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5526A - 가상 문화단지내에서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기록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가상 문화단지내에서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기록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5526A
KR20010095526A KR1020000018659A KR20000018659A KR20010095526A KR 20010095526 A KR20010095526 A KR 20010095526A KR 1020000018659 A KR1020000018659 A KR 1020000018659A KR 20000018659 A KR20000018659 A KR 20000018659A KR 20010095526 A KR20010095526 A KR 200100955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movie
server
virtual
cy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8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찬
Original Assignee
김종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찬 filed Critical 김종찬
Priority to KR1020000018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95526A/ko
Publication of KR20010095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552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 등의 통신망을 통해서 3차원 가상 현실 공간에서 가상문화단지를 구축하고 그곳에서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방법은 (a)3차원 그래픽 소프트웨어로 제작되어 있고, 적어도 영화, 뮤지컬, 애니메이션, 연극을 포함하는 영상물을 상영하는 복수의 가상문화관들을 포함하는 가상문화단지를 상기 서버의 제 1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b)상기 각각의 가상문화관에서 상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물을 상기 서버의 제 2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c)상기 이용자들에게 상기 가상문화단지에서 상기 이용자들을 표시하는 각각의 아바타를 설정하도록 하는 단계; (d)상기 설정된 자신의 아바타를 움직여서 상기 가상문화단지의 문화관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여 자신이 보고자 하는 영상물을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 및 (e)상기 이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물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3차원 가상공간에서 이용자의 캐릭터가 그 단지내를 움직이면서 영상물을 관람할수 있다.

Description

가상 문화단지내에서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Method for providing image in virtual culture mall and computer-readable medium recording the method}
본 발명은 인터넷에서 정보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터넷 등의 통신망을 통해서 3차원 가상 현실 공간에서 가상문화단지를 구축하고 그곳에서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인터넷상에서 영화를 제공하는 사이트들이 생겨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영화제공 사이트들은 그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영화나 만화영화들의 목록 및 대표화상을 보여주고 이용자들에게 보고자 하는 영화를 선택하도록 하고, 이용자가 선택하면, 그 영화 또는 만화영화의 동영상을 VIVO, Quick Time 이나 Real Player를 이용하여 관람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2차원 인터넷영화관들은 인터넷 사용자의 수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지만, 이용자들의 기대나 예측에 크게 미치지 못하고 있다.
그 이유는 현재의 인터넷영화관들은 영화가 개봉된 지 오래지나서 비디오로 출시되었거나 혹은 개봉관에서 상영할수 없었던 에로물이나 폭력물들을 상영하기 때문이다.
한편, 실제의(오프라인상의) 영화관에서는 영화개봉일에 팬사인회를 한다거나, 이용자는 매점에 들려서 팝콘을 사거나, 옆에 있는 사람과 이야기 하지만, 현재의 인터넷영화관에서는 그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영화들만 볼 수 있으므로 이용자가 실제의 영화관에 들어가서 영화를 관람하는 것과 같은 기분을 충족시켜주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현재의 인터넷영화관에서 이용자는 인터넷영화관을 운영하는 회사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일방적으로 받을 수만 있을뿐, 이용자가 영화를 보는 도중에 의문사항을 요구하면 서버에서 응답해주는 양방향성(interactive)은 전혀 없다.
그러므로, 인터넷 이용자들이 현실세계와 근접하게 느낄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언제, 어디서나 문화생활을 즐길수 있는 인터넷상의 문화공간들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인터넷 등의 통신망상의 3차원 가상공간에서 현실과 유사한 종합문화단지를 조성하고 그곳에서 영상을 제공할 뿐 아니라 이용자의 캐릭터가 그 단지내를 움직이도록 하여 현실세계에서 영화개봉관, 영화재개봉관, 비디오방, 연극공연관등에서 영화나 연극을 관람하는 것같이 느끼도록 할 수 있는 가상 문화단지내에서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의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문화단지내에서 영상을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있어서, 이용자가 회원으로 등록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있어서, 이용자가 가상문화단지에 도착하여 자신이 원하는 문화관까지 이동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용자가 가상문화단지에 도착했을 때의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서, 이용자가 영화개봉관에 도착하여 영화개봉관에 입장하기까지의 과정을 나타내고 있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영화개봉관의 외관을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있어서, 영화개봉관에서 영화를 상영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이버 화장실에서 이루어지는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복수의 이용자 컴퓨터들과 서버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3차원 그래픽 소프트웨어로 제작되어 있고, 적어도 영화, 뮤지컬, 애니메이션, 연극을 포함하는 영상물을 상영하는 복수의 가상문화관들을 포함하는 가상문화단지를 상기 서버의 제 1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b)상기 각각의 가상문화관에서 상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물을 상기 서버의 제 2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c)상기 이용자들에게 상기 가상문화단지에서 상기 이용자들을 표시하는 각각의 아바타를 설정하도록 하는 단계; (d)상기 설정된 자신의 아바타를 움직여서 상기 가상문화단지의 문화관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여 자신이 보고자 하는 영상물을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 및 (e)상기 이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물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문화단지내에서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복수의 이용자 컴퓨터들과 서버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복수의 이용자 컴퓨터들과 서버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3차원 그래픽 소프트웨어로 제작되어 있고, 적어도 영화, 뮤지컬, 애니메이션, 연극을 포함하는 영상물을 상영하는 복수의 가상문화관들을 포함하는 가상문화단지를 상기 서버의 제 1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b)상기 각각의 가상문화관에서 상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물을 상기 서버의 제 2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c)상기 이용자들에게 상기 가상문화단지에서 상기 이용자들을 표시하는 각각의 아바타를 설정하도록 하는 단계;(d)상기 설정된 자신의 아바타를 움직여서 상기 가상문화단지의 문화관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여 자신이 보고자 하는 영상물을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 및 (e)상기 이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물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수 있는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한다.
