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4338A - 저작권 표시된 동영상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저작권 표시된 동영상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4338A
KR20080074338A KR1020070013269A KR20070013269A KR20080074338A KR 20080074338 A KR20080074338 A KR 20080074338A KR 1020070013269 A KR1020070013269 A KR 1020070013269A KR 20070013269 A KR20070013269 A KR 20070013269A KR 20080074338 A KR20080074338 A KR 200800743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yright holder
video data
video
identifier
se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3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1243B1 (ko
Inventor
우병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그스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그스토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그스토리
Priority to KR1020070013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1243B1/ko
Publication of KR20080074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43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1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12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3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 H04N21/8352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involving content or source identification data, e.g. Unique Material Identifier [UM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9Interfacing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prioritizing client content requests
    • H04N21/2393Interfacing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prioritizing client content requests involving handling client requ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08Management of client data
    • H04N21/25816Management of client data involving client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7Rights management associated to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vertisement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8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 H04N21/8586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by using a UR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작권자가 표시되어 배포가 승인된 동영상 데이터를 서비스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성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사용자 장치로부터 동영상 업로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업로드 요청에 응답하여, 저작권자의 요청에 의하여 미리 생성된 저작권자 선택 리스트를 호출하는 단계; 상기 호출된 저작권자 선택 리스트를 이용하여 저작권자 선택이 가능한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 장치로부터 전송된 저작권자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송된 저작권자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영상 데이터에 저작권자 식별자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동영상, 저작권, 인코딩, 미디어 파일 서버, UCC

Description

저작권 표시된 동영상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PROVIDING COPYRIGHTED VIDEO DATA AND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에 있어서, 동영상 데이터의 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플랫폼 시스템에서 저작권자 선택을 제공하는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저작권자를 선택하기 위한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서비스 시스템에서 동영상 파일을 저장하는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서비스 방법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저작권자 선택 단계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광고 삽입 단계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 흐름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데이터 서비스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저작권 유무 검색을 수행하는 구성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동영상 데이터 서비스에 있어서, 저작권자를 표시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동영상 데이터의 공유에 있어서, 사전에 저작권자의 배포 승인을 취득한 동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원 저작자를 표시함으로써, 동영상 배포자 및 원 저작자 모두에게 수익을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동영상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은 동영상 데이터가 특정 파일 서버에 저장되어, 상기 동영상 데이터의 액세스 정보를 배포함으로써, 뉴스 사이트, 포털 사이트 또는 블로그, 개인 홈페이지 등에서 재생되는 방식으로 배포되고 있다.
이러한 동영상 데이터는 이미지 데이터에 비해 큰 데이터량이기 때문에 소수 사용자 또는 전문 데이터 제공 업체에 의해서만 제공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인터넷 회선 전송 속도가 빨라지고, 동영상 촬영 장치가 대중화됨에 따라서 전문가들이 아닌 일반 사용자들이 촬영한 동영상 파일의 유통이 활성화되고 있다. 특히, UCC(User Created Content)라는 이름으로 일반 사용자들이 직접 촬영한 동영상 데이터 또는 기존 동영상 데이터를 편집한 동영상 데이터가 개인적인 홍보뿐 아니라, 뉴스 정보의 전달과 같은 목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이용할 수 있는 컨텐츠로 발전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에 있어서, 동영상 데이터의 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동영상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은 동영상 제공자의 촬영장치(10, 20)와 동영상 데이터 편집 장치(11), 동영상 플랫폼 서버(30), 동영상 배포 서버(40) 및 동영상 수신 클라이언트(50, 51, 52)를 포함한다.
동영상 제공자는 자신이 소유한 촬영장치(10, 20)를 이용하여 촬영된 동영상을 직접 동영상 플랫폼 서버(30)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촬영된 동영상 데이터를 편집장치(11)을 이용하여 편집하여 동영상 플랫폼 서버(30)에 전송한다.
동영상 플랫폼 서버(30)는 전송된 동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 동영상 데이터에 액세스할 수 있는 액세스 정보를 동영상 배포 서버(40)에 제공한다. 동영상 플랫폼 서버(30) 및 동영상 배포 서버(40)는 개별 시스템 또는 통합 시스템 상에서 운영될 수 있다.
동영상 배포 서버(40)은, 포털 또는 뉴스 사이트가 될 수 있으며, 최근에는 전문적으로 동영상을 배포하는 서비스 사이트에 의해 운영될 수 있다. 동영상 배포 서버(40)는, 텍스트와 이미지 컨텐츠와 함께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액세스 정보를 제공하여, 클라이언트(50, 51, 52)가 상기 동영상 컨텐츠 액세스 정보를 통해 동영 상 플랫폼 서버(30)에 저장된 동영상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는 클라이언트(50, 51, 52)에 설치된 전문 동영상 시청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동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특정한 동영상 시청 프로그램이 없더라도 동영상을 감상할 수 있도록 동영상 플레이어가 내장되어 생성된 확장자가 "flv" 인 플래시 파일로 동영상을 인코딩하여 제공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있다.
