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8815A - 기준 와이핑 동작의 필요성을 검출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기준 와이핑 동작의 필요성을 검출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8815A
KR20080068815A KR1020087009803A KR20087009803A KR20080068815A KR 20080068815 A KR20080068815 A KR 20080068815A KR 1020087009803 A KR1020087009803 A KR 1020087009803A KR 20087009803 A KR20087009803 A KR 20087009803A KR 20080068815 A KR20080068815 A KR 200800688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 sensor
operating point
windshield
stored
det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9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스 마이어
헨리 블릿츠케
랄프 보하트
클라우스 메르켈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80068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88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6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 B60S1/08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 B60S1/0818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including control systems responsive to external conditions, e.g. by detection of moisture, dirt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6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 B60S1/08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광학 레인 센서(2)를 포함하고, 전자 메모리(3) 내에, 실질적으로 건조한 윈드실드에 대한 상기 레인 센서(2)의 작동 지점이 저장되는, 윈드실드 와이퍼 시스템(1)에서 기준 와이핑 동작 실시의 필요성을 검출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상기 방법은, - 상기 레인 센서(2)의 실제 작동 지점을 검출하는 단계; - 상기 실제 검출된 작동 지점을 상기 저장된 작동 지점과 비교하는 단계; 및 - 상기 2 개의 작동 지점들이 실질적으로 상이한 경우, 상기 윈드실드 와이퍼 시스템(1)에 와이핑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레인 센서, 전자 메모리, 실제 작동 지점, 저장된 작동 지점,

Description

기준 와이핑 동작의 필요성을 검출하는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THE NEED FOR A REFERENCE WIPING OPERATION}
본 발명은 기준 와이핑 동작의 필요성을 검출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학 레인 센서를 구비하는 차량 윈드실드 와이퍼 시스템에서 레인 센서의 활성화를 시작할 때, 소위 기준 와이핑 동작이 실시된다. 상기 기준 와이핑 동작은, 레인 센서의 에러 없는 기능을 시작시부터 보장하기 위해, 와이핑하려는 차량의 윈드실드가, 레인 센서에 대해 규정된 출발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해 필요하다. 이 경우, 기준 와이핑 동작은 차량의 조향 칼럼 스위치(steering column switch)에 의한 레인 센서의 활성화 후에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점화 장치에 의해 레인 센서가 활성화된 후에는 기준 와이핑 동작이 실시되는 반면, 조향 칼럼 스위치에 의한 레인 센서의 활성화 후에는 기준 와이핑 동작이 실시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또한, 기준 와이핑 동작이 전혀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고, 이러한 경우 광학 레인 센서는 레인 센서 내로 재입사된 광의 양에 상응하는 신호 변동에만 반응한다. 신호 변동은 레인 센서 상의 새 빗방울에 의해 또는 윈드실드 상의 기류에 의 해 이동된 빗방울에 의해 나타날 수 있다.
