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8042A - 여과포 수술중 보조제로서 아네코르타브 아세테이트의 용도 - Google Patents

여과포 수술중 보조제로서 아네코르타브 아세테이트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8042A
KR20080078042A KR1020087016572A KR20087016572A KR20080078042A KR 20080078042 A KR20080078042 A KR 20080078042A KR 1020087016572 A KR1020087016572 A KR 1020087016572A KR 20087016572 A KR20087016572 A KR 20087016572A KR 20080078042 A KR20080078042 A KR 200800780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ministration
administered
eye
glaucoma
surg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6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란 엘. 로빈
Original Assignee
알콘,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콘,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알콘, 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80078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80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61K31/58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e.g. danazol, stanozolol, pancuronium or digitogen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61K31/57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hain of two carbon atoms, e.g. pregnane or progesterone
    • A61K31/573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hain of two carbon atoms, e.g. pregnane or progesterone substituted in position 21, e.g. cortisone, dexamethasone, prednisone or aldoster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61P27/06Antiglaucoma agents or m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Steroid Compounds (AREA)
  • Prosthese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과포 수술 부위에 아네코르타브 아세테이트를 투여함으로써 고안압증을 조절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여과포 수술중 보조제로서 아네코르타브 아세테이트의 용도{USE OF ANECORTAVE ACETATE AS AN ADJUNCT DURING FILTRATION BLEB SURGERY}
[발명의 배경]
본 출원은 2005년 12월 23일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 60/753,511호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녹내장 여과 수술에 대한 보조제로서 결막밑 또는 테논낭하의 주사를 통해 투여되는 혈관억제 스테로이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관련 기술의 설명]
"녹내장"은 미국에서, 흑인 및 히스패닉계에서 비가역성 실명의 주요 원인이고, 미국에서 백인중에서 실명의 두번째 주요 원인이며, 개발도상국 및 비개발도상국가 모두를 포함하는 모든 국가에서 실명의 주요 원인인 일련의 쇠약화 안 질환이다. 질환은 40세 이상의 모든 성인의 0.4% 내지 3.3%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된다 (Leske, M. C. et al. (1983); Bengtsson, B. (1989); Strong, N. P. (1992)). 더욱이, 질환의 유병율은 연령에 따라 증가하여 75세 이상의 노인의 6%를 넘는다 (Strong, N. P., (1992)). 2010년도까지, 전세계적으로 6천50만명의 사람이 개방각 녹내장 및 폐쇄각 녹내장에 걸릴 것이고, 2020년도까지 7천9백60만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 (Quigley and Broman 2006). 모든 녹내장에서, 눈의 압력을 낮추는 것은 질환의 발달의 속도를 감소시키는 것 및 장애 및 실명에 대한 진행 속도를 감소시키는 것과 강하게 관련되어 있다. "안압 (IOP)"으로 나타내어지는 눈의 압력을 낮추는 것은 이러한 질환을 성공적으로 치료하는 유일한 공지된 방법이다. 본 발명자들은 IOP에서 매 1 mm Hg를 감소시키는 것은 약 10%의 진행성 손상의 기회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고 있다.
녹내장의 병인은 미국 및 다른 국가에서 여전히 많은 연구의 대상이다. 질환의 원인은 아직도 완전히 명백하지 않지만, 눈의 잔기둥 그물 (trabecular meshwork)이 이러한 질환에서 특히, 눈에서의 유체 역학의 유지와 관련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특히, 잔기둥 그물이 제대로 기능하지 않는다면, 이러한 기능장애는 안구방수 (aqueous humor)의 통상적인 능력의 상대적인 폐쇄를 유발하여, 눈 및 IOP 상승 상태를 남겨두게 되어, 만약 알맞게 적시의 방식으로 치료되지 않는다면, 진행성 시각 손실, 시각 장애 및 실명을 야기한다.
