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9185A - 퀴놀린 유도체 및 항종양제로서의 용도 - Google Patents

퀴놀린 유도체 및 항종양제로서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9185A
KR20080059185A KR1020087008480A KR20087008480A KR20080059185A KR 20080059185 A KR20080059185 A KR 20080059185A KR 1020087008480 A KR1020087008480 A KR 1020087008480A KR 20087008480 A KR20087008480 A KR 20087008480A KR 20080059185 A KR20080059185 A KR 200800591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formula
phenoxy
methoxyquinolin
ylox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8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로미 피. 호르윗즈
리사 폴린
스튜워트 티. 헤즐다인
토마스 에이치. 코르벳
Original Assignee
웨인 스테이트 유니버시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웨인 스테이트 유니버시티 filed Critical 웨인 스테이트 유니버시티
Publication of KR20080059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918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 C07D21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5/1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5/20Oxygen atoms
    • C07D215/22Oxygen atoms attached in position 2 or 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7Quinolines; Isoquinol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2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leuke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4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metastas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ncology (AREA)
  • He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 Quinoline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Y가 F, Cl 또는 Br인 본 명세서에 언급된 식 I의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 염을 제공한다. 상기 화합물은 효과적인 항종양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식 I의 화합물 또는 그 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식 I의 화합물을 제조하는데 있어 유용한 중간산물, 및 식 I의 화합물 또는 그 염을 필요로하는 포유류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퀴놀린 유도체 및 항종양제로서의 용도{QUINOLINE DERIVATIVES AND USE AS ANTITUMOR AGENTS}
본 발명은 국립암센터에 의해 주어진 NCI-NIH 지원번호 CA82341로 일부 정부 지원을 받아 수행하였다. 본 발명에 대해 미국 정부가 특정 권리를 갖는다.
이건 출원은 2005년 9월 9일자 미국 출원번호 제 11/223,806호의 항종양제 출원을 우선권 주장의 기초로 한 PCT 출원이다.
미국 특허 제 4,629,493호에는 하기 식의 제초제 화합물이 개시되어 있다:
Figure 112008025334054-PCT00001
상기 식에서, 특히 A는 -CH- 또는 -N-이고; X는 할로겐이고; n은 0, 1, 또는 2이고; R1은 수소 또는 저급 알킬기이고; 및 R2는 -H이다. 이들 화합물들 중 하나는 잎이 넓은 작물을 대상으로 일년생 및 여러해살이 잡초 방제용으로 현재 판매되고 있다. 이 화합물은 하기 식으로 표시된다;
Figure 112008025334054-PCT00002
Corbett et . al ., Investigational New Drugs, 16 129-139 (1998)에서는 마우스에서 고형 종양에 대한 일련의 퀸옥살린계 화합물들의 활성을 조사하였다. 하기 화합물(XK469이라 함)이 이식가능한 마우스 종양에 대해 폭넓은 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Figure 112008025334054-PCT00003
또한, 상기 화합물은 비교적 효능이 낮으며, 생체내 독성, 예컨대 위장-상피 손상, 골수 독성, 신경근육 독성 및 체중 감소 등의 부적절한 여러가지 부작용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미국 특허 제 6,867,219호에 하기 식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함 염이 청구 및 개시되어 있다:
Figure 112008025334054-PCT00004
상기 식에서, Y는 F, Cl, Br, 메틸 또는 메톡시이다. 이들 화합물들은 항종양 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현재, 추가적인 항종양제가 필요한 실정이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유효한 항종양제 화합물을 제공한다. 이에, 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인 본 발명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08025334054-PCT00005
상기 식 I에서, Y는 F, Cl 또는 Br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화합물을 유효량으로 치료가 필요한 포유류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종양 세포 증식을 저해하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화합물을 유효량으로 치료가 필요한 포유류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유류에서 암을 치료하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의학적 요법에서의 본 발명의 화합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포유류에서 암을 치료하기 위한 약제를 제조함에 있어 본 발명의 화합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당업자는, 키랄 센터를 갖는 본 발명의 화합물이 광학적으로 활성인 라세믹 형태로 존재하며 분리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일부 화합물들은 다형(polymorphism)을 보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본원에 개시된 유용한 특성을 가진 본 발명의 화합물의 모든 라세믹 형태, 선택적으로 활성 형태, 다형체, 입체이성질체 형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며, (예, 재결정화 기법에 의한 라세믹 형태의 분리를 통해, 광학 활성의 출발 물질로부터 합성을 통해, 키랄 합성에 의해, 또는 키랄 정지상을 이용한 크로마토그래피 분리에 의해) 광학 활성 형태를 제조하는 방법과, 본원에 언급된 표준적인 테스트나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는 그외 유사한 테스트를 이용하여 항종양 활성을 결정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구체적으로, Y는 F이다.
또한, 구체적으로 Y는 Cl이다.
구체적으로, Y는 Br이다.
식 (I)의 화합물의 구체적인 그룹은 메틸기를 가진 탄소가 (R) 배위인 화합물이다.
식 (I)의 화합물의 다른 구체적인 그룹은 메틸기를 가진 탄소가 (S) 배위인 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화합물로, 2-(4-(7-플루오로-8-메톡시퀴놀린-2-일옥시)페녹시)프로파노산; 2-(4-(7-클로로-8-메톡시퀴놀린-2-일옥시)페녹시)프로파노산; 2-(4-(7-브로모-8-메톡시퀴놀린-2-일옥시)페녹시)프로파노산;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을 포함한다.
화합물이 안정적인 무독성의 산 또는 염기 염을 형성하기에 충분히 염기성이거나 또는 산성인 경우에, 화합물을 염으로 투여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예로는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음이온, 예컨대 토실레이트, 메탄설포네이트, 아세테이트, 시트레이트, 말로네이트, 타르트레이트, 숙시네이트, 벤조에이트, 아스코르베이트, 알파-케토글루타레이트 및 알파-글리세로포스페이트를 형성하는 산과 형성된 유기 산 부가 염이 있다.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설페이트, 나이트레이트, 바이카보네이트 및 카보네이트 염을 포함하여 적합한 무기 염을 형성할 수도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는 표준 공정을 이용하여, 예컨대 아민과 같은 매우 염기성인 화합물을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음이온을 제공하는 적정 산과 반응시킴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카르복실산의 알카리 금속(예, 소듐, 포타슘 또는 리튬) 염 또는 알카리토금속(예, 칼슘) 염을 만들 수 있다.
식 I의 화합물은 약제학적 조성물로서 제형화하여 인간 환자와 같은 포유류 숙주에게 선택된 투여 경로, 즉 경구 또는 비경구, 정맥내, 근육내, 국소 또는 피하 경로에 맞는 다양한 형태로 투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불활성 희석제나 동화가능한 식용 담체와 같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비히클과 조합하여, 예컨대 경구로 전신 투여될 수 있다. 이는 연질 또는 경질 셀 젤라틴 캡슐내에 봉입될 수 있으며, 정제로 압출되거나, 또는 환자 식이에 직접 혼입될 수 있다. 경구 치료제 투여를 위해, 활성 화합물은 1종 이상의 부형제와 조합될 수 있으며, 소화가능한 정제, 볼 정제, 트로키제, 캡슐제, 엘릭시르제, 현탁제, 시럽제, 웨이퍼제(wafer) 등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 및 조제물은 활성 화합물을 0.1% 이상 함유하여야 한다. 물론, 상기 조성물 및 조제물의 퍼센트는 변경될 수 있으며, 단위 투약 형태의 약 2 내지 약 60 중량%일 수 있다. 이러한 치료학적으로 유용한 조성물내 활성 화합물의 함량은 유효한 투약 수준을 이루는 함량이다.
