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7525A - 케이블 방송 시스템 및 그의 설문조사방법 - Google Patents

케이블 방송 시스템 및 그의 설문조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7525A
KR20080077525A KR1020070017189A KR20070017189A KR20080077525A KR 20080077525 A KR20080077525 A KR 20080077525A KR 1020070017189 A KR1020070017189 A KR 1020070017189A KR 20070017189 A KR20070017189 A KR 20070017189A KR 20080077525 A KR20080077525 A KR 200800775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estionnaire
message
user
cab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7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현
Original Assignee
(주)지에스강남방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에스강남방송 filed Critical (주)지에스강남방송
Priority to KR1020070017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77525A/ko
Publication of KR20080077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75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08Management of client data
    • H04N21/25816Management of client data involving client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8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providing answers, e.g. vo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2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messages, e.g. warnings, rem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18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cable transmission, e.g. using a cable mod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사용자들로부터 신속하고 신뢰성 있는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케이블 방송 시스템 및 그의 설문조사방법에 관한 것으로, 케이블 방송 전송부에서, 사용자 정보를 유형별로 저장하는 단계, 설문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사용자를 선택하는 단계, 전송하고자 하는 설문 메시지에 선택된 사용자의 식별 정보가 포함되도록 설문 메시지를 암호화 및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케이블 방송 수신부에서, 수신된 설문 메시지의 사용자 식별 정보가 미리 저장된 사용자 식별 정보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설문 메시지를 복호화하여 신호처리하는 단계, 신호처리된 설문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디스플레이된 설문 메시지를 사용자가 응답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설문 메시지에 대한 설문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며, 케이블 방송 전송부에서, 수신된 설문 응답 신호를 저장하는 단계, 저장된 설문 응답을 분석하여 설문 결과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Figure P1020070017189
설문메시지암호화부, 경품추첨부, 분석부, 케이블 카드

Description

케이블 방송 시스템 및 그의 설문조사방법{cable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for surveying questionnaire response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방송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방송 시스템의 설문조사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케이블 방송 전송부 12 : 케이블 방송 수신부
21 : 사용자 정보 메모리부 22 : 설문 메시지 메모리부
23 : 설문 응답 메모리부 24 : 설문 메시지 암호화부
25 : 제어부 26 : 분석부
27 : 송/수신부 28 : 경품추첨부
29 : 설문결과메시지 생성부 32,33 : 데이터 송/수신부
34 : 신호처리부 37 : 케이블 카드
41 : 설문메시지창 생성부
본 발명은 케이블 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들로부터 신속하고 신뢰성 있는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케이블 방송 시스템 및 그의 설문조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전 방송 전파가 공식적으로 송출되기 시작한 이래, 텔레비전 전파를 수신하는 수신기는 기존의 어떤 미디어보다도 빠른 속도로 확산되었고, 그에 따라 수많은 방송 콘텐츠들이 양산되기 시작하였다.
또한, 지식의 전달과 정보의 공유라는 측면에서, 텔레비전 방송은 많은 역할을 기여해 왔다.
하지만, 방송 프로그램을 제작하고 송출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시설과 자본의 투자가 병행되어야 하고, 이러한 제약은 다양한 소비자들의 요구를 따라 잡기에는 부족한 점들이 많았다.
이러한 요구에 부흥하여 기존의 공중파 방송국보다 적은 투자로 특화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케이블 방송국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케이블 방송을 수신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텔레비전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이외에도 셋탑박스(set-top box)와 같은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였다.
셋탑박스란 방송 수신 및 다양한 부가 기능 구현이 가능한 제어용 박스를 의미하는 것으로, 디지털 방송이 본격화되기 전까지는 특정 방송사업자로부터의 방송데이터 수신이 주된 기능이었다.
