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8094B1 - 서비스 존에 해당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서비스 존에 해당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8094B1
KR101698094B1 KR1020100095497A KR20100095497A KR101698094B1 KR 101698094 B1 KR101698094 B1 KR 101698094B1 KR 1020100095497 A KR1020100095497 A KR 1020100095497A KR 20100095497 A KR20100095497 A KR 20100095497A KR 101698094 B1 KR101698094 B1 KR 101698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server
set identifier
zone
ss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5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3788A (ko
Inventor
이광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5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8094B1/ko
Priority to US12/970,249 priority patent/US8660033B2/en
Priority to EP10015955.7A priority patent/EP2437463B1/en
Publication of KR20120033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3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8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8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2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 H04W48/04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based on user or terminal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moving direction, spe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2Network 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75Indicating network or usage conditions on the user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8Timers or timing mechanisms used in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50Service provisioning or reconfigu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서비스 셋 식별자(SSID) 또는 기본 서비스 셋 식별자(BSSID)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셋 식별자(SSID) 또는 기본 서비스 셋 식별자(BSSID)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수신된 경우, 서버로 상기 수신된 서비스 셋 식별자(SSID) 또는 기본 서비스 셋 식별자(BSSID)에 대응하는 서비스 식별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서비스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서비스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서비스 존에 해당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CORRESPONDING TO A SERVICE ZONE}
본 명세서는 액세스 포인트(Acess Point)로부터 브로드 캐스팅되는 서비스 셋 식별자(SSID)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또는 설치 없이 서비스 존에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단말기의 사용자들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 각각의 서비스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또는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일 예로, 호텔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고자 할 때, 각각의 호텔마다(힐튼 호텔(Hilton Hotel), 매리어트 호텔(Marriott Hotel) 등) 따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또는 설치해야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본 명세서는 액세스 포인트(Acess Point)로부터 브로드 캐스팅되는 서비스 셋 식별자(SSID)를 이용하여 각각의 서비스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또는 설치 없이 서비스 존에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서비스 셋 식별자(SSID) 또는 기본 서비스 셋 식별자(BSSID)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셋 식별자(SSID) 또는 기본 서비스 셋 식별자(BSSID)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수신된 경우, 서버로 상기 수신된 서비스 셋 식별자(SSID) 또는 기본 서비스 셋 식별자(BSSID)에 대응하는 서비스 식별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서비스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서비스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생성된 오브젝트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브젝트가 실행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셋 식별자(SSID) 또는 기본 서비스 셋 식별자(BSSID)는 존 캐스팅 서비스가 제공됨을 표시하는 프리픽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식별 정보는 서비스 존에 해당하는 서비스 이름, 서비스 URL 및 서비스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브젝트는 상기 서비스 식별 정보를 표시하는 숏 컷(Short-Cut) 아이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정보는 상기 서비스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서비스, 서비스 목록 및 해당 서비스에 대한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정보는 상기 오브젝트가 실행되는 경우, URL을 이용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서비스 셋 식별자(SSID) 또는 기본 서비스 셋 식별자(BSSID)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 상기 서비스 셋 식별자(SSID) 또는 기본 서비스 셋 식별자(BSSID)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수신된 경우, 상기 수신된 서비스 셋 식별자(SSID) 또는 기본 서비스 셋 식별자(BSSID)에 대응하는 서비스 식별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여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생성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생성된 오브젝트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오브젝트가 실행되는 경우, 상기 서버로부터 서비스 존에 해당하는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수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정보는 상기 오브젝트가 실행되는 경우, URL을 이용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는 서비스 존에 해당하는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것으로서, 어플리케이션을 각 서비스마다 따로 다운로드 또는 설치 없이 구별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로서, 존 캐스팅 서비스(Zone casting service)를 제공하기 위한 개념도.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숏 컷 아이콘(Short-Cut Icon)을 생성하여 표시하기 위한 단말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존에 해당하는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시그널링(Signalling)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숏 컷 아이콘이 생성되어 화면에 표시된 상황을 나타낸 도.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존 캐스팅 서비스( Zone Casting Service ) 개념
먼저, 존 캐스팅 서비스(Zone Casting Service)란, 사용자가 서비스 존에 진입한 후, 존 캐스팅 어플리케이션(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상기 서비스 존에 해당하는 서비스 정보가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서비스를 말한다. 특히, 상기 서비스 존에 해당하는 서비스 정보 중 커스터마이즈된(customized) 서비스 정보가 제공되는 서비스를 말한다. 여기서, 커스터마이즈된(customized) 서비스 정보는 현재 서비스 존에서 사용자에게 유용하거나 필요한 맞춤형 서비스 정보를 말한다.
