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0073A - 휴대 단말기의 운용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운용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0073A
KR20110040073A KR1020090097202A KR20090097202A KR20110040073A KR 20110040073 A KR20110040073 A KR 20110040073A KR 1020090097202 A KR1020090097202 A KR 1020090097202A KR 20090097202 A KR20090097202 A KR 20090097202A KR 20110040073 A KR20110040073 A KR 201100400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m card
information
base station
related information
c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7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상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7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40073A/ko
Priority to US12/897,159 priority patent/US20110086670A1/en
Priority to EP10186456.9A priority patent/EP2312873A3/en
Priority to CN201010506466.0A priority patent/CN102045700B/zh
Publication of KR20110040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00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20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205Transfer to or from user equipment or user record carr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0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user and terminal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운용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사용자 조작에 따라 SIM 카드가 삽입 또는 제거되는 과정에서 별도의 부팅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삽입된 SIM 카드의 종류와 삽입 시점에 따라 이동통신 서비스 지원을 위해 필요한 프로토콜 프로시저를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이 과정을 통해 획득된 기지국 관련 정보와 이동통신 서비스 관련 정보를 갱신 또는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구성을 개시한다.
휴대 단말기, SIM, 프로토콜, 부팅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운용 방법 및 장치{Operation Method For Mobile Device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SIM 카드 기반으로 운용되는 휴대 단말기의 정보 갱신에 있어서 필요한 정보 갱신만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휴대 단말기 운용을 방지하여 보다 편리하고 빠른 단말기 이용을 지원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운용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급속한 기술 발전을 통해 초기의 단순한 음성 통화 및 단문메시지 전송 기능에서 벗어나 영상 통화, 전자수첩기능, 인터넷 기능 등과 같이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게 되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를 장착할 수 있다. SIM 카드는 특정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하는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단말기에 장착하는 카드로서 메모리 기능을 겸비하여 사용자의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러한 SIM 카드 장착 휴대 단말기는 SIM 카드를 단말기로부터 분리한 후 재 삽입하는 경우, 단말기를 부팅시켜야 제대로 된 SIM 카드 기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단말기 운용은 심각한 부작용을 안고 있다. 즉, 다수개의 SIM 카드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경우 SIM 카드 교체를 수시로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SIM 카드 교체 시마다 단말기 부팅을 새롭게 해주어야 하기 때문에 단말기 운용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배터리 소모가 큰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SIM 카드 교체에 따라 필요한 정보 갱신만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단말기 운용을 간소화하고 불필요한 배터리 전원 소모를 방지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운용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 운용 방법은 이전 삽입된 SIM 카드 제거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이전 삽입된 SIM 카드 제거 후, 제거된 SIM 카드와 동일한 SIM 카드가 재 삽입되거나 또는 상기 제거된 SIM 카드와 다른 SIM 카드가 새로 삽입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카드 삽입 과정과, 새로 삽입되는 SIM 카드의 종류 및 삽입 시기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새로 삽입된 SIM 카드 기반의 기지국 관련 프로토콜 프로시저를 수행하여 새로운 기지국 관련 정보로 갱신하거나, 상기 제거된 SIM 카드 기반으로 저장된 기지국 관련 정보를 유지하는 정보 관리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 운용 장치는 복수 개 중 적어도 하나의 SIM 카드가 교번적으로 삽입이 가능한 SIM 카드 인터페이스와, 삽입된 SIM 카드가 제거되고 이후 새로 삽입되는 SIM 카드의 종류 및 삽입 시기에 따라 기지국 관련 프로토콜 프로시저를 수행하여 새로운 기지국 관련 정보로 갱신하거나, 이전에 저장된 기지국 관련 정보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삽입된 SIM 카드 기반으로 기지국과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기지국으로부터 기지국 관 련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주파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운용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불필요한 단말기 운용 과정을 간소화하고 배터리 전원을 절약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기를 휴대 단말기로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장착이 가능하고 그에 따른 통화 서비스 이용이 가능한 단말기로서, 바람직하게는 통화 서비스 이용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이동 전화기, 유/ 무선 전화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정보통신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 기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두 개의 SIM 카드(201, 203) 중 어느 하나를 지시하는 용어로서 특정 SIM 카드(200)를 사용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특정 SIM 카드(200)는 2개 이상의 SIM 카드를 지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 또한 2개 이상의 SIM 카드가 사용자 조작에 따라 교번적으로 삽입 또는 제거되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할 것이다. 상기 두 개의 SIM 카드 중 SIM1 카드(201)는 부팅 전에 사용자가 복수 개의 SIM 카드 중 임의로 선택한 첫 번째 SIM 카드이며, SIM2 카드(201)는 이전에 삽입된 SIM1 카드(201)와 다른 SIM 카드 중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한 두 번째 SIM 카드가 될 수 있다.
