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3629A - 고속하향패킷접속의 채널상태정보 변경 및데이터전송방법과 그에 적용되는 통신시스템 - Google Patents

고속하향패킷접속의 채널상태정보 변경 및데이터전송방법과 그에 적용되는 통신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3629A
KR20080063629A KR1020070000266A KR20070000266A KR20080063629A KR 20080063629 A KR20080063629 A KR 20080063629A KR 1020070000266 A KR1020070000266 A KR 1020070000266A KR 20070000266 A KR20070000266 A KR 20070000266A KR 20080063629 A KR20080063629 A KR 200800636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information
channel state
transmission
cqi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0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1809B1 (ko
Inventor
이정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0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1809B1/ko
Publication of KR20080063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3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1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1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 H04W52/28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during data packet transmission, e.g. high speed packet access [HSP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9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channel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6Transmission of channel quality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 H04W52/28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taking into account the usage mode, e.g. hands-free, data transmission, telepho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본 발명은 고속하향패킷접속에서의 채널상태정보 변경 및 데이터전송방법과 그에 적용되는 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변경 전의 채널상태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휴대단말장치의 전송모드중 어느 하나의 전송모드가 선택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전송모드와 일대일 매핑된 값에 의해 상기 채널상태정보가 변경되는 단계, 휴대단말장치로부터 변경된 채널상태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채널상태정보를 기초하여 변경전의 채널상태정보의 전송량, 전송속도, 할당된 채널개수가 변경되는 단계, 상기 변경된 정보에 따라 기지국(Node B)에서 상기 휴대단말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기지국(Node B)과 단말장치간의 데이터 전송방식을 변경할 수 있어 휴대단말장치의 소비전력을 절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고속하향패킷접속, 채널상태정보(CQI), 기지국(Node B), 전력소비.

Description

고속하향패킷접속의 채널상태정보 변경 및 데이터전송방법과 그에 적용되는 통신시스템{METHOD FOR CHANNEL QUALITY INFORMATION CHANGE AND DATA TRANSMISSION OF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AND COMMUNICATION SYSTEM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통신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단말장치와 기지국(Node B)의 상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채널상태정보의 테이블.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속하향패킷접속을 이용한 채널상태변경과 데이터전송방법의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휴대단말장치 12 : 통신모듈
16 : 모드선택부 17 : 메모리
18 : 제어부 30 : 기지국(Node B)
35 : 분석부 36 : 결정부
본 발명은 고속패킷접속방식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단말장치에서 기지국(Node B)으로 전송되는 채널상태정보(CQI:Channel quality information,이하 'CQI'라 함)의 변경에 따라 휴대단말장치의 소비전력을 감소시키도록 하는 고속하향패킷접속을 이용한 채널상태정보 변경 및 데이터전송방법과 그에 적용되는 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선 이동 환경에서의 고속패킷데이터서비스를 위하여 최대 10Mbps 까지의 데이터 전송률을 제공하는 고속하향패킷접속(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이하, 'HSDPA'라 함) 표준이 개발되었다. 상기 HSDPA 서비스란 기존의 Release 99 및 Release 4와 동일한 주파수 대역(5MHz)에서 고속의 하향패킷데이터서비스를 위한 고속하향링크공유채널(HS-DSCH)이라는 전송 채널, 이를 지원하기 위한 고속 공유 제어 채널(HS-SCCH) 및 고속 전용 물리 제어 채널(HS-DPCCH)과 같은 제어 채널들을 정의하여 기존의 시스템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고속 패킷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이다.
상기 고속하향패킷 접속방식은 단말장치(UE : User equipment)에서 상기 CQI를 결정하게 되며, 그 CQI는 기지국(Node B)에서 단말장치(UE)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비트율(bit rate) 및 부호화(Coding) 방법을 결정하기 위한 중요한 정보이다. 일단, 상기 단말장치에서 상기 CQI가 결정되면 상기 기지국(Node B)은 상기 CQI를 참조하여 상기 단말장치에게 최적의 속도로 데이터가 깨지지 않고 전송되도록 상기 CQI에 따라 비트율과 부호화 방식을 변경하게 된다.
