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8438A -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인터넷접속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인터넷접속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8438A
KR20080078438A KR1020070018580A KR20070018580A KR20080078438A KR 20080078438 A KR20080078438 A KR 20080078438A KR 1020070018580 A KR1020070018580 A KR 1020070018580A KR 20070018580 A KR20070018580 A KR 20070018580A KR 20080078438 A KR20080078438 A KR 200800784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page
information
list
variable
user 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8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9811B1 (ko
Inventor
함강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8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9811B1/ko
Priority to US12/021,944 priority patent/US20080209337A1/en
Priority to EP20080001963 priority patent/EP1962206A3/en
Priority to CN2008100810427A priority patent/CN101252745B/zh
Publication of KR20080078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8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9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9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4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s or networks with limited capabilitie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 port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75Indicating network or usage conditions on the use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5Retrieval from the web using information identifiers, e.g. uniform resource locators [UR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인터넷 접속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인터넷 접속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설정 홈페이지 정보 및 가변 홈페이지 정보를 함께 표시하는 단계; 표시된 홈페이지 정보에서 어느 한 홈페이지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홈페이지로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인터넷 접속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인터넷 접속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CONNECTING INTERNET USING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인터넷 접속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가변 홈페이지 리스트가 업데이트 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2에서 사용자 설정 홈페이지 리스트 및 가변 홈페이지 리스트가 표시되는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이동통신 단말기 110: 제어부
120: 표시부 130: 입력부
131: 로터리키 140: 저장부
150: 무선 통신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을 통하여 정보를 검색하는 방법은 개인용 컴퓨터(PC)를 이용하여 유선으로 인터넷에 접속한 다음 특정 엔진을 통하여 검색하는 방법과 인터넷 접속기능을 구비한 단말기를 이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이 가운데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해서 웹 브라우징을 수행하는 경우에 자신이 원하는 웹 사이트에 접속하기 위하여 해당 웹 사이트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이용하여야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해서 웹 사이트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단말기에 내장된 무선 웹 브라우저를 구동시킨 후, 접속하고자 하는 인터넷 주소를 일일이 입력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설정하는 홈페이지 정보 및 접속된 홈페이지의 접속정보에 따라 가변적인 홈페이지 정보를 함께 디스플레이하게 하여 인터넷 접속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해서 인터넷에 접속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인터넷 접속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설정 홈페이지 정보 및 가변 홈페이지 정보를 함께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홈페이지 정보에서 어느 한 홈페이지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홈페이지로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인터넷 접속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 설정 홈페이지 정보 및 가변 홈페이지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 설정 홈페이지 정보 및 가변 홈페이지 정보를 함께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된 홈페이지 정보에서 한 홈페이지 선택을 위한 입력부; 상기 선택된 홈페이지로의 접속 명령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접속 명령 신호에 따라 상기 선택된 홈페이지로 접속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인터넷 접속방법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이동하면서 통신을 할 수 있는 전자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휴대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터 등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도로서,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제어부(110), 표시부(120), 입력부(130), 저장부(140) 및 무선 통신부(150)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도 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인터넷 접속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먼저, 표시부(120)를 통해 사용자 설정 홈페이지 정보 및 가변 홈페이지 정보를 함께 표시한다(S10). "사용자 설정 홈페이지 정보"란 사용자가 선호하는 홈페이지에 명칭 또는 해당 웹 사이트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포함하는 정보로, 사용자의 입력부(130) 조작에 의해 입력되어 저장부(14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저장된 사용자 설정 홈페이지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는 사용자의 입력부(130) 조작에 의해 편집되어 저장부(140)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넷 홈페이지 주소의 일례인 "www.naver.com"를 네이버로 저장할 수도 있고, naver로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인터넷 주소에 해당하는 홈페이지 이름은 디폴트되어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설정 홈페이지 정보는 사용자가 자신의 선호도에 따라 저장해 놓은 홈페이지 주소 또는 홈페이지 이름을 일정한 순서로 기재해 놓은 리스트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를 편의상 "사용자 설정 홈페이지 리스트"라고 부를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130)를 조작하여 인터넷 홈페이지 주소 또는 홈페이지 이름을 입력할 수 있고, 입력된 홈페이지 주소 또는 이름을 사용자 설정 홈페이지 리스트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3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 구성에 따라 키패드, 터치 스크 린, 터치 패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스크롤키(scroll key), 로터리키(rotary key), 죠그셔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로터리키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하겠다.
