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7866A - 기록매체,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기록매체,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7866A
KR20070117866A KR1020060052039A KR20060052039A KR20070117866A KR 20070117866 A KR20070117866 A KR 20070117866A KR 1020060052039 A KR1020060052039 A KR 1020060052039A KR 20060052039 A KR20060052039 A KR 20060052039A KR 20070117866 A KR20070117866 A KR 200701178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defect
area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2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훈
박용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2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17866A/ko
Priority to US12/227,603 priority patent/US20090310451A1/en
Priority to EP07746833A priority patent/EP2044590A1/en
Priority to JP2009514201A priority patent/JP2009540480A/ja
Priority to PCT/KR2007/002724 priority patent/WO2007142451A1/en
Priority to CNA2007800215139A priority patent/CN101467208A/zh
Publication of KR20070117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78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45Recording
    • G11B7/00458Verification, i.e. checking data during or after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11B7/00736Auxiliary data, e.g. lead-in, lead-out, Power Calibration Area [PCA], Burst Cutting Area [BCA], control inform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03Layers;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thereof
    • G11B7/24035Recording layers
    • G11B7/24038Multiple laminated recording lay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11B2020/1218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area of the disc
    • G11B2020/1221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area of the disc cluster, i.e. a data structure which consists of a fixed number of sectors or ECC block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1Blu-ray discs; Blue laser DVR 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록매체,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록매체에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기록 및/또는 기록매체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재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기록층을 구비한 기록매체에 적어도 하나의 기록층에 결함영역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결함영역이 존재하면, 결함영역에 대한 정보인 제1결함관리정보를 관리영역에 기록하는 단계; 및 결함영역과 물리적으로 동일한 위치의 영역에 대한 정보인 제2결함관리정보를 관리영역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을 제공한다.
기록매체, 결함영역, 결함관리정보

Description

기록매체,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및 장치{Recording medium,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reproducing information on/from the recording mediu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 구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함리스트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의 결함영역 관리방법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기록재생부 11:픽업부
12:제어부 13:신호처리부
14:서보부 15:메모리
16:마이컴 17:AV디코더
18:AV인코더
본 발명은 기록매체,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록매체에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기록 및/또는 기록매체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재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록매체로서 대용량의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디스크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최근에는 고화질의 비디오 데이터와 고음질의 오디오 데이터를 장시간 동안 기록하여 저장할 수 있는 새로운 고밀도 기록매체(예를 들어, 블루레이 디스크(Blu-ray Disc: BD))가 개발되고 있다.
차세대 기록매체 기술인 블루레이 디스크(BD)는 기존의 DVD를 현저하게 능가하는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차세대 광기록 솔루션으로 근래에 다른 디지털기기와 함께 이에 대한 세계 표준의 기술사양이 정립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블루레이 디스크(BD)와 같은 차세대 고밀도 기록매체를 이용한 기록재생 방법 중 복수의 기록층을 구비한 기록매체에 결함이 발생하는 경우에 대한 바람직한 관리방법이 제시되지 않아, 본격적인 블루레이 디스크(BD) 기반의 기록재생 장치를 개발하는 데 많은 제약이 따르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결함으로부터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한 기록매체,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기록층을 구비한 기록매체에 적어도 하나의 기록층에 결함영역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결함영역이 존재하면, 상기 결함영역에 대한 정보인 제1결함관리정보를 관리영역에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결함영역과 물리적으로 동일한 위치의 영역에 대한 정보인 제2결함관리정보를 관리영역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은 픽업과, 복수의 기록층을 구비한 기록매체에 적어도 하나의 기록층에 결함영역이 존재하는지 확인하여 결함영역이 존재하면, 상기 결함영역에 대한 정보인 제1결함관리정보를 관리영역에 기록하고, 상기 결함영역과 물리적으로 동일한 위치의 영역에 대한 정보인 제2결함관리정보를 관리영역에 기록하는 것을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은 복수의 기록층을 구비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는 결함관리정보를 기록하는 관리영역을 구비하되, 적어도 하나의 기록층에 결함영역이 존재하면, 상기 결함영역은 제1결함관리정보로 기록되고, 상기 결함영역과 물리적으로 동일한 위치의 영역은 제2결함관리정보로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 및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등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 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됨을 밝혀두고자 한다.
