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0758A - 발향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발향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0758A
KR20080060758A KR1020060135222A KR20060135222A KR20080060758A KR 20080060758 A KR20080060758 A KR 20080060758A KR 1020060135222 A KR1020060135222 A KR 1020060135222A KR 20060135222 A KR20060135222 A KR 20060135222A KR 20080060758 A KR20080060758 A KR 20080060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yrene
fragrance
resin composition
resin
m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5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일기
이일휴
장석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60135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60758A/ko
Publication of KR20080060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075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2Deodorant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being in a special form, e.g. gel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042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with the help of a macromolecular compound as a carrier or dilu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향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SEBS) 또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과 폴리올레핀의 혼합수지에 유효성분으로 향 및 안정화제를 포함함으로써, 향이 대기중으로 서서히 지속적으로 발산되는 발향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향성, 수지 조성물,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향

Description

발향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PERFUME RELEASING RESIN COMPOSITIO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발향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향료가 대기중으로 서서히 지속적으로 발산되는 발향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수상, 액상 및 겔상에 향을 담지하는 경우, 전통적으로 계면활성제, 점증제, 오일 등의 첨가제가 사용되었다. 반면, 일반적으로 고체 수지에 향을 담지하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첨가제들이 사용되지 않아, 향 자체의 순수한 향의 발산에 효과적이며, 매우 섬세한 향의 발산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대기 중에 서서히 향을 발산하여 방향효과가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향을 함유하여 서서히 발산시키는 고체 수지로는 기출원 특허에서 여러 가지 형태가 개시되어 있다.
영국특허 제1,589,201호(1981.05.07 공개)에는 향을 지속적으로 서서히 발산시키기 위하여, 담지체로 열경화 수지인 에틸렌과 비닐아세테이트, 메틸아세테이 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및 아크릴산으로부터 구성된 극성 비닐 단량체를 6 내지 60 %를 함유한 중합체가 개시되어 있다.
미국특허 제3,505,432호(1970.04.07 공개)에는 향의 담지체로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이 개시되어 있으며, 미국특허 제4,156,067호(1979.05.22 등록)에는 폴리우레탄 고분자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미국특허 제4,184,099호(1980.01.15 등록)에는 향의 담지체로 폴리아마이드 수지가 개시되어 있으며, 미국특허 제6,121,343호(2000.09.19 등록)에는 랜덤 또는 블록 중합체의 폴리에스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향을 지속적으로 서서히 발산시키는 효과는 미흡하여, 이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향이 대기중으로 서서히 지속적으로 발산되는 발향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기타 목적들은 하기 설명된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 렌(SEBS) 또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과 폴리올레핀의 혼합수지에 유효성분으로 향 및 안정화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향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혼합수지는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SEBS)과 폴리프로필렌(PP)의 혼합수지, 또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과 폴리에틸렌(PE)의 혼합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향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수지를 담지체로 이용하여 유효성분인 향을 담지시킴으로써, 향을 지속적으로 서서히 발산시키는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SEBS) 또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과 폴리올레핀의 혼합수지를 담지체로 사용함으로써 보다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발향성 수지 조성물은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SEBS) 또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과 폴리올레핀의 혼합수지에 유효성분으로 향 및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혼합수지는 향을 담지시키기 위한 담지체로서,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SEBS) 또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과 폴리올레핀의 혼합수지일 수 있다.
상기 혼합수지로는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과 폴리프로필렌의 혼합수지, 또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과 폴리에틸렌의 혼합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수지는 스티렌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또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과 폴리올레핀이 1:1 내지 1:0.05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은 열가소성 스티렌계 탄성중합체(elastomer)로서,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의 포화 고무형 블록 공중합체이며, 중간 고무 블록의 2중 결합을 수소 첨가반응으로 포화시켜 제조한 것으로, 내수성 및 내열성이 보다 우수한 특징이 있다.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제품으로는 Kraton G(Kraton社 제조), tufprene TMH(Asai화성 제조) 등이 있다.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은 본 발명의 방향성 수지 조성물 총 함량에 10 내지 90 중량%로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8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다. 그 함량이 10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수지 내 향의 담지량이 낮아 향의 발산에 적절한 강도를 부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9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향의 휘산이 너무 빠르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은 프로필렌의 중합으로부터 제조된 열가소성 수지로서, 프로필렌 중합체{(CH2-CH2[CH])n}는 결정성과 비결정성으로 분류된다.
