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1217A -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1217A
KR20080071217A KR1020060136382A KR20060136382A KR20080071217A KR 20080071217 A KR20080071217 A KR 20080071217A KR 1020060136382 A KR1020060136382 A KR 1020060136382A KR 20060136382 A KR20060136382 A KR 20060136382A KR 20080071217 A KR20080071217 A KR 200800712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handwriting
specific
data
pers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6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6775B1 (ko
Inventor
이영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지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지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지소프트
Priority to KR1020060136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6775B1/ko
Publication of KR20080071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1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6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6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G06F40/109Font handling; Temporal or kinetic typograph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 필기 데이터를 입력받는 개인 필기 데이터 수집부와, 정형화된 클래스별 필기 데이터를 저장하는 클래스 필기 데이터 저장부와, 상기 클래스별 필기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개인 필기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개인 필기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용자 특화 필체를 생성하는 사용자 특화 필체 생성부와, 생성된 상기 사용자 특화 필체를 저장하며 필체 제공 요청에 따라서 상기 사용자 특화 필체를 제공하는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부를 포함하는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로부터의 소수의 필기 데이터를 제공받아서 사용자 특화 필체를 생성하여 커뮤니케이션 또는 커뮤니티 공간에 제공 가능하며 이러한 사용자의 필기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 특화 필체 생성을 위한 기초 자료를 갱신하여 효율적인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이 가능하며 폰트 제작에 대한 전문지식이 없는 일반인들도 짧은 시간에 편리하게 개인에 특화된 사용자 특화 폰트의 생성이 가능하다.
필기 데이터, 폰트, 패턴, 모델링, 합성, 글리프, 그라핌, 바운딩박스

Description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USER SPECIFIC HANDWRITING STYLE BASED ON HANDWRITING DATA}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의 예시적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개인 필기 데이터 수집부의 예시적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개인 필기 데이터 수집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적인 구현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특화 필체 생성부의 예시적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글리프와 그리핌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코아티큘레이션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그라핌 사이의 공간적 관계를 조건부 확률 분포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 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정규화된 공간에서의 형태 모델링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초성의 모양에 따른 중성 수직 획의 길이 및 위치 변화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바운딩박스들의 레이아웃 모델링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초성에 따른 중성 또는 종성의 바운딩박스의 변이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이러한 전역적 모양을 표현하는 글리프 모델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한글 자모가 주어진 경우의 최우선 인스턴스 생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호 교환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실제 사용자 필기와 사용자 특화 필체 합성 결과를 대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특화 필체 합성에 대해서 합성 조건을 기초로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개인 필기 데이터 수집부 113: 필기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
117: 개인 필기 데이터 획득부 130: 클래스 필기 데이터 저장부
150: 사용자 특화 필체 생성부 153: 개인 필기 데이터 모델링부
155: 클래스 모델 저장부 157: 사용자 특화 필체 합성부
170: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부
본 발명은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사용자로부터의 소수의 필기 데이터를 제공받아서 사용자 특화 필체를 생성하여 커뮤니케이션 또는 커뮤니티 공간에 제공 가능하며 이러한 사용자의 필기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 특화 필체 생성을 위한 기초 자료를 갱신하여 효율적인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이 가능하며 폰트 제작에 대한 전문지식이 없는 일반인들도 짧은 시간에 편리하게 개인에 특화된 사용자 특화 폰트의 생성이 가능한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정보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서 인터넷의 사용이 대폭적으로 증가하고 있 다. 또한 이러한 네트워크의 보급과 다양한 통신 단말기의 개발로 인하여 "1인 미디어"라고 지칭될 정도로 컨텐츠 및 아이템의 개인화(individualization)가 가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예컨대 인터넷 사용자는 자신의 미니 홈페이지, 블로그 등의 커뮤니티 공간을 자신의 취향에 적합하도록 구성하고 이를 통하여 컨텐츠의 생산 및 배포에 참여하고 있다. 또한 인스턴트 메신저 등의 통신 어플리케이션 사용의 경우 또는 SMS/MMS 등의 통신 메시지 사용의 경우에 있어서도 단순한 커뮤니케이션보다는 다른 사용자와 차별되는 아이템 등의 사용을 통하여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고자 하는 경우가 많다.
즉 각 사용자는 예컨대 홈페이지 또는 블로그 등의 경우 스킨이나 배경 음악, 아바타, 아바타 관련 아이템 등을 통하여 다른 사용자의 가상 환경 공간과 차별화를 수행하며, 예컨대 주요 포털 사이트 등에서는 이러한 차별화를 위한 환경을 제공하여 수익 측면의 극대화를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이러한 개인화 또는 사용자 특화 환경의 제공에 있어서 문자 패턴을 기초로 한 사용자 특화 필체 부분에 대해서는 고려되지 않고 있다.
예컨대 컴퓨터용 폰트는 DTP(Desktop Publishing) 또는 CTS(Computerized Typesetting System) 등의 출판 및 문서 작성의 전문 사용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서 일반 사용자의 개인 환경에서 컴퓨터용 폰트의 사용 개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또한 웹 환경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환경에서도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컴퓨터용 폰트의 생성은 종래 전문 폰트 디자이너의 장기간의 수작업을 통하여 제작되고 공급되기 때문에 실제 사용 가능한 컴퓨터용 폰트의 개수는 제한이 있는 상황이다.