상기 서비스 존은 특정 장소나 특정 지역에 구축된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상기 네트워크 내의 서버로부터 서비스가 제공되는 지역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상기 서비스 존은 백화점, 극장, 호텔과 같은 특정 장소일 수 있으며, 상기 백화점, 극장, 호텔 등을 포함하는 특정 지역 또는 상기 백화점, 극장, 호텔 내의 특정 지역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와 접속하기 위해서 유/무선 통신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방식으로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NFC/RFID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이 적용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3G 이동 통신, 차세대 이동 통신인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맥스(WiMAX) 등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정보는 상기 서비스 존에 해당하는 서비스, 서비스 목록, 해당 서비스에 대한 콘텐츠 등 서비스 존에서 제공될 수 있는 정보를 가리킨다. 여기서, 서비스 존에 해당하는 서비스는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존 캐스팅 어플리케이션은 존 캐스팅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이며, 상기 서비스 존 어디에서나 사용 가능하다. 즉, 존 캐스팅 서비스가 제공되는 서비스 존이면 어느 곳에서나 사용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말한다. 또한, 상기 존 캐스팅 어플리케이션은 기 저장되어 있거나 상기 서비스 존 진입하여 자동 또는 수동으로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자동 또는 수동의 구별은 사용자의 개입 없이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존 캐스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로서, 존 캐스팅 서비스(Zone casting service)를 제공하기 위한 개념 도를 나타낸다.
먼저, 무선랜 시스템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기로 한다.
무선 랜 시스템은 이동 통신 단말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와 연결되어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다수의 엑세스 포인트(Acess Point; AP)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랜 시스템은 IP 주소 정보에 따라 라우팅하는 라우터, IP 주소를 할당 및 관리하는 DHCP 서버(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Server), AP들에 대한 이웃 AP 테이블을 저장 및 관리하는 정보 서버인 SIP 프록시 서버(Session Initiation Protocol Proxy Server) 및 이동 통신 단말기 및 AP들을 802.1X 프로토콜에 따라 인증하는 인증 서버(Authentication Server:A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랜 시스템은 IEEE 802.11 프로토콜이 채용될 수 있으며, 식별자로는 에스에스 아이디(Service Set Identifier; SSID) 또는 베이직 에스에스 아이디(Basic Service Set Identifier; BSSID)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에스에스 아이디(SSID)는 각 무선 랜 시스템에 고유하게 할당되는 식별자로서, 여러 무선 랜 시스템들이 동일한 장소에서 동일한 시간에 동작할 수 있도록 해준다.
무선 랜 시스템의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엑세스 포인트(AP)에 동일한 에스에스 아이디(SSID)가 부여된다. 상기 베이직 에스에스 아이디(BSSID)는 무선 랜 시스템의 각 액세스 포인트(AP)에 고유하게 할당되는 계층 식별자(MAC address)로서, 무선 랜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의 IEEE 802.11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모듈에서 각 액세스 포인트(AP)를 식별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주기적인 액세스 포인트(AP) 검출 신호에 따라 주변에 존재하는 액세스 포인트(AP)들을 검출한다. 즉,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기 무선 랜 시스템이 제공하는 채널들을 연속적으로 스캐닝하여 그 중 수신 신호 세기(Received Signal Strength:RSS) 또는 신호 대 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SNR)가 가장 높은 채널에서 동작하는 액세스 포인트(AP)를 검출하고 연결할 액세스 포인트(AP)로 선정한다. 이 후,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와 상기 선정된 액세스 포인트(AP)를 연결하기 위한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인증 절차를 거친 후 상기 선정된 액세스 포인트(AP)와 연결된다.
존 캐스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100)은 단말(110), 서버 및 액세스 포인트(acess point)(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단말(110)은 서비스 존에 해당하는 서비스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제공받은 서비스 정보를 사용자에게 보여주기 위한 장치를 말한다. 여기서, 단말은 상기에서 언급한 존 캐스팅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존 캐스팅 어플리케이션을 미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존 캐스팅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또는 서비스 존에 진입하여 다운로드 되거나 설치될 수 있다.
