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9070A - 휴대 단말 장치의 전원 제어를 이용한 업데이트 정보 제공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 장치의 전원 제어를 이용한 업데이트 정보 제공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9070A
KR20080069070A KR1020070006696A KR20070006696A KR20080069070A KR 20080069070 A KR20080069070 A KR 20080069070A KR 1020070006696 A KR1020070006696 A KR 1020070006696A KR 20070006696 A KR20070006696 A KR 20070006696A KR 20080069070 A KR20080069070 A KR 200800690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pdated information
terminal device
portable terminal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6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6425B1 (ko
Inventor
김정열
김홍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6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6425B1/ko
Priority to US11/872,807 priority patent/US7890779B2/en
Priority to CN201610524819.7A priority patent/CN106027672B/zh
Priority to CNA2007101962386A priority patent/CN101232671A/zh
Publication of KR20080069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90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6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6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5Replication or mirroring of data, e.g. scheduling or transport for data synchronisation between network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 장치의 전원 제어를 이용한 업데이트 정보 제공 방법 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시간마다 주기적으로 전원을 인가하여 서버에 접속하고, 접속된 서버에 업데이트 된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 후, 업데이트 된 정보가 존재하면 소정의 기준에 따라 업데이트 된 정보를 선택적으로 출력함으로써, 휴대 단말 장치의 전력의 소모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전원, 전력, 제어, 절전, 슬립

Description

휴대 단말 장치의 전원 제어를 이용한 업데이트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Method for providing updated informations using controlling power of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apparatus therefor}
도 1은 와이브로 망에서의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와이브로 통신망에서 지원하는 동작 모드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제어를 이용한 업데이트 정보 제공을 위한 휴대 단말 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제공부의 상세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송부의 동작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의 전원 제어를 이용한 업데이트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 장치의 전원 제어를 이용한 업데이트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와이브로(WiBro)란 무선 광대역 인터넷(Wireless Broadband Internet)의 줄임말로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하여 정지 및 이동중에 언제, 어디서나 고속의 전송속도(약1Mbps급)로 인터넷에 접속하여 다양한 정보 및 콘텐츠 사용이 가능한 초고속인터넷 서비스를 말한다. 즉, 실내의 유선 초고속인터넷 서비스를 실외에서 이동중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확장하는 개념이다.
도 1은 와이브로 망에서의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와이브로 망은 복수 개의 셀(100, 150)을 가지며, 이와 같은 셀(110, 150)을 관장하는 기지국(110, 140)과, 다수의 이동 가입자 단말기(MSS: Mobile Subscriber Station, 이하 'MSS'로 명명한다)(111, 113, 130, 151, 153)로 구성된다.
이때, 기지국(110, 140)과 MSS들(111, 113, 130, 151, 153)간의 신호 송수신은 주파수 분할 다중(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 및 직교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ple Access) 방식을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와 같은 MSS들(111, 113, 130, 151, 153) 중 경계 지역에 위치하는 MSS(130)가 있는데, 이와 같은 MSS(130)에 대한 핸드오버를 지원해야만 MSS들(111, 113, 130, 151, 153)의 이동성을 지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동성을 고려할 경우 MSS의 전력 소모는 시스템 전체의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며, 따라서 MSS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MSS와 기지국간의 슬립 모드(SLEEP MODE) 동작, 어웨이크 모드(AWAKE MODE) 동작 및 아이들 모드(IDLE MODE) 동작이 제안되었다.
도 2는 와이브로 통신망에서 지원하는 동작 모드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와이브로 통신망에서 지원하는 동작 모드에는 널(null) 모드(210), 스탠바이(standby) 모드(220), 어웨이크 모드(230), 슬립 모드(240) 및 아이들 모드(250)가 있다.
이때, 널 모드(210) 및 스탠바이 모드(220)는 휴대 단말 장치가 와이브로 망을 벗어난 경우의 동작 모드이고, 어웨이크 모드(230), 슬립 모드(240) 및 아이들 모드(250)는 휴대 단말 장치가 와이브로 망 내에 있을 때의 동작 모드이다.
