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8756B1 - 라이브 공연 영상에 대한 중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라이브 공연 영상에 대한 중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8756B1
KR102348756B1 KR1020210123693A KR20210123693A KR102348756B1 KR 102348756 B1 KR102348756 B1 KR 102348756B1 KR 1020210123693 A KR1020210123693 A KR 1020210123693A KR 20210123693 A KR20210123693 A KR 20210123693A KR 102348756 B1 KR102348756 B1 KR 102348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formance
shooting
keyword
viewer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3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효지
Original Assignee
(주)라이브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라이브베리 filed Critical (주)라이브베리
Priority to KR1020210123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87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8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8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04N21/2187Live fe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04N21/2541Rights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36Monitoring of piracy processes or activ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6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4668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for recommending content, e.g. mov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6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using recommendation lists, e.g. of programs or channels sorted out according to their score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라이브 공연 영상에 대한 중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영상 제공자로부터 전송받은 공연 영상을 저장하고 시청자에게 송출하는 영상 제공 인터페이스; 복수의 봇(bot)을 매개로 복수의 온라인매체에 공연에 대한 키워드 검색을 수행하여 공연일정을 포함하는 공연정보를 수집하는 검색 수행 모듈; 수집된 공연정보를 기반으로 추천공연리스트를 생성하는 추천공연 생성 모듈; 생성된 상기 추천공연리스트를 상기 시청자에게 제공하는 공연 추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라이브 공연 영상에 대한 중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Relay service delivery system for live performance images}
본 발명은 라이브 공연 영상에 대한 중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콘서트, 팬미팅, 뮤지컬, 연극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온/오프라인 상의 공연에 대한 실시간 라이브 중계 뿐 아니라, 다양한 공연에 대한 추천 기능을 겸비한 라이브 공연 영상에 대한 중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Covid-19 이후 사회적 거리두기가 격상되면서 공연 업계는 전례없던 불황을 맞고 있다. 영화의 경우 관객 감소와 개봉 연기가 잇따르고 있으며, 연극의 경우 공연 연기 사태가 일파만파로 치닫고 있다. 콘서트의 경우도 이루 말할 수 없는데, 이에 따라 현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 역시 코로나 블루(Corona blue)를 겪고 있기도 하다.
이러한 공연업계를 보조하기 위해, 언택트 방식의 라이브 공연이 도입되어 이용되고 있는데, 이는 언택트, 즉 사전적인 의미로 기술의 발전을 통해 점원과의 접촉 없이 물건을 구매하는 등 새로운 소비 경향에 발맞춰 공연 역시 언택트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언택트 실시간 공연의 경우, 실시간으로 콘서트나 연극과 같은 공연을 촬영하고 이를 라이브 스트리밍의 방식으로 시청자들에게 송출함으로써, 해당 플랫폼에 접속된 사용자로 하여금 실시간 공연 영상 컨텐츠를 현장에 방문하지 않고도 즐길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에 대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821145호에 ‘영상 라이브 스트리밍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발명은 영상 라이브 스트리밍 시스템을 개시하며, 상기 영상 라이브 스트리밍 시스템은 촬영 장치; 타임 스탬프를 제공하는 타임 동기 모듈; 타임 스탬프를 이용하여 촬영 데이터의 스트리밍을 위한 데이터 단위 별로 인코딩하는 인코더; 유니버셜 타임을 기준으로 촬영 데이터들의 데이터 단위들의 보정 타임 스템프들을 비교하여서 촬영 데이터들의 상기 데이터 단위들을 동기화하는 스트리밍 서버; 및 촬영 데이터들에 의한 상기 촬영 영상들을 비교하여서 상기 촬영 영상들 간의 중복을 제거하고, 중복을 제거한 상기 촬영 데이터들을 병합한 출력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처리기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라이브 스트리밍 시스템의 경우 실시간으로 일반 영상 또는 서라운드 뷰, 파노라마 뷰 같은 영상을 시청자에게 송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다만 이러한 라이브 스트리밍 시스템은 단순한 영상 송출 기능만을 제공할 뿐, 추가적인 기능은 제공하지 못한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온라인 공연과 같은 실시간 온라인 영상 컨텐츠의 저작권 보호를 위해, 콘서트, 팬미팅, 뮤지컬, 연극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온/오프라인 공연에 대한 실시간 중계 뿐 아니라, 시청자에게 다양한 공연정보의 맞춤 제공을 가능케 한 라이브 공연 영상에 대한 중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다양한 온/오프라인 상의 공연에 대한 중계 뿐 아니라 공연에 대한 추천 기능을 겸비할 수 있도록 한, 라이브 공연 영상에 대한 중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연 영상에 출연한 아티스트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연 영상의 무단 재배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시청자에게 보다 최적화된 추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라이브 공연 영상에 대한 중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영상 제공자로부터 전송받은 공연 영상을 저장하고 시청자에게 송출하는 영상 제공 인터페이스; 복수의 봇(bot)을 매개로 복수의 온라인매체에 공연에 대한 키워드 검색을 수행하여 공연일정을 포함하는 공연정보를 수집하는 검색 수행 모듈; 수집된 공연정보를 기반으로 추천공연리스트를 생성하는 추천공연 생성 모듈; 생성된 상기 추천공연리스트를 상기 시청자에게 제공하는 공연 추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시스템은, 공연 영상에 출연한 아티스트에 대한 이름 및 사진을 포함하는 아티스트정보를 공연 영상별로 저장하는 아티스트DB 및, 공연 영상을 시청 중인 시청자에게 해당 공연 영상에 출연 중인 아티스트에 대한 아티스트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아티스트 정보 제공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시스템은, 송출되는 상기 공연 영상의 영상프레임에 식별자를 삽입하는 식별자 삽입 모듈; 복수의 봇(bot)을 매개로 복수의 온라인매체에 상기 공연 영상에 대한 키워드 검색을 수행하여 불법 컨텐츠를 추출하는 검색 수행부 및, 상기 온라인매체에 업로드된 업로드 영상 중에서 상기 식별자를 검출하여 불법 컨텐츠를 추출하는 식 별자 검출부를 포함하는 컨텐츠 검출 모듈; 상기 불법 컨텐츠 검출에 따라 상기 영상 제공자에게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거나 상기 불법 컨텐츠를 유통한 유통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제공하는 메시지 제공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라이브 공연 영상에 대한 중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하면,
1) 콘서트, 팬미팅, 뮤지컬, 연극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온/오프라인 상의 공연에 대한 실시간 라이브 중계 뿐 아니라 다시보기 기능을 제공함과 동시에 시청자로 하여금 다양한 공연정보에 대한 추천 기능을 더하였고,
2) 공연 영상에 출연하는 아티스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시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연 영상에 출연한 아티스트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시청자에게 보다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며,
3) 공연 영상에 식별자를 은닉하여 삽입하고 이를 검출해낼 수 있도록 한 구성을 통해 공연 영상에 대한 무단 재유포를 방지하고 무단 재유포가 발생할 경우 불법 컨텐츠 유통자 및 영상 제공자에게 해당 사실을 알릴 수 있도록 하여 사후 대처를 가능케 할 뿐 아니라,
4) 시청자의 공연 시청리스트를 기반으로 한 추천, 혹은 촬영감독별 촬영 특성에 따른 후기 기반의 추천 등을 통해 시청자에게 보다 최적화된 추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영상 제공 인터페이스의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슈팅 밸류의 그래프를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상대 근접 거리 도출을 위한 계층을 나타낸 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간 영상 컨텐츠 보호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영상 제공자 단말(1)(영상 제공자), 메인 서버(2), 시청자 단말(4)(시청자), 봇(3)(bot)을 포함할 수 있으며, 나아가 불법 컨텐츠 유통자 서버(5)(불법 컨텐츠 유통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전에 밝혀두는 바로 본 발명의 공연이라 함은 라이브 공연이 가능한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콘서트, 팬미팅, 뮤지컬, 연극, 오페라, 가수의 앨범 발매 쇼케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공연이라 함은 오프라인 상에서 관객을 초대하고 하는 공연, 또는 언택트 시대에 걸맞는 무관중 온라인 공연 등 제한을 두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을 통해 공연 영상이 제공되는 공연은 온라인 상에서만 이루어지는 공연일 수도 있으나, 오프라인 상에서 공연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온라인 상의 영상 송출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온/오프라인 동시 공연일 수도 있다.