그러나, 현재는 단말장치에서 상기 CQI를 구하는 경우, 셀(cell) 상호간의 간섭요인, 열 소음(Thermal noise), 전송지연시간 등의 요인(factor)만이 고려되고 있다. 즉, 단말장치는 기지국(Node B)과 고속패킷접속방식을 수행함에 있어 전송모드에 따라 전원소비가 상이하게 발생되는데, 이러한 전원소비량에 따른 전송속도가 전혀 고려되지 않고 있는 것이다. 만일 전원소비량에 따른 전송모드가 고려된다면 단말장치의 배터리 전원을 보다 더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휴대단말장치에 전력소비량에 따른 전송속도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개선을 위한 것으로서, 휴대단말장치에서 기지국(Node B)으로 전달되는 채널상태정보(CQI) 값을 전송모드에 따라 변경시키기 위한 채널상태정보 변경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변경된 채널상태정보를 이용하여 기지국(Node B)에서 휴대단말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변경된 채널상태정보에 의해 결정된 전송방식을 적용하여 휴대단말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시스템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채널상태정보 변경에 따라 데이터의 전송속도, 전송량을 감소시켜서 전체적인 소비전력이 절감되는 휴대단말장치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고속하향패킷접속의 채널상태정보 변경방법은, 변경 전의 채널상태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휴대단말장치의 전송모드중 어느 하나의 전송모드가 선택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전송모드와 일대일 매핑된 값에 의해 상기 채널상태정보가 변경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데이터전송방법은, 휴대단말장치로부터 변경된 채널상태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채널상태정보를 기초하여 변경전의 채널상태정보의 전송량, 전송속도, 할당된 채널개수가 변경되는 단계, 상기 변경된 정보에 따라 기지국(Node B)에서 상기 휴대단말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방법은, 채널상태정보(CQI)가 단말장치의 전송모드에 따라 미리 제공된 값에 의해 연산되어 변경되는 단계, 상기 변경된 채널상태정보가 기지국(Node B)에 전송되는 단계, 상기 기지국(Node B)에서 상기 변경된 채널상태정보를 기초하여 전송방식이 결정되는 단계, 상기 기지국(Node B)에서 상기 단말장치로 상기 결정된 전송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송모드는 최적배터리모드, 최대성능모드, 일반모드이다.
상기 변경된 채널상태정보(CQI)가 낮아지면 상기 단말장치에서 수신하는 데 이터량이 감소된다.
상기 최대성능모드는 상기 채널상태정보(CQI)를 변경하기 위한 값이 '1'로 설정되어 변경전의 채널상태정보(CQI) 값을 동일하게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채널상태정보(CQI)의 변경된 값이 '0'인 경우 최저전송이 가능하도록 채널상태정보 '1'로 자동 변경되도록 한다.
상기 채널상태정보(CQI)의 변경에 따라 데이터 전송속도, 데이터전송량, 할당된 채널 개수가 변경된다.
상기 채널상태정보(CQI)가 변경되면 데이터 전송량만이 변경된다.
상기 채널상태정보(CQI)가 변경되면 상기 채널 개수는 동일하게 유지되거나, 또는 변경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통신시스템은, 기지국(Node B)으로 전달되는 채널상태정보 값을 전송모드에 따라 변경하는 휴대단말장치, 그리고 상기 변경된 채널상태정보 값을 기초하여 결정된 전송방식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장치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기지국(Node 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휴대단말장치는, 상기 휴대단말장치에 제공된 하나 이상의 전송모드를 선택하는 모드선택부, 상기 휴대단말장치의 채널상태정보(CQI) 변경을 위하여 상기 전송모드와 각각 매핑되어 제공되는 변경 값을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모드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소정 전송모드에 따른 변경값에 의해 상기 채널상태정보(CQI)를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송모드는 최적배터리모드, 최대성능모드, 일반모드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송모드가 최적배터리모드 및 일반모드인 경우에 상기 변경된 채널상태정보 값을 참조하여 데이터전송량, 데이터전송속도, 채널 갯수를 감소시킨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송모드가 최대성능모드인 경우에는 변경전의 채널상태정보(CQI) 값을 동일하게 적용하여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는 채널상태정보(CQI)의 변경된 값이 '0'인 경우 최저전송이 가능하도록 채널상태정보 '1'로 자동 변경시킨다.