여기서, 널 모드(210)는 휴대 단말 장치의 전원이 꺼진 상태이고, 스탠바이 모드(220)는 단말 장치에 전원을 인가하여 와이브로 망에 접속을 시도하는 모드이다. 또한, 어웨이크 모드(230)는 실제로 사용자가 인터넷에 접속하여 검색이나 업로드 및 다운로드를 수행할 수 있는 모드이고, 슬립 모드(240)는 와이브로 망에 대하여 주기적으로 와이브로 망을 관리하는 시스템에 휴대 단말 장치의 최소의 정보만을 전송해 IP만을 유지하는 최소 전원 상태이다. 마지막으로 아이들 모드(250)는 단말기의 전원이 켜져 있기는 하지만 IP가 등록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슬립 모드에서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없었고,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어웨이크 모드로 전환하여 휴대 단 말 장치의 전원을 계속 켜 놓아야 되어 휴대 단말 장치의 전력의 소모를 효율적으로 제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력의 소모를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휴대 단말 장치의 전원 제어를 이용한 업데이트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의 전원 제어를 이용한 업데이트 정보 제공 방법은 소정의 시간마다 주기적으로 전원을 인가하여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접속된 서버에 업데이트 된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 상기 업데이트 된 정보가 존재하면 소정의 기준에 따라 상기 업데이트 된 정보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정의 기준은 상기 업데이트 된 정보의 종류, 출처, 중요도, 긴급도 및 상기 휴대 단말 장치의 잔여 전력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공 방법.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원은 상기 접속하는 단계, 상기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의 각각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장치들에만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에 접속되면 상기 서버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정보와 기존에 수신된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정의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웹 사이트로부터 수신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업데이트 된 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업데이트 된 정보가 존재한다는 메세지 또는 상기 업데이트 된 정보를 화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업데이트 된 정보가 존재하면 소리(Sound) 또는 진동을 이용하여 알람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업데이트 된 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업데이트 된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업데이트 된 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업데이트 된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 장치와 연결된 다른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송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휴대 단말 장치의 전원은 상기 전원을 제어하도록 프로그래밍 된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제어를 이용한 업데이트 정보 제공을 위한 휴대 단말 장치는 소정의 시간마다 주기적으로 서버에 접속하는 통신 모듈; 상기 서버 접속 여부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 장치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 상기 접속된 서버에 업데이트 된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결과, 상기 판단결과, 상기 업데이트 된 정보가 존재하면 소정의 기준에 따라 상기 업데이트 된 정보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통신 모듈, 상기 판단부, 상기 정보 제공부의 동작을 수행할 때, 각각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장치들에만 전원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단부는 상기 통신 모듈에 의하여 상기 서버에 접속되면 상기 서버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정보와 기존에 수신된 정보를 비교하는 비교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보 제공부는 상기 업데이트 된 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업데이트 된 정보가 존재한다는 메세지 또는 상기 업데이트 된 정보를 화면에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보 제공부는 상기 업데이트 된 정보가 존재하면 소리(Sound) 또는 진동을 이용하여 알람 기능을 수행하는 알람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보 제공부는 상기 업데이트 된 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업데이트 된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 장치와 연결된 다른 장치에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송부는 상기 업데이트 된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제어를 이용한 업데이트 정보 제공을 위 한 휴대 단말 장치는 상기 업데이트 된 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업데이트 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장부는 램(Ram), 하드 디스크(hard disk), 플래쉬 메모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제어를 이용한 업데이트 정보 제공을 위한 휴대 단말 장치는 상기 전원 제어를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 된 소프트웨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정의 시간마다 주기적으로 전원을 인가하여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접속된 서버에 업데이트 된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 상기 업데이트 된 정보가 존재하면 소정의 기준에 따라 상기 업데이트 된 정보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 장치의 전원 제어를 이용한 업데이트 정보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제어를 이용한 업데이트 정보 제공을 위한 휴대 단말 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는 통신 모듈(310), 전원 제어부(320), 판단부(330) 및 정보 제공부(340)를 포함한다.
