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5859A - 일회용 도포기 - Google Patents

일회용 도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5859A
KR20080075859A KR1020087013719A KR20087013719A KR20080075859A KR 20080075859 A KR20080075859 A KR 20080075859A KR 1020087013719 A KR1020087013719 A KR 1020087013719A KR 20087013719 A KR20087013719 A KR 20087013719A KR 20080075859 A KR20080075859 A KR 20080075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 sheet
substrate
composition
disposable applicator
peri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3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찬텔 스프링 버로우
3세 버나드 조셉 미네래쓰
첼시 마리 마진
Original Assignee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filed Critical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ublication of KR20080075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58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2Bathing sponges, brushes, gloves, or similar cleaning or rubbing implements
    • A47K7/03Bathing sponges, brushes, gloves, or similar cleaning or rubbing implements containing soap or other cleaning ingredients, e.g. impregna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16Cloths; Pads; Sponges
    • A47L13/17Cloths; Pads; Sponges containing clean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18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mprising a pad, i.e. a cushion-like mass of soft material, with or without gripp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36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ntaining a cosmetic substance, e.g. impregnated with liquid or containing a soluble solid sub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6Degradable
    • B32B2307/7163Biodegra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32B2307/7242Non-permeable
    • B32B2307/7246Water vapor b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44Non-slip, anti-sl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0/00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 B32B2310/028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using vibration, e.g. sonic or ultrason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Abstract

노출 표면에 조성물을 도포하기 위한 일회용 도포기가 게재된다. 도포기는 배면 시트, 배면 시트의 한 표면에 고정된 액체 투과성 기재, 및 액체 투과성 기재에 적용되는 조성물을 포함한다. 조성물은 액체 투과성 기재를 노출 표면에 대고 문지름으로써 노출 표면에 전달될 수 있다. 또, 도포기는 배면 시트의 내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밀폐부를 갖는다. 밀폐부가 기재의 주변 둘레 전체에 뻗어서 조성물을 보호하도록 배면 시트가 접혀 포개진다.
일회용 도포기, 액체 불투과성 배면 시트, 액체 투과성 기재, 손가락 포켓

Description

일회용 도포기{A DISPOSABLE APPLICATOR}
현재, 노출 표면에 조성물을 도포하는 데 이용한 후 버릴 수 있는 위생적인 일회용 도포기가 필요하다. 이러한 일회용 도포기의 한 가지 응용은 기저귀 발진 치료를 위해 엄마가 연고 또는 크림을 아기 엉덩이에 직접 도포하고 싶어할 때이다. 지금까지, 엄마는 아기 발진 연고 또는 크림을 손가락을 사용해서 아기 엉덩이에 도포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렇게 하는 것은 특히 적당한 세척 시설로부터 먼 곳에서 행하는 경우에는 귀찮은 일이다. 추가로, 엄마가 피부의 감염 영역에 연고 또는 크림을 골고루 도포하는 것이 매우 어려울 수 있다. 한 가지 대안은 엄마가 아기 발진 연고 또는 크림을 유아 기저귀의 내부 표면 상에 도포하는 것이다. 그러나, 일부 엄마들은 기저귀 발진이 존재하는 영역의 아기 피부에 충분한 양의 연고 또는 크림이 전달될 것이라는 확신을 갖지 못한다. 일회용 도포기의 다른 한 응용은 사람의 피부에 생긴 궤양 또는 상처에 의약품을 도포하기 위한 것이다. 일회용 도포기의 다른 용도는 다양한 상이한 조성물, 예를 들어 선스크린, 가구 광택제 등을 노출 표면에 도포하는 것이다. 표면은 인체, 동물의 피부 또는 무생물체의 표면일 수 있다.
이제, 조성물, 예를 들어 피부 관리 제품을 노출 표면, 예를 들어 아기 엉덩이에 전달하는 데 이용될 수 있는 일회용 도포기를 발명하였다. 일회용 도포기는 1 회 사용 후 버릴 수 있다.
발명의 요약
간략하게 말하자면, 본 발명은 내부 표면, 외부 표면 및 주변을 가지는 배면 시트를 갖는 일회용 도포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도포기는 제 1 표면, 제 2 표면 및 주변을 가지는 액체 투과성 기재를 갖는다. 기재의 제 1 표면은 배면 시트의 내부 표면에 고정되어 있다. 조성물은 액체 투과성 기재에 적용된다. 조성물은 액체 투과성 기재를 노출 표면에 대고 문지름으로써 노출 표면에 전달될 수 있다. 추가로, 도포기는 배면 시트의 내부 표면 상에 형성된 밀폐부를 포함한다. 배면 시트가 접혀 포개질 때, 밀폐부가 기재의 주변 둘레 전체에 뻗어서 조성물을 보호한다.
도 1은 배면 시트에 고정되고 조성물이 적용된 액체 투과성 기재를 나타내고, 배면 시트의 내부 표면 상에 형성되며 기재의 주변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밀폐부를 갖는 일회용 도포기의 상면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일회용 도포기의 우측면도.
도 3은 배면 시트를 대략 횡축 Y-Y에서 접은 후의 도 1에 나타낸 일회용 도포기의 평면도.
도 4는 밀폐부 내에 형성된 챔버를 나타내는, 선 4-4를 따라 절취한 도 3의 횡단면도.
도 5는 배면 시트를 접어 포갬으로써 형성된 손가락 포켓을 도시하고 배면 시트의 맞은 편 부분에 나타나는 광고문을 갖는 도 1에 나타낸 일회용 도포기의 저면도.
도 6은 선 6-6을 따라 절취한 도 5의 횡단면도.
도 7은 배면 시트에 고정되고 조성물이 적용된 타원형 액체 투과성 기재를 나타내고, 기재의 주변 둘레 전체에 형성된 밀폐부를 갖는 일회용 도포기의 다른 한 실시태양의 상면도.
도 8은 도 7에 나타낸 일회용 도포기의 우측면도.
도 9는 배면 시트의 외부 표면에 별도의 부재를 부착함으로써 형성된 손가락 포켓을 도시하는 도 7에 나타낸 일회용 도포기의 저면도.
도 10은 배면 시트를 대략 횡축 Y-Y에서 접은 후의 도 7 - 9에 나타낸 일회용 도포기의 평면도.
도 11은 다이아몬드 형태를 갖는 일회용 도포기의 상면도.
도 12는 횡축 Y-Y를 따라 접은 후의 도 11에 나타낸 일회용 도포기의 상면도.
상세한 설명
도 1 및 2를 보면, 종축 X-X, 횡축 Y-Y 및 수직축 Z-Z를 갖는 일회용 도포기 (10)이 나타나 있다. 일회용 도포기 (10)은 내부 표면 (14) 및 외부 표면 (16)을 갖는 배면 시트 (12)를 포함한다. 또, 배면 시트 (12)는 주변 (18)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배면 시트 (12)는 액체 불투과성이다. "액체 불투과성"은 유체 또는 액체가 통과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배면 시트 (12)는 수분 불투과성이다. "수분 불투과성"은 수분이 통과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배면 시트 (12)는 증기 불투과성이다. "증기 불투과성"은 증기, 기체 또는 공기가 통과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증기는 보통 조건 하에서 액체 또는 고체인 물질의 기체 상태이다. 공기는 질소(약 78%) 및 산소(약 21%)로 주로 이루어지고 적은 양의 아르곤, 이산화탄소, 네온, 헬륨 및 다른 기체를 갖는 무색이고 무취이고 무미인 기체 혼합물이다.
배면 시트 (12)는 천연 및/또는 합성 물질을 포함하는 다양한 물질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배면 시트 (12)는 필름이지만, 부직포 물질, 직포 물질, 또는 물질의 조합도 이용할 수 있다. 배면 시트 (12)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폴리올레핀으로부터 형성된 필름일 수 있다. 또, 배면 시트 (12)는 몇몇 다른 열가소성 필름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층이 배리어 층인 2 개 이상의 층의 라미네이트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라미네이트"라는 용어는 부착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결합된, 예를 들어 접착 결합, 열 결합, 포인트 결합, 압력 결합, 압출 코팅, 초음파 결합 또는 당업계 숙련자에게 알려진 몇몇 다른 결합 기술에 의해 결합된 2 개 이상의 물질층의 복합 구조를 의미한다.
