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6361A - 공진공명장치를 이용한 이온정제유 제조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폐유 정제방법 - Google Patents

공진공명장치를 이용한 이온정제유 제조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폐유 정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6361A
KR20080076361A KR1020070016182A KR20070016182A KR20080076361A KR 20080076361 A KR20080076361 A KR 20080076361A KR 1020070016182 A KR1020070016182 A KR 1020070016182A KR 20070016182 A KR20070016182 A KR 20070016182A KR 20080076361 A KR20080076361 A KR 200800763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waste oil
water
waste
a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6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0387B1 (ko
Inventor
안준복
정호영
손석희
장진원
Original Assignee
신대한정유산업(주)
정호영
(주)그린하이테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대한정유산업(주), 정호영, (주)그린하이테코 filed Critical 신대한정유산업(주)
Priority to KR1020070016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0387B1/ko
Publication of KR20080076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6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0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0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1/0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 C10G1/02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by distil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3/0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xygen-containing organic materials, e.g. fatty oils, fatty acids
    • C10G3/40Thermal non-catalytic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31/00Refining of hydrocarbon oils, in the absence of hydrogen, b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10G31/09Refining of hydrocarbon oils, in the absence of hydrogen, b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10Feedstock materials
    • C10G2300/1003Waste materials
    • C10G2300/1007Used o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30/00Technologies relating to oil refining and petrochemical industry
    • Y02P30/20Technologies relating to oil refining and petrochemical industry using bio-feedstock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 For Refining Petroleu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진·공명장치를 이용한 고순도 이온정제유 제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폐유정제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폐유속의 고형물을 제거하는 여과장치와, 여과된 폐유를 저장하고 폐유 속의 수분을 활성화시키는 1차 저장부와, 용존성 금속이온성분을 결정성 광물성분으로 변환시키고 폐유입자의 장력과 점성을 낮추어 활성폐유로 변환시키는 공진·공명 장치와, 활성폐유의 유량을 분배하고 분별증류장치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폐가스를 이용해 활성폐유를 예열하는 유량분배 및 예열수단과, 활성폐유가 함유한 수분과 경질유분을 분리하는 분별증류장치와, 활성폐유 속의 고형물 미립자를 제거하고 잔여 수분을 분리하는 미립자 제거장치와, 미립자가 제거된 정제유를 저장하고 미세불순물 제거모듈을 통해 정제된 폐유를 출하하는 2차 저장부와 예열수단에서 나오는 폐가스를 정화하는 기능성 바이오필터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공진공명 장치를 이용한 고효율 폐유 정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폐유 정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진·공명장치, 활성폐유, 이온정제유

Description

공진공명장치를 이용한 고순도 이온정제유 제조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폐유 정제방법{HIGH QUALITY AN ION REFINING OIL MANUFACTURING SYSTEM USING A RESONANCE DEVICE AND REFINING METHOD OF WASTE OIL USING THEREOF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순도 이온정제유 제조 시스템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여과모듈장치의 바람직한 구성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여과모듈장치의 측면도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본 발명에 따른 다단여과모듈장치의 여과과정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여과모듈장치에 사용되는 여과망의 다양한 형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1차 저장부의 바람직한 구성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진공명장치의 바람직한 구성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량분배수단의 바람직한 구성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분별증류장치의 바람직한 구성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미립자 제거장치의 바람직한 구성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것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2차 저장부의 바람직한 구성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것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바이오필터의 바람직한 구성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것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온정제유 제조시스템을 이용한 폐유 정제방법의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폐유 200 : 다단여과모듈장치
300 : 1차 저장부 400 : 공진공명장치
500 : 유량분배장치 600 : 분별증류장치
700 : 미립자 제거장치 800 : 2차 저장부
900 : 기능성 바이오필터 1000 : 이온정제유
본 발명은 공진·공명장치를 이용한 고순도 이온정제유 제조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폐유정제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폐유속의 고형물을 제거하는 여과장치와, 여과된 폐유를 저장하고 폐유 속의 수분을 활성화시키는 1차 저장부와, 용존성 금속이온성분을 결정성 광물성분으로 변환시키고 폐유입자의 장력과 점성을 낮추어 활성폐유로 변환시키는 공진·공명 장치와, 활성폐유의 유량을 분배하고 분별증류장치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폐가스를 이용해 활성폐유를 예열하는 유량분배장치와, 활성폐유에 함유된 수분과 경질유분을 분리하는 분별증류장치와, 활성폐유 속의 고형물 미립자를 제거하고 잔여 수분을 분리하는 미립자 제거장치와, 미립자가 제거된 정제유를 저장하고 미세불순물 제거모듈을 통해 정제된 폐유를 배출하는 2차 저장부, 및 예열수단에서 나오는 폐가스를 정화하는 기능성 바이오필터가 포함되어 구성된 공진공명 장치를 이용한 고순도 이온정제유 제조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폐유 정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이온정제유를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일반적인 이온정제 방법인 화학적 처리방법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 방법에서는 화학약품을 이용해 폐유 속에서 침전하지 않고 부유하고 있는 금속이온에 화학약품을 반응시켜 금속이온을 불용성 금속염으로 만듦으로써 큰 비중을 갖게 하여 침전시킨 후 분리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이온정제유 제조방법과 같이, 단순한 침전에 의해 금속염을 제거할 경우 음이온의 수용액과 오일(Oil)의 혼합액 층이 존재하여 침전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생산성이 현저히 낮아지게 되기 때문에, 온도를 120℃이상 올려 수분을 증류하 고, 원심분리기에 의해 금속염 형성과 침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폐윤활유 등의 페유 입자의 장력과 점도를 낮게 할 필요가 있다.
이온정제 방법은 공정이 간단하고 120~150℃에서 모든 공정이 이루어지므로 화재 및 폭발의 위험성이 적고 시설투자비가 낮으나, 화학약품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제이인산암모늄 등에 반응하기 위한 교반장치와 일정 시간의 반응시간이 필요하다. 이는 회수되는 폐유의 성분이 불규칙적인 우리나라의 현실에 의해 매번 투입되는 화학약품의 양과 반응시간을 조절해야하는 어려움으로 완벽한 정제가 이루어지지 않아서, 공정 후 미반응된 화학약품과 중금속 이온이 제품화된 이온정제유에서 반응하여 침전되어 순도가 낮은 이온정제유 제조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이를 해결하기 위해 화학약품과 함께 계면활성제를 첨부하여 계면활성제가 폐유 안에서 미셀을 형성하고 미셀 안에서 화학약품과 중금속이온이 결합하도록 하는 경우가 있으나, 계면활성제의 역할이 미미하여 큰 효과를 얻지 못하였다.