상기 메모리는 플래시메모리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지국(Node B)는 상기 휴대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변경된 채널상태정보를 추출하여 무선환경을 분석하기 위한 채널상태정보 분석부와, 상기 채널상태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휴대단말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속도 및 부호화방법을 결정하는 결정부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단말장치의 전원소비량에 따른 전송모드가 결정되면 미리 제공된 값에 의해 채널상태정보가 변경되고, 따라서 기지국(Node B)은 전원소비량에 따라 전송속도나 부호화방법을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 채널상태정보가 변경되면 기지국(Node B)에서 휴대단말장치로 송신하는 데이터량이 감소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는 IC의 구동 빈도가 줄어들게 되어 휴대단말장치의 소비전력이 감소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속하향패킷접속의 채널상태정보 변경 및 데이터전송방법과 그에 적용되는 통신시스템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통신시스템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휴대단말장치와 기지국(Node B)의 상세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채널상태정보의 테이블이 도시되어있다.
먼저, 통신시스템은 초기의 음성 위주 서비스에 벗어나 데이터 서비스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을 위한 고속/고품질의 무선 데이터 패킷 통신시스템으로 발전하고 있다. 현재 3GPP(2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및 3GPP2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는 HSDPA 및 1xEV-DV(Evolution in data and voice)에 대한 표준화는 3세대 이동통신시스템에서 2Mbps 이상의 고속, 고품질의 무선데이터패킷전송서비스에 대한 해법을 제공하고 있다.
상기 HSDPA 통신시스템은 WCDMA을 기반으로 하향링크를 이용하여 최대 10Mbps의 속도를 지원하고 보다 짧은 지연시간과 향상된 용량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같은 HSDPA 통신시스템의 구성도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HSDPA 통신시스템은 한 개 이상의 무선망시스템(RNS : Radio Network Sub-System)(20)로 구성되며, 각 RNS(20)는 하나의 무선망제어기(RNC:Radio Network Controller)(22)와 그 RNC(22)에 의해서 관리되는 하나의 이상의 기지국(Node B)(3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Node B)(30)과 무선통신하는 휴대단말장치(이하 '단말장치'라 약칭함)(10)가 구성된다.
도 2는 휴대단말장치와 기지국(Node B)의 상세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단말장치(10)는 채널상태정보(CQI)를 상기 기지국(Node B)(30)에 전달하고, 상기 기지국(Node B)(30)는 상기 CQI 값을 참조하여 전송속도나 부호화방법을 결정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단말장치(10)는 기지국(Node B)과 HSDPA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모듈(12), 즉 HSDPA 모듈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전송속도나 부호화방법을 결정하도록 제공되는 채널상태정보 테이블을 저장하는 저장부(14)가 구비된다. 상기 채널상태정보는 기지국(Node B)(30)에 제공되기도 한다.
상기 단말장치(10)의 전력소모량에 따른 전송모드를 결정할 수 있는 모드선택부(16)가 구비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단말장치(10)는 최적배터리모드, 최대성능모드, 일반모드와 같은 3가지 모드가 적용됨을 예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모드에는 상기 CQI 값의 변경을 위한 값이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설정되어 제공된다. 예컨대, 상기 변경 값은 '최적배터리모드 : 2', '최대성능모드 : 1', '일반모드 : 1.5'와 같다.
