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9669A - 장갑차 - Google Patents

장갑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9669A
KR20080069669A KR1020087013287A KR20087013287A KR20080069669A KR 20080069669 A KR20080069669 A KR 20080069669A KR 1020087013287 A KR1020087013287 A KR 1020087013287A KR 20087013287 A KR20087013287 A KR 20087013287A KR 20080069669 A KR20080069669 A KR 200800696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cell
vehicle
armored vehicle
cell
support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3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프랭크 헤즈
에이텔 루노
Original Assignee
라인메탈 랜드시스템 게엠바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인메탈 랜드시스템 게엠바하 filed Critical 라인메탈 랜드시스템 게엠바하
Publication of KR20080069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96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7/00Armoured or armed vehicles
    • F41H7/02Land vehicles with enclosing armour, e.g. tanks
    • F41H7/04Armou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7/00Armoured or armed vehicles
    • F41H7/02Land vehicles with enclosing armour, e.g. tanks
    • F41H7/04Armour construction
    • F41H7/048Vehicles having separate armoured compartments, e.g. modular armoured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승무원을 수용하는 안전 셀(2)(safety cell)을 갖춘 장갑차(1)에 관한 것으로서, 이 경우 상기 안전 셀(2)은 차량(1)의 지지 구조물(3) 안에 지지가 되어 있고, 이때 상기 안전 셀(2)의 지붕 측 전방 및 후방에는 돌출하는 포켓(12)이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포켓은 아래로 개방되어 있고, 변형 가능한 소자를 통해 차량(1)의 지지 구조물(3) 상에 놓여 있으며, 실질적으로는 육각형의 횡단면을 갖는다. 이 경우 상기 안전 셀의 지붕 측 및 바닥 측의 벽(8, 9)은 상기 안전 셀(2)의 내부 공간(7)이 승무원을 위해 이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실질적으로 수평의 프로파일을 갖는 한편, 상기 안전 셀의 측벽(4, 5)은 외부로 가면서 점차 좁아지는 쐐기 모양의 프로파일을 가지며, 이 경우 상기 쐐기 각(α)은 바람직하게 대략 90°다.

Description

장갑차 {ARMOURED VEHICLE}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기술된 특징들을 갖는, 차량 승무원을 수용하기 위한 안전 셀을 구비한 장갑차에 관한 것이다.
보호된 차량의 문제점은, 위협의 수준이 높아질수록 보호 장비가 그만큼 더 무거워지기 때문에, 전체 중량이 지나치게 높아진다는 것이다. 활용 용적 및 보호 수준에 따라 보호된 차량의 무게는 30 - 50 t이다. 최대 20 t까지의 평균적인 무게의 휠 차량은 중량의 문제 때문에 최고 수준의 보호 장비가 장착될 수 없다. 이와 같은 상황은 바람직하지 않은 절충안을 야기하게 된다. 그 경우 다양한 종류의 휠 차량의 보호 수준은 뛰어나지 못하며, 예를 들어 폭탄에 대하여 우수한 보호 능력을 갖기는 하지만 단지 평균적인 탄도학적 보호 수준에 불과하다.
새로운 시나리오(scenarios)와 관련하여, 휠 차량은 장갑-휴대 병기 또는 폭발물 공격에 의해서 점점 더 많은 위협을 받게 된다. 이와 같은 상황은 반응성 장갑 장비에 이르기까지 매우 무거운 보호 장치를 필요로 하게 되고, 그럼으로써 중량의 문제점도 증가하게 된다. 요구되는 공기 부하 가능성은 종종 보호 장비 자체가 차량으로부터 해체 가능함으로써 만들어진다.
DE 10 2004 006 819 A1호에는 다수의 주요 부품들로 구성되는 장갑차가 공지 되어 있다. 안전 셀이 차량의 지지 구조물 안에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지뢰 폭발시에 발생하여 아래로부터 차량의 안전 셀에 작용하는 충격파는 차량 내부에 있는 사람에 대하여 감쇠(damping) 된다.
