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7660A - 등반 보조 기구 - Google Patents

등반 보조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7660A
KR20080067660A KR1020087011547A KR20087011547A KR20080067660A KR 20080067660 A KR20080067660 A KR 20080067660A KR 1020087011547 A KR1020087011547 A KR 1020087011547A KR 20087011547 A KR20087011547 A KR 20087011547A KR 20080067660 A KR20080067660 A KR 200800676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rofile element
climbing
retaining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1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드레아스 마우러
파스칼 모세티
데얀 트라코빅
Original Assignee
엠+에프 인제니어 베라퉁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에프 인제니어 베라퉁스 아게 filed Critical 엠+에프 인제니어 베라퉁스 아게
Publication of KR20080067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76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7/00Apparatus for climbing poles, tre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7/00Apparatus for climbing poles, trees, or the like
    • A63B27/04Climbing devices for profile poles attachable to the f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00Devices, e.g. jacks, for lifting loads in predetermined steps
    • B66F1/02Devices, e.g. jacks, for lifting loads in predetermined steps with locking elements, e.g. washers, co-operating with posts
    • B66F1/04Devices, e.g. jacks, for lifting loads in predetermined steps with locking elements, e.g. washers, co-operating with posts the posts being toothed
    • B66F1/06Devices, e.g. jacks, for lifting loads in predetermined steps with locking elements, e.g. washers, co-operating with posts the posts being toothed and the devices being actuated mechanicall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50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Handcart (AREA)
  • Ladders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사람이 고압 마스트(mast)와 같은 소정 대상에 등반 및/또는 하강하게 하는 조립체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조립체는 긴 레일형 프로파일 요소(1, 3, 5, 15, 17)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파일 요소에는 프로파일 요소를 따라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안내 부분(15, 17)과, 힘 전달 흡수부(3, 5, 15, 17)가 마련된다. 각기 하나의 풋 지지면(23)과 안내 부분(15, 17)을 둘러싸는 안내 섹션을 구비하는 2개의 등반 콘솔(21)과, 프로파일 요소 반대측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프로파일 요소에 대해 또는 프로파일 요소 상에 지지되고, 힘 전달을 흡수하기 위해 힘 전달 흡수부(3, 5, 15, 17)에 대해 지지되기에 적합한 유지 섹션(33)을 포함하는 등반 보조 기구도 제공된다.

Description

등반 보조 기구{CLIMBING AID}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사람이 소정 대상에 등반 및/또는 하강하게 하는 장치 및/또는 등반 보조 기구에 관한 것이다.
굴뚝, 고층 건물, 사일로(silo), 케이블카 폴(pole), 송신 안테나, 풍력 발전소, 고압탑, 크레인 등과 같은 높이가 높은 곳을 등반 및 하강해야 하는 경우에는, 예컨대 언제든지 보수 관리 및 수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통상적으로 사다리가 영구 설치된다. 예컨대, 독일에서만 해도 무수한 그러한 고압탑이 전력 공급 용도로 사용되며, 이 고압탑에는 영구 설치된 사다리가 마련된다.
사다리 및 계단과 관련한 사고에 관한 통계 자료에 따르면, 독일에서는 해바다 약 40,000건의 추락 사고가 일어나며, 이중 40건은 치명적으로 사망에 이른다. 사다리를 등반 및 하강하는 것은 위험하다. 독일 Darmstadt에 소재하는 Technical University가 실시한 연구는 사용자가 종종 추락하는 사고의 약 70 %가 영구 설치된 사다리와 관련하여 일어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주로 단(rung) 원리에 기초하는 매우 다양한 타입의 사다리가 이용 가능하다. 사용자는 등반 및 하강할 때 자신의 손과 발을 한단에서 다음 단으로 옮김으로써 나아가야 하기 때문에, 그립 또는 스텝을 쉽게 놓치는 것이 가능하다.
미국 특허 제3,968,858호에는 양발을 놓기 위한 풋 플랫폼(foot platform)과 양손으로 잡기 위한 핸드 그립(hand grip)을 포함하는 등반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풋 플랫폼과 핸드 그립은, 예컨대 요트의 마스트(mast)에 설치되는 트랙 상에 유지된다. 이러한 장치는 높이가 낮은 곳을 등반 및 하강하기에는 적합하지만, 고압탑의 경우에는 부적합한데, 그 이유는 등반중에 풋 플랫폼을 양팔로 잡아당긴 후 트랙에 로킹해야 하기 때문이다.
독일 특허 제102 01 965호에는 수직 상방을 향하는 섹션을 답파하기 위한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이 독일 특허의 발명은 근력에 의해 작동하고, 크롤러(crawler) 방식으로 고정식 사다리 상에 상방 및/또는 하방으로 배치될 수 있는 등반 보조 기구를 설명한다.