상기 HSDPA 모듈(12)에 의해 상기 모드에 따른 변경 값을 저장하는 메모리(17)가 구비된다. 상기 메모리(17)는 변경이 가능하도록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메모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채널상태정보 테이블의 CQI 값을 메모리(17)에 저장된 상기 변경 값으로 연산하는 제어부(18)가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18)는 상기 HSDPA 모듈(12)에게 전송모드에 따른 일대일 매핑되어 있는 상기 변경 값을 전달하고, 상기한 구성 요 소들 즉 HSDPA 모듈(12), 저장부(14), 모드선택부(16), 메모리(17)를 제어하며, 단말장치(1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다음, 상기 단말장치(10)의 물리계층에서 보내는 정보를 수신하고, 하향채널로는 데이터를 단말장치(10)로 송신하는 기지국(Node B)(30)이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다. 상기 기지국(Node B)(30)은 일반적인 노드 B가 수행하는 물리계층 역할부(32), 셀 관리부(33), 무선 접속부(34)와 같은 기능모듈 외에 상향채널인 HS-DPCCH을 통해 단말장치(10)로부터 수신하는 변경된 CQI 값을 추출하여 무선환경을 분석하기 위한 채널상태정보 분석부(35)와, 상기 CQI 값을 고려하여 단말장치(10)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속도 및 부호화방법을 결정하는 결정부(3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장치(10)와 기지국(Node B)(30) 상호간에는 HSDPA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통신시스템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고속 전용 물리 제어 채널(HS-DPCCH), 고속 물리 하향링크 공유 채널(HS-PDSCH), 및 고속 공유제어채널(HS-SCCH)이 추가적으로 사용된다.
상기 HS-DPCCH은 각 단말장치(10)가 하향 파일럿 채널 상황이 가장 양호한 기지국(Node B)를 선택하여 해당 채널 상황에 적합한 변조 및 부호화 정보를 피드백하는 데 사용된다. 그리고 기지국(Node B)(30)로부터 패킷 데이터를 수신한 단말장치(10)가 패킷 데이터 수신 여부(ACK, NACK)를 알려주는데 사용되는 상향채널이다. 이러한 상향채널에는 상기 CQI 값이 포함된다.
상기 HS-PDSCH은 상기 HS-DPCCH을 통해 기지국(Node B)(30)로 전달된 정보, 패킷 데이터 전송에 사용할 수 있는 기지국(Node B)(30) 송신전력의 양 및 패킷 데이터 전송에 사용할 수 있는 채널화 부호의 개수등을 고려하여 선택된 단말장치(10)에게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하향 채널이다.
아울러, HS-SCCH은 HS-DSCH로전송되는 패킷 데이터를 단말기가 수신하는 데 필요한 제어 정보와 기타 용도의 제어정보를 기지국(Node B)(30)가 전송하는데 사용하는 하향채널이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채널상태정보의 테이블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CQI 값은 현재 32(=25)가지의 값들을 포함한다(도 3 참조). 도 3에는 0~15까지의 CQI 값과 그에 대한 전송상태정보 등이 나타나 있다. 상기 5bit 의 정보는 20bit로 부호화 되어서 전송되도록 되어 있다. 이는 기본 정보량이 5비트인데 전송되는 정보량은 20비트인 것을 의미한다. 즉 CQI 부호화는 (20,5) 부호화 방법을 사용되어 전송되어야 하며, 기존의 WCDMA에서 사용되고 있는 TFCI(transport format combination indicator) 부호화 방법을 CQI 부호화 방법에 맞도록 펑쳐링(puncturing) 또는 확장(extension)시키는 몇몇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이어,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단말장치에 채널상태정보를 변경하고, 그에 따라 데이터 전송량을 낮추어 소비전력을 감소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HSDPA 서비스에서는 단말장치(10)가 기지국(Node B)(30)으로 전달되는 무선 환경에 대한 정보인 CQI 값을 계산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전송모드에 따른 CQI 값을 단말장치(10)에서 변경하고 그 변경된 CQI 값에 따라 전송모드가 고려된 전송속도, 부호화방법이 결정되어 데이터 전송량을 낮추는 방안을 제시한다.
