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9745A - 직진식 충진기 - Google Patents

직진식 충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9745A
KR20080059745A KR1020060133415A KR20060133415A KR20080059745A KR 20080059745 A KR20080059745 A KR 20080059745A KR 1020060133415 A KR1020060133415 A KR 1020060133415A KR 20060133415 A KR20060133415 A KR 20060133415A KR 20080059745 A KR20080059745 A KR 200800597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pouch container
stopper
spou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3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0853B1 (ko
Inventor
심운식
Original Assignee
심운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운식 filed Critical 심운식
Priority to KR1020060133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0853B1/ko
Publication of KR20080059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97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0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0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03Packaging lines, e.g. general layo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65B3/10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by application of pressure to material
    • B65B3/12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by application of pressure to material mechanically, e.g. by pistons or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26Method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quantity of the material fed or fil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우치용기의 내부에 액체를 충진시키고, 액체가 충진된 파우치용기를 직선으로 이동시켜 마개를 결속하여 액체의 충진 및 마개 결속을 직선운동 방식으로 함으로써 원가절감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직진식 충진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설치되어 파우치용기의 내부로 액체를 충진시키는 액체 충진수단과, 상기 액체 충진수단으로 액체를 공급하는 액체 공급수단과,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파우치용기가 결속되고 이동시키는 이동수단과, 상기 액체 충진수단에서 액체가 충진된 파우치용기의 스파우트에 마개를 결속시키는 마개결속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파우치용기, 스파우트, 직진식, 충진기, 액체

Description

직진식 충진기{A rectilinear charg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직진식 충진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직진식 충진기를 보인 정면도.
도 3의 a,b는 본 발명의 액체 주입수단을 보인 도면.
도 4의 a,b는 본 발명의 액체 공급수단을 보인 도면.
도 5의 a,b는 파우치용기의 이동수단을 보인 도면.
도 6의 a,b는 본 발명의 마개결속수단을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직진식 충진기의 작동관계를 보인 것으로, 파우치용기에 액체가 충전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직진식 충진기의 작동관계를 보인 것으로, 파우치용기에 마개가 결속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베이스 200 : 액체 충진수단
202, 302, 502 : 제1,2,3지지봉 204, 504 : 제1,2지지플레이트
208, 508 : 제1,2가이드봉 210, 510 : 제1,2승하강부재
212 : 주입부재 214 : 노즐
216, 517, 520 : 제1,2,3구동부재 300 : 액체 공급수단
304 : 액체 저장탱크 306 : 유입관
308 : 주입관 310, 410 : 제1,2실린더
312 : 작동바 314 : 액체 주입량 조절부
400 : 이동수단 402 : 고정프레임
403, 405 : 제1,2레일 404 : 고정홀더
406 : 결속홈 412 : 실린더로드
414 :스톱퍼 500 : 마개결속수단
512 : 결속소켓 514 : 회전체
516 : 결속공 600 : 분리수단
602 : 푸쉬부재 604 : 푸쉬로드
본 발명은 직진식 충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우치용기의 내부로 액체를 충진시키고, 액체가 충진된 파우치용기를 직선으로 이동시켜 마개를 결속하여 액체의 충진 및 마개 결속을 직선운동 방식으로 함으로써 원가절감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직진식 충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는 소정의 액체가 수용 가능한 공간을 가지는 파우치용기와, 파우치용기에 수용된 액체를 선택적으로 유출시킬 수 있도록 파우치용기에 실링되는 스파우트는 통상적인 스파우트 실링장치에 의해 파우치용기의 개봉단에 삽입되어 열융착 된다.