기준 와이핑 동작은 레인 센서에 의해 제공되는 센서 면이 가능한 넓게 활용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기준 와이핑 동작의 필요성을 검출하는 방법 및 장치를 개선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청구항 제 1 항, 제 2 항 및 제 3 항에 따른 방법 및 청구항 제 10 항에 따른 장치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 청구항들에 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윈드실드 와이퍼 시스템에서 기준 와이핑 동작의 실시 필요성을 검출하기 위해 제공되고, 윈드실드 와이퍼 시스템은 광학 레인 센서를 포함하고, 전자 메모리 내에, 실질적으로 건조한 윈드실드에 대한 레인 센서의 작동 지점이 저장된다.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 레인 센서의 실제 작동 지점을 검출하는 단계,
- 실제 검출된 작동 지점과 저장된 작동 지점을 비교하는 단계, 및
- 상기 2 개의 작동 지점들이 실질적으로 상이한 경우, 예컨대 규정된 간격 차를 초과하는 경우, 윈드실드 와이퍼 시스템에 와이핑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실제 검출된 작동 지점이, 실질적으로 건조하거나 또는 청결한 윈드실드에 해당하는 저장된 작동 지점과 현저히 차이가 나는 경우에만, 기준 와이핑 동작을 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실제 검출된 작동 지점이 실질적으로 건조하거나 또는 청결한 윈도우에 상응하는지의 사실을 기초로, 언제 기준 와이핑 동작이 바람직하게 실시되고 언제 실시되지 않는지가 레인 센서에 의해 검출된다. 이로써, 건조하면서 경우에 따라 오염된 윈드실드에 기준 와이핑 동작이 실시됨으로써 유발되는 윈드실드 상의 바람직하지 않은 긁힘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이로부터, 윈드실드 와이퍼 시스템의 윈드실드 블레이드의 보호 및 윈드실드의 보호가 바람직하게 이루어지고, 이로써, 상기 부품들의 작동 수명도 훨씬 더 길어질 수 있다. 또한, 윈드실드 와이퍼 시스템을 실제 주어진 환경 조건에 맞추어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저장된 작동 지점이 윈드실드 와이퍼 시스템의 변화된 작동 조건에 맞추어 조정된다. 이로써, 전자 메모리 내에 저장된 작동 지점이 윈드실드 와이퍼 시스템의 변화된 작동 조건, 예컨대 윈드실드의 상태의 변화 또는 레인 센서 상태의 변화에 맞추어 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윈드실드 와이퍼 시스템의 장기 작동 특성도 개선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저장된 작동 지점의 모니터링이 각각의 기준 와이핑 동작 후에 실시된다. 이로써 실제 주어진 작동 및 환경 조건하에서 윈드실드 와이퍼 시스템의 효율적인 작동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이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사용될 수 있는 장치의 블록 회로도이다.
도 1에는 광학 레인 센서(2), 전자 메모리(3)(예컨대 EEPROM) 및 제어 장치(4)를 구비하는 윈드실드 와이퍼 시스템(1)이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전자 메모리(3)는 비휘발성, 프로그래밍 가능한 기록-/판독 메모리의 모든 형태로서 형성될 수 있고, 전자 메모리(3)는 바람직하게 가능한 많은 개수의 프로그래밍 사이클을 제공해야 한다. 레인 센서(2)는 전자 메모리(3)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전자 메모리(3)로부터 판독하고 전자 메모리(3) 내에 기록한다. 레인 센서(2)는 레인 센서(2)가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제어 장치(4)와도 연결된다. 제어 장치(4)에 의해, 윈드실드 와이퍼 시스템(1)의 예컨대 전기 모터들(도시되지 않음)이 제어될 수 있다.
종래의 광학 레인 센서(2)는 일반적으로 광학 송신기 및 광학 수신기를 포함하고, 광학 송신기는 광빔을 전반사 각도로 차량의 윈드실드 내로 입사시킨다. 윈드실드의 유리와 공기 사이의 경계면에서 광빔이 굴절되고, 윈드실드 상에 비가 없는 경우 광학 수신기로 완전히 재입사된다. 재입사된 광의 양은 광 신호의 상응하는 신호 레벨로 나타난다. 상기 신호 레벨은 광학 송신기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송신기 전류, 광학 수신기의 게인, 윈드실드의 투과율, 그리고 윈드실드의 상태 또는 주변 온도로부터 얻어진다. 신호 레벨의 온도 의존성은 레인 센서(2)의 스위칭 특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상기 파라미터들은 윈드실드가 건조한 경우, 그리고 윈드실드가 습윤되거나 젖어 있는 경우 서로 다르다. 윈드실드 상에 습기가 있으면 광학 송신기의 광이 광학 수신기로 완전히 재입사될 수 없다는 사실에 기초하여, 윈드실드의 습윤시 신호 레벨은 낮다. 상기 상황에서 건조한 윈드실드에 비해 큰 신호 레벨을 얻기 위해서는, 더 높은 수신기 증폭 및/또는 광학 송신기를 제어하기 위한 더 높은 송신기 전류가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라, 레인 센서(2)에 의해, 실질적으로 건조하거나 또는 청결한 윈드실드에 해당하는 레인 센서(2)의 작동 지점이 전자 메모리(3) 내에 저장된다.