상기 플래시 파일은 일반 동영상 파일과 달리, 특수한 효과, 오버레이 기능 등 다양한 편집 기능을 제공하며, 다른 사이트로 이동하는 링크 또는 광고 등을 쉽게 삽입할 수 있으므로 상기 동영상 데이터의 배포 및 공유를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동영상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에 의해 동영상 공유가 활성화될수록, 저작권 침해가 빈번하게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더욱이, 신문사나 방송국과 같은 언론기관이 직접 제작한 동영상 자료가 동영상 플랫폼 서버(30)을 통해 자유롭게 다른 뉴스 사이트 등에 공유된다면, 힘들여 취재하거나 제작한 저작권자의 노력에 타인이 무임승차하는 형국이 된다.
그러므로 종래의 동영상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은 항상 저작권 침해로 피소 당할 위험에 놓여 있다.
더불어, 이러한 저작권 침해 우려에 의해 동영상 플랫폼 서버(30)의 운영자 역시 동영상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의 수익 모델을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없게 된다. 왜냐하면, 동영상 플랫폼 서버(30)의 운영자는 동영상 데이터의 저장 장소와 액세스 기능을 제공하는 대신, 동영상 데이터에 삽입된 광고 수익을 향유하기 때문 이다.
그러나, 저작권 침해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동영상 플랫폼 서버(30)의 운영자 역시 위법한 방법으로 수익을 얻게 되는 것이므로 저작권 침해에 의한 부당 이득 또는 손해 배상을 지불해야 할 위험이 존재한다.
현재까지 이러한 동영상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은 개별 동영상 데이터에 대한 조사 또는 사용자의 신고에 의해 동영상 컨텐츠를 삭제하고는 있으나, 이는 많은 시간과 자원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저작권 침해의 소지를 방지하여 안정적인 수익 모델을 창출할 수 있는 동영상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전에 저작권자로부터 배포 승인을 획득하여, 동영상 데이터의 원 저작권자를 표시함과 더불어, 배포시에 삽입되는 광고 수익을 원 저작권자에게 일부 분배함으로써, 저작권 침해로 인한 피소의 위험없이 원활한 동영상 데이터 공유를 가능케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 장치로부터 업로드가 요청된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미리 저장된 저작권자 리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동영상 데이터에 대한 저작권자 선택이 가능한 화면을 사용자 장치에 제공하는 저작권자 선택 제공부; 사용자 장치로부터 전송된 저작권자 선택 정 보에 응답하여 저작권자의 식별자를 상기 동영상 데이터에 삽입하는 저작권자 식별자 삽입부; 및 상기 저작권자 식별자가 삽입된 동영상을 저장하는 미디어 파일 저장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동영상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저작권자 선택 제공부와 연결되며, 저작권자 시스템의 요청에 의하여 상기 저작권자 리스트를 생성 및 갱신하는 저작권자 리스트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저작권자 식별자는 저작권자의 명칭, 로고 및 상기 저작권자가 지정한 특정 인터넷 주소로 인도하는 링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데이터 서비스 방법은, 사용자 장치로부터 동영상 업로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업로드 요청에 응답하여, 저작권자의 요청에 의하여 미리 생성된 저작권자 선택 리스트를 호출하는 단계; 상기 호출된 저작권자 선택 리스트를 이용하여 저작권자 선택이 가능한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 장치로부터 전송된 저작권자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송된 저작권자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영상 데이터에 저작권자 식별자를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작권자 식별자가 삽입된 동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된 동영상 데이터의 액세스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동영상 데이터 서비스 방법은, 저작권자 선택 정보에 응답하여 광고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검색된 광고를 상기 동영상 데이터에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동영상 데이터 업로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업로드 요청된 동영 상의 저작권자가 존재하는지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저작권 선택 웹페이지 제공 단계는, 상기 검색된 저작권자를 포함하는 저작권자 리스트가 게시된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사용자 장치(11)는 촬영된 동영상 데이터 또는 기존 동영상 데이터를 편집한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동영상 플랫폼 시스템(100)에 업로드한다. 업로드된 동영상은 전술한 바와 같이 특정한 포맷(예를 들어, "flv" 파일 형식)으로 인코딩되어 저장된다.
한편, 동영상 플랫폼 시스템(100)은 저작권자 시스템(500)의 요청에 응답하여 저작권자에 관한 정보를 등록한다. 상기 저작권자 시스템(500)은, 일반적으로 동영상 소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송국 등이 될 수 있으나, 특정 주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저작권자 시스템(500)은, 동영상 플랫폼 시스템에 접속하여 사전에 자신이 원저작자인 동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특정 조건에 한해 배포를 승인한다는 것을 등록한다. 상기 특정 조건은 상기 저작권자의 식별자를 동영상에 삽입하거나, 상기 저작권자가 지정하는 사이트로 인도하는 링크를 삽입하는 방식이 될 수 있다.
