇄 조제로서의, 탄소 주쇄 상에 폴리-C2-C4-알킬렌 에테르 측쇄 A 및 12 초과의 pH에서 음이온기 형태로 존재하는 관능기 B를 갖는 빗형 중합체 (comb polymer), 및 이러한 빗형 중합체의 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시멘트는 수경성 (hydraulic) 결합제이다. 물과 혼합하면, 시멘트는 수화에 의해 고화 및 경화되고, 심지어 수중 경화된 후에도 고형성 및 치수 안정성을 유지하는 시멘트 페이스트를 제공한다.
시멘트는 포틀랜드 시멘트 클링커를 주성분으로, 과립화 슬래그, 포졸란 (pozzolan), 비산회 (fly ash), 석회석 및/또는 충전제, 칼슘 술페이트-함유 성분 및 소위 시멘트 첨가제를 부성분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통계학적 관점에서, 시멘트 성분은 조성이 균질해야 한다. 모든 시멘트 특성 중 높은 균일성은 대량 질량 흐름을 사용한 연속 제조, 특히 효과적인 분쇄 및 균질화 방법에 의해 수득된다.
분쇄 기술에 많은 진전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시멘트는 여전히 분쇄 조제의 효과가 특히 중요한 튜브 볼 밀에서 분쇄된다.
시멘트 클링커 또는 석회석 분쇄 도중, 분쇄 조제는 특히 분쇄 스톡의 분쇄 미세도를 더 높이는 작용을 갖는다.
분쇄 조제는 응집하는 경향이 있는 입자를 단분자층으로 코팅함으로써 표면 전하를 중화시킨다. 물리적으로 말하자면, 분쇄 조제는 신속히 전하 캐리어를 제공하여, 클링커 입자의 분쇄 도중 파단 표면 상에서 나타나는 전하를 포화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응집 경향을 감소시킨다. 이와는 별도로, 분쇄 조제는 여전히 분리되지 않은 과립의 파단 표면 상에 흡수되어, 온도 및 압력의 작용 하에 그들의 재결합을 방지한다.
보통, 시멘트 원료는 건식 분쇄된다. 건식 제조 동안, 원료 성분은 소정의 혼합 비율로 계량 장치를 통해 밀로 공급되어 원료 분말 (raw meal)로 분쇄된다. 분쇄 공정 동안, 분쇄 스톡이 승온하여 그 결과 분쇄 유닛을 빠져 나가는 분쇄 스톡의 온도가 80 내지 120 ℃가 될 수 있다. 통상적인 분쇄 유닛은 튜브 밀 (볼 밀) 및 롤러 밀이다.
공지된 분쇄 조제의 효능은 매우 다양하다. 공지된 분쇄 조제로는 트리에탄올아민, 각종 카르복실산 및 그의 염, 예를 들어 옥타데칸산 또는 그의 나트륨 염을 들 수 있다.
EP-A 331 308호에는,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카르복실산,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술폰산, 및 폴리-C2-C3-알킬렌 글리콜 모노-C1-C3 알킬 에테르의 에스테르를 중합된 형태로 함유하는, 시멘트 분산을 위한 빗형 중합체가 기재되어 있다.
EP-A 560 602호에는 또한, 폴리-C2-C18-알킬렌 글리콜 모노-C1-C4-알킬 에테르의 알킬렌 에테르와 말레산 또는 말레산 무수물을 중합된 형태로 함유하는 빗형 중합체의 콘크리트용 첨가제로서의 용도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EP-A 753 488호로부터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카르복실산, 및 폴리옥시-C2-C4-알킬렌 모노-C1-C4-알킬 에테르의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를 중합된 형태로 함유하며, 소정의 분자량 분포를 갖는 빗형 중합체의 시멘트용 분산제로서의 용도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목적상 유사한 중합체가 EP-A 792 850호에 기재되어 있다.
EP-A 725 044호에는 또한, 시멘트와 무수 석고의 혼합물을 기재로 한 수경성 경화 혼합물에서의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 및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카르복실산과 폴리옥시에틸렌 모노-C1-C5-알킬 에테르의 에스테르의 빗형 중합체의 용도가 기재되어 있다.
EP-A 799 807호에는 또한,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 및 알킬폴리알킬렌 글리콜 모노(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후자는 에스테르교환 방법에 의해 수득가능함)를 기재로 한 빗형 중합체의 시멘트용 분산제로서의 용도가 기재되어 있다.
US 5,728,207호 및 US 5,840,114호에는, 시클릭 무수물기를 갖는 중합체의 알킬폴리알킬렌 에테르 아민에 의한 중합체 개질에 의해 수득되는 빗형 중합체의, 시멘트-함유 제제용 첨가제로서의 용도가 기재되어 있다.
WO 98/28353호로부터, 알킬폴리알킬렌 에테르기 및 카르복실레이트기를 갖는 탄소 주쇄를 갖는 빗형 중합체가 알려져 있다. 빗형 중합체는, 폴리알킬렌 에테르를 사용한 카르복실레이트기-함유 중합체의 개질 및 에틸렌계 불포화 카르복실산과 알킬폴리알킬렌 에테르기를 함유하는 적합한 단량체의 공중합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EP 976 695호에는 분쇄 조제로서의 주석 (II) 술페이트가 기재되어 있다.
공지된 분쇄 조제는 분쇄 스톡을 기준으로 통상적으로 0.05 내지 0.2 중량% 또는 현저히 더 많은 양을 첨가한다.
분쇄 조제는 다음 특성들, 즉 분쇄 유닛에서의 고결 방지, 최대한 높은 분쇄 미세도의 달성, 또는 분쇄 스톡의 높은 비표면적 (블레인 (Blaine) 미세도), 분쇄 스톡의 유동성 개선, 분쇄 스톡의 균질화, 분쇄 스톡의 응집물 분산 및 분쇄 조제의 첨가량 감소와 같은 특성들의 최적화를 요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성을 충족시키는, 시멘트-함유 제제를 위한 분쇄 조제를 제공한다는 목적에 기반한 것이다.
놀랍게도, 상기 목적은 탄소 주쇄를 갖고, 중합체 주쇄 상에 하기에 정의되는 화학식 A의 폴리에테르기 및 12 초과의 pH에서 음이온기의 형태로 존재하는 관능기 B를 갖는 빗형 중합체에 의해 달성된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A의 폴리에테르기, 및 12 초과의 pH에서 음이온기 형태로 존재하는 관능기 B를 갖는 탄소 주쇄를 갖는 빗형 중합체 및 그의 염의, 시멘트-함유 제제에서의 분쇄 조제로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U-(C(O))k-X-(Alk-O)n-W
식 중,
*는 빗형 중합체의 탄소 주쇄에 대한 결합 부위를 나타내고,
U는 화학 결합, 또는 1개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렌기이며,
X는 산소 또는 NR기를 의미하고,
k는 0 또는 1이며,
n은 빗형 중합체를 기준으로 평균값이 5 내지 300의 범위 내에 있는 정수이
고,
Alk는 C2-C4-알킬렌이며, (Alk-O)n기 내의 Alk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W는 수소, C1 -C6 알킬 잔기 또는 아릴 잔기를 의미하거나, Y-Z기를 의미하고,
Y는 2개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갖고, 페닐 고리를 가질 수 있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렌기이고,
Z는 질소를 통해 결합되고, 질소 원자 및 탄소 원자 이외에, 산소, 질소 및 황 중에서 선택된 1개, 2개 또는 3개의 추가의 헤테로원자를 고리원으로서 가질 수 있으며, 질소 고리원은 R'기를 가질 수 있고, 1개 또는 2개의 탄소 고리원은 카르 보닐기로서 존재할 수 있는, 5원 내지 10원 질소 헤테로사이클이며,
R은 수소, C1-C4-알킬 또는 벤질이고,
R'는 수소, C1-C4-알킬 또는 벤질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빗형 중합체를 함유하는 시멘트-함유 제제, 특히 즉시 사용가능 제제 및 이로부터 제조된 물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빗형 중합체는, 빗형 중합체를 기준으로 n의 평균값이 10 내지 300의 범위 내에 있고, 평균적으로 (Alk-O)n기 내의 Alk-O 단위의 90 mol%가 CH2-CH2-O인 경우 신규한 것이다.
따라서, 또한 본 발명은 화학식 A의 폴리에테르기 및 12 초과의 pH에서 음이온기 형태로 존재하는 관능기 B를 갖는 탄소 주쇄를 가지며, 화학식 A에서*, U, X, k, Alk, Y, Z, R 및 R'는 상기한 의미를 갖고, n은 빗형 중합체를 기준으로 평균값이 10 내지 300의 범위 내에 있는 정수이며, 평균적으로 (Alk-O)n기 내의 Alk-O 단위의 90 mol% 이상이 CH2-CH2-O인 빗형 중합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빗형 중합체는 또한 공지된 분쇄 조제, 예를 들어 트리에탄올아민 또는 각종 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염, 예컨대 옥타데칸산 또는 그의 염과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빗형 중합체는 분말 형태 및 용액 어느 형태로든 포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시멘트-함유 제제는 무기물, 보통 물과 혼합했을 때 특히 수경성 결합제가 되는 광물, 예컨대 석회, 특히 고로 슬래그와 같은 잠재적 수경성 결합제를 비롯한 시멘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빗형 중합체는 특히 수경성 결합제의 제조를 위한 분쇄 조제, 더욱 특별히 시멘트-함유 제제를 위한 분쇄 조제로서 적합하다.
상기 및 하기에서, C2-C4-알킬렌은, 2개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칸디일기, 특히 1개 또는 2개의 메틸기 또는 에틸기를 가질 수 있는 1,2-에탄디일기, 즉 1,2-에탄디일, 1,2-프로판디일, 1,2-부탄디일, 1,1-디메틸에탄-1,2-디일 또는 1,2-디메틸에탄-1,2-디일이다.
C1-C8-알킬렌은, 1개 내지 8개, 특히 1개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칸디일기, 예를 들어 CH2, 1,1-에탄디일, 1,2-에탄디일, 1,1-프로판디일, 1,3-프로판디일, 2,2-프로판디일, 1,2-프로판디일, 1,1-부탄디일, 1,2-부탄디일, 1,3-부탄디일, 1,4-부탄디일, 2,2-부탄디일, 1,1-디메틸에탄-1,2-디일 또는 1,2-디메틸에탄-1,2-디일이다.
C1-C4- 또는 C1-C6-알킬은, 1개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 예를 들어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2-부틸, 2-메틸프로판-1-일 또는 tert-부틸이다. C1-C10-알킬은, 1개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 예를 들어 상기한 바와 같은 C1-C4-알킬, 또한 펜틸, 헥실, 1-메틸펜틸, 2-메틸펜틸, 헵틸, 옥틸, 1-메틸헵틸, 2-메틸헵틸, 2,4,4-트리 메틸펜탄-2-일, 2-에틸헥실, 1-에틸헥실, 노닐, 이소노닐, 데실, 1-메틸노닐, 2-프로필헵틸 등이다.