안압의 상승은 또한,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사용하여 염증성 질환을 치료하는 결과로 발생할 수도 있다. 코르티코스테로이드, 특히 글루코코르티코이드는 현재 다양한 염증성 질환을 치료하는데 사용된다. 최근 수년 동안, 예를 들어, 글루코코르티코이드는 의학계에서 눈의 뒷쪽의 특정한 장애를 치료하는데 사용되어 왔고, 특히 하기와 같다: Kenalog®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나이드), Celestone Soluspan® (베타메타손 소듐 포스페이트), Depo-Medrol® (메틸프레드니솔론 아세 테이트), Decadron® (덱사메타손 소듐 포스페이트), Decadron L. A.® (덱사메타손 아세테이트), 및 Aristocort® (트리암시놀론 디아세테이트). 이러한 방식으로 치료된 장애는 정맥 폐색 및 당뇨 망막병증 다음의 황반부종을 포함한다. 트리암시놀론은 또한 백내장 수술 후 투여되었고, 다른 유리체 망막병증과 관련된 황반부종이 있는 눈에 투여되었다.
이들 제품은 통상, 국소적으로 안구주위 주사를 통해, 또는 염증성 장애 치료를 위한 유리체내 주사로 투여된다. 효능이 있고, 안전한 요법이 부족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망막 부종 및 연령관련 황반변성 (AMD)의 치료를 위해 글루코코르티코이드를 사용하는 것에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Bausch & Lomb 및 Control Delivery Systems는 최근, 황반부종의 치료를 위한 유리체내 이식물을 통해 전달되는 플루오시놀론 아세토나이드에 대한 FDA 승인을 얻었다. Oculex Pharmaceuticals는 지속적인 황반부종을 위한 덱사메타손 이식물을 연구중이다. 또한, 안과의사들은 난치성 낭 당뇨 황반부종 및 삼출 AMD의 치료를 위한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나이드의 유리체내 주사로 실험하고 있다.
글루코코르티코이드를 투여하여 염증성 장애를 치료하는 것은 또한, 안압의 증가를 유발할 수 있다는 것으로 공지되었다. 글루코코르티코이드는 잔기둥 그물에서 미오실린 (myocilin, MYOC)의 발현을 증가시켜, 미오실린 단백질 분비를 증가시킬 수 있다. MYOC는 원래 차별적으로 발현되는 유전자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로 발견되었고, 녹내장 환자에서 발견되는 돌연변이를 가진 녹내장 연결 부위 GLC1A에 지도화된다 (mapped). 그것은 잔기둥 그물을 포함하는 다양한 조직으로 발 현된다. 글루코코르티코이드의 투여로부터 야기되는 MYOC의 발현 증가는 잔기둥 그물의 울혈을 유발하며, 이는 차례로 IOP의 상승을 유발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많은 저자들이 유리체내 트리암시놀론 주사와 관련된 IOP 상승 빈도 및 기간을 문서화하였다. IOP 상승은 빠르면 4일내에 발생할 수 있고, 60 mm Hg에 근접하거나, 이를 능가하는 IOP에 도달할 수 있다 (Singh et al. 2004). 통상적으로, IOP 상승은 스테로이드 주사 후, 2 내지 3주에 시작하고 (Epstein et al. 1997), 6 내지 8개월간 지속된다 (Jonas 2003; Jonas 2004). IOP를 낮추는 약물처치의 국소 적용은 IOP 증가를 일부 경감시켰으나, 많은 경우에, 안구 조직에 대한 손상을 피할 정도로 충분히 IOP를 낮추지는 않는다. 더욱이, 많은 환자가 다중의 IOP를 낮추는 약물처치를 처방받고, 그들 모두는 국소 적용을 통해 자가 투여해서 그들의 상승한 IOP를 다루어야 한다.
글루코코르티코이드로 눈의 뒷쪽의 이러한 장애를 치료하는 것이 효과적임에도 불구하고, 가장 흔한 합병증의 하나는 IOP의 갑작스러운 스테로이드 관련 상승이었고, 이는 수일 이내에 발생할 수 있고, 적어도 6개월간 지속되며, 상승된 IOP를 낮추기 위한 약물처치를 요하며, 유리체내 또는 눈 주변에서 약물이 계속적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심각한 시력을 위협하는 합병증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IOP 상승의 병인은 부분적으로만 이해된다. 글루코코르티코이드의 투여 후, 잔기둥 그물 세포의 형태적 및 생화학적 변화가 있다. 이들 변화는 증가된 세포 크기 및 세포골격 재구성을 포함하고, 잔기둥 그물 세포에서 미오실린 mRNA의 상당한 유도에 부분적으로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원인과 상관없이, 상승된 IOP를 나타내는 환자에게 현재 가능한 치료법은 전형적으로, IOP를 낮추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점안약 또는 환제를 1일당 1회 내지는 1일당 수회 국소 적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생성된 안구방수의 양을 감소시키는 환제는 1일당 2 내지 4회로 제공될 수 있다. 초기 녹내장이 있는 사람들의 대략 40% (Ocular Hypertensive Treatment Study; "OHTS") 및 녹내장이 더 진행된 사람들의 대략 75% (Collaborative Initial Glaucoma Treatment Study; "CIGTS")는 IOP를 적절히 낮추기 위해 하나 이상의 녹내장 약물처치를 요한다.