더욱이, WO 2005/016461는 사람의 승강 및/또는 하강을 위한 장치 및/또는 등반 보조 기구를 제안한다. 이러한 등반 보조 기구는 수동으로 작동될 수도 있고 모터에 의해 구동될 수도 있으며, 사람이 어려움 없이 높이가 매우 높은 곳을 등반 및/또는 하강하게 한다. 그러나, 이 국제 출원에 설명되어 있는 등반 보조 기구와 독일 특허 제102 01 965호에 공지되어 있는 등반 보조 기구 모두는 비교적 대형이고 무거우며, 한사람이 어려움 없이 이송할 수 없다. 상기 2개의 공개된 종래 기술 문헌에 설명되어 있는 등반 보조 기구는, 예컨대 검사자가 일상적인 확인을 수행해야 하는 가동성의 단순한 용례보다는 오히려 반드시 추가의 툴을 필로 하는 대규모의 보수 작업의 경우에 사용하기에 적절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높이가 높은 곳을 등반 및 하강하기에 적합하고, 용이하고 보편적으로 채용 가능하며, 사람이 어려움 없이 이송할 수 있는 등반 보조 기구를 제안하는 것이다. 이송은, 예컨대 배낭이나 다른 운반 베셀로 이루어질 수 있는 한편, 불리한 지형에서의 가동성 사용도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한편으로는 청구항 1에 따른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제안된 장치 또는 시스템은 주로 2개의 요소, 즉 긴 레일형 프로파일 요소와 실제 등반 보조 기구를 포함한다. 긴 레일형 프로파일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고압탑, 케이블카의 마스트 등과 같은 등반할 대상에 고정될 수 있는 단순한 프로파일을 갖는다. 긴 프로파일 요소는 이 프로파일 요소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등반 보조 기구를 유지 및 안내하기에 적합한 하나 이상의 안내 부분과 같은 안내 부분과, 하나 이상의 등반 보조 기구로부터의 힘을 전달하고 및/또는 힘의 전달을 흡수하기에 적합한 힘 전달 흡수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핵심 부재는 레일 타입의 긴 프로파일 요소 상에 배치하기에 적합하고 이를 위해 제공되며, 사람이 예컨대 고압탑 상의 프로파일 요소를 따라 등반할 수 있게 하는 2개의 등반 콘솔이다. 2개의 등반 콘솔 각각은 풋 지지면과, 프로파일 요소 상의 안내 부분을 둘러싸거나 파지하는 안내 섹션을 포함하고, 이 안내 섹션은 또한 안내 섹션의 반대측에 있는 프로파일 요소에 대하여 또는 프로파일 요소 상에 지지되고 힘 전달 흡수부에 대하여 또는 이 부분 상에 지지되기에 적합한 유지 섹션을 포함한다. 안내 부분은 한편으로는 등반 콘솔이 긴 프로파일 요소 상에 견고하게 유지되고 측방으로 이동할 수 없는 것을 보장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등반 콘솔이 긴 프로파일 요소를 따른 동작 중에 긴 프로파일 요소 상에서 확실하게 안내되는 것을 보장한다. 유지 섹션은 등반 콘솔이 이동되지 않을 때 긴 프로파일 요소 상에 타이트하게 유지되고 긴 프로파일 요소를 따라 풋 지지면에 서있는 사람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보장한다. 안내 섹션과 유지 섹션은, 예컨대 힘 전달 흡수부에 대하여 긴 프로파일 요소 상의 풋 지지면과 등반 콘솔이 틸팅 가능하게 또는 길이 방향으로 자유롭게 변위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긴 프로파일 요소를 따른 등반 콘솔의 변위가 가능하도록, 예컨대 틸팅 동작 중에 유지 섹션이 긴 프로파일 요소 상의 힘 전달 섹션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풋 지지부의 틸팅 동작 없이도 등반이나 하강이 가능하도록, 안내 섹션과 유지 섹션이 평행 4변형과 같은 방식으로 서로를 향해 또는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변위될 수 있는 방식으로 안내 섹션과 유지 섹션을 등반 콘솔 상에 배치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예컨대 캐리지 또는 카트형 장치에 사용되는 안내 롤러와 같은, 긴 프로파일 요소 상에 길이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안내 섹션이 마련되는데, 상기 카트형 장치는, 예컨대 회전축에 의해 각각의 등반 콘솔에 연결된다. 추가적으로, 유지 섹션 또는 유지 섹션들은 안내 섹션 또는 안내 섹션들의 동작과는 무관하게, 동작의 관점에서 각각의 등반 콘솔에 커플링되어, 등반 콘솔이 경사 위치 또는 틸팅 위치에 있는 동안에 유지 섹션 또는 유지 섹션들은 긴 프로파일 요소로부터 제거되고 사람 또는 대응하는 발의 지지 위치, 즉 긴 프로파일 요소에 대해 거의 수직인 각각의 등반 콘솔의 방향으로 긴 프로파일 요소에 대하여 확실하게 지지된다. 일변형예에 따르면, 긴 프로파일 요소의 각 측부를 클램프 또는 죠오(jaw)와 같은 방식으로 둘러싸는 2개의 유지 섹션이 마련된다.
긴 레일형 프로파일 요소는, 예컨대 측부에 각각의 등반 콘솔의 안내 섹션이 둘러싸거나 파지할 수 있는 레그형 및/또는 파이프형 안내 부분을 갖는 U자형, T자형, H자형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WO 2005/01646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프로파일 요소가 설형(舌形) 또는 그리드형의 길이 방향 안내부 또는 리세스를 포함하는 경우, 예컨대 유지 섹션에서 돌출하는 맞물림 부분 또는 갈고리형 로킹 수단을 마련하거나 볼록면 또는 캠을 구비하는 유지 섹션 상에 지지면을 마련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볼록면 또는 캠은, 로킹식으로 예컨대 적어도 거의 제위치에 등반 콘솔을 고정할 때 긴 프로파일 요소의 그리드형이나 치형(齒形)의 랙형(rack-like) 노치 또는 개구에 맞물린다. 그러나, 유지 섹션의 지지면은 높은 마찰력의 결과로서 유지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대략적으로, 예컨대 부분적으로 탄성을 갖게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등반 콘솔의 특히 바람직한 다른 변형예는 종속항에 설명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등반 콘솔은 특히, 예컨대 WO 2005/016461에 설명되어 있는 바와 같은 긴 레일형 프로파일 요소와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등반 콘솔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WO 2005/016461에 설명되어 있는, 풋 플랫폼, 핸들, 구동 기구 등도 포함하는 고규격 등반 콘솔 대신에, 사람이 예컨대 백, 배낭 또는 통상적으로 가동식으로 운반할 수 있는 간단한 등반 콘솔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라 청구되는 긴 프로파일 요소를 따라 등반하기 위해, 예컨대 고압탑에 등반 콘솔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등반 콘솔뿐만 아니라, 유리하게는 다른 유지 요소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 유지 요소에 의해 등반하는 사람이 긴 프로파일 요소 또는 고압탑을 붙들고 있을 수 있고, 상기 유지 요소는 부분적으로 종래의 등반 장치로부터 잘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유지 요소는 칼라형 유지 요소로, 긴 프로파일 요소에 설치될 수도 있고, 케이블형 유지 요소 둘레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또한, 예컨대 고압탑 등의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손에 의해, 또는 예컨대 등반하는 사람의 등 둘레에 배치되거나 벨트 스트랩에 배치되는 고정 요소에 의해 등반하는 사람을 유지하기 위해 추가로 공지되어 있는 이러한 유지 요소는 본 발명의 주요 구성품이 아니며, 이에 따라 이러한 유지 요소는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겠다. 