C1-C4-알콕시는, 산소 원자를 통해 결합되고, 1개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 예를 들어 메톡시, 에톡시, n-프로필옥시, 이소프로필옥시, n-부틸옥시, 2-부틸옥시, 2-메틸프로판-1-일옥시 또는 tert-부톡시이다. C1-C10-알콕시는, 산소 원자를 통해 결합되고, 1개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 예를 들어 상기한 바와 같은 C1-C4-알콕시, 또한 펜틸옥시, 헥실옥시, 1-메틸펜틸옥시, 2-메틸펜틸옥시, 헵틸옥시, 옥틸옥시, 1-메틸헵틸옥시, 2-메틸헵틸옥시, 2,4,4-트리메틸펜탄-2-일옥시, 2-에틸헥실옥시, 1-에틸헥실옥시, 노닐옥시, 이소노닐옥시, 데실옥시, 1-메틸노닐옥시, 2-프로필헵틸옥시 등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용도에서, (Alk-O)n기 내의 Alk-O 반복 단위의 평균 수, 즉 빗형 중합체를 기준으로 한 화학식 A의 n의 평균값이 10 이상, 특히 20 이상, 특별히 50 이상이고, 250 이하, 특히 200 이하, 특별히 150 이하의 값인 것이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상기 값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0의 범위, 특히 20 내지 200의 범위, 특별히 50 내지 150의 범위이다. n의 평균값 또는 Alk-O 반복 단위의 평균 수는 빗형 중합체를 기준으로 한 수평균이다.
(Alk-O)n기에서, 개별적 Alk-O 반복 단위의 알킬렌 부분은 동일하거나 상이 할 수 있다. Alk-O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1,2-에탄디일 또는 1,2-에탄디일과 1,2-프로판디일의 혼합물이다. (Alk-O)n기가 서로 상이한 Alk-O 단위를 갖는 경우, 이들은 랜덤하게 또는 블록으로 배열될 수 있고, 블록 방식의 배열이 바람직하다. 특히, X에 결합된 Alk-O기는 화학식 CH2CH2O의 기이다.
또한, 모든 Alk-O기의 50 mol% 이상, 특히 80 mol%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0 mol% 이상, 특히 100%가 CH2-CH2-O인 것이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들 백분율은 각 경우에 빗형 중합체의 총량을 기준으로 한 수평균이다.
(Alk-O)n기가 상이한 Alk-O 반복 단위를 갖는 경우, 평균적으로, Alk-O기의 50 mol % 이상, 예를 들어 50 내지 99 mol%, 특히 80 mol% 이상, 예를 들어 80 내지 99 mol%, 특별히 90 mol% 이상, 예를 들어 90 내지 98 mol%가 CH2-CH2-O인 것이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중, 나머지 Alk-O 반복 단위는 CH(CH3)-CH2-O인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A에서 Z기는, 바람직하게는 Y에 결합된 질소 원자 및 탄소 고리원 이외에 고리원으로서 카르보닐기 및/또는 O, S, N 및 NR기 중에서 선택된 고리원을 갖는 5원 또는 6원 질소 헤테로사이클이다. NR기에서, R은 상기한 의미를 갖고, 특히 수소 또는 메틸이다. 이들 중, 고리원으로서 카르보닐기 및/또는 O, N 및 NR기 중에서 선택된 고리원을 갖는 헤테로사이클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잔기 Z의 예는 피롤리돈-1-일, 모르폴린-4-일, 피페라진-1-일, 피페리돈-1-일, 모르폴린-2- 온-4-일, 모르폴린-3-온-4-일, 피페라진-1-일, 4-메틸피페라진-1-일, 이미다졸린-2-온-1-일, 3-메틸이미다졸린-2-온-1-일 및 이미다졸-1-일이다. 이들 중, 모르폴린-1-일 및 피롤리돈-1-일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화학식 A에서 Y는 C2-C4-알킬렌, 특히 1,2-에탄디일 또는 1,3-프로판디일인 것이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U는 바람직하게는 화학 결합, CH2 또는 CH(CH3)이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U는 화학 결합이다.
특히, k는 1이다.
화학식 A에서, X는 바람직하게는 O 또는 NH, 특히 바람직하게는 O이다.
특히, 화학식 A에서 가변기 U, X, Y 및 Z 및 변수 k, n은 모두 바람직한 것으로 기재된 의미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빗형 중합체 중에 존재하는 B기는, 통상적으로 12 초과의 pH 값에서 음이온기의 형태, 즉 탈양성자화된 형태로 존재한다. 이러한 기의 예는 카르복실레이트 (COOH 또는 COO-), 술포네이트 (SO3H 또는 SO3 -), 포스포네이트 (PO3H2 또는 PO3H-또는 PO3 2 -)이다. B기의 50 mol% 이상, 특히 80 mol% 이상이 카르복실레이트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B기는 주로 (즉, 95 mol% 이상, 특히 99 mol% 이상) 또는 독점적으로 카르복실레이트기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양태 에서, 빗형 중합체는 2개 이상의 상이한 관능기 B를 갖고, 이 실시양태에서는 관능기 B의 50 내지 99 mol%, 특히 80 내지 99 mol%가 카르복실레이트기이고, 나머지 1 내지 50 mol%, 특히 1 내지 20 mol%가 술포네이트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관능기 B는 직접 또는 스페이서를 통해 중합체쇄의 탄소 주쇄에 결합될 수 있다. 전형적인 스페이서는 C1-C4-알칸디일, 페닐렌 및 화학식 *-C(O)-X'-Alk'- (식 중, X'는 O, NH 또는 N(C1-C4-알킬)이고, Alk'는 C2-C4-알킬렌, 특히 1,2-에탄디일, 1,3-프로판디일, 1,2-프로판디일 또는 1-메틸-1,2-프로판디일이며, *는 중합체 주쇄에 대한 스페이서의 결합 부위임)의 기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B기는 직접, 즉 단일 결합을 통해 빗형 중합체의 탄소 주쇄에 결합된다.
또한, 빗형 중합체는 상기한 화학식 A의 기 및 관능기 B 이외에, 하기 화학식 C의 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U'-(C(O))p-X"-(Alk"-O)q-Ra
식 중, U'는 U에 대해 기재된 의미를 갖고, p는 0 또는 1이며, X"는 X에 대해 기재된 의미를 갖고, Alk"는 Alk에 대해 기재된 의미를 가지며, q는 빗형 중합체를 기준으로 평균값이 2 내지 300의 범위, 특히 10 내지 250의 범위,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00의 범위, 특별히 50 내지 150의 범위 (수평균)내에 있는 정수 이고, Ra는 수소, C1-C10-알킬, C1-C10-알킬카르보닐, 벤질 및 벤조일 중에서 선택된다.
화학식 C에서, p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1이다. U'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화학 결합이다. X"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산소이다. Ra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C1-C4-알킬, 특히 메틸이다. Alk에 대해 바람직하다고 언급된 것이 Alk"에 유사하게 적용된다.
빗형 중합체 내의 폴리에테르기 A 및 폴리에테르기 C는 둘 다, A기, C기, (Alk-O)n기 및 (Alk"-O)q기가 일정 분자량 분포를 갖고, 따라서 n 및 q가 이들 분자량 분포의 평균 (수평균)을 나타낸다는 사실을 고려하여, (Alk-O)n기 또는 (Alk"-O)q기에서 반복 단위의 수 n 또는 q에 있어서 원칙적으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용어 "동일한"은 A기 및 C기의 분자량 분포가 각각 하나의 최대값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상응하게, 용어 "상이한"은 A기 및 C기의 분자량 분포가 다수의 중첩된 분포에 대응되고, 따라서 다수의 최대값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A기의 분자량 분포 또는 존재하는 경우 A기의 분자량 분포가 C기의 것과 상이한 빗형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각 경우에 하나의 최대값으로 지정된 수평균 분자량이 또다른 것과 130 달톤 이상, 특히 440 달톤 이상 상이한 빗형 중합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따라서, 2종 이상, 예를 들어 2, 3, 4, 5 또는 6종의 상이한 A기 (이하에서는, A1 및 A2기, 또는 A1, A2 ... Ai기 (여기서, i는 정수, 예를 들어 3, 4, 5 또 는 6임)로서 언급됨)를 갖고, 여기서 각각의 평균값 n(A1) 및 n(A2) 또는 n(Ai)가 3 이상, 특히 10 이상의 값으로 상이한 빗형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화학식 A 및 화학식 C의 기를 갖고, 여기서 n과 q의 평균값이 3 이상, 특히 10 이상의 값으로 상이한 빗형 중합체가 또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빗형 중합체에서, 화학식 A의 폴리에테르기 및 관능기 B는 통상적으로 2:1 내지 1:20의 범위, 흔히는 1.5:1 내지 1:15의 범위, 특히 1:1 내지 1:10의 범위, 특별히 1:1.1 내지 1:8의 범위 (빗형 중합체의 총량에 대한 평균임)의 A:B의 몰비로 존재한다. 빗형 중합체가 화학식 C의 폴리에테르기를 갖는 경우, 화학식 A 및 C의 폴리에테르기 대 관능기 B의 몰비, 즉 (A+C):B의 몰비는 통상적으로 2:1 내지 1:20의 범위, 흔히는 1.5:1 내지 1:15의 범위, 특히 1:1 내지 1:10의 범위, 특별히 1:1.1 내지 1:8의 범위 (빗형 중합체의 총량에 대한 평균임)이다.
상기한 화학식 A의 기, 관능기 B, 및 임의로 존재할 수 있는 C기 이외에, 빗형 중합체는 탄소 주쇄 상에 보다 적은 양의 관능기 C'를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기는, 특히 C1-C8 알콕시카르보닐기 (여기서, 알콕시 잔기는 1개 이상의 히드록시기를 함유할 수 있음), 니트릴기 및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Z의 기를 가질 수 있다.
관능기 C'의 함량은 관능기 A, B, 임의로 C 및 C'의 총량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30 mol% 이하, 특히 20 mol% 이하이고, C'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전형적으 로 1 내지 30 mol%의 범위, 특히 2 내지 20 mol%의 범위이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빗형 중합체는 관능기 C'를 갖지 않거나 2 mol% 미만, 특히 1 mol% 미만의 관능기 C'를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빗형 중합체는 각 경우에 관능기 A, B, C 및 임의로 C'의 총량을 기준으로 화학식 C의 기를 5 내지 80 mol%, 특히 10 내지 60 mol%로 포함한다. 본 실시양태에서, 측쇄 A 대 C기의 몰비, 즉 A:C의 몰비는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20:1의 범위, 특히 1:2 내지 10:1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빗형 중합체는 화학식 C'의 기를 갖지 않거나, 각 경우에 A, B, C 및 C'기의 총량을 기준으로 5 mol% 미만, 특히 1 mol% 미만의 화학식 C'의 기를 갖는다.
또한, 빗형 중합체는 탄소 주쇄 상에 탄화수소 잔기, 예를 들어 C1-C4-알킬기 또는 페닐기를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탄소 주쇄는 중합체쇄의 적어도 제4 탄소 원자마다 C1-C4-알킬기, 특히 메틸기를 갖는다.
또한, 평균적으로 (수평균), 중합체 주쇄의 적어도 제4 탄소 원자마다, 특히 적어도 제3 탄소 원자마다 화학식 A 또는 임의로 C의 기 또는 관능기 B를 갖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평균적으로 (수평균), 중합체 주쇄 내의 A, B 또는 임의로 C로 치환된 2개의 탄소 원자 사이에 A, B 또는 임의로 C기로 치환되지 않은 1개 이상의 탄소 원자가 위치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빗형 중합체의 수평균 분자량 (MN)은 일반적으로 1000 내지 200000의 범위이 다. 빗형 중합체의 용도에 있어서, 5000 내지 100000의 수평균 분자량을 갖는 것들이 바람직하다. 수평균 분자량 (MN)은,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통상적인 방식으로 측정할 수 있다. 하기에 기재되는 방법에 의해 측정된, 본 발명에 따라 수득가능한 공중합체의 K값은 일반적으로 10 내지 100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80의 범위, 특히 20 내지 60의 범위이다.