광고 요청자 시스템(600)은 동영상 플랫폼 시스템(100)이 인코딩하는 동영상 데이터에 삽입할 광고를 요청한다. 상기 광고는 이미지 형태로 동영상 전후에 삽입되거나, 동영상 플레이 전 정지 영상으로 삽입될 수 있다. 또는 동영상 재생 중 광고 출처가 되는 사이트로 인도하는 링크가 삽입될 수 있다.
동영상 플랫폼 시스템(100)은 상기 광고 요청자 시스템(600)으로부터 접수된 광고 요청과 저작권자 시스템(500)으로부터 수신한 저작권자 표시 요청을 서로 매칭시켜 저작권자 표시 및/또는 광고를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동영상 플랫폼 시스템(100)은 사용자 장치(11)가 동영상 데이터를 업로드하고 상기 업로드된 동영상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단계 전에 저작권자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한다. 사용자 장치(11)는 상기 저작권자를 선택하거나 또는 자신의 저작권을 인증받는 경우에 한해 동영상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동영상 플랫폼 시스템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작권자 선택 단계는, 미리 저장된 저작권자의 리스트를 모두 제공하 거나, 동영상 데이터의 정지 화상으로부터 저작권자 키워드를 추출하여 후보가 되는 저작권자 리스트만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1)가 저작권자를 선택하면, 상기 저작권자를 표시하는 식별자와 상기 저작권자와 매칭된 광고가 동영상에 삽입되어 인코딩된다. 인코딩된 동영상 데이터는 동영상 플랫폼 시스템(100)에 저장되고, 저장된 동영상 데이터는 동영상 배포 서버(300)에 의해 배포되어 네트워크상에서 공유될 수 있다.
상기 동영상 배포 서버(300)는 상기 저장된 동영상 데이터를 액세스할 수 있는 링크 정보가 HTML 방식으로 게시될 수 있는 임의의 웹 공간이 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저작권자는 사전에 자신이 저작권을 가지는 동영상 데이터에 식별자를 삽입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자신이 운영하는 사이트로 인도하는 링크를 삽입할 수 있어 출처의 오인 혼동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저작권자는 상기 배포된 동영상에 삽입된 광고에 의해 발생하는 수익을 일정 비율로 분배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동영상 플랫폼 시스템(100) 운영자는 저작권자의 사전 승인을 받은 동영상만을 배포할 수 있게 되어, 저작권 침해의 위험 없이 안정적인 광고 수익을 분배받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서비스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도면과 함께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플랫폼 시스템(100)에서 저작권자 선택을 제공하는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플랫폼 시스템(100)은 동영상 데이터 수신부(110), 저작권자 선택 제공부(120), 저작권자 리스트 생성부(130), 저작권자 식별자 삽입부(140), 광고 삽입부(150), 미디어 파일 저장부(160)를 포함한다. 도 3은 저작권자를 선택하여 상기 저작권자의 식별자를 삽입하기 위한 구성을 도시한 것이며, 추가의 구성 및 세부 구성은 이하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동영상 데이터 수신부(110)는 웹 페이지 등에서 사용자 장치(11)로부터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페이지를 제공한다. 상기 동영상 데이터의 수신은 웹 상에서 이뤄질 수도 있으며, 사용자 장치(11)에 전용 업로드 프로그램이나 에이전트를 설치하는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작권자 선택 제공부(120)는 상기 동영상 데이터 수신부(110)에서 업로드 요청이 수신되면, 저작권자를 선택할 수 있는 리스트를 사용자 장치에 제공한다. 사용자 장치(11)는 저작권자 리스트 화면에 나열된 저작권자를 선택하여 다음 단계로 진행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저작권자의 정보를 동영상 플랫폼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저작권자 선택 제공부(120)가 제공한 화면에 저작권자가 선택되지 않을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의 상세 처리는 후술한다.
저작권자 리스트 생성부(130)는 저작권자 선택 제공부(120)에 제공되는 저작권자 리스트를 관리 및 업데이트한다. 상기 저작권자 리스트는 새로운 저작권자의 등록 요청에 의해 배포 승인이 확인되면 계속해서 저작권자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저작권자 식별자 삽입부(140)는 선택된 저작권자의 식별자를 인코딩되는 동영상 데이터에 삽입한다. 저작권자 식별자는 저작권자가 미리 지정한 로고 이미지나 텍스트가 될 수 있으며, 동영상 전후 이미지로서 삽입되거나 또는 동영상 위에 오버레이 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동영상 전체에 걸쳐 워터 마크 형식으로 삽입될 수도 있으며, 동영상 중 상기 로고를 클릭하는 경우 저작권자가 운영하는 사이트로 인도하는 링크의 형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동영상에서의 식별자 삽입은, 예컨데, 미국의 온투 테크놀러지스(ON2 Technologies)에서 개발한 코덱을 사용하여 플래쉬 파일의 일종인 "flv" 파일 형식으로 동영상을 인코딩하는 경우 가능하다.
