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5768A - 가변 주파수 클럭 발생 장치 및 그의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가변 주파수 클럭 발생 장치 및 그의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5768A
KR20080065768A KR1020070002829A KR20070002829A KR20080065768A KR 20080065768 A KR20080065768 A KR 20080065768A KR 1020070002829 A KR1020070002829 A KR 1020070002829A KR 20070002829 A KR20070002829 A KR 20070002829A KR 20080065768 A KR20080065768 A KR 200800657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ck
signal
video
frequency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2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2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65768A/ko
Publication of KR20080065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57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56Availability of hardware or computational resources, e.g. encoding based on power-saving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4Decod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video decoders which are a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enco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디오/오디오 디코더의 가변 주파수 클럭 발생 장치 및 그의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비디오/오디오 신호 처리부가 디코딩을 수행 및 종료함에 따라 클럭 신호의 주파수를 가변하여 비디오/오디오 신호 처리부에서 디코딩을 수행하는 경우와 디코딩을 종료하는 경우에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클럭 신호를 인가한다. 특히, 디코딩을 종료하는 경우에 인가하는 클럭 신호의 주파수를 디코딩을 수행하는 경우에 인가하는 클럭 신호의 주파수보다 낮게 설정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방지한다.
가변 주파수

Description

가변 주파수 클럭 발생 장치 및 그의 동작방법{APPARATUS FOR GENERATING CLOCK OF VARIABLE FREQUENCY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가변 주파수 클럭 발생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
도 2a는 일반적인 클럭 발생 장치에서 발생되는 클럭 신호를 일 예로 보여주는 도면.
도 2b는 본 발명의 가변 주파수 클럭 발생 장치에서 발생되는 클럭 신호를 일 예로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가변 주파수 클럭 발생 장치의 동작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비디오/오디오 디코더 102 : 비디오/오디오 신호 처리부
104 : 클럭 제어부 110 : 가변 클럭 발생부
본 발명은 비디오/오디오 디코더의 가변 주파수 클럭 발생 장치 및 그의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아날로그 신호보다는 디지털 신호를 적용하는 기기가 많은데, 이는 디지털 신호는 손실이 적고 에러 복원력이 좋으며, 아날로그 신호보다 우수한 화질과 음질을 가지는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디지털 신호는 데이터의 양이 많으므로 디지털 신호를 전송할 시에는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등의 방법으로 디지털 신호를 엔코딩하여 전송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MPEG 방법 등으로 엔코딩하여 전송한 디지털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면, 비디오 및 오디오 디코더에서 수신한 디지털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많은 연산 과정이 필요하게 되어 높은 동작 주파수를 가지는 클럭 신호를 사용하게 되고, 그에 따라 전력 소모가 많이 된다.
이는 특히, 디지털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기 위한 동작 주파수를 설정할 시에 평균 연산량이 아니라 연산량이 최고 일때 필요한 클럭 신호의 주파수로 설정해 놓기 때문에 디지털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지 않을 때도 높은 동작 주파수를 가지는 클럭 신호를 발생하므로 불필요한 전력 소비가 생기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밧데리를 사용하는 휴대용 단말기는 밧데리의 소모가 많아져 사용 시간이 짧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은 비디오/오디오 신호 처리부가 디코딩을 수행 및 종료함에 따라 클럭 신호의 주파수를 가변하여 비디오/오디오 신호 처리부에서 디코딩을 수행하는 경우와 디코딩을 종료하는 경우에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클럭 신호를 인가하는 가변 주파수 클럭 발생 장치 및 그의 동작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디오/오디오 신호 처리부에서 디코딩을 종료하는 경우에 인가하는 클럭 신호의 주파수를 디코딩을 수행하는 경우에 인가하는 클럭 신호의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로 설정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방지하는 가변 주파수 클럭 발생 장치 및 그의 