현재 이온정제유 공정인 베치타입은 생산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연속 공정을 이용해 이온정제유를 제조하면서 화학약품의 양 및 반응 시간 등을 제어하기에 한계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사용되는 제이인산암모늄 등의 화학약품들은 금속이온과 결합하는 인산이외의 암모늄 등이 강알칼리성을 가지고 있어 장치의 밸브를 이루는 고무부분을 부식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이온정제유 제조에서 가장 중요한 수분제거 공정을 살펴보면, 한국 등록특허공보 10-0255929호 에서는 진공감압 증류공정을 이용하여 폐유를 정제하는 것으로 전처리공정으로 이루어진 이온정제유 제조공정에서 수분제거시 50~60 Torr 의 감압상태를 만들어 120℃에서 약 2시간 증발시킨 뒤에 원심분리를 통해 침전물 및 잉여 수분을 제거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는데, 총 공정시간은 약 4시간 정도 소요된다. 이는 폐유 속에 있는 수분이 수백에서 수천 개의 물분자가 응집되어진 클러스트 상태로 유분 속에 존재하여 쉽게 증발하지 않고, 이중벽으로 이루어진 반응조 내벽과의 접촉을 통해 온도가 상승하기 때문에 교반을 통한 연전달 장치가 필요하며, 폐유 입자의 장력과 점도가 높아 수분 증류를 위한 공정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진·공명장치를 통해 폐유 속에 부유하고 있는 금속이온을 결정성 금속분자로 용출시키고, 페유 입자의 장력과 점도를 낮게 하여 쉽게 침강할 수 있게 하며, 폐유 속의 클러스트상의 수분을 고에너지를 방출하는 활성수로 변환시켜 쉽게 증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정시간을 단축시키는 고순도 이온정제유를 제조할 수 있는 이온정제유 제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폐유 정제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순도 이온정제유 제조 시스템은, 다수개의 여과망이 다단계의 층구조를 이루며 설치되어 폐유 속의 슬러지 등 고형물을 제거하여 여과정제유로 변환시키는 다단여과모듈장치; 상기 여과정제유를 저장하고 여과정제유에 함유된 클러스트상의 물분자를 방사파장에 의해 활성화시켜 고에너지를 방출하는 활성수로 변환시키는 1차 저장부; 물분자가 활성수로 변환된 여과정제유에 있는 용존성 광물이나 금속이온을 고전압펄스 전기장에 의한 전자의 이동으로 결정성 광물이나 금속물로 변환시키고, 상기 여과정제유에 미세공기를 혼화시켜 여과정제유 입자의 장력과 점도를 낮추어 활성폐유로 전환시키는 공진공명장치; 상기 활성폐유를 1차 저장부로 보내 순환시키는 유량과 분별증류장치로 공급하는 유량을 일정비율로 조절하고, 분별증류장치에서 발생되는 폐가스의 열로 활성폐유를 예열하는 유량분배수단; 상기 활성폐유 속의 수분과 경질유분을 기화시켜 분리하고, 폐가스는 배출하는 분별증류장치; 상기 분별증류장치에서 수분이 제거된 폐유 속의 결정성 광물이나 금속물 등의 미립자와 잔여 수분을 제거하는 미립자 제거장치; 및 상기 미립자 제거장치에서 미립자가 제거된 정제유를 저장하고, 최종 유출 시 잔여 미세불순물을 제거하는 2차 저장부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순도 이온정제유 제조시스템을 이용한 폐유 정제방법은, 폐유 속의 슬러지 등의 고형물을 제거하는 다단여과단계; 여과된 폐유를 1차 저장하고 교반하면서 원적외선램프를 통해 물분자의 공명흡수파장인 6~11㎛ 파장대의 방사파장을 방출하여 폐유 안에 함유된 물을 활성수로 변환시키는 활성수 변환단계; 공진공명장치를 통해 폐유 속에 분산되어 있는 용존성 광물이나 금속이온을 결정성 광물이나 금속물로 전환시켜 정제하고, 폐유입자의 장력과 점성을 낮추는 활성폐유 변환단계; 변환된 활성폐유를 일정량 분별증류장치로 분배하여 공급하고, 고온의 폐가스를 이용해 활성폐유를 예열하는 유량분배단계; 열매체에 의해 상기 활성폐유 함유되어 있는 수분과 경질유분을 분별증류하여 수분정제유를 생성하는 분별증류단계; 상기 수분정제유 속의 결정성 광물이나 금속물질 등의 고형물 미립자를 제거하는 미립자 제거단계; 상기 수분정제유 속의 잔여 수분을 층분리하여 제거하는 유수분 분리단계; 및 분리된 유분을 정류한 뒤 미세불순물 제거모듈을 통해 불순물을 제거하고 제품화하는 이온정제유 제품화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순도 이온정제유 제조시스템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체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순도 이온정제유 제조시스템은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집된 폐유 속에 있는 슬러지 등의 고형물을 제거하는 다층여과모듈장치(200)와, 고형물이 제거된 폐유를 저장하고 폐유에 함유된 클러스트상의 물분자를 활성화시켜 활성물분자로 변환시키는 1차 저장부(300)와, 상기 폐유에 있는 용존성 광물이나 금속이온을 결정성 광물이나 금속물로 변환시키며 폐유입자의 장력과 점도를 낮춰 활성폐유로 변환시키는 공진공명장치(400)와, 상기 활성폐유의 유량을 일정비율로 분배하고 고온의 폐가스를 이용해 예열하는 유량분배수단(500)과, 예열된 폐유 속의 수분과 경질유분(Light Oil)을 유분과 분리하는 분별증류장치(600)와, 유분 속의 미립자 광물이나 금속물질을 제거하고 잔여 수분을 제거하는 미립자 제거장치(700), 및 정제된 정제유를 저장하고 이온정제유(1000)의 배출시 잔여 미세불순물을 제거하는 2차 저장부(80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분별증류장치에서 나오는 수분과 경질유분을 함유한 폐가스를 정화하는 기능성 바이오필터(90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여과모듈장치의 바람직한 구성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다단여과모듈장치(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벽이 개방된 다각형 관으로 이루어진 외관(210)과, 20 ~ 40°정도의 사선을 이루며 상기 외관의 내측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연결홈(220)과, 상기 연결홈에 삽입되며 2 ~ 20㎜ 이하의 공극을 갖는 평면 혹은 엠보싱(_∩_∩_) 형태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여과망(230)과, 상기 여과망의 하부에 설치되어 전후로 움직이며 고압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이 구비된 고형물 탈리수단(240)과, 상기 여과망이 연결홈에 삽입된 후 외관을 개방된 면을 메워주는 분리벽(250), 및 다른 장치의 배관에 연결하기 위해 상기 외관의 상하에 결합되는 연결수단(260)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외관(210)은 짧은 시간에 보다 많은 폐유에 있는 고형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폐유가 유입되는 유입관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여과망(2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형, 하부 엠보싱형(230a, 230f), 상부 엠보싱형(230b, 230e), 상부 및 하부 엠보싱 혼합형(230c, 230d), 계란판형(230g)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여과망은 