대신에, 본 발명은 유리하게는 전술한 등반 콘솔과 조합하여 사용하기에도 적합한, 청구항 18에 따른 인명 추락 방지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캐리지 또는 카트형 안전 장치를 제안하는데, 이러한 캐리지 또는 카트형 안전 장치는 긴 프로파일 요소를 따라 이 프로파일 요소 상에 길이 방향으로 자유롭게 변위될 수 있으며, 프로파일 요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측에서 둘러싸고, 로킹 장치를 포함하며, 이 로킹 장치는 발생할 수 있는 가능한 추락 중에 길이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는 안전 장치를 로킹하도록 긴 프로파일 요소를 등반 및 하강하는 사람에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긴 프로파일 요소 상에 또는 이 요소 내에 갈고리 맞물림부를 마련하는 것이 제안되며, 예컨대 수직 외측 방향으로 보호할 사람을 연결하는 결과로서 또는 하향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인장력이 긴 프로파일 요소로부터 발생하면 갈고리가 프로파일 요소에 즉시 맞물리려, 안전 장치를 로킹한다.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1은 길이 방향 프로파일 상에 배치되어 있는 본 발명의 등반 콘솔의 개략적인 측부 사시도이고,
도 2는 유지 위치에 있는 본 발명의 등반 콘솔의 측면도이며,
도 3은 사람이 등반하거나 하강하는 상태에 있어서의 프로파일 요소 상의 본 발명에 따른 등반 콘솔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측부에 안내 부분과 유지 부분이 맞물려 있는 프로파일 요소의 측방향 안내측의 단면의 절반부의 개략도이며,
도 5는 길이 방향 프로파일 상에 배치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등반 콘솔의 개략적인 측부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따른 등반 콘솔의 섹션들이 프로파일 요소 상에 고착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등반 콘솔의 다른 변형예의 측부 사시도이고,
도 8은 비사용 또는 클램핑 위치에 있는, 도 7에 따른 등반 콘솔의 측면도이며,
도 9는 상하 이동 중에 경사 위치에 있는, 도 7에 따른 등반 콘솔의 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인명 추락 방지 장치의 가능한 변형예의 사시도이며,
도 11은 프로파일 요소에 관련된 도 10에 따른 인명 추락 방지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12는 사람이 제어식으로 상하 이동하는 경우에, 비로킹 상태에 있는 도 10에 따른 인명 추락 방지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13은 사람을 지지하는 위치 또는 추락을 방지하는 위치에서 고정된 상태에 있는 도 10에 따른 인명 추락 방지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에는 사람이 U자형의 긴 프로파일 요소가 배치되는 고압탑(도시하지 않음)과 같은 대상에 등반 및/또는 하강하게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개략적인 측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긴 프로파일 요소(1)는 베이스면(3)에 치형의 랙형 그리드 개구(5)를 지니며, 이 개구의 기능은 이하에서 설명하겠다. 측면(7)에는 개구(9)가 마련되며, 이 개구에는 긴 프로파일 요소(1)를 파스닝 수단(13)을 매개로 고압탑에 고정하기 위해 장착 요소(11)가 견고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프로파일 요소(1) 상에 가동 및 착탈식으로 등반 콘솔(21)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등반 콘솔은 예컨대 사용자가 그 자신을 풋 지지면(23) 상에 미끄럼 방지식으로 위치시킬 수 있게 하도록 노브(25)를 지닌 풋 지지면(23)을 포함한다. 풋 지지면(23) 아래에는 강화 리브(27)가 제공되며, 이 강화 리브는 파스닝 부재(29)를 매개로 도 1에 도시하지 않은 안내 섹션에 연결된다. 대신에, 프로파일 요소 전방에는 브레이스(brace)(31)가 도시되어 있으며, 브레이브(31) 전방에는 프로파일 요소의 베이스면(3)의 치형인 래크형 프로파일(50)에 맞물리도록 유지 섹션(33)이 마련된다. 프로파일 요소를 따른 등반 콘솔(21)의 특히 안전한 안내 이동을 보장하기 위해서, 안내 롤러(35)가 유지 섹션(33) 위에 더 배치된다.
추가적으로, 물론 등반 및 하강을 위해 2개의 등반 콘솔이 사용되어야 하지만, 도면들은 항상 단지 하나의 등반 콘솔만이 도시되어 있다는 것을 언급해야 한다.
도 2에는 전방에 유지 섹션(33)이 배치되어 있는 브레이스(31)를 다시 확실시 명확하게 보여주는 도 1에 따른 등반 콘솔과 프로파일 요소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로부터, 안내 또는 유지 파이프(15, 17)로서 파이프형 요소가 프로파일 요소(1)의 측부(7) 상에 측방향으로 배치되며, 예컨대 2개의 안내 롤러(35, 37)가 파이프에 맞물리도록 등반 콘솔(21)에 배치된다는 것도 명백하다. 파스닝 부재(29)는 말단에서 2개의 부분(41, 43)에 의해 측면(7)의 단부에 배치되어 있는 안내 파이프(17)를 둘러싸며, 둘러싸는 부분(43)은 콘솔(21)이 프로파일 경로로부터 측방향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측면(7)의 후방으로 절곡된다.
사람이 프로파일 요소(1)를 따라 고압탑에 등반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등반 콘솔(21)은 도 3의 측면도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틸팅"될 수도 있고 프로파일 요소(1)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도 있다. 등반 콘솔(21)을 틸팅시킴으 로써, 베이스면(3)에 마련된 치형 그리드(50)에 맞물리는 유지면 또는 유지 섹션(33)이 멀리 변위되고, 그 결과 등반 콘솔이 프로파일 요소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틸팅으로 인해 2개의 안내 롤러(35, 37)는 프로파일 부분을 따른 등반 콘솔(21)의 안전하게 안내되는 변위가 가능해지도록 2개의 안내 또는 유지 파이프(15, 17)를 따른 "편안한" 맞물림 위치를 취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편안한 맞물림을 보장하기 위해서 스프링력에 의해 2개의 안내 파이프(15, 17)에 대하여 2개의 안내 롤러(35, 37)에 예응력을 가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측면(7)을 둘러싸는 굴곡된 부분(43)은 등반 콘솔이 여전히 측방향으로 이탈할 수 없도록 치수가 정해져야 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는, 사용자의 발이 지지면(23)에 확실하게 유지되게 하는, 예컨대 착탈식 펀칭 타입의 파스닝 또는 스노보드 타입의 파스닝과 같은 유지 버클, 유지 스트랩 또는 신속 해제 파스너의 예를 설명하였다. 물론, 그러한 유지 수단은 사용자가 등반을 수행할 때 등반 콘솔이 "함께 잡아당겨지는" 것을 보장하는 데 있어서 유리하고 및/또는 필수적이다.
도 4에는 등반 콘솔(21)의 안내 섹션과 유지 섹션의 가능한 변형예를 예시하는, 프로파일 요소 측방부의 단부의 절반부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따른 도면에서, 2개의 안내 롤러(35, 37)가 프로파일 요소(1)의 2개의 안내 파이프 또는 유지 파이프(15, 17)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확실하게 안내되는 것을 보장한다.