또한, 사용자 설정 홈페이지 정보는 표시부(120) 상에 리스트로 표시되지 않고, 단순한 항목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즐겨찾기"라는 항목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20) 상에 사용자 설정 홈페이지 정보로 항목 및 상기 항목에 대응되는 리스트를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가변 홈페이지 정보"란 사용자가 접속한 홈페이지에 대한 접속정보에 따라 변하는 홈페이지 정보를 말한다.
물론 상기 가변 홈페이지 정보도 표시부(120) 상에서 리스트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를 편의상 "가변 홈페이지 리스트"라 부를 수 있다. 상술한 가변 홈페이지 리스트의 예로 최근 접속 홈페이지 리스트, 최빈 접속 홈페이지 리스트, 최장 접속 홈페이지 리스트 등이 있다. 최근 접속 홈페이지 리스트는 최근에 접속한 시간 순서로 홈페이지(홈페이지 명칭 또는 홈페이지 주소)를 리스트화 시켜 놓은 것을 말한다.
최빈 접속 홈페이지 리스트는 사용자가 접속한 홈페이지의 접속횟수가 많은 순서(역순서 포함)로 홈페이지(홈페이지 명칭 또는 홈페이지 주소)를 리스트화 시켜놓은 것을 말한다. 최장 접속 홈페이지 리스트는 접속시간이 많은 순서(역순서 포함)로 홈페이지(홈페이지 명칭 또는 홈페이지 주소)를 리스트화 시켜놓은 것을 말한다.
따라서 상기 가변 홈페이지 리스트는 접속정보에 근거하여 업데이트될 수 있다. 업데이트 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3은 도 2의 가변 홈페이지 리스트가 업데이트 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특정 홈페이지로 접속한다(S110). 특정 홈페이지에 접속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설정 홈페이지 리스트를 통해서 특정 홈페이지로 접속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홈페이지 주소를 직접 입력하여 접속할 수도 있으며, 가변 홈페이지 리스트를 통해서든 특정 홈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특정 홈페이지에 대한 접속정보를 산출한다(S120). 여기서 "접속정보"라 함은 홈페이지 접속에 관련된 정보를 말하는 것으로, 그 예로는 홈페이지에 접속한 접속시각, 접속을 유지한 접속시간, 접속한 홈페이지에 대한 접속횟수 등이 있다. 접속시각은 홈페이지에 접속을 개시한 시각을 말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2007년1월1일 오전 10시"가 접속시각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접속시간은 접속을 유지한 시간으로 예를 들어, "2시간 10분"이 접속시간이 될 수 있다. 또한, 접속횟수는 특정 홈페이지에 접속한 횟수로, 예를 들어 "7회"가 접속횟수가 될 수 있다. 접속횟수를 산출할 경우, 기간을 정해서(예를 들면, 최근 6개월 동안) 산출할 수도 있다.
상기 산출된 접속정보에 근거하여 가변 홈페이지 리스트는 업데이트 되어 저장부(140)에 저장된다(S130, S140). 예를 들어, 가변 홈페이지가 리스트가 최근 접속 홈페이지 리스트일 경우, 접속시각에 근거하여 업데이트 될 수 있고, 가변 홈페이지 리스트가 최빈 접속 홈페이지 리스트일 경우, 접속횟수에 근거하여 업데이트 될 수 있다. 그리고 가변 홈페이지 리스트 업데이트에 근거되는 접속정보는 접속시간이 미리 설정된 임계시간 이상일 경우만 산출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는 사용자가 검색을 위해 다른 홈페이지 접속된 시간이 매우 짧은 경우, 접속정보로서 무의미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는 최빈 접속 홈페이지 리스트 업데이트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의 임계시간은 사용자가 설정할 수도 있고, 이동통신 단말기에 디폴트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술한 업데이트는 리스트 순서의 재배열, 리스트에 저장될 홈페이지의 명칭 또는 주소의 추가 또는 리스트에 저장된 홈페이지의 명칭 또는 주소의 삭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변 홈페이지 정보는 표시부(120) 상에 리스트로 표시되지 않고, 단순한 항목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최근목록"이라는 항목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20) 상에 가변 홈페이지 정보로 항목 및 상기 항목에 대응되는 리스트를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사용자 설정 홈페이지 정보 및 가변 홈페이지 정보가 리스트 형태로 표시된 예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설정 홈페이지 리스트의 명칭은 "즐 겨찾기"로 표시될 수 있고, 가변 홈페이지 리스트의 명칭은 "최근목록"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가변 홈페이지 리스트에서 적어도 하나의 홈페이지 명칭을 복사하거나 잘라내어 사용자 설정 홈페이지 리스트에 옮겨 저장할 수도 있다. 특히, 입력부(130)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된 경우, 상기 가변 홈페이지 리스트에 표시된 홈페이지 중 적어도 하나의 홈페이지가 터치를 통해 상기 사용자 설정 홈페이지 리스트로 드래그(drag) 될 수 있다.