영상 제공자 단말(1)은 본 발명에서 시청자에게 송출되는 공연 영상을 공급하는 공급자가 소지한 PC, 혹은 해당 PC의 집합체로 이루어진 서버로서, 해당 공연 영상을 제공하는 주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영상 제공자 단말(1)을 통해 공연 영상을 제공하는 자는 해당 공연을 촬영하는 촬영 관계자일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오프라인 상에서 관객에게 제공되는 공연을 촬영하거나 혹은 온라인 상의 공연, 즉 언택트 시대에 맞는 온라인 공연을 촬영하여 혹은 기 촬영된 영상물을 소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이를 실시간으로 후술할 영상 제공 인터페이스(100)에 전송 처리하여 시청자들에게 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여기서 영상 제공자 단말(1)을 줄여서 영상 제공자라고 통칭하기로 한다. 즉 본 발명에서 영상 제공자라고 칭하는 것은 영상 제공자 뿐 아니라, 해당 영상 제공자가 소지한 영상 제공자 단말(1)을 포함한다.
시청자는 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PC나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의 시청자 단말(4)을 소지하여, 시청자 단말(4)을 통해 영상 제공 인터페이스(100)에 접속하여 실시간으로 송출되는 공연 영상을 시청하는 주체로서, 스마트폰이나 PC와 같은 시청자 단말(4)을 소지하여 그를 매개로 영상 제공 인터페이스(100)의 웹페이지 주소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하여 공연 영상을 감상하는 주체이다.
더불어 본 발명에서 시청자라 함은 시청자 뿐 아니라 시청자가 소지한 시청자 단말(4)을 포함하는 의미로 하기로 한다. 즉 본 발명에서 시청자라고 일컫는 것은 시청자가 소지한 PC나 스마트폰, 태블릿PC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시청자 단말(4)을 포함하는 개념인 것이다.
봇(3)(bot)은 로봇의 줄인 말로써 데이터를 찾아주는 소프트웨어 도구이다. 인터넷 웹 사이트를 방문하고 요청한 정보를 검색, 저장, 관리하는 에이전트의 역할을 한다. 다시 설명하면, 사용자나 다른 프로그램 또는 사람의 행동을 흉내내는 대리자로 동작하는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인터넷상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존재하는 봇(3)들은 스파이더, 크로울러라고도 불리는 프로그램들로서, 웹사이트들에 주기적으로 방문하여 검색엔진의 색인을 위한 콘텐츠를 모아오는 일을 한다.
이러한 봇(3)은 후술하겠으나 키워드 검색을 수행하여 자료를 수집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러한 자료 수집은 공연 일정 검색 뿐 아니라 불법 재유포 영상 검색 기능을 겸할 수 있다.
불법 컨텐츠 유통자는 바람직하게는 시청자 중 일부일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송출되는 공연 영상을 소지하고 있는 서버를 매개로 무단으로 재배포하거나 재송출하는 주체이다. 따라서 불법 컨텐츠 유통자는 소지하고 있는 PC나 스마트폰과 같이 서버 역할을 할 수 있는 것, 다시 말해 불법 컨텐츠 유통자 서버(5)를 통해 실시간으로 송출되는 공연 영상의 화면을 녹화하거나 파일을 저장한 뒤, 이를 SNS이나 인터넷 커뮤니티, 동영상 플랫폼 등의 온라인매체에 불법으로 재업로드하여 해당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저작권을 침해하는 주체이다. 본 발명에서 불법 컨텐츠 유통자라 함은 유통자 뿐 아니라, 해당 유통자의 서버, 즉 불법 컨텐츠 유통자 서버(5)를 포함한다.
메인 서버(2)는 기본적으로 공연 영상을 받아 시청자에게, 다시 말해 시청자가 소지한 시청자단말에 송출하는 영상 제공 인터페이스(100)를 관리하고, 추가적으로 기술하겠으나 공연 영상 포함된 영상프레임에 식별자를 삽입하는 주체가 됨과 동시에 봇(3)(bot)에 대한 관리를 수행하고, 봇(3)을 통해 공연 영상을 무단으로 재배포한 불법 컨텐츠를 추출해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본 발명의 시스템이 곧 메인 서버(2)를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시스템이라 함은 메인 서버(2)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메인 서버(2)는 중앙처리장치(CPU), 메모리 및 하드디스크, 유선 및 블루투스 등의 무선 통신 수단을 구비한 하드웨어 기반에서 중앙처리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즉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 이 소프트웨어를 기반으로 후술할 세부 모듈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모듈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를 기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메인 서버(2)는 내부에서 처리되는 신호(또는, 데이터)를 일시적 및/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램(RAM) 및 롬(ROM),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코어 및 그래픽 처리부 및/또는 다른 구성 요소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연결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이와 같은 거시적 구성을 기반으로 본 발명의 시스템에 대한 세부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영상 제공 인터페이스의 개념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라이브 공연 영상에 대한 중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영상 제공 인터페이스(100), 검색 수행 모듈(200), 추천공연 생성 모듈(300), 공연 추천 모듈(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영상 제공 인터페이스(100)는 영상 제공자로부터 전송받은 공연에 대한 영상, 즉 공연 장면을 촬영한 공연 영상을 저장하고 이를 시청자에게 실시간으로 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공연 영상은 기본적으로 영상 제공자로부터 전송되며, 따라서 영상 제공자로부터 전송받은 공연 영상을 시청자에게 실시간 송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영상 제공 인터페이스(100)는 종래의 실시간 동영상 스트리밍용 인터페이스와 유사한 것으로서, 실시간으로 공연 영상을 시청자에게 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공지의 유튜브 라이브 스트리밍, 인스타그램 라이브 방송, 아프리카 TV, 트위치 등의 플랫폼과 그 기능이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측에 공연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구비한 상태에서 시청자들이 소지한 시청자단말을 매개로 하여 해당 영상 제공 인터페이스(100)의 웹사이트 주소로 접속할 수 있으며, 접속된 시청자는 송출되고 있는 공연 영상에 대한 시청이 가능하며, 나아가 온라인 상의 실시간 채팅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더불어 이러한 영상 제공 인터페이스(100)는 공연 영상을 저장하고 시청자에게 실시간으로 송출할 수도 있으나, 여기에서 더 나아가 이미 끝난 공연, 즉 실시간 공연이 완료된 공연 영상을 시청자에게 다시 송출하여 이른바 공연에 대한 다시보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공연 영상을 저장 및 송출하는 만큼, 실시간 송출 또는 추후 송출(저장 후 추후에 송출)이 모두 가능하다.
검색 수행 모듈(200)은 복수의 봇(3)(bot)을 매개로 하여 복수의 온라인매체에 공연에 대한 키워드 검색을 수행함으로써 온라인매체에 올라온 공연일정을 포함하는 공연정보를 수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봇(3)(bot)이라 함은 인터파크나 예스24, 멜론, 티켓링크와 같은 종래의 공연 예약 사이트나, 블로그, SNS 등을 포함하는 온라인매체에 할당된 것으로서, 해당 온라인매체들의 웹페이지에 방문하여 공연에 대한 키워드 검색을 수행함으로써 앞으로 진행될 공연의 제목 및 공연기간(공연일정), 나아가 오프라인 공연일 경우 공연장소를 포함하는 공연정보를 수집하게 된다.
이때 키워드라 함은 공연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키워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BTS의 라이브 콘서트에 대한 공연정보를 검색하는 예시를 들면, ‘BTS’,‘BTS 콘서트’,‘방방콘’,‘콘서트’,‘방탄’,‘방탄콘’등이 키워드가 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해당 키워드들과 유사한 단어, 혹은 해당 키워드 단어 사이에 온점이나 쉼표 등의 문장부호가 삽입된 형태 역시 키워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키워드의 설정 조건이나 방식, 개수에 있어서는 제한이 없으며, 키워드의 개수 및 종류는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며, 혹은 봇(3)이 자체적으로 공연에 관련한 키워드를 생성하여 검색을 수행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이러한 봇(3)의 검색을 통해 다양한 공연의 제목 및 공연일정을 포함하는 공연정보가 수집된다.
나아가 이때 수집되는 공연정보는 상술한 공연에서와 같이 오프라인 상의 공연 뿐 아니라 온라인 공연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며, 나아가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영상 제공 인터페이스(100)를 통해 실시간 중계되는 공연에 대한 공연일정 역시 포함할 수 있다.
추천공연 생성 모듈(300)은 수집된 공연정보를 기반으로, 추천 대상이 되는 공연정보를 시각적으로 리스트화한 추천공연리스트를 생성한다. 이러한 추천공연리스트는 추천 대상이 되는 공연정보, 즉 추천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연의 제목 및 공연일정을 포함한다.
