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2289A - 관리 정보 기록 방법 및 기록 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관리 정보 기록 방법 및 기록 재생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62289A KR20080062289A KR1020060137876A KR20060137876A KR20080062289A KR 20080062289 A KR20080062289 A KR 20080062289A KR 1020060137876 A KR1020060137876 A KR 1020060137876A KR 20060137876 A KR20060137876 A KR 20060137876A KR 20080062289 A KR20080062289 A KR 2008006228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cording
- management information
- data
- unit
- inform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1883—Methods for assignment of alternate areas for defective area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2—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form of the carrier
- G11B7/0037—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form of the carrier with discs
- G11B7/00375—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form of the carrier with discs arrangements for detection of physical defects, e.g. of recording layer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11B7/00736—Auxiliary data, e.g. lead-in, lead-out, Power Calibration Area [PCA], Burst Cutting Area [BCA], control information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1883—Methods for assignment of alternate areas for defective areas
- G11B2020/1893—Methods for assignment of alternate areas for defective areas using linear replacement to relocate data from a defective block to a non-contiguous spare area, e.g. with a secondary defect list [SDL]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리 정보 기록 방법 및 기록 재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록 매체에 관리 정보를 효율적으로 기록하는 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기록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업데이터 유닛의 잔여 영역에 필요에 따라 변경되지 않은 데이터도 함께 기록하도록 하는 관리 정보 기록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통하여 기록 매체에서 관리 정보를 기록하는 공간을 최소화하여 기록함과 동시에 기록 재생시 관리 정보를 읽기 위한 픽업의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기록 매체, 관리 정보, 업데이트, TDFL, SRRI, TDDS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매체 구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임시 결함 리스트(Temporary Defect List)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함 리스트 엔트리(Defect List entry)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속 기록 범위 정보(Sequential Recording Range Information)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SRRI 엔트리(SRRI entry)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임시 디스크 정의 구조(Temporary Disk Definition Structure)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관리 정보 기록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a,6b 및 도 7a,7b는 본 발명에 따른 관리 정보 기록 방법의 제1 실시예에 따라 형성되는 업데이트 유닛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관리 정보 기록 방법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a,9b는 본 발명에 따른 관리 정보 기록 방법의 제2 실시예에 따라 형성되는 업데이트 유닛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기록 재생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기록재생부 11: 픽업부
12: 제2 제어부 13: 신호처리부
14: 서보부 15: 메모리
16: 제1 제어부 17: AV디코더
18: AV인코더
본 발명은 관리 정보 기록 방법 및 기록 재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록 매체에 관리 정보를 효율적으로 기록하는 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기록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록 매체로서 대용량의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기록 매체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최근에는 고화질의 비디오 데이터와 고음질의 오디오 데이터를 장시간 동안 기록하여 저장할 수 있는 새로운 고밀도 기록 매체(예를 들어, 블 루레이 기록 매체(Blu-ray Disc: BD))가 개발되고 있다.
차세대 기록 매체 기술인 블루레이 기록 매체(BD)는 기존의 DVD를 현저하게 능가하는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차세대 광기록 솔루션으로 근래에 다른 디지털기기와 함께 이에 대한 세계 표준의 기술사양이 정립되고 있다.