또한 레인 센서(2)가 활성화될 때마다 상응하는 파라미터를 가진 레인 센서(2)의 실제 작동 지점이 검출된다. 실제 검출된 작동 지점이, 전자 메모리(3) 내에 저장된 작동 지점과 비교된다. 상기 2 개의 비교된 작동 지점들이 실질적으로 서로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실이 레인 센서(2)에 의해, 실질적으로 윈드실드 상에 습기가 없으므로 레인 센서(2)의 측에서 다른 동작이 필요 없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상기 2 개의 비교된 작동 지점들이 서로 상이한 경우에는, 상기 사실이 레인 센서(2)에 의해, 윈드실드 상에 습기가 있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 경우 와이핑 명령이 윈드실드 와이퍼 시스템(1)의 제어 장치(4)에 전송된다.
상기 방식으로, 지금 나타나는 윈드실드의 상태와 무관하게 항상 실시되는 종래의 기준 와이핑 동작이 최적화될 수 있다. 기준 와이핑 동작은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동작이 필요한 경우, 즉 윈드실드 상에 습기 또는 물기가 있는 경우에만 실시된다. 상기 경우와 다른 상황에서는, 전자 메모리(3) 내에 저장된, 실질적으로 건조한 윈드실드에 대한 작동 지점이 유효한 것으로서 간주되고, 윈드실드가 실 질적으로 건조하고 청결하다고 해석되므로, 기준 와이핑 동작이 실시되지 않는다.
저장된 작동 지점과 실제 검출된 작동 지점이 비교되는 경우, 상황에 따라 작동 지점의 파라미터들이 비교 가능하도록 환산되어야 한다. 이것은, 작동 지점이 다수의 상이한 파라미터들로 이루어진다는 사실로부터 주어진다. 작동 지점은 실질적으로, 규정된 수신기 증폭 및 규정된 송신기 전류로부터 얻어진다. 이로써 상이한 수신 증폭 범위들에 의해, 상이한 유효 작동 지점들이 주어질 수 있고 상기 유효 작동 지점들은 상이한 송신기 전류에 의해 조정 가능하다. 큰 수신 증폭을 가지는 작은 송신기 전류는, 합계가 작은 수신 증폭을 가지는 큰 송신기 전류와 동일한 값을 가진 레인 센서(2)의 작동 지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작동 지점들이 비교 가능하도록, 비교 가능한 파라미터들도 각각 사용되어야 한다. 경우에 따라, 이를 위해, 광학 수신기의 증폭기 특성 곡선들을 겹쳐서(overlap) 비교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파라미터들의 상기 환산은 상이하게 형성된 수신기 증폭과 송신기 전류를 비교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만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원리는 전술된 방법에 보충하여, 하기에 기술되듯이, 변형된 방식으로도 실시될 수 있다:
저장된 작동 지점의 파라미터들은 윈드실드 와이퍼 시스템(1)의 활성화 후에 전자 메모리(3)로부터 판독되어, 레인 센서(2)의 광학 송신기를 상기 크기로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제어로부터, 지금 막 나타나는 주변 환경- 및 작동 조건들에 의존해서, 광학 수신기 내로 재입사된 광의 특정 신호 레벨이 얻어진다. 상기 검출된 신호 레벨과, 전자 메모리(3) 내에 작동 지점에 추가해서 저장된 신호 레벨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2 개의 신호 레벨들 간의 경우에 따라 나타나는 차이가 검출될 수 있다.
