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8109A - 변위 가능한 후방 창문을 갖는 컨버터블 차량 루프 - Google Patents

변위 가능한 후방 창문을 갖는 컨버터블 차량 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8109A
KR20080068109A KR1020087013916A KR20087013916A KR20080068109A KR 20080068109 A KR20080068109 A KR 20080068109A KR 1020087013916 A KR1020087013916 A KR 1020087013916A KR 20087013916 A KR20087013916 A KR 20087013916A KR 20080068109 A KR20080068109 A KR 200800681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op
rear window
support
control
control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3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8718B1 (ko
Inventor
마시모 프란코
파스퀘레 마르로코
Original Assignee
베바스토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바스토 아게 filed Critical 베바스토 아게
Publication of KR20080068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8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8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8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8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 B60J7/1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foldable; Tensioning mechanisms therefor, e.g. struts
    • B60J7/1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foldable; Tensioning mechanisms therefor, e.g. struts with a plurality of rigid plate-like elements or rigid non plate-like elements, e.g. with non-slidable, but pivotable or foldable movement
    • B60J7/143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foldable; Tensioning mechanisms therefor, e.g. struts with a plurality of rigid plate-like elements or rigid non plate-like elements, e.g. with non-slidable, but pivotable or foldable movement for covering the passenger compartment
    • B60J7/145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foldable; Tensioning mechanisms therefor, e.g. struts with a plurality of rigid plate-like elements or rigid non plate-like elements, e.g. with non-slidable, but pivotable or foldable movement for covering the passenger compartment at least two elements being folded in clamp-shell fash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1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1/1807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movable for vehicles with convertible top
    • B60J1/1823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movable for vehicles with convertible top adjustable relative to hard- or soft-top, e.g. pivo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26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non plate-like elements, e.g. for convertible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4Superstructure sub-units with access or drainage openings having movable or removable closures; Seal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면 루프부(2)와, 후방 창문(14)을 갖고 차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후면 루프부(3)를 갖는 컨버터블 차량의 루프에 관한 것이다. 전면 및 후면 루프부는 관절 연결 방식으로 상호 연결되고 차량 내부 위로 닫은 위치와 후방으로 걷은 위치 사이에서 변위가 될 수 있다. 후면 루프부(3)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후방 창문(14)이 그의 전방 단부에서 제어 운동기구의 제어 링크(22)에 의해서 전면 루프부와 연결되고, 제어 링크(22)는 전면 루프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루프부를 걷은 위치에서 후방 창문은 후면 루프부(3)와 관련하여 들어 올려진 위치를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 운동기구의 회동 지지부(20)는 후방 창문(14)의 전면에 설치되고, 제어 링크(22)의 가이드(21)에 변위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컨버터벌 차량, 창문, 전면 루프부, 후면 루프부, 제어 링크

Description

변위 가능한 후방 창문을 갖는 컨버터블 차량 루프{Vehicle roof of a convertible with displaceable rear window}
본 발명은 전면 루프부와, 후방 창문이 구비되고 차체에 결합된 후면 루프부를 갖는 컨버터블 차량 루프에 관한 것으로, 상기 루프부들은 관절 연결 방식으로 상호 연결되고 차량 내부 위를 닫은 위치(closed position)와 후방으로 걷은 위치(put-away position) 사이에서 변위가 가능하며, 후면 루프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후방 창문은 그의 전방 단부에서 제어 운동기구의 제어 링크에 의해 전면 루프부와 연결되고, 제어 링크는 전면 루프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루프부를 걷은 위치에서 후방 창문은 후면 루프부와의 관계에서 들어 올려진 위치에 있게 된다.
독일 특허 DE 199 36 252 C2는 차량 루프를 개시하고 있는데, 이에 따르면, 차량 루프에서 후방 창문은, 루프가 걷어지는 동안에, 운동학적 적극적 제어 수단(positive control means)에 의해 후면 루프부에 대해서 연속적으로 위치가 변경된다. 운동학적 적극적 제어 수단은 변위 기계장치를 통해 만들어지고, 변위 기계장치는, 예를 들어, 4봉(bar) 링크장치와 이에 연결되고 후방 창문의 측면 중앙부에서 작동되는 제어 레버를 갖는다. 제어 레버에 의해서, 루프가 닫혀질 때, 후방 창문은 후면 루프부에 닫힌 상태로 유지되고, 루프가 걷어질 때는 후면 루프부에 대해 들어 올려진 상태로 유지된다.