통상, 기지국(Node B)(30)는 단말장치(10)로 하향채널을 통해 패킷 데이터를 전송한 후, 상기 단말장치(10)로부터 상향채널을 통해 데이터 전송 성공여부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기지국(Node B)(30)는 성공여부를 확인하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된 경우에 다음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한다.
즉, 단말장치(10)는 기지국(Node B)(30)으로 상향채널(HS-DPCCH)를 이용하여 CQI 나 상기 전송 성공여부정보인 ACK/NACK를 전송하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 기지국(Node B)(30)는 상기 CQI 값을 해석하여 채널 부호화율과 변조방식을 결정하여 순방향(즉 기지국에서 단말장치로 향하는 링크) 무선전송을 수행한다. 또한 ACK/NACK에 따라 데이터 전송여부를 결정하는 것이다. 상기 CQI 값 및 ACK/NACK정보는 기지국(Node B)(30)으로부터 하향채널(HS-PDSCH)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또는 채널상태정보를 전송할 주기에 도달하였는지에 따라 정해진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는 단말장치(10)의 전송모드에 따라 제공되는 변경 값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장치(10)에서 기지국(Node B)(30)으로 전송되는 CQI 값을 변경하게 된다. 상기 변경 값은 '최적배터리모드 : 2', '최대성능모드 : 1', '일반모드 : 1.5'로서 제시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이를 위해 먼저, 제 100 단계에서 단말장치(10)의 모드선택부(16)에 의해 전송모드가 결정된다.
상기 전송모드가 결정되면, 제 102 단계에서 상기 단말장치의 제어부(18)는 전송모드에 따른 CQI 값을 변경한다.
상기 변경과정에 대해 각 모드 및 변경 값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겠다.
예를 들어, 변경 전의 CQI 값이 '5'인 경우, 그리고 상기 전송모드가 최적배터리모드로 지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18)는 상기 최적배터리모드에서의 변경 값인 '2'로 상기 변경전 CQI 값 '5'을 나눔 연산한다. 그러면 상기 최적배터리모드에서는 상기 CQI 값은 '2'(2.5)(소수점 이하 제외)가 된다.
만약, 상기와 같이 CQI 값이 5인 경우, 그리고 전송모드가 일반모드로 지정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18) 의한 '5/1.5'의 나눔연산에 의해 상기 CQI 값은 '3'(3.33)(소수점 이하 제외)이 된다.
또한, CQI 값이 8인 경우, 전송모드가 최적배터리모드인 경우에는 제어부(18)에 의해 '4'로 변경되고, 일반모드인 경우에는 '5'로 변경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18)에 의해 변경된 CQI 값은 단말장치(10)로부터 기지국(Node B)에 상향채널(HS-DPCCH)을 통해 전달된다(제 104 단계). 그러면, 상기 기지국(Node B)(30)의 분석부(35)는 상기 전달된 CQI값을 분석하고, 결정부(36)는 상기 분석결과에 따라 상기 CQI 값을 참조하여 전송속도, 부호화방법, 전송데이터량 등을 결정하는 것이다(제 106 단계).
그리고, 상기 기지국(Node B)에서 상기 단말장치로 상기 결정된 전송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제 108 단계).
따라서, 변경 전의 CQI 값 보다 낮은 CQI 값을 참조하게 됨으로써, 도 3을 참조하면 CQI 값이 '5인 경우에는 전송블록크기(Transport Block Size)가 '377'이었지만, 변경 후의 CQI 값이 '2'로서 상기 전송블록크기(Transport Block Size)는 '173'으로 감소되게 된다. 결국, 변경과정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하기에 적합한 전송속도와 부호화방법이 결정되고, 전송되는 데이터량이 감소된다.