상기 2 개의 비교된 신호 레벨들이 서로 상이한 경우, 상기 사실은 레인 센서(2)에 의해, 윈드실드 상에 습기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 와이핑 명령이 윈드실드 와이퍼 시스템(1)의 제어 장치(4)로 전송된다. 상기 2 개의 비교된 신호 레벨들이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실은 레인 센서(2)에 의해, 윈드실드가 실질적으로 청결하거나 건조한 상태인 것으로 해석되어 와이핑 명령이 윈드실드 와이퍼 시스템(1)의 제어 장치에 전송되지 않는다.
신호 레벨의 강하로부터 윈드실드 상에 비가 존재하는 것이 추정될 수 있다. 전술된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원리를 실시하기 위한 추가적이고 대안적 방법이다. 이 경우, 신호 레벨들의 비교에 앞서, 신호 레벨을 비교 가능하게 하기 위해 신호 레벨 값의 환산이 실시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원리는 전술된 방법에 보충적으로, 하기에 설명된것과 같은 다른 변형된 방식으로도 실시될 수 있다:
작동 지점-조정은 할당된 파라미터의 비 선형성을 가질 수 있다(예를 들어 전류 증분 단과 전류 변경 간의 비선형성)는 사실에 기초하여, 작동 지점들의 단순 비교로부터 경우에 따라 윈드실드 상에 습기가 존재하는 것이 추정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작동 지점들의 비교에 추가하여, 비교된 작동 지점들에 할당된 신호 레벨의 평가가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비교된 작동 지점들이 실질적으로 일치하므로 기준 와이핑 동작이 실 시되어서는 안 되는 경우에, 추가의 신호 레벨 비교가 실시된다. 특히, 송신기 전류와 신호 레벨 간의 상관 관계가 평가되는데, 왜냐하면 송신기 전류는 광학 수신기 내로 재입사된 광의 신호 레벨과 직접 상관되기 때문이다. 높은 송신기 전류는 일반적으로 높은 신호 레벨을 의미하고, 낮은 송신기 전류는 낮은 신호 레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상관 관계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즉 송신기 전류들이 상이함에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신호 레벨들이 나타나는 경우, 상기 사실은 광학 레인 센서(2)에 의해, 윈드실드 상에 습기가 존재한다고 해석된다. 이 경우, 와이핑 명령이 윈드실드 와이퍼 시스템(1)의 제어 장치에 전송된다. 비교된 작동 지점들의 송신기 전류들이 신호 레벨들과 상관 관계가 있는 경우, 즉 상이한 송신기 전류들이 상이한 신호 레벨들로 나타나는 경우, 상기 사실은 레인 센서(2)에 의해 실질적으로 건조한 윈드실드가 주어져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 경우, 기준 와이핑에 대한 명령이 윈드실드 와이퍼 시스템(1)의 제어 장치(4)에 전송되지 않는다. 또한 이 원리에서 작동 지점들의 단순 비교로부터 기준 와이핑 동작의 필요성이 검출될 수 없는 경우, 보충적인 신호 레벨 비교가 실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예에서, 윈드실드의 상태 또는 레인 센서(2)의 상태의 변화가 모니터링된다. 예컨대, 기준 와이핑 작동이 실시될 때마다 수신기 내로 재입사된 광의 신호 레벨이 모니터링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위해, 기준 와이핑 동작 전의 신호 레벨 및 기준 와이핑 동작 후의 신호 레벨이 측정 기술적으로 검출된다. 그 후, 상기 2 개의 신호 레벨들은 서로 비교된다.
윈드실드 상에 습기가 있는 경우, 기준 와이핑 동작 전의 신호 레벨과 기준 와이핑 동작 후의 신호 레벨을 상기와 같이 비교하면, 비가 올 때 윈드실드의 보통의 세정 작동에서 나타나듯이, 수신기 내로 재입사된 광의 신호 레벨의 크기가 상이하게 나타난다. 상기 경우 전자 메모리(3) 내에 저장된 작동 지점이 업데이트되지 않는다.