관련하여, 본 발명에서 "기록매체"는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거나, 기록가능한 모든 매체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디스크, 자기테이프 등 기록방식에 상관없이 모든 매체를 포괄하는 의미이다. 이하 본 발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록매체로서 디스크(disc) 특히 "블루레이 디스크(BD)"를 예로 하여 설명하고자 하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다른 기록매체에도 동일하게 적용가능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 구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록매체는 재기록가능한 블루레이 디스크(BD-RE)를 예로 하여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기록매체에도 적용가능함은 자명한 사실이다. 또한, 기록매체의 기록층이 하나인 싱글 레이어(single layer)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은 복수의 기록층을 가지는 기록매체에 적용가능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디스크(BD-RE)는, 디스크 내주로부터 리드인 영역(Lead-in zone), 데이터 영역(data zone) 및 리드아웃 영역(Lead-out zone)으로 구성된다. 상기 데이터 영역 내에는,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하는 유저데이터 영역(user data area)과, 디스크 결함관리를 위한 스페어 영역(spare area)으로서 내주 스페어영역(ISA) 및 외주 스페어영역(OSA)이 구비되어 진다. 단, 상기 스페어영역은 필요에 따라 할당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관리영역"은 기록매체의 관리정보를 기록하는 영역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관리영역으로 디스크 관리영역(Disc Management Area: DMA)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BD-R에서의 임시 디스크 관리영역(temporary DMA: TDMA)에서도 적용가능함을 밝혀둔다. 관리영역에는 결함을 관리하기 위한 결함리스트(Defect List: DFL)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DMA는 리드인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에 각각 구비될 수 있는바, 예를 들어, 리드인 영역에서 DMA2, DMA1이 구비되고, 리드아웃 영역에서 DMA3, DMA4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결함관리정보"는 디스크의 기록재생시 발생하는 결함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상기 관리영역에 결함관리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데, 특히, 관리영역 중 결함리스트에 결함관리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함관리정보는 디스크 내에 발생한 결함영역의 일 예인 결함 클러스터(defective cluster) 위치정보 및 상기 결함 클러스터를 대체한 대체 클러스터(replacement cluster)의 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함 클러스터 타입은 결함 클러스터를 위한 재할당 어드레스(reallocation address)가 할당되는 RAD(re-allocatable defect)타입, 결함 클러스터를 위한 재할당 어드레스(reallocation address)가 할당되지 않는 NRD(non-re-allocatable defect)타입, 및 결함 가능영역인 결함 가능성이 있는 클러스터들로 구성되는 PBA(possibly bad area)타입 등이 가능하다. RAD타입은 스페어 위치(spare location) 및/또는 대체 위치(alternative location)에 데이터가 기록되고, 결함 클러스터에 대한 정보는 결함리스트에 기록하는 제1RAD타입과 원래 위치(original location)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스페어 영역에 결함 클러스터의 위 치만 할당해 두는 제2RAD타입이 가능하다. 