동작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변 클럭 발생 장치는, 클럭 신호의 주파수를 가변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클럭 제어부; 및 상기 클럭 제어부가 출력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주파수가 가변되는 클럭 신호를 발생하는 가변 클럭 발생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클럭 제어부는 비디오/오디오 신호 처리부가 디코딩을 수행함에 따라 제 1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비디오/오디오 신호 처리부가 디코딩을 종료함에 따라 제 2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변 클럭 발생부는 상기 클럭 제어부의 제 1 제어신호에 따라 제 1 주파수를 가지는 클럭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비디오/오디오 신호 처리부로 인가하고, 상기 클럭 제어부의 제 2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주파수보다 낮게 설정된 제 2 주파수를 가지는 클럭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비디오/오디오 신호 처리부로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가변 클럭 발생 장치의 동작방법은,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클럭 신호의 주파수를 가변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한 제어신호에 따라 주파수가 가변되는 클럭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신호는 비디오/오디오 신호 처리부로부터 디코딩 시작신호가 입력될 시에 발생하는 제 1 제어신호와 상기 비디오/오디오 신호 처리부로부터 디코딩 종료신호가 입력될 시에 발생하는 제 2 제어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럭 신호는 상기 제 1 제어신호에 따라 제 1 주파수를 가지는 클럭 신호와 상기 제 2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주파수보다 낮게 설정된 제 2 주파수를 가지는 클럭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변 주파수 클럭 발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또한, 도 2a는 일반적인 클럭 발생 장치에서 발생되는 클럭 신호를 일 예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가변 주파수 클럭 발생 장치에서 발생되는 클럭 신호를 일 예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가변 주파수 클럭 발생 장치는 클럭 제어부(104) 및 가변 클럭 발생부(110)를 포함한다.
클럭 제어부(104)는 비디오/오디오 신호 처리부(102)가 디코딩을 수행 및 종료 함에 따라 클럭 신호의 주파수를 가변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에서 언급한 비디오/오디오 신호 처리부(102)와 클럭 제어부(104)는 비디오/오디오 디코더(100)에 포함되고, 비디오/오디오 신호 처리부(102)는 영상 신호를 디코딩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부와 음성 신호를 디코딩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로 구성되고, 클럭 제어부(104) 또한 비디오 신호 처리부가 디코딩을 수행 및 종료함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 1 클럭 제어부 및 오디오 신호 처리부가 디코딩을 수행 및 종료함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 2 클럭 제어부로 구성된다. 또한, 하기에서 설명할 가변 클럭 발생부(110)도 제 1 클럭 제어부에서 출력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클럭 신호의 주파수를 가변하여 클럭 신호를 발생하는 제 1 가변 클럭 발생부와 제 2 클럭 제어부에서 출력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클럭 신호의 주파수를 가변하여 클럭 신호를 발생하는 제 2 가변 클럭 발생부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비디오 신호 처리부로부터 디코딩되어 출력되는 영상 신호와 오디오 신호 처리부로부터 디코딩되어 출력되는 음성 신호는 동기를 맞추어 출력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각각의 구성 요소로 보지 않고, 비디오/오디오 신호 처리부(102), 클럭 제어부(104) 및 가변 클럭 발생부(110)로 하여 각 부를 설명하기로 하겠다.
그리고, 앞으로 설명할 디코딩 시작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제 1 제어신호라 하고, 제 1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클럭 신호의 주파수를 제 1 주파수라 하겠다. 또한, 디코딩 종료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제 2 제어신호라 하고, 제 2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클럭 신호의 주파수를 제 2 주파수라 하겠다.
그러므로, 클럭 제어부(104)는 비디오/오디오 신호 처리부(102)가 디코딩을 수행하는 경우에 제 1 주파수를 가지는 클럭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 1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비디오/오디오 신호 처리부(102)가 디코딩을 종료하는 경우에 상기 제 1 주파수보다 낮은 제 2 주파수를 가지는 클럭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 2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가변 클럭 발생부(110)는 상기 클럭 제어부(104)가 출력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주파수가 가변되는 클럭 신호를 발생한다. 그리고, 가변 클럭 발생부(110)는 발생한 클럭 신호를 비디오/오디오 신호 처리부(102)로 인가한다.
