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2752A - 안내 장치를 구비한 전기 접촉자 - Google Patents

안내 장치를 구비한 전기 접촉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2752A
KR20080072752A KR1020087015611A KR20087015611A KR20080072752A KR 20080072752 A KR20080072752 A KR 20080072752A KR 1020087015611 A KR1020087015611 A KR 1020087015611A KR 20087015611 A KR20087015611 A KR 20087015611A KR 20080072752 A KR20080072752 A KR 200800727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ontact element
boss
cage
t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5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떼판 에르난데스
미셸 애쉬바쉐
Original Assignee
에프씨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씨아이 filed Critical 에프씨아이
Priority to KR1020087015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72752A/ko
Publication of KR20080072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27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3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or blades having a rectang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87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spring member in the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5Sealing means between cable and housing, e.g. gromm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촉자 요소(1)에 관한 것이며, 상기 접촉자 요소(1)는 상보적인 접촉자 요소의 상보적인 접촉부와 협동하는 전방 접촉부(2), 커넥터 케이스의 소켓에 접촉자 요소를 보유하기 위한 보유부(3) 및 안내 보스(4)를 포함하며, 안내 보스(4)는 전기 접촉자 요소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절첩되는 탭으로 구성되고 둥글린 노우즈를 나타낸다.
전기 접촉자, 안내 장치, 접촉자 요소, 커넥터