정제, 트로키제, 환제, 캡슐제 등은 또한 하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검 트라가칸트, 아카시아, 옥수수 전분 또는 젤라틴과 같은 결합제; 다이칼슘 포스페이트와 같은 부형제,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알긴산 등과 같은 붕해제;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와 같은 윤활제; 및 슈크로스, 프럭토스, 락토스 또는 아스파르탐과 같은 감미제 또는 페퍼민트, 윈터그린 오일 또는 체리 향료와 같은 향료가 첨가될 수 있다. 단위 투약 형태가 캡슐인 경우, 이는 상기한 타입의 물질 이외에도 식물성 오일이나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같은 액체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다른 물질도 코팅제로서 존재될 수 있으며, 또는 단위 투약 고체 형태의 물리적 형태를 변형시키기 위해 존재될 수 있다. 예컨대, 정제, 환제 또는 캡슐제는 젤라틴, 왁스, 셀락 또는 당 등으로 코팅될 수 있다. 시럽제나 엘릭시제는 활성 화합물, 감미제로서 슈크로스 또는 프럭토스, 보존제로서 메틸 및 프로파라벤, 체리 또는 오렌지 향과 같은 염료 및 향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임의 단위 투약 형태의 제조에 사용되는 모든 물질들은 사용된 함량에서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하며 실질적으로 무독성이어야 한다. 또한, 활성 화합물은 서방형 조제물 및 장치로 병합될 수 있다.
또한, 활성 화합물은 주입이나 주사에 의해 정맥내 또는 복막내로 투여될 수 있다. 활성 화합물 또는 그 염의 용액을 수용액으로, 선택적으로 무독성 계면활성제와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분산제를 글리세롤, 액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트리아세틴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 그리고 오일 중에서 제조할 수 있다. 통상적인 저장 및 이용 조건 하에서, 이들 조제물은 미생물의 증식을 예방하기 위한 보존제를 함유한다.
주사 또는 주입에 적합한 약제학적 투약 형태는, 멸균성의 주사용 또는 주입용 용액이나 분산제의 즉석 제조를 위해 고안된, 선택적으로 리포좀에 캡슐화된,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멸균 수용액, 멸균 분산제 또는 멸균 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든 경우들에서, 최종 투약 형태는 제조 및 보관 조건하에서 멸균상태이며, 유체이며 안정적이어야 한다. 액체 담체 또는 비히클은 예컨대 물, 에탄올, 폴리올(예,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액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 식물성 오일, 무독성 글리세릴 에스테르 및 이들의 적정 혼합물을 포함하는, 용매 또는 액체 분산 매질일 수 있다. 예컨대 리포좀의 형성에 의해, 분산제의 경우 필수 입자 크기의 유지에 의해 또는 계면활성제의 사용에 의해, 적절한 유동성을 유지할 수 있다. 미생물의 작용 방지는 다양한 항세균제 및 항진균제, 예컨대 파라벤, 클로로부탄올, 페놀, 소르브산, 티오메살 등에 의해 이룰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에서, 등장제, 예컨대 당, 완충제 또는 소듐 클로라이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주사용 조성물의 장기간 흡수는 흡수 지연제 예컨대 알루미늄 모노스테아레이트 및 젤라틴 조성물로 사용하여, 이룰 수 있다.
멸균 주사용액은 적정 용매 중에 필수 함량으로 활성 성분을 전술한 다른 다양한 성분과 함께 혼합하고, 필요에 따라 여과 멸균하여 제조한다. 멸균 주사용액 제조를 위한 멸균 분말의 경우, 바람직한 제조 방법은 진공 건조 및 동결 건조 기법이며, 이러한 방법은 이전의 멸균 여과한 용액에 존재하는 임의의 바람직한 부가적인 성분과 활성 성분을 분말화한다.
국소 투여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순수한 형태로, 즉 이것이 액체일 때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피부에, 피부에 허용가능한 담체와 조합하여 이것을 조성물 또는 제형으로서 투여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바람직할 것이며, 이는 고체 또는 액체일 수 있다.
유용한 고체 담체로는 탈크, 클레이, 미세결정 셀룰로스, 실리카, 알루미나 등과 같은 미분화된 고체를 포함한다. 유용한 액체 담체로는, 본 발명의 화합물이 유효 수준으로, 선택적으로 무독성 계면활성제와 함께 용해되거나 또는 분산될 수 있는, 물,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알코올 또는 글리콜 또는 수-알코올/글리콜 혼합물을 포함한다. 향 및 부가적인 항미생물제와 같은 보강제를 첨가하여, 해당 용도에 대한 특성을 최적화할 수 있다. 제조된 액체 조성물은 흡수 패드로부터 적용될 수 있으며, 밴드 및 다른 드레싱제에 함침시켜 사용하거나, 또는 펌프형이나 에이로졸 스프레이를 이용하여 병에 걸린 부위에 분무할 수 있다.
합성 폴리머, 지방산, 지방산 염 및 에스테르, 지방성 알코올, 변형된 셀룰로스 또는 변형된 미네랄 물질과 같은 증점제를 액체 담체와 함께 이용하여, 사용자의 피부에 직접 적용하기 위한 살포성 페이스트(spreadable paste), 젤, 연고, 비누 등을 만들 수 있다.
식 I의 화합물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피부 조성물의 예는 당업계에 알려져 있으며, 예로, Jacquet et al. (미국 특허 4,608,392), Geria (미국 특허 4,992,478), Smith et al. (미국 특허 4,559,157) 및 Wortzman (미국 특허 4,820,508)를 참조한다.
식 I의 화합물의 이용가능한 투여량은 시험관내 활성 및 동물 모델에서의 생체내 활성을 비교함으로써 결정할 수 있다. 마우스, 및 다른 동물, 인간에서의 유효한 투여량을 추정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예로 미국 특허 4,938,949를 참조한다.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화합물, 이의 활성 염 또는 유도체의 양은 선택된 특정 염 뿐만 아니라 투여 경로, 치료중인 증상의 특성 및 환자의 연령과 상태에 따라 변경하며, 최종적으로는 주치의나 임상의 재량으로 결정될 것이다.
화합물은 통상적으로 단위 투약 형태, 예컨대 단위 투약 형태 당 활성 성분을 5 내지 1000 mg/m2, 적절하게는 10 내지 750 mg/m2, 가장 적절하게는 50 내지 500 mg/m2으로 포함하는 단위 투약 형태로 투여된다.
적정 투여량은 통상적으로 단일 투여량 또는 적절한 간격의 분할 투여량으로서, 예컨대 하루에 2회, 3회, 4회 이상의 서브-투여량(sub-dose)으로 존재될 수 있다. 서브-투여량도 더욱 분할되어, 예컨대 여러번의 분리된 산재적인 투약으로 분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효과적인 항종양제이며, XK 469에 비하여 높은 효능 및/또는 감소된 독성을 가진다. 바람직하기로는, 본 발명의 화합물은 (R) XK 469 보다 효능은 높으며 독성은 낮고/낮거나 XK469가 직면할 가능성있는 이화 대사를 방지, 즉 XK469와는 다른 대사 프로파일을 가진다.
본 발명은 암에 걸린 포유류에 유효량의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유류에서 암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포유류는 영장류, 인간, 설치류, 개과 동물, 고양이과 동물, 소, 양, 말, 돼지, 염소 등을 포함한다. 암은 모든 다양한 타입의 악성 신생물, 예컨대 결장암, 유방암, 흑색종 및 백혈병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세포 증식, 예컨대 무통제성 증식, 분화 결핍, 국소 조직 침투 및 전이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암을 치료하는 능력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는 분석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치료 프로토콜의 설계, 독성 평가, 데이타 분석, 종양 세포 사멸의 정량 및 이식가능한 종양 스크린 이용의 생물학적 유의성을 기록한다. 아울러, 화합물의 암 치료 능력은 후술된 바와 같은 테스트를 이용하여 결정할 수 있다.