컴퓨터용 폰트의 제작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다수의 문자 이미지에 대해서 수작업 윈도우를 작성한다. 이 경우 한글의 경우 일반적으로 2,350자에 대한 문자 이미지를 기초로 수행된다.
이후 스캔 작업을 통해서 문자 이미지의 윤곽선을 추출하고 수정한다.
이러한 추출을 수행한 이후에 빈도수가 높은 문자에 대해서 패턴 제작을 수행하고 이후 이에 따라서 다른 문자들에 대한 패턴 제작을 수행한다.
이후 추출한 패턴에 대한 아웃라인 테스트를 수행한 후 실제 조판 또는 프린트에 적용하기 위한 테스트를 수행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서 윤곽선 윈도우를 작성하여 컴퓨터용 폰트의 작성이 완료된다.
이러한 컴퓨터용 폰트의 작성은 전문적인 폰트 디자이너가 수개월 동안 많은 비용을 들여서 수행하는 노동 집약적인 과정이다. 따라서 시장의 수요에 비해서 공급은 원활하지 못한 상황이다.
종래 출판 및 문서 작성의 전문 사용 분야의 경우에는 이러한 종래의 컴퓨터용 폰트 작성 과정이 사용될 수 있으나 특히 정보 통신 환경에서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부분, 즉 사용자 특화 환경의 제공을 위한 개인화 폰트, 손글씨 폰트 또는 유명 연예인의 글씨체인 스타 폰트 등의 경우에서는 방대한 양의 문자 이미지를 작성하고 이를 기초로 폰트 생성을 수행하는 문제로 인하여 효율적인 적용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예컨대 수천만 명의 가입자를 보유하고 있는 포털 사이트 등에서 개인화된 폰트 서비스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각 가입자 별로 예컨대 한글의 경우 2350자에 대한 필기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종래의 문자 패턴 생성을 거쳐야 하며 과도한 폰트 제작 기간 및 제작비용 등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현실화되기 어려운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실제 적용이 불가능한 상태이며 대략 200여종 이하의 기존 컴퓨터용 폰트만이 실제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로부터의 소수의 필기 데이터를 제공받아서 사용자 특화 필체를 생성하여 커뮤니케이션 또는 커뮤니티 공간에 제공 가능하며 이러한 사용자의 필기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 특화 필체 생성을 위한 기초 자료를 갱신하여 효율적인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이 가능하며 폰트 제작에 대한 전문지식이 없는 일반인들도 짧은 시간에 편리하게 개인에 특화된 사용자 특화 폰트의 생성이 가능한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개인 필기 데이터를 입력받는 개인 필기 데이터 수집부와, 정형화된 클래스별 필기 데이터를 저장하는 클래스 필기 데이터 저장부와, 상기 클래스별 필기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개인 필기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개인 필기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용자 특화 필체를 생성하는 사 용자 특화 필체 생성부와, 생성된 상기 사용자 특화 필체를 저장하며 필체 제공 요청에 따라서 상기 사용자 특화 필체를 제공하는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부를 포함하는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개인 필기 데이터 수집부는, 상기 개인 필기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필기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와, 상기 필기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상기 개인 필기 데이터를 획득하는 개인 필기 데이터 획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개인 필기 데이터 획득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응하여 전자적 필기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상기 개인 필기 데이터를 획득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응하여 이미지 형태로 전송되는 상기 개인 필기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클래스 필기 데이터 저장부는, 상기 개인 필기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정형화된 클래스별 필기 데이터를 동적으로 갱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특화 필체 생성부는, 상기 개인 필기 데이터에 대해서 사용자 종속형 모델링을 수행하는 개인 필기 데이터 모델링부와, 상기 클래스별 필기 데이터에 대해서 사용자 독립형 모델링을 수행하여 모델링 결과를 미리 저장하는 클래 스 모델 저장부와, 상기 사용자 종속형 모델링 결과와 상기 사용자 독립형 모델링 결과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특화 필체를 합성하는 사용자 특화 필체 합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종속형 모델링 또는 상기 사용자 독립형 모델링은 임의성을 고려한 통계적 글리프 모델링을 기초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종속형 모델링 또는 상기 사용자 독립형 모델링은 그라핌 사이의 공간적 관계를 조건부 확률 분포를 기초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종속형 모델링 또는 상기 사용자 독립형 모델링은 그라핌에 대해서 바운딩박스들의 레이아웃 모델링을 기초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종속형 모델링 또는 상기 사용자 독립형 모델링은 글리프의 전역적 모양 모델링을 기초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종속형 모델링 또는 상기 사용자 독립형 모델링은 코아티큘레이션을 고려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특화 필체 합성부는, 합성하고자 하는 상기 사용자 특화 필체의 글리프가 상기 개인 필기 데이터 수집부에서 수집한 상기 개인 필기 데이터 내에 존재하는 경우 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종속형 모델링 결과와 상기 사용자 독립형 모델링 결과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특화 필체의 최우선 인스턴스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특화 필체 합성부는, 합성하고자 하는 상기 사용자 특화 필체의 글리프의 그라핌이 상기 개인 필기 데이터 수집부에서 수집한 상기 개인 필기 데이터 내에 존재하는 경우 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종속형 모델링 결과와 상기 사용자 독립형 모델링 결과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특화 필체의 최우선 인스턴스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특화 필체 합성부는, 합성하고자 하는 상기 사용자 특화 필체의 글리프의 그라핌이 상기 개인 필기 데이터 수집부에서 수집한 상기 개인 필기 데이터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종속형 모델링 또는 상기 사용자 독립형 모델링을 통하여 상기 글리프를 예측하고 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종속형 모델링 결과와 상기 사용자 독립형 모델링 결과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특화 필체의 최우선 인스턴스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특화 필체 합성부는, 상호교환성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 특화 필체의 최우선 인스턴스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특화 필체를 기초로 사용자 특화 폰트를 생성하는 사용자 특화 폰트 생성부와, 폰트 제공 사용자 요청에 따라서 상기 사용자 특화 폰트를 제공하는 사용자 특화 폰트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시되듯이 본 발명에 따른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은 개인 필기 데이터 수집부(110)와, 클래스 필기 데이터 저장부(130)와, 사용자 특화 필체 생성부(150)와,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부(170)를 포함한다.