Description

안내 장치를 구비한 전기 접촉자{ELECTRICAL CONTACT WITH BIASING DEVICE}
본 발명은 접촉자를 접촉자 지지 모듈 내로 삽입시키기 위한 안내 장치를 구비한 전기 접촉자에 관한 것이다.
전기 접촉자에 사용되는 안내 장치는 커넥터 케이스 또는 접촉자 지지 모듈의 소켓 내에서 접촉자의 정확한 배향을 보장하도록 설계된다.
프랑스 특허 제2,869,161호는 커넥터 케이스 소켓 내로 삽입되고 적어도 1개의 보스(boss)를 포함하는 안내 장치를 구비하는 전기 접촉 케이지를 설명하는데, 상기 보스는 이러한 케이지를 넘어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접촉 케이지의 측벽을 절결하고 스탬핑 가공(stamping)함으로써 제조되어, 보스가 자유롭게 통과하기 위한 홈과 협동함으로써 단일 각위치(angular position)에서 소켓 내로 삽입되도록 하는 접촉자의 360도 배향을 형성한다.
그러나, 케이지의 후방부에 위치한 이러한 안내 장치는 처음에 접촉자가 좋지 않은 각위치에서 삽입되도록 한다.
또한, 접촉자를 수용하는 커넥터 케이스의 소켓 내로의 접촉자의 삽입 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에 있는 보스를 절결 및 스탬핑 가공하여 제조되는 이러한 안내 장치는 절삭 에지를 포함하며, 소켓 입구에 위치하여 접촉자가 케이스 내로 삽입되 는 동안 반드시 통과해야 하는 밀봉 링을 손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손상을 입히지 않는 안내 장치를 구비하는 접촉자 요소를 생성하는 것이며, 이러한 목적을 위해, 상보적인 접촉자 요소의 상보적인 접촉부와 협동하도록 설계된 전방 접촉부, 커넥터 케이스의 소켓에 접촉자 요소를 보유하기 위한 보유부 및 안내 보스를 포함하는 접촉자 요소를 제안하며, 상기 안내 보스는 전기 접촉자 요소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절첩되는 탭으로 구성되고 둥글린 노우즈(rounded nose)로 구성된다.
특히, 접촉자가 소켓으로부터 발출될 때 절첩된 탭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절첩된 탭의 자유 후방부는 보유부의 리세스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암형 케이지 접촉자에 대한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절첩된 탭이 케이지의 전방부를 지나서 연장됨으로써, 안내 장치는 접촉자 요소가 소켓 내로 처음에 잘못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과 장점은 다음의 도면을 참조하는 제한적이지 않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예시를 따르는 설명으로부터 찾을 수 있다.
도1은 암형 접촉자 요소에 관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접촉자 요소의 전방부의 단면도이고,
도3은 수형 접촉자 요소를 위한 보유부에 관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단면 도이고,
도4A, 도4B 및 도4C는 각각 예비절단된 블랭크의 전개도, 블랭크를 절첩시킨 이후의 전방부의 사시도, 케이블에 연결된 도1의 접촉자 요소의 사시 조립도이고,
도5A, 도5B 및 도5C는 각각 예비절단된 블랭크의 전개도, 블랭크를 절첩시킨 이후의 보유부의 사시도, 본 발명을 포함하며 케이블에 연결된 수형 접촉자 요소의 사시 조립도이고,
도6A 및 도6B는 커넥터 케이스와 본 발명에 따른 접촉자 요소의 일 예시의 단면도로서, 도6A는 삽입하는 공정을 도시하고 도6B는 발출하는 공정을 도시하며,
도7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접촉자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특히 도4C의 조립도에 도시된 암형 전기 접촉자 형태의 전기 접촉자 요소(1) 또는 도5C의 조립도에 도시된 수형 접촉자 요소(1')에 적합하다.
암형 접촉자 요소의 경우에, 이러한 요소는 상보적인 수형 전기 접촉자 요소(1')의 단자 형태의 상보적인 접촉부(2')와 협동하도록 설계된, 도2에 도시된 스프링 접촉 블레이드(16)를 구비한 케이지(cage) 형태의 접촉 전방부(2)를 포함한다.
케이지는 접촉자 요소를 커넥터 케이스(17)의 소켓에 보유하기 위한 보유부(3)로 구성된다.
특히 이러한 암형 접촉자는 도4A에 도시된 절결(cut-out) 블랭크로부터 단일편으로 제조되며, 그 후 이 블랭크는 절첩되어 접촉자 요소를 형성한다.
예시에 따라, 접촉자 요소는 공지된 방식으로 케이블(18)에 크림프(crimp)되도록 설계된다.
도5C의 조립도에 도시된 수형 접촉자 요소(1')의 경우에, 이러한 접촉자는 상기 전술한 암형 전기 접촉자 요소(1)와 같은 상보적인 접촉자 요소(2)의 케이지 형상 부분에 위치한 스프링 접촉 블레이드(16)와 협동하도록 설계된 단자 형태의 접촉 전방부(2')를 포함한다.
전형적인 방식으로, 수형 접촉자 요소는 절결되거나, 절첩 또는 말려질 수 있으며, 접촉자 요소 상에 조립되어 수형 접촉자를 커넥터 케이스(17)의 소켓에 보유부(3')를 형성하는 케이지로 덮힌다.
조립된 케이지는 도5A에 도시된 절결 블랭크로 제조되며, 이러한 블랭크는 이후 절첩되고 접촉 단자(2')에 삽입된다.
본 발명에 따라, 암형 접촉자 요소와 수형 접촉자 요소는, 탭(5, 6)으로 구성되고 전기 접촉자 요소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절첩되고 둥글린 노우즈(7)를 구비한 안내 보스(4)를 구비한다.