관련하여, 본 발명에서 상기 결함관리정보는 NRD타입 및/또는 RAD타입의 결함관리정보를 제1결함관리정보라 명명하고, PBA타입의 결함 관리정보를 제2결함관리정보라 명명하여 설명함을 밝혀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함리스트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결함리스트 엔트리는 엔트리의 제1상태정보를 나타내는 'Status 1'필드, 대체되거나 지시되는 클러스터의 첫번째 물리 섹터의 PSN을 나타내는 'Defective Cluster first PSN'필드, 엔트리의 제2상태정보를 나타내는 'Status 2'필드, 대체될 클러스터(replaced Cluster) 또는 PBA의 길이를 나타내는 클러스터의 첫번째 물리 섹터의 PSN을 나타내는 'Replacement Cluster first PSN'필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Status 1'필드에 따른 결함 클러스터 타입을 설명하면, 'Status 1'필드가 '0000'인 경우(Status 1 = 0000)는 제1RAD타입을 나타내고, 'Status 1'필드가 '1000'인 경우(Status 1 = 1000)는 제2RAD타입을 나타내고, 'Status 1'필드가 '0001'인 경우(Status 1 = 0001)는 NRD타입을 나타내고, 'Status 1'필드가 '0010'인 경우(Status 1 = 0010)는 SPR타입을 나타내고, 'Status 1'필드가 '0100'인 경우(Status 1 = 0100)는 PBA타입을 나타내고, 'Status 1'필드가 '0111'인 경우(Status 1 = 0111)는 Unusable타입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Status 2'필드가 나타내는 의미를 설명하면, 'Status 2'필드가 '0000'인 경우(Status 2 = 0000)는 만약 뒤따르는 세팅이 유효한 경우가 없는 경우의 세팅을 나타낸다. 'Status 2'필드가 '1000'인 경우(Status 2 = 0000)는 대체 어 드레스(replacement address)가 할당되고, 대체 어드레스에 기록된 콘텐트(content)를 가진 RAD를 나타내는데, 이는 단지 Status 1 = 0000와 결합하는 경우에 의미가 있다. 'Status 2'필드가 '0100'인 경우(Status 2 = 0100)는 엔트리가 PBA를 나타낸다면, 클러스터들(Clusters)을 어떤 관련된 유저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음을 나타내는데, 이는 단지 Status 1 = 0100, Status 1 = 0010와 결합하는 경우에 의미가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기록층을 가진 고밀도 디스크에서 결함영역이 발생할 경우 광빔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물리적으로 동일한 위치의 기록층 영역을 클러스터 단위로 PBA에 포함하는 것이다. 이는 복수의 기록층을 가지는 디스크에서 특정 하나의 기록층에 결함이 존재하면, 물리적으로 동일한 위치를 가지는 상하위 기록층의 데이터 영역은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특정 기록층의 결함영역에 의해서 영향을 받을 상하위 기록층 영역 클러스트들을 구별하여 PBA에 등록시키고, 추후 PBA의 검증 결과에 따라 결함영역을 관리하는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복수의 기록층을 구비한 디스크에서 특정 기록층에 결함이 존재하면, 결함리스트의 'Status 1'필드에는 '0100'이 세팅되고, 'Defective Cluster first PSN'에는 PBA에 포함될 클러스트의 첫번째 물리 클러스터 PSN이 기록된다. 결함이 존재하는 특정 기록층을 제외한 다른 상하위 기록층에서 유저 데이터의 기록 여부 상태를 모르므로, 'Status 2'필드에는 '0000'이 세팅될 수 있다. 이후, PBA로 등록된 영역은 추후에 검증을 수행하고, 검증 결과에 따라 PBA리스트에서 지 워지거나 RAD타입 또는 NRD타입의 결함리스트에 포함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의 결함영역 관리방법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특히, 복수의 기록층을 구비한 기록매체 중 기록층이 4개(L0, L1, L2, L3)인 경우를 예로 설명하나, 본 발명은 복수의 기록층을 가지는 기록매체에 모두 적용가능함은 자명한 사실이다.
제1실시예(A)는 최하위 기록층(L3)에서 결함이 발견되어 결함영역(A3)이 존재하는 경우로, 최하위 기록층(L3)을 제외한 다른 기록층들(L0, L1, L2)에서 결함영역(A3)과 광빔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물리적으로 동일한 영역(A0, A1, A2)을 PBA로 판단하여, PBA를 클러스터 단위로 관리영역의 결함리스트에 기록하게 된다.