상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주파수부(110), 입력부(120), 오디오 처리부(130), 표시부(140), 저장부(150), SIM 카드 인터페이스(170) 및 제어부(16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100)는 SIM 카드 인터페이스(170)를 통하여 특정 SIM 카드(200)를 장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이 과정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장착되는 특정 SIM 카드(200)의 종류에 따라 필요한 정보 갱신만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SIM1 카 드(201)가 삽입되고 부팅이 이루어진 이후에 SIM1 카드(201)가 제거되는 것을 가정하면, 이후 특정 SIM 카드(200) 삽입을 검사하고, 삽입된 특정 SIM 카드(200)의 종류와 삽입 시점에 따라 필요한 정보 갱신만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휴대 단말기(100)는 부팅 과정 없이 삽입된 특정 SIM 카드(200)를 기반으로 필요한 과정들만을 수행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불필요한 부팅 과정을 생략하여 단말기 운용을 간소화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하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각 구성과 기능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무선주파수부(11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과 통신 채널을 형성한다. 상기 무선주파수부(110)는 형성된 통신 채널을 통하여 통화에 필요한 신호를 송수신하며 이때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무선 주파수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저잡음 증폭하고 하강 변환하는 무선 주파수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무선주파수부(110)는 휴대 단말기(100) 사용자가 삽입한 특정 SIM 카드(200)를 기반으로 통신 채널을 형성한다. 즉 무선주파수부(110)는 삽입된 특정 SIM 카드(200)를 지원하는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한 기지국과 통신 채널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무선주파수부(110)는 통신 채널을 형성한 기지국으로부터 PLMN 선택 정보, 셀 선택 정보 등을 수신하며, 해당 기지국에 위치 등록을 수행하고 이때 발생하는 정보를 제어부(160) 제어에 따라 저장부(150)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PLMN 정보는 서비스 사업자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며, 셀 선택 정보는 셀을 구성하는 기지국 정보 및 기지국과 인접한 다른 기지국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단 말기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00)에 삽입되어 있던 특정 SIM 카드(200)를 제거하고 이후 특정 SIM 카드(200)를 삽입하는 경우 무선주파수부(110)는 삽입된 특정 SIM 카드(200)가 지원하는 기지국으로부터 해당 PLMN 선택 정보 및 셀 선택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상기 입력부(120)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한다. 상기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120)는 사용자 설정 및 휴대 단말기(10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키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특히, 상기 입력부(120)는 최초 특정 SIM 카드(200) 삽입된 이후 부팅을 요청하는 입력 신호, 특정 SIM 카드(200)가 삽입된 상태에서 통화 기능 이용을 위한 입력 신호, 특정 SIM 카드(200) 기반으로 웹 서버 접속을 위한 입력 신호 등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20)는 생성된 입력 신호를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130)는 특정 SIM 카드(200) 기반으로 통신 채널이 형성된 후 송수신 되는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스피커(SPK)와, 통화 시 사용자의 음성 또는 기타 오디오 신호를 수집하기 위한 마이크(MIC)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의 오디오 처리부(130)는 부팅이 완료된 상태에서 특정 SIM 카드(200) 제거와 삽입 과정이 발생하게 되면 해당 상태에 따른 경고음이나 알림음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경고음 및 알림음 출력은 사용자 설정에 따라 수행되지 않을 수 도 있다.
상기 표시부(14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 운용에 필요한 화면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면 상기 표시부(140)는 부팅 완료 후 기 설정된 대기 화면, 휴대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 선택을 위한 메뉴 화면, 각 메뉴의 하부 메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화면, 특정 메뉴 선택 및 활성화에 따른 화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표시부(140)는 부팅이 완료된 이후 대기 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특정 SIM 카드(200)가 제거되더라도 상기 대기 화면을 일정 시간 또는 전원 공급 차단 전까지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140)는 SIM 카드 인터페이스(170)를 통하여 접속되는 특정 SIM 카드(200)의 종류를 사용자가 구별할 수 있도록 특정 아이콘이나 이미지를 화면 일측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40)는 SIM 카드 인터페이스(170)에 특정 SIM 카드(200)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 특정 SIM 카드(200)가 삽입되어 있지 않음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화면 일측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40)는 이전에 삽입되어 있던 특정 SIM 카드(200) 예를 들면 SIM1 카드(201)가 제거될 때 이를 알리는 메시지, 제거되었던 SIM1 카드(201)가 재 삽입되거나 또는 새로운 SIM2 카드(203)가 SIM 카드 인터페이스(170)에 삽입되는 경우 이를 알리는 메시지, 특정 SIM 카드(200) 삽입에 따라 정보 갱신이 발생하는 경우 정보 갱신 중 및 갱신 완료를 지시하는 메시지 등을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14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이나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패널 등의 표시 패널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표시부(140)는 패널 제어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패널 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40)는 표시 패널 상측에 터치 패널이 배치 되는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입력부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5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통화 서비스 지원을 위해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SIM 카드 인터페이스(170)에 접속되는 특정 SIM 카드(200)를 운용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 사용자 데이터 및 본 발명의 SIM 카드 간편 운용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과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이러한 상기 저장부(150)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휴대 단말기(100)의 기타 옵션(option) 기능 예컨대, 소리 재생 기능, 이미지 또는 동영상 재생 기능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특히, 본 발명의 프로그램 영역은 SIM 카드 간편 운용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상기 운영체제는 휴대 단말기(100) 부팅 시 SIM 카드 인터페이스(170)에 특정 SIM 카드(200)가 삽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삽입된 특정 SIM 카드(200)를 기반으로 이동통신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도록 설계된 이동통신 서비스 루틴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서비스 루틴은 삽입된 특정 SIM 카드(200)를 기반으로 서칭된 기지국에 위치 등록을 수행하며, 기지국으로부터 PLMN 선택 정보와 셀 선택 정보를 수신할 경우, 이를 데이터 영역에 할당된 가상 SIM 저장 영역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특정 SIM 카드(200)에 저장되어 있는 폰 북 정보를 가상 SIM 저장 영역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운영체제는 삽입된 특정 SIM 카 드(200)를 기반으로 이동통신 서비스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해당 기능 활성화에 따라 수집된 통화 로그 정보나 문자 송수신 정보 등을 상기 가상 SIM 저장 영역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SIM 카드 간편 운용 프로그램은 부팅 이후 제거 및 삽입되는 특정 SIM 카드(200)의 종류를 판단하는 루틴, 특정 SIM 카드(200) 제거 시 타이머를 동작시키는 루틴, 타이머의 설정 시간 내에 삽입되는 특정 SIM 카드(200)의 종류에 따라 정보 갱신을 수행하는 루틴, 타이머 만료 후에 삽입되는 특정 SIM 카드(200)의 정보 갱신을 수행하는 루틴, 타이머 만료 후 SIM 카드가 없는 상태 즉 "No SIM 카드 모드"진입을 제어하고 이동통신 서비스 이용을 위한 입력 신호 수신 시 SIM 카드가 없음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루틴을 포함한다. 