통신 모듈(310)은 전원 제어부(320)에 의한 전원 제어에 기초하여, 소정의 시간마다 주기적으로 서버에 접속한다.
이때, 통신 모듈(310)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에 접속을 한다. 여기서 무선 네트워크는 와이 파이(wi-fi), 와이브로(wibro)와 같은 무선 광대역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예컨대, 통신 모듈(310)은 5분 또는 10분 간격으로 와이브로 망을 통하여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전원 제어부(320)는 통신 모듈(310)에 의하여 서버에 접속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휴대 단말 장치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며, 구현예에 따라서는 마이컴이라고 명명되기도 한다.
즉, 전원 제어부(320)는 서버에 접속하지 않는 경우에는 휴대 단말 장치에 전원을 인가하지 않고, 서버에 접속하는 경우에만 휴대 단말 장치에 전원을 인가하는 방식으로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전원 제어부(320)는 휴대 단말 장치를 구성하는 장치들 중에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장치에만 전원을 인가할 수도 있다.
먼저, 제1 모드부터 제5 모드까지로 분류되는 휴대 단말 장치에서의 일반적인 전원 제어 모드를 설명한다.
제1 모드는 휴대 단말 장치를 구성하는 모든 장치에 전원이 인가된 상태로, 휴대 단말 장치를 제어하는 중앙 처리 장치(미도시)의 전력 소모가 최대가 되는 상태이다.
제2 모드는 제1 모드와 같이 휴대 단말 장치를 구성하는 모든 장치에 전원이 인가되지만, 중앙 처리 장치가 절전 모드 상태에 있어 중앙 처리 장치의 전력 소모 가 제1 모드에 비해 적은 상태이다.
제3 모드는 휴대 단말 장치를 구성하는 장치 중에서 전원 제어부(320) 및 사용자가 작업했던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미도시), 예컨대 RAM에만 전원이 인가된 상태로,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로 복귀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즉시 복귀가 가능한 상태이다. 예컨대, 제3 모드는 개인용 컴퓨터에서 화면 보호기가 동작하고 있을 때와 같은 상태이다.
제4 모드는 휴대 단말 장치에서 전원 제어부(320)와 사용자가 작업했던 정보가 저장되는 하드 디스크(미도시)에만 전원이 인가된 상태로,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로 복귀는 가능하지만 복귀하는데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 예컨대, 제4 모드는 개인용 컴퓨터에서 워드 작업을 하다가 전원이 갑자기 꺼진 경우에, 다시 전원이 켜지면 이전에 워드 작업을 하던 상태가 복원되는 것과 같은 상태이다.