개인 필기 데이터 수집부(110)는 사용자 특화 필체의 생성에 필요한 개인 필기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종래 폰트 생성의 경우 예컨대 한글의 경우라면 일반적으로 2,350자 또는 그 이상을 입력받지만 본 발명에 따른 개인 필기 데이터 수집부(110)는 이후의 분석을 통한 합성 과정이 수행되므로 100 내지 200 자 정도의 소수의 개인 필기 데이터만을 입력받는 것에 의해서 이후 사용자 특화 필체의 생성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개인 필기 데이터 수집부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시되듯이 본 발명에 따른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개인 필기 데이터 수집부(110)는 필기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113)와, 개인 필기 데이터 획득부(117)를 포함한다.
필기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113)는 개인 필기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개인 필기 데이터 수집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적인 구현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되듯이 소수의 문자에 대해서 사용자가 입력할 문자를 예시적으로 디스플레이하며, 이에 대응하여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되는 문자를 입력하게 된다.
개인 필기 데이터 획득부(117)는 필기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113)를 통하여 입력되는 개인 필기 데이터를 획득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필기 펜이 구비되는 태블릿(table) 등의 전자적 필기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개인 필기 데이터를 입력하는 경우라면 이를 수신하여 개인 필기 데이터를 획득한다.
또는 예컨대 이러한 전자적 필기 입력 장치가 없는 사용자의 경우라면, 필기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113)에서 제공되는 문자들에 대해서 직접 종이 등에 펜을 이용하여 필기를 하고 이를 스캐너 등의 이미지 입력 장치를 통하여 스캐닝한 개인 필기 데이터 이미지를 수신받아서 이를 기초로 개인 필기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필기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113)의 개인 필기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프린터 등을 이용하여 출력하고 출력된 종이에 사용자가 필기를 한 후 이를 스캐닝한 이미지를 수신받아 개인 필기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클래스 필기 데이터 저장부(130)는 정형화된 클래스별 필기 데이터를 저장한다.
즉 다수의 개인 필기 데이터 또는 필체 등을 통하여 미리 각 문자 클래스 별로 다수의 필기 데이터를 저장하며, 이에 따라서 정형화된 클래스 모델을 생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클래스 필기 데이터 저장부(130)에 저장된 클래스별 필기 데이터는 초기에는 그 양이 정형화된 모델을 성성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개인 필기 데이터 수집부(110)에서 입력되는 개인 필기 데이터를 문자 클래스 별로 클래스 필기 데이터 저장부(130)에 저장하여 정형화된 클래스별 필기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다수의 클래스별 필기 데이터가 생성된 이후라도 각 사용자의 특징을 고려하여 정형화된 클래스별 필기 데이터를 동적으로 갱신할 수도 있다.
즉 클래스 필기 데이터 저장부(130)에 저장된 클래스별 필기 데이터의 개수가 많아지면 그만큼 다양한 특징을 반영하여 정형화된 모델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사항을 고려하여 클래스 필기 데이터 저장부(130)는 동적으로 갱신 가능하도록 정형화된 클래스별 필기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특화 필체 생성부(150)는 클래스 필기 데이터 저장부(130)에 저장된 클래스별 필기 데이터를 기초로 개인 필기 데이터 수집부(110)를 통하여 입력받은 개인 필기 데이터를 분석하여 개인 필기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용자 특화 필체를 생성한다.
사용자 특화 필체 생성부(150)에 대해서는 이후 상세히 설명한다.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부(170)는 사용자 특화 필체 생성부(150)에서 생성한 사용자 특화 필체를 저장하며 필체 제공 요청에 따라서 저장된 사용자 특화 필체를 제공한다.