이와 같은 파우치용기는 액체 충진장치에 의해 파우치용기의 개봉단에 실링된 스파우트를 통하여 파우치용기의 내부로 액체를 충진시키고, 파우치용기에 충진된 액체가 스파우트를 통하여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스파우트를 밀봉시키는 캡이 나사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파우치용기의 내부로 액체를 충진시키는 장치는 일반적으로 원형의 작업 경로를 가진 로터리식 구조를 가진 것으로, 스파우트가 실링된 파우치용기의 내부 공간부를 진공을 유지함과 동시에 스파우트를 통해 파우치용기 내부에 수용되도록 액체를 충진시키고 스파우트의 입구를 부분세척한 다음 캡을 이용하여 스파우트에 나사 결합시킨 후 파우치용기에 액체가 저장된 상태로 외부로 유통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파우치용기 내부에 액체를 충진시키는 충진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액체 충진장치는 일련의 충진 작업 유니트들이 원형의 작업 경로 상에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충진 설비의 대형화와 복잡화가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원형의 단일 작업 경로에 의해 진공/충진 고정, 세척공정 및 캡핑 공 정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일련의 액체 충진 공정이 복잡해지고 이로 인해 설비의 제조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로터리 구조의 특성상 일련의 액체 충진 공정에 대한 작업 반경이 방대하게 되어 실질적으로 작업 공정을 관리하는 다수의 인원이 필요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작업 관리자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파우치용기 내부로 액체를 충진시키고, 액체가 충진된 파우치용기의 밀봉을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전체적인 액체 충진 공정이 단순화되고, 설비의 제조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단시간내에 액체가 충진된 제품을 생산할 수가 있도록 일련의 액체 충진 공정이 직선경로를 따라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판이 구비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설치되어 파우치용기의 내부로 액체를 충진시키는 액체 충진수단과,상기 액체 충진수단으로 액체를 공급하는 액체 공급수단과,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파우치용기를 결속하고 이동시키는 이동수단과, 상기 액체 충진수단에서 액체가 충진된 파우치용기의 스파우트에 마개를 결속시키는 마개결속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마개결속수단에는 파우치 용기를 분리시키는 분리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액체 충진수단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지지봉과, 상기 제1지지봉에 결합 고정되되 상하부에 고정부재가 형성된 제1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의 고정부재에 결합되는 제1가이드봉이 구비되고, 상기 제1가이드봉에 결합되어 승하강하는 제1승하강부재와, 상기 제1승하강부재에 설치되어 파우치용기 내부로 액체를 주입시키는 주입노즐이 구비된 주입부재와,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제1승하강부재를 동작시키는 제1구동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액체 공급수단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2지지봉과, 상기 제2지지봉에 결합 고정되어 액체가 저장되는 액체 저장탱크와, 상기 액체 저장탱크에 연결되어 액체가 유입되는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의 소정 위치에 연결되어 상기 액체를 상기 액체 충진수단으로 이동시키는 주입관과, 상기 액체 저장탱크와 상기 주입관의 사이에 액체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밸브와, 상기 유입관에 연결되어 액체를 유입 및 상기 주입관으로 공급하는 제1실린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유입관과 제1실린더의 사이에는 액체 수용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제1실린더는 상기 액체 저장탱크의 액체를 유입 및 공급하기 위한 작동바가 구비되고, 상기 작동바에는 액체의 주입량을 조절하는 액체 주입량조절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액체 주입량조절부는 상기 작동바에 결합되는 고정링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링에 나사 결합된 간격조절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베이스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 전면에 