우선, 본 발명의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가상현실(virtual reality)의 개념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가상현실이란 현실에 구애받지 않고 상상의 세계를 현실과 같이 만들어 내어 인체의 모든 감각기관이 인공적으로 창조된 세계에 몰입됨으로써 자신이 바로 그곳에 있는 듯한 착각에 빠지게 되는 사이버 공간의 세계를 말한다.
가상현실 속에서는 사용자가 현실에서와 마찬가지로 그 속에 들어가 시각, 청각, 촉각 등과 같은 감각들을 이용하여 실제로는 없는 물체이지만 이를 감지할 수도 있고 이들의 정보를 접할 수도 있고 이를 변형시킬 수도 있는 등 모든 상황을 자신의 의도대로 이끌어 갈 수 있다.
오늘날의 가상현실은 컴퓨터의 등장에 힘입어 단순히 눈에 보이는 공간에 실제 들어가 있도록 느끼게 해주는 차원을 뛰어넘어 실제 현실과 똑같은 또 하나의 세계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인공지능, 시뮬레이션 그리고 컴퓨터 그래픽스 등 여러 분야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또한, 인터넷을 통한 가상현실은 이제 혼자서 가상현실을 체험하는 수준에서여러 명이 한꺼번에 한 가상공간에 들어가서 상호작용을 하며 참여할 수 있는 수준으로 발달했다.
한편, 가상현실공간을 구축하기 위해 현실건축을 대체할 수 있는 가상현실 건축을 가능하게 해주는 프로그램도 발달되어 있다. 이들 가상건축프로그램들의 일예로서는 실제의 건물들을 디지털카메라고 찍은 후 이것을 합성하여 영상으로 제공해주는 것도 있다.
또한, 가상현실상에 3차원공간에서 건물을 세우고, 인터넷 사용자들이 각자의 분신(즉, 아바타)을 설정하면, 이들 아바타들이 3차원 공간을 돌아다니면서 3차원적으로 구현된 가상현실세계에서 미술관 전시회를 관람하거나 박물관 등을 관람하거나 쇼핑몰에서 물건을 사고 팔수 있다.
또한, 3차원 공간에서 입체적으로 만들어진 자신의 분신을 통해 자유롭게 온라인 대화를 즐길 수 있는 3차원(3D)채팅도 가능하다.
인터넷 이용자들 사이에서 3차원 가상세계가 인기가 있는 것은 이용자들에게 마치 현실세계에서 움직이는 것과 느낌을 주기 때문이다.
또한, 현실세계와 같은 가상현실에서 사용자들이 자신의 분신처럼 움직이고 말하는 캐릭터, 즉 지적 가상 객체인 아바타(avatar)를 설정하여 통신망에 접속한 바로 그 시간대에 다른 곳에서 접속한 또 다른 사용자와 각기 다른 모습의 캐릭터로 만나 서로의 캐릭터를 보면서 실시간으로 대화를 가질 수 있으므로 서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수 있는 양방향성(interactive)도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가상건축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양한 문화생활을 즐길수있는 문화단지를 건축한다. 이러한 문화단지내에는 영화개봉관, 영화재개봉관, 애니메이션 영화관, 비디오관, 뮤지컬 및 연극상영관과 같은 문화관이 있고, 또한, 각각의 문화관들은 관람실, 매표소, 영사실, 미니숍, 매점, 화장실, 커피숍, 박스오피스, 패스트푸드점, 채팅실, 오락관등과 같은 부대시설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현실세계에서 영화는 개봉관에서 처음 개봉되고, 흥행에 따라서 변화하지만, 보통 3개월 정도면 재개봉관으로 넘어가고, 그 뒤에는 비디오방으로 넘어간다.
본 발명에 있어서, 문화단지의 영화개봉관, 영화재개봉관, 비디오방도 현실세계와 같은 개념을 가지고 운영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문화단지내에서 영상을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의 서버(14)는 가상문화단지를 건축하고, 영상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컴퓨터 네트워크상에서 다른 컴퓨터들과 통신하고, 네트워크에 접속된 다른 컴퓨터로부터 어떤 사람에 의해 액세스될수 있는 서버 컴퓨터 혹은 저장장치에 저장된 접근가능한 컴퓨터파일 혹은 소프트웨어를 만들기 위해 채택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도 1의 서버(14)는 캐시(16), 데이터베이스서버(18), VOD서버(20), OS서버(22)를 포함한다.
캐시(16)는 서버(14)에 접속하였으나 ID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지 않아서 로그인하지 않고 서버(14)로부터 어떠한 정보나 서비스를 제공받지 않은 이용자들에 대한 데이터들을 저장하고 있다.