여기서 정보 갱신을 수행하는 정보 갱신 루틴은 부팅 완료 이후 기존에 삽입되어 있던 특정 SIM 카드(200)가 제거되고 새로 삽입되는 특정 SIM 카드(200)가 삽입되는 경우 새로 삽입된 특정 SIM 카드(200)의 종류와 삽입 시점에 따라 이동통신 서비스 지원을 위해 필요한 프로토콜 프로시저(Protocol Procedure)를 수행하고, 그에 따라 발생하는 정보를 갱신하는 루틴이다. 상기 프로토콜 프로시저는 특정 SIM 카드(200)가 제공하는 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 가입자가 제공하는 기지국에 접속을 수행하는 처리 과정과, 기지국으로부터 서비스 사업자와 관련된 PLMN 선택 정보 및 접속된 기지국과 기지국의 주변 기지국과 관련된 셀 선택 정보 등을 수신하는 과정과, 해당 기지국에 위치 등록을 수행하는 과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 갱신 루틴은 상기 프로토콜 프로시저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들로 데이터 영역에 저 장된 정보들을 갱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SIM1 카드(201) 삽입 상태에서 SIM1 카드(201)가 제거되고 SIM2 카드(203)가 삽입되었거나, 타이머 만료 후 SIM1 카드(201)가 삽입되면 정보 갱신 루틴은 프로토콜 프로시저를 수행하고 그에 따라 수신된 셀 선택 정보 및 PLMN 선택 정보 등을 데이터 영역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정보 갱신 루틴은 이전에 삽입되어 있던 특정 SIM 카드(200)가 제공한 폰 북 정보, 특정 SIM 카드(200)의 운용에 따라 발생한 통화 로그 정보와 문자 송수신 정보의 갱신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통화 시 사용자가 녹음 또는 녹화한 데이터,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제공하는 다양한 옵션 기능과 관련한 사용자 데이터들 예컨대, 앞서 설명한 동영상과, 폰 북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 및 해당 컨텐츠 또는 사용자 데이터들에 대응하는 정보들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데이터 영역은 특정 SIM 카드(200) 삽입 시, 특정 SIM 카드(200) 정보 운용을 위하여 특정 SIM 카드(200)에 저장된 정보 및 특정 SIM 카드(200) 운용에 따라 생성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가상 SIM 저장 영역을 할당할 수 있다. 즉 데이터 영역은 가상 SIM 저장 영역을 생성하고 삽입된 특정 SIM 카드(200)가 제공하는 폰 북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해당 특정 SIM 카드(200)를 기반으로 수행된 프로토콜 프로시저에 따라 생성된 정보 예를 들면 셀 선택 정보 및 PLMN 선택 정보, 해당 특정 SIM 카드(200) 기반으로 운용된 이동통신 서비스 이용에 따라 발생한 통화 로그 정보 또는 문자 송수신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렇게 저장된 특정 SIM 카드(200) 관련 정보 는 해당 특정 SIM 카드(200)를 기반으로 이동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과정에서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영역은 SIM 카드 인터페이스(170)에 삽입되었던 특정 SIM 카드(200)들의 IMSI 값들을 저장하고, 이를 리스트 형태로 저장 관리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데이터 영역은 삽입된 또는 삽입되었던 특정 SIM 카드(200)들의 정보를 리스트 형태로 저장하는 SIM 정보 리스트가 저장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영역은 설계자의 의도나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SIM 정보 리스트에 저장된 IMSI 값들의 개수를 제한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영역에 저장되는 SIM 정보 리스트는 특정 SIM 카드(200) 제거 이후 삽입되는 특정 SIM 카드(200)의 종류를 구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IM1 카드(201)가 삽입되어 있으며 데이터 영역에는 제1 IMSI 정보가 저장될 수 있으며, 제거 이후 SIM1 카드(201) 또는 SIM2 카드(203)가 삽입되면, 삽입된 특정 SIM 카드(200)로부터 전달되는 IMSI 값과 이전에 저장된 IMSI 값을 비교하여 현재 삽입된 특정 SIM 카드(200)가 이전에 삽입된 특정 SIM 카드(200)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SIM 정보 리스트는 상술한 가상 SIM 저장 영역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SIM 카드 인터페이스(170)는 삽입 또는 제거되는 특정 SIM 카드(200)와 휴대 단말기(100) 간에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통로를 제공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SIM 카드 인터페이스(170)는 삽입된 특정 SIM 카드(200)가 제거되었거나, 특정 SIM 카드(200)가 삽입되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를 검출하고, 그에 따른 신호를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SIM 카드 인터페이스(170)는 제어부(160) 운용에 따라 주기적으로 일정 신호를 송출하여 특정 SIM 카드(200) 접속 상태를 점 검하거나, 기준전압을 배치하여 특정 SIM 카드(200) 삽입과 제거 시 변경되는 전압 변화를 통하여 특정 SIM 카드(200) 삽입 및 제거 여부에 대한 신호 검출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에서 SIM 카드 인터페이스(170)는 하나의 SIM1 카드(201) 또는 SIM2 카드(203)가 삽입되는 구조를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SIM 카드 인터페이스(170)는 2개 이상의 특정 SIM 카드(200)가 교번적으로 또는 동시에 삽입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술한 각 구성에 전원 공급을 제어하며, 각 구성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 지원과 함께 본 발명의 SIM 카드 간편 운용 기능을 지원하도록 제어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제어부(1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SIM 카드 인식부(161), 타이머(163) 및 정보 갱신부(165)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IM 카드 인식부(161)는 SIM 카드 인터페이스(170)에 특정 SIM 카드(200)가 삽입되는지 여부를 인식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SIM 카드 인식부(161)는 SIM 카드 인터페이스(170)를 통하여 일정 주기에 따라 특정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SIM 카드 인식부(161)는 SIM 카드 인터페이스(170)를 통하여 전송된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나 또는 특정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특정 SIM 카드(200)가 삽입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별도의 응답 신호에 대응하는 회신이 없는 경우 특정 SIM 카드(200)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SIM 카드 인식부(161)는 SIM 카드 인터페이스(170)에 일정 크기의 기준 전압을 특정 SIM 카드(200) 삽입 시 기준 전압이 변경되도록 설정하여 특정 SIM 카드(200) 삽입과 제거 시 이를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SIM 카드 인식부(161)는 SIM 카드가 탑재되지 않은 상태를 지시하는 "No SIM 카드 모드" 진입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메시지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타이머(163)는 휴대 단말기(100)의 부팅 완료 전 SIM1 카드(201)가 삽입되었을 경우, 부팅이 완료된 이후 제어부(160) 제어에 따라 SIM1 카드(201)가 제거되면 일정 시간 동안 동작하게 된다. 그리고 타이머(163)는 일정 시간 이내에 제거되었던 SIM1 카드(201)가 삽입되거나 새로운 SIM2 카드(203)가 삽입되면 동작을 중지하고 초기화될 수 있다.