그러나, 셋탑박스의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하면서 방송 수신은 물론 통신기능, 개인영상 저장장치 기능, 전자적 프로그램 가이드 기능 등 다양한 부가 기능을 구현하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케이블 방송 시스템은 헤드 엔드(head end)라 불리는 송출시스템, 셋탑박스와 같은 오픈케이블(OpenCable) 장치라 불리는 케이블 방송 수신기, POD(Point of Depolyment) 장치라 불리는 케이블 카드(cable card)로 크게 구성된다.
송출 시스템은 케이블 방송 신호를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케이블 방송 수신기는 송출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케이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케이블 카드는 보안 및 수신 제한 기능 등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케이블 방송 시스템에서, 송출시스템은 여러 케이블 방송 프로그램들을 압축하여 인밴드(InBand)라 불리는 채널내로 전송하고, 해당하는 방송 프로그램 등에 관련된 정보들을 아웃오브밴드(Out Of Band)라 불리는 대역외채널로 전송하면, 사용자는 케이블 방송 수신기를 통해서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즐길 수 있었다.
따라서, 케이블 방송 제공업자들은 이러한 케이블 방송 시스템을 통해 방송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다양한 서비스들을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또한, 케이블 방송 제공업자들은 사용자들에게 더욱 다양한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자들로부터 많은 정보들을 얻을 필요성이 있었다.
그러므로, 이들은 사용자들로부터 정보를 얻기 위하여,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을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많은 정보를 수집할 수 있었다.
설문조사의 방식은 인터넷 등과 같은 통신망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케이 블 방송 사이트에 접속하여 설문조사에 응하는 온라인 방식을 이용하거나, 또는 대인 면접조사, 집단심층 면접조사, 전화조사, 우편을 통한 조사 등을 이용한 오프라인 방식을 이용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설문조사 방식은 설문조사에 대한 분석결과를 도출하기까지 많은 노력과 시간 및 비용을 들게 할뿐 아니라 수집한 정보의 신뢰성도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시스템에서는 사용자들로 하여금 설문조사에 대해 적극적으로 응답할 수 있게 하는 특별한 수단이 없었기 때문에 많은 정보를 얻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들에게 선택적으로 설문 자료를 제공하고, 신속하게 설문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케이블 방송 시스템 및 그의 설문조사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경품을 통해 사용자들이 적극적으로 설문조사에 응하도록 하여 신뢰성이 높은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케이블 방송 시스템 및 그의 설문조사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광고와 함께 설문 자료를 제공하여 수익성을 높일 수 있는 케이블 방송 시스템 및 그의 설문조사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방송 시스템의 설문조사방법은 케이블 방송 전송부에 서,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여 다양한 유형별로 저장하는 단계와, 사용자 정보 중 설문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사용자를 선택하는 단계와, 전송하고자 하는 설문 메시지에 선택된 사용자의 식별 정보가 포함되도록 설문 메시지를 암호화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케이블 방송 수신부에서, 케이블 방송 전송부로부터 설문 메시지를 수신하여 설문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자의 식별 정보가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식별 정보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설문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자의 식별 정보가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식별 정보와 일치한다면 설문 메시지를 복호화하여 신호처리하는 단계와, 신호처리된 설문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디스플레이된 설문 메시지를 사용자가 응답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디스플레이된 설문 메시지를 사용자가 응답하였다면 설문 메시지에 대한 설문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며, 케이블 방송 전송부에서, 케이블 방송 수신부로부터 설문 응답 신호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저장된 설문 응답을 분석하여 설문 결과 메시지를 케이블 방송 수신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신호처리된 설문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신호처리된 설문 메시지와 특정 OSD(On Screen Display) 신호를 합성하여, 설문 메시지 창을 생성하는 단계와, 생성된 설문 메시지 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생성된 설문 메시지 창에 소정 광고가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저장된 