또한, 운영서버(22)에는 이 컬쳐몰을 운영하는 운영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VOD(Video On Demand ;주문형 비디오)서버(20)는 이용자들이 네트워크를 통하여 자신이 보고 싶은 영화를 선택하면 통신망을 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영화를 제공하여 이용자가 자신의 컴퓨터로 감상할수 있도록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이다.
다음은 데이터베이스 서버(16)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데이터베이스 서버(16)에 구축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에는 회원DB(28), 가상건축물DB(30), 영화DB(32), 영화제작노트DB(34), 연예인DB(36), 영화배우 캐릭터DB(38), NG DB(40), 사인DB(42), 엔터테인먼트 정보DB(44), 팬시점DB(46), 애니메이션DB(48), 연극 및 뮤지컬DB(50), 광고 카피DB, 회원적립금 DB 등이 있다.
먼저, 회원DB(28)는 회원으로 가입한 이용자들의 ID와 패스워드, 주소, 직업, 주민등록번호, 전화, 이메일 등과 같이 이용자들이 회원으로 등록할 때 기입한 사항들과 회원이 선택한 캐릭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또한, 가상건축물DB(30)는 3차원 그래픽 소프트웨어로 제작된 가상건축물을 저장하고 있는 것으로서, 서버(14)는 이용자가 서버에 처음으로 접속했을 때 가상건축물DB를 다운로드 받도록 하여 이용자컴퓨터 화면에 3차원 그래픽으로 가상 문화단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영화DB(32)는 영화명, 출연배우, 감독, 국가, 장르, 줄거리, 수상여부,연도, 등급(18세이하 관람가, 불가), 출시일, 배급사등을 영화별로 저장하고 있다. 또한, 이들 영화별로 현재 어디에서 상영되는 영화인지, 즉, 영화개봉관, 재개봉관, 비디오상영관별로 구분되어 있다.
또한, 영화제작노트DB(34)는 영화별로 영화의 촬영장소, 출연배우가 입었던 옷의 브랜드 및 매장, 영화에 등장했던 소품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따라서, 영화가 상영중일 때 혹은 언제든지 이용자들로부터 정보제공요구를 수신하면, 이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한다.
그리고, 연예인DB(36)는 영화개봉관, 재개봉관, 비디오방, 연극 및 뮤지컬 상영관에서 상영되거나 공연되는 영화배우 또는 연극배우들의 개인신상, 출연작품들의 프로필 등을 저장하고 있다.
영화배우 캐릭터DB(38)는 영화배우들의 실제모습의 형상을 하고 있는 캐릭터등을 저장하고 있어서, 이용자들이 자신들의 아바타로 설정할수 있도록 한다. 이 영화배우 캐릭터들은 자신의 출연작이 상영될 때에 등장하여 여러 가지 서비스를 행한다. 이 서비스로는 영화관람실의 좌석안내, 팬사인회, 검표, 영사기 돌리기 등과 같은 것이 있다.
또한, NG DB(40)는 영화별로 영화촬영시 커팅되었지만, 재미있거나 제작사가 공개한 필름이 DB로 저장되어 있다.
또한, 사인DB(42)는 유명연예인들의 사인을 저장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엔터테인먼트 정보DB(44)는 유명 가수들의 콘서트 안내와 같은 각종 콘서트 정보를 포함한 연예가 소식을 저장하고 있다.
또한, 팬시점DB(46)는 예를 들면, 영화 "타이타닉"으로 유명해진 타이타닉배의 모형이라든가 디즈니영화들에서 등장하는 미키마우스, 인어공주, 라이온킹등과 같은 캐릭터들이 그려져 있는 그림이나 소품등의 목록을 판매가격과 함께 저장하여 쇼핑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애니메이션DB(48)는 애니메이션 상영관에서 상영될 만화영화의 동영상파일들이 DB로 저장되어 있다.
또한, 연극 및 뮤지컬DB(50)는 브로드웨이의 유명한 뮤지컬인 "캐츠"나 한국의 유명한 연극인 "명성황후"와 같은 연극를 공연사(또는 제작사)와의 계약에 의해 실제 상연된 연극을 촬영하고 압축한 것을 파일로 저장하고 있다.
광고 카피DB는 부대시설인 사이버화장실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광고카피들을 저장하고 있는 것이다.
회원적립금 DB는 회원들이 문화단지내에서 얻은 사이버머니를 회원별로 저장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의 복수개의 이용자컴퓨터(12)들은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에 접속한 자들이 이용하는 컴퓨터들이다.
이용자 컴퓨터들은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등의 형태로 웹 내용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인터넷 브라우저(Netscape, Internet Explorer 등)를 가지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있어서, 이용자가 회원으로 등록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는 플로우챠트이다.
이용자는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서버의 홈페이지에 접속한다(102).
그리고, 서버에 회원으로 가입하고자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회원가입버튼을 누른다(104).
또한, 자신의 이름, 주민등록번호, 주소, 직업, 전화, 이메일 등과 같은 이용자 자신의 신상명세를 입력하고(106), ID와 패스워드를 입력한다(108).