배면 시트 (12)는 필름층의 형태일 수 있는 1 개 이상의 배리어층을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배면 시트 (12)는 금속박과 같은 금속화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금속은 보통 백색이고, 광택이 있고, 전이 금속의 경우에는 전형적으로 높은 인장 강도와 함께 연성 및 전성이 있는 전기양성 원소 카테고리 중 어느 것이라도 된다. 한 가지 흔한 예는 알루미늄의 얇은 시트일 것이다. 잘 작동하는 일부 물질의 특이한 예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LDPE), 예를 들어 LDPE/서린(SURLYN) 필름, 및 금속화된 필름 라미네이트인 금속화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MPET)를 포함한다. 서린은 이.아이.듀폰 드 네모아 앤드 컴파니(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미국 19898 델라웨어주 윌밍톤 마켓 스트리트 1007에 사무소를 둠)의 등록상표이다. 배면 시트 (12)를 형성하는 데에는 이들 물질 및 당업계 숙련자에게 알려진 다른 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배면 시트 (12)의 외부 표면 (16)은 껄껄하거나 또는 거친 텍스쳐를 갖도록 또는 결이 있거나 섬유상이거나 또는 마모성인 표면을 갖도록 제조하거나 또는 제작할 수 있다. 이 껄껄한 텍스쳐는 매끄럽거나 미끈미끈하거나 또는 평탄한 표면의 반대말이고, 일회용 도포기 (10)을 손 안에 또는 사람의 엄지와 하나 이상의 손가락 사이에 쥐고 있을 때 미끄러짐을 제한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일회용 도포기 (10)의 사용 방법은 나중에 설명할 것이다.
도 2를 보면, 배면 시트 (12)는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 "t"를 갖는다. 배면 시트 (12)의 두께 "t"는 약 3 mm 미만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배면 시트 (12)의 두께 "t"는 약 1.0 mm 미만일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배면 시트 (12)의 두께 "t"는 약 0.1 mm 미만일 수 있다. 또, 배면 시트 (12)는 유연성이 있어야 하고 손에 부드러운 감촉을 주어야 한다. 배면 시트 (12)는 유색이거나 또는 무색일 수 있다. 흰색은 보통 깨끗하고 위생적인 외관을 전하여, 사람 피부와 접촉하도록 계획된 일회용 도포기 (10)에 바람직하다. 배면 시트 (12)는 당업계 숙련자에게 알려진 기술을 얼마든지 이용해서 인쇄할 수 있다.
배면 시트 (12)는 다음을 포함하지만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천연 및 합성 중합체/필름 형성 물질 또는 조합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PVP 기반 중합체(예: 폴리비닐 피롤리돈), 폴리비닐 알콜, 폴리에틸렌 글리콜(폴리옥스), 크산탄 고무(gum), 폴리쿼터늄 중합체, 풀루란,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젤라틴,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알콜, 소듐 알기네이트, 트라가칸트 고무, 구아 고무, 아카시아 고무, 아라비아 고무, 폴리아크릴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아밀라제, 고아밀라제 전분(high amylase starch), 히드록시프로필화 고아밀라제 전분, 덱스트린, 펙틴, 키틴, 키토산, 레반, 엘시난, 콜라겐, 제인, 글루탄, 분리 대두 단백, 분리 유청 단백, 카제인 및 이들의 혼합물.
또, 배면 시트 (12)는 환경친화적이 되도록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면 시트 (12)는 생분해성이 되게 할 수 있다. "생분해성"이란 배면 시트 (12)가 자연적인 생물학적 과정에 의해 분해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시적인 예는 다음 중합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지만,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폴리히드록시알코네이트, 폴리락트산 및 폴리글리콜리드.
도 1 및 도 2를 보면, 일회용 도포기 (10)은 또한 제 1 표면 (22) 및 제 2 표면 (24)를 갖는 기재 (20)을 포함한다. 또, 기재 (20)은 주변 (26)을 갖는다(도 1 참조). 기재 (20)의 주변 (26)은 배면 시트 (12)의 주변 (18)과 같거나 또는 그 보다 작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재 (20)의 주변 (26)은 배면 시트 (12)의 주변 (18)보다 약 50% 이상 작다. 더 바람직하게는, 기재 (20)의 주변 (26)은 배면 시트 (12)의 주변 (18)보다 약 25% 이상 작다.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기재 (20)의 주변 (26)은 배면 시트 (12)의 주변 (18)보다 약 5% 이상 작다.
도 2를 다시 보면, 기재 (20)의 제 1 표면 (22)는 부착부 (28)에 의해 배면 시트 (12)의 내부 표면 (14)에 고정된다. 부착부 (28)은 핫멜트 접착제, 콜드멜트(cold melt) 접착제, 응집제, 풀, 초음파 결합, 압력 결합, 열 결합, 융합 결합, 열 및/또는 압력 결합, 화학 결합, 기계적 결찰 도구, 예를 들어 후크 및 루프 결찰 도구,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거나, 또는 당업계에 알려진 다른 어떠한 수단도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부착부 (28)은 연속 선 또는 비드로서 적용될 수 있는 접착제에 의해 형성한다. 별법으로, 접착제는 간헐적 반점으로서, 나선 패턴으로, 또는 몇 가지 다른 독특한 패턴 또는 디자인으로 적용할 수 있다. 접착제는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장비, 분사 헤드, 노즐 등을 이용하는 다양한 방법 중 어느 것으로도 적용할 수 있다. 기재 (20)의 제 1 표면 (22)는 내부 표면 (14)가 기재 (20)의 주변 (26)과 공통 경계를 갖도록 배면 시트 (12)의 내부 표면 (14)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배면 시트 (12)의 내부 표면 (14)는 기재 (20)의 주변 (26) 둘레 전체에 뻗는다. 더 바람직하게는, 배면 시트 (12)의 내부 표면 (14)는 기재 (20)의 주변 (26)으로부터 적어도 약 5 mm 이상 바깥쪽으로 뻗는다.
도 1을 다시 보면, 배면 시트 (12)가 이격된 말단 (30) 및 (32), 및 이격된 측부 (34) 및 (36)을 가지는 직사각형 형태를 갖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또, 기재 (20)은 이격된 말단 (38) 및 (40), 및 이격된 측부 (42) 및 (44)를 갖는 직사각형 형태를 갖는다. 이 실시태양에서, 치수 d1은 기재 (20)의 말단 (38) 또는 (40) 중 하나와 배면 시트 (12)의 인접하는 말단 (30) 또는 (32) 사이의 거리를 나타낸다. 치수 d2는 기재 (20)의 측부 (42) 또는 (44) 중 하나와 배면 시트 (12)의 인접하는 측부 (34) 또는 (36) 사이의 거리를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치수 d1은 거리 d2와 같거나 또는 더 커야 한다. 이러한 크기 차이 또는 간격은 이것이 사용 중 일회용 도포기 (10)을 쥐고 움직이기 위해 사람의 엄지와 손가락 사이에 붙잡을 수 있는 충분한 표면적을 배면 시트 (12)의 내부 표면 (14) 상에 제공하기 때문에 유리하다. 배면 시트 (12)의 폭에 치수 d1을 곱함으로써 제공되는 표면적 때문에, 사용자가 사용 중에 일회용 도포기 (10)을 단단히 쥘 수 있을 것이다. 이 특징에 대해서는 나중에 더 언급할 것이다.