상기 정보 갱신부(165)는 SIM 카드 인식부(161)가 인식하는 특정 SIM 카드(200) 제거 및 삽입 여부와 상기 타이머(163) 완료 여부에 따라 저장부(150)에 저장된 정보 갱신 및 무선주파수부(110) 운용을 위한 정보 설정을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구성이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최초 부팅 완료 전에 SIM1 카드(201)가 삽입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하면, 정보 갱신부(165)는 SIM1 카드(201)가 SIM 카드 인터페이스(170)로부터 이탈 즉 제거되는 경우, 상기 타이머(163)를 구동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정보 갱신부(165)는 상기 타이머(163)가 만료되기 이전에 특정 SIM 카드(200)가 다시 삽입되는 경우, SIM 카드 인식부(161)를 기반으로 특정 SIM 카드(200) 삽입을 인지하고, 삽입된 특정 SIM 카드(200)와 데이터 송수신 과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정보 갱신부(165)는 특정 SIM 카드(2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예를 들면 특정 SIM 카드(200)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는 IMSI 정보가 이전에 삽입되었던 SIM1 카드(201)의 제1 IMSI 정보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하여, 이전에 삽입되었던 SIM1 카드(201)와 동일한 카드가 삽입된 경우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정보 갱신부(165)는 특정 SIM 카드(200)로부터 제1 IMSI와 다른 종류의 IMSI를 수신하는 경우, 삽입된 특정 SIM 카드(200)를 이전에 삽입된 SIM1 카드(201)와 다른 새로운 카드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정보 갱신부(165)는 가상 SIM 저장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가상 SIM 저장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기지국 관련 정보와 이동통신 서비스 관련 정보 모두를 갱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정보 갱신부(165)는 타이머 만료 전에 이전에 삽입된 SIM1 카드(201)와 동일한 IMSI를 가지는 SIM1 카드(201)가 재 삽입되는 경우, 기지국 관련된 정보 및 이동통신 서비스 관련 정보 등의 갱신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이전에 설정되어 있는 무선주파수부(110) 운용 설정을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즉 정보 갱신부(165)는 SIM1 카드(201) 기반의 이동통신 서비스 지원을 위한 정보 설정인 PLMN 선택 정보 및 셀 선택 정보 등을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통화 로그 정보, 폰 북 정보, 문자 정보 등의 저장을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60)는 복수 개의 타이머를 구동하여, 기지국 관련 정보 갱신과 이동통신 서비스 관련 정보의 갱신 타이밍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60)는 간격이 다른 제1 타이머와 제2 타이머 즉 제1 만료 시점을 가지는 제1 타이머와 제1 만료 시점보다 긴 제2 만료 시점을 가지는 제2 타이머를 구동시킬 수 있다. 그러면 정보 갱신부(165)는 제1 타이머 만료 이전에 삽입되었던 SIM1 카 드(201)와 동일한 SIM1 카드(201)가 삽입되면 기지국 관련 정보와 이동통신 서비스 관련 정보 모두의 갱신을 수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보 갱신부(165)는 제1 타이머 만료 이후 및 제2 타이머 만료 이전에 동일한 SIM1 카드(201)가 삽입되는 경우 프로토콜 프로시저를 수행하여 기지국 관련 정보는 갱신하도록 제어하고, 이동통신 서비스 관련 정보를 갱신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갱신부(165)는 제2 타이머 만료 이후 SIM1 카드(201)가 재 삽입되면 기지국 관련 정보와 이동통신 서비스 관련 정보 모두를 갱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정보 갱신부(165)는 타이머(163)의 구동 만료 전 또는 타이머(163)의 구동 만료 후에 관계없이 이전에 삽입되었던 SIM1 카드(201)와 다른 SIM2 카드(203)가 삽입되면, SIM2 카드(203)를 기반으로 PLMN 선택 및 셀 선택 과정을 수행하도록 제어하여 기지국 관련 정보 즉 셀 선택 정보 및 PLMN 선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고, 휴대 단말기(100)를 캠핑 온 상태로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보 갱신부(165)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이전 정보를 제거하고 새로 수신된 기지국 관련 정보와 SIM2 카드(203)에 저장된 폰 북 정보나 통화 로그 정보, 문자 송수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서비스 관련 정보를 갱신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정보 갱신부(165)는 두 개의 타이머를 구동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이전에 삽입되어 있던 SIM 카드와 다른 SIM 카드가 삽입되면, 타이머 구동에 관계없이 기지국 관련 정보와 이동통신 서비스 관련 정보 갱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가상 SIM 저장 영역을 운용하지 않고 특정 SIM 카드(200)의 직접 읽기/쓰기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정보 갱신부(165)는 현재 삽입된 특정 SIM 카드(200)를 기반으로 기지국 캠핑 온 과정을 위한 프로토콜 프로시저만을 수행하여 기지국 관련 정보를 수집하여 갱신하도록 제어하고, 이동통신 서비스 관련 정보 갱신은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SIM 카드 간편 운용을 위한 휴대 단말기는 부팅 완료 후 기존에 있던 SIM 카드의 제거와 특정 SIM 카드(200)의 삽입 시 특정 SIM 카드(200)의 종류와 삽입 시점에 따라 PLMN 선택과 셀 선택 및 위치 등록과 같은 기지국 관련 정보 및 통화 로그 정보와 폰 북 정보 및 문자 송수신 정보 등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서비스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갱신만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부팅 과정을 수행하지 않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SIM 카드 간편 운용을 위한 휴대 단말기의 각 구성과 역할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운용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설명에서 복수 개의 SIM 카드 중 어느 하나의 SIM 카드가 부팅 전에 삽입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상기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의 운용 방법은 먼저,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이 공급되면, 휴대 단말기(100)의 제어부(160)가 공급된 전원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각 구성을 초기화하며, 부팅 과정을 수행 하여 401 단계에서 부팅을 완료한다.