예컨대 특정 사용자가 인스턴트 메신저 등의 통신 프로그램을 사용할 때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부(170)에 자신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요청을 하면,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부(170)는 이에 대응하여 해당 사용자 특화 필체를 전송하게 된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자신만의 필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특정 사용자가 미니 웹페이지 또는 블로그 등의 커뮤니티 공간을 구성하는 경우 이러한 사용자 특화 필체를 기초로 구성한 사용자 특화 폰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부(170)는, 사용자 특화 필체를 기초로 사용자 특화 폰트를 생성하는 사용자 특화 폰트 생성부(도시되지 않음)와, 폰트 제공 사용자 요청에 따라서 사용자 특화 폰트를 제공하는 사용자 특화 폰트 제공부(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 특화 폰트를 사용자 특화 폰트 제공부 에 요청하고 이를 다운로드 받아서 개인화된 커뮤니티 공간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특화 폰트 제공부는 사용자 특화 필체로부터 사용자 특화 폰트를 만드는 것에 추가적으로 기존 폰트 전문업체의 폰트 디자인에 사용자 특화 필체를 조합하여 새로운 폰트 생성이 가능하다. 예컨대 기존 '윤명조' 폰트디자인에 '사용자 A 특화 필체'를 조합하여 '윤명조 사용자 A 폰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기존 폰트 디자인의 심미성, 가독성을 유지하면서 사용자 개인의 개성적인 필체를 추가할 수 있다.
이하 사용자 특화 필체 생성부(150)에 대해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특화 필체 생성부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시되듯이 본 발명에 따른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특화 필체 생성부(150)는, 개인 필기 데이터 모델링부(153)와, 클래스 모델 저장부(155)와, 사용자 특화 필체 합성부(157)를 포함한다.
개인 필기 데이터 모델링부(153)는 개인 필기 데이터 수집부(110)에서 입력받은 개인 필기 데이터에 대해서 사용자 종속형 모델링을 수행한다.
클래스 모델 저장부(155)는 클래스 필기 데이터 저장부(130)에 저장된 클래스별 필기 데이터에 대해서 사용자 독립형 모델링을 수행하여 모델링 결과를 미리 저장한다.
사용자 특화 필체 합성부(157)는 개인 필기 데이터 모델링부(153)의 사용자 종속형 모델링 결과와 클래스 모델 저장부(155)에 저장된 사용자 독립형 모델링 결과를 비교하여 사용자 특화 필체를 합성한다.
이러한 모델링과 이를 통한 사용자 특화 필체 합성에 대해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사용자 특화 필체 합성부(157)는 제한된 소수의 개인 필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특화 필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야 한다.
(i) 우선 각 개인의 필기는 임의성을 가진다는 점이다. 예컨대 종이에 필기하는 경우라면 사용하는 필기 도구, 예컨대 펜 또는 연필 등의 종류 또는 상태와 사용하는 종이의 재질 또는 개인의 피로도 또는 심지어 개인의 심리적 상태에 따라서도 필기 형태가 달라진다.
(ii) 또한 두 번째로 그라핌(grapheme)의 형태가 이웃한 그라핌의 형태에 따라서 변화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현상은 코아티큘레이션(coarticulation)이라 지칭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글리프와 그리핌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되듯이 영어의 단어, 한문의 각 글자, 한글의 낱자를 글리프(glyph)라고 하며, 그 구성 요소를 그라핌이라고 한다. 그라핌의 경우 예컨대 영어는 문자(letter), 한자는 부수(radical), 한글은 자모가 그라핌에 해당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코아티큘레이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되듯이 동일한 'r'자 또는 동일한 'ㄱ'자라고 하더라도 실제 개인의 필기의 경우에는 예컨대 'r' 자의 모양이 이웃한 알파벳에 따라 달라지거나, 'ㄱ' 자의 형태가 중성에 따라 달라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이러한 형태뿐만이 아니라, 예컨대 그라핌의 위치와 크기 또한 이웃한 그라핌에 따라서 영향을 방게 된다.
이러한 그라핌에 의한 영향을 코아티큘레이션이라고 지칭하며, 개인 필기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 특화 필체를 합성하는 경우에는 필기의 자연스러움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코아티큘레이션의 영향을 고려하여야 한다.
(iii) 또한 개인의 필기 특성의 정의 문제를 고려하여야 한다. 예컨대 문서 검정 분야에서는 그라핌의 배치, 수직/수평 기울임 정도, 여백 등 다양한 특성을 정의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문자의 전역적 형태, 예컨대 수직/수평 기울기는 중요한 개인 필기 특성 중에 하나이다. 따라서 이러한 필기 특성 역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iv)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에서는 종래에 비해서 적은 수의 개인 필기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 특화 필체를 합성하여야 한다는 점을 고려하여야 한다. 즉 종래의 경우 2,365자 또는 그 이상의 많은 개수의 개인 필기 데이터를 사용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에는 100 내지 200자의 제한된 개수의 개인 필기 데이터를 이용하므로 이에 따라서 최적의 모델링 및 이를 통한 사용자 특화 필체 합성이 수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특화 필체 생성부(150)는 다음과 같은 모델링을 수행한다.
우선 각 개인의 임의성에 대한 필기 변이는 통계적(statistical) 글리프 모델링을 통하여 최소화한다.
또한 코아티큘레이션은 그라핌 사이의 공간적 관계를 조건부 확률 분포로 모델링하여 최소화한다. 조건부 확률 분포는 그라핌의 인스턴스(instance)가 주어졌을 때 다른 그라핌의 분포를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그라핌 사이의 공간적 관계를 확률적으로 모델링하는 것에 의하여 나머지 글자 형태에 대한 우도(likelihood)를 표현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그라핌 사이의 공간적 관계를 조건부 확률 분포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되듯이 사용자에 의한 획(stroke drawn by user)이 주어지는 경우 이에 대한 가장 가능성 있는 획(most likely stroke)을 공분산(covariance)을 기초로 우도로서 표현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의 필기 특성을 나타내기 위하여 개인 필기 데이터의 글리프와 그라핌을 이용하여 필기 데이터의 전역적 모양(global appearance)을 파라미터로 표현하여 모델링한다.