실험 # 2877A에서, 하기와 같은 일반적인 방법이 사용된다:
종양 및 동물 유지
유방 선암종-16/C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종양은 마우스 종인 오리진 C3H (유방 종양에 대해)에서 유지시켰다. 각 실험에서 각각의 마우스 체중 차이는 5 g 이내였으며, 치료 개시시점에 모든 마우스의 체중은 17 g 이상이었다. 마우스는 음식과 물을 자유롭게 섭취할 수 있게 하였다.
고형 종양의 화학요법
동물을 모아, 0일에 12 게이지의 투관침에 의해 30 내지 60 mg의 종양 단편을 피하 이식하고, 다시 모은 후, 다양한 처리군 및 대조군으로 비선택적으로 나누었다. 초기 처리 단계로, 종양 이식 후 1-3일 이내에 화학요법을 수행하였으며, 세포의 수는 비교적 적었다(107 - 108 세포). 일주일마다 2번식 캘리퍼로 종양 크기를 측정하였다. 종양이 1500 mg이 되면 마우스를 희생시켰다. 종양 무게는 2차 구조 측정으로 추정한다:
종양 무게( mg ) = (a x b2)/2, a 및 b는 각각 종양의 가로 및 세로임(mm).
고형 종양에 대한 항종양 활성을 평가하기 위한 종결점( End point )
하기 정량 종결점을 이용하여 항종양 활성을 평가하였다:
a) 종양 증식 지연(T-C 값): T는 처리군에서 종양이 예정된 크기(예, 1000 mg)가 될 때까지 걸리는 정중시간(일)이고, C는 대조군에서 종양이 동일한 크기가 될 때까지 걸리는 정중시간(일)이다. 종양이 없는 생존동물은 이러한 계산에서 배제하였다(치유는 별도로 표로 작성함). 수치는 종양 세포 사멸을 정량화할 수 있어 항종양 효과의 중요한 기준이 된다.
b) 피하(SC) 증식성 종양에 대한 종양세포 사멸 계산으로, log10 세포 사멸은 하기 계산식으로 계산하였다:
log10 세포 사멸 총계(gross) = (T 수치 - C 수치(일)) / (3.32)(Td)
상기 계산식에서, T - C는 전술한 바와 같이 종양 증식 지연이며, Td는 종양 체적이 2배 증가하는 시간(일)으로, 지수 증식기(100 - 800 mg 범위)에서 대조군 종양의 로그-선형 증식 플롯과 가장 잘 맞는 직선으로 추정한다. 처리 후 재증식하는 종양의 Td(Rx)는 무처리 대조군 마우스의 종양 Td 수치와 대략 유사하기 때문에, T - C 수치를 log10 세포 사멸로 변환시킬 수 있다.
종양 증식 지연(T - C 수치)을 로그 종양 세포 사멸로 변환하는 문제는, 이전에 연구되고 특허받은 XK469 시리즈 중 5종의 물질에 대한 상당한 치유 결과로 인해, 상기한 시리즈에서 정당화된다. 치유는 (종양 세포 복제 정지가 아닌) 종양 세포 사멸을 명확하게 나타낸다.
선택 케이스에서, 조직학적 생체내 평가 데이타 및 본원에 언급된 데이타 모두, 현저하게 상이한 테스트 스케줄을 실시하여 수득한 로그 치사 수를 비교하기 위한 수치이다. 이를 위해, 활성 표를 만들어 하기에 기재하였다. 활성 등급 +++ 내지 ++++는 마우스의 이식된 대부분의 고형 종양 크기가 100 내지 300 mg로 부분 감소(PR) 또는 완전 감소(CR)하는데 요구되는 것임을 참조한다. 따라서, 활성 등급 + 또는 ++는 통상적인 임상 기준에 의해서는 활성으로 판단할 수 없다. PR은 처리전 크기 보다 50% 미만으로의 종양 크기의 감소를 의미한다. CR은 촉진할 수 있는 크기 미만으로의 종양 크기 감소를 의미한다(즉, 검출가능한 크기 0으로 감소).
log10 종양 세포 사멸의 활성 등급으로 변환
항종양 활성 Rx 지속 기간 5 - 20 일 log10 사멸
크기
고활성 ++++ > 2.8
+++ 2.0-2.8
++ 1.3-1.9
+ 0.7-1.2
- < 0.7
대조군 종양의 크기가 700 - 1200 mg(대조군의 중앙값)이 되었을 때, 처리군 및 대조군을 측정하였다. T/C 퍼센트는 항종양 효능을 나타낸다: T/C = 0%는 종양 증식이 없음을 의미한다. T/C = 100%는 항종양 활성이 없음을, 즉 처리군과 대조군의 종양이 비슷하게 증식함을 의미한다. Drug Evaluation Branch of the Division of Cancer Treatment(NCI)에서는 42% 또는 그 미만의 T/C를 현저한 항종양 활성인 것으로 간주한다. T/C < 10%는 매우 현저한 항종양 활성을 의미하며, 이 수치는 NCI에서 독성, 제형 및 그외 특정 요건(DN-2 레벨 활성이라 함)을 충족시키는지를 임상 시험으로 판단하기 위해 사용한다. 체중 감소 저점(body weight loss nadir)(그룹의 평균)이 20% 보다 높거나 또는 약물 사망율 20% 보다 높은 경우, 대부분의 1회 경과 시험에서 과잉의 독성 투여량인 것으로 본다.
본 발명을 이제 하기 비제한적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할 것이다.
실시예 1
( R )-2-(4-(7-할로-8- 메톡시퀴놀린 -2- 일옥시 ) 페녹시 ) 프로파노산의 합성
Figure 112008025334054-PCT00006
(E)-3- 에톡시 -N-(3- 플루오로 -2- 메톡시페닐 ) 아크릴아미드 (3a)
Figure 112008025334054-PCT00007
6-플루오로-o-아니시딘(2a)(5.08 g, 36 mmol), DMAP(0.44 g, 3.6 mmol) 및 피리딘(25 mL) 혼합물을 한시간동안 얼음조내에서 교반하였다. 농축한 후, 물(50 mL) 및 AcOEt(100 mL)을 첨가하였다. 농축 HCl을 첨가하여 pH 1로 맞추었다. 유기층으로서 AcOEt로 추출하고, 2 mL 1 M HCl을 포함하는 포화 NaCl 25 mL, 5 mL NaHCO3을 포함하는 포화 NaCl 25 mL, 및 포화 NaCl 25 mL로 순차적으로 헹구었다. 유기층은 MgSO4로 건조시키고, 실리카겔과 용매 시스템 헥산-AcOEt 1:1 -> 2:1을 사 용하여 정제하였다. 산물은 용매 시스템 조합 10:1 4:1 2:1을 이용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추가적으로 정제하였다. 산물은 차가운 10:1 헥산-AcOEt로부터 재결정화하여, 오프 화이트 결정으로서 수득하였다(3.16 g, 37% 수율). 1H NMR (400 MHz, CDCl3) 8.19 (d, J = 8.4 Hz, 1H), 7.64 (d, J = 11.2 Hz, 1H), 7.56 (bs, 1H), 7.01-6.94 (m, 1H), 6.81-6.74 (m, 1H), 5.36 (d, J = 12 Hz, 1H), 3.98 (d, J = 1.6 Hz, 3H), 3.96 (q, J = 7.2 Hz, 2H), 1.36 (t, J = 7.2 Hz, 3H). 19F NMR (376 MHz, CHCl3) -131.37.