광고 삽입부(150)는 미리 저장된 광고 정보를 상기 저작권자 식별자와 연계하여 또는 독립적으로 동영상 데이터에 삽입한다. 상기 광고 데이터는 저작권자가 미리 지정한 광고 분류에 따라 해당 광고 데이터가 삽입되거나, 광고주가 지정한 동영상 요약 정보인 태그(tag)에 기초하여 삽입되거나 랜덤하게 삽입될 수 있다. 광고 데이터 역시 온투 테크놀러지스(ON2 Technologies)에서 개발한 코덱을 사용하여 인코딩하는 경우에 이미지, 오버레이, 워터마크, 링크 형식으로 삽입될 수 있다.
미디어 파일 저장부(160)에는 저작권자 식별자 및/또는 광고가 삽입된 인코딩된 동영상 데이터가 저장된다. 상기 저장된 인코딩된 동영상 데이터에 액세스할 수 있는 정보(URL 또는 링크 정보)는 동영상 플랫폼 시스템(100)의 웹서버로 전송되어, 게시되거나 다른 사용자 장치 또는 동영상 배포 서버(300)가 복사할 수 있도록 제공되어 외부 시스템의 접근을 허용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저작권자를 선택하기 위한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하였던 동영상 데이터 수신부(110)는 동영상 데이터 수신 모듈(111), 웹서버 모듈(112), 회원 인증 모듈(113)을 포함한다. 상기 모듈 및 이하에 설명하는 모듈은 별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나, 하나의 하드웨어에 설치된 프로그램으로도 구현 가능하다.
여기서, 웹서버 모듈(112)은 사용자 장치가 웹을 통해 접근할 수 있는 웹페이지를 제공한다. 사용자 장치는 상기 웹페이지에 디스플레이된 화면에 기초하여 회원 등록, 회원 인증 및 동영상 업로드 등의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동영상 데이터 수신 모듈(111)은 사용자 장치에 동영상 업로드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동영상을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회원 인증 모듈(113)은 동영상 플랫폼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는 회원을 관리하고 회원의 로그인을 관리한다. 상기 회원 인증 모듈(113)은 동영상을 업로드하려는 사용자 장치 외에도 저작권자 시스템 및 광고 요청 시스템과 연계하여 저작권자 및 광고 요청자의 등록 및 인증 역시 수행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하였던 저작권자 선택 제공부(120)는, 저작권 유무 판단 모듈(121), 저작권자 선택 모듈(122)을 포함한다.
저작권 유무 판단 모듈(121)은 업로드 요청된 동영상 데이터에 별도의 저작권자가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저작권 유무 판단 모듈(121)은 전송된 동영상 데이터의 메타 데이터를 조사하여 직접 촬영된 동영상인지 아니면 TV 등에 방영된 동영상의 편집물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메타 데이터는 동영상에 관한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이며, 촬영일시, 촬영 장치의 식별자, 동영상 시간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메타 데이터를 조사하여 촬영 일시 또는 촬영 장치의 식별자 등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편집 동영상으로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촬영 장치의 식별자가 미리 등록된 촬영 장치의 식별자 중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원 저작자가 별도로 존재하는 동영상 데이터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저작권 유무 판단 모듈(121)은 동영상의 정지화상을 검색하며 텍스트를 추출함으로써 미리 등록된 저작권자와 매칭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동영상의 정지화상의 중앙부 또는 귀퉁이의 특정 영역을 스캔하여 광학식 문자 판독(OCR)을 수행하여 미리 등록된 저작권자와 매칭시킬 수 있다. 왜냐하면, 방송국에서 방영된 동영상의 편집물의 경우에는 화면 중에 프로그램의 타이틀 또는 방송국의 로고가 삽입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선택 모듈(122)은 상기 저작권 유무 판단 모듈(121)의 판단 여부에 따라 저작권자 리스트를 호출하여 웹페이지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저작권자 리스트는 저작권 유무 판단 모듈(121)의 광학식 문자 판독의 결과에 따라 매칭된 후보 리스트만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되었던 저작권자 리스트 생성부(130)는 저작권자 리스트 데이터베이스(131) 및 리스트 갱신부(132)를 포함한다.
저작권자 리스트 데이터베이스(131)는 배포를 승인한 저작권자의 리스트를 저장한다. 저작권자 리스트 데이터베이스(131)는 저작권자와 대응하는 식별자와 광고 정보를 함께 매칭시켜 저장할 수도 있다.
리스트 갱신부(132)는 웹서버를 통해 저작권 시스템으로부터 저작권자 요청 등록을 수신하고, 상기 요청 등록에 응답하여 저작권자 리스트 데이터베이스(131)을 갱신한다.