순응도 (compliance) 및 보조제 요법 둘다 녹내장 요법에서 중요한 문제점이다. 더욱이, 현재의 안압 (IOP) 저하 약물처치는 투여량당 24 시간을 초과하는 간격으로 통상적으로 제공될 수 없다. 모든 현재의 녹내장 요법은 국소적 또는 경구적으로 제공되고, 다른 IOP-저하 약물처치에 첨가되었을 때, 통상적으로 IOP 저하에서 부가적인 25% 감소를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상당수의 환자에서, 하나 이상의 기존 IOP-저하 약물처치의 국소 적용을 통해 IOP를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 이러한 환자에서 IOP의 적절한 조절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종종 통상적인 녹내장 여과 수술 또는 션트 (shunt)가 필요하다.
많은 개인들은 점안약을 취할 수 없고 (Sleath et al., 2000), 환제는 그것들과 관련된 많은 관련 유해 사례를 가지므로, 50% 이상의 환자는 심지어 단기간의 사용에서조차 그것들을 견딜 수 없다. 또한, 많은 환자들은 국소적 약물처치 사용을 위해 처방된 치료법에 따르지 않는다. 의학 치료법이 복잡할수록, 환자는 요법 을 덜 고수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Robin and Covert, 2005). 처방된 치료법의 유효성 및 환자에 대한 이점은 환자가 그 또는 그녀의 약물처치를 적절히 취하지 않음에 따라 감소하게 된다. 더욱이, 일단 진단을 받고 약물처치를 처방받은 많은 환자들은, 통상적인 정기적 진찰 (follow up)로 돌아가는데 실패한다 (Nordstrom et al., 2005).
치료법에 대한 환자 순응도를 조사한 문헌을 재검토하면서, 5가지 상태에 포함되었던 안 장애 (즉, 녹내장)는 의학적 상태 순응도 목록의 바닥으로 하락한 것이 발견되었다 (DiMatteo 2004). 안 질환 환자에 대한 낮은 순응 속도는 부분적으로, 처방된 1일 투여량의 회수, 처방된 약물처치 수, 투여 경로, 순응도 평가 방법 및 순응도 조사 기간의 지속기간을 포함하는, 치료요법 변동과 관련된 것으로 생각된다. 일부 문헌은 점안약 치료법에 대한 순응도가 40% 내지 78% 범위인 것으로 추정하였다 (Gurwitz et al. 1998; Spooner et al. 2002; Lee et al. 2000; Patel and Spaeth 1995; Claxton et al. 2001). 원인이 무엇이든지 비순응도는 안압의 부적절한 조절 및 시야의 증가된 손실을 유도한다.
현재 가능한 IOP-저하 약물처치는 일부 환자에서 IOP의 상승을 적절히 조절할 수 없다. 이러한 경우, 통상적인 여과 수술 또는 션트로의 외과적 시술이 요구될 수 있다. 이러한 수술은 특히, 다수의 부가적인 실패 위험 및 여과 수술에 대한 합병증을 가질 수 있는 대상의 그룹에서 상당한, 내재된 위험을 갖는다.