단말은 서비스 존 진입 후, 상기 서비스 존이 존 캐스팅 서비스가 제공되는지에 대해 시각적, 청각적 또는 촉각적 신호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은 텍스트, 이미지, 아이콘, 진동, 음성 등을 이용하여 존 캐스팅 서비스가 제공됨을 알려주게 된다.
다음으로, 단말은 존 캐스팅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의 요청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서비스 존에 해당하는 액세스 포인트(AP)를 검색한 후, 상기 검색된 액세스 포인트 중 하나를 통해 서비스 존 내의 서버와 접속한다. 단말은 상기 서버와 접속 후, 상기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서비스 정보를 제공받게 된다. 여기서, 서버는 상기 서비스 존에 구축된 네트워크의 일부로서, 서버에 접속하는 것은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것과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서버에 접속하는 것과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것은 동일한 의미로 해석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의 요청 정보 입력은 존 캐스팅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를 말한다. 상기 요청 정보 입력은 음성, 화면에 표시된 존 캐스팅 어플리케이션의 선택, 단말의 움직임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입력 가능하다.
서버는 서비스 존 내의 로컬 서버(131)와 서비스 존 외의 외부 서버(132)로 구성된다.
로컬 서버(131)는 서비스 존 내에 설치된 서버로서, 서비스 존에 해당하는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또한, 상기 로컬 서버와 접속된 단말에게 저장하고 있는 서비스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로컬 서버는 서비스 존에 해당하는 서비스 정보를 서비스 종류별, 서비스 제공 장소별 등 다양한 형태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로컬 서버에 저장된 정보DB는 상기 로컬 서버가 포함된 장소 또는 특정 지역즉, 서비스 존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정보에 해당한다.
예를 들면, 서비스 존이 호텔인 경우, 상기 로컬 서버는 호텔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정보 즉, 상기 호텔 주변의 지역 정보, 룸 서비스 정보, 호텔 내 구비된 식당 정보 등 다양한 서비스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있다.
또한, 상기 로컬 서버는 해당 서비스 존에 설치된 액세스 포인트의 정보를 저장한다. 액세스 포인트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 및 BSSID(Basic Service Set Identifier)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외부 서버(132)는 존 캐스팅 서비스가 제공되는 서비스 존에 대한 위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하고 있는 서버를 말한다. 상기 외부 서버는 일반적으로 현재 단말이 진입한 서비스 존 외부에 위치하나, 상기 서비스 존 내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단말은 상기 서비스 존 외부에 있는 경우, 현재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존 캐스팅 서비스가 제공되는 서비스 존의 위치를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즉, GPS 수신기를 통해 측정된 위치 정보를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한 후, 해당 주변에 위치한 존 캐스팅 서비스가 제공되는 서비스 존의 위치 정보를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제공받는다.
이 경우, 단말은 외부 서버와 접속하기 위해, 근거리 통신, 이동 통신 등 다양한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접속하게 된다.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120)는 상기 로컬 서버(131)에 접속하기 위한 무선 통신 장치에 해당한다. 이 경우, 액세스 포인트는 독립적인 전원을 사용하며,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모듈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설치된 지역의 위치 정보는 상기 로컬 서버에 저장되어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일 실시 예로서, 와이 파이(Wi-Fi) 무선 접속 방식을 이용하여 로컬 서버와 접속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NFC/RFID, 지그비, 블루투스 등 근거리 통신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이하에서, 상기 존 캐스팅 어플리케이션이 단말에 기 저장되어 있는 경우 즉, 단말 내에 이미 탑재되어 있는 경우의 존 캐스팅 서비스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무선 통신부(210), A/V(Audio/Video) 입력부(220), 사용자 입력부(230), 센싱부(240), 출력부(250), 메모리(260), 인터페이스부(270), 제어부(280) 및 전원 공급부(2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210)는 이동 통신 단말기(11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통신 단말기(110)와 이동 통신 단말기(11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무선 통신부는 송신부 및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210)는 방송 수신 모듈(211), 이동통신 모듈(212), 무선 인터넷 모듈(213), 근거리 통신 모듈(214) 및 위치정보 모듈(2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부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서비스 셋 식별자(SSID) 또는 기본 서비스 셋 식별자(BSSID)를 수신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2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2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2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2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2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2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2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11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2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215)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2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221)와 마이크(2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2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2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2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2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2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2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2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2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2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2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240)는 이동 통신 단말기(110)의 개폐 상태, 이동 통신 단말기(11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방위,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11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통신 단말기(11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2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2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240)는 근접 센서(2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2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251), 음향 출력 모듈(252), 알람부(253), 및 햅틱 모듈(2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이동 통신 단말기(11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통신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브젝트(숏 컷 아이콘)를 제어부의 제어하에 바탕 