또한 소수의 개인 필기 데이터를 통한 사용자 특화 필체 합성을 위해서 다른 글리프에 존재하는 그라핌들 사이에 상호 교환성을 정의하여 모델링하고, 합성에 사용할 그라핌 예시가 없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자모 형태를 사용하는 것으로 모델링한다.
이러한 특징을 기초로 하여 모델링 과정에 대해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그라핌 및 글리프에 대한 모델링은 정규화된 공간(normalized space)에서의 형태 모델링(shape modeling)과 바운딩박스(bounding box)들의 레이아웃 모델링(layout modeling)과 전역적 모양 모델링(global appearance modeling)으로 구성된다.
글리프 또는 그라핌의 형태는 정규화된 공간에서 점으로 구성된 획들의 집합으로서, 예컨대 점으로 표현된 획은 같은 그라핌의 다른 종류, 연결성, 시작/끝 획의 모양 등을 나타낸다.
레이아웃은 정규화된 공간에서 그라핌의 바운딩박스들로서, 그라핌의 배치, 크기, 그라핌 사이의 공간 등을 나타낸다.
전역적 모양은 필기 공간에서 글자의 위치, 크기, 기울기 등을 의미한다.
(1) 정규화된 공간에서의 형태 모델링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정규화된 공간에서의 형태 모델링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되듯이 글리프의 형태는 글리프(glyph), 그라핌(grapheme), 획(stroke), 점(point)의 계층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때, 점(point)은 2차원 상의 좌표를 나타 낸다. 따라서 글리프의 형태는 다음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점들의 집합으로 표현한다.
Figure 112006097627517-PAT00001
여기서 H는 글리프의 형태, G1, G2는 그라핌의 형태, S1 1, S1 2, S2 1, S2 2는 획의 형태, Q1 11 내지 Q1 1L, Q2 21 내지 Q2 2L은 점의 형태를 나타낸다.
또한 그라핌의 코아티큘레이션은 획 사이의 공간적 관계들로 구체화 가능하다. 예컨대 한글의 경우 초성이 변함에 따라 중성의 형태가 달라지는데, 특히, 중성 수직 획의 길이 및 위치가 초성의 모양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초성의 모양에 따른 중성 수직 획의 길이 및 위치 변화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되듯이 초성 'ㄱ' 획의 형태가 다양함에 따라 중성 'ㅗ' 획의 형태가 달라지기 때문에, 중성 'ㅗ' 획은 초성 'ㄱ' 획에 종속된다. 즉, 중성의 코아티큘레이션은 중성의 획들이 초성의 획들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영향력을 조건부 확률 분포로 표현하였다. 즉 본 발명에서는 글리프의 계층 표현에 의해 획의 조건부 확률 분포는 글리프의 형태 분포로 부터 유도되고, 글리프의 형태는 그라핌의 결합 확률 분포로 부터 발생된다고 가정할 수 있다. 또한 그라핌의 조건부 확률 분포는 획의 조건부 확률 분포의 곱으로 분해되며, 획의 조건부 확률 분포는 점의 조건부 확률 분포의 곱으로 분해된다. 궁극적으로 각 점의 조건부 확률 분포를 이용하여 점들 사이의 공간적 관계를 표현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조건부 확률 분포는 다음 수학식 2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6097627517-PAT00002
Figure 112006097627517-PAT00003
여기서 p(X)는 X의 조건부 확률 분포, H는 글리프의 형태, Gi는 그라핌의 형태, Si j는 획의 형태, Qi jl 은 점의 형태를 나타내고, C(X)는 X의 종속 변수이다.
(2) 바운딩박스들의 레이아웃 모델링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바운딩박스들의 레이아웃 모델링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는 글리프의 레이아웃을 점으로 구성된 그라핌의 바운딩박스로 표현하였다. 이것은 글리프의 레이아웃을 글리프, 그라핌, 바운딩박스, 점의 계층 구조로 표현할 수 있기 때문이며 결과적으로 글리프의 레이아웃은 점들의 집합으로 표현된다.
이러한 레이아웃 모델링은 다음 수학식 3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6097627517-PAT00004
여기서 H는 글리프의 형태, G1, G2는 그라핌의 형태, B1, B2는 바운딩박스, P1 1, P2 1, P1 2, P2 2는 점을 나타낸다.
그라핌의 코아티큘레이션은 바운딩박스들 사이의 공간적 관계들로 구체화된다. 예컨대 한글의 경우 초성의 크기가 변함에 따라 중성, 종성의 크기가 달라진다.