제2실시예(B)는 최하위 기록층(L3)을 제외한 다른 기록층들(L0, L1, L2) 중 어느 하나의 기록층에 결함영역이 존재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특히, 특정 기록층(L0)에 결함영역(B1)이 존재하면, 특정 기록층(LO)를 제외한 다른 기록층들(L0, L2, L3)에서 결함영역(B1)과 광빔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물리적으로 동일한 영역(B0, B2, B3)을 PBA로 판단하여, PBA를 클러스터 단위로 관리영역의 결함리스트에 기록하게 된다.
제3실시예(C)는 복수의 기록층에서 물리적으로 동일한 영역에 결함이 존재하는 경우, 결함이 존재하지 않는 다른 기록층에서 결함영역과 광빔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물리적으로 동일한 영역을 PBA에 포함하는 것이다. 특히, 최하위 기록층(L3)에 결함영역(C3)이 존재하고, 최하위 기록층을 제외한 다른 기록층 중 하나인 특정 기록층(L1)에 결함영역(C1)이 존재하면, 결함영역(C1, C3)이 존재하는 기 록층들(L1, L3)을 제외한 기록층들(L0, L2)에서 결함영역(C1, C3)과 광빔의 진행방향을 기중으로 물리적으로 동일한 영역(C0, C2)을 PBA로 판단하여, PBA를 클러스터 단위로 관리영역의 결함리스트에 기록하게 된다.
상기에서 3가지의 실시예를 살펴보았는데, 이외에 복수의 기록층을 가지는 기록매체에서 3개 이상의 기록층에 물리적으로 동일한 영역에 결함이 존재하는 경우, 결함이 존재하지 않는 기록층에서 결함이 존재하는 영역과 물리적으로 동일한 영역을 PBA로 판단하여, 관리영역의 결함리스트에 기록하는 경우 등에도 적용가능함을 밝혀둔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록재생 장치는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기록재생부(20)와 이를 제어하는 제어부(12)를 포함한다.
기록재생부(20)는 디스크에 데이터를 직접적으로 기록하거나 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를 독출하는 픽업부와(11), 픽업부(11)로부터 독출된 신호를 수신하여 원하는 신호값으로 복원해내거나, 기록될 신호를 디스크에 기록되는 신호로 변조(modulation)하여 전달하는 신호처리부(13)와, 디스크로부터 정확히 신호를 독출해내거나, 디스크에 신호를 정확히 기록하기 위해 픽업부(11)를 제어하는 서보부(14)와, 결함관리정보를 포함한 관리정보 및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메모리(15)와 상기 구성요소들의 제어를 담당하는 마이컴(16)을 포함한다. 관련하여, 기록재생부(20)로만 이루어진 기록재생 장치를 "드라이브(driver)"라고도 하며, 이는 컴퓨터 주변기기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마이컴(16)은 복수의 기록층을 구비한 기록매체에 적어도 하나의 기록층에 결함영역이 존재하는지 확인하여 결함영역이 존재하면, 상기 결함영역에 대한 정보인 제1결함관리정보를 관리영역에 기록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결함영역과 물리적으로 동일한 위치의 영역에 대한 정보인 제2결함관리정보를 관리영역에 기록하는 것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2)는 전체 구성요소의 제어를 담당하게 되며, 특히 본 발명과 관련하여서는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interface)를 통해 사용자 명령 등을 수신하고,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재생하기 위한 기록재생 명령을 기록재생부(20)로 전송하게 된다.
또한, AV디코더(17)는 제어부(12)의 제어에 따라 디스크로부터 독출된 신호를 디코딩하여 원하는 정보로 복원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또한, AV인코더(18)는 디스크에 신호를 기록하는 기능의 수행을 위해 제어부(12)의 제어에 따라 입력신호를 특정포맷의 신호, 예를 들어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변환하여 신호처리부(13)에 제공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기록매체가 기록재생 장치 내로 로딩되면(S10), 기록재생 장치는 복수의 기록층을 구비한 기록매체에 적어도 하나의 기록층에 결함이 존재하는지 확인한다(S20). 이때, 결함은 복수의 기록층을 구비한 기록매체에서 하나의 기록층에 존재할 수는 경우, 복수의 기록층을 구비한 기록매체에서 복수의 기록층에 존재하는 경우 등 여러가지가 가능함을 밝혀둔다.