미국 특허 US 6,866,324 B2는 차량 루프를 개시하고 있는데,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위에서 언급된 독일 특허 DE 199 36 252 C2에 개시된 것에 상응하는 방식으로 형성되고 제어 레버에 의해 C 필러들(pillars)에 대해 후방 창문을 회동하며, 제어 레버는 루프를 지지하는 4봉 링크장치의 전방 링크를 후방 창문에 연결시킨다. 차량 루프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링크는 먼저 후방 창문의 전방 단부에, 그 다음에 전면 루프부의 루프셀(roof shell)의 후방 단부에 각각의 조인트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링크는 측면 C 필러들에 관련된 후방 창문의 전방 단부의 상대운동을 제어하고, 루프가 걷어질 때, 측면 C 필러들에 관련된 후방 창문의 전방 단부를 상승시킨다.
독일 특허 DE 198 07 490 C1는 전방 루프부와 후방 루프부를 갖는 컨버터블 하드탑(hard top) 차량 루프를 개시하고 있는데, 루프부들은 후방의 수납 공간으로 루프를 걷어 치우기 위해 차량에 설치된 회전 주축에 연결될 수 있다. 후방 창문은 후면 루프부의 측면 C 필러들에 관련된 상태로 하부 단부측에 있는 회동 지지축에 회동될 수 있는 방식으로 후면 루프부에 설치된다. 드래깅 레버는 먼저 후방 창문의 후방 영역에서 연결점에 연결되고 그 다음 차체에 설치된 조인트에 연결되는데, 이러한 연결방식은 후면 루프부가 걷어질 때 후방 창문이 측면 C 필러들과 관련하여 드래깅 레버에 의해 상승되어 걷어진 위치로 회동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독일 특허 DE 199 32 503 A1로부터 알려진 차량 루프의 경우에, 후방 창문은 후면 루프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후면 루프부와 관련하여 그 자체의 구동에 의해 회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면 루프부에 대한 후방 창문의 연결과 그 운동에 대한 제어가 개선된, 앞에서 언급된 차량 루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목적은 위에 언급한 차량 루프의 경우 후방 창문의 전면에 설치되는, 제어 운동기구들의 회동 지지부가 제어 링크의 가이드에 변위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달성된다. 제어 링크에 대한 회동 지지부의 변위 가능한 설치는 루프가 걷어질 때 제어 운동기구와 후방 창문의 개선된 운동 반응을 허용하는 보상 운동(compensating movement)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유익한 개량들은 종속항들에 나타나 있다.
바람직하게는 후면 루프부는 측면 C 필러들을 가지고, 후방 창문은 그의 후방 단부에 배열된 회동축을 중심으로 C 필러들에 대해 회동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이때 두 개의 C 필러들 각각은 루프를 지지하는 4봉 링크장치의 후방 링크에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부착된다.
제어 링크의 회동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버팀쇠(stop)는 특히, 루프가 닫혀질 때 이 버팀쇠에 의하여 지지되는 제어 링크를 통해 정해진 닫은 위치에 후방 창문이 배열되도록 적절하게 제공된다.
개선된 운동 반응을 위해, 회동 지지부가 제공될 수 있고, 회동 지지부는 예를 들어, 후방 창문 또는 후방 창문의 프레임에 부착되는 볼트로서 형성되고, 회동 지지부는 제어 링크의 회동축에 인접한 내부 위치와 외부 위치 사이의 가이드 상에서 변위 가능하게 안내된다.
바람직한 디자인에 따르면, 루프가 닫혀지고 제어 링크의 처음 회동된 위치에 있을 때, 회동 지지부가 제어부에 의해 외부 위치에 배열된다.