다수개가 상기 외관 내부에서 다층구조를 이루며 설치되고, 이와 같이 다층구조를 이루는 여과 망은 하부에 설치될수록 점점 작은 공극을 갖도록 구성되어 순차적인 여과작용이 일어날 수 있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단여과모듈장치(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리벽(250)은 외관(210)의 상단부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여과망(230)은 일정한 각도를 이루며 기울어지도록 사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고형물 탈리수단(240)은 외부의 고압 컴프레샤(270)에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고형물 탈리수단(240)은 일정시간 경과 후 전후로 움직이며 고압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여과망(230)에 부착된 고형물을 탈리시켜 여과망을 세척하도록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여과모듈장치(200)의 여과과정을 보다 도시한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폐유(100)는 유분(110), 고형물(120), 수분(130), 용존성 광물 혹은 금속이온(140) 등이 혼합되어 구성되는데, 이러한 폐유(100)가 상기 여과망(230)을 통과할 때 부피가 큰 고형물이 여과망을 통과하지 못하고 엠보싱 부위 등에 부착되면서 여과가 이루어진다. 그에 따라 상기 폐유(100)는 여과망의 공극이 작아지는 다단여과모듈장치(200)를 통과하면서 슬러지 등의 고형물이 제거되어 여과정제유(280)를 생성하게 된다.
일정시간의 여과 후 상기 여과망(230) 하부에 설치된 고형물 탈리수단(240)이 전후로 이동하면서 고압 컴프레샤(270)의 고압공기를 분사노즐을 통해 여과망으로 분사하여 고형물을 탈리시키며 세척하게 된다. 이때, 탈리된 고형물(120)은 일정 기울기로 기울어진 여과망(230)을 타고 하부로 모이게 되며 분리벽(250)을 연 후 고형물을 제거하게 된다.
또한, 상기 다단여과모듈장치는 2개조를 설치하여 일정시간마다 교대로 동작시킴으로써 여과망 세척시 시스템의 동작이 중단되는 것을 예방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1차 저장부의 바람직한 구성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1차 저장부(300)는 상기 다단여과모듈장치(200)에서 여과된 여과정제유(280)가 저장되는 저장조(310)와, 상기 여과정제유가 유입되는 폐유유입구(330)와, 상기 저장조의 상부에 설치되고 물분자의 감응파장인 6~11㎛의 파장을 방사하는 다수개의 원적외선램프로 이루어진 원적외선 방출부(320)와, 상기 여과정제유(280)에 함유된 수분(130)을 방사파장에 접촉시키기 위해 저장조 하부에 설치되어 여과정제유를 교반시키는 교반장치(340), 및 상기 여과정제유를 공진공명장치(400)로 순환시키는 순환유출구(350)와 순환유입구(36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1차 저장부(300)는 2기압 이상에서 저장조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안전밸브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진공명장치(400)의 바람직한 구성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공진공명장치(400)는 1차 저장부에서 전송되는 여과정제유를 흡입하는 유류펌프(410)와, 상기 유류펌프에서 흡입된 여과정제유(280)에 미세공극을 통해 미세공기를 주입하는 미세공기 주입수단(420)과, 상기 미세공기 주입수단에 공기를 공급하는 컴프레샤(430)와, 미세공기와 여과정제유를 혼화시키는 기액혼화 수단(440)과, 상기 기액혼화수단에서 배출되는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기(450)와, 상기 유량조절기를 통해 공급되는 혼화액이 유입되는 하부유입구와 이를 배출하는 상부유출구가 구비된 고전압펄스 환원 공진공명수단(460)과, 상기 고전압펄스 환원 공진공명수단에서 배출되는 혼화액이 유입되는 상부유입구와 이를 배출하는 하부유출구가 구비된 고전압펄스 산화 공진공명수단(470), 및 이러한 공진공명장치를 제어하는 제어판넬(480)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미세공기 주입수단(420)에 연결되는 컴프레샤의 압력은 2.5~3.0마력의 범위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전압펄스 환원 공진공명수단(460)은 내부에 구비된 전자봉을 통해 전자를 내보내어 용존성 광물이나 금속 양이온과 반응시킴으로써, 결정성 광물이나 금속물로 변화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전압펄스 산화 공진공명수단(470)은 내부에 구비된 전자봉을 통해 전자를 잡아당겨 용존성 광물이나 금속 음이온과 반응시킴으로써, 결정성 광물이나 금속물로 변화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산화, 환원과정을 반복하면서 상기 공진공명장치에서 이온정제 혼화유(490)를 생성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량분배장치(500)의 바람직한 구성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량분배장치(500)는, 티(T)자 형태(510a)나 와이(Y)자 형태(510b)로 이루어진 배관과, 분별증류장치로 공급되는 유량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1차 저장부(300)에서 분별증류장치(500)로 가는 상부 말단부에 설치된 유량계(520)와, 공급되는 유량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유량계 후단부에 설치된 유량조절밸브(530), 및 분별증류장치(600)에 연계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분별증류장치에서 나오는 고온의 폐가스를 이용해 활성폐유를 70℃이상으로 예열하는 예열혼화수단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예열혼화수단은 고온 폐가스가 출입하는 유입구와 유출구가 형성된 외관과, 혼화판이 내부에 설치된 내관으로 이루어진 이중관으로 구성되어 상기 이온정제 혼합유(490)를 70℃ 이상으로 예열시키는 예열혼화수단(540a)으로 구성되거나, 고온 폐가스가 출입하는 유입구와 유출구가 대각선방향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상기 유입구에서 유출구까지 이르는 스프링형태의 작은 관이 있으며 중심부에 혼화판이 구비된 단관의 형태로 이루어진 예열혼화수단(540b)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예열혼화수단은 중심부에 폐열 혼화판이 있고 바깥으로 내관과 외관 사이로 분별증류장치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폐가스가 열매체로 흐르도록 구성되는 이중관 구조의 예열혼화수단(540a)이나, 중심부에 폐열 혼화판이 있고 바깥으로 스프링 형태로 배관이 설치되어 이러한 배관으로 분별증류장치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폐가스가 열매체로 흐르도록 구성되는 단관 구조의 예열혼화수단(540b)이 선택적으로 사용 된다.