빗형 중합체는 유리산의 형태 또는 그의 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염 형태에서 B기는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중화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빗형 중합체가 염의 형태로 사용되는 경우, 전기적 중성을 위해 이들은 반대이온으로서 양이온을 갖는다. 적합한 양이온은 알칼리 금속 양이온, 예컨대 Na+ 및 K+, 알칼리 토금속 양이온, 예컨대 Mg++ 및 Ca++, 및 암모늄 이온, 예컨대 NH4 +, [NRbRcRdRe]+ (식 중, Rb는 C1-C4-알킬 또는 히드록시-C2-C4-알킬이고, 잔기 Rc, Rd 및 Re는 독립적으로 수소, C1-C4-알킬 및 히드록시-C2-C4-알킬 중에서 선택됨)이다. 바람직한 반대이온은 알칼리 금속 양이온, 특히 Na+ 및 K+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빗형 중합체의 제조는 이러한 빗형 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한 공지된 방법과 유사한 방법, 예를 들어 서두에서 인용된 선행 기술에 기재된 방법과 유사한 방법 및 WO 01/40337호, WO 01/40338호, WO 01/72853호 또는 WO 02/50160호 (이들의 개시는 본원에 참고로 인용됨)에 기재된 방법과 유사한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적합한 제조 방법은, 특히
i) a) 1개 또는 2개의 화학식 A의 기를 갖는 중성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M1, 및
b) 1개 또는 2개의 관능기 B를 갖는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M2
를 포함하는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M의 공중합,
ii) a) 1개의 화학식 A의 기 및 1개의 관능기 B를 갖는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M3, 및 임의로,
b) 1개 또는 2개의 관능기 B를 갖는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M2
를 포함하는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M의 단독중합 또는 공중합, 및
iii) 화학식 HO-(Alk-O)n-Y-Z의 알콜 또는 화학식 HNR-(Alk-O)n-Y-Z의 아민 (식 중, n, Alk, R, Y 및 Z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음)과, 유리 카르복실기 또는 카르복실기의 에스테르 형성 유도체를 갖는 탄소 주쇄를 갖는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중합체-유사 반응이다.
상기 세가지 방법 i), ii) 및 iii)은 모두 본 발명에 따른 빗형 중합체를 형성하지만, 수득가능한 빗형 중합체의 구조는 물론, 자체 공지된 방식으로, 선택된 특정한 제조 방법 및 사용된 출발 물질의 양 및 특성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제조 방법 i) 및 ii)에 의해 수득가능한 빗형 중합체에 있어서, 측쇄 A 및 관능기 B의 특성 및 양은, 자체 공지된 방식으로, 단량체 M1 및 M2 또는 M1 및 임의로 M3의 특성 및 상대적 양에 따라 달라진다. 또한, 제조 방법 i) 및 ii)에 서, 빗형 중합체의 분자량은, 자체 공지된 방식으로, 중합에 선택된 반응 조건에 의해, 예를 들어 사용된 개시제, 임의로 사용된 조절제, 온도, 반응 매질, 단량체의 농도 등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제조 방법 iii)에 의해 수득가능한 빗형 중합체의 경우, 구조 및 분자량은 물론 사용된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에 의해, 또한 개질을 위해 사용된 알콜 HO-(Alk-O)n-Y-Z 또는 화학식 HNR(Alk-O)n-Y-Z의 아민에 의해 주로 결정될 것이다.
방법 i)에 의해 수득가능한 빗형 중합체가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고, 따라서 이는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사항을 구성한다.
제조 방법 i)에서, 단량체 M의 특성 및 양은 화학식 A의 측쇄의 특성 및 수를 결정한다.
바람직한 단량체 M1은 화학식 A에서 k가 1인 것이다. 따라서, 바람직한 단량체 M1은 화학식 HO-(Alk-O)n-Y-Z (식 중, n, Alk, Y 및 Z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음)의 알콜과,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C3-C8-모노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 및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C4-C8-디카르복실산의 디에스테르, 및 화학식 NHR-(Alk-O)n-Y-Z (식 중, n, Alk, R, Y 및 Z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음)의 아민과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C3-C8 모노카르복실산의 아미드 중에서 선택된다.
바람직한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C3-C8-모노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는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의 에스테르이다.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C4-C8-디카르복실산의 디에스테르의 예는 푸마르산, 이타콘산 및 말레산의 에스테르이다.
바람직한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C3-C8-모노카르복실산의 아미드는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의 아미드이다.
추가의 가능한 단량체 M1은 화학식 HO-(Alk-O)n-Y-Z (식 중, n, Alk, Y 및 Z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음)의 알콜의 비닐, 알릴 및 메탈릴 에테르이다.
단량체 M1은 단량체 M1의 총량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80 mol% 이상, 특히 90 mol% 이상의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C3-C8-모노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 특히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의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특히, 단량체 M1은 상기한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C3-C8-모노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 중에서, 특히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 중에서 선택된다.
단량체 M2로는,
M2a: 3개 또는 4개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 및 디카르복실산, 예를 들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이소크로톤산, 말레산, 푸마르산 및 이타콘산,
M2b: 바람직하게는 2개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술폰산 및 이들의 염, 특히 이들의 알칼리 금속염, 예를 들어 비닐술폰산, 알릴술폰산, 메탈릴술폰산, 스티렌술폰산, 2-아크릴옥시에탄술폰산, 2-아크릴아미도-2-메 틸프로판술폰산,
M2c: 바람직하게는 2개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포스폰산, 예를 들어 비닐포스폰산, 알릴포스폰산, 2-아크릴옥시에탄포스폰산,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포스폰산,
M2d: 4개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디카르복실산의 하프 에스테르 (half ester) , 특히 말레산, 푸마르산 및 이타콘산과 C1-C10-알칸올, 특히 C1-C4-알칸올의 하프 에스테르, 예를 들어 이들 산의 모노메틸, 모노에틸 또는 모노부틸 에스테르, 및 이들 산과 화학식 HO(Alk"-O)q-Ra (식 중, q, Alk" 및 Ra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음)의 알콜의 모노에스테르,
및 이들 단량체의 염, 특히 이들의 알칼리 금속염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단량체 M2는 3개 또는 4개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 및 디카르복실산, 특히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을 단량체 M2의 총량을 기준으로 50 mol% 이상, 특히 70 mol% 이상 함유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단량체 M2는 3개 또는 4개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 및 디카르복실산 중에서, 특히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 중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단량체 M2는 3개 또는 4개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 및 디카르복실산, 특히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을 단량체 M2의 총량을 기준으로 50 내지 99 mol%, 특히 70 내지 95 mol%,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술폰산을 단량체 M2의 총량을 기준으로 1 내지 50 mol%, 특히 5 내지 35 mol% 포함한다.
단량체 M3은 특히,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C4-C8-디카르복실산과 화학식 HO-(Alk-O)n-Y-Z (식 중, n, Alk, Y 및 Z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음)의 알콜의 하프 에스테르, 특히 말레산, 푸마르산 및 이타콘산의 하프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또한, 단량체 M은 추가의 단량체 M4 및 M5를 포함할 수 있다.
단량체 M4는 1개 또는 2개의 화학식 C의 기, 및 임의로 관능기 B를 함유하는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이다. 이들로는 화학식 HO(Alk"-O)q-Ra (식 중, q, Alk" 및 Ra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음)의 알콜의 비닐, 알릴 및 메탈릴 에테르, 또한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모노-C3-C8-카르복실산의 상기 알콜의 에스테르, 및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디-C4-C8-카르복실산과 상기 알콜의 하프 에스테르 및 디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한 단량체 M4는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모노-C3-C8-카르복실산, 특히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과 화학식 HO(Alk"-O)q-Ra (식 중, q, Alk" 및 Ra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음)의 알콜의 에스테르, 또한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디-C4-C8-카르복실산, 특히 말레산, 푸마르산, 시트라콘산 및 이타콘산과 화학식 HO(Alk"- O)q-Ra의 알콜의 디에스테르이다. 특히 바람직한 단량체 M4는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모노-C3-C8-카르복실산, 특히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의 에스테르이다.
단량체 M4는 단량체 M의 총량의 80 mol% 이하, 특히 60 mol% 이하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제조 방법 i) 또는 ii)에서 단량체 M4의 양은 단량체 M의 총량을 기준으로 5 내지 80 mol%, 특히 10 내지 60 mol%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단량체 M 중의 이들의 양은 5 mol% 미만, 특히 1 mol% 미만이다. 관능기 A:C의 몰비에 대해 상기에서 언급된 것이 단량체 M1 대 M4 또는 단량체 M3 대 M4의 몰비에 유사하게 적용된다.
단량체 M5는 하기 단량체 M5a, M5b, M5c, M5d 및 M5e를 포함한다.
M5a: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모노-C3-C8-카르복실산, 특히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과 C1-C10-알칸올 또는 C3-C10-시클로알칸올의 C1-C10-알킬 에스테르 및 C5-C10-시클로알킬 에스테르, 예를 들어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n-프로필 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아크릴레이트, n-부틸 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 아크릴레이트, tert-부틸 아크릴레이트, n-헥실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 아크릴레이트 및 상응하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및 상응하는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디-C4-C8-카르복실산의 디-C1-C10-알킬 에스테르 및 디-C5-C10-시클로알킬 에스테르,
M5b: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모노- 및 디-C3 -C8-카르복실산, 특히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의 히드록시-C2-C10-알킬 에스테르, 예를 들어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3-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및 4-히드록시부틸 메타크릴레이트,
M5c: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니트릴, 예컨대 아크릴로니트릴,
M5d: 비닐방향족 단량체, 예컨대 스티렌 및 비닐톨루엔,
M5e: 바람직하게는 2개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올레핀, 예를 들어 에틸렌, 프로펜, 1-부텐, 이소부텐, 1-헥센, 디이소부텐, 1-옥텐, 1-데센, 1-도데센 등.
바람직한 단량체 M5는 단량체 M5b이다.
단량체 M5는 단량체 M의 총량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30 mol% 이하, 특히 20 mol% 이하로 포함된다. 원하는 경우, 제조 방법 i) 또는 ii)에서 이들의 함량은 일반적으로 단량체 M의 1 내지 30 mol%, 특히 5 내지 20 mol%이다. 특히, 단량체 M 중의 이들의 함량은 5 mol% 미만, 특히 1 mol% 미만이다.
방법 i)에서, 측쇄 A 대 관능기 B, 및 임의로 C 및 C'의 몰비는 통상적으로 단량체 M1 대 단량체 M2의 몰비에 의해 또는 단량체 M1:M2:M4:M5의 몰비에 의해 직접 주어진다. 따라서, 1가 산의 경우 M1:M2 또는 (M1+M4):M2의 몰비는 일반적으로 2:1 내지 1:20의 범위, 특히 1:1 내지 1:10의 범위, 특별히 1:1.1 내지 1:8의 범위이다. 제조 방법 i)에서 단량체 M이 1개 초과의 산성기를 갖는 단량체 M2 또는 단 량체 M3을 포함하는 경우, 단량체들의 몰비는 이에 상응한다.
따라서, 제조 방법 i)에서, 각 경우에 단량체 M의 총 몰수를 기준으로, 단량체 M1의 양은 전형적으로 5 내지 65 mol%, 특히 10 내지 50 mol%이고, 단량체 M2의 양은 35 내지 95 mol%, 특히 50 내지 90 mol%이며, 임의의 추가의 단량체 M3 또는 M5의 함량은 30 mol% 이하, 특히 20 mol% 이하일 수 있고, 단량체 M4의 함량은 80 mol% 이하, 특히 60 mol% 이하, 예를 들어 5 내지 80 mol%, 특히 10 내지 60 mol%일 수 있으며, 물론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모든 단량체 M의 몰수의 합은 100 mol%이다.