도 5는, 예컨대 고압탑을 등반하기 위한 길이 방향 프로파일 상에 배치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등반 콘솔의 다른 가능한 변형예의 측부 사시도이다. 도 5 에는 단지 하나의 등반 콘솔만이 재차 도시되어 있으며, 또한 프로파일 요소의 대응하는 절반부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등반 콘솔(21)은 또한, 노브(25)가 마련되는 풋 지지면(23)을 지니며, 예컨대 풋 유지 스트랩을 제공하는 데 사용되는 파스닝 섹션(32, 34)도 추가적으로 개략도로 도시되어 있다. 풋 지지면(23)은 강화 리브(27), 파스닝 부재(29) 및 브레이스(31)를 통해 풋 지지면을 긴 프로파일 요소 상에 유지하는 적절한 요소 또는 부재에 연결된다. 프로파일 요소의 측부(7)에는, 전방면(3)과, 이 전방면에 마련된 그리드, 또는 치형의 휠형 리세스, 즉 개구(5)뿐만 아니라 2개의 안내, 유지 또는 힘 전달 파이프(15, 17)가 있다. 파스닝 부재(29)의 연장부에는, 앞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게 안내 파이프(17)가 2개의 부분(41, 43)에 의해 둘러싸인다. 도 5에 따른 실시예에는 안내 롤러가 제공되지 않는 대신에, 2개의 부분(41, 43)의 내부에 안내 또는 유지 지지면(51)이 마련되고, 하부에 도면 부호 53으로 나타내는 각진 슬라이딩 섹션(53)이 배치된다.
이와 유사하게, 반대측에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유지 파이프 또는 안내 파이프를 둘러싸거나 이들과 맞물리는 유지 섹션(57)과, 이 유지 섹션에 대해 경사지게 유지 섹션 위에 배치되고 도면 부호 55로 나타내는 추가의 슬라이딩 섹션이 마련된다. 유지 섹션(57)과 추가의 슬라이딩 섹션(55) 모두는 파스닝 부재(29) 상에 이 파스닝 부재에 대하여 길이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배치되는 커버 또는 케이싱 요소(58) 내부에 유지된다. 이러한 길이 방향 변위성은, 예컨대 프로파일 요소의 측벽(7) 상에 등반 콘솔(21)을 배치 또는 고착시키거나, 프로파일 측벽으로부터 등반 콘솔을 제거하는 데 있어서 유리하다. 예컨대, 로킹 핀(59)을 잡아당김으 로써, 커버(58)를 유지 또는 안내 파이프(15)로부터 제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등반 콘솔(21)을 측벽으로부터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역으로, 등반 콘솔(21)의 측방 제거를 방지하기 위해, 로킹 핀(59)을 사용하여 커버 또는 케이싱(58)을 확실하게 로킹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 또는 케이싱(58)을 파스닝 부재(29)에 강고히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로킹 핀(59)을 잡아당겨, 그 결과 유지 섹션(57)을 커버(58)로부터 상하로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등반 콘솔(21)의 제거가 가능하다. 이와 유사하게, 등반 콘솔을 배치할 때, 유지 섹션(57)을 상부 또는 하부에서 유지 파이프(15)와 커버(58) 사이의 영역에 삽입하고, 로킹 핀(59)으로 적소에 고정한다.
마지막으로, 갈고리(56)를 볼 수 있으며, 갈고리의 기능은 도 6을 참고하여 이하에서 설명하겠다.
도 5에 따른 등반 콘솔의 작동 원리를 사용하여 프로파일 요소를 따라 등반 및/또는 하강하는 데 도 5에 따른 등반 콘솔(21)을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도 6에 기초하여 설명하겠다. 도 6에는 2개의 안내 또는 유지 파이프(15, 17)에 맞물리는 등반 콘솔의 유지 섹션 영역의 절단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은 절단도이기 때문에, 안내 또는 유지 파이프(15, 17)를 둘러싸는 부분은 생략되었으며, 따라서 안내 파이프(17)를 둘러싸는 안내 또는 유지 섹션(51)의 이면을 식별할 수 있고, 유지 섹션의 이면에는 안내 파이프(17)를 향한 전방에, 예컨대 높은 내마모성 폴리머로 이루어져 높은 내마모성을 갖는, 매우 양호한 접착성을 지닌 특별한 높은 내마모성 코팅 및/또는 삽입 요소(52)가 마련된다. 예컨대, 부분적으로 교차 결합된 PU 등과 같은 브레이크 라이닝으로 알려져 있는 특별한 고무재, 또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PU 등과 같은, 탄소 섬유 또는 아라미드 섬유로 충전되거나 강화된 폴리머를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안내 또는 유지 섹션(51)은 이 섹션에 대해 소정 각도로 배치되고, 전방을 향해 하향 연장되는 슬라이딩 섹션(53)을 포함하고, 이 슬라이딩 섹션은 반대측의 유지 섹션(57) 상의 적절하게 경사진 슬라이딩 섹션(55)과 함께 등반 콘솔의 경사 상태 또는 상향 틸팅된 상태를 가능하게 한다. 반대측의 유지 섹션(57) 상에는, 전방에 유지 또는 안내 파이프(15)에 대해 지지되는 높은 내마모성 코팅(61)이 마련되며, 이 코팅은 또한 전술한 재료 또는 다른 적절한 폴리머로 구성된다. 2개의 코팅(61, 52)은 또한 등반 콘솔(21)의 "비사용 위치"에 있어서 2개의 파이프(15, 17)에서 양호한 접착 작용이 달성되는 표면 특성을 갖는다. 추가적으로, 등반 콘솔이 "비사용 위치"에서 하향 슬라이딩할 수 없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갈고리(56)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기어휠 또는 그리드 개구(5)에 맞물리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갈고리(56)는, 예컨대 등반 콘솔(21)의 수평 방향 위치에서 기어휠 개구에 자동으로 맞물리도록 치형 랙을 향하는 방향으로의 스프링 작용에 의해 경미한 예응력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등반 또는 하강시에, 즉 등반 콘솔(21)이 경사 위치에 있을 때, 이 갈고리는 경사 위치의 결과로서 치형 랙에 맞물리지 않고 치형 랙을 따라 슬라이딩한다.
도 6에는 또한 등반 콘솔을 프로파일 요소로부터 측방으로 제거할 수 있게 하도록 유지 또는 안내 파이프(15)로부터 케이싱(68)과 이 케이싱에 연결된 유지 섹션(57)을 잡아당길 수 있는 로킹 핀(59)이 도시되어 있다.