한편, 표시되는 리스트의 홈페이지 개수는 표시부(120)의 사이즈 따라 그 수가 제한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표시되는 리스트의 홈페이지 개수가 사용자 설정 홈페이지 리스트 개수 및 가변 홈페이지 리스트 개수를 각각 5개로 제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표시되는 리스트의 개수가 제한된 경우는 6번 순위 이후의 홈페이지는 입력부(130)의 조작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예들 들어, 방향키나 숫자 키 등의 키 신호 입력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인을 위해 사용자는 스크롤키나 로터리키를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설정 홈페이지 정보 및 가변 홈페이지 정보 모두 항목 형태로만 표시될 수도 있다. 그러한 예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항목 형태로 표시된 경우, 어느 한 항목을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항목에 해당하는 홈페이지 리스트가 확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사용자 설정 홈페이지 리스트의 홈페이지 개수 및 가변 홈페이지 리스트의 홈페이지 개수 자체가 정해긴 개수를 초과하지 못하도록 제한될 수도 있다.
한편, 표시부(120)에 표시되는 리스트의 화면은 그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화면 크기를 자신의 원하는 사이즈로 조절하여 볼 수 있다.
또한, 표시부(120) 상에서 사용자 설정 홈페이지 정보 및 가변 홈페이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개의 항목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된 항목 중 어느 한 항목에 대응되는 홈페이지 리스트도 함께 표시될 수 있다. 그와 같이, 표시된 예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에 따라 표시부(120)에 표시되는 화면은 방향키 또는 탭터치(입력부(130)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될 경우)를 통해 (a)<->(b)<->(c)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도 4 내지 도 6의 방법으로 표시된 홈페이지 정보에서 자신이 접속하고자 하는 홈페이지 리스트를 선택할 수 있다(S20). 전술한 항목 선택 및 접속 홈페이지 선택은 입력부(130)의 조작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입력부(130)는 조작의 편의를 위해 키패드,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스크롤키(scroll key), 로터리키(rotary key), 죠그셔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통통신 단말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로터리키(131)가 구비되어 있다. 로터리키(131)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면 또는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로터리키(131)라 함은 원통형의 바(bar) 형상으로 내부에 회전축(미도시)이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로터리키(131)의 몸체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키 입력 장치이다. 상기 회전을 통해 접속하고자 하는 홈페이지로 커서를 이동시켜, 접속하고자 하는 홈페이지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로터리키(131) 조작을 통해 접속하고자 하는 홈페이지의 선택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홈페이지 선택은 상기 입력부(130)에 구비된 키 중 선택하고자 하는 홈페이지에 매칭되는 단축키 신호 입력을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단축키의 일례로 숫자키가 있다. 즉, 사용자가 숫자키 "4"를 입력하면 "다음"이 선택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선택된 인터넷 홈페이지로 접속된다(S30). 상기의 접속은 제어부(110)에서 발생하는 접속 명령 신호에 따라 무선 통신부(150)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하는 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인터넷 접속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방송 채널에 접속할 때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인터넷 접속방법은 사용자가 설정하는 홈페이지 리스트 및 접속된 홈페이지의 접속정보에 따라 가변적인 홈페이지 리스트를 함께 디스플레이하게 하여 인터넷 접속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입력부의 구성을 다양하게 구성하여 인터넷 접속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0)

  1. 이동통신 단말기의 인터넷 접속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설정 홈페이지 정보 및 가변 홈페이지 정보를 함께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홈페이지 정보에서 어느 한 홈페이지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홈페이지로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인터넷 접속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사용자 설정 홈페이지 정보 및 상기 가변 홈페이지 정보를 사용자 설정 홈페이지 리스트 및 가변 홈페이지 리스트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인터넷 접속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사용자 설정 홈페이지 정보 및 상기 가변 홈페이지 정보를 적어도 2개의 항목으로 표시하되, 상기 표시된 항목 중 어느 한 항목에 대응되는 홈페이지 리스트도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인터넷 접속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사용자 설정 홈페이지 정보 및 상기 가변 홈페이지 정보를 2개의 항목 으로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항목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항목에 대응되는 홈페이지 리스트를 확대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인터넷 접속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홈페이지 정보는
    최빈 접속 홈페이지 리스트, 최근 접속 홈페이지 리스트 및 최장 접속 홈페이지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인터넷 접속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홈페이지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홈페이지는
    상기 사용자 설정 홈페이지 리스트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인터넷 접속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페이지가 터치를 통해 상기 사용자 설정 홈페이지 리스트로 드래그(drag)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인터넷 접속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홈페이지 정보는
    상기 접속된 홈페이지의 접속정보에 근거하여 업데이트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인터넷 접속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정보는
    상기 접속한 홈페이지의 접속시각, 접속시간 및 접속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인터넷 접속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는
    상기 접속된 홈페이지의 접속 시간이 미리 설정된 임계 시간 이상인 경우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인터넷 접속방법.