한편, 블루레이 기록 매체(BD)와 같은 차세대 고밀도 기록 매체를 이용한 기록 재생 방법에 있어서, 관리 정보를 효율적으로 기록하고 관리하며 기록 재생하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지 않아 문제가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록 매체에 관리 정보를 효율적으로 기록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이 기록 매체에 관리 정보를 효율적으로 기록하는 기록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관리 정보 기록 방법은 상기 관리 정보에 포함되는 데이터 중 어느 하나가 변경되면, 상기 변경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유닛을 생성하여 상기 관리 정보를 업데이트하되, 상기 관리 정보에 포함되는 데이터 중 비 변경 데이터는 그 데이터의 크기에 상응하여 상기 유닛에 포함될지 결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비 변경 데이터가 상기 잔여 영역에 기록가능하면, 상기 비 변경 데이터를 포함하여 유닛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유닛을 기록하기 위한 기록 단위에 구비된 잔여 영역에 기록 가능한 데이터와 상기 비 변경 데이터의 크기를 비교한다. 그리고 상기 잔여 영역에 기록 가능한 데이터의 크기가 상기 비 변경 데이터의 크기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잔여 영역에 상비 비 변경 데이터를 함께 기록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에 따른 관리 정보 기록 방법은 기록 매체에 결함 관리 정보와 기록 관리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정보를 기록하되, 상기 결함 관리 정보 또는 기록 관리 정보 중 어느 하나가 변경되면, 변경된 정보의 속성에 따라 비 변경 데이터를 수반하거나 수반하지 않고 업데이트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면, 변경된 정보가 상기 결함 관리 정보이면, 상기 기록 관리 정보를 수반하여 함께 업데이트 되고, 상기 변경된 정보가 상기 기록 관리 정보이면, 상기 결함 관리 정보를 수반하지 않고 업데이트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록 재생 장치는 관리 정보에 포함되는 데이터 중 어느 하나가 변경되면, 상기 변경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유닛을 생성하여 상기 관리 정보를 업데이트하되, 상기 관리 정보에 포함되는 데이터 중 비 변경 데이터는 그 데이터의 크기에 상응하여 상기 유닛에 포함될지 결정하는 제어부와 기록 매체에 광을 조사하거나 반사된 광을 수광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광 픽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제어부는 상기 비 변경 데이터가 상기 잔여 영역에 기록가능하면, 상기 비 변경 데이터를 포함하여 유닛을 생성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기록 재생 장치는 기록 매체에 광을 조사하거나 반사된 광을 수광하는 픽업과 상기 기록 매체에 결함 관리 정보와 기록 관리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정보를 기록하도록 상기 픽업을 제어하되, 상기 결함 관리 정보 또는 기록 관 리 정보 중 어느 하나가 변경되면, 변경된 정보의 속성에 따라 비 변경 데이터를 수반하거나 수반하지 않고 업데이트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경된 정보가 상기 결함 관리 정보이면, 상기 기록 관리 정보를 수반하여 함께 업데이트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매체의 관리 정보 기록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됨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매체 구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기록 매체"는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거나, 기록 가능한 모든 매체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기록 매체, 자기테이프 등 기록방식에 상관없이 모든 매체를 포괄하는 의미이다. 이하 본 발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록 매체로서 디스크(disc) 특히 "블루레이 디스크(Blue-ray Disk, 이하 'BD'라 한다)"를 예로 하여 설명하고자 하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다른 기록 매체에도 동일하게 적용가능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록 매체는 1회 기록 가능한 블루레이 기록 매체(BD-R)에서 기록층이 하나인 경우(Single Layer)를 예로 하여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기록 매체에도 적용 가능함은 자명한 사실이 다.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기록 매체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 매체 내주(Inner Zone)의 리드 인 영역(Lead-In Area), 데이터 영역(Data Area) 및 기록 매체 외주(Outer Zone)의 리드 아웃 영역(Lead-Out Area)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영역 내에는 사용자의 데이터를 기록하는 유저 데이터 영역(User Data Area)과 스페어 영역(Spare Area)이 구비된다. 스페어 영역은 데이터 영역의 내주에 위치하는 내주 스페어 영역(Inner Spare Area, 이하 'ISA'라 한다)과 데이터 영역의 외주에 위치하는 외주 스페어 영역(Outer Spare Area, 이하 'OSA'라 한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스페어 영역은 필요에 따라 할당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기록 매체의 리드 인 영역과 리드 아웃 영역 또는 스페어 영역에는 기록 매체의 관리 정보를 반복적으로 저장하는 복수의 관리 영역이 할당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관리 영역"은 기록 매체의 관리 정보를 기록하는 영역을 의미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결함 발생이나 데이터 기록 위치 변경 등과 같은 기록 매체 전반의 관리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영역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상기 "관리 영역에는 임시 기록 매체 관리 영역(Temporary Disc Management Area, 이하 'TDMA'라고 한다)이나 기록 매체 관리 영역(Disc Management Area: DMA)이 포함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임시 기록 매체 관리 영역(TDMA)과 기록 매체 관리 영역(DMA)이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리드 인 영역에 TDMA0가 할당되고 스페어 영역에 각각 TDMA1,TDMA2가 할당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TDMA0는 2048개의 기록 단위 즉, 2048개의 클러스터(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록 단위가 '클러스터(cluster)'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이하 기록 단위를 '클러스터'로 표현한다)의 고정된 크기로 할당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임시 기록 매체 관리 영역(TDMA)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스페어 영역에 가변 가능한 크기로 TDMA1, TDMA2가 할당될 수 있다. 기록 매체의 내주와 외주에 기록 매체 관리 영역(DMA)이 구비될 수 있으며, 리드 인 영역에 DMA1, DMA2가 할당되고, 리드 아웃 영역에 DMA3, DMA4가 할당될 수 있다.