지뢰 작용에 대항하는 보호 장비를 구비한 차량은 DE 10 2004 026 237 A1호도 개시하고 있다. 상기 간행물에서는 바닥 영역에 v자 모양으로 형성되었거나 뾰족하게 형성된 안전 셀이 기술된다. 상기 실시예와 관련된 도면은 이중 벽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Jane's International Defence Review, 2005년 9월 호의 92 페이지에서는 차량의 다양한 모듈이 도시되어 있는 장갑차의 분해도를 볼 수 있다. 상기 간행물에서는, 차량 또는 군사용 모듈의 바닥 영역의 V자 형상이 분사형 폭탄의 작용을 더 우수하게 줄여준다는 내용이 기술되고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특별히 중량 소모적인 추가의 장갑 장비 없이도 폭탄으로부터 뿐만 아니라 측벽에 작용하는 폭약 장전의 충격파 또는 탄도학적 탄환의 충격파로부터 차량의 안전 셀 내부에 있는 승무원을 충분히 보호해줄 수 있는 바람직하게는 장갑차, 예를 들어 평균 중량의 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에 따른 청구항 1의 특징들에 의해서 해결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추가의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에서 개시된다.
본 발명은 벌집 모양의 횡단면 형상에 의해 안전 셀의 최적의 형상이 만들어진다는 사실을 기초로 한다. 이와 같은 형상, 다시 말해 실질적으로 육각형의 횡단면은 상기 Jane's 논문에도 이미 기술되어 있다. 상기 간행물에서 안전 셀의 지붕 측 및 바닥 측의 벽은 실질적으로 수평의 프로파일을 갖는 한편, 상기 안전 셀의 측벽은 외부로 가면서 점차 좁아지는 쐐기 모양의 프로파일을 갖는다. 상기 쐐기 각은 바람직하게 90°다. 안전 셀을 차량의 지지 구조물 내부에 간단한 방식으로 고정할 수 있기 위하여, 상기 안전 셀은 전방 및 후방 지붕에 돌출하는 포켓을 구비하며, 상기 포켓은 아래로 개방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변형 가능한 소자를 통해 차량의 지지 구조물 상에 놓여 있다.
그럼으로써, 안전 셀의 지붕은 셀 자체보다 더 길어진다. 셀을 배치하기 위하여 지지점을 멀리 외부로 옮김으로써, 지지 구조물의 암은 상기 셀의 지붕과 마찬가지로 폭이 넓어진다. 연장된 지붕을 보강하기 위하여 또한 셀은 수직으로 또는 비스듬하게 배치된, 나중에 상기 지지 구조물의 암 위로 돌출할 수 있는 금속 시트(metal sheet) 등으로 보완된다. 이와 같은 구조적인 형상에 의해 소위 포켓 또는 귀 모양의 부분이 형성된다. 지지 구조물과 안전 셀 사이의 파워 흐름 프로파일을 최적으로 적응시키기 위하여, 상기 포켓들은 바람직하게 상기 안전 셀의 측벽 안으로 비스듬하게 삽입되는 금속 시트를 통해 연결된다. 추가로, 다른 핀칭- 또는 휨 소자 및 포켓을 날씨-, 시선- 및 ABC-보호된 상태로 배열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럼으로써 추가의 장점, 즉 귀 모양의 부분에 의해 셀 지붕의 측면에 만들어진 영역이 환기 개구로서 이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나타난다.
전체 안전 셀의 벌집 모양 횡단면에 의해서는 또한 아래로부터의 그리고 측면으로부터의 충격파 작용이 이상적으로 유도될 뿐만 아니라, 상기 안전 셀의 특히 단단한 자체 지지 방식의 구조물도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내용을 근거로 하여, 폭탄 보호를 최적화하기 위해 예컨대 도어 및 관리용 덧문(shutter)과 같은 모든 개구들은 안전 셀의 상부 영역에, 즉 특히 분사형 폭탄의 작용에 노출되지 않는 영역에 놓이게 된다.
그밖에, 안전 셀을 지지 구조물 안에 공간 절약 방식으로 견고하게 지지하는 것과 관련해서, 상기 지지 구조물은 차량의 바닥 쪽을 향하고 있는, 점차 좁아지는 쐐기 모양의 프로파일을 가지며, 이와 같은 쐐기 모양의 프로파일은 상기 안전 셀의 기울어진 측벽의 하부 영역에 맞추어 조정되어 있다.
안전 셀의 최적화된 형상에 추가하여, 상기 안전 셀은 인간 환경 공학적인 최소값을 유지하는 가운데 가급적 작게 선택된다. 그럼으로써, 차량의 전체 중량이 사전에 결정된 바와 같이 최대인 경우에는 고도의 폭탄 보호 작용, 폭발물 공격에 대한 보호 그리고 탄도학적 탄환에 대한 보호와 연관된 중량을 위해 가급적 최대의 틈(play)이 나타난다.
안전 셀의 승무원을 외부로부터 최상으로 보호하기 위해서는, 측벽의 외측에 탄도학적인 보호부를 제공하고, 지지 구조물의 외측에 폭탄 보호용 플레이트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증명되었다.