방법 ii)에서, 측쇄 A 대 관능기 B의 몰비는 단량체 M3 대 임의로 사용되는 단량체 M2 또는 M1 또는 M4의 몰비에 의해 방법 i)과 유사한 방식으로 주어진다. 이는 상응하게 측쇄 A 대 측쇄 C 또는 관능기 B의 몰비 사이의 관계에 적용된다.
따라서, 제조 방법 ii)에서, 각 경우에 단량체 M의 총 몰수를 기준으로, 단량체 M3의 양은 전형적으로 40 내지 100 mol%, 특히 50 내지 95 mol%이고, 단량체 M2의 양은 0 내지 60 mol%, 특히 5 내지 50 mol%이며, 임의의 추가의 단량체 M2 또는 M5의 몰수는 30 mol% 이하, 특히 20 mol% 이하일 수 있고, 단량체 M4의 함량은 80 mol% 이하, 특히 60 mol% 이하, 예를 들어 5 내지 80 mol%, 특히 10 내지 60 mol%일 수 있으며, 물론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모든 단량체 M의 몰수의 합은 100 mol%이다.
또한, 중합체의 분자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단량체 M의 중합을, 예를 들어 2개, 3개 또는 4개의 중합성 이중 결합을 갖는 소량의 다중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가교제)의 존재 하에 수행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러한 가교제의 예는 에틸렌계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디에스테르 및 트리에스테르, 특히 디올 또는 3개 이상의 OH기를 갖는 폴리올의 비스아크릴레이트 및 트리스아크릴레이트, 예를 들어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네오펜틸 글리콜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비스아크릴레이트 및 비스메타크릴레이트이다. 이러한 가교제는, 원하는 경우, 중합되는 단량체 M의 총량을 기준으로 일반적으로 0.01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0.01 중량% 미만의 가교제 단량체를 사용하는 것, 특히 가교제 단량체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량체 M의 중합은 통상적으로, 소위 개시제로서 공지된 라디칼-형성 화합물의 존재 하에 수행한다. 이러한 화합물은, 중합되는 단량체를 기준으로, 통상적으로 3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5 중량%, 특히 0.2 내지 8 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다수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개시제 (산화환원 개시제 시스템을 갖는 개시제 시스템)의 경우, 상기한 중량 정보는 성분들의 합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적합한 개시제는, 예를 들어 유기 퍼옥시드 및 히드로퍼옥시드, 또한 퍼옥소디술페이트, 퍼카르보네이트, 퍼옥시드 에스테르, 과산화수소 및 아조 화합물이다. 개시제의 예는 과산화수소, 디시클로헥실 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 디아세틸 퍼옥시드, 디-tert-부틸 퍼옥시드, 디아밀 퍼옥시드, 디옥타노일 퍼옥시드, 디데카노일 퍼옥시드, 디라우로일 퍼옥시드, 디벤조일 퍼옥시드, 비스(o-톨릴) 퍼옥시드, 숙시닐 퍼옥시드, 메틸 에틸 케톤 퍼옥시드, 디-tert-부틸 히드로퍼옥시드, 아세틸아세 톤 퍼옥시드, 부틸 퍼아세테이트, tert-부틸 퍼말레에이트, tert-부틸 퍼이소부티레이트, tert-부틸 퍼피발레이트, tert-부틸 퍼옥토에이트, tert-부틸 퍼네오데카노에이트, tert-부틸 퍼벤조에이트, tert-부틸 히드로퍼옥시드, 쿠멘 히드로퍼옥시드, tert-부틸 퍼네오데카노에이트, tert-아밀 퍼피발레이트, tert-부틸 퍼피발레이트, tert-부틸 퍼벤조에이트, tert-부틸 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및 디이소프로필 퍼옥시디카르바메이트; 또한 리튬, 나트륨, 칼륨 및 암모늄 퍼옥소디술페이트, 아조 개시제,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N-(2-히드록시에틸)프로피온아미드], 1,1'-아조비스(1-시클로헥산카르보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N,N'-디메틸렌이소부티로아미딘) 디히드로클로라이드 및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판) 디히드로클로라이드, 또한 하기하는 산화환원 개시제 시스템이다.
산화환원 개시제 시스템은, 1종 이상의 퍼옥시드-함유 화합물을 산화환원 공개시제(coinitiator), 예를 들어 환원 작용을 갖는 황 화합물, 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의 또는 암모늄 화합물의 비술파이트, 술파이트, 티오술페이트, 디티오나이트 및 테트라티오네이트와 조합하여 함유한다. 따라서, 퍼옥소디술페이트와 알칼리 금속 또는 암모늄 히드로겐술파이트, 예를 들어 암모늄 퍼옥소디술페이트 및 암모늄 디술파이트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퍼옥시드-함유 화합물 대 산화환원 공개시제의 비율은 30:1 내지 0.05:1이다.
개시제는 단독으로 또는 서로와의 혼합물, 예를 들어 과산화수소와 나트륨 퍼옥소디술페이트의 혼합물로 사용할 수 있다.
개시제는 수용성이거나, 또는 물 중에서 불용성이거나 단지 약간 가용성일 수 있다. 수성 매질 중에서의 중합은 바람직하게는 수용성 개시제, 즉 중합에 통용되는 농도에서 수성 중합 매질 중에서 가용성인 개시제를 사용하여 수행한다. 이들로는 퍼옥소디술페이트, 이온기를 갖는 아조 개시제, 6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갖는 유기 히드로퍼옥시드, 아세톤 히드로퍼옥시드, 메틸 에틸 케톤 히드로퍼옥시드 및 과산화수소, 또한 상기한 산화환원 개시제를 들 수 있다. 중합 방법 i) 및 ii)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사용되는 개시제는 1종 이상의 퍼옥소디술페이트, 예를 들어 나트륨 퍼옥소디술페이트를 들 수 있다.
전이 금속 촉매, 예를 들어 철, 코발트, 니켈, 구리, 바나듐 및 망간의 염이 개시제 또는 산화환원 개시제 시스템과 조합하여 추가로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염은, 예를 들어 황산철(II), 염화코발트(II), 황산니켈(II) 또는 염화구리(I)이다. 단량체를 기준으로, 환원 작용을 갖는 전이 금속염은 0.1 ppm 내지 1000 ppm의 농도로 사용된다. 따라서, 과산화수소와 철(II)염, 예를 들어 0.5 내지 30%의 과산화수소와 0.1 내지 500 ppm의 모오르염 (Mohr's salt)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유기 용매 중에서의 단량체 M의 중합에서는, 유기 용매 중에서 가용성인 산화환원 공개시제 및 전이 금속 촉매, 예를 들어 벤조인, 디메틸아닐린, 아스코르브산 및 중금속, 예컨대 구리, 코발트, 철, 망간, 니켈 및 크롬의 착체를 상기한 개시제와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통용되는 산화환원 공개시제 및 전이 금속 촉매의 양은 사용되는 단량체의 양을 기준으로 약 0.1 내지 1000 ppm이다.
본 발명에 따라 수득가능한 빗형 중합체의 평균 분자량을 조절하기 위해, 흔히 조절제의 존재 하에 단량체 M의 중합을 수행하는 것이 종종 유리하다. 이를 위해, 통상의 조절제, 특히 SH기-함유 유기 화합물, 특히 SH기-함유 수용성 화합물, 예를 들어 2-메르캅토에탄올, 2-메르캅토프로판올, 3-메르캅토프로피온산, 시스테인, N-아세틸시스테인, 또한 인(III) 또는 인(I) 화합물, 예컨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차아인산염, 예를 들어 차아인산나트륨, 또한 히드로겐술파이트, 예컨대 나트륨 히드로겐술파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중합 조절제는 일반적으로 단량체 M을 기준으로 0.05 내지 10 중량%, 특히 0.1 내지 2 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바람직한 조절제는 상기한 SH기-함유 화합물, 특히 SH기-함유 수용성 화합물, 예를 들어 2-메르캅토에탄올, 2-메르캅토프로판올, 3-메르캅토프로피온산, 시스테인 및 N-아세틸시스테인이다. 이들 화합물의 경우, 이들을 단량체를 기준으로 0.05 내지 2 중량%, 특히 0.1 내지 1 중량%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특히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상기한 인(III) 및 인(I) 화합물 및 히드로겐술파이트는 통상적으로 다량으로, 예를 들어 중합되는 단량체를 기준으로 0.5 내지 10 중량%, 특히 1 내지 8 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것이다. 평균 분자량은 또한 적절한 용매의 선택에 의해 영향받을 수 있다. 따라서, 벤질 또는 알릴 H 원자를 갖는 희석제의 존재 하에서의 중합은 사슬 전달에 의해 평균 분자량을 감소시킨다.
단량체의 중합은 용액, 침전, 현탁 또는 무용매 중합을 비롯한 통상의 중합 방법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용액 중합 방법, 즉 용매 또는 희석제 중에서의 중합 방법이 바람직하다.
적합한 용매 또는 희석제로는 비양성자성 용매, 예를 들어 상기한 방향족, 예컨대 톨루엔, o-크실렌, p-크실렌, 쿠멘, 클로로벤젠, 에틸벤젠, 알킬방향족, 지방족, 및 시클로지방족, 예컨대 시클로헥산의 산업용 혼합물 및 지방족, 케톤, 예컨대 아세톤, 시클로헥산온 및 메틸 에틸 케톤, 에테르, 예컨대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디에틸 에테르, tert-부틸 메틸 에테르, 및 지방족 C1-C4-카르복실산의 C1-C4-알킬 에스테르, 예를 들어 메틸 아세테이트 및 에틸 아세테이트의 산업용 혼합물, 및 양성자성 용매, 예컨대 글리콜 및 글리콜 유도체, 폴리알킬렌 글리콜 및 이들의 유도체, C1-C4-알칸올, 예를 들어 n-프로판올, n-부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탄올 또는 메탄올, 또한 물, 및 물과 C1-C4-알칸올의 혼합물, 예를 들어 이소프로판올/물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중합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용매 또는 희석제로서 물 중에서 또는 물과 60 중량% 이하의 C1-C4-알칸올 또는 글리콜의 혼합물 중에서 수행한다. 물을 단독 용매로서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단량체 M의 중합은 바람직하게는 산소를 실질적으로 또는 완전히 배제하여, 바람직하게는 불활성 기체 흐름, 예를 들어 질소 흐름 중에서 수행한다.
단량체 M의 중합 방법은 중합 방법에 통상적인 장치에서 수행할 수 있다. 이들로는 교반 탱크 반응기, 다단식 교반 탱크 반응기, 오토클레이브, 튜브 반응기 및 혼련기를 들 수 있다.
단량체 M의 중합은 통상적으로 0 내지 300℃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20℃의 범위의 온도에서 수행한다. 중합 시간은 통상적으로 0.5 시간 내지 15 시간의 범위, 특히 2 내지 6 시간의 범위이다. 중합시 보편적인 압력은 중합의 성공을 위해 보다 적은 중요성을 가지며, 일반적으로는 800 mbar 내지 2 bar의 범위, 흔히는 주변 압력이다. 휘발성 용매 또는 휘발성 단량체가 사용된 경우, 압력은 보다 높을 수도 있다.
중합 방법의 추가의 상세사항에 대하여, EP-A 560 602호, EP-A 734 359호, EP-A 799 807호, EP-A 994 290호, WO 01/40337호, WO 01/40338호 및 PCT/EP 2005/009466호가 참고로 도입된다. 상기 문헌에 기재된 중합 조건을 본 발명의 빗형 중합체 제조를 위해 유사한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단량체 M2, M4 및 M5는 대부분 시판하는 공지된 화합물이다.