예컨대 도 6의 "묵"글자에 대한 바운딩박스를 고려하면, 초성 'ㅁ'의 위치와 크기가 다양함에 따라 중성 'ㅜ'와 종성 'ㄱ'의 위치와 크기가 달라지기 때문에, 중성 'ㅜ'와 종성 'ㄱ'의 바운딩박스는 초성 'ㅁ'의 바운딩박스에 종속된다. 즉, 중성과 종성의 코아티큘레이션은 중성과 종성의 바운딩박스들이 초성의 바운딩박스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영향을 조건부 확률 분포로 표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초성에 따른 중성 또는 종성의 바운딩박스의 변이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본 발명에서 바운딩박스의 조건부 확률 분포는 글리프의 레이아웃 분포로부터 유도되며, 그 레이아웃은 그라핌의 결합 확률 분포로부터 발생된다고 할 수 있다. 결합 확률 분포는 체인 규칙(chain rule)과 전형적인 필기 순서를 이용하여 다음 수학식 4와 같이 여러 개의 조건부 확률 분포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6097627517-PAT00005
Figure 112006097627517-PAT00006
여기서 글리프의 형태 분포의 경우와 구분하기 위해 조건부 확률에 PB()라고 표현하였다. 궁극적으로 바운딩박스의 조건부 확률 분포는 수학식 4에 표시되듯이 점들의 조건부 확률 분포로 분해된다.
(3) 전역적 모양 모델링
필기된 글리프의 전역적 모양은 필기 공간에서 크기, 수직/수평 기울기, 회전 등의 정보를 공유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필기에서 나타나는 전역적 모양은 정규화된 공간에서 확률적 형태로 표현된 글리프 모델이 주어진 샘플을 만들기 위해 선형적으로 변환되는 관계라고 가정한다.
이때, 변환을 위한 파라미터 값은 주어진 개인 필기 데이터 내의 점들과 글리프 모델의 최유사점(most likely points)으로부터 추정될 수 있다.
추정된 파라미터 값을 일반적인 글리프 모델에 적용하게 되면 특정 사용자 필기의 전역적 모양을 표현하는 글리프 모델을 구성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이러한 전역적 모양을 표현하는 글리프 모델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러한 모델링을 기초로 한 사용자 특화 필체 합성부(157)의 사용자 특화 필체의 합성에 대해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i)우선 합성하려는 글리프가 개인 필기 데이터 수집부(110)에서 수집한 개인 필기 데이터에 존재하는 경우 이를 기초로 글리프의 형태, 레이아웃, 전역적 모양들이 전술한 글리프 모델링에 의해서 추정되고, 추정된 분포에서 최우선 인스턴스(most likely instance)를 생성한다.
(ii)또한 합성하려는 글리프가 개인 필기 데이터 수집부(110)에서 수집한 개 인 필기 데이터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개인 필기 데이터의 다른 글리프에서 합성하려는 글리프의 그라핌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 이 경우 다른 글리프에서 합성하려는 글리프의 그라핌이 존재하는 경우라면 해당 그라핌을 재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코아티큘레이션을 고려하여 그라핌을 선택하여야 하며, 이러한 코아티큘레이션을 고려한 그라핌 선택의 기준을 이하 상호 교환성(interchangeability)이라고 지칭한다.
(iii) 또한 합성하려는 글리프의 그라핌이 개인 필기 데이터 수집부(110)에서 수집한 개인 필기 데이터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글리프 모델에서 그 형태를 예측한다. 이러한 예측은 이전 단계에서 합성한 그라핌이 주어지는 경우 변화된 글리프 모델을 생성하고 이 모델을 통하여 최우선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것에 의해서 수행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한글 자모가 주어진 경우의 최우선 인스턴스 생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되듯이, '조', '고'자에서는 초성 획들의 위치에 따라 중성의 형태가 바뀌고, 초성이나 중성 획의 방향에 따라 나머지 자모의 방향도 영향을 받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글리프 모델에서 사용자 특화 필체를 합성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유사한 글리프와 그라핌은 다른 글리프의 그라핌과 상호 교환이 가능하다.
예컨대 한글의 경우 '교'자와 '고'자의 초성 'ㄱ'은 상호교환 가능하지만 '고'자와 '가'자의 초성 'ㄱ'은 교환성이 떨어진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상호 교환성은 개인 필기의 특성을 고려해야 할 경우도 있다. 즉 각 개인에 따라서 일반적인 상호교환성과는 다른 결과가 도출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상호교환성은 그라핌 형태의 유사성으로 도출 가능하다. 즉 주어진 그라핌의 조건부 확률 분포의 거리로 측정이 가능하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호 교환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되듯이 '조'의 중성을 미리 모델링되어있는 '소'나 '고'에서 추론해야 할 때, '조'와 '소'에서 초성이 주어졌을 때 중성의 분포 유사성을 측정하고, '조'와 '고'에서 초성이 주어졌을 때 중성의 분포 유사성을 측정함으로써 'ㅗ'의 상호교환성을 비교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호교환성을 기초로 사용자 특화 필체의 합성이 가능하다.
한편 이러한 과정을 통한 사용자 특화 필체 합성에 대해서 예시적인 결과 및 이에 대한 검증은 다음과 같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실제 사용자 필기와 사용자 특화 필체 합성 결과를 대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에서 사용자가 실제로 필기한 데이터(True)와, 본 발명에 따른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에서 합성된 결과(Synth.)가 대비되어 도시된다.