설치되어 파우치용기의 스파우트가 결속되는 고정홀더와, 상기 고정홀더에 결합 고정되어 상기 고정홀더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실린더로드가 구비된 제2실린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프레임에는 상기 스파우트 고정홀더의 이동행정을 제어하는 스톱퍼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의 전면에는 상기 스파우트 고정홀더가 이동되도록 하는 제1레일이 구비되며, 상기 스파우트 고정홀더에는 상기 제1레일에 결합되는 제2레일이 구비되고, 전부에는 스파우트를 결속 고정시키는 결속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개결속수단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3지지봉과, 상기 제3지지봉에 결합 고정되되 상하부에 고정부재가 형성된 제2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제2지지플레이트의 상하부 고정부재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2가이드봉에 결합되어 승하강하는 제2승하강부재와, 상기 제2승하강부재에 설치되되 마개가 끼워지는 결속공이 형성되어 스파우트에 마개를 나사 결합시키기 위한 회전체가 구비된 결속소켓과, 상기 제2지지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제2승하강부재를 동작시키는 제2구동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파우치용기 분리수단은 상기 마개결속수단의 제3지지봉에 결합되되 전후로 동작하는 푸쉬로드가 구비된 푸쉬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의 하단부 각 모서리에는 바퀴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직진식 충진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직진식 충진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직진식 충진기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3의 a,b는 본 발명의 액체 주입수단을 보인 도면이고, 도 4의 a,b는 본 발명의 액체 공급수단을 보인 도면이고, 도 5의 a,b는 파우치용기의 이동수단을 보인 도면이고, 도 6의 a,b는 본 발명의 마개결속수단을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판(102)이 구비되고 하부 각 모서리부에 다수개의 바퀴(104)가 설치된 베이스(10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00)의 상부에는 설치되어 파우치용기(10)의 내부로 액체를 충진시키고, 액체가 충진된 파우치용기(10)에 스파우트(12)를 결속하기 위하여 액체충진수단(200)과 액체공급수단(300) 및 이동수단(400) 그리고 마개결속수단(50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액체 충진수단(200)은 상기 베이스(100)의 상판(102) 상부에 세로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지지봉(202)이 구비되고, 상기 제1지지봉(202)의 소정 위치에 고정되되 상하부에 "ㄷ"형상이 되도록 고정부재(206)가 형성된 제1지지플레이트(204)가 구비되며,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204)의 상하부 고정부재(206)에 결합되는 복수의 제1가이드봉(208)이 구비되고, 상기 제1가이드봉(208)에 결합되어 승하강하는 제1승하강부재(210)가 구비되며, 상기 제1승하강부재(210)에 설치되어 파우치용기(10) 내부로 액체를 주입시키는 주입노즐(214)이 구비된 주입부재(212)로 구성된다.
나아가,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204)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승하강부재(210)를 상하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동작시키는 제1구동부재(216)가 더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제1구동부재(216)는 공기압에 의해 동작되도록 호스(미도시)가 상하부에 각각 연결설치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100)의 상부에는 상기 액체 충진수단(200)으로 액체를 공급하는 액체 공급수단(30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액체 공급수단(300)은 상기 베이스(100)의 상판(102) 상부에 세로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지지봉(302)이 구비되고, 상기 제2지지봉(302)에 결합 고정되어 외부의 액체가 수용되어 저장되는 액체 저장탱크(304))가 구비되며, 상기 액체 저장탱크(304)의 하부에 결합 고정되어 액체가 유입되는 유입관(306)이 구비되고, 상기 유입관(306)의 소정 위치에 결합되어 상기 액체 충진수단(200)의 주입부재(212)로 액체가 공급되는 주입관(308)이 구비되며, 상기 유입관(306)에 연결되어 상기 액체를 강제로 유입하여 상기 주입관(308)으로 공급시키는 제1실린더(310) 로 구성된다.