반복 기록이 가능한 기록 매체는 물리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반복 기록 가능한 특성을 가지므로 제한된 관리 영역을 갖는 것이 문제되지 않는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1회 기록 가능한 기록 매체에서는 계속적으로 생성되는 관리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관리 영역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효율적인 관리 정보 저장을 위하여,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 또는 재생 과정에는 상기 TDMA를 이용하여 관리 정보를 저장한다. 그리고 기록 매체에 기록이 완료되어 더 이상 기록이 되지 않도록 기록 매체가 클로징(Closing)되면, 상기 TDMA에 기록된 관리 정보는 DMA에 반복하여 또는 이전하여 저장된다.
여기서 상기 TDMA에 기록되는 "관리 정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결함 관리 정보"와 "기록 관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관리 정보는 임시 결함 리스트(Temporary Defect List, 이하 'TDFL'이라 한다)와 같은 결함 관리 정보와 연속 기록 범위 정보(Sequential Recording Range Information, 이하 'SRRI'라 한다)"와 같은 기록 관리 정보 및 포인터 정보를 구비하는 임시 디 스크 정의 구조(Temporary Disk Definition Structure, 이하 'TDDS'라고 한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관리 정보는 상기 기록 관리 정보로서 스페이스 비트 맵(Space Bit Map, 이하 'SBM'이라 한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SRRI는 순차 기록 방식으로 기록할 때 포함되고, SBM은 랜덤 기록 방식으로 기록할 때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순차 기록 방식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며, 이하 각각의 정보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결함 관리 정보"는 기록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재생할 때 발생하는 결함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결함 관리 정보로서 임시 결함 리스트(TDFL)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임시 결함 리스트(TDFL)를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TDFL은 결함 리스트 헤더(Defect List Header)와 결함 리스트 엔트리(Defect List entry) 및 결함 리스트 터미네이터(Defect List Terminato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함 리스트 헤더(Defect List Header)는 TDFL이 포함하고 있는 결함 리스트에 대한 정보를 구비한다. TDFL에 포함되는 결함 리스트 엔트리의 개수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결함 리스트 엔트리(Defect List entry)는 기록 매체의 사용 중에 결함 영역으로 판단된 클러스터에 대한 각각의 정보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TDFL은 결함 발생 여부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결함 리스트 엔트리를 포함한다. 결함 리스트 터미네이터(Defect List Terminator)는 상기 결함 리스트를 종결시키고 결함 리스트의 마지막 엔트리 다음에 기록된다.
여기서 상기 각각의 결함 리스트 엔트리는 8바이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함 클러스터(defective cluster) 위치정보 및 상기 결함 클러스터를 대체한 대체 클러스터(replacement cluster)의 위치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각각의 결함 리스트 엔트리는 제1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Status 1'필드, 대체되거나 지시되는 클러스터의 첫번째 섹터의 물리적 섹터 넘버(Physical Sector Number, 이하 'PSN'이라 한다)을 나타내는 'Defective Cluster first PSN' 필드, 제2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Status 2'필드, 대체될 클러스터(replaced Cluster) 또는 결함 예상 영역(PBA)의 길이를 나타내는 클러스터의 첫번째 섹터의 PSN을 나타내는 'Replacement Cluster first PSN'필드를 포함한다.
State 1 필드는 결함 타입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결함 타입"은 결함이 나타내는 타입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BD-R에서 결함 타입은 싱글 클러스터 결함(single cluster defects)으로서 하나의 재할당 어드레스(reallocation address)가 할당되고, 오리지널 데이터가 스페어 위치(spare location)에 기록되는 RAD(re-allocated defect)타입, 싱글 클러스터 결함(single cluster defects)으로서 결함을 나타내고, 재할당 어드레스(reallocation address)가 할당되지 않는 NRD(non-re-allocated defect)타입, 연속적인 복수의 클러스터 결함(contiguous multiple cluster defects)으로서 재할당 어드레스들(reallocation addresses)의 연속적인 범위가 할당되고, 오리지널 데이터가 스페어 위치(spare location)에 기록되는 CRD(contiguous re-allocated defect)타입이 가능하다. 'Status 1'필드에 따른 결함 클러스터 타입을 설명하면, 'Status 1'필드가 '0000'인 경우(Status 1 = 0000) 는 제1RAD타입을 나타내고, 'Status 1'필드가 '1000'인 경우(Status 1 = 1000)는 제2RAD타입을 나타내고, 'Status 1'필드가 '0001'인 경우(Status 1 = 0001)는 NRD타입을 나타내고, 'Status 1'필드가 '0010'인 경우(Status 1 = 0010)는 SPR타입을 나타내고, 'Status 1'필드가 '0100'인 경우(Status 1 = 0100)는 PBA타입을 나타내고, 'Status 1'필드가 '0111'인 경우(Status 1 = 0111)는 Unusable타입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Status 2'필드가 나타내는 의미를 설명하면, 'Status 2'필드가 '0000'인 경우(Status 2 = 0000)는 만약 뒤따르는 세팅이 유효한 경우가 없는 경우의 세팅을 나타낸다. 'Status 2'필드가 '1000'인 경우(Status 2 = 0000)는 대체 어드레스(replacement address)가 할당되고, 대체 어드레스에 기록된 콘텐트(content)를 가진 RAD를 나타내는데, 이는 단지 Status 1 = 0000와 결합하는 경우에 의미가 있다. 'Status 2'필드가 '0100'인 경우(Status 2 = 0100)는 엔트리가 PBA를 나타낸다면, 클러스터들(Clusters)을 어떤 관련된 유저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음을 나타내는데, 이는 단지 Status 1 = 0100, Status 1 = 0010와 결합하는 경우에 의미가 있다.
