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8779A - 화상형성장치 및 그 연사촬영 이미지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및 그 연사촬영 이미지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8779A
KR20080058779A KR1020060132877A KR20060132877A KR20080058779A KR 20080058779 A KR20080058779 A KR 20080058779A KR 1020060132877 A KR1020060132877 A KR 1020060132877A KR 20060132877 A KR20060132877 A KR 20060132877A KR 20080058779 A KR20080058779 A KR 200800587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ontinuous shooting
images
printing apparatus
image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2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1091B1 (ko
Inventor
박상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2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1091B1/ko
Priority to US11/957,661 priority patent/US20080151075A1/en
Priority to CNA200710186192XA priority patent/CN101232581A/zh
Publication of KR20080058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8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1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1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95Computational photography systems, e.g. light-field imaging systems
    • H04N23/951Computational photography systems, e.g. light-field imaging systems by using two or more images to influence resolution, frame rate or aspect rati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H04N9/8047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using transform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 H04N9/8227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the additional signal being at least another television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 H04N9/8233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the additional signal being a character code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 Record Information Processing For Prin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쇄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인쇄장치에서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들 중에서 연사촬영 이미지들을 자동으로 검색하는 검색기능을 지원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연사 촬영된 사진을 고르거나 검색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검색기능에 의해 자동 검색된 연사촬영 이미지들을 합성하여 표시하는 합성기능을 지원함으로써 연사 촬영된 이미지들을 촬영시간에 따른 촬영순서에 맞게 서로 중첩되게 합성하여 표시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보다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쇄장치에서 합성 표시된 연사촬영이미지들을 편집할 수 있는 편집기능을 지원함으로써 인쇄장치에 연결된 컴퓨터의 이미지편집프로그램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연사촬영 이미지들을 편집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쇄장치 및 그 제어방법{PRIN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장치의 개략적인 제어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인쇄장치에서 연사촬영된 이미지를 검색하여 표시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인쇄장치에서 연사촬영이미지군을 디폴트 옵션을 적용하여 합성해 표시한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서 1,2,3번 ID의 이미지 투명도를 연하게 하여 4번 ID의 이미지 투명도를 상대적으로 선명하게 한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 2번 ID의 이미지를 삭제한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인쇄장치에서 지원하는 연사촬영이미지 검색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인쇄장치에서 지원하는 연사촬영이미지 합성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인쇄장치에서 지원하는 연사촬영이미지 편집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기능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인쇄장치 110 : 키입력부
120 : ROM 130 : RAM
140 : 이미지판독부 150 : 인터페이스부
160 : 저장부 170 : 표시부
180 : 프린팅부 190 : 인쇄제어부
191 : 연사촬영이미지검색모듈 192 : 연사촬영이미지합성모듈
193 : 연사촬영이미지편집모듈
본 발명은 인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저장장치에 저장된 이미지를 판독하여 연사 촬영된 이미지를 찾아 인쇄할 수 있는 인쇄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사진은 디지털 카메라 내의 저장매체 혹은 이에 삽입된 메모리 카드 등의 저장장치에 저장된다. 사용자는 저장장치를 프린터 등의 인쇄장치에 접속한 후 인쇄하고자 하는 사진을 선택하여 인쇄하고 있다.
최근의 디지털 카메라는 기본 촬영기능 외에 사용자에게 보다 다양한 촬영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부가 촬영기능을 지원하고 있다. 이 중 연사 촬영기능은 한번 셔터 키를 눌렸을 때 여러 장의 이미지를 얻기 위한 기능이다. 연사 촬영기능을 이용하면, 빠르게 움직이는 물체의 모습을 시간적으로 연속하여 촬 영할 수 있다.
디지털 카메라가 기본 촬영기능 외에 연사 촬영기능을 포함한 여러 부가 촬영기능을 지원함으로써 디지털 카메라 내의 저장매체 혹은 메모리 카드 등의 저장장치에는 기본 촬영된 사진과 연사 촬영된 사진들이 혼재되어 있다.
하지만, 일반적인 인쇄장치에서는 연사 촬영된 사진을 자동 검색할 수 있는 검색기능, 연사 촬영된 사진을 자동 합성하여 표시하는 합성기능, 합성된 연사촬영이미지에 대한 편집기능을 지원하지 않아 사용자가 연사 촬영된 사진들만을 인쇄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직접 저장장치 내의 사진들 중에서 연사 촬영된 사진들을 일일이 찾아야 하고, 찾은 연사 촬영된 사진들을 촬영순서에 맞게 수동 합성해야 하며, 합성된 이미지 편집을 위해서는 컴퓨터 등에 설치된 별도의 이미지편집프로그램을 이용해야만 한다.