  11. 사용자 설정 홈페이지 정보 및 가변 홈페이지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 설정 홈페이지 정보 및 가변 홈페이지 정보를 함께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된 홈페이지 정보에서 한 홈페이지 선택을 위한 입력부;
    상기 선택된 홈페이지로의 접속 명령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접속 명령 신호에 따라 상기 선택된 홈페이지로 접속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이동통신 단말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사용자 설정 홈페이지 정보 및 상기 가변 홈페이지 정보를 사용자 설정 홈페이지 리스트 및 가변 홈페이지 리스트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사용자 설정 홈페이지 정보 및 상기 가변 홈페이지 정보를 적어도 2개의 항목으로 표시하되, 상기 표시된 항목 중 어느 한 항목에 대응되는 홈페이지 리스트를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설정 홈페이지 정보 및 상기 가변 홈페이지 정보를 2개의 항목으로 표시하게 하고,
    상기 입력부 조작에 의해 상기 표시된 항목 중 한 항목이 선택된 경우, 상기 표시부로 하여금 상기 선택된 항목에 대응되는 홈페이지 리스트를 확대 디스플레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홈페이지 정보는
    최빈 접속 홈페이지 리스트, 최근 접속 홈페이지 리스트 및 최장 접속 홈페이지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스크롤키 및 로터리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홈페이지 선택은 상기 스크롤키 신호 또는 상기 로터리키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표시부상에서 커서의 위치를 선택하고자 하는 홈페이지로의 이동을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홈페이지 선택은 상기 입력부에 구비된 키 중 선택하고자 하는 홈페이지에 매칭되는 단축키 신호 입력을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변 홈페이지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홈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설정 홈페이지 리스트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고,
    상기 이동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페이지가 터치를 통해 상기 사용자 설정 홈페이지 리스트로 드래그(drag)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홈페이지 정보는
    상기 접속된 홈페이지의 접속정보에 근거하여 업데이트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70018580A 2007-02-23 2007-02-23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인터넷접속방법 KR101349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8580A KR101349811B1 (ko) 2007-02-23 2007-02-23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인터넷접속방법
US12/021,944 US20080209337A1 (en) 2007-02-23 2008-01-29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accessing the internet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P20080001963 EP1962206A3 (en) 2007-02-23 2008-02-01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accessing the internet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2008100810427A CN101252745B (zh) 2007-02-23 2008-02-22 移动通信终端以及使用移动通信终端访问因特网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8580A KR101349811B1 (ko) 2007-02-23 2007-02-23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인터넷접속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8438A true KR20080078438A (ko) 2008-08-27
KR101349811B1 KR101349811B1 (ko) 2014-01-10

Family

ID=39495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8580A KR101349811B1 (ko) 2007-02-23 2007-02-23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인터넷접속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80209337A1 (ko)
EP (1) EP1962206A3 (ko)
KR (1) KR101349811B1 (ko)
CN (1) CN10125274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2741A (ko) * 2010-02-10 2011-08-18 (주)티아이스퀘어 대화형 영상 홈페이지를 발신단말에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02469109B (zh) * 2010-10-29 2014-11-05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中浏览器主页的显示方法及装置
CN102291461A (zh) * 2011-08-17 2011-12-21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在无线终端中添加快捷方式的方法、系统及其装置
KR20130046482A (ko) * 2011-10-28 2013-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기본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CN103581936B (zh) * 2012-07-20 2018-11-23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在移动终端中用于确定网络状态的方法、装置和设备
US20150046788A1 (en) * 2013-08-07 2015-02-12 Lenovo (Singapore) Pte. Ltd. Dynamic browser homepage changing
CN111083567B (zh) * 2018-10-19 2022-02-08 武汉斗鱼网络科技有限公司 直播客户端首页配置系统、存储介质、电子设备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08839B1 (en) * 1996-12-19 2001-03-27 Motorola, Inc. Remote token based information acquistion system
US20020018051A1 (en) * 1998-09-15 2002-02-14 Mona Singh Apparatus and method for moving objects on a touchscreen display
US6560640B2 (en) * 1999-01-22 2003-05-06 Openwave Systems, Inc. Remote bookmarking for wireless client devices