인코딩 서버(200)는 저작권자 식별자 삽입부(140) 및 광고 삽입부(150)로부터 전송된 저작권자 식별자 및 광고 데이터를 인코딩된 데이터에 삽입한다. 상기 인코딩 서버(200)는 온투 테크놀러지스의 서버용 인코딩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수신된 동영상을 플래시 기반의 "flv" 파일로 인코딩할 수 있다. 플래쉬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는 별도의 플레이어가 필요없으며, 플레이어 스킨 및 동영상 편집, 이미지 또는 링크 삽입 등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서비스 시스템에서 동영상 파일을 저장하는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동영상 데이터 플랫폼 시스템(100)은 추가로 미디어 파일 서버(161), 이미지 서버(162), DB 서버(170)를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파일 서버(161)는 동영상 데이터 수신 모듈(111)로부터 수신된 동영상을 일시 저장하거나 인코딩 서버(180)에서 인코딩된 동영상 데이터를 저장한다. 인코딩된 동영상 데이터는 미디어 파일 서버(161)에 저장되어, 외부의 요청에 의해 상기 동영상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미지 서버(162)는 상기 동영상 데이터의 정지 화상 일부를 저장하여 동영 상의 참조 자료 또는 플레이 시간대별 인덱스로 사용할 수 있다.
DB 서버(170)는 복수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회원에 관한 정보와 인코딩된 동영상 데이터에 관한 링크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더불어, 저작권자와 동영상을 매칭시키는 정보 또는 동영상 호출 통계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전술한 저작권자 리스트 데이터 베이스(131)는 상기 DB 서버(170)와 물리적으로 하나의 장치에 구현될 수도 있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사용자 장치(11)는 동영상 데이터를 업로드하기 위하여 저작권자를 선택하여 동영상 데이터에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받게 된다. 동영상 플랫폼 시스템 운영자는 사용자가 업로드한 동영상에 사전에 배포 승인을 받은 저작권자의 식별자를 삽입함으로써 저작권 침해의 문제에서 자유로워질 수 있다. 상기 미리 등록한 저작권자는 자신의 식별자가 삽입된 동영상을 공유를 허용함으로써 동영상 출처를 공중에 확실하게 알릴 수 있으며, 더불어 동영상 호출에 따라 발생하는 광고 수익을 분배받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서비스 방법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서비스를 위하여 단계(S100)에서는 동영상 데이터 플랫폼 시스템은 동영상 데이터 업로드 요청을 수신한다. 상기 동영상 데이터 업로드 요청은 로그인한 회원에게 동영상 업로드가 가능한 웹페이지 또는 전용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회원의 사용자 장치에 저장된 동영상의 업로드 동작에 대응하여 발생한다.
상기 동영상 데이터 업로드 요청에 응답하여, 동영상 데이터 플랫폼 시스템은 저작권자를 선택할 수 있는 저작권자 선택 리스트를 호출한다(S200). 상기 저작권자 선택 리스트는 저작권자 식별자를 삽입하는 조건으로 자신이 저작권자인 동영상 또는 그 편집물의 배포를 승인한 저작권자의 리스트로서 새로운 저작권자가 등록됨에 따라 지속적으로 갱신될 수 있다.
단계(S300)에서, 동영상 데이터 플랫폼 시스템은 사용자 장치로부터 저작권자 선택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선택 정보는 저작권자가 나열된 웹페이지 화면에서 사용자 장치가 저작권자를 선택함으로써 생성된다. 한편 동영상의 저작권자에 따라서 상기 저작권자를 선택할 수 없는 경우도 존재하지만, 이러한 경우의 처리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저작권자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저작권자에 대응하는 저작권자의 식별자가 동영상 데이터에 삽입된다(S400). 또한, 단계(S500)에서는 광고가 동영상 데이터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저작권자 식별자 또는 광고가 삽입되면 상기 동영상 데이터는 인코딩되어 저장된다(S600). 도 6에서는 저작권자 식별자 또는 광고 삽입이 인코딩 단계와 별개로 표시되어 있으나, 상기 삽입 단계는 동영상 데이터의 인코딩 단계 중에 이뤄질 수도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실일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저작권자 선택 단계의 세부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저작권자 선택을 위한 단계(S310)에서 동영상 플랫폼 시스템은 저작권자 선 택 화면을 제공한다. 상기 저작권자 선택 화면은 이미 등록된 저작권자의 리스트를 이용하여 저작권자를 선택할 수 있는 웹페이지 형태로서 사용자 장치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 장치의 사용자는 상기 웹페이지에 디스플레이된 저작권자 중 자신이 업로드하고자 하는 동영상 데이터의 저작권자를 선택하여 전송하고, 동영상 플랫폼 시스템은 저작권자 선택 정보를 수신한다(S320).