제5 모드는 휴대 단말 장치에서 전원 제어부(320)에만 전원이 인가된 상태로 제1 모드 및 제2 모드로 복귀할 수는 없는 상태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전원 제어 모드 중 제1 모드 및 제2 모드는 와이브로 통신망에서 지원하는 동작 모드 중 어웨이크 모드에 해당하고, 제3 모드 내지 제5 모드는 슬립 모드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서는 전원 제어부(320)가 이와 같은 일반적인 전원 제어 모드에 따른 전원 제어 외에, 휴대 단말 장치를 구성하는 장치들 중에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장치에만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 제어를 함께 수행한다. 예컨대, 전원 제어부(320)는 휴대 단말 장치가 서버에 접속하는 경우에 제3 모드 내지 제5 모드 중에 하나의 모드로 전원을 제어하면서 통신 모듈(320)에만 전원을 인가하는 방식으로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전원 제어부(320)는 현재의 휴대 단말 장치의 잔여 전력에 기초하여, 전원을 제어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예에서 휴대 단말 장치의 잔여 전력이 소정의 임계치 미만인 경우에는 제3 모드가 아닌 제4모드 또는 제5모드로 전원을 제어할 수 있고, 통신 모듈(320)에도 전원을 계속 인가하지 않고 소정의 시간마다 전원을 인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장치에만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휴대 단말 장치의 전력의 소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에는 제3 모드 내지 제5모드의 경우에는 전원제어부(320), 메모리 또는 하드 디스크에만 전원이 인가되어, 외부와 통신하는 것이 불가능하였지만, 본 발명의 경우에는 이와 같은 모드에서도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통신 모듈(310) 등과 같이 필요한 장치에 대하여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외부와 통신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제어부(320)는 전원 제어를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 된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전원이 제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원 제어부(320)는 전원 제어를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휴대 단말 장치를 구성하는 장치들에 대한 전원의 인가를 전담하기 위한 전원 제어 스위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전원 제어부(320)는 제1 모드 내지 제5 모드에 해당하는 전원 제어만을 수행하고, 전원 제어 스위치는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장치들에 대한 전원의 인가만을 전담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제어를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전원 제어 모드에 따라 제어된다. 즉, 휴대 단말 장치는 제1 모드 내지 제5 모드 중에 하나의 전원 제어 모드에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일반적인 제어 모드에서는, 제3 모드 내지 제5 모드에서 외부와 통신이 불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제어를 수행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받기 위한 전원 제어 선택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판단부(330)는 수신부(332) 및 비교부(334)를 포함한다.
수신부(332)는 통신 모듈(310)에 의하여 서버에 접속되면 서버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소정의 정보는 다양한 종류의 웹 사이트로부터 수신될 수 있고, 사용자는 복수개의 웹 사이트(Web-site)를 미리 설정하여, 그 설정된 웹 사이트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블로그, 뉴스, 증권 사이트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거나, 모바일 IP TV의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lectric program guide:EPG), 주문형 비디오 (Video on demand:VOD) 서비스의 동영상 목록 정보, VOIP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서비스의 착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비교부(334)는 수신된 정보와 기존에 수신된 정보를 비교한다.
이때, 비교부(334)는 미리 설정된 웹 사이트로부터 새롭게 수신된 정보와 기존에 그 웹 사이트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비교하여 업데이트 된 정보가 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웹 사이트로부터 기존에 수신된 정보 또는 업데이트 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저장부는 램(Ram)이나 하드 디스크(hard disk) 또는 플래쉬 메모리가 될 수 있다.
정보 제공부(340)는 소정의 기준에 따라 업데이트 된 정보를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이때 소정의 기준은 업데이트 된 정보의 종류, 출처, 중요도, 긴급도 및 휴대 단말 장치의 잔여 전력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제공부의 상세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제공부(340)는 출력부(342), 알람부(344) 및 전송부(346)를 포함한다.
출력부(342)는 업데이트 된 정보의 종류, 출처, 중요도, 긴급도에 기초하여,업데이트 된 정보가 존재한다는 메세지 또는 그 업데이트 된 정보를 휴대 단말 장치의 화면에 출력한다.
예컨대, 정보 제공부(340)는 업데이트 된 정보의 종류, 출처, 중요도, 긴급도를 체크하여, 사용자가 그 업데이트 된 정보를 출력하도록 설정한 경우에는 출력부(342)가 휴대 단말 장치의 화면에 그 업데이트 된 정보를 출력하게 하고, 그 외의 경우에는 업데이트 된 정보가 존재한다는 메세지만을 화면에 출력하게 할 수 있 다.
알람부(344)는 업데이트 된 정보가 존재하면 소리(Sound) 또는 진동을 이용하여 알람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알람부(344)는 출력부(342)가 업데이트 된 정보가 존재한다는 메세지 또는 그 업데이트 된 정보를 화면에 출력하게 되면, 사용자에게 그와 같은 메세지 또는 정보가 출력되었음을 알리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전송부(346)는 소정의 기준에 따라 업데이트 된 정보가 존재하면 업데이트 된 정보를 휴대 단말 장치와 연결된 다른 장치에 전송한다.