나아가, 상기 유입관(306)과 제1실린더(310) 사이에는 상기 유입관(306)을 통해 유입된 액체가 임시로 충진되는 액체 수용부(309)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유입관(306)의 소정 위치, 즉 상기 주입관(306)에 연결된 상부에는 제1실린더(310)에 의해 유입된 액체가 다시 상기 액체 저장탱크(304)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주입관(308)으로만 유출되도록 하여 주입부재(212)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역류방지밸브(307)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실린더(310)에는 상기 액체 저장탱크(304)에 저장된 액체를 유입관(306)을 통하여 유입시켜 상기 액체 수용부(309)로 유입됨과 동시에 상기 액체 수용부(309)의 액체가 다시 상기 주입관(308)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작동바(312)가 구비되고, 상기 작동바(312)에는 파우치용기(10)의 용량에 따라 액체의 주입량을 조절할 수 있는 액체 주입량 조절부(314)가 더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액체 주입량 조절부(314)는 상기 작동바(312)에 끼워지는 고정링(316)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링(316)에 나사 결합되어 풀고 조임에 따라 상기 작동바(312)의 동작 행정을 제어하는 간격조절부재(318)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파우치용기(10)가 결속됨과 동시에 상기 액체 충진수단(200)의 하부에 위치되어 파우치용기(10)에 액체를 충진시키고, 충진된 파우치용기(10)를 다음 단계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40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수단(400)은 상기 베이스(10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프레임(402)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프레임(402)의 전면에 설치되어 파우치용 기(10)의 스파우트(12)가 결속되는 고정홀더(404)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홀더(404)에 결합 고정되어 상기 고정홀더(404)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실린더로드(412)가 구비된 제2실린더(410)로 구성된다.
나아가, 상기 제2실린더(410)는 상기 고정프레임(402)에 결합 고정되되 상기 액체 충진수단(200)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고정프레임(402)의 전면에는 상기 고정홀더(404)가 이동하는 행정을 규제하기 위하여 고정프레임(402)의 좌,우측 양단에 스톱퍼(414)가 구비되고, 상기 스톱퍼(414) 사이에는 제1레일(403)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홀더(404)는 상기 제1레일(403)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홀더(404)를 슬라이드 되도록 하는 제2레일(405)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홀더(404)의 전방에는 파우치용기(10)의 스파우트(12)가 결속되는 결속홈(406)이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00)에는 상기 액체 충진수단(200)에서 액체가 충진된 파우치용기(10)의 스파우트(12)에 마개(14)를 결속시키는 마개결속수단(50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마개결속수단(500)은 상기 베이스(100)의 상부에 세로 방향으로 설치되되, 상기 액체 충진수단(200)의 타측부에 설치되는 제3지지봉(502)이 구비되고, 상기 제3지지봉(502)의 상하부에 "ㄷ"형상이 되도록 고정부재(506)가 형성된 제2지지플레이트(504)가 구비되며, 상기 제2지지플레이트(504)의 상하부에 형성된 고정부재(506) 사이에 복수의 제2가이드봉(508)이 구비되고, 상기 제2가이드봉(508)에 결합되어 승하강하는 제2승하강부재(510)가 구비되고, 상기 제2승하강부 재(510)에는 마개(14)가 수용되는 결속공(516)이 형성되어 스파우트(12)에 마개(14)를 나사 결합시키는 회전체(514)를 가지는 결속소켓(512)이 구비되며, 상기 제2지지플레이트(504)에 설치되어 상기 제2승하강부재(510)를 상하부로 이동되도록 동작시키는 제2구동부재(517)가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제2승하강부재(510)에는 상기 회전체(514)를 회전시키는 제3구동부재(520)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마개결속수단(500)에서 마개(14)가 결속된 파우치용기(10)를 상기 고정홀더(404)로부터 분리시키는 파우치용기 분리수단(60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파우치용기 분리수단(600)은 상기 제3지지봉(502)에 결합 고정되는 푸쉬부재(602)가 구비되고 상기 푸쉬부재(602)의 전방에는 전후로 동작을 하면서 상기 고정홀더(404)의 결속홈(406)에 결속되어 있는 파우치용기(10)를 분리시키도록 하는 푸쉬로드(604)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직진식 충진기의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직진식 충진기의 작동관계를 보인 것으로, 파우치용기에 액체가 충전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직진식 충진기의 작동관계를 보인 것으로, 파우치용기에 마개가 결속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먼저 상기 고정홀더(404)를 상기 액체 충진수단(200)의 하부에 위치시킨 후 파우치용기(10)의 스파우트(12)를 상기 고정 홀더(404)의 결속홈(406)에 결속시킨다.