한편, 업로드하고자 하는 동영상 데이터의 저작권자가 리스트에 존재하지 않거나 별도의 저작권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도 존재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사용자 장치는 저작권자의 선택을 수행하지 않거나 기타 저작권자를 입력하고 다음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동영상 데이터 플랫폼 시스템은 단계(S330)에서, 저작권자가 리스트상에서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선택된 경우에는 선택된 저작권자의 식별자와 매칭하여 저작권자 식별자를 삽입한다(S350, S400).
한편, 리스트 상에 저작권자가 선택되지 않는 경우에는 업로드하는 회원 본인의 저작물인지를 확인한다(S340). 본인 저작물인지 여부는 동영상 데이터의 메타 데이터에 포함된 촬영 일시 및 촬영 식별자를 이용하여 판단할 수 있다. 본인 저작물 판단 방법은, 촬영 장치의 모델 명을 입력하거나 선택하도록 하여 메타 정보에 추출된 촬영 장치 식별자와 비교하는 방법도 있으며, 미리 인증된 촬영 장치의 식별자를 가진 동영상 데이터만을 허용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만약 본인 저작물인 것이 확인되는 경우에는, 저작권자의 식별자가 삽입될 수 있다(S400). 여기서 저작권자의 식별자는 회원 ID 또는 이름, 닉네임 등이 될 수 있으며, 회원의 선택 여부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만약 본인 저작물이 아니거나 기타 저작물인 경우에는 동영상 플랫폼 시스템의 운영 정책에 따라 업로드를 중지시키거나, 저작권자 미상으로 판단하여 인코딩 및 저장 단계로 이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광고 삽입 단계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 흐름도이다.
단계(S300)에서 저작권자 선택 화면을 제공하고 나면, 단계(S510)에서는 저작권자가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저작권자가 선택되면, 선택된 저작권자와 미리 매칭된 광고가 존재하는지 검색한다(S530). 상기 광고의 매칭은 저작권자가 지정한 광고 분류와 광고 요청자가 지정한 동영상 분류를 서로 매칭시키는 엔진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으며, 상기 분류가 없는 경우에는 랜덤하거나 순차적으로 매칭될 수 있다.
여기서, 저작권자가 지정한 광고 분류는 광고 상품 및 광고 주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광고 요청자가 지정한 동영상 분류는 저작권자 또는 동영상의 요약 정보(tag)가 될 수 있다. 단계(S540)에서는 상기 매칭 결과를 만족시키는 광고가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고, 존재하는 경우 단계(S550)에서 광고를 삽입한다.
만약 단계(S510)에서 저작권자가 선택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S520)에서 본인 저작물인지를 판단한다. 본인 저작물의 판단 방법에 대해서는 도 7의 실시예에서 자세히 설명하였으므로 구체적인 방법은 생략한다. 만약 여기서 본인 저작물로 서 판단된 경우에는 동영상 플랫폼의 사용 대가로서 광고를 삽입한다.
만약 본인 저작물이 아닌 기타 저작물인 경우에는 동영상 플랫폼 시스템 운영자 정책에 따라서 절차를 종료하거나, 광고를 삽입하지 않고 데이터 인코딩 및 저장을 수행한다(S600).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데이터 서비스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동영상 데이터 업로드 후 저작권 선택 이전에 동영상 데이터의 저작권 유무를 판단하는 구성을 더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계(S100)에서 동영상 데이터 업로드 요청이 수신되면, 동영상 데이터 플랫폼 시스템은 본인을 제외한 타 저작권자가 존재하는지를 판정한다(S710, S720). 상기 저작권자를 판정하는 방법은 동영상 데이터의 정지 화상의 중앙부 또는 측면 가장 자리를 광학식으로 판독하여 특정 텍스트(예를 들어, 프로그램의 타이틀 또는 방송국 로고)가 존재하는 지를 조사하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만약 본인을 제외한 타 저작권자가 검색되면 검색된 저작권자의 선택 리스트가 제공된다(S730). 만약 프로그램 타이틀이 검출되었을 경우, 상기 프로그램 타이틀을 방영하는 방송국의 리스트가 제공될 수 있으며, 방송국 로고가 검출되었을 경우에는 해당 방송국이 저작권자로서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 장치는 상기 제공된 선택 리스트에서 저작권자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단계(S400)에서 선택된 저작권자의 식별자가 삽입된다.
만약 다른 저작권자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에는 특별히 저작권자 식별자를 삽 입하지 않고 광고 삽입 단계(S500)로 이행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저작권 유무 검색을 수행하는 구성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9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 타 저작권 유무를 판정하는 구성은 이하와 같이 구체적인 과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단계(S711)에서 동영상 데이터의 헤더 또는 메타 데이터를 검사한다. 대개 동영상 데이터의 헤더 또는 메타 데이터에는 동영상에 관련된 기본 정보가 저장된다. 만약 촬영된 동영상이라면 촬영 일시, 촬영 장치의 식별자, 동영상 시간 등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만약 녹화되거나 편집된 동영상 데이터라면, 녹화 일시, 녹화 프로그램의 식별자, 편집 프로그램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더 및 메타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단계(S712)에서는 업로드하고자 하는 동영상이 편집 동영상인지 촬영 동영상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여기서 촬영 데이터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단계(S713)에서 본인 저작물인지를 확인한다. 본인 저작물을 확인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이미 상술하였으므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만약 편집물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타인이 저작권자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정지 화상 데이터를 스캔한다(S721). 단계(S722)에서는 스캔된 정지 화상의 중앙 또는 측면 가장자리를 광학 문자 판독하여 이미지 객체를 텍스트 객체로 변환한다. 이 단계를 통해서 동영상 데이터의 프로그램 타이틀 또는 방송사 로고를 추출할 수 있다.