즉 공연정보로서 공연의 제목 및 공연 일정이 포함되며, 이와 같은 복수의 추천 대상의 공연정보가 표와 같은 형식을 가진 추천공연리스트에 포함되는 것이다.
이때 추천공연리스트의 생성 방식에 있어서는 제한이 없으며, 공연일정이 가장 가까운 공연정보를 추천 대상으로써 추천공연리스트에 포함시킬 수 있으며, 혹은 시청자가 해당 영상 제공 인터페이스(100) 서비스 이용을 위한 가입 시 주소를 입력한 경우, 시청자의 주소와 공연이 이루어지는 장소의 주소가 가까운 공연에 대한 공연정보를 포함하는 추천공연리스트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는 본 발명에서의 바람직한 예시와 같이 라이브 공연 영상에 대한 중계 서비스와 걸맞게, 온라인 상에서 수행되는 공연정보의 경우에도 추천공연리스트 생성 시점에서 가장 가까운 온라인 공연일정을 갖는 공연정보를 포함하도록 추천공연리스트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는 시청자가 관심 대상인 가수나 배우 등의 연예인이나 기타 공연 출연진을 포함하는 아티스트에 대한 정보를 사전 등록하는 경우, 해당 아티스트가 출연하는 공연정보를 포함한 추천공연리스트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추천공연리스트 생성 방법에 있어서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공연 추천 모듈(400)은 상술한 추천공연 생성 모듈(300)을 통해 생성된 추천공연리스트를 공연 영상을 시청 중인, 혹은 공연 영상을 시청 완료한 시청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는 영상 제공 인터페이스(100)가 구현된 웹사이트나 어플리케이션에서 시각적으로 추천공연리스트를 출력 처리하도록 하여 시청자 단말(4)을 매개로 시청자가 추천공연리스트를 확인하게끔 하는 방식으로 제공될 수도 있으며, 혹은 추천공연리스트를 이메일이나 어플리케이션의 푸시알림메시지, 혹은 영상 제공 인터페이스(100)가 구현된 웹사이트의 팝업 메시지에 표시 처리하여 시청자에게 제공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이와 같은 라이브 공연 영상에 대한 중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경우, 온라인 상에서 이루어지는 언택트, 나아가 온택트 방식의 공연의 실시간 제공 뿐 아니라 오프라인 공연을 실시간으로 온라인에서 송출하여 온라인 및 오프라인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공연 영상을 시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음과 동시에, 나아가 시청자에게 다양한 공연에 대한 추천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갖는다.
나아가 이러한 공연 영상에는 일반적으로 가수나 배우 등의 연예인이나 기타 공연 출연진을 모두 포함하는 아티스트가 출연한다. 이때 한 명의 아티스트만이 출연할 수도 있으나, 하나의 공연 영상의 여러 명의 아티스트가 출연할 수도 있다.
따라서 공연 영상을 시청 중인 시청자에게 해당 공연 영상에 출연하는 아티스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시스템은 아티스트 정보 제공 모듈(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아티스트 정보 제공 모듈(500)은 바람직하게 아티스트DB(510) 및 정보 제공부(5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티스트DB(510)는 공연 영상에 출연한 아티스트에 대한 이름 및 사진을 포함하는 아티스트정보를 공연 영상별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공연 영상별로, 어떠한 아티스트가 출연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것인데, 이때 아티스트정보는 해당 공연 영상에 출연하는 아티스트의 이름, 사진 등을 포함하며 나아가 나이나 경력, 소속사에 대한 정보나 키, 몸무게 등을 함께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제공부(520)는 공연 영상을 시청 중인 시청자에게 해당 공연 영상에 출연 중인 아티스트에 대한 아티스트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영상 제공 인터페이스(100)의 일 측에 해당 공연 영상에 출연 중인 아티스트에 대한 아티스트정보가 시각적으로 출력되게 함으로써 시청자가 해당 공연 영상에 어떠한 아티스트가 출연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공연 영상의 시작 직전, 혹은 공연 영상의 종료 직후에 아티스트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정보 제공부(520)가 영상 제공 인터페이스(100)가 구현된 웹사이트 페이지에 아티스트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하여 웹페이지 상에서 해당 공연 영상에 어떠한 아티스트가 출연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 역시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시청자로 하여금 본인이 시청 중인 공연 영상에 출연한 다양한 아티스트에 대한 아티스트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청자에게 보다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라이브 공연 영상에 대한 중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경우 공연 영상을 시청자에게 영상 제공 인터페이스(100)를 매개로 송출하는데, 이때 송출된 영상을 무단으로 재유포하는 사례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공연 영상의 무단 재유포를 막기 위해, 본 발명의 시스템은 식별자 삽입 모듈(600), 컨텐츠 검출 모듈(700), 메시지 제공 모듈(8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식별자 삽입 모듈(600)은 영상 제공 인터페이스(100)를 통해 송출되는 공연 영상에 속하는 각각의 프레임, 즉 동영상의 프레임이라 할 수 있는 영상프레임에 해당 컨텐츠가 저작권 보호 중인 컨텐츠임을 알릴 수 있도록 하는 식별자를 삽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식별자는 공지의 워터마크일 수 있으며, 이러한 식별자는 영상 제공 인터페이스(100) 상에서 눈으로 식별이 가능하게끔, 즉 디스플레이되는 형태로 외부에 노출되어 시청자가 해당 공연 영상에 식별자가 삽입된 것을 알도록 할 수도 있으며, 혹은 블라인드 워터마크 또는 워터마크 은닉 기술과 같이 시야에 보이지 않는 식별자가 삽입될 수도 있다.
이때 보다 바람직하게는 식별자 삽입 모듈(600)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워터마크 은닉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식별자 삽입 모듈(600)의 추가 기능을 통해 워터마크 은닉 기술을 구현해낼 수 있다.
먼저, 식별자 삽입 모듈(600)로 하여금 공연 영상을 구성하는 영상프레임에 있어, 식별자가 삽입될 삽입블록의 위치정보를 결정하는 기능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삽입블록이라 함은 식별자가 삽입되는 공간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식별자가 삽입되는 삽입블록의 위치정보를 지정하여 해당 위치정보의 삽입블록의 식별자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준비하는 것이다.
나아가 식별자 삽입 모듈(600)은 영상프레임에 포함되는, 식별자가 삽입될 공간이라 할 수 있는 삽입블록에 양자화를 수행한다. 이는 종래의 블록 유닛 양자화(Block unit Quantization)을 참조하면 되며, 이때 양자화에 필요한 양자화 레벨 또는 양자화 계수에 있어서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양자화된 삽입블록에 기 생성된 식별자를 삽입하는 것으로서, 이때 식별자는 해당 영상 제공 인터페이스(100)를 구성한 회사의 마크 또는 영상 제공자의 식별 마크이거나, 혹은 별도의 코드일 수 있다. 따라서 식별자의 종류에는 제한을 두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식별자는 전자 워터마크 형식일 수 있다. 따라서 양자화된 삽입블록에 전자 워터마크 형식의 식별자를 삽입하여, 식별자를 은닉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식별자 삽입 후 역방향의 2차원 코사인 변환을 재수행하여 보다 완벽하게 식별자를 은닉 처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송출되는 공연 영상의 영상프레임에 식별자가 삽입된 경우, 시스템 상에서 식별자의 검출이 이루어져야 되는데, 이를 위해 시스템은 컨텐츠 검출 모듈(700)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검출 모듈(700)은 복수의 봇(3)(bot)을 매개로 해당 공연 영상을 불법으로 시청자들에게 재송출 또는 재유포한 불법 컨텐츠를 추출해내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검색 수행부(710) 및 식별자 검출부(720)를 포함한다.
검색 수행부(710)는 복수의 봇(3)(bot)을 매개로 하여 복수의 온라인매체에 키워드 검색을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영상 제공 인터페이스(100)에서 송출된 공연 영상을 무단으로 재유포 또는 재배포, 재송출한 불법컨텐츠를 추출해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봇(3)(bot)이라 함은 상술한 설명에서의 봇(3)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며, 봇(3)을 통한 키워드 검색 역시 상술한 설명을 참조하면 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식별자 검출부(720)는 상술한 바와 같은 웹사이트, 커뮤니티, SNS, 동영상 플랫폼과 같은 온라인매체에 업로드된 업로드 영상에서 공연 영상의 영상프레임에 삽입된 식별자를 검출해내어, 식별자가 검출된 업로드 영상을 불법 컨텐츠로 추출해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온라인매체를 통한 업로드 영상 수집은 상술한 봇(3)(bot)을 매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봇(3)(bot)이 해당 온라인매체들을 방문하여 업로드 영상들을 수집하고, 해당 업로드 영상에서 본 발명의 식별자 삽입 모듈(600)을 통해 삽입된 식별자를 역으로 검출해내도록 하여 식별자가 검출된 컨텐츠, 즉 본 발명의 공연 영상이 검출되면 이를 불법 재배포한 것으로 간주하여 불법 컨텐츠로 추출해내는 것이다. 이때 식별자 검출 방식에는 제한이 없으며, 상술한 워터마크 은닉 방식의 식별자 삽입의 경우 이의 역검출 방식이 도입되어 식별자를 검출할 수 있다.