일반적으로 프로필렌 중합체는 지글러-나타계 촉매(사염화티탄과 삼에틸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착염 촉매)를 헥산 속에 투입하고, 여기에 프로필렌 단량체를 70 ℃, 5 atm 조건 하에서 중합하여 제조된다. 이렇게 제조된 프로필렌 중합체는 아이소택틱(isotactic) 구조를 가지며, 메틸기가 같은 방향으로 정렬되어지며, 녹는점은 165 ℃ 정도이고, 밀도는 0.9 내지 0.91 정도이다. 폴리에틸렌과 비교하여 산소의 존재 하에서 빛이나 열에 산화열화(酸化劣化)하는 결점이 있으며, 안정제를 필요로 한다.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제품으로는 DAESAN PP 시리즈(LG 화학 제조) 등이 있다. 폴리프로필렌은 본 발명의 발향성 수지 조성물 총 함량에 3 내지 75 중량%로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6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다. 그 함량이 3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향의 휘산이 너무 빠르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7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향의 휘산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은 스티렌과 부타디엔을 기본으로 하는 블록 공중합체인 열가소성 탄성중합체(elastomer)로서, 하드한 성질의 폴리스티렌 블록과, 고무와 같은 탄성을 가지는 폴리부타디엔의 블록의 2상 구조를 가지는 수지이다. 또한, 열가소성 고무로 재성형이 가능하며, 경도, 인장특성, 다른 수지와의 가공성, 재활용성 등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수지로는 스티렌 함량이 30 내지 70 중량%이며, 부타디엔의 함량이 70 내지 30 중량%로 이루어진 수지가 바람직하다.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제품으로는 Kraton D(Kraton社 제조), tufprene TM(Asai화성 제조), LG 604, LG 503(LG 화학 제조) 등이 있다.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수지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발향성 수지 조성물 총 함량에 10 내지 90 중량%로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8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다. 그 함량이 10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수지 내 향의 담지량이 낮아 향의 발산에 적절한 강도를 부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9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향의 휘 산이 너무 빠르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은 에틸렌(CH2=CH2)의 중합으로부터 제조된 열가소성 수지로서, CH2-CH2를 기본구조로 하는 유백색, 반투명의 수지이며, 그 특성에 의해 부드러운 저밀도 폴리에틸린(LDPE)과 단단하고 강인한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으로 분류된다.
일반적으로 저밀도 폴리에틸렌(연질 폴리에텔렌)은 미량의 산소를 첨가하여 1,000 내지 2,000 atm으로 압축시켜 오토클레이브(고압통)에서 200내지 300 ℃로 중합하여 제조되며, 고압 폴리에틸렌이라고도 한다. 밀도는 0.91 내지 0.93 정도이며, 분기(分技)가 많은 선(線)형 고분자로, 짧은 가지가 있어 분자 배열이 충분하지 않고 결정화된 부분이 40 내지 50 % 정도이기 때문에 말랑말랑해져서 잘 늘어나며 인장강도는 다소 낮지만 내충격성이 크고 가공이 용이하므로 사용하기 쉽다.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중합시 부탄 또는 헥산 등을 이용하여 가지의 선형성을 늘리고 강도를 보다 강화시킨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과 밀도가 0.91 미만인 매우 낮은 저밀도(VLDPE) 폴리에틸렌으로 세분화된다.
또한, 고밀도 폴리에틸렌(경질 폴리에텔렌)은 일반적으로 지글러-나타촉매(사염화티탄과 삼에틸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착염 촉매)를 사용하여 약 70 ℃, 10 atm 조건 하에서 중합하여 제조되며, 저압 폴리에틸렌이라고도 한다. 밀도는 0.94 내지 0.96 정도이며, 가지가 적고 결정화된 부분이 60 내지 80 % 정도로 결정성이 크며, 연화점(軟化點), 굳기, 강도가 모두 우수하나, 신장(伸張)과 내충격성 이 적고 촉감도 딱딱하다. 분자량에 따라 분자량이 20만 내지 500백만의 고분자 고밀도 폴리에틸렌(HD-HMW-PE) 또는 30만 내지 600백만의 초고분자 고밀도 폴리에틸렌(HD-UHMW-PE) 등으로 세분화된다.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폴리에틸렌 제품으로는 LDPE 및 LLDPE시리즈(한화석유화학社 제조), LUTENE, LUTENE-H, DAESAN LDPE, DAESAN LLDPE, DAESAN HDPE 시리즈(LG 화학 제조) 등이 있다. 폴리에틸렌은 본 발명의 발향성 수지 조성물 총 함량에 3 내지 75 중량%로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6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다. 그 함량이 3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향의 휘산이 너무 빠르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7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향의 휘산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향은 천연향 또는 합성향 등일 수 있다.