만약, 루프가 열린 때, 회동 지지부는 그의 회동된 위치를 제어 링크에 대해 변경시키고, 이 과정에서, 제어부는 정지 위치(inactive position)에 있게 되며, 회동 지지부는 제어 링크의 가이드를 따라 보상 운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지지체(support)가 차체에 구비되고, 지지체는 후면 루프부와 C 필러들이 걷어지는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루프가 열리는 동안 후방 창문을 지지한다. 그때, 루프가 열리는 동안 최종 운동 과정에 걸쳐서, 후면 루프부와 C 필러들이 후방 창문에 대해 그들의 걷어지는 위치로 하강하는 동안, 회동이 완료된 제어 링크를 그의 처음 회동된 위치로 버팀쇠에 대해 회동시키기 위해, 지지체에 지지되어 있는 후방 창문은 회동 지지부를 사용한다. 그러므로, 후방 창문은 정해진 방식으로 그의 걷어지는 위치를 확보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루프가 열리는 동안 최종 운동 과정에 걸쳐서, 회동 지지부는 외부 위치를 향해 가이드 상에서 길이방향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한 디자인에 따르면, 제어부는 제어캠으로 형성되고, 제어캠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상태로 회동 지지부에 연결되고 제어 링크에 형성된 지지면에 지지된다.
만약, 제어 및 지지 기계장치의 디자인때문에, 루프가 걷어지는 동안, 후방 창문이 지지체와 관련해서 상대 운동을 수행한다면, 적어도 하나의 지지체가 후방 창문을 지지하는 롤러를 갖는 것이 좋다. 롤러는 간단한 보상 운동을 허용하므로 후방 창문이 고정된 지지체에서 미끄러질 필요가 없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지지체는 특히, 후방 창문의 상부 단부의 근처에 있는 마주보는 단부들에서 후방 창문을 지지한다. 그러므로, 후방 창문 아래의 영역은 적재의 목적을 위해 방해되지 않은 상태로 남는다.
특히, 루프는 차량의 하드탑 루프이지만, 이것은 또한 소프트탑(soft top)으로 형성되거나 소프트탑 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차량 루프는 아래의 실시예를 사용하고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차량 내부를 닫은 위치에서의 전면 루프부와 후면 루프부를 갖는 차량 루프를 나타낸 측면 상부 도면이다.
도 2는 루프의 개방 작동 동안에 첫 번째 중간 위치에서의 차량 루프를 나타낸 도 1에 따른 도면이다.
도 3은 루프의 개방 작동 동안에 두 번째 중간 위치에서의 차량 루프를 나타낸 도 1에 따른 도면이다.
도 4는 루프가 열려서 걷은 위치의 차량 루프를 나타낸 도 1에 따른 도면이다.
도 5는 루프를 닫은 상태에서 루프의 우측면을 나타낸 내부 도면이다.
도 6은 상기 후면 루프부에 변위 가능하게 설치된 후방 창문의 제어 운동기구를 나타낸 도 5에 따른 내부 확대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 따라 후면 루프부가 닫히고 후방 창문의 회동 설치대를 함께 갖는 후면 루프부를 나타낸 내부 도면이다.
도 8은 루프의 개방 작동 동안에 중간 위치에서 루프를 나타낸 도 5에 따른 도면이다.
도 9는 중간 위치에 배열된 루프의 제어 운동기구를 나타낸 도 8에 따른 내부 확대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에 따른 위치에서 제어 운동기구를 나타낸 상부 도면이다.
도 11은 다른 중간의 위치에 배열된 루프의 제어 운동기구를 나타낸 도 9에 따른 내부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 따른 위치에서 제어 운동기구를 나타낸 상부 도면이다.
도 13은 차체의 지지체에 지지된 후방 창문을 갖는 루프의 중간 위치에서 제어 운동기구를 나타낸 루프의 내측면의 상부 도면이다.
도 14는 루프가 완전히 걷어지고 후방 창문이 최대 범위까지 상승될 때에 제어 운동기구를 보이는 도 13에 따른 도면이다.
도 15는 루프가 완전히 걷어지고 후방 창문이 최대 범위까지 상승될 때에 제어 운동기구를 보이는 루프의 내측면의 상부 도면이다.