메시지 제공 모듈(800)은 불법 컨텐츠가 검출(추출)됨에 따라서 불법 컨텐츠의 원 컨텐츠, 즉 본 발명의 공연 영상을 제공한 영상 제공자, 또는 불법 컨텐츠를 불법 유통한 유통자에게 메시지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경우 불법 컨텐츠 검출 시 영상 제공자에게 알림 메시지가 제공될 수 있으며, 불법 컨텐츠를 유통한 유통자에게는 경고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알림 메시지의 경우 ‘해당 공연 영상을 ooo가 불법 유통하였습니다’ 등의 알림 메시지를 이메일 또는 휴대폰을 통한 문자메시지로 발송할 수도 있으며, 혹은 불법 컨텐츠를 유통한 유통자에게 ‘ㅁㅁㅁ 컨텐츠를 불법 유통한 것이 적발되었습니다.’ 등과 같이 해당 불법 컨텐츠 유포 사실을 알리고 유통자에게 경고의 의미를 주는 경고 메시지를 발송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알림 메시지 및 경고 메시지의 메시지 내용나 길이에는 제한이 없으므로, 시스템 관리자 측에서 알림 메시지 및 경고 메시지를 설정하여 영상 제공자 및 유통자에게 각각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공연 영상에 대한 무단 재유포를 방지하고 무단 재유포가 발생할 경우 불법 컨텐츠 유통자 및 영상 제공자에게 해당 사실을 알릴 수 있도록 하여 사후 대처를 가능케 한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라이브 공연 영상에 대한 중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시청자에게 추천공연리스트를 생성하여 제공한다 하였는데, 이때 추천공연리스트의 생성 시 시청자가 그동안 시청한 공연 영상을 바탕으로 추천공연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시스템은 먼저 시청리스트 생성 모듈(900)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시청자가 기 시청한 공연 영상에 대한 리스트인 시청리스트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이러한 시청리스트는 시청자가 본 발명의 중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통해 그동안 시청해온 공연 영상이 시각적으로 리스트화된 것이다.
이는 종래의 영상 시청 플랫폼, 즉 넷플릭스, 왓챠, 티빙, 웨이브 등의 시청리스트 확인 기능, 혹은 유튜브의 시청 동영상 리스트 확인 기능과 그 구성 및 기능이 유사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더불어 이와 같이 시청자에 대한 시청리스트가 생성되는 경우, 추천공연 생성 모듈(300)은 수집된 공연정보 뿐 아니라 시청자의 시청리스트를 기반으로 하여 특정 시청자에 대한 추천공연리스트를 생성하여 제공하게 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시청리스트의 분석을 통해 공연정보 중에서 시청자가 좋아할만한, 선호할 만한 공연만이 포함된 공연정보를 리스트화하여 추천공연리스트를 제공할 수도 있다.
혹은 시청리스트의 분석을 통해 특정 분야의 공연, 특정 아티스트의 공연에 대해서만 편중된 시청을 하는 시청자의 경우, 보다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그동안 경험하지 못한 분야, 또는 그동안 시청하지 않은 아티스트의 공연에 대한 공연정보를 포함하는 추천공연리스트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시청자가 기 시청한 시청리스트를 기반으로 한 추천공연리스트의 생성 및 제공을 가능케 함으로써, 시청자에게 최적화된 추천공연리스트를 생성 및 제공할 수 있도록 한 효과를 갖는다.
더불어, 본 발명에서 공연 영상의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촬영감독이 공연 영상을 촬영하여 제공해야 함은 물론이다. 이때 촬영감독의 촬영 스타일, 즉 촬영 특성에 따라서 카메라의 움직임, 즉 촬영 구도 및 방법이 다를 수도 있다.
이때 열혈 시청자의 경우 촬영감독의 촬영 특성에 따른 호불호가 있기 마련인데, 예를 들어 카메라를 움직이지 않고 고정 구도에서 꾸준히 촬영하는 특성을 지닌 촬영감독을 특정 시청자는 선호할 수도 있으나, 특정 시청자는 지루하다는 이유로 선호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촬영적 특성, 즉 카메라 움직임에 대한 시청자의 선호도를 반영하여 추천공연리스트를 생성 및 제공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한데,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시스템은 촬영정보 제공 모듈(1000), 후기 입력 모듈(1100)을 기본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촬영정보 제공 모듈(1000)은 해당 공연 영상을 촬영한 촬영감독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촬영정보를 공연 영상을 시청 중인 시청자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보다 자세하게 촬영정보라 함은, 특정 공연 영상을 촬영한 촬영감독의 이름, 그리고 해당 촬영감독의 포트폴리오를 포함한다. 이때 포트폴리오라 함은 해당 촬영감독이 이전에 촬영한, 즉 기 촬영한 공연 영상들의 제목을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다시 말해 촬영정보 제공 모듈(1000)은 특정 공연 영상을 시청 중인 시청자에게 해당 공연 영상을 어떤 이름을 가진 촬영감독이 촬영하였는지, 나아가 해당 촬영감독이 그동안 촬영한 공연 영상은 어떠한 것인지에 대한 정보를 시청자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후기 입력 모듈(1100)은 공연 영상의 시청자로부터 촬영 감독의 카메라 움직임에 대한 텍스트 후기를 입력받고, 텍스트 후기를 입력한 시청자에게 포인트를 부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후기 입력부(1110) 및 포인트 부여부(1120)를 포함한다.
먼저 후기 입력부(1110)는, 공연 영상을 시청한 시청자로부터 해당 공연 영상을 촬영한 촬영감독의 카메라 움직임에 대한 텍스트 후기를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카메라 움직임이라 함은, 해당 촬영감독이 카메라를 고정적으로 놓고 촬영하는 경향이 짙은지, 혹은 카메라를 움직이면서 촬영하는 경향이 짙은지에 대한 후기를 의미한다. 나아가 카메라 움직임에 의해 느껴질 수 있는 느낌, 예를 들어 지루하다. 어지럽다. 산만하다. 화려하다. 역동적이다. 등과 같이 카메라 움직임에 의해 자아낼 수 있는 영상의 분위기에 대한 후기 역시 텍스트 후기로써 입력될 수 있다.
나아가 여기서 텍스트 후기의 길이에 대해서는 제한을 두지 않으며, 후술할 분석 구성을 위해서는 최소한 20자 이상, 최대 분량의 제한은 없이 텍스트 후기로 입력될 수 있다.
텍스트 후기의 예시로는, ‘이 감독님이 촬영한 영상을 3번째 보고 있는데, 항상 느끼지만 카메라 무빙이 화려하고 앵글이 다양해서 좋습니다. 또한 카메라 회전을 잘 하시는 것 같아요. 그러나 가끔 어지럽다는 느낌도 듭니다.’등으로 텍스트 후기가 입력될 수 있다.
포인트 부여부(1120)는, 텍스트 후기를 입력한 시청자에게 포인트를 부여하는 구성이다. 이때 텍스트 후기 입력에 따라 정해진 포인트가 모두 부여될 수도 있으며, 혹은 보다 성실한 텍스트 후기 입력을 장려하기 위해, 텍스트 후기의 길이에 따라 포인트가 차등 부여될 수도 있다. 이때 포인트 부여 방식 설정이나 제공되는 포인트는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나아가 이와 같이 부여된 포인트는 공연 영상을 시청하고자 하는 시청자가 공연 영상 비용 결제 시 현금과 같이 이용할 수 있으며, 기타 본 발명의 중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이용되는 다양한 유료 결제 서비스에 있어 현금과 같이 이용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텍스트 후기가 입력되면, 추천공연리스트의 경우 상술한 공연정보 뿐 아니라 복수의 시청자로부터 입력된 텍스트 후기를 반영하여 생성될 수 있다. 나아가 이때 추천공연리스트의 경우 촬영감독별 추천공연리스트로써 생성될 수 있다.