도2는 암형 접촉자 요소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보스의 실시예를 더욱 자세히 도시하는 반면, 도3은 수형 접촉자 요소의 중앙부를 덮도록 설계된 조립 케이지에 대한 실시예를 더욱 자세히 도시한다.
물론, 필요한 경우에는 실시예들을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2의 예시에서, 안내 보스(4)는 암형 케이지를 만들기 위해 설계된 블랭크의 전방부를 지나서 연장하는 탭(5)으로 형성되며,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 한 탭은 둥글린 노우즈를 형성하기 위해 둥글리는 방식으로 접촉자 요소의 전방부로부터 후방부로 절첩된다.
바람직하게는, 일단 탭이 절첩되면 둥글린 노우즈는 케이지의 전방부를 지나서 연장함으로써, 접촉자 요소가 소켓 내로 삽입되기 시작하자마자, 조작자는 접촉자가 소켓에 대하여 정확한 위치로 배향되는지의 여부를 탐지할 수 있다.
보스가 자유롭게 통과하기 위한 홈이 구비되지 않은 소켓의 벽에 대하여 돌출된 노우즈(7)가 부딪힘으로써 이러한 탐지가 가능하다.
도2의 암형 접촉자의 경우에, 탭의 자유 후방부(8)는 보유부(3)로부터 절결부로 구성되는 리세스(9)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도시된 예시에 따르면, 이러한 절결부는 암형 접촉자 내로 삽입될 때 상보적인 접촉 단자(2')를 안내하도록 설계되고 스프링 접촉 블레이드(16)에 대향하여 위치한 케이지의 스탬핑 가공된(stamping) 상면(ceiling; 11)으로 인한 것이다.
이러한 도면에서, 접촉자를 소켓으로부터 발출하는 방향으로 에지가 보스의 후방부에서 손상을 입히지 않게 하기 위하여, 도시된 보스의 자유 후방부는 절결부로 구성되는 상기 리세스(9) 내로 절첩되는 플랩(10)을 포함하며, 플랩(10)의 단부는 완전히 리세스(9) 내에 수용됨으로써, 플랩은 접촉자를 소켓으로부터 발출하는 동안 손상 없이 후방 조인트의 립을 가압하도록 설계된 램프(ramp)를 구성한다.
도3의 수형 접촉자의 경우에, 탭(6)은 보유부(3)의 벽(12)의 절결부로부터 형성되고 탭의 자유 후방부(8)는 이러한 자유 후방부(8)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리세스(9')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따라서, 접촉자가 소켓으로부터 제거될 때 보스를 구성하는 탭의 후방 단부에 의해 조인트(joint)를 분리시키는 어떤 위험도 방지하기 위해 수형 접촉자의 절첩된 탭의 자유 후방부가 케이지의 본체에 수용된다.
이러한 두 개 모드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들 용법의 기능에 따라 각각 최적화된다.
암형 접촉자의 경우에, 전방 보스는 소켓에서 접촉자의 전방부의 정확한 위치를 보장하지만, 소비되는 재료량을 증가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증가는 접촉자를 형성하도록 설계된 블랭크의 표면에 비하면 사소한 것이다.
수형 접촉자의 경우에, 절결되어 생성되고 벽(12)의 중앙부를 향해 위치한 보스는 이 부분에 대한 추가적인 재료의 소비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이는 조립된 케이지의 작은 규모로 인해 특히 유리하다.
도4B 및 도5B는 본 발명에 따른 보스가 형성되어 있는 암형 접촉 케이지와 수형 접촉자에 대한 조립된 케이지의 부분들을 각각 더욱 자세히 나타낸다.
접촉 단자 요소를 위한 조립된 케이지(3')의 경우에, 보스(4)를 포함하는 벽과 반대측 벽의 선단에 위치한 스터드(19)는 조립된 케이지가 접촉자 요소에 고정 위치됨을 보장한다.
모두의 경우에, 탭(5 또는 6)은 종방향 보스(4)를 구성하며, 암형 접촉자의 경우에, 이러한 보스(4)는 보유부(3) 내에 통합된 스프링 접촉 블레이드(16)를 포함하는 벽(14)과 반대측 벽(12) 상에 위치한다.
도6A 및 도6B는 중앙부만 도시된 커넥터 케이스(17)에서의 전술된 바와 같은 암형 접촉자의 삽입 및 발출을 도시한다.
예시에 따른 커넥터 케이스(17)는, 접촉자(1, 1')에 결합된 케이블(18) 상에 접촉될 때 커넥터의 후방부를 밀봉하도록 설계된 립(21)을 구비한 그로밋(grommet) 타입의 조인트(20)를 수용한다.
종래 기술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커넥터 케이스(17)의 후방부와 전방부를 각각 형성하는 두 케이스의 반부(17a, 17b) 사이에 그로밋(20)이 수용된다.
접촉자를 수용하기 위한 소켓은 보스(4)가 자유롭게 통과하기 위한 홈(22)을 구비한다.
접촉자(1)가 소켓 내로 삽입되는 동안, 접촉자의 전방부는 그로밋의 립(21)을 개별적으로 가압한다.
횡방향 보스(B)가 접촉자의 소켓 내부로의 삽입/발출 방향으로 모가 난 에지(C, D)를 포함하는 도7에 도시된 종래 기술의 접촉자(A)와 달리, 본 발명에 따른 접촉자의 보스(4)는 둥글린 노우즈(7)와 리세스(9) 내로 가압된 자유 후방부를 구비하는 종방향 보스이기 때문에, 이러한 보스는 도6A에 따른 삽입 또는 도6B에 따른 발출 동안 립(21)을 손상시킬 위험이 없다.
본 발명은 도시된 예시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히, 본 발명에 따른 2개 보스는 180도 분극을 지닌 접촉자의 경우에 케이지(5)의 측벽 상에 제공될 수 있다.