설문 응답을 분석하여 설문 결과 메시지를 케이블 방송 수신부로 전송하는 단계이후에, 설문 메시지에 응답한 사용자 중에서 소정 방식에 따라 경품 추첨하여 추첨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방송 시스템은 사용자 정보를 유형별로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메모리부와, 설문 메시지를 저장하는 설문 메시지 메모리부와, 사용자 정보 메모리부와 설문 메시지 메모리부로부터 설문 메시지와 설문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사용자를 선택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사용자에게 전송할 설문 메시지를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설문 메시지에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포함시키는 설문 메시지 암호화부와, 암호화된 설문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방송 전송부와, 그리고 케이블 방송 전송부로부터 설문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수신된 설문 메시지를 복호화하는 케이블 카드와, 복호화된 설문 메시지를 신호처리하는 신호처리부와, 신호처리된 설문 메시지와 특정 OSD(On Screen Display) 신호를 합성하여, 설문 메시지 창을 생성하는 설문 메시지 창 생성부와, 생성된 설문 메시지 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설문 메시지의 설문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부와, 케이블 카드, 설문 메시지 창 생성부, 전송부를 제어하고, 수신된 설문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자의 식별 정보가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식별 정보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여 설문 메시지의 차단 또는 복호화 여부를 결정하며, 디스플레이된 설문 메시지를 사용자가 응답하였는지를 판단하여 설문 메시지의 설문 응답 신호 전송 또는 설문 메시지의 재디스플레이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방송 수신부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케이블 방송 전송부는, 케이블 방송 수신부로부터 설문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설문 응답 정보를 저장하는 설문 응답 메모리부와, 저장된 설문 응답 정보를 분석하는 분석부와, 분석부의 결과에 따라 설문 결과 메시지를 생성하는 설문 결과 메시지 생성부와, 설문 메시지에 응답한 사용자 중에서 소정 방식에 따라 경품 추첨하는 경품 추첨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케이블 방송 수신부는, 디스플레이된 설문 메시지를 사용자가 확인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설문 메시지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잇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방송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케이블 방송 시스템은 크게 케이블 방송 전송부(11)와, 케이블 방송 수신부(12)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케이블 방송 전송부(11)는 사용자 정보 메모리부(21), 설문 메시지 메모리부(22), 설문 응답 메모리부(23), 설문 메시지 암호화부(24), 제어부(25), 분석부(26), 송/수신부(27), 경품 추첨부(28), 설문 결과 메시지 생성부(29)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케이블 방송 수신부(12)는 오디오 및 비디오 수신부(31), 데이터 수신부(32), 데이터 송신부(33), 신호처리부(34), 디코더(35), 디먹스(36), 케이블 카드(37), 제어부(38), 키입력부(39), 메모리부(40), 설문 메시지 창 생성부(41), 디스플레이부(42)로 구성될 수 있다.
케이블 방송 전송부(11)는 설문 조사를 하고자 하는 특정 지역이나 특정인들에게만 설문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하여 설문 메시지를 가공하는 곳으로서, 케이블 방송 시스템의 인밴드 튜너 또는 아웃밴드 튜너를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케이블 방송 전송부(11)의 제어부(25)는 외부로부터 사용자(케이블 방송의 가입자 등)의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정보 메모리부(21)에 저장한다.
이 때, 제어부(25)는 설문 메시지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 정보를 다양한 유형별로 저장하는데, 예를 들면 사용자가 사는 지역, 사용자의 성, 사용자의 나이, 사용자의 직업, 사용자의 취향 등을 구분하여 그룹별로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이유는 사용자의 설문 조사가 필요한 경우, 설문 조사에 해당하는 사용자 그룹을 한 번에 선택할 수 있으므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설문 메시지를 가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제어부(25)는 사용자 정보를 필요로 하는 방송 제공업자 또는 광고업자 등으로부터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전송할 다양한 설문 메시지들과 설문 메시지에 삽입될 광고 등을 설문 메시지 정보 메모리부(22)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5)는 사용자들로부터 설문 메시지에 대한 설문 응답 신호를 수신하여 설문 응답 데이터를 설문 응답 메모리부(23)에 저장한다.
다음, 분석부(26)는 설문 응답 메모리부(23)에 저장된 설문 응답 데이터들을 분석하여 소정의 설문 응답 처리 규칙에 따라 편집하고, 에러가 있는 설문 응답 데 이터들은 삭제한다.