제한없이, 섬유주절제 및 관선 또는 밸브의 삽입 둘다를 포함하는 여과 수술은 의학적 요법을 요하는 녹내장 환자에 대하여 및 처방된 약물처치 치료법에 대한 내성이 없거나, 또는 IOP를 적절히 낮추는데 불충분한 경우에 1차 요법 및 마지막 수단 둘다로써 지시된다. 사실, 제한없이, 포도막염 또는 신생혈관 녹내장을 포함하는 일부 유형의 녹내장에서는 수술이 바람직한 초기 시술이다. 바람직한 시행 패턴 (Preferred Practice Pattern) 및 진보된 녹내장 시술 조사 (Advanced Glaucoma intervention study)는 둘다 수술이 녹내장 요법에 대하여 안전하고, 효과적임을 제안한다. 협력적 초기 녹내장 시술 조사 (Collaborative Initial Glaucoma Intervention Study) 및 안과학의 바람직한 시행 패턴의 미국 아카데미 (American Academy of Ophthalmology's Preferred Practice Pattern)는 초기 녹내장이 있는 환자에 대하여, 환자들에게는 의학적, 레이저 및 여과 수술에 있어 선택권이 제공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여과 수술은 수포라고 하는 저장소의 생성에 기초한다. 구멍은 안구방수가 눈의 전방 및 결막밑 공간 사이를 지나도록 하는 눈의 벽에 형성된다. 이러한 구멍 또는 수포는 흉터를 닫아서는 안되고, 그렇지 않으면 배출 시스템내에서 만들어진 유체가 적절히 기능할 수 없다. 안구방수는 수포를 통해 눈물막으로 빠져나간다.
많은 눈에서, 눈 흉터 안쪽에서 이러한 구멍 또는 수포는 닫히고, 수술은 소용없게 된다. 5 플루오로우라실 및 미토마이신 C와 같은 항대사물질이 사용되었으나, 백내장 형성, 저안압, 후기 수포 누출 및 안구내염과 같은 문제점이 수반되었다. 필요한 것은 최소한의 수 및 중증성의 부작용으로 성공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약물처치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녹내장 여과 수술 도중 또는 이후에 결막밑 공간 및 테논낭하 공간에 혈관억제 코티센 (angiostatic cortisene)과 같은 혈관억제제를 투여함으로써 녹내장을 치료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하나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공막편에 흉터를 남기는 것을 예방하고, 전방 및 테논낭하/결막밑 공간 사이에 개구수술이 외과적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피스추얼화 수술 (fistualization surgery)후에 열린 채로 있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녹내장에 의해 IOP가 증가된 환자에서 안압 (IOP)을 낮춘다. 본 발명의 방법은 수포 여과 수술을 받은, 치료를 요하는 환자에게 치료적 유효량의 혈관억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혈관억제제는 테논낭하/결막밑 투여에 의해 눈의 전안부에 투여될 것이다. 혈관억제제를 투여하는 다른 바람직한 방법은, 앞 데포 (anterior depot) (수포 수술 부위내 주사), 관주 용액 (irrigating solution) 또는 안구내 이식물의 삽입을 포함한다.
수포 수술 부위에서 신생혈관증식 및 흉터 조직을 예방할 수 있는 임의의 혈관억제제가 숙고되면서, 본 발명의 방법에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혈관억제제는 아네코르타브 아세테이트로도 공지된 4,9(11)-프레그나디엔-17α,21-디올-3,20-디온-21-아세테이트, 또는 그의 대응하는 알콜인 아네코르타브 데스아세테이트 (anecortave desacetate)로도 공지된 4,9(11)-프레그나디엔-17α,21-디올-3,20-디온이다.
전형적으로, 혈관억제제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투여된 조성물중에 0.005 내지 5.0 중량%의 농도로 존재할 것이다. 다른 측면에서, 테논낭하, 결막밑 또는 공막옆 (juxtascleral) 투여에 의해 투여되는 혈관억제제의 양은 일반적으로 약 3 mg 내지 약 30 mg일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 투여되는 혈관억제제의 양은 약 12 mg 내지 약 27 mg일 것이다. 가장 바람직하게, 투여되는 혈관억제제의 양은 약 21 mg 내지 약 27 mg일 것이다.
하기 도면은 본 명세서의 일부를 형성하고, 본 발명의 특정 측면을 추가로 설명하기 위해 포함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도면을 본원에 나타낸 특정 구체예의 상세한 설명과 조합하여 참고함으로써 더욱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5명의 환자중에, 여과포 수술 부위에서 시간에 따른 아네코르타브 아세테이트의 투여의 IOP 저하 효과를 예시한다.
본 발명은 부분적으로, 녹내장 여과 수술 도중 또는 이후에 결막밑 공간 및/또는 테논낭하 공간에서 혈관억제제를 투여하는 것이 현재 사용되는 방법보다, 이러한 수술에서 IOP 저하 효과를 유지하는데 더욱 효과적임을 발견한 것에 기초한다.