이와 반대로, 상기 2 개의 비교된 신호 레벨들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인 경우, 상기 사실은 레인 센서(2)에 의해, 윈드실드 상의 습기의 세정 또는 제거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로써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의 신호 레벨들은 윈드실드 또는 레인 센서(2)의 상태의 변화와 조합하여 건조한 윈드실드에 대한 기준 와이핑 동작으로서 해석된다. 그 때문에, 레인 센서(2)에 의해, 윈드실드 또는 레인 센서(2) 등의 변화된 상황에 맞추어 조정된, 새로운, 업데이트된 작동 지점이 전자 메모리(3) 내에 저장된다.
윈드실드 상태의 상기와 같은 변화는 예컨대 윈드실드 및 레인 센서(2)의 노화 작용에 의해, 광학 레인 센서(2)의 부품들의 교체에 의해 또는 윈드실드의 투과율 변화에 의해 나타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의해 윈드실드 와이퍼 시스템(1)의 변화된 작동 조건들이 바람직하게 고려될 수 있다. 상기 방식으로, 변하는 작동 조건에 상관없이 사용 가능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강성 및 안정성이 바람직하게 보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리에 의해 전자 메모리(3) 내의 필요한 업데이트 기록 사이클의 개수가 효과적으로 최소화될 수 있다. 전자 메모리(3) 내에 저장되는 작동 지 점의 상기와 같은 모니터링 및 업데이트가 레인 센서(2)의 작동 진행 중에 영구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이 경우, 레인 센서(2)가 비활성화되면, 전자 메모리(3) 내의 작동 지점의 업데이트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저장된 작동 지점이 윈드실드 와이퍼 시스템(1)의 변화된 주변 조건 및 작동 조건에 맞게 더 정확히 조정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제한이 없는 개수의 프로그래밍 사이클을 가지는 전자 메모리(3)가 형성되는 것이 이 경우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광학 레인 센서(2)를 구비하는 윈드실드 와이퍼 시스템(1)에서 기준 와이핑 동작을 최적화시킨다. 기준 와이핑 동작은, 그 동작이 사실상 필요한 경우, 즉 윈드실드 상에 비가 있는 경우에만 더 실시된다. 다른 경우, 즉 윈드실드가 건조하면서 경우에 따라 오염된 경우, 기준 와이핑 동작이 실시되지 않으므로, 윈드실드 와이퍼 블레이드 및 윈드실드의 수명이 길어진다. 이로써, 윈드실드 상에 바람직하지 않은 긁힘이 효과적으로 줄어든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광학 레인 센서(2)를 구비하는, 영구 활성 윈드실드 와이퍼 시스템(1)에 특히 양호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점화 키의 회전 또는 차량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활성화되고 다른 조작이 주어질 때까지 활성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장기적 노화 작용 및 윈드실드 와이퍼 시스템(1)의 작동- 및 주변 조건의 변화가 효과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실제 주변 환경 조건에 맞추진 윈드실드 와이퍼 시스템(1)의 유용하고 효율적인 기능이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윈드실드 와이퍼 시스템(1)의 기능 로직과는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윈드실드 와이퍼 시스템(1)의 사용자의 조작이 임의의 우선 순위로 평가될 수 있고, 이로써 경우에 따라, 와이핑 동작이 조작에 반응하여 항상 실시되고 윈드실드의 상태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작동 방식과는 완전히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고객의 요구에 따른 윈드실드 와이퍼 시스템(1)의 개별 설계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바람직하게 가능하다.
청구 범위 및 상세한 설명에 공개된 본 발명의 관점은 개별적으로 그리고 각각의 임의의 조합으로도 본 발명에 있어서 중요할 수 있다.

Claims (10)

  1. 광학 레인 센서(2)를 포함하고, 전자 메모리(3) 내에, 실질적으로 건조한 윈드실드에 대한 상기 레인 센서(2)의 작동 지점이 저장되는,
    윈드실드 와이퍼 시스템(1)에서 기준 와이핑 동작 실시의 필요성을 검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 상기 레인 센서(2)의 실제 작동 지점을 검출하는 단계;
    - 상기 실제 검출된 작동 지점을 상기 저장된 작동 지점과 비교하는 단계; 및
    - 상기 2 개의 작동 지점들이 실질적으로 상이한 경우, 상기 윈드실드 와이퍼 시스템(1)에 와이핑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 와이핑 동작 실시의 필요성을 검출하는 방법.