따라서, 연사 촬영된 사진에 대한 인쇄 작업이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연사 촬영된 이미지에 대한 인쇄 작업을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인쇄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인쇄장치의 제어방법은 촬영시간을 포함한 이미지정보가 기록된 복수의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장치가 연결된 인쇄장 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미지의 이미지정보를 판독하는 단계와, 상기 판독된 이미지정보에 따라 촬영시간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촬영시간에 기초하여 연사 촬영된 이미지군을 자동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자동 검색된 연사촬영 이미지군을 상기 저장장치 내의 연사촬영 이미지그룹에 등록시켜 저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인쇄장치는 촬영시간을 포함한 이미지정보가 기록된 복수의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장치가 연결된 인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미지의 이미지정보를 판독하는 이미지판독부와, 상기 복수의 이미지에 대하여 상기 판독된 이미지정보로부터 획득된 촬영시간과 연사촬영이미지 판단을 위해 미리 설정된 기준 연사촬영시간을 비교하여 연사촬영이미지군을 자동 검색하고, 자동 검색된 연사촬영이미지군을 상기 저장장치 내의 연사촬영이미지그룹에 등록 저장시키도록 제어하는 인쇄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장치의 개략적인 제어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인쇄장치(100)에는 다수의 이미지가 저장된 외부저장장치(200)에 접속된다.
인쇄장치(100)는 키입력부(110), ROM(Random Only Memory)(120), RAM(Random Access Memory)(130), 이미지판독부(140), 인터페이스부(150), 저장부(160), 표시부(170), 프린팅부(180) 및 인쇄제어부(1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키입력부(1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이며, 사용자는 키입력부(110)를 통해 인쇄장치(100)가 지원하는 여러 가지 기능을 설정한다. 이러한 키입력부(110)로는 키보드 및 마우스 등이 사용되며, 사용자는 키보드 및 마우스 등을 조작하여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각종 명령을 인쇄장치(100)에 입력한다. 이렇게 입력된 각종 명령들은 시스템버스를 통해 후술되는 인쇄제어부(190)로 전달된다.
ROM(120)은 비휘발성 메모리로써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이 끊어져도 저장된 내용이 변함없이 유지된다. 이러한 ROM(210)은 화상형성장치의 기능을 구현하는 데 필요한 운영체계(OS : Operating System)와 같은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RAM(130)는 휘발성 메모리로써 해당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각종 데이터가 저장된다.
이미지판독부(140)는 외부저장장치(200)에 저장된 이미지의 교환 이미지 파일 포맷(Exchangeable Image File Format ; 이하 Exif라 칭함) 정보를 판독한다. 외부저장장치(200)에는 디지털 카메라 등의 디지털 촬영수단에 의해 촬영된 사진들이 일예로, JPEG 파일형태로 저장되어 있다. 이 JPEG 파일 내에는 썸네일 이미지, 스캔 데이터 및 스크린네일 이미지(screen nail image)외에 사진을 촬영할 때의 촬영 정보 및 카메라 설정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Exif 정보를 구비한다. 썸네일 이미지는 이미지 검색을 위하여 LCD 화면에 표시되는 작은 이미지이다. 스크린네일 이미지는 JPEG 파일포맷의 말미에 덧붙여져서, 썸네일 이미지와는 별도로 LCD 화면의 가시 영역의 크기에 맞추어 압축된 이미지이다. 재생모드에서는 스크린네일 이미지를 복원하여 LCD 화면에 표시한다. 스캔 데이터는 픽셀들의 색 정보를 샘플링-DCT- 양자화-허프만 부호화 과정을 거쳐 생성된 압축 데이터를 저장한다. Exif 정보는, 디지털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이미지의 촬영 시간 및 날짜, 셔터 속도, 조리개 수치, 줌 배율, 해상도, 플래시 사용 여부 등 여러 가지 부가 정보를 의미하며, 이 같은 Exif 정보는 기본적으로 이미지에는 나타나지 않으며 찍은 사진을 이미지 뷰어로 볼 때 부가 정보로서 제공한다. 통상 Exif 정보는 이미지 파일의 헤더(header)부분에 기록된다.