예컨대, 정보 제공부(340)는 휴대 단말 장치의 전력이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는 출력부(342)를 통하여 업데이트 된 정보 또는 업데이트 된 정보가 존재한다는 메세지를 출력하고, 휴대 단말 장치의 전력이 임계치 미만인 경우에는 전송부(346)에 의하여 업데이트 된 정보가 휴대 단말 장치와 연결된 다른 장치에 전송되도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송부의 동작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 장치인 노트북(510)에서 그 노트북(510)과 연결된 장치인 휴대용 MP3 플레이어(520)에 업데이트 된 정보를 전송하는 상황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이 업데이트 된 정보를 MP3 플레이어(520)로 전송하는 이유는, 업데이트 된 정보를 노트북(510)에서 출력하게 되면 노트북(510)의 전력을 소모하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노트북(510)으로부터 전송된 업데이트 된 정보는 MP3 플레이 어(520)에서 출력된다. 여기서, 전송부(346)는 업데이트 된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무선으로 전송할 때에는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인 블루투스(Blue-tooth)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업데이트 된 정보 뿐만 아니라 업데이트 된 정보가 존재한다는 메세지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정보 제공부(340)는 업데이트 된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도록 설정한 경우 또는 사용자가 업데이트 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없는 상황인 경우에는 업데이트 된 정보를 저장부(미도시)에 저장할 수도 있다.
예컨대, 업데이트 된 정보가 VOIP 서비스의 착신 정보인 경우에 사용자가 착신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기를 원하지 않아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설정한 경우나 VOIP 서비스 지역 외에 존재하여 착신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는 착신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게 되고, 이후에 사용자는 저장부에 저장된 착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사용자는 정보 제공부(340)에 의하여 업데이트 된 정보가 존재한다는 메세지가 출력된 것을 확인하면 직접 그 업데이트 된 정보가 존재하는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업데이트 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휴대 단말 장치의 버튼 중에 소정의 버튼을 클릭하면 업데이트 된 정보를 가진 웹 사이트에 접속하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업데이트 된 정보가 VOIP 서비스의 착신 정보인 경우에는 사용자는 직접 그 착신 번호를 입력하여 통화할 수도 있다. 또한, 휴대 단말 장치의 소정의 버튼을 클릭하면 신규 착신 번호로 전화를 걸도록 설정한 경우에는, 그 소정의 버 튼을 클릭함으로써 신규 착신 번호와 연결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의 전원 제어를 이용한 업데이트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610 단계에서는, 소정의 시간마다 주기적으로 전원을 인가하여 서버에 접속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원 제어부(320)는 휴대 단말 장치를 구성하는 모든 장치에 5분 또는 10분 간격으로 전원을 인가할 수도 있고, 휴대 단말 장치를 구성하는 장치들 중에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장치에만 전원을 인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휴대 단말 장치의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전원 제어부는 제3 모드 내지 제5 모드에 따라 전원을 제어할 수 있고, 필요한 장치에 대해서만 전원을 인가할 수도 있다. 예컨대, 610 단계에서 전원 제어부(320)는 통신 모듈(310)에만 전원을 인가할 수도 있다.