상기 천연향으로는 꽃, 잎, 과피, 수지, 나무껍질, 열매, 씨앗 또는 뿌리 등으로부터 얻어지는 모든 종류의 식물성 향료와 사향노루, 향유고래, 비버 또는 사향고양이 등의 생식선 또는 포피선에서 얻어지는 모든 종류의 동물성 향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합성향으로는 테르페닉 탄화수소류(terpenic hydrocarbon), 에스테르류(esters), 알코올류(alcohols), 알데히드류(aldehydes), 페놀류(phenols), 케톤류(ketons), 아세탈류(acetals), 에테르류(ethers) 또는 옥심류(oximes)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테르페닉 탄화수소류(terpenic hydrocarbon)로는 라임 테르펜(lime terpene), 레몬 테르펜(lemon terpene) 또는 리모넨 디머(limonene dimmer) 등이 있다.
상기 에스테르류(esters)로는 γ-운데카락톤(γ-undecalactone), 에틸 메틸 페닐 글리시데이트(ethyl methyl phenyl glycidate), 알릴 카프로에이트(allyl caproate), 아밀 살리실레이트(amyl salicylate), 아밀 벤조에이트(amyl benzoate), 아밀 아세테이트(amyl acetate), 벤질 아세테이트(benzyl acetate), 벤질 벤조에이트(benzyl benzoate), 벤질 살리실레이트(benzyl salicylate), 벤질 프로피오네이트(benzyl propionate), 부틸 아세테이트(butyl acetate), 벤질 부티레이트(benzyl butyrate), 벤질 페닐아세테이트(benzyl phenylacetate), 세드릴 아세테이트(cedryl acetate), 시트로넬릴 아세테이트(citronellyl acetate), 시트로넬릴 포메이트(citronellyl formate), p-크레실 아세테이트(p-cresyl acetate), 2-티-펜틸-사이클로헥실 아세테이트(2-t-pentyl-cyclohexyl acetate), 사이클로헬실 아세테이트(cyclohexyl acetate), 시스-3-헥실 아세테이트(cis-3-hexyl acetate), 시스-3-헥실 살리실레이트(cis-3-hexyl salicylate), 디메틸벤질 아세테이트(dimethylbenzyl acetate), 디에틸 프탈레이트(diethyl phthalate), δ-데칼락톤(δ-decalactone), 디부틸 프탈레이트(dibuthyl phthalate), 에틸 부티레이트(ethyl butyrate),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에틸 벤조에이트(ethyl benzoate), 펜칠 아세테이트(fenchyl acetate), 게라닐 아세테이트(geranyl acetate), γ-도데칼락톤(γ-dodecalaton), 메틸 디하이드로자스모네이트(methyl dihydrojasmonate), 이소보닐 아세테이트(isobornyl acetate), β-이소프로폴시에 틸 살리실레이트(β-isopropoxyethyl salicylate), 리날릴 아세테이트(linalyl acetate), 메틸 벤조에이트(methyl benzoate), ο-티-부틸사이클로헥실 아세테이트(ο-t-buthylcyclohexyl acetate), 메틸 살리실레이트(methyl salicylate), 에틸렌 브라실레이트(tthylene brassylate), 에틸렌 도데카노에이트(ethylene dodecanoate), 메틸 페닐아세테이트(methyl phenylacetate), 노필 아세테이트(nopyl acetate), 페닐에틸 이소부티레이트(phenylethyl isobutyrate), 페닐에틸페닐 아세테이트(phenylethylphenyl acetate), 페닐에틸 아세테이트(phenylethyl acetate), 메틸 페닐 카보닐 아세테이트(methyl phenyl carbonyl acetate), 3,5,5-트리메틸헥실 아세테이트(3,5,5-trimethylhexyl acetate), p-t-부틸사이클로헥실 아세테이트(p-t-Butylcyclohexyl acetate) 또는 베티버 아세테이트(vetiver acetate) 등이 있다.