단량체 M1 및 M3의 일부는 이미 선행 기술에 기재되어 있으나, A기에서 n이 평균적으로 11 내지 300 범위, 특히 20 내지 200 범위, 특별히 50 내지 200 범위, 매우 특별히 50 내지 150 범위의 수이고, A기에서 Alk-O 반복 단위의 90 mol% 이상이 CH2CH2O인 단량체 M1 및 M3은 신규한 것이며, 이것이 본 발명의 추가의 사항을 구성한다. 이들은 선행 기술의 공지된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각종 Alk-O 단위의 랜덤 및 블록 방식의 배열에 대해서는, A기에 대해 상기에서 언급한 것이 적용된다.
화학식 A에서 k가 1인 바람직한 단량체 M1은 화학식 HO-(Alk-O)n-Y-Z (식 중, n, Alk, Y 및 Z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음)의 알콜에 의한 모노에틸렌계 불 포화 C3-C8-모노카르복실산 또는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C4-C8-디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화에 의해, 또는 화학식 NHR(Alk-O)n-Y-Z (식 중, n, Alk, R, Y 및 Z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음)의 아민에 의한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C3-C8 모노카르복실산의 아미드화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C3-C8-모노카르복실산 또는 C4-C8-디카르복실산 대신에, 이들 산의 에스테르 형성 또는 아미드 형성 유도체, 특히 이들 산의 무수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C3-C8-모노카르복실산 또는 C4-C8-디카르복실산과 화학식 HO(Alk-O)n-Y-Z의 알콜의 에스테르는 하기 방법 a), b) 또는 c)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a) 예를 들어 DE-A 2516933호, EP-A 884 290호, EP-A 989 108호, EP-A 989 109호, WO 01/40337호, WO 01/40338호 및 WO 02/50160호에 기재된 방법과 유사한 방법을 이용한, 화학식 HO-(Alk-O)n-Y-Z의 알콜에 의한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C3-C8-모노카르복실산 또는 C4-C8-디카르복실산의 산 촉매된 에스테르화;
b) DE-A 19602035호, US 5,037,978호, EP-A 799807호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방법을 이용하거나, EP-A 999 229호에 기재된 방법에서와 같은 효소 촉매작용을 이용한, 염기성 또는 산성 에스테르교환 촉매의 존재 하에서의 화학식 HO-(Alk-O)n-Y-Z의 알콜에 의한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C3-C8-모노카르복실산 또는 C4-C8-디카르복실 산의 모노- 또는 디-C1-C4-알킬 에스테르의 에스테르교환;
c) 예를 들어 WO 01/74736호 또는 이전의 특허출원 PCT/EP 2005/009466호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방법을 이용하며, 상기 문헌에 기재된 방법과 다르게는 일부 경우에 생략될 수 있는 염기를 첨가하는,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C3-C8-모노카르복실산 또는 C4-C8-디카르복실산의 무수물과 화학식 HO-(Alk-O)n-Y-Z의 알콜의 반응.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C3-C8-모노카르복실산과 화학식 HNR-(Alk-O)n-Y-Z의 아민의 아미드는 공지된 아미드화 반응과 유사한 방법을 이용하여, 아민에 의한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C3-C8-모노카르복실산 또는 이들의 아미드 형성 유도체, 예컨대 산 염화물, 산 무수물 또는 C1-C4-알킬 에스테르의 아미드화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에틸렌계 불포화 에테르 또는 아민, 즉 k = 0인 A기를 갖는 단량체 M1은 선행 기술의 표준 방법과 유사한 방법을 이용한 화학식 HO-(Alk-O)n-Y-Z의 알콜의 에테르화 또는 비닐화에 의해, 또는 화학식 HNR-(Alk-O)n-Y-Z의 아민으로부터의 알케닐화 또는 엔아민 형성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단량체 M3은 본원에서 단량체 M1에 대해 기재된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단량체 M3은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C4-C8-디카르복실산의 무수물과 화학식 HO-(Alk-O)n-Y-Z의 알콜을 모노에스테르를 형성시키는 조건 하에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특히 바람직한 단량체 M1은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C3-C8-모노카르복실산의 무수물, 특히 아크릴산 무수물 또는 메타크릴산 무수물과 화학식 HO-(Alk-O)n-Y-Z의 알콜을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선행 기술로부터 공지된 방법과 달리, 이 방법은 화학식 HO-(Alk-O)n-Y-Z의 알콜 사용시 특히 우수한 수율을 제공한다.
본원에서는, 무수물을, 알콜 1 mol을 기준으로 등몰량으로 또는 약간 과량으로, 바람직하게는 10 mol% 이하, 흔히는 9.5 mol% 이하, 바람직하게는 9 mol% 이하, 특히 8.5 mol% 이하, 특별히 8 mol% 이하의 과량으로 사용하는 것, 즉 무수물의 양이 알콜 1 mol 당 전형적으로 1.095 mol 이하, 바람직하게는 1.09 mol 이하, 특히 1.085 mol 이하, 특별히 1.08 mol 이하인 것이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알콜 1 mol 당 1.005 mol 이상, 특히 1.01 mol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02 mol 이상의 무수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 특히 질소 헤테로사이클 Z가 염기성 잔기인 경우, 무수물과 알콜의 반응은 염기의 부재 하에 수행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무수물과 알콜의 반응은 염기의 존재 하에 수행한다. 여기서는, 90℃에서 알콜 중에 불용성이거나 단지 약간 가용성인 염기, 즉 90℃에서 알콜 중에서의 용해도가 10 g/L 이하, 특히 5 g/L 이하인 염기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염기의 예로는, 1가 또는 2가 금속 양이온, 특히 주기율표의 제1 및 제2 주족 원소의 양이온, 즉 Li+, Na+, K+, Rb+, Cs+, Be2 +, Mg2 +, Ca2 +, Sr2 + 및 Ba2 +, 및 1가 또는 2가 전이 금속 양이온, 예컨대 Ag+, Fe2 +, Co2 +, Ni2 +, Cu2 +, Zn2 +, Cd2 +, Sn2+, Pb2 +, Ce2 + 수산화물, 산화물, 탄산염 및 탄산수소염이 포함된다. 알칼리 및 알칼리 토금속의 양이온, 또한 Zn2 +, 특히 Mg2 + 또는 Ca2+, 특히 바람직하게는 Na+ 또는 K+의 수산화물, 산화물, 탄산염 및 탄산수소염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이들 금속 이온의 수산화물 및 탄산염, 특히 알칼리 금속 탄산염 및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특별히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수산화칼륨 및 수산화나트륨이 바람직하다. 수산화리튬 및 탄산리튬 또한 특히 적합하다. 염기는 알콜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5 염기 당량, 특히 0.1 내지 0.4 염기 당량의 양으로 사용하며, 보다 많은 양의 염기, 예를 들어 1 염기 당량 까지의 양은 일반적으로 불리하지 않다. 여기서, 수산화물 및 탄산수소염의 경우에는 염기 당량이 사용된 몰 당량에 상응하며, 각 경우에 탄산염 또는 산화물 1 몰 당량은 2 염기 당량에 상응하는 것임을 유의해야 한다.
무수물과 알콜의 반응은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50℃ 범위, 특히 20 내지 130℃ 범위,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 범위의 온도에서 수행한다. 반응시 보편적인 압력은 반응의 성공을 위해 보다 적은 중요성을 가지며, 일반적으로는 800 mbar 내지 2 bar 범위, 흔히는 주변 압력이다. 반응은 바람직하게는 불활성 기체 분위기 중에서 수행한다. 무수물과 화합물 P의 반응은 이러한 반응에 통상적인 모든 장치에서, 예를 들어 교반 탱크 반응기에서, 다단식 교반 탱크 반응기, 오토클 레이브, 튜브 반응기 또는 혼련기에서 수행할 수 있다.
무수물과 알콜의 반응은 바람직하게는 사용된 알콜의 전환율이 80% 이상, 특히 9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5% 이상에 도달할 때까지 수행한다. 이를 위해 필요한 반응 시간은 일반적으로 5 시간 이하이고, 흔히는 4 시간 미만이다. 전환율은 바람직하게는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등의 강산의 존재 하에, 반응 혼합물의 1H-NMR 분광법에 의해 모니터링할 수 있다.
무수물과 알콜의 반응은 무용매로, 즉 용매 첨가 없이, 또는 불활성 용매 또는 희석제 중에서 수행할 수 있다. 불활성 용매는 일반적으로 비양성자성 화합물이다. 불활성 용매로는 임의로 할로겐화 방향족 탄화수소, 예컨대 톨루엔, o-크실렌, p-크실렌, 쿠멘, 클로로벤젠, 에틸벤젠, 알킬방향족, 지방족 및 시클로지방족 탄화수소, 예컨대 헥산, 헵탄, 옥탄, 이소옥탄, 시클로헥산, 시클로헵탄의 산업용 혼합물, 지방족, 또한 케톤, 예컨대 아세톤, 메틸 에틸 케톤, 시클로헥산, 또한 에테르, 예컨대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디에틸 에테르, tert-부틸 메틸 에테르의 산업용 혼합물, 또한 상기한 용매, 예를 들어 톨루엔/헥산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반응은 바람직하게는 용매 없이, 또는 단지 매우 소량의 용매, 일반적으로 출발 물질을 기준으로 10 중량% 미만의 용매를 사용하여, 즉 무용매로 수행한다.
무수물과 알콜의 반응은 0.2 중량% 미만, 특히 1000 ppm 미만의 물 (칼-피셔 (Karl-Fischer) 적정에 의해 측정됨)을 함유하는 반응 매질 중에서 수행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용어 "반응 매질"은 사용된 염기와, 또한 임의의 용 매 및 억제제와 반응물의 혼합물을 의미한다. 수분-함유 출발 물질의 경우, 반응 전에, 예를 들어 증류에 의해, 특히 바람직하게는 물과 저비점 공비혼합물을 형성하는 유기 용매를 첨가하여 증류에 의해 물을 제거하는 것이 유용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용매의 예는 상기한 방향족 용매, 예컨대 톨루엔, o-크실렌, p-크실렌, 쿠멘, 벤젠, 클로로벤젠, 에틸벤젠 및 방향족, 또한 지방족 및 시클로지방족 용매, 예컨대 헥산, 헵탄, 시클로헥산의 산업용 혼합물 및 방향족과 상기한 용매의 혼합물의 산업용 혼합물이다.
반응을 수행하기 위해, 알콜, 무수물 및 염기, 및 임의로 용매, 및 적절한 경우 억제제를 포함하는 반응 혼합물을 상기한 온도에서 적합한 반응 용기 중에서 반응시키는 것이 통상적이다. 알콜 및 염기, 및 임의로 용매를 먼저 취하고, 무수물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수물은 바람직하게는 반응 온도에서 첨가한다.
사용된 물질이 물을 함유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무수물의 첨가 전에 물을 제거할 것이다. 예를 들어, 알콜, 및 임의로 염기, 및 임의로 용매를 반응 용기 중에 넣고, 이후 존재할 수 있는 임의의 수분을 상기한 방식으로 제거하고, 이어서 바람직하게는 반응 온도에서 무수물을 첨가한다.