또한, 상기 배관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유입구와 상기 1차 저장부와 분별증류장치에 연결되는 두 개의 유출구가 구비되도록 티(T)자 형(510a)이나 와이(Y)자 형(510b)으로 구성되며, 상기 배관의 유출구에 유량계와 유량조절밸브가 직렬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유량분배수단(500)에서의 유량분배는 상기 1차 저장부(300)와 분별증류장치(600)로 공급되는 활성폐유의 유량이 1:9 ~ 9:1 이 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분별증류장치(600)의 바람직한 구성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상기 분별증류장치(600)는 외벽(610)과 내벽(630)으로 이루어진 이중벽 구조로 이루어지고 그 이중벽 사이로 120 ~ 140℃의 열매체(620)가 흐르는 반응조와, 상기 이중벽의 상부에 형성되어 70℃이상으로 예열된 상기 이온정제 혼화유(490)가 유입되는 유입부(640)와, 상기 이중벽의 하부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수분정제유(690)가 유출되는 유출부(650)와, 상기 반응조 내에서 중앙으로의 고른 열전달을 위한 교반수단(660)과, 상기 반응조 상부에 형성되어 교반시 발생된 고온 폐가스가 배출되는 고온 폐가스 유출부(670), 및 깔대기 모양으로 이루어진 상기 반응조의 최하부에 설치되어 침전물을 수거하는 침전물 수거수단(680)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반응조의 외벽(610)에는 열매체(620)가 반응조의 이중벽 사이로 유입되는 열매체 유입구가 하부에 형성되고, 그 반대방향 상부에 식어진 열매체가 배출되는 열매체 유출구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그에 따라, 상기 이온정제 혼화유(490)는 상기 분별증류장치(600)의 내부로 유입되어 교반수단에 의해 교반되면서 외벽과 내벽사이의 열매체(620)에 의해 120 ~130℃까지 상승하게 되어 수분과 경질유분(Light Oil)을 기화하여 배출시키고, 결정성 광물 혹은 금속물 입자 중 비중이 큰 물질을 침전시켜 하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수분정제유(690)로 변환된다.
이때 상기 분별증류장치(600)에서 배출되는 120~130℃의 폐가스는 상기 예열혼화수단으로 공급되어 활성폐유를 70℃ 이상으로 예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온정제 혼화유(490) 안에는 결정성 광물 혹은 금속물 입자가 있으므로 일정 시간마다 침전물 수거수단(680)을 이용해 큰 입자들의 침전물을 수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미립자 제거장치(700)의 바람직한 구성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상기 미립자 제거장치(700)는 고형물 미립자(710)가 포함된 수분정제유(690) 가 분별증류장치에서 정제된 후 유입되는 유입부(720)와, 중심부에 스크류(730)가 있는 일정공극의 망형태를 지니고 말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유공망관(740)과, 스크류(730)와 유공망관을 회전시키는 동력장치(750)와, 걸러진 광물이나 금속성분의 미립자를 수거하는 미립자 수거함(760)과, 하부가 비대칭 깔대기 형상으로 이루어진 유출부(770), 및 유분과 수분을 분리하는 유수분 분리조(780)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수분정제유(690)는 상기 유공망관(740)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고형물 미립자(710)가 유공망관(740) 내부에 남아있게 되고, 유분과 잔여수분이 공극을 통해 유공망관(740) 밖으로 빠져나와 밑으로 흘러 유수분 분리조(780)에 모이게 됨으로써, 상기 수분정제유의 유분과 수분이 분리되고, 고형물 미립자(710)는 유공망관(740) 내부에서 회전하는 스크류에 의해 밖으로 밀려나와 미립자 수거함에 모이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2차 저장부(800)의 바람직한 구성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상기 2차 저장부(800)는 상기 미립자 제거장치에서 미립자와 수분이 제거된 이온정제유(790)가 유입부(820)를 통해 유입되어 저장되는 저장조(810)와, 상기 저장조에 저장된 이온정제유가 유출되는 유출부(830)와, 상기 유출부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이온정제유(790)에 잔재되어 있을 수 있는 미세불순물을 제거하는 미세불순물 제거모듈(840)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미세불순물 제거모듈(840)은 양쪽 말단에 플렌지가 구비되고, 관 내부에 0.5㎜ 이하의 공극을 갖는 망관, 여과지 등의 여과재가 있어 상기 이온정제유가 여과재를 통과하면서 잔존되어 있는 미세불순물을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바이오필터(900)의 바람직한 구성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상기 기능성 바이오필터(900)는 폐가스(690)가 유입되는 유입구(910)와, 유입된 폐가스(690)를 고르게 분산시켜주는 타공분사판(920)과,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나 악취 등을 제거하는 기능성 미생물 담체모듈(930)과, 미생물 담체모듈(930) 사이에 상부와 하부가 엇갈리며 개방되어 체류시간 증가를 통해 처리효율을 높이는 모듈격벽(920)과, 정화된 가스를 배출하는 정화가스 배출구(940)와, 배출가스의 시료를 채취할 수 있는 배관으로 이루어진 가스 채취수단(960)과, 반응조 하부에 모이는 물을 제거하는 배수설비(950)와, 반응조 내부 최상부에 설치되어 반응조 내의 습도를 유지하고 미생물의 활동성 저하 시 미생물 영양제 등을 투입할 수 있는 분사노즐(970), 및 기능성 바이오필터(900)의 외부 최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미생물 담체모듈(930)의 교체 등을 위한 유지관리 맨홀(980)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미생물담체모듈(930)은 입자직경이 8~16㎜ 인 코르크 혹은 표면을 그을린 코르크 재질로 구성되며, 상부와 하부는 일정공극을 갖는 망형, 타공판 등으로 이루어지고 옆면은 공극이 없는 격벽형태이다. 