이때 촬영감독별 추천공연리스트라 함은, 특정 촬영감독이 촬영에 참여하는 공연의 공연정보를 포함하는 추천공연리스트를 의미하는 것이다. 즉 어떠한 촬영감독이 촬영하는지를 반영한 추천공연리스트를 생성하는 것이며, 텍스트 후기가 뛰어난 촬영감독이 참여하는 공연의 공연정보만을 포함하는 추천공연리스트를 촬영감독별 추천공연리스트로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후기 입력 구성 및 이를 통한 추천공연리스트 생성 구성에 따라, 촬영감독의 촬영 특성 및 그에 따른 시청자의 후기를 기반으로 촬영감독별 추천공연리스트를 생성 및 제공할 수 있어, 단순히 내용적 취향이나 아티스트에 대한 취향, 분야에 대한 취향 뿐 아니라 공연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감독의 촬영 특성에 대한 평가를 반영하여 추천공연리스트를 생성 및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보다 다양한 특성을 반영한 추천공연리스트의 생성 및 제공을 가능케 한 특징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슈팅 밸류의 그래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술한 구성에서와 같이 텍스트 후기가 입력되는 경우, 텍스트 후기에 대한 보다 상세한 분석을 수행하는 것 역시 가능한데,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시스템은 특성 분석 모듈(120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추천공연 생성 모듈(300)은 특성 분석 모듈(1200)을 통한 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추천공연리스트를 생성 및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특성 분석 모듈(1200)은 바람직하게 촬영키워드 추출부(1210), 촬영특성 생성부(1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촬영키워드 추출부(1210)는 텍스트 후기에서 상기 촬영감독의 카메라 움직임에 대해 평가한 복수의 촬영키워드를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카메라 움직임에 대해 평가한 촬영키워드라 함은 카메라 움직임에 관련하여 등장할 수 있는 단어인 명사/형용사/동사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촬영키워드는 카메라 움직임에 따라 시청자가 받을 수 있는 감각을 나타내는 형용사 역시 포함할 수 있다. 즉 입력된 텍스트 후기에서 카메라 움직임에 대해 평가한 부분에서 나타날 수 있는, 명사 및 형용사만을 추출하여 이를 촬영키워드로써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텍스트 후기의 예시를 들어 살펴보면, ‘이 감독님이 촬영한 영상을 3번째 보고 있는데, 항상 느끼지만 카메라 무빙이 화려하고 앵글이 다양해서 좋습니다. 또한 카메라 회전을 잘 하시는 것 같아요. 그러나 가끔 어지럽다는 느낌도 듭니다.’의 문장에서는,‘촬영’,‘영상’,‘무빙’,‘화려한’,‘앵글’,‘다양한’,‘회전’,‘어지럽다’.‘잘’가 촬영키워드로써 추출될 수 있다,
여기서 명사 중에서도 감독을 지칭하는 말이나 감독의 이름의 경우 촬영키워드 추출에서 배제됨이 바람직하며, 이 외에도 카메라 움직임에 대해 평가하는 문장에서 등장할 수 있는 명사/형용사/동사 뿐 아니라 부사 역시 촬영키워드로써 추출될 수 있다.
촬영특성 생성부(1220)는 생성된 촬영키워드를 기반으로 특정 촬영감독에 대한 슈팅 밸류(shooting value)를 파악하고, 파악된 슈팅 밸류를 시각화한 그래프를 포함하는 촬영특성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촬영특성정보는 도 4에 나타나있듯이 고정 촬영, 줌 촬영, 트랙킹 촬영, 틸트 촬영, 팬 촬영 각각에 대한 상대적인 비교 수치인 슈팅 밸류에 대한 그래프를 포함하는데, 이러한 슈팅 밸류는 고정 촬영, 줌 촬영, 트랙킹 촬영, 틸트 촬영, 팬 촬영 각각에 대해 생성되어 각 값의 비교 처리를 가능케 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각 항목의 슈팅 밸류가 만점인 경우 도면 상 오각형을 나타내는 그래프가 가득 채워진 형태를 보이며, 각 항목의 상대적 슈팅 밸류를 통해 바람직하게는 오각형을 이루는 그래프의 면적이 채워져, 어떠한 항목의 슈팅 밸류가 더 높은지, 각각의 슈팅 밸류가 유사하게 분포되어 있는지, 특정 항목의 슈팅 밸류에 치우쳐진 형태인지 등을 시각적으로 비교 분석 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슈팅 밸류 산출의 기준이 되는 고정 촬영, 줌 촬영, 트랙킹 촬영, 틸트 촬영, 팬 촬영 각각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정 촬영은 카메라를 고정한 상태에서 움직이지 않고, 일정한 구도를 유지하며 촬영하는 것을 일컫는다. 일반적으로 공연 영상의 촬영에서 풀 샷(full shot)을 찍을 때 이용되며, 정면, 측면, 후면 중 어느 한쪽 면에서 전체적으로 고정하여 한 화면만을 촬영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고정 촬영의 경우 정면에서 이루어지며, 고정 촬영이 길게 이루어질 경우 정적인 촬영이라 할 수 있고, 한 눈에 공연 영상의 모든 내용이 눈에 들어온다는 장점이 있으나 단점으로는 자칫 지루한 느낌을 제공할 수 있다.
즉 텍스트 후기 상에서 ‘잔잔하다’‘정적이다’‘얌전하다’‘지루하다’‘고정적이다’‘움직이지 않는다’‘고요하다’‘졸리다’등의 키워드가 등장하는 경우 고정 촬영에 대한 슈팅 밸류가 증가할 수 있다.
줌 촬영은 줌 인(Zoom in) 및 줌 아웃(Zoom out)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광각에서 망원으로 화면의 크기를 변화시키거나, 망원에서 광각으로 화면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것이다. 어떠한 특정 부분만을 클로즈업 해서 촬영하거나, 화면의 일부분에서 전체를 보여주는 식으로 촬영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줌 촬영을 이용하는 경우 시청자의 몰입도 및 집중도를 높일 수 있고 심미적 효과가 뛰어난 효과를 주며, 상황이나 위치관계의 묘사에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단점으로는 어지럽거나, 전체 화면이 눈에 들어오지 않는 문제 등이 있을 수 있다.
즉 뛰어난 몰입도나 집중도나, 줌 촬영의 단점에 대한 표현인 ‘몰입감’‘긴장감’‘박진감’‘줌’‘어지러움’‘정신없음’등의 촬영키워드가 텍스트 후기에서 나타나는 경우 줌 촬영에 대한 슈팅 밸류가 증가할 수 있다.
트랙킹 촬영은 카메라가 움직이면서 촬영하는 기법이다. 이때 피사체는 움직일수도, 움직이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움직이는 피사체를 따라가며 촬영하거나(문자 그 자체로 트랙킹을 의미한다.) 혹은 고정된 피사체를 카메라가 앞뒤로 움직이거나 옆으로 움직이면서 촬영하는 것 (촬영 기법에서는 달리(dolly)라고도 칭한다.) 역시 트랙킹 촬영에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트랙킹 촬영은 피사체에 대한 입체감, 역동감, 박진감을 줄 수 있으나 이 역시 어지럽거나 정신없다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즉 뛰어난 입체감, 역동감, 박진감에 대한 표현이나 상술한 트랙킹 촬영의 단점에 대한 표현인 ‘입체적’,‘입체감’,‘역동적’,‘박진감’,‘어지러움’,‘정신없음’ 등의 촬영키워드가 텍스트 후기에서 나타나는 경우 트랙킹 촬영에 대한 슈팅 밸류가 증가할 수 있다.
틸트(tilt) 촬영은 고정된 카메라, 즉 움직이지 않는 카메라가 상/하로 수직 회전하며 촬영하는 것을 일컫는다. 즉 카메라가 고정된 축이 있는 상태에서 상/하로 렌즈만 움직이는 것이다.
이와 같은 틸트 촬영은 틸트 업, 즉 상방으로 회전하는 경우 공연 영상에 출연한 아티스트를 보다 강인하게 표현하는 효과가 있으며, 틸트 다운, 즉 하방으로 회전하는 경우 공연 영상에 출연한 아티스트의 약한 모습을 부각하는, 아련한 느낌을 준다. 나아가 적절한 틸트 촬영의 경우 아티스트가 키가 큰 경우 그 점을 강조해준다는 효과가 있다. 즉 촬영된 아티스트를 보다 강조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즉 아티스트에 대한 강조 및 아티스트에 대한 미감을 나타내는 ‘강인함’‘약함’‘아련함’‘연약함’‘세보임’‘굳센’등의 촬영키워드가 텍스트 후기에서 나타나는 경우 틸트 촬영에 대한 슈팅 밸류가 증가할 수 있다.