7- 플루오로 -8- 메톡시퀴놀린 -2-올(4a)
Figure 112008025334054-PCT00008
(E)-N-(3-플루오로-2-메톡시페닐)-3-에톡시프로펜아미드(3a)(3.16 g, 13.2 mmol) 및 25 mL의 농축 H2SO4 혼합물을 실온에서 철야 교반하였다. 이 용액을 얼음에 붓고, pH 5가 될 때까지 농축 NH3을 첨가하여 산물을 침전시켰다. 혼합물을 여과 및 헹군 다음, 건조하여 백색 고체로서 산물을 수득하였다(2.55 g, 87% 수율). 1H NMR (400 MHz, DMSO-d6) 11.35 (bs, 1H), 7.86 (d, J = 9.6 Hz, 1H), 7.41 (dd, J = 8.8, 5.6 Hz, 1H), 7.08 (dd, J = 11.2, 8.8 Hz, 1H), 6.45 (d, J = 10 Hz, 1H), 3.87 (s, 3H). 19F NMR (376MHz, DMSO-d6) -128.88 (dd, J = 11.5, 5.5 Hz).
2- 클로로 -7- 플루오로 -8- 메톡시퀴놀린 (5a)
Figure 112008025334054-PCT00009
7-플루오로-8-메톡시-2-퀴놀리놀(4a)(2.26 g, 11.7 mmol) 및 POCl3(5.5 mL, 60 mmol) 혼합물을 1.5시간동안 환류하였다. 내용물을 농축한 다음 NaHCO3로 중화하고, 혼합물에 물 및 AcOEt과 함께 열처리하였다. 용액을 여과하여 용해되지 않은 불순물들을 제거한 다음 추출하였다. 유기층은 포화 NaCl로 세정한 다음 MgSO4로 건조하였다. 산물은 ***CHCl3-헥산으로부터 재결정화하여, 백색 결정을 수득하였다(2.24 g, 90% 수율): mp 85-86 ℃; 1H NMR (400 MHz, CDCl3) 8.06 (d, J = 8.8Hz, 1H) 7.48 (dd, J = 8.8, 5.6 Hz, 1H), 7.37 (d, J = 8.8 Hz, 1H), 7.35 (dd, J = 9.2, 2.4 Hz, 1H), 4.23 (d, J = 2.4 Hz, 3H). 19F NMR (376 MHz, CHCl3) -127.35 (dd, J = 10.9, 2.6 Hz).
2-(4-(7- 플루오로 -8- 메톡시퀴놀린 -2- 일옥시 ) 페녹시 ) 프로파노산 ( SH144 )
Figure 112008025334054-PCT00010
2-클로로-7-플루오로-8-메톡시퀴놀린(5a)(0.53 g, 2.5 mmol), 2-(4-하이드록시페녹시)프로피온산(6a)(0.46 g, 2.5 mmol) 및 K2CO3 (0.86 g, 6.3 mmol) 혼합물과 DMF(5 mL)을 105 ℃에서 21시간 동안 열처리하였다. 혼합물을 농축하여 DMF를 제거하고, 잔류물은 증류수에 용해하였다. 이 혼합물을 셀라이트로 여과한 다음, 냉각시키고, 1 M HCl로 산성화시켰다. 산물은 여과, 수득 및 건조하였다. 이 산물을 AcOEt에 용해하고 실리카겔과 이후의 컬럼 크로마토그래피(1:1 헥산-AcOEt)로 여과하였다. CHCl3-헥산을 이용한 재결정화를 통해 보다 순수한 산물을 오프 화이트 결정으로 수득하였다(0.18 g, 20% 수율): mp 143-145 ℃; 1H NMR (400 MHz, CDCl3) 9.63 (bs, 1H), 8.03 (d, J = 9.2 Hz, 1H), 7.39 (dd, J = 8.8, 4.8 Hz, 1H), 7.19 (dd, J = 10.8, 9.2 Hz, 1H), 7.12-7.08 (m, 2H), 6.98-6.93 (m, 2H), 6.92 (d, J = 8.8 Hz, 1H), 4.80 (q, J = 7.2 Hz, 1H), 3.96 (s, 3H), 1.69 (d, J = 6.4 Hz, 3H). 19F NMR (376 MHz, CDCl3) -128.90 (m). 13C NMR (100 MHz, CDCl3) 176.8, 162.4, 155.2 (J = 247 Hz), 154.8, 148.0, 141.4 (m), 140.5, 128.4 (m), 123.5, 123.1, 122.6 (m), 116.4, 115.5 (J = 23 Hz), 111.3, 73.0, 62.3, 18.7. IR (KBr) 3420 (OH), 1735 (C=O), 1615, 1495, 1470, 1435, 1330, 1260, 1235, 1200, 1135, 1085, 1045, 1005, 980, 945, 895, 875, 835, 815, 790, 715, 625, 605 cm-1. ESI-MS m/z 358 (M+1)+. Anal. (C19H16NFO5) C, 63.86; H, 4.51; N, 3.92. 측정치: C, 63.66; H, 4.41; N, 4.06. 소듐염으로서 분리된 (R)-(+) 거울상이성질체(오프 화이트 결정): mp 118 120 ℃; [ ]D = 30.8°(c = 0.50, H2O). Astec Chirobiotic T, 250 mm x 4.6 mm, 100 CH3OH: 0.1 AcOH: 0.1 TEA, 유속 0.5 mL/min, 검출 236 nm을 이용한, 키랄 HPLC 분리((S) 거울상이성질체, 6.9 min, (R) 거울상이성질체, 8.0 min).
(E)-N-(3- 클로로 -2- 메톡시페닐 )-3- 에톡시아크릴아미드 (3b)
Figure 112008025334054-PCT00011
3-클로로 o-아니시딘(2b)(5.25 g, 33.3 mmoles) 및 피리딘(20 mL) 혼합물을 얼음조에 두었다. 용액을 한시간동안 연속적으로 교반하면서, (E)-3-에톡시-2-프로페노일 클로라이드(1)(4 g, 40.1 mmol)를 점적하였다. 이 혼합물을 농축시켜 피리딘을 제거하고, AcOEt 및 물이 있는 분별 깔때기로 옮겼다. 수층이 pH1이 될때까지 농축 HCl을 첨가하였다. 수층은 AcOEt로 2번 추출하고, 유기층은 1 M HCl(2 mL)을 포함하는 포화 NaCl(25 mL)로 헹구었다. 이후, 포화 NaHCO3(5 mL)가 포함된 포화 NaCl(25 mL)로 2차 세정하였다. 최종적으로 유기층은 포화 NaCl 25 mL로 세정하였다. 산물 층을 건조하고 실리카겔(2)에서 헥산-AcOEt에 의한 1:1 및 이후의 2:1 용매 시스템으로 여과하였다. 산물을 크로마토그래피(2:1 -> 1:1 헥산:AcOEt)하고, 10:1 헥산-AcOEt로부터 재결정화하여, 오프 화이트 결정으로서 산물을 수득하였다(4.19 g, 49% 수율): mp 98-99 ℃; 1H NMR (400 MHz, CDCl3) 8.31 (dd, J = 7.2, 2.4 Hz, 1H), 7.65 (d, J = 12.4 Hz, 1H), 7.55 (bs, 1H), 7.07-7.04 (m, 2H), 5.36 (d, J = 11.2 Hz, 1H), 3.97 (q, J = 7.2 Hz, 2H), 3.89 (s, 3H), 1.37 (t, J = 7.2 Hz, 3H).