특히 표면을 그을린 코르크로 구성될 경우 초기 흡착에 의한 제거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공진공명장치를 이용한 고순도 이온정제유 제조시스템을 이용한 폐유 정제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폐유 정제방법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유 속의 슬러지 등 고형물을 제거하는 다단여과단계(S10)와, 여과된 폐유를 1차 저장하고 교반하면서 원적외선램프를 통해 물분자의 공명흡수파장인 6~11㎛ 파장대의 방사파장을 방출하여 폐유 안에 함유된 물을 활성수로 변환시키는 활성수 변환단계(S20)와, 공진공명장치를 통해 폐유속에 분산되어 있는 용존성 광물이나 금속이온을 결정성 광물이나 금속물로 전환시키고 폐유입자의 장력과 점성을 낮추는 활성폐유 변환단계(S30)와, 변환된 활성폐유를 일정량 분별증류장치로 분배하여 공급하고 예열하는 유량분배단계(S40)와, 열매체를 이용하여 활성폐유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과 경질유분(light oil)을 분별증류하여 수분정제유를 생성하는 분별증류단계(S50)와, 상기 활성폐유 속의 결정성 광물이나 금속 물질 등의 고형물 미립자를 제거하는 미립자 제거단계(S60)와, 잔여수분을 층분리하여 제거하는 유수분 분리단계(S70), 및 분리된 유분을 정류한 뒤 미세불순물 제거모듈을 통해 불순물을 제거하고 제품화하는 이온정제유 제품화단계(S8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다단여과단계(S10)는 수거된 폐유(100) 안에 포함된 슬러지 등의 고형물(120)이 다단여과모듈장치(100) 내부에 설치된 표면적을 늘리기 위해 다양한 엠보싱 형태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여과망(230)을 거치면서 제거되는 것으로, 여과망(230)은 여러 층을 거치면서 고형물이 순차적으로 여과되도록 공극이 점차 작아지는 다단계의 층구조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단부에 밸브를 설치한 두 개 이상의 다단여과모듈장치를 설치하여 교대로 작동시킴으로써, 여과망에 일정량의 고형물이 부착되면 여과망 아래에서 전후로 움직이는 고형물 탈리수단(240)에 있는 분사노즐에서 분사되는 고압공기를 이용해 고형물을 탈리시킨 후 여과작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활성수 변환단계(S20)는 1차 저장부(300)로 유입되는 여과된 폐유를 교반시키면서 저장조(310) 상부에 있는 원적외선램프를 이용해 물분자의 공명흡수파 장인 6~11㎛ 파장대의 방사파장을 방출하여 폐유 안에 함유된 물을 방사파장과 감응시킴으로써, 클러스트 상의 물분자들의 활발한 운동을 일으켜 격하게 충돌하면서 높은 에너지를 방출하게 하여 활성수로 변환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활성폐유 변환단계(S30)는 1차 저장부(300)의 폐유를 유량조절기(450)를 통해 일정하게 흡입하여 미세공기 주입수단(420)을 통해 미세하게 분할된 공기를 주입하고, 기액혼화수단(440)으로 혼화시킨 뒤에 고전압 환원 공진공명장치(460)와 고전압 산화 공진공명장치(470)를 통과시켜 폐유 속에 분산되어 있는 용존성 광물 혹은 금속이온들을 배리어 방전부에서 플러스(+) 와 마이너스(-) 고전압펄스에 의한 강한 전기장을 통해 발생되는 전하의 이동에 따라 산화과정과 환원과정이 반복적으로 일어나면서 결정성 광물 혹은 금속물로 변환시켜 이온정제하고, 폐유입자의 장력과 점성을 낮추는 과정을 일정시간동안 계속 순환함으로써 활성폐유로 변환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유량분배단계(S40)는 상기 활성폐유를 유량조절기를 통해 1차 저장부(300)와 분별증류장치(600)간에 1:9~9:1로 분배하고, 분별증발장치(600)로 보내는 활성폐유는 분별증류장치에서 발생하는 고온도의 폐가스를 이용하는 예열혼화수단(540a, 540b)을 통해 약 70℃까지 예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분별증류단계(S50)는 반응조 내부에서 교반하면서 외벽(610)과 내벽(620)사이에 있는 열매체(620)에 의해 이온정제된 활성폐유의 온도를 120~130℃까지 높임으로써, 활성폐유 속의 수분과 경질유분(Light Oil)을 분리하여 상부로 배출하고, 자연 침강된 침전물은 하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미립자 제거단계(S60)는 광물 혹은 금속 성분의 미립자와 잔여 수분을 함유한 유분을 상기 유공망관(740)으로 유입시키고, 상기 유공망관(740)이 동력장치(750)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미립자는 상기 유공망관의 내부에 남아 스크류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미립자 제거단계(S60)는 상기 분별증류장치(600)에서 수분과 경질유분이 분별증류되는 분별증류단계(S50)후에 미립자 제거장치(700)에서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유량분배장치에서 활성폐유를 미립자 제거장치(700)로 공급하여 미립자를 먼저 제거하고 미립자가 제거된 활성폐유를 분별증류장치(600)로 공급함으로써, 상기 미립자 제거단계(S60)가 분별증류단계(S50)에 선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활성폐유 내의 미립자를 먼저 제거한 후 분별증류하도록 구성될 경우 분별증류의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유수분 분리단계(S70)는 유분과 수분은 상기 유공망관(740)의 공극을 통과해 하부 유출부(770)로 배출되어 유수분 분리조(780)에서 비중의 차이에 의해 분리됨으로써, 수분은 하부에 있는 배출관의 벨브를 통해 제거되고, 유분만이 2차 저장부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온정제유 제품화단계(S80)는 잔여수분이 분리된 유분을 정류한 뒤 미세불순물 제거모듈(840)을 통해 불순물을 제거하여 고순도의 이온정제유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미세불순물 제거모듈(840)은 0.5㎜ 이하의 공극을 갖는 여과재를 통과시킴으로써 유분 안에 존재할 수 있는 미립자를 제거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와 도면은 발명의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일 뿐,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목적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이 아니라 청구범위와 함께 균등범위를 포함하여 판단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순도 이온정제유 제조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폐유정제방법에 의할 경우, 별도의 화학약품 없이 폐유 속에 있는 용존성 광물 및 금속이온을 결정성 광물 및 금속물로 변환시킬 수 있어 화학약품과 금속이온의 반응에 필요한 시간이 필요 없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폐유입자의 장력과 점성을 낮추어 활성폐유로 변환시키고, 분별증류장치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폐가스를 이용해 활성폐유를 예열한 후 수분 및 경질유분을 분리하므로, 기존보다 처리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기존의 방법보다 많은 양의 수분 및 경질유분을 분리할 수 있어 기존의 이온정제유보다 높은 품질을 갖는 고순도의 이온정제유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온정제유 제조시스템의 공진공명장치는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상황변화에 대한 대처 능력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24)