팬(pan) 촬영은 고정된 카메라, 즉 움직이지 않는 카메라가 좌/우로 수직 회전하며 촬영하는 것을 일컫는다. 즉 카메라가 고정된 축이 있는 상태에서 좌/우로 렌즈만 움직이는 것이다.
이와 같은 팬 촬영의 경우 수평 방향에 있는 여러 아티스트를 한 번에 촬영할 때, 아티스트의 움직임을 따라갈 때, 공연 영상에 나타난 인물과 인물 사이의 관계를 극적으로 표현하고자 할 때 이용되며, 유동성 및 움직임을 강조할 뿐 아니라 시청자로 하여금 보다 신나는 감정을 일깨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유동성 및 움직임을 나타내는 표현, 그리고 신나는 감정을 나타내는 표현인 ‘무빙’‘움직임’‘신남’‘즐거움’‘무브’등의 촬영키워드가 텍스트 후기에서 나타나는 경우 팬 촬영에 대한 슈팅 밸류가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시청자로부터 입력된 텍스트 후기를 분석하여 촬영키워드를 추출해내고,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 촬영, 줌 촬영, 트랙킹 촬영, 틸트 촬영, 팬 촬영 각각에 대한 내용의 촬영키워드만을 추출하여 그를 기반으로 고정 촬영, 줌 촬영, 트랙킹 촬영, 틸트 촬영, 팬 촬영 각각에 대한 슈팅 밸류를 산출하여, 해당 슈팅 밸류에 대한 점수 뿐 아니라 도면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이를 도식화한 그래프를 포함하는 촬영특성정보가 생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슈팅 밸류는 상대적 수치로서, 가장 간단하게는 각각의 촬영 방법에 해당하는 촬영키워드가 텍스트 후기 상에 나타난 빈도수가 곧 각각의 촬영 방법에 대한 슈팅 밸류가 될 수도 있으며, 혹은 빈도수에 대한 만점을 정해둔 상태에서, 만점 대비 비교값을 산출하여 이를 슈팅 밸류로써 이용할 수도 있다.
즉 텍스트 후기 상에 각각의 촬영 방법에 해당하는 촬영키워드가 나타난 빈도수를 이용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나, 이때 이러한 빈도수를 기반으로 슈팅 밸류를 산출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별도의 제한을 두지 않는다.
더불어 이러한 촬영특성정보는 각각의 공연 영상마다 생성된다. 즉 해당 공연 영상에 대해 복수의 시청자가 입력한 텍스트 후기를 분석하고, 해당 텍스트 후기에서 산출된 촬영키워드를 기반으로 하여 해당 공연 영상에 대한 슈팅 밸류 및, 도 4의 슈팅 밸류 그래프를 포함하는 촬영특성정보가 생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각각의 공연 영상에 대한 슈팅 밸류를 포함하는 촬영특성정보가 생성되는 경우, 각각의 공연 영상에 대해 생성된 촬영특성정보를 반영하여 촬영감독별 추천공연리스트가 생성된다.
다시 말해, 각각의 공연 영상에 대한 촬영특성정보가 생성되는 경우, 특정 촬영감독이 촬영한 모든 공연 영상에 대한 촬영특성정보의 비교 분석이 가능해진다. 이는 곧 해당 촬영감독의 촬영 특성에 대한 스타일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반영하여 추천공연리스트를 생성함으로써 특정 시청자의 특정한 촬영특성정보에 선호가 있는 경우, 즉 특정한 촬영 스타일을 선호하는 시청자인 경우 이와 유사한 촬영특성정보를 갖는 촬영감독이 촬영한, 혹은 촬영 예정인 공연정보만을 포함하는 추천공연리스트가 생성되어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시청자로부터 입력된 텍스트 후기로부터 다양한 촬영 특성에 대한 상대적 수치를 산출해내고, 이를 통해 특정한 공연 영상에 대한 촬영특성정보를 생성하여 나타낼 수 있을 뿐 아니라, 이를 통해 시청자로 하여금 비슷한 촬영특성정보, 혹은 전혀 다른 촬영특성정보를 지닌 다른 공연 영상에 대한 추천 기능을 겸비할 수 있도록 하여 본인이 선호하는 촬영 특성을 가진 공연 영상, 혹은 보다 다양한 촬영 특성을 경험할 수 있는 공연 영상에 대한 추천을 가능케 한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술한 상기 촬영키워드 추출부(1210)의 경우 텍스트 후기에서 촬영키워드를 추출해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하였는데, 이를 위해 촬영키워드 추출부(1210)는 키워드 데이터베이스(1211), 기초키워드 생성파트(1212), 계층화 수행파트(1213), 정규화 수행파트(1214), 거리 파악파트(1215), 근접중심수치 산출파트(1216), 촬영키워드 지정파트(121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키워드 데이터베이스(1211)는 분석의 기준이 되는 기준키워드를 저장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촬영 특성을 나타내기 위해 쓰일 수 있거나 그에 대한 효과를 나타내는 단어들, 즉.‘고정’,‘잔잔하다’,‘정적이다’,‘얌전하다’,‘지루하다’,‘고정적이다’,‘움직이지 않는다’,‘고요하다’,‘졸리다’,‘몰입감’,‘긴장감’,‘박진감’,‘줌’,‘어지러움’,‘정신없음’,‘입체적’,‘입체감’,‘역동적’,‘박진감’,‘강인함’,‘약함’,‘아련함’,‘연약함’,‘세보임’,‘굳센’,‘무빙’,‘움직임’,‘신남’,‘즐거움’,‘무브’,‘틸트’,‘팬’ 등의 단어가 기준키워드가 될 수 있다.
즉 기준키워드에 있어서는 제한을 두지 않으며, 키워드 분석의 기준이 될 수 있는 것으로써 촬영 방법이나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명사, 동사 뿐 아니라 그에 따른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다양한 형용사 및 부사들이 기준키워드가 될 수 있다.
기초키워드 생성파트(1212)는 상술한 키워드 데이터베이스(1211)에 저장된 기준키워드를 기반으로 복수의 텍스트 후기를 각각 분석 처리하여 텍스트 후기로부터 복수의 기초키워드를 추출해내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기초키워드라 함은 즉 기준키워드를 기반으로 텍스트 후기를 필터링하여 얻어진 모든 키워드를 일컫는다.
도 5는 상대 근접 거리 도출을 위한 계층을 나타낸 표이다.
도 5를 더 참조하여 설명하면, 계층화 수행파트(1213)는 추출된 복수의 기초키워드를 계층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계층이 높은 기초키워드는, 다른 기초키워드를 포괄할 수 있는 의미를 지닌 것을 일컫는다.
따라서 도 5의 예시를 보면 제 1 계층이 가장 높은 계층을 의미하며, 제 2 계층, 제 3 계층과 같이 점차적으로 하위 계층으로 내려갈수록 낮은 계층이라 할 수 있다.
이때 계층 분류의 방식에는 제한을 두지 않지만 기본적으로 특정 개념이 다른 개념을 포괄할 수 있을 때 그것을 높은 계층으로 간주하며, 바람직하게는 온톨로지 개념에 따라 계층적 분류가 이용될 수 있다. 이때 온톨로지 개념이라 함은 어떤 관심 분야를 개념화하기 위해 명시적으로 정형화된 명세서로서, 용어 분류에 이용되는 개념이다.
실시예를 들자면, 제 1 계층으로는 ‘촬영’가 있을 수 있고, 해당 ‘촬영 특성’이라는 단어의 하위 계층인 제 2 계층으로는 ‘고정’‘트랙킹’‘틸트’‘팬’ 등이 있을 수 있으며, 더불어 ‘트랙킹 촬영’의 하위 계층인 제 3 계층으로는 ‘피사체 트랙킹’ 및 ‘달리(dolly)’가 있을 수 있다.
나아가 이때 해당 촬영에 의해 나타날 수 있는 효과 및 감정에 대한 표현 역시 계층화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감정 및 효과에 있어서도 계층이 높은 기초키워드는, 다른 기초키워드를 포괄할 수 있는 의미를 지닌 것을 일컫는다. 즉 ‘움직임’을 통해 나타날 수 있는 ‘박진감’ 및‘역동감’의 경우, 움직임이 보다 높은 계층이며, 박진감 및 역동감의 경우 움직임의 하위 계층이 될 수 있다.
정규화 수행파트(1214)는 계층화된 복수의 기초키워드를 정규화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때 정규화를 수행하는 이유는 특정 기초키워드가 텍스트 후기에서 등장한 빈도수가 다른 기초키워드보다 높다고 하더라도, 그 기초키워드가 무조건 다른 기초키워드보다 중요하다고 단정지을 수는 없기 때문이다.