도 16은 루프가 완전히 걷어지고 후방 창문이 최대 범위까지 상승될 때에 제어 운동기구를 보이는 외부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드탑 루프
2 : 전면 루프부
3 : 후면 루프부
4 : 전방 링크
5 : 후방 링크
6 : 주 지지부
7 : 회동축
8 : 회동축
9 : 지지부
10 : 회동축
11 : 회동축
12 : C 필러
13 : 가로부
14 : 후방 창문
15 : 하부 또는 후방 단부
16 : 회동축
17 : 창문 프레임
18 : 설치대
19 : 암
20 : 지지 볼트
21 : 연장홀
22 : 제어 링크
23 : 회동축
24 : 제어캠
25 : 지지면
26 : 어깨
27 : 버팀쇠
28 : 유압실린더
29 : 지지체
30 : 설치대
차량의 하드탑(hard-top) 루프(1)는 전면 루프부(2)와 후면 루프부(3)를 포함하고, 루프부들은 차량의 내부를 닫은 위치(도 1)와 루프부들이 후방의 수납공간이나 접이식 칸막이에 걷어 치워지는 걷은 위치(도 4)의 사이에서 변위될 수 있다. 이런 형태의 루프는 기본적으로 독일 특허 DE 199 36 252 C2 또는 미국 특허 US 6,866,324 B2로부터 알려진 것이다. 루프(1)는 본질적으로 양측에 동일한 지지 장치들과 구동 장치들을 갖는 차량의 길이방향 축에 대하여 대칭되게 구성되므로, 루프(1)는 본질적으로 일 측의 지지 장치들과 구동 장치들과 관련하여 설명된다.
루프(1)는 지지 장치에 의해 차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지지 장치는 예를 들어, 4봉 링크 장치의 형태이며 전방 링크(4)와 후방 링크(5)를 가지며, 이 링크들은 첫째 회동축(7, 8)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방식으로 차체에 설치된 주 지지부(6)에 설치되고, 둘째 회동축(10, 11)에 회동될 수 있는 방식으로 지지부(9)에 연결된다. 특히, 하드셀(hard-shell) 전면 루프부(2)는 지지부(9)에 고정된다.
후면 루프부(3)는 후방 링크(5)에 부착되는 각각의 C 필러(12)를 측면에 포함한다. 두 개의 마주보는 C 필러들(12)은 그 하단부에서 가로부(13)에 의해 직접적으로 상호 연결되고, 가로부(13)는 예를 들어, 각각의 후방 링크(5)에 고정될 수 있는 프레임이다. 후방 창문(14)은 두 개의 C 필러(12) 사이의 개구부에 배열되고, 후방 창문(14)은 회동축(16)에 대하여 두 개의 C 필러들(12)에 관련하여 회동되는 방식으로 가로부(13)상에 그 하부 또는 후방 단부(15)가 설치된다. 후방 창문(14)은 적어도 후방 창문(14)의 상부 단부에 창문 프레임(17)을 포함하고, 창문 프레임(17)에는 각각의 설치대(18)가 전방으로 돌출되는 암(19)에 의해 측면에 고정되며, 암(19)에는 측방으로 돌출되는 지지 볼트(20)가 부착되고, 지지 볼트(20)는 C 필러들(12)에 관련하여 후방 창문(14)의 운동을 제어하는 제어 운동기구의 구성요소이다. 지지 볼트(20)는 연장홀(21)에 변위 가능하게 유지되고, 연장홀(21)은 제어 링크(22)에 형성되며, 제어 링크(22)는 회동축(23)에 대하여 회동될 수 있는 방식으로 전면 루프부(2)의 지지부(9)에 설치된다.