기록 매체의 사용 중 결함 영역이 발생하면, 이를 스페어 영역으로 대체하는 프로세스가 수행된다. 즉, 상기 결함 타입에 따라 대체 영역을 할당하거나 할당된 영역에 대체 기록한다. 그리고 상기 대체 할당된 영역에 대한 결함 리스트 엔트리를 추가 기록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결함 리스트를 포함하는 TDFL은 상기 추가된 결함 리스트 엔트리를 포함하는 최신 정보로 업데이트 될 필요가 있다. 이때, 상기 TDFL에 포함되는 모든 정보는 업데이트 될 때마다 일괄적으로 기록된다.
한편, "기록 관리 정보"는 기록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 제공되는 영역과 관련되는 정보를 의미하며, 기록 관리 정보로 SRRI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SRR(Sequential Recording Range)"은 기록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 제공되는 영역을 의미하고, 순차 기록에 대한 기록 단위(순차 기록단위)에 해당한다. 여기서 SRR은 하나 이상의 클러스터의 사이즈를 갖는다. 그리고, "SRRI(SRR Information)"는 기록 매체의 기록 상태를 식별하는 정보를 말한다. SRRI는 디스크의 순차 기록 모드에 적용되고 하나 이상의 SRR들과 관련된다.
도 3a 및 도 3b는 SRRI의 구조 및 SRRI에 포함되는 정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3a는 SRRI의 전체 구조를 나타낸다. SRRI는 하나 이상의 SRR들과 관련되고, 기록 매체의 기록 상태를 제공하는 관리 정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SRRI는 SRRI 헤더(Sequential Recording Range Information Header), SRR 엔트리 리스트(Sequential Recording Range Information entry list) 및 SRR 터미네이터(Sequential Recording Range Information Terminator)를 포함한다.
SRRI 헤더는 SRRI를 식별하는 부분으로 포함된 SRRI List에 대한 정보를 구비한다. 예를 들면, SRRI 헤더에는 "List of opened SRRs" 필드와 "Number of SRR entries" 필드, "Number of opened SRRs" 필드 등의 전체 SRR 엔트리 내용을 알 수 있는 정보 필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오픈된 SRR 정보와 관련된 "List of opened SRRs" 필드와 "Number of opened SRRs" 필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 고 SRR 엔트리 리스트는 각각의 기록 상태를 나타내는 SRR 엔트리를 기록한 부분이다. 이에 대하여는 상세히 후술한다. 그리고 SRR 터미네이터는 SRR의 종료 또는 끝을 나타내는 것으로 특히, SRRI가 가변 사이즈인 경우 대응 SRRI의 종료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의미를 가진다.