또한, 무수물과 알콜의 반응은 비조절된 중합을 피하기 위해 중합 억제제의 존재 하에 수행하는 것이 유용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반응을 위해 공지된 중합 억제제, 특히 페놀, 예컨대 히드로퀴논, 히드로퀴논 모노메틸 에테르, 특히 입체 장애 페놀, 예컨대 2,6-디-tert-부틸페놀 또는 2,6-디-tert-부틸-4-메틸페놀, 또한 티아진, 예컨대 페노티아진 또는 메틸렌 블루, 세륨(III)염, 예컨대 세 륨(III) 아세테이트, 또한 니트록시드, 특히 입체 장애 니트록시드, 즉 2급 아민의 니트록시드 (각 경우에 니트록시드기에 인접한 탄소 원자 상에 3개의 알킬기를 갖고, 이들 알킬기 중 임의의 2개, 특히 동일한 탄소 원자 상에 위치하지 않은 것들이 니트록시드기의 질소 원자 또는 이들이 결합된 탄소 원자와 함께, 예를 들어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1-옥실 (TEMPO) 또는 4-히드록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1-옥실 (OH-TEMPO)에서와 같이, 포화된 5원 내지 6원 고리를 형성함), 상기한 억제제의 혼합물, 상기한 억제제와, 예를 들어 공기 형태의 산소의 혼합물, 및 상기한 억제제의 혼합물과, 예를 들어 공기 형태의 산소의 혼합물이 적합하다. 바람직한 억제제는 상기한 입체 장애 니트록시드, 세륨(III) 화합물 및 입체 장애 페놀 및 이들의 혼합물, 또한 이들 억제제와 산소의 혼합물, 및 이들 억제제의 혼합물과, 예를 들어 공기 형태의 산소의 혼합물이다. 1개 이상의 입체 장애 니트록시드, 및 입체 장애 페놀 및 세륨(III) 화합물, 및 이들과, 예를 들어 공기 형태의 산소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추가의 한 성분을 포함하는 억제제 시스템이 특히 바람직하다. 억제제의 양은 무수물과 알콜의 총량의 2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억제제는 유리하게는 무수물과 알콜의 총량을 기준으로 10 ppm 내지 1000 ppm의 양으로 사용된다. 억제제 혼합물의 경우, 이 정보는 산소를 제외한 성분의 총량에 대한 것이다.
알콜과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C3-C8-모노카르복실산의 무수물의 반응은 물론 사용된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C3-C8-모노카르복실산 및 과량의 무수물 및 미반응된 알콜의 가능한 잔류물의 혼합물을 주로 형성한다.
그러나, 과량의 무수물은 일반적으로, 원래 사용된 무수물의 양의 10 중량% 이하, 특히 5 중량% 이하를 구성한다. 물과의 반응에 의해 존재할 수 있는 임의의 무수물을 제거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미반응된 알콜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사용된 알콜의 양의 10 중량% 이하, 특히 5 중량% 이하이다.
반응에서 형성된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C3-C8-모노카르복실산으로부터 알콜을 분리하기 위해, 원칙적으로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C3-C8-모노카르복실산을 증류에 의해, 또는 또다른 방식으로, 예를 들어 산의 추출에 의해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에스테르를, 예를 들어 모액 중에 잔류되어 존재하는 임의의 무수물 및 산을 갖는 수성 매질로부터의 에스테르의 결정화에 의해 단리할 수 있다. 그러나, 에스테르의 단리 또는 분리는 일반적으로 생략된다. 대신에, 에스테르와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C3-C8-모노카르복실산의 혼합물을, 임의로 추가의 단량체 M2 및 임의로 추가의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M3, M4 및/또는 M5를 첨가하여, 바람직하게는 직접 자유-라디칼 공중합에 적용할 것이다.
유사한 방식으로, 방법 a)에 따른 에스테르화에 의해, 또는 방법 b)에 따른 에스테르교환에 의해 제조된 단량체 M1 또는 M3을 직접, 즉 선행 단리 또는 정제 없이 후속되는 단량체 M의 중합에서 사용할 수도 있다.
단량체 M의 중합을 물 중에서 용액 중합으로 수행하는 경우, 많은 용도에서 물의 제거가 불필요하다. 다른 방식으로는, 본 발명에 따라 수득가능한 중합체를 자체 공지된 방식으로, 예를 들어 중합 혼합물의 분무 건조에 의해 단리할 수 있다. 중합을 증기-휘발성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 중에서 수행하는 경우, 증기를 도입함으로써 용매를 제거하여, 빗형 중합체의 수용액 또는 분산액을 형성할 수 있다.
빗형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수 분산액 또는 수용액 형태로 수득된다. 고형분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80 중량%, 특히 30 내지 65 중량%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양태는 제조 방법 iii)에 의해 수득가능한 빗형 중합체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탄소 주쇄 및 탄소 주쇄 상의 유리 카르복실기 또는 카르복실기의 에스테르 형성 유도체를 갖는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중합체-유사 반응으로 화학식 HO(Alk-O)n-Y-Z의 알콜 또는 화학식 HNR-(Alk-O)n-Y-Z의 아민과 반응시킨다. 유리 카르복실기 또는 카르복실기의 에스테르 형성 유도체를 함유하는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중합체-유사 반응 방법은 선행 기술, 예를 들어 US 5,840,114호, US 5,728,207호, WO 98/31643호 및 WO 01/72853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상기 문헌에 기재된 방법을 본 발명의 빗형 중합체 제조를 위해 유사한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유리 카르복실기 또는 유리 카르복실기의 에스테르 형성 유도체, 특히 무수물기를 갖는 가능한 중합체로서, 예를 들어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C3-C8-모노카르복실산 및/또는 C4-C8-디카르복실산 또는 이들의 무수물의 단독중합체 및 공중합체, 예를 들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말레산 무수물의 단독중합체 및 공중합 체를 들 수 있다. 이들 중합체는 추가의 단량체 M2, 예를 들어 술폰산기-함유 단량체, 예를 들어 비닐술폰산, 아크릴아미도메틸프로판술폰산, 메탈릴술폰산 또는 이들의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암모늄염, 및 단량체 M4 및/또는 M5, 예를 들어 비닐방향족 단량체 또는 올레핀을 공중합된 형태로 함유할 수 있다.
적합한 카르복실기-함유 중합체는 특히
- 1종 이상의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C3-C8-모노카르복실산 및/또는 C4-C8-디카르복실산 또는 이들의 무수물, 특히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또는 말레산 무수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5 내지 100 중량%, 특히 50 내지 100 중량%,
-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술폰산, 예컨대 비닐술폰산, 아크릴아미도메틸프로판술폰산, 메탈릴술폰산 및/또는 이들의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암모늄염 0 내지 95 중량%, 특히 0 내지 50 중량%; 및
- 1종 또는 수종의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C3-C8-모노카르복실산 또는 C4-C8-디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 예를 들어 분자내에 1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1가 알콜의 말레산 에스테르 또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의 에스테르 0 내지 95 중량%, 특히 0 내지 50 중량%
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이다.
특히 바람직한 카르복실기-함유 중합체는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의 단독중합체, 아크릴산과 메타크릴산의 공중합체, 메타크릴산과 비닐술폰산의 공중합체, 아크릴산과 말레산의 공중합체, 메타크릴산과 말레산의 공중합체, 아크릴산과 모노 에틸렌계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의 공중합체, 메타크릴산과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의 공중합체, 또한 상기한 공중합체의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암모늄염이다.
특히, 상기한 분자량 조절제 중 하나의 존재 하에 상기한 단량체의 라디칼 중합에 의해 수득가능한 카르복실기-함유 중합체, 특히 중합에 사용된 단량체를 기준으로 4 중량% 이상의, 황이 +4의 산화수를 갖는 수용성 황 화합물의 존재 하에 수용액 중에서의 라디칼 중합에 의해 수득가능한 카르복실기-함유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용성 황 화합물은의 예로는 이산화황, 아황산, 아황산 또는 이아황산의 알칼리 금속염, 알칼리 토금속염 및 암모늄염, 나트륨, 칼륨, 칼슘 또는 암모늄 포름알데히드 술폭실레이트, 디알킬 술파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이들 화합물 중, 칼륨, 암모늄 또는 칼슘 술파이트, 나트륨, 칼륨, 칼슘 또는 암모늄 디술파이트, 나트륨, 칼륨, 칼슘 또는 암모늄 히드로겐술파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중합에 대한 추가의 상세사항는 WO 01/72853호를 참조한다.
이들 중합체의 몰질량 (수평균)은 전형적으로 500 내지 100000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50000의 범위이다.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단독중합체 또는 메타크릴산 및 아크릴산의 공중합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산성기-함유 중합체의 구체적 예 (백분율은 중량%임)는,
2000의 분자량을 갖는 폴리아크릴산,
4000의 분자량을 갖는 폴리아크릴산,
8000의 분자량을 갖는 폴리아크릴산,
20000의 분자량을 갖는 폴리아크릴산,
70000의 분자량을 갖는 아크릴산 70%와 말레산 30%의 공중합체,
5000의 분자량을 갖는 아크릴산 50%와 말레산 50%의 공중합체,
5000의 분자량을 갖는 메타크릴산 70%와 말레산 30%의 공중합체,
10000의 분자량을 갖는 아크릴산 70%와 메타크릴산 30%의 공중합체,
10000의 분자량을 갖는 아크릴산 90%와 비닐술폰산 10%의 공중합체,
6000의 분자량을 갖는 아크릴산 50%와 메타크릴산 50%의 공중합체,
5000의 분자량을 갖는 아크릴산 20%와 메타크릴산 80%의 공중합체,
4000의 분자량을 갖는 아크릴산 80%와 메타크릴산 20%의 공중합체,
5000의 분자량을 갖는 아크릴산 40%, 메타크릴산 40% 및 말레산 20%의 삼원 공중합체이다.
여기에 기재된 분자량은 수평균 분자량이다.
카르복실기-함유 중합체와 알콜 또는 아민의 반응은 촉매의 존재 하에 또는 부재 하에 수행할 수 있다. 촉매로서, 예를 들어 강한 옥소산, 예컨대 황산, p-톨루엔술폰산, 벤젠술폰산, 메탄술폰산, 인산, 아인산 또는 할로겐화수소산, 예컨대 염산을 사용한다. 촉매로서 작용하는 산을 반응에 사용하는 경우, 그 양은 카르복실기-함유 중합체 및 알콜 또는 아민의 총량을 기준으로 1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5 중량% 이하이다.
카르복실기-함유 중합체 및 알콜 또는 아민을 반응시키는 중량비는, 99:1 내지 1:99의 범위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5:95의 범위, 특히 바람직하게 는 3:7 내지 1:9의 범위이다.
반응은, 예를 들어 중합체의 수용액을 임의로 촉매로서 작용하는 산, 및 알콜 또는 아민과 반응시키고 물을 증류제거함으로써 수행된다. 혼합물로부터 물의 증류는 통상적으로 대기압 하에 수행되나, 감압 하에 수행될 수도 있다. 물 및 다른 휘발성 성분을 보다 빠르게 제거하기 위해 증류 동안 반응 혼합물에 기체 흐름을 통과시키는 것이 종종 유리하다. 기체 흐름으로서는 공기, 질소 또는 증기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감압 하에 물을 제거하고, 추가로 반응 혼합물에 기체 흐름을 통과시킬 수도 있다. 반응 혼합물로부터 물을 증류시키기 위해서는, 에너지가 혼합물에 공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적합한 장치는 가열가능한 교반 반응기 탱크, 외부 열 교환기를 갖는 교반 반응기 탱크, 내부 열 교환기를 갖는 교반 반응기 탱크, 박막 증발기, 혼련기 및 압출기이다. 기화되는 물을 배기 파이프를 통해 반응 매질로부터 취출하고, 열 교환기에서 응축시킨다. 이는 단지 소량의 유기 성분을 포함하며, 이는 수처리 플랜트를 통해 처리될 수 있다.