  2. 광학 레인 센서(2)를 포함하고, 전자 메모리(3) 내에, 실질적으로 건조한 윈드실드에 대한 상기 레인 센서(2)의 작동 지점이 저장되는,
    윈드실드 와이퍼 시스템(1)에서 기준 와이핑 동작 실시의 필요성을 검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 상기 저장된 작동 지점을 판독하는 단계;
    - 상기 저장된 작동 지점으로부터 얻은, 상기 레인 센서(2)의 신호 레벨을 검출하는 단계로서, 상기 신호 레벨은 상기 레인 센서(2) 내로 재입사되는 광의 양 에 상응하는, 상기 레인 센서(2)의 신호 레벨을 검출하는 단계;
    - 상기 검출된 신호 레벨을 상기 저장된 작동 지점에 상응하는 신호 레벨과 비교하는 단계; 및
    - 상기 비교된 신호 레벨들이 실질적으로 상이한 경우, 상기 윈드실드 와이퍼 시스템(1)에 와이핑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 와이핑 동작 실시의 필요성을 검출하는 방법.
  3. 광학 레인 센서(2)를 포함하고, 전자 메모리(3) 내에, 실질적으로 건조한 윈드실드에 대한 상기 레인 센서(2)의 작동 지점이 저장되는,
    상기 윈드실드 와이퍼 시스템(1)에서 기준 와이핑 동작 실시의 필요성을 검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 상기 레인 센서(2)의 실제 작동 지점을 검출하는 단계;
    - 상기 실제 검출된 작동 지점과 상기 저장된 작동 지점을 비교하는 단계;
    - 상기 2 개의 작동 지점들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우, 상기 저장된 작동 지점으로부터 얻은, 상기 레인 센서(2)의 신호 레벨을 검출하는 단계로서, 상기 신호 레벨은 상기 레인 센서(2) 내로 재입사된 광의 양에 상응하는, 상기 레인 센서(2)의 신호 레벨을 검출하는 단계; 및
    - 상기 작동 지점들에 할당된 상기 레인 센서(2)의 송신기 전류들이 실질적으로 상기 작동 지점들에 할당된 신호 레벨들과 상관 관계가 없는 경우, 상기 윈드실드 와이퍼 시스템(1)에 와이핑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 와이핑 동작 실시의 필요성을 검출하는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작동 지점이 상기 윈드실드 와이퍼 시스템(1)의 변화된 작동 조건들에 맞추어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 와이핑 동작 실시의 필요성을 검출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작동 지점의 모니터링이 매 기준 와이핑 동작 후마다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 와이핑 동작 실시의 필요성을 검출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작동 지점의 모니터링이 상기 레인 센서(2)의 작동 중에 영구적(permanent)으로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 와이핑 동작 실시의 필요성을 검출하는 방법.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지점의 모니터링에 의해, 윈드실드 상태의 변화 및/또는 상기 레인 센서(2) 상태의 변화가 검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 와이핑 동작 실시의 필요성을 검출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윈드실드 상태의 변화 및/또는 상기 레인 센서(2) 상태의 변화가 검출된 경우, 업데이트된 작동 지점이 상기 전자 메모리(3) 내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 와이핑 동작 실시의 필요성을 검출하는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영구 활성 레인 센서(2)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 와이핑 동작 실시의 필요성을 검출하는 방법.
  10. 광학 레인 센서(2)를 포함하고,
    전자 메모리(3) 내에, 실질적으로 건조한 윈드실드에 대한 상기 레인 센서의 작동 지점이 저장되고,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시할 수 있는 윈드실드 와이퍼 시스템.