화면에 표시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11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2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2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2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2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2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280)는 디스플레이부(2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251)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2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251)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251)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251)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251)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251)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2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2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2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252)은 이동 통신 단말기(11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2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253)는 이동 통신 단말기(11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2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251)나 음성 출력 모듈(2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251,252)은 알람부(2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2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2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2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2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2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254)은 이동 통신 단말기(11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260)는 제어부(2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260)는 상기 터치스크린(251)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60)는 임시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버퍼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메모리(2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2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270)는 이동 통신 단말기(11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2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통신 단말기(11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통신 단말기(11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통신 단말기(11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1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1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1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280)는 통상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되는 서비스 셋 식별자(SSID) 또는 기본 서비스 셋 식별자(BSSID)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수신된 경우, 상기 수신된 서비스 셋 식별자(SSID) 또는 기본 서비스 셋 식별자(BSSID)에 대응하는 서비스 식별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여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생성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오브젝트가 실행되는 경우, 상기 서버로부터 서비스 존에 해당하는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수신부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2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281)은 제어부(2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2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터치스크린(251)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290)는 제어부(2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2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260)에 저장되고, 제어부(2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숏 컷 아이콘(Short-Cut Icon)을 생성하여 표시하기 위한 단말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단말은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서비스 셋 식별자(SSID) 또는 기본 서비스 셋 식별자(BSSID)를 수신한다.(S310) 여기서, 상기 서비스 셋 식별자(SSID) 또는 기본 서비스 셋 식별자(BSSID)는 존 캐스팅 서비스가 제공됨을 표시하는 프리픽스(Prefix)를 포함한다. 일 예로, 상기 프리픽스를 포함하는 SSID는 ZC_Konziam(곤지암)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SSID 또는 BSSID를 주기적으로 브로드 캐스팅한다. 따라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할 수 있는 범위에 있는 단말들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브로드 캐스트하는 SSID 또는 BSSID를 주기적으로 수신하게 된다.
다음으로, 단말은 상기 서비스 셋 식별자(SSID) 또는 기본 서비스 셋 식별자(BSSID)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한다.(S320) 여기서,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변경가능하다.
단말은 상기 판단 결과, 기 설정된 시간 동안 SSID 또는 BSSID가 수신된 경우, 서버로 상기 수신된 서비스 셋 식별자(SSID) 또는 기본 서비스 셋 식별자(BSSID)에 대응하는 서비스 식별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를 전송한다.(S330) 여기서, 말하는 서버는 서비스 존 내의 서버를 의미한다. 또한, 단말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SSID 또는 BSSID를 수신하는 경우는 서비스 존에 진입하거나 매우 근접한 곳에 위치하는 경우를 말한다. 일 예로, 상기 서비스 존은 존 캐스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을 말한다.
상기 서비스 식별 정보는 서비스 이름,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및 서비스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를 말한다. 즉, 단말은 SSID 또는 BSSID를 통해 확인된 서비스 존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기 위해, 서버로 상기 정보를 요청한다. 일 예로, 상기 SSID 또는 BSSID를 통해 확인된 서비스 존이 호텔인 경우, 또한 상기 호텔에서 존 캐스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상기 호텔 내의 서버로 상기 호텔의 이름, URL 및 아이콘 이미지를 요청한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 존은 호텔 내의 특정 지역 예를 들면, 룸, 식당, 프런트 등일 수 있다.
단말은 상기 판단 결과, 기 설정된 시간 동안 SSID 또는 BSSID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주기적으로 SSID 또는 BSSID를 수신한다.
다음으로, 단말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한 서비스 식별 정보를 수신한다.(S340)
다음으로, 단말은 상기 수신된 서비스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생성한다.(S350) 여기서, 상기 오브젝트는 서비스 존에 해당하는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숏 컷(Short-Cut) 아이콘을 말한다. 즉, 상기 오브젝트는 상기 서비스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바로 가기 아이콘을 나타낸다.