이어, 설문 결과 메시지 생성부(29)는 분석부(26)로부터 편집된 설문 응답 데이터들을 종합하여 설문 응답에 대한 결과 메시지를 생성한다.
그리고, 설문 메시지 암호화부(24)는 제어부(25)에 의해 설문 메시지 메모리부(22)로부터 선택된 설문 메시지를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설문 메시지에 사용자 정보 메모리부(21)로부터 선택된 사용자의 식별 정보가 포함되도록 가공한다.
다음, 케이블 방송 전송부(11)의 송/수신부(27)는 외부로부터 사용자 정보나 전달하고자 하는 설문 메시지를 수신하고, 케이블 방송 수신부(12)로부터 설문 메시지의 설문 응답 신호를 수신하며, 설문 메시지 암호화부(24)에 의해 암호화된 설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경품 추첨부(28)는 설문 메시지에 응답한 사용자의 정보들과 경품에 대한 다양한 정보들이 저장되고, 소정의 추첨 프로그램에 따라서, 경품 추첨을 수행하여 당첨된 사용자에게 소정의 경품이 지급되도록 추첨 결과 메시지를 전송한다.
한편, 케이블 방송 수신부(12)는 오디오와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오디오/비디오 수신부(31)와, 설문 메시지 등과 같은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33,32)를 포함하며, 경우에 따라서, 오디오/비디오 수신부(31) 및 데이터 송/수신부(33,32)가 하나의 튜너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신호처리부(34)는 인가되는 오디오/비디오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신호 처리한다.
이어, 케이블 카드(37)는 오디오/비디오 수신부(31) 및 데이터 수신부(32)로부터 인가되는 설문 메시지를 제어부(38)의 제어신호에 의해 복호화하거나, 또는 설문 메시지를 차단한다.
이 때, 케이블 카드(37)에는 사용자의 식별 정보가 저장되어 있어, 인가되는 설문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자의 식별 정보와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인가되는 설문 메시지가 정확하게 설문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전달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복호화된 설문 메시지는 디먹스(36)를 통해 역다중화되고, 다시 디코더(35)에 의해 디코딩된 다음, 신호 처리부(34)로 인가된다.
다음, 제어부(38)는 설문 메시지 창 생성부(41)에 제어 신호를 보내고, 설문 메시지 창 생성부(41)는 신호 처리된 설문 메시지와 특정 OSD(On Screen Display) 신호를 합성하여, 디스플레이부(42)에 설문 메시지가 포함된 설문 메시지 창을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설문 메시지 창은 팝-업(pop-up)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설문 메시지 창에는 설문 응답 여부 확인 버튼이 생성되어 사용자는 키입력부(18)를 통해 설문 응답 여부 확인 버튼을 누름으로써, 설문 메시지에 응답을 할 것인지, 또는 하지 않을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설문 메시지 창에 생성된 설문 응답 여부 확인 버튼 중 "예"버튼을 선택하면 설문 조사에 관련된 메시지들이 디스플레이되고, 설문 메시지의 설문 응답 신호가 케이블 방송 전송부(11)로 전송된다.
이와 대조적으로, 만일 사용자가 설문 메시지 창에 생성된 설문 응답 여부 확인 버튼 중 "아니오"버튼을 선택하면 설문 조사에 관련된 메시지들은 삭제되고, 설문 메시지의 설문 무응답 신호가 케이블 방송 전송부(11)로 전송된다.
또한, 만일 사용자가 설문 메시지 창에 생성된 설문 응답 여부 확인 버튼 중 "예"버튼 또는 "아니오"버튼을 아무것도 선택하지 않는다면, 소정 시간 후에 디스플레이부(42)로부터 설문 메시지는 자동 사라지고, 설문 응답 여부 확인 버튼이 선택되지 않은 설문 메시지는 메모리부(40)로 저장된다.
그리고, 메모리부(40)에 저장된 설문 메시지는 소정 시간 후에 다시 디스플레이부(42)에 디스플레이된다.