기재 (20)은 액체 투과성이거나 또는 액체 투과성이 되도록 처리되거나 또는 코팅된 다양한 물질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액체 투과성"은 액체가 물질의 전부 또는 일부를 통해 침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기재 (20)은 셀룰로오스, 키틴 등과 같은 생분해성 물질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기재 (20)은 조성물 또는 제제 (46)을 받아들이고, 조성물 또는 제제 (46)을 일정 기간 동안 보유하거나 또는 담고, 이어서 나중에 또는 예정된 시점에서 조성물 또는 제제 (46)을 다른 표면 또는 부재에 방출하거나 또는 내줄 수 있는 전달 부재로 간주할 수 있다. 기재 (20)은 부직웹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부직웹"은 확인가능한 반복적인 방식이 아 니라 인터레잉된 천연 섬유 또는 쓰레드, 합성 섬유 또는 쓰레드, 또는 천연 섬유 또는 쓰레드 및 합성 섬유 또는 쓰레드의 혼합의 구조를 갖는 웹을 의미한다. 부직웹은 다양한 방법, 예를 들어 멜트블로운 방법, 스펀본드 방법, 히드로엔탱글링 방법, 습식 레이드 방법, 에어 레이드 방법, 본디드 카디드 웹 방법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 기재 (20)은 본디드 카디드 웹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본디드 카디드 웹"이라는 용어는 보통 베일(bale)로 구입되는 스테이플 섬유로부터 제조된 웹을 의미한다. 베일을 섬유를 분리하는 섬유화 유닛/픽커(picker)에 놓는다. 이어서, 섬유를 컴바이닝(combining) 또는 카딩 유닛을 통해 보내고, 여기서 스테이플 섬유를 추가로 쪼개서 기계 방향으로 정렬함으로써 기계 방향으로 배향된 섬유상 부직웹이 형성된다. 일단 웹이 형성되면, 그 다음에는 그것을 몇 가지 결합 방법 중 하나 이상에 의해 결합한다. 한 결합 방법은 분말화된 접착제를 웹 전체에 분포시킨 후 보통은 웹 및 접착제를 뜨거운 공기로 가열함으로써 활성화하는 분말 결합이다. 다른 한 결합 방법은 가열된 캘린더 롤 또는 초음파 결합 장비를 이용해서 보통은 웹을 통해 국부적 결합 패턴으로 섬유들을 함께 결합시키고/시키거나, 별법으로, 원하다면, 웹을 그의 전체 표면을 가로질러서 결합시킬 수 있는 패턴 결합이다. 이성분 스테이플 섬유를 이용할 때, 쓰루-에어 결합 장비가 많은 응용에서 특히 유리하다.
기재 (20)은 스펀본드, 스펀본드 라미네이트(SBL) 또는 이성분 스펀본드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스펀본드"라는 용어는 예를 들어 애펠(Appel) 등의 미국 특허 4,340,563, 도르쉬너(Dorschner) 등의 미국 특허 3,692,618, 마츄키(Matsuki) 등의 미국 특허 3,802,817, 키네이(Kinney)의 미국 특허 3,338,992, 키네이의 미국 특허 3,341,394, 및 도보(Dobo) 등의 미국 특허 3,542,615에 나타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의해 용융 열가소성 물질을 방사구의 다수의 미세하고 보통은 원형인 모세관으로부터 필라멘트로서 압출하고, 압출된 필라멘트의 직경을 급속하게 감소시킴으로써 형성되는 직경이 작은 섬유를 의미하고, 이들 각 특허는 참고로 본원에 혼입하고, 본원의 일부를 이룬다.
게다가, 기재 (20)은 멜트블로운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멜트블로운"이라는 용어는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을 다수의 미세하고 보통은 원형인 다이 모세관을 통해서 용융된 쓰레드 또는 필라멘트로서 수렴형 고속 기체(즉, 공기) 스트림 내로 압출하고, 이 스트림이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의 필라멘트를 어테뉴에이션(attenuation)하여 그의 직경을 감소시킴으로써 형성되는 섬유를 의미한다. 멜트블로운의 직경은 마이크로섬유 직경으로까지 감소될 수 있다. 이어서, 멜트블로운 섬유가 고속 기체 스트림에 의해 운반되어 수집 표면 상에 침착됨으로써 랜덤하게 분산된 멜트블로운 섬유의 웹을 형성한다. 이러한 방법은 비.에이. 웬트(B.A. Wendt), 이.엘. 분(E.L. Boone) 및 디.디. 플루하티(D.D. Fluharty)의 NRL 리포트 4364 (NRL Report 4364)("초미세 유기 섬유의 제조"); 케이.디. 로렌스 (K.D.Lawrence), 알.티. 루카스(R.T. Lukas), 제이.에이.영(J.A.Young)의 NRL 리포트 5265 (초미세 열가소성 섬유의 형성을 위한 개선된 장치); 및 1974년 11월 19일자로 등록된 부틴(Butin) 등의 미국 특허 3,849,241을 포함해서 다양한 특허 및 간 행물에 게재되어 있고, 이들 문헌은 전체를 본원에 참고로 혼입한다.
기재 (20)은 추가로 히드로니트(HYDROKNIT)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히드로니트는 미국 특허 5,284,703에서 가르치고 기술하는 높은 펄프 함량을 갖는 수력학적으로 엉킨 부직 복합 직물이다. 히드로니트 제조 방법은 미국 특허 5,389,202에서 가르치고 기술한다. 이들 두 특허는 본원에 참고로 혼입하고, 본원의 일부를 이룬다. 히드로니트는 킴벌리-클라크 코포레이션(Kimberly-Clark Corporation)(미국 54956 위스콘신주 니나 노쓰 레이크 스트리트 401에 사무소를 둠)의 등록상표이다. 기재 (20)은 또한 에어레이드 부직포, 코폼, 또는 당업계 숙련자에게 알려진 다양한 다른 물질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에어레이드 부직포는 섬유를 기류에 의해 분포시켜 웹 내에 랜덤 배향을 제공하는 에어포밍 방법에 의해 제조된 직물이고, 이 직물은 등방성 성질을 갖는다. 코폼은 목재 펄프 섬유 및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블렌드로부터 제조되는 물질이다. 에어레이드 및 코폼 물질은 다양한 판매처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다.
기재 (20)은 수직 또는 수평으로 배열된 하나 이상의 층으로부터 제작될 수 있다. "수직"이라는 것은 하나의 층이 다른 하나의 층 위에 수직으로 놓이는 것을 의미한다. "수평"이라는 것은 하나의 층이 다른 하나의 층의 옆쪽에 놓이는, 예를 들어 기재 "B" 옆에 기재 "A"가 놓이는 것을 의미한다. 수평 배열에서, 각 기재가 유사하거나 또는 동일한 물질로 제작되어야 할 필요는 없다.
조성물 또는 제제 (46)은 액체 투과성 기재 (20)의 적어도 일부에 적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또는 제제 (46)은 액체 투과성 기재 (20)의 전체 표면에 적 용된다. 조성물 또는 제제 (46)이 액체 투과성 기재 (20)의 구조에 함침됨으로써 그 안에 일시적으로 보유된다. "일시적"이라는 것은 필요할 때까지 기재가 조성물 또는 제제 (46)을 담거나 또는 보유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기간은 1 초 이상, 1 분 이상, 1 시간 이상, 1 일 이상, 1 주 이상, 1 개월 이상 또는 심지어는 1 년 이상일 수 있다. 조성물 또는 제제 (46)은 액체 투과성 기재 (20)을 노출 표면에 대고 문지르거나 또는 움직임으로써 그것이 기재 (20)으로부터 노출 표면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컨시스턴시(consistency) 및 특성을 갖는다. 노출 표면은 인체의 한 영역 또는 한 부분, 예를 들어 피부 또는 털(hair)일 수 있다. 또, 노출 표면은 피부, 털 또는 부드러운 털(fur)를 포함하는 동물의 몸의 한 영역 또는 한 부분일 수 있다. 추가로, 노출 표면은 천연 식물, 꽃, 나무 등의 한 영역 또는 한 부분일 수 있다. 게다가, 노출 표면은 무생물체, 예를 들어 가구, 자동차 후드, 식기, 직물, 카펫, 의류 등일 수 있다.