그러므로, 기지국(Node B)(30)에서 단말장치(10)로 송신되는 데이터량의 감소로 인하여,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장치(10)에서는 데이터 처리를 위한 IC들의 구동동작(예컨대 게이트 스위칭동작)의 횟수가 줄어들어, 단말장치(10)에서의 소비되는 전력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도 3의 하향채널 개수(Number of HS-PDSCH)에서와 같이 상기 CQI 값이 감소되게 되면 기지국(Node B)(30)에서 단말장치(10)로 전송되는 하향채널의 채널 수가 감소된다. 다시 말해 CQI 값이 증가할수록 채널 상황이 좋은 것이고, 따라서 기지국(Node B)(30)는 양호한 채널상태의 단말장치(10)에게 더 많은 무선자원을 할당하게 되나 상기와 같이 CQI 값이 감소되면 그만큼 데이터 전송과 관련된 채널수가 감소되는 것이다. 이는 단말장치(10)의 소비전력이 감소됨을 의미한다.
그러기 때문에, 단말장치(10)의 전송모드가 최적배터리모드로 지정되면, 데이터 전송량이 줄어들게 되나 단말장치(10)의 배터리 전원은 절약할 수 있다.
반면, 상기 단말장치(10)의 전송모드가 최대성능모드로 지정되는 경우에는 기지국(Node B)(30)에서 단말장치(10)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최적으로 전송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최대성능모드에서의 변경 값은 '1'로 설정되어 있고, 단말장 치(10)에서 결정된 최초 CQI 값을 그대로 이용하게 된다. 즉 CQI 값이 '5'가 나온 경우 그대로 그 CQI 값을 이용하기 때문에 기지국(Node B)(30)은 CQI 값의 변경전과 동일하게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만일, 제 102 단계에서 상기 최적배터리모드 및 일반모드의 변경 값이 상기 CQI 값보다 더 커서 변경된 CQI 값이 '0'이 나오는 경우, 상기 제어부(18)는 상기 '0'값을 '1'값으로 자동 변경한다. 이는 CQI 값이 '0'이 나와 데이터 전송이 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CQI 값이 '0'이 나오더라도 CQI 값은 '1'로서 최저 전송을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채널상태정보(CQI) 값이 단말장치에서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기지국(Node B)에서는 단말장치의 전송모드에 따라 결정된 전송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들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변형, 변경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인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속하향패킷접속의 채널상태정보 변 경 및 데이터전송방법과 그에 적용되는 통신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먼저, 휴대단말장치는 기지국(Node B)에 전송하는 채널상태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Node B)은 휴대단말장치로부터 변경된 채널상태정보를 참조하여 전송속도나 부호화방법 등을 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채널상태변경으로 인해 기지국(Node B)에서 휴대단말장치로 전송되는 데이터량, 전송속도, 부호화방법 등이 변경되기 때문에, 휴대단말장치에서 데이터 처리를 위해 구동되는 IC의 동작 빈도가 감소되어, 휴대단말장치의 소비전력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8)

  1. 변경 전의 채널상태정보(CQI)를 제공받는 단계,
    휴대단말장치의 전송모드중 어느 하나의 전송모드가 선택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선택된 전송모드와 일대일 매핑된 값에 의해 상기 채널상태정보(CQI)가 변경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고속하향패킷접속의 채널상태정보 변경방법 및 데이터전송방법.
  2. 채널상태정보(CQI)가 단말장치의 전송모드에 따라 미리 제공된 값에 의해 연산되어 변경되는 단계,
    상기 변경된 채널상태정보가 기지국(Node B)에 전송되는 단계,
    상기 기지국(Node B)에서 상기 변경된 채널상태정보를 기초하여 전송방식이 결정되는 단계,
    상기 기지국(Node B)에서 상기 단말장치로 상기 결정된 전송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고속하향패킷접속의 채널상태정보 변경방법 및 데이터전송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모드는 최적배터리모드, 최대성능모드, 일반모드로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하향패킷접속의 채널상태정보 변경방법 및 데이 터전송방법.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된 채널상태정보(CQI)가 낮아지면 상기 단말장치에서 수신하는 데이터량이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하향패킷접속의 채널상태정보 변경방법 및 데이터전송방법.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성능모드는 상기 채널상태정보(CQI)를 변경하기 위한 값이 '1'로 설정되어 변경전의 채널상태정보(CQI) 값을 동일하게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하향패킷접속의 채널상태정보 변경방법 및 데이터전송방법.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상태정보(CQI)의 변경된 값이 '0'인 경우 최저전송이 가능하도록 채널상태정보 '1'로 자동 변경되도록 하는 고속하향패킷접속의 채널상태정보 변경방법 및 데이터전송방법.