그밖에, 안전 셀의 하부 영역에서 내측에는 절연부 및 분열 방지용-라이너(liner)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절연부 및 분열-방지용 라이너는 위협적인 2차 분열 작용을 줄여준다.
승무원이 지붕에 충돌하는 위험을 막기 위하여, 안전 셀의 지붕에는 특수한 보호부가 추가로 더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세부 사항 및 장점들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아래의 실시예들에서 나타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셀을 구비한 휠 장갑차의 사시도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안전 셀의 사시도고;
도 3은 외측 및 내측에 보호용 부재가 추가로 배치된 도 2에 도시된 안전 셀의 사시도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지지 구조물에 의해서 수용되는 도 2에 도시된 안전 셀의 사시도고;
도 5는 안전 셀의 돌출하는 포켓을 도시한 정면도며;
도 6은 포켓의 측면도다.
도 1에는 차량 승무원을 수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셀(2)을 포함하는 휠 장갑차가 도면 부호 (1)로 표기되어 있다. 안전 셀(2)은 셀 및 지지 구조물로 구성된 메인 구성 부품의 한 조립 부품이다. 상기 메인 구성 부품은 엔진 구성 부품 및 축 구성 부품과 하나의 차량으로 조합되고, 차량(1)의 지지 구조물(3)(도 4) 안에 지지가 되어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안전 셀(2)의 크기는, 승무원이 1인의 운전자, 1인의 동승자 및 4인의 다른 탑승자들로 구성될 수 있도록 선택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셀(2)은 바람직하게 실질적으로 육각형의 횡단면을 갖 는다(도 2). 이 경우에는 측벽(4, 5)이 안전 셀(2)의 대략 절반 높이의 벨트 라인(6) 위에서 그리고 아래에서 약 45°의 반대 방향 기울기(β)를 가짐으로써, 결과적으로 안전 셀(2)의 두 개의 측벽(4, 5)은 외부로 가면서 점차 좁아지는, 약 90°의 쐐기 각(α) 값을 갖는 쐐기 모양의 프로파일을 갖게 된다. 기본적으로 하나의 각(β)은 30°와 45° 사이에서 이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쐐기 각(α)의 값은 증가한다.
승무원이 안전 셀(2)의 내부 공간(7)을 충분히 잘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안전 셀(2)의 지붕 측 및 바닥 측 벽(8, 9)은 바람직하게 실질적으로 수평의 프로파일을 갖는다. 그와 달리 정면 측 및 후미 측 벽(10, 11)은 상기 안전 셀(2)을 수용하는 지지 구조물(3)과 함께 기울어진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그밖에, 지지 구조물(3)은 차량(1)의 바닥(18) 쪽을 향하는, 점차 좁아지는 쐐기 모양의 프로파일을 가지며, 이와 같은 프로파일은 상기 안전 셀(2)의 기울어진 측벽(4, 5)의 하부 영역(4', 5')에 맞추어 조정되어 있다.
폭탄에 대한 최적의 보호를 보장하기 위하여, 내부 공간(7)으로 들어가기 위한 모든 도어 개구(13)는 안전 셀(2)의 상부 영역에 있다.
안전 셀(2)의 벽(4, 5 및 8-11)은 바람직한 방식으로 장갑용 강철로 이루어진다.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두 개의 측벽(4, 5)은 또한 외측에 탄도학적인 보호부(14)를 구비하고 있다. 그밖에, 안전 셀(2)을 수용하는 지지 구조물(3)은 외측에 폭탄 보호부(1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안전 셀(2)의 측벽(4, 5)에서 내측에는 라이너(중간 벽)(16) 및 절연부(17)가 각각 하나씩 존재한다.
지지 구조물(3) 안에 고정하기 위하여(도 4), 안전 셀(2)은 전방 및 후방에서 지붕 측 벽(8)에 돌출하는 포켓(12)(도 2 참조요)을 구비하며, 상기 포켓은 아래로 개방되어 있고, 지지 구조물(3) 상에 놓여 있으며, 그로 인해 안전 셀(2)(도 2)은 지지 구조물(3) 안에 고정될 수 있다.
안전 셀(2)이 전방 및 후방 지붕 영역에서는 지지 구조물(3)(도 6)의 가로로 진행하는 암(19) 상에 올려져 있기 때문에, 상기 안전 셀(2)의 지붕(8)은 안전 셀(2) 자체보다 더 길게 구현되었다. 지지 구조물(3)의 암(19)은 바람직하게 안전 셀(2)의 지붕(8)과 동일한 폭을 갖는다. 추가의 보강부는 예를 들어 측면 금속 시트(20)(도 6)에 의해서 수직으로 또는 비스듬하게 배치된 상태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포켓들(12)이 안전 셀(2)의 측벽 안으로 비스듬하게 삽입되는 금속 시트(21)를 통해 연결되면, 지지 구조물(3)과 안전 셀(2) 사이에서 형성되는 파워 흐름의 프로파일도 적절하게 맞추어 조정될 수 있다.