이 경우 합성 결과에서 "Seen"으로 표시되는 부분은 사용자가 개인 필기 데 이터를 통하여 제공한 그라핌을 기초로 최우선 인스턴스에 변이를 주어 생성한 것이고, "Unseen"은 모델링을 기초로 합성된 결과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특화 필체 합성에 대해서 합성 조건을 기초로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에서 각각의 합성된 필기는 다른 글자의 그라핌들로 구성되는데, 모양을 가져온 경우는 S, 바운딩박스를 가져온 경우는 L로 시작되고, 초성, 중성, 종성은 각각 FC, VW, LC로 표현하였다. 세 번째 '란'의 경우 중성과, 종성 모두 '안', 과 '한' 에서 모양과 바운딩박스를 가져왔음을 알 수 있다. '를'의 경우에도 '는', '을', '릎'과 같이 유사한 구조의 글자 자모로 합성되었다.
이 경우 '받'자의 경우에는, 초성은, '부', 중성은 '박', 종성은 '묻'의 형태를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필기와 유사함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 폰트 제조 업체의 입장에서는 사용자 특화 필체 생성의 자동화에 따라서 이를 기초로 한 사용자 특화 폰트 제작 비용, 제작 시간과 작업량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자신만의 필체를 생성하고 이를 통하여 개인화 폰트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개성이 강한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폰트 제작 과정이 2,350자 정도의 실제 필기 데이터를 기초로 폰트 생성을 수행한 반면, 본 발명에 따르면 소수의 샘플 필기 데이터를 기초로 특징 분석을 통하여 사용자 특화 필체 생성 및 이를 통한 개인화 폰트 제공이 가능하다.
비록 본 발명의 구성이 구체적으로 설명되었지만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로부터의 소수의 필기 데이터를 제공받아서 사용자 특화 필체를 생성하여 커뮤니케이션 또는 커뮤니티 공간에 제공 가능하며 이러한 사용자의 필기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 특화 필체 생성을 위한 기초 자료를 갱신하여 효율적인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이 가능하며 폰트 제작에 대한 전문지식이 없는 일반인들도 짧은 시간에 편리하게 개인에 특화된 사용자 특화 폰트의 생성이 가능하다.

Claims (15)

  1. 개인 필기 데이터를 입력받는 개인 필기 데이터 수집부와,
    정형화된 클래스별 필기 데이터를 저장하는 클래스 필기 데이터 저장부와,
    상기 클래스별 필기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개인 필기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개인 필기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용자 특화 필체를 생성하는 사용자 특화 필체 생성부와,
    생성된 상기 사용자 특화 필체를 저장하며 필체 제공 요청에 따라서 상기 사용자 특화 필체를 제공하는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부
    를 포함하는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필기 데이터 수집부는,
    상기 개인 필기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필기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와,
    상기 필기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상기 개인 필기 데이터를 획득하는 개인 필기 데이터 획득부
    를 포함하는 것인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필기 데이터 획득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응하여 전자적 필기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입력 되는 상기 개인 필기 데이터를 획득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응하여 이미지 형태로 전송되는 상기 개인 필기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인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래스 필기 데이터 저장부는,
    상기 개인 필기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정형화된 클래스별 필기 데이터를 동적으로 갱신하는 것인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특화 필체 생성부는,
    상기 개인 필기 데이터에 대해서 사용자 종속형 모델링을 수행하는 개인 필기 데이터 모델링부와,
    상기 클래스별 필기 데이터에 대해서 사용자 독립형 모델링을 수행하여 모델링 결과를 미리 저장하는 클래스 모델 저장부와,
    상기 사용자 종속형 모델링 결과와 상기 사용자 독립형 모델링 결과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특화 필체를 합성하는 사용자 특화 필체 합성부
    를 포함하는 것인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종속형 모델링 또는 상기 사용자 독립형 모델링은 임의성을 고려한 통계적 글리프 모델링을 기초로 수행되는 것인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종속형 모델링 또는 상기 사용자 독립형 모델링은 그라핌 사이의 공간적 관계를 조건부 확률 분포를 기초로 수행되는 것인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종속형 모델링 또는 상기 사용자 독립형 모델링은 그라핌에 대해서 바운딩박스들의 레이아웃 모델링을 기초로 수행되는 것인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종속형 모델링 또는 상기 사용자 독립형 모델링은 글리프의 전역적 모양 모델링을 기초로 수행되는 것인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종속형 모델링 또는 상기 사용자 독립형 모델링은 코아티큘레이션을 고려하여 수행되는 것인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
  11. 제5항 내지 제10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특화 필체 합성부는,
    합성하고자 하는 상기 사용자 특화 필체의 글리프가 상기 개인 필기 데이터 수집부에서 수집한 상기 개인 필기 데이터 내에 존재하는 경우 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종속형 모델링 결과와 상기 사용자 독립형 모델링 결과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특화 필체의 최우선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것인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
  12. 제5항 내지 제10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특화 필체 합성부는,
    합성하고자 하는 상기 사용자 특화 필체의 글리프의 그라핌이 상기 개인 필기 데이터 수집부에서 수집한 상기 개인 필기 데이터 내에 존재하는 경우 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종속형 모델링 결과와 상기 사용자 독립형 모델링 결과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특화 필체의 최우선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것인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
  13. 제5항 내지 제10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특화 필체 합성부는,