상기 알코올류(alcohol)로는 n-옥틸 알코올(n-octyl alcohol), n-노닐 알코올(n-nonyl alcohol), β-페닐디메틸 카비놀(β-phenyldimethyl carbinol), 디메틸 벤질 카비놀(dimethyl benzyl carbinol), 카비톨(carbitol), 디하이드로미르세놀(dihydromyrcenol), 디메틸 옥타놀(dimethyl octanol), 헥실렌 글리콜(hexylene glycol), 리나로올(linalool), 리프 알코올(leaf alcohol), 네롤(nerol), 페녹시에탄올(phenoxyethanol), γ-페닐 프로필 알콜(γ-phenyl propyl alcohol), β-페닐에틸 알콜(β-phenylethyl alcohol), 메틸페닐 카비톨(methylphenyl cabitol), 테르피네올(terpineol), 테트라하이드로알로오시메놀(tetrahydroalloocimenol), 테트라하이드로리날올(tetrahydrolinalool) 또는 9-데칸-1-올(9-decan-1-ol) 등이 있 다.
상기 알데히드류(aldehydes)로는 n-노닐 알데히드(n-nonyl aldehyde), 운데실렌 알데히드(undecylene aldehyde), 메틸노닐 아세탈데히드(methylnonyl acetaldehyde), 아니스알데히드(anisaldehyde), 벤즈알데히드(benzaldehyde), 시클라멘알데히드(cyclamenaldehyde), 2-헥실헥사날(2-hexylhexanal), α-헥실시나믹 알데히드(α-hexylcinnamic aldehyde), 페닐 아세탈데히드(phenyl acetaldehyde), 4-(4-하이드록시-4-메틸펜틸)-3-사이클로헥센-1-카르복실알데히드{4-(4-hydroxy-4-methylpentyl)-3-cyclohexene-1-carboxyaldehyde}, p-티-부틸-α-메틸하이드로시나믹 알데히드(p-t-butyl-α-methylhydrocinnamic aldehyde) 또는 1-카르복실알데히드(1-carboxyaldehyde) 등이 있다.
상기 페놀류(phenols)로는 유게놀(eugenol) 등이 있다.
상기 케톤류(ketons)로는 아세토페논(acetophenone), 1-카르본(1-carvone), α-다마스콘(α-damascon), 이오논(ionone), 4-티-펜틸사이클로헥사논(4-t-pentylcyclohexanone), 3-아밀-4아세톡시테트라히이드로퓨란(3-amyl-4acetoxytetrahydropyran), 멘톤(methone), 메틸이오논(methylionone), p-티-아밀사이클로헥사논(p-t-amylcyclohexanone) 또는 아세틸 세드렌(acetyl cedrene) 등이 있다.
상기 아세탈류(acetals)로는 페닐아세탈데히드디메틸 아세탈(phenylacetaldehydedimethyl acetal) 등이 있다.
상기 에테르류(ethers)로는 p-크레실 메틸 에테르(p-cresyl methyl ether), 디페닐 에테르(diphenyl ether), 1,3,4,6,7,8-헥사히이드로-4,6,7,8,8-헥사메틸 사이클로펜타-γ-2-벤조피란(1,3,4,6,7,8-hexahydro-4,6,7,8,8-hexamethyl cyclophenta-γ-2-benzopyran) 또는 페닐 이소아밀 에테르(phenyl isoamyl ether) 등이 있다.
상기 옥심류(oximes)로는 5-메틸-3-헵타논(5-methyl-3-heptanon)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향은 본 발명의 방향성 수지 조성물 총 함량에 5 내지 80 중량%로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7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다. 그 함량이 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향의 발산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8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향의 함량이 높아 수지의 단단함(경도)을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혼합수지에 담지되어 서서히 균일하게 오랜 기간동안 발산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안정화제는 발향성 수지 조성물 제조시에 안정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테트라키스{메틸렌3-(3,5-디-티-부틸하이드록시하이드로신나메이트)메탄}[tetrakis{methylene3-(3,5-di-t-butylhydroxyhydrocinnamate}methane] 또는 씨오디에틸렌 비스{3-(3,5-디-티-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thiodiethylene bis{3-(3,5-di-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안정화제로는 Irganox 1010 또는 Irganox 1035(CIBA special chem. 제조) 등이 있다. 안정화제는 본 발명의 혼합수지와 향료로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 하여 0.005 내지 0.5 중량부로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2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성분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발향성 수지 조성물은 하기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첫 번째 방법은, 압출기에 혼합수지와 향을 동시에 투입하여, 상기 혼합수지의 용융온도인 160 내지 200 ℃로 가열하고, 용융 및 균일하게 혼합 교반한 후, 압출하는 방법이다.