여기서 정규화 수행파트(1214)를 통한 기초키워드의 정규화 방식에 대해서는 제한을 두지 않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다음의 수학식 1을 통해 정규화를 수행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21107393640-pat00001
여기서,
Figure 112021107393640-pat00002
Figure 112021107393640-pat00003
번째 기초키워드가 시스템 상에서 생성된 빈도수,
Figure 112021107393640-pat00004
은 상기 시스템에 입력된 텍스트 후기의 전체 개수,
Figure 112021107393640-pat00005
는 시스템에 입력된 전체 텍스트 후기 중
Figure 112021107393640-pat00006
번째 기초키워드를 포함하는 텍스트 후기의 개수,
Figure 112021107393640-pat00007
Figure 112021107393640-pat00008
번째 기초키워드의 정규화 값을 의미한다.
일례로, ‘움직임’이라는 기초키워드가 시스템 상에서 10번 생성된 경우
Figure 112021107393640-pat00009
는 10가 되며, 시스템 상에 저장 처리된 텍스트 후기의 전체 개수가 20개이고, 시스템 상에서 ‘움직임’이라는 기초키워드가 생성된, 즉 ‘움직임’이라는 기초키워드를 포함하는 텍스트 후기의 총 개수가 5개인 경우
Figure 112021107393640-pat00010
는 5가 된다.
또한,‘박진감’이라는 기초키워드가 시스템 상에서 3번 생성된 경우
Figure 112021107393640-pat00011
은 3이 되며, 시스템 상에 저장 처리된 텍스트 후기의 전체 개수가 20개이고, 시스템 상에서 ‘박진감’이라는 기초키워드가 생성된, 즉 ‘박진감’이라는 기초키워드를 포함하는 텍스트 후기의 총 개수가 2개인 경우
Figure 112021107393640-pat00012
는 2가 된다.
따라서 이 경우 ‘움직임’이라는 기초키워드의 정규화 값을 산출하면,
Figure 112021107393640-pat00013
로 산출될 수 있으며,
‘박진감’이라는 기초키워드의 정규화 값을 산출하면,
Figure 112021107393640-pat00014
로 산출된다.
이와 같은 정규화 수행파트(1214)는 각각의 기초키워드 생성 빈도수의 단순 반영이 아닌 빈도수를 알고리즘을 통해 정규화하여 보다 표준화된 값을 비교할 수 있도록 하였을 뿐 아니라, 여기서 더 나아가 특정 기초키워드가 생성된 빈도수 뿐 아니라 해당 기초키워드가 생성된, 즉 해당 기초키워드를 포함하는 텍스트 후기의 개수를 반영하여 보다 객관적인 정규화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값을 산출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거리 파악파트(1215)는 정규화된 기초키워드 간의 상대 근접 거리를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대 근접 거리라 함은 N차원의 공간에서 두 노드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는데 이용되며, 이때 거리라 함은 용어 사이의 거리, 즉 유사도나 근접도의 개념으로써 이해할 수 있다. 즉 상대 근접 거리는, 각 기초키워드 간의 유사도 및 근접도를 의미하는 것이다.
여기서 바람직하게 상대 근접 거리는, 다음의 수학식 2를 기반으로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112021107393640-pat00015
여기서, 여기서,
Figure 112021107393640-pat00016
Figure 112021107393640-pat00017
번째 기초키워드와
Figure 112021107393640-pat00018
번째 기초키워드 사이의 상대 근접 거리,
Figure 112021107393640-pat00019
Figure 112021107393640-pat00020
번째 기초키워드가 시스템 상에서 생성된 빈도수,
Figure 112021107393640-pat00021
Figure 112021107393640-pat00022
번째 기초키워드의 정규화 값,
Figure 112021107393640-pat00023
Figure 112021107393640-pat00024
번째 기초키워드의 계층 값을 의미한다.
더불어
Figure 112021107393640-pat00025
Figure 112021107393640-pat00026
이므로, 서로 다른 계층 사이의 비교에서는 상술한 수학식 2의 두 번째 경우와 같이 계층이 더 작은 기초키워드의 정규화 값 및 빈도수를 기반으로 상대 근접 거리가 산출되는 것이다.
이때 상대 근접 거리에서 비교하는 계층이라 함은 도 5를 참조한 계층을 나타낸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 1 계층으로는 ‘촬영’이 있을 수 있고, 해당 ‘촬영 특성’이라는 단어의 하위 계층인 제 2 계층으로는 ‘고정’‘트랙킹’‘틸트’‘팬’ 등이 있을 수 있으며, 더불어 ‘트랙킹 촬영’의 하위 계층인 제 3 계층으로는 ‘피사체 트랙킹’ 및 ‘달리(dolly)’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계층 비교시,
Figure 112021107393640-pat00027
이 된다 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값의 상대 비교를 수행하는 것이 곧 계층 값의 비교가 된다고 할 수 있다.
즉 계층값은 상호 비교를 위해 쓰이는 것이며, 더 높은 계층에 있을수록 계층값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로서 ‘촬영’과 ‘고정’사이의 상대 근접 거리를 산출한다면, ‘촬영’가 ‘고정’보다 높은 계층이므로, 수학식 2에서
Figure 112021107393640-pat00028
인 경우를 적용한다. 여기서 촬영의 빈도수는 3, 정규화 값은 3.3856이라 예시하고, 고정의 빈도수는 10, 정규화 값은 3.6126이라고 예시하자.
따라서,
Figure 112021107393640-pat00029
이 된다.
여기서 만약, 촬영 및 고정을 같은 계층이라고 가정한다면,
Figure 112021107393640-pat00030
이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계층에 따라 상대 근접 거리는 차이날 수 있으며, 계층 분류가 일어난 상태에서 계층에 따른 상대 근접 거리 산출이 이루어지는게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대 근접 거리는 1에 가까울수록 해당 기초키워드 간의 거리가, 즉 유사도가 높은 것을 기반으로 하며, 하지만 동일한 기초키워드가 아니므로 0의 값은 산출되지 않는다. 즉 상대 근접 거리는 1을 초과하는 값이 나타나며, 거리가 멀수록(상대 근접 거리의 값이 클수록) 유사도가 낮은 것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산출되는 상대 근접 거리는 단순한 빈도수 비교에서 더 나아가 정규화된 값의 비교 수치에 따른 거리 계산을 의미하므로, 해당 기초키워드 사이의 빈도 기반 유사도를 산출하는 팩터로서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다. 즉 단순히 출현 빈도만을 비교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키워드 사이의 유사도 및 근접도를 비교할 수 있으므로 그 신뢰도가 보다 높다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라이브 공연 영상에 대한 중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1: 영상 제공자 단말 2: 메인 서버
3: 봇 4: 시청자 단말
5: 불법 컨텐츠 유통자 서버 100: 영상 제공 인터페이스
200: 검색 수행 모듈 300: 추천공연 생성 모듈
400: 공연 추천 모듈 500: 아티스트 정보 제공 모듈
510: 아티스트DB 520: 정보 제공부
600: 식별자 삽입 모듈 700: 컨텐츠 검출 모듈
710: 검색 수행부 720: 식별자 검출부
800: 메시지 제공 모듈 900: 시청리스트 생성 모듈
1000: 촬영정보 제공 모듈 1100: 후기 입력 모듈
1110: 후기 입력부 1120: 포인트 부여부
1200: 특성 분석 모듈 1210: 촬영키워드 추출부
1211: 키워드 데이터베이스 1212: 기초키워드 생성파트
1213: 계층화 수행파트 1214: 정규화 수행파트
1215: 거리 파악파트 1217: 촬영키워드 지정파트
1220: 촬영특성 생성부

Claims (9)

  1. 라이브 공연 영상에 대한 중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서,
    영상 제공자로부터 전송받은 공연 영상을 저장하고 시청자에게 송출하는 영상 제공 인터페이스;
    복수의 봇(bot)을 매개로 복수의 온라인매체에 공연에 대한 키워드 검색을 수행하여 공연일정을 포함하는 공연정보를 수집하는 검색 수행 모듈;
    상기 공연 영상을 촬영한 촬영감독의 이름 및, 상기 촬영감독이 기 촬영한 공연 영상의 제목을 포함하는 촬영정보를 상기 시청자에게 제공하는 촬영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촬영정보 제공 모듈; 및,
    공연 영상을 시청한 시청자로부터 해당 공연 영상을 촬영한 촬영감독의 카메라 움직임에 대한 텍스트 후기를 입력받는 후기 입력부 및, 상기 텍스트 후기를 입력한 시청자에게 포인트를 부여하는 포인트 부여부를 포함하는 후기 입력 모듈;
    상기 텍스트 후기에서 상기 촬영감독의 카메라 움직임에 대해 평가한 복수의 촬영키워드를 추출하는 촬영키워드 추출부 및, 상기 촬영키워드를 기반으로 상기 촬영감독의 고정 촬영, 줌 촬영, 트랙킹 촬영, 틸트 촬영, 팬 촬영 각각에 대한 슈팅 밸류(shooting value)를 파악하고, 파악된 슈팅 밸류를 시각화한 그래프를 포함하는 촬영특성정보를 생성하는 촬영특성 생성부를 포함하는 특성 분석 모듈;
    수집된 공연정보와 복수의 시청자로부터 입력된 텍스트 후기 및 복수의 상기 공연 영상에 대해 생성된 촬영특성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시청자에게 촬영감독별 추천공연리스트를 생성하는 추천 공연 생성 모듈;
    생성된 상기 추천공연리스트를 상기 시청자에게 제공하는 공연 추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촬영키워드 추출부는,
    분석의 기준이 되는 기준키워드를 저장하는 키워드 데이터베이스, 기준키워드를 기반으로 상기 텍스트 후기를 분석하여 상기 텍스트 후기로부터 복수의 기초키워드를 추출하는 기초키워드 생성파트, 상기 기초키워드를 계층화하는 계층화 수행파트, 계층화된 복수의 상기 기초키워드에 대한 정규화를 수행하는 정규화 수행파트, 정규화된 상기 기초키워드 간의 상대 근접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 파악파트, 산출된 상기 상대 근접 거리에 따라 상기 기초키워드 각각에 대한 근접중심수치를 산출하는 근접중심수치 산출파트, 산출된 상기 근접중심수치에 따라 상기 기초키워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촬영키워드로 지정하는 촬영키워드 지정파트를 포함하며,
    상기 정규화 수행파트는,
    다음의 수학식 1를 기반으로 정규화를 수행하고,