조성물 또는 제제 (46)은 수용액, 연고, 크림, 에멀젼, 용매, 현탁액 등을 포함하지만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물품일 수 있다. 조성물 또는 제제 (46)은 기재 (20)으로부터 사람 피부로 유효량 전달될 수 있는 다양한 피부 처리제 중 어느 것이라도 될 수 있다. 이러한 피부 처리제는 알파 및/또는 베타 히드록실 산, 진통제, 항미생물제, 항체, 항여드름제, 항자극제, 항원, 마취제, 소염 물질, 항산화제, 부착 방지제, 항소양 물질, 수렴제, 식물성 물질, 식물 추출물, 완충제, 킬레이트제, 클렌징 조성물, 피부 연화제, 각질 제거제, 단백질, 지질, 탄수화물, 바로 앞 3 개 항목 각각의 유도체, 효소, 효소 억제제, 성장 인자, 자극 격리제, 피부 미백제, 모발 관리 조성물, 탈모용 조성물, 면도 보조제, 향수, 금속염, 미생물 성장 인자, 미생물, 냄새 흡수제, 산화제, 생균제, 보습제, 색조 화장품, 혈관수축제, 근육이완제, 윤활제, 선스크린, 곤충 기피제, 피부 보호제, 계면활성제, 비타민,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 흡수제, 피부 및/또는 털 표면 에너지 변경 물질, 및 기타 등등을 포함하지만 이들에 제한되지 않고,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어떠한 순열 또는 조합으로도 전달될 수 있다.
또, 조성물 또는 제제 (46)은 액체, 분말, 로션, 겔, 크림, 에멀젼, 부드러운 고체, 반고체 및 심지어는 고체의 물리적 형태일 수도 있다. 조성물 또는 제제 (46)은 어떤 일정 온도에서, 예를 들어 70 ℉에서 액체, 반고체 또는 고체일 수 있다. 조성물 또는 제제 (46)은 뉴턴 유체 또는 비뉴턴 유체일 수 있다. 뉴턴 유체는 적용되는 전단력이 변함에 따라 점도가 변하지 않는 유체이다. 비뉴턴 유체는 적용되는 전단력에 따라 점도가 변하는 유체이다. 따라서, 비뉴턴 유체는 잘 정의된 점도를 가질 수 없다. 조성물 또는 제제 (46)은 약제, 페트롤륨 겔(petroleum gel), 고점도 제품, 겔과 유사한 컨시스턴시를 갖는 연고 등일 수 있다.
조성물 또는 제제 (46)은 구조가 균질 또는 균일한 피부 관리 제품일 수 있다. 조성물 또는 제제 (46)이 피부 관리 제품일 때, 그것은 피부 도포시 신속하게 탈유화하게 될 수 있다. 게다가, 조성물 또는 제제 (46)이 피부 관리 제품일 때, 요망된다면, 그것은 넓은 범위의 세균, 진균 및 다른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는 능력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또, 조성물 또는 제제 (46)은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피부 마모를 감소시키기 위해 윤활제가 첨가될 수 있다. 특정 색상을 부여하기 위해 착색제가 첨가될 수 있다. 좋은 냄새를 제공하기 위해 향수가 첨가될 수 있다. 이들 첨가제 및 당업계에 알려진 다른 첨가제가 이용될 수 있다.
또, 다양한 비피부 관리 조성물 또는 제제 중 어느 것도 일회용 도포기 (10)의 기재 (20)으로부터 전달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들은 딱딱한 표면 살균제, 자외선(UV) 보호제, 선스크린, 소독제, 중합체 컨디셔너, 광택제, 스크럽제, 클렌징 용액, 클렌저, 그리스 제거제, 접착제, 윤활제, 방오제, 발수제, 살충제, 곤충 기피제, 유해물 미끼, 표백제, 항미생물제, 산, 염기, 향수, 살충제 및 기타 등등을 포함하지만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비피부 관리 조성물 또는 제제의 경우, 그들은 균질하여야 하거나 또는 피부 관리 조성물 또는 제제에서 바람직한 상기 특징들을 나타내어야 할 필요는 없다.
기재 (20)에 적용되거나 또는 함침된 조성물 또는 제제 (46)의 양은 기재 (20)의 물리적 크기, 기재 (20) 제작 물질, 조성물 또는 제제 (46)의 화학적 조성, 첨가제 또는 보호제의 존재, 기재 (20)의 기공 크기, 조성물 또는 제제 (46)의 물리적 성질, 일회용 도포기 (10)의 보관 온도 등에 의존해서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한 예로서, 일회용 도포기 (10)이 기저귀 발진 크림 또는 연고를 전달하도록 설계된 경우에는, 약 0.2 g 내지 약 2 g의 피부 관리 조성물 또는 제제가 사람의 피부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충분한 양이 기재 (20)에 적용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1 g 이상의 피부 관리 조성물 또는 제제가 사람의 피부에 전달될 것이다. 조성물 또는 제제가 기저귀 발진 크림인 경우에는, 1 g 이상의 기저귀 발진 크림이 아기 피부로 전달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1 g 초과의 크림이 기재 (20)에 적용되어야 한다. 기재 (20)에 적용되어야 하는 조성물 또는 제제의 실제 양은 제제의 예정 용도, 크림의 점도, 균질 여부, 실온에서 반고체인지의 여부 등을 포함하는 많은 인자에 의존할 것이다. 기저귀 발진 크림은 아기 피부, 즉 엉덩이에 도포되는 국소 보호 장벽 작용제이고, 피부와 신체 노폐물 사이에서 작용하여 피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일회용 도포기 (10)의 기재 (20)으로부터 상기 조성물 또는 제제 (46) 중 어느 하나를 전달하기 위해 다양한 비히클이 계획된다. 이들은 연고, 마크로, 마이크로 및 나노 에멀젼, 크림, 현탁액, 용액 및 기타 등등을 포함하지만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비히클은 물을 함유할 수 있지만, 무수 비히클도 계획된다. 일부 실시태양에서, 이들 비히클은 또한 리포좀, 콜로이도좀, 코팅된 미립자, 및 당업계 숙련자에게 알려진 다른 방법과 같은 캡슐화 기술을 포함할 것이다. 조성물 또는 제제 (46)을 인체의 해부학적 부위, 동물의 몸, 또는 무생물체에 도포하는 것이 계획된다.
도 1 및 도 2를 다시 보면, 일회용 도포기 (10)은 배면 시트 (12)의 내부 표면 (14) 상에 형성된 밀폐부 (48)을 추가로 포함한다. 밀폐부 (48)은 파단성 밀폐부 또는 비파단성 밀폐부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밀폐부 (48)은 파단성 밀폐부이다. 밀폐부 (48)은 배면 시트 (12)의 내부 표면 (14)에 하나 이상의 밀폐 기술, 예를 들어 접착제, 응집제, 풀, 초음파 결합, 화학 결합, 열 결합, 융합 결합, 열 및 압력 결합 등을 적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밀폐부 (48)은 접착 결합이다. 밀폐부 (48)은 배면 시트 (12)의 주변 (18)로부터 안쪽으로 약 10 mm 이상 되는 곳에 위치하여야 한다. 밀폐부 (48)은 배면 시트 (12)의 주변 (18)로부터 안쪽으로 약 5 mm 이상 되는 곳에 위치하여야 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밀폐부 (48)은 기재 (20)의 주변 (26)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약 1 mm 이상 되는 곳에 위치하여야 한다.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밀폐부 (48)은 기재 (20)의 주변 (26)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약 1 내지 약 5 mm인 곳에 위치하여야 한다.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밀폐부 (48)은 기재 (20)의 주변 (26)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약 3 mm 이상인 곳에 위치하여야 한다.
도 1 및 도 2에서, 밀폐부 (48)은 제 1 말단 (50) 및 제 2 말단 (52)를 갖는 접착제의 연속 선이다. 밀폐부 (48)의 두께 및 높이는 기재 (20)의 크기, 높이 및 형태에 의존해서 달라질 수 있다. 밀폐부 (48)은 횡축 Y-Y의 한쪽에 기재 (20)의 주변 (26) 둘레의 대략 절반 길이에 뻗는다. 밀폐부 (48)은 실제로 기재 (20)의 주변 (26) 둘레에 약 50% 이상 뻗어있고, 횡축 Y-Y와 교차한다. 이러한 형태의 이유는 배면 시트 (12)가 횡축 Y-Y와 대략 일렬로 정렬되는 접음선 (54)에서 접혀 포개질 때, 밀폐부 (48)이 내부 표면 (14)의 나머지 부분에 부착할 것이고, 따라서 기재 (20)의 주변 (26) 둘레 전체에 뻗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 실시태양은 밀폐부 (48)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어야 하는 접착제의 양을 절감한다. 밀폐부 (48)은 기재 (20)에 적용된 조성물 또는 제제 (46)이 새거나 또는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고, 또한 공기, 수분 및 가능한 오염물이 기재 (20) 안으로 들어가서 조성물 또는 제제 (46)에 여하튼 유해한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한다.