상기 서비스 존은 임의의 장소나 지역에 구축된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상기 네트워크 내의 서버로부터 서비스 정보가 제공되는 지역을 말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정보는 상기 서비스 존에 해당하는 서비스, 서비스 목록 및 해당 서비스에 대한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정보는 상기 오브젝트가 실행되는 경우,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이용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다.
다음으로, 단말은 상기 생성된 오브젝트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S360) 즉, 상기 오브젝트는 존 캐스팅 서비스 존에 진입하는 경우(SSID 또는 BSSID를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수신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존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따로 다운로드 또는 설치하지 않고도, 단말에 기 저장되어 있는 존 캐스팅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성되게 된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존에 해당하는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시그널링(Signalling)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액세스 포인트는 존 캐스팅 서비스가 제공됨을 표시하는 프리픽스(Prefix) 및 상기 존 캐스팅 서비스 이름이 표시된 서비스 셋 식별자(SSID)를 주기적으로 브로드 캐스트 한다.(S410) 여기서,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SSID 대신에 BSSID를 주기적으로 브로드 캐스트 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SSID는 ZC_Konziam(존 캐스팅_곤지암)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
단말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브로드 캐스팅하는 SSID를 수신한다. 단말은 상기 수신된 SSID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수신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기 설정된 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변경 가능한 시간이다.
단말은 상기 판단 결과,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SSID를 수신한 경우, 서버로 즉, 존 캐스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 서비스 이름, 서비스 URL 및 서비스 숏 컷 아이콘(Short-Cut Ic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서비스 식별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를 전송한다.(S420) 서버는 단말로부터 요청된 서비스 식별 정보를 단말로 전송한다.(S430)
단말은 서버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바탕 화면에 서비스 아이콘 이미지, 서비스 이름 및 서비스 URL 정보가 포함된 숏 컷 아이콘을 생성한다.(S440) 여기서, 숏 컷 아이콘이란, 서비스 존에 해당하는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기 위 한 바로 가기 아이콘을 말한다.
단말은 사용자에 의해 상기 생성된 숏 컷 아이콘이 실행되면,(S450) 상기 서버와 접속하여 서버로부터 서비스 존에 해당하는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S470) 즉, 서비스 존 내의 서버로 서비스 URL 정보가 전송되어(S460), 단말은 상기 URL에 해당하는 서비스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받게 된다.(S470)
즉, 사용자가 상기 생성된 숏 컷 아이콘을 실행하면, 존 캐스팅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며, 파라미터(Parameter)로 서비스 URL 정보가 전송된다. 따라서, 존 캐스팅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초기화면을 거치지 않고 전송받은 서비스 URL로 바로 이동하여 서버로부터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여기서, 서비스 존은 임의의 장소나 지역에 구축된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상기 네트워크 내의 서버로부터 서비스 정보가 제공되는 지역을 말한다. 또한, 서비스 정보는 상기 서비스 존에 해당하는 서비스, 서비스 목록 및 해당 서비스에 대한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숏 컷 아이콘이 생성되어 화면에 표시된 상황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5a는 서비스 존이 힐튼(Hilton) 호텔인 경우를 나타내며, 도 5b는 서비스 존이 곤지암 리조트인 경우인 경우를 나타낸다.
도 5a를 참조하여, 서비스 존이 호텔인 경우 즉, 단말이 수신하는 서비스가 호텔에 해당하는 서비스인 경우를 예로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단말은 호텔 내에 설치된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호텔 이름 및 상기 호텔이 존 캐스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임을 표시하는 프리픽스(Prefix)가 포함된 SSID를 수신한다. 단말은 상기 수신된 SSID에 기초하여 호텔 내의 서버로 호텔 이름, 호텔에 관한 정보가 표시된 URL 및 상기 호텔을 나타내는 아이콘 이미지를 요청한 후, 상기 서버로부터 요청된 정보를 수신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은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정보 즉, 서비스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바탕 화면에 상기 요청된 정보를 표시하는 바로 가기(숏 컷) 아이콘(510)을 생성한다.
상기 생성된 바로 가기 아이콘이 사용자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단말은 호텔 내의 서버로부터 호텔에 해당하는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여기서, 서비스 정보는 URL을 이용하여 수신될 수 있다.
도 5b는 서비스 존이 곤지암 리조트인 경우에, 숏 컷 아이콘(520)이 바탕 화면에 표시된 것을 나타낸 도이다.