결국, 사용자는 설문 응답 여부 확인 버튼을 누름으로써, 설문 메시지가 사용자에게 정확하게 전달되었는지를 확인할 수가 있게 된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방송 시스템의 설문조사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방송 전송부(11)의 제어부(25)는 수신되는 사용자 정보와 설문 메시지 정보를 사용자 정보 메모리부(21)와 설문 메시지 메모리부(22)로 저장한다.(S11)
여기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각 개인의 정보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사는 지역, 사용자의 성, 사용자의 나이, 사용자의 직업, 사용자의 취향 등일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5)는 사용자 정보를 각 개인별로 저장할 수도 있고, 지역 별, 성별, 나이별, 직업별, 취향별 등으로 구분하여 그룹별로 저장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저장하는 이유는 사용자의 설문 조사가 필요한 경우, 설문 조사에 해당하는 사용자들을 일일이 서치하지 않고도, 신속하고 간편하게 사용자 그룹을 유형별로 서치할 수 있어, 신속하고 정확하게 설문 메시지를 가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제어부(25)는 사용자 정보를 필요로 하는 방송 제공업자, 광고업자, 설문조사 관련업체 등으로부터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전송할 다양한 설문 메시지들과 광고 내용들을 설문 메시지 메모리부(22)에 저장할 수 있다.
다음, 제어부(25)는 설문 메시지 메모리부(22)에 저장된 메시지들로부터 전송할 설문 메시지를 선택하고, 사용자 정보 메모리부(21)로부터 설문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하는 사용자 또는 사용자 그룹을 선택한다.(S12)
이어, 설문 메시지 암호화부(24)는 제어부(25)의 제어신호에 따라 선택된 설문 메시지를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설문 메시지에 전달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포함시켜 가공한다.(S13)
여기서, 사용자 식별정보는 케이블 카드에 저장된 사용자 식별 정보와 동일한 것으로 가공되어진다.
또한, 제어부(25)는 가공된 설문 메시지에 광고 내용을 포함시키거나, 또는 설문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될 시간 전후에 광고 내용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전송할 데이터 필드 내에 시간 정보 등을 삽입한다.
그리고, 송/수신부(27)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한 설문 메시지를 전달하 고자하는 사용자에게 전송한다.(S14)
한편,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방송 수신부(12)의 데이터 수신부(32)는 사용자 식별 정보가 포함된 설문 메시지를 수신하게 된다.(S21)
수신된 설문 메시지는 케이블 카드(37)로 인가되고, 제어부(38)는 수신된 메시지의 사용자 식별 정보와 케이블 카드(37)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 식별 정보가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S22)
판단 결과, 수신된 설문 메시지의 사용자 식별 정보와 케이블 카드(37)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 식별 정보가 일치한다면, 케이블 카드(37)는 제어부(38)의 제어신호에 따라 수신된 설문 메시지를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설문 메시지를 신호처리부(34)가 신호처리한다.(S23)
그러나, 판단 결과, 수신된 설문 메시지의 사용자 식별 정보와 케이블 카드(37)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 식별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다면, 케이블 카드(37)는 제어부(38)의 제어신호에 따라 수신된 설문 메시지를 차단한다.(S24)
다음, 설문 메시지 창 생성부(41)는 제어부(38)의 제어신호에 따라 신호처리된 설문 메시지와 특정 OSD(On Screen Display) 신호를 합성하여, 설문 메시지 창을 생성하고, 생성된 설문 메시지 창을 디스플레이부(42)에 디스플레이한다.(S25)
이어, 제어부(38)는 디스플레이된 설문 메시지 창에 생성된 설문 응답 여부 확인 버튼 중에서, 설문 응답 버튼 "예"를 선택하였는지를 판단한다.(S26)
만일, 설문 응답 버튼 "예"를 선택하였다면, 설문 조사에 관련된 메시지들이 디스플레이되고, 설문 메시지의 설문 응답 신호가 케이블 방송 전송부(11)로 전송 된다.(S27)
이와 대조적으로, 만일 사용자가 설문 메시지 창에 생성된 설문 응답 여부 확인 버튼 중에서, 설문 응답 버튼 "예"를 선택하지 않았다면, 설문 응답 버튼 "아니오"를 선택하였는지를 판단한다.(S28)
판단 결과, 설문 응답 버튼"아니오"를 선택하였다면, 설문 조사에 관련된 메시지들은 삭제되고, 설문 메시지의 설문 무응답 신호가 케이블 방송 전송부(11)로 전송된다.(S29)
또한, 만일 사용자가 설문 메시지 창에 생성된 설문 응답 여부 확인 버튼 중 "아니오"버튼을 선택하지 않는다면, 소정 시간 후에 디스플레이부(42)로부터 설문 메시지는 자동 사라지고, 설문 응답 여부 확인 버튼이 선택되지 않은 설문 메시지는 메모리부(40)로 저장된다.(S30)
그리고, 메모리부(40)에 저장된 설문 메시지는 소정 시간 후에 다시 디스플레이부(42)에 디스플레이된다.