밀폐부 (48)이 기재 (20) 둘레에 공기 투과성 외피(envelope)를 형성하는 능력은 일부 공기 민감성 조성물 또는 제제 (46)이 그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게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조성물 또는 제제 (46)은 공기 민감성인 항산화제 또는 혐기성 세균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다른 산소 불안정성 조성물 또는 제제 (46)의 안정성이 유지될 수 있다.
이제, 도 3 및 도 4를 보면, 밀폐부 (48)은 배면 시트 (12)의 서로 맞은 편에 있는 말단 (30) 및 (32)를 잡아당길 때 파단되도록 설계되어 있다는 의미에서 일시적 밀폐를 제공한다. 이러한 잡아당기는 동작은 밀폐부 (48)을 파단시키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 시트 (12)를 평탄한 또는 평면형 배향으로 펼 수 있게 할 것이다. 배면 시트 (12)를 접음선 (54)를 따라서 접어 포갤 때, 기재 및 그에 적용된 조성물 또는 제제를 에워싸는 챔버 또는 캐비티 (56)이 기재 (20) 둘레에 형성된다. 도 4에서, 배면 시트 (12)의 말단 (30) 및 (32)가 밀폐부 (48)의 바깥쪽에서 약간 분리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분리는 사용자가 각 말단 (30) 및 (32)를 붙잡고 두 말단 (30) 및 (32)를 떼어 놓을 수 있게 함으로써 배면 시트 (12)가 용이하게 펴지는 것을 촉진한다. 이러한 잡아당기는 동작은 밀폐부 (48)이 그 자신으로부터 및/또는 배면 시트 (12)의 내부 표면 (14)로부터 파단되거나 또는 분리되게 할 것이다. 이러한 일이 발생할 때, 챔버 또는 캐비티 (56)이 열릴 것이고, 적용된 조성물 또는 제제 (46)을 갖는 기재 (20)이 노출될 것이다. 배면 시트 (12)는 평탄한 또는 평면형 형태로, 즉 그것이 접히기 전의 원래 형태로 완전히 펴져야 한다.
도 5 및 6을 보면, 다른 한 실시태양의 일회용 도포기 (10')이 나타나 있다.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간략화하기 위해 공통 요소에 대해서는 도 1 - 4에서 사용된 것과 유사한 숫자가 프라임 기호(')와 함께 사용될 것이다. 도 5에, 내부 표면 (14') 및 외부 표면 (16')을 가지는 배면 시트 (12')을 갖는 일회용 도포기 (10')이 나타나 있다. 배면 시트 (12')은 도 1 - 4에 나타낸 배면 시트 (12)보다 길이가 더 길다. 또, 배면 시트 (12')은 주변 (18')을 갖는다. 기재 (20')(도 6 참조)은 제 1 표면 (22') 및 제 2 표면 (24')을 포함한다. 또, 기재 (22')은 주변 (26')을 갖는다. 기재 (20')의 제 1 표면 (22')은 부착부 (28')에 의해 배면 시트 (12')의 제 1 표면 (14')에 부착된다. 부착부 (28')은 접착제일 수 있거나, 또는 도 1 - 4에 관해서 위에서 언급한 다른 부착 수단 중 어느 것이라도 될 수 있다. 배면 시트 (12')은 이격된 말단 (30') 및 (32'), 및 이격된 측부 (34') 및 (36')을 갖는다. 또, 기재 (20')은 이격된 말단 (38') 및 (40')(도 6 참조), 및 이격된 측부(도 5 또는 도 6에서는 볼 수 없음)를 갖는다. 조성물 또는 제제 (46')은 액체 투과성 기재 (20')에 적용된다. 일회용 도포기 (10')은 배면 시트 (12')의 내부 표면 (14') 상에 형성된 밀폐부 (48')을 추가로 포함한다. 밀폐부 (48')은 파단성 밀폐부 또는 비파단성 밀폐부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밀폐부 (48')은 파단성 밀폐부이다. 밀폐부 (48')은 배면 시트 (12')의 내부 표면 (14')에 접착제, 응집제, 풀, 초음파 결합, 화학 결합, 열 결합, 융합 결합, 열 및 압력 결합 등을 적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밀폐부 (48')은 접착 결합이다. 도 1 및 2에 나타낸 밀폐부 (48)과 대조적으로, 도 6의 밀폐부 (48')은 기재 (20')의 주 변 (26') 둘레 전체에 뻗는다. 밀폐부 (48')은 기재 (20')의 주변 (26') 둘레에 위치한다. 밀폐부 (48')은 기재 (20')의 주변 (26')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약 1 mm 내지 약 15 mm 되는 곳에 위치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밀폐부 (48')은 기재 (20')의 주변 (26')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약 3 mm 이상 되는 곳에 위치한다. 도 6에서, 밀폐부 (48')은 접착제의 연속 선으로 나타나 있다.
외부 표면 (16')이 접혀서 배면 시트 (12')의 외부 표면 (16')의 다른 한 구역에 겹치도록 배면 시트 (12')의 한 부분을 접음선 (58')에서 접어 포갠다. 이 접힌 부분은 1 쌍의 측부 가장자리 (60') 및 (62')을 가지고, 이들을 밀폐하여 포켓 (64')을 형성한다(도 5 및 6 참조). 포켓 (64')은 배면 시트 (12')의 외부 표면 (16')에 인접해서 위치한다. 배면 시트 (12')의 접힌 부분의 측부 가장자리 (60') 및 (62')은 핫 멜트 접착제, 콜드 멜트 접착제, 응집제, 풀, 초음파 결합, 압력 결합, 열 결합, 융합 결합, 열 및 압력 결합, 화학 결합, 기계적 결찰 도구, 예를 들어 후크-루프 결찰 도구를 이용해서, 또는 당업계 숙련자에게 알려진 다른 어떠한 수단에 의해서도 밀폐 또는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측부 가장자리 (60') 및 (62')은 초음파 결합에 의해 밀폐된다. 일회용 도포기 (10')이 폐쇄된 상태로 있는 동안에 사용자가 그의 또는 그녀의 손가락을 포켓 (64') 안으로 삽입하고 이어서 포켓 (64') 내에 있는 그의 또는 그녀의 손가락을 사용해서 파단성 밀폐부 (48')이 파단되게 하는 것을 도울지라도 포켓 (64')이 파단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포켓 (64')을 형성하는 결합이 파단성 밀폐부 (48')보다 훨씬 더 강해야 한다.
포켓 (64')은 일회용 도포기 (10')의 사용자가 그의 또는 그녀의 한 손의 하나 이상의 손가락 또는 수지(digit)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크기 및 모양을 갖는다. "수지"는 엄지를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한 손의 2 개의 손가락 및/또는 수지를 포켓 (64')에 삽입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한 손의 3 개 또는 4 개의 손가락 및/또는 수지를 포켓 (64')에 삽입할 수 있다. 포켓 (64')의 기능은 사용자가 일회용 도포기 (10')의 기재 (20')을 노출 표면에 대고 움직일 수 있거나 또는 문지를 수 있도록 1 개, 2 개, 3 개 또는 4 개의 손가락 또는 수지를 포켓 (64') 안에 삽입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일회용 도포기 (10) 또는 (10')의 제어는 손가락을 이용함으로써 가장 잘 달성되지만, 사용자가 그의 또는 그녀의 엄지를 포함하는 어떠한 수지로도 이것을 달성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노출 표면은 그의 또는 그녀의 피부, 다른 사람의 피부, 예를 들어 어린이 또는 연장자의 피부, 동물의 몸, 또는 물체의 표면일 수 있다. 기재 (20')을 노출 표면에 대고 문지를 때, 조성물 또는 제제 (46')(도 6 참조)이 기재 (20')으로부터 노출 표면으로 전달될 것이다. 조성물 또는 제제 (46')이 노출 표면으로 전달되는 것을 돕기 위해 문지를 때 사용자가 하향 힘 또는 압력을 배면 시트 (12')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된다.