설치대(18)의 암(19)의 전면 단부는 제어캠(24)을 포함하고(특히, 도 10 및 도 12 참조), 제어캠(24)은 지지 볼트(20)의 축을 초과하여 돌출되고, 설치대(18)의 위치의 작용으로서, 제어캠(24)은 제어 링크(22)의 어깨(26)에 형성된 지지 면(25)에서 제어 링크(22)와 맞물려 지지되는 방식으로 암(19)에 배열되며, 그러므로 제어캠(24)은 연장홀(21)에 있는 지지 볼트(2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루프(1)가 닫혀 진 상태일 때(도 1, 도 5 및 도 6 참조), 제어 운동기구는 측면의 C 필러들(12)과 전면 루프부(2)에 평면으로 이어진 닫은 위치에 후방 창문(14)을 유지시킨다. 이 위치에서, 제어 운동기구에 속하는 설치대(18)의 암(19)은 루프부(2)의 아래에서 전방으로 펼쳐지고, 지지 볼트(20)에 의해 제어 링크(22)를 상부측으로 회동된 위치에 유지시키고, 이 위치에서 제어 링크(22)는 지지부(9)에 고정되어 배열된 버팀쇠(27)에 의해 지지된다. 제어 링크(22)에 대한 암(19)의 이 위치에서, 제어캠(24)은 지지면(25)에 대해 지지 볼트(20)의 축으로부터 최대 상승위치로 돌출되고, 지지면(25)과의 제어 접촉 때문에 제어캠(24)은 연장홀(21)에 있는 지지볼트(20)를 제1 외측 단부 위치에 유지시키며, 이 위치에서 지지 볼트(20)는 제어 링크(22)의 회동축(23)에서 최대 거리에 위치된다.
루프를 열기 위해서, 주 지지부(6)에 배열된 각 측면의 유압 실린더(28)가 작동되어 펼쳐지며 중간 기계장치를 통해 후방 링크(5)가 회동되고 이에 따라 후방으로 후면 루프부(3)가 회동된다(도 2). 링크(4, 5)의 4봉 링크 장치의 배열 때문에, 전면 루프부(2)는 후면 루프부(3)를 향해 회동축(11)에 대해 회동되고, 후방 창문(14)에 연결된 설치대(18)의 암(19)은, 무엇보다도 암(19)과 제어 링크(22) 상호간의 상대적 위치가 유지되고 제어캠(24)이 지지면(25)과 접촉하여 그의 최대 캠 높이에 있도록, 그 회동 축(23)에 대해 아래로 제어 링크(22)를 회동한다. 이런 경우에, 설명된 운동기구 때문에, 설치대(18)는 회동축(11)을 향해 후방 창문(14)의 전방 창문 프레임(17)을 잡아당기고(도 8 내지 도 10 참조), 후면 루프부(3)의 C 필러(12)에 대하여 안쪽으로 또는 그의 내측면을 향해 그 하부 회동축(16)에 대해 후방 창문을 회동한다.
루프를 더 여는 동안에(도 3 및 도 11 참조), 후면 루프부(3)는 충분히 회동된 위치에 도달하고, 전면 루프부(2)는 후면 루프부(3)의 내부를 향해 하강된다. 설치대(18)의 암(19)은 제어캠(24)이 지지면(25)로부터 떨어져 이탈되도록 제어 링크(22)에 대해 더욱 회동된다. 그러므로, 지지 볼트(20)는 연장홀(21)에서 길이방향의 보상 운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후방 창문(14)의 무게는 지지 볼트(20)를 제어 링크(22)의 연장홀(21)에서 예를 들어, 그의 외부 위치에 계속 유지시킨다. 제어 링크(22)는 지지 볼트(20)와 암(19)을 통해 두 개의 C 필러(12)와의 관계에서 상승되거나 내측으로 회동되게 후방 창문(14)을 계속해서 유지시킨다.
루프(2)가 걷어 치워지는 위치에 도달되기 직전에, 후방 창문은 차체에 있는 지지체(29) 위에 놓여 있으며, 예를 들어, 설치대(30)에 설치되고 후방 창문(14)의 상부 단부의 근처에서, 특히 후방 창문(14)의 측면 단부에, 후방 창문(14)을 지지하는 각각의 측면 지지 롤러 위에 놓여있다(도 13). 지지 볼트(20)는 제어 링크(22)의 회동축(23)의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이동되는 위치를 가지게 된다.
루프(2)가 계속해서 걷어 치워짐에 따라, C 필러들(12)은 아래로 향해 최종 걷은 위치로 움직이고, 그 동안에 지지된 후방 창문(14)과 암(19)을 통해 연장홀(21)에서 외부 위치의 방향으로 지지볼트(20)가 보상 운동을 수행하면서 동시에 버팀쇠(27)에 대하여 다시 상부측으로 제어 링크(22)를 회동한다(도 14 내지 도 16 참조).