결국, 사용자는 설문 응답 여부 확인 버튼을 누름으로써, 케이블 방송 전송부(11)는 설문 메시지가 사용자에게 정확하게 전달되었는지를 확인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방송 전송부(11)의 송/수신부(27)는 케이블 방송 수신부(12)로부터 설문 응답 신호 또는 설문 무응답 신호를 수신한다.(S41)
다음, 제어부(25)는 수신된 설문 응답 데이터를 설문 응답 메모리부(23)에 저장하고,(S42) 분석부(26)를 제어하여 설문 응답 메모리부(23)에 저장된 설문 응답 데이터들을 분석하고 소정의 설문 응답 처리 규칙에 따라 편집한다.(S43)
여기서, 분석된 설문 응답 데이터 중에서, 에러가 있는 설문 응답 데이터들은 삭제할 수 있다.
이어, 설문 결과 메시지 생성부(29)는 분석부(26)로부터 편집된 설문 응답 데이터들을 종합하여 설문 응답에 대한 결과 메시지를 생성한다.
그리고, 설문 메시지 암호화부(24)는 생성된 결과 메시지를 암호화 및 가공하여 케이블 방송 수신부(12)로 전송한다.(S44)
다음, 경품 추첨부(28)는 설문 메시지에 응답한 사용자의 정보들과 경품에 대한 다양한 정보들을 이용하여 소정의 추첨 프로그램에 따라서, 경품 추첨을 수행한 다음, 당첨된 사용자에게 소정의 경품이 지급되도록 추첨 결과 메시지를 생성한다.
이어, 설문 메시지 암호화부(24)는 생성된 추첨 결과 메시지를 암호화 및 가공하여 케이블 방송 수신부(12)로 전송한다.(S45)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들에게 설문 메시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고, 사용자들이 설문 조사에 적극적으로 응답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즉, 사용자 정보를 다양한 유형별로 저장함으로써, 설문 메시지를 전달하고자하는 사용자들을 신속하게 찾아낼 수 있고, 케이블 카드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식별 정보가 동일한 식별 정보를 가공된 설문 메시지에 포함시켜, 이들 식별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설문 메시지가 해당되는 사용자에게 정확하게 전달되도록 한다.