KR1020087009803A 2005-10-24 2006-10-23 기준 와이핑 동작의 필요성을 검출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800688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50771.9 2005-10-24
DE102005050771A DE102005050771A1 (de) 2005-10-24 2005-10-24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rkennen einer Notwendigkeit eines Referenzwischenvorgang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8815A true KR20080068815A (ko) 2008-07-24

Family

ID=37451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9803A KR20080068815A (ko) 2005-10-24 2006-10-23 기준 와이핑 동작의 필요성을 검출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943130B1 (ko)
JP (1) JP2009512596A (ko)
KR (1) KR20080068815A (ko)
CN (1) CN101296822A (ko)
DE (2) DE102005050771A1 (ko)
WO (1) WO20070487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50965B (zh) * 2009-12-29 2011-05-04 杭州电子科技大学 汽车雨刮器雨量自适应传感方法
FR3003831B1 (fr) * 2013-03-28 2015-05-29 Eurocopter France Procede anti rayure pour parebrise d un vehicule et essuie glace mettant en oeuvre ledit procede
US10589723B1 (en) 2018-09-21 2020-03-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maging system
US10597002B1 (en) 2018-09-21 2020-03-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maging system
CN109343139B (zh) * 2018-10-09 2020-08-07 南京牧镭激光科技有限公司 一种窗口镜的遮挡物判断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6374A (en) * 1989-02-28 1990-04-10 Donnelly Corporation Continuously adaptive moisture sensor system for wiper control
DE19519891C2 (de) * 1995-05-31 1998-10-29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m Betreiben eines Scheibenwischers
JP4211199B2 (ja) * 2000-06-09 2009-01-21 株式会社デンソー 雨滴検出方法およびその装置
DE10214421B4 (de) * 2002-03-30 2007-08-09 Hella Kgaa Hueck & Co.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Regensensors,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e
JP2005233728A (ja) * 2004-02-18 2005-09-02 Denso Corp 光センサ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96822A (zh) 2008-10-29
EP1943130A1 (de) 2008-07-16
WO2007048770A1 (de) 2007-05-03
EP1943130B1 (de) 2010-05-12
DE502006006946D1 (de) 2010-06-24
JP2009512596A (ja) 2009-03-26
DE102005050771A1 (de) 2007-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96746B2 (ja) ワイパ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20080068815A (ko) 기준 와이핑 동작의 필요성을 검출하는 방법 및 장치
EP0095472B1 (en) Windshield wiper control having a sensor
JPH07315175A (ja) ワイパの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3998725B2 (ja) ワイパー作動装置
US20180105139A1 (en) Rain sensor of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008037217A (ja) 雨滴量検出装置及びワイパー制御装置
JPH03182858A (ja) ワイパの制御装置
US6686992B2 (en) Raindrop detecting method and apparatus having temperature-dependent characteristic compensation
US8265824B2 (en) Autowiper controller
KR20050006757A (ko) 우적 감응형 윈드 시일드 와이퍼 시스템
JP6036566B2 (ja) 制御装置
KR101045769B1 (ko) 차량용 레인 센서
KR101031909B1 (ko) 마찰력을 이용하는 자동차의 와이퍼 자동 작동 제어회로 및그 방법
KR100375378B1 (ko) 자동차용 와이퍼 자동 제어 시스템
US10696131B2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surrounding air temperature of a motor vehicle
JP2009053178A (ja) 雨滴検出装置
KR100510304B1 (ko) 차량의 우적 감응형 와이퍼 동작 제어 방법
KR100778573B1 (ko) 습공기 선도를 이용한 자동 습기 제거 시스템
KR102395303B1 (ko) 차량의 와이퍼의 타겟 위치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9980083907A (ko) 윈드실드 와이퍼 시스템의 보호방법 및 그 장치
KR100488979B1 (ko) 차량의 습기 제거 장치와 그 작동 방법
KR19980058732A (ko) 자동차의 제습 시스템의 원격 제어 장치
KR20140052433A (ko) 차량용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9980016740A (ko) 자동차의 뒤유리 서리 자동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