루프(2)가 걷어 치워지는 끝 위치에서(도 4 및 도 14 내지 도 16 참조), 후방 창문(14)은 측면 C 필러들(12)과 관련하여 그의 회동축(23)에 대해 최대 범위까지 상향으로 회동되고, 그에 따라 후방 창문은 지지체(29) 위에서 그 상부 단부 영역이 지지되고 유격이 없는 상태로 제어 링크(22)를 통해 버팀쇠(27)에 상방향으로 지지된다.
지지체(29)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이나 고무 롤러로 적절하게 형성되고, 그에 따라 후방 창문(14)은 걷어질 때에 롤러의 위에서 보상 운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걷어진 루프(2)의 닫힘은 반대의 작동 순서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유압 실린더(28)에 의해, 후방 링크(5)는 상부를 향해 회동되고, 동시에 후면 루프부(3)의 C 필러들(12)은 상승되면서 후방 창문(14)은 그의 무게 때문에 처음에는 각각의 지지체(29)나 롤러에 여전히 남게 된다. 지지 볼트(20)는 제어 링크(22)의 연장홀(21)의 내에서 이동하고, 제어 링크(22)에 대한 암(19)의 회동에 의해 제어캠(24)이 지지면(25)과 다시 맞물리게 된다. 전면 루프부(2) 또는 그의 지지부(9)에 대한 C 필러들(12)의 상대 운동에 의해서, 암(19)은 제어 링크(22)에 대해 시작 위치로 회동하게 되고, 지지 볼트(20)가 연장홀(21)에서 다시 외부 위치로 배열되도록 제어캠(24)은 지지면(25) 위에서 그의 최대 상승 위치에 도달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구동 장치 또는 유압 실린더(28)는 도 1에 도시된 닫은 위치로 루프(1)를 회동시키고 이 위치에서 전면 루프부(2)는 카울(cowl)에 잠겨지게 된다. 그러나, 이 잠금은 이 출원의 대상이 아니므로 설명되지 않고 여기에 도시되지도 않는다.
본 발명은 전면 루프부와, 후방 창문이 구비되고 차체에 결합된 후면 루프부를 갖는 컨버터블 차량 루프에 관한 것이다.

Claims (12)

  1. 전면 루프부 및 후방 창문을 갖고 차체에 결합되는 후면 루프부를 구비하고, 상기 루프부들은 관절 연결 방식으로 상호 연결되고, 차량 내부 위를 닫은 위치와 후방으로 걷은 위치 사이에서 변위가 가능하며, 상기 후면 루프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후방 창문은 그의 전방 단부에서 제어 운동기구의 제어 링크에 의해 상기 전면 루프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 링크는 상기 전면 루프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걷은 위치에서 상기 후방 창문은 상기 후면 루프부와 관련하여 들어 올려진 위치에 있게 되는 컨버터블 차량 루프에 있어서,
    상기 후방 창문(14)의 전면측에 설치된, 상기 제어 운동기구의 회동 지지부(20)는 상기 제어 링크(22)의 가이드(21) 상에서 변위 가능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버터블 차량 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루프부(3)는 측면 C 필러들(12)을 가지고, 상기 후방 창문(14)은 그의 후방 단부(15)에 배열된 회동축(16) 주위를 상기 C 필러(12)에 관련하여 회동할 수 있는 방식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버터블 차량 루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링크(22)의 회동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버팀쇠(27)가 구비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컨버터블 차량 루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지지부(20)는 상기 제어 링크(22)의 회동축(23)에 인접한 내부 위치와, 외부 위치 사이의 상기 가이드(21) 상에서 변위 가능하게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컨버터블 차량 루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1)가 닫혀 지고 상기 제어 링크(22)의 처음 회동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회동 지지부(20)는 제어부(24)에 의해 상기 외부 위치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버터블 차량 루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1)가 열릴 때, 상기 회동 지지부(20)는 그의 회동된 위치를 상기 제어 링크(22)에 대해 변경시키고, 이 과정에서 상기 회동 지지부(20)가 상기 제어 링크(22)의 가이드(21)를 따라 보상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24)는 정지 위치에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버터블 차량 루프.