한편, 자신이 원하는 캐릭터를 선택한다.
이때, 캐릭터를 영화배우 중에서 선택할 것인지, 자신의 모습을 캐릭터로 선택할 것인지 문의한다(110).
먼저, 영화배우를 자신의 캐릭터로 하고자 하면, 서버의 영화배우 캐릭터DB(38)에 저장되어 있는 영화배우들의 얼굴이 이용자의 컴퓨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고(114), 이용자는 그 중에서 자신이 제일 좋아하는 영화배우를 선택한다(116).
이 캐릭터는 이용자가 서버에 접속할 때마다 화면에 등장하여 마치 이용자가 그 사이트내부에 들어간 것같은 착각을 가지게 하여, 이용자는 마치 자신이 선택한 영화배우가 된 것같은 대리만족을 얻게 된다. 또한, 서버에 접속한 다른 이용자들의 아바타들중에서 동일한 영화배우 캐릭터를 하고 있는 이용자들끼리는 그 영화배우의 펜클럽회원이 된다.
또한, 자신의 모습을 캐릭터로 선택하고자 하면, 자신의 얼굴을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을 서버에 송신한다(118). 그러면, 서버에서는 수신한 영상에 의거하여 캐릭터를 작성하고(120), 이용자의 컴퓨터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122).
이와 같이, 자신의 모습과 비슷한 캐릭터가 등장하여 이동하면 마치 내 자신이 가상건물속을 돌아 다니는 것같은 느낌을 갖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있어서, 이용자가 가상문화단지에 도착하여 자신이 원하는 문화관까지 이동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는 플로우챠트이다.
이용자는 가상현실의 문화단지내에서 영상을 제공하는 서버의 홈페이지에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하고(202), 자신의 ID와 패스워드를 입력한다(204).
그러면, 이용자가 회원등록과정에서 선택한 캐릭터의 형상을 하고 있는 아바타가 등장하고(206), 아바타는 문화단지에 도착한다(208).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용자가 가상문화단지에 도착했을 때의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낸 것같이, 문화단지의 입구에는 성문형상의 굳게 잠긴 문이 있고, 그 문 앞쪽에는 지구동상이 있다.
이용자는 지구동상에서 국가를 선택하면(210), 이후 이용자 컴퓨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과 메뉴는 모두 이용자가 선택한 국가의 언어로 제공된다.
예를 들면, 이용자가 '한국'을 선택하였다면 이 문화단지에서의 화면과 서비스는 모두 한국어로 제공된다.
이용자가 국가를 선택하고 나면, 닫혀 있던 성문이 열린다.
그러면, 이용자는 자신이 가고자 하는 문화관을 향해서 마우스를 드래그하고, 이용자를 나타내고 있는 아바타가 자신이 원하는 문화관으로 이동한다(212).
Ⅰ. 영화개봉관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문화단지중에서 영화개봉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용자가 영화개봉관에 도착하여 영화개봉관에 입장하기까지의 과정을 나타내고 있는 플로우챠트이다.
영화개봉관은 영화관람실, 매표소, 영사실, 미니숍, 매점, 화장실, 커피숍, 박스오피스, 패스트푸드점, 채팅실, 오락관등이 구축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영화개봉관의 외관을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낸 것같이, 영화개봉관의 외관은 현실세계의 영화관과 유사한 모습을 하고 있고, 영화개봉관의 입구에는 국가명이 표시되어 있는 게시판이 있다.
영화개봉관에 도착한 이용자가 만약, 자신이 보고자 하는 영화의 제목을 알고 있다면, 게시판에 적혀져 있는 국가명중에서 자신이 보고자 하는 영화의 국가를 선택한다(302).
예를 들면, 일본 영화인 "러브레터"를 보고자 하면 일본을 선택하고, 한국 영화인 "쉬리"를 보고자 하면 한국을 선택한다.
만약, 이용자가 한국을 선택했다면, 한국영화중에서 현재 영화개봉관에서 볼수 있는 영화목록이 게시판에 디스플레이되고(304), 이용자는 자신이 보고자 하는 영화의 영화제목을 알고 있으면(306), 자신이 보고 싶은 영화제목을선택한다(308).
그러나, 만약 이용자가 자신이 보고자 하는 영화의 제목을 모른다면, 영화의 내용(즉, 키워드), 영화의 장르, 영화배우, 감독등과 같이 자신이 알고 있는 내용을 검색어로서 입력한다(310).
그러면, 서버는 이용자에 의해 입력된 내용을 가지고 검색하여(312), 검색결과 얻어진 영화명을 그 영화의 요약문과 함께 디스플레이하고(314), 이용자는 그 중에서 자신이 보고 싶어하는 영화명이 있는지를 확인한다(316).
만약, 자신이 보고 싶어하는 영화가 있으면 그것을 선택하고(318), 더 상세한 검색이 필요하면, 영화의 내용(즉, 키워드), 영화의 장르, 영화배우, 감독등 중에서 자신이 알고 있는 사항을 더 입력하여 다시 검색을 행한다.