상기 SRR 엔트리는 대응 SRR들 각각의 기록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8바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SRRI 엔트리는 SRRI의 첫번째 섹터의 PSN을 나타내는 "Start PSN of the SRR #i"필드와 세션의 시작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Session start"필드 및 데이터가 기록된 마지막 섹터의 PSN을 나타내는 "LRA in the SRR #i"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SRR 엔트리는 SRRI가 새롭게 할당된 경우 또는 오픈된 SRR에 데이터가 기록되어 데이터가 기록된 마지막 섹터의 PSN에 변경이 있는 경우 등과 같이 상기 SRR 엔트리의 변경이 있을 때 업데이트 될 필요가 있다. 이때, 상기 SRRI에 포함되는 모든 정보는 업데이트 될 때마다 일괄적으로 기록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TDDS의 구성을 일 실시예를 들어 도시한 것이다. TDDS는 상기와 같이 업데이트 되는 TDFL과 SRRI에서 최근에 업데이트 된 정보의 위치를 알려주는 포인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시된 바와 같이 TDMA 영역의 임시 결함 리스트에 최근 기록된 것의 첫번째 섹터 PSN을 나타내는 "first PSN of 1st cluster of Defect List" 필드와 최근 기록된 SRRI의 첫번째 섹터의 PSN을 나타내는 "first PSN of SRRI"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각각의 필드는 4바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기록 매체에 있어서, 관리 정보를 기록하는 방법을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특히, 기록된 관리 정보는 최신 정보로 업데이트가 필요하므로 업데이트 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서술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관리 정보 기록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는 관리 정보의 일부 데이터에 변경이 있는 경우, 비 변경 데이터의 크기에 상응하여 함께 업데이트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이면 본 발명에 포함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구성하는 관리 정보 기록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6은 생성되는 업데이트 유닛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기록 매체에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 과정에서 관리 영역에는 상기 기록 매체에 관련된 관리 정보가 기록된다. 이때, 관리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계속적으로 업데이트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 과정에서 관리 정보의 업데이트가 요구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
관리 정보의 업데이트가 불필요한 경우에는 계속적으로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재생하면 되나, 업데이트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관리 정보를 업데이트 한다. 우선, 업데이트가 요구되는 변경 또는 추가된 데이터가 구비된 업데이트 유닛을 생성한다(S11). 이때, 생성되는 업데이트 유닛을 클러스터 단위로 기록이 되므로 업데이트 유닛을 클러스터 단위로 생성한다. 이때, 상기 생성되는 클러스터 단위의 업데이트 유닛 크기는 하나의 기록층을 구비한 기록 매체에서는 최소 1 클러스터에서 최대 4클러스터 까지 가능하며, 마지막 클러스터의 마지막 섹터에 최신 업데이트된 정보의 위치를 표시해주는 TDDS를 포함한다. 참고적으로 상기 업데이트 유닛의 크기는 두 개의 기록층을 포함한 기록 매체의 경우에는 최대 8클러스터 까지 가능하고, 세 개 이상의 기록층을 포함한 기록 매체의 경우에는 그 이상의 크기가 요구될 것이다. 그리고 이때에도 마지막 클러스터의 마지막 섹터에는 최신 업데이트된 정보의 위치를 표시해주는 TDDS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생성되는 업데이트 유닛은 관리 정보 데이터의 크기에 따라 도 6a에서와 같이 하나의 클러스터로 구성되거나, 도 6b와 같이 여러 개(N개, 예를 들면, 하나의 기록층을 구비한 기록 매체에서 N은 4를 넘지 못한다)의 클러스터에 걸쳐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업데이트 유닛에서 마지막 클러스터의 마지막 섹터에는 TDDS를 구비하고 그 나머지는 잔여 영역(도면에 빗금으로 표시된 영역, 이하 'A'영역)으로 남는다. 여기서 잔여 영역(A)은 클러스터 단위로 기록하는 과정에서는 피할 수 없이 형성되는 부분이다.
도 5에서, 생성된 클러스터 단위에 형성되는 잔여 영역(A)에 비 변경 관리 정보 즉, 업데이트를 요구하지 않는 변경되지 않은 관리 정보가 기록 가능한가 판단한다(S12). 예를 들면, 도 6a,b에 도시한 경우와 같이 TDFL의 업데이트만 요구되고 SRRI는 업데이트가 요구되지 않는 경우를 예로 들 수 있다. 이때에는 잔여 영역(A)에 저장될 수 있는 데이터의 크기와 관리 정보에 구비된 SRRI 전체 데이터의 크기를 비교한다.
비교 판단 결과, 상기 잔여 영역(A)에 비 변경 관리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고 판단되면 생성된 업데이트 유닛의 잔여 영역(A)에 상기 비 변경 관리 정보를 함께 기록한다(S13). 반면, 상기 잔여 영역(A)에 비 변경 관리 정보가 기록될 수 없다고 판단되면 생성된 업데이트 유닛을 그대로 관리 영역의 다음 기록 가능한 클러스터에 기록한다(S14). 그리고 다시 관리 정보의 업데이트가 요구되는지 판단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TDFL만 업데이트가 요구되는 경우를 예로 들면 다음과 같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되는 잔여 영역(A)이 관리 정보에 구비된 SRRI를 기록하기에는 충분하다고 판단되면,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잔여 영역(A)에 SRRI를 함께 기록하여 업데이트 유닛을 생성하여 기록한다. 이때, SRRI를 기록한 이후에도 남는 영역에는 00h를 기록하도록 셋팅하며, 상기 업데이트 유닛의 마지막 클러스터의 마지막 섹터는 상기 업데이트된 TDFL과 SRRI의 위치를 나타내는 TDDS를 포함한다.