7- 클로로 -8- 메톡시퀴놀린 -2-올(4b)
Figure 112008025334054-PCT00012
농축 H2SO4(30 mL)에 (E)-N-(3-클로로-2-메톡시페닐)-3-에톡시프로펜아미드 (3b)(3.73 g, 14.6 mmol)를 첨가하고, 철야 교반하였다. 이 용액을 얼음에 붓고, 여과, 세정 및 건조하여, 노란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2.85 g, 93% 수율): 1H NMR (400MHz, DMSO-d6) 11.45 (bs, 1H), 7.89 (d, J = 10Hz, 1H), 7.44 (d, J = 8.4 Hz, 1H), 7.23 (d, J = 8.8 Hz, 1H), 6.52 (d, J = 10Hz, 1H), 3.81 (s, 3H).
2,7- 다이클로로 -8- 메톡시퀴놀린 (5b)
Figure 112008025334054-PCT00013
7-클로로-8-메톡시-2-퀴놀리놀(4b)(2.85 g, 13.6 mmol)을 POCl3(6 mL)과 혼합한 다음 1.5 시간동안 환류하였다. 농축된 내용물에, H2O 및 AcOEt를 첨가한 다음 NaHCO3를 첨가하여, 중성화시켰다. 수층은 AcOEt로 추출하고, 포화 NaCl로 세정한 다음, MgSO4로 건조하였다. 산물은 실리카겔을 통해 CHCl3를 이용하여 여과하고, CHCl3-헥산으로부터 재결정화하여, 오프 화이트 결정으로서 원하는 산물을 수득하였다(2.53 g, 82% 수율): mp 103-104 ℃; 1H NMR (400 MHz, CDCl3) 8.07 (d, J = 8.0 Hz, 1H), 7.54 (d, J = 8.8 Hz, 1H), 7.50 (d, J = 8.0 Hz, 1H), 7.39 (d, J = 8.8 Hz, 1H), 4.19 (s, 3H).
2-(4-(7- 클로로 -8- 메톡시퀴놀린 -2- 일옥시 ) 페녹시 ) 프로파노산 ( SH140 )
Figure 112008025334054-PCT00014
2,7-다이클로로-8-메톡시퀴놀린(5b)(0.81 g, 3.6 mmol), 2-(4-하이드록시페녹시)프로피온산(6)(0.65 g, 3.6 mmol), K2CO3(1.23 g, 8.9 mmol) 및 DMF(10 mL) 혼합물을 오일조에서 125 ℃로 철야 가열하였다. DMF를 농축하였고, 물을 첨가한 다음 여과하였다. 용액을 냉각시킨 다음, pH 3이 되도록 1 M HCl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AcOEt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은 포화 NaCl로 세정하고, MgSO4로 건조시켰다. 산물은 1:1 -> 1:2의 AcOEt-헥산을 이용하여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고,CHCl3-헥산으로부터 재결정화하여, 백색 결정으로서 순수한 산물을 수득하였다(0.50 g, 38% 수율): mp 168-169 ℃; 1H NMR (400 MHz, CDCl3) 8.06 (d, J = 8.8 Hz, 1H), 7.40 (d, J = 8.8 Hz, 1H), 7.36 (d, J = 8.8 Hz, 1H), 7.20-7.14 (m, 2H), 7.06 (d, J = 8.8 Hz, 1H), 7.00-6.94 (m, 2H), 4.83 (q, J = 6.8 Hz, 1H), 3.88 (s, 1H), 1.71 (d, J = 6.8 Hz, 3H). 13C NMR (100 MHz, CDCl3) 177.5, 162.0, 154.6, 150.8, 148.2, 141.1, 140.3, 127.6, 126.5, 125.9, 123.3, 122.9, 116.3, 112.7, 73.0, 62.0, 18.7. IR (KBr) 3440 (OH), 1745 (C=O), 1615, 1490, 1465, 1425, 1330, 1260, 1235, 1200, 1145, 1130, 1085, 1045, 1010, 975, 950, 880, 860, 835, 795, 725, 615, 535 cm-1. ESI-MS m/z 374 (M+1)+. C19H16NClO5에 대한 분석 계산치: C, 61.05; H, 4.31; N, 3.75. 측정치: C, 61.30; H, 4.19; N, 3.87. (R)-(+) 거울상이성질체: mp 143-144 ℃; [ ]D = 29.4°(c = 0.50, 0.1 M NaOH). 키랄 HPLC 분리((S) 거울상이성질체, 6.9 min, (R) 거울상이성질체, 7.9 min), Astec Chirobiotic T, 250 x 4.6 mm 이용, 100 CH3OH: 0.1 AcOH: 0.1 TEA, 유속 0.5 mL/min, 검출 243 nm.
(E)-N-(3- 브로모 -2- 메톡시페닐 )-3- 에톡시아크릴아미드 (3c)
Figure 112008025334054-PCT00015
3-브로모-o-아니시딘(2c)(4.50 g, 22.3 mmoles) 및 피리딘(15 mL) 혼합물을 얼음조에 두었다. 용액을 한시간동안 연속적으로 교반하면서, (E)-3-에톡시-2-프로페노일 클로라이드(1)(3.75 g, 27.9 mmol)를 점적하였다. 이 혼합물을 농축시켜 피리딘을 제거하고, AcOEt 및 물이 있는 분별 깔때기로 옮겼다. 수층이 pH1이 될때까지 농축 HCl을 첨가하였다. 수층은 AcOEt로 2번 추출하고, 유기층은 1 M HCl(2 mL)을 포함하는 포화 NaCl(25 mL)로 헹구었다. 이후, 포화 NaHCO3(5 mL)가 포함된 포화 NaCl(25 mL)로 2차 세정하였다. 최종적으로 유기층은 포화 NaCl(25 mL)로 세정하였다. 산물 층을 건조하고 실리카겔(2)에서 헥산-AcOEt에 의한 1:1 및 이후의 2:1 용매 시스템으로 여과하였다. 산물을 크로마토그래피(2:1 -> 1:1 헥산:AcOEt)하고, 10:1 헥산-AcOEt로부터 재결정화하여, 연갈색-오렌지 결정으로서 산물을 수득하였다(3.35 g, 50% 수율): mp 102-104 ℃; 1H NMR (400 MHz, CDCl3) 8.35 (dd, J = 8.4, 1.6 Hz, 1H), 7.65 (d, J = 12.4 Hz, 1H), 7.52 (bs, 1H), 7.21 (dd, J = 8.4, 1.6 Hz, 1H), 6.98 (t, J = 8.4 Hz, 1H), 5.36 (d, J = 12.0 Hz, 1H), 3.97 (q, J = 7.2 Hz, 2H), 3.86 (s, 3H), 1.37 (t, J = 7.2 Hz, 3H).
7- 브로모 -8- 메톡시퀴놀린 -2-올(4c)
Figure 112008025334054-PCT00016
교반 및 농축시킨 H2SO4 (30 mL)에, (E)-(N)-(3-브로모-2-메톡시페닐)-3-에톡시프로펜아미드(3c)(2.11 g, 7.03 mmo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철야 교반하였다. 이 용액을 얼음에 붓고, 수득되는 고형물을 여과, 세정 및 건조하였다. 원하는 산물을 노란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1.75 g, 98% 수율): 1H NMR (400 MHz, DMSO-d6) 11.44 (bs, 1H), 7.89 (d, J = 9.2 Hz, 1H), 7.37 (s, 2H), 6.53 (d, J = 8.8 Hz, 1H), 3.79 (s, 3H).
7- 브로모 -2- 클로로 -8- 메톡시퀴놀린 (5c)
Figure 112008025334054-PCT00017
7-브로모-8-메톡시-2-퀴놀리놀(4c)(2.22 g, 8.7 mmol) 및 POCl3(7 mL)을 1.5시간동안 환류하에 열처리하였다. NaHCO3로 중화한 다음 AcOEt로 추출하고, 잔류물을 CHCl3에 용해한 다음, 실리카겔로 여과하여 갈색의 극성 불순물을 제거하였다. 이를 AcOEt-헥산으로부터 재결정화하여, 백색 결정으로서 산물을 수득하였다(1.99 g, 84% 수율). mp 130-132 ℃; 1H NMR (400 MHz, CDCl3), 8.06 (d, J = 8.8 Hz, 1H), 7.66 (d, J = 9.2 Hz, 1H), 7.42 (d, J = 9.2 Hz, 1H), 7.39 (d, J = 8.8 Hz, 1H), 4.17 (s, 3H).