이용자는 자신이 보고자 하는 영화를 선택한 후, 매표소에서 입장권을 구매한다(318). 이때, 이용자는 전자화폐 또는 신용카드를 이용하여 전자결제할 수 있다. 이러한 온라인상의 구매는 이미 알려진 통상의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이용자가 입장권을 사면, 이용자에게는 소정금액의 사이버머니가 제공되고(320), 이용자의 ID번호에 누적된다(322). 이렇게 누적된 사이버머니는 소정 금액(예를 들면, 1000원)이상이 되면, 이용자가 다른 문화공간에 입장하거나 팬시점에서 물품들을 구입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이용자가 팬시점에서 사이버머니 또는 현금으로 전자결제하여 온라인상에서 구입한 물건은 이용자에게 배달되어 이용자는 그 물건은 오프라인에서 받을수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영화개봉관에서 영화를 상영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이용자가 영화를 선택한 후 영화개봉관에 들어가서, 이용자 아바타가 영화관람실로 들어가게 되면(316), 이용자가 선택한 영화의 주인공 영화배우의 아바타가 등장하여 좌석을 안내한다(318).
또한, 영화배우 아바타는 영사실에 들어가서 영사기를 돌린다(320). 이때 영사기 돌아가는 소리가 들리게 되어, 이용자들은 영화가 시작한다는 것을 실감할수 있고, 영화관람실에서 영화가 상영되기 시작한다(322).
한편, 이 영화관람실에서 이용자는 이용자가 선택한 영화와 동일한 영화를 이미 관람하고 있는 다른 이용자들을 그 이용자들의 아바타를 보고 알수 있다.
이용자가 영화를 관람하는 도중에 영화의 촬영장소가 어디인지, 출연배우가 입었던 옷의 브랜드가 무엇이고 살 수 있는 매장이 어디인지, 영화에 등장했던 소품 등은 어디에 가서 살수 있는지 혹은 누구의 작품인지와 같은 것에 대하여 알고 싶은 것이 있으면(324), 이용자는 해당 메뉴를 선택하여 인터랙티브모드로 들어가서(326), 서버에 자신의 의문사항에 대하여 문의할수 있다(328).
그러면, 서버는 이용자의 질문이 서버의 영화제작노트DB(34)에 있는 것인지를 확인하여(330), 이용자에게 제공한다(332).
그러나, 만약, 서버의 영화제작노트DB(34)에 있지 않으면 이용자에게 제공할수 없다.
또한, 영화를 보는 도중에 이용자는 채탱모드로 전환하여, 이용자아바타는 자신의 주위에 있는 다른 이용자 아바타들과 3차원채팅방식을 이용하여 채팅할수 있다.
이러한 3차원 채팅방식은 이미 알려진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상세하게 언급하지 않는다. 다만, 이용자는 다른 아바타를 보면서 채팅하므로 마치 현실에서 다른 사람과 대화하고 있는 것같은 느낌을 얻을수 있다.
그리고, 이용자가 영화관람실에서 영화를 끝까지 관람하면(336), 소정의 적립포인틀 제공한다(338). 그러나, 아직 영화가 상영중일 때 이용자가 영화관람실에서 퇴장해서 다른 곳으로 가면, 이용자에게는 적립포인트를 제공하지 않는다.
한편, 이용자는 자신의 ID에 축적된 사이버머니를 본 발명에 의한 문화단지내에서 실제의 결재수단으로 사용할수 있다.
또한, 영화관의 규약에 따라서, 영화관의 입장료는 현금과 사이버머니를 일정 비율로 정해서 예를 들면 영화관의 입장료가 5000원이라면 3000원은 전자지불카드로 결제를 하고, 나머지 2000원은 축적된 사이버머니로 지불할수 있도록 한다.
또한, 영화의 관람횟수가 여러 번일 경우 일정횟수(예를 들어 10번)가 되면 이용자에게 복권을 주고, 추첨일자를 통보하고, 추점을 하여 당첨되면 일정한 상품을 주거나 영화시사회초대권을 주도록 한다.
그러나, 동일한 영화일 경우는 관람횟수가 많아도 복권을 주지 않는다.
한편, 이용자는 영화개봉관에서 영화를 볼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영화관에 있는 부대시설을 이용할수 있다.
다음은 영화개봉관 내부에 있는 미니숍, 매점, 화장실, 커피숍, 박스오피스, 패스트푸드점, 채팅실, 오락관을 포함하는 부대시설들의 특징에 대하여 설명한다.
(1) 박스오피스
박스오피스는 영화별로 통계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으로, 온라인상에서 접속하여 영화를 본 관람객수와 오프라인상에서(현실세계에서) 영화를 본 관람객수의 통계를 제공한다. 이 박스오피스DB는 관람객수가 증가하면서 계속 업데이트된다.
(2) 패스트푸드점
사이버 패스트푸드점은 현실세계의 맥도널드(상표명)와 같은 패스트푸드점과 동일한 형상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패스트푸드점에서 판매하는 음식 예를 들면, 햄버거, 콜라, 치킨, 비스켓과 같은 음식들의 광고와 실제의 패스트푸드점에 대한 광고를 제공한다.
이용자가 이들 패스트푸드점에서 제공하는 광고를 보고 광고를 클릭하면 소정의 사이버머니가 이용자에게 제공된다.