일회용 도포기 (10')은 배면 시트 (12')의 외부 표면 (16')의 나머지 부분에 인쇄되거나, 형성되거나 또는 부착된 광고문 (66')을 추가로 갖는다. 광고문 (66')은 문자, 단어, 그림 기호, 아이콘, 상표, 사용에 관한 설명, 안전에 관한 설명, 일회용 도포기 (10')의 적절한 폐기에 관한 설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광고 문 (66')은 배면 시트 (12')의 외부 표면 (16')에 인쇄 또는 엠보싱될 수 있거나, 또는 그것은 배면 시트 (12')의 외부 표면 (16')에 부착되는 라벨 또는 패치 형태일 수 있다. 인쇄, 엠보싱 또는 라벨 제작에 관한 다양한 방법이 당업계 숙련자에게 알려져 있다.
이제, 도 7 - 10을 보면, 다른 한 실시태양의 일회용 도포기 (10")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간략화하기 위해 공통 요소에 대해서는 도 1 - 6에서 사용된 것과 유사한 숫자가 기호(")와 함께 사용될 것이다. 도 7에, 내부 표면 (14") 및 외부 표면 (16")을 가지는 배면 시트 (12")을 갖는 일회용 도포기 (10")이 나타나 있다. 배면 시트 (12")은 도 1 - 4에 나타낸 배면 시트 (12)와 길이가 유사하다. 또, 배면 시트 (12")은 주변 (18")을 갖는다. 제 1 표면 (22")(도 8 참조) 및 제 2 표면 (24")을 포함하는 기재 (20")도 또한 존재한다. 또, 기재 (22')은 도 8에 가장 잘 도시된 주변 (26")을 갖는다. 도 7에서, 기재 (20")은 도 1 - 6에 나타낸 직사각형 형태와는 대조적으로 타원 형태를 갖는다. 기재 (20), (20') 및 (20")은 요망되는 어떠한 기하학적 모양도 가질 수 있음을 주의하여야 한다. 기재 (20")의 제 1 표면 (22")은 부착부 (28")에 의해 배면 시트 (12")의 제 1 표면 (14")에 부착된다. 부착부 (28")은 접착제일 수 있거나, 또는 도 1 - 6에 관해서 위에서 언급한 다른 부착 수단 중 어느 것이라도 될 수 있다. 배면 시트 (12")은 이격된 말단 (30") 및 (32"), 및 이격된 측부 (34") 및 (36")을 갖는다. 또, 기재 (20")은 이격된 말단 (38') 및 (40')(도 6 참조), 및 이격된 측부(도 5 또는 도 6에서는 볼 수 없음)를 갖는다. 조성물 또는 제제 (46")은 액체 투과성 기재 (20")에 적용된다. 일회용 도포기 (10")은 배면 시트 (12")의 내부 표면 (14") 상에 형성된 밀폐부 (48")을 추가로 포함한다. 밀폐부 (48")은 파단성 밀폐부 또는 비파단성 밀폐부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밀폐부 (48")은 파단성 밀폐부이다. 밀폐부 (48")은 배면 시트 (12")의 내부 표면 (14")에 접착제, 응집제, 풀, 초음파 결합, 화학 결합, 열 결합, 융합 결합, 열 및 압력 결합 등을 적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밀폐부 (48")은 접착 결합이다. 도 1 및 2에 나타낸 밀폐부 (48)과 대조적으로, 도 7 및 도 8의 밀폐부 (48")은 기재 (20")의 주변 (26") 둘레 전체에 뻗는다. 밀폐부 (48")은 기재 (20")의 주변 (26")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약 1 mm 내지 약 15 mm 되는 곳에 위치한다.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밀폐부 (48")은 기재 (20")의 주변 (26")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약 3 mm 이상 되는 곳에 위치한다. 도 7 및 도 8에서, 밀폐부 (48")은 접착제의 연속 선으로 나타나 있다.
도 7 - 9를 보면, 일회용 도포기 (10")은 또한 그것이 별도의 물질 단편 (68")을 고정함으로써 형성된 포켓 (64")을 가진다는 점에서 도 5 및 6에 나타낸 실시태양과 상이하다. 별도의 물질 단편 (68")은 결합선 (70"), (72") 및 (74")에 의해(도 9 참조) 배면 시트 (12")의 외부 표면 (16")에 고정된다(도 7 참조). 결합선 (70")은 말단 (30")에 인접해서 위치하고, 결합선 (72") 및 (74")은 각각 측부 (36") 및 (34")에 인접해서 위치한다. 결합선 (70"), (72") 및 (74")은 접착제를 이용해서, 풀을 이용해서, 초음파 결합에 의해, 또는 부착부 (28), (28') 및 (28")에 관해서 위에서 기술한 다른 결합 메카니즘 중 어느 것에 의해서도 형성될 수 있다. 도 5 및 6에 관해서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파단성 밀폐부 (48")이 파단되기 전에 포켓 (64")이 갈라지지 않도록 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서 포켓 (64")을 형성하는 결합이 파단성 밀폐부 (48")보다 더 강해야 한다.
포켓 (64")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별도의 물질 단편 (68")은 배면 시트 (12")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물질과 동일하거나, 유사하거나 또는 상이한 물질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별도의 물질 단편 (68")은 배면 시트 (12")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것과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물질로부터 형성될 것이다. 동일한 물질을 이용함으로써, 제조자는 물품 목록에 기록하여야 하는 상이한 물질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이렇게 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 일회용 도포기 (10")은 횡축 Y-Y와 대략 일렬로 정렬되는 접음선 (54")을 갖지만, 접음선이 반드시 그렇게 위치해야 할 필요는 없다. 일회용 도포기 (10")은 기재 (20")을 파단성 밀폐부 (48")으로 밀폐하기 위해 접음선 (54")을 따라 접히도록 설계된다. 게다가, 일회용 도포기 (10")은 배면 시트 (12")의 외부 표면 (16")의 나머지 부분에 인쇄되거나, 형성되거나 또는 부착된 광고문 (66")을 갖는다. 광고문 (66")은 문자, 단어, 그림 기호, 아이콘, 상표, 사용에 관한 설명, 안전에 관한 설명, 일회용 도포기 (10')의 적절한 폐기에 관한 설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광고문 (66")은 배면 시트 (12")의 외부 표면 (16")에 인쇄 또는 엠보싱될 수 있거나, 또는 그것은 배면 시트 (12")의 외부 표면 (16")에 부착되는 라벨 또는 패치 형태일 수 있다. 인쇄, 엠보싱 또는 라벨 제작에 관한 다양한 방법이 당업계 숙련자에게 알려져 있다. 일회용 도포기 (10")이 접음선 (54")을 따라 접혀서 파단성 밀폐부 (48")이 고정될 때, 일회용 도포기 (10")은 도 10에 나타낸 형태를 획득할 것이다.