  7.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에 지지체(29)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체는 상기 후면 루프부(3)와 상기 C 필러들이 걷어진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루프(1)가 열리는 동안 상기 후방 창문(14)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버터블 차량 루프.
  8.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1)가 열리는 동안 최종 운동 과정에 걸쳐서, 상기 후면 루프부(3)와 상기 C 필러들(12)이 상기 후방 창문(14)에 대해 걷어지는 위치로 하강하는 동안, 회동이 완료된 상기 제어 링크(22)를 처음 회동된 위치로 되돌리도록 버팀쇠(27)에 대해서 회동시키기 위해, 지지체(29)에 지지된 상기 후방 창문(14)은 상기 회동 지지부(20)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버터블 차량 루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1)가 열리는 동안 최종 운동의 과정에 걸쳐서, 상기 회동 지지부(20)는 외부 위치를 향해 상기 가이드(21) 상에서 길이방향 운동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버터블 차량 루프.
  10. 제4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어캠(24)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캠(24)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상태로 상기 회동 지지부(20)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 링크(22)에 형성된 지지면(25)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버터블 차량 루프.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1)가 걷어지는 동안, 상기 후방 창문(14)은 지지체(29)에 대한 상대 운동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버터블 차량 루프.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지지체(29)는 상기 후방 창문(14)이 지지되는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버터블 차량 루프.
KR1020087013916A 2005-11-17 2006-11-17 변위 가능한 후방 창문을 갖는 컨버터블 차량 루프 KR1009787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55383A DE102005055383B3 (de) 2005-11-17 2005-11-17 Fahrzeugdach eines Cabriolets mit bewegbarer Heckscheibe
DE102005055383.4 2005-11-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8109A true KR20080068109A (ko) 2008-07-22
KR100978718B1 KR100978718B1 (ko) 2010-08-30

Family

ID=37563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3916A KR100978718B1 (ko) 2005-11-17 2006-11-17 변위 가능한 후방 창문을 갖는 컨버터블 차량 루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80231072A1 (ko)
EP (1) EP1948457B1 (ko)
JP (1) JP5029919B2 (ko)
KR (1) KR100978718B1 (ko)
DE (1) DE102005055383B3 (ko)
WO (1) WO200705700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21490A1 (de) * 2007-05-08 2008-11-13 Wilhelm Karmann Gmbh Verdeck eines Cabriolet-Fahrzeugs
US11648831B2 (en) 2019-12-17 2023-05-16 Fca Us Llc Vehicle convertible top systems
US11541730B2 (en) 2020-12-17 2023-01-03 Fca Us Llc Removable liftgate flipper glass with detachable hinge
CN114506467B (zh) * 2021-12-27 2022-12-30 江苏靖江叉车有限公司 一种具有隐藏式防护装置的机场用电动牵引车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8230A (ja) * 1982-09-10 1984-03-19 Daihatsu Motor Co Ltd 自動車の開閉屋根
DE4324708C2 (de) * 1993-07-23 1996-03-21 Daimler Benz Ag Versenkbares Dach für Fahrzeuge
DE4435222C1 (de) * 1994-09-30 1995-11-02 Webasto Karosseriesysteme Umwandelbares Fahrzeugdach
DE29513595U1 (de) * 1995-08-24 1995-10-19 Karmann Gmbh W Faltverdeck für ein Cabriolet-Fahrzeug
DE19807490C1 (de) * 1998-02-21 1999-09-02 Daimler Chrysler Ag Dachkonstruktion für ein Kraftfahrzeug
FR2778610B1 (fr) * 1998-05-12 2000-08-04 France Design Toit repliable en trois elements pour vehicule decouvrable
DE19932503C2 (de) * 1999-07-12 2001-10-04 Webasto Vehicle Sys Int Gmbh Dachanordnung für ein Cabriofahrzeug