두 번째 방법은, 헨셀믹서에 혼합수지와 향을 동시에 투입하고, 용융온도 이상으로 가열하기 전에, 충분하게 교반하여 혼합수지의 표면에 향을 디핑(dipping)시킨 후, 압출기로 투입하여 수지의 용융온도 이상인 160 내지 200 ℃의 압출기 내부에서 수지를 용융시키며 압출하는 방법이다.
세 번째 방법은, 압출기에 혼합수지를 투입하여 수지의 용융온도인 160 내지 200 ℃로 가온하고, 용융 및 균일하게 혼합 교반한 후, 상기 혼합수지를 압출하고, 압출된 혼합수지와 향을 헨셀믹서에 투입하여 상온 내지 70 ℃ 이하의 온도에서 수시간 동안 교반시키며 혼합수지 내로 향을 담지시키는 디핑(dipping) 방법이다.
상기 첫 번째 방법은 과량의 향을 담지시킬 수 있으며, 수지 내로 균일하게 향을 담지시킬 수 있어, 가장 우수한 반면, 제조 과정 중 향의 증발 유실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세 번째 방법은 물리적인 방법으로 향을 수지 내로 흡수시켜 담지시키는 방법으로, 수지의 종류 및 경도에 따라 향의 담지량이 제한될 수 있 다. 따라서, 상기 세 종류의 방법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두 번째의 방법이 가장 효과적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3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으로 헨셀믹서에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과 폴리에틸렌의 혼합수지와, 시다우드(cedawood) 오일 50 중량%, 솔잎(pine needle) 오일 30 중량% 및 레몬(lemone) 오일 20 중량%로 이루어진 조합향과 안정화제로 씨오디에틸렌 비스{3-(3,5-디-티-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thiodiethylene bis{3-(3,5-di-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를 첨가하고 2 내지 3분 동안 디핑(dipping)시키고, 170 ℃의 압출기에 투입하여 향과 수지를 균일하게 혼합한 후, 냉각하고 펠렛화하여 경도와 담지된 향의 함량이 다른 방향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6
상기 실시예 1에서 혼합수지로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과 폴리프로필렌 의 혼합수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7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으로 170 ℃의 압출기에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과 폴리에틸렌을 투입하여 균일하게 혼합하고 압출한 후, 냉각하여 혼합수지를 펠렛화하였다. 제조된 펠렛에 시다우드(cedawood) 오일 50 중량%, 솔잎(pine needle) 오일 30 중량% 및 레몬(lemone) 오일 20 중량%로 이루어진 조합향1을 혼합하고, 상온에서 7 시간 동안 교반하여 향이 담지된 방향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상기 실시예 7에서 혼합수지로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과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혼합수지 대신 비닐아세테이트의 함량이 5 내지 15 중량%인 펠렛화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혼합수지 대신 펠렛화된 폴리에틸렌과 라벤더(lavender) 오일 60 중량%, 솔잎(pine needle) 오일 20 중량% 및 레몬(lemone) 오일 20 중량%로 이루어진 조합향2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7에서 혼합수지 대신 비닐아세테이트의 함량이 3 내지 10 중량%인 펠렛화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7에서 혼합수지 대신 펠렛화된 폴리에틸렌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6 7 8 1 2 3 4
SBS 63 66.5 72 - - - 63 - - - - -
PE 7 3.5 8 - - - 7 - - 90 - 95
SEBS - - - 35 30 18 - 35 - - - -
PP - - - 30 30 42 - 30 - - - -
EVA - - - - - - - - 70 - 70 -
안정제 0.5 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조합향1 30 30 20 35 40 40 30 35 30 - 30 5
조합향2 - - - - - - - - - 10 - -
[시험예]
시험예 1. 향의 지속력 시험(controlled release test)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발향성 수지 조성물의 향의 지속력을 시험하기 위하여 직경 9 ㎝의 패트리디쉬에 약 20 g을 담고, 건조오븐에 넣어 25 ℃에서 방치하였다. 그리고, 1, 2, 3, 5, 15, 30, 60, 90일 동안 무게의 감소율을 측정하여, 지속적으로 무게 감소가 발생하는 지를 관찰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이때,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를 사용하여 비교적 조합향의 담지가 용이한 비교예 1, 3과 비교하였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4 7 8 1 3
초기 100 100 100 100 100 100
1일 96 97 96 94 94 94
2일 92 93 84 83 84 85
3일 88 86 76 72 67 69
5일 72 75 63 61 56 50
15일 65 62 55 49 38 31
30일 55 51 40 37 29 24
60일 41 38 28 25 20 16