상기 포켓(12) 또는 귀 모양의 부분에 의해서는, 측면에서 셀 지붕에 보호된 영역(22)이 형성되고, 상기 영역은 환기 개구 또는 그와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로서 이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틀 안에서 볼 때, 메인 구성 부품 또는 셀 등이 돌출하는 포켓(12) 등에 의해 차량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는 것 그리고 차량의 지지 구조물이 개별적으로 적응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휠 차량, 차량 2: 안전 셀
3: 지지 구조물 4, 5: 측벽
4', 5': 하부 영역 6: 벨트 라인
7: 내부 공간 8: (지붕 측) 벽
9: (바닥 측) 벽 10: (정면 측) 벽
11: (후미 측) 벽 12: 포켓 (귀 모양의 부분)
13: 도어 개구, 개구 14: 탄도학적인 보호부
15: 폭탄 보호부 16: 중간 벽
17: 절연부 18: 바닥
19: 지지 구조물의 암 20, 21: 금속 시트
22: 보호된 영역
α: 쐐기 각 β: 바닥 측 벽의 경사각

Claims (11)

  1. 차량(1) 승무원을 수용하는 안전 셀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안전 셀(2)이 차량(1)의 지지 구조물(3) 안에 탄성적으로 지지가 되어 있는 장갑차에 있어서,
    상기 안전 셀(2)은 지붕 측에서 전방 및 후방에 돌출하는 포켓(12)을 구비하며, 상기 포켓은 아래로 개방되어 있고, 변형 가능한 소자를 통해 차량(1)의 지지 구조물(3) 상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셀(2)은 전방 및 후방 지붕 영역에서 상기 지지 구조물(3)의 가로로 진행하는 암(19) 상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차.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물(3)의 암(19)은 상기 안전 셀(2)의 지붕(8)과 동일한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차.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의 보강부는 측면 금속 시트(20)에 의해서 수직으로 또는 비스듬하게 배치된 상태로 제작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차.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들(12)은 안전 셀(2)의 측벽 안으로 비스듬하게 삽입되는 금속 시트(21)를 통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차.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셀(2)은 육각형의 횡단면을 가지며, 이 경우 상기 안전 셀(2)의 지붕 측 및 바닥 측 벽(8, 9)은 실질적으로 수평의 프로파일을 갖고, 측벽(4, 5)은 외부로 가면서 점차 좁아지는 쐐기 모양의 프로파일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차.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 모양의 프로파일은 45°와 30° 사이에 놓일 수 있는 기울기(β)에 의해서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차.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물(3)은 차량(1)의 바닥(18) 쪽을 향하고 있는, 점차 좁아지는 쐐기 모양의 프로파일을 가지며, 상기 프로파일은 상기 안전 셀(2)의 기울어진 측벽(4, 5)의 하부 영역(4', 5')에 맞추어 조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차.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셀(2)의 측벽(4, 5)은 외측에 탄도학적인 보호부(1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차.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셀(2)을 수용하는 지지 구조물(3)의 외측에는 폭탄 보호물(15)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차.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셀(2) 안으로 들어가기 위한 그리고/또는 상기 안전 셀을 관리하기 위한, 도어 또는 덧문에 의해서 폐쇄될 수 있는 개구(13)는 상기 측벽(4, 5) 영역에서 벨트 라인(6)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차.