다음으로 휴대 단말기(100)는 403 단계에서 부팅 전에 삽입되어 있는 삽입된 SIM 카드를 인식한 후 SIM 카드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휴대 단말기(100)의 저장부(150)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휴대 단말기(100)는 가상 SIM 저장 영역을 할당하고, 할당된 가상 SIM 저장 영역에 삽입된 SIM 카드와 관련된 정보 예를 들면 IMSI 정보와 SIM 카드에 저장된 폰 북 정보 등을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휴대 단말기(100)는 405 단계에서 삽입된 SIM 카드를 기반으로 SIM 프로토콜 프로시저(Protocol Procedure)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즉 휴대 단말기(100)는 삽입되어 있는 SIM 카드를 지원하는 기지국을 기반으로 PLMN 선택과 셀 선택, 위치 등록 등의 과정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휴대 단말기(100)는 SIM 프로토콜 프로시저를 수행하면서 획득된 기지국 관련 정보 즉 셀 선택 정보, PLMN 선택 정보, 위치 등록 정보 등을 가상 SIM 저장 영역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정 수행이 완료되면 휴대 단말기(100)는 407 단계에서 기 설정된 대기 화면을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실질적으로 휴대 단말기(100)는 401 단계에서 부팅 과정이 완료되면 삽입된 SIM 카드와 관련된 처리 과정 수행과 독립적으로 대기 화면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403 단계 및 405 단계는 표시부(140)에 대기 화면이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백그라운드 프로세싱에 의하여 동작할 수 있다.
한편 휴대 단말기는 409 단계에서 이전에 삽입된 SIM 카드가 제거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 과정에서 이전에 삽입된 SIM 카드 제거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407 단계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사용자 조작 또는 사용자 요청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 기능을 지원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409 단계에서 이전에 삽입된 SIM 카드가 제거되면 휴대 단말기(100)는 411 단계로 분기하여 타이머(163)를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복수 개의 타이머를 운용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타이머는 각각 만료 타이밍이 서로 다른 타이머가 될 수 있다.
다음으로 휴대 단말기(100)는 413 단계에서 타이머(163) 만료 전에 특정 SIM 카드(200)가 삽입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타이머 만료 전에 특정 SIM 카드(200)가 삽입되면 휴대 단말기(100)는 415 단계에서 삽입된 특정 SIM 카드(200)가 제거된 SIM 카드와 동일한 SIM 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415 단계에서 새로 삽입된 특정 SIM 카드(200)가 이전에 삽입된 SIM 카드와 동일한 SIM 카드인 경우, 휴대 단말기(100)는 407 단계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즉 휴대 단말기(100)는 별도의 정보 갱신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이전에 저장되어 있던 SIM 카드와 관련된 정보 즉, 기지국 관련 정보와 이동통신 서비스 관련 정보를 유지하고 이를 기반으로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새로 삽입된 특정 SIM 카드(200)로부터 IMSI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IMSI 정보와 이전에 삽입된 SIM 카드의 IMSI 정보를 상호 비교 확인함으로써 이전에 삽입된 SIM 카드와 새로 삽입된 특정 SIM 카드(200)의 동일성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413 단계에서 타이머 만료 후에 특정 SIM 카드(200)가 삽입되었거나, 타이머 만료 전이지만 415 단계에서 이전에 삽입된 SIM 카드와 다른 SIM 카드가 삽입된 경우, 휴대 단말기(100)는 417 단계로 분기하여 새로 삽입된 특정 SIM 카드(200)를 기반으로 SIM 프로토콜 프로시저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는 419 단계에서 새로 삽입된 특정 SIM 카드(200)를 기반으로 운용된 SIM 프로토콜 프로시저에 의해 발생한 갱신된 SIM 카드 관련 정보를 가상 SIM 저장 영역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새로 삽입된 특정 SIM 카드(200)를 기반으로 기지국 서칭과 접속 및 위치 등록 과정 등을 수행하여 이동통신 서비스 지원을 위한 과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새로 삽입된 특정 SIM 카드의 IMSI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부(150)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며, 할당된 가상 SIM 저장 영역을 새로 삽입된 특정 SIM 카드(200)를 기반으로 획득된 PLMN 선택 정보 및 셀 선택 정보 등을 포함하는 기지국 관련 정보로 갱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이전에 삽입된 SIM 카드를 기반으로 저장된 통화 로그 정보, 폰 북 정보, 문자 송수신 정보 등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서비스 관련 정보를 제거하고 상기 가상 SIM 저장 영역을 새로 삽입된 특정 SIM 카드(200)에 저장된 이동통신 서비스 관련 정보로 갱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휴대 단말기(100)는 411 단계에서 복수 개의 타이머를 동작시킬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특정 타이밍 구간에서 새로 삽입되는 특정 SIM 카드(200)에 따라 가상 SIM 저장 영역에 저장된 이동통신 서비스 관련 정보를 그대로 유지하거나, 새롭게 갱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IM1 카드(201)가 삽입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하여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휴대 단말기(100)는 SIM1 카드(201) 제거 시 만료 기간이 다른 제1 타이머와 제2 타이머를 구동하고, 제1 타이머 만료 전에 SIM1 카드(201)가 재 삽입되면 휴대 단말기(100)는 별도의 정보 갱신을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1 타이머 만료 후 및 제2 타이머 만료 전에 SIM1 카드(201)가 삽입되면 휴대 단말기(100)는 SIM 프로토콜 프로시저를 운용하여 기지국 관련 정보만 갱신하도록 제어한다. 