90일 32 29 19 18 13 11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혼합수지로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과 폴리에틸렌, 또는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과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여 제조한 실시예의 발향성 수지 조성물은 향이 지속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제조방법에 따라 담지된 향의 감소율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수지의 용융온도에서 향과 함께 혼합하여 제조한 실시예 1 및 4는 시험기간 동안 향의 지속력에 있어서 보다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반면, 비교예 1, 3의 경우 초기 무게 감소율이 상대적으로 높아, 실시예와 비교하여 향의 지속력 효과가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향의 톤변화 시험(aroma test)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발향성 수지 조성물의 향의 톤의 변화를 시험하기 위하여 숙련된 향료 전문가 5명에 의해 1, 5, 15, 30일 동안의 향의 톤 변화를 관능적으로 시험하고, 하기와 같은 기준으로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0 : 변하지 않음
1: 차이가 매우 약하게 관찰됨
2: 차이가 약하게 관찰됨
3:차이가 명확하게 관찰됨
4:차이가 매우 크게 관찰됨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3 4 6 7 8 1 2 3 4
1일 0 0 0 0 0 0 0 0 0 0
5일 0 0 0 0 1 1 1 1 1 1
15일 0 0 0 0 1 1 1 1 1 1
30일 1 1 1 1 1 1 2 2 2 2
60일 1 1 1 1 1 1 2 2 2 2
90일 2 2 2 2 2 2 3 3 3 4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혼합수지로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과 폴리에틸렌, 또는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과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여 제조한 실시예의 발향성 수지 조성물은 향의 강도가 90일 경과시 보통 이상의 양호한 수준으로서, 지속적이고 강한 향의 발산이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를 이용한 비교예의 경우, 초기에 발산되는 향의 강도가 강하고, 약 60일 까지는 보통 이상으로 향의 강도가 잘 유지되었으나, 이후에는 향의 강도가 약해지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시험예 3. 경시 안정성 시험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발향성 수지 조성물을 40 ℃, 50 ℃로 세팅된 인큐베이터에서 60 일 동안 방치하여 수지의 색상 변화를 관찰하였다. 이 또한 숙련된 향료 전문가 5명에 의해 실시되었으며, 하기와 같은 기준으로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0 : 변하지 않음
1: 차이가 매우 약하게 관찰됨
2: 차이가 약하게 관찰됨
3:차이가 명확하게 관찰됨
4:차이가 매우 크게 관찰됨
구분 실시예
1 2 3 4 5 6 7 8
40 ℃ 1 1 1 1 1 1 1 1
50 ℃ 2 2 1 1 2 2 1 1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발향성 수지 조성물은 수지의 성상에 차이가 없이, 변색되지 않고 양호하게 유지되어, 경시 안정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향이 대기중으로 서서히 지속적으로 발산되는 발향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또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과 폴리올레핀의 혼합수지에, 유효성분으로 향 및 안정화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향성 수지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은,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향성 수지 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수지는,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과 폴리프로필렌의 혼합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향성 수지 조성물.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수지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과 폴리에틸렌의 혼합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향성 수지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발향성 수지 조성물 총 함량에 대하여, 상기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또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은 10 내지 90 중량%로 포함되고, 폴리올레핀은 3 내지 75 중량%로 포함되며, 향은 5 내지 8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향성 수지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향은, 천연향, 합성향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향성 수지 조성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향은, 테르페닉 탄화수소류, 에스테르류, 알코올류, 알데히드류, 페놀류, 케톤류, 아세탈류, 에테르류 및 옥심류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향성 수지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제는, 테트라키스{메틸렌3-(3,5-디-티-부틸하이드록시하이드로신나메이트)메탄} 또는 씨오디에틸렌 비스{3-(3,5-디-티-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향성 수지 조성물.