  1. 다수개의 여과망이 다단계의 층구조를 이루며 설치되어 폐유 속의 슬러지 등 고형물을 제거하여 여과정제유로 변환시키는 다단여과모듈장치;
    상기 여과정제유를 저장하고 여과정제유에 함유된 클러스트상의 물분자를 방사파장에 의해 활성화시켜 고에너지를 방출하는 활성수로 변환시키는 1차 저장부;
    물분자가 활성수로 변환된 여과정제유에 있는 용존성 광물이나 금속이온을 고전압펄스 전기장에 의한 전자의 이동으로 결정성 광물이나 금속물로 변환시키고, 상기 여과정제유에 미세공기를 혼화시켜 여과정제유 입자의 장력과 점도를 낮추어 활성폐유로 전환시키는 공진공명장치;
    상기 활성폐유를 1차 저장부로 보내 순환시키는 유량과 분별증류장치로 공급하는 유량을 일정비율로 조절하고, 분별증류장치에서 발생되는 폐가스의 열로 활성폐유를 예열하는 유량분배수단;
    상기 활성폐유 속의 수분과 경질유분을 기화시켜 분리하고, 폐가스는 배출하는 분별증류장치;
    상기 분별증류장치에서 수분이 제거된 폐유 속의 결정성 광물이나 금속물 등의 미립자와 잔여 수분을 제거하는 미립자 제거장치; 및
    상기 미립자 제거장치에서 미립자가 제거된 정제유를 저장하고, 최종 유출 시 잔여 미세불순물을 제거하는 2차 저장부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순도 이온정제유 제조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여과모듈장치는,
    2∼20㎜ 이하의 다양한 공극을 갖으며, 평면 혹은 엠보싱(_∩_∩_) 형태로 이루어져 하부로 갈수록 공극이 작아지는 다단계의 층구조로 설치된 다수개의 여과망;
    20 ~ 40°의 각도로 기울어져 일측 벽이 개방된 외관의 내부에 다단계의 층구조를 이루며 형성된 다수개의 연결홈; 및
    상기 각 여과망의 하부에 설치되어 전후로 이동하며 고압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이 구비된 고형물 탈리수단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순도 이온정제유 제조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망은,
    평면형, 계란판형, 상부 엠보싱형, 하부 엠보싱형, 또는 상부 및 하부 엠보싱 혼합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고순도 이온정제유 제조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저장부는,
    상기 여과정제유가 저장되는 저장조;
    상기 여과정제유가 유입되는 폐유유입구;
    상기 저장조의 상부에 설치되고, 물분자의 감응파장인 6 ~ 11㎛의 파장을 방사하는 다수개의 원적외선램프로 이루어진 원적외선 방출부;
    상기 여과정제유에 함유된 수분을 방사파장에 접촉시키도록 상기 저장조 하부에 설치되어 여과정제유를 교반시키는 교반장치; 및
    상기 여과정제유를 공진공명장치로 순환시키는 순환유출구와 순환유입구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순도 이온정제유 제조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공명장치는,
    유류펌프를 통해 흡입된 여과정제유에 미세공극을 통해 미세공기를 주입하는 미세공기 주입수단;
    상기 미세공기와 여과정제유를 혼화시키는 기액혼화수단;
    상기 기액혼화수단에서 배출되는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기;
    상기 유량조절기를 통해 공급되는 혼화액이 유입되는 하부유입구와, 이를 배출하는 상부유출구와, 전자를 내보내어 용존성 광물이나 금속 양이온과 반응시키는 전자봉이 구비된 고전압펄스 환원 공진공명수단; 및
    상기 고전압펄스 환원 공진공명수단에서 배출되는 혼화액이 유입되는 상부유입구와, 이를 배출하는 하부유출구와, 전자를 잡아당겨 용존성 광물이나 금속 음이 온과 반응시키는 전자봉이 구비된 고전압펄스 산화 공진공명수단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순도 이온정제유 제조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분배장치는,
    하나의 유입구와, 상기 1차 저장부와 분별증류장치 간에 연결되는 두 개의 유출구가 있는 와이(Y)자 또는 티(T)자 형태로 이루어진 배관;
    상기 분별증류장치로 공급되는 유량조절을 위해 상기 유출구에 직렬 연결된 유량조절밸브; 및
    상기 분별증류장치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폐가스를 이용해 활성폐유를 70℃로 예열하는 예열혼화수단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순도 이온정제유 제조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분배장치는,
    상기 1차 저장부와 분별증류장치로 활성페유의 유량을 1:9∼9:1로 분배하여 보내도록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순도 이온정제유 제조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예열혼화수단은,
    중심부에 폐열 혼화판이 있고, 바깥으로 스프링 형태로 배관이 설치되어, 상기 분별증류장치에서 배관으로 배출되는 고온의 폐가스가 열매체로 흐르도록 하는 단관 구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순도 이온정제유 제조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예열혼화수단은,
    중심부에 폐열 혼화판이 있고, 고온의 폐가스가 출입하는 유입구와 유출구가 형성된 외관과, 상기 혼화판이 내부에 설치된 내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외관과 내관 사이로 상기 분별증류장치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폐가스가 열매체로 흐르도록 하는 이중관 구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순도 이온정제유 제조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별증류장치는,