아네코르타브 아세테이트는 안구 신생혈관증식의 억제를 위해 개발된 혈관억제제이다. 아네코르타브 아세테이트는 기본 코티솔 구조에 대한 특정한 화학적 변화의 결과이다. 이들 변화는 혈관 성장을 억제하지만,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수용체-매개 스테로이드성 부작용은 만들어내지 않는 혈관억제 "코티센"의 생성을 야기하였다. 예비 임상 데이터는 아네코르타브 아세테이트가 측정가능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음을 보여주고 (Clark AF. AL-3789: a novel ophthalmic angiostatic steroid. Exp. Opin. Invest. Drugs 1997; 6: 1867-77; McNatt LG, Weimer L, Yanni J and Clark AF. Angiostatic activity of steroids in the chick embryo CAM and rabbit cornea models of neovascularization. J. Ocular Pharm. Therap. 1999; 15(5): 413-23), 안구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부작용 (예: 상승된 안압 또는 가속화된 백내장 진행)의 임상적인 증거는 없다. 아네코르타브 아세테이트는 플라스미노겐 활성인자 억제제 1을 상향 조절 (upregulate)하고, 혈관 성장 도중 혈관내피 세포 이동에 필요한 두가지 효소인 유로키나제-유사 플라스미노겐 활성인자 및 매트릭스 금속단백분해효소-3 둘다를 억제하는 독특한 혈관억제제이다 (DeFaller JM and Clark AF. A new pharmacological treatment for angiogenesis. In Pterygium, Taylor, HR (ED.) The Hague: Kugler Publications, 2000; 159-181; Perm JS, Rajaratnam VS, Collier RJ and Clark AF. The effect of an angiostatic steroid on neovascularization in a rat model of retinopathy of prematurity. Invest. Ophthalmol. Vis. Sci. 2001; 42: 283-90.). 각막, 망막 및 맥락막 신생혈관증식 모델에서의 예비 임상 데이터는 혈관 성장의 억제에 대한 이러한 약제의 효능을 지지한다 (DeFaller JM and Clark AF. A new pharmacological treatment for angiogenesis. In Pterygium, Taylor, HR (ED.) The Hague: Kugler Publications, 2000; 159-181; Penn JS, Rajaratnam VS, Collier RJ and Clark AF. The effect of an angiostatic steroid on neovascularization in a rat model of retinopathy of prematurity. Invest. Ophthalmol. Vis. Sci. 2001; 42: 283-90; Clark 1997; McNatt et al. 1999; BenEzra D, Griffin BW, Naftzir G, Sharif NA and Clark AF. Topical formulations of novel angiostatic steroids inhibit rabbit corneal neovascularization. Invest. Ophthalmol. Vis. Sci. 1997; 38: 1954-62). 본 발명자들은 아네코르타브 아세테이트가 수포에서의 흉터 조직 형성을 예방하여, 녹내장 환자에 대한 수술의 성공을 증가시킴으로써 여과포 수술 부위에서 유용하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아네코르타브 아세테이트와 같은 혈관억제제는 가장자리 근처의 눈의 전방 부분에 테논낭하 투여에 의해, 수포 여과 수술을 받은 환자에게 투여된다. 혈관신생을 억제하는 약제는 혈관억제제, 항불안제 또는 혈관영양성 약제와 같은 다양한 용어로 공지되었다. 본 명세서의 목적을 위하여, "혈관억제제"는 혈관신생을 억제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나, 스테로이드와 관련된 글루코코르티코이드 활성이 없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하기에 가장 바람직한 화합물은 아네코르타브 아세테이트로도 공지된 4,9(11)-프레그나디엔-17α,21-디올-3,20-디온-21-아세테이트이다.
택일적으로, 혈관억제제는 여과포 수술 부위에서 관주 용액을 통해 전방 공막옆 데포, 또는 유리체내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은 해당 분야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제제화되고, 요구되는 특별한 투여 경로에 의존한다. 바람직하게, 조성물은 표 1에 설명된 제제를 가진다.