이후 단말은 숏 컷 아이콘이 생성된 SSID를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에 상기 생성된 숏 컷 아이콘을 자동으로 삭제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일정 지역에서 존 캐스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임을 표시하는 프리픽스(Prefix)가 포함된 다수의 SSID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된 SSID 모두에 대해 도 3에 표시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신호 강도가 양호한 존 캐스팅 서비스의 서버를 먼저 접속한 후, 이후 신호 강도의 양호함에 따라 순차적으로 다른 서버에 접속하는 방법으로 동작할 수 있다.
110: 단말
120: 액세스 포인트
131,132: 서버

Claims (11)

  1. 이동 단말기에 의한 단계들로,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서비스 셋 식별자(SSID) 또는 기본 서비스 셋 식별자(BSSID)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셋 식별자(SSID) 또는 기본 서비스 셋 식별자(BSSID)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수신된 경우, 서버로 상기 수신된 서비스 셋 식별자(SSID) 또는 기본 서비스 셋 식별자(BSSID)에 대응하는 서비스 식별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서비스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서비스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오브젝트를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오브젝트에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이 가해지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서비스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서비스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서비스, 서비스 목록 및 해당 서비스에 대한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서비스 정보를 상기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셋 식별자(SSID) 또는 기본 서비스 셋 식별자(BSSID)는 존 캐스팅 서비스가 제공됨을 표시하는 프리픽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식별 정보는 서비스 존에 해당하는 서비스 이름, 서비스 URL 및 서비스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는 상기 서비스 식별 정보를 표시하는 숏 컷(Short-Cut) 아이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정보는 상기 오브젝트가 실행되는 경우, URL을 이용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9.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서비스 셋 식별자(SSID) 또는 기본 서비스 셋 식별자(BSSID)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
    상기 서비스 셋 식별자(SSID) 또는 기본 서비스 셋 식별자(BSSID)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수신된 경우, 상기 수신된 서비스 셋 식별자(SSID) 또는 기본 서비스 셋 식별자(BSSID)에 대응하는 서비스 식별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여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생성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생성된 오브젝트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브젝트에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이 가해지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서비스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서비스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하며, 상기 서비스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서비스, 서비스 목록 및 해당 서비스에 대한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서비스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오브젝트가 실행되는 경우, 상기 서버로부터 서비스 존에 해당하는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수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정보는 상기 오브젝트가 실행되는 경우, URL을 이용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KR1020100095497A 2010-09-30 2010-09-30 서비스 존에 해당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698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5497A KR101698094B1 (ko) 2010-09-30 2010-09-30 서비스 존에 해당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12/970,249 US8660033B2 (en) 2010-09-30 2010-12-16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in service zone
EP10015955.7A EP2437463B1 (en) 2010-09-30 2010-12-22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in service z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5497A KR101698094B1 (ko) 2010-09-30 2010-09-30 서비스 존에 해당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3788A KR20120033788A (ko) 2012-04-09
KR101698094B1 true KR101698094B1 (ko) 2017-01-19

Family

ID=43858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5497A KR101698094B1 (ko) 2010-09-30 2010-09-30 서비스 존에 해당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660033B2 (ko)
EP (1) EP2437463B1 (ko)
KR (1) KR10169809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1242A (ko) * 2019-11-19 2021-05-27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복수개의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는 엣지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WO2021101055A1 (ko) * 2019-11-19 2021-05-27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복수개의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는 엣지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75509B2 (en) * 2010-09-13 2019-08-0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positioning
US8989094B2 (en) * 2011-11-22 2015-03-24 Wifinam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d displaying application information on a wireless station
US20130173467A1 (en) * 2011-12-29 2013-07-04 Ebay Inc. Methods and systems for using a co-located group as an authorization mechanism
KR101374385B1 (ko) * 2012-03-07 2014-03-14 주식회사 팬택 단축 아이콘 제공 기능을 갖는 휴대용 디바이스 및 단축 아이콘 제공방법
US20150019978A1 (en) * 2012-03-28 2015-01-15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1350692B1 (ko) * 2012-04-25 2014-01-10 손용석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다이렉트 서비스 제공 방법