도 7은 프로파일 요소(1)에 배치되어 있는 본 발명의 등반 콘솔(21)의 다른 실시예의 측부 사시도이다. 도 7의 예에서는 전술한 예와는 달리, 프로파일 요소(1)의 측부(7) 및/또는 2개의 파이프(15, 17)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자유롭게 변위 가능한 3개의 안내 롤러(35, 37)가 마련된다. 롤러들(35, 37)을 연결하는 카트형 장치(44)는 중앙에 슬리브형 회전체(46)를 포함하며, 이 회전체를 관통하여 회전축 연결부(79)가 연장되어 등반 콘솔(21)을 클램프형 장치(71)에 연결하고, 이 클램프형 장치는, 클램프형 장치(71) 상에 평행 사변형식으로 구성된 2개의 죠오(73, 75)를 포함한다. 2개의 죠오(73, 75)는 등반 콘솔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비사용 위치에 있을 때 2개의 파이프(15, 17) 각각에 대해 클램핑 식으로 지지되어 외측에서 파이프를 둘러싸도록 구성된다. 연결축(79)은 강화 리브(27) 앞에 마련된, 등반 콘솔의 대응하는 마운트(28)에 안착된다. 등반 콘솔의 나머지 부분들은 상기 도면들에 있는 등반 콘솔과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낸다. 유일한 추가의 부분으로 도시되어 있는 것은 등반자의 발을 등반 콘솔에 확실하게 유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루프형 유지 장치(22)이다.
도 8에는, 또한 비사용 위치 또는 클램핑 위치에 있는, 즉 프로파일 요소(1) 상에 확실하게 유지되어 있는 도 7에 따른 등반 콘솔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이것은 클램프형 장치(71)가 2개의 죠오(73, 75)에 의해 프로파일 요소에 확실하게 "앵커링(anchoring)"되는 결과로서, 등반 콘솔(21) 상에 서있는 사람의 고유한 중량 및 동작의 커플링에 기초하여 화살표 A의 방향으로 구동되는 클램프형 장치(71)에 의해 달성된다.
도 9에는 사람의 상승 및 하강에 적절한, 경사진 틸팅 위치에 있는 도 7에 따른 등반 콘솔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등반 콘솔(21)의 경사진 위치의 결과로서, 클램프형 장치는 또한 화살표 B 방향으로 선회되고, 이에 따라 2개의 죠오(73, 75)가 선회되어 각각의 프로파일 요소(15, 17)로부터 멀어진다. 이제, 카트형 장치(44)는 안내 롤러(35, 37)에 의해 프로파일 요소를 따라 변위될 수 있다. 사람이 발을 도시한 등반 콘솔(21)에 지지한 상태로 다리를 사용하여 위로 또는 아래로 충분히 많은 거리를 지나간 즉시, 등반 콘솔은 도 8에 따른 위치로 다시 이동되고, 프로파일 요소(10)에 확실하게 클램핑된다. 비사용 위치에 있어서의 후방을 향한 동작을 지지하기 위해, 예컨대 사람의 발에 의해 등반 콘솔 상에 어떠한 힘도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 등반 콘솔이 자동으로 비사용 위치로 이동되도록, 연결축(79)은 스프링 작용에 의해 예응력을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은 등반 콘솔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특히 도 8 및 도 9에서 볼 수 있는 클램핑 장치(48)를 가압함으로써 안내 롤러(37)가 프로파일 요소에서 측방으로 멀어지게 선회될 수 있다. 이러한 클램핑 장치는, 예컨대 사람의 승강 및 하강 중에 롤러(37)의 자동 선회가 가능해지도록 클램핑 방향으로의 스프링 작용에 의해 예응력을 받는다.
도 10 내지 도 10에는 도 1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등반 콘솔과 조합하여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한 인명 추락 방지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도시한 인명 추락 방지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파일 요소를 이용 가능한 경우에 다른 등반 장치와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0에는 서로에 대해 소정 각도로 배치되고, 액슬 연결부(88)를 통해 전방이 서로 연결되는 2개의 측부(83, 85)를 포함하는 인명 추락 방지 장치(81)의 비스듬한 전방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인명 추락 방지 장치(81)를 파이프(17)의 이면을 따라 안내하기 위해, 2개의 측부(83, 85)의 단부의 이면에는 롤러(93)가 마련된다. 롤러(93)는 측부(83, 85) 상에 있는 적절한 롤 액슬(92)에 유지된다. 전방에는, 다시 말해서 2개의 파이프(15)를 따른 안내를 위해 추가의 롤러(91)가 액슬 연결부(88)를 따라 배치된다. 액슬 연결부(88)의 중앙에는, 로킹 장치(97)가 마련되며, 이 로킹 장치는, 예컨대 전술한 등반 콘솔을 사용하여 프로파일 요소(1)를 등반 및 하강하는 사람을 위한 안전 케이블을 배치하기 위한 파스닝 아이릿(eyelet)(98)이 마련된다. 마지막으로, 로킹 장치(97)에는 칼라(87)에 의해 로킹 장치(97)에 비회전식으로 연결되는 갈고리(99)가 마련된다.
도 11에는 프로파일 요소(1)의 단면에 기초하는 인명 추락 방지 장치(81)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도면에는 프로파일 요소의 2개의 측부(7)를 외측에서 둘러싸는 롤러(91, 93)가 매우 분명하게 보인다.
도 12에는 인명 추락 방지 장치의 측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도면에는 로킹 장치의 작동 원리에 관한 보다 양호한 도면을 제공하기 위해 2개의 측부(83, 85)가 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단지 한사람만 프로파일 요소를 따라 등반 또는 하강하는 경우, 안전 케이블(101)은 도 12에 따른 상향 경사진 상태로 로킹 장치(97)의 아이릿(98)에 위치된다. 로킹 장치와의 회전식 커플링으로 인해, 그에 따라 갈고리(99)가 치형의 랙형 장치(3)의 그리드(5)로부터 제거되며, 인명 추락 방지 장치가 자유롭게 상향 또는 하향 이동될 수 있다. 승강 또는 하강하는 사람이 어떠한 이유로든 등반 콘솔로부터 미끄지는 경우 또는 등반 콘솔이 프로파일 요소에 충분히 부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 안전 케이블은 자동으로 도 13에 도시한 상향 경사진 상태에서 하향 변위된다.