반면, 잔여 영역(A)이 관리 정보에 구비된 SRRI를 기록하기에는 부족하다고 판단되면, 갱신된 TDFL과 상기 TDFL 및 그 이전에 기록된 SRRI의 위치를 나타내는 TDDS만을 포함하여 업데이트 유닛을 생성하고 기록한다. 여기서 잔여 영역(A)에는 00h를 기록하도록 셋팅한다. 이를 통해 업데이트 유닛의 잔여 영역(A)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업데이트 유닛의 잔여 영역(A)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방안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잔여 영역(A)에 기록 가능한 데이터의 크기와 비 변경 데이터의 크기를 비교하여 기록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한 결과를 얻는 다양한 방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데이터의 크기 비교하는 단계를 제외하고, 비 변경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와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 업데이트 유닛을 기록하기 위한 클러스터의 개수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TDFL에 데이터의 추가가 있는 경우에, SRRI를 포함하는 경우와 포함하지 않는 경우 각각 생성되는 업데이트 유닛이 차지하는 클러스터의 개수가 동일한지를 판단하는 방법이다. 이 경우, 생성되는 업데이트 유닛이 차지하는 클러스터의 개수가 동일하다면 SRRI를 포함하여 업데이트 유닛을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되는 업데이트 유닛이 차지하는 클러스터의 개수가 증가한다면 SRRI를 포함하지 않고 업데이트 유닛을 생성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관리 정보 기록 방법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는 관리 정보의 일부에 변경이 있는 경우, 변경된 정보의 속성에 상응하여 다른 정보와 함께 업데이트될 것인지 결정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이면 본 발명에 포함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여기서 도 8는 관리 정보 기록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9은 생성되는 업데이트 유닛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으로 결함 관리 정보와 기록 관리 정보의 속성에 따라 서로 다른 업데이트 유닛을 생성하는 예를 들어 설명한다. 즉, 기록 또는 재생 과정에서 결함이 발생한 경우와 기록 정보의 변경이 있는 경우를 분리하여 서로 다른 과정으로 업데이트 유닛이 생성되도록 구성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록 매체에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 과정에서 관리 영역에는 상기 기록 매체에 관련된 관리 정보가 기록된다(S20). 이때, 관리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함 관리 정보와 기록 관리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결함 관리 정보와 기록 관리 정보는 각각 필요에 따라 계속적으로 업데이트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 과정에서 결함이 발생했는지 여부와 기록 정보의 변경이 있는지 여부를 각각 체크한다(S21, S26).
결함이 있다고 판단되면, 상술한 결함 타입에 따라 대체 영역을 할당하거나 데이터를 할당된 대체 영역에 대체 기록한다(S22). 그리고 상기 결함 영역과 대체 영역 및 결함 타입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결함 리스트 엔트리를 생성한다(S23). 상기 결함 리스트 엔트리는 TDFL에 추가될 정보에 해당한다. 이때, 상기 결함 리스트 엔트리를 추가하기 위하여 생성되는 업데이트 유닛은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TDFL, SRRI 및 상기 업데이트된 TDFL과 SRRI의 위치를 나타내는 TDDS 정보를 구비한다.
한편, 기록 정보의 변경이 있다고 판단되면(예를 들면, 호스트의 명령에 의해 새로운 데이터가 기록된 경우), 상기 데이터가 기록된 마지막 섹터의 PSN을 포함하는 SRRI 엔트리를 생성한다(S27). 상기 SRRI 엔트리는 SRRI에 추가될 정보에 해당한다. 이때, 상기 SRRI에 생성된 SRRI 엔트리를 추가하기 위하여 생성되는 업데이트 유닛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SRRI와 상기 업데이트된 SRRI 및 이전에 기록된 TDFL의 위치를 나타내는 TDDS를 구비한다(S28). 즉, SRRI의 추가가 있는 경 우에는 TDFL을 함께 기록하지 않는다. 이는 SRRI가 최대 하나의 클러스터로 구성되는데 비하여 TDFL은 하나의 기록층을 포함하는 기록 미체에서 최대 4개의 클러스터까지 걸쳐서 기록이 가능하므로, 작은 부분을 재기록하기 위하여 많은 부분을 다시 기록하는 것은 효율성에 위배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각각 생성된 업데이트 유닛을 관리 영역의 다음번 기록 가능한 클러스터에 기록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록 재생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기록재생부(20)는 기록 매체에 데이터를 직접적으로 기록하거나 기록 매체에 기록된 데이터를 독출하는 픽업부(11)와, 픽업부(11)로부터 독출된 신호를 수신하여 원하는 신호값으로 복원해내거나, 기록될 신호를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신호로 변조(modulation)하여 전달하는 신호처리부(13)와, 기록 매체로부터 정확히 신호를 독출해내거나, 기록 매체에 신호를 정확히 기록하기 위해 픽업부(11)를 제어하는 서보부(14)와, 결함관리 정보를 포함한 관리 정보 및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메모리(15)와 상기 구성요소들의 제어를 담당하는 제1 제어부(first controller, 16)을 포함한다. 관련하여, 기록재생부(20)로만 이루어진 기록 재생 장치를 "드라이브(drive)"라고도 하며, 이는 컴퓨터 주변기기로 활용될 수 있다.