CN106879047B (zh) 2012-05-02 2020-06-09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近场传递信息的方法、信息传达和接受客户端、信息系统
US20140051436A1 (en) * 2012-08-15 2014-02-20 Motorola Mobility Llc Methods and devices for identifying local area networks
US20150244810A1 (en) * 2012-08-29 2015-08-2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network connection method
US8934369B2 (en) * 2012-10-05 2015-01-13 Cisco Technology, Inc. Direction aware neighbor list infrastructure assisted roaming
US20140337950A1 (en) * 2013-05-07 2014-11-13 Futurewei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e Communications in a Wireless Network
JP2014232907A (ja) * 2013-05-28 2014-12-11 雄太 安藤 現在位置に基づくサイトページを所望条件順に携帯端末に表示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CN103997771A (zh) * 2014-05-15 2014-08-20 无锡风铃电子商务有限公司 基于无线接入识别技术进行应用和消息触发的系统及方法
JP6274028B2 (ja) * 2014-06-18 2018-02-07 富士通株式会社 表示端末、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CA3165844A1 (en) * 2020-01-30 2021-08-05 Albert F. Elcock System and method for graphical symbolic wi-fi service set identifier (ssid) display support
CN115509407A (zh) * 2021-06-22 2022-12-23 花瓣云科技有限公司 一种快捷图标展示方法与终端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68743A1 (en) 2005-05-24 2006-11-30 Fujitsu Limited Information portable terminal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07517445A (ja) * 2003-12-24 2007-06-28 ノーテル・ネツトワークス・リミテツド ローカル無線ゾーン内の位置ベース情報の提供
WO2009041033A1 (ja) 2007-09-28 2009-04-02 Sanyo Electric Co., Ltd. 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および端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20478B (fi) * 2000-02-24 2009-10-30 Nokia Corp Menetelmä ja laitteisto tietoliikenneverkkoon liittymiseksi
KR100681125B1 (ko) * 2005-01-03 2007-02-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존 기반 정보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430452B1 (ko) * 2007-10-15 2014-08-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 기기 및 이것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
KR101405945B1 (ko) * 2007-10-15 2014-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 기기 및 통신 기기의 이동 히스토리 생성 방법
KR20110088111A (ko) * 2010-01-28 2011-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위치 기반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17445A (ja) * 2003-12-24 2007-06-28 ノーテル・ネツトワークス・リミテツド ローカル無線ゾーン内の位置ベース情報の提供
US20060268743A1 (en) 2005-05-24 2006-11-30 Fujitsu Limited Information portable terminal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09041033A1 (ja) 2007-09-28 2009-04-02 Sanyo Electric Co., Ltd. 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および端末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1242A (ko) * 2019-11-19 2021-05-27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복수개의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는 엣지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WO2021101055A1 (ko) * 2019-11-19 2021-05-27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복수개의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는 엣지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2288235B1 (ko) 2019-11-19 2021-08-11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복수개의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는 엣지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37463B1 (en) 2018-04-25
EP2437463A1 (en) 2012-04-04
US8660033B2 (en) 2014-02-25
US20120082144A1 (en) 2012-04-05
KR20120033788A (ko) 2012-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8094B1 (ko) 서비스 존에 해당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6186508B2 (ja) ネットワーク接続方法及び端末
EP317402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with controlled smart device, computer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101807286B1 (ko)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기능 수행 방법 및 장치
KR102060373B1 (ko) 단말기의 근거리 무선통신 연결방법 및 장치
KR101780637B1 (ko) 연결 상태 프롬프팅 방법 및 장치
KR102077238B1 (ko) 디바이스들 간의 연결 설립 방법
CN109076561B (zh) 资源配置方法及装置
US11792659B2 (en) Method and device for using network slice
KR20110125756A (ko) 와이파이 디바이스의 와이파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06454998B (zh) 无线局域网络接入方法、装置及终端
CN106714244B (zh) 终端的无线接入方法、装置及终端
CN114390501B (zh) 数据传输的方法及电子设备
KR20140063334A (ko) 휴대 단말기에서 근거리 통신을 연결하는 장치 및 방법
US20190281543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CN109451878B (zh) 无人机指示方法及装置
KR101921207B1 (ko)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기능 수행 방법 및 장치
US11089537B2 (en) Method and device for broadcasting system information for supporting network communication of terminal
CN109618564B (zh) 传输方向的指示方法及装置
CN109309924B (zh) 数据传输方法及装置
US11696276B2 (en) Data scheduling method and apparatus
CN106792570B (zh) 定位方法及装置
US8798588B2 (en)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zone-based service outside of service zone
KR2013011564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Wi-Fi 통합방법
KR20120010526A (ko) WiFi단말기 및 그의 인터넷 접속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