인터페이스부(150)는 외부저장장치(200)와의 인터페이스를 가능케하는 역할을 한다.
저장부(160)는 연사 촬영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표시부(170) 역시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이며, 사용자는 표시부(170)를 통해 인쇄장치(100)에서 구현되는 인쇄장치(100)의 작동 정보를 표시된 문자 및 그래픽 등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170)로는 CRT(Cathode Ray Tube) 및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이 사용되며, 사용자는 표시부(170)에 표시된 UI(User Interface) 창을 참조하여, 인쇄장치(100)의 구현상태 및 결과 등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표시부(170)는 연사 촬영된 이미지들을 촬영시간에 따른 촬영순서에 맞게 일부가 서로 중첩되게 합성된 이미지 형태로 표시한다.
프린팅부(180)는 인쇄데이터를 용지에 인쇄하여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프린팅부(180)는 연사 촬영된 이미지가 합성된 이미지를 인쇄한다.
인쇄제어부(190)는 인쇄장치(100)의 전반적인 인쇄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인쇄제어부(190)는 연사촬영이미지검색모듈(191)을 구비하여 외부저장장치(200)에 저장된 이미지 중에서 연사 촬영된 이미지를 자동 검색하는 연사촬영이미지검색기능을 제공한다. 인쇄제어부(190)는 연사촬영이미지검색모듈(191)을 이용하여 이미지판독부(140)를 통해 이미지의 Exif 정보를 판독하고, Exif 정보 중 촬영시간을 이용하여 연사 촬영된 이미지들을 자동 검색한다. 즉, 이전 이미지의 촬영시간과 현재 이미지간의 촬영 시간차를 산출하고, 산출된 촬영 시간차가 연사촬영이미지 판단을 위해 미리 설정된 기준 연사촬영시간보다 크면, 연사촬영이미지가 아니라고 판단하고, 산출된 촬영 시간차가 연사촬영미지 판단을 위해 미리 설정된 기준 연사촬영시간보다 적으면, 이전이미지와 현재이미지를 연사촬영이미지로 판단하는 방식으로 모든 이미지에 대하여 연사촬영이미지를 검색한 후 외부저장장치(200) 내에 연사촬영이미지그룹에 등록시켜 저장한다. 일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저장장치(200)에 저장된 이미지 중에서 4개의 이미지(축구공 모양의 이미지)의 촬영시간이 각각 "2006:08:22: 10:10:10", "2006:08:22: 10:10:11", "2006:08:22: 10:10:12", "2006:08:22: 10:10:13" 이고, 기준 연사촬영시간이 3초인 경우, 이웃하는 이미지의 촬영시간차가 각각 1초이므로, 기준 연사촬영시간인 3초보다 적어 4개의 이미지를 연사촬영이미지로 판단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연사 촬영된 사진을 고르거나 검색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인쇄제어부(190)는 연사촬영이미지합성모듈(192)을 구비하여 자동 검색된 연사 촬영된 이미지들을 합성하여 표시하는 연사촬영이미지합성기능을 제공한다. 인쇄제어부(190)는 연사촬영이미지합성모듈(192)을 이용하여 외부저장장치(200) 내의 연사촬영이미지그룹에 등록된 이미지를 읽어 오고, 읽어 온 이미지를 표시부(170)에 맞는 크기로 확대 또는 축소하고 디스플레이 포맷에 맞게 이미지 변환한다. 그리고, 이미지 변환된 각각의 이미지에 대하여 고유의 식별정보(ID)를 부여하여 인쇄장치(100)의 저장부(160)에 저장시킨다. 이후 인쇄제어부(190)는 저장부(160)에 저장된 연사촬영이미지군을 디폴트 옵션으로 합성하고 표시부(170)에 표시시킨다. 이때, 저장부(160)에 저장된 연사촬영이미지들의 해당 식별정보(ID)도 함께 표시시킨다. 