  7. 휴대단말장치로부터 변경된 채널상태정보(CQI)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채널상태정보를 기초하여 변경전의 채널상태정보(CQI)의 전송량, 전송속도, 할당된 채널개수가 변경되는 단계,
    상기 변경된 정보에 따라 기지국(Node B)에서 상기 휴대단말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고속하향패킷접속의 채널상태정보 변경방법 및 데이터전송방법.
  8. 제 2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상태정보(CQI)의 변경에 따라 데이터 전송속도, 데이터전송량, 할당된 채널 개수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하향패킷접속의 채널상태정보 변경방법 및 데이터전송방법.
  9. 제 2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상태정보(CQI)가 변경되면 데이터 전송량만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하향패킷접속의 채널상태정보 변경방법 및 데이터전송방법.
  10. 제 2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상태정보(CQI)가 변경되면 상기 채널 개수는 동일하게 유지되거나, 또는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하향패킷접속의 채널상태정보 변경방법 및 데이터전송방법.
  11. 기지국(Node B)으로 전달되는 채널상태정보 값을 전송모드에 따라 변경하는 휴대단말장치, 그리고
    상기 변경된 채널상태정보 값을 기초하여 결정된 전송방식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장치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기지국(Node 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고속하향패킷접속의 통신시스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장치는,
    상기 휴대단말장치에 제공된 하나 이상의 전송모드를 선택하는 모드선택부,
    상기 휴대단말장치의 채널상태정보(CQI) 변경을 위하여 상기 전송모드와 각각 매핑되어 제공되는 변경 값을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모드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소정 전송모드에 따른 변경값에 의해 상기 채널상태정보(CQI)를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하향패킷접속의 통신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모드는 최적배터리모드, 최대성능모드, 일반모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하향패킷접속의 통신시스템.
  14. 제 12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송모드가 최적배터리모드 및 일반모드인 경우에 상기 변경된 채널상태정보 값을 참조하여 데이터전송량, 데이터전송속도, 채널 갯수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하향패킷접속의 통신시스템.
  15. 제 12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송모드가 최대성능모드인 경우에는 변경전의 채널상태정보(CQI) 값을 동일하게 적용하여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하향패킷접속의 통신시스템.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채널상태정보(CQI)의 변경된 값이 '0'인 경우 최저전송이 가능하도록 채널상태정보 '1'로 자동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하향패킷접속의 통신시스템.
  1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플래시메모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하향패킷접속의 통신시스템.
  18.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Node B)는,
    상기 휴대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변경된 채널상태정보를 추출하여 무선환경을 분석하기 위한 채널상태정보 분석부와,
    상기 채널상태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휴대단말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속도 및 부호화방법을 결정하는 결정부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하향패킷접속의 통신시스템.