또한, 설문 메시지에 대해 사용자가 응답을 할 것인지에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확인하지 않은 설문 메시지는 재차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완전하게 인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설문 메시지에 광고 등을 삽입하여 수익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경품 추첨 등을 통해 사용자가 적극적으로 설문 조사에 응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방송 시스템 및 그의 설문조사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사용자들에게 선택적으로 설문 자료를 제공하고, 신속하게 설문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경품 추첨을 통해 사용자들이 적극적으로 설문조사에 응하도록 하여 신뢰성이 높은 정보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광고와 함께 설문 자료를 제공하여 수익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Claims (10)

  1. 케이블 방송 전송부와 케이블 방송 수신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방송 시스템의 설문조사방법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방송 전송부에서,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여 다양한 유형별로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정보 중 설문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사용자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설문 메시지에 상기 선택된 사용자의 식별 정보가 포함되도록 상기 설문 메시지를 암호화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케이블 방송 수신부에서, 상기 케이블 방송 전송부로부터 상기 설문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설문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자의 식별 정보가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식별 정보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설문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자의 식별 정보가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식별 정보와 일치한다면 상기 설문 메시지를 복호화하여 신호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신호처리된 설문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된 설문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가 응답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된 설문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가 응답하였다면 상기 설문 메시지에 대한 설문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며,
    상기 케이블 방송 전송부에서, 상기 케이블 방송 수신부로부터 상기 설문 응답 신호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설문 응답을 분석하여 설문 결과 메시지를 상기 케이블 방송 수신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방송 시스템의 설문조사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문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자의 식별 정보가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식별 정보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설문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자의 식별 정보와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식별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다면, 상기 설문 메시지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방송 시스템의 설문조사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된 설문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가 응답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된 설문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가 응답하지 않았다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설문 메시지를 확인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설문 메시지를 확인하였다면 설문 무응답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가 설문 메시지를 확인하지 않았다면 상기 설문 메시지를 저장하고, 소정 시간 이후에 상기 저장된 설문 메시지를 다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방송 시스템의 설문조사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여 다양한 유형별로 저장하는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지역별, 성별, 나이별, 직업별, 취향별, 개인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방송 시스템의 설문조사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된 설문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처리된 설문 메시지와 특정 OSD(On Screen Display) 신호를 합성하여, 설문 메시지 창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설문 메시지 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방송 시스템의 설문조사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설문 메시지 창에 소정 광고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방송 시스템의 설문조사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설문 응답을 분석하여 설문 결과 메시지를 상기 케이블 방송 수신부로 전송하는 단계이후,
    상기 설문 메시지에 응답한 사용자 중에서 소정 방식에 따라 경품 추첨하여 추첨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방송 시스템의 설문조사방법.
  8. 사용자 정보를 유형별로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메모리부와, 설문 메시지를 저장하는 설문 메시지 메모리부와, 상기 사용자 정보 메모리부와 상기 설문 메시지 메모리부로부터 상기 설문 메시지와 설문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사용자를 선택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전송할 설문 메시 지를 암호화하고, 상기 암호화된 설문 메시지에 상기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포함시키는 설문 메시지 암호화부와, 상기 암호화된 설문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방송 전송부;
    상기 케이블 방송 전송부로부터 설문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수신된 설문 메시지를 복호화하는 케이블 카드와, 상기 복호화된 설문 메시지를 신호처리하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신호처리된 설문 메시지와 특정 OSD(On Screen Display) 신호를 합성하여, 설문 메시지 창을 생성하는 설문 메시지 창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설문 메시지 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설문 메시지의 설문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부와, 상기 케이블 카드, 설문 메시지 창 생성부, 전송부를 제어하고, 상기 수신된 설문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자의 식별 정보가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식별 정보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설문 메시지의 차단 또는 복호화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된 설문 메시지를 사용자가 응답하였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설문 메시지의 설문 응답 신호 전송 또는 상기 설문 메시지의 재디스플레이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방송 수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방송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방송 전송부는,
    상기 케이블 방송 수신부로부터 상기 설문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설문 응답 정보를 저장하는 설문 응답 메모리부와, 상기 저장된 설문 응답 정 보를 분석하는 분석부와, 상기 분석부의 결과에 따라 설문 결과 메시지를 생성하는 설문 결과 메시지 생성부와, 상기 설문 메시지에 응답한 사용자 중에서 소정 방식에 따라 경품 추첨하는 경품 추첨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방송 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방송 수신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설문 메시지를 사용자가 확인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설문 메시지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방송 시스템.