예컨대 스프링에 의해 야기되는 예응력을 가하는 것으로 인해, 로킹 장치(97)와 이 로킹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갈고리(99)는 프로파일 요소의 방향으로 자동으로 변위되고, 이에 따라 갈고리(99)가 그리드(5)에 맞물리게 된다. 이러한 작용은 인명 추락 방지 장치(81)를 로킹하기 때문에, 인명 추락 방지 장치가 하향 이동될 수 없다. 안전 케이블(101)에 연결되어 있는 사람은 잠재적인 낙하로부터 보호된다. 인명 추락 방지 장치를 프로파일 요소에 배치하기 위해, 예컨대 롤러를 작동 위치에 로킹하는 유지 클램프(95)를 작동시킴으로써 후방 롤러(93)를 외측 방향으로 멀어지게 선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한 롤러형 안내부(83, 85) 대신에, 인명 추락 방지 장치(81)의 길이 방향 변위를 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딩면을 마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3개의 롤러 대신에, 예컨대 단지 2개의 안내 슬라이딩면 등을 양측에 마련할 수도 있다. 유일한 기본적인 양태는 치형의 랙형 그리드와 맞물리는 맞물림 섹션을 구비하고, 추락의 경우에 인명 추락 방지 장치의 자동 로킹을 실시하도록 예응력을 받는 로킹 장치가 마련된다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한 변형예는 단지 예이며, 임의의 자의적인 방식으로, 변형, 보충 및 보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특히 재료 선택에 관해서 는 특별히 설명하지 않았지만, 강,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은 특히 풋 지지부와 강화 요소를 위해 사용할 수 있고, 안내 롤러, 유지 섹션, 안내 섹션의 경우에는 높은 내마모성의 열가소성 재료, 특히 부분적으로 교차 결합된 폴리우레탄, 고도로 교차 결합된 실리콘 등과 같은 폴리머 재료와 금속 재료 모두가 가능하다. 도면에 도시한 구멍 또는 치형의 랙형 그리드를 갖는 U자형 프로파일, T자형 프로파일, H자형 프로파일, L자형 프로파일과 같은 상이한 길이 방향 프로파일과, 또한 이러한 구멍은 없지만, 예컨대 조면(粗面) 등을 갖는 길이 방향 프로파일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프로파일 요소에 관하여, 프로파일 요소에 관한 범위의 내용이 본 발명의 구성적인 부분으로서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WO 2005/016461를 참조한다. 등반 콘솔을 확실하게 위치 설정하기 위해, 유지 섹션이 죠오 상에 또는 죠오 내에 맞물리도록, 또는 갈고리가 프로파일 요소의 측면 및/또는 유지 또는 안내 파이프에 맞물리도록 등반 콘솔 또는 추락 방지 장치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마지막으로,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은, 물론 유용하고, 유리하며, 요구될 수도 있는 사용자가 예컨대 고압탑을 등반할 때 사용자를 더욱 확실하게 떠받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한 다른 고정 요소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고정 요소는 고압탑 등의 둘레에 배치될 수 있는 길이 방향 프로파일, 케이블형 요소 또는 스트랩형 요소 상에 또는 이들 내에 맞물릴 수 있다.

Claims (23)

  1. 사람이 소정 대상을 등반 및/또는 하강하게 하는 장치로서,
    하나 이상의 안내 부분(17)이 따라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긴 레일형 프로파일 요소로서, 이러한 프로파일 요소 및/또는 안내 부분 상으로의 힘 전달을 흡수하는 하나 이상의 힘 전달 흡수부(3, 5, 15)를 포함하는 긴 레일형 프로파일 요소(1, 3, 5, 15, 17)와,
    각기 풋 지지면(23)을 갖는 2개의 등반 콘솔(21)과, 안내 부분(17)을 둘러싸거나 파지하는 안내 섹션(37, 41, 51, 52)을 포함하는 등반 보조 기구로서, 유지 섹션(33, 57, 61)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유지 섹션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파지 안내 섹션과 대향하는 상기 프로파일 요소에 대해 또는 상기 프로파일 요소 상에 지지되고, 힘 전달 흡수부(3, 5, 15)에 대해 지지되기에 적합한 것인 등반 보조 기구를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안내 섹션(37, 41, 51, 52)과 유지 섹션(33)은 각각 2개의 등반 콘솔(21) 중 하나에 배치 또는 위치 설정되고, 상기 프로파일 요소(1, 3, 5, 15, 17) 상에서의 등반 콘솔의 경사 배치가 가능하도록 서로 소정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상기 프로파일 요소를 따라 등반 콘솔을 변위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유지 섹션(33, 57, 61)이 힘 전달 섹션(5)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요소(1)는 측부에, 바람직하게는 2개의 등반 콘솔 중 하나의 안내 섹션(35, 37, 41, 51, 52)을 둘러싸거나 파지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의 레그형 및/또는 파이프형 안내 또는 유지 부분(15, 17)을 포함하는 U자형, H자형, T자형, L자형,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의 프로파일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내 부분(17) 및/또는 선택적으로 힘 전달 흡수부(15)는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의 측방향 U-측부, H-측부, 또는 파이프형 단부 상에 있는 U자형, T자형, H자형 또는 L자형 프로파일 요소에는 파이프 형상의 안내 부분(17) 또는 힘 전달 흡수부(15)가 마련되고, 이 힘 전달 흡수부에는, 고정 위치에서 상기 프로파일 요소를 따른 등반 콘솔의 길이 방향 안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등반 콘솔(21)의 하나 이상의 안내 롤러(35, 37)가 힘 전달 흡수부 내에 또는 힘 전달 흡수부 상에 맞물리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안내 롤러(35, 37)는 안내 또는 힘 전달 파이프(15, 17)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스프링 작용에 의해 예응력을 받는 것과 같은 예응력을 받는 방식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의 유지 섹션으로서의 역할을 겸하는, 각각의 등반 콘솔의 안내 섹션(51, 52)과 유지 섹션(57, 61)은 상기 프로파일 요소(15, 17) 상에 또는 프로파일 요소 내에 맞물리도록 프로파일 요소(1, 15, 17)에 대하여 길이 방향으로 오프셋되게 배치되고, 각각의 유지 또는 안내 섹션의 반대측에 있는 안내 부분(17) 또는 힘 전달 흡수부(15)의 영역(53, 55) 상에서는 콘솔의 어떠한 섹션도 상기 프로파일 요소에 맞물리도록 구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요소 및/또는 안내 파이프(17)에 맞물리고 추가의 힘 전달 파이프로서의 역할을 겸하는, 모든 등반 콘솔의 안내 및/또는 유지 섹션(51, 52)은 등반 방향으로 보았을 때 안내 및/또는 힘 전달 파이프(15)에 맞물리는 유지 섹션(57, 61) 위에 배치되고, 안내 및/또는 유지 섹션과 유지 섹션의 반대측에 배치되고 각각의 안내 및/또는 힘 전달 파이프(15, 17)에 맞물리지 않는 각각의 등반 콘솔의 2개의 슬라이딩 섹션은 상기 프로파일 요소에 대한 등반 콘솔의 틸팅 또는 경사 위치가 가능하도록 각각의 섹션에 대해 기울어진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안내 섹션 및/또는 유지 섹션 각각에는, 양호한 접착성을 지닌 높은 내마모성의 고무재, 부분적으로 교차 결합된 PU 및/또는 섬유 강화 폴리머와 