이때, 상기 결속홈(406)에 파우치용기(10)의 스파우트(12)를 결속시키는 방법은 작업자가 수동으로 결속시킬 수도 있고, 바람직하게는 별도의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결속홈(406)에 체결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홀더(404)의 결속홈(406)에 파우치용기(10)의 스파우트(12)를 결속시킨 후, 상기 액체 충진수단(200)의 제1승하강부재를 하강시켜 상기 노즐(214)이 스파우트(12)의 입구로 삽입되게 한다.
즉, 상기 제1구동부재(216)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1승하강부재(210)가 제1가이드봉(208)의 안내에 따라 하강하게 되어 상기 고정홀더(404)의 결속홈(406)에 결속되어 있는 스파우트(12)의 주입구로 삽입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홀더(404)에 결속되어 있는 파우치용기(10)의 용량에 따라 상기 제1실린더(310)의 작동바(312)에 구비된 간격조절부재(318)를 나사풀림 또는 나사조임에 의하여 상기 작동바(312)의 행정을 조정하여 파우치용기(10)로 충진되는 액체의 주입량을 미리 조절해둔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1실린더(310)의 작동바(312)가 후퇴하면서 상기 액체 저장탱트(304)에 저장되어 있는 액체를 유입되게 하는데, 이때 상기 제1실린더(310)를 이용하여 액체 저장탱크(304)에 저장되어 있는 액체를 유입할 때 역류방지밸부(307)가 개방되면서 액체가 유입되어 상기 액체 수용부(309)로 공급되어 지게 되다.
이렇게 상기 액체 수용부(309)에 저장된 액체는 다시 상기 제1실린더(310)의 작동바(312)가 전진하면서 액체는 유입관(306)을 통해 역류하게 되고, 이때 액체의 역류에 의해 역류방지밸브(307)가 폐쇄되면서 액체는 상기 액체 저장탱크(304)로 역류되지 않고 상기 주입관(308)을 통해 상기 고정홀더(404)에 고정되어 있는 파우치용기(10)의 내부로 노즐(214)을 통해 충진되게 된다.
따라서, 파우치용기(10) 내부로 액체의 충진이 완료되면 상기 제1승하강부재(210)가 상승하면서 스파우트(12)에 삽입되어 액체를 주입한 노즐(214)이 분리되어 고정홀더(404)는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제1승하강부재(210)를 상부로 상승시킨 후에는 상기 제2실린더(410)를 동작시켜 상기 고정홀더(404)를 우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마개결속수단(300)의 하부에 위치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실린더(410)의 실린더로드(412)를 후퇴시키게 되는데, 상기 고정홀더(404)는 제1레일(403)의 안내에 따라 상기 마개결속수단(500) 방향으로 이동되고, 일방향으로 이동되는 고정홀더(404)는 스톱퍼(414)에 의해 제2실린더(410)의 작동을 멈추게 하여 상기 마개결속수단(500)의 하부에 상기 회전체(514)의 결속공(516)과 스파우트(12)의 중심이 일치하게 위치되게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결속소켓(512)의 회전체(514) 결속공(516)에 마개(14)를 끼운 후 제2구동부재(517)를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제2구동부재(517)에 의해 상기 제2승하강부재(510)가 제2가이드봉(508)의 안내에 의해 하부로 하강하게 되고, 이때 상기 제3구동부재(520)를 작동시켜 상기 회전체(514)가 회전을 하면서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승하강부재(510)의 하강에 의해 스파우트(12)가 상기 회전체(514)의 결속공(516)에 삽입되면서 상기 결속공(516)에 구비된 마개(14)가 스파우트(12)에 결속되게 된다.