픽업부(11)는 기록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경우, 제1 제어부(16)의 제어에 따라 관리 영역에 상기 기록 매체의 관리 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관리 정보로부터 위치 정보를 독출한다.
제1 제어부(16)은 관리 정보의 업데이트가 요구되는지 판단하여,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업데이트 유닛을 생성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생성된 업데 이트 유닛을 관리 영역의 다음번 기록 가능한 클러스터에 기록하도록 픽업부(11)를 제어한다. 제2 제어부(second controller, 12)는 전체 구성요소의 제어를 담당하게 되며, 특히 본 발명과 관련하여서는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interface)를 통해 사용자 명령 등을 수신하고, 기록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재생하기 위한 기록 또는 재생 명령을 기록재생부(20)로 전송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제2 제어부(12)와 제1 제어부(16)의 기능들은 나뉘어서 동작하거나, 하나의 제어부(single control unit)로 합쳐져서 동작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AV디코더(17)는 제2 제어부(12)의 제어에 따라 기록 매체로부터 독출된 신호를 디코딩하여 원하는 정보로 복원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AV인코더(18)는 기록 매체에 신호를 기록하는 기능의 수행을 위해 제2 제어부(12)의 제어에 따라 입력신호를 특정포맷의 신호, 예를 들어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변환하여 신호처리부(13)에 제공하게 된다.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관리 정보의 기록 방법 및 기록 재생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즉, 기록 매체에 관리 정보를 효율적으로 기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록 매체에서 관리 정보를 기록하는 공간을 최소화하여 기록함과 동시에 기록 재생시 관리 정보를 읽기 위한 픽업의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2)
- 기록 매체에 관리 정보를 기록하는 방법으로서,상기 관리 정보에 포함되는 데이터 중 어느 하나가 변경되면, 상기 변경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유닛을 생성하여 상기 관리 정보를 업데이트하되,상기 관리 정보에 포함되는 데이터 중 비 변경 데이터는 그 데이터의 크기에 상응하여 상기 유닛에 포함될지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방법은,상기 비 변경 데이터가 상기 잔여 영역에 기록가능하면, 상기 비 변경 데이터를 포함하여 유닛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방법은,상기 유닛을 기록하기 위한 기록 단위에 구비된 잔여 영역에 기록 가능한 데이터와 상기 비 변경 데이터의 크기를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방법은,상기 잔여 영역에 기록 가능한 데이터의 크기가 상기 비 변경 데이터의 크기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잔여 영역에 상비 비 변경 데이터를 함께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정보는,결함 관리 정보와 기록 관리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은,최후에 업데이트 된 결함 관리 정보 및/또는 기록 관리 정보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은,최소 하나의 기록 단위로 구성되며, 기록층 마다 최대 4개의 기록 단위를 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방법.
- 기록 매체에 결함 관리 정보와 기록 관리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정보를 기록하되,상기 결함 관리 정보 또는 기록 관리 정보 중 어느 하나가 변경되면, 변경된 정보의 속성에 따라 비 변경 데이터를 수반하거나 수반하지 않고 업데이트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방법은,상기 변경된 정보가 상기 결함 관리 정보이면, 상기 기록 관리 정보를 수반하여 함께 업데이트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방법은,업데이트 할 때, 상기 변경된 결함 관리 정보와 기록 관리 정보를 포함하는 업데이트 유닛을 생성하여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유닛은,최후에 업데이트 된 상기 결함 관리 정보와 기록 관리 정보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유닛은,최소 하나의 기록 단위로 구성되며, 기록층 마다 최대 4개의 기록 단위를 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방법은,상기 변경된 정보가 상기 기록 관리 정보이면, 상기 결함 관리 정보를 수반하지 않고 업데이트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방법은,업데이트 할 때, 상기 변경된 결함 관리 정보를 포함하는 업데이트 유닛을 생성하여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유닛은,최후에 업데이트 된 상기 기록 관리 정보와 결함 관리 정보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유닛은,최소 하나의 기록 단위로 구성되며, 최대 4개의 기록 단위를 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방법.