JP4498523B2 (ja) * 2000-02-29 2010-07-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ブックマークリスト表示方法、及び携帯電話機
US20020032750A1 (en) * 2000-05-16 2002-03-14 Kanefsky Steven T. Methods and systems for searching and managing information on wireless data devices
US7251775B1 (en) * 2000-06-30 2007-07-31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visual history presentation and management
US6590568B1 (en) * 2000-11-20 2003-07-08 Nokia Corporation Touch screen drag and drop input technique
US20020087621A1 (en) * 2000-12-29 2002-07-04 Hendriks Chris L. Method and system to manage internet user navigation data
US6934917B2 (en) * 2001-04-20 2005-08-2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utomatic selection of favorite media selections of a user of a media presentation device
US7155425B2 (en) * 2001-05-15 2006-12-26 Nokia Corporation Mobile web services
US7469153B2 (en) * 2001-08-30 2008-12-23 Nokia Corporation Mobile telecommunications device browser
JP2003091470A (ja) * 2001-09-17 2003-03-28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通信端末
US7110790B2 (en) * 2001-10-03 2006-09-19 Nokia Corporation Quick access list for previously accessed network addresses
US20030073433A1 (en) * 2001-10-16 2003-04-17 Hossein Djelogiry Mobile telecommunications device
AU2003226194A1 (en) * 2002-04-05 2003-10-27 Thomson Licensing S.A. Browser with setting saving feature
US7570943B2 (en) * 2002-08-29 2009-08-04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xt sensitive recommendations to digital services
JP2004272329A (ja) * 2003-03-05 2004-09-30 Nec Corp 携帯端末装置
US8373660B2 (en) * 2003-07-14 2013-02-12 Matt Pallakoff System and method for a portable multimedia client
US20070162298A1 (en) * 2005-01-18 2007-07-12 Apple Computer,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esenting data items
US8564544B2 (en) * 2006-09-06 2013-10-22 Apple Inc. Touch scre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ustomizing display of content category icons
US8805449B2 (en) * 2006-11-07 2014-08-12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 terminals and methods with rapid input string match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52745B (zh) 2011-05-25
US20080209337A1 (en) 2008-08-28
CN101252745A (zh) 2008-08-27
KR101349811B1 (ko) 2014-01-10
EP1962206A2 (en) 2008-08-27
EP1962206A3 (en) 2009-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9811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인터넷접속방법
US9189500B2 (en) Graphical flash view of documents for data navigation on a touch-screen device
US8799806B2 (en) Tabbed content view on a touch-screen device
KR101296008B1 (ko) 스크롤바 컨트롤
US9280278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to organize and manipulate information on a graphical user interface via multi-touch gestures
KR20080078291A (ko) 브라우저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단말기
CN106131650B (zh) 一种视频处理方法及移动终端
US20070180381A1 (en) Browser application
US9110582B2 (en) Mobile terminal and screen change control method based on input signals for the same
US9619446B2 (en) Generating customize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obile processing devices
US20110022957A1 (en) Web browsing method and web browsing device
US20130147849A1 (en) 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screen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reas and method thereof
US20150301697A1 (en) A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 portable computing device
CN106354520B (zh) 一种界面背景切换方法及移动终端
US20080295018A1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providing an adaptive forward button for a browser application
US8522162B2 (en) Mini toolbar user interface
JP5587875B2 (ja) 電子メディアのブラウジング方法
JP2006211527A (ja) 携帯電話機
US10137373B2 (en)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6113463B2 (ja) 情報処理プログラム、リンク管理装置、表示システム及び表示方法
JP2017068645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EP2189888A1 (en) A method and apparatus to dynamically arrange a virtual key position in a hierarchical structure
EP2000924A1 (en) Electronic device with web browser
KR20060004140A (ko) 접속 목록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 인터넷 접속방법
JP2012014495A (ja) 選択項目制御装置、選択項目制御方法、及び選択項目制御用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