    외벽과 내벽으로 이루어진 이중벽 사이로 120∼140℃의 열매체가 흐르는 반응조;
    상기 이중벽의 상부에 형성되어 70℃로 예열된 이온정제 혼화유가 유입되는 유입부;
    상기 이중벽의 하부에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수분정제유가 유출되는 유출부;
    상기 반응조 내에서 중앙으로의 고른 열전달을 위한 교반수단;
    상기 반응조 상부에 형성되어 교반시 발생된 고온 폐가스가 배출되는 고온 폐가스유출부; 및
    상기 반응조 하부에 설치되어 침전물을 수거하는 침전물 수거수단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순도 이온정제유 제조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 제거장치는,
    상기 수분정제유가 상기 분별증류장치에서 정제된 후 유입되는 유입부;
    중심부에 스크류가 있으며, 일정 공극의 망형태를 지니고 말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유공망관;
    상기 스크류 및 유공망관을 회전시키는 동력장치;
    상기 유공망관에서 걸러진 광물이나 금속성분의 미립자를 수거하는 미립자 수거함;
    하부가 비대칭 깔대기 형태로 이루어진 유출부; 및
    유분과 수분을 분리하는 유수분 분리조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순도 이온정제유 제조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저장부는,
    상기 미립자 제거장치에서 미립자와 수분이 제거된 이온정제유가 저장되는 저장조; 및
    상기 이온정제유가 배출되는 유출부 일단에 연결된 미세불순물 제거모듈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순도 이온정제유 제조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불순물 제거모듈은, 관 내부에 0.5㎜ 이하의 공극을 갖는 망관, 여과지 등의 여과재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순도 이온정제유 제조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분배수단에서 배출되는 수분과 경질유분을 함유한 폐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구;
    유입된 폐가스를 고르게 분산시키는 타공분사판;
    휘발성 유기화합물이나 악취를 제거하는 기능성 미생물 담체모듈;
    상기 미생물 담체모듈 사이에 상부와 하부가 엇갈리게 개방되어 체류시간 증가를 통해 처리효율을 높이는 모듈격벽;
    정화된 가스를 배출하는 정화가스 배출구;
    배출가스의 시료를 채취할 수 있는 가스 채취용 배관;
    반응조 하부에 모이는 물을 제거하는 다수개의 배수관;
    반응조 내부 최상부에 습도를 유지하고 미생물의 활동성 저하시 미생물 영양 재 등을 투입할 수 있는 분사노즐; 및
    상기 미생물 담체모듈 교체 등을 위한 유지관리 맨홀이 포함되어 구성되어 폐가스를 정화시키는 기능성 바이오필터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순도 이온정제유 제조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 담체모듈은, 입자 직경이 8~16㎜ 인 코르크나 표면을 그을린 코르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순도 이온정제유 제조시스템.
  16. 폐유 속의 슬러지 등의 고형물을 제거하는 다단여과단계;
    여과된 폐유를 1차 저장하고 교반하면서 원적외선램프를 통해 물분자의 공명흡수파장인 6~11㎛ 파장대의 방사파장을 방출하여 폐유 안에 함유된 물을 활성수로 변환시키는 활성수 변환단계;
    공진공명장치를 통해 폐유 속에 분산되어 있는 용존성 광물이나 금속이온을 결정성 광물이나 금속물로 전환시켜 정제하고, 폐유입자의 장력과 점성을 낮추는 활성폐유 변환단계;
    변환된 활성폐유를 일정량 분별증류장치로 분배하여 공급하고, 고온의 폐가스를 이용해 활성폐유를 예열하는 유량분배단계;
    열매체에 의해 상기 활성폐유 함유되어 있는 수분과 경질유분을 분별증류하여 수분정제유를 생성하는 분별증류단계;
    상기 수분정제유 속의 결정성 광물이나 금속물질 등의 고형물 미립자를 제거하는 미립자 제거단계;
    상기 수분정제유 속의 잔여 수분을 층분리하여 제거하는 유수분 분리단계; 및
    분리된 유분을 정류한 뒤 미세불순물 제거모듈을 통해 불순물을 제거하고 제품화하는 이온정제유 제품화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유 정제방법.
  17. 폐유 속의 슬러지 등의 고형물을 제거하는 다단여과단계;
    여과된 폐유를 1차 저장하고 교반하면서 원적외선램프를 통해 물분자의 공명흡수파장인 6~11㎛ 파장대의 방사파장을 방출하여 폐유 안에 함유된 물을 활성수로 변환시키는 활성수 변환단계;
    공진공명장치를 통해 폐유 속에 분산되어 있는 용존성 광물이나 금속이온을 결정성 광물이나 금속물로 전환시켜 정제하고, 폐유입자의 장력과 점성을 낮추는 활성폐유 변환단계;
    변환된 활성폐유를 일정량 미립자 제거장치로 분배하여 공급하고, 고온의 폐가스를 이용해 활성폐유를 예열하는 유량분배단계;
    상기 활성폐유 속의 결정성 광물이나 금속물질 등의 고형물 미립자를 제거하는 미립자 제거단계;
    고형물 미립자가 제거된 활성폐유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과 경질유분을 열매 체에 의해 분별증류하여 수분정제유를 생성하는 분별증류단계;
    상기 수분정제유 속의 잔여 수분을 층분리하여 제거하는 유수분 분리단계; 및
    분리된 유분을 정류한 뒤 미세불순물 제거모듈을 통해 불순물을 제거하고 제품화하는 이온정제유 제품화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유 정제방법.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여과단계는,
    공극이 점차 작아지도록 다단계의 층구조를 이루며 다단여과모듈장치 내부에 설치된 다수개의 여과망을 거치면서 폐유 안에 포함된 슬러지 등의 고형물이 걸러지고, 상기 여과망에 일정량의 고형물이 부착되면 상기 여과망 아래에서 이동하는 고형물 탈리수단에 구비된 분사노즐에서 분사되는 고압공기에 의해 고형물을 탈리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유 정제방법.
  19.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수 변환단계는,
    1차 저장부로 유입되는 여과된 폐유를 교반수단에 의해 교반시키면서 저장조 상부에 있는 원적외선램프에 의해 물분자의 공명흡수파장인 6~11㎛ 파장대의 방사파장을 방출하여 폐유 안에 함유된 물을 방사파장과 감응시킴으로써, 클러스트상의 물분자들의 활발한 운동을 일으켜 격하게 충돌하면서 높은 에너지를 방출하게 하여 활성수로 변환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유 정제방법.