즉, 상기 가변 클럭 발생부(110)는 상기 클럭 제어부(104)에서 출력하는 제 1 제어신호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제 1 주파수를 가지는 클럭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클럭 제어부(104)에서 출력하는 제 2 제어신호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제 2 주파수를 가지는 클럭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비디오/오디오 신호 처리부(102)로 인가한다. 상기 제 2 주파수는 상기 제 1 주파수보다 낮게 설정되어 있다.
본 발명의 가변 주파수 클럭 발생 장치의 각 부 동작을 도 2a 및 도 2b를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하겠다.
영상 및 음성 신호가 비디오/오디오 신호 처리부(102)에서 디코딩되어 출력됨에 있어서,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디코딩하는 속도는 디코딩된 영상 및 음성 신호가 출력되는 속도보다 빠르다.
예를 들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오디오 신호 처리부(102)가 입력받은 1536 개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100KHz로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영상 및 음성 신호를 48KHz로 출력한다면, 1536/480000=32ms로 디코딩된 영상 및 음성 신호는 32ms동안 출력되게 된다. 한편, 상기 비디오/오디오 신호 처리부(102)가 1536 개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100KHz로 디코딩하는데는 10ms도 걸리지 않는다. 그러므로 비디오/오디오 신호 처리부(102)는 입력받은 1536 개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대략 10ms동안 디코딩을 하고, 22ms 정도는 디코딩을 하지 않고, 다음 입력받을 1536 개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기다리면서 디코딩된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출력되도록 신호처리한다. 한편, 비디오/오디오 신호 처리부(102)에는 디코딩을 하지 않는 22ms동안 계속 100MHz의 클럭 신호가 입력된다.
즉, 일반적인 클럭 발생 장치는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디코딩하거나 하지않거나 항시 100KHz의 클럭 신호를 비디오/오디오 신호 처리부로 제공하고, 비디오/오디오 신호 처리부는 상기 클럭 발생 장치가 제공하는 100KHz의 클럭 신호로 약 10ms동안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디코딩하고, 나머지 약 22ms 동안 다음 영상 및 음성 신호를 기다리며 디코딩된 영상 및 음성 신호가 출력되도록 신호처리한다. 그러 나, 디코딩된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출력되도록 신호처리하는데 100MHz의 클럭 신호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이에 따라 불필요한 전력 소모가 생기게 되고, 휴대용 기기같이 밧데리를 사용하는 기기에서는 밧데리의 소모가 많아져 사용시간이 짧아지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가변 주파수 클럭 발생 장치는 비디오/오디오 신호 처리부(102)가 디코딩 시작/종료 시에 디코딩 시작/종료 신호를 발생하도록 하고, 발생된 디코딩 시작/종료 신호에 따라 클럭 신호의 주파수를 가변시켜 디코딩 수행 구간과 디코딩 종료 구간에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클럭 신호를 인가한다.
좀더 상세하게 살펴보면, 가변 주파수 클럭 발생 장치의 클럭 제어부(104)에서 비디오/오디오 신호 처리부(102)로부터 디코딩 시작 신호에 따라 제 1 주파수를 가지는 클럭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 1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디코딩 종료 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주파수보다 낮게 설정된 제 2 주파수를 가지는 클럭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 2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클럭 제어부(104)가 상기 비디오/오디오 신호 처리부(102)의 동작을 체크하여 디코딩 시작 시에 제 1 주파수를 가지는 클럭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 1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디코딩 종료 시에 상기 제 1 주파수보다 낮게 설정된 제 2 주파수를 가지는 클럭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 2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음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그러면, 가변 클럭 발생부(110)는 상기 클럭 제어부(104)에서 출력하는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어떤 제어신호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가변 클럭 발생부(110)는 제 어신호가 제 1 제어신호인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제 1 주파수를 가지는 클럭 신호를 발생하고, 제 2 제어신호인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제 2 주파수를 가지는 클럭 신호를 발생하여 발생한 클럭 신호를 상기 비디오/오디오 신호 처리부(102)로 인가한다. 상기 제 2 주파수는 상기 제 1 주파수보다 낮게 설정된 주파수이고, 이에 따라 비디오/오디오 신호 처리부(102)는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디코딩하는 경우와 디코딩을 종료하는 경우에 입력받는 클럭 신호의 주파수가 서로 다르게 된다.