    상기 상대 근접 거리는,
    다음의 수학식 2를 기반으로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
    수학식 1,
    Figure 112021121448760-pat00067

    (여기서,
    Figure 112021121448760-pat00068
    Figure 112021121448760-pat00069
    번째 기초키워드가 시스템 상에서 생성된 빈도수,
    Figure 112021121448760-pat00070
    은 상기 시스템에 입력된 텍스트 후기의 전체 개수,
    Figure 112021121448760-pat00071
    는 시스템에 입력된 전체 텍스트 후기 중
    Figure 112021121448760-pat00072
    번째 기초키워드를 포함하는 텍스트 후기의 개수,
    Figure 112021121448760-pat00073
    Figure 112021121448760-pat00074
    번째 기초키워드의 정규화 값)
    수학식 2,
    Figure 112021121448760-pat00075

    (여기서,
    Figure 112021121448760-pat00076
    Figure 112021121448760-pat00077
    번째 기초키워드와
    Figure 112021121448760-pat00078
    번째 기초키워드 사이의 상대 근접 거리,
    Figure 112021121448760-pat00079
    Figure 112021121448760-pat00080
    번째 기초키워드가 시스템 상에서 생성된 빈도수,
    Figure 112021121448760-pat00081
    Figure 112021121448760-pat00082
    번째 기초키워드의 정규화 값,
    Figure 112021121448760-pat00083
    Figure 112021121448760-pat00084
    번째 기초키워드의 계층 값)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공연 영상에 출연한 아티스트에 대한 이름 및 사진을 포함하는 아티스트정보를 공연 영상별로 저장하는 아티스트DB 및, 공연 영상을 시청 중인 시청자에게 해당 공연 영상에 출연 중인 아티스트에 대한 아티스트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아티스트 정보 제공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송출되는 상기 공연 영상의 영상프레임에 식별자를 삽입하는 식별자 삽입 모듈;
    복수의 봇(bot)을 매개로 복수의 온라인매체에 상기 공연 영상에 대한 키워드 검색을 수행하여 불법 컨텐츠를 추출하는 검색 수행부 및, 상기 온라인매체에 업로드된 업로드 영상 중에서 상기 식별자를 검출하여 불법 컨텐츠를 추출하는 식 별자 검출부를 포함하는 컨텐츠 검출 모듈;
    상기 불법 컨텐츠 검출에 따라 상기 영상 제공자에게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거나 상기 불법 컨텐츠를 유통한 유통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제공하는 메시지 제공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시청자가 기 시청한 공연 영상에 대한 시청리스트를 생성하는 시청리스트 생성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추천공연 생성 모듈은,
    수집된 상기 공연정보 및 상기 시청자의 시청리스트를 기반으로 상기 시청자에 대한 추천공연리스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210123693A 2021-09-16 2021-09-16 라이브 공연 영상에 대한 중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348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3693A KR102348756B1 (ko) 2021-09-16 2021-09-16 라이브 공연 영상에 대한 중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3693A KR102348756B1 (ko) 2021-09-16 2021-09-16 라이브 공연 영상에 대한 중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8756B1 true KR102348756B1 (ko) 2022-01-07

Family

ID=79355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3693A KR102348756B1 (ko) 2021-09-16 2021-09-16 라이브 공연 영상에 대한 중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875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5526A (ko) * 2000-04-10 2001-11-07 김종찬 가상 문화단지내에서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기록한 기록매체
KR20160054121A (ko) * 2014-11-05 2016-05-16 주식회사 로엔엔터테인먼트 아티스트 순위 산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산출 방법
KR102107059B1 (ko) * 2018-12-26 2020-05-06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기계학습 기반의 콘서트 중계 영상 추천 방법 및 장치
KR20210023111A (ko) * 2019-08-22 2021-03-04 주식회사 지금컴퍼니 공연 추천 시스템
KR102224469B1 (ko) * 2020-12-24 2021-03-08 서민승 실시간 영상 컨텐츠 보호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5526A (ko) * 2000-04-10 2001-11-07 김종찬 가상 문화단지내에서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기록한 기록매체
KR20160054121A (ko) * 2014-11-05 2016-05-16 주식회사 로엔엔터테인먼트 아티스트 순위 산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산출 방법
KR102107059B1 (ko) * 2018-12-26 2020-05-06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기계학습 기반의 콘서트 중계 영상 추천 방법 및 장치
KR20210023111A (ko) * 2019-08-22 2021-03-04 주식회사 지금컴퍼니 공연 추천 시스템
KR102224469B1 (ko) * 2020-12-24 2021-03-08 서민승 실시간 영상 컨텐츠 보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itamurto Normative paradoxes in 360 journalism: Contested accuracy and objectivity
McNamara The paparazzi industry and new media: The evolving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celebrity news and gossip websites
EP2617190B1 (en) Content capture device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tagging content
CA2726777C (en) A web-based system for collaborative generation of interactive videos
US864599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notating media streams
US866697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ontent tagging and tagged content
US20150046537A1 (en) Retrieving video annotation metadata using a p2p network and copyright free indexes
US2012007241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tagging content
US9658994B2 (en) Rendering supplemental information concerning a scheduled event based on an identified entity in media content
KR20190104466A (ko) 관람자 관계형 동영상 제작 장치 및 제작 방법
US9152707B2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nd providing media objects in a navigable environment
Simon Adapting to context: Creative strategies of video streaming services in Nigeria
Hadland et al. Mobile phones and the news: How UK mainstream news broadcasting is stalling the video revolution
KR101628054B1 (ko) 가상 공간 제공 장치 및 방법
JP2006338100A (ja) 電子化コンテンツ運用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Scuglia The last days of gay porn
KR102348756B1 (ko) 라이브 공연 영상에 대한 중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
Mundhenke From i-doc to VR experience: New forms of user engagement in immersive digital documentaries
US11245947B1 (en) Device and method for capturing, processing, linking and monetizing a plurality of video and audio recordings from different points of view (POV)
JP2022056358A (ja) 動画配信装置、動画配信方法、および、動画配信プログラム
KR101821602B1 (ko) 동영상 콘텐츠 맞춤형 정보 삽입시스템
KR101396020B1 (ko) 컨텐츠 편집툴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편집 서비스제공 방법
KR100861243B1 (ko) 저작권 표시된 동영상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Maher et al. Innovation in true crime: generic transformation in documentary series
KR20200053960A (ko) 동영상 콘텐츠 트래킹 맞춤형 정보 삽입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