(3)매점
사이버 매점은 일반 영화관의 매점에서 판매하는 물품과 동일한 물품 즉, 이용자가 영화를 보면서 먹을수 있는 식품들에 대하여 광고한다. 이러한 식품들로는 예를 들면, 콜라, 커널스팝콘, 오징어와 같은 것이 있다.
이용자가 이들 매점에서 제공하는 광고를 보고 광고를 클릭하면 소정의 사이버머니가 이용자에게 제공된다.
(4) 팬시점
팬시점은 팬시점DB(46)에 저장되어 있는 물품들을 판매하는 작은 쇼핑몰로서, 이곳에 가면 점원아바타가 등장하여 물건을 판다.
이곳에서 이용자는 타이타닉배의 모형이라든가 디즈니영화들에서 등장하는 미키마우스, 인어공주, 라이온킹등과 같은 캐릭터들이 그려져 있는 그림이나 소품들을 전자결제수단이나 신용카드를 이용하여 구입할수 있다.
한편, 팬시점에 진열되어 있는 상품들에 대하여 더 알고 싶으면 채팅모드로 전환하여 점원아바타에게 문의한다.
이용자가 이들 팬시점에서 물건을 구입하면 소정의 사이버머니가 이용자에게 제공된다.
(5) 사이버 화장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이버 화장실에서 이루어지는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사이버 화장실은 현실세계와 동일하게 은밀한 공간이므로, 한 명의 아바타만 등장할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아바타가 이미 사이버 화장실에 들어가 있는지를 확인하고(402), 만약 이미 들어가 있는 아바타가 있다면 다른 이용자 아바타는 사이버 화장실에 입장할수 없다.
한편, 아무도 사이버 화장실에 들어간 아바타가 없다면 이용자의 아바타는 사이버 화장실에 들어간다(404). 사이버화장실에는 이용자는 사이버 화장실의 벽면을 통해 광고가 디스플레이 되고(406), 이용자가 광고를 클릭한 경우에는(408), 사이버머니를 제공한다(410).
여기서, 사이버 화장실에서 제공되는 광고들은 모두 기업체의 슬로건, 이미지, 명언들이다.
또한, 사이버화장실의 한 개의 벽면은 낙서판으로서, 사이버 화장실에 들어간 이용자가 화장실에서 낙서하는 것같이 낙서하고 싶으면(412), 기업의 광고카피문구를 기입한다(414). 그러므로, 사이버화장실은 아마츄어 카피사들의 등용문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사이버화장실에서 머무르는 시간이 너무 길어지면 다른 이용자 아바타들이 입장할수 없으므로, 사이버화장실에 머무르는 시간이 일정 기간을 초과하면(예를 들어, 1시간 정도)(416), 이용자에게 경고음을 발생하여(418), 이용자가 퇴장하도록 한다(420).
Ⅱ. 영화재개봉관, 비디오방, 애니메이션 상영관, 뮤지컬 및 연극관
영화재개봉관, 비디오방, 애니메이션 상영관, 뮤지컬 및 연극관도 이용자가 선택할수 있는 장르만 다를뿐 앞에서 설명한 영화개봉관과 동일하다.
다만 뮤지컬 및 연극관에서는 공연이 시작하고 끝날 때 뮤지컬 및 연극의 주연배우가 막을 열거나 닫도록 하고, 연극이 끝난후 관객들로부터 앵콜요청이 소정수 이상 행해지면 서버의 DB에 저장되어 있는 앵콜데이터들이 상영되도록 한다.
한편, 영화재개봉관, 비디오방, 애니메이션 상영관, 뮤지컬 및 연극관의 부대시설은 앞에서 설명한 영화개봉관의 부대시설과 동일하게 운영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포함된 여러 단계들은 컴퓨터로 읽을수 있는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 :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매체(예 : CD-ROM, DVD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 : 인터넷을 통해 전송)와 같은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청구범위로 한정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터넷 등의 통신망상의 3차원 가상공간에서 현실과 유사한 종합문화단지를 조성하고 그곳에서 영상을 제공하고, 이용자의 캐릭터가 그 단지내를 움직이도록 하여 현실세계에서 영화개봉관, 영화재개봉관, 비디오방, 연극공연관등에서 영화나 연극을 관람하는 것같이 느끼도록 할 수 있는 가상 문화단지내에서 영상을 제공하는 시스템이 제공되므로, 가상현실 내에서 이용자들은 현실에서의 자신을 대신하는 캐릭터를 자신과 동일시하고, 자신과 동일한 캐릭터를 선택한 이용자들과 더욱 친근한 느낌을 가지게 된다.
현실 세계와 유사한 3차원 가상 현실 공간에서 양방향성으로 영상이 제공되므로, 이용자는 영화를 보면서 그 영화속에 나오는 거리나 영화배우가 입었던 옷에 대한 정보를 얻을수 있다.
또한, 사이버화장실의 한 개의 벽면은 낙서판으로서, 이용자가 기업의 광고카피문구를 낙서하듯이 기입함으로써, 아마츄어 카피사들의 등용문이 될 수 있다.