일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사촬영된 4개의 이미지에 대하여 고유의 식별정보(1,2,3,4)를 부여하여 저장부(160)에 저장시킨 후 표시부(170)에 연사 촬영된 4개의 이미지를 합성하여 표시함과 함께 각각의 이미지에 대한 고유의 식별정보(1,2,3,4)를 함께 표시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연사촬영이미지들을 촬영시간에 따른 촬영순서에 맞게 일부가 서로 중첩되게 합성된 이미지 형태로 보여줄 수 있어 사용자에게 보다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인쇄제어부(190)는 연사촬영이미지편집모듈(193)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편집명령에 따라 표시된 합성이미지를 편집하는 연사촬영이미지편집기능을 제공한다. 인쇄제어부(190)는 연사촬영이미지편집모듈(193)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편집명령에 따라 편집을 위해 표시부(170)에 표시된 연사촬영이미지들의 고유 식별정보(ID)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고, 사용자의 편집효과명령에 따라 선택받은 고유 식별정보의 이미지 투명도를 진하게 혹은 연하게 조절하거나 혹은 삭제한다. 일예로, 도 3과 같이 동일한 투명도로 표시된 합성이미지를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편집하고자 하는 ID를 선택한 후 ID 1번, 2번 및 3번 이미지의 투명도를 낮게 설정하면, 도 4와 같이, ID 4번 이미지가 상대적으로 선명하게 표시된 형태로 재합성된 이미지가 표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합성이미지에서 불필요하다고 생각되는 ID 2번 이미지를 삭제하면, 도 5와 같이, ID 2번 이미지가 삭제된 형태로 재합성된 이미지가 표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별도의 편집 프로그램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연사촬영 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인쇄장치(100)의 연사촬영이미지 검색기능을 도 6을 참조하여 좀더 살펴보면, 먼저, 인쇄장치(100)는 단계 S100에서 외부저장장치(200)가 삽입되면, 외부저장장치(200)에 저장된 이미지의 Exif 정보를 판독하고, 단계 S110에서 Exif 정보에 포함된 촬영시간을 획득한다.
그리고, 인쇄장치(100)는 단계 S120에서 이전이미지와 현재이미지의 촬영시간차를 산출하고, 단계 S130에서, 단계 S120에서 산출된 촬영시간차(T)가 연사촬영이미지 판단을 위해 미리 설정된 기준 연사촬영시간(Tt) 이하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단계 S130에서의 판단결과 산출된 촬영시간차(T)가 기준 연사촬영시간(Tt)를 초과하면, 단계 S150으로 이동한다.
한편, 단계 S130에서의 판단결과 산출된 촬영시간차(T)가 기준 연사촬영시간(Tt) 이하이면, 이전이미지와 현재이미지가 연사촬영된 이미지이므로 단계 S140에서 이전이미지와 현재이미지를 외부저장장치(200) 내의 연사촬영이미지그룹에 등록시킨다.
그런 후 인쇄장치(100)는 단계 S140에서 외부저장장치(200)의 전체 이미지를 분석완료했는지를 판단하여 남은 이미지가 있으면, 단계 S100으로 이동하여 이하의 단계를 수행하고, 남은 이미지가 없으면, 연사촬영이미지 검색제어를 종료한다.
또한, 상기한 구성을 갖는 인쇄장치(100)의 연사촬영이미지 합성기능을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먼저, 인쇄장치(100)는 단계 S200에서 외부저장장치(200) 내의 연사촬영이미지그룹에 등록된 이미지를 읽어와, 단계 S210에서 읽어 온 이미지를 표시부(170)에 맞는 크기로 확대 또는 축소하고 디스플레이 포맷에 맞게 이미지 변환한다. 그리고, 단계 S220에서 이미지 변환된 각각의 이미지에 대하여 고유의 식별정보(ID)를 부여하여 저장부(160)에 저장시킨다.
그런 후 인쇄장치(100)는 단계 S230에서 연사촬영이미지그룹 내의 이미지가 모두 처리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모두 처리되지 않았으면, 단계 S200으로 이동하고, 모두 처리되었으면, 단계 S240에서 저장부(160)에 저장된 연사촬영이미지군을 디폴트 옵션으로 합성하고, 단계 S250에서 합성된 이미지를 표시부(170)에 표시시킨다. 이때, 저장부(160)에 저장된 연사촬영이미지들의 해당 식별정보(ID)도 함께 표시시킨다. 그리고, 연사촬영이미지 합성제어를 종료한다.