    합성하고자 하는 상기 사용자 특화 필체의 글리프의 그라핌이 상기 개인 필 기 데이터 수집부에서 수집한 상기 개인 필기 데이터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종속형 모델링 또는 상기 사용자 독립형 모델링을 통하여 상기 글리프를 예측하고 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종속형 모델링 결과와 상기 사용자 독립형 모델링 결과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특화 필체의 최우선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것인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
  14. 제5항 내지 제10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특화 필체 합성부는, 상호교환성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 특화 필체의 최우선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것인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특화 필체를 기초로 사용자 특화 폰트를 생성하는 사용자 특화 폰트 생성부와,
    폰트 제공 사용자 요청에 따라서 상기 사용자 특화 폰트를 제공하는 사용자 특화 폰트 제공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
KR1020060136382A 2006-12-28 2006-12-28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 KR100856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6382A KR100856775B1 (ko) 2006-12-28 2006-12-28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6382A KR100856775B1 (ko) 2006-12-28 2006-12-28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1217A true KR20080071217A (ko) 2008-08-04
KR100856775B1 KR100856775B1 (ko) 2008-09-05

Family

ID=39882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6382A KR100856775B1 (ko) 2006-12-28 2006-12-28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677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0732B1 (ko) * 2012-06-04 2014-01-14 한국과학기술원 변형체의 실시간 시뮬레이션을 위한 다해상도 무요소법
KR20150021357A (ko) * 2013-08-20 2015-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필기 인식기반 폰트 미려화 방법 및 그 장치
CN109739864A (zh) * 2019-01-24 2019-05-10 易保互联医疗信息科技(北京)有限公司 人社数据采集及共享方法、计算机存储介质及计算机设备
KR20210056663A (ko) * 2019-11-11 2021-05-20 주식회사 윤디자인그룹 사용자 맞춤형 폰트의 생성에 이용되는 시트, 사용자 맞춤형 폰트를 생성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3663A (ja) * 1997-06-05 1998-12-18 Hitachi Ltd 文字フォント作成装置及び文字フォント作成方法
KR20000036448A (ko) * 2000-03-14 2000-07-05 박정목 사용자 서체 구현 장치
JP2003233825A (ja) * 2002-02-06 2003-08-22 Victor Co Of Japan Ltd 文書処理装置
KR20040091856A (ko) * 2003-04-22 2004-1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수기입력을 이용한 폰트 설정 방법 및 시스템
KR100551557B1 (ko) * 2003-07-21 2006-02-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를 이용한 친필 메시지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0732B1 (ko) * 2012-06-04 2014-01-14 한국과학기술원 변형체의 실시간 시뮬레이션을 위한 다해상도 무요소법
KR20150021357A (ko) * 2013-08-20 2015-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필기 인식기반 폰트 미려화 방법 및 그 장치
CN109739864A (zh) * 2019-01-24 2019-05-10 易保互联医疗信息科技(北京)有限公司 人社数据采集及共享方法、计算机存储介质及计算机设备
CN109739864B (zh) * 2019-01-24 2021-03-23 易保互联医疗信息科技(北京)有限公司 人社数据采集及共享方法、计算机存储介质及计算机设备
KR20210056663A (ko) * 2019-11-11 2021-05-20 주식회사 윤디자인그룹 사용자 맞춤형 폰트의 생성에 이용되는 시트, 사용자 맞춤형 폰트를 생성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6775B1 (ko) 2008-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36769B (zh) 用户书写风格字体生成的方法和装置
Qian et al. Retrieve-then-adapt: Example-based automatic generation for proportion-related infographics
US20120001922A1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nd sharing personalized fonts on a client/server architecture
US20120001921A1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managing, sharing and displaying personalized fonts on a client-server architecture
KR20150082097A (ko) 클라우드 기반 폰트 서비스 시스템
CN109426658A (zh) 使用基于文本分析的智能特征建议进行文档美化
JP2019028094A (ja) 文字生成装置、プログラム及び文字出力装置
KR100856775B1 (ko) 필기 데이터 기반 사용자 특화 필체 제공 시스템
CN103914503A (zh) 产生个人化手写字体的系统及其方法
KR20080094850A (ko) 폰트들의 스케일링 장치
CN111161266B (zh) 一种基于矢量量化的变分自编码机的多风格字体生成方法
KR101229164B1 (ko) 네트워크를 통한 개인폰트 생성 방법 및 폰트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
JP2008146637A (ja) ドメイン変換言語
Martins et al. Evotype: towards the evolution of type stencils
WO2010084207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a text with a font
Fouladi et al. Toward automatic development of handwritten personal Farsi/Arabic OpenType® fonts
Byun et al. A design scheme of combined syllable fonts for Hunminjeongeum
KR102313056B1 (ko) 사용자 맞춤형 폰트의 생성에 이용되는 시트, 사용자 맞춤형 폰트를 생성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Guo et al. NaXi Pictographs Input Method and WEFT.
Duan et al. User’s Individual Needs Oriented Parametric Design Method of Chinese Fonts
JP6968353B2 (ja) 特徴抽出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Hsieh et al. An Expressive Chat Room with Personalized Fonts Mimicking Actual Inconsistencies in Human Handwriting
Dürst Prolog for structured character description and font design
Schneider DaType: a stroke-based typeface design system
Akila Overview of multimedia file formats & survey of multimedia based data mi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