KR1020070000266A 2007-01-02 2007-01-02 고속하향패킷접속의 채널상태정보 변경 및데이터전송방법과 그에 적용되는 통신시스템 KR101371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0266A KR101371809B1 (ko) 2007-01-02 2007-01-02 고속하향패킷접속의 채널상태정보 변경 및데이터전송방법과 그에 적용되는 통신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0266A KR101371809B1 (ko) 2007-01-02 2007-01-02 고속하향패킷접속의 채널상태정보 변경 및데이터전송방법과 그에 적용되는 통신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3629A true KR20080063629A (ko) 2008-07-07
KR101371809B1 KR101371809B1 (ko) 2014-04-02

Family

ID=39815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0266A KR101371809B1 (ko) 2007-01-02 2007-01-02 고속하향패킷접속의 채널상태정보 변경 및데이터전송방법과 그에 적용되는 통신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180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50712A2 (ko) * 2008-10-27 2010-05-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전송 모드 결정 기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1031059A3 (en) * 2009-09-08 2011-07-0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t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3172638A1 (en) * 2012-05-14 2013-11-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state information in communication system
WO2014148822A1 (en) * 2013-03-19 2014-09-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terferen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142873B2 (en) 2012-01-26 2018-11-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state information in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923B1 (ko) * 2004-03-12 2010-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품질 정보의 송수신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에 따른 시스템
US9084199B2 (en) * 2004-09-30 2015-07-14 Alcatel Lucent Utilization of overhead channel quality metrics in a cellular network
KR101085648B1 (ko) * 2005-06-09 2011-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품질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방법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50712A3 (ko) * 2008-10-27 2010-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전송 모드 결정 기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0050712A2 (ko) * 2008-10-27 2010-05-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전송 모드 결정 기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8654745B2 (en) 2008-10-27 2014-02-18 Lg Electronics Inc. Technique for signal transmission mode determin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ame
WO2011031059A3 (en) * 2009-09-08 2011-07-0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t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634369B2 (en) 2009-09-08 2014-01-2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t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008027B2 (en) 2009-09-08 2015-04-1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t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414322B2 (en) 2009-09-08 2016-08-0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t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807697B2 (en) 2009-09-08 2017-10-3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t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142873B2 (en) 2012-01-26 2018-11-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state information in communication system
US11044628B2 (en) 2012-01-26 2021-06-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state information in communication system
US10708801B2 (en) 2012-01-26 2020-07-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state information in communication system
WO2013172638A1 (en) * 2012-05-14 2013-11-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state information in communication system
US9225466B2 (en) 2013-03-19 2015-12-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terferen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4148822A1 (en) * 2013-03-19 2014-09-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terferen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1809B1 (ko) 2014-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25730B2 (ja) 高速ダウンリンクパケットデータを支援する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圧縮モードに基づく複合再伝送を遂行する方法
US7813754B2 (en) Transfer rate control method,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transmission power ratio control metho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obile station, and radio base station
EP2039082B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of selecting an enhanced uplink transport format combination by setting a scheduling grant payload to the highest payload that can be transmitted
KR100986737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용채널의 제어 장치 및방법
US736274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perating in compressed mode
US8559997B2 (en)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of radio terminal, and radio terminal
EP1912458A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control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JP2005237005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高速パケットデータの送信のための制御情報を送信する装置及び方法
US20050250512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cells with enhanced uplink services
MX2007007758A (es) Seleccion candidata de transferencia de enlace inverso y enlace de avance separado, transferencia rl basada en retroalimentacion tal como, por ejemplo, comandos de encendido y apagado.
KR101371809B1 (ko) 고속하향패킷접속의 채널상태정보 변경 및데이터전송방법과 그에 적용되는 통신시스템
CN101034952A (zh) E-dch中调度信息传输方法
EP162653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perating in compressed mode
JP2004040314A (ja) 無線通信装置及び送信割り当て制御方法
US8270360B2 (en) Method for indicating modulation mode in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ing
JP2005341176A (ja) 通信端末装置及び基地局装置
WO2015058726A1 (zh) 一种上行信道估计的方法、发送装置及接收装置
CN101388691A (zh) 一种功率控制的方法和装置
KR101624312B1 (ko) 음성 서비스를 위한 하향링크 코드채널 전력할당 방법 및 시스템
KR100865377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tfrc 및 전력 할당 방법 및 이를저장한 기록매체
KR20090102594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JP2006245838A (ja) 移動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及びそれらに用いる下り制御チャネル電力制御方法
KR20100000171A (ko)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0856262B1 (ko)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서빙 고속 공통 제어 채널 셋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KR101068183B1 (ko) 상향 패킷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전송상태정보 및 버퍼상태정보의 송수신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