단계(S723)에서는 추출된 텍스트 객체에 대응하는 저작권자를 검색한다. 전 술한 바와 같이, 미리 저장된 정보를 통해 특정 프로그램 타이틀에 대한 저작권자 또는 방송국 명이 추출될 수 있다.
단계(S730)에서는 검색된 저작권자의 선택 리스트를 제공하게 되고, 사용자 장치는 상기 선택 리스트를 통해 저작권자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저작권자 선택이 이뤄지면,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 따라서 저작권자 식별자 또는 광고가 삽입되어 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치가 임의로 저작권자를 선택하여 잘못된 저작권자를 선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저작권자 선택의 편의를 제공하여 저작권자 표시를 더욱 활성화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공유 또는 배포되는 동영상에 미리 배포 승인한 저작권자를 표시함으로써, 동영상 제공자 또는 동영상 플랫폼 시스템 운영자의 저작권 침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더불어, 저작권자는 공유, 배포되는 동영상에 자신의 식별자 또는 링크 정보를 삽입함으로써 출처의 혼동을 방지하고, UCC 동영상을 이용하여 자신을 홍보하거나 자신의 사이트로의 인도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저작권의 승인의 대가로서 광고 수익을 분배받을 수 있으므로 저작권자 및 동영상 데이터 플랫폼 운영 업체 모두 안정적인 광고 수익을 향유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18)

  1. 온라인 동영상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장치로부터 업로드가 요청된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미리 저장된 저작권자 리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동영상 데이터에 대한 저작권자 선택이 가능한 화면을 상기 사용자 장치에 제공하는 저작권자 선택 제공부;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전송된 저작권자 선택 정보에 응답하여 저작권자의 식별자를 상기 동영상 데이터에 삽입하는 저작권자 식별자 삽입부; 및
    상기 저작권자 식별자가 삽입된 동영상을 저장하는 미디어 파일 저장부
    를 포함하는 동영상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권자 선택 제공부와 연결되며, 저작권자 시스템의 요청에 의하여 상기 저작권자 리스트를 생성 및 갱신하는 저작권자 리스트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동영상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권자 식별자는 저작권자의 명칭, 로고 및 상기 저작권자가 지정한 특정 인터넷 주소로 인도하는 링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동영상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데이터에 광고를 삽입하는 광고 삽입부를 더 포함하는 동영상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삽입부는 상기 선택된 저작권자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광고를 삽입하는 것인 동영상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데이터 수신부는,
    동영상 데이터를 업로드할 수 있는 회원을 관리하는 회원 인증 모듈;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영상 데이터 수신 모듈; 및
    회원 인증 및 동영상 업로드를 위한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웹서버 모듈을 포함하는 동영상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 모듈은 저작권자 등록 요청을 수행하는 웹페이지를 더 제공하는 것인 동영상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권자 선택 제공부는,
    업로드되는 동영상 데이터의 저작권 유무를 판단하는 저작권 유무 판단 모듈; 및
    상기 저작권 판단 모듈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저작권자를 선택하는 저작권자 선택 모듈을 포함하는 동영상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권 유무 판단 모듈은 업로드되는 동영상 데이터의 메타 데이터에 기록된 정보에 기초하여 저작권 유무를 판단하는 것인 동영상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권 유무 판단 모듈은 업로드 되는 동영상 데이터의 정지 화상을 광학 문자 판독하여 추출된 텍스트에 기초하여 저작권 유무를 판단하는 것인 동영상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권자 식별자가 삽입된 동영상 데이터를 다른 포맷으로 인코딩하여 상기 미디어 파일 저장부로 전달하는 인코딩 서버; 및
    상기 미디어 파일 저장부에 저장된 인코딩된 동영상 데이터의 액세스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 서버를 더 포함하는 동영상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
  12. 온라인 동영상 데이터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장치로부터 동영상 데이터의 업로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업로드 요청에 응답하여, 저작권자의 요청에 의하여 미리 생성된 저작권자 선택 리스트를 호출하는 단계;
    상기 호출된 저작권자 선택 리스트를 이용하여 저작권자 선택이 가능한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전송된 저작권자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송된 저작권자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영상 데이터에 저작권자 식별자를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작권자 식별자가 삽입된 동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된 동영상 데이터의 액세스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동영상 데이터 서비스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저작권자 선택 정보에 응답하여 광고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검색된 광고를 상기 동영상 데이터에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영상 데이터 서비스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권자 선택 정보가 없는 경우, 메타 데이터에 기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영상 데이터가 본인 저작물인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영상 데이터 서비스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데이터 정보에 기록된 정보는 촬영 장치 식별자를 포함하며,
    상기 동영상 데이터가 본인 저작물인 경우에는 업로드 요청을 수행한 회원의 식별자를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영상 데이터 서비스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동영상 데이터 업로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업로드 요청된 동영상의 저작권자가 존재하는지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저작권 선택 웹페이지 제공 단계는, 상기 검색된 저작권자를 포함하는 저작권자 리스트가 게시된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동영상 데이터 서비스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단계는, 동영상 데이터의 정지 화상 데이터의 일부를 광학 문자 판독하여 추출된 텍스트와 미리 저작권자와 대응하여 저장된 텍스트를 서로 비교하여 이뤄지는 것인 동영상 데이터 서비스 방법.