2-(4-(7- 브로모 -8- 메톡시퀴놀린 -2- 일옥시 ) 페녹시 ) 프로파노산 ( SH135 )
Figure 112008025334054-PCT00018
7-브로모-2-클로로-8-메톡시퀴놀린(5c)(0.54 g, 2.0 mmol), 2-(4-하이드록시페녹시)프로피온산(6c)(0.36 g, 2.0 mmol), K2CO3(0.69 g, 5.0 mmol) 및 DMF(5 mL) 혼합물을 8시간동안 125 ℃에서 열처리하였다. 이 용액을 농축하고 물에 용해시킨 다음, 셀라이트로 여과하고 냉각시켰다. 여과물은 pH 3으로 1 M HCl로 산성화하였다. 이를 AcOEt로 추출하고, 포화 NaCl로 헹구었다. 산물은 MgSO4로 건조하고, 실리카겔로 여과한 다음, 컬럼 크로마토그래피(1:1 헥산-AcOEt)로 정제하고, EtOH-헥산으로부터 재결정화하여, 백색 결정을 수득하였다(0.43 g, 52% 수율): mp 157-158 ℃; 1H NMR (400 MHz DMSO-d6), 13.02 (bs, 1H), 8.39 (d, J = 8.8 Hz, 1H), 7.59 (s, 2H), 7.28 (d, J = 9.2 Hz, 1H), 7.21-7.16 (m, 2H), 6.97-6.91 (m, 2H), 4.84 (q, J = 6.8 Hz, 1H), 3.73 (s, 3H), 1.51 (d, J = 6.4 Hz, 3H). 1H NMR (400 MHz, CDCl3) 10.75 (bs, 1H), 8.05 (d, J = 9.2 Hz, 1H), 7.49 (d, J = 8.8 Hz, 1H), 7.32 (d, J = 8 Hz, 1H), 7.17-7.15 (m, 2H), 7.07 (d, J = 8.8 Hz, 1H), 6.99-6.93 (m, 2H), 4.82 (q, J = 6.4 Hz, 1H), 3.86 (s, 3H), 1.70 (d, J = 6.4 Hz, 3H). 13C NMR (100 MHz, DMSO-d6) 173.8, 162.0, 155.3, 151.8, 147.4, 141.5, 140.7, 126.9, 124.5, 123.5, 116.2, 113.7, 72.6, 62.0, 19.0. IR (KBr) 3430 (OH), 1715 (C=O), 1610, 1570, 1510, 1490, 1470, 1420, 1370, 1330, 1260, 1235, 1195, 1140, 1105, 1075, 1055, 1015, 995, 970, 885, 830, 785, 720, 625, 605, 525, 480 cm-1. MS (EI) m/z (%) 417 (M+, 99) 388 (25), 372 (20), 358 (45), 342 (66), 328 (32), 315 (26), 301 (13), 266 (13), 252 (19), 234 (6), 223 (16), 208 (27), 178 (48), 157 (44), 144 (13), 127 (93), 121 (18), 114 (60), 109 (12), 102 (25), 94 (15), 88 (17), 81 (12), 76 (28), 63 (40), 55 (17), 51 (21). HRMS (EI): m/z 419.0189 (M+, calcd. for C19H16NO5Br, 419.0191). C19H16NO5Br에 대한 분석 계산치: C, 54.56; H, 3.86; N, 3.35. 측정치: C, 54.76; H, 3.95; N, 3.25. R-(+) 거울상이성질체: mp 150-151 ℃; [ ]D = 35.0°(c = 0.50, 0.1 M NaOH). Chiral HPLC separation ((S) 거울상이성질체, 6.2 min, (R) 거울상이성질체, 7.4 min), Astec Chirobiotic T, 250 4.6 mm 이용, 100 CH3OH: 0.1 AcOH: 0.1 Et3N, 유속 0.5 mL/min, 검출 244 nm.
Figure 112008025334054-PCT00019
제조
SH80 (R), SH135 (R), SH140 (R), SH144 (R): 모든 테스트 물질은 하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준비하였다.
소스: Hazeldine/Horwitz (KCI): 백색 고체 + 3% EtOH + 1% POE + 0.5 % NaHCO3(부피) + dH2O -> 용액(pH = 9.0 -> 7.0, 1.0N HCl 사용); 0.2 ml/mouse/IV 주사.
고찰
대조군: 케이지 1- 예상된 바와 같이 종양 증식함; 종양 체적이 2배가 되는 시간(Td) = 1.0 일.
SH 80(R): 케이지 2에는 개시일 1일에 총 투여량 420 mg/kg에 대해 60 mg/kg을 Q2dx7로 주사하였다. 이 투여량은 매우 허용적이었으며, 약간의 체중 감소 -3.4%(저점인 날2; 완전히 회복되는 날 15)가 있었다. 숙주 회복 시간은 13일째로 연장되었지만, 마우스는 전체적인 시험 기간동안 우수한 상태를 보였으며, 전반적인 체중 감소는 매우 온건한 수준이었으며, 회복 기간동안에 -1.7 내지 -3.4% (1gm 미만)이었다. 이러한 스케줄에서 SH80(R)은 예상한 바와 같이 고활성이었으며, 0%T/C 및 4.8 총 log 사멸(GLK); ++++ 활성 등급을 나타내었다.
케이지 3에는 총 투여량 266 mg/kg에 대해 38 mg/kg을 개시일 1일에 Q2dx7로 주사하였다. -3.5%의 지속적인 체중 감소(저점일 2; 완전히 회복되는 날 7)가 있었다. 또한, 이 투여량도 활성이었으며, 11% T/C 및 2.1(+++ 활성 등급)을 나타내었다.
SH 135(R): 케이지 4에는 총 투여량 378 mg/kg에 대해 54 mg/kg을 개시일 1일에 Q2dx7로 주사하였다. -10.5%의 지속적인 체중 감소(저점일 12; 완전히 회복되는 날 20)가 있었으며, 이는 적절한 치료를 의미한다. 이 투여량은 고활성이었으며, 0% T/C 및 5.0 GLK(++++ 활성 등급)이었으며, SH80(R) 보다 조금 나은 결과를 보였다.
케이지 5에는 총 투여량 238 mg/kg에 대해 34 mg/kg을 개시일 1일에 Q2dx7로 주사하였다. -3.6%의 지속적인 체중 감소(저점일 2; 완전히 회복되는 날 7)가 있었다. 이 투여량은 고활성이었으며, 0% T/C 및 4.2 GLK(++++ 활성 등급)를 보였다.
SH 140(R): 케이지 6에는 총 투여량 372 mg/kg에 대해, 개시일 1일에는 48 mg/kg을(7 및 9일에는 54 mg/kg 및 11 및 13일에는 60 mg/kg을) Q2dx7로 주사하였다. -5.3%의 지속적인 체중 감소(저점일 14; 완전히 회복되는 날 19)가 있었다. 이 투여량은 고활성이었으며, 0% T/C 및 4.8 GLK(++++ 활성 등급)를 보였으며, 근본적으로 SH80(R)과 동급이었다.