Claims (21)

  1. 복수의 이용자 컴퓨터들과 서버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3차원 그래픽 소프트웨어로 제작되어 있고, 적어도 영화, 뮤지컬, 애니메이션, 연극을 포함하는 영상물을 상영하는 복수의 가상문화관들을 포함하는 가상문화단지를 상기 서버의 제 1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b)상기 각각의 가상문화관에서 상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물을 상기 서버의 제 2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c)상기 이용자들에게 상기 가상문화단지에서 상기 이용자들을 표시하는 각각의 아바타를 설정하도록 하는 단계;
    (d)상기 설정된 자신의 아바타를 움직여서 상기 가상문화단지의 문화관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여 자신이 보고자 하는 영상물을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 및
    (e)상기 이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물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문화단지내에서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바타들은 적어도 상기 제 2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물의 주연배우들의 형상을 하고 있거나 또는 이용자 자신의 형상 중 어느 하나를 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문화단지내에서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의 제 2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물들은 그 영상물이 상기 문화단지내에서 상영되는 곳에 따라서 영화개봉관, 영화재개봉관, 애니메이션 영화관, 비디오방, 뮤지컬 및 연극상영관별로 구분되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영상물들은 적어도 그 영상물의 제목, 출연배우, 감독, 국가, 장르, 줄거리, 수상여부, 연도, 등급, 출시일, 배급사등을 포함하는 영상물 관련정보를 더 저장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문화단지내에서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상기 이용자가 영상물을 선택할 때,
    자신이 보고자 하는 영상물의 제작국가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제작국가의 영상물중에서 상기 가상문화단지내에서 상영가능한 영상물의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문화단지내에서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상기 이용자가 영상물을 선택할 때,
    이용자가 자신이 보고자 하는 영상물에 대하여 적어도 그 영상물의 내용을 표시하는 키워드, 영상물의 장르, 배우, 감독중 어느 하나를 검색어로서 입력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어로 검색하고, 검색결과 얻어진 제목을 그 요약문과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문화단지내에서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복수의 영화들에 대하여 적어도 촬영장소, 출연배우가 입었던 옷 및 영화에 등장했던 소품을 포함하는 영화관련정보를 영화별로 저장하고 있는 영화제작노트DB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용자들로부터 영화관련정보에 대한 요구를 수신하면, 상기 영화제작노트DB로부터 상기 이용자들의 요구에 맞는 정보를 인출하여 상기 이용자들에게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문화단지내에서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가 선택한 영화에 출연하는 영화배우들의 아바타들은 상기 영화가 상영될 때에 등장하여 적어도 영화관람실의 좌석안내, 팬사인회, 검표, 영사기 돌리기를 포함하는 여러 가지 서비스를 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문화단지내에서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유명연예인들의 사인을 저장하고 있는 사인DB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용자들로부터 특정 연예인의 사인요청 의뢰가 들어오면, 상기 의뢰가 들어온 연예인의 사인을 상기 사인DB로부터 인출하여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문화단지내에서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문화단지는 적어도 영화개봉관, 영화재개봉관, 애니메이션 영화관, 비디오방, 뮤지컬 및 연극상영관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문화관으로 이루어져 있고, 각각의 문화관들은 적어도 관람실, 매표소, 영사실, 팬시점, 매점, 화장실, 커피숍, 박스오피스, 패스트푸드점, 채팅실, 오락관을 포함하는 부대시설을 구비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문화단지내에서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부대시설은 광고를 디스플레이하고 있고,
    상기 이용자가 상기 부대시설에 입장하거나 상기 부대시설에 디스플레이되는 광고를 클릭하면 상기 이용자에게 사이버머니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문화단지내에서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
  11.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팬시점은 영화에 등장하는 캐릭터들을 상품으로 만들어서 판매하는 곳으로서 점원아바타가 물건을 팔고,
    상기 이용자는 상기 팬시점에서 판매하는 상품들에 대하여 상세한 정보를 얻고 싶으면 상기 점원아바타에게 문의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이용자가 상기 팬시점에서 물건을 구입하면 소정의 사이버머니를 이용자에게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문화단지내에서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
  12.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가 자신이 보고자 하는 영화를 선택한 후,
    상기 매표소에서 입장권을 사는 단계;
    상기 이용자가 입장권을 산 후, 이용자에게 소정의 사이버머니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문화단지내에서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
  13.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버머니가 소정 금액 이상이 되면, 그 사이버머니를 이용하여 상기 이용자는 다른 문화관에 입장하거나 상기 팬시점에서 물품들을 구입하는데 사용할수 있고,
    상기 영화개봉관의 입장료는 현금과 사이버머니를 소정 비율로 정해서 현금과 사이버머니를 모두 이용하여 결제할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문화단지내에서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
  14.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가 서로 다른 영상물을 소정 횟수 관람하면, 상기 이용자에게 복권을 주고, 추첨일자를 통보하여, 상기 복권이 당첨되면 적어도 소정의 상품이나 영화시사회초대권중 어느 하나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문화단지내에서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
  15.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사이버화장실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광고카피들을 저장하고 있는 광고 카피DB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장실에 상기 이용자가 들어가려고 하면, 다른 이용자의 아바타가 상기 사이버 화장실에 들어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사이버 화장실에 들어간 다른 이용자의 아바타가 없으면 상기 이용자의 아바타가 사이버 화장실에 들어가는 단계;
    상기 사이버 화장실의 벽면을 통해 상기 광고카피DB에 저장되어 있는 광고카피가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이용자가 광고카피를 클릭하면 사이버머니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문화단지내에서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
  16. 제 9항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카피들은 적어도 기업체의 슬로건, 광고카피문구, 회사의 이미지를나타내는 영상, 기업주의 명언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문화단지내에서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