표 1
성분 양 (중량%)
4,9(11)-프레그나디엔-17α,21-디올-3,20-디온-21-아세테이트 0.1 - 5.0
틸록사폴 0.01 - 0.05
HPMC 0.5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0.01
염화나트륨 0.8
에데테이트 디소듐 0.01
NaOH/HCl pH 7.4가 되도록 하기에 충분한 양
정제수 100 mL가 되도록 하기에 충분한 양
본 발명의 방법에서, 아네코르타브 아세테이트는 상승된 IOP를 저하시키는데 더욱 효과적으로 기능하도록, 바람직하게는 테논낭하, 결막밑 또는 공막옆 주사를 통해 눈의 가장자리 근처, 수포 여과 수술 부위, 또는 그안에 투여된다. 이러한 투여 경로를 통해 투여된 아네코르타브의 양은 약 3 mg 내지 약 30 mg이다. 바람직하게, 투여된 아네코르타브의 양은 약 12 mg 내지 약 27 mg이다. 가장 바람직하게, 투여된 아네코르타브의 양은 약 21 mg 내지 약 27 mg이다. 투여를 위한 가장 바람직한 투여량은 아네코르타브 아세테이트 24 mg이다. 택일적으로, 테논낭하 또는 결막밑 투여에 의해 투여된 조성물중에 혈관억제제의 바람직한 농도는 0.005 내지 5 중량%이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를 나타내기 위해 포함된다. 해당 분야의 숙련자는 이후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이 본 발명을 실행하는데 제대로 기능하도록 본 발명자들에 의해 발견된 대표적인 기술을 나타내는 것을 인식해야 하고, 따라서, 그의 실행을 위한 바람직한 방식을 구성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그러나, 해당 분야의 숙련자는 본 명세서에 비추어, 많은 변화가 개시된 특정한 구체예에서 만들어질 수 있고, 여전히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비슷하거나,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실시예 1
원발 개방각 녹내장이 있는 5명의 환자의 눈의 아래 또는 아래관자사분역 (inferior temporal quadrant)에서 수포 여과 수술 부위에 테논낭하 투여를 통해 아네코르타브 아세테이트 약 24 mg을 단일 투여하였다. 5개의 눈 (5명의 대상)은 인공수정체였거나, 또는 이전의 섬유주절제가 실패한 것이었다. 수술의 마지막에 3% 아네코르타브 아세테이트 현탁액 0.8 cc를 30 게이지 니들로 수포내에 주사하였다. 눈을 1일, 1주, 1개월 및 6개월간 매달, 그 후에는 3개월마다 주시하였다.
평균 기저점 IOP는 25.4 +/- 3.7 mm Hg였다. 9개월까지, 평균 IOP는 4명 (80%)의 IOP가 < 17 mm Hg이고, 임의의 녹내장 약물처치 없이는 IOP에서 > 30% 감소함이 있는 15.8 +/- 10.1 mm Hg였다 (참조 도 1). 심각한 감각이상 (dysasthesia) 또는 시각적 손실은 없었다. 눈 하나는 부가적인 수술을 필요로 하는 전방출혈이 있었고, 결국은 실패하였다 (환자의 다른 눈 또한 미토마이신 C를 사용하여 수술에 실패하였다).
본원에서 개시하고, 청구한 모든 조성물 및/또는 방법은 본 명세서에 비추어 과도한 실험없이 제조하고,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 및 방법을 바람직한 구체예에 의해 기술하였지만, 해당 분야의 숙련자에게는 본원에 기술한 방법의 단계 또는 일련의 단계에서 본 발명의 개념,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조성물 및/또는 방법에 변화를 적용할 수 있음이 명백할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화 학적 및 구조적으로 모두 관련된 특정한 약제는 본원에 기술한 약제를 대체하여, 유사한 결과를 달성할 수 있음이 명백할 것이다. 해당 분야의 숙련자에게 명백한 모든 이러한 대체 및 변화는 첨부한 청구항에 의해 한정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신, 범위 및 개념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명세서에 인용한 모든 참고 문헌은 본원에서 참조로 포함하였다.