케이지 7에는 총 투여량 234 mg/kg에 대해, 개시일 1일에는 30 mg/kg을(7 및 9일에는 34 mg/kg 및 11 및 13일에는 38 mg/kg을) Q2dx7로 주사하였다. -5.5%의 지속적인 체중 감소(저점일 2; 완전히 회복되는 날 6)가 있었다. 이 투여량은 고활성이었으며, 5.5% T/C 및 3.6 GLK(++++ 활성 등급)를 보였다.
SH 144(R): 케이지 8에는 총 투여량 822 mg/kg에 대해, 개시일 1일에는 57 mg/kg을 Q2dx3으로 주사하고, 그후 투여량을 증가시켜, 7일부터(63 mg/kg) 13일(125 mg/kg)까지 매일 주사하였다. -15.7%의 지속적인 체중 감소(저점일 17; 완전히 회복되는 날 19)가 있었으며, 이는 거의 취사 투여량 수준임을 의미한다. 2-일 숙주 회복 시간으로 마우스는 신속하게 회복되어 약물 사망은 없었다. 이 용량은 고활성이며, 0% T/C 및 4.1 GLK(++++ 활성 등급)를 보였으며, SH80(R), SH135(R) 및 SH140(R) 보다는 낮았다.
케이지 9에는 총 투여량 513 mg/kg에 대해, 개시일 1일에는 36 mg/kg을 Q2dx3으로 주사하고, 투여량을 증가시켜, 7일부터(39 mg/kg) 13일(75 mg/kg)까지 매일 주사하였다. -5.3%의 지속적인 체중 감소(저점일 2; 완전히 회복되는 날 7)가 있었다. 이 용량은 활성이며, 28% T/C 및 2.1 GLK(+++ 활성 등급)를 보였다.
종합
3종의 할로-메톡시 퀴놀린 화합물을, 본 시험에서 마우스 초기 단계 Mam 16/C에 대한 SH80과 비교하여 항종양 활성을 평가하였다. 브로모-메톡시 유사체[SH135(R)]가 가장 활성적이었으며, 총 투여량 378 mg/kg에서 5.0 GLK을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클로로-메톡시[SH140(R): 4.8 GLK, 총 투여량 372 mg/kg]였다. SH80(R)는 약간 더 높은 총 투여량 420 mg/kg으로 비슷한 4.8 GLK를 보였다. 시리즈 화합물에서 가장 낮은 활성을 보인 것은 플루오로-메톡시 화합물[SH144(R): 4.1 GLK, 총 투여량 822 mg/kg]이었다. -15.8%의 체중 감소가 플루오로 유사체를 처리한 마우스에서 지속적이었고, 이는 근치사 용량 수준이 전달되었음을 의미하지만, 이 실험에서 어떤 화합물들도 독성을 나타내진 않았다. 일반적으로, 체중 감소 저 점은 SH80(flat: -2.0에서 3.0% 체중 감소; days 2-15에서) 보다 할로-메톡시 화합물들(브로모: -10.5%; day 12; 클로로: -5.3%; day 14; 플루오로: -15.8%; day 17)에서, 더 컸으며 또한 더 나중에 나타났으며, 아마도 이는 이들 화합물의 지연성 독성 가능성 또는 반감기가 보다 길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흥미롭게도 브로모 및 클로로-메톡시 유사체들 역시 SH80 보다 더 낮은 투여량(더 넓은 범위의 활성을 보임)에서 보다 더 활성이었다. 저투여량을 비교하면, 최상의 log 사멸 순서는 SH135(R)(Cg 5: 브로모메톡시): 238 mg/kg에서 4.2의 log 사멸이 SH140R(Cg 7: 클로로메톡시)(234 mg/kg에서의 3.6 log 사멸); SH80(R)(Cg 3)(266 mg/kg에서의 2.1의 log 사멸); 및 SH144(R)(Cg 9: 플루오로-메톡시)(513 mg/kg에서의 2.1 log 사멸) 보다 높았다. 본 실험에서 최고 활성에서 최저 활성을 보인 화합물의 순위는 브로모-메톡시SH135(R) > 브로모 SH80(R) = 클로로-메톡시 SH140(R) > 플루오로-메톡시 SH144(R)이다.
고투여량 요구(적어도 본 실험에서 거의 SH80 만큼 다량)는 SH80 보다 음성이거나 또는 그에 비해 개선이 없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그러나, 브로모-메톡시 및 클로로-메톡시 유사체들의 저투여량에서의 고활성 유지(>3 log 사멸)는 우월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이며, 이는 가능하다면 다른 종양에서 3 또는 4 투여량 수준으로 적어도 1회 이상의 테스트를 수행하여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실시예 3
하기는 식 I의 화합물('화합물 X')을 포함하는, 인간에서의 치료 또는 예방적인 사용을 위한, 약제학적 투약 제형을 예시한 것이다.
(i) 정제 1 mg /정제
'화합물 X' 100.0
락토스 77.5
포비돈 15.0
크로스카르멜로스 소듐 12.0
미세결정형 셀룰로스 92.5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3.0
300.0
(ii ) 정제 2 mg /정제
'화합물 X' 20.0
미세결정형 셀룰로스 410.0
전분 50.0
소듐 스타치 글리콜레이트 15.0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5.0
500.0
(iii ) 캡슐 mg /캡슐
'화합물 X' 10.0
콜로이달 실리콘 다이옥사이드 1.5
락토스 465.5
사전-젤라틴화된 전분 120.0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3.0
600.0
(iv ) 주사액1 (1 mg / ml ) mg / mL
'화합물 X'(유리 산 형태) 1.0
다이베이직 소듐 포스페이트 12.0
모노베이직 소듐 포스페이트 0.7
소듐 클로라이드 4.5
1.0 N 소듐 하이드록사이드 용액(pH 7.0-7.5로 조정) 적량
주사용수 잔량 1 mL
(v) 주사액 2 (10 mg / mL ) mg / mL
'화합물 X'(유리 산 형태) 10.0
다이베이직 소듐 포스페이트 0.3
모노베이직 소듐 포스페이트 1.1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 200.0
0.1 N 소듐 하이드록사이드 용액(pH 7.0-7.5로 조정) 적량
주사용수 잔량 1 mL
(vi ) 에어로졸 mg / can
'화합물 X' 20.0
올레산 10.0
트리클로로모노플루오로메탄 5,000.0
다이클로로다이플루오로메탄 10,000.0
다이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에탄 5,000.0
상기 제형들은 약학 분야에 잘 알려져 있는 통상적인 공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모든 공개문헌, 특허 및 특허 문헌들은 각각 원용에 의해 각각 포함되는 것처럼 본 명세서에 원용에 의해 포함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구체적이며 바람직한 구현예 및 기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내에서 수많은 변형 및 수정을 가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다.

Claims (32)

  1. 식 I의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
    Figure 112008025334054-PCT00020
    상기 식 I에서, Y는 F, Cl 또는 Br이다.
  2. 제 1항에 있어서, Y는 F인 화합물.
  3. 제 1항에 있어서, Y는 Cl인 화합물.
  4. 제 1항에 있어서, Y는 Br인 화합물.
  5.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메틸기를 가진 탄소는 (R) 배위인 화합물.
  6.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메틸기를 가진 탄소는 (S) 배위인 화합물.
  7. 제 1항에 있어서, 2-(4-(7-플루오로-8-메톡시퀴놀린-2-일옥시)페녹시)프로파노산인 화합물.
  8. 제 1항에 있어서, 2-(4-(7-클로로-8-메톡시퀴놀린-2-일옥시)페녹시)프로파노산인 화합물.
  9. 제 1항에 있어서, 2-(4-(7-브로모-8-메톡시퀴놀린-2-일옥시)페녹시)프로파노산인 화합물.
  10. 제 1항 내지 제 9항중 어느 한항에 따른 화합물을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희석제 또는 담체와 함께 포함하는 조성물.