  18. 제12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권자 식별자가 삽입된 동영상 데이터를 다른 형식으로 인코딩하여 미디어 파일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영상 데이터 서비스 방법.
KR1020070013269A 2007-02-08 2007-02-08 저작권 표시된 동영상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612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3269A KR100861243B1 (ko) 2007-02-08 2007-02-08 저작권 표시된 동영상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3269A KR100861243B1 (ko) 2007-02-08 2007-02-08 저작권 표시된 동영상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4338A true KR20080074338A (ko) 2008-08-13
KR100861243B1 KR100861243B1 (ko) 2008-10-02

Family

ID=39883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3269A KR100861243B1 (ko) 2007-02-08 2007-02-08 저작권 표시된 동영상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12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5885A1 (ko) * 2015-12-29 2017-07-06 윤재영 다양한 콘텐츠에 암호화정보를 포함시켜 검색 및 추적이 용이하도록 한 콘텐츠 검색 및 이력추적 감시시스템
KR102434880B1 (ko) * 2022-02-10 2022-08-22 김국영 멀티미디어 플랫폼 기반 지식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6362A (ko) * 2000-04-18 2001-11-07 김창식 실시간 캡션 처리를 사용한 동영상 서비스방법 및 이를이용한 인터넷 방송시스템
KR100492803B1 (ko) * 2001-06-07 2005-06-07 최안나 디지털 저작권 사전확인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5885A1 (ko) * 2015-12-29 2017-07-06 윤재영 다양한 콘텐츠에 암호화정보를 포함시켜 검색 및 추적이 용이하도록 한 콘텐츠 검색 및 이력추적 감시시스템
KR102434880B1 (ko) * 2022-02-10 2022-08-22 김국영 멀티미디어 플랫폼 기반 지식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1243B1 (ko) 2008-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6027B1 (ko) 저작권 인증된 동영상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6316787B2 (ja) 広告タグを介したウェブベースのメディアにおけるコンテンツシンジケーション
CN104137553B (zh) 视频管理系统
US2005003374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server-sided linking of information
US20150046537A1 (en) Retrieving video annotation metadata using a p2p network and copyright free indexes
US20070157227A1 (en) Advertising services architecture
US20070078832A1 (en) Method and system for using smart tags and a recommendation engine using smart tags
CN104813673A (zh) 共享内容同步评价
KR20020041328A (ko) 음악 또는 다른 미디어에서 디지털 워터마킹을 이용하는방법들 및 시스템
JP7153115B2 (ja) シーン共有システム
KR101140318B1 (ko) 동영상 정보에 대응되어 저장되는 상업적 태그 등의 메타정보 기반 키워드 광고 서비스 방법 및 그 서비스를 위한시스템
JP2001326921A (ja) コンテンツ管理システム、コンシンツ管理方法、カメラ装置
CN101507270A (zh) 多源桥式网络发布系统和方法
KR101181732B1 (ko) 동영상 핑거프린트 정보에 기반한 동영상 마크업 데이터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861243B1 (ko) 저작권 표시된 동영상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WO2010021057A1 (ja) 広告配信制御方法、および広告配信制御装置
KR20100125996A (ko) 동영상 정보에 구간별로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US11245947B1 (en) Device and method for capturing, processing, linking and monetizing a plurality of video and audio recordings from different points of view (POV)
JP4173956B2 (ja) ウエブサイト誘導システム及びウエブサイト誘導装置
JP2005157688A (ja) コンテンツ受信端末、履歴検索装置、履歴データ生成方法、履歴検索方法、履歴データ生成プログラム及び履歴検索プログラム
JP2005242622A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及びゲートウェイ装置
KR102348756B1 (ko) 라이브 공연 영상에 대한 중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0656219B1 (ko) 디지털 사진 거래 방법
KR101301129B1 (ko)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실시간 이벤트광고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02056129A (ja) アーカイヴシステム及びその検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