620 단계에서는, 접속된 서버에 업데이트 된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630 단계에서는, 판단결과, 업데이트 된 정보가 존재하면 소정의 기준에 따라 업데이트 된 정보를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기준은 업데이트 된 정보의 종류, 출처, 중요도, 긴급도 및 휴대 단말 장치의 잔여 전력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 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소정의 시간마다 주기적으로 전원을 인가하여 서버에 접속하고, 접속된 서버에 업데이트 된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 후, 업데이트 된 정보가 존재하면 소정의 기준에 따라 업데이트 된 정보를 선택적으로 출력함으로써, 휴대 단말 장치의 전력의 소모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Claims (24)

  1. 휴대 단말 장치의 전원 제어를 이용한 업데이트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시간마다 주기적으로 전원을 인가하여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접속된 서버에 업데이트 된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 상기 업데이트 된 정보가 존재하면 소정의 기준에 따라 상기 업데이트 된 정보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기준은
    상기 업데이트 된 정보의 종류, 출처, 중요도, 긴급도 및 상기 휴대 단말 장치의 잔여 전력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은 상기 접속하는 단계, 상기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의 각각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장치들에만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에 접속되면 상기 서버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정보와 기존에 수신된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웹 사이트로부터 수신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업데이트 된 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업데이트 된 정보가 존재한다는 메세지 또는 상기 업데이트 된 정보를 화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업데이트 된 정보가 존재하면 소리(Sound) 또는 진동을 이용하여 알람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업데이트 된 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업데이트 된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업데이트 된 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업데이트 된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 장치와 연결된 다른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 장치의 전원은
    상기 전원을 제어하도록 프로그래밍 된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12. 전원 제어를 이용한 업데이트 정보 제공을 위한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 장치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
    상기 전원 제어부에 의한 전원 제어에 기초하여, 소정의 시간마다 주기적으로 서버에 접속하는 통신 모듈;
    상기 접속된 서버에 업데이트 된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결과, 상기 업데이트 된 정보가 존재하면 소정의 기준에 따라 상기 업데이트 된 정보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기준은
    상기 업데이트 된 정보의 종류, 출처, 중요도, 긴급도 및 상기 휴대 단말 장치의 잔여 전력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통신 모듈, 상기 판단부, 상기 정보 제공부의 동작을 수행할 때, 각각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장치들에만 전원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휴대 단말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통신 모듈에 의하여 상기 서버에 접속되면 상기 서버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정보와 기존에 수신된 정보를 비교하는 비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웹 사이트로부터 수신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부는
    상기 업데이트 된 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업데이트 된 정보가 존재한다는 메세지 또는 상기 업데이트 된 정보를 화면에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부는
    상기 업데이트 된 정보가 존재하면 소리(Sound) 또는 진동을 이용하여 알람 기능을 수행하는 알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부는
    상기 업데이트 된 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업데이트 된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 장치와 연결된 다른 장치에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상기 업데이트 된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2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된 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업데이트 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램(Ram), 하드 디스크(hard disk), 플래쉬 메모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2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어를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 된 소프트웨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24.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070006696A 2007-01-22 2007-01-22 휴대 단말 장치의 전원 제어를 이용한 업데이트 정보 제공방법 및 그 장치 KR101086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6696A KR101086425B1 (ko) 2007-01-22 2007-01-22 휴대 단말 장치의 전원 제어를 이용한 업데이트 정보 제공방법 및 그 장치
US11/872,807 US7890779B2 (en) 2007-01-22 2007-10-16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pdated information using power control in portable terminal device
CN201610524819.7A CN106027672B (zh) 2007-01-22 2007-11-30 利用电力控制提供更新信息的方法和设备
CNA2007101962386A CN101232671A (zh) 2007-01-22 2007-11-30 利用电力控制提供更新信息的方法和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6696A KR101086425B1 (ko) 2007-01-22 2007-01-22 휴대 단말 장치의 전원 제어를 이용한 업데이트 정보 제공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9070A true KR20080069070A (ko) 2008-07-25