즉, 비디오/오디오 신호 처리부(102)가 디코딩을 수행할 경우에는 제 1 주파수를 가지는 클럭 신호로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디코딩하고, 디코딩이 종료된 경우에는 상기 제 1 주파수보다 낮은 제 2 주파수를 가지는 클럭 신호로 디코딩된 영상 및 음성 신호가 출력되도록 신호처리한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오디오 신호 처리부(102)가 1536개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디코딩하기 위해 디코딩 시작 신호를 발생하면, 클럭 제어부(104)는 상기 비디오/오디오 신호 처리부(102)가 발생한 디코딩 시작 신호에 따라 클럭 신호의 주파수를 가변시키기 위한 제 1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가변 클럭 발생부(110)는 상기 클럭 제어부(104)에서 출력한 제 1 제어신호에 따라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디코딩하기 위한 제 1 주파수인 "100MHz"의 클럭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비디오/오디오 신호 처리부(102)로 인가한다.
또한, 비디오/오디오 신호 처리부(102)가 영상 및 음성 신호의 디코딩이 끝나 디코딩 종료 신호를 발생하면, 클럭 제어부(104)는 상기 비디오/오디오 신호 처리부(102)가 발생한 디코딩 종료 신호에 따라 클럭 신호의 주파수를 변경시키기 위 한 제 2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가변 클럭 발생부(110)는 상기 클럭 제어부(104)에서 출력한 제 2 제어신호에 따라 제 2 주파수인 "10MHz"의 클럭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비디오/오디오 신호 처리부(102)로 인가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가변 주파수 클럭 발생 장치의 동작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가변 주파수 클럭 발생 장치는 비디오/오디오 신호 처리부(102)로부터 디코딩 시작/종료 신호가 입력(S300)되는 경우에 입력된 신호가 어떤 신호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02).
상기 가변 주파수 클럭 발생 장치는 입력된 신호를 디코딩 시작 신호로 판단하면, 제 1 주파수를 가지는 클럭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 1 제어신호를 발생하고(S304), 발생된 제어신호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제 1 주파수를 가지는 클럭 신호를 발생한다(S306).
그래서 가변 주파수 클럭 발생 장치는 제 1 주파수를 가지는 클럭 신호를 상기 비디오/오디오 신호 처리부(102)로 인가한다(S308).
한편, 상기 가변 주파수 클럭 발생 장치가 입력된 신호를 디코딩 종료 신호로 판단하면, 상기 제 1 주파수보다 낮은 제 2 주파수를 가지는 클럭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 2 제어신호를 발생하고(S310), 발생된 제어신호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제 2 주파수를 가지는 클럭 신호를 발생한다(S312).
그래서 가변 주파수 클럭 발생 장치는 제 2 주파수를 가지는 클럭 신호를 상 기 비디오/오디오 신호 처리부(102)로 인가한다(S308).
한편, 상기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용이하게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비디오/오디오 신호 처리부가 디코딩을 수행 및 종료함에 따라 주파수가 가변되는 클럭 신호를 비디오/오디오 신호 처리부로 인가한다.
특히, 디코딩이 종료되면 디코딩을 수행할 때에 인가하는 클럭 신호의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의 클럭 신호를 인가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방지한다. 즉, 디코딩 수행 구간과 디코딩 종료 구간에 인가되는 클럭 신호의 주파수는 서로 다르게 되고, 디코딩 종료 구간에는 디코딩 수행 구간보다 낮은 주파수를 가지는 클럭 신호를 인가하여 전력 소비를 줄이게 되는 것이다.