  9. 제 1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제는, 혼합수지와 향료로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5 내지 0.5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향성 수지 조성물.
  10. (a)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또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과 폴리올레핀의 혼합수지와, 향 및 안정화제를 압출기에 투입하는 단계;
    (b) 압출기의 온도를 상기 혼합수지의 용융온도인 160 내지 200 ℃로 조절하 고, 압출기에 투입된 성분을 용융, 혼합 교반하는 단계; 및
    (c) 혼합 교반된 성분을 압출한 후, 냉각시켜 펠렛으로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향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11. (a) 헨셀믹서에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또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과 폴리올레핀의 혼합수지와, 향 및 안정화제를 투입하여 2 내지 3 분 동안 디핑하는 단계;
    (b) 디핑된 성분들을 압출기에 투입하여, 상기 혼합수지의 용융온도인 160 내지 200 ℃에서 용융, 혼합 교반하는 단계; 및
    (c) 혼합 교반된 성분을 압출한 후, 냉각시켜 펠렛으로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향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12. (a) 압출기에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또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과 폴리올레핀의 혼합수지를 투입하여, 혼합수지의 용융온도인 160 내지 200 ℃에서 용융, 혼합 교반하는 단계;
    (b) 혼합 교반된 혼합수지를 압출한 후, 냉각시켜 펠렛으로 제조하는 단계; 및
    (c) 펠렛화된 혼합수지와, 향 및 안정화제를 헨셀믹서에 투입하여 상온 내지 70 ℃ 이하의 온도에서 디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향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060135222A 2006-12-27 2006-12-27 발향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800607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5222A KR20080060758A (ko) 2006-12-27 2006-12-27 발향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5222A KR20080060758A (ko) 2006-12-27 2006-12-27 발향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0758A true KR20080060758A (ko) 2008-07-02

Family

ID=39813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5222A KR20080060758A (ko) 2006-12-27 2006-12-27 발향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6075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4185B1 (ko) * 2013-07-12 2015-06-01 한국마카시 주식회사 발향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4185B1 (ko) * 2013-07-12 2015-06-01 한국마카시 주식회사 발향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10851B2 (ja) 耐高エネルギー放射線性ポリオレフィン組成物、及びそれから製造された製品
CN1136840C (zh) 非水、缓释的害虫防治和空气维护凝胶组合物
JP5157221B2 (ja) 樹脂組成物およびフィラメント
US7833515B2 (en) Polymeric compositions for sustained release of volatile materials
KR20010053036A (ko) 고용융 강도를 갖는 프로필렌 연질 중합체 블렌드
US5367025A (en) Crosslinkable polyethylene-based composition for rotational molding
AT406684B (de) Verwendung von polypropylenen zur verbesserung der stabilität gegenüber ionisierender strahlung
KR20180065647A (ko) 탈취성능과 방향성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폴리프로필렌 복합수지 조성물
CN111499976B (zh) 一种聚丙烯成核降温双功能母粒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3646190B2 (ja) ポリオレフィン樹脂中でのジアセタールの再結晶化方法
JP2008303348A (ja) 害虫防除剤含有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およびフィラメントの製造方法
FR2523986A1 (fr) Articles medicaux sterilisables par irradiation
KR20080060758A (ko) 발향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6016600A (ja) 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並びにその組成物からなる注射器外筒および食品容器
KR101010589B1 (ko) 방향성 수지 성형품 및 그 제조 방법, 상기 방향성 수지 성형품 제조용 펠렛 및 조성물
CN105473659B (zh) 聚合物作为聚合物基体中的添加剂的用途
JP2010084050A (ja) 薬剤含有樹脂成形体の製造方法および薬剤含有樹脂成形体
KR20120112643A (ko) 중합체 조성물 및 그것으로 성형한 성형품
EP0303894A2 (en) Radiation sterilizable composition and articles made therefrom
CN106905570A (zh) 散发芳香的胶乳制品及其制备方法
JP7155609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モノフィラメント用樹脂組成物及びポリプロピレン系モノフィラメントの製造方法
KR20120096583A (ko) 중합체 조성물 및 그것으로 성형한 성형품
US20220227988A1 (en) Thermoplastic elastomer gel
JP2001310988A (ja) 耐熱変色性に優れる熱安定化ブロック共重合体組成物
JP2003192870A (ja) 脂環族系石油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