이제, 도 11 및 12를 보면, 종축 X-X 및 횡축 Y-Y를 가지는 다이아몬드 또는 정사각형 형태를 갖는 다른 한 실시태양의 일회용 도포기 (10'")이 나타나 있다. 일회용 도포기 (10'")은 내부 표면 (14'"), 외부 표면 (16'") 및 주변 (18'")을 갖는 배면 시트 (12'")을 포함한다. 주변 (18'")은 측부 (78), (80), (82) 및 (84)를 포함한다. 기재 (20'")은 상기한 수단 중 어느 것으로도 배면 시트 (12'")의 내부 표면 (14'")에 고정된다. 기재 (20'")은 주변 (18'")으로부터 안쪽으로 이격되어 있는 주변 (26'")을 갖지만, 요망된다면, 주변 (18'") 및 (26'")은 공통 경계를 가질 수 있다. 또, 일회용 도포기 (10'")은 기재 (20'")의 주변 (26'")으로부터 바깥쪽에 형성된 밀폐부 (48'")을 포함한다. 밀폐부 (48'")은 파단성 밀폐부 또는 비파단성 밀폐부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밀폐부 (48'")은 파단성 밀폐부이다. 일회용 도포기 (10'")은 접음선 (76)을 따라 접히도록 설계된다. 도 12에서, 접음선 (76)은 횡축 Y-Y를 따라 일렬로 정렬되지만, 그것이 반드시 그렇게 위치해야 할 필요는 없다. 일단 일회용 도포기 (10'")이 접음선 (76)을 따라 접히면, 측부 (78) 및 (80)이 각각 측부 (82) 및 (84)에 겹칠 것이다. 이것은 도 12에 도시된 삼각형 형태를 생성한다. 일회용 도포기 (10'")이 접음선 (76)을 따라 접혀 포개질 때, 밀폐부 (48'")은 그 자신에 부착하거나 또는 두 측부를 따라서 배면 시트 (12'")의 내부 표면 (14'")에 부착할 것이다. 도 12에서, 밀폐부 (48'")은 삼각형 형태의 두 측부 (78) 및 (80)을 따라 일렬로 정렬된다.
파단성 밀폐부 (48'")은 도 1에 나타낸 파단성 밀폐부 (48)과 유사하게 접음선 (76)의 한쪽에 위치하는 측부 (78) 및 (80) 또는 (82) 및 (84) 중 둘 이상을 따라 뻗는 접착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접힌 일회용 도포기 (10'")이 접음선 (76)에 대해 일정한 각도를 이루어서 정렬되는 두 측부를 따라 밀폐되도록 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파단성 밀폐부 (48'")이 접음선 (76)을 약간 지나서까지 뻗을 것이다. 배면 시트 (12'")의 절반에 또는 절반보다 약간 더 많은 곳에 파단성 밀폐부 (48'")를 위치시킴으로써, 일회용 도포기 (10'")을 제조하는 데 사용하여야 하는 접착제의 양을 절감할 수 있고, 이것은 완제품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 일회용 도포기 (10), (10'), (10") 또는 (10'") 중 어느 것도 각 배면 시트 (12), (12'), (12") 또는 (12'")의 외부 표면 (16), (16'), (16") 또는 (16'")에 고정되는 접착제를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여야 한다. 접착제는 잔류 점착성을 나타낼 것이다. 이어서, 라벨을 접착제에 제거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고, 이렇게 함으로써 라벨이 제거될 때 접착제는 사용자가 일회용 도포기 (10), (10'), (10") 또는 (10'")을 한 손에 붙잡고 일회용 도포기 (10), (10'), (10") 또는 (10'")에 대한 향상된 제어를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본 발명을 수 개의 특이한 실시태양과 관련해서 기술하였지만, 당업계 숙련자에게는 상기한 내용에 비추어서 많은 변형, 변경 및 변화가 자명할 것이라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의 정신 및 범위 내에 드는 모든 이러한 변형, 변경 및 변화를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

Claims (21)

  1. a) 내부 표면, 외부 표면 및 주변을 갖는 배면 시트,
    b) 제 1 표면, 제 2 표면 및 주변을 가지고, 상기 제 1 표면이 상기 배면 시트의 내부 표면에 고정된 액체 투과성 기재,
    c) 상기 액체 투과성 기재에 적용된 조성물, 및
    d) 상기 배면 시트의 내부 표면에 형성된 밀폐부
    를 포함하고, 상기 조성물이 상기 액체 투과성 기재를 노출 표면에 대고 문지름으로써 노출 표면에 전달될 수 있고, 상기 밀폐부가 상기 기재의 주변 둘레 전체에 뻗어서 상기 조성물을 보호하도록 상기 배면 시트가 접혀 포개진 일회용 도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 시트가 증기 불투과성인 일회용 도포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 시트가 수분 불투과성인 일회용 도포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 시트가 액체 불투과성인 일회용 도포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상기 액체 투과성 기재에 함침된 일회용 도포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가 상기 기재의 주변의 바깥쪽으로 약 1 mm 이상 되는 곳에 위치하는 접착제인 일회용 도포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 시트가 필름인 일회용 도포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 시트가 사람의 손 안에 쥐고 있는 동안 상기 필름의 미끄러짐을 제한하는 거친 텍스쳐를 가지는 외부 표면을 갖는 폴리올레핀 필름으로부터 형성되는 일회용 도포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단성 밀폐부가 접음선의 한쪽에 상기 기재의 주변 둘레의 대략 절반 길이에 뻗어있고, 상기 파단성 밀폐부가 상기 기재의 주변 둘레 전체에 뻗도록 상기 배면 시트가 대략 상기 접음선을 따라 접힌 일회용 도포기.
  10. a) 내부 표면, 외부 표면 및 주변을 갖는 수분 불투과성 배면 시트,
    b) 제 1 표면, 제 2 표면 및 주변을 갖는 액체 투과성 기재,
    c) 상기 액체 투과성 기재에 적용된 조성물, 및
    d) 접음선의 한쪽에 상기 기재의 주변 둘레의 약 50% 이상에 형성된 밀폐부
    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의 주변이 상기 배면 시트의 주변보다 더 작고, 상기 배면 시트의 내부 표면이 상기 기재의 주변 둘레에 뻗도록 상기 제 1 표면이 상기 배면 시트의 내부 표면에 고정되고, 상기 조성물이 액체 투과성 기재를 노출 표면에 대고 문지름으로써 노출 표면에 전달될 수 있고, 상기 밀폐부가 상기 기재의 주변 둘레 전체에 뻗어서 상기 조성물을 보호하도록 상기 배면 시트가 대략 상기 접음선에서 접힌 일회용 도포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잔류 점착성을 나타내는 접착제가 상기 배면 시트의 외부 표면에 고정되고 라벨이 상기 접착제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됨으로써, 라벨이 제거될 때 접착제가 사용자가 일회용 도포기를 한 손에 붙잡아서 일회용 도포기에 대해 향상된 제어를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일회용 도포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70 ℉에서 반고체인 일회용 도포기.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70 ℉에서 고체인 일회용 도포기.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70 ℉에서 액체인 일회용 도포기.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수용액, 연고, 크림, 에멀젼 및 용매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일회용 도포기.
  16. a) 내부 표면, 외부 표면 및 주변을 갖는 증기 불투과성 배면 시트,
    b) 제 1 표면, 제 2 표면 및 주변을 갖는 액체 투과성 기재,
    c) 상기 액체 투과성 기재에 적용되는 피부 관리 조성물, 및
    d) 상기 배면 시트의 내부 표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기재의 주변 둘레에 위치하는 밀폐부
    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의 주변이 상기 배면 시트의 주변보다 약 5% 이상 더 작고, 상기 배면 시트의 내부 표면이 상기 기재의 주변 둘레에 뻗도록 상기 제 1 표면이 상기 배면 시트의 내부 표면에 고정되고, 상기 피부 관리 조성물이 액체 투과성 기재를 노출 표면에 대고 문지름으로써 노출 표면에 전달될 수 있고, 상기 피부 관리 조성물을 보호하도록 상기 배면 시트가 대략 접음선에서 접힌 일회용 도포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가 초음파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일회용 도포기.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 시트가 사람의 손에 쥐고 있는 동안 미끄러짐을 제한하는 마모성 텍스쳐를 가지는 외부 표면을 갖는 폴리올레핀 필름인 일회용 도포기.
  19. 제 16 항에 있어서, 증기 불투과성 배면 시트가 생분해성인 일회용 도포기.
  20. 제 16 항에 있어서, 사용자 손의 하나 이상의 수지(digit)를 받아들이는 크기를 갖는 포켓이 상기 배면 시트의 외부 표면 상에 형성되는 일회용 도포기.