이렇게 스파우트(12)에 마개(14)의 결속이 완료되면 상기 제2승하강부재(510)는 다시 제2구동부재(517)에 의해 제2가이드봉(508)의 안내에 따라 상부로 상승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승하강부재(510)가 상승함과 동시에 파우치용기(10)를 고정홀더(404)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하여 분리수단(600)의 푸쉬로드(604)가 전진하면서 상기 고정홀더(404)에 결속되어 있는 파우치용기(10)의 스파우트(12)를 밀어주어 상기 고정홀더(404)로부터 분리되고 분리 완료된 후에는 상기 푸쉬로드(604)는 다시 원위치로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홀더(404)로부터 분리된 파우치용기(10)는 별도로 구비된 컨베이어(미도시) 등 이동수단(미도시)에 의해 다음 공정으로 이동되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홀더(404)에 결속된 파우치용기(10)를 분리시킨 후에는 상기 제2실린더(410)를 작동시켜 실린더로드(412)에 의해 상기 고정홀더(404)는 제1레일(403)을 따라 처음 상태, 즉 상기 액체 충진수단(200)의 하부에 위치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홀더(404)가 이동되어 상기 액체 충진수단(200)의 하부에 도달하면 상기 스톱퍼(414)에 의해 더 이상 고정홀더(404)가 이동되지 않고 상기 액체 충진수단(200)의 노즐(214)과 중심이 일치되도록 정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파우치용기(10) 내부에 액체를 충진시키는 반복적인 동 작에 의해 연속적으로 파우치용기(10) 내부로 액체를 충진시키고 마개(14)를 결속시킨 완제품이 생산되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직진식 충진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파우치용기의 내부에 액체를 충진시키고 마개를 결속시키는 구성을 원형의 로터리식 공정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는 종래에 비하여 액체를 충진시키고 마개를 결속시키는 전체적인 공정을 직선상에서 이루어지도록 하여 액체의 충진 및 마개 결속공정이 단순화되고 설비의 단순화로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파우치용기 내부로 액체를 주입시키는 공정과 스파우트에 마개를 결속시키는 공정이 직선상으로 이루어지는 단일 생산라인에서 이루어지므로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불필요한 인건비를 줄여 생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상판이 구비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설치되어 파우치용기의 내부로 액체를 충진시키는 액체 충진수단과,
    상기 액체 충진수단으로 액체를 공급하는 액체 공급수단과,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파우치용기를 결속하고 이동시키는 이동수단과,
    상기 액체 충진수단에서 액체가 충진된 파우치용기의 스파우트에 마개를 결속시키는 마개결속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진식 충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결속수단에는 파우치 용기를 분리시키는 분리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진식 충진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충진수단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지지봉과,
    상기 제1지지봉에 결합 고정되되 상하부에 고정부재가 형성된 제1지지플레이 트와,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의 고정부재에 결합되는 제1가이드봉이 구비되고, 상기 제1가이드봉에 결합되어 승하강하는 제1승하강부재와,
    상기 제1승하강부재에 설치되어 파우치용기 내부로 액체를 주입시키는 주입노즐이 구비된 주입부재와,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제1승하강부재를 동작시키는 제1구동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진식 충진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공급수단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2지지봉과,
    상기 제2지지봉에 결합 고정되어 액체가 저장되는 액체 저장탱크와,
    상기 액체 저장탱크에 연결되어 액체가 유입되는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의 소정 위치에 연결되어 상기 액체를 상기 액체 충진수단으로 이동시키는 주입관과,
    상기 액체 저장탱크와 상기 주입관의 사이에 액체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밸브와,
    상기 유입관에 연결되어 액체를 유입 및 상기 주입관으로 공급하는 제1실린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진식 충진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과 제1실린더의 사이에는 액체 수용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진식 충진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린더는 상기 액체 저장탱크의 액체를 유입 및 공급하기 위한 작동바가 구비되고, 상기 작동바에는 액체의 주입량을 조절하는 액체 주입량조절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진식 충진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주입량조절부는 상기 작동바에 결합되는 고정링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링에 나사 결합된 간격조절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진식 충진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베이스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 전면에 설치되어 파우치용기의 스파우트가 결속되는 고정홀더와,