상기 단계(S20) 확인결과, 복수의 기록층을 구비한 기록매체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록층에 결함이 존재하면, 결함영역 대한 정보인 제1결함관리정보를 관리영역에 기록한다(S30).
상기 단계(S20) 확인결과, 복수의 기록층을 구비한 기록매체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록층에 결함이 존재하지 않으면, 기록매체에 데이터를 기록중이면 데이터를 기록매체에 기록하고, 기록매체의 데이터를 재생중이면 재생중이던 데이터를 계속 재생한다(S50).
제1결함관리정보를 관리영역에 기록한 후에, 결함이 존재하지 않는 기록층에서 결함이 존재하는 기록층의 결함영역과 물리적으로 동일한 영역에 대한 정보인 제2결함관리정보를 관리영역에 기록한다(S40).
관리영역에 결함관리정보를 기록 후,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는 기록매체에 데이터를 기록중이면 데이터를 기록매체에 기록하고, 기록매체의 데이터를 재생중이면 재생중이던 데이터를 계속 재생한다(S50).
상기 제1결함관리정보와 제2결함관리정보는 관리영역에 결함리스트에 기록하는 경우이며, 제2결함관리정보로 기록되는 PBA에 대해서는 이후에 다시 검증을 수행한다. PBA 검증에서 PBA가 결함영역으로 판별되면, RAD타입 또는 NRD타입인 제1결함관리정보를 결함리스트에 기록하고, PBA가 결함영역이 아닌 것으로 판별되면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는 기록매체에 데이터를 기록중이면 데이터를 기록매체에 기록하고, 기록매체의 데이터를 재생중이면 재생중이던 데이터를 계속 재생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특히, 기록매체는 1회 기록가능한 블루레이 디스크(BD-R)를 예로 한 것이고, 기록매체의 기록층이 하나인 싱글 레이어(single layer)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은 복수의 기록층을 가지는 기록매체에 적용가능함을 밝혀둔다.
도 6에서 도시한 1회 기록가능한 블루레이 디스크(BD-R)가 도 1에서 설명한 재기록가능한 블루레이 디스크(BD-RE)와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관리영역"은 기록매체의 관리정보를 기록하는 영역을 의미한다. BD-R에서는 관리영역으로 임시 디스크 관리영역(Temporary Disc Management Area: TDMA)과 디스크 관리영역(Disc Management Area: DMA)을 구비할 수 있다. 임시 디스크 관리영역(TDMA)은 디스크 내에는 디스크 클로징(closing) 이전에 관리정보를 기록하는 영역을 의미하고, 디스크 관리영역(DMA)은 디스크 클로징시에 최종 관리정보를 기록하는 영역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TDMA는 리드인 영역 및 스페어 영역(ISA 또는 OSA) 내에 구비되고, DMA는 리드인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TDMA와 DMA는 다음의 관계를 가진다. 1회 기록가능한 블루레이 디스크(BD-R)의 특성상 TDMA내에는 디스크 사용 중에 발생하는 결함관리정보뿐만 아니라 디스크 내의 기록상태를 나타내는 일반 관리정보가 혼재하여 기록된다. 이후, 디스크가 클로징(closing) 되면 해당 디스크에는 더 이상 기록을 할 수 없는 상태가 되므로, TDMA내의 최종 관리정보들이 DMA으로 이전하여 기록하게 된다. 따라서, 디스크가 사용중에는 TDMA내에 관리정보가 기록되고, 디스크가 클로징되면 TDMA내의 최종의 정보들이 DMA내로 이전 기록되고, 이후 DMA내의 관리정보를 활용하여 해당 디스크를 재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TDMA는 크게 2가지 종류로 구별된다. 즉, 리드인 영역(Lead-in) 내에 고정된 크기(예를 들어, 2048 클러스터(cluster))를 갖고 디스크 초기화시 언제나 할당되는 TDMA0와, 스페어 영역 내에 가변적인 크기로 할당되되, 할당여부는 선택적으로 결정되는 TDMA1 및 TDMA2로 구별된다. 또한, TDMA는 TDMA0->TDMA1->TDMA2의 순서로 사용되어 진다. 이때, TDMA0~TDMA2 에는 동일 종류의 관리정보가 기록됨을 밝혀둔다.