같은, 각각의 안내 및/또는 힘 전달 파이프에 양호하게 부착되는 높은 내마모성의 코팅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요소로부터 등반 콘솔을 측방으로 제거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안내 섹션(51, 52) 및/또는 유지 섹션(57, 61)은 각각의 안내 및/또는 힘 전달 파이프로부터 멀리 떨어지도록 변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내 섹션(37, 41, 51, 52) 및 유지 섹션(33, 57, 61)은, 등반 콘솔이 45°를 초과하는 각도만큼 틸팅되는 경우 상기 프로파일 요소로부터 등반 콘솔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등반 콘솔 상에 서로에 관하여 서로 소정 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안내 부분 및/또는 힘 전달 흡수부(5)는 하나 이상의 치형(齒形)의 랙형(rack-like) 또는 그리드형 길이 방향 안내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풋 지지면(23)에는 사용자가 풋 지지면에 확실하게 위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유지 요소(22, 32, 34)가 마련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항 내지 제6항, 제12항, 또는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등반 콘솔(21)마다 2개 이상의 유지 섹션(73, 75)이 클램핑 장치(71)의 일부로서 마련되고, 이 유지 섹션은 상기 프로파일 요소(1)의 안내 부분 또는 유지 부분(15, 17)에 대해 클램핑식으로 지지되도록 마련되는 평행 사변형 죠오(jaw)로서 구성되며, 클램핑 장치의 동작은, 등반 콘솔의 틸팅 동작으로 인해 죠오가 상기 프로파일 요소의 각각의 부분으로부터 멀어지게 변위되도록 각각의 등반 콘솔과 커플링되고, 죠오는 등반 콘솔의 비사용 또는 클램핑 위치에서 상기 프로파일 요소의 각각의 부분에 대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항 내지 제6항 또는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등반 콘솔마다 캐리지 또는 카트형 안내 장치(44) 상에 배치되는 2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3개의 안내 롤러(35, 37) 또는 안내면이 마련되고, 상기 안내 장치는 상기 프로파일 요소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으며, 2개 이상의 안내 롤러 또는 안내면은 안내 장치가 상기 프로파일 요소 상에서 확실하게 유지되도록 서로 대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클램핑 장치(71)와 등반 콘솔(21)은, 등반 콘솔의 틸팅 동작과 상기 프로파일 요소로부터 멀어지는 죠오의 선회가 동시에 가능하도록 안내 장치(44)에 대해 축을 중심으로 피벗 가능하게 배치되고, 등반 콘솔을 비사용 또는 클램핑 위치로 구동하고 및/또는 죠오를 클램핑 위치로 구동하기 위해 축(77, 79) 상에 예응력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롤러(37) 또는 안내면 중 적어도 하나는, 등반 콘솔을 상기 프로파일 요소로부터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기 프로파일 요소(17)로부터 멀어지게 선회될 수 있고, 롤러 또는 안내면은 작동 가능한 클램핑 또는 유지 장치(48)에 의해 상기 프로파일 요소에 대해 지지되는 위치에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특히 프로파일 요소(1)와 같은 소정 대상을 따라 등반 또는 하강하는 사람을 안전하게 하는 장치로서,
    상기 프로파일 요소(1)를 따라 상기 프로파일 요소 상에서 길이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고, 상기 프로파일 요소를 외측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카트형 또는 캐리지형 안전 장치(81)로서, 사람이 제어되지 않는 일련의 동작, 특히 추락을 하고 있는 동안에 안전 장치를 상기 프로파일 요소의 적소에 확실하게 로킹할 수 있도록 사람에게 기능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로킹 장치(97)를 포함하는 안전 장치를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로킹 장치(97)는 바람직하게는 예응력을 받는 갈고리(99) 를 포함하고, 이 갈고리는 상기 예응력을 받는 결과로서 바람직하게는 자동으로 상기 프로파일 요소(1) 상에 구성되는, 긴 그리드형 또는 치형의 랙형 유지 섹션(5)과 같은 긴 유지 섹션 내에 또는 유지 섹션 상에 맞물리고, 이에 따라 안전 장치를 로킹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안전 장치(81)는 프로파일 요소 상에서의, 예컨대 상기 프로파일 요소 상에 배치된 적절하게 마련된 길이 방향 프로파일의 파이프 상에서의 롤러 지지식 구성을 위한 롤러(93)를 포함하고, 롤러(93)의 적어도 일부분은, 안전 장치를 상기 프로파일 요소로부터 제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측방향으로 멀어지게 선회될 수 있고, 선회 롤러마다 각각의 롤러를 상기 프로파일 요소에 대해 제위치에 확실하게 고정하기 위해 클램핑 또는 유지 장치(95)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18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특히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형성된 것과 같은 프로파일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8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를 포함하는 장치.
  23. 고압탑, 케이블카 폴(pole), 사일로(silo), 빌딩벽, 샤프트벽 등을 등반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17항 또는 2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와 제18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의 사용.
KR1020087011547A 2005-11-07 2006-11-06 등반 보조 기구 KR200800676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01777/05A CH715330B1 (de) 2005-11-07 2005-11-07 Anordnung zum Auf- und/oder Absteigen einer Person.
CH1777/05 2005-11-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7660A true KR20080067660A (ko) 2008-07-21

Family

ID=37544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1547A KR20080067660A (ko) 2005-11-07 2006-11-06 등반 보조 기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919498B2 (ko)
EP (1) EP1948329A1 (ko)
JP (1) JP2009515065A (ko)
KR (1) KR20080067660A (ko)
CN (1) CN101304789B (ko)
CA (1) CA2628009A1 (ko)
CH (1) CH715330B1 (ko)
RU (1) RU2427405C2 (ko)
WO (1) WO20070513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33361B2 (en) * 2007-09-11 2011-10-11 Highstep Systems Ag Connection for guide rails
CH704615A2 (de) 2011-03-09 2012-09-14 Highstep Systems Ag Lift für Hochspannungs- und Windrad-Masten.