KR101086425B1 KR101086425B1 (ko) 2011-11-25

Family

ID=39642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6696A KR101086425B1 (ko) 2007-01-22 2007-01-22 휴대 단말 장치의 전원 제어를 이용한 업데이트 정보 제공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890779B2 (ko)
KR (1) KR101086425B1 (ko)
CN (2) CN10602767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6425B1 (ko) * 2007-01-22 2011-11-2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 장치의 전원 제어를 이용한 업데이트 정보 제공방법 및 그 장치
KR101624903B1 (ko) 2009-09-16 2016-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8495166B2 (en) * 2010-04-21 2013-07-23 Microsoft Corporation Optimized caching for large data requests
US8260374B2 (en) 2010-08-31 2012-09-0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Power saving operation of user equipment in 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JP2012059056A (ja) * 2010-09-09 2012-03-22 Sharp Corp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配信方法、サーバ、コンテンツ再生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8966304B1 (en) 2011-04-04 2015-02-24 Google Inc. Periodic system wakeup to update stat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89464B1 (en) * 1998-01-07 2001-09-11 Microsoft Corporation Receiving wireless information on a mobile device with reduced power consumption
JP2002057617A (ja) 2000-08-09 2002-02-22 Toshiba Tec Corp 無線端末装置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並びに無線端末装置の初期設定方法
WO2005011183A2 (en) 2003-07-22 2005-02-03 Pctel, Inc. System and method for wake on wireless lan
US7624393B2 (en) * 2003-09-18 2009-11-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mputer application and methods for autonomic upgrade maintenance of computer hardware, operating systems and application software
US20050239518A1 (en) * 2004-04-21 2005-10-27 D Agostino Anthony Systems and methods that provide enhanced state machine power management
US7814195B2 (en) * 2004-09-10 2010-10-12 Sony Corporation Method for data synchronization with mobile wireless devices
TWI283527B (en) * 2005-08-30 2007-07-01 Acer Inc A method for managing the power state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7440781B2 (en) * 2005-10-07 2008-10-21 Symbol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power conservation in a wireless device
US7764969B2 (en) * 2006-02-13 2010-07-27 Qualcomm Incorporated Reduced paging cycl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086425B1 (ko) * 2007-01-22 2011-11-2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 장치의 전원 제어를 이용한 업데이트 정보 제공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178013A1 (en) 2008-07-24
CN101232671A (zh) 2008-07-30
KR101086425B1 (ko) 2011-11-25
CN106027672B (zh) 2019-07-12
US7890779B2 (en) 2011-02-15
CN106027672A (zh) 2016-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693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conditioning mobile devices for network and other operations
KR101086425B1 (ko) 휴대 단말 장치의 전원 제어를 이용한 업데이트 정보 제공방법 및 그 장치
KR101735342B1 (ko) 듀얼 스탠바이 휴대 단말기의 통신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듀얼 스탠바이 휴대 단말기
CN102882637B (zh) 一种用于传输或接收信标消息的方法和设备
KR101698094B1 (ko) 서비스 존에 해당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535437B1 (ko) 휴대 단말기의 전원 절약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20120117099A (ko) 휴대 단말기의 동기화 방법 및 장치
KR101162384B1 (ko) 통신유닛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122369B2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updating display screen with online widget
CN101322380A (zh) 使用现状服务器的可下载内容传送管理
KR20110040073A (ko) 휴대 단말기의 운용 방법 및 장치
US8918489B2 (en) Mobile device, storage mediu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onnecting the mobile device to server
US20100004000A1 (en) Method for Automatically Changing Incoming Call Alert Profile Upon the Current Location
KR20120059168A (ko) 테더링 서비스 지원 시스템 및 지원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100943621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9511139B (zh) Wifi控制方法、装置、移动设备、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795733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data service in portable terminal
JP2004297480A (ja) 携帯端末
JP2013143585A (ja)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通信プログラム及び通信方法
JP2005117269A (ja) 無線通信端末、サーバ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無線通信方法、並びに無線通信端末制御用プログラム及びサーバ制御用プログラム
KR10047229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스팸 메시지 처리 방법
KR101000154B1 (ko) 이동통신단말기 및 위젯 컨텐츠 업데이트 알림 방법
CN113840164A (zh) 语音控制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US8213875B1 (en) Learning and adaptive communication services
KR100715518B1 (ko) 와이브로 망의 착신서비스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