Claims (7)

  1. 상보적인 접촉자 요소(1', 1)의 상보적인 접촉부(2', 2)와 협동하도록 설계된 전방 접촉부(2, 2'), 커넥터 케이스(17)의 소켓에 접촉자 요소를 보유하기 위한 보유부(3, 3') 및 안내 보스(4)를 포함하는 접촉자 요소(1, 1')에 있어서,
    안내 보스(4)는 전기 접촉자 요소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절첩되는 탭(5, 6)으로 구성되고 둥글린 전방부(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자 요소.
  2. 제1항에 있어서, 탭의 자유 후방부(8)는 보유부(3, 3')의 리세스(9)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접촉자 요소.
  3. 제2항에 있어서, 탭(5, 6)의 자유 후방부(8)는 상기 리세스(9) 내로 절첩되는 플랩(10)을 포함하는 접촉자 요소.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리세스(9)는 상보적인 접촉자(2')와 접촉하기 위해 상면(11)을 스탬핑 가공하여 형성되는 접촉자 요소.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촉자 요소(1)는 케이지 접촉자이고, 절첩된 탭(5)의 노우즈(7)는 상기 케이지의 전방부를 지나서 연장되는 접촉자 요소.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탭(6)은 보유부(3')의 벽(12)의 절결부로부터 형성되는 접촉자 요소.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탭(5)은 보유부(3)에 통합된 스프링 접촉 블레이드(16)를 포함하는 벽(14)과 반대측 벽(12)에 위치한 종방향 보스(4)를 구성하는 접촉자 요소.
KR1020087015611A 2008-06-27 2005-11-30 안내 장치를 구비한 전기 접촉자 KR200800727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7015611A KR20080072752A (ko) 2008-06-27 2005-11-30 안내 장치를 구비한 전기 접촉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7015611A KR20080072752A (ko) 2008-06-27 2005-11-30 안내 장치를 구비한 전기 접촉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2752A true KR20080072752A (ko) 2008-08-06

Family

ID=39882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5611A KR20080072752A (ko) 2008-06-27 2005-11-30 안내 장치를 구비한 전기 접촉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7275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42146A1 (de) * 2022-06-17 2023-12-21 Kostal Kontakt Systeme Gmbh Elektrischer steckhülsenkontak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42146A1 (de) * 2022-06-17 2023-12-21 Kostal Kontakt Systeme Gmbh Elektrischer steckhülsenkontak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93146B2 (en) Electrical connector
US7985106B2 (en) Female type terminal pin
US7144281B2 (en) Female terminal fitting and a blank for a plurality of terminal fittings
US7938695B2 (en) Terminal fitting
JP2007165194A (ja) コネクタ
KR101860690B1 (ko) 커넥터
EP2899813B1 (en) Connector
US20100041283A1 (en) Electrical Contact With Biasing Device
US9577366B2 (en) Waterproof connector having an elastic seal member with the engaged portion
US8998626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6290554B1 (en) Female terminal fitting and a female connector
US5478263A (en) Terminal for connector with engaging mechanism
US6341985B2 (en) Connector unit having front holder
US11245213B2 (en) Clean body electric terminal
CN110649410B (zh) 端子金属配件
JP2009117379A (ja) 端子金具
KR20100121950A (ko) 조인트터미널이 구비된 커넥터
KR20080072752A (ko) 안내 장치를 구비한 전기 접촉자
JPH10247545A (ja) 圧接コネクタ
JP4273681B2 (ja) 端子金具
KR200428338Y1 (ko) 커넥터
US11217925B2 (en) Female terminal
US20190273338A1 (en) Connector
JP2004207157A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US10804625B2 (en) Terminal, method of connecting electric wire to terminal, and ji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