CN102616676B (zh) * 2012-04-01 2014-01-01 中联重科股份有限公司 内爬框架的导向顶紧装置、内爬框架和塔式起重机
US10895109B2 (en) * 2012-07-23 2021-01-19 Hurricane Safety Systems, Llc Step extension assembly for tree stand and kit including the same
US20140196988A1 (en) * 2013-01-16 2014-07-17 Mathew Jones Tree Climbing Device And Stand
WO2015183564A1 (en) * 2014-05-29 2015-12-0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Guided type fall arrester - force control
CN104775751A (zh) * 2015-03-26 2015-07-15 安徽冠东电子科技有限公司 无横杆智能梯子
CN104724644B (zh) * 2015-03-30 2017-03-01 国家电网公司 电力杆塔或线杆机械攀爬装置
CN104909240A (zh) * 2015-06-08 2015-09-16 北京国网富达科技发展有限责任公司 登塔装备使用的导轨
CN104912884B (zh) * 2015-06-18 2017-12-19 昆山泓杰电子股份有限公司 可自锁型自由伸缩立柱机构
CN105565111A (zh) * 2015-10-10 2016-05-11 石晓燕 无横杆智能梯子
CN105413084B (zh) * 2015-12-15 2019-03-08 宁波天弘电力器具有限公司 攀爬保险机构
CN105396236B (zh) * 2015-12-15 2019-03-08 宁波天弘电力器具有限公司 攀爬防坠落装置
CN105539625B (zh) * 2016-01-12 2019-03-08 宁波天弘电力器具有限公司 基于导轨的攀爬机器人
NO341978B1 (no) * 2016-03-17 2018-03-05 Comrod As Fremgangsmåte og system for adkomst i en komposittmast
CN105819304B (zh) * 2016-05-25 2018-06-15 北京国网富达科技发展有限责任公司 一种在输电铁塔上使用的导轨单元和导轨
CH712569A2 (de) 2016-06-01 2017-12-15 Highstep Systems Ag Mobile Schiene und Anordnung mit mobilen Schienen.
CN106166372B (zh) * 2016-07-25 2018-05-15 国网江苏省电力公司常州供电公司 电杆检修平台自行攀爬装置
CN106995016B (zh) * 2017-02-22 2018-12-14 郑义恒 一种具有减速功能的拼接式防冻建筑物外墙攀爬轨道系统
CN107892258B (zh) * 2017-11-02 2019-10-22 深圳市特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协同受力机械臂结构
CN107792295A (zh) * 2017-12-13 2018-03-13 泰兴市汇辰过滤器制造有限公司 一种帆船用桅杆
US11299933B2 (en) * 2018-06-22 2022-04-12 Barry Petreman Steps forming a spiral staircase for a treestand
US20200080327A1 (en) * 2018-09-07 2020-03-12 Matthew Burrow Temporary Step and Support
WO2021006862A1 (en) * 2019-07-05 2021-01-14 Heft Brian P Ascent safety system
CN115970240A (zh) * 2022-12-09 2023-04-18 贵州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电力线路检修用爬杆脚扣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16609A (en) * 1950-12-29 1952-11-04 Patrick J Hurley Tower ladder safety device
DE1578522A1 (de) * 1965-06-16 1971-08-26 Giovanni Bolognini Klettergeraet,insbesondere fuer Turnzwecke
US3968858A (en) * 1975-05-14 1976-07-13 Vollan Douglas D Climbing device
FR2343492A1 (fr) * 1976-03-10 1977-10-07 Glumac Sarl Appareils permettant l'ascension des poteaux et mats
US4085818A (en) * 1976-05-20 1978-04-25 Swager William E Plastic ladder and safety device
DE2932707A1 (de) * 1979-07-31 1981-02-05 Geilinger Ag Steigvorrichtung fuer ein bauwerk, insbesondere fuer einen mast, z.b. hochspannungsleitungsmast
JPS625183Y2 (ko) * 1980-09-26 1987-02-05
DK277184A (da) * 1983-06-06 1984-12-07 Extralumin Metallurg Ind Arbejdsstillads i form af en bjaelke eller soejle med en klatremekanisme
SE456222B (sv) * 1983-10-20 1988-09-19 Necks Lb Materiel Ab Kletteranordning avsedd att monteras vid stolpar, master, byggnadsdelar, skorstenar eller liknande
FR2639314B1 (fr) * 1988-11-23 1991-02-15 Clement Francois Dispositif permettant de grimper a un mat
SE508221C2 (sv) * 1993-02-18 1998-09-14 Christer Rhodin Mastskor för att äntra en profilerad mast
JPH09135914A (ja) * 1995-11-15 1997-05-27 Hokuriku Kasen Kogyo Kk 墜落防止安全装置
DE29920850U1 (de) * 1999-11-29 2000-02-24 Soell Gmbh Fangeinrichtung für ein Steigschutzsystem
DE10201965A1 (de) * 2002-01-19 2003-07-31 Eisele Bruno Vorrichtung zum Zurücklegen von Wegstrecken
FR2839303A1 (fr) * 2002-05-02 2003-11-07 Manuel Machado Dispositif d'elevation sans barreau
CN2597026Y (zh) * 2003-01-28 2004-01-07 李兆伟 水泥、木杆两用脚扣
EP1506799A1 (de) 2003-08-14 2005-02-16 M+F Ingenieur Beratungs AG Steighilfe
DE20314230U1 (de) * 2003-09-12 2003-11-06 Christian Dalloz Holding Deuts Auffanggerät als Teil einer Absturzsicherung für Leitern und ähnliche Steigwege
FR2929527A1 (fr) * 2008-04-07 2009-10-09 Raymond Laurent Echelle securisee, sans barreaux, comportant deux repose-pieds mobiles autobloquants sur les monta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04789A (zh) 2008-11-12
RU2008123009A (ru) 2009-12-20
US8919498B2 (en) 2014-12-30
US20090218165A1 (en) 2009-09-03
CA2628009A1 (en) 2007-05-10
RU2427405C2 (ru) 2011-08-27
EP1948329A1 (de) 2008-07-30
JP2009515065A (ja) 2009-04-09
CN101304789B (zh) 2012-03-07
CH715330B1 (de) 2020-03-13
WO2007051341A1 (de) 2007-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67660A (ko) 등반 보조 기구
CA2636996C (en) Ladder docking device
US20070189883A1 (en) Lifting auxiliary
US6161647A (en) Fall arresting ladder safety device
US20200224494A1 (en) Ladder safety mechanisms
JP4922350B2 (ja) 支持アセンブリ
RU2693960C1 (ru) Способ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падения человека при подъеме и спуске на опорах воздушных линий электропередач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US20230356012A1 (en) Fall protection system
US6347685B1 (en) Walk-through ladder
US6095283A (en) Walk-through ladder
GB2459118A (en) Ladder clamp
GB2476283A (en) Attachment device to secure a ladder to a scaffold
US6382356B1 (en) Man lift apparatus
US20220364376A1 (en) Self-climbing platform and method
GB2431688A (en) Improvements relating to ladders and fittings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