DE19936252C5 (de) * 1999-07-31 2008-01-10 Magna Car Top Systems Gmbh Hardtop-Fahrzeugdach
FR2807714B1 (fr) * 2000-04-14 2002-06-28 France Design Systeme de toit ouvrant pour vehicule decouvrable
DE10041487B4 (de) * 2000-08-24 2005-01-05 Dr.Ing.H.C. F. Porsche Ag Versenkbare Heckscheibe, insbesondere Festglasscheibe, für ein Faltverdeck in einem Kraftfahrzeug
FR2816252B1 (fr) * 2000-11-06 2003-02-07 France Design Toit escamotable pour vehicule a elements pivotants coulissants avec deux bras
JP3910820B2 (ja) 2001-10-09 2007-04-25 鬼怒川ゴム工業株式会社 コンバーチブル車のシール構造
US6866324B2 (en) * 2002-02-25 2005-03-15 Ssr Roofing Systems, L.L.C. Folding hardtop with rear window articulation
DE10218885A1 (de) * 2002-04-26 2003-12-04 Cts Fahrzeug Dachsysteme Gmbh Hardtop-Fahrzeugdach
DE10231838B4 (de) * 2002-07-12 2004-12-16 Webasto Vehicle Systems International Gmbh Versenkbares Fahrzeugdach
DE10248759B4 (de) * 2002-10-18 2005-03-24 Wilhelm Karmann Gmbh Kraftfahrzeug mit einem fahrbaren Verdeck
AU2003301533A1 (en) * 2002-10-18 2004-05-13 Heuliez Convertible roof for vehicle and associated vehicle
DE10329439A1 (de) * 2003-07-01 2005-01-27 Daimlerchrysler Ag Cabriolet-Fahrzeug mit einem Hardtop
DE10333781B4 (de) * 2003-07-24 2007-04-19 Webasto Ag Öffnungsfähiges Fahrzeugdach
DE102004017240B4 (de) * 2004-04-05 2007-02-01 Webasto Ag Fahrzeugdach eines Cabriolets mit bewegbarer Heckscheibe
FR2866835B1 (fr) * 2004-07-02 2008-04-04 France Design Dispositif de commande pour le basculement d'un toit mobile et vehicule correspondant
JP4790465B2 (ja) * 2006-03-28 2011-10-12 ベバスト ジャパン株式会社 リトラクタブルルーフ、及びそれを備えた車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57003A2 (de) 2007-05-24
KR100978718B1 (ko) 2010-08-30
EP1948457B1 (de) 2015-01-14
JP5029919B2 (ja) 2012-09-19
EP1948457A2 (de) 2008-07-30
WO2007057003A3 (de) 2007-08-23
DE102005055383B3 (de) 2007-01-18
US20080231072A1 (en) 2008-09-25
JP2009515757A (ja) 2009-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72175B2 (en) Lowerable roof of a convertible
US5823606A (en) Hard-top vehicle
US6010178A (en) Covering arrangement for a folding-top compartment which is arranged in the rear region of a vehicle
JP4766785B2 (ja) コンバーチブル車両ルーフ
US6390530B1 (en) Convertible vehicle with a foldable roof
US6736444B2 (en) Lowerable motor vehicle roof for a cabriolet
US7100962B2 (en) Convertible roof bow control mechanism
JP2003034146A (ja) 自動車ルーフ及びカブリオーレ
US20020125733A1 (en) Roof of a convertible
US7344179B2 (en) Retractable hardtop for a vehicle
US7163255B2 (en) Folding convertible top with integral boot
US20130038084A1 (en) Convertible top
US20060131925A1 (en) Cover device for the vehicle top storage compartment of a convertible vehicle
KR100978718B1 (ko) 변위 가능한 후방 창문을 갖는 컨버터블 차량 루프
US7032951B2 (en) Convertible vehicle top stack mechanism
JP2009513426A (ja) オープンルーフを有する車両
JP4683271B2 (ja) 車両用折畳み式トップ
US7517000B2 (en) Cabriolet car
US20060097543A1 (en) Cabriolet vehicle
EP1326758B1 (en) Folding convertible top with integral boot
EP2349758A1 (en) Convertible top having overcenter backlight
US7172242B2 (en) Motor vehicle
RU128558U1 (ru) Конструкция ветрового щитка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и автомобильн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с таким щитком
US7744144B2 (en) Rear window control
US7416240B2 (en) Cabriolet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