또한, 상기한 구성을 갖는 인쇄장치(100)의 연사촬영이미지 편집기능을 도 8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먼저, 인쇄장치(100)는 단계 S300에서 사용자에 의해 합성 이미지에 포함된 이미지의 ID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단계 S300에서의 판단결과 ID 가 선택되었으면, 단계 S310에서 사용자에 의해 이미지 편집명령 중 투명도 조절명령이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단계 S310에서의 판단결과 투명도 조절명령이 입력되었으면, 단계 S320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ID 이미지의 투명도를 연하게 혹은 진하게 조절한다.
그리고, 단계 S330에서 투명도 조절된 ID 이미지를 반영하여 나머지 ID 이미 지들을 재합성하고, 단계 S340에서 재합성된 이미지를 표시한다.
한편, 단계 S310에서의 판단결과 투명도 조절명령이 입력되지 않았으면, 단계 S350에서 삭제명령이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단계 S350에서의 판단결과 삭제명령이 입력되었으면, 단계 S360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ID 이미지를 삭제하고, 단계 S330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ID 이미지의 삭제를 반영하여 나머지 ID 이미지들을 재합성하고, 단계 S340에서 재합성된 이미지를 표시한다.
이후 사용자의 인쇄명령에 따라 편집 완료된 연사촬영 이미지들을 인쇄 출력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인쇄장치에서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들 중에서 촬영시간에 기초하여 연사 촬영된 이미지들을 자동 검색하는 검색기능을 지원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연사 촬영된 사진을 일일이 고르거나 검색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 검색된 연사촬영이미지들을 자동 합성하여 표시하는 합성기능을 지원함으로써 사용자가 합성할 이미지를 일일이 선택하지 않고서도 연사촬영된 이미지들을 촬영시간에 따른 촬영순서에 맞게 서로 중첩되게 합성하여 표시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보다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합성 표시된 연사촬영이미지들을 편집할 수 있는 편집기능을 지원함으로써 인쇄장치에 연결된 컴퓨터의 이미지편집프로그램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연사 촬영된 이미지들을 편집할 수 있다.

Claims (19)

  1. 촬영시간을 포함한 이미지정보가 기록된 복수의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장치가 연결된 인쇄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미지의 이미지정보를 판독하는 단계와,
    상기 판독된 이미지정보에 따라 촬영시간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촬영시간에 기초하여 연사 촬영된 이미지군을 자동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자동 검색된 연사촬영 이미지군을 상기 저장장치 내의 연사촬영 이미지그룹에 등록시켜 저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정보는 교환이미지파일포맷(Exif)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의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단계는 이전이미지와 현재이미지사이의 촬영시간차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된 촬영시간차를 연사촬영이미지판단을 위해 미리 설정된 기준 연사촬영시간을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된 촬영시간차가 상기 기준 연사촬영시간 이하면, 상기 이전이미지와 현재이미지를 연사촬영이미지로 판단하고, 상기 산출된 촬영시간차가 상기 기준 연사촬영시간을 초과하면, 연사촬영이미지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의 제 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저장단계 후 상기 저장된 연사촬영이미지군을 자동 합성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의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표시단계는 상기 연사촬영이미지그룹에 등록 저장된 연사촬영이미지군을 읽어 오는 단계와, 읽어 온 연사촬영이미지군을 디스플레이 포맷에 맞게 이미지 변환하는 단계와, 이미지 변환된 연사촬영이미지군을 내부의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와, 저장된 연사촬영이미지군을 촬영시간에 따른 촬영순서에 맞게 서로 중첩되게 합성하는 단계와, 합성된 연사촬영이미지군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의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변환단계 후 이미지 변환된 연사촬영이미지군을 이루는 각 이미지마다 서로 다른 식별정보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합성된 연사촬영이미지군을 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부여된 각 이미지의 식별정보를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의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표시단계 후 상기 표시된 연사촬영이미지군을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편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의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단계는 상기 표시된 연사촬영이미지군의 식별정보 중 편집을 원하는 식별정보 및 해당 편집명령을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이미지에 상기 입력된 해당 편집명령에 따라 이미지를 편집하는 단계와, 이미지 편집된 이미지를 포함한 연사촬영이미지군을 재합성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편집명령은 투명도를 진하게 혹은 연하게 편집하기 위한 투명도 조절명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의 제어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편집명령은 합성에 불필요한 이미지를 삭제 편집하기 위한 삭제명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의 제어방법.