- 관리 정보에 포함되는 데이터 중 어느 하나가 변경되면, 상기 변경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유닛을 생성하여 상기 관리 정보를 업데이트하되,상기 관리 정보에 포함되는 데이터 중 비 변경 데이터는 그 데이터의 크기에 상응하여 상기 유닛에 포함될지 결정하는 제어부와;기록 매체에 광을 조사하거나 반사된 광을 수광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광 픽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상기 비 변경 데이터가 상기 잔여 영역에 기록가능하면, 상기 비 변경 데이터를 포함하여 유닛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상기 잔여 영역에 기록 가능한 데이터의 크기가 상기 비 변경 데이터의 크기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잔여 영역에 상비 비 변경 데이터를 함께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
- 기록 매체에 광을 조사하거나 반사된 광을 수광하는 픽업과;상기 기록 매체에 결함 관리 정보와 기록 관리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정보를 기록하도록 상기 픽업을 제어하되,상기 결함 관리 정보 또는 기록 관리 정보 중 어느 하나가 변경되면, 변경된 정보의 속성에 따라 비 변경 데이터를 수반하거나 수반하지 않고 업데이트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상기 변경된 정보가 상기 결함 관리 정보이면, 상기 기록 관리 정보를 수반하여 함께 업데이트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상기 변경된 정보가 상기 기록 관리 정보이면, 상기 결함 관리 정보를 수반하지 않고 업데이트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37876A KR20080062289A (ko) | 2006-12-29 | 2006-12-29 | 관리 정보 기록 방법 및 기록 재생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37876A KR20080062289A (ko) | 2006-12-29 | 2006-12-29 | 관리 정보 기록 방법 및 기록 재생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62289A true KR20080062289A (ko) | 2008-07-03 |
Family
ID=39814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137876A KR20080062289A (ko) | 2006-12-29 | 2006-12-29 | 관리 정보 기록 방법 및 기록 재생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80062289A (ko) |
-
2006
- 2006-12-29 KR KR1020060137876A patent/KR2008006228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67777B1 (ko) | 1회 기록가능한 광기록매체 및 1회 기록가능한광기록매체에 있어서의 결함관리방법 | |
JP4837067B2 (ja) | 記録媒体の少なくとも一つのデータ領域を管理するデータ構造を有する記録媒体、記録再生方法および記録再生装置 | |
RU2372673C2 (ru) | Оптический диск,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дефектной зоной на оптическом диске | |
KR101003427B1 (ko) | 1회 기록가능한 광기록매체 및 1회 기록가능한광기록매체에 있어서의 결함영역 관리방법 및 장치 | |
CA2534982C (en) | Write-once optical disc,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reproducing management information on/from optical disc | |
JP2009283131A (ja) | 1回だけ記録可能な光ディスク及び1回だけ記録可能な光ディスクにおけるtdma情報を用いた欠陥領域の管理方法及び装置 | |
JP2010020897A (ja) | 光記録媒体の記録方法及び装置 | |
US7594147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data on and reproducing data from a recording medium and the recording medium | |
JP2007529849A (ja) | 追記型記録媒体にデータを記録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 |
AU2005251636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management information on a recording medium and the recording medium | |
KR20070058292A (ko) | 기록매체,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및 장치와 기록매체클로징 방법 | |
KR20080062289A (ko) | 관리 정보 기록 방법 및 기록 재생 장치 | |
JP2009540480A (ja) | 記録媒体並びに記録媒体の管理方法及び装置 | |
KR20080010544A (ko) | 기록매체, 기록매체 기록방법 및 장치 | |
KR20080046323A (ko) | 기록매체, 기록매체 기록방법 및 장치 | |
KR20080062288A (ko) | 기록 매체와 기록 재생 방법 및 그 장치 | |
KR20070117866A (ko) | 기록매체,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및 장치 | |
KR20080006220A (ko) | 기록매체, 기록매체 기록방법 및 장치 | |
KR20100121200A (ko) | 기록매체, 데이터 기록/재생 방법, 그리고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 | |
KR20080062287A (ko) | 기록 매체와 기록 재생 방법 및 그 장치, 그리고 결함 관리방법 | |
KR20080025843A (ko) | 기록매체, 기록매체 기록재생방법 및 장치 | |
KR20080040080A (ko) | 기록매체, 기록매체 기록재생방법 및 장치 | |
KR20090036204A (ko) | 광디스크, 광디스크 관리정보의 기록방법 및 데이터기록장치 | |
KR20090024928A (ko) | 기록매체,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및 기록매체 기록/재생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