상기 TDMA내에 기록되는 관리정보는, 결함관리정보를 기록하는 임시 결함리스트(Temporary DeFect List: TDFL), 연속 기록범위 정보(Sequential Recording Range Information: SRRI), 및 임시 디스크 정의구조(Temporary Disc Definition Structure: TDDS)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다른 기록매체 BD-R은 BD-RE와 달리 결함관리정보를 기록하는 관리영역으로 임시 디스크 관리영역(TDMA)을 더 구비하여 결함을 관리하는데 차이가 있음을 밝혀둔다. 이때, 임시 디스크 관리영역(TDMA)은 임시 결함리스트(TDFL)에 결함관리정보를 기록하게 된다.
따라서, 복수의 기록층을 가진 고밀도 디스크에서 결함관리방법으로 본 발명을 사용하여 기록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기록매체의 데이터를 재생함에 있어서, 데이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 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 및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및 장치의 효과는 복수의 기록층을 구비한 기록매체에서 기록층에 결함이 있는 경우에 결함이 있는 기록층과 상하위 기록층에서 결함영역과 물리적으로 동일한 영역을 결함 가능영역에 포함시켜 결함으로부터 데이터를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7)

  1. 복수의 기록층을 구비한 기록매체에 적어도 하나의 기록층에 결함영역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결함영역이 존재하면, 상기 결함영역에 대한 정보인 제1결함관리정보를 관리영역에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결함영역과 물리적으로 동일한 위치의 영역에 대한 정보인 제2결함관리정보를 관리영역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록층은 상기 기록매체의 최하위 기록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록층은 상기 기록매체의 기록층 중 최하위 기록층을 제외한 하나의 특정 기록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록층은 상기 기록매체의 기록층 중 복수의 기록층이 되, 상기 복수의 기록층에 존재하는 결함영역은 물리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기록층은 최하위 기록층과 상기 최하위 기록층을 제외한 다른 특정 기록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함관리정보는 RAD(re-allocatable defect), NRD(non-re-allocatable defect)에 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함관리정보는 PBA(possibly bad area)에 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영역은 결함리스트를 포함하되, 상기 결함리스트에는 상태정보와 상기 PBA에 포함될 첫번째 클러스터의 물리 클러스트 PSN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9. 픽업과,
    복수의 기록층을 구비한 기록매체에 적어도 하나의 기록층에 결함영역이 존재하는지 확인하여 결함영역이 존재하면, 상기 결함영역에 대한 정보인 제1결함관리정보를 관리영역에 기록하고, 상기 결함영역과 물리적으로 동일한 위치의 영역에 대한 정보인 제2결함관리정보를 관리영역에 기록하는 것을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록층은 상기 기록매체의 최하위 기록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록층은 상기 기록매체의 기록층 중 최하위 기록층을 제외한 하나의 특정 기록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록층은 상기 기록매체의 기록층 중 복수개의 기록층이되, 상기 복수의 기록층에 존재하는 결함영역은 물리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록층은 최하위 기록층과 상기 최하위 기록층을 제외한 다른 특정 기록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함관리정보는 RAD(re-allocatable defect), NRD(non-re-allocatable defect)에 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함관리정보는 PBA(possibly bad area)에 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영역은 결함리스트를 포함하되, 상기 결함리스트에는 상태정보와 상기 PBA에 포함될 첫번째 클러스터의 물리 클러스트 PSN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
  17. 복수의 기록층을 구비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는 결함관리정보를 기록하는 관리영역을 구비하되, 적어도 하나의 기록층에 결함영역이 존재하면, 상기 결함영역은 제1결함관리정보로 기록되 고, 상기 결함영역과 물리적으로 동일한 위치의 영역은 제2결함관리정보로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KR1020060052039A 2006-06-09 2006-06-09 기록매체,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및 장치 KR20070117866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2039A KR20070117866A (ko) 2006-06-09 2006-06-09 기록매체,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및 장치