  11. 촬영시간을 포함한 이미지정보가 기록된 복수의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장치가 연결된 인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미지의 이미지정보를 판독하는 이미지판독부와,
    상기 복수의 이미지에 대하여 상기 판독된 이미지정보로부터 획득된 촬영시간과 연사촬영이미지 판단을 위해 미리 설정된 기준 연사촬영시간을 비교하여 연사촬영이미지군을 자동 검색하고, 자동 검색된 연사촬영이미지군을 상기 저장장치 내 의 연사촬영이미지그룹에 등록 저장시키도록 제어하는 인쇄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정보는 교환이미지파일포맷(Exif)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제어부는 이전이미지와 현재이미지사이의 촬영시간차가 상기 기준 연사촬영시간 이하이면, 상기 이전이미지와 현재이미지를 연사촬영이미지로 판단하고, 상기 촬영시간차가 상기 기준 연사촬영시간을 초과하면, 연사촬영이미지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장치는 상기 저장장치 내의 연사촬영이미지그룹에 등록 저장된 연사촬영이미지군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연사촬영이미지군이 합성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쇄제어부는 상기 저장장치 내의 연사촬영이미지그룹에 등록 저장된 연사촬영이미지군을 읽어와 디스플레이 포맷에 맞게 이미지 변환한 후 상기 저장부에 저장시키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연사촬영이미지군을 촬영시간에 따른 촬영순서에 맞게 서로 중첩되게 합성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제어부는 상기 연사촬영이미지군을 이루는 각 이 미지마다 서로 다르게 부여된 식별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함께 저장시키고, 상기 표시부에 상기 연사촬영이미지군을 합성하여 표시할 때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제어부는 상기 합성 표시된 연사촬영이미지군을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편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장치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키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쇄제어부는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이미지에 대하여 상기 입력된 해당 편집명령에 따라 이미지를 편집하고, 재합성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편집명령은 투명도를 진하게 혹은 연하게 편집하기 위한 투명도 조절명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편집명령은 합성에 불필요한 이미지를 삭제 편집하기 위한 삭제명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KR1020060132877A 2006-12-22 2006-12-22 화상형성장치 및 그 연사촬영 이미지의 제어방법 KR101351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2877A KR101351091B1 (ko) 2006-12-22 2006-12-22 화상형성장치 및 그 연사촬영 이미지의 제어방법
US11/957,661 US20080151075A1 (en) 2006-12-22 2007-12-17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continuously shot images
CNA200710186192XA CN101232581A (zh) 2006-12-22 2007-12-21 成像设备和控制连续拍摄图像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2877A KR101351091B1 (ko) 2006-12-22 2006-12-22 화상형성장치 및 그 연사촬영 이미지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8779A true KR20080058779A (ko) 2008-06-26
KR101351091B1 KR101351091B1 (ko) 2014-01-14

Family

ID=39542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2877A KR101351091B1 (ko) 2006-12-22 2006-12-22 화상형성장치 및 그 연사촬영 이미지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80151075A1 (ko)
KR (1) KR101351091B1 (ko)
CN (1) CN10123258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95909A (zh) * 2012-08-16 2014-02-19 Lg电子株式会社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WO2014193136A1 (ko) * 2013-05-29 2014-12-04 최우혁 전자 장치,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47828A (zh) * 2010-10-14 2012-05-09 英顺达科技有限公司 动态对象的连续拍摄方法与应用该方法的可携式电子装置
JP5906023B2 (ja) 2011-04-28 2016-04-20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655112B2 (ja) * 2012-09-14 2015-01-1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合成画像作成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CN102857642B (zh) * 2012-09-28 2014-08-06 北京蒙恬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拍摄文件的装置及其方法
CN103903213B (zh) * 2012-12-24 2018-04-2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拍摄方法和电子设备
KR102065362B1 (ko) 2013-05-14 2020-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연속 촬영 이미지에서의 고조점 이미지 추출 장치 및 방법
KR102080746B1 (ko) * 2013-07-12 2020-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CN104519262B (zh) * 2013-09-27 2018-04-27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获取视频数据的方法、装置及终端
CN103747159A (zh) * 2013-12-27 2014-04-23 顾连芳 一种自动拍摄文件装置
CN103838484A (zh) * 2014-02-21 2014-06-04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删除冗余图像的方法以及一种电子设备
TWI522888B (zh) * 2014-03-19 2016-02-21 宏碁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及其影像檢視方法
CN104980641B (zh) * 2014-04-04 2019-01-08 宏碁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及其图像检视方法
CN104469069B (zh) * 2014-12-15 2019-07-30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照片同步方法和装置
US11962908B2 (en) 2015-03-17 2024-04-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utomatic image frame processing possibility detection