Claims (6)

  1. 클럭 신호의 주파수를 가변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클럭 제어부; 및
    상기 클럭 제어부가 출력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주파수가 가변되는 클럭 신호를 발생하는 가변 클럭 발생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변 주파수 클럭 발생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 제어부는
    비디오/오디오 신호 처리부가 디코딩을 수행함에 따라 제 1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비디오/오디오 신호 처리부가 디코딩을 종료함에 따라 제 2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주파수 클럭 발생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클럭 발생부는
    상기 클럭 제어부의 제 1 제어신호에 따라 제 1 주파수를 가지는 클럭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비디오/오디오 신호 처리부로 인가하고,
    상기 클럭 제어부의 제 2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주파수보다 낮게 설정된 제 2 주파수를 가지는 클럭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비디오/오디오 신호 처리부로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주파수 클럭 발생 장치.
  4.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클럭 신호의 주파수를 가변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한 제어신호에 따라 주파수가 가변되는 클럭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변 주파수 클럭 발생 장치의 동작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는
    비디오/오디오 신호 처리부로부터 디코딩 시작신호가 입력될 시에 발생하는 제 1 제어신호와 상기 비디오/오디오 신호 처리부로부터 디코딩 종료신호가 입력될 시에 발생하는 제 2 제어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주파수 클럭 발생 장치의 동작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 신호는
    상기 제 1 제어신호에 따라 제 1 주파수를 가지는 클럭 신호와
    상기 제 2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주파수보다 낮게 설정된 제 2 주파수를 가지는 클럭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주파수 클럭 발생 장치의 동작방법.
KR1020070002829A 2007-01-10 2007-01-10 가변 주파수 클럭 발생 장치 및 그의 동작방법 KR200800657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2829A KR20080065768A (ko) 2007-01-10 2007-01-10 가변 주파수 클럭 발생 장치 및 그의 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2829A KR20080065768A (ko) 2007-01-10 2007-01-10 가변 주파수 클럭 발생 장치 및 그의 동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5768A true KR20080065768A (ko) 2008-07-15

Family

ID=39816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2829A KR20080065768A (ko) 2007-01-10 2007-01-10 가변 주파수 클럭 발생 장치 및 그의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6576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0410B2 (en) Broadcast station synchronization method and mobile terminal
CN101516038B (zh) 数据处理装置
TW338132B (en) The adaptive selecting method for memory access priority control in MPEG processor
CN105282591A (zh) 独立输出流的同步
US20070025189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n intelligent wake mode
AU200320113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aling the power consumption of a video processor
EP3432305A1 (en) Dynamic latency control
KR20080065768A (ko) 가변 주파수 클럭 발생 장치 및 그의 동작방법
JP2007067797A (ja) サンプリングレートコンバータ及び半導体集積回路
JP2008282491A (ja) データ処理装置
CN105120323A (zh) 一种分布式播放器任务调度的方法及系统
US961448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processing information, and program
CN111586483A (zh) 一种智能电视及智能音箱双形态的控制方法和系统
JP6172580B2 (ja) 差動信号を利用したアナログ信号生成装置および方法
CN110534141A (zh) 音频播放装置及其信号处理方法
TW200625954A (en) Video playback apparatus and video playback method
US9236054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dio data processing
KR100840581B1 (ko) 지상파 dmb 디코더의 전력 관리방법
JP4615317B2 (ja) 符号化装置
CN105187862B (zh) 一种分布式播放器流量控制方法及系统
JP2008067263A (ja) 音量調節装置
CN113889082A (zh) 音频处理方法及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22038116A (ja) 処理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処理方法
KR100540982B1 (ko) 휴대용 wma 복호화 장치
CN114170995A (zh) 一种语音信号频带扩展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