반응 혼합물로부터 물을 제거한 후에 또는 그와 동시에, 중합체와 알콜 또는 아민 사이에 축합 반응이 일어난다. 그 결과로 형성된 물 또한 반응 매질로부터 제거된다. 반응은, 예를 들어 100 내지 250℃ 범위의 온도에서 수행한다. 이를 위한 온도는 반응 플랜트 및 체류 시간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체류 시간이 단지 수초 또는 수분인 연속식으로 작동되는 압출기 또는 박막 증발기에서 축합이 수행되는 경우, 유리하게는 150℃ 내지 250℃의 온도를 이용할 수 있다. 단속식으로 작동되는 교반 반응기 탱크 또는 혼련기에서는, 예를 들어 1 내지 15 시간의 시 간이 필요하고, 축합은 통상적으로 100 내지 200℃의 온도 범위에서 수행한다.
한 변법에서는, 카르복실기-함유 중합체를 먼저 탈수시키고, 얻어진 분말 또는 과립을 알콜 및/또는 아민에 의해 축합시킬 수 있다.
축합 후,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임의로 물 중에 용해시킨다. 반응 혼합물의 수용액은, 예를 들어 여전히 50 내지 150℃인 온난한 반응물에 물을 교반하며 첨가함으로써, 또는 50 내지 150℃의 온도에서 액상 반응물을 물 중에 교반첨가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20 내지 95 중량%의 농도,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 중량%의 농도의 빗형 중합체의 수용액이 얻어지도록 하는 양의 물을 사용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축합물의 용해와 동시에 또는 그 후에, 임의로 잔류 산성기의 중화를 수행할 수 있다. 중화제로서는, 고체 형태 또는 10 내지 50 중량% 농도의 수용액 또는 수 중 슬러리 형태의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산화물 또는 수산화물을 사용한다. 적합한 염기의 예는 수산화리튬,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산화칼슘, 수산화칼슘, 산화마그네슘, 수산화마그네슘, 산화알루미늄 및 수산화알루미늄이다. 중화도에 따라, 빗형 중합체의 수용액은 1 내지 12 범위의 pH를 가질 수 있다.
반응물은 축합 후에 희석되지 않고 남아있을 수도 있다. 냉각시, 이는 일반적으로 고화되어 왁스형 덩어리를 형성하고, 이는 또한 용이하게 용융될 수 있다. 이는 수송을 위한 변형물을 제공한다. 반응물은, 예를 들어 배럴 내에 충전될 수 있고, 이로부터 또한 축합물이 용융될 수 있다. 이는 용융 상태로 수송되고 저장될 수 있다. 그러나, 수용액을 생성하고 취급할 수도 있다.
물을 함유하지 않는 용융물을 불활성 분말과 혼합하여 유동성 화합물을 얻을 수도 있다. 불활성 분말로서, 예를 들어 규조토, 실리카 겔, 무정형 실리카 및/또는 무정형 이산화규소를 사용할 수 있다.
시멘트는, 예를 들어 포틀랜드 시멘트, 알루미나 시멘트 또는 혼합 시멘트, 예를 들어 포졸란 시멘트, 슬래그 시멘트 또는 기타 유형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빗형 중합체는, 시멘트 성분으로서 포틀랜드 시멘트를 주로, 특히 시멘트 성분을 기준으로 80 중량% 이상 포함하는 시멘트 혼합물에 특히 적합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빗형 중합체는 일반적으로 분쇄 스톡의 시멘트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0.1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05 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빗형 중합체는 고체 형태로 또는 수용액으로서 시멘트-함유 제제에 첨가할 수 있다. 빗형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액체 형태로, 즉 용해, 유화 또는 현탁된 형태로, 예를 들어 중합액 형태로 분쇄 스톡에 첨가된다.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예시한다.
분석:
a) K값의 측정:
공중합체의 수성 나트륨염 용액의 K값을 pH가 7인 수용액 중에서 25℃의 온도 및 공중합체의 나트륨염의 중합체 농도 1 중량%로, 문헌 [H. Fikentscher, Cellulose-Chemie, Vol. 13, 58-64 and 71-74 (1932)]의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b) 고형분의 측정:
사르토리우스사 (Sartorius)로부터의 분석 기기 MA30에 의해 측정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소정량의 샘플 (약 0.5 내지 1 g)을 알루미늄 접시 내로 칭량첨가하고, 90℃에서 일정한 중량으로 건조시켰다. 백분율 고형분 (SC)을 "SC = 최종 중량 x 100/초기 중량 [중량%]"에 의해 계산하였다.
c) 분자량 측정:
수성 용리액을 사용하여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 (=GPC)에 의해 수평균 및 중량평균 분자량의 측정을 수행하였다.
아질런트사 (Agilent)로부터의 기기 조합 (시리즈 1100)을 이용하여 GPC 분석을 수행하였다.
통기 장치 모델 G 1322 A
등용매 펌프 모델 G 1310 A
오토샘플러 모델 G 1313 A
컬럼 오븐 모델 G 1316 A
제어 모듈 모델 G 1323 B
시차 굴절계 모델 G 1362 A
물 중에 용해된 중합체의 경우, 증류수 중의 트리스 (TRIS) 완충제 (pH=7.0) 0.08 mol/L + NaCl 및 HCl로부터의 클로라이드 이온 0.15 mol/L를 용리액으로서 제공하였다.
분리를 분리 컬럼 조합에서 수행하였다. GRAL BIO 선형 분리 물질을 갖는 PSS사로부터의 컬럼 No. 787 및 788 (각각 8 x 30 mm)을 사용하였다. 유속은 23℃의 컬럼 온도에서 0.8 mL/분이었다.
PPS사로부터의 M = 194 내지 1700000 [mol/g]의 분자량을 갖는 폴리에틸렌 옥시드 표준물을 사용하여 보정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1
분자량 1000의 메틸폴리에틸렌 글리콜 478 g, 메타크릴산 167 g, p-톨루엔술폰산 6.5 g 및 페노티아진 0.17 g을, 교반기 및 증류 헤드가 장착된 2 ℓ 부피의 반응기에 넣었다. 혼합물을 질소 흐름에 통과시키면서 120 ℃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이어서, 물 3.3 g과 메타크릴산 1.5 g의 혼합물을 120 mbar의 진공 하에 30분 동안 증류제거하였다. 이어서, 질소로 진공을 무너뜨렸다. 혼합물을 질소 하에 2시간 더 교반하였다. 다음으로, 30분 동안 압력을 다시 100 mbar로 감소시켰다. 그 동안, 물 2.9 g과 메타크릴산 1.5 g의 혼합물을 증류제거하였다. 질소로 진공을 무너뜨리고, 2시간 더 교반하면서 에스테르화를 지속하였다. 압력을 다시 100 mbar로 감소시키고, 물 0.2 g과 메타크릴산 0.2 g의 혼합물을 증류제거하였다. 이어서, 질소로 진공을 무너뜨렸다.
실시예 2
분무 건조된 중합체 분말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분쇄 조제의 시험
시멘트 클링커를 분쇄하는 동안의 에너지 유입량에 대한 각종 첨가제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폐쇄 회로에서 작업되고 시판하는 통상적인 포틀랜드 시멘트를 제조한 2개의 분쇄 챔버를 갖는 시판되는 통상적인 튜브 볼 밀을 연구하였다. 이러한 튜브 볼 밀에 대한 기술 정보는 문헌 [ZKG International (Volume 53), No 10/2000, p. 572 Table 1]에서 볼 수 있다.
분쇄 매질의 충전 비율 및 밀의 통기는 변화시키지 않았다.
각 경우, 시험되는 첨가제 0.02 또는 0.06 중량% (분쇄 스톡 기준)를 시판하는 통상적인 포틀랜드 시멘트의 제조를 위한 클링커 물질 위에 분무하고, 4 내지 8시간 분쇄하였다. 다양한 시간에서, 샘플을 꺼내고, 블레인 질량-관련 면적 (단위: cm2/g)을 측정하였다. 비개질 샘플과 비교한 결과, 측정된 양, 즉 "일정한 분쇄 시간 또는 일정한 에너지 유입량에서 생긴 면적"과 "소정의 면적을 형성하기 위한 분쇄 시간 또는 에너지 유입량"은 에너지 절약과 비례하는 측정값이다.
시험 밀의 기술적 파라미터
밀 유형 2개의 챔버를 갖는 튜브 밀
밀 크기 φ4.0 m x 길이 13.0 m
제1 밀 챔버의 크기 φ3.7 m x 길이 4.0 m
제2 밀 챔버의 크기 φ3.7 m x 길이 8.2 m
분리기 특성 스터트반트(Sturtevant), 제1 발생
제1 밀 챔버
볼 재료 캐스트 크롬 합금 550 HB
볼 부피ㅋ 43.3 m3
충전 비율 27.5 %
볼 유형 1 φ90 mm x 18.0 mm
볼 유형 2 φ80 mm x 18.0 mm
볼 유형 3 φ70 mm x 17.0 mm
볼 유형 4 φ60 mm x 17.0 mm
평균 볼 직경 75.3 mm
볼 밀도 4.445 kg/dm3
볼의 총 질량 70.0 t
제2 밀 챔버
볼 재료 캐스트 크롬 합금 600 HB
볼 부피 88.5 m3
충전 비율 31.8 %
볼 유형 1 φ50 mm x 17.25 mm
볼 유형 2 φ40 mm x 17.29 mm
볼 유형 3 φ30 mm x 32.78 mm
볼 유형 4 φ25 mm x 34.0 mm
볼 유형 5 φ20 mm x 34.0 mm
평균 볼 직경 32.9 mm
볼 밀도 4.810 kg/dm3
볼의 총 질량 135.32 t
시험 결과
분쇄 시간 [분] 분쇄 조제 없음 [블레인 면적, cm2/g] 0.02 % 실시예 1 [블레인 면적, cm2/g] 0.06 % 실시예 1 [블레인 면적, cm2/g] 0.02 % 실시예 2 [블레인 면적, cm2/g] 0.06 % 실시예 2 [블레인 면적, cm2/g]
30 1345 1510 1650 1490 1475
60 2015 2230 2445 2480 2305
90 2530 2525 3010 2730 2650
120 2740 2785 3250 2960 2965
150 3195 2950 3510 3160 3165
180 3450 3290 3700 3335 3380
210 3655 3320 4085 3680 3635
240 3850 3330 4180 3935 3785
270 3980 3700 4450 4050 4020
300 4165 3935 4625 4255 4320
330 4300 4050 4405 4680
390 4560 4210 4990
이 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분쇄 조제의 첨가를 통해 에너지 소비가 감소하였음을 나타낸다. DIN 196-3에 따라 수득된 모든 시멘트의 물 요구량의 측정은 실시예 1 및 2의 존재 하에 얻어진 시멘트가 물 요구량이 상당히 낮아, 낮은 가공 점도를 갖는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를 제조하는 데 매우 적합함을 나타낸다.

Claims (5)

  1. 하기 화학식 A의 폴리에테르기, 및 12 초과의 pH에서 음이온기 형태로 존재하는 관능기 B를 갖는 탄소 주쇄를 갖는 빗형 중합체 및 그의 염의, 시멘트-함유 제제에서의 분쇄 조제로서의 용도.