    상기 고정홀더에 결합 고정되어 상기 고정홀더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실린더로드가 구비된 제2실린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진식 충진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에는 상기 스파우트 고정홀더의 이동행정을 제어하는 스톱퍼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의 전면에는 상기 스파우트 고정홀더가 이동되도록 하는 제1레일이 구비되며,
    상기 스파우트 고정홀더에는 상기 제1레일에 결합되는 제2레일이 구비되고, 전부에는 스파우트를 결속 고정시키는 결속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진식 충진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결속수단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3지지봉과,
    상기 제3지지봉에 결합 고정되되 상하부에 고정부재가 형성된 제2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제2지지플레이트의 상하부 고정부재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2가이드 봉에 결합되어 승하강하는 제2승하강부재와,
    상기 제2승하강부재에 설치되되 마개가 끼워지는 결속공이 형성되어 스파우트에 마개를 나사 결합시키기 위한 회전체가 구비된 결속소켓과,
    상기 제2지지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제2승하강부재를 동작시키는 제2구동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진식 충진기.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용기 분리수단은 상기 마개결속수단의 제3지지봉에 결합되되 전후로 동작하는 푸쉬로드가 구비된 푸쉬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진식 충진기.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하단부 각 모서리에는 바퀴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진식 충진기.
KR1020060133415A 2006-12-26 2006-12-26 직진식 충진기 KR100860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3415A KR100860853B1 (ko) 2006-12-26 2006-12-26 직진식 충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3415A KR100860853B1 (ko) 2006-12-26 2006-12-26 직진식 충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9745A true KR20080059745A (ko) 2008-07-01
KR100860853B1 KR100860853B1 (ko) 2008-09-29

Family

ID=39812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3415A KR100860853B1 (ko) 2006-12-26 2006-12-26 직진식 충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08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583B1 (ko) 2012-06-26 2013-03-11 (주)엠지 링거 약액백의 충전장치
KR20200069179A (ko) 2018-12-06 2020-06-16 유한회사 비엔트리니티 충진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57044B2 (ja) * 1997-11-25 2006-03-22 森永製菓株式会社 流動食品の充填装置
KR100440909B1 (ko) * 2002-06-17 2004-07-21 김종기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액체 충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0853B1 (ko) 2008-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83556B (zh) 填料阀单元
KR20160115198A (ko) 액상 내용물 주입 포장장치
CN108421679A (zh) 全自动双真空箱灌胶机
KR100860853B1 (ko) 직진식 충진기
CN102700771B (zh) 充填机
JP6560080B2 (ja) ガロンボトル充填機
CN208695445U (zh) 整段式传送线的全自动灌胶机
CN214243769U (zh) 一种瓶装口服液直线式液体灌装机
CN205634853U (zh) 灌装旋盖机的灌装装置
CN203753436U (zh) 机械手式桶装水包装机
CN211247159U (zh) 一种环保型瓶盖生产专用滴胶机
CN116654851A (zh) 精油灌装生产一体化装置及其工作方法
CN105271096A (zh) 化妆品单线加料装置
KR20100088412A (ko) 직진식 충진기
CN214917640U (zh) 一种真空点胶机
CN211004513U (zh) 一种调和油生产用灌装设备
CN203698697U (zh) 高效提升挤出机
CN207596438U (zh) 新型化妆水自动灌装装置
CN208948827U (zh) 用于密封胶包装的压胶设备
CN208855900U (zh) 一种空袋剔除机构
CN211871362U (zh) 一种灌装装置
CN202670175U (zh) 充填机
CN214165367U (zh) 往复式吸嘴袋充填旋盖机
CN217260792U (zh) 一种定量自动化液分装设备
CN105152112A (zh) 一种定量灌装一体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