KR20170046496A (ko) * 2015-10-21 2017-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를 갖는 전자 장치와 그의 이미지 처리 방법
CN109756680B (zh) * 2019-01-30 2021-05-1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图像合成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136080A0 (en) * 2000-05-11 2001-05-20 Yeda Res & Dev Sequence-to-sequence alignment
WO2003065714A1 (fr) * 2002-01-31 2003-08-07 Nikon Corporation Camera numerique
JP3782368B2 (ja) * 2002-03-29 2006-06-07 株式会社東芝 物体画像切り出し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物体画像切り出し装置
JP2004038746A (ja) * 2002-07-05 2004-02-05 Toshiba Corp 画像編集方法および画像編集システム
WO2004015987A1 (ja) * 2002-08-09 2004-02-19 Sharp Kabushiki Kaisha 画像合成装置、画像合成方法、画像合成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合成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7113185B2 (en) * 2002-11-14 2006-09-26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learning flexible sprites in video layers
JP3845865B2 (ja) * 2003-01-22 2006-11-15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4178987B2 (ja) * 2003-02-14 2008-11-12 株式会社ニコン 電子カメラ
JP4082318B2 (ja) * 2003-09-04 2008-04-3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50168589A1 (en) * 2004-01-30 2005-08-04 D. Amnon Silverstei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an image with an image-capturing device
JP2006099058A (ja) 2004-09-03 2006-04-13 Fuji Photo Film Co Ltd 表示装置、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7656399B2 (en) * 2004-09-03 2010-02-02 Fujifilm Corporation Displaying apparatus, a displaying method, and a machine readable medium storing thereon a computer program
US20070081081A1 (en) * 2005-10-07 2007-04-12 Cheng Brett A Automated multi-frame image capture for panorama stitching using motion sensor
US20080088718A1 (en) * 2006-10-17 2008-04-17 Cazier Robert P Template Creator For Digital Cameras
US8068693B2 (en) * 2007-07-18 2011-1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structing a composite imag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95909A (zh) * 2012-08-16 2014-02-19 Lg电子株式会社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CN103595909B (zh) * 2012-08-16 2016-12-28 Lg电子株式会社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US9628703B2 (en) 2012-08-16 2017-04-18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WO2014193136A1 (ko) * 2013-05-29 2014-12-04 최우혁 전자 장치,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9998671B2 (en) 2013-05-29 2018-06-12 Ocean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1091B1 (ko) 2014-01-14
US20080151075A1 (en) 2008-06-26
CN101232581A (zh) 2008-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1091B1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연사촬영 이미지의 제어방법
JP4990321B2 (ja) 撮像装置
US651254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live view and instant review in an image capture device
US9524019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storage medium, and program
US8547469B2 (en) Electronic camera
US8466929B2 (en) Image processor
US20030193581A1 (en) Electronic camera capable of recording thumbnail pictures
US6545747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US20050001909A1 (en) Image taking apparatus and method of adding an annotation to an image
JP2002135627A (ja) 電子カメラ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US7812977B2 (en) Image-processing system, image-processing method, and product of image-processing program for displaying an image individually or as a composite image
JP2004364039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00041566A (ko) 디지털 스틸 카메라 및 그 제어 방법
JP5366522B2 (ja)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を有するデジタルカメラ
JPH11232006A (ja) 出力装置、出力方法、及び、記憶媒体
JP2006287377A (ja) 画像記憶装置、画像記憶方法および画像記憶プログラム
JP2000339344A (ja) 画像読取保存装置
JP2004030118A (ja) 画像合成装置
US20050128320A1 (en) Image recording apparatus
JP2010119139A (ja) 画像再生装置
JP4227638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7101573A (ja) プリント注文受付装置
JP2000059586A (ja) 画像ファイリングシステム、画像ファイリング方法、画像ファイリング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及び画像ファイリングシステム用画像出力装置
JP2000057160A (ja) 画像ファイリングシステム、画像ファイリング方法、画像ファイリング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及び画像ファイリングシステム用画像出力装置
JP2005103836A (ja) 画像印刷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