마지막으로 제2 타이머 만료 후 SIM1 카드(201)가 삽입되면, 휴대 단말기(100)는 기지국 관련 정보와 이동통신 서비스 관련 정보의 갱신을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타이머의 구동에 관계없이, SIM1 카드(201)와 다른 SIM2 카드(203)가 삽입되면 SIM 프로토콜 프로시저를 수행하여 기지국 관련 정보를 갱신하고, SIM2 카드(203)에 저장된 이동통신 서비스 관련 정보의 갱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수행하면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SIM 카드 교체에 따른 SIM 프로토콜 프로시저의 수행과 기지국 관련 정보의 갱신, 이동통신 서비스 관련 정보의 갱신만을 수행하도록 하여 별도의 부팅 과정 없이 이동통신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표시부(140)에 대기 화면을 지속적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가상 SIM 저장 영역 설정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서비스 관련 정보를 별도의 저장부(150) 영역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전에 삽입된 SIM 카드 제거 및 삽입 여부에 관계없이 이동통신 서비스 관련 정보를 이전 상태로 유지하면서 별도의 갱신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요약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의 운용 방법 및 장치는 이전에 삽입된 SIM 카드가 제거되면, 제거된 SIM 카드와 동일한 SIM 카드가 삽입되는지, 또는 제거된 SIM 카드와 다른 SIM이 삽입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동일한 SIM 또는 다른 SIM의 삽입 시기에 따라 기지국 관련 정보와 이동통신 서비스 관련 정보의 갱신을 제어하도록 지원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동일한 SIM이 타이머 만료 전에 삽입되는 경우, 기지국 관련 정보와 이동통신 서비스 관련 정보를 갱신하지 않고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동일한 SIM 이 타이머 만료 후에 삽입되는 경우, 기지국 관련 정보와 이동통신 서비스 관련 정보를 갱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휴대 단말기는 만료 시점이 다른 두 개의 타이머를 구동하는 경우, 제1 타이머 만료 전에 동일한 SIM이 삽입되면 기지국 관련 정보와 이동통신 서비스 관련 정보를 갱신하지 않도록 하고, 제1 타이머 만료 후 및 제2 타이머 만료 전에 동일한 SIM이 삽입되면 기지국 관련 정보만 갱신하도록 제어하며, 제2 타이머 만료 후에 동일한 SIM이 삽입되면 기지국 관련 정보와 이동통신 서비스 관련 정보를 모두 갱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는 다른 SIM이 삽입되면 타이머의 만료에 관계없이 기지국 관련 정보와 이동통신 서비스 관련 정보를 모두 갱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 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어부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Claims (16)

  1. 이전 삽입된 SIM 카드 제거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이전 삽입된 SIM 카드 제거 후, 제거된 SIM 카드와 동일한 SIM 카드가 재 삽입되거나 또는 상기 제거된 SIM 카드와 다른 SIM 카드가 새로 삽입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카드 삽입 과정과;
    새로 삽입되는 SIM 카드의 종류 및 삽입 시기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새로 삽입된 SIM 카드 기반의 기지국 관련 프로토콜 프로시저를 수행하여 새로운 기지국 관련 정보로 갱신하거나, 상기 제거된 SIM 카드 기반으로 저장된 기지국 관련 정보를 유지하는 정보 관리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운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관리 과정은
    상기 다른 SIM 카드가 새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다른 SIM 카드 기반으로 수행된 프로토콜 프로시저에 의해 획득된 PLMN 정보 및 셀 선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지국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거된 SIM 카드 기반으로 저장된 기지국 관련 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운용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관리 과정은
    상기 제거된 SIM 카드 기반으로 저장된 통화 로그 정보, 폰 북 정보, 문자 송수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서비스 관련 정보를 새로 삽입된 상기 다른 SIM 카드 기반의 이동통신 서비스 관련 정보로 갱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운용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관리 과정은
    상기 동일한 SIM 카드가 재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거된 SIM 카드 기반으로 저장된 기지국 관련 정보를 유지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운용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전에 삽입된 SIM 카드 제거 시 타이머를 동작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운용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관리 과정은
    상기 타이머 만료 이전에 상기 동일한 SIM 카드가 재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거된 SIM 카드 기반으로 저장된 기지국 관련 정보를 유지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 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운용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관리 과정은
    상기 제거된 SIM 카드 기반으로 저장된 통화 로그 정보, 폰 북 정보, 문자 송수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서비스 관련 정보를 유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운용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관리 과정은
    상기 타이머 만료 이후에 동일한 SIM 카드 또는 다른 SIM 카드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거된 SIM 카드 기반의 기지국 관련 정보를, 상기 동일한 SIM 카드 또는 다른 SIM 카드 기반으로 기지국 관련 프로토콜 프로시저를 수행하여 새로 수집된 기지국 관련 정보로 갱신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운용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제1 만료 시점을 가지며 동작하는 제1 타이머 및 제1 만료 시점보다 긴 제2 만료 시점으로 동작하는 제2 타이머를 동작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운용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관리 과정은
    상기 제1 타이머 만료 이전에, 상기 동일한 SIM 카드가 재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거된 SIM 카드 기반으로 저장된 기지국 관련 정보와 상기 제거된 SIM 카드 기반으로 저장된 통화 로그 정보, 폰 북 정보, 문자 송수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서비스 관련 정보를 유지하는 과정을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운용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관리 과정은
    제1 타이머 만료 이후 및 제2 타이머 만료 이전에 동일한 SIM 카드가 삽입되는 경우, 동일한 SIM 카드 기반의 기지국 관련 프로토콜 프로시저를 수행하여 새로운 기지국 관련 정보로 갱신하고, 상기 제거된 SIM 카드 기반으로 저장된 통화 로그 정보, 폰 북 정보, 문자 송수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서비스 관련 정보를 유지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운용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관리 과정은
    상기 제2 타이머 만료 이후 상기 동일한 SIM 카드 또는 다른 SIM 카드가 삽 입되는 경우, 동일한 SIM 카드 또는 다른 SIM 카드 기반으로 기지국 관련 프로토콜 프로시저를 수행하여 새로운 기지국 관련 정보로 갱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거된 SIM 카드 기반의 통화 로그 정보, 폰 북 정보 및 문자 송수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서비스 관련 정보를 동일한 SIM 카드 또는 다른 SIM 카드 기반의 이동통신 서비스 관련 정보로 갱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운용 방법.