  20.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폐유 변환단계는,
    1차 저장부의 폐유를 유량조절기를 통해 일정하게 흡입하여 미세공기 주입수단을 통해 미세하게 분할된 공기를 주입하고, 기액혼화수단으로 혼화시킨 뒤에 고전압 환원 공진공명장치와 고전압 산화 공진공명장치를 통과시켜 폐유 속에 분산되어 있는 용존성 광물 혹은 금속이온들을 배리어 방전부에서 플러스(+) 와 마이너스(-) 고전압펄스에 의한 강한 전기장을 통해 발생되는 전하의 이동에 따라 산화과정과 환원과정이 반복적으로 일어나면서 결정성 광물 혹은 금속물로 변환시켜 이온정제하고, 폐유입자의 장력과 점성을 낮추는 과정을 일정시간 계속 순환함으로써 활성폐유로 변환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유 정제방법.
  21.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분배단계는,
    상기 활성폐유를 유량조절기를 통해 1차 저장부와 분별증류장치간에 1:9~9:1로 분배하고, 분별증류장치로 보내는 활성폐유는 분별증류장치에서 발생하는 고온도의 폐가스를 이용하는 예열혼화수단을 통해 70℃로 예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유 정제방법.
  22.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분별증류단계는,
    반응조 내부에서 교반하면서 외벽과 내벽사이에 있는 열매체에 의해 이온정제된 활성폐유의 온도를 120~130℃까지 높임으로써, 활성폐유 속의 수분과 경질유분을 분리하여 상부로 배출하고, 자연 침강된 침전물은 하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유 정제방법.
  23.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 제거단계는,
    광물 혹은 금속 성분의 미립자와 잔여 수분이 함유된 유분을 유공망관으로 유입시키고, 상기 유공망관이 동력장치에 의해 회전하면서 미립자는 상기 유공망관의 내부에 남아 스크류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유 정제방법.
  24.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유수분 분리단계는,
    유분과 수분은 유공망관의 공극을 통과해 하부 유출부로 배출되어 유수분 분리조에서 비중차이에 의해 분리되어 하부의 수분은 하부의 배출관의 밸브를 통해 제거되고, 유분만이 2차 저장부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유 정제방법.
KR1020070016182A 2007-02-15 2007-02-15 공진공명장치를 이용한 이온정제유 제조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폐유 정제방법 KR100880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6182A KR100880387B1 (ko) 2007-02-15 2007-02-15 공진공명장치를 이용한 이온정제유 제조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폐유 정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6182A KR100880387B1 (ko) 2007-02-15 2007-02-15 공진공명장치를 이용한 이온정제유 제조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폐유 정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6361A true KR20080076361A (ko) 2008-08-20
KR100880387B1 KR100880387B1 (ko) 2009-01-30

Family

ID=39879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6182A KR100880387B1 (ko) 2007-02-15 2007-02-15 공진공명장치를 이용한 이온정제유 제조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폐유 정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038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491B1 (ko) * 2009-04-17 2011-09-30 이윤희 재생연료 제조장치
CN109053432A (zh) * 2018-07-19 2018-12-21 湖南新绿方药业有限公司 一种苯甲酸钠的精制方法及生产系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13189A (ja) * 1990-01-18 1991-09-18 Kubota Corp 廃水処理方法
KR0138026B1 (ko) * 1994-11-23 1998-04-28 구경희 산업용 폐오일 재생방법 및 장치
KR100417769B1 (ko) 2003-04-21 2004-02-05 한국기계연구원 폐윤활유속에 포함된 입자상 오염물 제거 장치 및 그 방법
JP4560375B2 (ja) 2004-10-28 2010-10-13 オークマ株式会社 廃油回収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491B1 (ko) * 2009-04-17 2011-09-30 이윤희 재생연료 제조장치
CN109053432A (zh) * 2018-07-19 2018-12-21 湖南新绿方药业有限公司 一种苯甲酸钠的精制方法及生产系统
CN109053432B (zh) * 2018-07-19 2021-04-06 湖南新绿方药业有限公司 一种苯甲酸钠的精制方法及生产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0387B1 (ko) 2009-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61787A1 (en) Water treatment and desalination
EP2062637B1 (en) Device for scrubbing polluted gases and the method of scrubbing polluted gases combined with biological treatment in the closed cycle of scrubbing water
US7651612B2 (en) Device for the purification of contaminated liquid
CN205398192U (zh) 泥床滤层污水净化器
JP7506674B2 (ja) 固体沈殿装置および固体沈殿方法
CN105948364A (zh) 一种基于旁路烟道蒸发的脱硫废水零排放处理系统
CN107021587A (zh) 一种利用撬装式光催化反应处理系统处理废水的工艺
CN1721034A (zh) 压滤式净水方法及其装置
CN109011668A (zh) 一种基于高含盐废水的结晶盐分离提纯系统
WO2021032127A1 (zh) 一种生活污水的处理系统
KR100880387B1 (ko) 공진공명장치를 이용한 이온정제유 제조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폐유 정제방법
CN106517624A (zh) 基于多级流化床结晶的脱硫废水处理方法及系统
CN109052840B (zh) 一种bdp废水多级耦合零排放水处理系统
KR101687761B1 (ko) 표면개질 내오염성 분리막 및 이를 이용한 막여과 하폐수 처리 시스템
CN105330058A (zh) 一种吸附-分离一体化反应器及其处理方法
JP2017516658A (ja) 廃水の清澄化方法
CN1980716A (zh) 结合有吸附净化和平行板分离的箱体系统
CN109019985A (zh) 一种含油重金属废水工业的处理方法
CN104229757B (zh) 一种将污酸净化处理返回流程再利用的方法
CN101928072A (zh) 一体化去除水中硬度的设备
CN100493668C (zh) 液相介质过滤气体净化方法及其装置
CN111439880B (zh) 一种零排放的废水处理装置
JP2020505228A (ja) パッシブ重力フィルタセル及びその使用方法
DE2806109A1 (de) Vorrichtung zum reinigen von fluessigkeiten
RU47766U1 (ru) Осветлитель природных во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