KR1020070017189A 2007-02-20 2007-02-20 케이블 방송 시스템 및 그의 설문조사방법 KR200800775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7189A KR20080077525A (ko) 2007-02-20 2007-02-20 케이블 방송 시스템 및 그의 설문조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7189A KR20080077525A (ko) 2007-02-20 2007-02-20 케이블 방송 시스템 및 그의 설문조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7525A true KR20080077525A (ko) 2008-08-25

Family

ID=39880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7189A KR20080077525A (ko) 2007-02-20 2007-02-20 케이블 방송 시스템 및 그의 설문조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7752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72365B2 (en) 2009-02-13 2013-10-29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Information gathering system, terminal unit, program for information gathering, and program for a terminal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7559A (ko) * 2001-02-09 2001-07-13 김진수 여론 게이트웨이
KR20020016297A (ko) * 2000-08-25 2002-03-04 오민권 여론 조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040019134A (ko) * 2002-08-21 2004-03-05 (유)엔와이텔 유무선 연동 실시간 설문조사 시스템 및 조사방법
KR20040071359A (ko) * 2003-02-05 2004-08-12 주식회사휴웰테크놀로지 디지털 셋탑박스를 이용한 방송참여 및 설문조사 시스템과그 방법
KR20060097288A (ko) * 2005-03-05 2006-09-14 주식회사 미디어채널 인터넷 메신저를 이용한 리서치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6297A (ko) * 2000-08-25 2002-03-04 오민권 여론 조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010067559A (ko) * 2001-02-09 2001-07-13 김진수 여론 게이트웨이
KR20040019134A (ko) * 2002-08-21 2004-03-05 (유)엔와이텔 유무선 연동 실시간 설문조사 시스템 및 조사방법
KR20040071359A (ko) * 2003-02-05 2004-08-12 주식회사휴웰테크놀로지 디지털 셋탑박스를 이용한 방송참여 및 설문조사 시스템과그 방법
KR20060097288A (ko) * 2005-03-05 2006-09-14 주식회사 미디어채널 인터넷 메신저를 이용한 리서치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72365B2 (en) 2009-02-13 2013-10-29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Information gathering system, terminal unit, program for information gathering, and program for a terminal
US9172684B2 (en) 2009-02-13 2015-10-2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Information gather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77496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the insertion of local media into a program stream
CN102460578A (zh) 自动联系信息传输系统
JP3974921B2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05898419B (zh) 一种基于机顶盒的节目付费方法及系统
KR100733985B1 (ko) 특정 방송컨텐츠의 재생/저장을 위한 양방향 디지털 방송시스템 및 그 방법과, 그에 따른 양방향 디지털 방송 수신단말기 및 그 방법
JP3599085B2 (ja) 秘匿情報復号再生装置および秘匿情報復号再生方法
US881971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nd/or collecting viewership statistics
US10560207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argeted secondary content delivery
KR20080077525A (ko) 케이블 방송 시스템 및 그의 설문조사방법
US8677444B2 (en) Set-top box for receiving radio and television signals
KR20080083535A (ko) 케이블 방송 시스템 및 그의 메시지 전송방법
JP2007013685A (ja) 限定受信放送用icカード及びそれを使用する受信装置
JP2004193856A (ja) 双方向データ放送システムおよび情報提供方法
KR101137631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수신 제한 시스템 및 수신 제한 방법
KR100715470B1 (ko)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JP2006033183A (ja) 情報収集システム
JP4186976B2 (ja) 放送受信方法
KR100948487B1 (ko) 이동통신망 기반의 방송시청 권한 부여 시스템 및 방법,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서버
KR100900153B1 (ko) 방송망을 이용한 dmb 양방향 데이터 서비스 방법 및dmb 양방향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
KR101138126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수신 제한 시스템 및 방법
JPH09298733A (ja) 有料放送システムおよび放送受信端末
US20140201784A1 (en) Method for signal receiving
JP2008306622A (ja) 録画予約送信装置、番組録画装置および遠隔録画予約システム
JP2004015758A (ja) 放送テロップ効果測定方法
KR20090077526A (ko) 시청제한 장치, 시청제한 시스템 및 시청제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