  17. 제 9항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가 상기 사이버화장실의 한 개의 벽면에 광고카피문구를 기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문화단지내에서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
  18. 제 9항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가 상기 사이버화장실에서 머무르는 시간을 체크하여 그 시간이 소정 시간이상이면 상기 이용자가 상기 사이버화장실에서 퇴장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문화단지내에서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
  1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현실세계에서 상연된 적어도 연극, 뮤지컬, 전시회 또는 음악회 중 어느 하나의 공연을 촬영하여 영상으로 저장하고 있는 공연DB;
    상기 공연에 출연한 배우들의 형상을 아바타로 제작하여 저장하고 있는 배우아바타DB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용자가 보고자 하는 연극을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연극의 배우아바타가 상기 공연이 시작되기 전과 후에 막을 열고 닫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문화단지내에서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공연DB는 실제로 상연된 공연의 앵콜장면을 저장하고 있고,
    상기 공연이 끝난후 관객들로부터 앵콜요청이 소정수 이상 행해지면 상기 앵콜장면을 디스플레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문화단지내에서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
  21. 복수의 이용자 컴퓨터들과 서버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a)3차원 그래픽 소프트웨어로 제작되어 있고, 적어도 영화, 뮤지컬, 애니메이션, 연극을 포함하는 영상물을 상영하는 복수의 가상문화관들을 포함하는 가상문화단지를 상기 서버의 제 1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b)상기 각각의 가상문화관에서 상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물을 상기 서버의 제 2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c)상기 이용자들에게 상기 가상문화단지에서 상기 이용자들을 표시하는 각각의 아바타를 설정하도록 하는 단계;
    (d)상기 설정된 자신의 아바타를 움직여서 상기 가상문화단지의 문화관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여 자신이 보고자 하는 영상물을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 및
    (e)상기 이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물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컴퓨터에서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00018659A 2000-04-10 2000-04-10 가상 문화단지내에서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기록한 기록매체 KR200100955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8659A KR20010095526A (ko) 2000-04-10 2000-04-10 가상 문화단지내에서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기록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8659A KR20010095526A (ko) 2000-04-10 2000-04-10 가상 문화단지내에서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기록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5526A true KR20010095526A (ko) 2001-11-07

Family

ID=19663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8659A KR20010095526A (ko) 2000-04-10 2000-04-10 가상 문화단지내에서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기록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9552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9305B1 (ko) * 2000-07-31 2004-02-19 이동수 인터넷을 이용한 사인권 발행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48756B1 (ko) * 2021-09-16 2022-01-07 (주)라이브베리 라이브 공연 영상에 대한 중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11720921B2 (en) 2020-08-13 2023-08-08 Kochava Inc. Visual indication presentation and interaction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9305B1 (ko) * 2000-07-31 2004-02-19 이동수 인터넷을 이용한 사인권 발행시스템 및 그 방법
US11720921B2 (en) 2020-08-13 2023-08-08 Kochava Inc. Visual indication presentation and interaction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KR102348756B1 (ko) * 2021-09-16 2022-01-07 (주)라이브베리 라이브 공연 영상에 대한 중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49714B2 (en) Systems and methods of shareable virtual objects and virtual objects as message objects to facilitate communications sessions in an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
US10846941B2 (en) Interactive virtual thematic environment
Hemp Avatar-based marketing
US11812070B2 (en) Event production and distribution networks, systems, apparatus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WO2001011511A1 (en) Electronic commerce system and method over three-dimensional virtual reality space
US20020113820A1 (en) System and method to configure and provide a network-enabled three-dimensional computing environment
Coopersmith Pornography, videotape and the Internet
JP2009510608A (ja) ターゲット広告
CN101273368A (zh) 经由移动图像识别的交互
US20110040645A1 (en) Virtual world integrated auction
Lieberman et al. The entertainment marketing revolution: Bringing the moguls, the media, and the magic to the world
CN114761943A (zh) 创建、维护和发展虚拟音乐主题世界
KR100417004B1 (ko) 3차원 가상현실을 이용한 온-오프라인 연계방법 및 그시스템
KR20010095526A (ko) 가상 문화단지내에서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기록한 기록매체
CN113313840A (zh) 实时虚拟系统及实时虚拟交互方法
Ricci Immersive media and branding: how being a brand will change and expand in the age of true immersion
Hockx et al. Culture in the Contemporary PRC
Warren Virtual perspective: the aesthetic lineages of immersive experience
US20200188780A1 (en) Linket, esports and a theme park
Hayes 16 Top Augmented Reality Business Models
Lombard et al. Digital Advertising in a New Age: The Power of (Tele) Presence
JP7425758B2 (ja) イベント提供プログラム、イベント提供システムおよびイベント提供方法
KR20050075114A (ko) 3차원 아바타 게임을 이용한 포털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20008822A1 (en) Linket, esports and a theme park
JP2022082282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