Claims (8)

  1. 안압 상승 환자에 수포 여과 수술을 수행하고, 수술 도중에 상기 환자에게 치료적 유효량의 혈관억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눈의 전안부에 태논낭하 투여, 결막밑 투여, 앞쪽 공막옆 데포 (depot) 투여, 여과포 수술 부위 투여, 관주 용액 투여, 유리체내 주사 투여 및 이식물 투여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안압 상승 환자에서 안압을 저하시키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혈관억제제는 4,9(11)-프레그나디엔-17α,21-디올-3,20-디온-21-아세테이트 및 4,9(11)-프레그나디엔-17α,21-디올-3,20-디온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혈관억제제는 0.005 내지 5.0 중량%의 농도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여과포 수술 부위에서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투여되는 혈관억제제의 양은 3 mg 내지 약 30 m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투여되는 혈관억제제의 양은 약 24 m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앞쪽 공막옆 데포 투여를 통해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유리체내 주사 또는 이식물을 통해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87016572A 2005-12-23 2006-12-22 여과포 수술중 보조제로서 아네코르타브 아세테이트의 용도 KR2008007804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5351105P 2005-12-23 2005-12-23
US60/753,511 2005-12-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8042A true KR20080078042A (ko) 2008-08-26

Family

ID=38067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6572A KR20080078042A (ko) 2005-12-23 2006-12-22 여과포 수술중 보조제로서 아네코르타브 아세테이트의 용도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1962857A2 (ko)
JP (1) JP2009521511A (ko)
KR (1) KR20080078042A (ko)
CN (1) CN101346145A (ko)
AU (1) AU2006330531A1 (ko)
BR (1) BRPI0620411A2 (ko)
CA (1) CA2631838A1 (ko)
WO (1) WO2007076467A2 (ko)
ZA (1) ZA20080505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25406A1 (en) * 2005-10-14 2008-05-29 Robin Alan L Method for Treating Primary and Secondary Forms of Glaucoma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98356A (en) * 1995-08-07 1998-08-25 Alcon Laboratories, Inc. Angiostatic compounds
WO1997041867A1 (en) * 1996-05-09 1997-11-13 Alcon Laboratories, Inc. Use of steroid compounds to prevent non-cancerous tissue growth
US6011023A (en) * 1997-08-27 2000-01-04 Alcon Laboratories, Inc. Angiostatic steroids
US6489305B1 (en) * 1998-05-08 2002-12-03 Canji,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ocular diseases
US20050239760A1 (en) * 2004-04-23 2005-10-27 Alcon, Inc. Angiostatic agents and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controlling ocular hyperten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6330531A1 (en) 2007-07-05
BRPI0620411A2 (pt) 2011-11-08
JP2009521511A (ja) 2009-06-04
EP1962857A2 (en) 2008-09-03
WO2007076467A3 (en) 2007-08-16
ZA200805052B (en) 2009-10-28
WO2007076467A2 (en) 2007-07-05
CA2631838A1 (en) 2007-07-05
CN101346145A (zh) 2009-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97491A1 (en) Method for treating primary and secondary forms of glaucoma
US20080125406A1 (en) Method for Treating Primary and Secondary Forms of Glaucoma
Cunningham Jr et al. Practical approach to the use of corticosteroids in patients with uveitis
US20050245497A1 (en) Treatment of ophthalmic conditions
Grzybowski et al. The role of steroids and NSAIDs in prevention and treatment of postsurgical cystoid macular edema
JP2007056041A (ja) 病的な眼の新脈管形成を処置するための糖質コルチコイド処方物
Grzybowski et al. Dexamethasone intraocular suspension: a long-acting therapeutic for treating inflammation associated with cataract surgery
Kerr et al. The safety and efficacy of supraciliary stenting following failed glaucoma surgery
KR20080078042A (ko) 여과포 수술중 보조제로서 아네코르타브 아세테이트의 용도
US20070043006A1 (en) Formulations of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agents to treat pathologic ocular angiogenesis
EP1380302B1 (en) Remedies for retina and choroid diseases containing steroids as the active ingredient
JP2007500250A5 (ko)
Aswin Outcome of glaucoma surgery in patients on prostaglandin analogues
Agahan et al. Intracameral Triamcinolone for the Treatment of Hyphema and Post-Surgical Iridocyclitis
MX2008007884A (en) Use of anecortave acetate as an adjunct during filtration bleb surgery
CN101365456A (zh) 治疗原发性和继发性形式的青光眼的方法
Waseem et al. Comparison of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dexamethasone and diclofenac sodium eye drops in phacoemulsification
Levison Noninfectious Uveitis: Systemic and Local Corticosteroids
Farooq et al.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steroid induced glaucoma in vernal keratoconjunctivitis patients
Edema OZURDEX®(dexamethasone intravitreal implant) 0.7 mg for Treating Macular Edema Following Retinal Vein Occlusion: A Case-Based Discussion
ZA200509532B (en) Formulations or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agents to treat pathologic ocular angiogenesis
SA06270472B1 (ar) طريقة لمعالجة النوعين الاولي والثانوي للغلوكوم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