  11. 유효량의 식 I의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을 치료가 필요한 포유류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유류에서 암을 치료하는 방법:
    Figure 112008025334054-PCT00021
    상기 식 I에서, Y는 F, Cl 또는 Br이다.
  12. 유효량의 2-(4-(7-브로모-8-메톡시퀴놀린-2-일옥시)페녹시)프로파노산을 치료가 필요한 포유류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유류에서 암을 치료하는 방법.
  13. 유효량의 2-(4-(7-플루오로-8-메톡시퀴놀린-2-일옥시)페녹시)프로파노산을 치료가 필요한 포유류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유류에서 암을 치료하는 방법.
  14. 유효량의 2-(4-(7-클로로-8-메톡시퀴놀린-2-일옥시)페녹시)프로파노산을 치료가 필요한 포유류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유류에서 암을 치료하는 방법.
  15. 의학적 요법 또는 진단에 사용하기 위한 식 I의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
    Figure 112008025334054-PCT00022
    상기 식 I에서, Y는 F, Cl 또는 Br이다.
  16. 제 15항에 있어서, Y는 F인 화합물.
  17. 제 15항에 있어서, Y는 Cl인 화합물.
  18. 제 15항에 있어서, Y는 Br인 화합물.
  19. 제 15항 내지 제 18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메틸기를 가진 탄소는 (R) 배위인 화합물.
  20. 제 15항 내지 제 18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메틸기를 가진 탄소는 (S) 배위인 화합물.
  21. 제 15항에 있어서, 2-(4-(7-플루오로-8-메톡시퀴놀린-2-일옥시)페녹시)프로파노산인 화합물.
  22. 제 15항에 있어서, 2-(4-(7-클로로-8-메톡시퀴놀린-2-일옥시)페녹시)프로파노산인 화합물.
  23. 제 15항에 있어서, 2-(4-(7-브로모-8-메톡시퀴놀린-2-일옥시)페녹시)프로파노산인 화합물.
  24. 포유류에서 암을 치료하기 위한 약제 제조를 위한, 식 I의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 염의 용도:
    Figure 112008025334054-PCT00023
    상기 식 I에서, Y는 F, Cl 또는 Br이다.
  25. 제 24항에 있어서, Y는 F인 화합물 또는 그 염의 용도.
  26. 제 24항에 있어서, Y는 Cl인 화합물 또는 그 염의 용도.
  27. 제 24항에 있어서, Y는 Br인 화합물 또는 그 염의 용도.
  28. 제 24항 내지 제 27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메틸기를 가진 탄소는 (R) 배위인 화합물 또는 그 염의 용도.
  29. 제 24항 내지 제 27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메틸기를 가진 탄소는 (S) 배위인 화합물 또는 그 염의 용도.
  30. 제 24항에 있어서, 식 I의 화합물은 2-(4-(7-플루오로-8-메톡시퀴놀린-2-일옥시)페녹시)프로파노산인 화합물 또는 그 염의 용도.
  31. 제 24항에 있어서, 2-(4-(7-클로로-8-메톡시퀴놀린-2-일옥시)페녹시)프로파노산인 화합물 또는 그 염의 용도.
  32. 제 24항에 있어서, 2-(4-(7-브로모-8-메톡시퀴놀린-2-일옥시)페녹시)프로파노산인 화합물 또는 그 염의 용도.
KR1020087008480A 2005-09-09 2006-09-11 퀴놀린 유도체 및 항종양제로서의 용도 KR200800591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223,806 2005-09-09
US11/223,806 US7470788B2 (en) 2005-09-07 2005-09-09 Antitumor agen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9185A true KR20080059185A (ko) 2008-06-26

Family

ID=37708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8480A KR20080059185A (ko) 2005-09-09 2006-09-11 퀴놀린 유도체 및 항종양제로서의 용도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7470788B2 (ko)
EP (1) EP1940794A2 (ko)
JP (1) JP2009507858A (ko)
KR (1) KR20080059185A (ko)
CN (1) CN101258129A (ko)
AU (1) AU2006287275A1 (ko)
BR (1) BRPI0615583A2 (ko)
CA (1) CA2621988C (ko)
CR (1) CR9858A (ko)
EA (1) EA200800776A1 (ko)
EC (1) ECSP088237A (ko)
IL (1) IL189819A0 (ko)
MA (1) MA30299B1 (ko)
NO (1) NO20081736L (ko)
TN (1) TNSN08093A1 (ko)
WO (1) WO200703078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287397T1 (de) * 2001-07-31 2005-02-15 Univ Wayne State Chinoline derivate und ihre anwendung als antitumor agentien
US7470788B2 (en) 2005-09-07 2008-12-30 Wayne State University Antitumor agents
US8183379B2 (en) * 2005-09-07 2012-05-22 Wayne State University Antitumor agent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3389B2 (ja) 1979-02-22 1985-08-02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複素環エ−テル系フェノシキ脂肪酸誘導体、その製造法および該誘導体を含有する除草剤
ATE287397T1 (de) * 2001-07-31 2005-02-15 Univ Wayne State Chinoline derivate und ihre anwendung als antitumor agentien
UA79293C2 (en) 2002-07-03 2007-06-11 Univ Wayne State 4-(7'-halo-2-quino (xa-) linyloxy)phenoxy propionic acid derivatives as antineoplastic agents
US7470788B2 (en) 2005-09-07 2008-12-30 Wayne State University Antitumor agents
US20070054938A1 (en) 2005-09-07 2007-03-08 Horwitz Jerome P Antitumor ag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30780A3 (en) 2007-09-13
ECSP088237A (es) 2008-07-30
CR9858A (es) 2008-08-11
NO20081736L (no) 2008-06-06
MA30299B1 (fr) 2009-04-01
AU2006287275A1 (en) 2007-03-15
EP1940794A2 (en) 2008-07-09
WO2007030780A2 (en) 2007-03-15
CA2621988C (en) 2014-03-25
JP2009507858A (ja) 2009-02-26
IL189819A0 (en) 2008-11-03
CA2621988A1 (en) 2007-03-15
TNSN08093A1 (en) 2009-07-14
US20070060612A1 (en) 2007-03-15
US7470788B2 (en) 2008-12-30
CN101258129A (zh) 2008-09-03
BRPI0615583A2 (pt) 2016-11-16
EA200800776A1 (ru) 2008-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94159B2 (en) c-Kit kinase inhibitor
US7507749B2 (en) Antitumor agents
SK109999A3 (en) Compounds for inhibition of gastric acid secretion
JP7025555B2 (ja) 一過性受容体電位a1イオンチャネルの阻害
US7109341B2 (en) Therapeutic amides
US9738613B2 (en) Substituted 1,2,3-triazoles as antitumor agents
KR20080059185A (ko) 퀴놀린 유도체 및 항종양제로서의 용도
AU2002355747A1 (en) Quinoline derivatives and use thereof as antitumor agents
KR20220063753A (ko) 신규한 카바졸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US20070054938A1 (en) Antitumor agents
US8183379B2 (en) Antitumor agents
KR102578288B1 (ko) 피라졸로피리다진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U2008201341B2 (en) Quinoline derivatives and use thereof as antitumor agents
KR20050016762A (ko) 항종양제로서의 4-(7-할로-2-퀴노(ха-)리닐옥시)페녹시-프로피온산 유도체
WO2022037601A1 (zh) 作为ep4受体拮抗剂的吡唑酰胺衍生物及其在制备治疗癌症和炎症药物中的用途
JPH0770083A (ja) イミダゾール誘導体を有効成分とする血圧降下剤
MX2007011953A (es) Derivado de tienopiridina, o derivado de quinolina, o derivado de quinazolina, que tienen potencia para inhibir autofosforilacion de c-m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