KR1020087013287A 2005-11-18 2006-11-14 장갑차 KR2008006966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55500 2005-11-18
DE102005055500.4 2005-11-18
DE102006051870A DE102006051870A1 (de) 2005-11-18 2006-10-31 Gepanzertes Fahrzeug
DE102006051870.5 2006-10-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9669A true KR20080069669A (ko) 2008-07-28

Family

ID=37697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3287A KR20080069669A (ko) 2005-11-18 2006-11-14 장갑차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1966564B1 (ko)
KR (1) KR20080069669A (ko)
AT (1) ATE428903T1 (ko)
AU (1) AU2006314744B2 (ko)
CA (1) CA2630221C (ko)
DE (2) DE102006051870A1 (ko)
ES (1) ES2324629T3 (ko)
PL (1) PL1966564T3 (ko)
RU (1) RU2008124829A (ko)
WO (1) WO200705715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5358A (ko) 2019-11-07 2021-05-17 케이알씨 주식회사 군수차량 타이어 보호 및 승하차 발디딤용 휠캡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05703B2 (en) * 2008-12-29 2012-06-26 Hal-Tech Limited Deformable modular armored combat system
IL198017A (en) 2009-04-05 2015-02-26 Rafael Advanced Defense Sys Means and method of protecting a fighter cell in a wheeled vehicle against explosives
DE102009029910B4 (de) 2009-06-19 2012-01-05 Rheinmetall Landsysteme Gmbh Fahrzeug, insbesondere gepanzertes Fahrzeug mit einer die Besatzung des Fahrzeuges aufnehmenden Sicherheitszelle
GB2480081B (en) * 2010-05-05 2014-10-29 Np Aerospace Ltd Vehicle
DE102011000974A1 (de) 2011-02-28 2012-08-30 Krauss-Maffei Wegmann Gmbh & Co. Kg Fahrzeug, insbesondere militärisches Fahrzeug
DE102016102994A1 (de) 2016-02-19 2017-08-24 Rheinmetall Landsysteme Gmbh Vorrichtung und System zur Energieabsorption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32026C (ko) *
FR1169351A (fr) * 1959-02-18 1958-12-26 Lorraine Anciens Ets Dietrich Véhicule, en particulier véhicule de police ou militaire
LU58473A1 (ko) * 1969-04-23 1969-07-22
DE2134859A1 (de) * 1971-07-13 1973-02-01 Erich Schulz Gepanzertes gelaendefahrzeug
FR2285591A1 (fr) * 1974-09-20 1976-04-16 Secmafer Sa Char d'assaut
DE3316068A1 (de) * 1983-05-03 1984-11-08 Dr.Ing.H.C. F. Porsche Ag, 7000 Stuttgart Gepanzertes fahrzeug
FR2605095A1 (fr) * 1986-10-14 1988-04-15 Wieczorek Julien Modules autonomes blindes pour conducteur, observateur et tireur pour un ebc a chargement automatique
FR2708536B1 (fr) * 1993-08-04 1995-09-22 Giat Ind Sa Engin motorisé de dépannage.
DE102004006819B4 (de) 2004-02-11 2007-01-04 Rheinmetall Landsysteme Gmbh Fahrzeug mit Schutz gegen die Wirkung einer Landmine
DE102004026237A1 (de) 2004-02-11 2005-11-10 Rheinmetall Landsysteme Gmbh Fahrzeug mit Schutz gegen die Wirkung einer Landm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5358A (ko) 2019-11-07 2021-05-17 케이알씨 주식회사 군수차량 타이어 보호 및 승하차 발디딤용 휠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57154A1 (de) 2007-05-24
EP1966564B1 (de) 2009-04-15
ES2324629T3 (es) 2009-08-11
AU2006314744B2 (en) 2011-09-15
CA2630221A1 (en) 2007-05-24
EP1966564A1 (de) 2008-09-10
AU2006314744A1 (en) 2007-05-24
DE102006051870A1 (de) 2007-05-24
ATE428903T1 (de) 2009-05-15
PL1966564T3 (pl) 2009-09-30
CA2630221C (en) 2014-01-07
RU2008124829A (ru) 2009-12-27
DE502006003504D1 (de) 2009-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01931B2 (en) Belly armor
US20070186762A1 (en) Armored vehicle with blast deflecting hull
US7770506B2 (en) Armored cab for vehicles
US8960068B2 (en) Floor protection device for vehicle cab
KR20080069669A (ko) 장갑차
US9404717B2 (en) Vehicle, in particular a military vehicle
AU2006281161B2 (en) Armored vehicle
US20100218667A1 (en) Underbelly for an armored vehicle
US8667880B1 (en) Cabin for a Humvee vehicle
CA2169004C (en) Ballistic grill for special purpose vehicles
EP1331466B1 (en) Armor module
US20170261291A1 (en) Moving sacrificial vehicle hull
US2011011395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protection of a vehicle from rocket-propelled grenades
US2010025799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vehicle occupants
US20140251121A1 (en) Armored cab for vehicles
KR20070098805A (ko) 반응성 보호 장치
ES2299654T3 (es) Dispositivo de proteccion combinado.
KR100633932B1 (ko) 적재함의 방탄 설비
US8267002B1 (en) Ceramic armor against kinetic threats
IT202100007928A1 (it) Veicolo terrestre blindato.
KR20180058346A (ko) 지뢰 폭압 방호용 장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