US12/227,603 US20090310451A1 (en) 2006-06-09 2007-06-05 Recording medium, and a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the recording medium
EP07746833A EP2044590A1 (en) 2006-06-09 2007-06-05 A recording medium, and a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the recording medium
JP2009514201A JP2009540480A (ja) 2006-06-09 2007-06-05 記録媒体並びに記録媒体の管理方法及び装置
PCT/KR2007/002724 WO2007142451A1 (en) 2006-06-09 2007-06-05 A recording medium, and a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the recording medium
CNA2007800215139A CN101467208A (zh) 2006-06-09 2007-06-05 记录介质,以及用于管理记录介质的方法和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2039A KR20070117866A (ko) 2006-06-09 2006-06-09 기록매체,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7866A true KR20070117866A (ko) 2007-12-13

Family

ID=39142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2039A KR20070117866A (ko) 2006-06-09 2006-06-09 기록매체,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70117866A (ko)
CN (1) CN101467208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67208A (zh) 2009-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8640B1 (ko)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 및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에있어서의 tdma 정보를 이용한 결함영역 관리방법 및장치
KR101067777B1 (ko) 1회 기록가능한 광기록매체 및 1회 기록가능한광기록매체에 있어서의 결함관리방법
KR100991787B1 (ko) 광디스크 및 광디스크에 있어서의 결함영역 관리방법 및장치
KR100964688B1 (ko) 광 디스크 및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상에서 결함 영역을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201424B1 (ko) 기록 장치의 교체 처리 방법, 기록 장치, 기록 시스템
US8134896B2 (en) Write-once optical disc,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reproducing data on/from the optical disc
US814966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data on write-once recording medium
JP2006513519A (ja) 追記型光記録媒体における欠陥エリアの管理方法及び光記録媒体
EP175422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management information on a recording medium and the recording medium
US8446806B2 (en) Media record/play device and media record/play method
KR20070058292A (ko) 기록매체,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및 장치와 기록매체클로징 방법
US20090310451A1 (en) Recording medium, and a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the recording medium
KR20070117866A (ko) 기록매체,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및 장치
KR20080010544A (ko) 기록매체, 기록매체 기록방법 및 장치
KR20080006220A (ko) 기록매체, 기록매체 기록방법 및 장치
KR20080040080A (ko) 기록매체, 기록매체 기록재생방법 및 장치
KR20080025843A (ko) 기록매체, 기록매체 기록재생방법 및 장치
KR20080046323A (ko) 기록매체, 기록매체 기록방법 및 장치
KR20080047011A (ko) 기록매체, 기록매체 검증 방법 및 장치
KR20080062289A (ko) 관리 정보 기록 방법 및 기록 재생 장치
KR20080062287A (ko) 기록 매체와 기록 재생 방법 및 그 장치, 그리고 결함 관리방법
KR20080040081A (ko) 기록매체, 기록매체 기록재생방법 및 장치
KR20080062288A (ko) 기록 매체와 기록 재생 방법 및 그 장치
KR20050093655A (ko) 고밀도 광디스크의 기록 재생 방법 및 장치
KR20060004486A (ko) 고밀도 광디스크의 기록 재생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