  13. 복수 개 중 적어도 하나의 SIM 카드가 교번적으로 삽입이 가능한 SIM 카드 인터페이스와;
    삽입된 SIM 카드가 제거되고 이후 새로 삽입되는 SIM 카드의 종류 및 삽입 시기에 따라 기지국 관련 프로토콜 프로시저를 수행하여 새로운 기지국 관련 정보로 갱신하거나, 이전에 저장된 기지국 관련 정보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삽입된 SIM 카드 기반으로 기지국과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기지국으로부터 기지국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주파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삽입되어 있던 SIM 카드가 제거되면 일정 시간 경과 후, "No SIM 카드 모드" 진입을 알리는 메시지, 삽입된 SIM 카드의 종류를 지시하는 아이콘이나 이미지 등을 출력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삽입되는 SIM 카드의 종류를 인식하는 SIM 카드 인식부와;
    삽입된 SIM 카드 제거 시 동작하는 타이머와;
    상기 타이머 만료 이전 또는 타이머 만료 이후 새로 삽입되는 SIM 카드 종류에 따라 제거된 SIM 카드 기반으로 저장된 기지국 관련 정보의 갱신 여부를 결정하는 정보 갱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6. 제13항에 있어서,
    삽입되는 SIM 카드의 종류를 인식하는 SIM 카드 인식부와;
    상기 SIM 카드 제거 시 동작하는 제1 타이머 및 제2 타이머와;
    상기 제1 타이머 만료 이전 시점, 상기 제1 타이머 만료 이후 및 상기 제2 타이머 만료 이전 시점, 상기 제2 타이머 만료 이후 시점 중 어느 하나의 시점과 삽입되는 SIM 카드 종류에 따라 이전에 저장된 기지국 관련 정보의 갱신 여부를 결정하는 정보 갱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090097202A 2009-10-13 2009-10-13 휴대 단말기의 운용 방법 및 장치 KR20110040073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202A KR20110040073A (ko) 2009-10-13 2009-10-13 휴대 단말기의 운용 방법 및 장치
US12/897,159 US20110086670A1 (en) 2009-10-13 2010-10-04 Mobile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EP10186456.9A EP2312873A3 (en) 2009-10-13 2010-10-04 Mobile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N201010506466.0A CN102045700B (zh) 2009-10-13 2010-10-12 移动装置及其操作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202A KR20110040073A (ko) 2009-10-13 2009-10-13 휴대 단말기의 운용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0073A true KR20110040073A (ko) 2011-04-20

Family

ID=43446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7202A KR20110040073A (ko) 2009-10-13 2009-10-13 휴대 단말기의 운용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10086670A1 (ko)
EP (1) EP2312873A3 (ko)
KR (1) KR20110040073A (ko)
CN (1) CN102045700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4863A (ko) * 2013-12-24 2015-07-02 주식회사 케이티 데이터 사용량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21248A (ko) * 2015-04-09 2017-11-01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가상 sim 카드를 유지보수하기 위한 이동 단말, 유지보수 서버, 및 방법과 장치
KR20180018196A (ko) * 2016-08-12 2018-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32706B2 (en) * 2010-10-30 2013-09-10 Palm, Inc. Techniques to manage a subscriber identity module for a mobile wireless device
US8943194B2 (en) 2012-04-05 2015-01-27 Blackberry Limited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resubscribing communication device to a push notification service
CN102932531B (zh) 2012-09-27 2015-05-27 华为技术有限公司 保持客户识别模块卡待机的方法和终端设备
CN103108081B (zh) * 2013-01-22 2015-06-17 Tcl通讯(宁波)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的sim卡检测控制装置
EP2770766B1 (en) * 2013-02-25 2015-11-25 Vodafone Holding GmbH Displaying stored data while provisioning service functionalities of a mobile terminal
US9805208B2 (en) 2013-09-30 2017-10-31 Elwha Llc Mobile device sharing facilitation methods and systems with recipient-dependent inclusion of a data selection
US9740875B2 (en) 2013-09-30 2017-08-22 Elwha Llc Mobile device sharing facilitation methods and systems featuring exclusive data presentation
US9774728B2 (en) 2013-09-30 2017-09-26 Elwha Llc Mobile device sharing facilitation methods and systems in a context of plural communication records
US9826439B2 (en) 2013-09-30 2017-11-21 Elwha Llc Mobile device sharing facilitation methods and systems operable in network equipment
US20150095421A1 (en) * 2013-09-30 2015-04-02 Elwha Llc Mobile device sharing facilitation methods and systems featuring a recipient-selective default address determination
US9838536B2 (en) 2013-09-30 2017-12-05 Elwha, Llc Mobile device sharing facilitation methods and systems
US9813891B2 (en) 2013-09-30 2017-11-07 Elwha Llc Mobile device sharing facilitation methods and systems featuring a subset-specific source identification
JP2015153103A (ja) * 2014-02-13 2015-08-24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CN106105362B (zh) 2014-05-21 2019-11-15 柏思科技有限公司 用于配置射频模块的方法和系统
US9548781B2 (en) * 2014-08-12 2017-01-17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Enabling pre-provisioned proprietary carrier-specific feature services and applications for execution on a mobile device
US11019472B2 (en) 2015-01-23 2021-05-25 Tracfone Wireless, Inc. Data connection setting application
CN108282845B (zh) 2015-04-30 2021-01-1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网络接入方法及移动通信终端
CN104853411B (zh) * 2015-04-30 2018-05-01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网络接入方法及移动通信终端
CN105050112B (zh) * 2015-06-19 2017-05-1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网络接入方法及移动终端