    <화학식 A>
    *-U-(C(O))k-X-(Alk-O)n-W
    (식 중,
    *는 빗형 중합체의 탄소 주쇄에 대한 결합 부위를 나타내고,
    U는 화학 결합, 또는 1개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렌기이며,
    X는 산소 또는 NR기를 의미하고,
    k는 0 또는 1이며,
    n은 빗형 중합체를 기준으로 평균값이 5 내지 300의 범위 내에 있는 정수이
    고,
    Alk는 C2-C4-알킬렌이며, (Alk-O)n기 내의 Alk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W는 수소, C1 -C6 알킬 잔기 또는 아릴 잔기를 의미하거나, Y-Z기를 의미하고,
    Y는 2개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갖고, 페닐 고리를 가질 수 있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렌기이고,
    Z는 질소를 통해 결합되고, 질소 원자 및 탄소 원자 이외에, 산소, 질소 및 황 중에서 선택된 1개, 2개 또는 3개의 추가의 헤테로원자를 고리원으로서 가질 수 있으며, 질소 고리원은 R'기를 함유할 수 있고, 1개 또는 2개의 탄소 고리원은 카르보닐기로서 존재할 수 있는, 5원 내지 10원 질소 헤테로사이클이며,
    R은 수소, C1-C4-알킬 또는 벤질이고,
    R'는 수소, C1-C4-알킬 또는 벤질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평균적으로 (Alk-O)n기 내의 Alk-O 단위의 50 mol% 이상이 CH2-CH2-O인 용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분쇄 스톡을 기준으로 0.001 내지 0.1 중량%의 분쇄 조제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4. 하기 화학식 A의 폴리에테르기 및 12 초과의 pH에서 음이온기 형태로 존재하는 관능기 B를 갖는 탄소 주쇄를 갖는 빗형 중합체, 및 그의 염을 함유하는 시멘트-함유 제제.
    <화학식 A>
    *-U-(C(O))k-X-(Alk-O)n-W
    (식 중,
    *는 빗형 중합체의 탄소 주쇄에 대한 결합 부위를 나타내고,
    U는 화학 결합, 또는 1개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렌기이며,
    X는 산소 또는 NR기를 의미하고,
    k는 0 또는 1이며,
    n은 빗형 중합체를 기준으로 평균값이 5 내지 300의 범위 내에 있는 정수이
    고,
    Alk는 C2-C4-알킬렌이며, (Alk-O)n기 내의 Alk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W는 수소, C1 -C6 알킬 잔기 또는 아릴 잔기를 의미하거나, Y-Z기를 의미하고,
    Y는 2개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갖고, 페닐 고리를 가질 수 있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렌기이고,
    Z는 질소를 통해 결합되고, 질소 원자 및 탄소 원자 이외에, 산소, 질소 및 황 중에서 선택된 1개, 2개 또는 3개의 추가의 헤테로원자를 고리원으로서 가질 수 있으며, 질소 고리원은 R'기를 함유할 수 있고, 1개 또는 2개의 탄소 고리원은 카르보닐기로서 존재할 수 있는, 5원 내지 10원 질소 헤테로사이클이며,
    R은 수소, C1-C4-알킬 또는 벤질이고,
    R'는 수소, C1-C4-알킬 또는 벤질이다.)
  5. 낮은 가공 점도를 갖는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를 제조하기 위한 제4항에 따른 시멘트-함유 제제의 용도.
KR1020087016028A 2005-12-02 2006-11-23 시멘트-함유 제제를 위한 분쇄제로서의 빗형 중합체의 용도 KR200800810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57896.9 2005-12-02
DE102005057896A DE102005057896A1 (de) 2005-12-02 2005-12-02 Verwendung von Kammpolymeren als Mahlhilfsmittel für zementhaltige Zubereitung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1011A true KR20080081011A (ko) 2008-09-05

Family

ID=38016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6028A KR20080081011A (ko) 2005-12-02 2006-11-23 시멘트-함유 제제를 위한 분쇄제로서의 빗형 중합체의 용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119727B2 (ko)
EP (1) EP1963020B8 (ko)
JP (1) JP2009517318A (ko)
KR (1) KR20080081011A (ko)
DE (1) DE102005057896A1 (ko)
ES (1) ES2899947T3 (ko)
WO (1) WO2007063030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1081A (ko) * 2017-12-29 2019-07-09 (주)에스엠테크 디아민 화합물과 알루미네이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광물 미분쇄용 분쇄조제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광물의 미분쇄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28667B2 (ja) * 2006-12-08 2013-10-30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 アルコキシ基を有する重合可能なカルボン酸エステルの製造方法
CN101547736B (zh) * 2006-12-13 2013-11-13 巴斯夫欧洲公司 微胶囊
JP5673961B2 (ja) * 2009-01-21 2015-02-18 ダブリュー・アール・グレイス・アンド・カンパニー−コネチカット セメント材料の粉砕調製のためのエーテル結合を含む堅牢なポリカルボキシレート
EP2336100A1 (de) * 2009-12-08 2011-06-22 Sika Technology AG Zusatzmittel für mineralische Bindemittel mit verringertem Braunverfärbungspotential
WO2012143205A1 (en) * 2011-04-21 2012-10-26 Construction Research & Technology Gmbh Accelerator composition
WO2015004196A1 (de) * 2013-07-12 2015-01-15 Sika Technology Ag Zusatzmittelkombination aus einem mahlhilfsmittel und einem betonzusatzmittel zur beschleunigung der hydratation von zementösen bindemitteln
CN109650765A (zh) * 2019-02-10 2019-04-19 吉林省希普水泥助磨剂有限公司 一种用于立磨生产矿粉的环保型助磨剂制备方法
CN110981238B (zh) * 2019-12-21 2022-02-01 安徽海螺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水泥生料外加剂
EP3919459A1 (en) * 2020-06-01 2021-12-08 Coatex Composition for aerated or lightweight concrete
WO2021234461A1 (en) * 2020-05-20 2021-11-25 Coatex Composition for aerated or lightweight concrete
CN113698140A (zh) * 2020-05-20 2021-11-26 可泰克斯公司 用于加气混凝土或轻骨料混凝土的组合物
WO2022262985A1 (en) * 2021-06-17 2022-12-22 Cemex Innovation Holding Ag Robust polycarboxylate with polyalkylene oxide-based sacrificial sidechain linkage as milling aid for cementitious materials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71100A (en) 1981-01-16 1984-09-11 Nippon Shokubai Kagaku Kogyo Co., Ltd. Copolymer and method for manufacture thereof
US4808641A (en) * 1986-07-31 1989-02-28 Fujisawa Pharmaceutical Co., Ltd. Concrete admixture
JP2541218B2 (ja) 1987-05-15 1996-10-09 日本油脂株式会社 セメント用添加剤
JPH01226757A (ja) 1988-03-04 1989-09-11 Takemoto Oil & Fat Co Ltd セメント用分散剤
CA2091310A1 (en) 1992-03-11 1993-09-12 Hideo Koyata Concrete composition having high flowability
PL183101B1 (pl) * 1993-09-29 2002-05-31 Grace W R & Co Mieszanka hydraulicznego cementu, imidyzowany polimer akrylowy i sposób wytwarzania imidyzowanego polimeru akrylowego
WO1995011204A1 (fr) 1993-10-21 1995-04-27 Chichibu Onoda Cement Corporation Composition a base aqueuse et auto-nivelante
US5840114A (en) * 1995-06-21 1998-11-24 W. R. Grace & Co.-Conn. High early-strength-enhancing admixture for precast hydraulic cement and compositions containing same
MY114306A (en) 1995-07-13 2002-09-30 Mbt Holding Ag Cement dispersant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and cement composition using dispersant
GB9602084D0 (en) * 1996-02-02 1996-04-03 Sandoz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organic compounds
TW419447B (en) 1996-02-22 2001-01-21 Nippon Catalytic Chem Ind Cement composition
KR100247527B1 (ko) 1996-04-03 2000-03-15 겐지 아이다 시멘트분산방법및시멘트조성물
US6384111B1 (en) 1996-12-20 2002-05-07 Basf Aktiengesellschaft Polymers containing carboxyl groups and polyalkylene ether side- chains as additives in mineral building materials
DE19834173A1 (de) * 1997-08-01 1999-02-04 Sueddeutsche Kalkstickstoff Copolymere auf Basis von ungesättigten Dicarbonsäure-Derivaten und Oxyalkylenglykol-Alkenylethern
US5854386A (en) * 1997-08-25 1998-12-29 Arco Chemical Technology, L.P. Stabilizers for polymer polyols
DE19833603C2 (de) 1998-07-25 2000-06-15 Economic Versicherungs Vermitt Verwendung von Zinn(II)sulfat
US6641661B1 (en) 2000-05-26 2003-11-04 W. R. Grace & Co.-Conn. High early strength cement and additive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FR2815627B1 (fr) * 2000-10-25 2003-09-05 Coatex Sas Procede pour ameliorer la resistance mecanique notamment "aux jeunes ages" des matrices cimentaires, matrices cimentaires ainsi obtenues et leurs utilisations
DE10125237A1 (de) 2001-05-22 2002-11-28 Basf Ag Wasserlösliche Polymerisate von Estern aus Acrylsäure und Alkylpolyalkylenglykolen
DE10125238A1 (de) * 2001-05-22 2002-11-28 Basf Ag Wasserlösliche Polymerisate von Estern aus Acrylsäure, Methacrylsäure und Alkylpolyalkylenglykolen
SE524154C2 (sv) * 2002-11-07 2004-07-06 Procedo Entpr Ets Förfarande för framställning av blandcement med reducerande koldioxidemissioner
FR2864455B1 (fr) * 2003-12-24 2006-03-17 Coatex Sas Utilisation de polymeres hydrosolubles structures obtenus par polymerisation radicalaire controlee comme dispersant et agent d'aide au broyage de matieres minerales
US20080227890A1 (en) * 2004-06-21 2008-09-18 Sika Technology Ag Cement Grinding Aid
US7232875B1 (en) * 2006-05-09 2007-06-19 Lyondell Chemical Technology, L.P. Preparation of comb-branched polyme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1081A (ko) * 2017-12-29 2019-07-09 (주)에스엠테크 디아민 화합물과 알루미네이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광물 미분쇄용 분쇄조제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광물의 미분쇄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517318A (ja) 2009-04-30
US20080293850A1 (en) 2008-11-27
EP1963020A2 (de) 2008-09-03
US8119727B2 (en) 2012-02-21
ES2899947T3 (es) 2022-03-15
WO2007063030A3 (de) 2007-07-19
EP1963020B1 (de) 2021-09-15
WO2007063030A2 (de) 2007-06-07
DE102005057896A1 (de) 2007-06-14
EP1963020B8 (de) 2021-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81011A (ko) 시멘트-함유 제제를 위한 분쇄제로서의 빗형 중합체의 용도
US8022120B2 (en) Comb polymers and their use as additives for preparations of mineral binders
EP1179517B1 (en) Cement dispersant and cement composition comprising this
EP1103570B2 (en) Cement admixtures and its use
US7629411B2 (en) Method for producing (poly-C2-C4 alkylene glycol)-mono(meth)acrylic esters
JP4484259B2 (ja) 不飽和ジカルボン酸誘導体およびオキシアルキレングリコール−アルケニルエーテルに基づくコポリマー、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使用
US20060172916A1 (en) Use of a polymer dispersant as a fluidising agent for hydraulic binder compositions and preparation thereof
JP5328667B2 (ja) アルコキシ基を有する重合可能なカルボン酸エステルの製造方法
JP5909359B2 (ja) セメント混和剤用共重合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当該共重合体を含むセメント混和剤
CN102239215B (zh) 含共聚物混合物的分散剂
RU2524198C2 (ru) Диспергирующее вещество, содержащее сополимерную смесь
US20090018240A1 (en) Use of Water-Soluble or Water-Dispersible Polymers as Additives in Mineral Building Materials
US7579421B2 (en) Polymers that are soluble in water or can be dispersed in water and contain alkoxylated diallylamine derivatives
JP2004002174A (ja) セメント混和剤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089212A (ja) セメント混和液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2969672A (zh) 水硬性组合物用添加剂及水硬性组合物
JP5581461B1 (ja) セメント混和剤用共重合体(塩)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これを用いたセメント組成物
JP5582411B2 (ja) セメント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