  21. a) 내부 표면, 외부 표면 및 주변을 갖는 배면 시트,
    b) 제 1 표면, 제 2 표면 및 주변을 가지고, 상기 제 1 표면이 상기 배면 시트의 내부 표면에 고정된 액체 투과성 기재,
    c) 상기 액체 투과성 기재에 적용된 조성물,
    d) 접혀 포개진 상기 배면 시트, 및
    e) 상기 기재의 주변 둘레 전체에 뻗어서 상기 조성물을 보호하도록 상기 접혀 포개진 배면 시트 상에 형성된 밀폐부
    를 포함하고, 상기 조성물이 액체 투과성 기재를 노출 표면에 대고 문지름으로써 노출 표면에 전달될 수 있는 일회용 도포기.
KR1020087013719A 2005-12-08 2006-10-26 일회용 도포기 KR2008007585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297,284 2005-12-08
US11/297,284 US20070130706A1 (en) 2005-12-08 2005-12-08 Disposable applic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5859A true KR20080075859A (ko) 2008-08-19

Family

ID=37734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3719A KR20080075859A (ko) 2005-12-08 2006-10-26 일회용 도포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70130706A1 (ko)
EP (1) EP1957267A1 (ko)
KR (1) KR20080075859A (ko)
CN (1) CN101321620A (ko)
AU (1) AU2006323168A1 (ko)
BR (1) BRPI0617466A2 (ko)
WO (1) WO200706727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54435A (ja) * 2018-09-28 2020-04-09 花王株式会社 塗布用品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53416A1 (en) * 2006-12-22 2009-02-26 Irina Iosilevich Camouflage mask and method of mask use
US8262305B2 (en) * 2008-03-31 2012-09-1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ackage and applicator for liquid or semi-liquid composition
US8388248B2 (en) * 2008-12-30 2013-03-0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dical liquid applicator system
FR2967334B1 (fr) * 2010-11-15 2013-06-14 Oreal Dispositif d'application sur meches
US9592181B2 (en) 2011-04-04 2017-03-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ersonal care articles and methods
WO2013025764A1 (en) 2011-08-15 2013-02-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ersonal care articles having multi-zone compliant personal care compositions
WO2013025744A2 (en) 2011-08-15 2013-02-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ersonal care methods
US20150173447A1 (en) * 2012-06-21 2015-06-25 Jonathan Kaweblum Interior Clips for a Kippah
US9079003B1 (en) 2013-06-08 2015-07-14 Leasa Kay Hoogerwerf Cream and ointment applicator
US9855203B2 (en) 2013-06-27 2018-01-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eserving personal care compositions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08921A (en) * 1936-12-16 1938-02-22 Ind Patents Corp Pizzle removal method
US2621784A (en) * 1948-12-06 1952-12-16 Annette Caldwell Medicament or cosmetic applicator package
US3338992A (en) * 1959-12-15 1967-08-29 Du Pont Process for forming non-woven filamentary structures from fiber-forming synthetic organic polymers
US3414927A (en) * 1966-10-10 1968-12-10 Gurdon S. Worcester Composite web for treating human tissue
US3341394A (en) * 1966-12-21 1967-09-12 Du Pont Sheets of randomly distributed continuous filaments
US3542615A (en) * 1967-06-16 1970-11-24 Monsanto Co Process for producing a nylon non-woven fabric
US3849241A (en) * 1968-12-23 1974-11-19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Non-woven mats by melt blowing
DE2048006B2 (de) * 1969-10-01 1980-10-30 Asahi Kasei Kogyo K.K., Osaka (Japa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breiten Vliesbahn
DE1950669C3 (de) * 1969-10-08 1982-05-13 Metallgesellschaft Ag, 6000 Frankfurt Verfahren zur Vliesherstellung
US3657760A (en) * 1970-08-06 1972-04-25 Leonard Kudisch Cleaning pad for infant{40 s care
US4071921A (en) * 1977-02-09 1978-02-07 The Raymond Lee Organization, Inc. Disposable grease absorbing mitt
US4340563A (en) * 1980-05-05 1982-07-20 Kimberly-Clark Corporation Method for forming nonwoven webs
AU8948582A (en) * 1981-10-30 1983-05-05 Storandt, D.L. Applicator mitt
US4762124A (en) * 1986-10-28 1988-08-09 Kimberly-Clark Corporation Liquid dispensing pouch
US4904524A (en) * 1988-10-18 1990-02-27 Scott Paper Company Wet wipes
US4893956A (en) * 1988-11-18 1990-01-16 Blistex Inc. Packaging for medicaments
CA2048905C (en) * 1990-12-21 1998-08-11 Cherie H. Everhart High pulp content nonwoven composite fabric
US5487932A (en) * 1992-06-12 1996-01-30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Applicator wipe for viscous fluids
US5254109A (en) * 1992-12-07 1993-10-19 Creative Products Resource Associates, Ltd. Separately packaged applicator pads for topical delivery of incompatable drugs
US5648083A (en) * 1995-02-10 1997-07-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ersonal care compositions and wipe products containing the compositions
US6120783A (en) * 1997-10-31 2000-09-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eb materials with two or more skin care compositions disposed thereon and articles made therefrom
US6270487B1 (en) * 1998-05-01 2001-08-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a skin care composition disposed thereon that are at least partially assembled using an oil resistant adhesive
US6533765B1 (en) * 1998-05-01 2003-03-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a lotion resistant adhesive
US6149934A (en) * 1999-04-23 2000-11-2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a lotionized bodyside liner
US6446795B1 (en) * 2000-07-31 2002-09-10 The Gillette Company Towelette packaging
US6806213B2 (en) * 2001-12-20 2004-10-1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wash cloth and method of using
US7020927B2 (en) * 2002-10-15 2006-04-04 Ophelia Dolores Calvillo Multilayer personal hygiene system
US6915826B2 (en) * 2002-12-06 2005-07-12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Puncture sealing pneumatic tire
US20040237235A1 (en) * 2003-06-02 2004-12-02 Visioli Donna Lynn Multipurpose disposable applicator
US7416132B2 (en) * 2003-07-17 2008-08-26 Sandisk Corporation Memory card with and without enclosure
US7285520B2 (en) * 2003-12-01 2007-10-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Water disintegratable cleansing wip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54435A (ja) * 2018-09-28 2020-04-09 花王株式会社 塗布用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6323168A1 (en) 2007-06-14
WO2007067274A1 (en) 2007-06-14
EP1957267A1 (en) 2008-08-20
CN101321620A (zh) 2008-12-10
US20070130706A1 (en) 2007-06-14
BRPI0617466A2 (pt) 2011-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75859A (ko) 일회용 도포기
KR101696486B1 (ko) 액체 또는 반액체 조성물용 패키지 및 어플리케이터
DE60019316T2 (de) Halbgeschlossene auftragsvorrichtung zum verteilen einer substanz auf einer zieloberfläche
KR101283052B1 (ko) 액체 저장 및 적용 시스템을 갖는 일회용 와이프
AU2009247718B2 (en) Wipes with rupturable beads
US20080147022A1 (en) Skin care delivery device having a releasable backing
JP2004531325A (ja) 物質を対象表面上に供給する半包囲型アプリケータ
US20020192268A1 (en) Substrates utilizing shear responsive micropockets for storage and delivery of substances
CN101300383A (zh) 用于健康、卫生和/或环境用途的双面个人护理用品以及制造所述双面个人护理用品的方法
KR101444669B1 (ko) 탄성층 및 차단층을 갖는 조성물 전달용 기구의 제조방법
MXPA02008795A (es) Manguito para dedo desechable para apendices.
WO2016163128A1 (ja) シクロデキストリン含有シート
EP1904598A1 (en) Non-woven fabric
US20070131342A1 (en) Method of making, using and applying a composition to an exposed surface
WO2018016646A1 (ja) 不織布シート
JP4215705B2 (ja) 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シート状化粧料
CN1849083A (zh) 用于施加护唇剂的基体和工具
WO2018025676A1 (ja) 不織布シート
CN104366964A (zh) 手指套
MX2008007176A (en) A method of making, using and applying a composition to an exposed surface
CN211224573U (zh) 一种两联包护理用品
JP2008125845A (ja) 吸収性物品用の包装材
DE60037259T2 (de) Dosierende auftragsvorrichtung zum verteilen einer substanz auf einer zieloberfläch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SUBM Surrender of laid-open application requ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