US20170094501A1 (en) * 2015-09-30 2017-03-30 Mediatek Inc. Method of Enhanced Timer Handling for SIM/USIM Change
CN105516508A (zh) * 2015-12-30 2016-04-20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虚拟sim卡的启用方法和装置
US10075891B2 (en) * 2016-09-30 2018-09-11 Intel IP Corporation Camping approach in multi-SIM user equipment when present in coverage holes of respective network operators
US10129921B2 (en) * 2017-01-06 2018-11-13 Mediatek Inc. Enhanced PS domain data-off mechanism
CN109600779A (zh) * 2018-12-30 2019-04-09 Tcl移动通信科技(宁波)有限公司 一种sim卡掉卡识别方法、智能终端及存储介质
CN110475240B (zh) * 2019-07-04 2022-07-19 深圳市奥克多普科技有限公司 云sim应用终端的sim卡类型识别方法、装置及终端
CN110351705B (zh) * 2019-07-17 2022-02-11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双卡终端的用户标识关联关系确定方法及系统
US11737012B2 (en) * 2020-06-16 2023-08-22 Apple Inc. Maintaining access to services via SIM card
CN112685084A (zh) * 2020-12-21 2021-04-2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资源配置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24639B2 (ja) * 2000-02-22 2003-07-07 日本電気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固有情報管理方法
GB2375261B (en) * 2001-04-30 2004-10-13 Nokia Corp Radiotelephone system
US7369851B2 (en) * 2002-04-19 2008-05-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mmunications network capable of determining SIM card changes in electronic devices
TWI238643B (en) * 2004-06-01 2005-08-21 Benq Corp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resuming operating function of temporarily disable SIM card
KR100606069B1 (ko) * 2004-10-25 2006-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Gsm/gprs용 복합 단말기에서 신뢰성 있는데이터베이스 관리 방법 및 그 복합 단말기
KR100713413B1 (ko) * 2004-10-30 2007-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드 정보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구동 모드를 선택하는듀얼모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WO2007029617A1 (ja) * 2005-09-08 2007-03-15 Nec Corporation 移動通信端末および移動通信方法
KR100724423B1 (ko) * 2005-10-05 2007-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하나의 심 카드 소켓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제어방법
US7505446B2 (en) * 2006-01-18 2009-03-17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use in switching communication operations between a wireless wide area network and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KR100800792B1 (ko) * 2006-08-07 2008-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통화기능 수행방법
CN101350968B (zh) * 2007-07-17 2011-11-30 英华达(南京)科技有限公司 Gsm与tdscdma双模手机控制双gsm用户识别模块的方法
TWI375448B (en) * 2008-01-16 2012-10-21 Wistron Neweb Corp Method and communications device for changing electronic cards without power off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4863A (ko) * 2013-12-24 2015-07-02 주식회사 케이티 데이터 사용량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21248A (ko) * 2015-04-09 2017-11-01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가상 sim 카드를 유지보수하기 위한 이동 단말, 유지보수 서버, 및 방법과 장치
US10104535B2 (en) 2015-04-09 2018-10-16 Huawei Technologies Co., Ltd. Mobile terminal, maintenance server,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virtual SIM card
KR20180018196A (ko) * 2016-08-12 2018-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45700A (zh) 2011-05-04
US20110086670A1 (en) 2011-04-14
CN102045700B (zh) 2015-01-21
EP2312873A3 (en) 2014-08-06
EP2312873A2 (en) 2011-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40073A (ko) 휴대 단말기의 운용 방법 및 장치
US8532716B2 (en) Electric power control method and mobile device adapted thereto
KR101663012B1 (ko) Sim 기반 데이터 통신 설정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101661221B1 (ko) 적응적 데이터 통신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101691482B1 (ko) 적응적 데이터 통신 제어를 수행하는 단말기 및 이의 운용 방법
KR101790045B1 (ko) 듀얼 심카드 단말기의 위치 정보 수집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위치 정보 수집 시스템
CN101404828B (zh) 双待机模式移动终端及其通信模式控制方法
KR20120117099A (ko) 휴대 단말기의 동기화 방법 및 장치
EP2749988A1 (en) Method and device for application program operation, mobile terminal
KR20090011314A (ko) 이동 단말기와 그의 심 카드 표시 방법
KR20120079901A (ko) 듀얼 심카드 단말기의 통신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듀얼 심카드 단말기와 네트웍 시스템
CN104834517A (zh) 一种移动终端省电的方法及移动终端
CN103516893A (zh) 在便携式终端中执行富通信套件的能力发现的方法和设备
KR20180085214A (ko) 사물 인터넷 통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4427083A (zh) 调节音量的方法和装置
CN105812573A (zh) 一种语音处理方法及移动终端
US20110119355A1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updating display screen with online widget
KR20140080099A (ko) 복수의 심을 장착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심 선택 방법
CN103312907A (zh) 语音通道分配管理方法和相关设备及通信系统
KR20110103625A (ko) 듀얼 스탠바이 휴대용 단말기 및 오디오 패스 연결 방법
CN104468961A (zh) 提示终端位置的方法及装置
CN110062929A (zh) 一种显示数据的方法、装置和终端
CN106412878A (zh) 一种用户识别卡的激活装置和方法
KR101964932B1 (ko) 심카드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이의 배터리 관리 방법
CN105391870A (zh) 定时提醒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